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환자감시장치 생체신호 EMR 시스템에 대한 인식도, 만족도와 간호업무성과에 관한 연구 : 중환자실 간호사를 중심으로

        윤오성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환자감시장치 생채신호 수치가 전송되는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시스템을 이용하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식도와 만족도, 간호업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이를 위해 안양시에 소재한 환자감시장치 EMR 시스템이 도입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간호사의 환자감시장치 EMR 시스템에 대한 인식도를 알아보기 위해 김소연(2006)의 연구에서 사용된 EMR 시스템에 대한 인식도를 업무효율성에 대한 인식, 의료정보활용에 대한 인식, 환자 진료서비스에 대한 인식으로 총 3개 하위요인으로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간호사의 환자감시장치 EMR 시스템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홍경아(2008)의 연구에서사용된 EMR 시스템에 대한 만족도 도구를 기능 및 성능에 대한 만족도, 표준화 및 정보 활용에 대한 만족도, EMR 시스템 도입으로 인한 업무만족도로총 3개 하위요인으로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간호업무성과에 대한 측정도구는 Kron(1981), Mayer, Norby와 Watson, 이병숙(1983)등이 제시한 과정적 간호업무평가를 근거로 박성애(1988)가 개발하고 한주영(2012)이 EMR 시스템 사용자에 맞게 수정하고 보완한 도구를 이용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감시장치 EMR 시스템에 대한 인식도, 만족도, 간도업무성과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특성 중 성별, 연령, 근무기간에 따른 환자감시장치 EMR 시스템인식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성별의 경우 남성보다 여성이 환자감시장치 EMR 시스템의 인식도가 높았으며, 연령은 20대 보다 30대와 40대가 환자감시장치 EMR 시스템의 인식도가 높았다. 또한 근무기간의 경우 다른 그룹보다 5년 이상 근무한 그룹이 인식도가 높았다. 따라서 남성보다 여성, 연령이 높을수록, 근무기간이 높을수록 환자감시장치 EMR 시스템에 대한 인식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일반적인 특성 중 성별, 학력에 따른 환자감시장치 EMR 시스템 만족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의 경우 남성이 여성보다 환자감시장치 EMR 시스템 만족도가 높았다. 학력의 경우 전문대 졸업 그룹과 대학교졸업 그룹이 대학원 이상 그룹보다 환자감시장치 EMR 시스템 만족도가 높았다. 따라서 남성보다 여성이, 대학원 이상 그룹보다 전문대와 대학교 졸업의 그룹이 환자감시장치 EMR 시스템에 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직급이 높은 간호사의 학력이 높은 것과 연관이 있어 보인다. 일반적인 특성 중 학력, 근무기간에 따른 간호업무성과에 유의미한 차이가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의 경우 대학원 이상의 그룹이 전문대 졸업과 대학교 졸업 그룹보다 간호업무성과가 높았다. 근무기간의 경우 5년 이상 근무한 그룹이 1년 미만과 1년~3년 그룹보다 간호업무성과가 높았다. 따라서 학력이 높을수록, 근무 기간이 길수록 간호업무성과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환자감시장치 EMR 시스템에 대한에 대한 인식도, 만족도, 간호업무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간호업무성과의 경우 환자감시장치 EMR 시스템의 인식도와 유의미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그 중 환자감시장치 EMR 시스템의 인식도의 경우 환자감시장치 EMR 시스템에 대한의 만족도 하위 요인 중 업무만족도, 활용만족도, 성능만족도와 유의미한 양의 상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환자감시장치 EMR시스템의 인식도가 높을수록 환자감시장치 EMR 시스템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환자감시장치 EMR 시스템에 대한 인식도 및 만족도가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환자감시장치 EMR 시스템에 대한 만족도 하위 요인 중 성능만족도가 가장 크게 간호업무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환자감시장치 EMR 시스템에 대한 만족도 하위 요인 중 성능만족도가 높을수록 간호 업무성과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환자감시장치 EMR 시스템 도입으로 인한 간호업무성과를 위해서는 환자감시장치 EMR 시스템 인식도를 높이고, 환자감시장치 EMR 시스템의 만족도를 높여야 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만족도는 사용의 편이성과 큰 관련이 있다. 이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환자감시장치 EMR 시스템에 대한 인식도와 만족도, 그리고 간호업무성과와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환자감시장치 EMR 시스템을 도입하고자 하는 병원에서 중환자실의 간호사들의 향후 간호업무만족과 간호업무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고, 간호프로그램의효율적인 운영의 효율성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생각된다.

      • 정제형 일반의약품 인식서비스를 위한 딥러닝 기반의 모바일 플랫폼

        민동희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47

        현재 한국의 의약품 산업은 주요 성장동력산업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폭발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가파른 성장곡선에 비해 의약품 소비자들의 의약품 관리 능력 및 복용 지식수준은 미미한 수준이다. 따라서 의약품 정보 제공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나, 실질적인 서비스는 사용하기 번거롭고 저조한 성능으로 도태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의약품 소비자를 대상으로 의약품 관리 능력 및 복약지식 수준 향상, 지속적 복약지도 서비스 제공을 위해 정제형 일반의약품 인식 서비스를 위한 딥러닝 기반의 모바일 플랫폼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플랫폼은 기존의 저조한 인식 능력을 가진 템플릿 매칭 기반 기능을 고성능의 딥러닝 기반 이미지 인식 기능으로 변경하여 인식 능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편의성과 접근성 향상을 위해 CS구조를 기반으로 하며 추가적인 딥러닝 API로 구성한다. 제안하는 플랫폼의 딥러닝 모델은 CNN 기반의 모델을 직접 제작한 일반의약품 데이터 셋을 이용해 학습 및 적용하였다. 제안한 딥러닝 기반의 모바일 플랫폼은 기존 일반의약품 정보 제공 시스템의 단점을 완화하고, 향후 딥러닝 기반의 모바일 플랫폼을 일반의약품 정보 제공 서비스에 적용한다면, 일반의약품 소비자의 의약품 관리 능력, 복약지도 수준 향상시키고 지속적 복약지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으로 사료된다. Recently Korea's pharmaceutical industry is classified as a major growth engine industry. But, compared with the growth rate, the pharmaceutical consumer's management ability and taking knowledge level are low. Therefore, the drug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is provided, but the actual service is a cumbersome to use and poor performance. In this paper, we propose mobile platform based-on deeplearning for Tablet typed OTC-Drug recognition service. The proposed platform changes the template matching-based function with existing low-recognition capabilities to the high-performance deep learning-based image recognition function, thereby improving the recognition capability. It is also based on the CS structure and configured with additional deep learning APIs to improve convenience and accessibility for service. Deep Learning models of the platform were learned and applied using a set of generic drug data produced by CNN-based models. Our proposed deep learning-based mobile platform can mitigate the disadvantages of existing general medicine information systems. If a deep learning-based mobile platform is applied to OTC drug information services, it can be that it can improve the ability of general medicine consumers to manage medicines, improve the level of medication map, and provide continuous replication guidance services.

      • 국립공원 탐방만족도가 코로나19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

        김순영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31

        코로나19는 2020년 팬데믹(pandemic) 발표 후 1년이 넘는 시간동안 지속되면서 국민의 삶의 질에 악영향을 미치고, 자유로운 이동을 기본으로 하는 여가활동인 관광의 근간을 흔들고 있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로 인해 달라진 사회적 여건이 당분간 지속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며, 환경파괴로 인한 감염병의 일상화에도 대비해야 함을 경고하고 있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발생을 계기로 공공여가의 핵심공간인 국립공원의 역할 변화 및 기능 강화의 필요성 인식에서 시작하였다. 코로나19 상황이 반영 된 국립공원의 탐방트랜드를 분석하고, 공공여가의 장으로서 국립공원의 중요성을 다시 확인하여 향후 국립공원이 생태복지 기능을 강화 할 수 있도록 정책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코로나19 기간인 2020년 2월부터 2021년 2월까지 국립공원을 방문한 탐방객을 대상으로 방문 유형 등의 탐방행태에 대한 변화를 살펴보았다. 또한 문헌고찰을 통해 생태체험의 구조적 모형인 ‘동기-지각된 가치-만족도-행동의도’의 구조를 연구 모델로 차용하였다. 선행연구 모델의‘행동의도’ 에 ‘코로나19 위험인식’을 대입하여 탐방만족도와 탐방객의 코로나19에 대한 위험인식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한 공간적 범위는 한라산국립공원을 제외한 21개 국립공원이며, 2021년 2월부터 2021년 3월까지 모바일 설문을 한달 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코로나19 기간 국립공원 탐방행태 동반유형은 가족(368명, 57.1%)과 친구(132명, 20.5%)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혼자(51명, 7.9%)의 비중도 높게 나타나 코로나19에 의한 동반유형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국립공원의 방문동기가‘성찰성, 가족성, 도전성, 편리성 및 건강성, 자연성, 휴식성’ 6개 요인으로 유형화 되었다. 코로나19 여행 키워드 ‘힐링’은 국립공원 방문의 가장 큰 동기요인인 ‘성찰성’으로 확인 되었다. ‘성찰성’ 요인은 탐방객의 지각된 가치에도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관광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신기성’ 요인은 본 연구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음으로 탐방객의 지각된 가치는 기능적 가치, 정서적 가치, 유희적 가치의 3가지 유형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나, 기능적 가치와 정서적 가치로 구분되었다. 마지막으로 가설검증결과 탐방만족도는 탐방객의 코로나19의 위험인식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탐방만족도는 코로나19가 심각하다고 인식하는 지각된 심각성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지각된 심각성은 코로나19가 미치는 악영향이 크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장기적으로 강한 스트레스 요인이 될 수 있다. 반면에 탐방만족도는 지각된 취약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취약성은 주변으로부터 누구나 쉽게 코로나19에 감염될 수 있다는 인식이다. 이는 코로나19 위험은 통제 가능하나, 감염 위험으로부터 안전하다는 인식에는 변화가 없었던 선행연구 결과와 맥락을 같이 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립공원 관리에 대한 정책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 상황에서 국립공원 탐방객의 동반유형 변화에 따라 소그룹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으로 개발과 운영이 필요하다. 더불어 해설프로그램의 성과를 측정하는 방식의 변화도 필요하다. 현재 공원에서 진행되는 해설 프로그램의 경우 기획재정부 경영평가 지표와 연계되어 있어 참여인원 및 운영횟수 등 양적인 성과를 측정하고 있다. 그러나 변화 된 탐방트랜드를 반영하여 프로그램의 만족도와 참여자의 행동변화를 측정하는 질적 지표로의 개선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난 국립공원 방문동기와 인식 된 가치는 ‘자연성’, ‘성찰성’으로 국립공원 핵심 가치인 ‘자연보전’적 측면과 연계된 가치이다. 국립공원은 국내 최고의 자연성을 보유한 공공여가의 장이다. 공단은 장엄한 경관, 자연의 계절감, 자아성찰이 가능한 건강한 자연공간을 관리하는 기관으로서 정체성과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야 할 것이다. 셋째, 공원탐방객의 만족도에 따라 코로나19 위험에 대한 심각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함에 따라 공원방문을 통해 심리적 불안감과 스트레스 요인의 조절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반면 위생 및 방역에 민감한 탐방객이 부정적 경험을 하지 않도록 코로나19와 같은 전염병 유행 기간에는 야외공간에 대한 보다 엄격한 방역 및 위생관리가 필요하다. 이와 더불어 공원의 혼잡도나, 밀집도를 관리하고, 적극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등 탐방객이 자연친화형, 휴양휴식형 활동을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공공서비스가 마련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관 및 단체 간 활발한 소통을 통한 거버넌스의 구축도 검토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여건을 반영한 온라인 설문조사로 인하여 전국의 국립공원을 방문한 탐방객의 현황과 부분적으로 부합되지 못한 부분이 있으며, 표본추출의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탐방객 방문 현황과 비례한 표본에 근거하여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코로나19상황에 선행연구가 부족하여 문헌고찰을 통해 일반적인 전염성 질환에 대한 연구도구를 지표로 반영한 하였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향후 보다 정밀한 측정도구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방문 만족도가 코로나19 인식에 미치는 영향의 정확한 인과관계 파악을 위해 공원 방문 전‧후에 대한 비교연구를 통해 추가검증을 할 필요가 있다. COVID-19, which has been an ongoing global issue for over a year since the pandemic was declared in 2020, has an adverse impact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and is rocking the foundation of tourism as leisure which is based on free movement. Experts predict that the social conditions that have changed due to COVID-19 will continue for the time being, warning that we must prepare for the routine outbreak of infectious diseases caused by environmental destruction. This study was initiated by the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to change the role and strengthen the function of Republic of Korea national parks, which are a key space for public leisure, in the wake of the COVID-19 outbreak. It was designed to reaffirm the importance of national parks as a place for public leisure and visitors’ trends in national parks reflecting the COVID-19 situation, and to recommend policies to improve the ecological welfare in the future. To this end, visitors to national parks, from February 2020 to February 2021, were studied to explore changes in visitor behavior such as visitor types during the pandemic. A research model of 'motivation-perceived value-satisfaction-behavioral intention' was used, which is a structural model of ecological experience. ‘Risk perception for COVID-19’ was added to ‘behavioral intention’ of the existing model to grasp the relationship between vistors’ satsifaction and their risk perception for the pandemic. The spatial scope for this study included 21 national parks except for Hallasan National Park, and a mobile survey was conducted for visitors who visited the national parks from February 2020 to February 2021. The analysis of the visitor behavior shows the change of companion types; visitors with family members (368 people, 57.1%) and friends (132 people, 20.5%) were relatively high, and the proportion of visitors travelling alone (51 people, 7.9%) was also high because of COVID-19. In this study, the motivation for visiting national parks was categorized into six: reflexivity, family ties, challenge spirit, convenience and health, nature, and relaxation. Healing, the travel keywor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was identified as reflexivity, which is the biggest motive for visiting national parks. The reflexivity factor was found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perceived value of visitors. On the other hand, the novelty experience, which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ourism, was not found in this study. The perceived value was investigated for three types: functional value, emotional value, and hedonistic value. However, in this study it was divided into functional value and emotional value. As a result of hypothesis testing, it was found that visitor satisfaction decreased visitors' perception on the risk of COVID-19. Visitor satisfaction had a negative (-) effect on the perceived severity of COVID-19, which means how seriously they take the infectious disease. High perceived severity is translated to the fact that visitors reckon the adverse impact of COVID-19 as huge, which can be a strong stressor in the long run.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visitor satisfaction did not affect perceived vulnerability. It is the perception that anyone can be easily infected with coronavirus from others. This is in line with previous studies arguing that the risk of COVID-19 was controllable but the perception that visitors were safe from the risk of infection had not chang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commendations for national park management policie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targeting smaller groups in accordance with demographic changes: for example, changes in companion types of visitors to national parks in the COVID-19 situation.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change the method of measuring the outcome of the eco-interpretation programs. In the case of the interpretation program currently conducted in the park, it’s mainly linked to indicators for management evaluation of public institutions (devised by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and quantitative performance icluding the number of participants and the number of operations is measured. However,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m into qualitative indicators that measure the satisfaction of the program and the changed behavior of participants by integrating the change of visitor trends. Second, in this study, the highest motivation for visiting national parks and perceived values are ‘nature’ and ‘reflexivity’, which are values related to the 'nature conservation' (the core value of national parks). As a space for majestic scenery, a sense of the seasons in nature, and self-reflection, national parks are a place for public leisure with the healthiest nature in the Republic of Korea. Therefore, the identity and competitiveness of the authority that manages national parks should be further enhanced based on its core values. Third, it was analyzed that the perceived severity of COVID-19 related risks declined in accordance with the satisfaction of park visitors, confirming the possibility that psychological anxiety and stress factors could be controlled through visits to parks. Even during the pandemic, public policies should be actively reviewed to maintain safe nature-friendly and recreational activities for rest, by managing congestion and density of visitors along with quarantine and sanitation management of outdoor space and by providing information actively. To this end, the governance should be also established for active communication between like-minded organizations. As the online survey reflecting the contact-free conditions caused by COVID-19, this study partially reflects the current status of visitors to national parks across the country, and there may be limitations in sampling. Therefore, in the follow-up study,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based on a sample proportional to the visitor status. In addition, due to the lack of prior research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re are difficulties in fully reflecting the preceding research indicators for infectious diseases,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a more precise measurement tool in the future. Lastly, additional verification through comparative studies before and after park visits is needed to figure out the exact causal relationship of the impact of visit satisfaction on the perception of COVID-19.

      • 강원지역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질 특성 비교

        윤경채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31

        최근 우리나라에서 국민들의 환경에 대한 인식이 향상됨에 따라 대기오염 못지않게 새로운 환경문제로서 실내공기 오염에 대해 높은 관심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지역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질 특성 비교를 통하여 일반 다중이용시설과 취약계층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질을 측정하여 환경부에서 지정하고 있는 유지기준 실내오염물질(미세먼지, 초미세먼지, 폼알데하이드(HCHO, Formaldehyde), 일산화탄소(CO, Carbon Monoxide), 이산화탄소(CO2, Carbon Dioxide), 총부유세균)과 권고기준 실내오염물질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 라돈(Rn, Radon), 이산화질소(NO2, Nitrogen Dioxide)) 측정분석 하였으며, 2018년 ~ 2019년 측정 자료를 활용하였다. 강원지역의 일반 다중이용시설의 PM 10의 농도 범위는 7.8 ~ 99.3 μg/㎥, 전체 시설의 평균농도는 33.4 μg/㎥, PM 2.5 농도 범위는 6.0 ~ 26.9 μg/㎥, 전체 시설의 평균농도는 14.2 μg/㎥, 폼알데하이드(HCHO, Formaldehyde)의 농도 범위는 0.5 ~ 90.2 μg/㎥, 전체 시설의 평균농도는 18.4 μg/㎥, 일산화탄소(CO, Carbon Monoxide) 농도범위는 0.7 ~ 8.0 ppm, 전체 시설의 평균농도는 2.0 ppm, 이산화탄소(CO2, Carbon Dioxide)의 농도 범위는 240.2 ~ 2177.6 ppm, 전체 시설의 평균농도는 647.1 ppm, 총부유세균의 농도 범위는 26 ~ 1,246 개, 전체 시설의 평균농도는 265 개,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의 농도 범위는 2.3 ~ 1648.2 ㎍/㎥의, 전체 시설의 평균농도는 139.5 ㎍/㎥, 이산화질소(NO2, Nitrogen Dioxide)의 농도 범위는 0.001 ~ 33.213 ppm의, 전체 시설의 평균농도는 0.654 ppm, 라돈(Rn, Radon)의 농도 범위는 4.7 ~ 230.5 Bq/㎥, 전체 시설의 평균농도는 46.2, Bq/㎥로 나타났다. 강원지역 취약계층 다중이용시설 PM 10의 농도 범위는 13.1 ~ 41.2 μg/㎥, 전체 시설의 평균농도는 26.0 μg/㎥, PM 2.5의 농도 범위는 5.7 ~ 23.7 μg/㎥, 전체 시설의 평균농도는 13.4 μg/㎥, 폼알데하이드(HCHO, Formaldehyde)의 농도 범위는 8.5 ~ 85.7 μg/㎥, 전체 시설의 평균농도는 26.4 μg/㎥, 일산화탄소(CO, Carbon Monoxide)의 농도 범위는 0.4 ~ 5.8 ppm, 전체 시설의 평균농도는 1.2 ppm, 이산화탄소(CO2, Carbon Dioxide)의 농도 범위는 456 ~ 3,242 ppm, 전체 시설의 평균농도는 925.2 ppm, 총부유세균의 농도 범위는 37 ~ 1,635 개, 전체 시설의 평균농도는 462 개로 나타났다. 일반 다중이용시설과 취약계층 다중이용시설 중 초과 된 시설은 일반 다중이용시설 수는 더 많았지만 각 항목의 평균값은 취약계층 다중이용시설이 미세먼지를 제외한 항목에서 높게 나타났다. Recently, people’s awareness on indoor environment has been increased in South Korea Indoor air quality of general multi-use facilities and vulnerable class multi-use facilities was measured from 2018 to 2019. Indoor air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lti-use facilities in Gangwon-do was studied for fine dust, ultra-fine dust, formaldehyde (indoor pollutants specifi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and for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radon, nitrogen dioxide (recommended pollutants). The concentration range of fine dust (PM 10) in general multi-use facilities in Gangwon was 7.8 ~ 99.3 μg/㎥ with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33.4 μg/㎥. Ultrafine dust (PM 2.5) concentration range was 6.0 ~ 26.9 μg/㎥ with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14.2 μg/㎥. The concentration range of formaldehyde (HCHO, Formaldehyde) was 0.5 ~ 90.2 μg/㎥ with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was 18.4 μg/㎥. Carbon monoxide (CO,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range was 0.7 ~ 8.0 ppm with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2.0 ppm. The concentration range of carbon dioxide (CO2, Carbon Dioxide) was 240.2 ~ 2177.6 ppm with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647.1 ppm. The concentration range of total air borne bacteria was 26 ~ 1,246 with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265. The concentration range of the (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 was 2.3 ~1648.2 ㎍/㎥ with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139.5 ㎍/㎥. The concentration range of (NO2, Nitrogen Dioxide) was 0.001 ~ 33.213 ppm with the average of 0.654 ppm. The radon concentration range was 4.7 ~ 230.5 Bq/㎥ with the average of 46.2, Bq/㎥. Concentration range of fine dust (PM 10) in the vulnerable class multi-use facility in Gangwon was 13.1 ~ 41.2 μg/㎥ with the average of 26.0 μg/㎥ and the range for ultrafine dust (PM 2.5) was 5.7 ~ 23.7 μg/㎥ with the average 13.4 μg/㎥. The concentration range of formaldehyde (HCHO, Formaldehyde) was 8.5 ~ 85.7 μg/㎥ with the average was 26.4 μg/㎥, and the concentration range of carbon monoxide (CO, Carbon Monoxide) was 0.4 ~ 5.8 ppm with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1.2 ppm and the concentration range of carbon dioxide (CO2, Carbon Dioxide) was 456 ~ 3,242 ppm with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925.2 ppm. The concentration range of the total airborne bacteria was 37 ~ 1,635 with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462. Among the multi-use facilities and vulnerable multi-use facilities, the number of excess multi-use facilities was higher, but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each pollutant was higher in the vulnerable multi-use facilities except the fine dust.

      • 모바일향 한의진단 손목 시계형 맥진기 설계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김용진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31

        초 록 한의학의 진단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맥진이다. 맥진은 손가락으로 손목 부위의 요골동맥의 촌, 관, 척을 접촉하여 맥의 강약, 속도, 빈도, 폭등의 다양한 맥의 정보를 감지하여 환자의 맥동 에 따른 병증이나 생리적인 현상을 진단한다. 한의사의 손끝으로 감지하는 주관 적인 방법을 객관화 시기키 위해 1960년부터 지금까지 수많은 연구가 이루어 졌다. 하지만 개발 당시의 기술적 한계나 개발상의 문제점 등에 의해 개발되어진 맥진기들은 임상에 서 만족할만한 효용성을 제시 하지 못하고 있다. 최근의 국내 맥진기 동향으로는 2011년도 상지대학교 이상석 교수팀의 홀센서를 사용한 Spuls -2011가 만들어 졌고 상지대학교 부속 한방병원에서 임상시험을 완료한 상태이다. 특징은 집게형 맥진기로 맥파의 정보 획득이 간편하며 측정시간이 기존의 맥진기와는 달리 빠르며 간편하게 휴대 할 수 있다. 하지만 임상 시험에 의해 여러 가지 문제점이 제기 되었다. 반복성과 재현성이 현저하게 줄어들며 시술자의 경험에 의해 맥파의 정보 획득이 다르게 나타나며 실맥의 맥파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시술자의 오랜 숙련도를 요구한다. 그리고 반복측정으로 인해 맥진기의 센서 부분이 내구성이 떨어져 정확한 맥파의 정보 획득이 어려워진다. Spuls-2011의 반복성 과 재현성 향상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디자인을 제안 하였다. 16번의 과정을 거쳐 디자인 하였고 집게형 맥진기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시대의 흐름에 걸맞게 무선 통신의 기능을 제안하였고, 집게형 맥진기의 센서 부분을 따로 개량하여 내구성을 향상 시켰으며 센서 부분은 독립적으로 사용하여 환자 감시 장치에 사용하도록 디자인 했다. 16차의 디자인에서는 진맥이 끝나면 디스플레이 상에 맥파를 표시 할뿐 아니라 호흡수, 맥박, 맥박수, 말초혈류 속도, 동맥 경화도, 허맥과 실맥 확률까지 알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16차 디자인은 부피가 크고 사용이 어려운 기기들을 대신하여 착용이 쉽고 측정이 간단한 기기의 설계에도 긍정적인 가능성을 보였다. 앞으로 맥파에서 맥상과 연관성을 찾아 질병의 발전추세와 예후를 판단하는데 일정한 임상의의를 갖는 맥진기 디자인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노인요양시설 입소자의 장기요양인정 점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다수준 분석을 이용하여

        김선진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31

        Abstract Factors Affecting the Change in Long-Term Care approval score among nursing facility residents: Using multilevel analysis Kim, Sun-jin (Professor: Song, Hyun-jong ) Sangji University Graduate School Department of Health Management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has seen quantitative improvements in terms of coverage, infrastructure, and medical care expenses along with extensive research on service quality management conforming to the care demand of the recopients. However, the research on quality management has mainly focused on designing an assessment system and operation methods. In this study, therefore, we identified personal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 changes in the long-term care score and five domains in the geriavtric assesment, to draw up poli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ong-term care service. Based on the database of customized long-term care insurance for older adults, we selected as study subjects 34,717 beneficiaries who had received a long-term care need assesment in 2019 and the previous year while being admitted to the same nursing facility, as well as the 3,263 institutions to which these recipients were admitted.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cores of an assesment in 2019 and the previous year; independent variables at the personal and institutional levels were used in a multi-level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ir effects on the changes in long-term care score.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female subjects had smaller changes in the nursing treatment domain compared with male subjects and, thus, lower care demand. The subjects aged between 75 and 84 years had a higher change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whereas those aged 95 years or over had higher changes in the long-term care score, ADL, and cognitive functions, which implied that their physiological functions declined and care demands increased. With respect to the area of residence of the subjects, the scores were higher for changes in the long-term care score, ADL, and rehabilitation domains in urban areas, which indicated that the health conditions of the recipients living in urban areas worsened. Subjects with dementia exhibited smaller changes in the behavioral change domain compared with those without dementia, but higher changes were seen in other domains of the long-term care need assesment, reflecting worsened health conditions. Subjects who had a stroke had smaller changes in the rehabilitation domain; those with diabetes, in the long-term care score and ADL; those with hypertension, in cognitive functions; and those with arthritis, in the long-term care score and rehabilitation domain. All of these outcomes indicated that their health conditions improved more compared with those without a disease. In terms of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an increase in capacity led to smaller changes in the long-term care score, ADL, and rehabilitation domain, which implied that the health conditions of the recipients improved. In terms of occupation,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are workers and physical (rehabilitation) therapists led to improvements in the behavioral changes of the recipients.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to explain the lack of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the number of nursing personnel and social workers. This study aimed to seek measures to improve the service quality by examining the changes in the long-term care score based on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recipients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Further research is expected to supplement the inadequacy of this study at finding effective measures for a super-aged society. Keywords : long-term care insurance, long-term care services, long-term care approval score, nursing facility 노인요양시설 입소자의 장기요양인정 점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다수준 분석을 이용하여 김 선 진 (지도교수: 송 현 종) 상지대학교 대학원 보건관리학과 그간의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는 장기요양대상자, 인프라, 요양급여비 측면에서 양적인 성장과 함께 수급자의 수발 욕구에 맞는 서비스 질 관리를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질 관리 연구는 주로 평가제도 설계와 운영방식에 관한 연구에 집중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기요양인정 점수와 5개 인정조사 영역별 점수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개인특성 및 기관특성 요인을 파악하여 장기요양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맞춤형 노인장기요양보험 DB를 활용하여, 동일한 노인요양시설에 입소하는 동안 2019년도와 그 직전 연도에 인정조사를 받았던 수급자 34,717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이 수급자가 입소하였던 3,263개 기관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종속변수는 2019년도와 그 직전 연도의 인정조사 점수 차이로 설정하였고, 독립변수는 개인과 기관수준의 변수로 하여 장기요양인정 점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다수준 회귀분석(Multi-level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남성에 비해 여성의 간호처치 영역 점수변화량이 낮아져 여성의 간호요구도가 낮아졌으며, 연령별로는 75-84세에서 일상생활기능, 95세 이상은 장기요양인정 점수, 일상생활기능, 인지기능에서 점수 변화량이 각각 높아져 기능이 악화되어 요양요구도가 높아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급자의 거주 지역별로는 도시지역의 장기요양인정 점수와 일상생활기능, 재활영역에서 각각 영역별 변화량이 높아 도시지역 수급자의 상태가 악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치매 질환자는 행동변화 영역에서 치매가 없는 사람보다 변화량이 낮아져 상태가 개선되었으나, 다른 인정조사 영역에서는 높게 조사되어 상태가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뇌졸중 질환자는 재활영역, 당뇨 질환자는 장기요양인정 점수와 일상생활기능, 고혈압 질환자는 인지기능에서, 관절염 질환자는 장기요양인정 점수와 재활영역에서 각각 점수 변화량이 낮아져 해당 질환이 없는 사람보다 상태가 개선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관수준의 변수에서는 정원이 증가할수록 장기요양인정 점수, 일상생활기능, 재활영역에서의 점수 변화량이 낮아져 수급자 상태가 개선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직종별 종사인력에서는 요양보호사와 물리(재활)치료사가 늘어날수록 수급자의 행동변화 영역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간호인력 수와 사회복지사 수에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수급자의 특성과 기관의 특성을 결합하여 장기요양인정 점수 변화량을 통해 서비스 질 향상 방안을 찾고자 수행되었다. 향후, 본연구의 미비점을 보완하고 발전시켜 초고령사회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길 기대해본다. 핵심용어 : 장기요양보험, 장기요양서비스, 장기요양인정점수, 요양시설

      • 소금의 종류에 따른 비훈연 발효건조소시지(이탈리안형)의 품질에 관한 연구

        김현석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31

        For the purpose of realizing the variety of products to be supplied to small hand made butcher shop, pension and restaurants by using natural environment for fermented meat product technology with unique taste of our country in preparation for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hanges during drying and aging of fermented meat products that used different kinds of salt such as sun dried salt, refined salt, nitrite pickling salt and baked salt (burnt, melted salt). As for the results of general ingredients, moisture content showed a trend of the main effect was significant(p<0.05) with the biggest range of decrease of about 15% during 1-10 days of storage. On the 1st day of experiment, it showed about 59-60% of moisture content but it decreased about 30% on the 25th day to show 29-30% level. As for the crude fat, crude protein and crude ash content, it showed a trend of the main effect was significant(p<0.05), which is thought to have resulted from relatively increase according to decrease in moisture content over time. As for the results of weight loss, weight decreased by about 28-29% during 1-5 days, thereby showing meaningful differences according to storage period (p<0.05). On the 25th day that was the last date of measurement, it was respectively 39.9%, 35.9%, 41.5% and 38.1%. In addition, the result showed that compared to other control group & experimental group, adding refined salt had the most effect on weight decrease rate. As for the results of pH, T1 group that added nitrite pickleing salt(NPS) showed meaningfully high numerical values during every period compared to other experiment groups (p<0.05). Initial pH showed about 5.4 level, but pH drastically decreased during 1-3 days in every control group and experiment group to show 4.4 level. In addition, it showed a decreasing trend as drying & aging period extended. As for the results of WHC, it initially showed 57-60% level but meaningfully decreased during 1-3 days (p<0.05). In addition, it showed a gradual decreasing trend as storage period extended and it showed about 29-33% on the 25th day. As for the results of brightness (L*) in meat color, it increased during 1-3 days but it showed a gradual decreasing trend afterwards. In the case of redness (a*value), T1 group that added nitrite pickling salt showed about 10 level, thereby showing higher numerical values compared to 4-6 level of other control group and experiment group with meaningful differences (p<0.05). In the case of yellowness (b*value), it showed the highest numerical values on the 1st day of production, followed by a decreasing trend. In addition, i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meaningful differences in each control group and experiment group. As for the shear force, it showed an increasing trend as drying and aging period extended, and it increased by the highest range during 1-3 days with 0.05kg on the 1st day of experiment to about 0.5kg on the 3rd day. On the 25th day, it was about 1.2-1.8kg level with a very significant level of increase compared to initial shearing force. In the results of analyzing hardness in TPA, similar to shear force, it showed an increasing trend as drying and aging period extended, and it showed very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about 0.2kg level on the 1st day to about 3-4kg on the 25th day. In the case of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it showed the highest numerical values on the 5th day with a gradual decreasing trend, and gumminess and chewiness showed an increasing trend as drying and aging period extended. As for the total plate count, it showed a high numerical value of about 6log CFU/g initially, while showing 5-5.5log CFU/g level during 3-5 days with a significant range of decrease. In addition, it showed a decreasing trend until the 20th day. Between 20-25 days, T2, T3 groups showed a trend of drastic increases. As for the results of coliform, it showed positive reactions from 1st day to 3rd day of experiment, followed by negative reactions afterwards. As for the results of salmonella, it showed negative reactions throughout the experiment period. As for the results of sensory test, T2 group that added refined salt was found to be the best in comprehensive evaluation (meat color, texture, tenderness, flavor, etc.), followed by next preferred control group and experiment group of T1 that added NPS, C that added bay salt and T3 added with melted salt.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showed that the product that added NPS among other kinds of salts that were added was found to be superior in pH and meat color compared to other products that added sun dried salt, refined salt and melted salt. As for the results of preference, T2 group that added refined salt was found to be the best. Such results show that product that added nitrite pickling salt(NPS) has qualitative advantage in producing stable product, and product that added refined salt was found to be preferred by consumers. Such results suggest that they can be used as important information in producing fermented and dried products in the future by utilizing the mountainous terrain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our country. 본 연구는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을 대비하여 우리나라 고유의 맛을 살린 발효육제품 기술을 천예 자연환경을 이용하여 소규모 가내수공업형 펜션 및 음식점 등에 보급하고 제품의 다양성을 구현하고자 천일염, 정제소금, 아질산염(NPS), 구운소금(태움, 용융소금) 등 소금의 종류에 차이를 준 발효육제품을 생산하여 건조, 숙성 중 변화를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일반성분의 결과 수분함량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p<0.05), 저장 1∼10일 사이에 약 15% 수준으로 가장 큰 폭 감소하였다. 실험 1일차에는 59∼60% 정도의 수분함량을 보였으나, 25일차에는 약 30% 정도 감소하여 29∼30% 수준을 나타냈다. 조지방, 조단백질, 조회분 함량은 건조숙성기간이 지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p<0.05),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분함량의 감소에 의해 상대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생각된다. 중량감소율의 결과 숙성 1∼5일 사이에 약 28∼29% 수준의 중량이 감소하여 저장기간별 유의적 차이를 나타냈으며(p<0.05), 마지막 측정일인 25일차에는 각 39.9, 35.9, 41.5, 38.1%로 나타났으며, 타 대조군 및 실험군에 비하여 정제염의 첨가가 중량감소율에 가장 영향을 많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pH의 결과 아질산염(NPS)를 첨가한 T1군이 타 실험군에 비해 모든 기간 중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p<0.05). 초기 pH는 약 5.4 수준을 보였으나, 1∼3일 사이에 모든 대조군 및 실험군에서 pH가 급격하게 감소하여 4.4 수준을 나타냈으며, 이후 건조숙성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WHC의 결과 초기에 57∼60% 수준을 나타냈으나, 1∼3일 사이에 유의적으로 크게 감소하였고(p<0.05), 이후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25일차에는 약 29∼33% 수준을 나타냈다. 육색에서 명도(L*)를 분석한 결과, 1∼3일 사이는 증가하였으나, 이후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적색도(a*value)의 경우 아질산염을 첨가한 T1군이 약 10 수준으로 다른 대조군 및 실험군인 4∼6인 것에 비해 높은 수치를 나타냈고 유의적 차이를 나타냈다(p<0.05). 황색도(b*value)의 경우 제품생산 1일차에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이고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각 대조군 및 실험군간의 유의적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전단력을 분석한 결과 건조숙성기간이 지날수록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실험 1일차에 0.05kg에서 3일차 약 0.5kg으로 1∼3일 사이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25일차에는 약 1.2∼1.8kg수준으로 초기 전단력보다 매우 큰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TPA에서 경도(Hardness)를 분석한 결과 전단력과 유사하게 건조, 숙성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1일차 약 0.2kg수준에서 25일차 약 3∼4kg 수준으로 매우 큰 차이를 나타냈다. 탄성도, 응집성의 경우 5일차에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어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검성, 씹힘성은 건조, 숙성기간이 지날수록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총균수의 분석결과 실험초기에는 약 6logCFU/g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나, 3∼5일 사이에 큰폭으로 감소하여 5∼5.5logCFU/g 수준을 나타냈으며, 20일차까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20∼25일 사이에는 T2, T3군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대장균의 분석결과 실험 1∼3일차에는 양성반응을 나타내었으나, 이후에는 음성을 나타내었다. 살모넬라의 분석결과 전 실험기간 중 음성반응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 정제염을 첨가한 T2군이 종합적평가(육색, 조직감, 연도, 풍미 등)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선호하는 대조군 및 실험군은 NPS를 첨가한 T1, 천일염을 첨가한 C, 용융소금을 첨가한 T3군 순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결과 첨가한 소금의 종류 중 NPS를 첨가한 제품이 pH, 육색 등이 천일염, 정제염, 용융소금을 첨가한 제품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정제염을 첨가한 T2군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같은 결과는 안정적인 제품을 생산하는데는 아질산염(NPS)을 첨가한 제품이 품질상 유리하며,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제품은 정제염을 첨가하는 것이 기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같은 결과는 우리나라가 장차 지형적으로 산악지형인 것을 이용하여 발효건조 제품을 생산할 경우 중요한 정보로써 이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네일-젯(Nail-Jet) 공법의 설계 기술에 관한 연구

        김용현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지반 침하 사고는 철도, 도로와 단지조성 등의 공사현장에서 주로 발생하며, 발생으로 인한 인명피해와 경제손실은 사회적으로 큰 문제를 초래한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지반 보강방법으로 지반내에 그라우트 재를 주입하여 지반을 보강하고 차수의 역할을 하는 고압분사공법이 자주 사용된다. 이러한 고압분사공법은 공법 특성상 비탈면이나 취약지반 적용이 곤란하고 관련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공법에 대한 사례조사분석, 현장시험, 주입재 실내 실험을 수행하고 일반적인 비탈면 보강공법과 고압분사공법인 네일-젯(Nail-jet)공법에 대한 안정성, 구근체 직경과 부피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네일-젯(Nail-Jet)공법의 설계 기술에 관한 연구로서 네일-젯 공법의 원리와 특성을 정리하고, 실제 현장적용사례와 현장시험시공을 수행한 결과를 바탕으로 설계 기술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현장시험시공을 통한 구근체 크기 시 네일-젯 공법이 중력식 쏘일네일 공법에 비해 구근체 직경이 약 2.27배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안정성 검토에 필요한 지반정수 산정을 위해 현장시험시공한 그라우트 구근체에서 코어를 채취하여 밀도 및 흡수율 시험과 일축압축강도 등 실내시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를 활용하여 네일젯 보강구간의 복합지반효과를 감안한 지반정수를 재산정하는 설계법을 제시하였다. 보강공법 비교를 위해 보강재의 형식과 배치간격을 동일한 조건으로 하여 비탈면 안정성 검토 결과, 네일-젯 공법이 쏘일네일 공법에 비해 안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동일 안전율을 기준으로 안정성 검토결과를 비교하면 네일-젯 공법 적용 시 배치간격 조정으로 보강수량 감소와 공기단축으로 인한 시공성 증대 효과와 공사비 감소를 확인하였다. Ground settlement accidents mainly occur at construction sites such as railways, roads, and land development, and human casualties and economic losses caused by the occurrence cause great social problems. As a method of grond reinforcement for problem, a high-pressure injection method is frequently used to reinforce ground and waterproof as a order by injecting grout into the groun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method, it is difficult to apply a slope or weak ground, and related research is insufficient. In this paper, case study analysis, field test and laboratory test of grout experiment were performed on the existing method. In addition, the stability and volume of the general slope reinforcement method and the Nail-jet method, which is a high pressure injection method, were compared and analyzed. As a study on the design application of the Nail-jet method, the principle and characteristics of the Nail-jet method were summarized, and the design application was proposed based on the actual field application cases and the results of field pilot test. When comparing the size of the grout bulb through the field pilot test, it was confirmed that the Nail-jet method increased the diameter of grout bulb by about 2.27 times compared to the gravity-grouted soil-nailing method. order to calculate the geotechnical parameter required for the stability review, a core was collected from the grout bulb constructed during the field test, and laboratory tests such as density and absorption test and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were conducted. Using the experimental results, a design application was proposed to recalculate geotechnical parameters in consideration of the complex ground effect of the Nail-jet reinforcement section. To compare of reinforcement method, slope stability was review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the reinforcement type and arrangement interval, and Nail-jet showed an increase in safety factor compared to the soil nail.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stability review based on the same safety factor, it was confirmed that the number of reinforcement and construction costs were reduced by adjusting the arrangement interval when applying the Nail-jet method.

      • 육우 송아지육의 품질 및 활용에 관한 연구

        박상운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육우송아지고기를 이용한 송아지육의 품질에 관한 내용을 조사하고 육제품 가공기술을 이용한 활용성에 관한 개발이 필요하며 이에 그 기초적 자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율조사 결과로는 5∼6개월령과 7∼8개월령의 도체율은 45.30%, 53.70%로 나타났다. 정육률의 경우 55.62%, 56.22%로 나타났으며 5∼6개월령의 도체중 대비 부산물 비율은 29.17%를 7∼8개월령은 29.92%를 나타냈고 생체중 대비 부산물의 비율은 각각 15.09%와 15.19%를 나타냈고 5∼6개월령보다 7∼8개월령이 도체율, 정육률 면에서 우수하다고 사료된다. 일반성분의 결과로는 월령별 수분함량, 지방함량, 회분함량은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단백질함량의 경우 5∼6개월령 보다 7∼8개월령 배최장근이 가장 높은 수치인 22.54%를 나타내었으며 5∼6개월령 배최장근(T1), 반막양근(T2)은 각 20.03%, 21.26%로 7∼8개월령 배최장근(T3)과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p<0.05). pH의 결과는 1일차에 5∼6개월령 배최장근(T1)의 pH가 5.89로 가장 높게 나타냈으며, 다른 실험군들과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10일차에는 7∼8개월령 배최장근(T3)과 반막양근(T4)이 각각 5.31, 5.21로 최저 pH를 보였으며 5∼6개월령 배최장근(T1) 및 반막양근(T2)과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TBA의 결과는 실험 마지막 날인 30일차에는 5∼6개월령 실험군들(T1, T2)의 수치는 0.37, 0.4mgMA/%, 7∼8개월령 실험군들(T3, T4) 수치 0.49, 0.53mgMA/%보다 낮았으며 개월령간에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p<0.05). 7∼8개월령 반막양근(T4)의 수치는 0.53mgMA/%로 산패취가 나는 구간을 나타냈으며 초기부패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VBN의 결과 배최장근(T1, T3) 실험군은 실험 15일차에 최고수치를 나타내었다. 실험 30일차에는 반막양근(T2, T4) 실험군이 최고수치를 나타내었으며, 각 실험군마다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가열감량의 결과는 5∼6개월령 배최장근(T1)과 반막양근(T2) 7∼8개월령 반막양근(T4)은 7일차에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28.07%, 29.98%, 26.66%). 보수력의 결과는 1일차에는 5∼6개월령 배최장근(T1)이 29.00%, 7∼8개월령 배최장근(T3), 반막양근(T4)이 44.81%, 47.96%로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p<0.05). 저장기간 3일에서 7일 사이에는 7∼8월령 반막양근(T4)를 제외한 5∼6개월령 배최장근(T1), 반막양근(T2), 7∼8개월령 배최장근(T3)는 급격하게 증가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전단력의 결과는 모든 실험군에서 실험 첫날 높은 전단력을 보였으며 날이 갈수록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실험 첫날과 실험 마지막인 30일 차에서도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p<0.05). 육색에서 명도(L*)의 결과는 저장기간동안 점점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고 1, 3, 7일차의 명도와 유의적차이를 보였다(p>0.05). 적색도(a*)의 결과는 5∼6개월령 보다 7∼8개월령이 myoglobin함량이 높아짐에 따라 5∼6개월령보다 7∼8개월령의 적색도(a*)값이 높게 나타났다. 대체적으로 반막양근(T2, T4)의 적색도가 높은 수치를 보였다(p>0.05). 이를 보았을 때 배최장근(T1, T3)보다 반막양근(T2, T4)이 좀더 적색에 가까운 것으로 사료된다. 황생도(b*)의 결과는 7일차 까지는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일정한 수치를 나타냈으며, 실험 20일차 이후부터는 5∼6개월령 실험군(T1, T2)과 7∼8개월령 실험군(T3, T4)이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p<0.05). 총균수의 결과는 저장기간에 따른 총균수의 변화는 대체적으로 모든 실험군 에서 유사한 형태를 나타냈고, 저장기간 15일에서 20일 사이에 총균수의 수는 급속하게 증가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실험 마지막 날인 30일차에는 7∼8개월령 배최장근(T3)이 6.09logCFU/g를 나타내었다. 이는 Egan과 Grau(1981)의 지육의 미생물수가 7logCFU/g일때 부패단계이며, 이상취를 발생하는 시기로 보고한 것과 비교 하였을때, 초기 부패단계인 것으로 사료된다. 관능평가의 결과는 풍미, 압착다즙성, 다즙성, 근섬유 연도, 전체적 연도, 종합적 기호도에서 일반 소시지(윈너), 육우송아지(5∼6개월령, 7∼8개월령)의 소시지(윈너) 제품 모두 평균적으로 "적절하다."라는 결과를 보였다.

      • 폐기물매립장 선별토사에 적용된 동다짐공법의 개량심도에 관한 연구

        남홍기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9631

        국내에서 사용이 종료된 폐기물매립장의 정비를 위한 굴착, 선별, 이적, 소각 등 이른바 Landfill mining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여 최종적으로 남게 되는 선별토사를 어떻게 얼마나 안정화시키고, 어떠한 지반개량을 하여야 타매립장 복토재 또는 성토재로 재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동다짐공법(Dynamic Compaction Method)은 지반에 가하는 다짐에너지가 크므로 느슨한 사질토 지반, 버력매립층, 광산폐석매립층, 준설매립지반 또는 폐기물매립장 표층부 등에 널리 적용되어 왔다. ○○시에서는 사용이 종료된 관내 폐기물매립장을 정비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실트질 성분의 선별토사를 부지복원토로 성토하면서 동다짐공법으로 지반개량을 시행한 바 있는데, 이는 선별토사로만 성토층에 동다짐공법을 적용한 최초의 사례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상기 정비사업에서 발생한 선별토사에 대한 특성을 국내 타지역에서 발생한 모래질 선별토사와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적용할 지반개량공법의 검토 및 선정, 동다짐공법의 설계․시공, 동다짐 전⋅후의 표준관입시험에 의한 N치의 변화와 평판재하시험에 의한 지지력 확보 여부 확인, 동다짐 전⋅후의 N치 증가량과 타격에너지를 이용한 역해석에 의한 연구대상 선별토사의 개량심도계수를 산정하였다. 또한 선별토사 성토층의 지반개량에 적용할 공법을 검토함에 있어, 함수비가 큰 실트질 선별토사 성토층을 일반적인 층다짐을 실시하는 것이 곤란한 점과 다짐의 효율성, 경제성, 현장여건 등을 고려하여 검토한 결과 동다짐공법을 선정하였다. 유기물을 함유한 선별토사로만 성토된 지반의 동다짐을 위하여 현장조사 및 시험, 설계, 시공 과정에서의 다짐의 적정성 및 다짐 효과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동다짐 전・후에 수행한 표준관입시험(SPT)에서 N치는 평균 6.7에서 평균 13.6으로 목표 N치 12 이상을 확보하였으며, 평판재하시험(PBT) 에서는 동다짐 전 허용지지력은 평균 83kN/m2를 나타냈으나, 동다짐 시공 후에는 150∼227kN/m2으로 산출되어 최소 80% 이상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동다짐 설계시 개량목표심도인 1구간 7m, 2구간 6m를 초과한 8m 이하까지 개량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동다짐 시공에 대한 확인시험과 역해석을 통해 본 연구대상 선별토사에 적용할 수 있는 개량심도계수를 α=0.38∼0.57 범위로 산정하고, 확률통계분석에 의해 대표값 α=0.51를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