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시 관람자를 위한 교육자료 개발 및 활용에 대한 연구 : 자기감상자료(self-guide)를 중심으로

        김경희 동국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711

        With economic growth and growing interest in cultural art in Korea, an educational role of a museum is highlighted as a cultural arts center according to such a demand of society. The previous museums and art galleries focus on collection, preservation, restoration, research, and exhibition while they emphasizes not only the traditional functions but also various exhibitions and a role of social educational center that conducts lifelong education. As a result, the number of visitors of art museums is growing and accordingly they demand higher quality of exhibitions and education. Therefore, Korean art museums now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he exhibition and education and have continuously tried to grow as a social educational center. However, most of museums focu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oriented educational programs, so appreciation education for normal visitors who don’t participate in a certain educational program is relatively insufficient due to lack of education for various viewers. Major educational materials given to exhibition audiences are printed materials such as a pamphlet or a leaflet. However, printed materials mostly deal with explanation about an art museum and exhibition information, so delicate appreciation education considering exhibition audiences is insufficient. In other words, audiences who visit an art museum appreciate ‘superficially’ due to the lack of various education media suitable to audiences’ characteristics. Therefore, it is urgent for art museums to develop educational materials providing quality educational opportunities through systematic research and analysis for all visitors’ autonomous communication about exhibitions. This study aims to provide quality education opportunities anyone who visits an museum by analyzing the development of self-guide that visitors can learn by themselves without curators or educators among various educational materials of an art museum. Therefore, this study selected an art museum with constant interest in art museum education, and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recent data about self-guide data for autonomous and active communication to find out problems, and then it aims to suggest solutions. By applying the improvement methods, this researcher promoted appreciation and learning of the work by distributing them to museum visitors after directly planning and making the self-guide materials that helps appreciation of A Master’s Degree Exhibition Dongguk University 2010 Spring-「Kim kyung Hee, Jin Bun Hong, Chi Ah Young」.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seek for more development and activation of more efficient self-guide materials by conducting a survey and analyzing it. 오늘날 우리나라는 경제적 성장과 함께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고,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따라 하나의 문화예술기관으로써 미술관의 교육적 역할이 강조되었다. 즉, 과거의 박물관 ․ 미술관이 수집, 보존과 복원, 연구, 전시의 기능에 보다 주력하였다면 최근에는 이러한 전통적 기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시와 더불어 평생교육을 실시하는 사회교육기관으로써의 역할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 것이다. 그 결과 미술관을 찾는 관람자의 수요가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관람자는 보다 질 높은 전시와 교육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 우리나라의 미술관은 전시와 함께 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꾸준히 노력하여 사회교육기관으로 성장을 하고 있다. 그러나 대다수의 미술관이 초등학생 위주의 교육프로그램에 주력하고 있어 다양한 대상에 대한 교육이 미흡하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어 일정 교육프로그램에 참가하지 않은 일반 전시 관람자에 대한 감상교육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현황이다. 전시 관람자에게 제공되는 주 교육 자료로는 팸플릿 혹은 리플릿 등의 인쇄자료이다. 그러나 인쇄자료에는 미술관에 대한 안내 설명 및 전시 정보 제공에만 치중되고 있어, 관람자를 배려하지 않은 섬세한 전시 감상교육이 부재하고 있다. 즉, 전시 관람자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교육 매체의 부족으로 관람자들은 '수박 겉핥기' 식 감상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렇기 때문에 미술관은 모든 전시 관람자들에게 전시에 대한 자율적 소통이 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조사와 분석을 통해 관람자에게 질 높은 교육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교육매체의 개발이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미술관의 다양한 교육매체 중, 학예사(curator)나 교육담당자(educator) 등 전문가의 도움 없이도 관람자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자기감상자료(self-guide)개발을 연구함으로써 미술관을 방문하는 누구에게나 질 높은 교육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술관 교육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있는 미술관을 선정하여 관람자와의 자율적이고 적극적인 소통을 위한 자기감상자료(self-guide)에 대한 최근의 자료를 연구, 분석하여 문제점을 인식하였으며, 이에 대한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개선점을 적용하여 동국대학교 2010 봄 석사청구전-「김경희, 진분홍, 최아영」展의 감상을 돕는 자기감상자료(self-guide)를 직접 기획, 제작한 후 전시를 방문한 관람자에게 배포하여 작품의 감상과 학습을 유도하였다. 또한 이에 대한 설문조사 후, 이를 분석하여 보다 효과적인 자기감상자료(self-guide)에 대한 적극적인 개발과 활성화를 모색하고자 한다.

      • 문학상담 전공생인 한 엄마의 예술가-되기에 대한 예술기반 자문화기술지

        김경희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63

        이 글은 ‘엄마’와 ‘예술가가 되고 싶은 사람’ 사이에서 갈등하는 한 여성으로서 연구자의 목소리를 사회 속에 드러냄과 동시에 문학상담 석사과정을 통해 이러한 갈등을 어떻게 극복하며 예술가-되기를 할 수 있었는지에 대한 경험을 예술기반 자문화기술지의 방법으로 연구한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예술가가 되고 싶었던 연구자가 자신의 꿈과 돌봄노동 사이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였는지를 드러내고, 문학상담이 연구자의 예술가-되기에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연구자는 문학상담 전공생인 한 엄마로서의 시간과 예술에 대한 자신만의 생각, 문학상담에서의 예술가-되기의 경험을 상상적-창조적 글쓰기와 분석적-해석적 글쓰기로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 “예술의 씨앗”, “송진가루 털어낸 가방을 메고”, “멀고도 가까운 예술의 파라다이스”, “위태로운 교실에서 안전한 부엌으로”, “부엌과 다른 소리를 달라고 기도했다”, “거울을 들고 친구의 삶에 홀린 자 되기”, “불행 속에서 아름답게 피어난 불협화음”이라는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자는 아이들에게 건강한 미래를 물려주기 위해 ‘좋은 엄마’가 되기 위한 노력과 예술가가 되고 싶은 마음 사이에서 갈등을 했고, 사회에서 형성된 엄마의 이미지와 예술가의 이미지가 공존할 수 없다는 생각에 절망을 느꼈다. 문학상담은 연구자에게 예술이라는 “거대한 산”을 오를 수 있는 길을 터주고 아무것도 모르기에 용기를 낼 수 있는 사람들이 자신이 사랑하는 것을 사랑할 수 있는 능력을 발휘하는 시간과 공간을 제공해 주었다. 연구자는 이러한 문학상담의 “삶을 나누며 오래오래 공명하는” 공동체 안에서 예술과 예술가에 대한 연구자의 생각들을 조금씩 변화시키며 일상적인 삶을 예술과 결속시키는 예술가-되기를 할 수 있었다. 또한 문학상담은 프랑스의 철학자 자크 랑시에르(Jacques Rancière)의 ‘감성의 분할(le partage du sensible)’을 비롯한 다양한 철학적 개념들을 통해 ‘좋은 엄마’와 예술에 대한 연구자의 관념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이끌어 주었다. 예술과 일상의 분리 속에서 엄마로서 수행해야하는 돌봄노동을 연구자의 꿈을 방해하는 것으로 분리시켜 놓고 괴로워했던 연구자는 ‘감성의 재분할’을 통해 자신을 떳떳하게 시인이자 엄마라고 정체화하며 엄마와 예술가 사이를 왕복운동 할 수 있는 능동적인 삶의 주체가 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an arts-based autoethnography about my experience of the dilemma of being a mother, wanting to be an artist, and becoming an artist by studying literature counseling in a graduate program. The conflict I felt as a mother who wanted to become an artist is presented in my own voice. The role literary counseling graduate program played in my becoming-artist is examined through this study. I described my experience as a mother majoring in literary counseling, my thoughts on art, and my experience of becoming an artist through imaginative-creative writing and analytical-interpretative writing. As a result of the study, seven topics have been derived: "Seed of art," "Wearing a backpack without rosin powder," "The paradise of art both near and faraway," "From precarious classroom to safe kitchen," "I prayed to a different sound from the kitchen," "Becoming haunted with a friend’s life holding a mirror," and "A beautiful cacophony of misfortune." I was at odds between my efforts to be a "good mother" and my desire to become an artist who should impart a healthy future to my children; I felt despair when the role of a mother and an artist could not coexist in harmony. Literary counseling paved the way for me to climb the "huge mountain" of art and carve out time and space that helped me muster the courage to pursue what I love. I was able to gradually experience becoming-artist, changing my thoughts about art, and binding my daily life with art in this community that is "resonating for a long time" through literary counseling. In addition, literary counseling led me to many philosophical concepts, especially French philosopher Jacques Rancière's concept of "the redistribution of the sensibile," which helped me come to terms with mothering, family unit, and the image of a 'good mother.' I used to be distressed when separating the care work I had to perform as a mother and artistic endeavor in my daily life as they interfered with my dream; however, I could move back and forth between a mother and an artist redistributing my sensibility.

      •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어휘력 및 언어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김경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al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tory making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vocabulary and linguistic creativity. The study focused on the following questions: 1. Do story making activities influence linguistic vocabulary? 2. Do these activities influence linguistic creativity? 2-1. Do story making activities improve fluency? 2-2. Do story making activities improve flexibility? 2-3. Do story making activities improve originality?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50 children(25 boys and 25 girls) aged five. The children attended P public kindergarten in Jeonju, Jeollabukdo.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25.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12 boys and 13 girls. The comparative group had 13 boys and 12 girls. For the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story making activities. The comparative group was not involved with story making activities. This experiment began March 23, 2009 and ended April 17, 2009. All parties met twice a week for four weeks. For the vocabulary test, the researcher selected Kwon Kyung-An's(1981) "Available Vocabulary Test". This language test is a tool to measure how much a five-year-old child's vocabulary has increased. For the language creativity test, the researcher selected associating the color red. The researcher used "Korean Comprehensive Creative Test for Young Children." It was developed by Chon Kyeong Won(2000). Data about individual vocabulary and total vocabulary were analyzed with M, SD, and t-test using the SPSS/PC+15.0 program. The following results came from the experimental group : Story making activiti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 child's vocabulary. Linguistic creativity (fluency and originality) can also be influenced by these activities.

      • 한국의 주택정책이 아파트 가격 변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양천구 지역을 중심으로

        김경희 인하대학교 정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주택은 인간의 삶에 있어 삶의 공간 확보라는 주거의 역할과 더불어 부의 축적수단이 되는 투자의 역할을 동시에 지니고 있어 시장 메카니즘에만 의해서는 주택의 공급과 배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비효율성을 유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주택이 인간의 기본적 욕구 충족의 필수적 재화라는 측면에서 다소의 논란이 있긴 하지만, 현대의 대부분 국가들이 주택시장을 민간부문에 전적으로 맡겨두기 보다는 정부가 개입하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정부가 주택시장에 개입하는 형태는 매우 다양하다. 국가마다 개입의 정도는 상이하지만, 주택수요에 대한 개입, 주택공급에 대한 개입, 주택가격에 대한 개입, 주택경기 안정을 위한 개입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주택시장에 개입하고 있다. 정부의 입장은 주택을 건설하기 위한 원자재인 토지가 극히 한정적이며 비탄력적인 재화이므로 주택시장을 완전경쟁시장에 맡기는 것은 국민 부담이 너무 크기 때문에 개입 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시장기능이 제대로 작동하려면 무한 경쟁체제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시간적, 공간적 한계로 그것이 불가능한 만큼 시장에 개입해서라도 불공정한 사항은 바로잡아야 한다는 복지모형론에 근거한 정부기능을 중시하고 있다. 이렇듯 주택정책이란 정부가 특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주택시장에 개입하여 주택가격을 안정시키고, 주택공급을 확대하기 위해 시행하는 정책으로 볼 수 있다. 주택시장의 흐름을 결정하는 요인은 외부적 요인, 내부적 요인, 정책적 요인 등의 수많은 요소들이 있다. 현 우리 정부에서는 주택시장 안정 및 활성화 통한 주택투자의 효율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방안들이 나오고 있지만, 주택 시장의 특수한 특성으로 인하여 이러한 정책적 요소들이 잘 반영되지 않은 폐단을 계속 반복하고 있다. 우선 주택시장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정책적인 안정을 꾀하여야 하며, 수요와 공급의 균형을 미리 예상하여 이를 수행하는 정책적 요소가 필요하다. 실질적으로 표면에 드러나는 주택 보급률의 증가뿐만이 아니라 자가 주택점유 비율을 늘리고, 질 좋은 주택을 많이 공급하여 다양한 주택 수요를 만족시켜야 한다. 또한 지역간 불균형을 해소하고, 균형적 발전을 위한 주택공급 정책이 요구되고 있다. 주택시장의 불균형적 발전의 폐단을 없애기 위하여 교육여건 개선 및 행정기관의 균형적 분산, 사회간접자본과 기반시설의 균형적 확충 등을 시행해야 할 것이다. 주택시장의 활성화를 통한 효율적인 주택투자를 유도하여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국가 발전을 꾀할 수 있도록 단기적인 계획보다는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계획이 필요할 것이라고 본다. 금융 정책적 측면에서는 청약제도, 모기지 등을 개선하여 주택시장의 자금 흐름을 원활히 하여 주택부문으로의 투자자금 유입을 유도해야 할 것이며, 양도소득세 및 소득세 강화 등의 투기적 요소의 유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정책을 실행하여 주택 투자의 활성화를 통한 국민경제 발전의 효과를 창출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부의 부동산정책이 아파트가격 변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서울시 양천구와 강서구의 아파트 거래 현황을 국토해양부에서 제공하는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객관적인 자료를 토대로 주택정책이 아파트가격 변동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한눈에 판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참여정부와 이명박 정부에서 시행한 주택정책의 주요내용을 인지하고, 이러한 주택정책들이 서울시 양천구와 강서구의 아파트가격 변동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여, 지역별 주택시장의 현실에 맞는 주택정책의 효율성을 높이고, 아파트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한 방법을 찾는데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 한국무용의 춤사위 연구 : 살풀이·법고·장고춤을 중심으로

        김경희 동국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Traditional Korean dances which have come down from ancient times can be divided mainly into three categories; traditional dancing, Buddhist (ritual) dancing, and creative dancing. Of these dances, I studied and performed the Salpuli dance possibly representing our traditional dancing, the Beopgo dance as one of Buddhist dances, and the Janggo dance, one of the best Korean creative dances. The term of 'Salpuli' derived from the first dancing exhibition of Seongjoon Han, both drummer and dancer, that was held at Bumin-gwan in 1935. And it has now become the title of Salpuli dance as the original dance which is also affected by shamanism. Although, at that time, Korean dances were frequently performed on stage and Youngsook Han, granddaughter of Seongjoon Han succeeded to transform the Salpuli dance into an art, its nature seemed to be gradually faded due to her early death. So I studied and performed the Salpuli dance in order to preserve and transmit its artistic value. The Beopgo dance is almost necessarily performed as one of four Jakbeop dances of Buddhist dancing. I studied and performed the Beopgo dance, firstly, in that its dancing element is difficult to be seen on the stage because it is a ritual dance, secondly, in that it is considered as origin of drum play in Dance in Buddhist, and lastly, in that the difference between Dance in Buddhist and Beopgo dance can be plainly perceptible in the way of directly contacting the latter. Generally speaking, Janggo is regarded as an instrument to be most closely related with dancing. Korean people usually have sung and made gestures only with beat and rhythm of Janggo even while working. These gestures have become the Janggo dance whether extemporary or creative. I studied and performed the Janggo dance in the way that songs and gestures make in harmony the dance containing lots of creative elements. After all, I can realize through this study and performance that these Korean dances emerge from the basis of long tradition, and that our national Mut(style & grace) and Mat(taste) permeate there and sublimate into beautiful dances.

      • 광고 표현요소의 회상과 재인에 관한 연구 : ­버스외부광고를 중심으로­

        김경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major interests in the related industry lie in how they can make advertisements to be positioned in the memory of consumers as well as how effectively they can lead consumers to pay their visual attention to advertisements as the creative expressions have become easier along the expansion of size for the external advertisements on bus. From the perspective of advertising and marketing, the visual attention is one of the elements for the effective advertisement. Any advertisement that fails to draw the visual attention when consumer contact any advertisement will be turned down by consumers with few future effects on the advertisement as well. Accordingly,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have the significance for the important determinants in the advertisement marketing to see how those elements in the advertising expressions should be used and what elements in the advertising expressions would remain in the memory since the initial visual attention is the factor to trigger the entire cognitive processes in the advertising effects. Accordingly, this study aims; first, at identifying the advertising effects through measuring the perception of consumers to the advertisements on bus; second, at analyzing the favorable advertisements and expressive elements by the measurements on the favorable impression; and third, at suggesting the expressive elements for the external advertisements on bus in a creative manner by identifying relationships after applying the advertisements on transportation established by this researcher to the classification table of expressive elements through analyzing the recall and recognition of expressive elements as well as the name of advertisements after the final sampling. In order to solve these research issues, the following findings can be summarized from four questionnaire surveys. First, most respondents replied that they look at the advertisements on bus for the degree of contact, as a result of consumer cognitive measurement for the advertisements on bus, with the most number of response to 'While Walking' as the contact place. Men showed a higher response than women for the degree of interests. This result implies that men with more social activities show a higher need of information, which can be considered as it is necessary to expose the advertisements to provide more information on products or service industries for consumers. For the intention to purchase products or use services after they are exposed to the advertisements on bus, more than half of respondents showed a positive response with a higher ratio for men than women and for consumers in 50s in terms of the age. Considering more frequency of advertisements related to the medical service in comparison of current status in the frequency of exposure to the advertisement by business type, the use ratio of medical facilities for 50s is thought to be higher, which would result in effects in the advertisement related to the medical facil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dvertising effects on bus. A relatively higher ratio of responses from consumers, who responded to 'Helpful' to the product and brand in the resulting perception is attributable to the repetitive exposure effects as the advantage in the advertisement on transportation, which is thought to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e broadcasting media in that the advertisement can be seen repeatedly, as well as from the print media including newspapers and magazines in that the receiving entities cannot control the exposure on their own ways. A relatively higher result of response to 'Helpful' to what extent the advertisement could contribute to the corporate image was shown as a result of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sis on what extent the advertisement can be recalled after they were exposed to the advertisement on bus, the responses to 'The Entire Advertisement is Remembered' and 'The Advertisement is Remembered to the Extent of Image' showed a very high result of 80%. This implies a result that a valid motivation is given to the experiment about what elements in the advertising expressions show a high ratio of reminding in the recognition and recall a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n general, the degree of favorable impression to the advertisement on bus was very high with the positive effects on the advertisement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perception of consumers. Second, the favorable impression is shown in general to the advertisement using the image of famous models, the advertisement with visual stimuli with colors matching with products and images, and the advertisement with simple layouts, from the summation of measuring result to the degree of favorable impression in this study. In addition, a high ratio of frequency was shown from measuring the degree of favorable impression for the advertisement with a high ability of readability using a large brand logo. The favorable impression in the advertisement is a very important indicator in measuring the preference of brand, which refers to the degree of either positive or negative, or either favorable or unfavorable feeling to a certain object. It might exercise prominent influences on emotional advertisements that contain little of product information. The advertisement to provide the favorable impression might draw a higher attention by providing the value of amusement, which has effects either to affect the level of information process or to increase the recall on the advertising contents. Third, as a result of carrying out the measurements on the recall and recognition based on the representative samples in 8 groups extrac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measurements on the degree of favorable impression in this study and applying the results to the classification table of expressive elements for the advertisement on transportation established by this researcher, the brand name using the structure of logo as the designing element and the image of famous models were recognized first with a higher ratio in measuring the degree of recall. These are thought to be the effective designs in the recall and recognition by having the simple layout to induce the concentration of visual attention while highlighting the structure of logo largely with the use of colors. In addition, it is analyzed that the image and name value of famous models among the elements in the advertising expressions are proportional to the ability of recall because the image of models is transferred to the brand, as they were. The color expressive elements appeared to remain in the memory to the last moment of recognition. Accordingly, the application of colors to comply with the products and images in producing the external advertisements on bus is analyzed to play an important role of the degree and effect of perfection for the production as the composing elements to affect the psychology of purchase for consumers, as well as to develop images in the advertising. In the advertising designs using slogans of linguistic elements as their major concept, the recognition is done by the concentration of looks with the size of characters in a simple layout. And it is analyzed that the advertising designs with no element of visual attention shows a lower degree of recall and recognition because they form little of clues in the memory. The following implications could be derived from these findings. When any advertisement was carried out from the perspective of companies, the contributions to the strategies of advertising effects were found out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on what elements in the advertising expressions have a higher ratio of recall and recognition, which are expected to be helpful in the creative development of the external advertisements on bus for the advertisers and authorities in the advertising industry. Studies on the recall and recognition of elements in the advertising expression are thought to be item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any case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ternal advertisements on bus, which moves along the street. 버스외부광고의 규격이 확대됨에 따라 크리에이티브의 표현이 보다 수월해지면서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시각적 주의를 기울이게 하면서 소비자의 기억 속에 자리 잡을 수 있는 광고물을 만들 수 있을까 하는 문제는 관련 업계의 주된 관심사라 할 수 있다. 광고 마케팅 측면에서 볼 때 시각적 주의(Visual Attention)는 효과적인 광고를 위한 요소 중 하나이다. 소비자가 광고물을 접했을 때 시각적 주의를 끌지 못하는 광고는 소비자들에게 외면당할 것이며 이후 광고 효과 또한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광고 효과에 있어서 최초의 시각적 주의가 모든 인지처리과정을 발생시키는 요인이기 때문에 주의를 끌 수 있는 광고 표현 요소들을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에 관한 문제와 함께 어떤 광고 표현 요소가 기억에 남아 있는가는 광고 마케팅에서 중요한 결정사항이며 이를 위한 본 연구의 목적 또한 큰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첫째, 버스광고의 소비자 인지 측정을 통해 광고 효과에 대해 파악하고 둘째, 호감측정에 의한 선호 광고 및 표현요소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셋째, 최종 샘플 추출 후 광고명 및 표현요소의 회상과 재인 분석을 통해, 본 연구자가 정립 교통광고 표현요소분류표에 대입, 이의 관계를 파악하여 창의적 버스외부광고 표현요소를 제안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4차례의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요약되었다. 첫째, 버스광고의 소비자인지측정 결과, 접촉도에 있어서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버스광고를 본다고 응답하였으며, 접촉 장소로는 ‘보행시’가 가장 많은 응답을 보였다. 관심도에 있어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응답 결과를 나타냈다. 이는 사회활동이 많은 남성의 정보 욕구가 강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되며 소비자 입장에서 볼 때 제품이나 서비스 업종에 관련하여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광고가 게재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버스광고 노출 후 제품 구매나 서비스를 이용하고 싶은 의향에 있어서 응답자의 반절 이상이 긍정적으로 응답하였으며, 여성보다 남성이, 연령대는 50대 소비자가 높은 비율을 보였다. 이는 업종별 광고 노출 빈도수 현황을 비교해 보면 의료관련 광고의 빈도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볼 때 50대 소비자의 의료관련 시설 이용률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버스광고효과 측면에서 볼 때 의료관련시설 광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제품 및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 결과 ‘도움이 된다’라고 응답한 소비자가 비교적 높게 나타난 점은 교통광고의 장점인 반복 노출효과에 기인한다고 판단되며 수용자 스스로 노출을 통제할 수 없다는 점에서 신문이나 잡지 등의 인쇄매체와는 다르고 반복해서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전파매체와도 다른 특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어느 정도 기업 이미지에 기여하는지에 대한 분석 결과 ‘도움이 된다’의 응답이 비교적 높은 결과를 나타냈으며, 버스광고 노출 후 어느 정도 회상되는지에 대한 분석 결과 ‘광고의 모든 것이 기억된다’와 ‘광고의 이미지 정도만 기억한다’가 80%로 매우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이는 본 연구 목적인 어떤 광고 표현요소가 재인과 회상에 있어서 높은 상기율을 나타내는지에 관한 실험에 있어서 타당한 동기를 부여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소비자인지측정 결과 버스광고에 대한 호응도는 매우 높았으며 광고 효과도 긍정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본 연구의 호감도 측정 결과를 요약하면 대체로 유명모델 이미지를 사용한 광고물과 제품과 이미지에 맞는 칼라로 시각적 자극을 준 광고물, 레이아웃이 간단한 광고물이 호감도를 보였다. 또한, 브랜드 로고를 크게 사용하여 가독성을 높인 광고가 호감도 측정에서 높은 빈도율을 보였다. 광고에서 호감은 브랜드 선호를 예측하는데 아주 중요한 지수이며 어떤 대상에 대하여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호의적 또는 비호의적으로 느끼는 정도를 말하는 것으로 제품정보를 거의 포함하고 있지 않는 감성적 광고물의 경우에는 두드러진 영향력을 행사하게 된다. 호감이 가는 광고는 즐거움이라는 가치를 제공함으로써 주의를 높일 수 있으며 정보처리 수준에 영향을 주거나 광고 된 내용에 대한 회상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연구의 1차, 2차 호감도 측정에서 추출된 8개 그룹의 대표샘플을 바탕으로 회상과 재인 측정을 실시하여, 본 연구자가 정립한 교통광고 표현요소 분류표에 적용하여 살펴본 결과, 디자인적요소인 로고체를 사용한 브랜드 네임과 유명모델 이미지가 첫 번째로 재인되었으며, 회상측정에서도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이는 로고체를 크게 부각시키고 칼라를 사용하여, 시각적 주의 집중을 하도록 유도하는 단순한 레이아웃으로써 회상과 재인에 있어서 효과적인 디자인으로 판단된다. 또한, 광고표현요소 중 유명 모델의 이미지 및 지명도는 모델 자체의 이미지가 브랜드에 그대로 전이되기 때문에 회상능력과 비례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컬러의 표현요소에 대해서는 재인되는 마지막까지 기억에 잔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광고에 있어서 이미지를 조성할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구매심리에도 영향을 끼칠 수가 있는 구성요소로 버스 외부광고 제작에 있어서 제품과 이미지에 부합되는 컬러의 적용은 제작물의 완성도와 효과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언어적 요소인 슬로건을 주요 컨셉으로 사용하는 광고 디자인에 있어서는 글자의 크기와 단순한 레이아웃에 의한 시선 집중도에 의해 재인되는 요소로 판단되며, 시각적 주의 요소가 없는 광고디자인은 기억의 단서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회상과 재인에서도 낮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점을 도출할 수 있다. 기업의 입장에서 광고를 집행한다고 했을 때, 어떤 광고표현요소가 회상과 재인에서 상기율이 높은지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광고효과 전략에 기여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으며, 광고주 및 광고관련자들에게 버스외부광고 크리에이티브 개발에 있어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한다. 광고표현요소의 회상과 재인 연구는 움직이는 버스외부광고의 특성상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는 사항이라고 판단된다.

      • 만주국 시기 재만조선인 중등교육에 관한 일연구 : 奉天 東光中學校 설립과 운영을 중심으로

        김경희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resent study is an investigation on Donggwang Middle School(東光中學校), a Jaemanhanin secondary educational institution during Manchukuo Period. The Donggwang middle school that opened in Bongcheon in April 1937 was the only educational institution capable of 5-year literal arts education until 1945, and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facility that was not included in Manchukuo “New School System(新學制)”. Before establishment of Donggwang Middle School, the middle schools for Jaemanhanin in Manchukuo were limited to seven schools in the Yanbian region. However, because even these seven schools became reduced to 4-year schools in 1936, except for the one affiliated with Guangming Academy(光明學院) operated by the Japanese, the establishment of the 5-year Korean Middle School was an exceptional phenomenon in itself. Furthermore, in the context in which even the school affiliated with Guangming Academy was reduced in its school system and converted into a vocational school, with the enforcement of “New School System” in January 1938, only the Donggwang Middle School maintained 5-year liberal arts secondary education. The reasons for Donggwang Middle School to be able to maintain 5-year liberal arts school system was the alignment of interests between the Jaemanhanin community and the Kwantung Army. The Jaemanhanin community needed a 5-year Korean middle school for children’s education. For the purpose, they sometimes complied with the Kwantung Army or connected with influential people in Joseon. Such position of the Jaemanhanin community worked in the Kwantung Army’s favor. The Kwantung Army accommodated Jaemanhanin’s demands according to “the need for expansion of Japanese power” as well as “the means for system propaganda”. Although Donggwang Middle School was established under the connivance of the Kwantung Army, it was not easy to maintain the identity of 5-year Korean middle school. The Kwantung Army occasionally put pressure on Donggwang Middle School from time to time, condoning only the school operation. In this situation, Donggwang Middle School sought to secure the fund required for operation, etc. through the Jaemanhanin community or influential people in Joseon. In addition, it even confronted the Japanese principal in order to maintain its identity. These contexts can be confirmed by the fact that stakeholders of Donggwang Middle School visited influential people in Joseon for fundraising to establish a foundation, and establishing the “organizing committee” for establishment of Donggwang Middle School foundation in Joseon as its result, or that Kim Yeon-Soo of Kyung-Sung Textile Co. took over Donggwang Middle School Judicial Foundation and was appointed as the second president of the foundation. In addition, the appointment of a Korean principal, Seo Choon, or school strike was the representative case in which Donggwang Middle School confronted a Japanese principal, and moreover, the Kwantung Army, for Korean standard education. Donggwang Middle School was the school established with a variety of interests. As much as the Kwantung Army or Governor-General of Korea used Donggwang Middle School as a means to train pro-Japanese human resources and a conciliatory measure for Koreans, Jaemanhanin sought to expand educational opportunities through the 5-year middle school to move toward advanced-level schools. Although the positions and ultimate purposes of the two sides were different, the mid-course destination of establishing Donggwang Middle School in the process was identical for them. Donggwang Middle School operated while Jaemanhanin’s efforts for Korean standard education coexisted under the protection of the Kwantung Army and Governor-General of Korea. 이 논문은 만주국 시기 재만조선인 중등교육기관이었던 동광중학교에 대한 연구이다. 동광중학교는 1937년 4월 봉천에서 개교되어 1945년 8월 폐교될 때까지 재만조선인 중등학교 중 유일하게 5년제 인문계 교육이 가능한 교육기관이었다. 또한 만주국 ‘신학제’에 포함되지 않는 조선인 특별교육시설이기도 하였다. 동광중학교가 설립되기 전까지 만주국 내 재만조선인 중등학교는 오직 연변지역의 7개교뿐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7개교조차 1936년이 되면, 몇몇을 제외하고 대부분 4년제로 축소되었기 때문에 5년제 조선인 중등학교인 동광중학교의 설립은 그 자체로 예외적인 현상이었다. 더구나 1938년 1월 ‘신학제’가 시행되면서 동광중학교를 제외한 모든 재만조선인 중등학교가 4년제 실업계로 전환되었기 때문에 5년제 인문계를 유지한 동광중학교의 사례는 특이한 경우였다. 이렇듯 동광중학교가 특별히 5년제 인문계 학제를 유지할 수 있었던 까닭은 재만조선인 사회와 관동군의 이해관계가 합치되었기 때문이었다. 재만조선인 사회는 재만조선인 아동의 교육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5년제 조선인 중등학교가 필요하였다. 이들은 관동군에 순응하거나 조선 내 유력자들과 연계해 자신들의 요구를 관철시키고자 하였다. 이에 관동군 역시 “체제선전의 수단”이자 “일본세력 부식의 필요”에 따라 재만조선인의 요구를 적절히 수용하였다. 관동군의 묵인 하에 동광중학교가 설립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동광중학교가 5년제 조선인 중학교라는 정체성을 유지하는 것은 쉽지 않았다. 관동군은 학교 운영을 묵인했을 뿐 오히려 때에 따라 동광중학교에 압력을 가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동광중학교는 운영에 필요한 자금 등을 재만조선인 사회나 조선 내 유력자를 통해 확보하고자 하였다. 또한 자신의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해 일본인 교장과 대립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정황은 동광중학교 관계자들이 재단 설립을 위해 조선 내 유력자들을 방문해 기부금을 모금하고 그 결과 조선 내 동광중학교 재단설립 ‘조직 후원회’가 설립되었던 상황이나 동광중학교 재단법인을 경성방직(주)의 김연수가 인수해 2대 이사장에 취임한 사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조선인 서춘 교장의 부임이나 동맹휴학 사건은 동광중학교가 조선인 본위 교육을 위해 일본인 교장 혹은 더 나아가 관동군과 대립하였던 대표적인 사례였다. 동광중학교는 다양한 이해관계를 안고 설립된 학교였다. 관동군이나 조선총독부가 친일인재 양성을 위한 수단이자 조선인 회유책으로 동광중학교를 이용하였다면, 재만조선인은 상급학교에 진학할 수 있는 5년제 중등학교를 통해 조선인의 교육기회를 확대하고자 하였다. 양측의 입장과 궁극적인 목적은 달랐지만, 과정상 동광중학교 설립이라는 중간 목적지는 일치하였다. 동광중학교는 관동군 및 조선총독부의 비호 아래 조선인 본위 교육에 대한 재만조선인의 노력이 공존하는 가운데 운영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