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생태적 관점에서 본 동국대학교 캠퍼스 현황 분석

        곽동신 동국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increases of the population cause the greenhouse effect, the depletion of the ozon layer, the acid rain and so on. As a method of solving this problem, the new paradigm introducing '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ESSD)' emerges in the construction field. The university campus in the heart Seoul play an important role as a green space and an open space, but securing the outer space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planning makes the present makes bad ecological worse. It's true that the systematic environment-friendly construction planning is not yet suggested in the university campus construction planning. I'd like to diagnose the ecological problem of the university campus construction, make sure of the possibility of making the outer space ecological system, and build the ecological university campus as a way of solving the heart of Seoul ecological problem and improving the ecological environment.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problems of a university campus located in the heart of Seoul in terms of ecology, and to propose an idea to relieve the ecological stress of the metropolitan area. In the first place, the biotope space factor is introduced in order to quantify the ecological soundness of the campus. A survey on the factor i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ed problems in the wider and more realistic sense. The value of the factor is found to be below the ecological level required and it is concluded that the campus should increase the ecological level to contribute to the sustainability of the campus and downtown Seoul. 도심지의 인구 집중화는 지구온난화, 오존층의 파괴, 산성비 문제 등 환경문제를 야기 시키고 있다. 또한, 건축물의 증가로 도시열섬 현상과 도시홍수 등 도시기후 변화를 초래하고, 과도한 포장면을 인하여 녹지나 오픈스페이스들이 감소하고 있다. 이런 문제들을 해결방안으로'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개발(ESSD)'의 개념을 적용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대두되고 있다. 1992년 유럽대학총장 회의에서 지속가능발전의 원칙이 어떻게 대학경영에 도입될 수 있는지 논의가 있었다. 그 결과,'코페르니쿠스 헌장(COPERNICUS CHARTER)'을 선포하게 되었다. 이 헌장을 에코캠퍼스(ECO-CAMPUS)를 통해 실현하고자 노력하였다. 독일은 1990년대부터 대학의'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연구 수행해 왔고, 국내에서는 연세대 원주캠퍼스에서'Eco Campus 조성계획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도심지에 위치한 학교는 그 규모나 면적상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지만, 실제 건축계획에 있어 외부공간의 조성은 열악한 생태적 환경을 더욱더 악화시키고 있다. 그리고, 학교건축 계획에서는 체계적인 환경친화적 건축계획 접근 방향이 제시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학교건축, 특히 대학교 시설의 생태적 문제점을 진단하고, 생태적 외부공간 조성을 통한 도시 생태문제의 해결 가능성을 분석∙제시하고자 하였다. 여기서 문제점을 진단하기 위해서 생태면적율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총 5장으로 구성하였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 대상 및 방법으로 되어 있고, 제2장 이론적 고찰에서는 환경친화적 건축 대안으로 무엇이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생태적 대학 캠퍼스의 개념 및 정의 그리고 목표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생태적 외부공간 조성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조성 계획을 조사 하였다. 그리고, 생태면적율을 개념의 서술하였다. 제3장에서는 대상지인 동국대학교의 현황 조사하였다. 주로 외부공간을 조사하고 세부적으로 외부공간을 분류하여 기존의 동국대학교의 생태적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동국대학교에서 생태적 외부공간의 조성이 가능한지 조사하고, 구체적인 생태적인 외부공간 조성계획을 세웠다. 제5장에서는 본 연구를 통한 결론을 소개하였다.

      • 도심 재생을 위한 캠퍼스와 지역사회 통합 타당성 연구 : 동국대학교 필동 캠퍼스를 중심으로

        이욱주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논문은 도심에 위치한 대학교가 지역사회 커뮤니티, 행정관청, 민간자본의 참여와 협력을 유도하여 캠퍼스 주변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이를 통해 도심 재활성화의 거점으로 작용하는 캠퍼스와 지역사회 통합 타당성에 관한 연구이다. 대도시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직주분리현상, 도시 외곽지역의 신 주거지 개발에 따른 도시인구의 유출, 도심지역의 높은 지가로 인한 일부 도심기능의 이유로 주거인구 공동화가 도시문제로 진행된다. 특히 1970년대 이후 거울 강남지역으로 충추관리기능의 계획적 이전과 고밀도 공동주택의 집중적인 개발·공급으로 구도심을 포함한 서울 강북지역의 업무와 인구 공동화를 초래하였다. 이로 인한 서울은 강남·북 지역의 불균형 성장은 강남지역으로의 도시기능 집중에 따라 토지의 비효율적 이용과 주거환경, 교육여건, 생활편의시설 등 시민 생활 여러 분야의 지역간 격차를 심화시켜 강북지역 시민의 상대적 소외감이 증대하고 결국 시민화합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 강북지역에 소재지를 둔 31개 대학교를 검점으로 상대적 개발 소외지역을 활성화하고 생활환경을 개선하는 것으로 도심 공동화 현상과 강남·북 지역간 불균형 성장문제 해결을 제안한다. 대학교 캠퍼스는 젊고 활력 있는 인구와 다양한 교육문화자원을 바탕으로 지역사회와 동반성장의 방안을 모색하는 것으로 비활성화 된 도심 기능재생이 가능함을 제안한다. 특히 본 논문은 서울 구도심에 위치하며 도심 공동화 현상과 개발 소외지로 인한 도시문제가 상존하는 동국대학교 필동캠퍼스 주변지역에 캠퍼스 기숙시설을 연계시켜 지역사회와 캠퍼스의 동반성장을 유도하고 이를 통한 재활성화 시키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대학교 기숙시설은 캠퍼스 인구 일과 활동의 시작과 마무리를 제공하는 장소이며 일과이후 휴식과 학습, 문화 활동 등 자기계발 활동의 구심점으로 작용하는 공간이다. 즉 기숙시설 프로그램은 캠퍼스 인구 활동이 지속·고밀도로 일어나는 활동의 중심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기숙시설이 지역사회 커뮤니티의 동의를 얻고 행정관청과 민간자본의 지원으로 낙후된 거중환경 지역에 개발되는 것은 캠퍼스의 국제경쟁력 제고와 주변지역의 주거환경을 개선하며 젊고 활력 있는 인구를 지역사회에 확보하는 것으로 비활성화 된 도심 캠퍼스 지역의 기능을 재생시키는 것이다. This thesis is a research about propriety of university campus which makes be a base of downtown re-activation from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from local community, government office, and private capital and improves campus environment and local community. When metropolis grow up, slum become an urban problem because the phenomenon of occupation-residence separation, exodus of urban population from new residential area in outside of metropolis and the high price of land in downtown. Especially, after 1970s, moving main administration function to the south of Han River on purpose, development and supply of high-density apartment house make the north of Han River slum of business and population. Urban function concentration of the south of Han River makes disproportion growth of Seoul and deepens local gap between south and north. According to this result, citizen live in the north of Han River increase a sense of alienation and finally it makes be a factor that disturb urban harmonization of Seoul. This research propose the solution of unbalanced development of the south and north of Han river and slum from revitalization of development neglect area based on 31 universities campus located in the north of Han River. Because of influence of young and energetic people and various educational and cultural resources in university, it is possible to develop and restore of urban downtown function both university and local society. Especially, this thesis focus on re-activation method from connection old downtown with campus residence facility located in neighbor area of the Dongguk University Pildong campus which undergo urban problem from coexistence of slum and development neglect. Campus residential facility is an area offered to start and finish of campus life and acted to central space of rest and education, cultural activity and self-development for population of campus. So, we can think that residential facility program is a center area of campus activity with continuity and high density. Accordingly, development of this residential facility with agreement and support from local community, government office and private capital in falling behind area makes campus and downtown improves of international competitive power of campus and residential environment of neighbor and gets an energetic and young population to university and local community for restoration of area.

      • 사립대학의 BSC 도입사례에 관한 연구 : 동국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유광호 동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87

        최근 대학은 학령인구의 감소와 교육시장의 개방 등 급격한 환경변화에 직면해 있다. 심지어 국내 대학 192개의 10%에 해당하는 20여개의 대학은 부도사태에 직면해 있다는 분석도 있다. 이제 대학은 생존을 위한 자기개혁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대학에도 BSC를 도입하는 사례가 등장하고 있는데 이들 대학의 사례들은 대부분 대학 행정서비스의 질적 수준 제고를 목적으로 행정부문 및 직원만을 대상으로 BSC를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대학의 핵심역량이라 할 수 있는 단과대학 및 교원을 성과평가 대상에서 제외되었다는 점에 그 한계점이 있다. 이에 반해 동국대학교는 행정부문 뿐만 아니라 단과대학과 교수를 포함하여 전사적인 측면에서 BSC를 설계하였다. 이는 공기업과 정부기관에 BSC를 도입한 경험을 바탕으로 한 ○○○ 총장의 강력한 리더십과 과거 MBO 도입과정의 실패사례의 교훈을 반영한 결과이다. 한편, 동국대학교 사례의 특이한 점은 각 분야의 최고전문가를 보유한 대학의 특성을 반영하여 교내 전문가를 활용하였다는 점이다. 학내사정을 잘 파악하고 있는 내부전문가를 성과평가 주무부서의 팀장으로 임명함으로써 BSC 도입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점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4가지 관점 설정, 성과목표 및 성과지표 설정, 목표수준 관리 등 BSC의 적용과정에 대학실정에 맞는 시스템을 설계하였으며, 이를 보상시스템과 연계하고 웹기반 성과평가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BSC의 안정적 운영기반을 마련하였다. 동국대학교의 BSC는 2007년에 시범평가 과정을 거쳐 2008년부터 비로소 본 시행에 들어갔다. 그만큼 성공적인 BSC정착을 위해서는 보완해야할 사항이 많다. 첫째, 대학전체 차원의 전략맵 뿐만 아니라 단과대학 및 하부 행정기관 수준의 전략맵 설정이 필요하다. 이는 각 구성원이 대학의 비전을 공유하는 절차이며 본인이 조직의 어느 영역에 기여하는지를 보여줌으로써 동기부여의 계기가 될 수 있다. 둘째, 경영목표 설정, 자원배분, 성과목표 간의 연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예산편성 및 사업계획 심의과정에 성과평가 전담부서가 참여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원 개인수준까지 성과목표를 캐스케이딩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이 과정에서 교원의 특성을 반영한 자율통제시스템 설계를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넷째, 단과대학 중심의 책임경영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대학장의 임기 연장과 총액예산제 확대 시행 등 대학장의 권한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이와 더불어 중요한 것은 BSC에 대한 구성원의 수용성을 높이는 일이다. 아무리 좋은 제도라고 해도 구성원이 동의하지 않으면 그 제도의 효과성을 높일 수 없으며, 향후 총장의 리더십이 훼손되거나 임기제의 총장이 바뀌게 되면 성과평가제도의 근간이 훼손되거나 심지어 폐지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구성원의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①포지티브 인센티브(Positive Incentive) 성격의 성과급 확대, ②조직문화차원에서 구성원의 의식개혁, ③가시적인 성과 창출 등이 필요하다 본 사례연구는 대학의 행정부문 뿐만 아니라 단과대학 및 교수에게 까지 BSC를 확대 적용하여 국내 대학 최초로 전사적 경영평가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성과평가 뿐만 아니라 비전달성을 위한 전략적 경영모델로서 대학사회에 새로운 BSC모델을 제공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으며, BSC를 도입하려는 대학, 연구소 등에게 하나의 시사점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대학생 글쓰기 교육의 현황과 효율적 지도방안 연구 : 동국대학교 글쓰기 센터 글쓰기 상담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박솔잎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7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n effective guideline for improving college students' writing skill by analyzing education programs and writing consulting sessions provided by university writing centers. As writing skill has become ever more important in the society recently, many universities have established writing education institutions. Most universities have provided writing courses in their liberal arts curriculum, and such courses have been improved due to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writing skill. The reason why universities pay attention to writing education is because the modern society requires each individual to have a sufficient level of writing skill. In the modern society, writing serves as a means to express one’s thoughts and is an important tool to communicate with other people. In other words, writing skill is required not just for writing college admission essays and academic papers. Rather, it has become a new communication tool in our daily lives. Acknowledging this change, each university tries to provide systematic writing education. However, despite such an effort, they have failed to produce satisfying results so far. This is because most college writing courses are given in a large lecture class when a small group session is proper for efficient writing education. Facing such a problem, universities have established and operated college writing centers as an alternative in order to offer more practical wiring education. Dongguk university opened a writing center in August 2007, and has provided writing consulting and writing lecture programs, etc. ever since. Especially, writing consulting is a basic program where consultants offer customized advice on undergraduate student's writings. This paper focuses on the role of the writing center as a college writing education institution, and proposes effective guidelines for teaching writing to university students such as systematic consultant education and training, establishing a consulting manual, consulting evaluation and feedback, and diversifying programs, based on student survey on their consulting and writing experience. Most of all, writing consulting should not be a one-off event. Rather, repeated revisions and consulting will have a bigger effect. Also, the program should focus on revisions through a one-on-one session with consultants. Result-oriented writing education will not help students to develop their writing proficiency. Writing education accompanied by consulting at the writing center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students' writing skill through repeated revisions based on discussions and debates.

      • 전시 관람자를 위한 교육자료 개발 및 활용에 대한 연구 : 자기감상자료(self-guide)를 중심으로

        김경희 동국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71

        With economic growth and growing interest in cultural art in Korea, an educational role of a museum is highlighted as a cultural arts center according to such a demand of society. The previous museums and art galleries focus on collection, preservation, restoration, research, and exhibition while they emphasizes not only the traditional functions but also various exhibitions and a role of social educational center that conducts lifelong education. As a result, the number of visitors of art museums is growing and accordingly they demand higher quality of exhibitions and education. Therefore, Korean art museums now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he exhibition and education and have continuously tried to grow as a social educational center. However, most of museums focu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oriented educational programs, so appreciation education for normal visitors who don’t participate in a certain educational program is relatively insufficient due to lack of education for various viewers. Major educational materials given to exhibition audiences are printed materials such as a pamphlet or a leaflet. However, printed materials mostly deal with explanation about an art museum and exhibition information, so delicate appreciation education considering exhibition audiences is insufficient. In other words, audiences who visit an art museum appreciate ‘superficially’ due to the lack of various education media suitable to audiences’ characteristics. Therefore, it is urgent for art museums to develop educational materials providing quality educational opportunities through systematic research and analysis for all visitors’ autonomous communication about exhibitions. This study aims to provide quality education opportunities anyone who visits an museum by analyzing the development of self-guide that visitors can learn by themselves without curators or educators among various educational materials of an art museum. Therefore, this study selected an art museum with constant interest in art museum education, and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recent data about self-guide data for autonomous and active communication to find out problems, and then it aims to suggest solutions. By applying the improvement methods, this researcher promoted appreciation and learning of the work by distributing them to museum visitors after directly planning and making the self-guide materials that helps appreciation of A Master’s Degree Exhibition Dongguk University 2010 Spring-「Kim kyung Hee, Jin Bun Hong, Chi Ah Young」.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seek for more development and activation of more efficient self-guide materials by conducting a survey and analyzing it. 오늘날 우리나라는 경제적 성장과 함께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고,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따라 하나의 문화예술기관으로써 미술관의 교육적 역할이 강조되었다. 즉, 과거의 박물관 ․ 미술관이 수집, 보존과 복원, 연구, 전시의 기능에 보다 주력하였다면 최근에는 이러한 전통적 기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시와 더불어 평생교육을 실시하는 사회교육기관으로써의 역할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 것이다. 그 결과 미술관을 찾는 관람자의 수요가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관람자는 보다 질 높은 전시와 교육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 우리나라의 미술관은 전시와 함께 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꾸준히 노력하여 사회교육기관으로 성장을 하고 있다. 그러나 대다수의 미술관이 초등학생 위주의 교육프로그램에 주력하고 있어 다양한 대상에 대한 교육이 미흡하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어 일정 교육프로그램에 참가하지 않은 일반 전시 관람자에 대한 감상교육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현황이다. 전시 관람자에게 제공되는 주 교육 자료로는 팸플릿 혹은 리플릿 등의 인쇄자료이다. 그러나 인쇄자료에는 미술관에 대한 안내 설명 및 전시 정보 제공에만 치중되고 있어, 관람자를 배려하지 않은 섬세한 전시 감상교육이 부재하고 있다. 즉, 전시 관람자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교육 매체의 부족으로 관람자들은 '수박 겉핥기' 식 감상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렇기 때문에 미술관은 모든 전시 관람자들에게 전시에 대한 자율적 소통이 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조사와 분석을 통해 관람자에게 질 높은 교육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교육매체의 개발이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미술관의 다양한 교육매체 중, 학예사(curator)나 교육담당자(educator) 등 전문가의 도움 없이도 관람자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자기감상자료(self-guide)개발을 연구함으로써 미술관을 방문하는 누구에게나 질 높은 교육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술관 교육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있는 미술관을 선정하여 관람자와의 자율적이고 적극적인 소통을 위한 자기감상자료(self-guide)에 대한 최근의 자료를 연구, 분석하여 문제점을 인식하였으며, 이에 대한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개선점을 적용하여 동국대학교 2010 봄 석사청구전-「김경희, 진분홍, 최아영」展의 감상을 돕는 자기감상자료(self-guide)를 직접 기획, 제작한 후 전시를 방문한 관람자에게 배포하여 작품의 감상과 학습을 유도하였다. 또한 이에 대한 설문조사 후, 이를 분석하여 보다 효과적인 자기감상자료(self-guide)에 대한 적극적인 개발과 활성화를 모색하고자 한다.

      • 虛應堂 普雨의 불교중흥운동, 그 현대적 적용 연구 : 동국대학교 정각원의 신행교육과 연계하여 : In Connection with the Education of the Buddhist Faith and Practice Performed by Jeonggakwon of Dongguk University

        이민기 동국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71

        조선 중기는 斥佛의 정도가 매우 강화되었던 시기로 불교는 風前燈火와 같은 滅絶의 위기에 처해 있었다. 그러나 文定王后(1501-1565)가 垂簾聽政을 하면서부터 꺼져가던 불교는 생명의 불꽃을 되살리는 기회를 맞이하게 되었다. 虛應堂 普雨(?-1565)는 그러한 중요한 시기에 문정왕후의 지지와 신뢰를 바탕으로 ‘불교중흥의 길’을 적극 개척하여, 조선에서 불교가 다시 일어설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다고 평가되고 있다. 연구자는 그러한 보우의 불교중흥운동이 비단 당시의 시대상황에만 유용했던 것이 아니며, 오늘날의 한국불교의 발전을 위해서도 재검토되고 적용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보우의 사상과 활동의 의미를 조명해보고, 현대적 신행교육에 적용하여 그 가치를 더해 보고자 하였다. 보우는 불교중흥을 위해, 교단외적으로 유교와 불교가 하나(一體)이며 상호 體와 用의 관계에 놓여있음을 적극 주장하여, 불교에 대한 유교의 사상적 반격을 차단시켰고, 교단내적으로는 禪과 敎가 一佛乘의 하나의 가르침임을 강조하여, 당시 선종과 교종간의 소모적인 분란과 갈등을 拂拭시키고자 하였다. 그러한 보우의 사상은 한 마디로 ‘一體論’으로 규정할 수 있다. 또한 禪敎兩宗의 복원, 度牒制와 僧科의 재실시, 훼손된 각종 사찰의 복원불사 등의 업적을 일구어내며 불교를 보호하고 승려의 자질이 향상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일체론의 관점과 인재양성의 중요성은 오늘날의 불교계가 가장 주시해야 할 요소일 것이다. ‘일체론’의 강조는 당시의 극도로 핍박받던 불교계의 현실을 타계하기 위해 강조한 보우의 不二論의 전개였다고 보는 바이다. 一切가 한 몸(一體)이자 그 작용(用)이며, 작용의 다양한 현상들은 서로 相卽해 있다는 不二一體의 관점은 현대사회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조화와 상생, 배려의 가치를 이끌어낼 수 있는 중요한 사상적 기저가 될 것이다. 또한 보우는 그러한 불교의 가치를 전해 줄 전달자(전법자)인 ‘승려’의 중요성에 역점을 두었다. 보우가 중시한 승려의 인재상은 內學인 불교에 충실하며 外學인 유교 또한 잘 섭렵하여 작용, 즉 사회적 역할을 잘 할 수 있는 者였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자는 보우의 그러한 두 가지의 역점을 구현하기 위해 정각원의 신행교육에 적용할 것을 제언하였다. 동국대학교의 신행교육 담당 기관인 정각원은 연 100회가 넘는 법회 및 교육 강좌를 실시하고 있다. 이에 법회와 강좌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적극 보완한다면, 현대적 신행교육의 중요한 이정표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자는 정각원의 신행교육에서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 교리의 이해 및 전달에 치우쳐 시행되고 있는 것을 지적하며, 향후 다양한 실천수행과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았다. 즉 禪과 敎의 兼修를 통해 생활불교로 연결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를 위한 신행교육안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각종 제도적인 뒷받침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가령, 교수자 및 신진학자의 연구지원 제도, 직원들의 직무향상과 신행활동의 연결, 그리고 재학생인 청년세대의 특수성 및 다양성을 반영한 맞춤형 신행교육안과 시행을 위한 제도적 보완이 필요할 것이다. 정각원은 보우의 사상을 적용하고 실천하는데 있어 외연적, 내연적 조건을 모두 갖춘 최적의 기관이라고 본다. 동국대학교의 불교 신행교육을 담당한다는 대표성과 法堂으로 사용되고 있는 崇政殿(경희궁의 正殿)은 이미 보우의 儒佛一體觀이 구현된 상징적 의미가 함축되어 있다. 여기에 교리와 실천수행의 겸수(禪敎兼修)가 보다 강화된 신행교육의 장으로 활용된다면 더욱 보우가 주장한 一體의 의미를 살릴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양한 전공분야의 인재들을 이미 교육대상으로 확보하고 있다는 점은 그 어떠한 신행교육 담당기관보다도 ‘인재양성’의 파급력을 높일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 다양한 분야(外學)의 전공자들을 내학(불교)의 겸비를 통해 친불교 성향의 올바른 인재로 양성한다면 그 어떠한 포교정책보다도 큰 효과를 볼 수 있음이다. 이렇듯 보우의 不二一體觀을 통한 불교중흥운동은 미래 불교포교를 위한 신행교육 활성화의 원동력을 제공할 것이며, 나아가 불교의 가치를 제대로 이해하고 조화와 상생의 지혜를 갖춘 인재 양성은 비단 불교만의 발전에 한하는 것이 아니라, 인류의 현재와 미래를 담보하는 중요한 일이 될 것이라 확신하는 바이다. During the middle of Joseon period when the anti-Buddhist policy was greatly tightened, Buddhism stood at the crisis of extinction: it was dangerous as sitting on a barrel of gunpowder. But from the time when Queen Munjeong (1501-1565) held court from behind a screen, the dying Buddhism came to receive opportunities to revive the flame of life. At such a crucial time, Heoeungdang Bou (d.1565) is estimated to have established a foothold for Buddhism to rise again in Joseon by paving the way for rehabilitating Buddhism based on the support and trust of Queen Munjeong. I believe that Bou’s movement for the rehabilitation of Buddhism was not only useful for his times but is also needed reappraising so that it may be applied for the development of today’s Korean Buddhism. Therefore, I try to illuminate the meaning of Bou's ideas and activities; apply them to the contemporary education of Buddhist faith and practice; and thereby enhance the value of them. In order to rehabilitate Buddhism, Bou actively asserted, toward the non-Buddhist communities, that Confucianism and Buddhism were a single body and mutually in function and essence relations, and by doing so, he prevented Confucianism from counterattacking Buddhism in ideological issues. Toward the Buddhist community, Bou emphasized that Seon and Gyo (teaching in the scriptures) were a single dharma of one Buddha-vehicle, so that he may wipe out the exhaustive disorder and conflicts between the two schools of Seon and Gyo. In short, Bou’s thought can be defined as the “theory of one body'. In addition, Bou rehabilitated the two schools of Seon and Gyo; re-implemented the systems of ‘official permit to become a monk’ and ‘Buddhist monks’ examination’; reconstructed various damaged Buddhist temples; and thus gained a toehold to protect Buddhism and to improve the qualities of monks. The “theory of one body” and “training of talent” will be the two most important factors that today’s Korean Buddhism must pay attention to. I think he emphasized the “theory of one body” to overcome the reality of the then Buddhism that had been extremely persecuted at that time. For this reason, he unfolded the theory of non-duality. I believe that the perspective of “one body of non-duality,” namely, that all things are one body and its function, and that the various phenomena of the function are identical with noumenon, can be a significant ideological basis on which to recognize the diversity of contemporary society and to elicit the values of harmony, coexistence, and consideration. Besides, Bou placed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monks” as messengers to convey such Buddhist values. The ideal Buddhist monks Bou emphasized were those who were faithful to the inner learning, i.e., Buddhism; well-versed in the outer learning, i.e., Confucianism; thereby, competent in the function, or their social role. To embody the above two points in the contemporary situation, I propose to apply them to the Buddhist faith and practice education that Jeonggakwon Temple implements. Jeonggakwon Temple, an institution in charge of the Buddhist faith and practice education at Dongguk University, holds more than 100 dharma assemblies and educational courses a year. Accordingly, if we apprehend the problems of current dharma assemblies and lectures and actively remedy the shortcomings of them, we can set an example for the contemporary Buddhist faith and practice education. Regarding what needs improving in the current faith and practice education Jeonggakwon implements, I point out that the existing approach leans toward the understanding and transmission of the doctrine and thus suggest that various practices should be accompanied in the future. That is, through the simultaneous cultivation of Seon and Gyo, we can connect our lives with Buddhism and an appropriate plan for the faith and practice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to this effect. And this entails various institutional supports that are directed toward, for example, the research support system for teachers and new scholars; the linkage between job improvement and employees’ faith and practice activities; and a customized plan for the faith and practice education reflecting the specificity and diversity of students comprising the younger generation. I think that both externally and internally Jeonggakwon is the most suitable institution qualified for applying and practicing Bou’s thought. When it comes to the symbolic meaning of Jeonggakwon Temple, it is representative of the Buddhist faith and practice education of Dongguk University and it has a symbolic dharma hall, namely the former Sungjeong Hall (the main palace of Gyeonghee Palace), which has already embodied Bou’s theory of “oneness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In addition to this, if the temple is used as a place of the faith and practice education in which Seon and Gyo are practiced at the same time, then that will be able to better bring about the meaning of Bou’s “one body.” Furthermore, Jeonggakwon has the advantage of enhancing the spreading effect of the 'training of talented persons' more than any other training institutions because in educating Buddhism the university temple Jeonggakwon has already secured talented persons in various fields of studies. If we can train those in other non-Buddhist fields of studies as pro-Buddhist talents who are also versed in Buddhism, we can expect results more effective than any other Buddhist propagation policies. I am sure that if we use Bou’s theory of “one body of non-duality ”, today’s Buddhist rehabilitation movement will be able to provide a driving force for revitalizing the faith and practice education system—especially the system intended for the propagation of future Buddhism. Further, cultivating the talent who are able to properly understand the value of Buddhism and who are furnished with the wisdom of harmony and coexistence will be important not only for the development of Buddhism but also for the present and future of humanity.

      • 발표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수업 설계 연구 : 내용 중심 교수법의 적용을 중심으로

        이숙연 동국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에서 중국 대학교의 한국으로 유학 가려는 학습자나 한국 회사에 취직하려는 학습자를 위한 내용 중심 교수법을 적용하여 발표 활용한 중국 대학교의 말하기 수업 설계 방안을 세시하였다. 한국 대학교에 입학하면 발표 비중이 높은데 중국 대학교는 한국어로 된 발표 수업이 없다. 중국 대학교 한국어 말하기 수업의 중요점은 단어와 문법인데 수업 시간에 어휘만 강조하면 듣기. 말하기, 쓰기, 읽기와 같은 언어 활용 능력이 좋아지지 않는다. 중국인 유학생들이 문법과 어휘를 잘 알고 있지만 한국 대학교에서 말하기인 발표 등 공적이고 상호작용적 말하기 활동을 항상 회피한다. 그리고 한국 회사에 취직되면 말하기 능력과 발표 능력이 많이 요구된가. 한국으로 간 유학생이나 한국회사에 취직한 취업자가 살아남기 힘들다. 따라서 중국 대학교 한국어학과 학습자들의 발표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방안이 시급하다. 이에 본 연구는 내용 중심 교수법을 활용한 발표 활동으로 중국 대학교의 말하기 수업 설계 방안을 제안하였다. 近幾年來,隨著韓流文化在全世界掀起浪潮,中國青少年也對韓國文化及韓語產生了極大的熱情,中國大學韓語系學習者與日俱增,同時,去韓國留學及畢業后進入韓國公司工作的中國韓語學習者人數也在持續增加。但是,目前中國的韓語教育主要以傳統方式進行,導致很多學習者繪畫能力不足,在韓國大學及韓國公司,發表成爲日常,也因爲他們沒有得到系統的發表學習和訓練,導致大部分學習者畢業后去韓國大學留學或者進入韓國公司工作時都會遇到困難。爲了解決這些問題,本研究考慮到中國大學韓語係學生的特性,選擇了適用内容中心教學法,活用發表進行韓語會話課堂設計研究。同時考慮到了授課流程,使用了内容中心教學法的授課模式“導入-適用-擴展”的方式進行了課堂設計。爲了提高中國大學韓語係韓語學習者的發表能力,本研究在適用階段活用了發表。對此,本研究以在中國大學韓語係就讀的韓語的韓語4級(3學年)的學生為對象,提出適用内容中心教學法,活用發表進行韓語會話課堂設計研究法案。 首先闡述了中國大學韓語係韓語教育的現狀及特徵,著眼于韓語教育中使用最多的教學法、會話課堂的特徵、會話課的重點這三個方面進行研究,找到了問題的所在。中國大學會話課多適用情景教學法,雖然學習者日常會話能力有所提高,但是像發表這樣的特定的能力卻無法得到提升;課堂大多是教師主導,這樣的課堂學習導致對去韓國留學或者去韓國公司工作的學生十分不利;課堂的重點是語法和詞匯,學生活動語言的能力無法得到提高。爲了解決這些問題,本研究提出了内容中心教學法以及活用發表的形式來進行課堂教學。接下來本文研究了内容中心教學法的特徵和授課模型,爲後面的中國大學韓語係會話課堂的設計提供了授課模型的範式。本文又進行了發表的概念和發表的教育内容的研究,為後面的研究提供了理論支持。本研究針對中國5所大學的韓語係61名學習者進行了“個人信息、對韓語會話課的滿意度、對發表教育的要求、對適用内容中心教學法的發表教育的看法及期待”問卷調查。爲了把握中國大學韓語會話課進行方式及課堂内容,對會話課的講義計劃書進行分析並提出了分析基準,分析基準為“課堂目標,課堂計劃及内容,課堂資料,授課方式,授課媒體,評價”6個方面。 從問卷調查的結果來看,大部分學習者對目前韓語會話課的滿意度不高,對以内容中心的教學法,活用發表的韓語會話授課方式非常的感興趣也充滿期待。根據前面提出的講義計劃書分析基準,分析了中國3所大學的將以計劃書,確認了目前中國大學韓語係進行的會話課所使用的教材,課堂内容及目標與韓語學習者的目標並不一致。因此本研究提出了適用内容中心教學法,活用發表設計韓國語會話課堂。其次,第4章以第2章和第3章中提出的理論為基礎,提出了韓語會話課堂的設計原理及模型,另外設計了會話課堂的教學大綱,並根據教學大綱選出具體的課堂,制定了具體的繪畫課的教案及課堂活動紙,並展示了課堂的教案及課堂課堂上需要活用的活動紙。最後展示出了韓語教學專家對本設計的評價。本研究的教學大綱是由韓語係教研組共同制定的,根據歷年來韓語等級能力考試大作文的主題及各個主題的社會關注度及貼近生活的程度,選出了各周發表的主題並制定了教學大綱。上課流程由導入階段,適用階段,擴展階段組成,適用階段中活用了發表活動。 最後論述了本研究所蘊含的意義。第一,本研究針對中國大學韓國語學習者的需求,提出韓國語口語可與課程設計方案。這個韓語會話課程設計方案可以提高學習者的發表能力。因此,對想要去韓國大學留學或者去韓國公司工作的學生有很大的幫助。其次,本研究是以小組發表為單位進行韓語會話課,對即將進入社會的學生提前領悟團隊合作的重要性也有很大幫助。第三,本研究采用以内容為中心的教學方法,選取社會和環境問題作爲發表主題,把重點放在内容上,是内容中心教學法的核心。發表社會關注度高及環境問題的内容,能夠讓學習者更加關注社會以及環境問題。因此,本研究展示的韓國語會話課的設計方案將對學習者們畢業後去韓國留學或者去韓國公司就職起到很的幫助。 雖然本研究具有上述教育意義和社會意義,但是本研究提案的韓國語會話課的設計方案還未能夠驗證在實際教育現場授課的效果和實際性,這一點還存在局限性。還有,本研究中發表的内容、參考資料收集方法、發表文製作方法、PPT製作方法、發表的構成、計劃等對於教師來説也是不容易操作的部分。以後以内容中心的教學方法為中心,在利用發表的韓語會話課程設計方案中,克服這些局限性,期待對提高學習者的發表能力作出貢獻的會話課程設計方案的研究。

      • 중국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읽기·쓰기 통합 교육 방안 연구 : 인터넷 신문기사를 활용한 문화 수업 설계를 중심으로

        티류치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55

        本研究以中國大學韓國語專業的3,4年級學生中,畢業後計劃前往韓國繼續升學的學問目的學習者為研究對象。為了使這部分學習者今後前往韓國留學時能夠盡快適應學業以及生活,需要拓寬他們對於近期與韓國相關的背景知識,並對韓國大學中必須練習的講義理解,報告書寫作,討論與發表等學業課題中所需要的整體語言能力進行提高。為此目的,本研究選擇運用社會·文化領域的網絡新聞報道,以文化課程為前提,以閱讀·寫作综合教育为中心,開發了能夠同時使學習者們拓寬近期韓國相關的背景知識與提高整體語言能力的韓國語綜合課程。 本研究首先整理了到最近為止中國大學韓國語專業的教育現狀和學習者現狀,發現現在中國大學韓國語專業中有關背景知識形成的文化課程開設不足,而已經開設的語言能力課程對於提高學問目的學習者的整體語言能力來說比較困難。並且學習者們對於韓國文化學習的滿意度較低。學習者們認為文化學習的時間不足,而且在學校裡學到的韓國文化與自己實際接觸到的韓國文化感到有些差距。學習者們希望能夠將韓國文化的學習與語言學習結合起來。因此本研究為了提高學習者的整體語言能力,選定語言能力綜合類型中的“閱讀後-寫作”列出了閱讀·寫作綜合模型。並為拓寬學習者的背景知識,參考了先行研究設計了文化課程的步驟。為使學習者們輕鬆的閱讀並學習最近的韓國文化,本研究選擇了網絡新聞報道作為閱讀文本。為了能夠在韓國語課程中運用,本研究還設定了三方面選定基準,同時會根據學習者的要求,並參考符合高級階段學習者的文化教育內容選出相應的社會·文化領域的網絡新聞報道。接著本研究以實際中國大學韓國語專業的學習者為對象進行了問卷調查,並對現在中國大學韓國語專業正在使用的三本教材進行了教材分析。通過問卷調查確認了學習者們願意參與運用網絡新聞報道的閱讀·寫作綜合課程,並得知了學習者們對於文化學習的重要性有著深刻認知,還把握了學習者們感興趣的新聞報道領域與文化主題。通過教材分析得出了現在中國大學韓國語專業正在使用的教材中新聞報道的運用情況和於此相應的教育學習活動,並把握了教材中體現的語言能力綜合現狀和文化主題,從而導出了問題點。 接著本研究以分析出的理論為基礎列出了文化課程為前提的閱讀·寫作綜合教育的原理,並根據原理設計了教育模型,教育內容,課程指導案,以及列舉了可供參考的課程資料。教育模型共分為4階段,是將前面列出的閱讀·寫作綜合模型與文化課程步驟相結合設計出的。教育內容則以“國際通用韓國語教育標準模型”4階段中適用於高年級學習者的文化內容和學習者要求結果與教材分析結果為基礎,設置了16周的課程主題。通過課程指導案,學習者們將經過4階段的課程步驟,先閱讀可以反映出相應文化主題的網絡新聞報道,再將自己的見解寫成報告書,之後進行發表與質疑應答,然后再閱讀一邊新聞報道後修改報告書。最後教師對學習者們的報告書進行評價。經過這樣的過程,學習者可以同時拓寬背景知識與提高整體語言能力。 本研究的研究意義有以下幾點:第一,本研究在重視畢業後計劃繼續前往韓國留學的中國大學韓國語專業的學問目的學習者要求這方面很有意義。這部分學習者們今後前往韓國留學時,為了快速適應學業與生活,提前在中國大學裡將所需要的整體語言能力和近期韓國相關的背景知識進行形成並提高是非常重要的,但目前中國大學韓國語專業中所開設的教學科目和正在使用的教材都無法滿足這部分學習者的要求。但是通過本研究所設計的以文化課程為前提的閱讀·寫作綜合教育,學習者們通過能夠體現多樣文化主題的網絡新聞報道,不僅可以學習到新聞報道中所體現的文化內容,還可以通過閱讀新聞報道,進行報告書寫作,發表和質疑應答的過程,自然地以文字語言——閱讀·寫作為中心提高整體語言能力。第二,本研究新穎的將重點放在網絡新聞報道上,將其運用為閱讀文本是很有意義的。網絡新聞報道在網站上是實時更新的,這比教材和紙質報紙等能夠更快速的找到豐富的資料並閱讀。而且比起其他閱讀文本也能更輕鬆地獲取新鮮的情報。這對學習者們認識最近的韓國社會與文化提供了很大的幫助。並且學習者們運用網站來搜索網絡新聞報道,這個過程裡還能夠流暢地把握韓國人們經常使用的網站。這也對學問目的學習者們今後前往韓國留學時快速適應學業與生活有所幫助。 本研究開發的教育模型由於沒有在實際韓國語教學現場中進行實踐,所以研究中的教育模型與教育內容,課程指導案,還有課程資料在實際韓國語教室中可能會有較難適用的部分。而且在課程中使用的網絡新聞報道由於要考慮到篇幅和學習者能力等各種因素,教師為了尋找到合適的網絡新聞報道需要提前投入很多時間和努力,在這方面也有一些不足。希望今後能夠有更多多種多樣的為了有韓國留學計劃的中國高級階段學問目的學習者的研究出現。 본 연구는 중국 대학교 한국어학과를 졸업한 후 한국 유학 계획이 있는 3, 4학년 학문 목적 고급 학습자를 위한 인터넷 신문기사를 활용한 읽기·쓰기 통합 교육 방안을 개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그리고 문화 수업을 전제로 학습자의 총체적 언어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중국 대학교에서 졸업한 후 한국으로 유학 오면 한국 대학교의 학업에 원활하게 적응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현재의 한국 사회와 한국문화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한국 대학교에서 강의 이해하기, 보고서 쓰기, 토론과 발표하기 등과 같은 학업 수행 시 필수적인 학문적 기술을 양성할 수 있는 교육을 중국에서 미리 받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유학 계획이 있는 학문 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효율적인 읽기·쓰기 통합 교육 방안을 설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할 것이다. 중국 대학교 한국어학과 관련 선행 연구를 살펴본 결과, 현재 중국 대학교 한국어학과에서 아직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교과목 설정은 드물고, 읽기·쓰기 통합 수업의 개설은 매우 부족하다. 그러나 이러한 현황을 개선하고자 하는 연구는 많이 없고 취직 목적 학습자를 위해 해결책을 제시하는 연구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중국 대학교 한국어학과에서 개설된 문화 수업은 학습자의 문화 학습에 적극적으로 도움을 주지 못한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는 2장에서는 중국 내 대학교 한국어학과의 교육과정과 고급 학습자의 특징을 파악할 것이다. 또한 최근 중국 내 대학교 한국어 수업의 특징을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읽기·쓰기 통합 교육을 통한 문화 수업의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그다음 3장에서는 학습자가 문화 교육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고, 4장에서는 학문 목적 학습자에 적합한 문화 수업을 전제로 한 읽기·쓰기 통합 교육 방안을 개발할 것이다. 읽기·쓰기 중심 수업 관련 선행 연구를 살펴본 결과, 사실 이 연구들에서 설계한 교육 방안은 읽기와 쓰기를 통합하여 교수하면 더욱 훌륭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 진행된 연구는 없었다. 또한 읽기·쓰기 통합 수업 관련 연구에서는 읽기와 쓰기를 통합하여 교육하는 방안을 설계하였지만 텍스트의 어휘 및 표현을 파악하고 간단한 글쓰기 훈련에 그치거나 읽기·쓰기 통합 교육으로 학습자의 총체적 언어능력 신장이라는 목표를 제시하지 않았다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화 수업을 전제로 읽기·쓰기 통합 교육 방안을 개발함으로써 기존의 읽기와 쓰기 활동에 비해 더욱 심화한 읽기·쓰기 교수 학습 활동을 통해 학습자의 총체적 언어능력을 신장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언어 기능 통합의 유형을 살펴보고 읽기·쓰기 통합의 개념과 특징을 파악하여 본 연구의 읽기·쓰기 통합 모형을 설계하겠다. 또한 3장에서는 학습자의 읽기·쓰기 통합 교육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고 4장에서는 설계한 읽기·쓰기 통합 모형에 따라 학습자 요구에 맞는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신문기사를 활용한 수업 관련 선행 연구를 살펴본 결과, 인터넷 신문기사를 활용해서 한국어 읽기 교육 혹은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을 개발하는 연구가 많았으나 인터넷 신문기사를 활용하는 읽기·쓰기 통합 교육 관련 연구는 드물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적절한 인터넷 신문기사를 선정하기 위해 2장에서는 인터넷 신문기사의 특징을 파악하고 선정기준을 설계하겠다. 3장에서 학습자가 인터넷 신문기사에 대한 요구와 최근 중국 대학교 한국어학과에서 사용한 교재에 실은 신문기사의 상황을 파악하고 4장에서는 적절한 인터넷 신문기사를 활용한 교육 방안을 설계하도록 하겠다. 종합하면 본 연구는 2장에서 중국 대학교 한국어 학과와 고급 학문 목적 학습자의 특징, 읽기·쓰기 통합의 개념과 특징을 파악하고, 본 연구의 연구 목적에 적합한 읽기·쓰기 통합 모형을 설계하겠다. 또한 인터넷 신문기사의 특징을 파악한 후 선정기준을 설계하고 본 연구에서 설계한 읽기·쓰기 통합 모형을 활용한 문화 수업의 의의를 제시하겠다. 3장에서는 학습자 요구와 최근 중국 대학교 한국어학과에서 사용한 교재에서 활용하는 신문기사를 살펴보겠다. 마지막 4장은 교육 모형과 교육 내용을 설계한 다음에 학습자 요구에 적합한 문화 수업을 전제로 읽기·쓰기 통합 교육 방안을 개발할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현재 중국 대학교 한국어학과에서 잘 진행하지 않는 읽기·쓰기 통합 교육의 교육적 의의를 밝히고, 학문 목적 학습자가 인터넷 신문기사를 통해 최근의 한국에 대해 배경지식을 확장하여 학습자가 앞으로 학업을 수행할 때 사용해야 하는 총체적 언어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미술치료사 자격의 법제화에 관한 연구

        김영숙 동국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55

        Western welfare state had a crisis on welfare demand after 1980. Hereby introducing a new welfare system, it went through process of reorganizing welfare system. As a result, welfare privatization appeared as a new paradigm and began to meet welfare demand. Entering upon the year of 2000, together with social transformation, interest on welfare increased in Korea. Because aging and birthrate declined and women's economic activity, the poor strata, and social risk such as mobility fixation between strata increased. Hereupon the need of universal social welfare orientation, all-embracing the central government and provincial government, came to the fore. Since 2007, social services began to expand precipitously, and the range is getting out of limited services and is getting generalized to those under the certain income is growing. As both in contents and form, community is reinforced to become subject to the welfare. Various social welfare organs, universities and commercial enterprises are participating as the subject of service offer. The variety of services is expanded from developmental rehabilitating range to emotion psychology supporting service such as art therapy, play therapy, music therapy and psychotherapy. Art therapy in Korea grew rapidly in a short time. Korean art therapy association established in 1992, together with economic growth, interest in welfare improvement and physical and mental disabilities increased and as psychology craze swept, related jobs got a high profile. Also, the voucher system, one of social services practiced b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ontributed greatly to putting public service in place. Academically, with Daegu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Rehabilitation Sciences establishment in 1999 as a start, arts therapy related master's and doctorate programs were established in around thirty-five universities and undergraduate course was offered in six universities. As art therapy got attention as alternative medicine, certificates are made. As a result of searching in civil certificate information sit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s of May 2017, art psychotherapist certificate is to be registered as total amount of 477 certificates related to art therapy. However, certificate system is not legally regulated. So, civil organization is in charge of art therapist training curriculum and it is commercially used by taking this chance. Recruiting members in a short time with high costs and training qualitatively not verified therapists, some private art therapist training organizations tempt that a high school graduate can get certificate with two to three months online classes. This phenomenon leads to negative recognition about art therapy and causes intensifying suspicion regarding related system. Also, qualitative level of human resources offering to social service field is not following an increase in quantity. A qualitative level difference between the service provider exists, and because educational standards deviation is big, the confusion is intensified and damage is being accumulated. Therefore, system improvement is needed to raise social service business purpose and outcome of treatment and to promote users satisfaction. To settle it effectively and substantially, educational system improvement and legislation of certificate system regarding human resources offering art therapy is urgent.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demonstrate necessity of art therapist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In order to do so, examined various data related to qualification system, referred to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state and presented the solution of legislating art therapist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proper to Korean reality. For this, researcher presented curriculum of each university, society and association related to art therapy, and eligibility rule of each institution's art therapist qualification system, and presented state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n art therapy qualification system of Korea and other countries. Also, checked basis of art therapy as in existing law and examined states of performing organizations. Furthermore, to legislate art therapist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researcher presented that performing organization's integration and legal basis are needed of all things. Therefore, this research recognized the need of public standard settlement to art therapy quality and reached a conclusion that nation should manage art therapy qualification system, which is currently done by private. National management system is surely needed for art therapy qualification in various areas for public health such as adverse reaction prevention due to poor qualification management, qualitative improvement on service personnel, better service offer, and systematization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서구 복지국가는 1980년 이후 복지수요에 위기가 닥쳤다. 이에 복지제도를 재편하는 과정을 거쳤다. 그 결과 복지민영화가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등장하여 복지수요를 충족하기 시작하였다. 우리나라도 2000년 이후 복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여성의 경제활동 증가로 인한 아이 양육 문제, 출산율 감소, 인구 고령화, 빈곤층의 증가, 계층 간의 이동 고착화 등과 같은 사회적 위험(Social Risk)이 커졌기 때문이다. 이에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를 망라하는 보편적 사회복지 체계를 수립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2007년부터 사회서비스가 급격하게 확대되었는데, 그 범위가 한정된 서비스를 벗어나 일정소득 이하의 대상자로 보편화되고 있다. 내용과 형식에서도 지역사회가 복지의 주체가 되도록 강화되고 있다. 서비스제공의 주체도 지역사회의 다양한 사회복지기관, 대학 및 영리기업까지 참여하고 있다. 서비스의 종류도 확대되어 발달재활의 범주에서 정서심리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미술치료, 놀이치료, 음악치료, 심리치료 등이 그것이다. 한국의 미술치료는 단기간에 급성장했다. 1992년 한국미술치료학회가 창립되었고, 경제성장과 더불어 복지향상과 신체적, 심리적장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고, 심리학 열풍이 불면서 이와 관련된 직업이 높은 관심을 받았다. 또한 보건복지부 사회서비스의 일종인 바우처사업도 공적서비스 시스템을 확립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학문적으로는 1999년 대구재활과학대학원에 미술치료전공이 개설된 것을 시작으로 20여년 사이에 35여 대학에 예술치료관련 석·박사 과정이 개설되었고, 6개 대학에 학부과정이 개설되었다. 미술치료가 대체의학으로 관심을 받으면서 자격증도 생겼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민간자격정보 사이트에서 검색한 결과 2017년 5월 현재 미술심리상담사 자격증이 총 477건으로 미술치료관련 자격증이 등록되었다. 그러나 자격제도가 법적으로 규정되어 있지 않아 미술치료사 양성교육과정을 민간기관이 담당하고 있으며, 규제가 없는 틈을 타서 상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단 기간 높은 비용으로 회원을 모집하여 질적으로 검증되지 못한 치료사를 양성하고, 몇 사설 미술치료사 양성기관에서는 고졸 이상 학력에, 2〜3개월 간 온라인 수강만으로도 자격증을 받을 수 있다고 유혹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상은 미술치료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낳게 되고 관련제도에 대한 불신이 심화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사회서비스 분야에 제공하는 인력의 질적 수준이 양적 증가를 따르지 못하고 있다. 서비스 제공자의 질적 수준에 차이가 있고, 교육수준의 편차도 커서 현장에서 혼란이 가중되는가 하면, 그로 인한 피해가 누적되고 있다. 따라서 사회서비스 사업목적과 치료의 성과를 높이고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높이도록 제도를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 이와 더불어 효율적이고 실질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미술치료를 제공하는 인력에 대한 교육제도의 개선과 자격제도의 법제화가 시급하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 국가자격의 필요성을 논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자격제도와 관련된 다양한 자료들을 검토하고, 보완대체의학의 현황을 참고하여 한국의 현실에 적합한 미술치료사 국가자격제도를 법제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각 대학의 교과과정과 미술치료 관련 학회, 협회, 기타 미술치료사 자격제도 실행 기관별 자격규정을 제시하였으며, 한국 및 다른 몇 개국의 미술치료사 자격제도를 비교분석하여 현황을 제시하였다. 또한 현행법상 미술치료에 관한 근거를 알아보고 이를 실행하는 기관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더 나아가 미술치료사 국가자격제도를 법제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실행기관의 통합과 법적근거가 필요하다는 것을 함께 제시하였다. 하여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 자격에 대한 공적기준 확립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현재 민간이 담당하는 미술치료자격제도를 국가가 관리해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자격관리 부실로 인한 부작용 예방, 서비스 인력의 질적인 향상, 더 나은 서비스 제공, 보완대체의학의 체계화 등 국민의 건강을 위한 다양한 차원에서 미술치료 자격을 국가가 관리하는 시스템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겠다.

      • 우리나라 대학신문 전자출판 현황에 관한 연구 : 디스크신문과 화면신문을 중심으로

        곽주영 동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55

        200 universities in Korea are regularly issuing university newspapers. The role of the school press is not about telling students school news but taking a public organ roll as well which tells about school’s history and culture. However, finding these articles are difficult to find because there is no database provided. With the development of Computer Aided Publishing, screen and disk newspapers were issued. Few of the universities have issued the disk newspapers and mostly of the universities use online to issue screen newspapers. From this result, the university presses are facing a crisis. With the internet provident with fast and easy access to get information, people are not reading university published newspapers. This is causing an environment of losing reader’s interests rapidly. Luckily, many of the university press are using the advantage of the internet. But instead of making the most of the internet media, most of the university presses are exactly copying the printed newspaper to the internet. Even though there are advantages of the disk and screen newspapers, many problems need to be solved. Knowing what the readers want, providing service for online readers, and introducing new communication technology can lead to the solution of the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