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시청각적 바이오피드백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에 미치는 영향

        조유진 청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으로 인한 편측무시 환자들을 대상으로 시청각적 바이오피드백 훈련과 팔 활성화 훈련을 병행하였을 때 환자들의 편측무시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편측무시가 있는 뇌졸중 환자 24명을 대상으로 한 무작위 대조 연구로 실험군 12명, 대조군 12명으로 임의 할당되었고 단일 맹검으로 설계되었다. 실험군은 시청각적 바이오피드백 훈련과 팔 활성화 훈련을 병행한 치료를 30분 실시하였고, 대조군은 팔 활성화 훈련만 30분 실시하였다. 두 집단 모두 1일 1회, 30분 씩 주 5회, 총 5주간 중재를 실시하였고 동일한 조건으로 두 집단 모두 전통적 재활치료를 실시하였다. 편측무시를 평가하기 위하여 알버트 검사, 선 나누기 검사, 사진 스캐닝 검사를 사용하였고, 일상생활동작 수행 시 관찰되는 편측무시 평가를 위해 한국형 캐서린 버지고 척도를 실시하였으며 일상생활활동의 수행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한글판 수정 바델 지수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중재 후 집단 내 알버트 검사와 한국형 캐서린 버지고 척도 항목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유의미한 향상이 관찰되었다(p<.05). 선 나누기 검사와 한글판 수정 바델 지수 항목의 경우는 실험군에서만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으며(p<.05), 사진스캐닝 검사에서는 두 집단 모두 유의미한 향상이 관찰되지 않았다(p>.05). 실험군과 대조군의 집단 간 변화량을 비교한 결과 편측무시 및 일상생활동작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05) 본 연구의 결과는 뇌졸중으로 인한 편측무시 환자에게 시청각적 바이오피드백 훈련과 팔 활성화 훈련을 결합한 중재가 편측무시 감소와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또 하나의 치료 선택사항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oth audiovisual biofeedback training and arm activation training on reduction of unilateral neglect in patients with stroke. This study was a single-blind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n 24 stroke patients with unilateral neglect. All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n=12) and control group (n=12). The experimental group underwent 30 minutes of treatment involving audiovisual biofeedback training and arm activation, while the control group only underwent 30 minutes of arm activation. Interventions for both groups were administered once a day for five days a week for five weeks, and both groups underwent traditional rehabilitation treatment under the same conditions. Albert’s Test (AT), Line Bisection Test (LBT), and Picture Scanning Test (PST) were used to assess unilateral neglect, and to assess unilateral neglect observed dur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the Korean version of the Catherine Bergego Scale (K-CBS) was administered. The Korean version of the Modified Barthel Index (K-MBI) was used to assess performance of ADL.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ha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AT and K-CBS after their respective interventions (p<.05). Only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LBT and K-MBI (p<.05), and none of the group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PST (p>.05). Upon comparison of the amount of chang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unilateral neglect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 intervention combining audiovisual biofeedback training and arm activation may be an alternative treatment to improve unilateral neglect.

      • 국내 전시회의 해외진출 경쟁력에 관한 연구

        조유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A study on the overseas expansion competitiveness of Korea exhibitions by Yujin Cho Department of Convention & Exhibition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Kyung Hee University Advised by Dr. Bong-Seok Kim In the global arena, heightened competition among nations has initiated noteworthy developments in the exhibition industry, marked by trends of internationalization, specialization, and consolidation. This evolution is driven by strategies aimed at fortifying national infrastructure to foster the development of the exhibition sector. The conspicuous global prominence of the contemporary exhibition industry’s internationalization aligns with the prevailing era of pervasive international competition in the world economy. Consequently, the exhibition sector is actively engaging in diverse initiatives to enhance its competitive edge through internationalization. Recognizing the strategic importance of internationalization, the domestic exhibition sector is also responding by augmenting its infrastructure, pursuing internationalization, and striving for larger-scale operations. Despite concerted efforts by domestic organizers to venture into foreign markets, the overseas market entry of domestic exhibitions remains comparatively subdued, primarily due to deficiencies in managerial aptitude and experiential aspects necessary for international market engagement. The activation of overseas expansion by domestic exhibitions holds the potential to bolster the competitiveness of the domestic exhibition industry, foster the growth of exhibitions, and catalyze ancillary business effects. In order to formulate strategies for the activation and expansion of the overseas expansion of domestic exhibitions, a prerequisite is to assess the competitiveness for entry into international markets. Thus, it becomes imperative to evaluate the competitive readiness of domestic exhibitions for international market entry as a prerequisite for formulating strategies geared toward fostering overseas market engagement. This research seeks to comprehend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competitiveness of the overseas expansion of domestic exhibitions and the participation performance of exhibitors in domestic exhibitions. Furthermore,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the participation performance derived from domestic exhibition exhibitors influence the participation intention of exhibitors to engage in international exhibitions. Based on prior research, the competitiveness of the overseas expansion of domestic exhibitions is defined by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levels of attendees and buyers, the capabilities of exhibition organizers, and the capabilities of exhibition organizer partners. Concurrently, the participation performance of domestic exhibition exhibitors is structured around sales performance and communication performance. The empirical foundation for this study comprises 656 valid responses from enterprises participating in the SEOUL FOOD 2023 exhibition hosted at KINTEX. Employing Smart PLS 4.0, the analytical toolkit encompass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findings affirm the substantive impact of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levels of attendees and buyers, the competencies of exhibition organizers, and the competencies of exhibition organizer partners on both sales and communication achievements of domestic exhibition exhibitors. Furthermor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has been identified between the participation performance and the participation intention of exhibitors to engage in overseas exhibitions. In tandem with hypothesis validation, an additional path analysis was conducted to ascertain the indirect effects betwe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overseas expansion of domestic exhibitions, the participation performance of domestic exhibition exhibitors, and the participation intention of exhibitors to engage in international exhibitions. Within the competitiveness of the overseas expansion of domestic exhibitions, the paths related to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levels of attendees and buyers, as well as the capabilities of exhibition organizer partner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However, the path associated with the capabilities of exhibition organizers themselves was deemed non-significant. These empirical insights hold promise as foundational knowledge for subsequent scholarly inquiries into the overseas market competitiveness of exhibitions. Moreover,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overseas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the domestic exhibition industry. Key words Exhibition, Overseas expansion, Competitiveness, Exhibitor, Participation performance, Participation intention 국내 전시회의 해외진출 경쟁력에 관한 연구 조유진 경희대학교 대학원 컨벤션전시경영학과 세계 각국에서는 국가 간의 경쟁이 심화하면서 국제화, 전문화, 대형화라는 조류 속에서 성장해가고 있으며, 전시산업 발전 전략에 의해 각 국가의 인프라 확충도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현대 전시산업의 국제화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현상이며, 국제적 무한경쟁 시대에 세계 경제의 글로벌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전시산업 역시 국제화를 통한 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펼치고 있다. 국내 전시산업도 국제화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면서 전시시설 등 인프라 확충, 전시회의 국제화 및 대형화를 추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전시회의 해외진출을 위해 국내 전시주최자들의 여러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해외시장 진입에 필요한 경영 능력 및 경험 부족 등으로 국내 전시회의 해외진출 진입이 전시산업을 선도하는 국가들에 비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국내 전시회의 해외진출이 활성화됨으로써 국내 전시산업의 경쟁력 제고, 전시회 자체의 성장 및 이와 관련된 비즈니스 활성화 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으며, 국가 이미지 및 국제적 위상 제고, 경제적 파급효과 등 국내 전시회의 적극적인 해외시장 진입으로 기대할 수 있는 효과는 매우 크다. 이에 국내 전시회의 해외진출 활성화 및 확대 방안 강구를 위해서는 해외시장 진입을 위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지에 대한 파악이 선행되어야 한다. 국내 전시회가 해외진출을 위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이와 관련된 심층적인 연구가 수행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전시회의 해외진출 경쟁력 요소와 참가업체의 국내 전시회 참가 성과 사이의 영향 관계에 대해 파악하고, 나아가 국내 전시회 참가로 얻은 성과가 참가업체의 해외 전시회 참가 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국내 전시회의 해외진출 경쟁력은 참관객 및 바이어 양적/질적 수준, 전시주최자 역량, 그리고 전시주최자 파트너 역량으로 설정하였으며, 국내 전시회 참가 성과는 판매성과와 커뮤니케이션 성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킨텍스(KINTEX)에서 개최된 SEOUL FOOD 2023 전시회의 참가업체가 응답한 총 656부의 유효표본을 활용하였다. 해당 유효표본을 Smart PLS 4.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 시행 결과 국내 전시회 해외진출 경쟁력인 참관객 및 바이어 양적/질적 수준, 전시주최자 역량 및 전시주최자 파트너 역량이 국내 전시회 참가 성과인 판매성과와 커뮤니케이션 성과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판매성과 및 커뮤니케이션 성과가 참가업체의 해외 전시회 참가 의도 간의 영향 관계도 유의한 것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가설 검증에 더해 국내 전시회 해외진출 경쟁력, 국내 전시회 참가 성과, 참가업체의 해외 전시회 참가 의도 간의 Indirect effect 파악을 위해 추가 경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국내 전시회 해외진출 경쟁력 중 참관객 및 바이어 양적/질적 수준 및 전시주최자 파트너 역량의 경로는 유의하나, 전시주최자 역량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전시회의 해외진출 경쟁력과 관련된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에 기여할 수 있으며, 국내 전시산업의 해외진출 및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핵심 용어: 전시회(Exhibition), 해외진출(Overseas expansion), 경쟁력(Competitiveness), 참가업체(Exhibitor), 참가 성과(Participation performance), 참가 의도(Participation intention)

      • 구강암세포 성장조절을 위한 neuron-restrictive silencer factor의 신기능 연구

        조유진 조선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47

        The neuron-restrictive silencer factor/repressor element 1-silencing transcription factor (NRSF/REST) is originally discovered as a transcriptional repressor of neuronal genes in non-neuronal cells. It was recently reported to be abundantly expressed in some aggressive types of cancer cells, as well as in mature neurons. The functions of NRSF/REST have been extensively studied in a variety of cancers. However, the roles of NRSF/REST have not been clearly elucidated. The principal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role of NRSF/REST in a human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cell line, KB cells. NRSF/REST was expressed abundantly in KB cells compared with normal human oral keratinocytes (NHOKs). Cell viability was reduced significantly by the knock-down of NRSF/REST expression using specific siRNA in a time-dependent manner in KB cells, but not in NHOK cells. Caspases-3, 7 and 9 were activated dramatically by the knock-down of NRSF/REST only in KB cells. Moreover, DNA fragmentation was induced after the knock-down of NRSF/REST in KB cells. The phosphorylation of mTOR was downregulated significantly by the knock-down of NRSF/REST in KB cells, but not in NHOK cells. Additionally, the phosphorylation of 4E-BP1, eIF4E, and eIF4G--the downstream target molecules of mTOR--were also reduced by NRSF/REST knock-down in KB cells. Furthermore, the reduction of the phosphorylation of mTOR downstream targets due to raptor expression was attenuated by NRSF/REST knock-down. The levels of eIF4G were reduced significantly in the binding affinity of eIF4G to the mRNA 5'-cap as the result of NRSF/REST knock-down. Interestingly, NRSF/REST was co-immunoprecipitated with mTOR and raptor in recombinant NRSF/REST over-expressed KB cells. These results imply that NRSF/REST may regulate the mTOR signal pathway through interaction with mTOR/raptor complex in KB cells; underexpression of NRSF/REST can induce the apoptosis of KB cells; this is a novel function of NRSF/REST. Neuron-restrictive silencer factor/repressor element 1-silencing transcription factor (NRSF/REST)는 원래 비신경세포에서 신경 유전자들의 전사 억제자로 발견되었다. 최근, NRSF/REST가 성숙한 신경에서와 같이 몇몇 난치성 암세포에서 높게 발현됨이 보고되었으며, 다양한 암에서 NRSF/REST의 기능이 폭넓게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구강암 세포에서의 NRSF/REST의 역할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수행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구강암세포주인 KB 세포에서 NRSF/REST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NRSF/REST는 정상 구강세포인 NHOK 세포에 비해 구강암세포인 KB 세포에서 높게 발현되었다. KB 세포에서 siRNA assay법으로 NRSF/REST의 발현을 감소시키면 NHOK 세포와는 달리 세포 생존율이 감소되었고, 이는 세포사멸(apoptosis)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KB 세포에서 NRSF/REST의 발현이 감소되면, mTOR의 인산화가 뚜렷하게 감소되었고, mTOR의 하위 목적유전자인 단백질 번역에 중요한 작용을 하는 4E-BP1, eIF4E, eIF4G의 인산화 역시 감소되었다. 또한, raptor의 발현 감소 및 eIF4G의 mRNA 5'-cap에 대한 결합도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면역침강 실험 결과에 의하면, NRSF/REST가 mTOR 및 raptor와 서로 복합체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구강암세포주인 KB 세포에서 NRSF/REST가 mTOR/raptor 복합체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mTOR 신호전달경로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NRSF/REST의 발현 억제 시 KB 세포의 세포사멸이 야기됨을 알 수 있었고, 이는 NRSF/REST의 새로운 기능이다.

      • 외식소비자의 건강관심도가 HMR 선택속성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조유진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급속한 경제 성장과 국민의 소득향상, 대중매체의 발달과 교육수준의 향상 등으로 건강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게 되었으며, 경제적인 여유로 인하여 생활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건강하고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외식 소비자의 욕구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소비자들은 코로나 19 이후 재택소비가 일상화되었으며, 식생활의 소비패턴이 편의성과 영양성 모두를 추구함에 따라 식사 준비에 대한 시간과 노력을 줄여주고 건강까지 유지하는 가정간편식(Home Meal Replacement)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외식시장의 주요 쟁점인 소비자의 건강관심도와 사회적인 변화에 따라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HMR의 선택속성과 구매의도의 관련성을 도출하고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자신의 건강에 관심을 가지는 소비자들이 HMR 제품을 선택하고 구매향상을 위한 비즈니스와 마케팅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설계된 연구가설 검증을 위해 HMR 이용 경험이 있는 20∼60대까지의 성인을 대상으로 2023년 8월 15일부터 8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글 설문지를 작성하여 링크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250부, 자기기입식 설문조사 50부를 회수하였으며, 이 중 불성실한 답변 13부를 제외한 283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HMR의 이용행태는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통하여 측정항목의 타탕성과 신뢰도를 확인하였으며,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요인의 상관성과 가설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외식 소비자의 건강관심도가 HMR 선택속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HMR 선택속성이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건강에 관심이 있는 외식 소비자는 HMR의 선택속성을 고려하여 제품을 구매하려는 의도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외식·식품기업들은 HMR의 시장이 점점 확대됨에 따라 소비자들이 제품을 선택할 수 있는 폭이 넓어져 고객층을 좀 더 세분화하여 제품을 개발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를 통하여 건강에 관심이 있는 소비자의 유형의 경우 외모를 추구하고, 삶의 윤택함을 추구하며, 유행에 뒤처지지 않는 개인별 맞춤식 제품을 개발 생산하여야 한다. 또한, 이러한 제품들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다양하고 차별화된 마케팅과 전략적인 판매 활동을 통하여 소비자들의 지속적인 구매를 유도하는 것이 필수적인 요건임을 시사한다. Due to rapid economic growth and increased income, more people now prioritize their health. Thanks to improved education and widespread media, individuals are mo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safe and nutritious food. With the COVID-19 pandemic leading to more time spent at home, consumers are seeking convenient yet healthy food options. This trend has significantly boosted the Home Meal Replacement market, offering easy-to-prepare meals that align with health goals. As people aim to balance nutrition and convenience in their diets, this market continues to grow, catering to the needs of those looking for healthy eating without the hassle of extensive meal preparation. This research aimed to explore how the expanding selection features of Home Meal Replacement (HMR) relate to consumers' intentions to purchase, considering the backdrop of significant social changes in the food service market. The goal was to provide valuable insights that could assist health-conscious consumers in making informed choices when selecting and buying HMR products. By investigating the connection between evolving HMR attributes and consumer purchase intentions in the context of broader societal shifts, this study sought to offer meaningful implications to guide consumers interested in prioritizing their health towards optimal selections within the HMR product spectrum.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is, a survey was carried out between August 15 and August 30, 2023. It involved adults aged 20 to 60 who had experience using Home Meal Replacement (HMR) products. A total of 300 survey copies were distributed, with 250 completed through a Google questionnaire link and 50 via a self-administered method. Out of these, 283 respons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fter discarding 13 responses due to inconsistencies. The gathered data underwent analysis using the SPSS 25.0 softwar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and their HMR usage patterns were examin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dditionall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tests were conducted on the measurement items. The relationships between different factors were assess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while the research hypothesis was test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revealed a notabl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concerns and the selection attributes of Home Meal Replacement (HMR) products. Moreover, it was established that these selection attributes significantly influenced consumers' intentions to purchase HMR items. This indicates that individuals who prioritize health considerations tend to express a clear intent to buy HMR products based on the specific attributes these products offer. In essence, the study highlighted that consumers interested in maintaining their health are inclined to consider and value the features of HMR products when making purchase decisions. As the Home Meal Replacement (HMR) market grows, restaurants and food companies need to develop products more specifically to meet the needs of different groups of customers. Research findings suggest that health-conscious consumers focus on looks, a better quality of life, and personalized products that stay up-to-date with trends. Thi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reating and producing such customized items. Additionally, it's crucial to encourage ongoing purchases by making these products easy to find through diverse marketing and smart sales tactics.

      • 커피 전문점의 브랜드 자산이 고객만족과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조유진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oday, coffee is an item consumed more frequently than rice. The average coffee consumption of Korean adults is 353 cups per year, which clearly demonstrates the rapid growth of the Korean coffee consumption market. As of the end of 2021, the number of coffee shops has increased to 80,000 with intensifying competition. To gain the upper hand in the fierce competition, coffee shops must provide differentiated services to satisfy customers. As the significance of brand equity rises, the interest in the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brand loyalty is also growing. Therefore, this study composed brand equity with brand awareness, brand image, and brand reliability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coffee shop's brand equity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brand loyalty. The independent variable in this study is brand equity, and the sub-factors of brand equity are analyzed with brand awareness, brand image, and brand reliability through prior research review. The dependent variable was set as a single variable of brand loyalty. Research models and hypotheses were established by extracting variables based on existing research. To analyze thr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and test hypotheses, the survey targeted ordinary people who had used coffee shops at least once, and a total of 150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2.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results of the hypothesis test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mpany's innovation capabilities have positively impacted entrepreneurship. Second, the company's innovation capabilities have positively impacted its growth intentions. Third, entrepreneurship has had a positive impact on growth intentions. Finally, entrepreneurship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 company's innovation capabilities and growth intention. First, the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 of brand equity on customer satisfaction showed that among the sub-factors, brand image and brand reliabilit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while brand awareness does not have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Second, the verification results on the effect of brand equity on brand loyalty showed that brand awareness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brand loyalty while brand reliability does not. To sum up,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at brand equity (brand awareness, brand image, brand reliability) partially affects customer satisfaction and brand loyalty. This means that in order to strengthen the brand equity of a coffee shop, it is necessary to intensively manage the brand image among sub-factors of the brand equity. 오늘날 커피는 쌀밥보다 더 자주 소비하는 품목이다. 우리나라 성인의 커피 평균 소비량은 연간 353잔으로 우리나라 커피 소비 시장의 가파른 성장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다. 2021년 말을 기준으로 커피 전문점이 8만여 개로 늘어나며 경쟁이 거세지고 있다. 치열한 경쟁에서 우위를 가지기 위해 커피 전문점은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여 고객을 만족시켜야 한다. 브랜드 자산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고객만족과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관심 또한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브랜드 자산을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신뢰도로 구성하여 커피 전문점의 브랜드 자산이 고객만족과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독립변수는 브랜드 자산이며, 브랜드 자산의 하위요인을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신뢰도로 구성하였다. 종속변수는 브랜드 충성도 단일 변수로 설정하였다. 기존 연구를 토대로 변수들을 추출하여 연구 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변수들의 관계 분석과 가설 검정을 위해 커피 전문점을 최소 1회 이상 이용한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총 150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22.0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브랜드 자산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증 결과 브랜드 자산의 하위 요인인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신뢰도는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브랜드 인지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브랜드 자산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증 결과를 살펴보면, 브랜드 인지도와 브랜드 이미지는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브랜드 신뢰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종합하자면 브랜드 자산(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신뢰도)은 부분적으로 고객만족 및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커피 전문점의 브랜드 자산을 강화하기 위해서 브랜드 자산 중 브랜드 이미지를 집중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성별에 따른 화장 이미지와 화장 색채 선호도 비교연구

        조유진 영산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부산, 경남지역 20∼30대 남∙녀의 메이크업 이미지, 색채 선호도에 따른 비교를 통하여, 성별에 따라 선호하는 화장이미지와 화장색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선호하는 화장이미지가 화장 색채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 경남 지역에 거주하는 20, 30대로 한정시켰으며, 자료조사는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연구법에 의해 이루어졌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0.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사용한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서는 20대의 미혼 여성이 많았으며, 직업군에서는 학생인 조사대상자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학력은 대학 졸업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은 대학교 졸업 순으로 나타났다. 월 소득에서는 100만원 미만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 대상자의 화장 인식도에서는 사회적으로 외모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여성의 화장교육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미지 변신 시 화장의 중요도 또한 남성과 여성 모두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 이미지 변화와 화장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부위로는 남녀 모두 눈을 선택하였다. 셋째, 조사 대상자의 선호하는 화장 이미지에서는 남성과 여성 모두 자연스럽고 내추럴한 화장을 선호하였으며, 선호하는 피부화장 또한 남녀모두 깨끗한 피부표현을 가장 선호하였으나 남성은 그 이외의 항목은 차이가 없었지만 여성은 피부 톤 보정도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점에서 차이를 보여 직접적으로 화장을 하는 여성은 피부 톤, 잡티보정 등 다양한 부분의 피부표현에 신경을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선호하는 이미지에서 남성은 자연스럽고 사랑스러운 이미지를 선호하는 반면에 여성은 커리어우먼의 이미지를 선호함으로써, 여성의 사회진출이 늘어남에 따라 조금 더 전문적인 여성의 이미지로 비추어지길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사대상자의 화장색채 선호도에서는 남녀 모두 자연스러운 브라운계열을 선호하였으며 선호하지 않는 눈 화장 색상에서 남성은 블루계열을, 여성은 그린계열을 선호하지 않는 점에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선호하는 화장 질감에서는 눈 화장은 남녀 모두 매트한 질감을 선호하였으며, 선호하는 입술 질감에서는 남녀 모두 글로시한 질감을 가장 선호하였지만 남성은 매트한 질감을 가장 선호하지 않았으나 여성은 쉬머한 질감을 가장 선호하지 않는 부분에서 차이를 보였고, 피부화장 질감에서도 남녀 모두 쉬머한 질감을 선호하는 부분에서는 동일하였으나 남성은 매트하나 질감과 글로시한 질감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여성은 매트한 느낌의 질감을 가장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연구결과에서는 보는 바와 같이 20∼30대 남∙녀의 화장 이미지와 화장 색채 선호도에 대해 알아보았을 때 선호하는 피부화장 표현방법과 선호하지 않는 눈 화장 색상, 입술화장 선호 색상, 선호하는 화장 질감 부분에서 남녀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보았을 때, 화장 산업에서 메이크업 아티스트도 다양한 방법과 테크닉의 눈 화장 방법을 인지하고 있고 소화해 낼 수 있어야 하며, 화장 제품의 다양한 마케팅 전략과 발전에 기여하며, 도움이 될 만한 자료가 될 것 이라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preferences for make-up images and colors that men and women in their 20s who were residing in Busan and Gyeongnam were showing, determining how young people's preferred make-up images and colors are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gender.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er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men and women in their 20s to 30s who were residing in Busan and Gyeongnam. Data from the survey were analyzed through the frequency analysis and the cross tabulation analysis in accordance with the SPSS 20.0 Statistical Package.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ncern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most of the subjects were single women in their 20s. Most of the participants were junior college graduates, followed by college graduates. Second, concerning the subjects' perception about make-up, women were more likely to receive make-up education as lots of social attention was being paid to appearance. The participants, whether male or female, agreed that make-up plays an important role in changing images. They also responded that eyes are a body part that has the biggest influence on making their images changed irrespective of gender. Third, the subjects, whether male or female, preferred make-up that presents natural images. They most preferred a clean skin expression irrespective of gender. However, women paid more careful attention to their skin expression in many respects including skin tone and blemish removal. Men wanted more that images presented by make-up are natural and lovely. While, women preferred images that make themselves look like a career woman. In other words, women wanted themselves to be imaged more professional as they were more and more advancing into society. Fourth, in terms of preference for make-up colors, both the surveyed men and women most preferred colors of blue tone. Men least preferred eye make-up colors of blue tone, while women, those of green tone. Fifth, concerning preference for make-up texture, both the surveyed men and women most preferred their eyes to be textured mat by make-up. And all of them most wanted their lips to be textured glossy by make-up. In detail, the men least preferred making up their lips to be textured mat, while women, shimmery. Irrespective of gender, all the participants most preferred their skin to be textured shimmery by make-up.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young people in their 20s to 30s are different in preference or non-preference for make-up images and colors, skin make-up methods, eye make-up colors, lip make-up colors and make-up textures in accordance with gender. Thu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information that can help artists of the make-up industry recognize the need of understanding and digesting various methods and techniques of eye make-up and contribute to establishing and developing strategies for marketing make-up goods.

      • 9시 등교제와 학교도서관 활성화방안 탐색 : 강원도 삼척지역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조유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9시 등교제’란 9시 이후에 정규 수업을 시작한다는 의미로 학생들의 정서적․체력적 한계를 고려하여 정상적인 교육 운영을 도모한다는 취지로 도입된 교육 시스템이다. '9시 등교제'는 학생들의 아침시간이 여유 있어지고 부족한 수면시간을 보충하고 가족들과 아침식사를 함으로써 정서적으로도 안정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부모의 아침 시간에 맞추어 자녀를 일찍 등교시켜야 하는 경우도 있어서 일찍 등교한 학생들을 위한 아침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강원도 삼척시에 소재한 5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9시 등교제' 시행 실태와 만족도, 조기등교생들이 등교 후 정규교과 수업이 시작되기 전에 참여하는 프로그램들을 조사하였으며, 그 중에서 학교도서관 활용 프로그램의 실태와 참여 학생의 효과 인식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9시 등교제'가 시행되었으나 애초 정책의 의도와는 달리 학생들의 등교 시간은 늦어지지 않고 예전과 동일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사와 학생은 모두 '9시 등교제'를 적극적으로 찬성하고 있었다. 또한, ‘9시 등교제’로 인한 대다수의 조기 등교생들이 아침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 참여하는 아침프로그램은 독서활동, 신체활동, 학습활동, 음악활동, 자율활동 등으로 다양하였으며 참여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학업성취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 '9시 등교제' 시행과 관련하여 학교 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독서 교육 프로그램 외에 독서 행사 프로그램, 문화 프로그램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프로그램의 활성화 요소로 프로그램의 재미, 다양성, 유익 등이 전제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용히 앉아서 하는 독서보다는 동적인 체험활동을 더 좋아하는 초등학생들의 특성을 살려서 체험 위주의 독서활동 운영이 필요하다. 둘째, 친구와 함께 하는 독서동아리 모임, 주인공에게 편지쓰기, 책 이어쓰기, 시 낭송 등 자기가 참여하고 싶은 프로그램의 참가를 통해 독서를 즐거운 것으로 인식하고, 독서 습관 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 셋째, 문턱이 낮은 도서관을 만들기 위해 먼저 정감 있고 이용에 편리한 도서관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이상과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9시 등교제’로 인한 조기 등교생 실태와 그들이 필요로 하는 아침 프로그램의 유형이 조사되어야 하고, 교육청 차원에서 지역과 학교의 특성을 고려한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운영되어야 하며, 학교도서관 활용에 따른 재정과 인력 확보 등에 대한 정책적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오고 싶어 하는 학교 도서관을 만들기 위해 외국의 좋은 도서관과 한국의 학교 도서관을 비교하는 연구나, 전문가뿐 아니라 학생과 교사들이 원하는 학교 도서관에 관한 연구, 학교 도서관에 정규직 사서를 배치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연구, 필요한 재정과 인력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한 연구 등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 삼각관계, 자아분화, 대인관계문제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조유진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 삼각관계, 자아분화, 대인관계문제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도, 충청도 등 지역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37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일부 답변이 누락되거나 불성실한 답변인 63부를 제외하고 성실하게 응답한 온라인 설문지 307부를 최종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Pearson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 25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연구문제에서 제시된 변인들 사이의 인과관계와 영향력의 크기를 분석하였다.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을 실시하였고 구조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하게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조모형 검증을 통해 확인한 변인 간 직접효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먼저, 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에서 삼각관계로 가는 경로 및 삼각관계에서 대인관계문제로 가는 경로는 모두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한편, 부모의 부부갈등에서 자아분화로 가는 경로 및 자아분화에서 대인관계문제로 가는 경로는 모두 부적으로 유의하였다. 삼각관계에서 자아분화로 가는 경로도 부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반면, 유일하게 부모의 부부갈등에서 대인관계문제로 가는 경로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둘째, 부트스트랩 검증을 통해 확인한 변인 간 간접효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먼저, 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에서 삼각관계는 완전매개 하였다. 즉, 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은 대인관계문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삼각관계의 매개를 통해 대인관계문제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 삼각관계의 매개작용이 부부갈등과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력을 더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에서 자아분화는 완전매개 하였다. 즉, 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은 자아분화의 매개를 통해서만 대인관계문제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자아분화의 매개작용이 부부갈등과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력을 낮추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에서 삼각관계와 자아분화는 순차적으로도 완전매개 하였다. 부모의 부부갈등을 자녀가 높게 지각할수록 부모-자녀 간의 높은 삼각관계가 형성되고, 이러한 선행요인들의 영향은 대학생 자녀로 하여금 낮은 자아분화수준을 갖게 하여서 결국 높은 대인관계문제를 갖게 할 수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부모의 부부갈등은 대학생 자녀의 대인관계문제를 직접적으로 발생시키는 선행요인으로 작용하지는 않지만, 삼각관계 및 자아분화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통해 결국은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학생 상담에서는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를 지원하기 위해 부모-자녀와의 관계에서 건강한 탈삼각화와 높은 자아분화 수준을 형성하도록 돕는 접근이 우선적으로 유용함을 알 수 있다.

      • 소방안전윤리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조유진 원광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빠른 성장 위주의 정책추진으로 급속한 경제발전을 이룬 나라다. 이 때문에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했다. 내실보다는 외형을 중요하게 여기고, 과정보다는 결과물을 중요하게 여기는 풍토가 전반적으로 깔렸다. 각종 사고가 발생하는 가운데 삼풍백화점 붕괴(1995년. 502명 사망), 세월호 침몰(2014년, 304명 사망),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2017년, 29명 사망)와 같이 현장 안전 관리자와 시민들의 비윤리적인 행동으로 인해 사고가 대형화 되어 인명과 재산의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재난상황에서의 윤리적인 선택과 행동, 올바른 시민의식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안전에 있어서 국민들의 윤리의식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교육이 필요하다. 안전을 습관화하기 위해서는 어려서부터 지속적인 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하지만, 우리나라 소방안전교육은 교과서적인 이론에 지나치게 치중되어 위기상황 발생 시 대처능력이 부족하고, 안전교육 유관기관과 학교간의 연계체계가 미약하며 반복적인 안전교육이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무엇보다 인간을 배려하는 마음에 대한 윤리성이 함양된 교육이 제대로 연계되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지금까지 각종 재난현장에서의 대처 방법을 위해 법적으로만 소방안전교육을 받도록 하고, 그 내면을 살펴보지 않았다면 이제는 재난 상황에서의 어떻게 행동하는 것이 윤리적으로 적합한가를 고민하고 소방안전교육의 방향을 다시 한 번 설정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재난 상황에서 도덕적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윤리적 차원의 올바른 습관’을 형성하는 소방안전윤리교육의 필요성과 그 정착 방안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현재 소방안전교육의 문제점들과 새로운 윤리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문헌조사, 사례분석, 델파이 설문조사 방법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자료를 토대로 소방안전윤리교육의 목표와 소방안전윤리교육의 방법에 대해 제시하였다. 소방안전윤리교육은 재난 상황에서의 행동양식에 있어 인간의 존엄성과 고귀함에 대한 의식을 고양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 각 급 학교에서는 참여와 활동 중심의 소방안전윤리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직접 참여하고 활동함으로서 재난상황에서의 피난방법을 습득하는 등 올바른 행동변화로 스스로 이끌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구체적인 사례를 통한 안전교육과 덕목과 원리 중심의 소방안전교육을 접목시킴으로서 실제 재난상황에서 윤리적인 행동양식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소방안전윤리교육이 정착되고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제반사항이 따라주어야 가능하다. 첫째, 학교에서는 어려서부터 ‘안전’에 관한 윤리적 자세를 교육해야 하며, 구체적으로 소방안전에 있어 윤리를 접목시켜 배울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소방안전교육을 법적으로 의무화하여 독립된 교과목으로 편성, 반복적인 재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내용적 측면에서는 기본적으로 개인의 덕성과 역할이 강조되어야 할 것이며 정직, 책임감, 공동체 의식과 같은 덕목들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소방관서에서는 소방안전윤리교육의 목적을 달성하며, 안전윤리 개념 정립 및 책임감 향상을 초점으로 하여 교안 등을 재정비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소방본부와 소방서에 교육 전담부서를 신설 및 소방안전교육사 등을 전담자를 통한 교육을 실시해야 하며, 전담자의 윤리성 함양 및 교육의 질적인 면을 향상시켜야 한다. 셋째, 이를 위해서는 정부에서 소방안전윤리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 정착을 위해 적극적인 재정 및 정책을 지원해야 한다. 본 논문은 소방안전윤리교육 방향을 제시함에 있어 구체적인 교육 프로그램 및 방법상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며 이 부분은 좀 더 연구해 볼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실제 소방안전윤리교육 상 도덕교육에 대한 부분은 더욱 폭넓고 깊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차후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향으로 더 향상된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