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쟁점중심 수업을 통한 초등학생의 통일감수성 함양

        홍미소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통일은 우리의 민족적 과제로 인식된다. 1953년 분단으로 부터 많은 시간이 흐른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21세기 학생들에게 우리의 소원은 과연 통일일까? 2018년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을 위한 판문점 선언을 계기로 통일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렇지만 시대정신에 기반한 사회적 요구를 반영해야하는 사회과교육의 통일교육은 초등학생들에게 통일에 대해 정서적 감수성을 갖게 하는데 한계가 있다. 통일감수성이란 통일과 분단에 대한 상황을 인지하고 평화적 통일에 대한 필요성과 정서적 반응을 토대로 평화 통일 달성에 노력하려는 실천 의지이다. 통일에 대한 인식을 인지적인 앎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정서적·행동적 영역까지의 확장을 위한 방법으로 연구자는 통일감수성에 대해 논의 하였다. 한편 통일감수성의 구성요소를 ‘상황인식(인지적)’, ‘결과상상(정의적)’, ‘책임의지(행동적)’로 구분하였고 수업을 통해 인지·정의·행동적 영역의 고른 함양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통일감수성을 함양할 수 있는 쟁점중심 수업을 개발하였다. 또한 수업 실행연구를 통해 학생들의 통일감수성이 어떻게 함양되는지 실행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서울 S초등학교의 6학년 28명의 학생이며 남자 14명과 여자14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전·사후설문지를 통해서 통일과 북한에 대한 인식변화를 살펴보았으며, 변화의 유형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학생들을 분류하여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총 3차에 걸친 실행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교육과정의 분석과 그에 맞는 쟁점 선정을 기초로 수업을 설계하였다. 수업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업상황에서의 학생들의 활동지, 교사의 반성적 성찰을 담아낸 수업 일지, 학생들의 수업 소감문, 학생들의 심층 면담 등을 사용하였다. 1차에서는 남북의 민족성에 대한 논의를 통해 한반도에 놓인 현 상황에 대한 객관적 인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2차에서는 통일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를 통해 통일에 대한 필요성과 그에 따른 정서를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3차에서는 좀 더 큰 주제인 남북의 관계형성을 주제로 평화로운 한반도를 만들어나가기 위해 어떤 자세를 취해야 하는지와 갈등 해결방안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실행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쟁점중심 수업을 통한 통일감수성 함양 프로그램을 통해 기존의 인지 적 통일교육에서 탈피하여 정의적·행동적 영역을 아우르는 통일교육이 통일교육의 지평을 넓힐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사전·사후 설문지를 통해 통일 문제에 관한 학생들의 의식 변화를 살펴볼 수 있었다. 연구를 진행한 대부분의 학생들의 사고가 기존에 비해 유연해 진 것을 설문지와 심층면담을 통해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나 쟁점중심 수업은 초등학생 수준에서 접근하기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며 인지적 수준 차이에 의한 학습 격차가 벌어지기도 하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통일감수성교육에 대한 다양한 교육방법 및 교수·학습 방법이 개발되고 논의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평화교육을 견지하는 통일교육을 통해 통일감수성 교육의 다양한 연구와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 빈곤 청소년들의 진로와 대학 진학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홍미소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reveal the experiences of the students in adverse environmental conditions who have gone to college in search of their own specific career paths and experiences in the process. Therefor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First, what do low-income students experience as they navigate, organize, and enter college? Second, what meaning did they add onto their experiences and their lives? Third, what is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se experiences? To answer these questions, a narrative inquiry was conducted with three low-income students who entered the university. In Chapter III, the answers to the first and second research questions were revealed: what low-income students experienced as they navigated and organized their careers, enter college, and the meaning they added onto. Career and college entrance experience to research participants was ‘a thing that could not be done by themselves'. The care provided by others, not the family, within the fence of the school and the community, made them explore and seek opportunities beyond their socioeconomic environment. Beings who have affirmed the stories of the students and focused on the possibility of subjective choice and growth rather than adverse conditions enabled the research participants to achieve educational growth beyond what is expected from ordinary low-income students. Also it became a support and a pillar for them to become a speaker of their own life and to draw the future.   In addition, research participants clarified what they wanted to do in the process of carrying out various roles, not from information either knowledge related to career. In these stories, career is not different from care for themselves and family and community. College entrance is regarded not only as socially important achievement, but also the way to add depth to learning through more professional knowledge. Next, in chapter IV,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narrated experiences are elicited, and a new imagination of resilience and low-income students’ career is attempted. Their story set poverty as a detrimental factor that brings out the negative outcome of human development. It emphasized that in spite of this, those who did not display problematic behavior were not defined as ‘resilience,’ which is what current normative grammar does. Their stories that utilized normative grammar of ‘being so’ in which poverty was accepted as condition of life, and owing to this thought, things that they would know and meet made them exist did point out poverty as a unique context that enabled new interpretation of life, not cessation either subject of restoration.   In addition, caring for others and their community beyond their families not only gives them the power to reinterpret the experience of poverty by supporting their lives, but also made them want to care someone in a broader sense of career. And their career as a "circulation of care" shows that resilience outcomes and educational growth can not be confined to school life adjustment, academic achievement, and compliance with the norms. It expanded the paradigm of resilience as well as the concept of career.   And there was a process of constructing a story of life that links past, present and future through reflection on various roles until they made concrete decision about career. This suggests that individuals should organize their careers through various learning experiences that they encounter while living, rather than information or knowledge. It also showed that education should be preceded by encouraging the ability to lead the life of oneself by letting them narrate about their own liv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e necessity of school and community unit safety net for growth of low-income students. In addition, it suggested that low-income students were not only the subject of care, but they were also able to create opportunities for changes in individuals and societies by sublimating their environmental conditions into a single point of view toward themselves and society. In addition, I asked for college and society-level efforts to ensure that they continue to grow and resume their resilience after college. 본 연구는 불리한 환경적 조건에 놓인 빈곤 청소년들 중 분명한 진로를 찾아 대학에 진학한 이들이 그 과정에서 경험한 것과 그 의미를 이해하고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빈곤 청소년들은 진로를 탐색, 구성하고 대학에 진학하는 과정에서 무엇을 경험하는가? 둘째, 이들은 자신의 경험과 자신의 삶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가? 셋째, 이들의 경험이 지니는 교육적 의미는 무엇인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풀어나가기 위해 대학에 진학한 세 명의 빈곤 청소년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내러티브 탐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Ⅲ장에서는 첫 번째, 두 번째 연구문제에 대한 답으로 빈곤 청소년들이 진로를 탐색, 구성하고 대학에 진학하는 과정에서 무엇을 경험하는지와 그들이 부여한 의미가 무엇인지를 드러내었다. 연구 참여자들에게 진로와 진학은 ‘혼자서 할 수 없었던 일’로, 학교와 지역사회의 울타리 안에서 가족이 아닌 타인이 제공한 돌봄은 그들의 삶을 제약하는 사회경제적인 조건 너머의 가능성을 탐색할 힘과 동력, 기회였다고 이야기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이야기를 긍정하고, 불리한 조건이 아닌 주체적 선택과 성장의 가능성에 집중해준 존재들은 연구 참여자들이 일반적인 빈곤 청소년들에게 기대되는 바를 뛰어넘은 교육적 성장을 이룰 수 있게 해주었고, 회복탄력성을 지닌 존재가 되어 자기 삶의 화자가 되어 미래를 그려나갈 수 있게 하는 울타리이자 지지대가 되어주었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진로와 관련된 정보나 지식이 아닌 다양한 장면,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 속에서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구체화, 명료화하였다. 이들이 이야기에서 진로란 자신은 물론 가족과 공동체에 대한 돌봄과 다르지 않은 것이며, 진학은 사회적으로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관문임과 동시에 자신들의 삶의 지향, 즉 넓은 의미로의 진로와 관련하여 함께할 사람들을 만나고 보다 전문적인 지식을 통해 배움의 깊이를 더하기 위한 것이었다. 다음으로 Ⅳ장에서는 이들의 이야기된 경험이 지니는 교육적 의미를 드러내고 이를 토대로 회복탄력성과 빈곤 청소년 진로에 대한 새로운 상상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이들의 이야기가 빈곤을 인간 발달의 부정적인 결과를 낳게 하는 위험 요인으로 규정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제 행동을 보이지 않는 이들을 회복탄력적이라고 정의하는 기존의 문법으로 쓰여 있지 않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빈곤을 삶의 조건으로 받아들이고 그로 인해 알게 되고 만나게 된 것들로 인해 현재의 자신이 있다는, ‘그렇기 때문에’의 문법으로 쓰고 살아낸 이들의 이야기는 빈곤을 단절이나 극복의 대상이 아니라 삶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가능케 하는 고유한 맥락으로 재해석할 것을 요청하였다. 또한 가족을 넘어선 타인과 공동체의 돌봄은 이들의 삶을 지지함으로써 빈곤 경험을 재해석할 수 있는 힘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이들이 자신이 받았던 돌봄을 다시 누군가에게 제공하는 것을 넓은 의미의 진로, 삶의 지향으로 삼을 수 있도록 해주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들의 ‘돌봄의 순환’으로서의 진로와 진학은 회복탄력적 결과와 교육적 성장의 양상을 단지 학교생활 적응이나 학업 성취, 규범을 준수하는 것에 한정할 수 없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회복탄력성 패러다임은 물론 진로 개념의 확장까지 모색하게 한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들이 진로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의사 결정을 내리기까지 다양한 역할에 대한 체험이 이루어졌으며 그에 대한 성찰을 통해 과거와 현재, 미래를 잇는 삶의 이야기를 구성해나가는 과정이 있었음에 주목하였다. 이는 정보나 지식이 아닌 개인이 살아가면서 만나는 다양한 학습 경험을 통해 진로를 구성해나가야 하며, 이를 위해 자기 자신이 살아온 삶에 대해 이야기하도록 함으로써 자신의 삶을 주도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역량을 키워주는 교육이 선행되어야 함을 보여주었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는 먼저 빈곤 청소년의 성장을 위한 학교, 지역사회 단위 안전망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또한 빈곤 청소년들이 돌봄의 대상일 뿐만 아니라 자신의 환경적 조건을 자신과 사회를 바라보는 하나의 관점으로 승화시킴으로써 개인의 변화는 물론 타인과 사회에 대한 변화의 기회를 창조할 수 있는 존재임을 시사하는 것이기도 하다. 더불어 대학 진학 이후에도 이들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회복탄력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대학과 사회 차원에서의 노력을 요청하였다.

      • 기공 크기가 다른 성형 흡착제를 이용한 아민 함침 및 이산화탄소 흡착량 평가

        홍미소 忠南大學校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other two materials forming the pore size of plastic zeoilte 13X and pelletizing mesoporous materials were evaluated using the absorption of carbon dioxide. First, a series of adsorbents were synthesized by impregnating 30, 50, 70 wt% of MEA and PZ respectively on plastic zeolite 13X. And then PEI is an impregnated mesoporous materials(MCM-41, MCM-48, SBA-15) pelletizing. The properties of the plastic zeolite 13X and pelletizing mesoporous materials before and after impregnation of amine were investigated by XRD pattern, FT-IR spectra and SEM image and measurements of N2 adsorption and desorption isothermal, which confirmed that amine were impregnated on the surface of the channels in the plastic zeolite 13X and mesoporous materials. TGA was used for testing in adsorption and of carbon dioxide on the amime impregnated plastic zeolite 13X and pelletizing mesoporous materials. Plastic zeolite 13X adsorbent has shown that adsorption decreases with increasing temperature. Finally, emissions temperature of the combustion when exhaust gas at 50 ℃. Acomparison of carbon dioxide adsorption capacity, PZ impregnated plastic zeolite 13X was obtaied 1.8 times than plastic zeolite 13X and 20 times than MEA impregnated plastic zeolite 13X. PEI impregnated pelletizing mesoporous materials can be found that the adsorption capac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 건강식품브랜드의 로하스이미지 수립을 위한 패키지디자인 : 대상Wellife 건강식품 패키지디자인을 중심으로

        홍미소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is about the package design strategy to improve LOHAS brand image of health food brand, and suggests more effective LOHAS package design plan by reflecting the brand image strategy according to the change of trend. Now customers show much interest in 'quality of life'. The arrival of mature society has made people pursue the emotional abundance and qualitative improvement of life, and because of the entry into an aging society, the exhaustion of resources, the problem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he appearance of Global Epidemics, people consider healthy and wholesome consumption carefully once again. Owing to this social current, the consumption of Well-Being trend has increased worldwide. The word 'Well-Being' has been spread out widely in Korea as much as people are familiar with it, but instead of that word, other word such as vegetarianism and ecologism has been developed in America or other countries for long time much more than Korea. 'LOHAS' is the representative lifestyle of well-being trend in America. LOHAS is an abbreviation of ‘Lifestyles Of Health And Sustainability’, namely it is the lifestyle which makes valuable of health and environment, social justice, self development, and sustainable life, and it is the essential trend in accordance with the industrial development and the raise of attitude level, not just temporarily fashion at this point that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 sustainable consumption, and economy has been emphasized. In Korea, LOHAS has been addressed as an important issue, expanded to the side of health, and thus the role of brand image has become important. Recently the market has made much of the individuality, and pursued the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various changes in customers' wants of lifestyle and taste. Our dietary life has been diversified, and basic value of the influence on health has been considerably changed. In the past, the food was the desire for existence, but it is to satisfy the taste today, and the nutrition is centered on the health, so finally health-functional food appeared. It has great dependence on brand as health-functional food stores for health and beauty have appeared and spread out now in the times of new distribution structure, companies have put forth their whole energy to construct the reliability of brand itself as one means to inform that their products are absolutely safe. However, regardless of the change in trend, the package design that has great influence on the image of brand has become more important in constructing intentional and coherent image of product than any other times, and the strong brand image and product positioning are the key to move main customers class, busy moderners. To improve this problem, this study aims at drawing the plan of making strategic package design which reflects the image of compan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concept of Well-Being and LOHAS by targeting on LOHAS food which is one of trendy industries, and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LOHAS image from the visual side of package design. Furthermore, this study deduced current problems of design by researching and analyzing the improvement of the image of brand,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package design of diet bar of target Wellif. Additionally, on the basis of characteristics of current LOHAS image, this study arranged and suggested the plan of producing more desirable image of brand and the package design strategy which reflect future LOHAS image. 본 연구는 건강식품브랜드의 로하스 브랜드 이미지 향상을 위한 패키지 디자인 전략에 관한 연구로, 트렌드의 변화에 따른 브랜드이미지 전략을 반영하여 보다 효과적인 로하스 패키지 디자인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현 소비자들은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은 수준으로 올라갔다. 성숙사회의 도래로 정신적 풍요와 생활의 질절 향상을 추구하게 되었고, 고령화 사회 진입, 자원의 고갈, 환경오염문제, 글로벌 이질(Global Epidemics) 등의 출현은 건강하고 건전한 소비에 대해 다시 한번 심사숙고 할 계기가 되었다. 이런 사회흐름으로 세계적으로 웰빙트렌드에 대한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국내는 ‘웰빙’이라는 단어가 익숙하기만큼 널리 퍼져 있지만 미국이나 다른 국가에서는 웰빙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고 채식주의 ,생태주의 등으로 국내보다 오래전부터 발전해왔다. 미국의 웰빙 트렌드의 대표적인 라이프스타일로는 ‘로하스’를 들 수 있다. 로하스란, ‘Lifestyles Of Health And Sustainability’의 약자로, 건강과 환경, 사회정의, 자기발전, 지속 가능한 삶에 가치를 둔 라이프스타일로, 환경에 대한 중요성과 지속가능한 소비 및 경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로하스는 한때의 유행이 아닌 산업발전과 소비자 의식수준 제고에 따른 필연적인 트렌드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로하스가 이슈에 머무르고 있으며, 건강측면으로 확산되어 가고 있으며, 이에 따른 브랜드 이미지의 역할 중요해지고 있다. 최근 시장은 소비자의 생활양식과 기호에 다양한 욕구변화의 따라, 개성을 중시하고 편리함을 추구하게 되었다. 우리 식생활은 다양화 되었으며, 건강을 위한 영향의 기본가치가 크게 변화하였다. 과거의 식품은 생존을 위한 욕구에서 현대에는 미각을 충족시키기 위한 것이 되었고, 이에 아울러 영양도 건강위주로 변하여 건강을 위한 건강기능성 식품이 등장하였다. 신유통구도의 시대로 자신의 건강과 아름다움을 목적으로 건강식품 전문스토어 등장및 확산됨에 따른 브랜드에 대한 의존도가 크기 때문에 기업들은 그들의 제품이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제품이라는 것을 알리는 한 수단으로써 브랜드 자체에 신뢰성을 구축하는 데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문제는, 트렌드의 변화함에도 불구하고 브랜드 이미지에 큰 영향을 미치는 패키지 디자인이 그 어느 때 보다 계획적이며 일관성 있는 제품 이미지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역할이 더욱 중요하게 되었으며 강력한 브랜드 이미지와 제품 포지셔닝은 주 소비층인 바쁜 현대인들을 움직일 수 있는 열쇠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기업이미지가 반영된 전략적 패키지디자인을 만드는 방안 도출을 목표로 진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트렌드의 산업부분중 하나인 로하스 식품을 중심으로 웰빙과 로하스의 이론적 개념과 정립하고 로하스이미지 특성 요소를 패키지디자인의 시각적 측면으로 도입하여 고찰 하는데 있다. 더 나아가 브랜드이미지 향상 물론 대상 Wellif의 다이어트 바의 패키지 디자인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현재 나타나고 있는 디자인상의 문제점들을 도출하였다. 또한 현재 로하스이미지 요소의 특성을 토대로 향후 로하스이미지를 반영한 보다 바람직한 브랜드 이미지의 제작 방안과 패키지디자인의 전략을 정리․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