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종교적 설득 메시지의 수용과 처리 과정에 관한 연구 : 메시지 내용과 정보원 유형의 영향을 중심으로

        김두식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47

        This study begins with the assumption that the process of attitude changes toward religion may have different ways of acceptance and processing from the persuasive messages in the area of advertising marketing or political communication. This is because religious attitudes are different from the attitudes that are easily formed in a short period of time due to the characteristic that once established, religious beliefs and attitudes do not change for a long tim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in persuasion effect according to religion, assuming the type of message content (personal vs. social), the type of source (non-expert vs. expert), and the individual personality factors as important variables explaining the persuasive effects of the religion messages. First, the religious persuasion message was divided into personal message and social message by using the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Then, it was expected that the group of religion with a high level of religious belief intensity and existing religious message processing tendency would process religious persuasion messages through the central route. It was assumed that there would be no difference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ability of religious messages. The type of cognitive processing was defined as the usual processing tendency of neutral religious messages. As for peripheral cues, the variables were composed of expertise among the source's credibility, openness of personality factors, and emotional instability. In order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ource's expertise, the effect was measured by dividing them into expert group and non-expert group. In this study, religious attitude refers to the degree of awareness of religion, and religious attitude was classified into attitude toward religion itself and attitude toward religious behavior. This is because attitudes toward religion itself are areas of belief, and religious acts are areas of likes and dislikes on specific issues with different dimension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persuasion effect of religious messages according to the processing of the central route and the peripheral route? Research question 2. Is the persuasion effect of religious messages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ntent of the message (personal vs. social) and the type of source (non-expert vs. expert)? Research question 3. Does the persuasion effect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message and the type of source vary depending on the individual's openness and emotional instability? Research question 4. What is the difference in the relative influence of various factors involved in the persuasion effect of the message? A total of 789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rough purposive quota sampling method, divided into four groups: personal message vs. social message group and general informant vs. expert informant group. The result shows that attitude change in the peripheral route processing was greater than the central route. In the central route processing, nearly 60% of the respondents had more than 20 years of religiosity, resulting in a ceiling effect, so there was not much change in attitude. In the peripheral route processing with a relatively large change in attitude, openness was found to be the main variable in attitude change among the expert source and personality factors. With regards to the type of message content, attitude change by the personal message was greater than the social message as a whole. This seems to be related to the undulating faith, a distinct religious characteristic of Korean that prays for personal well-being and family happiness. In the type of source, messages from expert showed a greater change in attitude than non-expert.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studies that have verified the credibility of sources among studies using the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However, unlike the expert source effect in the existing advertising marketing field, the religious persuasion message was found to produce a meaningful persuasion effect even for non-expert source. Such result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For personality factors, openness was found as a major variable in attitude change, but emotional instability appeared to have no correlations with attitude change. Also, according to the result of investigating various factors together related with the persuasion effect of the message, in addition to the types of message content and source, the persuasion effects of the religious message were found to be affected by religious status, gender, age, and so on. This research differs from others, considering it expanded the academic realm of religious communication, tested the persuasion effect by dividing the contents of religious persuasion messages into personal and social types, and verified individual personality factors as persuasion effect variables.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to the religious community in that it presented the direction of creating messages of evangelism (mission)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non-religious people. Keywords: persuasive communication, religious communication, type of source, type of message content,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ELM), personality factors, openness, evangelism (mission) 본 연구는 종교에 대한 태도 변화를 일으키는 과정이 광고마케팅이나 정치 커뮤니케이션 영역에서의 설득 메시지와 다른 수용과 처리 방식을 갖고 있을 것이라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종교적 태도는 한번 가지면 수십년씩 그 신념과 태도가 변화하지 않는다는 특성 때문에 단기간에 쉽게 형성되는 태도와는 다를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 메시지 내용의 유형(개인적 vs. 사회적)과 정보원의 유형(일반인 vs. 전문가) 그리고 개인적 성격 요인을 메시지 설득 효과를 설명하는 중요 변수로 상정하고, 그에 따른 설득 효과의 차이를 검증해 보았다. 우선 정교화 가능성 모델의 연구 모형을 차용해 종교적 설득 메시지를 개인적 메시지와 사회적 메시지로 나누었다. 그리고 종교를 가지고 있고, 신앙심 강도, 기존 종교 메시지 처리 성향 등이 높은 집단이 종교적 설득 메시지를 중심 경로로 처리한다고 보았다. 종교적 메시지의 정보처리 능력은 차이가 없을 것으로 가정하였고, 인지처리 유형은 중립적 종교 메시지의 평소 처리 성향으로 정의하였다. 주변 단서로는 정보원의 공신력 가운데 전문성과 성격 요인의 개방성 및 정서적 불안정성으로 변인을 구성했다. 정보원의 전문성에 대한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전문가 집단과 일반인 집단으로 나누어 그 효과를 측정했다. 본 연구에서 종교 태도란 종교에 대한 인식 정도를 의미하며, 종교 태도를 종교 자체에 대한 태도와 종교적 행위에 관한 태도로 구분했다. 종교 자체에 대한 태도는 신념의 영역이고, 종교적 행위는 구체적 이슈에 대한 호불호(好不好)의 영역으로 서로 다른 차원이기 때문이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중심 경로와 주변 경로의 처리에 따라 종교적 메시지의 설득 효과의 차이가 발생하는가? 연구문제 2. 종교적 메시지의 설득 효과는 메시지 내용(개인적 vs. 사회적)과 정보원의 유형(일반인 vs. 전문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 메시지의 내용과 정보원 유형에 따른 설득 효과는 개인의 개방성과 정서적 불안정성에 따라 달라지는가? 연구문제 4. 메시지의 설득 효과에 관여하는 다양한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 개인적 메시지와 사회적 메시지 그룹, 일반인 정보원과 전문가 정보원 그룹 등 총 4개의 집단으로 구분해 의도적 비례할당 표본추출법을 통해 총 789부의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중심 경로보다는 주변 경로의 처리에 의한 태도 변화가 더 크게 나타났다. 중심 경로의 경우 신앙심 강도가 20년 이상인 응답자가 전체의 60% 가까이 되어 천장 효과(ceiling effect)가 발생해 태도 변화가 크지 않았다. 상대적으로 태도 변화가 큰 주변 경로의 경우, 전문가 정보원과 성격 요인 가운데 개방성이 태도 변화의 주요 변인으로 밝혀졌다. 메시지 내용 유형의 경우, 전체적으로 사회적 메시지보다 개인적 메시지에 따른 태도 변화가 컸다. 이는 개인의 안녕과 가정의 행복을 기원하는 한국의 종교적 특성인 기복 신앙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정보원 유형에서는 일반인보다는 전문가 정보원의 메시지가 더 큰 태도 변화를 나타냈다. 기존의 정교화 가능성 모델을 활용한 연구 가운데 정보원의 신뢰성을 검증한 연구들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다만 기존 광고마케팅 영역에서의 전문가 효과와 달리, 종교적 설득 메시지는 일반인 정보원도 의미 있는 설득 효과를 만드는 것으로 밝혀져 기존 연구와의 차별점이 발견되었다. 성격 요인의 경우, 개방성은 태도 변화에 주요한 변인으로 검증되었지만 정서적 불안정성은 태도 변화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 외에 메시지의 설득 효과를 나타내는 다양한 요인들을 함께 검증한 결과, 종교적 메시지의 설득 효과는 메시지 내용의 유형과 정보원의 유형 이외에도 종교 유무, 성별, 연령 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종교 커뮤니케이션의 학문적 영역을 확대하고, 종교적 설득 메시지의 내용을 개인적 유형과 사회적 유형으로 구분해 설득 효과를 검증했다는 점, 그리고 개인의 성격 요인을 설득 효과의 변수로 검증한 것에 다른 연구들과 차별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무종교인의 특성을 활용해 전도(포교) 메시지 작성의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종교계에 실용적 함의를 제공하고 있다.

      • 간호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 간호정보역량, 간호전문직관이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에 미치는 영향

        박현경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social network service addiction tendency, nursing informatics capacity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n their patient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and thereby, arrange some educational data for the improvement of their perception of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in the age of the information society.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ampled 242 undergraduate junior and senior nursing students who had ever experienced accessing to and collecting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during their clinical practice and were using 1 or more SN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Oct. to Nov. 2020. The data collected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WIN 25.0 program for real numbers, percentage, means, SDs,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s a result of analyzing subjects’ demographic variables, it was found that their average age was 23.20±1.28, while the absolute majority of them were females. 93.8% of them had used the SNS for ‘two more years’, while 33.1% of them were using the SNS for 4 or more hours a day. 57.8% of them had ever been educated on the protection of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and 93% of them perceive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protect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2. Subjects’ SNS addiction tendency scored 59.36±10.42 on average. Breaking it into its sub-factors, ‘failure of control and hindrance to the ordinary life’ scored 14.20±3.20 on average, while ‘indulgence and tolerance’ scored 21.19±3.86 on average. Moreover, ‘negation and escapism’ scored’ 12.59±2.94 on average, and ‘orientation towards a virtual world and abstinence symptom’ scored 11.38±2.63 on average. The differences depending on subjects’ demographic variables and the experience of the education on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education were significant; subjects’ SNS addiction tendency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gender (t=-2.03, p=.043), hours of use a day (t=-5.59, p<.001), and experience of education (t=2.11, p=.037). Subjects’ SNS addiction was higher in ‘females’ (59.85±10.12) than ‘males’ (55.69±11.98), in ‘the group using the SNS for 4 and more hours’ (64.39±9.10) than their counterparts using it for less than 4 hours (56.88±10.16), and in ‘the group having been educated on protection of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60.61±9.11) than their counterparts’ (57.67±11.81). 3. Subjects’ nursing informatics capacity scored 92.76±11.34 on average. Breaking it down, ‘their computer application skill’ scored 44.89±6.11 on average, while ‘their information application skill’ scored 19.61±2.58 on average, and their knowledge of informatics scored 28.29±4.46 on average. There was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ubjects’ demographic variables and their education on protection of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4. Subjects’ professionalism scored 105.28±12.86 on average. Breaking them down, ‘their self-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scored 34.29±4.66 on average, ‘their perceived social recognition’ scored 26.15±4.78 on average, ‘their perceived professionalism’ scored 19.30±2.78 on average, and ‘their perceived role as nursing practitioner’ scored 15.59±2.28 on average. Their perceived ‘identity’ as a nurse’ scored 9.95±2.36 on average. Subjects’ perceived professionalism with regard to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variables: gender (t=-2.65, p=.003), age (t=2.61, p=.010), hours spent using the SNS per day (t=-2.39, p=.018), experience of being educated (t=3.18, p=.002), and perceived need for education (F=3.36, p=.002). More specifically, subjects’ professionalism scored higher in ‘females’ (106.08±12.54) than ‘males’(99.41±13.90, ‘those aged 22~23’ than ’those older than 24’, those using the SNS for 4 or more hours a day (108.06±12.43) than those using it for less than 4 hours a day (103.91±12.89), ‘those educated on protection of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107.50±11.81) than ‘those not educated’ (102.28±13.65), and ‘those who perceived the need for the education’ (106.09±12.44) than those saying ‘I have no idea’ (92.50±18.42). 5. Subjects’ perception of the protection of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scored 99.16±9.39 on average. Breaking down, their ‘communication area’ scored 36.27±4.51 on average, and their ‘linked duty area’ scored 13.07±1.79 on average. Their patients’ information management area’ scored 49.82±5.34 on average. Subjects’ perception of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variables: gender (t=-3.55, p<.001), period of using the SNS (t=-5.79, p<.001), use of SNS per day (t=-2.27, p=.024), experience of education (t=8.13, p<.001), educational media deemed effective (F=5.80, p=.001), and need for education (F=6.72, p=.001). Namely, their professionalism scored higher in ‘females’ (99.93±9.39) than ‘males’ (93.48±7.32), ‘use of SNS for 2 years or longer’ (100.00±8.43) than ‘for less than 2 years’ (86.40±13.53), ‘use of SNS for 4 hours more longer a day’ (101.09±9.41) than ‘for less than 4 years’ (98.20±9.25), ‘experience of education’ (102.91±7.41) than ‘no experience of education’ (94.10±9.43), ‘group education’ (100.64±8.17) or ‘mixed one’ (100.30±8.10) than ‘on-line education’ (93.81±12.94), ‘perception of the need for education’ (99.82±8.89) than ‘no such perception’ (92.00±10.50) or ‘I have no idea’ (92.30±13.46).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of the perception of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depending on the variables, it was found that the period of using the SN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experience of education. (x²=6.19, p=.013). The group who had used the SNS for 2 or more years had more experience of education with regard to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6.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s among subjects’ SNS addiction tendency, nursing informatics capacity, professionalism and perception of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it was found that the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ir professionalism and their nursing informatics capacity (r=.24, p<.001), their perception of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and their nursing informatics capacity (r=.31, p<.001), and their perception of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and nursing professionalism (r=.29, p<.001). 7. As a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subjects’ perception of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education was most influential (β=.32, p<.001), followed by 2 or more year use of SNS (β=.23, p<.001), nursing informatics capacity (β=.20, p<.001) and nursing professionalism (β=.12, p=.038) in their order. These factors explained 36.0% of subjects’ perception of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perception of the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would be most affected by their experience of education thereof. Hence, it is deemed necessary to repeatedly educate the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not to let them reveal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and help them enhance their nursing informatics capacity and professionalism and thereby, help them cultivate a correct ethical sense of responsibility to protect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본 연구는 SNS 중독경향성, 간호정보역량, 간호전문직관이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정보화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여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 향상을 위한 교육자료 기틀을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임상실습 중 환자개인정보 접근, 수집 경험이 있으며 SNS를 최소 1개 이상 사용하는 간호대학생 3,4학년 24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0년 10월에서 2020년 11월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서 연령은 평균 23.20±1.28세, 대부분 여성 응답자였으며, SNS 사용 기간이 ‘2년 이상’인 경우가 93.8%, 하루 SNS 사용 시간이 ‘4시간 이상’인 경우가 33.1%이었다.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 교육관련 특성에서 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는 57.4%였으며, 효과적으로 생각하는 교육매체로는 ‘집합교육’이 39.3%, ‘혼합(집합교육, 온라인, 유인물)’이 36.0%이었다. 교육이 필요성에서는 ‘필요하다’가 91.3%로 대다수의 학생들이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2. 간호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은 평균 59.36±10.42점으로 나타났다. 각 하위요인별 점수는 ‘조절실패 및 일상생활 장애’ 평균 14.20±3.20점, ‘몰입과 내성’ 평균 21.19±3.86점, ‘부정회피 정서’ 평균 12.59±2.94점, ‘가상세계 지향성 및 금단’ 평균 11.38±2.63점이었다. 일반적 특성과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 교육관련 특성에 따른 SNS 중독경향성은 성별(t=-2.03, p=.043), SNS 하루 사용시간(t=-5.59, p<.001), 교육경험(t=2.11, p=.037)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여성’(59.85±10.12)이 ‘남성’(55.69±11.98)보다, 하루 SNS 사용시간이 ‘4시간 이상’(64.39±9.10)인 경우가 ‘4시간 미만’(56.88±10.16)보다, 교육 경험 ‘있음’(60.61±9.11)인 경우가 ‘없음’(57.67±11.81)인 경우보다 SNS 중독경향성이 높게 나타났다. 3. 간호대학생의 간호정보역량은 평균 92.76±11.34점으로 나타났다. 각 하위요인별 점수는 ‘컴퓨터 활용기술’ 평균 44.89±6.11점, ‘정보 활용기술’ 평균 19.61±2.58점, ‘정보학 지식’ 평균 28.29±4.46점이었다. 일반적 특성과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 교육관련 특성에 따른 간호정보역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은 평균 105.28±12.86점이었다. 각 하위요인별 점수는 ‘전문직 자아개념’ 평균 34.29±4.66점, ‘사회적 인식’ 평균 26.15±4.78점, ‘간호의 전문성’ 평균 19.30±2.78점, ‘간호실무 역할’ 평균 15.59±2.28점, ‘간호의 독자성’ 평균 9.95±2.36점이었다. 일반적 특성과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 교육관련 특성에 따른 간호전문직관은 성별(t=-2.65, p=.003), 나이(t=2.61, p=.010), SNS 하루 사용시간(t=-2.39, p=.018), 교육경험(t=3.18, p=.002), 교육필요성(F=3.36, p=.002)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여성’(106.08±12.54)이 ‘남성’(99.41±13.90)보다, ‘22세-23세’(106.48±12.51)가 ‘24세 이상’(101.48±13.33)보다, 하루 SNS 사용시간이 ‘4시간 이상’(108.06±12.43)인 경우가 ‘4시간 미만’(103.91±12.89)보다, 교육 경험 ‘있음’(107.50±11.81)인 경우가 ‘없음’(102.28±13.65)인 경우보다,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 교육이 ‘필요하다’(106.09±12.44) 생각한 경우가 ‘모르겠다’(92.50±18.42)보다 간호전문직관이 높게 나타났다. 5. 간호대학생의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은 평균 99.16±9.39점이었다. 각 하위요인별 점수는 ‘의사소통 영역’ 평균 36.27±4.51점, ‘연계업무 영역’ 평균 13.07±1.79점, ‘환자 정보관리 영역’ 평균 49.82±5.34점이었다. 일반적 특성과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 교육관련 특성에 따른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은 성별(t=-3.55, p<.001), SNS 사용 기간(t=-5.79, p<.001), SNS 하루 사용시간(t=-2.27, p=.024), 교육경험(t=8.13, p<.001), 효과적으로 생각하는 교육매체(F=5.80, p=.001), 교육필요성(F=6.72,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여성’(99.93±9.39)이 ‘남성’(93.48±7.32)보다, SNS 사용기간이 ‘2년 이상’(100.00±8.43)인 경우가 ‘2년 미만’(86.40±13.53)보다, 하루 SNS 사용시간이 ‘4시간 이상’(101.09±9.41)인 경우가 ‘4시간 미만’(98.20±9.25)보다, 교육 경험 ‘있음’(102.91±7.41)인 경우가 ‘없음’(94.10±9.43)인 경우보다, 효과적으로 생각하는 교육매체가 ‘집합교육’(100.64±8.17), ‘혼합’(100.30±8.10)인 경우가 ‘온라인’(93.81±12.94)보다,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 교육이 ‘필요하다’(99.82±8.89) 생각한 경우가 ‘필요없다’(92.00±10.50), ‘모르겠다’(92.30±13.46)보다 간호전문직관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SNS 사용기간에 따라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 차이를 추가분석 한 결과 SNS 사용기간과 교육경험 간에 유의한 연관성이 확인되었으며(x²=6.19, p=.013), SNS를 2년 이상 사용한 그룹의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 교육경험이 더 많았다. 6. 간호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 간호정보역량, 간호전문직관,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간호전문직관과 간호정보역량(r=.24, p<.001),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과 간호정보역량(r=.31, p<.001),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과 간호전문직관(r=.29, p<.001)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7. 간호대학생의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 관련 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β=.32, p<.001)가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SNS 사용 기간이 2년 이상인 경우(β=.23, p<.001), 간호정보역량(β=.20, p<.001), 간호전문직관(β=.12, p=.038) 순이었다. 이들 요인은 간호대학생의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을 36.9%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에는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 관련 교육 경험이 주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들의 SNS 사용에 있어 환자개인정보를 유출하지 않도록 반복적인 교육이 필요하며, 간호정보역량을 통해 올바른 정보 파악 능력 함양과 간호전문직관을 바탕으로 윤리적 책임감을 함양하여 올바르고 확실한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의 정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웹툰을 활용한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연구 : 중급 학습자 대상 플립러닝의 적용을 중심으로

        당영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47

        韩国语教育主要是由听、说、读、写4个领域组成,其中写作是韩语学习者们感 到学习困难并想避开的领域。而且从韩国语写作教育的现状来看,目前还存在很多问题。比如说,写作不能像口语一样得到重视,写作练习的单一化。以韩语教材为例,韩语写作主要是给定主题,然后学生以围绕着这一主题进行写作。这样的写作是否能提高学生的学习积极性以及学习效果这件事上持怀疑的态度。如果不解决这样的问题,学生很难感到写作的乐趣,容易陷入恶循环。 尤其到了21世纪,学习韩语的学生越来越年轻化。对这些学生更容易对传统教育方式不满。随着时代的改变,教育也要改变。 网络漫画可以说是包括了韩国人生活方式、思考方式和价值观等内容语言文化集合体,超越时间和空间,是不论是谁都可以轻易接触到的文化。韩国语学习者不应该单纯地学习语言,也需要一起学习韩国的文化。因此,为了已经一定程度熟悉 了韩国语的中级学习者,使用网络漫画开发的课程不仅可以学习到韩语知识,还可以学习到韩国的日常文化。 因此,本论文利用了年轻的韩语学习者更容易接受的网络漫画,引进了“flipped learning”的教学模型,试图为中级韩语学习者开发更有趣、有效的写作教育方案。第一章主要包括研究目的、研究背景,以及本研究有关的先行研究。写作 是很多韩国语学者感到吃力的领域,但是写作同时又是表达人的感情和想法的重要手段。因此为了解决这个问题,本研究将利用有趣的网络漫画开发更能引起学习者兴趣的写作课程方案。 第二章主要是了解韩国语写作教育的特点和韩国语写作教育的现状,再找出问题点。以此再引发出网络漫画的教育价值和投入flipped learing的必要性。 第三章主要是以西江大学、首尔大学、延世大学、中央大学、东国大学使用的教材为中心,分析利用网络漫画进行的韩语教育的现状和问题点, 同时也分析了韩语写作教育的现况和问题点。 第四章利用“flipped learing”的教育模型开发了利用网络漫画的韩语教育方案。首先探讨了适合韩语教育的网络漫画的基准、如何利用媒体等问题,以此为基础设计出了一套高效的写作教育方案。 第五章以上述研究为基础,展示了具体可以在课上实行的教案。第六章是结论,整理了本研究的核心内容后,表明研究了界限。 本研究虽然有着一定的界限,但是在利用网络漫画和flipped learning开发韩语写作方案这一点来看,存在着很大的创新性,是有价值的研究。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 있는 중급 학습자를 위한 쓰기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영상 매체는 웹툰, 멀티미디어 매체는 플립러닝을 선택해서 논의를 전개하겠다. 본 연구는 ‘쓰기’에 주목하는데, 유학생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영역은 쓰기 영역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나 대학원에서는 쓰기가 중요하기 때문에 중급 학습자가 대학교나 대학원에 진학하는 경우를 고려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 인기가 높아지는 웹툰에 주목하여 쓰기 교육 방안을 만들기 때문에 유학생의 유학 생활 적응과 한국어 학습에 대한 흥미를 고취시키고, 대학교나 대학원에 진학할 때 학업 적응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연예인의 인격권 보장에 관한 연구

        김마리아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47

        헌법 제10조는 인간의 존엄과 가치와 행복추구권을 규정하여 인격의 주체인 인간이 스스로 자기결정권을 행사하고 창의적이고 독립된 주체임을 보장하고 있다. 인간이 존엄하고 가치가 있다는 것은 스스로 인격의 주체라는 것을 말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를 규정하고 있는 헌법조항으로부터 인격권이 도출된다. 인격권은 인간의 존엄과 가치로부터 뿐만 아니라 행복추구권으로부터도 도출된다. 행복을 추구할 인간의 권리는 행동의 자유를 전제로 하는 일반적 행동권과 자유로운 인격의 발현을 추구하는 일반적 인격권 등을 내용으로 한다. 일반적 인격권은 명예, 초상, 성명 등을 그 내용으로 하며 인격적인 것뿐만 아니라 재산적인 것도 포함한다. 21세기에 오면서 우리나라는 한류를 통하여 대중음악과 드라마 및 영화 등이 세계화되면서 연예인들의 활동이 국내에서 외국까지 확대되고 있다. 연예인들의 활동이 두드러지고 많은 사람의 관심을 받게 되면서, 그들의 사생활이 노출되고 개인정보가 유출되면서 인격적 침해가 수시로 발생하고 있다. 일반 국민과 달리 언론의 조명을 받아야 하는 연예인에게는 개인정보의 보호가 오히려 그들의 활동가 장애로 작용할 수 있어서 어느 정도 개인정보의 노출을 감수할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하여 발생하게 되는 인격권의 침해는 연예인에게는 심각한 기본권의 침해가 됨에도 불구하고 사회적으로 어느 정도 용인되기도 하는 문제가 있다. 그동안 지속적으로 괴롭힘과 인격을 침해받았던 여러 연예인이 스스로 생명을 끊는 불행한 사건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특히 새로운 미디어의 출현으로 인한 SNS의 확산은 인격권 침해의 중요한 수단이 되어 연예인의 사생활을 침해하고 인격권을 침해함으로써 사회적으로 문제화되었고, 이로 인한 대책도 세워지기도 하였다. 미디어를 이용한 연예인의 인격권 침해 문제는 다른 한편에서 표현의 자유 보장 문제와 충돌하게 된다. 그런 이유로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책이 논의되기 어려운 구조에 있다. 그렇지만 연예인이라고 하여 기본권의 보장에서 차이를 둘 수는 없다. 연예인의 인격권도 일반 국민의 인격권과 마찬가지로 최대한 보장되어야 한다. 인격권은 자유로운 인격의 발현을 위하여 보장되는 기본권으로 사생활의 영역에서는 개별적 기본권인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주거의 자유, 통신의 비밀을 통하여 보호되어야 한다. 이런 개별적 기본권에 보장되는 개별적 인격권과 달리 인격권에 해당하는 포괄적 보호인 사회적 영역에서 보호되어야 할 인격권은 일반적 인격권의 영역에서 보호되어야 한다. 개인의 인격과 관련하여 보호되어야 할 영역은 사생활영역과 사회적 영역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연예인의 경우 대중예술활동을 통하여 사회에 알려진 유명인이지만 공적 업무를 수행하는 공인은 아니다. 그렇지만 공인처럼 연예인도 사회적 활동의 영역에서 일반적 인격권을 보호받는 범위는 일반 국민보다 축소된다. 연예인은 직업의 특성상 많은 사람에게 노출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사회적 영역에서 자유로운 인격의 발현을 보호하는 일반적 인격권에서는 상대적으로 보호의 범위가 축소된다. 그렇지만 연예인 역시 국민의 한 사람이며 개인으로 자신의 사생활영역에서 보호되어야 할 인격권은 헌법 제37조 제2항에 따른 사유가 없는 한 보호되어야 한다. 연예인은 공중에 많이 노출되어 있고, 상황에 따라서는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직업활동을 이어갈 수 있다는 점에서 개별적 인격권의 경우에도 사회활동과 연계되는 경우 일반 국민과 달리 그 보호의 범위가 축소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연예인의 인격권 보호에는 상황에 따라 범위가 제한되고 축소될 수 있다. 연예인이 직업활동을 하면서 개인정보가 노출되거나 사생활의 비밀이 제대로 보호받지 못하는 것도 문제이지만, 다른 한편에서 악의적인 댓글이나 악플로 인하여 인신공격을 받게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인격권의 보호범위를 축소하는 것에는 문제가 있다. 특히 연예인에 대한 허위사실 유포나 사생활에 관한 개인정보를 노출하여 공격적인 언행에 대해서는 엄격하게 관련 법제를 적용하여 법적 책임을 묻는 것이 필요하다. 연예인은 공인이 아니기 때문에 사회적 활동을 통하여 형성된 인격의 범위를 보호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예인이 유명인이라 하여도 그들의 사적 영역에 대한 보호는 일반 국민과 다를 바가 없다. 특히 근거도 없는 인신공격적 언행으로 연예인의 인격권을 침해하는 것은 철저하게 법을 적용해야 할 것이다. Article 10 of the Constitution stipulates the dignity and value of human beings and the right to pursue happiness, ensuring that human beings, the subject of personality, exercise their right to self-determination and are creative and independent subjects. Since human beings have dignity and value to say that they are the subject of one's personality, the right to personality is derived from the provisions of the Constitution that stipulate this. The right to personality is derived not only from human dignity and worth, but also from the right to pursue happiness. The human right to pursue happiness consists of the general right to act, which presupposes freedom of action, and the general right to personality, which pursues the free expression of one's personality. General moral rights include honor, likeness, and name, and include personal as well as property. In the 21st century, Korean pop music, dramas, and movies have been globalized through Hallyu, and the activities of celebrities are expanding from Korea to foreign countries. As celebrities' activities become more prominent and attract attention from many people, their personal lives are exposed and personal information is leaked, resulting in frequent personal invasions. Unlike the general public, for celebrities who need to receive the attention of the media,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can act as an obstacle to their activists, so they have no choice but to accept the exposure of personal information to a certain extent. Although the violation of personal rights caused by this is a serious violation of basic rights for entertainers, there is a problem that is socially acceptable to some extent. In the meantime, there have been unfortunate incidents in which several entertainers who have been continuously harassed and infringed on have taken their own lives. In particular, the spread of SNS due to the emergence of new media has become an important means of infringing on personal rights, infringing on the privacy of celebrities and infringing on their personal rights, which has become a social problem, and countermeasures have been taken. On the other hand, the issue of infringement of personal rights of entertainers using the media collides with the issue of guaranteeing freedom of expression. For this reason, it is difficult to discuss active countermeasures against it. However,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guarantee of basic rights just because they are celebrities. The personal rights of celebrities should be guaranteed as much as possible, just like the personal rights of the general public. The right to personality is a fundamental right guaranteed for the free expression of personality. In the realm of privacy, it must be protected through the individual basic rights of privacy and freedom, freedom of residence, and confidentiality of communication. Unlike the individual moral rights guaranteed by these individual basic rights, the personal rights that should be protected in the social domain, which are comprehensive protections corresponding to the personal rights, should be protected in the domain of general moral rights. The areas to be protected in relation to an individual's personality are the private life area and the social area. In this regard, in the case of entertainers, they are celebrities who are known to society through popular art activities, but are not public figures who perform public duties. However, like public figures, the scope of protection of general personal rights in the field of social activities for celebrities is reduced compared to the general public. Celebrities have no choice but to be exposed to many people due to the nature of their jobs, so the scope of protection is relatively reduced in the general right to personality, which protects the expression of personality freely in the social realm. However, entertainers are also citizens of the country, and the personal right to be protected in their private life as an individual must be protected unless there is a reason under Article 37 (2) of the Constitution. Celebrities are exposed to the public a lot, and in some circumstances, personal information can be used to continue their professional activities, so even in the case of individual personality rights, if it is linked to social activities, the scope of protection will be reduced unlike the general public. can In this regard,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ersonality rights of entertainers may be limited and reduced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While it is a problem that celebrities are exposed to personal information during their professional activities or that their privacy is not properly protected, on the other hand, it is important to reduce the scope of protection of personal rights in that they may receive personal attacks due to malicious comments or malicious comments. has a problem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strictly apply the relevant laws and hold legally responsible for the spread of false information about celebrities or the exposure of pers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ir personal life. Since entertainers are not public figures, it is necessary to protect the scope of personality formed through social activities. Even if a celebrity is a celebrity, the protection of their private area is no different from that of the general public. In particular, the law must be thoroughly applied to infringing on the personality rights of entertainers through unfounded, offensive words and actions.

      • 어머니의 부모역량과 놀이참여도, 모-자 상호작용 및 유아 감성지능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윤성원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mother’s parent competence, play participation, mother-child interaction, and young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Q1. How do the principal variables differ by the general background of the subjects? Q2. How do mother’s parent competence, play participation, mother-child interaction, and young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one another? This study was conducted in 385 pairs of 4- to 5-year-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at kindergartens and nurseries in Gyeongsang Province. The mother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as to parent competence, play participation, and mother-child interaction and the teachers in charge of the children completed the questionnaire as to young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SPSS 22.0 and AMOS 22.0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the variation in the principal variables by the general background of the subjects, optimism among the sub-factors for young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differed by mother’s education level. In addition, social competence among the sub-factors for parent competence, mother’s play participation in general, physical and teaching play, and games and self-regulation among the factors for young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differed by the number of children. In contrast, the principal variables differed insignificantly by mother’s age, employment status, monthly household income, or childrearing assistance. Mother’s play participation in general, constructive and role play, and optimism among the sub-factors for young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differed by age among the sub-factors for young child’s general background. Social competence among the sub-factors for mother’s parent competence and young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in general and empathy differed by gender; mother’s play participation in general and teaching and functional play differed by birth order. Second, as for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mother’s parent competence, play participation, mother-child interaction, and young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mother’s parent competence had no direct impact on young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but directly affected mother’s play participation and mother-child interaction. Mother’s play participation and mother-child interaction directly affected young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Mother’s play participation and mother-child interaction mediated between mother’s parent competence and young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identified a general mechanism rather than fragmental relations between young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and each of mother's variables by demonstrating that mother's parent competence had no direct impact on young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but significantly affected mother's play participation and mother-child interaction and that mother's play participation and mother-child interaction directly affected young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with mediating effects. 본 연구는 어머니의 부모역량과 놀이참여도, 모-자 상호작용 및 유아 감성지능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주요변인의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어머니의 부모역량과 놀이참여도, 모-자 상호작용 및 유아 감성지능 간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상도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4∼5세 유아와 유아의 어머니 쌍 385명이다. 어머니의 부모역량과 놀이참여도, 모-자 상호작용에 대한 설문지는 유아의 어머니가 응답하였으며, 유아 감성지능에 대한 설문지는 유아의 담임교사가 응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AMO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주요변인들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어머니의 일반적 배경과 관련하여 어머니의 최종학력에 따라 유아 감성지능의 낙관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녀수에 따라 어머니의 부모역량 중 사회적역량, 어머니의 놀이참여도 전체와 신체놀이, 교수놀이, 게임, 유아 감성지능의 자기조절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어머니의 연령, 취업유무, 가구당 월 소득, 양육도움에 따른 주요변인들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일반적 배경과 관련하여 연령에 따라 어머니의 놀이참여도 전체와 구성놀이, 역할놀이, 유아 감성지능의 낙관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에 따라 어머니의 부모역량의 사회적역량, 유아 감성지능 전체와 감정이입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형제순위에 따라 어머니의 놀이참여도 전체와 교수놀이, 기능놀이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부모역량과 놀이참여도, 모-자 상호작용 및 유아 감성지능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한 결과 어머니의 부모역량은 유아 감성지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어머니의 놀이참여도와 모-자 상호작용에는 직접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놀이참여도와 모-자 상호작용은 유아 감성지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어머니의 부모역량과 유아 감성지능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놀이참여도와 모-자 상호작용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부모역량이 유아의 감성지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어머니의 놀이참여도와 모-자 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어머니의 놀이참여도와 모-자 상호작용이 유아 감성지능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실증해 냄으로써 유아 감성지능과 어머니의 각 변인들의 단편적인 관계에서 벗어나 전체적인 메커니즘을 규명해 내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국제테러리즘의 일반적 규제 필요성에 관한 연구: 국제형사재판소규정을 중심으로

        박효진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31

        In the 18th century, the 'Club des Jacobins' in France ruthlessly used violence against the royalists in the course of their rule, causing fear among citizens. It was named "Terrorism Politics" and the concept of terrorism originated from this Jacobins way of governing. Terrorism, which had limited victims to those with different political interests, began to show an international character in the wake of the assassination of the Austrian crown prince and his wife, which became the starting point of World War I.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ried to regulate terrorism, but those trials were failed, because the international community couldn't to reach to a general consensus on the definition of terrorism. As a result, the general definition of terrorism is currently absent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regulates it simply by regulating individual acts of terrorism. The biggest reason wh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failed to define terrorism is that there is a conflict of opinion looking at terrorism. An example is the shooting of Ito Hirobumi by Ahn Jung-geun. As can be seen from the fact that Ahn Jung-geun's actions are regarded as heroic acts in Korea, while Japan simply considers them as acts of terrorism, it is difficult to reach a general agreement because terrorism's motivations are often politically motivated. Another factor that makes it difficult to derive the general definition of terrorism is that countries use it as an informal means. These terrorist acts, which are mainly carried out by each country, make countries passive in deriving justice for terrorism. The regulation of terrorism should be done through a general regulation method because the current regulation method has several problems. First of all, there is the possibility of a new type of terrorism. Currently, terrorist agreements regulate aircraft terrorism, the provision of terrorist funds, terrorism against international important people, and terrorism against ships, which do not adequately regulate new forms of terrorism. Considering the terrorist acts by drones, which are currently widely used for military purposes. If terrorist acts occur through them in the absence of international legal status on drones, the current regulatory method cannot properly punish them. In addition, this is because politics exists in the process of punishing terrorists. At the time of the 9·11 attacks in 2001, the United States started a war with Afghanistan on the basis of its right to self-defense, despite its membership in various anti-terrorism conventions. Similarities can be found in the Lockerbie case, which was an aircraft explosion, and the Security Council adopted a resolution on the deaths of British and Americans in the explosion of a fan-memorizing machine in flight at the time. The problem is that Britain and the United States, which were interested countries, participated in the vote in the process of adopting the resolution. General regulation of terrorism can solve these problems, and such regulation should be made through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First of all,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is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that can hold individuals international criminal responsibility and deals with crimes against humanity, genocides, war crimes, and aggression crimes as jurisdictional crimes Terrorism should also be included in jurisdiction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first of all, because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there was an attempt to include terrorism as a jurisdictional crime. Although it failed to derive a definition of terrorism and was eventually excluded, it is judged that the international consensus on the regulation of terrorism has reached a sufficient level. In addition,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specifies judges of the Convention of Rome, the Security Council, and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as those who may be prosecuted in Roman regulations. This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legal vacuum of the current regulatory method, which imposes the responsibility of punishing terrorist criminals only on countries.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형사재판소규정을 통한 국제테러리즘의 일반적 규제 필요성을 논하기 위해서이다. 이를 위해서 우선 테러리즘의 정의와 규제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며, 현재 테러리즘의 방지와 처벌이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검토해 보았다. 또한 로커비 사건과 9·11테러를 예시로 하여 현재의 테러리즘 규제 방식이 가지는 한계를 도출하였다. 제2장에서는 테러리즘을 개관하며 테러리즘의 개념을 살펴보고, 18세기, 프랑스혁명 당시 테러라는 개념이 발생한 이후부터 현재까지 테러리즘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테러리즘의 정의 설정을 위한 국제적 시도들과 그러한 과정에서 어떠한 어려움들이 있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테러리즘의 정의 설정을 위한 국제사회의 첫 번째 시도가 있었던 국제연맹시기의 논의들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제3장에서는 국제테러리즘 방지 및 테러리스트의 처벌에 관한 현재규제 방식과 한계에 대하여 검토해보고자 한다. 우선 국제테러리즘의 규제는 크게 개별 테러행위들에 대한 조약을 통해 이루어진다. 현재 13개의 조약들이 국제테러리즘의 방지를 위한 것으로 인정받고 있는데, 해당조약들을 분석하며 테러리즘의 방지와 관련한 일반 원칙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현재 방식이 가지는 한계로서 테러리즘 방지 조약들에서 발견되는 법적 공백과 테러리스트에 대한 처벌에 있어서 관련 테러리즘 협약을 통해서가 아닌 이를 우회하는 것에 대해 논해보고자 한다. 전자는 로커비(Lockerbie) 사건을 중심으로, 후자는 9·11테러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제4장에서는 국제형사재판소 설립을 위한 1998년 로마회의와 2010년 재검토회의를 검토하고, 국제형사재판소규정을 살펴보며 국제형사재판소의 성격과 물적 관할권인 핵심국제범죄(제노사이드, 인도에 반한 죄, 전쟁범죄, 침략범죄)의 구조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또한 9·11테러를 국제형사재판소에서 처벌할 수 있는지에 대해 분석해보며, 테러리즘의 효과적인 방지 및 처벌과 현재의 규제 방식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국제형사재판소에서 테러리즘을 관할 범죄로 포함시키는 것에 대해 논해보고자 한다. 이는 국제테러리즘에 대한 현재의 개별적 규제방식이 아닌 국제형사재판소를 통한 일반적 규제방식에 대한 연구로써 ‘인도 아니면 소추’ 의무와 국제범죄에 대한 보편적 관할권, 그리고 국제형사재판소규정의 검토를 통해 이루어진다. 제5장에서는 각 장에 대한 정리와 함께 테러리즘의 일반적 규제의 필요성에 대한 의견을 정리하며 본 연구를 마무리하고자 한다.

      • 소비자 행동 연구에 따른 만족도 연구

        우설영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왜 소비자를 배경으로 만족도를 연구해야 하는가? 만족도는 소비자가 행복을 느끼는 기초이며, 기업이 지속적으로 이윤을 창출할 수 있는 토대 및 사회 경제 및 정치 구조 안정의 기반이다(Abrahams, 2007). 특히 시장에서 이러한 실체는 서비스나 상품 제공자 측면에서 “소비자”의 만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Oliver, 1981).만족스러운 구매가 소비자에게 성과라는 것을 보여주며, 이는 소비자가 시장의 복잡성을 파악했음을 나타낸다. 물론 모든 구매가 소비자에게 성취라고 볼 수는 없지만, 구매가 성취가 되면 소비자의 삶에 안정과 평화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만족도는 사람들의 삶에서 어떤 사물에 대한 정의 중 하나로, 사람들이 물건이나 일이 자신의 뜻에 부합하는지 판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Bitner and Hubbert, 1994).

      • KFL 초급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말하기 교육방안 연구 : 과제를 활용한 유창성 향상을 중심으로

        필설영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本研究以提高中國國內韓語專業初級學者的韓語口語交流流暢度爲目標,通過靈活運用課題來制定適合的韓語口語教育方案。 首先分析了中國國內大學韓國語專業面向初級學者們的教育現狀,並以此爲基礎展示了目前中國大學韓語專業初級學者的口語學習部分存在的問題。並以這個分析結果爲理論依據確定了口語教育的課題,以這個課題爲中心確定了韓語口語教育的模型。以靈活運用短視頻和描述圖片結合的課題方式,探究並展示了可以提高初級韓語專業學者的口語交流能力的教育方案。以下是具體的內容。 首先,將中國國內大學的韓語專業初級學者中普遍存在的問題分爲以下3個方面。第一,中國內大學初級韓語教育過程更加注重口語教育的准確性,反而忽略了口語流暢性的培養。第二,目前主要是以教師爲中心進行口語教育的方式。所以很多學生得不到有效的口語練習。因而難以提升口語流暢度。第三,現在中國國內韓語專業大部分以教學者爲中心授課,面向學生的練習活動不足,也並不能很全面的考慮到實際生活中的口語交流狀況。出於以上3個原因,本文得出了中國大學初級韓語學者的口語交流能力難以提升,並且流暢度不足的結論。本文爲了解決這個問題,本文以教學過程中口語課題爲中心分析了學者的需求和進行了教材分析。並先進行了理論基礎分析得出了教學過程中可以靈活運用的有效果的課題類型,並以此進行了定義。並以此爲基礎進行了問卷調查,進而設定了教材分析標准。 接下來,本文通過進行問卷調查和教材分析最終確定了以韓語口語活動前階段,口語活動階段,口語活動後階段爲中心的韓語口語教學模型。這個教學模型不僅可以在韓語口語的教學過程中有效的提高學者的自主能動性,並且因爲結合了幾種課題形式,對提升韓語初級學者的口語交流的流暢性這一方面十分有幫助。最後,在本文第四章中,設計了韓語口語教學方案,並展示了教學指導方案和活動內容,也向韓語教學專家們請教了本教學方案的評價。 本文的研究意義分爲以下3點,第一,本文對目前中國國內韓語專業的初學者爲對象進行了教學現狀分析,並分析展示了目前中國國內韓語初級教學過程中的問題。第二,爲了有效提升中國內韓語初級學者的韓語口語交流能力,專門設計了複合型的課題教學模型。這個教學模型在應對實際韓語口語交流過程中會產生的各種綜合性問題和實際情況中很有幫助。第三,通過教材分析展示了目前中國內韓語教材的一部分缺點,對日後中國國內韓語口語教材中通過靈活運用課題進行口語教學的開發部分有很大參考意義。由此得出的結論在日後中國國內韓語教材的發展與改進過程中也會發揮一定的作用。第四,本文對固有的以教師爲中心進行的韓語口語教學模式產生的缺點進行了批判,爲在實際韓語教學現場制定有效的以課題爲中心的教學模型提供了借鑒意義。通過這個教學模型,學者們可以更加的提升學習主動性,並積極參與口語課。 本文的焦點集中在提升中國國內大學韓語專業初學者的韓語口語交流流暢度,並以此爲前提制定了以靈活運用課題爲中心的教學方案。但是本教學方案目前還停留在模型階段,並未真正的投入到實際教學現場當中。希望可以在以後的研究當中,可以將此研究成果投入到實際教學現場中,並通過後續的研究來進行調整,制定更爲准確的韓語口語教學模型,並通過本研究可以真正做到減少中國國內漢語初學者在韓語口語學習過程中的困難,有效的提升韓語初學者們的韓語口語流暢度。 본 연구는 KFL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의사소통능력을 향상하고 말하기의 유창성 능력을 향상할 수 있는 과제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수업을 설계하는 연구이다. 현재 중국 내 한국어 초급 학습자는 수업 시간에 말하기 연습의 시간과 기회가 적고, 수업 외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과제나 활동도 거의 없는 상태이다. 이 때문에 초급 학습자 대부분이 말하기를 연습할 때 주도적으로 참여하지 않아 말하기 능력도 향상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과제를 활용해서 효과적인 말하기 교육방안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때 본 연구는 중국 대학교 1학년 학습자에 주목한다. 보통 2-3학년에 한국으로 유학을 가는 중국 대학교 현실을 고려해서 1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다. 본 연구는 세 가지 주제로 선행연구를 분석했는데, ‘KFL 초급 학습자 말하기 교육 방안 관련 연구’를 분석한 결과 연구들은 흔히 대중매체의 활용에만 주목하고 초급 학습자의 특수성을 고려한 말하기 수업 설계에는 주목하지 않았다. ‘과제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관련 연구’의 경우에는 다양한 과제나 활동이 초급 말하기 수업에서 적용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실제 어떤 과제가 초급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을 향상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방안 연구’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말하기 유창성을 향상할 수 있는 수업 설계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과제와 유창성, 그리고 말하기 수업 설계에 주목해서 연구를 진행한다. 2장에서는 수업을 설계하는 데에 필요한 주요 이론들을 검토한다. 우선 중국 내 초급 학습자의 말하기 교육 현황을 검토하려고 한다. 이 검토를 통해서 현재 중국 대학교 말하기 수업의 문제와 특징을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어서 말하기에서 의사소통능력의 개념과 말하기 교육의 내용을 정리할 것이다. 한국어 교육에서 주로 사용되는 의사소통의 개념과 내용을 가지고 초급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말하기 수업을 설계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언어 학습에서 요구되는 과제의 유형과 특징을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초급 말하기 교육 현장에 자주 사용되는 과제를 도출해서 초급 학습자를 위한 말하기 수업을 설계할 것이다. 3장에서는 중국 대학교 한국어학과에 재학 중인 1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할 것이다. 이 설문 조사를 통해서 현재 중국 대학교에서 받는 말하기 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확인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설계한 과제 중심의 말하기 수업에 대한 학습 요구를 확인하고, 학습자 중심의 수업이 설계되어야 하는 이유 등을 설문 조사를 통해 도출할 것이다. 그리고 3장에서는 현재 중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말하기 교재를 중심으로 교재 분석을 진행한다. 이 교재 분석을 통해서 어떤 과제가 주로 수업에서 사용되는지를 확인하고, 확인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해결 원리 등을 정리하겠다. 4장에서는 3장의 분석 결과에 출발점에서 중국 내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을 향상하기 위해서 실제 교육방안을 제시하겠다. 2장과 3장의 내용을 통합해서 말하기 수업을 구성할 수 있는 수업 설계 원리를 도출하겠다. 그리고 이 원리를 중심으로 최종 말하기 수업 모형을 도출하고, 이 수업 모형이 적용된 교수요목을 제시하겠다. 이 교수요목의 특징을 설명하고, 실제 교안을 중심으로 수업의 실제 예시를 제시하겠다. 마지막으로 각각의 교안에서 활용할 수 있는 활용 방안과 수업 자료 등을 제시하고, 본 연구에서 설계한 내용이 갖는 교육적 의의 등을 종합하겠다.

      • 한국어 듣기 교재의 듣기 후 활동 유형 분석과 개작 연구 : 중국 4년제 대학교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왕치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한·중 수교를 시작 이후, 양국의 교류는 경제는 물론 정치, 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현상은 중국 내 한국어 전문 지식을 갖춘 인력의 수요 급증으로 이어졌으며, 전문성을 갖춘 한국어 인재 양성을 위해 중국 대학교에서는 한국어 전공 과정을 개설하였다. 한국어학과가 급속하게 성장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현재 중국 대학교에 사용된 한국어 교재는 대부분이 문법번역식 교수법 혹은 청각 구두식 교수법을 중심으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실제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법 및 학습 과정에 적절하지 않은 교재가 많다. 중국 대학교의 한국어학과에서는 듣기 수업을 교사 중심으로 실시하며, 교재에 의존하여 이루어진다. 대부분의 활동이 오디오, 비디오 등 기기를 이용하여 듣고 따라 읽기, 듣고 받아쓰기, 반복하여 듣기, 듣고 대답하기 등 방식으로 진행된다. 또한, 보고 듣고 말한다는 의미의 '시청설(視聽說)'이라는 수업을 개설하여 말하기와 듣기 활동을 동시에 가르치는데 목적을 둔 과목이다. 다만, 실제 수업을 운영하는 중국 대학교 중 대부분이 이 수업에서 ‘말하기’에 중점을 두고 듣기의 중요성을 배제한다는 문제가 있다(李英天:2020). 이로 인해서 중국에서 듣기를 전문적으로 학습해야 할 학습자들은 듣기 교육의 부재에 시달리게 된다. 또한, 교사가 듣기 교재에 의존하여 듣기 전 활동 및 듣기 활동에만 중점을 두기 때문에 듣기 후 활동이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듣기 교육의 이러한 문제점은 학습자의 흥미를 감소시키며 듣기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효율성도 떨어진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듣기 수업은 존재하지만, 학습자들은 듣기 교육을 실제로는 받지 못하는 사태가 발생하는 것이다. 중국 대학교의 한국어학과 전공자는 급격히 증가하는 반면, 체계적인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과 교재에 대한 연구가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한국에서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해 다양한 교재를 개발하고 있지만, 한국 외의 국가에서는 과거부터 사용해오던 교재를 새롭게 개발하거나 변화를 주는 등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계속해서 사용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이전부터 이어지는 교재와 교육방법을 고수하고 있기 때문에 듣기 교육에 한계가 있다. 듣기는 의사소통에 가장 기본이 되는 역량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교육 개선이 쓰기나 말하기 등에 비해 다소 활발하게 일어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 대학교의 듣기 교육의 문제를 개선하고, 효과적인 듣기 교육을 위해 기존 교재를 개작하여 학습자의 듣기교육 효율성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本研究旨在改善國內高校聽力教育過程中出現的問題,爲有效開展聽力教育,重點開展聽力活動,對現有教材進行改寫,從而提高學習者的聽力教育效率。中國大學使用的中國開發的聽力教材,很多情況下沒有反映教育方式或教育內容發生變化的時代變化。過去開發的教材在沒有修改或補充的情況下繼續使用。爲了掌握相關問題,通過改編現有教材,提高學習者的聽力,本研究選定了中國大學普遍使用的3種教材,掌握相關教材中出現的聽後活動類型,並對其進行改編。 之前對先行研究進行的結果顯示,大多數韓國語聽力教育方案都關注利用輔助教育手段的方案,很難找到集中開發及製作聽力教材的研究。在對韓國語聽力教材的先行研究中,雖然出現了聽力教材缺乏多樣性的問題,但存在聽力教材開發方案研究不活躍的侷限性。 對於韓國語聽力活動,大部分研究都關注聽力前活動,但存在不提及聽力後活動重要性的侷限性。因此,只對聽力後活動的類型研究、缺乏多樣性等提出了局限性,並沒有對此進行具體的方案研究。爲此,本研究擬對我國高校教材中出現的聽後活動類型進行考察,並進行改編研究。 爲此,第二章進行理論考察。爲了進行理論考察,將利用相關單行本、學位論文、學術論文、韓語教材、在線資料等進行研究。首先,爲了掌握中國大學的聽力教育現狀和特點,瞭解中國的聽力教育現狀和教材使用現狀。通過觀察中國大學聽力教育中出現的特徵,確認目前聽力教育中出現的問題。接下來,我們將對本研究擬作爲研究對象的過程中心聽力特點和聽力活動進行理論考察,尤其以聽力活動爲重點,把握理論概念。最後,對教材改寫方法和聽力教材構成的理論進行探討,本研究擬將教材改寫作爲結果,因此,提出教材改寫方法理論,爲中級學習者提供聽力教材構成模型。 第三章是關於研究方法的內容,首先整理問卷內容設計和教材分析標準。調查問卷內容設計是在對現有研究進行考察後,根據暴露的研究範圍設計適合本研究的調查問卷內容。問卷的構成由個人信息、韓語水平、韓語學習情況、韓語聽力教材使用情況、韓語聽力教材開發等構成,以在中國大學專攻韓語的1、2年級爲對象進行問卷調查。通過這些,將掌握學習者認知的聽力教材的問題及滿意度、必要性等。 接下來,組織教材選擇和分析標準進行教材分析。從目前我國高校常用的聽力教材中選取了3種,將對現有的前期研究進行綜述,得出教材分析的分析標準,對教材進行分析並提出共識。 第4章是研究結果,之前以第2章和第3章的內容爲基礎,提出了改寫的教材樣本,並提出了實際聽完後活動和指導案授課示例和評價方法。首先,聽力教材改編原理將通過3張問卷調查和教材分析結果及協議點得出,並以此提出最終改編模型。另外,將提出改編後的教材的聽後活動,並利用該聽後活動進行授課的教案。即,提出如何將其應用到課堂上的方案。另外,該聽力活動實際適用於中國大學時,將向教師出示必要的活動地或學習資料,以實際教育現場的韓國語專家爲對象,接受本研究設計的聽力活動及改寫的教材的可行性驗證。基於這些內容,第五章將總結提出本研究的結果,並將研究結果的啓示給出結果。通過這些,本研究提出了關注聽力活動的聽力教育方案,從這一點來看,具有意義,從再次強調多種活動,即練習部分的重要性來看,將具有意義。

      • 경찰의 피해자보호제도와 개선방안

        이종현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31

        The issue of human rights security should be prioritized in criminal justice, but in the traditional retribution criminal justice system, it has been mainly aimed at criminals. The victim has been treated only as a matter of witness or evidence, and this phenomenon can be said to have originated from the structural problems of criminal justice that have been maintained for a long time. However, it can be said that the human rights of victims were embodied by the UN's Declaration of the Basic Principles of Justice for Victims of Crime and Abuse of Rights in 1985. The legal and institutionalization of the victim protection system in Korea was triggered by the introduction of the victim's right to state opinions (Article 27 (5) and the victim's right to claim rescue (Article 30) in the 9th Amendment to the Constitution (1987). Since then, the National Assembly enacted the Crime Damage Relief Act in 1987, and victim protection has been legislated in Korea. The police also declared it the “first year of victim protection” to mark the 70th anniversary of Changgyeong, and on February 12, 2015, they introduced a “recovery judicial concept” and established a “Golden-Time” for the police to differentiate victims from 257 police stations. The police had been struggling to link victims to each institution in other ministries for safety measures (physical protection measures) and economic support. Nevertheless, the reality is that the police's victim protection system has not been well known.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police victim protection system and foreign cases and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First, looking at the current Crime Victim Protection Act and the issue of victim's personal protection,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shall take necessary measures to protect the victim's honor and peace of privacy in Article 9 (1). Article 9 (2) of the same Act states that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come up with appropriate measures if they need to protect victims, such as being retaliated for statements or testimonies made in criminal proceedings.” The right to operate the fund and the right to execute the protection of victims are different. In addition, local governments only support corporations registered with support, etc., and the Minister of Justice has both audit and supervisory rights. From this issue, it became the starting point for this paper. Until now, the police had to link medical expenses, emergency living expenses, and migration expenses to the prosecution office, LH Corporation, crime victim center, and local governments to protect victims, but had no actual authority. Here, we will study in the improvement that it is necessary to transfer victim protection-related tasks to local governments except for important national damage cases. Second, witnesses and victims’ protection requirements such as Article 13 (1) of the Act on the Protection of Specific Crime Reporters, etc., Article 23 (3) of the Act on the Punishment of Sexual Violence Crimes, etc. and Article 6 (3) of the Act on the Punishment of Sexual Sale, etc. may cause confusion. This part was proposed as an improvement plan to ensure immediate victim protection from the beginning when a report is received by consistently unifying all of the above law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rticle 2-2 of the Police Officer Execution Act. The government will also study whether the police's victim protection work, which has been receiving only 1.2 billion won from the victim protection fund worth 100 billion won over the third year, is appropriate.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nform the reality of police officers in charge of victims who still do their best to prevent secondary crimes in which victims' children grow up and take over by linking criminals alone and victims to other agencies. The move is aimed at creating a world where there are no more victims living in fear by further developing the victim protection system with vivid voices of security sites, not just theoretical problems. 전통적인 응보형 형사사법체계에 있어서 인권보장의 문제는 주로 범죄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범죄피해자는 형사절차에 있어서 단지 증인이나 증거의 문제로만 취급되어 왔다. 이러한 현상은 오래 전부터 유지되어 온 형사사법의 구조적 문제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1985년 UN의 「범죄 및 권리남용 피해자를 위한 사법의 기본원칙 선언」이 제정되면서 범죄피해자의 인권문제가 이슈로 대두됨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세계적 흐름에 부응하여 제9차 헌법개정(1987)에서 처음 헌법상 피해자보호제도가 제도화되었다. 즉, 헌법 제27조 제5항(피해자 의견진술권)과 제30조(피해자 구조청구권)를 들 수 있다. 이후 국회에서 1987년 「범죄피해구조법」을 제정함으로써 국내에서도 비로소 피해자보호가 법제화되었다. 경찰도 그동안 범죄자 중심의 체제를 유지해 오다가 피해자보호의 중요성을 인식하기에 이르렀고, 창경 70주년을 맞이해 ‘피해자보호 원년의 해’로 선포하였으며, 2015년 2월 12일 ‘피해자보호담당관’ 발대식을 갖고 ‘회복적 사법개념’의 도입과 함께 경찰이 범죄현장에 출동하여 피해자를 첫 대면하는 단계를 ‘피해자보호의 골든타임(GoldenTime)’으로 정하여 경찰의 차별화된 피해자보호를 실시하도록 하였다. 또한 ‘피해자전담경찰관’을 2022년 현재 전국 257개 경찰서 수사지원팀에 배치하여 경찰서 내 다른 과(수사과, 형사과, 여성청소년과, 지역경찰 등)와 협업 하에 피해자보호업무를 담당하게 하고 있다. 이외에도 경찰에서는 피해자의 안전조치(신변보호조치)를 시행하고 있으며, 지방자치단체나 의료기관 등 경찰 이외의 각 기관에 연계하여 피해자에게 경제적 지원 등 실질적 지원이 이루어지도록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경찰의 피해자보호업무는 물적·인적 한계에 직면하고 있으며, 일선경찰관들의 피해자보호에 대한 인식부재로 인하여 다양한 피해자보호제도의 시행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효과를 달성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일반 시민들에게 있어서 경찰은 범죄자를 처벌하는 기관이란 인식으로 인해 경찰의 피해자보호제도가 잘 알려지지 않고 있는 것도 경찰의 피해자보호의 기능약화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일선 경찰서에서 종사하는 경찰관으로서 피해자전담경찰관들의 직업적 윤리의식 및 현실적 한계상황에 대해 경험적 사실을 살펴봄과 동시에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생생한 치안현장의 목소리도 함께 담아 실무적 관점에서 경찰의 피해자보호제도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는 를 방안을 마련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경찰의 피해자보호제도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외국의 입법례를 참고하여 경찰실무의 측면에서 경찰의 피해자보호제도의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현행 「범죄피해자보호법」제9조 제1항에서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피해자의 명예와 사생활의 평온을 보호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고 규정되어 있고, 동조 제2항에서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피해자가 형사소송절차에서의 진술이나 증언과 관련하여 보복을 당할 우려가 있는 등 피해자를 보호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적절한 조치를 마련하여야 한다”로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 피해자보호기금의 주된 운용권자는 법무부장관이고, 현장에서 피해자를 보호하고 있는 것은 경찰은 피해자기금운용에 개입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처럼 피해자기금의 운용권자와 피해자보호의 실행권자가 다르고, 지방자치단체는 등록된 법인만을 제한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따라서 경찰에서는 지금까지 피해자보호를 위해 검찰청, LH 한국토지주택공사, 범죄피해자센터, 지방자치단체와 연계하여 각 의료비, 긴급생계비, 이주비 등을 지원하도록 요청하는데 그치고 있어서 피해자보호업무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피해자보호 관련업무는 국가적 중요 피해사건을 제외하고는 지방자치단체로 이관하게 하고, 그 집행에 있어서 경찰과 협력하게 함으로써 경찰의 피해자보호업무가 실효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둘째, 피해자의 신변보호와 관련하여, 「특정범죄신고자 등 보호법」 제13조 제1항,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23조, 「성매매알선 등 행위의 처벌에 관한 법률」 제6조 제3항 등에서 규정하고 있지만, 각각의 경우 피해자보호요건이 경찰이 112신고 출동 시에 혼선이 야기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따라서 피해자보호 관련업무에 관하여 「경찰관직무집행법」에서 조항을 신설하여 통일적인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112 신고를 받고 출동한 일선경찰관들이 체계적이고 일관된 피해자보호업무를 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연간 1,000억원대의 피해자보호기금에서 경찰에서 지원받는 금액은 12%에 불과하다. 하지만 피해자와 처음 만나게 되는 경찰의 경우에 직접적으로 피해자를 파악하고 지원할 수 있는 체계가 갖추어져야만 실효적이고 신속한 피해자지원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피해자보호기금 중 경찰에 배정액을 대폭 상향할 필요가 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경찰실무의 문제점 및 치안현실을 바탕으로 한 제도적 개선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선행연구들과 달리 피해자보호제도에 관한 이론적 연구에 그치지 않고 생생한 치안현장의 목소리를 전달하고자 노력하였다. 앞으로도 경찰에서는 실효적인 피해자보호제도를 구축·발전시킴으로써 더 이상 두려움 속에서 살아가는 피해자가 없는 그런 세상을 만들기 위해서 노력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