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당을 통한 직접정치 강화 방안 연구

        정준석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democracy, it is desirable for as many people as possible to directly participate in politics, but in modern politics, representative democracy with party politics and elections as the core is being implemented due to practical difficulties. However, as the phenomenon of party nationalization in modern politics intensifies, the crisis theory of representative democracy is emerging. The party state is representative of G. Leibhlz's identification theory, which justifies the identity of the party and the people and recognizes the party as a tool to represent the people's will, but in reality, the representative element of the party does not work. pointed out. As a system for the people's direct participation in politics, there are a national initiative system, a national recall system, and a direct democracy system. Nevertheless, since the expansion of public participation in politics is important for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in Korea, it is necessary to seek ways to expand the direct participation of the people in politics through political parties. In Korean politics, it is realistically difficult to introduce various forms of direct democracy, which are being implemented in the United States, France, and Switzerland. Therefore, before the introduction of direct democracy, it can be said that the direct political participation of the people through political parties, specifically, the formation of party leadership, important policy decisions, and maximization of the people's will in the nomination process can be said to be a practical plan. This may be the primary way to overcome the crisis of representative democracy by resolving the side effects of party nationalization. Our current constitution is based on representative democracy, but also stipulates elements of direct democracy. This is a way to expand the people's direct political participation in a more comprehensive way, and it seems possible to harmonize the phenomenon of representative democracy and party nationalization. In order to analyze ways to strengthen direct politics through political parties, first, to find ways to expand people's participation in party politics, that is, to expand public participation in the nomination process, as a representative example, the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which is based on democracy and party politics, implementing the presidential system The primary system and the US-style primary system introduced in Korea were analyzed. As a second example, stability can be found in the cabinet politics of parliamentary democracy in Britain, a modern constitutional democracy, one of the European parliamentary government countries. Since the stability of the cabinet is underpinned by the political party system, in this institutionalization, the UK's nomination system does not have any explicit legal provisions on the nomination of candidates, and only parties registered in the Act on Political Parties, Elections and Referendums can make nominations. In this case, the party's internal articles of incorporation takes precedence over the law, and the party's autonomy is high.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olitical parties and the process of nomination process, the major political parties held during the 4 presidential elections and 5 National Assembly elections held during the 6th Republic of Korea in the party nomination system and party decision-making process. The nomination system and the primary proces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key problems were found in the operation and nomination system of Korean political parties. First, Korean political parties have a problem of identity. In other words, political parties are created and operated according to political ideology and values. Second, it fails to guarantee intra-party democracy. Third, public participation in party management and nomination system is limited. Fourth, the political party is not playing its role as the center of politics, which is its original mission. As an improvement plan for this, Chapter 5 suggested a plan to strengthen direct politics through the people's political party. In order to improve the Korean party nominat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opportunity for public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recommending candidates for public office, recognize the party nomination system as part of intra-party democracy, and expand the participation of general party members and the public. Next, in order to diversify the method of political decision-making and decision-making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the people in party activities, and to strengthen democracy through the expansion of public participation, that is, electronic justification through the openness of the party, it is easy for party members to join and leave, and information on party activities is required. should be able to be sufficiently disclosed and shared. In addition, political fund expenditures of political parties as well as political fund expenditures of public officials belonging to political parties must be shared transparently. Such openness of political parties will be a basic task to increase the transparency of political party management and to restore the trust of Korean political parties from the public. Next is the responsibility and responsiveness of political parties. Electronic justification is an effective means to increase the transparency, accountability and responsiveness of political parties that the public expects. As a measure to strengthen direct politics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the people in political party activities, a very important thing is to expand and strengthen the function and role of the Party Council Committee. If local politics develops by strengthening the status of the party cooperative committee, the political efficacy of the people will increase very much, which in turn can be direct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political party. If the regional activities of political parties are strengthened, it will be able to positively influence not only the people's participation in the election campaign but also the nomination system. Lastly, guaranteeing opportunities for more people to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electing party leaders is a good way to secure party democratization. And political parties should strive to develop Korea's political culture from confrontation and struggle to dialogue and compromise politics through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for the people. In fact, these problems and solutions have been discussed for a long time, but there is still no change, and the solution to the problem is slow and even regressed. As it is important to expand people's political participation to solve chronic problems and develop Korean democracy, it is necessary for Korean political parties to actively accept the plan to expand people's direct political participation through political parties. 민주주의는 최대한 많은 국민이 정치에 직접참여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현대정치에서는 현실적인 어려움으로 정당정치와 선거를 핵심으로 하는 대의민주주의를 실시하고 있다. 그런데 현대정치의 정당국가화 현상이 강화되면서 대의민주주의 위기론이 대두되고 있다. 정당국가는 라이프홀쯔(G. Leibhlz)의 동일화 이론이 대표적인데, 정당과 인민의 동일성을 정당화하고, 정당은 인민의 의사를 대의하는 도구로서 인식하였으나, 현실에서는 정당의 대의적 요소가 작동되지 않음을 지적하였다. 국민들의 직접정치 참여를 위한 제도로서 국민발안제나 국민소환제, 직접민주제 등이 있으나 현재 한국정치의 상황에서는 직접민주제를 도입하는데 정치문화적으로나 시기적으로 한계가 있는 것이 분명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민주주의 발전을 위해 국민의 정치참여 확대가 중요하기에 정당을 통한 국민의 직접정치 참여 확대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한국정치에서 미국, 프랑스, 스위스 등에서 실시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직접민주제를 도입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점이 많다. 따라서 직접민주제의 도입 이전에 정당을 통한 국민들의 직접정치참여, 구체적으로 정당의 지도부 구성과 중요 정책결정 그리고 공천과정에서 국민의사를 극대화하는 것이 실천가능한 방안이라 할 수 있겠다. 이는 정당국가화 현상의 부작용을 해소하여 대의민주주의의 위기를 극복하는 일차적인 방법일 수 있겠다. 우리의 현행 헌법은 대의민주주의를 기초로 하면서도 직접민주제적 요소를 함께 규정하고 있다. 이는 보다 포괄적으로 국민의 직접정치참여를 확대하는 방법으로서 대의민주제와 정당국가화 현상의 조화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정당을 통한 직접정치 강화방안을 분석하기위해 먼저 국민의 정당정치 참여 확대 즉, 공천과정에서의 국민참여 확대 방안을 찾기 위해 대표적인 사례로 대통령제를 시행하고 있는 민주주의와 정당정치를 근간으로 하는 미국의 대통령경선 제도와 한국에 도입된 미국식 프라이머리 제도를 분석하였다. 두 번째 사례로 유럽의원내각제 국가 중 하나인 근대입헌민주국 영국의 의회민주주의의 내각정치에서 안정성을 찾을 수 있다. 내각의 안정은 정당제도가 밑받침 되기 때문에 이러한 제도화 속에서 영국의 공천제도는 따로 후보자 공천에 관한 법적인 명시적 규정은 없으며, 정당, 선거 및 국민투표에 관한 법에 등록된 정당만이 공천이 가능하며, 정당의 내부 정관이 법률에 우선하면서 정당의 자율성이 높은 사례이다. 한국정당의 특징과 공천의 변천과정의 내용으로 정당의 공천시스템과 정당의 의사결정 과정에서 한국의 제6공화국 시기에 실시된 4차례의 대통령선거와 5차례의 국회의원 선거과정에서 실시된 주요 정당들의 공천시스템과 경선과정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정당의 운영과 공천시스템에서 핵심적인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첫째, 한국정당은 정체성의 문제를 안고 있다. 즉 정당은 정치적 이념과 가치에 따라 창당되고 운용되는 것이다. 둘째, 당내민주주의를 담보하지 못하고 있다. 셋째, 정당운영과 공천시스템에서 국민의 참여가 제한적이다. 넷째, 정당이 본연의 임무인 정치의 중심으로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국민의 정당을 통한 직접정치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한국 정당공천시스템의 개선 방향은 공직후보자추천 과정에서 국민참여 기회를 확대하고, 정당공천시스템을 당내민주주의의 일부로 인식하고 일반당원과 국민의 참여를 확대할 수 있는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국민의 정당활동 참여를 통한 정당의 정책결정·의사형성 방식의 다변화, 국민 참여 확대를 통한 전자정당화 즉 정당의 개방성을 통한 민주성 강화를 위해서는 당원의 가입과 탈퇴가 용이하고, 정당활동에 정보가 충분히 공개ㆍ공유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정당의 정치자금 지출은 물론이고 정당소속 공직자들의 정치자금 지출도 투명하게 공유되어야 한다. 이러한 정당의 개방성은 정당운영의 투명성을 높이고, 한국정당이 국민들로부터 신뢰도를 회복하기 위한 기본적인 과제일 것이다. 다음으로는 정당의 책임성과 반응성이다. 전자정당화는 국민들이 기대하는 정당의 투명성과 책임성 그리고 반응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라 하겠다. 국민의 정당활동 참여를 통한 직접정치 강화 방안으로서 매우 중요한 것이 당협위원회의 기능과 역할을 확대·강화하는 것이다. 당협위원회의 위상 강화로 지방정치가 발전하게 된다면 국민의 정치효능감은 매우 높아질 것이고, 이는 결과적으로 정당의 발전과 직결될 수 있다. 정당조직의 지역단위 활동이 강화되면 국민의 선거운동 참여는 물론 공천시스템까지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정당지도부 선출과정에서 보다 많은 국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보장하는 것은 정당민주화를 확보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그리고 정당이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민주시민교육을 통해 한국의 정치문화를 대립과 투쟁에서 대화와 타협의 정치로 발전시키는데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과 해결방안들은 사실상 오래 전부터 논의되어 왔지 여전히 많은 변화가 없으며, 문제 해결은 더디고 오히려 퇴행하는 모습까지 보이기도 했었다.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한국민주주의의 발전을 위해 국민의 정치참여 확대가 중요하기에 한국정당들은 정당을 통한 국민의 직접정치 참여 확대 방안을 적극적으로 수용할 필요가 있겠다.

      • 스텝박스 운동이 비만 초등학생의 건강 관련 체력 및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정준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스텝박스를 이용한 유산소성 운동이 초등학교 비만 아동들의 건강 관련 및 골밀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규명함으로써 학교 현장에서 스텝박스 유산소 운동 프로그램을 통하여 아동 비만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데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D도시에 소재한 S초등학교 12세~13세의 비만 여학생 22명을 임의로 선정한 후, 운동집단과 비교집단에 각각 11명씩 무선 배정하고 운동처치 전‧후의 건강 관련 체력과 골밀도를 측정하였다. 집단 내의 운동처치 유무에 따른 평균차이 검증과 집단 간 변화량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각 대응표본 t-검증과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에 얻은 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12주 동안의 스텝박스 운동이 초등학교 고학년 비만 여학생의 건강 관련 체력 요소 중 심폐지구력과 체지방률의 개선에 큰 도움이 되었다. 12주 동안의 실험 기간 동안 이 두 요소에서 비교집단은 거의 변화가 없는 반면, 운동집단은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 스텝박스 운동이 효과적인 유산소 운동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스텝의 높이와 운동 동작의 변화를 통해 강도를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어 비만 아동들부터 일반 아동들까지 두루 실천 할 수 있는 효과적인 유산소 운동법이라 판단된다. 건강 관련 체력 요소 중 근지구력에서는 운동집단이 운동 전과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지만, 비교집단과의 변화량 비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자는 윗몸말아올리기를 통한 복부의 근지구력을 측정하였으며, 스텝을 오르내리기 위해 무릎을 들어 올리는 동작에서 복부 근육이 발달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그러나 비만 아동임을 감안하여 하기 쉬운 동작과 낮은 높이의 스텝박스를 이용하여 운동을 실시한 결과 향상의 폭이 크지 않았으며, 비교집단 또한 집단 간 변화량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스텝박스 운동이 아동들의 복부 근지구력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운동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12주 동안의 스텝박스 운동이 초등학교 고학년 비만 여학생의 골밀도 향상에 기여하였다. 하지만 비교집단과의 변화량 비교에서는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는 않았다. 단기간에 큰 변화량을 보이지 않는 골밀도의 특성을 고려해 볼 때, 스텝박스 운동이 골밀도 향상의 효과는 있지만 12주의 운동기간은 다소 짧아 그 효과의 크기가 크지 않았던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 사용된 스텝박스 운동은 초등학교 비만 여학생의 심폐지구력과 근지구력, 골밀도의 향상과 체지방률의 감소에 효과가 있으며, 더 다양하고 보완된 스텝박스 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면 비만 아동들의 전반적인 건강 관련 체력 증진 및 비만도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당귀사역가오수유생강탕의 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유래세포주 K562의 세포사멸 및 자가 포식 유도기전

        정준석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배경 및 목적: 수족냉증에 쓰이는 당귀사역가오수유생강탕이 몇몇 암에서 항암제로 사용할 수 있다는 보고가 존재하지만, 만성 골수성 백혈병(Chronic Myeloid Leukemia)에서는 아직 보고가 발견되지 않았다. 하지만 암세포 사멸에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존재하므로 만성 골수성 백혈병 세포 주(Chronic Myeloid Leukemia cell line)에서도 효과적으로 apoptosis를 유도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방법: 만성 골수성 백혈병(Chronic Myeloid Leukemia) 세포주인 K562에 당귀사역가오수유생강탕을 다양한 농도로 처리하여 세포 성장 억제효과 확인을 위하여 MTT assay를 진행하였고, Western blot assay를 통해 세포사멸기작에 대표 마커인 PARP-cleaved PARP, cleaved-caspase 3, cleaved-caspase 8과 cleaved-caspase 9의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기전연구를 위하여 autophagy marker인 p62, LC3BII와 상위 기전인 AMPK의 발현량 확인을 통해 기전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각각의 저해제를 처리하여 기전에 대한 확인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당귀사역가오수유생강탕을 K562에 다양한 농도로 처리한 결과, 세포 성장 억제에 유의성 있게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세포사멸기작을 확인한 Western blot assay에서도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사멸에 뛰어난 효과를 보였으며, 저해제 처리를 통해 K562에서 당귀사역가오수유생강탕이 AMPK-autophagy-apoptosis를 일으킴을 확인하였다. 결론: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당귀사역가오수유생강탕이 만성 골수성 백혈병(Chronic Myeloid Leukemia)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시사하는 바이다. Objective: Although there is a report that DS used for cold-hands-feet therapy can be used as an anticancer agent in some cancers, no report has yet been found in the leukemia cell line as anti-cancer drugs. However, since there is a report that cancer cell death is effective, leukemia is also expected effective in inducing apoptosis. Methods: In order to confirm the cell growth inhibition effect, the MTT assay was carried out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DS in chronic myelogenous leukemia cell line K562. Second, Western blot assay was used to evaluate the expression levels of the representative apoptosis markers, PARP, cleaved-PARP, cleaved-caspase 3, cleaved-caspase 8 and cleaved-caspase 9. For the study of mechanism, we investigated the mechanism of lc3b expression level, an autophagy marker, and AMPK, a major mechanism, and we investigated the inhibition mechanism by treating each inhibitor. Results: As a result of treatment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DS at K562 cells, the inhibition effect of cell growth was significantly increased.In addition, DS treated K562 cells, apoptosis mechanism showed an excellent effect on cell death in a DS dose-dependent manner, and it was confirmed that AMPK-autophagy-apoptosis was induced in K562 by treatment with inhibitor. Conclus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we suggest that DS may be useful in the treatment of chronic myeloid leukemia.

      • 법인회생절차를 통한 기업회생의 성과에 대한 연구 : 재정지출의 효율성을 중심으로

        정준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new direction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fiscal spending on corporate rehabilitation procedures as a restructuring procedure through the courts. In recent years, the demand for rehabilitation procedures through the courts has been increasing. In this research, I analyzed the performance of corporate rehabilitation in terms of the efficiency of fiscal spending by utilizing data from the Korea Credit Guarantee Fund. First, this research studied the factors affecting the court’s decision on accreditation. Second, using the data on the debt relief ratio of companies, I investigated the efficiency of public sector expenditure. Lastly, the appropriate selection of the supported entities was also examin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recovering entities. For methods, this research employed logistic regressions because the main dependent variables of the analyses—the court's decision on accreditation and corporate turnaround—are binary variables.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restructuring procedures through courts are carried out through a series of stages, this research used Heckman's sample selection model to avoid the possibility of sample selection biase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court decisions are positively affected by lower debt relief ratios and larger total liabilities. In the analysis of corporate turnaround of public expenditure, I found that the effect of public expenditure on corporate turnaround depends on the final share ratio of the old shareholders. To be specific,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final share ratio of the old shareholders, the effect of the public expenditure on the recovery of corporation might be negative or even non-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1) the total amount of debt, 2) holding of collateral, 3) debt ratio other than the primary financial sector, and 4) the continuing corporate value ratio in selecting the compani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recovery. This research advances the literature on corporation turnaround by tracking and analyzing the effects of turnaround procedures through courts with over 10 years of data sets. Also, this research goes beyond prior work by studying the efficiency of government expenditure empirically in the context of corporate turnaround. I expect that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will encourage the government to be interested in the impact of fiscal spending on turnaround procedures and to prepare new policy directions to improve fiscal efficiency. The research has some limitations. Because of the problem of data collection, this research could not control all possible variables and also could not fully avoid the sample selection bias. I hope that future research will overcome these limitations by testing with new data sets from diverse sources. I also wish for further studies on government expenditure effect on corporate turnaround, through additional analysis on sample selection problem and moderating effect. 본 연구의 목적은 법원을 통한 구조조정절차로서 법인회생절차에 대한 재정지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법원을 통한 구조조정절차인 회생절차에 대한 수요와 참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용보증기금이 참여한 법인회생절차의 자료를 활용하여 재정지출의 효율성 측면에서 기업회생의 성과에 대해서 분석했다. 법원의 인가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 분석하고, 채무면제비율을 통해 공공부문 재정지출의 효율성을 분석했으며, 회생기업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지원대상기업의 적절한 선정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연구모형에 있어서 종속변수가 되는 법원의 인가결정 및 기업회생이 이항 더미 변수라는 점을 고려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기본으로 활용했다. 또한, 법원을 통한 구조조정절차가 일련의 단계를 통해서 이뤄지는 점을 고려할 때, 표본선택편의(sample selection bias) 문제의 발생 가능성에 착안하여 Heckman의 표본선택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했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법원의 인가결정은 채무면제비율이 낮을수록, 그리고 총부채 규모가 클수록 긍정적 영향을 받는다. 공공재정지출의 기업회생에 대한 분석에 있어서, 구주주의 최종지분율은 부정적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조절변수인 구주주의 최종지분율의 크기에 따라서 공공재정지출의 회생여부에 대한 효과가 유의하지 않을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지원대상기업의 선정에 있어서 총부채 규모, 담보물 보유 여부, 제1금융권 외 부채비율, 계속기업가치 비율이 회생여부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10년가량이 소요되는 법원을 통한 회생절차의 효과를 인가 이후 단계에 대해서 추적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지며, 정부재정지출의 측면에서 실증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점이 있을 것이다. 연구를 통해서 회생절차에 대한 재정지출에 관해서 관심을 두고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 방향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연구에 있어서 자료수집의 제약과 표본선택편의의 문제가 남아 있을 수 있다는 점은 한계가 될 수 있다. 자료수집의 원천을 다양화하고 회생기업의 성과에도 주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또한, 표본선택편의의 문제와 조절효과의 문제에 대한 추가 분석을 통해 법인회생절차에 대한 재정지출과 관련된 후속연구가 이뤄지기를 기대한다.

      • 사회과학의 텍스트로서 빅데이터

        정준석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제4차산업시대의 사회변화 방향은 여전히 예측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재화생산 과정에서 인간의 노동력은 첨단기술들의 조합으로 대체되고, 생산성이 극대화될 것이다. 이러한 상황이 현실화될 경우 과연 인간은 무엇을 할 것이며, 사회구조와 사회적 현상들은 어떻게 변화될 것인가에 대한 연구가 절실하다. 이 연구는 제4차산업시대의 주요 개념 중 하나인 빅데이터가 사회과학적 텍스트로 활용되어야 하는 당위성과 빅데이터의 사회과학적 활용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도적 보완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점진적인 사회적 변화를 관찰하고 새로운 사회의 이념과 실천이론을 제시하기 위한 과학적 수단으로 빅데이터는 매우 유용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정부의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기업과 정부기관의 정보독점으로 사회과학 영역에서 빅데이터에 접근하는 것은 매우 제한적이다. 공공영역에서 생성되는 빅데이터는 물론이고 기업과 포탈 등 사회 전반에서 형성되고 있는 빅데이터는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개인들의 활동을 통해 이루어진 것으로, 특정 개인이나 기업, 공공기관의 소유라고 할 수 없겠다. 따라서 이 논문은 빅데이터의 활용과 활성화를 위해, 특히 사회과학 영역에서 텍스트로서 사용할 수 있는 퍼블릭 빅데이터를 개념화 하여 이를 공공재로 규정하였다. 그리고 퍼블릭 빅데이터을 공개ㆍ공유할 수 있는 제도적 방안들을 모색하였다. 구체적으로 우선 선행연구를 통해 짧은 빅데이터의 역사 속에서 주로 ICT 분야와 산업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었으나, 최근 사회과학, 인문학,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시대의 사회질서를 고민하고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노력이 나타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정치학 영역에서 구체적으로 선거와 정책과정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구체적인 선거운동 방식과 대국민 정책수립을 시도하고 있는 사례에 대한 연구들을 찾아볼 수 있었다. 다음으로는 미국, 독일, 영국, 일본, EU 등 주요 국가들에서 제4차산업시대를 준비하면서 추진하고 있는 빅데이터 정책과 전략들을 살펴보았다. 대부분의 주요 국가들은 빅데이터의 공공재적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공개하고 공유함으로써 새로운 사회의 풍요를 창출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전략을 설정하고 있었다. 그리고 구체적인 정책으로 실천하기 위해 세밀하고 현실적인 제도들을 준비하고 있었다.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빅데이터와 관련된 직접적인 법률은 없으며 개인정보보호법, 공공데이터법, 정보공개법 등에서 제한적인 접근을 보이고 있다. 일부 정부 부처에서 빅데이터를 전략적인 국가산업으로 육성하고 이를 활용할 방안들을 제시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내용을 볼 때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방안들이 제시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빅데이터 중 개인과 사회조직들의 활동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퍼블릭 빅데이터로 규정하고, 이 빅데이터가 사회과학의 텍스트로 활용되어지는 것은 필수불가결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우리나라의 정책적 전략과 제도적 보완이 시급하다 하겠다. It is still difficult to predict which way the social change would go in the fourth industrial age. During the process of goods production, human labor will be substituted by the combination of technological advancements and productivity maximized. There is a pressing need for studying changes in the social structure and the social phenomenon. This study aims to propose justification for big data, which is one of the main concepts of the fourth industrial age, to be utilized as social scientific text and also the systematic complementation to activate the social scientific use of big data. The reasoning behind is that big data is a greatly useful scientific measure in studying the gradual change in society and suggesting ideas and practical theories of the new society. Despite the efforts of our government, however, due to the companies and governmental institutions monopolizing information, access to big data in social scientific area is extremely limited. Not only those formed in public area, but also those in society at large such as companies and portals are products of activities by individuals constituting the society, thus cannot be treated as property of certain individual, company, or public institution. Therefore, for the purpose of utilizing and activating big data, this study conceptualized public big data, which can be used as text, especially in social scientific area, and defined it as public good. In addition, this study saught systematic means to disclose and share public big data. Specifically, precedent research showed that, in the short history of big data, most of the research was on the methods of utilizing them in ICT or industrial field, while recently there are efforts to contemplate and suggest directions for the social order of new era in diverse fields such as social science, humanities, and philosophy. Especially in political science, it was found that there are studies conducted to utilize big data in the process of election and policy making, in attempts of efficient and concrete election campaign and policy formulation. The study was then followed by examining policies and strategies for big data, in preparation for the fourth industrial age, of leading countries such as United States, Germany, United Kingdom, Japan, European Union, etc. Most of the leading countries have understood its characteristic as the public good, setting strategy in ways to generate abundance of new society through its disclosure and sharing. It was also found that they are preparing detailed and realistic system to put concrete policy into action. Meanwhile, in case of Korea, there are no direct law related to big data and exhibits limited approach in privacy law, public data law, public information act, etc. Few government departments have proposed plans to raise big data into strategic national industry and utilize them, but more systematic and efficient proposals need to be made. Defining what is formed from activities of individual and social organization among big data as public big data and it being utilized as social scientific text is indispensable. In order for that, policy strategy and systematic complementation in Korea can be said to be urgent.

      • 한국회화사에 나타난 사의표현 연구

        정준석 호남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핵심 주제어인 ‘사의(寫意)’는 글자 그대로 ‘뜻을 그림’을 의미한다. 이는 대상의 ‘형태의 비슷함’을 뜻하는 ‘형사(形似)’와는 상반된 개념이다. 그러나 이러한 상반된 개념은 우리는 물론 세계 회화사(繪畵史)에서 그 비중을 달리하며 존재해 왔다. 따라서 사의의 역사는 미술의 역사와 궤를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실제로 원시시대의 동굴벽화조차 많은 자손을 낳아 풍요롭게 살려는 원시인의 뜻이 담긴 사의화(寫意畵)이다. 그리고 그 이후 문명이 발달한 신화나 종교시대의 회화 역시 동시대 사람들의 문화와 욕망을 투영한 사의화이기 마련이다. 종교의 시대를 거쳐 산업화와 민주화가 이루어지기 시작한 근대를 거쳐 현대에서의 회화도 마찬가지로 형사와 함께 사의가 공존하면서 작가마다의 독창성을 지닌 사의화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특히 현대미술의 경우, 아무것도 그리지 않거나 일상적인 사물을 오브제로 등장시킨 개념미술조차도 궁극적으로는 작가의 뜻을 표현한 사의 미술일 수밖에 없다. - ⅳ - 동양에서는 전통적으로 회화는 형사(形寫)와 사의(寫意)가 함께 추구되었다. 그러나 중국 동진의 화가인 고개지(顧愷之, 345~406)가 ‘형(形)을 통해 정신을 드러낼 수 있다(以形寫神)’고 주장하면서 정신의 표현 즉 전신(傳神)이 중요해지기 시작했다. 회화는 대상의 형태를 재현하기보다 대상의 내면에 담긴 정신을 그려내야 한다는 것이다. 남북조시대의 화가인 종병(宗炳, 375~443)은 기억 속의 산수를 그려놓고 자신이 거기에 있는 듯 와유산수(臥遊山水)를 즐겼다. 이때 종병은 산수화를 도(道)를 드러내는 신물(神物)로 여겼다. 이러한 종병의 도교사상은 ‘마음속의 산을 만든다’는 뜻의 ‘흉중구학(胸中丘壑)’이 바탕을 이룬다. 이어 당나라의 미술사가인 장언원(張彦遠, 815~879)은 이러한 흉중구학 개념을 좀더 구체화하여 그의 역저『역대명화기(歷代名畵記)』에서 화가가 그림을 그리는 데 있어서 무엇보다 입의(立意)에 근본을 두고 붓을 움직여야 한다며 창작과정에서의 화가의 뜻 표현을 중시하였다. 이러한 입의 개념은 다시 북송의 화가 곽희(郭熙, 1023~1085)가 화가란 자연을 접하면서 뜻[意]을 널리 펼쳐야 한다며 재정립하였다. 그리고 원나라의 화가 예찬(倪瓚, 1301~1374)은 사의필법(寫意筆法)을 사용해 형상에 구애됨이 없이 자유롭게 표현하였다. 이러한 함축적 표현은 문인화 정신인 ‘사의전신(寫意傳神)’을 반영한 것인데, 북송 제일의 - ⅴ - 묵죽화가인 문동(文同, 1018~1079)이 그린 묵죽이 대표적인 예다. 대나무의 자연스러운 모습을 잘 포착하면서도 고아(古雅)한 화가의 인품을 그대로 나타낸 그림으로서 사의(寫意)에 성공한 대표적인 작품으로 꼽힌다. 이러한 중국의 사의 개념과 이를 표현한 회화는 고려 시대 말에 한반도로 들어와 조선 후기에 성행했으며, 조선 말기에 추사 김정희에 의하여 꽃피었다. 특히 성리학의 도입과 함께 성리학자 중심의 문인화가 자리 잡으면서 대상의 개관적인 재현인 형사(形似)보다 대상의 본질이나 작가의 감정을 강조하는 사의 표현이 유행하였다. 그러나 회화는 본래 형사와 사의가 조화를 이루면 발전해 왔는데, 형사와 사의 중 어느 하나가 배제된 적이 없었다. 완전한 형사도, 완전한 사의도 없었던 것이다. 이러한 양상은 중국은 물론 한반도에서도 나타났다. 한국 최초의 회화인 고구려 고분벽화에서도 고구려인의 문화를 형사로써 표현하여 그 기상과 내세관이라는 고구려인의 정신을 사의한 것이었다. 그러다 고려시대에 중국 송나라에서 사의 중심의 문인화가 유입되면서 중국의 문인사대부가 매화․난초․국화․대나무(梅蘭菊竹) 네 식물의 속성을 군자나 선비에 견주어 즐겨 그린 사군자와 관념 산수화가 한반도에서 제작되기 시작했다. 고려 말에 시작된 성리학이 조선의 통치이념으로 자리 잡으면서 성리학자들을 중심으로 문인화가 점차 유행하다가 조선 후기에 중국의 영향에서 벗어나 우리의 산천과 문화를 그리는 진경산수화와 풍속화가 제작되었다. 그러면서 실학을 토대로 한 전신사조의 초상화가 발달하고, 형사적 풍속화 속에 사회 비판의 사의가 표출되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한국적 회화는 추사 김정희의 등장으로 급변하게 된다. 김정희는 형사보다 사의를 강조하면서 마치 서양의 표현주의 회화처럼 단순한 형태와 거친 붓질로 형사를 무시하고 문인의 고고한 학문과 도덕적 인격을 강조하는 사의를 표현하면서 조선의 문인화를 완성했다. 그 결정체가 제주 유배지에서 책을 사다준 제자에게 그려준 변하지 않는 우정으로 사의한 <세한도>였다. <세한도>는 한국의 사의화를 대표하는 작품이다. 단순하고 거친 붓질로 그려낸 소나무와 잣나무를 어려운 자신을 위해 힘써준 제자의 변치 않는 우정에 대한 감사의 뜻을 드러냈기 때문이다. 그림이란 형사(形似) 즉 사물을 닮게 그리는 것이 아닌 사의(寫意) 즉 사람의 뜻을 그려야함을 강하게 보여준 것이다. 이러한 김정희의 가르침을 받은 허련과 조희룡 등의 추사파를 통해 확산되었으나, 일제강점기를 맞아 한국의 한국화는 김정희 화파를 계승한 안중식과 조석진을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하지만 이때 일본을 통해 일본적인 신남화(新南畫)와 서양화가 유입되면서 김정희 일파의 문인화 전통은 희석되고, 사실적인 화풍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그러다 1945년 광복을 맞으면서 한국화단에서 왜색(倭色) 논쟁이 일어나면서 한국적인 회화전통을 확립하려는 수묵화 운동과 추상화 운동이 일어나면서 사의적 표현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었다. 이응로는 일본에서 동양화와 서양화를 공부한 뒤 프랑스로 건너가 반추상 형태의 사의화를 즐겨 그렸다. 그리고 송수련은 서양화의 바탕재인 캔버스에 이미지를 남기는 작업을 통해 한국미의 전형인 담백함과 절제, 깊음의 미학을 드러내면서 현대적 사의화를 보여주었다. 이와 같이 한국 회화사를 고찰한 결과, 형사와 사의는 그 비중을 달리 했을 뿐 반드시 회화에 공존해 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국 사의(寫意)는 결국 특정 양식의 전유물이 아닌 모든 양식에서 각각의 의미와 가치를 지니며 존재해 왔던 것이다. 현대회화도 마찬가지로 구상부터 추상까지 다양한 양식으로 전개되고 있지만, 이들 다양한 양식마다 독자적인 사의성이 있기 마련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사의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 ⅵ -

      • 윈게이트 파워 테스트시 피부 Cooling 처치가 무산소 능력 및 하지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정준석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cooling treatments on anaerobic power and lower limb muscle activities in a wingate power test. Methods : Fourteen healthy college students aged 22 to 24 at K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e study(Age: 23.3 ± 1.2 years, Height: 177.6 ± 8.9 cm, Weight: 72.3 ± 11.7 kg, BMI: 21.8 ± 3.2). After attaching an electrode to the lower limb muslce, skin temperature treatment(32℃) and cooling treatment(-15℃) were performed. an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randomly. A total of two wingate power tests were performed for 30 seconds to measure average power maximum anaerobic power, minimum anaerobic power, average iEMG, and peak iEMG of lower limb muscles(rectus femoris, vastus medialis, vastus lateralis, biceps femoris). Result : During the wingate te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reatment in the average power(t=1.080, p= .297), the maximum power(t=1.143, p= .271) minimum power(t= .430, p= .674). In case of average iEM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reatment in rectus femoris(t=-1.110, p= .744),vastus medialis(t=-.487, p= .540), vastus lateralis(t=-.273, p= .693), biceps femoris(t= .732, p= .325). Als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reatment in peak iEMG of rectus femoris(t=1.027 p= .348),vastus medialis(t=-.603, p= .463), vastus lateralis(t=-.382, p= .540), biceps femoris(t=1.163, p= .360).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naerobic power(mean power, peak power, minimum power) by cooling trearment.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verage IEMG and peak IEMG.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as the deep body temperature rises due to the exertion of maximum force in a short period of time without oxygen supply in the wingate test. It is believed that delaying the time to reach fatigue by preventing the body temperature from rising rapidly with cooling treatment during exercise break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anaerobic ability,

      • 대기업 구성원의 팔로워 유형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조직문화의 매개효과와 리더십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정준석 수원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types of followers of members of conglomerate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leadership.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turns out that compliant followers, passive followers, alienated followers and practical followers show positive(+) effects on job satisfaction but exemplary followers have none. All five types of followers have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negative effects(-) on turnover intention, Second, it is found that organizational culture has positive(+)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s of followers and job satisfaction, as well as between types of follower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negative(-) mediating effects between types of followers and turnover intension, Third, transactional leaders show significant positive(+)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ssive followers, alienated followers, practical followers and job satisfaction. as well as on turnover intension. Transactional leaders also show significant positive(+) moderating effects between passive follower, alienated follower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ransformational leaders have significant positive(+) moderating effects between all types of followers and all three subfactors of job effectiveness(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