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영월군 독거노인의 생활실태 및 사회복지서비스 욕구에 관한 연구 = The study of living condition and social service need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n Yeongwol Coun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2617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지방자치단체인 영월군 독거노인의 생활실태 및 사회복지서비스 욕구를 조사하고 분석함으로써 영월군의 합리적인 노인복지정책 및 사회복지서비스 수립...

      본 연구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지방자치단체인 영월군 독거노인의 생활실태 및 사회복지서비스 욕구를 조사하고 분석함으로써 영월군의 합리적인 노인복지정책 및 사회복지서비스 수립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그들에게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은 강원도 영월군 9개 읍·면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독거노인 2,274명을 대상으로 읍·면별 15%를 표본추출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농촌지역인 영월군에 거주하는 독거노인은 대다수가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건강상태는 좋지 않았습니다. 여가활동 정도가 낮았으며, 노인복지서비스에 대한 욕구는 높은 반면, 실질적인 혜택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인 독거노인의 문제인 경제, 건강, 여가, 소외 및 고독 등이 상호 연관되어 복합적으로 발생하고 있음을 잘 나타내주고 있었으며, 독거노인의 합리적인 노인복지정책 및 서비스를 수립하기 위해서는 독거노인들의 지역적 특성과 환경, 개인의 특성과 생활실태 및 서비스 욕구 등을 정확히 파악하여 서비스 지원계획 수립 및 지속적인 사례관리가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서비스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독거노인의 소득보장 및 생활지원을 강화해야 한다. 중앙정부 뿐만아니라 지방정부에서도 소득보장지원을 위한 각종 시책개발과 파악된 욕구를 반영한 개별서비스 계획수립과 수립된 계획의 실행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하겠다.
      둘째, 독거노인을 위한 건강서비스를 강화해야 한다. 지자체에서 추진하는 방문간호서비스 외에도 건강교육, 노인건강진단, 독거노인 주치의 맺기 운동, 노인 의치보철사업 등을 내실 있게 추진하는 건강서비스 강화가 중요하다고 하겠다.
      셋째, 독거노인에 대한 사회서비스를 확대해야 한다. 외부와 단절된 독거노인의 지속적인 재가복지서비스 제공과 전문적인 사례관리가 필요하고, 긴급출동, 방문상담 기능강화, 콜 센터와 연계된 상담전화기활용, 정기적인 안부전화 등 현장중심의 서비스가 요구된다.
      넷째, 여가복지시설의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개발해야 한다. 노래교실, 서예, 요가, 명상 등의 프로그램 개발과 프로그램 운영인력의 인건비 보조가 필요하며, 건강교실 등 건강프로그램 개발이 우선되어야 한다.
      다섯째, 여성노인을 위한 노인 그룹 홈 설치를 제안한다.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빈집이나 현재 살고 있는 집을 5~10명이 공동생활을 할 수 있도록 개조하여 노인 그룹 홈을 설치 지원할 것을 제안한다.
      여섯째, 독거노인을 위한 사례관리를 제도화하고, 공공복지 전달체계내의 사례관리 전담부서 설치를 요구한다.
      본 연구의 함의는 지금까지 중앙정부에서 획일적이고 일방적으로 설정한 지침에 따라 대부분의 노인복지정책이 수립되고 시행되어 왔지만, 앞으로는 지방정부가 주도적으로 노인정책을 수립하고 지역적 특수성이 고려된 프로그램을 만들고 실행하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research and analysis of the living conditions and social services need of the ultra-high-elderly community in Yeongwol County to provide a primary welfare policy and social welfare service for elderly and to offer the best suitabl...

      This study is about research and analysis of the living conditions and social services need of the ultra-high-elderly community in Yeongwol County to provide a primary welfare policy and social welfare service for elderly and to offer the best suitable plan for establishing the best services for them.
      The subject of this study included 2,274 people who are over 65 year old and living alone in 9 towns and sub-counties of Yeongwol County of Gangwon Providence with the study of 15% sampling from the towns and sub-county.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majority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n rural areas of Yeongwol County were suffering from financial difficulties and bad health conditions. Leisure activity levels were low. The study also shows that despite the high desire for elderly welfare services, real benefits were low. The general problem of finance, health, leisure, alienation, and lonelines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re mutually connected and affected one another. In order to develop a suitable welfare policy and service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understanding the specific characteristic and environment of the local as well as individual service needs must be considered and required for planning the service support plan and to continue case management for the elder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rder to improve the social welfare service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made.
      First, income security and living support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needs to be enhanced. Not just through the central government but it is also important for the local government to carry out the plan to guaranteed income support for elderly by developing and executing various development measures for the identified need which reflect the implementation of an individual service plan.
      Second, health service for elderly living alone should be strengthened. In addition to visiting nursing services from local governments to promote health education, it is also important to promote and strengthen health education and senior health checkup, designate a physician to each elderly living alone, and offer an elderly denture prosthetics service.
      Third, social service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should be increased. Elderly living alone who are isolated from the outside world needs and require continued welfare service, professional case management, emergency call response, counseling function enhancements, call center connected telephone counseling, and regular check up phone call are all field centered services.
      Fourth, develop variety of recreational welfare programs. To develop and start singing classes, calligraphy, yoga, and meditation programs by supporting program operation staff salary. Also, development of health programs and health classes should take precedence.
      Fifthly, Establishment of an elderly grouphome for elderly women is proposed. For the elderly residing in rural areas, convert an abandoned house or remodel a house currently living into a group house for 5 to 10 elderly is suggested to allow the elderly to have a commune living where they can support one another.
      Finally, installation of a specific department is requested to systematize the case management for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nd case management in public welfare delivery system.
      The implication of this research is to shift the elderly welfare policies from the uniform and unilateral guidelines of the central government to the local government to lead the initiatives, to make specific plans and to execute the elderly welfare policies in consideration of the local distinctivenes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3
      • 3. 연구의 한계점 4
      • Ⅱ. 이론적 배경 4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3
      • 3. 연구의 한계점 4
      • Ⅱ. 이론적 배경 4
      • 1. 독거노인의 개념 및 특성 4
      • 2. 독거노인의 욕구 및 문제 6
      • 3. 독거노인 대상의 사회복지서비스 9
      • 4. 독거노인 복지서비스 관련 정책의 현황 13
      • 5. 선행연구 고찰 19
      • Ⅲ. 조사방법 22
      • 1.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22
      • 2. 조사도구 22
      • 3. 자료 분석방법 23
      • Ⅳ. 분석결과 24
      • 1.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 24
      • 2. 가족사항 및 이웃관계 25
      • 3. 경제상태 29
      • 4. 건강상태 34
      • 5. 여가 및 사회활동 37
      • 6. 서비스 유형별 욕구 40
      • Ⅴ. 독거노인에 대한 사회복지서비스 개선방안 46
      • 1. 독거노인의 사회복지정책 개선 46
      • 2. 독거노인의 사회복지서비스 개선 49
      • Ⅵ. 결론 52
      • 1. 연구의 요약 52
      • 2. 연구의 함의 및 제언 53
      • 참고문헌 56
      • 부록(설문지) 60
      • ABSTRACT 6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