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기관 웹사이트 리뉴얼에 대한 GUI연구 :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을 중심으로

        김승덕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27

        시대의 변화와 정보통신의 급속한 발달은 하루가 다르게 세상을 변화시키고 있다. 특히 인터넷 보급의 확산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극복하게 하면서 사람들의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변화시켰다. 인터넷의 발전은 교육기관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학교에 관한 정보수집이나 입학을 위해 더 이상 학교를 방문하지 않아도 학교의 홈페이지를 활용해 정보수집과 입학을 위한 원서접수가 가능해 졌으며, 학교생활에 필요한 정보나 여러 제반사항을 홈페이지를 통해 학생과 학교 간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여러 교육기관 중 대학과 대학원의 경우는 경쟁이 치열해 지면서 다양한 매체를 통해 많은 돈을 투자하여 광고를 하고 있다. 그러한 광고를 통해 보다 자세한 정보를 보도록 홈페이지의 접속을 유도하고 있다. 광고를 접한 사람들이 직접 대학에 찾아가거나 지인들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접하기보다 홈페이지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습득하기 때문이다. 대학의 경쟁이 치열해 지면서 차별화를 위해 사용자를 배려하지 않거나 체계적이지 못한 구조와 무질서한 화면구성이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는 학교 이미지 실축과 학생에 대한 무성의함으로 보여 질수 있다. 이런 저해요소를 리뉴얼을 통해 사용자 중심의 이해와 체계적인 UI를 활용하여 학교의 이미지 개선과 인지도와 신뢰도를 향상시켜야 한다. 본 연구는 교육기관 중 디자인대학원 홈페이지에 관한 개념과 특성, 리뉴얼에 대한 중점사항과 UI요소에 대한 연구를 통해 국내 디자인대학원 UI를 분석하고,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홈페이지를 리뉴얼하여 교육기관 홈페이지로써의 보다 바람직한 GUI를 제시하였다. Temporal changes and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are changing the world each day. In particular, the spread of Internet distribution has helped overcome temporal and spatial restrictions and changed people's perception of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Development of Internet had great effects on educational institutions as well. It became possible to use a school website to get information and submit an application for admission without visiting the school any more, and there are interactions between students and the school through the website in terms of necessary information for school life and many other things. Among many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s,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make heavy investment in advertising through various media in keener competition. They are attracting connection to their websites for more detailed information through the advertising. That is because those getting access to the advertising get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hrough the website rather than by personally visiting the universities or from acquaintances. With keener competition among universities, there are some unsystematic structures and unorderly screen compositions without consideration of users in pursuit of differentiation, which can damage the image of school and be seen as insincere to students. For these damaging factors, it is necessary to use systematic UI in addition to the user-centered understanding through renewal to improve the image of school and enhance reliability.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s and properties of the website for graduate school of design among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s, important things for renewal, and UI elements to analyze UI for the domestic graduate school of design, renewed the website for graduate school of design, Sungkyunkwan University, and presented more desirable GUI as a website for educational institutions.

      • 공간의 연출을 위한 화예디자인 연구 : 호텔로비 공간을 중심으로

        홍방음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63

        ABSTRACT A Study on Floral Design for Space Display - With Priority Given to Hotel Lobby - Sung Kyun Kwan University Design Graduate School Major. Environmental Design Hong Bang Eum Floral design has become a part branch of the design field since. it became a design field of study in Sook myung- Women's University in Korea. However, where Floral design exactly fits in the field of design has not been clarified because its concept is still vague. Floral design should be part of the environmental design and role and function should be defined clearly. In other worlds, it's a matter of the position of its field. On the other hand, a social phenomenon of post-modernism. which some philosophers refer to as 'death of the subject'. radically criticizes the individual value and the authority of the nation. it has also affected various fields such as theology, history, economics, and politics. Society has been dematerialized, decentralized, and reciprocated: at the same time the environmental design has become ① the space of expanded transparency, ② the space of temporaries, ③ the space of surface, ④ the space of variability, and ⑤ the space of multi-center Social background and spatial character should be clarified. The specific place a hotel lobby, was used for this study to clarify the role and function of floral design. The hotel lobby was chosen because it serves as intermediary between the city and the interior of the hotel, and accommodates the flow of the customers. Also the lobby represents the image of the hotel and it contains the culture of the region as the public place. The form of the lobby was divided into three spaces: ① a central open space ② a void hall space, and ③ a combination of both. According to the from of the lobby the floral design was divided into ①perspective, ② location, ③ distance, ④ size, and ⑤ form. This thesis is to clearly categorize the study of floral design by clarifying its position in the design category and its role and function of the floral design as the branch of the environmental design. 한국의 화예디자인은 1997년 이후부터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화예디자인 전공이 개설되면서 화예디자인이 학문적 영역으로 발돋움하면서부터 디자인의 한 분야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화예디자인 개념의 모호함으로 인하여 뚜렷한 영역과 범주를 밝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화예디자인을 공간디자인의 한 부분으로서 편성시킴과 동시에 역할과 기능을 보다 명확히 밝힐 필요가 있다. 한편으로 현 사회적 배경이라 할 수 있는 포스트 모더니즘적 사회 현상은 몇몇 철학자들이 흔히 '주체의 죽음'으로 일컫는 현상으로 장소의 고정성과 개인이나 국가 역사에서의 권위나 가치의 확실성에 대한 급진적인 비판을 의미한다. 또한 과거의 거대 이론을 붕괴로 몰고와 신학과 역사학, 경제학, 정치학 등 각 분야에 거대한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이로 인하여 사회는 비물질화, 탈중심화, 상호작용화 되어가고, 이에 공간디자인도 ①확장적 투명성의 공간, ②일시성의 공간, ③표피의 공간, ④가변성의 공간, ⑤다중심적 공간으로 변해가고 있다는 공간디자인에 있어서의 현대사회의 배경과 공간의 특성을 밝힐 필요가 있다. 이 두 가지 논제를 본 연구는 화예디자인의 역할과 기능을 보다 명확히 밝히기 위해 호텔로비라는 특정 공간을 연구 범위로 설정하였다. 연구 범위를 호텔로비로 한 이유는, 호텔 로비가 도시공간과 호텔내부공간과의 중간적 영역이며, 호텔 이용객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도하고, 그 호텔의 전체적인 인상을 결정해 주는 공간이자, 퍼블릭 공간으로서 사회성을 가장 잘 알려주고 있으며 그 지역의 문화를 담고 있는 공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화예디자인은 호텔로비라는 공간을 삼차원적인 이동에 따른 정보로 변용 가능한 디자인으로서 화예 디자이너는 공간에 의도를 부여, 공간연출을 결정해야함을 알 수 있었다. 호텔의 로비 구조에 따른 효율성의 자료분석의 결과로, 중앙광장식은 방사형, 보이드형 홀식은 고정형, 절충식은 중립형이 효과적임을 결론지을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근거로 화예디자인의 하나의 방향을 작품의 사례를 통하여 예시하였다. 따라서 우리자연에서 받을 수 있는 따뜻하고 편안함을 주며 환경적 조건에서 생활에 편리함을 위한 기능적조건, 안락한 정서적 조건 등을 모두 만족해야 하는 데 호텔로비에서 공간을 심리적인 측면에서 편안함은 줄 수 있는 공간의 연구가 가능하였다.

      •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적용에 관한 연구

        장여근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63

        Movies have characteristics of the service. It is untouchable, cannot be found out without experiencing it while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take place at the same time. Because of such characteristics of the service, many researchers have been mentioning the importance of managing physical environment of multiplex cinemas. But as the facility became modern and large scale, it became difficult to attract the choice of consumers from the distinction by quality any longer. Also, the multiplex cinemas until now have been providing a unilateral space without the research on preference of viewers and has been repeating only the screen centered growth. Accordingly, multiplex cinemas are in a serious need of distinctive strategy to attract consumers by reflecting the desire and expectation of consumers while one example of this strategy can be a distinctive strategy through visual factor inducing positive attitude by having a positive effect on the emotion of consumers. Also, while the objective of brand identity must not be overlooked in discriminating toward such direction, the reason is because the brand identity (BI) is a set of unique illustrated image of specific brand which the company must create or maintain and these illustrations of the brand image has been highlighted as an important purchase determining factor as the one expressing what the brand stands for and what type of promises are suggested by the company to customers. Accordingly, brand identity factors applied and utilized at each atmosphere of multiplex cinemas would have an effect even during the selection of cinemas by customers by having a potential influence on satisfaction toward the service experience. Therefore, multiplex cinemas are able to become distinguished by designing visual factors in a same way as the objective of identity to raise the possibility of selection by consumers as a unique, strong and friendly brand image is provided visually to consumer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brand identity and formative designing characteristics of domestic multiplex cinemas, investigate the application and utilization of brand identity through field research and to present a plant to discriminate by designing graphic element and applying to BI applied system and space of multiplex cinemas on this basis. The summarized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while the number of multiplex cinemas are being increased in their number, the consumer demand followed by such increase is unable to catch up and the competition is getting deepened. But the multiplex cinemas are at a standardized state in their facility and services while having no distinctive characteristics having competitiveness. Therefore, a distinctive strategy is necessary in order to break through such circumstance. Second, it is difficult to find the distinctive unique characteristics in domestic multiplex cinemas as they have used brilliant neon signs and lights to dark indoor atmosphere in general for the most part after being influenced by CGV Gangbyon 11 to illustrate a cyber-like atmosphere and give strong sensation to consumers from the use of stimulating visual effect. Therefore, while domestic multiplex cinemas need a distinctive strategy in order to possess competitiveness, it can be distinguished by providing a unique, strong and friendly brand image to consumers visually because the aesthetic attractiveness of aesthetic factors in the multiplex can have influence on the positive attitude of consumers. Also, because companies are able to deliver the philosophy, vision and concept of brand effectively by distinguishing with visual factors through brand identity, the brand image can be consolidated and distinguished by designing visual factors the same way as the objectives of identity. Third, in case of the Lotte Cinema 'Kunkook University' branch among the subjects of analysis on multiplex cinemas in this thesis, the design concept called 'Korean traditional beauty' has no connection with brand identity and isn't shown well in the actual design. Also, it looks unnatural and has no distinctive characteristics in its entirety because the Korean sensation, future oriented sensation of cyber space and luxurious sensation of hotel are mixed up. Fourth, the design concept created during the renewal of Lotte Cinema 'Kunkook University' branch is natural nobless and tried to give happiness and inspiration to consumers through a comfortable, pleasant and luxurious environment by applying the love of mankind, love of nature/environment and love of movies that are brand identity objectives of Lotte Cinema. Also, it has tried to illustrate a luxurious cafe mood which is within nature outside of downtown by placing the value on comfort and relaxation of consumers with a space of comfort and nature as well as being a luxurious space. The shape has been expressed in an elaborate way with free curved shapes by handcraft as a motive of nature using natural materials such as flowers, tree leaves, grasses and stones. The color tone was used to arouse emotional reaction and have appealing ability without using objective colors of physical sensation seen from objects while expressing dimly with calm color tones having sense of comfort and security. And using the Korean script having formative and scientific design factor as graphic element, the atmosphere that can be tedious by being too calm and secure has been improved. Thus it has been distinguished from other multiplex cinemas applying a uniform cyber-like design by being illustrated in a luxurious way as a resting place within nature. This study has places its significance on establishing a concrete material in the domestic situation in which the materials seen from the aspect of brand identity and formative design in multiplex cinemas are insufficient. Accordingly, this study could be utilized in the field of marketing and designing in the future by presenting a distinguished design which can continuously stand at a predominance of competition based on brand identity. 영화는 서비스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만질 수 없고 경험하지 않고서는 알 수가 없으며, 생산과 소비가 동시에 일어난다. 서비스의 이런 특징 때문에 많은 연구자들은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물리적 환경관리의 중요성을 언급해왔다. 그러나 시설이 현대화 및 대형화됨에 따라 더 이상 품질에 의한 차별화로는 소비자들의 선택을 끌어내기가 어렵게 되었다. 또한 지금까지 멀티플렉스 영화관들은 관람객의 기호에 대한 조사없이 일방적인 공간을 제공해 왔으며 상영관 위주의 발전만을 거듭해 왔다. 따라서 멀티플렉스 영화관들은 소비자의 욕구와 기대를 반영하여 소비자를 이끌 수 있는 차별화 전략이 절실해지고 있고, 이런 전략의 하나로 소비자의 감정에 정(+)의 영향을 미쳐 긍정적인 태도를 유발하는 시각적인 요소를 통한 차별화 전략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향으로 차별화하는데 있어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목표를 간과하지 않아야 할 것인데, 왜냐하면 브랜드 아이덴티티(BI)는 기업이 창출하거나 유지해야 하는 특정 브랜드만의 독특한 연상 이미지의 집합이고, 이러한 연상들은 브랜드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리고 기업이 고객에게 어떠한 약속을 제시하는지를 표현하는 것으로 브랜드 이미지가 오늘날 중요한 구매결정 요인으로 부각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각 환경에 적용 및 활용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요소들은 서비스 경험에 대한 만족에 잠재적으로 영향을 미쳐 고객의 영화관 선택 시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러므로 멀티플렉스 영화관은 시각적으로 소비자에게 독특하고 강력하며 호의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들에 의한 선택 가능성을 높일 수 있도록 시각적인 요소를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목표와 같은 방향으로 디자인하여 차별화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국내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조형적인 디자인 특성을 파악하고, 현장조사를 통해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적용 및 활용을 조사하며, 이를 토대로 그래픽 엘리먼트를 디자인하여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BI응용시스템과 공간에 적용하여 차별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멀티플렉스 영화관은 그 수가 점점 증가하는 반면 그에 따른 고객 수요가 따라가지 못하여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그러나 멀티플렉스 영화관들은 시설 및 서비스가 평준화된 상태이며 경쟁력 있는 차별화된 특성이 없다. 그러므로 이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하여 차별화 전략이 필요하다. 둘째, 국내 멀티플렉스 영화관은 CGV강변11의 영향을 받아 대부분 전반적으로 어두운 실내분위기에 화려한 네온사인과 조명 등을 사용하여 사이버틱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고 또한 자극적인 시각효과의 활용으로 소비자에게 강한 느낌을 주고 있어 차별화된 독특한 특성을 찾아보기 어렵다. 그러므로 국내 멀티플렉스 영화관은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한데, 멀티플렉스의 심미적인 요소의 미적매력성이 소비자의 긍정적인 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시각적으로 소비자에게 독특하고 강력하며 호의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차별화할 수 있다. 또한 기업은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통해 시각적인 요소로 차별화함으로써 브랜드의 철학과 비젼, 이념을 소비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므로 시각적인 요소를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목표와 같은 방향으로 디자인하여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여 차별화 할 수 있다. 셋째, 본 논문의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분석 대상 중 롯데시네마 ‘건대입구점’은 ‘한국 전통의 미’라는 디자인 컨셉이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연관성이 없고 실제 디자인에도 잘 나타나 있지 않다. 또한 한국적인 느낌, 사이버공간의 미래적인 느낌, 호텔의 고급스런 느낌이 뒤섞여 있어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어색하며 차별화된 특성도 없다. 넷째, 롯데시네마 ‘건대입구점’의 리뉴얼시 설정한 디자인 컨셉은 네츄럴 노블레스(Natural Nobless)로 롯데시네마의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목표인 인간사랑, 자연/환경사랑, 영화사랑을 적용하여 편안하고 쾌적하며 고급스러운 환경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행복과 감동을 주고자 하였다. 또한 소비자 편익을 휴식과 가치에 두고 안식과 자연의 공간이면서 고급스러운 공간으로 도심 밖 자연 속에 있는 고급스런 까페 분위기를 연출하고자 하였다. 형태는 꽃, 나뭇잎, 풀, 돌 등의 자연소재를 이용한 자연 모티브로 자유곡선형과 수공예적으로 정교하게 표현하였고, 색채는 물체에서 보이는 물리적인 느낌의 물체색을 사용하지 않고 감정작용을 불러일으키며 호소력을 가지도록 사용하였고 또 편안하고 안정감있는 차분한 색으로 은은하게 표현하였다. 그리고 조형적이고 과학적인 디자인 요소를 갖추고 있는 훈민정음을 그래픽 요소로 활용하여 지나치게 차분하고 안정되어 지루할 수 있는 분위기를 보완하였다. 이와 같이 자연 속 휴식공간으로 고급스럽게 연출하여 획일적으로 사이버적인 디자인을 적용하고 있는 타 멀티플렉스 영화관과 차별화하였다. 본 연구는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조형적인 디자인의 관점에서 본 자료가 부족한 국내의 실정에서 구체적인 자료를 구축하였다는데 그 의의를 두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속적으로 경쟁우위에 설 수 있는 차별화된 디자인을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바탕으로 제시함으로써 향후 마케팅과 디자인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공간 구성 특성에 따른 마감재 표현 연구 : 거실 공간의 벽면을 중심으로

        박수현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47

        Today’s living room appears differently by its purpose of use and style of composition according to volume of a residential space and lifestyle. Therefore, a living room should be a functional area enables various lifestyles as a common family area, and the design derived from the size and form of the space should satisfy the characteristic of the special composition and the desire of family members. However, by looking at designs and finishing materials of today’s living rooms, the reality today is a fixed design style based on the recent trend with no distinction of originality. Moreover, the colors and materials we experience through education or daily lives, have very complicated possibilities those are very difficult to express in simple words. Therefore, the intention of this study is, to seek what kind of characteristic the target space shows visually and to propose a method of expressing the finishing materials of a living room according to such a visual characteristic. To start with, in order to find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visual characteristic and use of finishing materials, I researched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 of space composition, as well as its visual images such as the color, the material and the texture, of model houses of popular high rise apartments. The characteristic of a spacecomposition observ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is linked to each different visual characteristic, and it is also very closely related to selecting the finishing materials. Such an analysis implies that each different space has different visual characteristics to each other and the appropriate finishing materials are again different. Firstly, a characteristic of a space depends on its size, form and the composition of movements, and this is closely related to visual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I was able to figure out that visual characteristics such as direction of movementsand visual distance and direction differ, according to the size, form and the location of the livingroom, and this gives a vital influence when selecting the ultimate finishing materials. Secondly, each visual characteristic is related to plasticity such as visual balance, proportionality and harmony which leads to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finishing materials. When applying visual phenomenon to a space, basic ordersystem of a space is formed. This implies the significance of a design draft due to the mutual relationship and not a selection of a finishing material as an absolute value. Thirdly, when selectinga finishing material, various characteristics such as the color and texture possessed by each material, should be considered. A final image cannot be pursued just by the name of a color or a material we commonly use, butthe selection must be of a circumstance where factors such as the size of the finishing material, the location and the feasibility with other materials are all taken into an account. This study is proposing the standard and guidelines when selecting finishing materials as a finial touch of a living room that is a family oriented space. Various design related business are being planned, such as the recent ‘Seoul Design Olympics’ and the importance of design in various fields is coming to the fore. However,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the problem in all design fields is lack of originality. Lack of originality implies everything is identical without distinction, and being identical is impossible in design world.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allow an applicable standard not only to living rooms but also to other spaces such as bed rooms and kitchens and furthermore, to exterior environment design. Away from meaningless mass production of space bound in forms with no distinction, a space and environment design which makes the best of different characteristics shall be realized. 오늘날의 거실은 주거공간의 규모, 생활 방식에 따른 거실의 용도 등에 따른 구성 방식에 의해 그 형태가 각기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거실은 가족의 공용공간으로서 다양한 생활 양식을 담을 수 있는 기능 공간이어야 하며, 공간의 크기와 형태 등에 의해 비롯되어지는 디자인은 공간 구성 특성과 그에 따른 가족 구성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그러나 현행의 거실공간의 벽면 디자인과 마감재의 처리를 살펴보면, 유행과 트랜드에 따른 불변의 디자인 방법이 정해져 있다고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전혀 차별성을 찾아볼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우리가 교육을 통해서 혹은 일상생활에서 경험하고 있는 색채와 재료의 경우도 짧은 단어로는 표현하기 힘든 대단히 복잡한 경우의 수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상 공간이 시각적으로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지를 찾아내고, 이와 같은 시각적 특성에 따른 거실공간의 마감재의 표현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연구의 목표로 하고 있다. 우선 시각적 특성과 마감재의 사용과의 상호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인지도가 높은 아파트 모델하우스를 분석 대상으로 하여, 공간 구성 특성을 비롯한 마감재의 색채, 재료, 질감 등의 시각적으로 표현되는 이미지를 조사, 분석하였다. 사례조사의 분석을 통해서 공간구성의 특성은 각기 다른 시각적 특성과 연결되며, 이는 마감재의 선택에 밀접한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각기 다른 공간은 서로 다른 시각적 특성을 가지며, 적합한 마감재 역시 다르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첫째, 공간 특성은 대상 공간의 크기, 형태 등과 이에 따른 동선의 구성에 의해 좌우되며, 이는 시각적 특성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아파트의 평수와 거실의 형태, 위치에 따라 동선의 방향과 시각적 거리, 방향 등의 시각적 특성이 달라짐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최종적으로 마감재의 선택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둘째, 각 시각적 특성은 대상 공간의 시각적 균형, 비례, 조화 등의 조형성과 관련이 있으며, 이에 입각한 마감재의 선택으로 이어진다. 시지각 현상을 공간에 적용하였을 때, 대상물의 배경과의 통일성, 균형, 비례 등의 조형원리가 평가의 기초가 되며, 공간의 기본적인 질서 체계를 형성한다. 이는 절대치로서의 마감재 선택이 아닌 상호관련성에 의한 디자인 방안의 중요성을 의미하고 있다. 셋째, 각 재료가 지니고 있는 색채, 질감 등의 다양한 특성을 고려한 마감재로서 선택이 행해져야 할 것이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고 있는 색명이나 재료만으로는 최종적인 이미지를 추궁할 수 없으며, 마감재의 크기, 위치, 타 마감재와의 상호관계 등의 요건이 고려되어진 상황에서의 선택이어야 한다. 본 논문은 가족의 중심 공간인 거실에 있어서 최종 마무리로서 마감재 선택의 기준과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 최근 ‘서울 디자인 올림픽’ 등의 사업을 비롯하여 각종 디자인관련 사업들이 계획되고 있으며, 각 분야의 디자인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모든 디자인 분야의 문제점은 독창성의 결여라고해도 결코 과언이 아니다. 독창성이 없다는 것은 모두 차별성이 없이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디자인에서 동일하다라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거실 뿐 만이 아니라, 침실 및 주방 등의 주거공간이나 다른 기능공간, 나아가서 외부환경디자인에 있어서도 적용 가능한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무의미한 형식에 얽매여 차별성이 없는 공간의 대량생산에서 벗어나 각기 다른 특성을 살린, 그에 따른 공간과 환경의 디자인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건강식품브랜드의 로하스이미지 수립을 위한 패키지디자인 : 대상Wellife 건강식품 패키지디자인을 중심으로

        홍미소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47

        This study is about the package design strategy to improve LOHAS brand image of health food brand, and suggests more effective LOHAS package design plan by reflecting the brand image strategy according to the change of trend. Now customers show much interest in 'quality of life'. The arrival of mature society has made people pursue the emotional abundance and qualitative improvement of life, and because of the entry into an aging society, the exhaustion of resources, the problem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he appearance of Global Epidemics, people consider healthy and wholesome consumption carefully once again. Owing to this social current, the consumption of Well-Being trend has increased worldwide. The word 'Well-Being' has been spread out widely in Korea as much as people are familiar with it, but instead of that word, other word such as vegetarianism and ecologism has been developed in America or other countries for long time much more than Korea. 'LOHAS' is the representative lifestyle of well-being trend in America. LOHAS is an abbreviation of ‘Lifestyles Of Health And Sustainability’, namely it is the lifestyle which makes valuable of health and environment, social justice, self development, and sustainable life, and it is the essential trend in accordance with the industrial development and the raise of attitude level, not just temporarily fashion at this point that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 sustainable consumption, and economy has been emphasized. In Korea, LOHAS has been addressed as an important issue, expanded to the side of health, and thus the role of brand image has become important. Recently the market has made much of the individuality, and pursued the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various changes in customers' wants of lifestyle and taste. Our dietary life has been diversified, and basic value of the influence on health has been considerably changed. In the past, the food was the desire for existence, but it is to satisfy the taste today, and the nutrition is centered on the health, so finally health-functional food appeared. It has great dependence on brand as health-functional food stores for health and beauty have appeared and spread out now in the times of new distribution structure, companies have put forth their whole energy to construct the reliability of brand itself as one means to inform that their products are absolutely safe. However, regardless of the change in trend, the package design that has great influence on the image of brand has become more important in constructing intentional and coherent image of product than any other times, and the strong brand image and product positioning are the key to move main customers class, busy moderners. To improve this problem, this study aims at drawing the plan of making strategic package design which reflects the image of compan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concept of Well-Being and LOHAS by targeting on LOHAS food which is one of trendy industries, and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LOHAS image from the visual side of package design. Furthermore, this study deduced current problems of design by researching and analyzing the improvement of the image of brand,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package design of diet bar of target Wellif. Additionally, on the basis of characteristics of current LOHAS image, this study arranged and suggested the plan of producing more desirable image of brand and the package design strategy which reflect future LOHAS image. 본 연구는 건강식품브랜드의 로하스 브랜드 이미지 향상을 위한 패키지 디자인 전략에 관한 연구로, 트렌드의 변화에 따른 브랜드이미지 전략을 반영하여 보다 효과적인 로하스 패키지 디자인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현 소비자들은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은 수준으로 올라갔다. 성숙사회의 도래로 정신적 풍요와 생활의 질절 향상을 추구하게 되었고, 고령화 사회 진입, 자원의 고갈, 환경오염문제, 글로벌 이질(Global Epidemics) 등의 출현은 건강하고 건전한 소비에 대해 다시 한번 심사숙고 할 계기가 되었다. 이런 사회흐름으로 세계적으로 웰빙트렌드에 대한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국내는 ‘웰빙’이라는 단어가 익숙하기만큼 널리 퍼져 있지만 미국이나 다른 국가에서는 웰빙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고 채식주의 ,생태주의 등으로 국내보다 오래전부터 발전해왔다. 미국의 웰빙 트렌드의 대표적인 라이프스타일로는 ‘로하스’를 들 수 있다. 로하스란, ‘Lifestyles Of Health And Sustainability’의 약자로, 건강과 환경, 사회정의, 자기발전, 지속 가능한 삶에 가치를 둔 라이프스타일로, 환경에 대한 중요성과 지속가능한 소비 및 경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로하스는 한때의 유행이 아닌 산업발전과 소비자 의식수준 제고에 따른 필연적인 트렌드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로하스가 이슈에 머무르고 있으며, 건강측면으로 확산되어 가고 있으며, 이에 따른 브랜드 이미지의 역할 중요해지고 있다. 최근 시장은 소비자의 생활양식과 기호에 다양한 욕구변화의 따라, 개성을 중시하고 편리함을 추구하게 되었다. 우리 식생활은 다양화 되었으며, 건강을 위한 영향의 기본가치가 크게 변화하였다. 과거의 식품은 생존을 위한 욕구에서 현대에는 미각을 충족시키기 위한 것이 되었고, 이에 아울러 영양도 건강위주로 변하여 건강을 위한 건강기능성 식품이 등장하였다. 신유통구도의 시대로 자신의 건강과 아름다움을 목적으로 건강식품 전문스토어 등장및 확산됨에 따른 브랜드에 대한 의존도가 크기 때문에 기업들은 그들의 제품이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제품이라는 것을 알리는 한 수단으로써 브랜드 자체에 신뢰성을 구축하는 데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문제는, 트렌드의 변화함에도 불구하고 브랜드 이미지에 큰 영향을 미치는 패키지 디자인이 그 어느 때 보다 계획적이며 일관성 있는 제품 이미지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역할이 더욱 중요하게 되었으며 강력한 브랜드 이미지와 제품 포지셔닝은 주 소비층인 바쁜 현대인들을 움직일 수 있는 열쇠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기업이미지가 반영된 전략적 패키지디자인을 만드는 방안 도출을 목표로 진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트렌드의 산업부분중 하나인 로하스 식품을 중심으로 웰빙과 로하스의 이론적 개념과 정립하고 로하스이미지 특성 요소를 패키지디자인의 시각적 측면으로 도입하여 고찰 하는데 있다. 더 나아가 브랜드이미지 향상 물론 대상 Wellif의 다이어트 바의 패키지 디자인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현재 나타나고 있는 디자인상의 문제점들을 도출하였다. 또한 현재 로하스이미지 요소의 특성을 토대로 향후 로하스이미지를 반영한 보다 바람직한 브랜드 이미지의 제작 방안과 패키지디자인의 전략을 정리․제시하였다.

      • 환경 특성에 의한 출입구 공간 디자인 연구 : 공동주택(APT)을 중심으로

        심강희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47

        주거 유형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공동주택은 단지의 대형화에 따라 블록화되면서 커뮤니티 단절이라는 사회적 문제를 야기 시키고 있다. 공공디자인의 활성화와 더불어 사유(私有)공간인 공동주택에도 각 단지의 개성을 살린 디자인의 욕구가 강해지고 있으며 인구 고령화 등 사회적 변화에 따른 해결방안으로 환경디자인이 대두되고 있다. 주택의 고급화와 대형화에 편승해 공동주택 출입구도 하나의 의미 있는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도시가로와 단지 내 가로가 만나는 경계부위에서 도시커뮤니티 형성에 효과적 인자(因子)로 작용하고 있다. 이 연구는 공동주택 출입구 공간을 공공(公共)영역에서 사유(私有)영역으로의 변이를 가진 중간영역까지 포함한 출입영역으로 정의하고, 출입구의 개념을 경계의 표현과 통제와 방어, 정체성의 표현으로 나누어 이에 따른 공간 디자인 표현요소를 통해 디자인 표현이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 조사ㆍ분석한 내용이다. 먼저 공동주택 출입구 공간의 디자인 현황을 파악하여 문제점을 분석해보고, 장소성에 근거한 보행 행태에 따라 분류된 평면적 출입구 유형과 조형 형태에 따라 분류된 입면적, 공간적 유형이 차별화 목표와 더불어 어떻게 조화롭게 적용될 수 있는지 실제 디자인 사례를 통해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내용을 살펴보면, 보행 행태에 따른 공간 환경 분석을 통해 공동주택 출입구 유형을 경계형, 통로형, 광장형으로 분류했다. 경계형은 주변 환경으로부터 독립성을 갖고자 할 때 적용하기 유리하고 통로형은 진행의 방향성을 높일 때 유리하다. 광장형은 보행자가 머무는 시간이 가장 길며 공간으로서의 인지성도 좋다. 주변과의 커뮤니티 형성에 가장 유리하고 다양한 기능을 통해 단지의 특성을 살릴 수 있다. 경계형, 통로형, 광장형 중에서 광장형의 공공성이 가장 크다. 공간구성요소인 바닥, 기둥과 벽, 지붕을 기본으로 하여 조형 형태가 어떻게 위계(位階;Hierarchy)를 가지고 있는지 구분해 보았다. 바닥형의 경우 바닥형, 넓은바닥형, 조합형의 순(順)으로, 기둥형과 벽형의 경우 기둥형, 열주형, 벽형의 순으로, 지붕형의 경우 지붕형, 넓은 지붕형, 넓은 면형의 순으로 표현될수록 영역성이 명확히 표현되며 출입구의 명료성이 높아진다. 넓은 바닥형과의 조합형일 경우 넓은 바닥형의 조건이 동일하고 출입구 높이가 일정하다고 가정했을 때 바닥형, 기둥형, 열주형, 벽형, 지붕형, 넓은 지붕형, 넓은 면형과의 조합 순으로 명료성이 높아지나 외부에서의 개방감은 감소되고 넓은 바닥형의 공공성이 증가된다. 이 연구는 촐입구 공간 디자인에 있어서 환경디자인으로서 성공적인 방안의 기초가 되는 연구이며, 환경 특성을 고려한 공동주택 출입구 공간 디자인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지침으로 그 의의를 갖는다. Apartment which is the most majority among residing facilities causes the social problem that is disconnection of community due to being grouped because of bigger in size. As being energizing of design in public area, it is encouraged the desire of design considering the personality of each section in the mass housing area and environmental design is risen by the solution for social changes like population aging. According to the trend of being expensive and bigger house, the entrance of residential complex is regarded as a meaningful space and one of the efficient element to build a urban community at the border of roads which city road and complex road meet. This research is consisted of contents that the space of entrance is defined that the entrance area including transition space in between the range of public and private and it analyzes how the design would be expressed by elements of space design which is based on classified meaning of entrance that distinguishes boundary, control, defence and identity. First, I surveyed the issues from the current trend of design for residential complex entrance area and present the improvement plan on actuality design cases how it can be applied harmoniously to enhanced goal that is unrelieved type of entrance classified by behavior patten of pedestrian based on sense of place and dimensional type classified by patten of landscape. In the contents, they are classified as 'District Type' (DT), 'Path Type' (PT) and 'Node Type' (NT) by analysis of space environment in associated with walking pattern. DT is appliable to occupying independent space from its surroundings, PT enhance the direction of people and NT is good for pedestrian's space to provide the longest duration than others with recognizing of the open space. It can be emphasized the character of the complex through various functions and is the best to build community. It is the most quasi-public. I segregated by the configuration of Floor, Column with Wall and Roof that are the element of space basic component to figure out the level of hierarchy. As it goes in order of General Floor Type, Wider Floor Type and Combination Type(Floor Type); in order of Column Type, Peristyle Type and Wall Type(Column with Wall Type); in order of General Roof Type, Wider Roof Type and Wider Facade Type(Roof Type), it is clearly expressed for its boundary with highly legible entry sequence. In case of the combination with the Wider Floor Type at the same height of entrance, it has its legibility but reduced the recognition of open space from outside, and augmented publicity as it goes in order of Floor Type, Column Type, Peristyle Type, Wall Type, Roof Type, Wider Roof Type and Wider Facade Type. This is a basic study taking a consideration of the environment for the space design of residential complex entrance to provide a fundamental material to succeed in planning and significant guide on the entrance space design based o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 통합 디자인 커뮤니케이션(IDC)을 통한 브랜드 자산 가치제고 연구 : 삼성화재 중심으로

        고방실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47

        2000년대 이후 금융산업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금융기관의 브랜드 가치도 동시에 크게 상승하고 있으며, 선진 금융기관을 중심으로 브랜드를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국내외 금융기관간의 인수·합병, 해외수익비중의 증가 등으로 금융기업의 겸업화, 대형화가 가속화되어 브랜드 혁신을 통해 기업의 가치를 극대화하려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하지만 고객의 관점에서 타 경쟁사와의 브랜드 우위를 점하기 위해 상품의 본질적인 가치 전달도 매우 중요하지만 그 상품의 가치전달을 위한 고객을 향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기업의 브랜드 가치를 좌우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고객관점에서 금융기업의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고객이 브랜드를 접하는 점점별로 크게 구매 전 경험, 구매 시 경험 그리고 구매 후 경험으로 나누어서 연구대상인 삼성화재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으며, 삼성화재의 비교대상 금융기업으로는 선진 금융기업인 씨티그룹, KB국민은행 그리고 현대카드이며, 이를 통해 현재 브랜드 관리를 위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실태 현황 파악하고 삼성화재의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활동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그 문제점의 해결방안인 통합 디자인 커뮤니케이션 전략은 기존은 디자인요소들은 통합은 물론이거니와 전략의 시작점인 기업 경영철학에 근거한 브랜드 디자인 전략을 통해 고객 접점의 모든 디자인 커뮤니케이션 요소를 일관성있게 표현하고 커뮤니케이션하여 지속적인 브랜드 디자인 관리와 지원을 통해 궁극적인 목표인 브랜드 자산 구축에 핵심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다. Since 2000, the growing scale of financial industry has also brought up the brand value of the companies in the field, and there have been increasing examples of strategic utilization of the brand, especially by leading financial institutions in the industry. Particularly, M&A among financial institutions home and abroad and rising percentage of overseas profits have accelerated financial companies growing more or doubling as other sections, remarkably leading them to maximize value of the companies by innovating their brands. But financial products have intangible characteristic, and the products vary as plans for them, given their structure. Especially, differentiation among the products actually narrows, given that when a new product is launched, competitors usually roll out other products with similar forms or characteristics in the short term. And it is true that despite different products, consumers are troubled to find differences among them if they don't pay special attention. Therefore, to gain an edge on its competitors, it would be very important for the financial company to not only deliver the product's natural value but also adopt proper communication method of brand which determines brand value of the company that the consumers feel. For it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example of Samsung Fire, an object of the study, and intended to examine the brand communication activity of the financial companies depending on the time in which the consumers meet with the brand: pre-purchase experience, experience in time of purchase, and post-purchase experience. The comparison group of the Samsung Fire consists of leading companies- City Group, KB Kookmin Bank, and Hyundai Card. Through the analysis, the researcher read the current situation of brand communication for brand management, and drew problems of the brand communication activities of Samsung Fire.

      • 에코 디스플레이에 관한 연구 : 에코디자인 적용 방안을 중심으로

        정준석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에코 디스플레이에 관한 연구로, 에코디자인 개념의 적용으로 친환경 경영을 표방하는 기업의 이념에 부합되며, 궁극적으로 기업의 이미지 제고를 위한 디스플레이의 역할과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디스플레이는 현대 산업 사회에서 급속한 유통구조의 변화와 다양한 국제 전시와 박람회의 유치, 사회의 전반적인 의식구조 변화에 따른 생활환경 개선 및 기업홍보관, 교육장소의 필요성에 따라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는 크게 상업부문과 비상업부문으로 나눌 수 있는데, 기업에 있어서 상품 판매, 유통, PR의 목적으로 소매점 및 대형마트, 백화점, 갤러리, 쇼룸, 전시장 등의 유형으로 대다수 상업부문에 있어 디스플레이가 동원되고 있으며, 그 역할과 영역이 더욱 확대 발전되고 있다. 그러나 사회 전반에 녹색성장 패러다임이 최대 화두인 시대에 디스플레이는 업계의 특성상 타 분야에 비해 한발 늦게 친환경에 대한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특히 최근 기업은 친환경 경영을 필두로 기업비전과 기술력을 홍보하는 마케팅수단으로 국내외 다양한 전시 및 행사 유치 및 참가 활동을 통해 친환경 기업 이미지 제고에 힘쓰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행사가 끝날 때 마다 엄청난 양의 폐기물이 발생하고 있다는 사실을 간과해 왔으며, 무엇보다 전시 디스플레이의 경우, 전시물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산업폐기물과 전시 후 각종 설치물, 인쇄물, 제작물 등은 일회성인 경우가 대다수여서 전시가 끝나면 대부분 버려지고 있는 상황이다. 즉, 기업이 내세운 친환경 경영 이념과는 달리 이에 따른 환경 저해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에코디자인 개념의 적용 및 필요성을 제시하여 환경 저해 문제에 대한 방향과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환경 문제 일반을 디자인 영역에서 해결하여 향후 디스프레이 전 부문에 걸쳐 에코-디스플레이 개념으로 변화를 시키고 제시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디자인의 개선을 통한 기업경영의 발전 방향을 목표로 진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스플레이의 이론적 근거와 함께 간접 판매 디스플레이의 유형과 역할을 통해 기업이미지와 디스플레이 디자인의 연계성에 대해 알아보고, 에코디자인의 개념을 바탕으로 디스플레이 디자인에 대한 공간 표현 특성을 분류하였다. 그에 따른 에코-디스플레이 적용 가능에 대해 최근 친환경 경영을 표방하는 국내외 전자, 가전 기업의 전시 디스플레이 사례를 통해 그 경황과 추세를 바탕으로 ‘에코-디스플레이’ 디자인에 대한 적용 방법을 키워드로 도출하였다. 또한 도출된 디자인 키워드를 통해 에코-디스플레이 적용을 통한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디자인 시뮬레이션을 통해 문제점으로 제시되었던 환경저해 문제에 대해 디스플레이 전 부문에 걸쳐 에코디자인 개념의 필요성과 향후 에코-디스플레이 디자인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 research on eco display, and coincides with principal of companies, and thus presents role and developmental directions of display to enhance company image ultimately. Display has become to occupy a very important position by improvement of living environment and necessities of company preview center and educational place according to rapid distribution system, inducement of international exhibition and fairs and changes of general structure of consciousness in society. The display can be divided into commercial part and non-commercial one, and is mobilized in majority parts of commercial parts such as retail shops, large mart, department, gallery, showroom and exhibition hall etc. for the purpose of goods sale, distribution and PR in company, and its role and scope are developing with expansion further. However, display of company is confronting pro-environment problems late one step compared to other social fields owing to its characteristics at a time when green growth paradigm is the maximum topic in whole society. Specially, recent companies are working hard at raising image of pro-environment company through various domestic and foreign exhibitions, events inducement and participation activities as a means of marketing strategy which is publicizing company vision and technology with standing pro-environmental management first in the list. But they have overlooked a fact that exorbitant wastes ware occurring after exhibitions, and all kinds of exhibiting materials such as installation equipments, printed matters and manufactured products etc. along with industrial wastes made in the process of installing articles of exhibition in case of exhibition display specially were thrown out after exhibition mostly because the majority materials were one-shot ones. That is, impeding environment problems are occurring accordingly in contrast with pro-environmental management brandished by company. To improve these problems, this study presented directions and models on environment impeding problems by suggesting application and necessity of eco design concept. Also, the study thus brought up for eco display concept so as to be adopted at all fields afterwards by solving environment issues in design scopes, and processed in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company management ultimately. Therefore, this study recognized about connection of company image and display design through indirect sales of display types along with theoretical bases of display, and classified space expressing characteristic on display design based on concept of eco design. Regarding possibility of eco display application with bases of the classification, this study derived application method on ‘eco-display’ as a keyword based on its trends and situations after case study of exhibition displays in electronic and household appliances companies advocating pro-environmental management. Also, this study presented development directions through eco-display application with deduced design keyword, and brought up the necessity of eco design concept at all fields of display by executing design simulation on impeding environment problems along with design roles of eco display afterwards.

      • 국내 금융사 사이트 디자인에 나타난 미니멀리즘적 표현 특징연구

        명주희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오늘날 급속도로 발전해 가는 기술과 멀티미디어 발전들로 인해 필요 이상의 기능과 장식적인 요소들로 사이트의 의미에 대한 혼란과 동시에 웹디자인 요소들의 진정한 본질이 모호해지고 있음을 인식하게 되어, 과거 미니멀리즘 나타난 특성을 바탕으로 현재 미니멀리즘을 구축한 금융사 사이트들에 나타난 미니멀리즘 표현특징을 분석함으로써 오늘날 웹디자인의 확장된 미니멀리즘에 대한 진정한 본질 탐구에 연구 목적을 두고 있다. 최소한의 표현을 통해 본질을 발견하는 미니멀리즘은 표피성, 감성성, 대비성, 반응성, 확장성 이라는 특성이 나타난다. 본 연구는 미니멀리즘의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웹사이트 디자인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웹페이지의 메인페이지에서는 ‘표피성’, 그래픽 요소들에서는 ‘감성성', 인터렉티브한 플래쉬의 사용에서는 ‘대비성’과 ‘반응성’, 다양한 웹 어플리케이션에서는 ‘확장성’ 이라는 특징을 발견하였다. 확장된 미니멀리즘은 다양한 표현요소를 통해 웹디자인의 진정한 본질에 대한 발견에 의미를 두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금융사 사이트에서 나타난 미니멀리즘의 특성인 표피성, 감성성, 대비성, 반응성을 통한 웹디자인의 연구는 현대 웹디자인의 다원화된 복잡한 기술과 양식과 혼란 속에서 웹디자인의 진정한 본질을 발견하는데 그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오늘날 웹디자인의 본질에 대해 재조명 해보는 계기를 마련해 주고 확장된 개념의 미니멀리즘이 현대 웹디자인의 방향과 본질임을 분석을 통해 알 수 있도록 하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sets the purpose as investigating true essence on extended minimalism of today’s web designs by analyzing the minimalism expression characteristics currently shown in financial company websites based on characteristics shown in minimalism of the past as the true essence of web design factors becoming vague is recognized along with the confusion toward meaning of websites from excessive functions and decorative factors due to rapidly growing technology and multimedia development of present day. The minimalism discovering essence through minimum expression shows characteristics of surface effect, sensitivity, preparedness, reactivity and expandability. This study could derive the following conclusions by analyzing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of minimalism. The characteristics of ‘surface effect’ at the main page of web page, ‘sensitivity’ at graphic factors, ‘preparedness’ and ‘reactivity’ at the use of interactive flash as well as ‘expandability’ at various web applications have been discovered. The extended minimalism could be considered as placing significance on discovery toward true essence of web design through various expression factors. In this sense, the study of web design through surface effect, sensitivity, preparedness and reactivity of minimalism shown in financial company websites could be called as having their value in discovering true essence of web design within pluralistic and complicated technology, style and confusion of modern web design. According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the opportunity to relight the essence of today’s web design and informing the fact that minimalism of extended concept is the objective and essence of modern web design through analysis.

      • 디자인을 통한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에 관한 연구

        박진영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47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strategic values of design when corporations conduct socially responsible activities, especially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and is regarded as concretely meaningful to suggest ways of successfully carrying out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through design through case and recognition studies along with its theoretical establishment. After reviewing diverse preceeding studies for this, by defining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and explaining about why businesses should do that in terms of ethics, environment and strategy, it was explained that doing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have become an essential matter for corporations. Th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of businesses are divided into economic, legal, ethical and charitable responsibilities, among which the paradigm of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which are charitable responsibilities recently tend to go in the strategic direction. However, as there are still some to be desired appearing in reality,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m. Meanwhile, it was intended to explain the recent trends of design emphasizing the social responsibilities and roles of design, and establish a standard to study cases of social contributions through design. For this, the social responsibilities of design were explained dividing them into economic, legal, ethical and charitable responsibilities based on Carroll's social responsibility types, and of them, the standard of charitable responsibilities of design was established dividing them into four types: creation of artistic and cultural values, support of design education, support of the powerless and support of NGO, and their cases were researched by each type. Also, a survey of the public and social contribution directors was carried out. Through a survey of the public, a hypothesis that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through design would positively change corporate identity was verified, and it was possible to find that they felt that the corporations doing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were fresh and creative. Through a survey of social contribution directors, it was possible to find a problem that though they were pushing ahead positively with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the customers might not know these activities well, and also the directors' awareness was able to be found that sinc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through design are easy to be differentiated, they would be effective in terms of public relations and attracting consumers' attention. This was able to show the possibility of design as an alternative plan to overcome the current issues of contribution activities. It was intended to analyze case study and surveys, draw suggestions and present the direction of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s through design in the future. Also, with the idea of viewpoint that thinking through design as a more creative way of Problem Solving is important, precautions according to each step were described after dividing the process of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into six steps. In short, this study is thought to be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extended the range of design management, presented design values to solve social issues, and attempted to tie various theories of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academically and theoretically. Additionally, significance can probably be found in the fact that it intended to present the design interest to the social contribution directors, and waken their interest in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본 연구는 기업이 사회적 책임 활동 중에서 특히 사회공헌 활동을 수행함에 있어 디자인의 전략적 가치를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이론적 정립과 함께 사례 및 인식 조사를 통해 디자인을 통한 사회공헌 활동을 성공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구체적 의의를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여러 선행연구들을 검토한 후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정의하고, 기업의 왜 사회적 책임활동을 수행해야 하는가에 대해 윤리적, 환경적, 전략적인 측면에서 설명하여 사회적 책임활동 수행이 기업경영에 필수적인 사안이 되었음을 이야기하였다. 이러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은 경제적 책임, 법적 책임, 윤리적 책임, 자선적 책임으로 나누어지는데, 이 중 자선적 책임인 사회공헌 활동은 최근 점차 전략적인 방향으로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현실적인 측면에서 미비한 점이 나타나고 있어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한편, 디자인의 사회적 책임 및 역할을 강조하고 있는 최근 디자인의 흐름을 설명하고 디자인을 통한 사회공헌의 사례를 조사하기 위해 기준을 정립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Carroll의 사회적 책임 유형을 기반으로 디자인의 사회적 책임을 경제적 책임, 법적 책임, 윤리적 책임, 자선적 책임으로 설명하고 그 중 디자인의 자선적 책임을 다시 예술․문화적 가치 창출, 디자인 교육 지원, 소외계층 지원, 비정부기구(NGO)지원 등 네 가지 유형으로 기준을 정립한 후 각 유형별 사례를 조사했다. 또한 일반인과 사회공헌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디자인을 통한 사회공헌 활동이 기업이미지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라는 가설을 확인했고, 그러한 사회공헌 활동을 하는 기업을 신선하고 창의적인 기업으로 느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사회공헌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를 통해서는 사회공헌 활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지만 고객들은 기업의 이런 활동에 대해서 잘 모르고 있을 것이라는 문제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디자인을 통한 사회공헌 활동이 차별화에 용이하므로 홍보적인 측면, 소비자의 관심유도 측면에서 효과적일 것이라는 담당자들의 인식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현 사회공헌 활동의 문제점의 극복 대안으로써 디자인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례조사와 설문조사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여 향후 디자인을 통한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또한 보다 창의적인 문제 해결(Problem Solving)수단으로써 디자인을 통한 사고가 중요하다는 관점을 전제로 사회공헌활동의 프로세스를 6가지 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별 유의해야 할 점을 기술하였다. 요약하자면,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의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고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디자인의 가치를 제시하였으며, 사회공헌의 제이론과 학문적․이론적 연계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으로 본다. 부가적으로 사회공헌 담당자들에게 디자인적인 관점을 제시하고, 디자인을 통한 사회공헌 활동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고자 한 점에서도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