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물질평형기법을 이용한 가스-콘덴세이트 저류층의 생산 거동 분석 연구

        권순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가스 및 가스-콘덴세이트 저류층의 생산성 분석을 위해 물질평형식 및 유입유동식에 근거한 사용자 친화적 생산거동 분석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 모델은 대수층의 영향을 분석할 수 있고 2상 압축지수, 콘덴세이트-가스의 생산 비, 겉보기 손상지수 개념을 도입하여 저류층에서 생성된 콘덴세이트가 생산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묘사할 수 있다. 상기 모델을 활용하여 AA 가스전의 B2, B4층에 대한 생산거동 분석을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투과도, 손상지수, 저류층 압력 등의 입력자료를 산출하기 위해 이 가스전에 수행된 11개 구간의 DST 자료 중 B2, B4층을 대상으로 한 5개 구간에 대한 자료를 해석하였다. 이 자료를 이용하여 B2, B4 저류층에 대해 생산량, 인접 대수층의 크기, 수평 및 수직 투과도의 비에 따른 생산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B2층의 경우, 상평형 모델에 의해 산출된 포화압력에 대한 분석 결과 B2층은 가스와 콘덴세이트 2상이 존재할 수 있는 저류층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B2층이 비폐쇄 시스템 즉 주변 대수층이 저류층 10배 크기로 저류층과 270°의 유입각도로 접해있다고 가정하고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간 5475 MMSCF로 생산했을 때, 생산 개시 후 8년 6개월이 경과한 시점에서도 운영 정저압력 즉 생산 가스를 육상 인수기지까지 수송할 수 있는 정저압력인 1300 psia보다 높게 산출되어 이 시기까지 콤프레서의 설치 없이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 경우 콘덴세이트는 생산 개시 670일이 경과한 시점에서부터 생성되기 시작하여 830일이 지나면 저류층 전체에 콘덴세이트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2층은 생산이 종료되는 시점까지 많은 양의 물이 유입되는 관계로 저류층의 압력이 충분히 유지되고 콘덴세이트의 생성량이 적어 이에 따라 손상지수의 증가도 크지 않게 산출되었다. B4층의 경우, 상평형 모델에 의한 분석 결과 생산 설비에서만 콘덴세이트가 생산되는 습가스 저류층임을 확인하였다. B4층의 경우도 비폐쇄 시스템 즉 주변 대수층이 저류층 10배 크기로 저류층과 270°의 유입각도로 접해있다고 가정하고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연간 8212 MMSCF를 생산했을 때, 10년 2개월 간 콤프레서 설치없이 목표 생산량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 머신러닝을 이용한 Al/Cu 레이저 용접부의 강도예측 모델링

        권순일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se days, the importance of EV battery stability has increased due to strict environmental regulations. Al and Cu, which have high reflectivity and low absorption during welding, are applied to the battery cell of an electric vehicle.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obtain a high-quality joint due to the intermetallic compounds (IMCs) generated in the Al/Cu welding joint. It is necessary to derive a process variable road map through strength prediction modeling using machine learning. In this study, machine learning models and shallow neural network models were developed by using 135 experimental welding data which were constructed for fiber laser with a maximum output of 2.5 kW for Al1050H and Cu1020-HO materials with a thickness of 0.5 mm. The machine learning model Gaussian process regression (GPR) could be accurately predicted tensile-share load and penetration depth with the decision factor R2 of 0.97, 0.95, respectively. The shallow neural network model improved the accuracy to R2 of 0.99, 0.98. It was confirmed that accurate prediction was possible as a result of comparison and evaluation with decision factor of optimized machine learning and shallow neural network model.

      • 혁신적 조직문화와 변화관리역량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공공봉사동기(PSM)을 매개효과로

        권순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ability to manage change for innovation has been promoted a lot, but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organization's ability to respond to change is actually connected to innovative behavior, and many people are skeptical about whether the organization's ability to respond to change is connected to innovative behavior, and others seem to argue that it is not. So, we need to see if these two trigger innovative behavior, and we need to doubt whether there are any other variables that work between them, It is why we’re starting this study. Based on this research question,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effect of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hange management capabilities on the innovative behavior of individual members of an organization, with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hange management capabilitie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innovative behavior of individual members of an organization as dependent variables. We also looked at the effect on the innovative behavior of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by using public service motivation as a mediating variable. The research subjects were public servants in central and metropolitan government organizations. The analysis results and implicat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ability of the organization to manage change for innovation do not directly affect the innovative behavior of members of an organization. Second, the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ability of the organization to manage change for innovation, respectively,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ublic service motivation of public servants. Third, the public service motivation of public servants positively affect the innovative behavior of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Fourth. the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ability of the organization to manage change for innova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novative behavior of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through the medium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This suggests that the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ability of the organization to manage change for innovation do not lead to the innovative behavior of individual members of public servants, but that the public service motivation(PSM) of public servant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Thus, rather than focusing on the crea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 itself, it is necessary to put more emphasis on how organizational culture affects members' public service motivations(PSM) and thereby how it changes the level of innovative behavior of memb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organizations should refrain from strict discipline and control, that organizational culture should be created as an innovative culture so that members of the organization can maximize their capabilities, and that they should foster organizational change management capabilities for innovation. In conclusion,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hange management capabilities enhance the public service motivation(PSM) and lead to individual members' innovative behaviors, by making them aware that they are playing an important public interest role in the innovation process of the organization. But there in a caveat. The following limitations need to be kept in mind while interpreting the study results. First, it would be difficult to interpret the results of the study into all public institutions and public organizations, including those of local governments. Second, there was a possibility of common method bias in that more than one variable were measured at the same time throug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ird, the study used cross-section data, which means there was a limitation in properly controlling potential edogeneity. Fourth, there was a limitation to the measurement of the exact variables intended by utilizing secondary data rather than designing the questionnaire on its own. 혁신적인 조직문화와 혁신을 위한 조직의 변화관리역량은 그동안 많이 조장되어 왔는데 실제로 혁신적인 행동에까지 연결되는 지는 의문이었다. 특히 조직의 변화대응역량이 혁신적인 행동에 연결되는 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시각이 많은데, 그렇지 않다는 주장들도 적지 않은 것 같다. 그렇다면 과연 이 두 가지가 혁신행동을 유발하는 지를 확인해 볼 필요가 있고, 혹시 그 사이에서 작동하는 다른 변수가 있는 것은 아닌 지 의심해 볼 필요성이 있다. 이것이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된 동기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중앙부처와 광역자치단체 일반직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혁신적 조직문화와 조직의 변화관리역량을 독립변수로,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을 종속변수로 하여, 혁신적 조직문화와 조직의 변화관리역량이 조직 개별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공공봉사동기를 매개로 하여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일반적인 추론은 먼저 조직문화가 혁신을 지향하고 혁신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조성이 되면, 조직 구성원의 혁신적 행동은 당연하게 유발될 것이라는 것이었으나, 분석 결과, 추론과는 달랐다. 첫째. 혁신적 조직문화와 조직의 변화관리역량은 조직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혁신적 조직문화, 혁신을 위한 조직의 변화관리역량은 각각 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다시 말해 혁신적 조직문화와 조직의 변화관리역량은 공공봉사동기를 고양하고 제고하는 방향으로 강화되고 관리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셋째. 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는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혁신적 조직문화를 토대로 조직구성원들은 혁신을 토론하는 등 자연스럽게 혁신적 문화가 형성되어 공공봉사에 대한 애착을 가지게 되고, 이로써 조직과 개인의 일체감이 높아짐에 따라 구성원들 스스로 혁신행동의 동기 유발로 이어지게 된다. 넷째. 혁신적 조직문화, 혁신을 위한 조직의 변화관리역량은 공공봉사동기를 매개로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혁신적 조직문화, 조직의 변화관리역량이 곧 공무원 개별 구성원의 혁신행동으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그 과정에서 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PSM)이 중요한 매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조직은 조직문화의 조성 자체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조직문화가 구성원의 공공봉사동기(PSM)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이를 통해 구성원의 혁신행동 수준을 어떻게 변화시킬 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혁신적 조직문화와 조직의 변화관리역량은 구성원으로 하여금 공공의 이익에 기여하고자 하는 의지, 조직의 혁신과정에서 공익적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인식하게 함으로써, 공공봉사동기(PSM)를 고양시키며, 이를 매개로 개별 구성원의 혁신행동으로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 개별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은 결국 조직의 성과와 직결되는 사안인만큼, 조직은 조직문화를 보다 혁신적, 창의성이 발현되는 조직문화로 변화시키는 노력을 다해야 할 것이다. 혁신행동은 공공봉사동기에 의해 강화된다는 점에 주목하여 공공봉사동기 제고를 위한 정책적 접근을 다각도로 모색해야 함을 보여준다. 다만, 본 연구의 결과를 해석함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한계는 있음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첫째. 이 연구의 결과를 기초자치단체 공무원을 포함한 모든 공공기관과 공공조직에까지 확대 해석하는 것은 무리가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 사용한 데이터는 선행변수와 결과변수의 측정이 동일시점에서 자기보고식 설문방식으로 행해졌기 때문에 ‘동일방법 편의’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셋째. 수집된 자료는 어느 한 시점에서의 횡단적 연구방법을 실시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에 대한 확실한 결론을 내리기에는 한계가 있다. 넷째.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설문문항을 자체적으로 설계하지 않고 2차 자료를 활용함으로써 의도한 정확한 변수의 측정에는 한계가 있었다.

      • RF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으로 저온 증착한 태양전지 투명전극용 GZO 박막의 특성 개선에 관한 연구

        권순일 충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태양전지, 디스플레이장치 등의 투명전극에 주로 사용되는 ITO(Indium Tin Oxide)는 In의 희소성으로 인한 고가격과 유독성, 화학적 불안정성 등의 문제 때문에 이를 대체 할 수 있는 물질인 ZnO(znic oxide)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불순물이 첨가 되지 않은 ZnO는 대기중에 노출시 산소의 흡착으로 인하여 면저항이 증가되는 단점으로 인해 상용화가 어렵다. 그러나 Ⅲ족 원소(Al, Ga, In) 불순물을 도핑하는 기법을 사용하면 전기전도도를 높이고 대기중에서도 안정된 성질을 가진 물질을 만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Ga 원소를 도핑하면 내산화성이 높고 Zn과의 격자결함을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GZO를 이용하여 ITO를 대체 할 수 있도록 전기적, 광학적, 구조적 특성 개선에 관해 연구하였다. 또한 최근에 투명전극의 발전 방향은 대면적화, 경량화, 극박화 및 내구성 향상으로 요약될 수 있다. 폴리머 기판의 이점은 가볍고, 접을 수 있어운반하기가 쉽고, 유연하기 때문에 대면적공정이 가능하여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으므로 그 적용범위가 확대 되어가고 있다. 본 연구는 태양전지의 투명전극으로 응용 하기위해 4인치의 Gallium doped ZnO(ZnO 95wt% : Ga2O3 5 wt%)의 타겟(target)을 RF Magnetron Sputtering법을 이용하여 유리기판(Corning glass 1737)과 PI(Polyimide)기판에 GZO 박막을 제작하고 전기적, 광학적 및 구조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또한 GZO 박막을 폴리머 기판에 응용하기 위해 기판 가열없는 상태에서 스퍼터 전력과 공정압력, 기판 바이어스의 공정 변수가 박막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폴리머 기판 표면의 O2 플라즈마 전처리가 GZO 박막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검토 하였다. TCO(Transparent Conducting Oxide) possess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in a variety of opto-electronic devices such as thin film solar cells or flat panel displays. Although ITO(indium tin oxide) is the most successful TCO, ITO film is high cost and hazardous material to human and environment and It has instable chemical stability property in a reduced ambient. Recently, ZnO(zinc oxide) films have been actively investigated as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s because ZnO is a nontoxic, inexpensive and abundant material. ZnO is a Ⅱ-Ⅵ compound semiconductor and has a wide band gap of about 3.3 eV, but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intrinsic ZnO thin films are not good. Therefore, some elements(Al, Ga, In) are added in order to improve the conductivity of intrinsic ZnO films. Especially, Ga doped ZnO(GZO) thin films show relative low resistivity and high transmittance in the visible light range. Recently, there is great interest in replacing glass with polymer substrates, particularly in flat panel display technology and thin film solar cells. Because transparent conductive thin films deposited on polymer substrates have many merits compared with those deposited on glass substrate, such as lighter, large area deposition processes, not brittle, bendable, and low cost. In this study, Transparent conductive GZO thin films were deposited on glass(corning glass 1737) and PI(polyimide) substrate by RF magnetron sputtering using the GZO(ZnO 95 wt% : Ga₂O₃ 5 wt%) target at low temperature. The influence of the discharge power, process pressure, substrate bias voltage and High density O₂ plasma pre treatment of GZO thin films on the electrical, optical and morpholog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experimentally.

      • 도로망데이터를 이용한 Axial map 구현방안

        권순일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걷기는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이동수단임에도 불구하고 자동차의 등장으로 이동 환경의 많은 부분을 차량통행에 양보해왔다. 하지만 그로인한 사회‧경제‧환경적인 문제점의 해결과 지속가능한 발전에 관한 사회가치관의 변화와 이동통신기기의 발달로 이동에 대한 패러다임은 새로운 변화를 맞고 있고 이에 따른 GIS 데이터를 이용한 공간정보서비스에 대한 새로운 수요와 요구(needs)가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GIS 기반의 공간정보서비스가 방법이 ‘물리적 거리’에 기인한 최단거리 경로 서비스 제공을 우선으로 하였지만 이는 평면적 시각에 의한 시선 혹은 동력장치를 이용한 이동수단에 적합하고 인간의 경로선택에 있어서는 최단 거리의 요소보다 야간의 범죄 및 교통사고로 부터의 안전성을 훨씬 중시하는 결과를 보이며 이처럼 안전한 길, 활기 있는 길, 익숙한 길 등 인간의 ’심리적 거리’를 반영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런 인간의 심리적 거리를 반영할 수 있는 요인으로 방향전환의 횟수를 그 변인으로 활용할 수 있고 인간이 공간정보를 인지함에 있어서 물리적인 거리 요인 보다 심리적인 방향전환의 횟수와 비례하여 그 인지도가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런 방향전환의 횟수를 기본으로 공간구조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산출 할 수 있는 Space Syntax 방법론은 지난 20년간 도시‧건축‧환경‧교통 분야에서 꾸준한 발전을 해왔다. 하지만 분석의 기본이 되는 Axial map(축선도)의 구축이소규모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던 것에 반해 연구지역의 대규모․대용량화 되면서 축선도 구축 방법에 있어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많은 시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IS 도로 데이터를 이용하여 축선도를 구현하는데 있어, 우선 공간을 구성하는 개념이 다른 Space Syntax의 축선(axial line)과 GIS의 도로(link)의 구성요소를 파악하여, 유형을 분류하고 두 모델을 연계 대응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고, GIS 데이터의 선형 자료의 단순화 기법을 이용하여 전통적인 축선도를 구축함에 있어 객관적인 근거를 알아보고, Space Syntax의 주요인자인 전체통합도(Global Integration) 를 GIS 도로 네트워크 속성정보에 입력함으로써 GIS 도로 네트워크를 통한 축선도와 실제 통행량 사이의 검증방법을 통해 적용된 결과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GIS 도로 데이터를 이용하여 Space Syntax의 축선도를 구현하고 Space Syntax의 지수를 구한 값과 실제 통행량과의 상관관계를 살펴 본 결과, =0.5387 수준까지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결과를 얻었다. 이것은 GIS node-link 네트워크만을 이용한 단일 데이터를 이용한 실제 통행량과의 관계에서 50% 수준의 상관관계를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 복수전공 이수 여부 결정요인 및 복수전공이 진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서울 소재 S대학을 중심으로

        권순일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복수전공 이수 여부를 결정하는 개인별 특성 요인과 복수전공이 진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S대학의 ERP 학사정보시스템에서 개별 학사 정보와 대학정보공시를 위한 진로 정보를 병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복수전공 이수 여부의 결정요인은 어떠한가? 둘째, 복수전공 이수 여부에 따라 CGPA에 대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복수전공 이수 여부 및 복수전공 조합이 학생의 진로결정 및 진로선택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는가? 넷째, 개인별 특성 요인 및 복수전공 이수 여부가 진로결정 및 진로선택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복수전공 이수 여부의 결정요인은 전공계열, 성별, 복수전공 선택시 CGPA, 출신고교유형, 입학년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개인별 특성 요인 중 복수전공 이수 여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공계열로 인문계열 학생의 복수 전공 이수 가능성이 높았다. 둘째, 복수전공 이수 여부에 따라 CGPA 차이는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였으나, 그 차이는 0.03에 불과했다. 셋째, 복수전공 이수가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고, 인문계열, 사회계열은 진로결정에 정(+)의 방향으로 공학계열은 부(-)의 방향으로 나타났다. 또한 복수전공 이수는 진로선택에서 취업 가능성이 높았으나, 상경계열은 단일전공이 취업 가능성이 높았다. 복수전공 조합은 다른 계열과 상경계열과의 조합은 진로결정 가능성 및 진로선택에서 취업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았다. 넷째, 진로결정 및 진로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로지스틱 회귀 분석 결과 전공계열, 성별, 출신고교유형(특목고), 졸업시 CGPA 이었고, 복수전공 선택시 CGPA, 출신고교유형(특성화고), 복수전공 이수 여부는 진로선택에만 영향을 미쳤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double-majoring and the effects of double-majoring on career path. To do so, I combined and analyzed the individual students information retrieved from academic information ERP system in S University in Seoul, Korea and their subsequent career information that are originally prepared for the information service of Higher Education. Specifically, I raised and answer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are the determinants of double-majoring? Second, does a double-majoring lead to any meaningful difference in CGPA? Third, do a double-majoring and the choice of majors have any impact on the employment upon the graduation and career choice? Finally, what are the effect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undergraduate students and a double-majoring on the employment upon the graduation and career choice? I foun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type of Faculty a student is originally enrolled in, gender, CGPA when applying for double major, the type of high school the student graduated, and the year of admission to the university were found to be determinants of double-majoring. Among these determinants, the type of Faculty was mos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ouble-majoring and I found that students in the Faculty of Humanities are most likely to pursue double-majoring.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 difference in CGPA between students with a double major and those without it but the difference was only 0.03. Third, I found that a double-majoring made a difference when it comes to the employment upon the graduation. More specifically, I found that students in the Faculty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Engineering) are more (less) likely to secure the employment if they have double majors. I also found that students in general are more likely to pursue industry career (instead of academic career) if they have double majors, but students in the Faculty of Commerce are more likely to pursue industry career when they have single major. When it comes to choice of majors for double-majoring, I found that students having business major as the second major have a greater chance of employment upon the graduation and they are more likely to pursue industry career. Finally,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led me to identify the following determinants. Factors that had impact on both the employment upon the graduation and career choice (industry vs. academic) were the type of Faculty a student is originally enrolled in, gender, the type of high school the student graduated (more specifically, whether the student graduated from the special-purpose high school or not), and CGPA upon the graduation. CGPA when applying for double major, the type of high school a student graduated (more specifically, whether the student graduated from the specialized high school or not), and whether to have double majors or not had impact on career choice only.

      • 지역사회복지협의회의 주민교육 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 : 동해시 지역을 중심으로

        권순일 상지대학교 사회복지정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현대사회가 본격적인 지방자치시대를 맞이함에 따라 지역사회를 단위로 하는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지역사회복지의 실현은 그 지역에서 생활하고 있는 지역주민과 떼어서는 생각할 수 없다. 따라서 지역사회복지를 실현하기 위해 지역사회가 공동체로서의 기능을 회복하고, 지역사회복지가 지역주민의 욕구와 지역사회의 특성을 반영하여 긍정적인 효과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주민참여가 가장 중요한 관건이다. 주민참여를 제고하고 지역사회복지를 구현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는 지역주민의 사회복지의식이다. 이것은 지역사회복지를 전개해 나가기 위해서는 그 서비스 이용자인 지역주민의 의식 또는 사회복지 실천 활동에 참여하는 지역주민의 의식이 중요하게 여겨지기 때문이다. 지역주민의 사회복지의식을 향상시키고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주민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한 주민복지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내 복지욕구가 가능한 한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도록 상호협동, 계획 및 사회행동을 하고 있는 지역사회복지협의회에서 지역주민의 사회복지의식 향상을 위한 주민교육 운영 실태에 관하여 조사하고, 분석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주민교육 발전 및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국내․외의 문헌연구를 통해 지역사회복지의 개념을 알아보고, 지역사회복지협의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지방자치시대와 주민참여, 그리고 주민교육에 대해 정의하고 주민교육의 필요성과 실태에 관하여 정리하였고, 주민교육에 대한 인식․요구도․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고, 무작위로 추출된 동해시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설문항목에 대해 직접 기입하는 자기기입 방식을 사용하여 지역사회복지협의회의 주민교육 운영 실태에 관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주민교육 발전 및 활성화 방안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제도적 측면에서의 발전방안으로는 첫째, 급격한 사회의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일시적인 형태가 아닌 지속적인 평생교육 형태의 주민교육을 지역봉사단체와 연계하여 확대 실시해야 할 것이다. 둘째, 지방자치단체의 제도적인 지원과 관심을 통해 지역사회 내 여러 복지조직이 신속한 의사전달, 상호 협력적 정보교환 등을 통해 적절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복지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셋째, 지역주민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부응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을 충원하여 그들의 역할이 확대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프로그램 측면에서의 발전방안으로는 첫째, 지역사회의 특성과 사회적인 상황, 그리고 사회복지를 둘러싼 환경변화를 현실적으로 반영한 프로그램을 연구․개발하여 지역주민들의 다양한 복지욕구 해소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둘째, 주민들 자신에게 맞는 프로그램을 찾아서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홍보와 인지 기능을 강화시켜 접근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 동식물 단백질 중의 Angiotensin-I 전환효소 저해 Peptide의 분리에 관한 연구

        권순일 여수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혈압 원인 물질인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ACE)를 저해하는 Peptide를 얻기위해 동식물 중 단백질 함량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누에 분말, 땅콩, 참치, 연어를 소재로 하여 이들 가운데 함유되어 있는 단백질을 Complex Enzyme인 Protease에 의해 가수분해시켜 Dowex 5OW(H^+)를 이용하여 Crude Peptide를 얻은 후 Bio-Gel P-2와 한외여과를 이용하여 정제 Peptide의 대략적인 분자량 범위를 찾아 보고 그에 따른 AC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누에분말, 땅콩, 참치, 연어의 복합효소에 의한 가수분해 조건은37℃, 45℃, 50℃, 55℃ 중 50℃가 가장 안정적이면서도 효율이 뛰어났다. 2. 가수분해 적정 시간은 Peptide 생성곡선에서 Peptide 생성의 증가 추세가 전환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하였다. 가수분해 6시간과 12시간 의 차이가 크지 않았으며, 시료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6시간을 그 적정 시간으로 선택하였다. 3. 복합효소의 가수분해 최적 온도 50℃에서 시료간 가수분해율은 누에 분말>땅콩>연어>참치의 순으로 나타났다 4. 55℃에서의 가수분해는 Pephde 생성에서 초기에는 가장 빠른 반웅 속도를 보였으나 분해가 진행됨에 따라 50℃와 비슷한 생성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5. Dowex 50W ion-exchange chromatography에 의해 crude Peptide를 획득하고 Bio-Gel P-2(MW. 100-1,800Da)로 대략적인 분자량 범위를 알아보았다. 이들 중 Peptide 함량이 많은 것은 대략 1400Da이하에서 나타났다. 6. ACE 저해효과를 각 시료별로 측정하였을 때 가장 높은 획분은 누에의 경우 SF-3(94.8%), 땅콩 PF-2(94.7%), 연어 S'F-1(74.1 %), 참치 5000Da이하(61.7%)였다. 그 중 누에 분말, 땅콩 가수분해물 유래 Peptide가 가장 ACE 저해효과가 높았으며 다음으로 연어, 참치였다. 7. 시료별로 가장 높은 함량을 차지한 구성 아미노산은 누에에서 Asp, 땅콩- G1y, 연어- Arg, 참치- Glu로 나타났다. In order to investigate ACE inhibition rated to the anti-hypertensive peptides, we compaesd the enzymatic hydrolysis of animal and plant proteins. Major samples used in this study were Silk worm and Peanut, Salom,Tuna. A novel angoistensin- I converting enzyme(ACE) inhibitory peptide from Samples was purified and identified. These peptides were ultrafiltered or fractionated by Bio-Gel P-2, and high molecular weight polypeptides was removed and divided. These peptides were showed ACE inhibition rate of high level. To isolate and purify the active peptides, we selected complex enzyme and took advantage of Dowex 50W(H+), Bio-Gel P-2 and ultra filteration equipment. the results measured ACE inhibition rate of purified peptides were as follows. For all materials, the optimum hydrolysis temperature was 50℃ among 37℃, 45℃, 50℃, 55℃. Optmum time depened on hydrolysis of 50℃ in Silk worm powder, Peanut, Salmon and Tuna was 6 hours. Peptide production by hydrolysis at 55℃ was the best at the beginning point until 2 hours. But it showed similar limit when we compared 50 ℃ and 55℃ in the end point for adopted hydrolysis time. We obtained crude peptides by Dowex 50W(H+) ion-exchange column chromatography and fractionated by Bio-gel P-2(MW.100_1,800) and divided by ultrafilter. From the gel filteration, we obtained fraction of each samples which Silk worm powder-(4), Peanut-(4), Salmon(3) and Tuna-(3). Fractions which had high-contents peptide were showed about 1400D~500Da. The highest ACE inhibition rete of sample was Silk worm(94.8%), Peanut(94.7%), Salmon(74.1%) and Tuna(61.7%). In the case of silk worm and peanut, peptide content were higher than other samples. Between concentration of peptides and ACE inhibition rate, any proportion was not found.

      • Zebrafish에서 lateral plate mesoderm 세포의 특성화와 동맥과 정맥의 결정에 관여하는 hairy-related 6의 역할

        권순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hairy-related 6 (her6), a homologue of the HES1 in mammals, is a member of the hairy and enhancer of split family. In zebrafish, her6 was reported that is expressed in brain and somite. We found that her6 expressed in lateral plate mesoderm (LPM) at 14 hour post fertilization (10 ss), and dorsal aorta (DA) and inter-segmental vessel at 24 hpf. However function of her6 in LPM and vasculature was unknown. In this study, we focused on the role of her6 in LPM, and DA specification. We investigated function of her6 in fate determination of lateral plate mesoderm (LPM)-derived hemangioblasts. By knock-down of her6 using anti-sense splicing morpholino (MO), expression of gata2 was reduced in tail bud (TB). While, expression of flk1, scl and gata1 was increased in posterior LPM and TB, at early stage of zebrafish development . At late stage of zebrafish development, expression of notch-related grid-lock(grl/hey2) and efnb2, which marks arterio-specific cell fate and differentiating DA, respectively, was reduced in DA by her6_MO. In addition, expression of ephb4 was increased in posterior cardinal vein in her6 morphant embryo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er6 maintain fate of LPM in tail bud and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and her6 likely regulates specification of arterio-venous endothelial cells during zebrafish developm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