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검도의 원리와 작용 : 검도, 無心·平常心의 不二門과 그 발현

        유기홍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검도의 원리와 작용: 검도, 無心·平常心의 不二門과 그 발현 국제뇌교육대학원대학교 동양학과 유 기 홍 검도를 수련하는 목적은 무엇일까? 원리 없이 검도의 동작이 작동되어질까? 검도에는 칼 활용 기술, 전술뿐만 아니라 다른 무엇이 깃들어 있음을 검도 고전(古典)을 통해서도 유추할 수 있다. 검도 고전은 검도를 설명함에 선의 용어를 사용했다. 검도의 고전은 선의 용어인 무심, 평상심 그리고 살인검, 활인검으로 검도를 소개했다. 검도의 고전과 검도 텍스트, 최근 연구에서도 무심· 평상심과 살·활, 그리고 살인도·활인검이라는 선의 용어로 검도를 해석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검도의 고전과 현대의 연구물은 검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선의 용어를 알아야 한다는 점을 의식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현대 연구들이 ‘무심’과 ‘평상심’으로 검도를 정리하려는 시도는 긍정적으로 평가할 만하다. 문제는 이들 연구 대부분이 제시한 선의 용어가 본래의 의미와는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런 점에서 ‘무심’과 ‘평상심’의 본래 의미를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검도를 해석할 필요가 있다. 검도는 외적 작용으로 본다면 공격과 방어(攻防), 움직임과 정지(動靜), 나아감과 물러남(進退)의 끝없는 상호 순환작용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동아시아 사유에서 강조되는 체(体)·용(用)과 정(靜)·동(動)이 내재되어 있는 것이다. 체·용과 정·동을 선에서는 ‘무심’· ‘평상심’으로 표현한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를 극복하기 위해 다음의 과정을 거친다. 먼저 무술이나 칼 이외에, 검도에 깃든 다른 무엇을 모색할 것이다. 세부적으로는 먼저 검도에 내재된 원리를 구명하기 위해(Ⅰ,Ⅱ) “무심”과 “평상심”, “살(殺)”과 “활(活)”, 그리고 “살인도(살인검)”와 “활인검”을 알아볼 것이다.(Ⅲ) 그 다음에 무심·평상심, 살·활, 살인도·활인검이 검도에 어떻게 발현하는지를 조명해 볼 것이다.(Ⅳ, Ⅴ) 그리고 원리에 입각하여 현행 검도 실제를 반성하고 그 대안을 제시할 것이다.(Ⅵ) 선어록에서는 무심과 평상심을 이렇게 정리했다. 황벽은 “무심이 도”라 했고, 마조는 “평상심이 도”라고 했다. 고봉은 “평상심과 무심이라는 말이 몇 사람이나 성취시켰으며, 몇 사람이나 그르쳤겠는가?”라고 반문했다. 보통 사람들에게는 무심과 평상심이라는 용어가 둘로 나뉠 것이고, 대부분의 검도 연구는 무심과 평상심을 나누어 보고 있다. 무심과 평상심을 정리해보자. 무심도 도이며, 평상심도 도이다. 무심은 평상심으로 드러나기 때문에 도이고, 평상심은 무심에 근거했기 때문에 도이다. 선문에 ‘무심 따로 평상심 따로’, ‘부처 따로 중생 따로’는 없다. 무심과 평상심을 나누어 본다는 것이 중생심이고, 본래부처에 대한 불신이다. 무심과 평상심은 나누어 진 것이 아니고 같은 것의 다른 표현일 뿐이다. 무심은 ‘평상(平常)’의 모습으로 드러나기 때문에 무심이며, 평상심은 무심을 근거하고 있기에 평상심이다. 분별하면 중생이고, 분별을 극복하면 부처이며, 분별을 극복한 접근이 불이문(不二門)이다. 선문은 “머무르지 않고, 그 마음을 내어야 한다(應無所住而生其心).”를 강조한다. 어디에 집착하거나 고정되어 있지 않는다.’라는 뜻이다. 마음은 발현되어야만 된다. 머물러 있으면 이는 죽은 마음이다. 살아 있는 마음이란 언제든 상황에 맞게 발현되어야 한다. 이렇게 되어야 무심에서 평상심으로 발현되는 것이다. 무심을 회복하기 위한 장치가 “살”이고, 살을 통해 평상심이 구현되는 상태가 “활”이다. 검도와 무심·평상심의 관계를 탐구하자. ‘동정을 내포한 무심’자는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반응할 수 있다. 하지만 ‘정만을 내포한 무심’자는 외부의 공격에 곧바로 반응할 수 없다. ‘정만을 내포한 무심’자는 가짜 무심이며 살인검을 행할 수 없다. 타격이 이루어질 수 없는 무심이고, 살인검의 대상이 될 뿐인 무심이다. 중단에서 상대의 공격에 대한 대응이 없다면 죽은 중단이다. 엄밀하게 말한다면 중단이라 할 수 없다. 진정한 무심이 되기 위해서는 상대의 반응에 바로 저절로 대응되어지는 중단을 지켜야하고, 즉시 반응할 수 있는 무심이 되어야하기 때문이다. 외부의 자극에 대해서 내면의 흔들림 없는 상태가 무심이다. 진정한 무심이 되기 위해서는 상대의 공격으로부터 언제든지 반응이 일어날 수 있어야 한다. 살의 정확한 의미는 “죽이기”가 아니라 “제거하기” 이며, 활의 정확한 뜻은 “살리기”가 아니라 “회복하기”이다. 외부의 공격이나 반격에서 무심의 상태가 깨졌다면 일깨워주어야 한다. 검도에서 살인검이란 서로의 흔들림에 대한 가르침이며 서로의 완벽함을 추구하기 위한 행위이다. 서로에 대한 흔들림을 지적하여 바로잡아 상호간의 마음의 중심을 유지해 주기 위함이어야 한다. 다음으로 살·활, 살인도·활인검을 알아보겠다. 죽어야 다시 살아난다는 것은 살(殺)을 통해서 활(活)을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사람을 죽이기도 하고 살리기도 하는 칼(殺人刀·活人劍)”이란 육신을 상하게 하는 칼이 아니라. “기존의 습관과 관성”, 탐진치에서 바로 벗어나게 하기 위한 관문이다. “기존의 습관과 관성”, 탐진치에서 바로 벗어나면 본래의 자기, 본래면목을 회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살인도는 곧 활인검을 지향하며, 활인검은 살인검을 수반한다. 곧 살인도와 활인검은 같은 목적을 실행하기 위한 방편이어서 둘로 쪼개지지 않는다. 살인도와 활인검은 누군가가 의도해서 작동하는 것이 아니고 “온전한 기틀과 큰 작용” 그리고 무심과 평상심이 “저절로 발현되어지는 것”이다. 학인이 스스로 기존의 자아를 내려놓는다면 선지식은 살인도, 활인검을 휘두를 필요가 없다. 검도의 지향을 줄탁동시(啐啄同時)로 정리할 수 있다. 수행하는 사람이라면 줄탁동시의 안목을 갖추고 줄탁동시의 작용이 있어야만 비로소 납승(衲僧)이라 일컬을 수 있다. 이는 마치 어미닭이 쪼려 하면 병아리도 쪼지 않을 수 없고, 병아리가 쪼려고 하면 어미닭도 쪼지 않을 수 없는 것과 같다. “검도하는 사람이라면 줄탁동시(啐啄同時)의 안목을 갖추고 줄탁동시의 작용이 있어야 비로소 검도하는 사람이라 일컬을 수 있다. 살인검과 활인검은 외형적으로는 둘로 보이지만 살인검을 행하는 순간이 바로 활인검이 드러나는 순간이어야 한다. 줄탁동시는 “살인검·활인검 불이문”의 다른 표현이다. 무심과 평상심으로 검도의 본(本)과 기술을 해석해보겠다. 검도의 본은 활동과 고요함으로 구성되었다. 검도에서 정은 동을 내포하고 있고, 동은 정을 내포하고 있다. 검도 본의 공격과 방어, 기술 구사는 평상심의 표현이며 용으로 묘사할 수 있고 운동과 발현을 그 특성으로 한다. 본의 시작부터 종료까지 존심(存心), 무심은 유지되어야 한다. 검도 본의 중단(中段)과 기술 구사, 정지와 활동의 원리는 “체/용, 무심/평상심의 불이문, 살인검/활인검의 불이문”으로 정리할 수 있다. 검도의 본은 살인검·활인검의 불이문을 실행하기 위한 수련이어야 한다. 살인검 없이 활인검이 나올 수 없고, 활인검이 전제되지 않은 살인검은 있을 수 없다. 검도에서의 살·활이란 서로 간에 무심의 상태가 지속 될 수 있도록 서로 가르침을 주고받음이다. 그리하여 평상심이 저절로 발현할 수 있도록 상대를 배려해 주는 행위이어야 한다. 상대의 무심이 깨졌다면 이를 지적하여 상대로 하여금 알아차리게 해주는 것이 살인검이며 활인검이다. 이는 무심이 깨진 상태를 살인검을 통해 상대가 흔들림을 알아차리게 해 주는 것이다. 상대의 ‘흔들림이 제거’되었다는 것은 무심의 상태로 회복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진정한 타격이란 살인검을 통해 다시 동정이 회복된 무심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살인검을 행한 자는 상대의 흔들리는 무심을 알아차리게 해 주었기 때문에, 살인검을 통해 활인검을 행한 것이다. 검도에서 무심이 평상심으로 온전하게 발현되었음을 의미하는 용어가 “기검체일치(氣劍體一致)”이다. ‘기·검·체’의 하나 됨도 인위적으로 맞추는 것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맞추어지는 것이다. 본바탕(体)이 없는 작용(用)이 있을 수 없고, 작동하지 않는다면 본바탕이라 할 수 없다. 무심은 체의 다른 표현이며, 고요함을 특성으로 삼는다. 평상심은 용의 다른 표현이며, 활동과 작용을 특징으로 한다. 무심과 평상심은 서로를 요청하는 관계이다. 서로 의존하는 관계를 표현하는 용어가 “둘로 분리되지 않는 접근(不二門)”이다. 줄탁동시란 세상과 내가 분리되지 않고 세상과 내가 소통하는 것을 의미한다. 타격은 상대를 죽이기 위함이 아니라 상대와 내가 교감하여 서로의 완전함을 추구하는 행위이다.검도 지도자는 줄탁동시 안목과 작용을 갖추어야 한다. 수련자가 껍질을 깨고 나오려 할 때, 껍질을 깨도록 적절하게 충격을 주어야 한다. 검도의 살인검은 서로의 틈을 알아차리게 해주는 타격 행위이고, 활인검은 살인검을 통해 무심을 회복하게 해주는 줄탁동시의 과정이다. 진정한 도가 되기 위해서는 혼자만의 깨달음이 아닌 서로간의 깨달음이어야 된다. 서로간의 무심의 완성을 위해서 행해져야 진정한 검도가 되는 것이다. 활인검으로 발현될 때만 살인검은 제대로 실행된 것이다. ‘줄탁동시’의 안목이 긴요하다. 평상심으로 발현될 때만 무심이 온전하게 구현되어진 것이다. 무심은 평상심과 분리되어질 수 없다. 검도의 원리는 무심·평상심의 불이문이다. 원리는 구현되기 마련이다. 검도는 무심·평상심의 불이문, 살인검·활인검의 불이문의 실현이어야 한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주제어 : 劍道, 無心/ 平常心, 体/ 用, 殺/ 活, 殺人劍/ 活人劍, 啐啄同時, 不二門.

      • 김구의 남북협상과 민족자주 통일론 연구

        유기홍 북한대학원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liberation of Korea from Japan on August 15, 1945 was not the end of Korean people's independence movement. As the Korean Peninsula was divided into the North under the Soviet Union military government and the South under the United States military government with the legitimacy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unrecognized, the complete national independence was yet to be achieved. Back to the liberated South, Kim Koo continued to build united front for the "most urgent and important mission" of creating "independent sovereignty." He advocated for the unity of "every Korean except very few pro-Japanese collaborators" regardless of ideology or age as a one person. The South-North Negotiations of April 1948, three years after the liberation marked the culmination of the unification movement of right-wing nationalists including Kim Koo and Kim Kyu-sik. Those who see the South-North Negotiations of 1948 negative emphasize that the movement was doomed to failure from the beginning and it actually ended up with "failure" as two separate governments were established in the North and the South. They claim that its goal of preventing separate governments through the negotiation was unrealistic, therefore the attempt was meaningless and was only manipulated by the North. However, the real implication of the South-North Negotiations and united front movement should be understood not based on its failure or success but based on how the movements have been succeeded and developed over time. Though Kim Koo experienced several ups and downs and repeated failures among complicated political changes, he was dedicated to the realization of a complete, independent and united country throughout his life from years of independent movement before the liberation to days of anti-trusteeship and the South-North negotiation movement after the liberation. 72 years after the liberation, today there have been increasing attempts to deny the meanings of independence movement from Japan and to appreciate only the "establish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s a separate government in the South led by the right-wing groups after the liberation while the division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further solidified. In this regard, the need to review and reevaluate the 1948 South-North Negotiation and the national independent unification theory of Kim Koo is stronger than ever. The proper reinterpretation of the 1948 South-North Negotiations will also provide meaningful sources to develop a future unification process. 1945년 8월 15일 해방은 되었지만, 그것이 독립운동의 끝은 아니었다. 임시정부의 정통성이 부정된 채 남과 북으로 나뉘어 미국과 소련의 군정 하에 놓인 한반도는 아직 완전한 자주독립을 이룬 것이 아니었다. 해방된 조국에 돌아온 백범 김구는 “독립주권” 창조라는 “무엇보다도 긴급하고 중대한 임무”를 달성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통일전선을 모색했다. 그는 남과 북의 동포, 좌파와 우파, 남녀노소 등 “극소수 친일파 민족반역자를 제외한 모든 한국 동포”가 마치 한 사람같이 굳게 단결해야 한다고 주창했다. 해방 3년 후인 1948년 4월의 남북협상은 김구와 김규식을 비롯한 이른바 우익 민족주의자들의 통일전선운동의 정점이었다고 할 수 있다. 1948년 4월 남북협상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는 대부분 이것이 실패할 수밖에 없는 노선이었으며 남과 북에 각각 단독정부가 들어서면서 결국 ‘실패’했다는 데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남북협상을 통한 남북 단독정부 수립 저지라는 목표가 비현실적이었기 때문에 남북협상 시도는 무의미한 것이었고, 오히려 북한에 이용당하는 결과만 가져왔다는 시각이다. 그러나 남북협상과 통일전선운동의 의의는 그 실패 혹은 성공이 아니라 이 운동이 어떻게 계승, 발전되었는지에서 찾아야 한다. 복잡한 정치정세 변화 속에서 여러 차례 부침을 겪기도 하고, 실패를 거듭하기도 했으나 해방 전 일제로부터의 해방을 위한 독립운동 시절에서부터 해방 반탁운동과 남북협상 추진에 이르기까지 김구의 사상과 철학은 일관되게 완전한 자주독립통일국가의 실현에 맞춰져 있었다. 해방 72년, 점점 더 고착화되어 가는 분단체제 하에서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과 해방에 대한 의의를 지워버리고 해방 후 우익 중심의 정부 수립 노력과 ‘대한민국’ 단독정부로서의 ‘건국’만을 기리는 분위기가 팽배해지는 오늘에 있어서 김구의 남북협상과 민족자주 통일론을 짚어볼 필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1948년 남북협상에 대한 올바른 평가는 향후 통일과정을 설계하는 데 있어서도 유의미한 작업이 될 것이다.

      • 검도기술 공격의 효율성과 횟수에 따른 경기 승패 분석에 관한 연구

        유기홍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전술과 기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재 해당 경기의 시합을 분석하여, 체계적인 경기력 분석을 통해 본인 및 상대 선수의 기술력을 파악하고, 각 기술의 공격 효율성을 분석함으로써, 득점기술의 효율성이 경기 승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비디오 분석을 통해 추출된 연구대상은 2007년 대만에서 개최된 제13회 세계검도선수권대회 일반부 남자경기 중, 예선경기부터 결승전까지를 모두 선정하되 중복된 선수들의 경기는 제외시켰으며, 분석을 위해 추출된 경기는 모두 30경기로써 선수 60명을 최종 선정 하였다. 연구자에 의해 고안된 검도 기술분석에 대한 효율척도를 이용하여, 개인 및 상대선수의 효율성 및 공격빈도에 대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머리, 손목 허리, 찌름 공격효율성 분석 결과 1) 검도의 득점기술 중 머리치기 공격 효율성을 분석해 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2) 검도의 득점기술 중 손목치기 공격 효율성을 분석해 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3) 검도의 득점기술 중 허리치기 공격 효율성을 분석해 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4) 검도의 득점기술 중 찌름 공격 효율성을 분석해 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머리, 손목 허리, 찌름 공격횟수 분석 결과 1) 검도의 득점기술 중 머리치기 공격 효율성을 분석해 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검도의 득점기술 중 손목치기 공격 효율성을 분석해 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검도의 득점기술 중 허리치기 공격 효율성을 분석해 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4) 검도의 득점기술 중 찌름 공격 효율성을 분석해 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보면, 공격 효율성은 머리 공격과 손목 공격시 득점수 즉, 경기 승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두 기술 공격에 대한 효율성이 결국 득점과 연결이 된다는 점에서 보다 효율적인 공격을 해야 하며 특히, 머리 공격의 경우 득점을 위한 많은 노력이 공격 횟수에 나타나 공격 횟수에 따라 머리 공격에 대한 득점의 확률이 높아지며 이에 따라 효율적인 공격이 결국 승패에 기인된다는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손목 공격의 경우는 효율적인 공격만이 유의한 득점의 원인이 되었고 공격횟수와는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공격의 빈도가 적은 허리 공격이나 찌름의 경우에서는 공격 효율성 및 횟수와는 별개로 오직 정확한 공격을 통한 득점과의 연결이 승패를 좌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검도 지도자는 선수들에게 공격 횟수 보다는 강하고 정확한 타격을 가하는 효율적인 공격 연습을 시키는 것이 선수들의 전술과 경기력 향상에 도움을 줄 것이라 사료되며, 선수들은 시합 시 공격횟수 보다는 효율성 높은 공격이 승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잘 인지하고 시합에 임한다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effects of win and loss in the Kumdo game according to the efficiency and its each attack skill. The subjects of the players who has involved in this study were twenty four male college students from preliminary over final competition who participated at the 13th World Kumdo Championship in Taiwan, 2007. For this analysis, the players who has participated in over two competition have been selected only one he has done first. The instrument related to contents for validity has been published already in outstanding journal by the author. The data analysed by the author according to the research methods has results as follows: 1. The results of analysis on attack efficiency of each point skill in Kumdo 1) There were showed the significance level statistically for head attack on the efficiency of point skill in Kumdo.(p<.05). 2) There were showed the significance level statistically for wrist attack on the efficiency of point skill in Kumdo.(p<.05). 3) There were not showed the significance level statistically for waist attack on the efficiency of point skill in Kumdo. 4) There were not showed the significance level statistically for throat attack on the efficiency of point skill in Kumdo. 2. The results of analysis on attack frequency of each point skill in Kumdo 1) There were not showed the significance level statistically for head attack on the frequency of point skill in Kumdo.(p<.05). 2) There were not showed the significance level statistically for wrist attack on the frequency of point skill in Kumdo. 3) There were not showed the significance level statistically for waist attack on the frequency of point skill in Kumdo. 4) There were not showed the significance level statistically for throat attack on the frequency of point skill in Kumdo.

      • 직업군인의 군생활 실태와 복지서비스 욕구에 관한 연구 : 공군부대를 중심으로

        유기홍 상지대학교 사회복지정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Due to rapid scientific progress and social changes of today, the general structure and regulation of society as a whole is becoming more specialized. Even within the area of social welfare, not only has there been more specialization in distinct areas in response to desires following social change, but there has also been an expansion of areas of activity and specialization. The various accidents occurring within today's military organization, the problems with adjusting to military life, problems with an individual's family, and other such problems create a growing need for professionals within social welfare who professionally help with those in need or pain. Consequently, when examining the current trends of military society, military social services is required now more than ever before. Particularly, as a military organization demands more psychological strengths relative to normal society, the development of programs which helps motivate military personnel and raise their levels of psychological strengths is in demand. As such, through services which serve roles just as important as physical and coordinated education and training, military social welfare programs can help to raise military morale and psychological strengths in addition to helping resolve their various problems. Such programs will serve sufficient roles in adding to our nation's military goals of peace on the peninsula and unification. Within such a basis, this study aims to propose directions for developing systematic social service programs within air force air units by investigating the desires for welfare services through an investigation of the current satisfaction levels of professional military personnel employed as senior officials and obligatory military servicemen. A survey was conducted on 119 senior officials and obligatory military servicemen currently employed in the air force from April 1st, 2009 until April 10th, 2009.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12.0 Windows.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s that satisfaction levels were relatively lower for obligatory military servicemen aged between 20~24 and officials having served for less than 5 years, having required modernization of facilities which allows personal privacy and better guarantees for leisure activities. As for methods for resolving personal conflicts, most were shown to resolve problems by discussing with friends and colleagues. In addition, the level of recognition for social welfare personnel were high and most respondents showed a strong favor for introducing military social welfare personnel. In order to resolve such problems,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military social welfare program which works to resolve the various problems faced by air force personnel. Consequently, social welfare personnel are seen to help in military personnel within their military lives. At the same time, such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accident prevention, which in turn, will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military personnel and raise the overall reliability and faith in the Korean military. 오늘날 급격한 과학적 진보와 사회변화의 물결로 인하여 사회전반에 걸친 구조와 제도는 전문화되어 가고 있다. 사회복지의 영역에 있어서도 사회변화의 욕구에 부응하여 각각의 고유한 영역에 대한 전문화뿐만 아니라, 활동의 영역을 확대하여 그 전문성을 확립시켜 나가고 있는 추세이다. 오늘날 군조직에서 발생하고 있는 각종의 사고, 군생활을 통해서 발생되는 적응문제, 인간관계에서 오는 갈등문제, 개인의 가족이 겪는 문제 등과 같은 상황은 전통적으로 위기나 고통에 처해 있는 사람을 돕는 전문직으로서의 사회복지실천이 요청되고 있다. 따라서 현존 군사회의 추세를 볼 때, 군사회복지는 어느 때보다도 필요하고 중요하다고 본다. 특히 군조직에서 정신전력이 더욱 요구되고 군의 사기진작이 필요한 만큼 군사회복지를 통하여 사기진작과 정신전력을 높여서 군전략을 강화하는 일이 시급한 과제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군사회복지는 규범적이고 물리적인 훈육과 훈련 못지않게 실질적인 서비스를 통해 그들이 필요로 하는 문제해결과 군의 사기 및 정신전력이 증진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국방목표로서 국가를 보위하고 평화통일에 기여하는 데 충분한 역할을 감당할 수 있다고 본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공군부대 내 재직 중인 간부 및 의무복무병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직업군인의 현재 군 생활 만족도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복지서비스 욕구는 어떠한지 알아보며 공군부대의 제도화된 사회복지적인 발전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연구조사는 2009년 4월 1일부터 4월 10일까지 공군부대 내 재직 중인 현역 간부 및 의무복무병사들 중 119명을 선정하여 연구자가 수정 · 제작한 조사도구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회수된 조사 자료는 SPSS 12.0 Windows를 사용하였으며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으로 처리하였다. 분석결과 군생활 만족도는 병사들의 경우 20~24세의 연령대와 군생활 5년차 이하 부사관 계층에서는 장기복무심사 등으로 만족도가 다소 저조하고 병영생활 개선사항으로는 개인적 프라이버시가 존중되는 시설의 현대화 및 각종 근무에 따른 여가를 보장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개인 고민을 해결하는 방안으로는 친구 및 동료와의 상의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며 사회복지사에 대한 인지정도는 높고, 군사회복지사 제도 도입은 대부분 찬성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방안으로 군인의 다양한 욕구해결을 위해 반드시 군사회복지사제도 도입이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군사회복지사는 군 생활 전반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고, 사고예방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여 군인의 삶의 질이 향상되고 국민에 대한 대군 신뢰도 향상과 군에 대한 사회적 인식변화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 새로운 인사평가기법들이 공정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유기홍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has been aimed to analyze the effect of that the personal evaluation methods, which is used recently, affect to realization of fairness positively. I surveyed the objects for this research about the office workers, who work in a domestic company and are evaluated by the personal evaluation. The way that I investigated that we used was a 'Self-writing method', 191 papers out of 250 surveys were returned and I analyzed 164 papers except for the 27 papers, which I have got insincere responses. I proved it by analyzing the reliability to get the validity for the contents of this survey. Furthermore, I used regression analysis for the realization of the validity and for the brand new personal evaluation in the step of proving hypothesis. To make the result clearly from the analysis of actual proof is like this : Firstly, the hypothesis that the realization of validity also would be high if the ratio of quantitative evaluation would be higher affected to the realization of division, procedure and division plus procedural fairness by simple regression analysis, however none of them affected to all of the evaluation method when they were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econdly, the hypothesis that the realization of the validity must be higher if the availability of MBO would be high as well affects negatively to the realization of division, procedure and division plus procedural fairness. Thirdly, the hypothesis, which means the higher the availability of capacity evaluation, the higher the realization of the validity is, affected to the realization of division, procedure and division plus procedural fairness when those were analysed by simple regression analysis, however those didn't affect to every method at the same time as those were analys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urthly, the hypothesis that the realization will be higher if the availability of BARS is high, didn't affect to the realization of division, procedure and division plus procedural fairness Fifthly, the hypothesis, which says the realization of the validity will be high, as the availability of team evaluation, affects to every option. Sixthly, the hypothesis, which says the realization of the validity will be high, if the availability of 360-degree feedback, affects to all three options. Lastly, the hypothesis, that the realization of the validity will be high if there are more feedbacks, affects ti everything. From the point of this result, it appears that it affects to quantitative evaluation, capacity evaluation, team evaluation, 360-degree feedback, feedback to division, procedure, division plus procedure fairness except for simple regression analysis, management by objectives, behaviorally anchored rating scales. However,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appeared only team evaluation, 360-degree feedback, feedback except for quantitative evaluation and capacity evaluation affect to the realization of division, procedure and division plus procedural fairness. This means the quantitative evaluation and the capacity evaluation partially affect to them when evaluation methods are combined. It needs an investigation for more various personal evaluation methods, separation of office works and secure of subdivided samples to this research’s limit and future direction for research. Moreover, we can get a detailed result if we offer the respondents not only the method that they can give us sincere and frank responses, but also how-to right a survey form at the same time. 본 연구는 최근 많이 사용되는 인사평가기법들이 공정성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대상은 국내 기업 중 사무직에 종사하고 인사평가를 적용받는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조사를 사용하였다. 조사 방식은 자기기입식으로 배포된 설문 250부 중 191부(회수율 76.4%)가 회수되었으며 불성실 응답 설문지 27부를 제외한 164부를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설문지 구성항목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신뢰도 분석으로 검증하였다. 그리고 가설 검증단계에서는 새로운 인사평가기법들과 공정성 지각을 회귀분석 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정량평가의 비율이 높을수록 공정성 지각이 높을 것이라는 가설은 단순회귀분석 시 분배, 절차, 분배+절차적공정성 지각에 영향을 주었지만, 다중회귀분석 결과 모든 평가기법을 동시에 활용 시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두 번째 목표관리법(MBO)의 활용도가 높을수록 공정성 지각이 높을 것이라는 가설은 분배, 절차, 분배+절차적공정성 모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역량평가의 활용도가 높을수록 공정성 지각이 높을 것이라는 가설은 단순회귀분석 시 분배, 절차, 분배+절차적공정성 지각에 영향을 주었지만, 다중회귀분석 결과 모든 평가기법을 동시에 활용 시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네 번째 행위기준평가법(BARS)의 활용도가 높을수록 공정성 지각이 높을 것이라는 가설은 분배, 절차, 분배+절차적 공정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다섯 번째 팀평가의 활용도가 높을수록 공정성 지각이 높을 것이라는 가설은 분배, 절차, 분배+절차적공정성 모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여섯 번째 다면평가의 활용도가 높을수록 공정성 지각이 높을 것이라는 가설은 분배, 절차, 분배+절차적공정성 모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일곱 번째 피드백의 횟수가 많을수록 공정성 지각이 높을 것이라는 가설은 분배, 절차, 분배+절차적공정성에 모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가지고 판단하여 본다면, 단순회귀분석 결과 목표관리법(MBO), 행위기준평가법(BARS)를 제외한 정량평가, 역량평가, 팀평가, 다면평가, 피드백 모두 분배, 절차, 분배+절차적 공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다중회귀분석 결과 정량평가와 역량평가를 제외한 팀평가, 다면평가, 피드백만이 분배, 절차, 분배+절차적 공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평가기법들이 혼용되어 사용될 시 정량평가와 역량평가는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 및 미래 연구방향으로는 더욱 다양한 인사평가기법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여 사무직종의 구분과 세분화된 표본의 확보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설문지작성법 뿐만 아니라 응답자의 솔직하고 성실한 답변을 할 수 있는 조사방법이 병행된다면, 공정성 지각에 관하여 정밀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Synchrotron X-선 Reflectometry와 Atomic Force Microscopy를 이용한 SnO_(2)/Al_(2)O_(3)계의 표면 및 계면 분석

        유기홍 부산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박사

        RANK : 247631

        Up to date, many scientists have studied the electr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SnO₂ film as gas sensors and transparent optical electrodes. But there is less of the information for the epitaxial growth and surface growth dynamics of SnO₂ film. Epitaxial growth of SnO₂ film is of both practical and fundamental interest. Our study focused on surface growth and grain growth in SnO₂ thin film on sapphire(0001). At 600℃, SnO₂ thin film is grown epitaxially along out-of-plane direction on sapphire by RF magnetron sputtering method. It has three variants structure, which makes dislocations and mosaics on surface and thus many grains in the SnO₂ film. The interface relation between SnO₂ film and sapphire has the ratio of 4/6 for epitaxial growth by extended atomic distance mismatch(EADM) theory. During growth without a variation of lattice parameter along out-of-plane direction, many grains are formed along in-plane direction of thin film. As increasing of the film thickness linearly propotional to deposition time, the grain growth reveals crossover behavior of from scaling regime, which the grain size in out-of-plane direction increases according to power law at short length scale, to saturation regime which the grain size is saturated at long length scale. This saturation is due to limitation of grain growth by dislocations which are produced in order to dissolve the strain by thermal energy in SnO₂ film. And our model for grain growth of SnO₂ film on sapphire is suggested. For the study of surface growth dynamics, we analyze the surface roughness and height correlation functiono of SnO₂ film calculated from synchrotron x-ray reflectivity and atomic force microscopy(AFM) images. The in-situ measurements of x-ray reflectivity were performed in 3C2 beam line of Pohang light source(PLS) with our home-made sputtering system. As increasing of the film thickness linearly propotional to deposition time, we find the scaling relation in surface roughness of SnO₂ film grown at room temperature and anormal behavior at 600℃. The growth exponent β given by the scaling relation is equal to 0.54±0.01 in sample grown at room temperature. And the height correlation functions calculated from AFM data of the last in-situ sample grown at room temperature and 600℃ show increasing of power law with lateral scan size. From these results roughness exponent α is given as approximately unity for the sample at room temperature and 600℃. Our results is compared with recent theoretical results for analysis of the surface growth dynamics of SnO₂ film.

      • 6.15 남북공동선언 이후의 남북한 민간교류의 현황 분석 : 남북공동행사를 중심으로

        유기홍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보고서는 2000년 6.15선언 이후 대내외적 정치적 상황들과 민간차원에서 진행된 남북 공동행사들의 추진과정들을 3개의 시기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2001년 부시행정부가 들어서면서 미국 측은 대북정책을 지난 클린턴 정부의 대화노선에서 강경노선으로 선회하게 되었다. 특히 2002년 1월 부시 대통령의 ‘악의 축’ 발언은 북·미관계를 악화시키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북한 또한 미국측의 강경노선에 맞서 핵 보유선언과 NPT탈퇴선언 등이 이어지면서 북·미관계 뿐만 아니라 남북관계도 악화일로를 걸었다. 남측은 2002년 노무현 정부가 탄생하면서 이전 김대중 정부의 햇볕정책을 이어받아 남북대화에 유연한 자세로 임하려 노력하였으나, 북·미관계라는 외적 환경과 서해교전, 김일성 수석 조문파동 등으로 6.15 선언 이후 진행되어 온 장관급회담, 남북 장성급군사회담 등 남북대화의 공식 통로들이 중단되었다가 다시 열리는 등 긴장국면이 많았다. 그러나 이러한 대내외적인 갈등 속에서도 2001년 남북공동행사 추진위가 결성된 이후 남북한 민간차원에서 진행된 공동행사는 2001년 6.15 금강산민족통일대론회를 시작으로 2005년 8.15민족대축전까지 4년 여간 매년 6.15와 8.15를 기점으로 거행되었으며, SARS 여파와 김일성조문불허 파문에 따른 영향으로 2번을 제외하고서는 대내외적인 정치적 상황과는 무관하게 지속되었다. 남북공동행사가 대내외적인 정치적 악조건 속에서도 매년 지속되어 온 이유에는 크게 4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로는 남한의 사회단체들을 망라한 남북공동행사 추진본부가 결성되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둘째로는 남북공동행사가 6.15 선언과 8.15 광복절을 기점으로 정례화 됨으로서 안정적인 대화의 통로가 마련되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셋째로는 남북공동행사가 일부 시민단체들의 행사가 아닌 범국민적인 행사로 성장했다는 점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남북공동행사가 정치적인 색깔을 배제하면서 진보와 보수진영을 아우르는 행사로 발전하게 되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지난 4년 여간의 민간 차원의 남북교류가 결국 2004년까지의 남북의 긴장관계를 2005년에 들어서 화해무드로 바꾸어 놓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고, 남북관계를 과거의 대치 상태로 되돌아 갈 수 없게 만드는 큰 힘이 되고 있다. 향후 민간차원의 남북관계는 더욱 성장할 것으로 보이며, 더 나아가 통일을 준비하는 토대를 만들어 가는 중요한 역할을 하리라 기대된다. This paper examines domestic and foreign political situations and the civilian-intiated inter-Korean events following the June 15 Declaration in 2000 in three periods. With the launch of the Bush administration in 2001, the US North Korean policy switched from dialogue to hard line. President Bush's remark of naming North Korea as an 'axis of evil' in January 2002, in particular, decisevely aggravated the US-DPRK relationship. The corresponding North Korea's response to the US hard line by declaring the possessing of the nuclear weapons and announcing to withdraw from the NPT not only worsened the US-DPRK but also that of inter-Korean relationship. The Roh Moo Hyun administration that set sail in 2002 succeeded Kim Dae Jung's sunshine policy and endeavored to take flexible positions towards the North. The inter-Korean relations, however, were not smooth. The ministerial and high millitary level talks and other official channel between the two Koreas that were held since the June 15 Declaration halted due to the US-DPRK relationship, the shoot out at West Sea, and with regard to the issue of attending the ceremony in commemoration of Kim Il Sung's death. Despite such internal and external conflicts, the civilian-initiated joint events headed by the Mount Geumgang conference for national unification on June 15, 2001 to Liberation Day Festival on August 15, 2005 for four years that was held on June 15 and August 15 annually following the establishment of the inter-Korean Committee to promote joint events in 2001. Regardles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tical situation, the joint events were held regularly except for two times due to the SARS and when participation in the commemoration of the death of Kim Il Sung was banned by South Korean goverment.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the inter-Korean joint events despite domestic and international obstacles can be attributes to four main factors. First of all, joint event promotions headquater that included all social groups in South Korea made it possible for continuation of holding joint events. Second, joint events were fixed annually with the June 15 Declaration and the August 15 Liberation Day celebration as corner stones and this made it possible to have stable communication channels. Third, the inter-Korean joint events developede from civilian groups into pan-national ceremonies. Finally, the inter-Korean joint events developede into non-political ceremonies thereby enabling to embrace both pogressives and conservatives in the South Korea. The four years of civilian-initiated inter-Korean exchanges contributed decisively to change the relationship of tensions in 2004 into that of reconciliation in 2005, thereby consolidating the positive inter-Korean relations. The civilian based inter-Korean relations will develop more in the future and will play a crucial role in preparing for unification of Koreas.

      • 비만유도 쥐에서 높은 온도의 음수가 체중 및 내장지방에 미치는 효과

        유기홍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비만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으며 중대한 사회적인 질병이다. 또한 비만은 지방간, 고지혈증, 당뇨, 동맥경화증과 같은 질병을 유발한다. 흔히들 많은 사람들이 물을 많이 먹으면 체중이 감소된다는 얘기들을 한다. 실제로 몇몇 연구에서 물에 의한 열 발생이 체중을 감소시킨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따라서 우리는 열, 에너지대사, 체중과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다양한 온도의 물을 공급에 따른 체중변화를 연구하였다. 비만을 유도하기 위해 8주간 고지방사료와 물을 무제한 급여하였다. 8주후 무작위로 4개의 군으로 나누고 일반사료를 공급하였다. 모든 군은 사료를 제한 급여하고 다양한 온도의 물(4℃, 20℃, 35℃ 및 50℃)을 10주간 공급하였다. 실험이 끝난 뒤 체중, 각 장기들(간, 신장 및 심장), 내장지방(부고환지방, 신장지방)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또한 간 손상지표(ALT, AST, ALP)와 지질축적(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을 측정하였다. 간 조직은 AMPK와 IGF-I을 측정하였고 혈액은 LPL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비만 유도된 쥐에서 높은 온도의 물을 공급하면 체중 증가와 내장지방의 생성을 억제하며 ALT, ALP, LDL-cholesterol,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LPL을 감소시켰고 IGF-I과 AMPK를 증가시켰다. 따라서 비만유도 된 쥐에서 높은 온도 물을 공급에 따른 체중 및 내장 지방 증가 억제는 AMPK, IGF-I 증가에 의한 것이며, 더욱이 혈중 LPL 감소는 높은 온도 음수 급여가 지방의 합성보다는 지방의 장내 흡수 감소에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Obesity are worldwide epidemics and caused a major public health problem. And obesity can lead to pathological consequences such as the development of fatty liver, hyperlipidemia, diabetes, and arteriosclerosis. Many people commonly said drinking lots of water is suggested as a part of weight loss. Actually a few studies have shown that water-induced thermogenesis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loosing weight. So we focused on how linked between heat, energy metabolism and body weight change and studied what body weight changes drinking different temperature water make. To induce obesity, the rats were fed with high fat diet for 8 weeks and allowed free to access to food and water. After obesity induced for 8 weeks, the rats randomly divided into 4 groups, fed with normal pellet(chow diet). And all groups was restricted feeding and supplied to different water temperatures(4℃, 20℃, 35℃ and 50℃) for 10 weeks. After the experiment, body weight, organs(liver, kidney and heart) and visceral fat(epididymal fat and kidney fat) were weighed. And we measured ALT, AST, ALP, lipid concentration, AMPK, IGF-I, and LPL in obese rat. Our study results showed in high fat-diet induced obese rats feeding high temperature water inhibited body weight gains and visceral fat formation. High temperature water decreased in ALT, ALP, LDL-cholesterol,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LPL and increased IGF-I and AMPK. In conclusion, our study has indicated that feeding high temperature water in obese rats inhibits not only body weight increasing and but also visceral fat increasing and which is involved in increasing AMPK and IGF-I and decreasing LP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