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어 교사의 교재 선정과 요구에 관한 연구 : 서울·경기지역 한국어 교육 기관 교사를 중심으로

        이숙연 경인교육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서울·경기지역 한국어 교사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교재를 분석하고 평가하는지를 알아내고자 했다. 그리고 교수 요인과 학습 요인에 적합한 교재 및 부교재(보충자료)를 어떻게 선정하고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또, 한국어 교재를 선정할 때의 평가 기준 항목에 주목하였으며, 항목의 가중치를 제안하고 중요도를 강조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재 선정의 질적인 평가에 이바지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해당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한국어 교원 9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더불어 현장 교재 만족도 조사와 교재/부교재의 사용 실태 역시 조사하였다. 설문 조사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반통계, 교차분석, T 검증 방식으로 통계 분석하였다. 해당 조사를 통해 한국어 교육현장에서 교재 선정에 영향을 주는 요구사항과 그에 따르는 어려움을 조사하여, 낮은 교재 만족도를 향상할 방법을 고찰하였다. 재구성된 설문지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교재 선정 시 총체적인 기준 항목은 크게 ‘교재 저자가 한국어 교육 교재 집필에 관해 전문성이 있는지(전체 1위)’, ‘평가는 학습내용을 바탕으로 구성되어 있는지(전체 2위)’, ‘연습과 활동이 실생활과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는지(전체 3위)’의 세 가지로 드러났다. 또, 교재와 부교재의 개선점을 물은 질문에는 ‘현장에서 요청한 내용이 잘 반영된 교재가 제작되었으면 좋겠다.’라는 답변이 지배적이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장에게 맞는 교재를 개발하는 것이 아니라 교재 선정을 위한 평가 영역 및 항목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이를 강조하는 데 있다. 어떤 교재가 교육현장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고 있는지, 다양한 언어권의 학습자와 학습 환경에 적합한지 등에 주목한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고찰이 학습의 매개체인 교재의 질적 향상에도 직접 이바지할 수 있으리라 기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현장 조건에 부응할 수 있게끔 교재를 선정하기 위하여 교재 평가 기준 항목의 중요도별 가중치를 영역별 및 항목별로 재구성하였다. 그리하여 ‘교재 선정을 위한 평가 기준의 영역/항목별 가중치(16영역/78항목)’를 제안하였다. 국내 교육 기관, 다문화 지원센터, 사회통합프로그램, 자원봉사단체 등에서 교재 선택권을 가지고 있는 담당자나 현장 교사들은 해당 제안을 수용하여, 교재 재선정 시 사용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뮤지컬 연출가와 안무가의 상호관계에 대한 연구 : 뮤지컬작업시 연출가와 안무가와의 관계성과 연출가겸 안무가들의 성공예를 중심으로

        이숙연 단국대학교 대중문화예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뮤지컬 안무가로 작업하면서 연출가와의 작업적인 상호관계 범위에 대해 느끼게 되면서 뮤지컬 연출가와 안무가와의 역할이 한국 뮤지컬계에 얼마나 많은 발전을 하게 될 것인지 고민해보고 좀더 전문화되고 체계화되어 갔으면 하는 바람으로 연구 작업에 몰두하게 되었다. 뮤지컬 안무가로 활동하다가 지난여름 창작뮤지컬 ‘어글리 매칭’이란 작품으로 연출가겸 안무가로 첫 도전을 하게 되면서 이번 연구 작업에 도움을 받았고 이에 따른 이론적 배경을 조사하고 연구하면서 뮤지컬 연출가와 안무가들의 연관성과 그들의 활동 범위 안에서 연출가겸 안무가의 작업범위가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게 되었다. 뮤지컬은 종합예술이고 뮤지컬만의 장점인 신나고 즐거운 장르이기도하지만 때로는 예술성을 살리면서 흥행 보장도 되어야 하는 어려운 작업이기도 하기 때문에 여러 스탭들과의 의견통합 역시 중요하며 그중 장면 구성을 만들게 되는 연출가와 안무가와의 작업은 공동 작업이기에 서로의 연출가와 안무가와의 상호관계가 협력적으로 이루어져야만 한다. 안무가출신에서 연출가로 성공한 외국의 연출가겸 안무가중 대표적으로 Bob Fosse, Gower Champion, Jerome Rogins, Tommy Tune, Michael Bennet, Gillian Lynne을 조사하면서 유명한 뮤지컬 작품이 어떻게 만들어지게 되었고 이들이 작업하면서 겪었을 고뇌를 알게 되었다. 뮤지컬 연출가, 안무가의 역할에 따른 이론적 배경과 그들의 갈등, 연출가겸 안무가로 활동했던 예술가들의 업적과 그들의 작업을 살펴본 결과 뮤지 컬에서의 연출가와 안무가와의 관계성은 더욱 크게 작용하며 성공적인 뮤지컬작품이 나오기까지 연출가와 안무가와의 이상적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 진로성숙도, 창의성의 구조관계분석

        이숙연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창의성은 사회의 빠른 변화와 짧아진 지식의 주기에 따라 능동적으로 자신의 지식과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21세기 인재의 핵심역량이다. 이에 정부는 자기주도적인 진로역량개발을 통해 청소년들의 창의성 향상을 기반으로 한 창의인재육성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한 학교 진로교육에서 많은 문제점들이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자기조절학습, 진로성숙도, 창의성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자기조절학습과 창의성의 관계에서 진로성숙도가 매개변수로 작용하는가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창의성을 향상시키는 진로교육의 방안으로 자기조절학습을 제언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은 진로성숙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은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중학생의 진로성숙도는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성숙도가 이를 매개하는가?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진로교육과정을 어느 정도 이수했을 것으로 예상되는 전국 중학교 3학년 292명을 대상으로 자기조절학습, 진로성숙도, 창의성 검사를 자기보고형 검사지를 통해 검사하였다. 검사에 앞서 진로교육 전문가 및 중학교 교사의 문항검토를 통해 일부 문항의 수정·삭제를 실시하여 충남 A학교 학생 49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정한 척도를 활용하여 서울 B학교, 충남 C학교, 광주 D학교, 경북 E학교를 대상으로 본 검사를 실시하였다. AMOS 21.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고, 부스트래핑방법을 활용하여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은 진로성숙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은 창의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창의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은 진로성숙도를 부분매개하여 창의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자기조절학습이 학생들의 진로성숙도와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진로성숙도의 향상이 학생들의 창의성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또한 자기조절학습의 향상은 학생들의 진로성숙도를 유의미하게 향상시켜 학생들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진로교육 방안으로 자기조절학습은 적합하며, 이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법의 개발 및 적용은 학생들의 창의성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Career Maturity and Creativ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Additionally, this study focuses on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maturity on the relationship that exists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nd Creativity. In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proposed and investigated. 1. How does the middle school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ffect their career maturity? 2. How does the middle school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ffect their creativity? 3. How does the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affect their creativity? 4. Does the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have a mediating effect between their self-regulated learning and creativity? To address these questions, Self-regulated learning scale, Career maturity scale and Creativity scale were revised based on prior researches, experts' reviews, and a pilot test with 49 third year students of middle schoo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92 students of 4 middle schools. They were asked to answer revised questionnaires. SPSS 21.0 and AMOS 21.0 was used for the analysis, and Boostrapping Mediation Analysis was us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follows: First, middle school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has a positive effect on career maturity. Second, middle school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has a positive effect on creativity. Third,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has a positive effect on creativity. Lastly,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has a mediating effect between self regulated learning and creativity. This study suggested career education applying self-regulated learning for improving creativity.

      • 太宰治『人間失格』의 한국어 번역양상 연구

        이숙연 명지대학교대학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639

        This study analyzed and considered the translation aspects of Japanese novel No Longer Human (source text) written by Dazai Osamu, in terms of language, culture, and literature, by contrasting the source text with its three Korean translations (target texts: TT1, TT2, and TT3). Chapter 1 Introduction puts forward the purpose of and necessity of this study, with investigating the meaning and role of translation and looking into the significance and necessity of Korean translation aspects with respect to Japanese novels. Chapter 2 presented academic grounds for the need for the contrastive study of translation versions, centering on translation theories, and suggested the direction of this study in consideration of precedent studies. Chapter 3 analyzed the grammatical elements of the 'Noda' sentence, which reflects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the work, from a linguistic viewpoint; and Chapter 4 classified and reviewed culture-related vocabulary from a cultural viewpoint. Chapter 5 selected major key words of the work, and looked into their translation aspects from a literary viewpoint. The types of translating the 'noda' sentence and the culture-related vocabulary were sub-classified into preservation translation, substitution translation, and ellipsis translation (or ellipsis/addition translation). And in the analysis of the key words of the work as literary elements, 'chi (恥)' and 'douke (道化)', which are major key words of No Longer Human, were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translation aspects of linguistic elements, the Japanese 'Noda' sentence reflecting a confessional style, which is the characteristic expression technique of the work, was investigated in connection with the translation aspect of matching between 'Noda' and 'geosida' in the Korean language. As a result, the following three forms were found. ① Cases of 'preservation translation' into a conclusive modality construction in the form of 'geosida' ② Cases of 'substitution translation' into the past tense as in the morpheme 'eot (at) da' ③ Cases of 'ellipsis translation' into the unmarked (?) present tense as in '-n da' As for the ratios of the translators' translation aspects for the 'Noda' sentence, it was found that in TT1, 'preservation translation' was 52%, 'substitution translation' 22%, and 'ellipsis translation' 26%, respectively. In TT2, 'preservation translation' was 15%, 'substitution translation' 47%, and 'ellipsis translation' 38%, respectively; and thus the ratio of 'substitution translation' was found to be high. 'Noda' was matched with 'eot (at) da,' and was used in the sense of retrospective 'confession' to the listener by the speaker. In TT3, 'preservation translation' was 14%, 'substitution translation' 30%, and 'ellipsis translation' 56%, respectively; and thus the ratio of 'ellipsis translation' was found to be high. That is, 'Noda ' was matched with '-n da (Ø) ' of a declarative sentence. And the analysis showed that this is an expression appearing in the structure that the speaker ('zibun' contrasted with other) is made to become the subject of the sentence, and objectifies his circumstances; and that the expression is designed to calmly deliver information on the speaker's 'exploration of human nature', rather than 'confession.' Second, as for the translation aspects of cultural elements, it is also possible to make classification into the three translation types of 'preservation translation,' 'substitution translation,' and 'ellipsis translation.' First, the 'preservation translation' may be sub-classified into 'phonetic borrowing,' which borrows sounds in translation, and 'loan translation,' which does translation with the meaning of a target language. The former transcribes '東京' into '도쿄 (Tokyo),' and the latter into '동경 (Donggyeong).' The 'preservation translation' is primarily found in proper names such as a person's name, a place name, a book title, and a temple name. The ratio of the 'preservation translation' was found to be relatively high in TT1 (65%), compared with TT2 (49%) and TT3 (48%). The reason for the high ratio of preservation translation in TT1 is that it adopted the loan translation of Chinese character vocabulary as in 'yeogeup (여급)' for '女給.' In contrast, TT2 and TT3 did the 'substitution translation' by means of vocabulary actually used as in 'hostess' for '女給.' The 'substitution translation' is translation to facilitate understanding for readers of the target language by substitution with vocabulary or an idiom having a similar meaning, rather than preserving a specific cultural element of the source text. It is sub-classified into 'hypernym translation,' 'cultural substitute translation,' and 'paraphrase translation.' The ratio of the 'substitution translation' was found to be relatively high in TT2 (45%) and TT3 (47%), compared with TT1 (27%). After all, it may be said that what seem most fluid in the translation of cultural elements are loan translation and cultural substitute translation. Lastly, as for the 'ellipsis/addition translation,' 'ellipsis' is to omit translating a culture-specific element of the source text when the translator judges that it does not harm the style; and 'addition,' albeit not frequently used, is to add a cultural object not existing in the source language, for the sake of readers. All the three translations showed similar tendencies. Third, No Longer Human has been known as an autobiographical confessional novel. In the case of Dazai Osamu, his growth process or life experiences become important clues to his literary background. Among them, '恥' and '道化' are depicted in his work with his own unique vocabulary. '恥' is manifested in a variety of aspects ranging from shyness and bashfulness to disgrace an humiliation, and can be seen as being included in the general concept of 'sense of shame.' In addition, '道化' is an act to make other laugh or deceive other, and serves as a critical factor to determine the hero's character; it was pointed out, however, that most of all the three translations did uniform translation that relates it to laughter, and thus failed to reflect fully the meanings of the source text. This study classified novel translation aspects into linguistic, cultural, and literary elements, and inquired into them; it is deemed, however, that the sub-classification may vary with work. Because it may be said that it results from a translator's individual translation strategy, which is influenced by his/her social background, and the like. Therefore, as for studies on the translation aspects of novels, they will have to be carried out as diverse as the number of works. From this study, it is deemed that continued studies on translations are needed. Key words : Translation; Japanese-Korean novel translation; 'Noda' sentence; Translation of culture-related vocabulary; Translation of the key words of work 본 연구에서는 일본소설 太宰治『人間失格』(원천텍스트)을 대상으로 3종의 한국어 번역본(목표텍스트, 번역본:TT1, TT2, TT3)과의 대조를 통하여 그 번역양상을 언어적·문화적·문학적 관점으로 나누어 분석 고찰하였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통해, 번역의 의미와 역할을 살펴보고 일본소설의 한국어 번역양상의 의의와 필요성을 살폈다. 제2장에서는 번역이론을 중심으로 번역본 대조연구 필요성에 대한 학문적 근거를 제시하였고, 선행연구를 통해 본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제3장에서는 언어적 관점에서 작품의 문체 특성을 반영하고 있는 「のだ」文을 문법적 요소로서 분석하였고, 제4장에서는 문화적 관점에서 문화관련 어휘를 중심으로 분류 검토하였다. 제5장에서는 문학적 관점에서 주요 작품 키워드를 선정하여 그 번역양상을 살펴보았다. 즉 언어적·문화적·문학적 관점에서 번역양상의 총체적·유기적 파악을 목표로 하였다. 「のだ」文과 문화관련 어휘에서 번역유형은 각각 유지 번역·대체 번역·생략 번역(또는 생략·첨가번역)으로 하위분류하였고, 문학적 요소로써 작품 키워드의 분석에서는 『人間失格』의 주요 키워드인 「恥」와 「道化」를 대상으로 검토하였는데 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적 요소의 번역양상에서는 고백체라는 작품의 특징적 표현기법이 반영된 일본어의 「のだ」文을 대상으로 「のだ」와 한국어의 「것이다」의 대응 여부에 따른 번역양상을 살펴보았는데, 다음의 세 가지 형태로 나타났다. ①「것이다」형태의 단정적 양태구문으로 유지 번역한 경우 ② 형태소 「었(았)다」와 같이 과거시제로 대체 번역한 경우 ③「ㄴ다」와 같이 현재 시제 무표(?)형으로 생략 번역한 경우 번역자별 「のだ」文의 번역양상을 비율로 보면 TT1은 「유지 번역」이 52%, 「대체 번역」이 22%, 「생략 번역」이 26%로 나타났다. TT2는 「유지 번역」이 15%, 「대체 번역」이 47%, 「생략 번역」이 38%로 「대체 번역」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のだ」가 「었(았)다」로 대응하고, 화자가 청자에게 자신의 과거를 회상하여 ‘고백’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TT3은 「유지 번역」이 14%, 「대체 번역」이 30%, 「생략 번역」이 56%로 「생략 번역」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즉, 「のだ」가 선행하는 평서문의 「ㄴ다(Ø)」로 대응하고, 화자(타인과 대비되는 ‘自分’)을 주어로 하여 자신의 상황을 객관화시키는 표현으로, ‘고백’이라기보다는 화자의 ‘인간본성의 탐구’에 대한 정보를 담담하게 전하는 표현구조를 취할 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문화관련 어휘의 번역양상 유형에서도 「유지 번역」「대체 번역」「생략ㆍ첨가번역」의 세 번역 유형의 설정이 가능하다. 먼저, 「유지 번역」은 음을 빌려 번역하는 「음차용 번역」과 목표언어의 의미로 번역하는 「번역차용 번역」으로 하위분류할 수 있는데, 전자는 「東京」를 「도쿄」로, 후자는 「동경」으로 표기하는 경우이다. 「유지 번역」은 인명·지명·서명·사찰명 등의 고유명사에 주로 나타난다. 「유지 번역」의 비율은 TT1(65%)에서 TT2(49%), TT3(48%)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TT1」에서 유지 번역 비율이 높은 것은, 예를 들면 「女給」를 「여급」과 같이 한자음 어휘로 번역차용 하였기 때문이다. 이와는 반대로 TT2, TT3의 경우는 한국어 한자음 번역에 있어서 번역차용을 하지 않고 「女給」를 「여종업원」으로 실제 사용되는 어휘로 자연스럽게 「대체 번역」을 하고 있다. 「대체 번역」은 주로 원천텍스트의 문화 특정적 요소를 유지하기보다 유사한 의미의 어휘와 관용구로 대체하여 목표언어권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번역으로, 하위유형으로는 「상위어 번역」「문화대체어 번역」「풀어쓰기 번역」이 있다.「대체 번역」비율은 TT2(45%), TT3(47%)가 TT1(27%)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세 번역본의 「번역차용 번역」비율과 「문화대체어 번역」비율의 합이 거의 유사함을 알 수 있다. 단, TT3의 경우는 TT1, TT2의 비율보다 8%정도 낮아지는데, 이것은 TT3의 경우, 「풀어쓰기 번역」비율이 TT1과 TT2보다 높기 때문이다. 「풀어쓰기 번역」의 사례로는 명사를 동사구로 풀어쓰기하거나 「万世一系」를 「천하에 둘도 없는」과 같이 사자성어를 풀어쓰기한 경우가 있다. 결국 문화관련 어휘번역에서 가장 유동적으로 보이는 것은「유지번역」의 하위분류인 「번역차용 번역」과 「문화대체어 번역」의 경우라 할 수 있다. 어휘번역에 있어서 「苦笑」를 「고소」로 번역하는 한국어 한자음 번역은 지적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생략·첨가 번역」에 있어서 「생략」은 번역자가 문체를 훼손하지 않는다는 판단 하에 원천텍스트의 문화 특정적 요소를 생략하는 번역이며, 「첨가」는 그리 많이 사용되지는 않지만 번역자가 독자를 위해 원천어에 없는 문화적 대상을 추가하는 번역으로, 세 번역 모두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셋째, 『人間失格』은 자전적 고백소설로 알려져 있는데, 다자이 오사무의 경우 그 성장 과정이나 인생 편력이 그의 문학적 배경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단서가 되고 있으며, 그의 문학적 요소인 주요 키워드 중에서 「恥」「道化」등은 다자이 특유의 어휘로 작품 속에서 사용되고 있다. 「恥」는 단순한 부끄러움이나 수줍음에서부터 수치, 치욕에 이르는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 이는 ‘수치심’이라는 총괄적인 개념 하에 귀속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道化」의 경우는 남을 웃기거나 속이는 행위로, 주인공의 성격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나, 세 번역본 모두 대부분 웃음과 관련시킨 획일적인 번역을 하고 있어 다양한 의미를 가진 원천텍스트 어휘의 외연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점을 지적했다. 소설 작품의 성향이 작가에 따라 다르듯이, 번역양상도 번역자에 따라 각기 다른 성향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소설번역양상을 언어적·문화적·문학적요소로 분류하고 고찰하였으나 그 하위분류의 대상은 작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본다. 그것은 번역자 개인의 번역전략에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고, 개인의 번역전략은 사회적인 배경 등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소설작품 번역양상의 연구는 작품 수만큼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계기로 번역물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간호대학생의 직업가치관과 소명의식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이숙연 대구가톨릭대학교 상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career values and calling on career attitude maturity of nursing students. For this study, 266 nursing students of college and university in Daegu․Gyeongbuk were recruited. The study made use of career values inventory(Ministry of Labor,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2006) for assessing career values, Korea version of the Calling and Vocation Questionnaire(CVQ-K)(Shim, Yerin, 2010) for assessing calling and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inventory(Lee, Ki Hak, Han Jong Chul, 1997) for assessing career attitude maturity.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18.0 statistical data processing program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asses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o-demographic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of nursing students according to the sex, grade and motivation for choosing care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attitude maturity of nursing students according to ages and religions. Second, Career values of nursing students had a positive effects on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in subfactor of career decisive ability, finality and readiness. On the contrary, subfactor of career values effected positive or negative influence on the subfactors of career attitude maturity. Among the subfactors of career values, accomplishment, service, job sta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attitude maturity of nursing student and patriotism, financial compensation, indoor activity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The study suggested that if the values of accomplishment, service, job stability and reputation, subfactors of career value, were considered to be worthy, career attitude maturity of nursing student could be improved. Finally, calling of nursing studen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on all the subfactor of decisive ability, finality, certainty, and readiness with the exception of independence. Data analysis of subfactor showed that transcendental calling-exist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decisive ability and finality, objective/ meaning- exist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decisive ability, finality, certainty, and readiness with the exception of independence and prosociality-exist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readiness. This result suggested that calling is the important predictor in career attitude maturity of nursing students, so it is necessary to help them to establish the objective and meaning of calling for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the study found out respective subfactors of career value and calling for the improvement of career attitude maturity of nursing students, and in that the study provided the basis to help nursing students having difficulty in career development in the future.

      • 刑事訴訟에서의 디지털證據의 取扱과 證據能力

        이숙연 高麗大學校 情報經營工學專門大學院 2011 국내박사

        RANK : 248639

        Today, transactions and communication as well as storage and transfer of information are carried out in a digital format. We leave our traces behind in this digital world every day. As generation and storage of digital information have become commonplace, those cases where digital information serves as important criminal evidence are on a steady rise. However, vulnerability and massiveness make it difficult to collect and analyze digital information as evidence. With migration in a digital environment from individual PCs to server-based computing or cloud computing where information is stored in a third-party server or computer through a network, collection and analysis of digital evidence will face a tougher challenge. Countries with advanced computer technolog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have consistently raised technical and procedural issues, since the 1990s, in connection with collection, preservation and analysis of digital data, keeping intact the value of digital evidence under the name of ‘digital forensic.’ In the 2000s, such discourse has gained further momentum. Unfortunately, Korea's criminal procedure law system has failed to embrace those changes despite its prowess as an "Internet power." With respect to handling and admissibility of digital evidence, court precedents merely concern specific and individual cases and accordingly fall short of formulating standard guidelines. The thorniest issues regarding research of digital evidence are as follows: Firstly, lack of an established concept of digital evidence has resulted in numerous similar concepts including electronic evidence, computerized evidence, digital evidence, digital information, electronic information and electronic documents. Secondly, digital evidence is more diverse in nature and kinds than traditional evidence.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is inappropriate to apply the same principles to entire pieces of digital evidence or adopt a uniform yardstick for their admissibility on mere grounds that they ‘exist in a digital format.’ Thirdly, guidelines or regulations have been formulated by investigative authorities in regard of the process to collect and analyze digital evidence. Concerning judiciary proceedings where it is determined whether such collected and analyzed digital evidence is admissible, however, there exists a lack of specific regulations or court precedents concerning evidence taking methods or admissibility acknowledgment. Fourthly, electronic filings which were introduced on a full scale in 2010 pose a new challenge to giving judicial effect to electronic documents and handling digital evidence. The starting point of a discipline is to accurately define the terms used. Therefore, it is imperative to clearly define digital evidence by comparing it with other confusing concepts and delve into how other related concepts differ from, contrast with and are linked to digital evidence. Pieces of evidence in the same digital format should be handl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arties who generated them or the facts to be proven by them. In order for digital evidence to be adopted as valid evidence, all steps taken for its collection, analysis and storage need to be lawful. Given the massiveness and opacity of digital evidence, it is deemed inevitable, to some extent, to issue general search and seizure warrants. Some suggest the Tamura-Carey or Kozinsky approach as a means to limit issuance of general search and seizure warrants. It may be meaningful to raise such issue, but it is not worthwhile to discuss the issue because court precedents take a firm stance that if any evidence of facts constituting a crime,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facts constituting a crime regarding which a warrant has been issued, is found, such new evidence cannot serve as evidence of a separate crime without an ex post facto warrant. It is deemed extremely unfeasible for a court or a third agency to determine whether the subjects of search and seizure are related to a certain crime or not. As a possible alternative, the following can be considered to ensure legitimacy of the search and seizure process: limiting the objectives of warrant execution to a scope probably related to a crime as of execution of a search and seizure warrant; and when a substantial amount of digital information irrelevant to a crime has been seized without negligence on the part of investigative authorities, causing investigative authorities to promptly return printouts or reproductions of such information to the parties subject to seizure or delete such information in the presence of such parties. Admissibility of the evidence that has undergone the aforesaid process is determined by means of ex post facto deliberation by a court deciding on the merits, and admissibility of any evidence failing to satisfy those requirements is flatly denied to ensure legality of the search and seizure process. In analyzing digital evidence, it is also important to warrant reliability and professionalism.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scheme where reliable authorities certify digital analysis tools and to foster a professional workforce through selection and education of digital forensic specialist investigators. In order for digital evidence to attain its true value, its admissibility should be acknowledged in a court and relevant facts be corroborated thereby. Recognition of the admissibility of digital evidence requires its legal collection as well as its analysis and storage by tools and manpower with reliability and professionalism. In addition, digital evidence collected and presented before a court must be acknowledged as having integrity and being the same as the original digital information. Even if these requirements are met, hearsay evidence in the form of digital evidence shall be subject to the hearsay rule. Such rule should be applied to only those cases where the content of digital evidence, as statement, serves as evidence of charges, not those cases where existence of digital evidence itself provides proof of guilt. Some precedents randomly applied the hearsay rule even though the digital evidence concerned could not be recognized as hearsay evidence given its details. It is necessary to exercise more caution in determining admissibility of digital evidence. In many cases, it would be unreasonable to apply the hearsay rule to digital evidence in light of its generator, circumstances leading to its preparation, and so forth. Concerning a document containing human thoughts and feelings, however, it is deemed inappropriate to impose different requirements for acknowledgment of admissibility on electronic and paper documents. It is believed from a long-term perspective that even if an author denies his or her preparation of an electronic document, an exception should be made to the hearsay rule by proving authenticity of his or her electronic signature or equivalent identification measures by such means as appraisal and verification. In addition, whether a case constitutes an exception to the hearsay rule must be determined according to relations between charges and evidence. The method of examining digital evidence in trial has some unique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that applicable to paper documents. Ushering in an era of electronic filing where litigation documents take the form of electronic documents; entire litigation records are prepared and kept in a digital format; and litigation records in a digital format undergo deliberation, we need to contemplate potential challenges to submission, storage, preservation and examination of digital evidence. Even at this moment, we are witnessing an epochal transition to a digital world. Geometrically increasing digital information is replacing paper records. If judicial procedures fail to keep pace with such change due to lack of regulations on handling of digital evidence and inconsistency in its handling, Korea's prestige as an Internet and IT power would turn out to be in name only. Besides, digital information would be regarded as unreliable materials with an inferior status, which, in turn, might result in rampant criminal activities taking advantage of such loophole. An endeavor to innovate existing paper-based judiciary laws and proceedings in line with a digital era is needed more than ever today. 오늘날 거래와 통신, 정보의 저장과 이동은 디지털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고, 우리의 일상의 삶은 매일매일 디지털 세상에 그 흔적을 남기고 있다. 디지털 정보의 생성과 저장이 일상화됨에 따라, 디지털정보가 범죄의 중요한 증거가 되는 사례가 꾸준히 증가하였다. 반면, 디지털정보는 그 취약성과 대량성으로 인하여 증거로 수집, 분석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디지털 환경이 개별적인 PC로부터, 인터넷을 거쳐 서버 베이스드 컴퓨팅이나 클라우드 컴퓨팅으로 접어들면서, 디지털증거의 수집과 분석은 더욱 큰 도전을 맞게 될 것이다. 미국 등 컴퓨터 기술이 발달한 나라들은 이미 ‘디지털 포렌식’이라는 이름 아래 증거의 가치를 보존하면서 디지털 데이터를 수집하고 보존하며 분석하는 기술적․절차적 문제들을 1990년대부터 꾸준히 제기하였으며 2000년 들어 더욱 활발한 논의를 펼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인터넷 강국의 명성에 무색할 정도로, 형사소송법체계가 위와 같은 변화를 수용하지 못하고 있고, 디지털증거의 취급과 증거능력에 대한 법원의 판례는 구체적, 개별적인 사안에 대한 것이어서 통일적인 지침을 세우기에는 부족하다. 디지털증거에 관한 연구에 있어서 가장 어려운 점은 첫째, 디지털증거에 대한 개념이 정립되지 아니하며, 전자증거, 전자화증거, 디지털증거, 디지털정보, 전자정보, 전자문서 등 유사한 개념이 산재한다는 것이다. 둘째, 디지털증거는 전통적인 증거 이상으로 다양한 성격과 종류를 가지므로, ‘디지털 형태로 존재한다.’는 공통점에만 착안하여, 전체 디지털증거에 같은 원칙을 적용하거나, 증거능력을 일률적으로 판단할 수 없다는 점이다. 세 번째로, 디지털증거의 수집 및 분석절차에 대하여는 수사기관에 의하여 지침이나 규정들이 마련되어 왔으나, 위와 같이 수집, 분석된 디지털증거가 증거능력 유무가 판가름나는 재판절차에 있어서는, 증거조사방법이나 증거능력 인정에 대한 구체적인 규정이나 판례가 충분히 집적되어 있지 못하다, 네 번째로 2010년도부터 본격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전자소송은 전자문서의 소송상 효력과 함께 디지털증거의 취급에 대한 새로운 도전을 제기하고 있다. 학문의 출발점은 사용하는 용어에 대한 정확한 정의를 내리는 데에 있으므로, 혼동되는 여러 개념과의 대비를 통하여 디지털증거의 정의를 확정하고 여러 관련개념들이 디지털증거와 어떻게 다르며 어떤 국면에서 서로 대비되고 연관되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같은 디지털형태의 증거라 하더라도 생성주체나 그 증거로써 증명하려는 사실이 무엇인지에 따라 취급을 달리 하여야 한다. 디지털증거가 증거로 사용되기 위하여는, 수집과 분석, 보관 등 일련의 과정 모두가 적법할 것을 필요로 한다. 디지털증거의 대량성과 정보의 비투명성으로 인하여 어느 정도는 포괄적 압수수색 영장의 발부가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포괄적 압수수색 영장의 발부를 제한하기 위하여 Tamura-Carey안이나 Kozinsky안을 거론하는 견해가 있다. 의미 있는 문제제기이기는 하나, 영장이 발부된 범죄사실과 다른 범죄사실의 증거가 발견된 경우 사후영장 없이는 발견된 증거를 별죄의 증거로 삼을 수 없음은 판례의 확고한 입장이므로 구태어 논할 이유가 없으며, 법원 또는 제3의 기관이 압수수색 대상 중 관련성의 유무를 선별하는 방안의 현실성은 극히 낮다고 판단된다. 여기에 대한 대안으로 압수수색영장의 집행 당시를 기준으로 영장집행의 대상은 범죄와 관련이 있을 상당한 개연성이 있는 범위로 제한하며, 수사기관의 과실 없이 범죄와 관련 없는 디지털정보가 압수되고 그 정보의 양이 상당한 경우 수사기관은 지체 없이 해당 정보의 출력물 또는 복제물을 피압수자에게 반환하거나 피압수자의 입회하에 해당 증거를 삭제하는 조치를 취함으로써, 압수수색 절차의 적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위와 같은 과정을 거친 증거의 증거능력은 해당 본안사건에서 법원의 사후적 심사에 의하여 판단을 받고 이러한 요건을 갖추지 못한 증거는 가차 없이 증거능력을 부인함으로써 압수수색절차의 적법성을 도모하여야 할 것이다. 디지털증거의 분석에 있어서 신뢰성과 전문성을 확보하는 방안도 중요하다. 디지털분석도구에 대한 공신력 있는 기관의 인증 제도를 도입하고 디지털 포렌식 전문수사관의 선발과 교육을 통하여 전문 인력을 키우는 것이 필요하다. 디지털증거가 그 진가를 발휘하는 것은 법정에서 증거능력을 인정받아 증명하려는 사실을 뒷받침할 때이다. 디지털증거가 증거능력을 인정받기 위하여는 그것이 적법하게 수집되어 신뢰성과 전문성을 갖춘 도구와 인력 하에 분석, 보관되었어야 한다. 또한, 수집되어 법정에 현출된 디지털증거는 원래의 디지털정보와 사이에 무결성과 동일성을 인정받아야 한다. 이와 같은 관문을 통과하더라도 디지털증거가 전문증거라면 전문법칙의 적용을 피해 갈 수 없다. 디지털증거가 증거의 존재 자체가 유죄 인정의 증거가 되는 경우와 진술증거로서 증거에 담긴 내용이 공소사실에 대한 증거가 되는 경우를 구분하여, 후자에 대하여만 전문법칙이 적용되어야 한다. 판례 중에는 디지털증거의 내용에 비추어 전문증거로 볼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만연히 전문법칙을 적용한 예가 있다. 디지털증거의 증거능력 판단에는 보다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디지털증거는 생성주체나 작성경위 등에 비추어, 전문법칙을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지 않은 경우가 더 많을 것이다. 그러나 인간의 사상과 감정을 담은 문서인 경우에는, 그것이 전자문서라 하여 종이문서와 사이에 증거능력 인정요건에 차등을 두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본다. 장기적으로는 작성자가 작성사실을 부인하더라도, 감정, 검증, 기타의 방법으로 서명 또는 전자서명이 진정한 것임을 증명하여, 전문법칙의 예외로 정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점 외에도 전문법칙의 예외인지 여부는 공소사실과 그 증거와의 관계에 따라 판단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증거능력이 인정된 디지털증거에 대한 증거조사의 방법에는 종이문서에 대한 조사방법과는 다른 특이한 점이 있다. 소송서류까지 전자문서로 작성되어 전체 소송기록이 디지털 형태로 작성, 보존되며, 디지털 형태의 소송기록을 심리하게 되는 전자소송시대를 맞이하여 디지털증거의 제출, 저장, 보존 및 증거조사에는 어떠한 도전이 있을 것인지를 전망하는 것도 필요한 일이다. 지금 이 순간에도 우리 삶의 무게중심은 디지털세상으로 옮겨가고 있고 디지털정보의 양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며 종이기록을 대체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여, 재판절차에서의 디지털증거의 취급에 관한 규정이 마련되지 못하고 그 취급조차 일관되지 못하다면, 인터넷과 IT강국의 명성은 사상누각에 불과하고 디지털 정보는 신뢰할 수 없는 자료로서 열후한 지위에 머무르거나, 이러한 공백을 비웃는 범법행위가 속출하게 될 것이다. 기존의 종이문서 기반의 소송법과 절차를 디지털시대에 맞게 혁신하려는 노력이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

      • 이탈리아 르네상스 회화에 나타난 Make-Up의 특성에 관한 연구

        이숙연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9

        르네상스 시대 예술가와 문인들의 인체미에 대한 견해를 살펴보고 이러한 견해에 비추어 당대 회화작품들에 나타난 여성미와 make-up 경향을 분석해 보았다. 이 예술가들이 한동안 사장되어 있었던 조화, 비례, 대칭의 원리나 취합 이론을 끄집어 내 인체미론을 전개하고 이러한 원리와 이론을 작품 속에 반영하여 회화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진전을 이루었음은 대표적인 작품들을 관찰해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이러한 예술가들의 선구자 격인 Alberti는 다양한 model들에서 아름다운 부분만 취한 다음 이들을 비교, 분석하여 평균치를 내고 그 결과를 취합해야 한다는 주장을 폈던 반면에, Leonardo da Vinci는 비례 법칙에 억지로 맞춰서는 안 되고 세심한 관찰을 통해 신체적인 양상뿐만 아니라 표정이나 동작, 마음까지도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이와 달리 Michelangelo는 인체를 이상화하는데 심혈을 기울였으며 상상력을 통해 시각적인 아름다움이 성스러운 아름다움으로 승화되기를 갈구했다. mannerism 이론가 Vasari는 아름다운 것들을 취합하여 최상의 아름다움을 얻어야 한다는 점에서는 Alberti와 비슷한 생각이었으나, Alberti가 평균과 유형을 따져 객관화하려 했던데 반해, 시각적이고 주관적인 아름다움을 선호했다. 견해차는 시대적인 경향과 무관하지 않아, 비사실적인 중세적 관념에서 벗어나 사실주의에 심취한 초기 르네상스 예술가들은 객관적인 인체 비례 개념이 필요했지만, Leonardo da Vinci 시대에는 획일적인 인체 비례 대신 조화롭고 자연스러운 분위기 묘사에 역점이 주어졌고, Vasari에 이르러서는 시각적인 판단에 의존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이러한 시대적 분위기를 공유한 Firenzuola와 Luigini가 여성미에 대해 Vasari와 비슷한 견해를 보인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시대적인 경향은 화가들의 화폭에서도 드러나, 경건성과 자애로움을 강조하는 천편일률적인 중세 회화의 종교적 도식성에서 탈피하려는 움직임이 원근법이나 대칭 구도 같은 미술 기법의 도입뿐만 아니라, model의 얼굴형과 세부 윤곽, 피부 색조 등등 make-up 테크닉의 변화에서 감지된다. 14세기 이래 회화 작품들에 나타난 여성상들은 전체적으로 보아 얼굴 형태가 길고 갸름한 모양에서 둥그스름한 모양으로 변하였으며, 넓고 높은 이마가 낮아지고 좁아지는 경향을 띠었다. 피부 make-up도 인위적인 느낌이 강하게 들 정도로 백분을 바른 모습에서 보다 자연스런 색조로 바뀌었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화가들이 표현한 이상형과 make-up에 일정한 pattern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르네상스 여명기의 인물 묘사 특징은 비례와 균형, 조화를 고려한 사실적인 표현이라는 말로 정리할 수 있다. make-up 면에서는 긴 얼굴형, 긴 코, 넓은 미간, 수평형의 긴 눈과 대조적인 좁은 이마, 작은 입술, 특히 짙은 눈썹과 긴 코 선에서 느껴지는 고딕풍의 수직 이미지가 특징이다. 색조 make-up은 시기에 따른 차이가 커서 13세기에는 중세풍의 무색조였고 이후 인위적인 강한 색조가 유행했으며 시간이 흐를수록 자연스러운 색조로의 전이가 이루어졌다. 초기 르네상스의 특징은 현실세계의 여인들이 작품의 주인공이 되었다는 점과 작품 속 여인들의 모습이 보편적 아름다움을 지녔으나 감성이나 개성을 드러낼 정도는 아니라는 점에 있다. 초상 속의 여인들은 하나같이 길고 갸름한 얼굴, 기다란 목선, hairline의 머리카락을 뽑아 높고 넓게 강조한 이마와 둥근 아치형의 흐린 눈썹, 도도한 코와 작은 입술로 표현되어 있다. 백분을 바른 마스크 같은 피부와 볼 make-up을 하지 않아 평면적인 느낌이 드는 얼굴에서 자연스러운 피부색과 따뜻한 (주황계) 색조의 make-up으로 생동감이 느껴지는 얼굴로 바뀌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전성기 르네상스의 특징은 시각적 측면이 두드러진 우미의 여인상에 있었다. 선호 경향이 지적이고 우아한 귀족의 품위에서 감성적 관능미로 바뀌어 풍만한 체형에 둥근 얼굴형, 자연스런 질감과 색조의 피부를 가진 포근한 인상의 여인이 전형이 된다. 섬세한 피부 질감, 입체감을 주는 표현 기법, 개성을 드러내는 표정이나 동작뿐만 아니라 인물 내면의 미까지도 표현되었다. 특히 Leonardo da Vinci의 인체비례론과 음영 효과, gradation 테크닉을 현대 make-up artist들이 물려받았다는 점과 Leonardo da Vinci와 Raffaello의 highlight와 shading 테크닉이 현대의 얼굴 윤곽수정 기법과 동일하며, eye shadow 테크닉 역시 현대의 eye shadow make-up 테크닉으로 이어진 것임을 본론에서 확인했다. 또한 Raffaello와 Tiziano의 색채 조화나 세 화가가 보여준 개성 표현은 현대 make-up artist들이 탄복하는 재주라 할 수 있다. 이상 르네상스 시대 회화작품 분석을 통해, 당대 예술가와 문인들의 미에 대한 관점이 회화작품들에 반영되어 시대에 따른 유행의 변화를 보여준다는 점, 따라서 회화작품 분석을 통해 make-up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수 있다는 점, 회화작품에 나타난 시대적 경향이 make-up 경향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르네상스 시대 make-up이 현대 make-up의 역사적, 이론적, 테크닉의 배경을 제공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가 르네상스 시대를 포함한 근대 make-up 연구의 토대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