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천연과일액종과 아마란스 분말을 이용한 우리밀 식빵의 품질특성

        김현석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47

        To satisfy consumers’ preference for health, starter and amaranth powder were introduced to bake korean wheat breads and analyze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m. At first, to produce the natural fruit starter, fruit juice were added at different time. And then, the optimum timing for adding fruit juice and overall period of fermentation were established by letting them ferment for five days. In the production of bread using the prepared star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bread were compared by adding 10%, 20%, 30%, 40% and 50% of the starter to each sample to determine the optimum amount of the starter. Based on the best dosage of the starter 5, 10, 15, and 20% of amaranth powder was added to the doughs respectively. After baked them,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breads were analyzed during storage likewise. In the fermentation process of the starter, as the fermentation period got longer, the pH decreased but titration acidity increased. The number of yeast and lactic acid bacteria was measured to be the most at the sample B on the fourth day, the optimum timing to add fruit juice was determined to be the second day of fermentation process and the total fermentation period was 4 days. The pH and titration acidity of bread dough according to the added amount of the starter were investigated, and it was found that the more the amount of the starter was added, the lower the pH was but the higher the titration acidity was. The effect of the amount of the starter and fermentation time was also observed. The volume of bread at the end of fermentation was the highest in the sample of the group added 30% of the starter,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samples in accordance with the added amount of the starter and the period of fermentation. It was also found that the volume, specific volume, and baking loss rate of the bread were the highest but the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was the lowest in the group added 30% of the starter. Based on the condition that the starter was added by 30%, when amaranth powder was added differently from 0% to 20%, the more the amount of amaranth powder was, the higher pH of the dough and the bread was and the lower the titration acidity was. And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the samples. By increasing the amount of amaranth powder, the volume of the bread dough using the starter with amaranth powder tended to decrease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The volume, specific volume, and baking loss rate of the bread with natural fruit starter and amaranth powder tended to be decreased as the amount of amaranth powder increased. Regarding the Hunter’s color value of the bread with amaranth powder and the starter, as the amount of amaranth powder increased the value of L tended to be decreased but the values of a and b tended to be increased. As to the texture characteristics of the bread with amaranth powder and the starter, as the amount of amaranth powder increased,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tended to increase. According to the sensory evaluation of the bread with amaranth powder and the starter, the overall preferences of the sample group added 5% and 10% of amaranth powder were the highest. The moisture content of the bread decreased as the storage time gets longer, but when amaranth powder was added, the moisture content level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in the absence of amaranth powder. The measurement shows that the pH decreased and the titration acidity increased as the time takes longer during storage of the bread using the starter with amaranth powder After investigating of the texture characteristics of the bread using the starter with amaranth powder in terms of storage period, it was observed that the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increased as the storage period gets longer, and the increase of the hardness range was shown to be relatively low in sample groups added 5% and 10% of amaranth powder as the storage period takes longer.

      • 전상국 소설에 나타난 학교와 그 의미

        김현석 강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problem recognition of Jeon, Sangguk, focusing on the problems of education fields in his novels. Although his novels can be divided into three groups, novels dealing with the division of Korea, novels dealing with the problems of education fields and novels dealing with social pathological problems, most existing studies have focused on the division problems. Because even the studies on the problems of education fields have considered the problems of education field as a sub-area of division problems, or education fields as the allegory of society, they couldn't have confirmed the his recognition of the internal contradiction and problems in education fields. This paper approaches the problems of education fields in his novels. It confirms the meaning of 'school' in his novels and how the social structure is reflected in the problems of education fields of his novels, focusing on the school members' conflicts. Chapter two examines the meaning of 'school' in his novels. After examining the situation of the times, it confirms that his critical mind about society is reflected in the space, 'school'. It becomes the space which includes negative contradiction as the miniature of society, being associated with the situation of the times. 'Potential education process and the internalization space of rules' confirms that schools in his novels is maintained by making students internalize deeply the dominance principle of the existing social order and the usual rules. The internalization is obligatory and processed by social justice which is socially accepted. In 'school' in his novels, the way to avoid contradiction and violence is control of members. Students' abilities are graded through an educational skill, that is, exams and the grade records violate each student's personal space. Students who are inspected feel that they are always watched by an invisible observer and internalize the view. The internalized surveillance controls and censors themselves. So, 'school' in his novels has the meaning of space which controls the members through tools such as exams and surveillance. Chapter three confirms his critical mind in his novels, focusing on conflicts and actions among school members. He introduces the mechanism of rank and power of the existing world into a school. To express properly how power and rank are acquired, he leads the story through a particular object, a male students' group. Students learn rank and power through teachers, the symbol of rulers in the existing system. In the process, students become scapegoats of structural violence by old generation's behavior. In addition, the school, which should be space to achieve various purposes, is encroached by education-centered society. He shows this critical mind through parents. In the school in education-centered society, teachers who received money from parents cooperate in doing various dishonest acts. Parents who internalize the structure of education-centered society lead daily discrimination in the school without any justifiable reason. Most teachers in his novels are violent and show authoritarian behavior patterns. Students in novels deeply internalize 'dominance principle‘ of the society through teachers' acts. The operating way of 'school' in his novels has hierarchical structure where every position works according to the formal chain of command. To express efficiently the opposition among school members, mostly he uses 'private school'. In the social structure of hierarchy, teachers' positive educational behaviors are unfairly identified with bureaucracy and teacher´s authority and privileges in education fields are seriously infringed. The situation where absurdity is disguised as truth doesn't happen spontaneously in education fields. The absurdity which was widely spread in our society comes in education fields and acts high-handedly. As above, after analyzing the problems of education fields in his novels, it is confirmed that he examines various social problems in his novels with the educational setting. He reveals reality structure which is hidden behind the outward appearance of a system, rather than reality structure which is seen and expressed, through his novels. He is saying that the problems of educational fields don't happen spontaneously in education fields but reflect the social structure. 본고는 전상국 소설에 나타난 교육현장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작가 가지고 있는 문제의식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전상국의 전반적인 소설 세계는 분단 현실을 다룬 작품군, 교육현장의 문제를 다룬 작품군, 사회병리적인 문제를 작품 군으로 나뉠 수 있지만, 기존 연구는 대부분 분단문제에 집중되어 있었다. 교육현장의 문제점을 다룬 작품군에 대한 연구에서도 교육현장의 문제를 단순히 분단문제의 하위영역으로 보거나, 교육현장을 단순히 사회의 알레고리로만 인식하여 작가가 가지고 있는 교육현장 내부의 모순과 문제점들에 대해 명확하게 확인하지 못했다. 이러한 부분에 대해 문제의식을 가지고 전상국 소설 속에 교육현장 문제에 접근하였다. 소설 속에 나타난 학교의 의미를 확인하고, 학교를 구성하는 구성원의 갈등을 중심으로 전상국 소설 교육현장 문제에 사회구조가 어떠한 방식으로 투영되는지 확인하였다. Ⅱ장에서는 전상국 소설 속에 등장하는 ‘학교’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당시의 시대적 상황을 살펴보고, 사회에 대한 문제의식이 ‘학교’ 공간에 담겨 있음을 확인하였다. 시대상황과 결부되어 사회의 축소판으로서 부정적 모순을 담아내는 공간이 되는 것이다. ‘잠재적 교육과정과 규칙의 내면화 공간’에서는 전상국 소설 속 학교가 기존의 사회질서를 지배하는 원리와 일상적인 규칙을 학생들에게 깊이 내면화시킴으로 유지됨을 확인했다. 이러한 내면화의 과정은 강제성을 띠며, 사회적으로 인정되는 명분을 통해 주입된다. 그리고 전상국 소설 속 ‘학교’에서는 모순과 폭력을 차단하는 방식이 구성원을 통제하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시험이라는 교육적 기술을 통해 학생의 능력을 서열화하고, 서열화 된 기록을 통해 학생 개개인의 영역을 침범한다. 감시당하는 대상자들은 보이지 않는 감시자에 의해 자신이 끊임없이 감시당하는 것을 느끼면서 그 시선을 내면화한다. 이러한 내면화된 감시는 자기 스스로 통제하고 규율하게 된다. 이로 인해 소설 속 ‘학교’는 시험과 감시라는 도구를 통해 구성원을 통제하는 공간적 의미를 갖게 된다. Ⅲ장에서는 학교의 각각의 구성원들 사이의 갈등과 행동을 중심으로 소설 속에 담겨 있는 작가의 문제의식을 확인하였다. 작가는 기존 사회에 존재하고 있는 위계와 권력의 메커니즘을 학교 내부로 끌어들이고 있다. 작가는 권력과 위계를 습득하는 모습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남학생 집단’이라는 특정한 대상을 통해 이야기를 이끌어간다. 학생들은 기존체제의 지배자로 상징되는 교사에 의해 위계와 권력을 학습한다. 그리고 그러한 과정 속에서 학생들은 기성세대의 행태에 의해 구조적 폭력의 희생양이 된다. 그리고 다양한 목적을 달성하는 공간이 되어야 할 학교는 사회의 학벌중심 구조에 잠식당하고 있다. 작가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학부모의 행동을 통해 보여준다. 학벌중심의 사회 구조가 녹아 있는 ‘학교’에서는 촌지를 받은 교사들이 촌지를 준 학부모의 자식을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부정행위에 동조한다. 학벌중심의 사회구조가 내면화된 학부모들은 학교 내에서 아무런 정당성도 없는 일상적 차별을 유도한다. 전상국 소설 속 교사의 대부분은 폭력적이며, 권위주의적 행태를 자행한다. 소설 속 학생들은 교사의 행동을 통해 현존하는 사회질서 속에서 ‘지배의 원리’를 깊게 내면화한다. 전상국 소설 속 ‘학교’의 권위의 작동방식은 모든 직위가 공식적 명령계통을 중심으로 하는 계층구조를 가지고 있다. 작가는 교단 구성원 사이의 대립을 더욱 효과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주로 ‘사립학교’라는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교사의 긍정적인 교육행위가 관료제라는 사회의 구조와 동일시되면서 교육현장 내부의 교권은 심각하게 침해된다. 부조리가 진실로 위장되는 상황은 교육현장 내에서 자생한 문제가 아니다. 우리 사회에 만연되어 있는 사회구조 속 부조리가 교육 현장에 들어와 횡포를 부리고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전상국 소설에 나타난 교육현장의 문제점을 고찰한 결과 전상국은 교육현장을 배경으로 하여 사회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소설 속에 천착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상국은 소설을 통해 눈에 보이고 경험된 현실구조를 드러내기 보다는 체계가 표방하는 것 뒤에 감추어진 눈에 보이지 않는 현실구조를 보여준다. 교육현장의 문제가 단순히 교육현장에서 파생된 것이 아니라 사회의 구조가 녹아 있음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 복무부적응병사를 대상으로 한 아트테라피 프로그램이 심리적 위험요인에 미치는 효과 : 軍 비전캠프 참가자의 단계적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김현석 관동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통합예술치료의 특성에 입각하여 군 비전켐프에 입소한 복무 부적응 병사를 대상으로 아트테라피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개인의 억압되었던 내면의 감정을 표면으로 가져옴으로써, 행복감과 적응을 도모하도록 하였으며, 병사들의 부적응 주요증상이자 위험요인인 우울과 불안을 완화시킬 수 있는 치료적 접근방법의 하나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아트테라피 비전캠프 프로그램은 Ryff(1989)의 다차원 모델을 기본모형으로 하고, Fordyce(1977, 1983)의 행복감 모델을 참고하여, 개인의 심리적 적응력 증진에 목표를 두었으며, 각종 예술분야를 접목한 활동을 중심으로 한 통합예술치료의 단계와 세부목표에 맞추어 내용을 구성하였다. 이에 비전캠프 입소 병사 42명을 대상으로 총 16회기의 아트테라피 비전캠프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우울점수는 32점에서 10점으로 22점 감소하였다. 우울 점수를 단계적으로 살펴보면, 사전에는 32점이었고 5회기 때 14점으로 급격히 낮아졌으나, 12회기에 19점으로 증가하다가 사후 10점으로 다시 감소하였다. 또한 불안점수는 41점에서 14점으로 27점 감소하였다. 불안 점수를 단계적으로 살펴보면, 사전에는 41점이었고 5회기와 12회기 각각 27점과 18점으로 점점 감소하였고, 사후에는 14점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아트테라피 비전캠프 프로그램이 부적응 병사의 우울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는 결과이며, 특히 우울의 모든 하위요인 즉, 정서적 증상, 인지적 증상, 동기적 증상, 생리적 증상에서도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중 정서적 증상과 생리적 증상은 사전․사후검사까지 지속적으로 감소를 보여주는 것은 본 연구의 아트테라피 비전캠프 프로그램이 갖고 있는 특성인 예술활동, 표현활동 중심의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긍정적인 경험을 하게하여 억눌려있던 우울한 감정을 해소하고, 부대 적응 및 부대 내 대인관계에서 위축되었던 대상자로 하여금 여러 가지 측면에서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타인을 이해하면서 실험 전보다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는 결과이다. 또한 병사의 군 복무 중 적응과정에서 현실도피적이고 방어적이며, 무력감과 움츠리는 등 불안이나 갈등을 나타낼 수 있는데, 본 연구의 불안점수 변화로 볼 때, 아트테라피 비전캠프 프로그램을 통해 외향적 표출과 상호작용을 유도하는 본 연구의 실험처치가 불안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어, 복무 부적응 병사의 대인관계 및 불안개선을 위한 정신역동적 치료접근법으로서 의의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적용한 아트테라피 비전캠프 프로그램은 복무 부적응 병사들의 군 생활 적응을 예측하는 우울과 불안에 대하여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동북아해역 해양과학조사의 국제적 협력체제에 관한 연구

        김현석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해양법협약은 해양과학조사(Marine Scientific Research)에 관한 정의 규정을 두고 있지 않다. 그러나 해양과학조사는 다양한 목적으로 수행되며 해양자원의 합리적인 개발을 위한 기본적인 조건이다. 이러한 해양과학조사는 해양물리학, 해양화학, 해양생물학, 해양지질학 및 지구물리학 등 해양환경의 자연 현상에 관한 과학적 지식의 증진을 목적으로 해양 및 연안 수역에서 기초자료를 수집하고 그것을 분석하는 실험적인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 해양과학조사법 제2조 제1항에서 해양과학조사라 함은 “해양의 자연현상을 구명하기 위하여 해저면 · 하층토 · 상부수역 및 인접 대기를 대상으로 하는 조사 또는 탐사 등의 행위”라고 규정하고 있다. 결국 해양과학조사는 과학적 지식의 증진을 통해 인류의 삶을 더욱 풍요롭게 만들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해양과학조사에서 나오는 여러 가지 자료들은 상업 및 군사적 이용 가치가 높고 또한 순수한 해양과학조사로 행해진다 하더라도 그 자료들이 상업적이고 혹은 군사적인 자료로써 이용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많은 나라들이 자국의 관할권이 미치는 해역에 대한 해양과학조사를 꺼려하고 있으며 특히 해양경계가 획정되지 않는 수역에서의 해양과학조사는 군사적 조치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유엔해양법협약에서는 해양과학조사의 수행, 증진 및 이행원칙에 대해서 밝혀놓았으나 이것은 일반원칙들이고, 특히 대륙붕 및 배타적경제수역에서의 해양과학조사는 대부분 연안국의 재량권에 의한다. 이러한 실정에서 대륙붕에서의 자원 탐사등 각종 해양과학조사를 이용하는 사례들이 증가하자 연안국들의 해양과학조사를 꺼려하는 분위기는 확산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가 위치한 동북아 지역은 중국과 일본과의 거리가 400해리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해양경계가 획정되지 않은 상황이다. 한국, 중국, 일본이 각각 주장하는 해양경계획정의 기준이 상이하여 삼국이 주장하는 경계선에서 중첩 수역이 생겨났으며 해당 중첩수역에 대한 해양과학조사는 삼국의 정치적이고 외교적인 분쟁으로까지 비화되고 있다. 이는 방법의 문제로서 유엔해양법협약의 해양과학조사에 관한 규정과 각국의 해양과학조사법 등에 따라서 해양과학조사를 시행한다고 하지만 한중일 삼국은 중첩 수역 즉 미획정경계수역이라 일컬어지는 수역에서의 정치적, 외교적 문제로 말미암아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인류의 해양에 대한 과학적 지식의 증대라는 목적과 순수하고 평화적인 방법으로 실시되어야 하는 해양과학조사임에도 불구하고 이것이 정치, 외교적인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므로 쉽게 해결될 수 있는 문제는 아닐것이다. 하지만 갈수록 변화하는 지구환경속에서 특히 해양과학조사는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는 것이며 동북아 삼국은 서로 자기만의 욕심이 아닌 상생의 목적을 위하여 이러한 해양과학조사를 독려하여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문제가 되고 있는 동북아 해역에서의 원활한 해양과학조사를 위하여 문제점을 짚고 해결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 거베라의 표현형 변이에 대한 상관관계 및 경로계수 분석

        김현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 breeding system for production of excellent new varieties by examining physi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vase life, and yield of 23 gerbera cultivars grown for cut flowers. Significant variation of physi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as observed among the cultivars. Cavity diameter of peduncle, fresh and dry weight of ray floret, and total free sugar content in leaf had moderate phenotypic coefficient of variation (PCV) (30%), while number of leaves at first flowering, leaf length, and peduncle diameter of the middle part had low PCV (10%). Compared to PCV, the genotypic coefficient of variation (GCV) was lower from 0.1 to 4.1%p. In addition, the characters such as velocity of water uptake, fresh weight of flower, number of ray floret, vase life, and yield exhibited a higher degree of heritability (90%), while the characters such as the depth of incision, length, diameter, hardness of petiole were found to be lower than 80% in heritability. Moreover, genetic advance as % of mean (GAM) was highest in cavity diameter of peduncle (80.5%), followed by 53.8% in yield, 28.4% in vase life, 17.4% in leaf length, and 16.7% in number of leaves at first flowering, and 15.2% in the peduncle diameter of the middle part, respectively. Most of the correlations between vegetative organs or reproductive organs were positive. However, number of leaves at first flowering and total free sugar content in leaf as well as fresh weight of peduncle and cavity diameter of peduncle were negatively correlate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duncle length and the traits (number of leaves at first flowering, depth of incision, and petiole hardness). Similarly, fresh weight of peduncle was also positively correlated with 8 traits including number of leaves at first flowering and leaf area, but both of the peduncle length and fresh weight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otal free sugar content in leaf. In case of water uptake velocity, i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number of leaves at first flowering, fresh weight of leaf, and total free sugar content in leaf. In addition,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vase life and other 17 traits or th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yield and other 22 traits were respectively observed. As a result of the path analysis, vase lif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18 traits and yiel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24 traits. As a result of the path analysis on vase life, dry weight of ray floret and fresh weight of flower were -34.400 and -18.331, respectively. Whereas, 18 traits such as velocity of water uptake, dry weight of ray floret, and fresh weight of flower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fresh weight of ray floret (23.145) and dry weight of flower (16.608). In case of the path analysis on yield, 24 traits including leaf area and fresh weight of flower a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small path coefficient of direct effect and indirect effect by other traits, but total free sugar content in leaf and peduncle had a positive correlation. Furthermore, the positive and negative relative impact on vase life and yield were also observed. Whereas, as positive relative impact on vase life, the fresh weight of ray floret and dry weight of flower were 13.259% and 9.514%, and as the negative relative impact, the dry weight of ray floret and fresh weight of flower were -19.706% and -10.501%, respectively. As for the positive relative impact on yield, fresh weight of ray floret and dry weight of flower were high at 7.191% and 5.445%, whereas the negative relative impact was -9.948% for fresh weight of flower and –9.496% for dry weight of ray floret. The residual influence of yield is very high at -38.109%, which is believed to be greatly affected by the indirect effects of various traits.

      • 영어 어휘상의 검토: TESOL의 관점에서

        김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영어는 여전히 전 세계에서 가장 지배력이 있는 언어이고, 배움의 필요성이 높은 언어이다. 국가 간의 중대사를 처리할 때 외에도 사회, 문화, 경제 등 전 영역의 전 계층의 사람들에게도 영어는 필요하게 되었고, 사람들은 그에 따른 높은 수준의 교육을 원하게 되었다. 단어를 끊임없이 외우는 사람, 문법을 통 으로 다 배워보려는 사람 등 다양한 방식으로 영어의 전 영역을 학습하겠지 만, 본 논문에서는 영어 어휘상에 대해 살펴보고, 어떻게 학습하는 것이 좋은 방법일지 확인하고자 한다. 어휘상이란 문장에서 일어나는 상황의 시간 구조 특징을 구별하는 기간성 (duration)과 종결성(telicity)을 동사에 따라 구별하는 상을 말한다(Radden & Dirven 2007:177). 기간성과 종결성의 차이로 크게 4가지 동작(Activity)유형, 달 성(Accomplishment)유형, 순간(Semelfactive)유형, 그리고 성취(Achievement)유 형으로 나눌 수 있다(Radden & Dirven 2007:180). 개별의 유형들의 특징들을 Comrie(1976)와 Smith(1997) 그리고 Radden & Dirven(2007)의 저서를 통해 요 약하고, 이러한 어휘상을 왜, 그리고 어떻게 학습하는 것이 좋을지를 알아보았 다. TESOL(Teaching English to Speakers of Other Language)은 영어를 처음부 터 배우는 것이 아니라, 영어를 모국어로 기반하지 않는 국가의 사람들에게 영어를 가르치는 자격을 주는 것이다. 그렇기에 어떤 식으로 학생들에게 다가 갈 것인지, 수업 방법은 어떨지를 배우는 것이 중점이 되는데, 본 논문에서는 여러 가지의 방법 중 영어 어휘상을 배우기 위해 적합한 방법은 과제 중심의 수업(Task-based learning)이라는 것을 말하고자 한다. It is not an exaggeration that language is the most essential thing in human history. Every activity is connected to language, and among languages, English still shows its influence throughout the world as a Lingua Franca. This leads to the fact that knowing and understanding English has become a significant asset to people. The thesis aims to summarize the English lexical aspects and find out how the TESOL (Teaching English to Speakers of Other Language) program can affect the better way to learn English lexical aspects. For reviewing the English lexical aspects, the books by Comrie (1976), Smith (1997), and Radden & Dirven (2007) are analyzed. Based on the research, the classification of sentences is based on temporal characteristics, which can be classified into states and events according to static and dynamic situations.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elicity and duration are added. TESOL is qualifications that has shown it is enough to teach English to non-native speakers. Therefore, the purpose of TESOL is to make participants improve their English knowledge and teaching skills. The TESOL curriculum introduces various teaching skills such as direct method,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CLT), and task-based learning (TBL). Each of TESOL's teaching methods has a set of characteristics, but TBL seems to be the best way to learn English lexical aspects. This is because students have to search for the topic content themselves while doing the assignments and have them train repeatedly in class.

      • 스마트폰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최대 균열 폭 측정 시스템 개발

        김현석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목적은 영상처리기법을 안드로이드와 적용하여 아두이노를 통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최대 균열 폭 측정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현재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폭은 육안검사와 균열게이지 등의 계측 장비로 측정되고 있다. 육안검사의 경우는 특정 조사자에 따라 결과값이 달라지므로 신뢰성이 다소 미흡하며, 균열게이지와 같은 계측 장비는 공간과 시간적 제약을 받는다. 이를 위하여 영상처리기법을 통해 신뢰성 있는 결과값을 측정하고자 하였으며, 스마트폰을 사용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측정이 가능하고 편리한 균열 폭 측정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영상처리기법에서는 Bilateral Blur와 Adaptive Threshold를 사용하여 영상의 잡음과 빛에 대한 보정을 하였으며, 잡음이 제거된 영상은 Laplacian기법을 사용하여 균열의 외곽선을 추출하였다. 균열의 외곽선에서 최대 균열 픽셀 수는 x축과 y축에서 삼각비를 이용하여 산정하였으며, Reference Bar를 이용하여 Scale Factor를 계산하고, 픽셀단위로 계산된 최대 균열 픽셀 수를 mm단위로 환산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은 균열게이지로 계측된 균열 폭과 비교분석하였으며, 균열 폭 평가에 대한 신뢰성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system for measuring the maximum crack width of concrete structures through aduino by applying image processing techniques with Android. Currently, the width of cracks in concrete structures is measured by visual inspection and measuring equipment such as crack gauges. In the case of visual inspection, the reliability of the results varies depending on the specific investigator, and measurement equipment such as crack gauges are subject to space and time constraints. For this purpose, consistent reliable results were measured through th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 convenient crack measuring system was developed for real-time measurement by using a smartphone. In the image processing technique, the noise and light of the images were corrected using the Bilateral Blur and Adaptive Threshold, and the images with noise removed were extracted with Laplacian technique. The maximum number of crack pixels on the outline of a crack was calculated using a triangular ratio on the x-axis and y-axis, and the Scale Factor was calculated using the Reference Bar, and the maximum number of crack pixels calculated in pixels was converted to mm. The system proposed in this paper has been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crack widths measured with crack gauges, and it is judged that reliable results can be derived for crack width evaluation.

      • 김홍전 목사의 설교에 나타난 교회론

        김현석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필자는 이 논문에서 김홍전 목사가 교회를 이루면서 그 교회에 소개했던 설교를 중심으로 김홍전 목사의 교회론을 연구하고자 한다. 그는 교회를 구약과 신약의 하나님의 말씀에 의지하여 가르쳤고, 그 전개의 방식은 칼빈과 그의 가르침을 이어받은 개혁신학의 역사적이고 전통적인 해석을 따른다. 필자는 개혁신학이 지향하는 그 정신을 계승하여 좀 더 바르고, 좀 더 내용 있게 발전시킨 김홍전 목사의 교회관이 어떤 점에서 개혁 신학에 충실한 것이고 어떤 점에서 우리 상황에 적합하게 제시된 것인가를 논의해 보고자 한다.

      • RFID 시스템의 무선 페이딩 채널 측정

        김현석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지식기반기술·에너지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RFID는 사물에 부착된 전자Tag로부터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하고 이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을 말한다. RFID는 기존의 바코드와 기본적으로는 비슷한 역할을 하지만 바코드에 비해 보다 많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부착이 용이하고 장거리 정보 송·수신이 가능하다는 등의 장점을 지닌다. 또한 앞으로 Sensor 기술과 소형화 기술 등이 더욱 발전하면 정보를 능동적으로 획득하고 처리하는 능력까지 갖추게 되어 바코드가 하던 역할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많은 일을 해낼 수 있다. 일반적으로 RFID를 포함한 무선 시스템의 성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적용되는 무선 채널 환경에 대한 수학적 모델이 필요하다. 무선 환경의 다중 경로 전파로 전송되는 신호는 페이딩이라는 현상이 생기며, 이로 인하여 전체 시스템의 성능은 AWGN 환경보다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무선 시스템의 성능을 더욱 정확히 시뮬레이션하기 위하여 무선 채널 환경에 대한 페이딩 모델을 정확히 알고 있어야 되며, 실제 측정을 통하여 Rayleigh 또는 Rician 확률 분포 함수로 근사 할 수 있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RFID 시스템이 적용되는 도서관, 주차장 편의점의 무선 채널 환경에 대한 페이딩을 실측하고, 해당 무선 채널 환경의 레벨 교차율과 측정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Rician 확률 분포 함수의 K 파라메터를 계산한다. 이를 바탕으로 RFID 시스템의 설계시 실측으로 얻어진 Rician 확률 분포 함수로 더욱 신뢰성 있는 시뮬레이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RFID is the technique to transmit and receive an information for a service by radio frequency with the electric tag. Basically, it works like the bar code system. However, it has many merits, that it stores more informations, it is easy to attach and to transmit and receive an information from long range. Hence, it is expected that RFID will be used for many applications because it acquires an information actively and processes preciously comparing with the bar code system since the sensor technology and miniaturization technology have been developed. To analyze the RFID system performance, it is needed to understand the mathematical wireless channel model for an application environment. Due to the multi-path radio signal in the wireless system, the signal fluctuation i.e. fading signal is developed, and it degrades the RFID system performance. The performance of RFID system under fading becomes worse than the AWGN environment.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wireless fading channel to simulate the performance of radio system accurately. The wireless fading channel model can be obtained by the fading signal measurements, and it is said that it could be approximated to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function of Rayleigh or Rician. In this study, the wireless fading channel for several RFID applications like a library, a parking lot and a convenience store is measured at 13.56MHz and 900MHz. The K-parameter of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function of Rician and the level crossing rate of the fading channel are calculated from the measurement data. With thes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he RFID system simulation can be provided real and reliable performance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