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월군 독거노인의 생활실태 및 사회복지서비스 욕구에 관한 연구

        최영수 상지대학교 사회복지정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1727

        본 연구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지방자치단체인 영월군 독거노인의 생활실태 및 사회복지서비스 욕구를 조사하고 분석함으로써 영월군의 합리적인 노인복지정책 및 사회복지서비스 수립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그들에게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은 강원도 영월군 9개 읍·면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독거노인 2,274명을 대상으로 읍·면별 15%를 표본추출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농촌지역인 영월군에 거주하는 독거노인은 대다수가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건강상태는 좋지 않았습니다. 여가활동 정도가 낮았으며, 노인복지서비스에 대한 욕구는 높은 반면, 실질적인 혜택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인 독거노인의 문제인 경제, 건강, 여가, 소외 및 고독 등이 상호 연관되어 복합적으로 발생하고 있음을 잘 나타내주고 있었으며, 독거노인의 합리적인 노인복지정책 및 서비스를 수립하기 위해서는 독거노인들의 지역적 특성과 환경, 개인의 특성과 생활실태 및 서비스 욕구 등을 정확히 파악하여 서비스 지원계획 수립 및 지속적인 사례관리가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서비스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독거노인의 소득보장 및 생활지원을 강화해야 한다. 중앙정부 뿐만아니라 지방정부에서도 소득보장지원을 위한 각종 시책개발과 파악된 욕구를 반영한 개별서비스 계획수립과 수립된 계획의 실행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하겠다. 둘째, 독거노인을 위한 건강서비스를 강화해야 한다. 지자체에서 추진하는 방문간호서비스 외에도 건강교육, 노인건강진단, 독거노인 주치의 맺기 운동, 노인 의치보철사업 등을 내실 있게 추진하는 건강서비스 강화가 중요하다고 하겠다. 셋째, 독거노인에 대한 사회서비스를 확대해야 한다. 외부와 단절된 독거노인의 지속적인 재가복지서비스 제공과 전문적인 사례관리가 필요하고, 긴급출동, 방문상담 기능강화, 콜 센터와 연계된 상담전화기활용, 정기적인 안부전화 등 현장중심의 서비스가 요구된다. 넷째, 여가복지시설의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개발해야 한다. 노래교실, 서예, 요가, 명상 등의 프로그램 개발과 프로그램 운영인력의 인건비 보조가 필요하며, 건강교실 등 건강프로그램 개발이 우선되어야 한다. 다섯째, 여성노인을 위한 노인 그룹 홈 설치를 제안한다.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빈집이나 현재 살고 있는 집을 5~10명이 공동생활을 할 수 있도록 개조하여 노인 그룹 홈을 설치 지원할 것을 제안한다. 여섯째, 독거노인을 위한 사례관리를 제도화하고, 공공복지 전달체계내의 사례관리 전담부서 설치를 요구한다. 본 연구의 함의는 지금까지 중앙정부에서 획일적이고 일방적으로 설정한 지침에 따라 대부분의 노인복지정책이 수립되고 시행되어 왔지만, 앞으로는 지방정부가 주도적으로 노인정책을 수립하고 지역적 특수성이 고려된 프로그램을 만들고 실행하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This study is about research and analysis of the living conditions and social services need of the ultra-high-elderly community in Yeongwol County to provide a primary welfare policy and social welfare service for elderly and to offer the best suitable plan for establishing the best services for them. The subject of this study included 2,274 people who are over 65 year old and living alone in 9 towns and sub-counties of Yeongwol County of Gangwon Providence with the study of 15% sampling from the towns and sub-county.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majority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n rural areas of Yeongwol County were suffering from financial difficulties and bad health conditions. Leisure activity levels were low. The study also shows that despite the high desire for elderly welfare services, real benefits were low. The general problem of finance, health, leisure, alienation, and lonelines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re mutually connected and affected one another. In order to develop a suitable welfare policy and service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understanding the specific characteristic and environment of the local as well as individual service needs must be considered and required for planning the service support plan and to continue case management for the elder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rder to improve the social welfare service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made. First, income security and living support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needs to be enhanced. Not just through the central government but it is also important for the local government to carry out the plan to guaranteed income support for elderly by developing and executing various development measures for the identified need which reflect the implementation of an individual service plan. Second, health service for elderly living alone should be strengthened. In addition to visiting nursing services from local governments to promote health education, it is also important to promote and strengthen health education and senior health checkup, designate a physician to each elderly living alone, and offer an elderly denture prosthetics service. Third, social service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should be increased. Elderly living alone who are isolated from the outside world needs and require continued welfare service, professional case management, emergency call response, counseling function enhancements, call center connected telephone counseling, and regular check up phone call are all field centered services. Fourth, develop variety of recreational welfare programs. To develop and start singing classes, calligraphy, yoga, and meditation programs by supporting program operation staff salary. Also, development of health programs and health classes should take precedence. Fifthly, Establishment of an elderly grouphome for elderly women is proposed. For the elderly residing in rural areas, convert an abandoned house or remodel a house currently living into a group house for 5 to 10 elderly is suggested to allow the elderly to have a commune living where they can support one another. Finally, installation of a specific department is requested to systematize the case management for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nd case management in public welfare delivery system. The implication of this research is to shift the elderly welfare policies from the uniform and unilateral guidelines of the central government to the local government to lead the initiatives, to make specific plans and to execute the elderly welfare policies in consideration of the local distinctiveness.

      • 실버타운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최황근 상지대학교 사회복지·정책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1727

        2005년 12월말 현재 인구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인구인 약4,829만명 중 65세 이상 인구가 9.1%로 본격적인 고령화 사회에 들어섰으며, 아울러 20년 후에는 노인인구가 20.8%로서 초고령사회에 이르게 되는 사회문제로 부각됨으로써 이에 한국사회에서 나타날 노인주거복지에 대한 문제와 전반적 이해 그리고 그에 따르는 대책을 어떻게 세워야 할 것인지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다소나마 선진노인복지를 위한 초석을 마련하고자 하는 열망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삼았다. 우리나라는 다른 선진국들에 비해 빠른 고령사회로의 진입은 지속적인 경제성장 저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또한 핵가족화에 따른 노인 부양기능의 약화, 사회보장 정책제도의 미비, 노인세대의 노후준비 대책 미숙 등으로 노인문제의 심각성이 부각되고 있으나, 현 정부의 노인 복지서비스 위주의 정책으로 말미암아 노인주거 정책에 대한 인식 부족과 노인주거정책이 미흡한 실정이며 또한 체계적인 정책개발의 부재도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고령화 사회를 대비한 신세대 노인들의 복지 수요에 부응할 실버타운 조성과 활성 방안을 연구하였으며 실버타운의 건전한 육성 및 발전방향을 모색하여 노인복지정책에 보탬이 되고자 하였다. 또한, 실버타운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바람직한 실버타운의 모습을 그려보고자 하였으며, 외국의 실버타운 현황에 대하여도 함께 연구하였으며 실버타운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그에 대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인 방안으로 실버타운의 활성화를 위해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확고한 지원의지와 지원정책을 역설하면서 국가 정책적인 면에서 재정, 세제, 법적인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을 주장했고, 재원 마련을 위해서는 국민연금의 수익성사업, 노인복지세의 신설, 금융지원과 각종부담금의 할인 및 면제 등을 통한 활성화 방안을 마련해 주어야 할 것으로 주장했다. 아울러, 지방자치단체의 역할로서 실버타운 조성을 위한 기반시설지원, 자원봉사자 모집 그리고 행정적 지원과 홍보 등을 통한 지원 강화에 대해 체계적으로 접근해 보았다. 한편 노인주거 정책은 노인에 대한 부가 서비스가 제공되는 주택공급에 대한 역점과 노인주거에 대한 사회적 인식변화를 유도해야 할 것으로 판단했다. 2006년도 6월말 통계청의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노인의 70%가 자녀와 별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비록 자식들과 동거한다고 해도 노인 주거공간을 노인의 신체적 조건에 적합한 시설이 제공되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더 늦기 전에 본 연구에서 주장하는 정책이외에도 노인주거정책에 대한 사회전반의 획기적이고 근본적인 대책을 수립함은 물론 미래지향적인 적극적인 발상으로 복지국가를 실현해야 하겠으며, 아울러 지방화 시대에 맞는 다양한 노인주택의 개발을 위한 국가차원의 정책결정으로 노인복지를 위한 노인주거정책이 확립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ccording to the population statistics at the end of Dec. 2005 as of, among the total population of about 48.29 million people, the population older than 65 years old is 9.1% and Korea has entered into full-scale aged society. After 20 years, moreover, the aged population may attain 20.8%, the supra-aged society and will be embossed as a social problem. By analyzing about the problem of the old living welfare that will appear in the Korean society and the overall understandings and the plans according to it deeply, it aimed the aspiration to prepare the foundation for developed welfare for the old more or less. Korea is entering to the aged society which is faster than other advanced countries, and it is impeding constant economic growth and the sincerity of the problem of the aged by the weakening of the supporting function of the aged as the nuclear family emerged, lack of social security policy institution, and the lack in the plans to prepare the old period of the old generation. But due to the policies mainly of aged people's welfare service, the perception of living policy for the old and living policy for the old are lacking and it is blocked also by the absence of systematic policy development.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studied of the furtherance of silver town which will react to the welfare demands of the new-generation old people preparing the aged society, and groped the stout nurturing and development direction for the silver town and tried to be of help to the old welfare policy. Also, throug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about the silver town, it tried to draw a desirable silver town, and studied together with the status of foreign silver town, and grasped the situations and problems of the silver town and suggested the policy plans. For concrete plans, we insisted that a strict support will be and support policy of the local administrations and nation for the activation of the silver town, and argued not to save the support in finance, tax system and law. For the preparation of finance, it insisted to prepare the activation plan through profit business of the national pension, new establishment of the aged welfare tax, financial support and each allotment's discount and exemption. It has also approached systematically to the support reinforcement through base facility support, collection of the volunteer workers, administrative support and PR for the advance of silver town as the role of local administration. For living policy for the old, it temporarily judged that we should induce the social recognition change toward the old living and the point about housing supply in which the additional service toward the aged is supplied. According to the statistics of the National Statistics Office in the end of June, 2006, 70% of old people in Korea wanted to separate from their children and this is suggesting that although they live with their children, the facility appropriate for the physical conditions of the aged is supposed to be provided for the living spaces for the old. Before becoming late, thus, Korea is required to realize the welfare nation by advanced active origins as well as establishing the epoch-making and basic plans of the whole society about the policy of the livings of the old besides the policies argued at this study. In addition, it is judged that the policy of the livings of the aged of the welfare for the old by the decision-making of the nation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aged houses fitting to the age of localization have to be established.

      • 강원도사회복지공동모금회 배분사업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

        김희열 상지대학교 사회복지정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1711

        강원도사회복지공동모금회는 양적성장과 더불어 질적인 성장변화를 요구받고 있어, 본 연구는 강원도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바람직한 배분사업 방향 설정을 수립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배분사업 현황을 살펴보고 변화하는 사회복지환경 분석에 기인하여, 강원도 배분사업을 평가하고 민간의 자율성과 효율성을 담보하는 독자적인 배분사업 방향을 모색함으로써, 제한된 자원으로 지역사회 복지향상에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배분방식에 대한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강원도사회복지공동모금회 배분사업의 현황분석과 객관적인 평가를 위하여 선행연구자료 및 사업실적자료들을 분석하였다. 첫째, 강원도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배분현황에 관하여 연도별·사업별·대상별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둘째, 복지환경의 변화를 사회복지서비스 환경과 정책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강원도사회복지공동모금회 배분사업의 평가 방법으로는 배분사업 현황을 근거로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배분사업 평가와 비교 분석하여 다음의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배분사업의 합리성에 대한 문제로 배분사업이 산발적이고 분산적인 배분형태를 띠고 있다. 둘째, 배분사업의 효과성의 측정이 어렵다는 점이다. 따라서 배분사업의 합리성과 효과성을 입증할 수 있는 발전방안 몇 가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체계화된 배분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하다. 배분사업의 합리성을 높이기 위해 융통성 있는 준거 틀 속에서 배분사업의 이해당사자 모두가 인정할 수 있는 배분기준 및 시스템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프로그램사업을 활성화 시켜야한다. 실험적이고 창의적인 프로그램 육성을 통해 민간복지 활성화를 도모해야 할 것이다. 셋째, 균형 있는 배분사업의 방향 설정이 필요하다. 배분사업의 지역별, 사업영역별, 기관별 균등화를 도모해야 한다. 넷째, 네트워크사업의 활성화를 통한 배분사업의 전략화가 필요하다. 지역사회가 공감하는 이슈를 중심으로 지역사회문제해결을 위한 관·민의 전략적 협력관계를 기반으로 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사회복지 서비스제공을 극대화 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배분사업의 합리성과 효과성을 높이는 방안들은 지역적 특성이 고려되어지고 사회적 이슈에 탄력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야만 강원도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배분사업이 건강한 발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The Gangwondo Community Chest of Korea is being requested to achieve quantitative growth as well as the qualitative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proper distribution directions of the Gangwondo Community Chest of Korea. In this study, the status of distribution business of Gangwondo Community Chest of Korea was examined. Based on the analysis of changing social welfare environment, the Gangwondo distribution business was evaluated and independent distribution directions ensuring the independence and efficiency of the civil sectors were proposed in order to look for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distribution method to improve the welfare of the local communities with limited resources. As the study method to analyze and objectively evaluate the status of Gangwondo Community Chest of Korea‘s distribution business, the previous studies and performance materials were analyzed. First of all, the status of Gangwondo Community Chest of Korea’s distribution was analyzed by the year, business and subject. Second, the changes of welfare environment were analyzed by being classified into social welfare service environment and policies. As the evaluation method, the evaluation of distribution business presented in the previous studies was compared with the current status of Gangwondo Community Chest of Korea. The identified problems are as follow. First issue is about the rationality of the distribution business. The distribution is being conducted sporadically and scatterly. Second, the measuring the effectiveness of distribution business is very difficult. Therefore, several measures are proposed in this study that ensure the rationa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distribution. First, systemized distribution system should be introduced. Distribution standard and system that can be approved by all stakeholders of the distribution business should be established to increase the rationality of the distribution. Second, the program business should be activated. Activation of civil welfare should be promoted by developing experimental and creative programs. Third, balanced distribution business should be established. The distribution should be conducted equally by the areas, businesses and organizations. Fourth, the strategies for distribution business should be established by activating the network businesses. With the issues creating consensus among the members of local community as the focus, the network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the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s in order to maximize the service provided to the social welfare. The measures mentioned above will be helpful in developing the distribution business of Gangwondo Community Chest of Korea only when the local characteristics are considered and the community is capable of flexibly responding to the social issues.

      • 농촌지역 노인복지의 실태와 노인복지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홍천군 서면 4개리를 중심으로

        박재현 상지대학교 사회복지정책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1711

        본 연구는 홍천군 서면 4개리 거주하는 농촌지역 노인복지 개선 방안을 찾고자 농촌노인들의 일반적 특성, 소득활동에 관한 사항, 건강에 관한 사항, 농촌노인복지 서비스 등에 관한 사항으로 나눠서 조사를 하였다. 도시노인에 비해 더욱 열악한 농촌노인들의 소득활동과 건강에 대해 파악하고, 농촌노인복지 서비스 실태를 조사해 농촌노인들의 노인복지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강원도 홍천군 서면 4개리(반곡리, 두미리, 어유포리, 팔봉1리)에서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 100명을 대상으로 2006년 9월 28일부터 10월 3일까지 6일간 1차로 실시한 49부와 2006년 10월 14일부터 10월 28일까지 15일간 2차 조사 실시한 51부 등 총 100부 대상으로 연구 조사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에서 나타난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득활동에 관한 사항으로 농촌노인의 소득이 2000만원 미만이 71.0%이며, 조사대상자의 평균 소득 규모는 1828만원으로 나타나, 전국평균이 2600만원 정도인 점을 감안할 때 낮고 조사대상자의 53.0%가 부채가 있으며, 평균부채 또한 2267만원으로 전국평균 2700만원 보다 약간 낮다. 평균 생활비도 110만원으로 소득 규모에 비해 상당히 높은 것을 볼 때 경제적 어려움이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조사대상자들의 55.0%는 경제적 이유 등으로 농사일을 계속하고 싶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농사 외의 활동도 71.2%가 하기를 희망하고 있다. 농촌노인들에 대한 경제적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소득활동에 대한 지원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소득활동 관련 조사대상의 욕구는 각종 직불제 확대, 농촌노인에게 적합한 일거리 창출, 농촌체험 관련 지원, 농축산물 판로 확대 제도 등이 개선되기를 바라고 있다. 둘째, 건강에 관한 사항으로 농촌노인의 건강이 48.0%가 좋지 않고 34.0%가 1개월 이상 앓고 있는 질병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농촌노인복지정책 서비스에 관한 사항으로 조사대상지역의 농촌노인들은 각종 노인복지정책 서비스에 대한 인지여부도 노인정, 보건(지)소 등을 제외하면 50.0% 미만이다. 농촌노인들은 노인들을 위한 서비스조차 알고 있지 못하다는 것이다. 이용 경험 또한 80.0~90.0%가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농촌에 산다는 이유로 서비스 이용에도 제한 받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농촌노인의 문제를 더욱 심각하게 만들고 있으며, 농촌노인들의 삶의 질이 낮아 질수 밖에 없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첫째, 우선 농촌노인에 대한 올바른 시각이 정립되어야 할 것이다. 노인도 건강하고 활동적인 사회구성원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현지 실태조사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농촌노인들은 농업 분야에서 다양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으며, 현재 농사일에 종사하고 있는 고령 농업인들은 자신이 할 수 있는 한 농사를 계속 짓겠다고 하고 있다. 둘째, 농촌 노인의 소득활동 및 소득 지원을 위한 각종 지원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정부의 노인복지 관련 각종 위원회, 기획단 등을 구성하여 적정 수의 농촌 노인문제 전문 인력을 참여시키도록 해야 하며, 각종 복지정책에서도 농촌노인의 특수성이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그리고 ‘지역사회복지계획’을 수립할 때 농촌노인복지 증진 관련 내용이 충분히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농림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산어촌 지역개발 촉진에 관한 특별법’ 및 ‘농어촌주민의 보건복지 증진을 위한 특별법’의 시행과정에서도 농촌노인의 특성이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농촌노인들의 농사 외 활동 부문에서도 다양한 소득활동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을 개선·개발해야 한다. 농촌 실정에 맞는 여러 가지 노인 적합 직종을 개발하여 노인들의 농외 취업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노인공동작업장, 노인취업알선센터, 노인인력지원기관, 노인일자리사업 등을 농촌 실정에 맞게 개선하여 적극 시행해야 한다. 셋째, 경로연금, 경로우대제도, 경영이양 직접지불제도 등과 같은 노인복지정책 서비스를 농업·농촌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여 개선해야 한다. 그리고 농업에서 은퇴하는 사람들의 소득보장을 위한 특별대책(직불제 또는 연금과 같은 제도) 등을 마련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한번 더 강조하지만 도시노인들만을 위한 정책이 아니라 모든 노인들을 위한 정책이 되기 위해서는 노인복지 정책을 개발할 때 각 지역 특성에 맞는 정책이 함께 개발되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sorts item about general special quality of farm village old mans, item about income activity, item about health, farm village old people's welfare service etc. and did investigation to look for farm village area old people's welfare improvement way that inhabit Mr. Hong Cheon letter 4gaeri. Compare to old man at all and grasp about ten wicked fellow farm village old mans' income activity and health more, and farm village old people's welfare service actual conditions to present one trillion, four sun farm village old mans' old people's welfare improvement way purposeful. One trillion, four objects of this research used in research and investigation analysis into total 100 wealths compensation such as 49 wealths that enforce by the first during 6 day from September 28, 2006 to October 3 to 100 old man more than inhabiting 65 ages in Kang-won do Mr. Hong Cheon letter 4gaeri(ogee state, two millimetes, fish oil thieftaker, Palbong1ri) and from October 14, 2006 to October 28, 51 wealths that execute the second investigation during 15 day. Is same as following if see result that take effect in question investigation of this research. First, farm village old man's incomes are twenty million won lows 71.0% to item about income activity and investigation object person's average income scale by eighteen million, two hundred and eighty thousand wons laziness, laziness when national average takes into account point that is about twenty-six million won, it is low and investigation object person's 53.0% is fan and average fan is some lower more than national average twenty-seven million wons by twenty-two million, six hundred and seventy thousand wons also. When average living expenses sees high thing fairly than income scale by one million, one hundred thousand wons, can do that economical difficulty is big. However, investigation object persons' 55.0% is clearing that want to continue farm work by economical reason etc. Also, 71.2% is hoping to do activity of farming outside. Can know that support about income several activity need to get solved economical difficulty about farm village old mans. Also, desire of income activity connection one trillion, four objects to each kind chiefdom exorcism extension, farm village old man suitable job Changchul, farm village experience connection support, agricultural and stock breeding products market extension system etc. to be improved desire . Second, 48.0% of farm village old man's health is bad to item about health and can know laziness or that countermeasure is necessary in reply that disease that 34.0% is suffering more than 1 month is. Third, is farm village string of station since investigation object to item about farm village old man welfare policy service forefinger availability about each kind old man welfare policy service old man chisel, it is less than 50.0% if exempt beam or (since) cattle etc. Service for old mans does not know is farm village string. Can know that is receiving limitation to service utilization by reason that buy in laziness or farm village by utilization experience also there is no entirely 80.0~90.0%. That being inventing farm village old man's problem more seriously as can see in this result, farm village old mans' quality of life daytime that number of quality is be. To solve these problem first, right sight about farm village old man may have to be taken a triangular position first. Old man can become healthy and active society constituent. Is doing that will be running various role faithfully in agricultural field is farm village string as appear in local research on actual state result in this research, and own sodbusts continuously as long as can do is advanced age agriculture that is engaged in current farm work. Second, farm village old man's income activity and each kind volunteer system for income support should be readied. Government's old people's welfare connection each kind committee, plan for this must do farm village old man problem full text human strength of optimum number so that is participated composing back only and must try so that farm village old man's peculiarity may can be reflected enough in each kind welfare policy. And farm village old people's welfare promotion connection contents may have to be included enough when establish 'Area social welfare plan'. Must do so that farm village old man's special quality may can be reflected enough at 'Agriculture and forestry fishery is special law about quality of life upgrade and Nongsaneochon community development advancement' and enforcement process of 'Special law for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inhabitants' Health and Welfare promotion'. Must improve and develop various policy so that can have various income activity in farm village old mans' farming outside activity class. Must develop correct various kinds old man suitability occupation in farm village real condition and magnify old mans' Nongoe employment opportunity. Must improve according to farm village real condition and enforce actively old man cooperation workshop, old man employment arrangement center, old man human strength support institution, old man job business etc. for this. Third, must improve old man welfare policy service such as path informal confinement, path preferential treatment system, Miss Kyeong Yeongi direction payment system etc. reflecting special quality of agricultural farm village properly. And must ready special countermeasure(system such as chiefdom exorcism or annuity) etc.. for people's income guarantee who retire in agriculture. Finally, emphasize more once but when policy for city old mans is not but develops old people's welfare policy become policy for all old mans, correct policy may have to be presented being developed together in each local citizenry.

      • 횡성군 다문화가정 여성결혼이민자의 생활실태에 관한 연구

        김은숙 상지대학교 사회복지정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1711

        국 문 초 록 최근 한국사회는 급속한 성장을 통해 도․농간의 빈부의 격차가 심화되고 있고, 고학력 여성의 사회활동 및 독신 여성의 증가는 물론 결혼에 대한 여성들의 인식변화에 따른 결혼의 풍속도도 달라지고 있다. 특히 여성의 사회진출 및 결혼풍속도의 변화로 인해 사회적 약자인 농촌총각과 도시의 만혼, 재혼남성들이 국제결혼을 선택하고 있어, 결혼연령인구의 성비불균형 구조, 이혼 및 재혼증가 등으로 국제결혼이 급격이 증가하면서, 단일 민족이란 말이 무색하리 만큼 급속히 다문화 가정이 증가하고 있다. 이들은 한국사회 적응시 문화적 차이와 언어소통의 곤란으로 인해 가장 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다음으로 경제적 어려움, 사회적 편견, 자녀양육 및 교육문제, 국적 취득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정의 경우 한 가지 문제점보다는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복합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정부에서는 2005년 이들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해 다문화가정에 대한 정책들을 추진하고 있으나, 부처별로 상당부분 프로그램이 중복됨은 물론 일회성에 그치고 있고 정부의 정책을 지자체가 시행하는 형태로 농어촌의 지리적여건 및 환경에 대한 고려 없이 추진되고 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사회복지전달체계를 보완하기 위해 “희망복지전달체계” 개편을 추진하고 있다. 사회복지 서비스 전달체계 개편은 물론 민간기관과의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확립함으로써 체계적인 사례관리 등을 통해 이들에 대한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지원할 예정이다. 따라서 정부에서 새롭게 추진하는 사회복지전달체계 개편에 앞서 횡성군에 거주하는 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한 전반적인 생활실태 및 욕구 등에 대한 정확한 실태조사가 필요하다. 이런 배경으로 횡성군에 거주하는 여성결혼이민자의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한국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는 복지서비스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우 가족의 반대와 사회적 편견으로 인해 사회복지서비스의 수혜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 이들에 대한 효과적인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문화 가정에 대한 인식 전환이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한국사회에 적응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한국어에 대한 교육을 입국전 의무적으로 이수하도록 하여야 하며, 입국 후에도 거주기간에 따른 수준별․단계별 한국어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해야 한다. 셋째, 도시와 농촌의 지역적인 특수성을 고려하고 이들에 대한 서비스를 성인지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며, 국적별, 학력, 연령, 국적 등의 문화적 차이를 고려한 차별화된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넷째, 여성결혼이민자의 다양한 욕구 충족을 위해 지역내 단체들과의 유기적인 협력체계 구축을 통해 정부와 민간기관의 복지서비스 전달체계를 강화하고 다문화가정의 가구별, 개인별 사례관리를 통해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농촌의 부족한 민간자원으로 인한 복지서비스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근접한 도시의 민간자원과의 협조체계 구축과 민간요원에 대한 재정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횡성군의 거점기관이 1개소로 거리상 접근이 어렵고 다양한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민간기관간의 자발적인 협력을 통해 민간부문의 권한을 강화해야하며 이들의 국적, 학력, 연령별 특성이 고려된 직업능력개발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사회참여기회를 확대해야 한다.

      • 원주지역 노인의 생활실태와 서비스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여성 노인복지 제고를 중심으로

        용환규 상지대학교 사회복지정책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1711

        본 논문은 노인인구의 다양성 중에서도 성별차이에 중점을 두어 이에 따른 노인복지정책 및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조명하고 있다. 급박하게 고령사회로 진입해 가는 시점에서 노인의 다양성을 고려하지 않은 노인복지정책은 그 정책적 효과를 거둘 수 없으며 오히려 차별적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문제는 곧 여성노인의 문제라 할 수 있으므로 여성노인의 실태를 고려한 성인지적 정책이 마련되어져야 한다. 즉 65세 이상 인구의 성비가 2005년 67.1로 여성노인의 비율이 훨씬 높으며 여성노인은 남성노인에 비해 더 가난하고 더 건강하지 못하며 사회적 활동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주시 노인은 남녀 노인 대부분 한국사회 노인문제가 심각하다고 느끼고 있으며 정부의 노인정책 추진 노력에 대해 여성노인이 남성노인에 비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복지 서비스 이용 유형에 따른 남녀 노인별 만족도의 차이를 보면 대부분 여성노인의 만족도가 남성노인에 비해 높게 나타났는데 특히 노인일자리지원사업의 경우가 그러하였다. 이것은 여성노인이 남성노인에 비해 보수에 대한 기대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이다. 셋째, 노인의 삶의 만족도의 성별 차이를 보면 여성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남성노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간단명료하다. 건강상태, 의료시설 접근도, 주관적 계층귀속감이 여성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공통적인 요인들이었다. 반면 남성들의 경우에는 건강상태와 의료시설 접근도와 같은 건강관련 변수와 더불어 배우자 유무, 자식과의 전화연락 빈도 등 가족관계 변인들과 친구나 이웃과의 관계가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는 일반적으로 여성노인들이 남편이나 자식에게 경제적으로나 심리적으로 의존적이고 관계중심적인 존재라는 인식과 달리, 오히려 남성노인들이 부인과 자식, 이웃과의 관계에 따라서 삶의 만족에 영향을 받고 있었다. 본 연구에는 노인의 많은 다양성 중에서 특히 성별 차이가 주목받아야 하는 이유를 보여주고 있다. 서로 다른 조건에 놓여 있는 여성노인과 남성노인의 욕구와 만족도는 다를 수 밖에 없으며, 이러한 성별 특성의 차이는 노년기에만 국한된 현상이 아니라 생애주기에 따라 축적되어온 결과로서 노인의 평균적 특성으로 용해되어서는 안되는 중요한 차이이다. 노인인구 중 여성인구의 비율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여성노인들이 노인복지혜택에서 배제되는 중요한 이유가 바로 이러한 평균적인 노인의 특성에 기초하여 노인복지정책이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양호한 남성노인의 삶의 조건으로 인해서 여성노인의 특성이 희석된다면, 노년기에도 계속해서 성별 불평등 현상이 재생산되고 심화될 위험이 있다. 본 연구는 노인인구 층의 성별 특성을 반영하여 노인복지정책을 입안하고 실행하는 성 인지적인 복지정책이 필요하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보여주고자 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factors influencing the degree of living satisfaction of old aged and social policy for them between female and male. In a situation where the nation is rapidly changing into a aging society, the social welfare policies for old neglecting the diversity of the their living situations can not achieve the appropriate results and are liable to produce discrimination. The important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since the problems of old aged mainly mean those of female old, policies must be made in regard with gender. The proportion of female consists of 67.1% among the people over 65 age and it was surveyed that female old are more poor, unhealthy and lack of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than male. Secondly, most of the old aged in Wonju City consider the problems of old of our country are serious, and the female old estimates government policy for old more positively than the male.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female in the various social welfare services for old shows higher than that of male, particularly in the field of projects supporting jobs.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ir expectancy for payment is lower than that of male old. Thirdl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living satisfaction degree for female old are more simple than those for male. While health condition, possibility for utilizing medical facilities, personal feeling of class consciousness are regarded as main factors for female, relations with family including wife, children and neighbourhood are added for male old. It shows that male old is more influenced by family and neighbour in living satisfaction, in spite female has been known as more apt to rely on their husband and children in economically and psychologically. In this study, the reason why gender must be regarded as important among the various types of difference of old aged. Due to the different conditions of female and male old, the needs and the satisfaction degrees of them are also different. The characteristic differences between them would be understood to be accumulated throughout their full life cycle, therefore their needs and problems must not be handled equally. The reason why the social welfare policies for old are unfavorable to the female , in spite of the higher proportion of female among old aged, should be explained that problems of old are handled in general, not considering the differences, in the process of formulating policies. If conditions of female old are neglected by those of male which is better comparatively, dangerous situation can be possible where unequality between them are reproduced and deepened.

      • 보호 대상 아동을 위한 가정위탁제도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조유진 상지대학교 사회복지정책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1711

        보호 대상 아동을 위한 가정위탁제도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조 유 진 상지대학교 사회복지정책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학전공 본 연구는 국내 가정위탁 제도 내 위탁가정의 실질적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이 고 현실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우리나라 가정위탁 제도의 운영 현황을 검토하고, 위탁부모와 아동에게 제공되는 지원 방안을 유형별 로 분석하여 제도적 한계와 현장의 어려움을 파악하였다. 또한, 연구에서는 가정위탁 활성화의 주요 요인으로 위탁부모에 대한 지원, 위 탁 아동의 자립 지원, 서비스 접근성 세 가지 기준을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 국, 영국, 독일의 가정위탁 정책과 제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미국, 영국, 독일의 정부 자료, 연구 보고 서 및 통계자료를 수집하고 각국의 정책과 제도를 비교 분석하여, 국내 적용 가능 성을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세 나라의 공통적 성공 요인으로는 첫째, 아동의 의견 을 정책에 적극 반영하며 아동 권리에 대한 인식과 보호를 강화한 점, 둘째, 다양 한 지원 제도를 통해 위탁가정의 정서적 및 물리적 안정을 보장하는 정책적 기반이 탄탄하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가정위탁 제도에 적합한 적용 방 안을 모색하였고, 더욱 효과적인 보호 체계로 발전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는 국내 활성화 방안을 제시할 때 실천적 함의와 정책적 함의를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먼저 실천적 함의는 직접적인 돌봄 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되어 돌봄 을 제공하는 위탁부모나 위탁가정이 아동을 수용하고 지속해서 지원할 수 있는 기 반을 마련할 수 있도록 처음 제안한 가정위탁 활성화의 주요 요인의 틀에 맞춰 위 탁부모와 가정에 대한 지원, 위탁 아동의 자립 지원, 서비스 접근성에 맞춰 위탁부 모 소진 예방 체계 구축, 맞춤형 교육 제공, 위탁종료 아동 지역적 기반 네트워크 형성, 위탁부모 간 정보교류 활성화 플랫폼 구축 방안을 제안하였고, 정책적 함의 는 이러한 개별 가정을 뒷받침하는 시스템과 정책 개선과 가정위탁의 지속 가능성 을 높이고 사회적 안전망을 강화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AI 긴급 대응 체계 구축, 위탁가정 정책 제안 간담회 제도화, 후견권 제도 보완 및 행정적 절차의 간 소화, 예산지원의 국가 책임성 강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가정위탁 제도의 효과적인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 방안을 제시 함으로써, 위탁 아동과 부모가 더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는 환경 을 조성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정책 결정자들에게 실질적 인 참고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며, 궁극적으로는 아동의 권리와 복지를 증진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주요어: 가정위탁, 위탁 아동, 위탁부모, 활성화

      • 직업군인의 군생활 실태와 복지서비스 욕구에 관한 연구 : 공군부대를 중심으로

        유기홍 상지대학교 사회복지정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1711

        Due to rapid scientific progress and social changes of today, the general structure and regulation of society as a whole is becoming more specialized. Even within the area of social welfare, not only has there been more specialization in distinct areas in response to desires following social change, but there has also been an expansion of areas of activity and specialization. The various accidents occurring within today's military organization, the problems with adjusting to military life, problems with an individual's family, and other such problems create a growing need for professionals within social welfare who professionally help with those in need or pain. Consequently, when examining the current trends of military society, military social services is required now more than ever before. Particularly, as a military organization demands more psychological strengths relative to normal society, the development of programs which helps motivate military personnel and raise their levels of psychological strengths is in demand. As such, through services which serve roles just as important as physical and coordinated education and training, military social welfare programs can help to raise military morale and psychological strengths in addition to helping resolve their various problems. Such programs will serve sufficient roles in adding to our nation's military goals of peace on the peninsula and unification. Within such a basis, this study aims to propose directions for developing systematic social service programs within air force air units by investigating the desires for welfare services through an investigation of the current satisfaction levels of professional military personnel employed as senior officials and obligatory military servicemen. A survey was conducted on 119 senior officials and obligatory military servicemen currently employed in the air force from April 1st, 2009 until April 10th, 2009.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12.0 Windows.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s that satisfaction levels were relatively lower for obligatory military servicemen aged between 20~24 and officials having served for less than 5 years, having required modernization of facilities which allows personal privacy and better guarantees for leisure activities. As for methods for resolving personal conflicts, most were shown to resolve problems by discussing with friends and colleagues. In addition, the level of recognition for social welfare personnel were high and most respondents showed a strong favor for introducing military social welfare personnel. In order to resolve such problems,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military social welfare program which works to resolve the various problems faced by air force personnel. Consequently, social welfare personnel are seen to help in military personnel within their military lives. At the same time, such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accident prevention, which in turn, will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military personnel and raise the overall reliability and faith in the Korean military. 오늘날 급격한 과학적 진보와 사회변화의 물결로 인하여 사회전반에 걸친 구조와 제도는 전문화되어 가고 있다. 사회복지의 영역에 있어서도 사회변화의 욕구에 부응하여 각각의 고유한 영역에 대한 전문화뿐만 아니라, 활동의 영역을 확대하여 그 전문성을 확립시켜 나가고 있는 추세이다. 오늘날 군조직에서 발생하고 있는 각종의 사고, 군생활을 통해서 발생되는 적응문제, 인간관계에서 오는 갈등문제, 개인의 가족이 겪는 문제 등과 같은 상황은 전통적으로 위기나 고통에 처해 있는 사람을 돕는 전문직으로서의 사회복지실천이 요청되고 있다. 따라서 현존 군사회의 추세를 볼 때, 군사회복지는 어느 때보다도 필요하고 중요하다고 본다. 특히 군조직에서 정신전력이 더욱 요구되고 군의 사기진작이 필요한 만큼 군사회복지를 통하여 사기진작과 정신전력을 높여서 군전략을 강화하는 일이 시급한 과제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군사회복지는 규범적이고 물리적인 훈육과 훈련 못지않게 실질적인 서비스를 통해 그들이 필요로 하는 문제해결과 군의 사기 및 정신전력이 증진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국방목표로서 국가를 보위하고 평화통일에 기여하는 데 충분한 역할을 감당할 수 있다고 본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공군부대 내 재직 중인 간부 및 의무복무병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직업군인의 현재 군 생활 만족도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복지서비스 욕구는 어떠한지 알아보며 공군부대의 제도화된 사회복지적인 발전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연구조사는 2009년 4월 1일부터 4월 10일까지 공군부대 내 재직 중인 현역 간부 및 의무복무병사들 중 119명을 선정하여 연구자가 수정 · 제작한 조사도구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회수된 조사 자료는 SPSS 12.0 Windows를 사용하였으며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으로 처리하였다. 분석결과 군생활 만족도는 병사들의 경우 20~24세의 연령대와 군생활 5년차 이하 부사관 계층에서는 장기복무심사 등으로 만족도가 다소 저조하고 병영생활 개선사항으로는 개인적 프라이버시가 존중되는 시설의 현대화 및 각종 근무에 따른 여가를 보장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개인 고민을 해결하는 방안으로는 친구 및 동료와의 상의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며 사회복지사에 대한 인지정도는 높고, 군사회복지사 제도 도입은 대부분 찬성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방안으로 군인의 다양한 욕구해결을 위해 반드시 군사회복지사제도 도입이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군사회복지사는 군 생활 전반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고, 사고예방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여 군인의 삶의 질이 향상되고 국민에 대한 대군 신뢰도 향상과 군에 대한 사회적 인식변화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 지역사회복지협의회의 주민교육 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 : 동해시 지역을 중심으로

        권순일 상지대학교 사회복지정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1711

        국 문 초 록 현대사회가 본격적인 지방자치시대를 맞이함에 따라 지역사회를 단위로 하는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지역사회복지의 실현은 그 지역에서 생활하고 있는 지역주민과 떼어서는 생각할 수 없다. 따라서 지역사회복지를 실현하기 위해 지역사회가 공동체로서의 기능을 회복하고, 지역사회복지가 지역주민의 욕구와 지역사회의 특성을 반영하여 긍정적인 효과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주민참여가 가장 중요한 관건이다. 주민참여를 제고하고 지역사회복지를 구현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는 지역주민의 사회복지의식이다. 이것은 지역사회복지를 전개해 나가기 위해서는 그 서비스 이용자인 지역주민의 의식 또는 사회복지 실천 활동에 참여하는 지역주민의 의식이 중요하게 여겨지기 때문이다. 지역주민의 사회복지의식을 향상시키고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주민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한 주민복지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내 복지욕구가 가능한 한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도록 상호협동, 계획 및 사회행동을 하고 있는 지역사회복지협의회에서 지역주민의 사회복지의식 향상을 위한 주민교육 운영 실태에 관하여 조사하고, 분석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주민교육 발전 및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국내․외의 문헌연구를 통해 지역사회복지의 개념을 알아보고, 지역사회복지협의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지방자치시대와 주민참여, 그리고 주민교육에 대해 정의하고 주민교육의 필요성과 실태에 관하여 정리하였고, 주민교육에 대한 인식․요구도․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고, 무작위로 추출된 동해시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설문항목에 대해 직접 기입하는 자기기입 방식을 사용하여 지역사회복지협의회의 주민교육 운영 실태에 관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주민교육 발전 및 활성화 방안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제도적 측면에서의 발전방안으로는 첫째, 급격한 사회의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일시적인 형태가 아닌 지속적인 평생교육 형태의 주민교육을 지역봉사단체와 연계하여 확대 실시해야 할 것이다. 둘째, 지방자치단체의 제도적인 지원과 관심을 통해 지역사회 내 여러 복지조직이 신속한 의사전달, 상호 협력적 정보교환 등을 통해 적절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복지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셋째, 지역주민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부응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을 충원하여 그들의 역할이 확대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프로그램 측면에서의 발전방안으로는 첫째, 지역사회의 특성과 사회적인 상황, 그리고 사회복지를 둘러싼 환경변화를 현실적으로 반영한 프로그램을 연구․개발하여 지역주민들의 다양한 복지욕구 해소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둘째, 주민들 자신에게 맞는 프로그램을 찾아서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홍보와 인지 기능을 강화시켜 접근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