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문화예술소비가 전업주부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진영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703

        우리나라도 이제 소비문화라는 용어가 전혀 낯설지 않게 될 만큼 우리 사회를 지배하고 있다. 현대 사회에서의 소비활동이란 자신을 타인과 분류하고 사회적 차이화를 이루는 과정 속에서 정체성을 표현하는 행위이다. 즉 내가 소비하는 것과 타인이 소비하는 것의 차이가 정체성을 나타내고 있다는 이야기가 되는 것이다. 정체성은 더 이상 개인의 내재적인 측면이 아니며 외적으로 표출되어 남들과 비교될 때 그 위치를 찾는다. 가사노동자이지만 노동의 가치와 대가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전업주부들의 정체성은 개인적으로도 사회적으로도 매우 낮게 평가되고 있다. 전업주부는 현대 사회에서 문화소외계층을 논할 때 새롭게 등장하고 있을 뿐 아니라 정체성 측면에서 특유의 혼란을 보이고 있는 집단이다. 특히 결혼한 지 10년 이상의 전업주부들은 모성 정체성과 개인적 정체성 사이에서 끊임없이 갈등하며 불안한 생애주기적 시기를 보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전업주부들의 심리적 불만족 양상에 주목하고, 문화예술소비를 통해 얻은 혜택들이 전업주부들의 자아정체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분석해보고자 한다. 문화예술을 소비한다는 것은 그 사람의 문화적, 지적 수준을 나타내주는 가치로 어떤 문화적 취향을 가지고 있는지에 따라 그 사람의 경제적, 문화적, 사회적 자본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의 범위는 생애주기 상 자아정체감에 혼란을 느끼는 시기인 결혼 10년 차 이상의 전업주부로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문화예술소비가 전업주부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의 연구를 통해 문화예술의 새로운 향유자로서의 전업주부의 가치를 제고하는 것에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 기업협력을 위한 공연예술단체의 마케팅 전략 연구

        신용창 단국대학교 대중문화예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703

        2011년 현재 국내에서 활동하고 있는 예술단체들은 약 4천여 개에 달하고 있으며 해마다 공연장, 전시장 등의 문화예술 인프라와 문화산업콘텐츠의 수가 꾸준히 증가하는 반면, 국내외 경기의 지속적인 침체와 문화예술 관련 수요, 즉, 문화향유층이 주요 선진국에 비해 매우 제한적이어서 공연예술 시장의 경쟁은 날로 치열해 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재정적인 면이나 조직력에서 열세에 놓여 있는 많은 중소규모 예술단체들의 경쟁력은 더욱 악화될 수밖에 없으며, 재정 안정성을 보장받지 못하는 단체들이 양질의 예술작품을 반복적으로 창조해 내는 데는 큰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연구자는 본 논문에서 중소규모 예술단체들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마케팅 전략의 일환으로 기업협력 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내고 기업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주제의 접근에 있어서는 마케팅 분야의 특성상 국내외 연구 자료와 사례들을 토대로 하되, 기업과 예술단체들과의 협력 사례를 위주로 연구하는 실증적인 방법으로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기업의 조직문화와 기업이 추구하는 협력 사업의 방향 및 목적성에 대한 이해를 도와 예술단체들이 기업협력 사업 추진 시 보다 효율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본 논문을 통해 예술단체들이 기업협력 사업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기업수요라는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여 개개 단체의 재정의 안정성을 통한 지속적인 예술작품의 순환 창조는 물론이고 공연예술 시장 전반에 있어 대중화를 촉진시키고 안정적인 수요 창출을 통하여 시장의 규모를 확대해 나갈 수 있도록 바라는 바이다. Whileas private group or firms based on arts and performance are estimated at 4,000 in nation in 2011 and infrastructures on culture and arts such as theatres and exhibition halls and their contents are steadily increased, worldwide economic situation is still in recession as well as demand for the arts and performance market is very limited comparing with the developed countries, which means the competition in the market could be more and more intensified. Those group which has weakness in financial or organizational aspects may lose there competitiveness, and they could encounter big difficulties in repeatedly creating their new articles. The researcher is going to make process in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successful business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s with business partner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group. The approach is based on the researches and cases of both domestic and overseas materials due to the specialty of the marketing field, but mostly is oriented on such cases as cooperation between the business partners and the group. Furthermore, understandings for the organizational cultures of the companies, directions and purposes of their pursuing cooperative models for arts and performance are considered to help plan more efficient strategies. Circulated creation of new articles on financial stabilities can facilitate the popularization of the whole market of the arts and performance by gradually developing a new market of business demand and by increasing the possibilities of business cooperation. The researcher finally hope that each group who makes business on arts and performance should increase their competitiveness in successfully constructing long-term business relations with their business partners, and the scale of the industry should be expectedly extended through this paper.

      • 창작스튜디오의 지역문화공간으로서의 역할과 활성화 방안

        이경희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창작스튜디오가 지역문화의 활성화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가에 대한 조사이다. 국내외 창작스튜디오 중에서 지역사회관련 프로그램이 비교적 다양하고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창작스튜디오를 선정하여 지역사회와 관련된 활동을 분석하여 보고 지역문화발전을 위해 창작스튜디오의 활용방안을 도출해내는데 목적을 두었다.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해 창작스튜디오라는 공간을 선정한 이유는 현재 우리나라의 창작스튜디오는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어서 새로운 문화공간을 신축하는데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지역주민의 문화 향유에 대한 욕구가 증대하였고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문화예술 관련 사업이 증가하면서 문화예술 관련 예산을 증액시키고 지역문화의 활성화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어 정책 방향과 주민의 요구가 자연스럽게 맞물려 있는 시점에서 지역문화시설로서 주목할 만한 공간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창작스튜디오의 형성과 발전은 정부의 예술문화정책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므로 정부의 예술정책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정책적 차원에서 창작스튜디오 지원방안도 함께 알아보았다. 창작스튜디오는 다양한 예술가들이 입주하여 창작활동을 하는 창작 공간이면서 작가와 예술관계자 간의 교류와 소통의 장, 국제교류의 장, 지역문화센터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창작스튜디오가 지역문화공간으로서 지역주민의 문화예술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과 각종 지역사회관련 활동을 통해서 지역문화를 활성화시키는데 그 의의를 둔다. 창작스튜디오의 지역사회관련 활동은 오픈스튜디오, 지역사회 연계프로그램, 지역 축제 참가활동, 지역주민 교육프로그램 등이 있다. 그동안의 창작스튜디오는 입주 작가들에게 창작공간을 제공한다는 초기의 설립목적에 충실하게 운영되었으나 최근에는 지역문화공간으로서의 역할이 중요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문화예술공간으로서 창작스튜디오의 역할에 주목하고 중앙 중심의 문화예술의 생산과 소비 시스템에서 벗어나 각 지역사회가 문화의 중심지로서 역할을 하는 대안 공간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 연구는 다양한 문헌 연구와 국내 창작스튜디오를 방문하고 면담하는 등 사례연구 방법이 함께 이루어졌다. 국내 창작스튜디오의 사례 연구는 비교적 모범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대표적인 창작스튜디오를 선별하여 이루어졌으며 국외의 경우는 P.S.1, 아트 오마이, 쌩카르티에, 아트뱅크1929 등을 조사하였다. 국내외 창작스튜디오의 사례들을 분석한 결과 창작스튜디오는 작가들에게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창작공간인 동시에 지역 주민의 문화예술교육기관으로서 지역문화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창작스튜디오를 통한 지역문화 활성화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이 모색되었다. 첫째, 문화정책적인 측면에서 창작스튜디오 활동을 지원하는 방안, 둘째, 다양한 지역사회관련 프로그램의 운영을 통한 활성화 방안, 마지막으로 국내외 문화교류활동을 통하여 지역문화를 발전시키는 방안이 모색되었다. 우리나라 창작스튜디오는 전국적으로 골고루 분포되어 있다. 각 창작스튜디오가 지역의 지리적․역사적․문화적 특성을 고려한 특성화된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여 지역문화예술발전의 거점으로서 지역 주민의 문화예술인식의 고양과 지역문화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아마추어 예술단체의 지원 활성화 방안 : 주5일 수업제 변화에 따른 지원을 중심으로

        김선영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703

        최근 2012년 주5일 수업제를 전면 시행하게 되면서 자기 주도적 학습력․창의성을 중시하는 새로운 학력관의 대두로 다양한 체험활동을 제공할 필요성이 커지고, 건전한 여가문화 정립을 위한 주40시간 근무제 확대 시행으로 부모와 자녀가 함께 할 수 있는 주5일 수업제 시행에 대한 요구가 높아졌다. 주5일 근무제의 실시 확대와 소득의 향상 등에 따라 활용 가능한 여가시간이 많아지고, 주말을 이용한 청소년의 올바른 여가활동의 중요성이 커지고,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이 절실해 짐에 따라 여가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하는 것이 가정-학교-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따른 정형성 보단, 자발적인 선택에 의해서 시작되는 아마추어 예술단체의 활성화가 개개인의 삶에, 더 나아가 가정과 그 지역 사회에 풍요로운 문화적 향유를 차별 없이, 누구나 누릴 수 있는 사회가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아마추어 예술단체의 새로운 역할을 제시 한다. 일상 속 문화향유 기회 확대, 지역을 중심으로 한 시민참여 유도를 위한 각 지자체와 아마추어 예술단체의 연계 프로그램 운영, 아마추어 예술동아리 활성화와 문화 나눔 활동 사업을 통해 시민들의 생활 가까이에서 다양한 장르의 공연을 즐길 수 있도록 아마추어 예술단체에 대한 공연활동에 지원이 활발히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주 5일 수업제가 전면 시행됨에 따라 지역 공공기관과 아마추어 예술단체들이 서로 연계하여 청소년들이 토요일을 알차고 유익하게 보낼 수 있도록 문화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올바른 여가 문화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적극적인 지원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세계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시민 스스로의 자발적 예술 활동의 흐름을 맞춰 최근 전면적으로 실시된 주5일 수업제 변화에 따른 생활 속 문화예술 활동인 아마추어 예술단체의 지원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 하였다. 문화정책 지원이 특성화 되고, 각 지역 지자체의 공공지원이 아마추어 예술단체를 통해 활발히 이루어질 때, 국민의 문화 향유능력을 향상시키고 더불어 어릴 적부터 행해지는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문화체험 학습과, 문화향유는 개개인의 삶을 풍요롭게 하여 삶의 질 또한 향상시킬 것이다. Ⅶ장에서 논의한 방안들이 좀 더 구체화되어 아마추어 예술 활동에 있어서 문화저변의 확대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Recently from 2012, the 5-day school week system has been implemented nationwide, and a new view of education valu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reativity has appeared. Now there is more necessity to provide activities allowing learners to have various experiences, and with the extended implementation of the 40-hour work week system, there is also more demand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5-day school week system to establish sound leisure culture, too, which provides more time for both parents and children to enjoy together. Along with the extended implementation of the 5-day work week system and the increase of income, people come to have more free time to use, and now it is more important for teenagers to use their weekends with desirable leisure activities. And as the necessity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is getting greater, how to use free time is now regarded as a crucial factor at home-school-local community. Therefore, rather than typicality, it would be more desirable to activate amateur arts groups initiated by voluntary choices. In this way, we can make the society where not just individuals but families and local communities, too, can enjoy rich culture with no discrimination. This article suggests new roles to amateur arts groups. First, it is needed to increase the opportunities to enjoy culture in daily life and also operate the programs connecting each local autonomous entity and amateur arts groups in order to induce the participation of citizens centering around the region. Also, it is necessary to support amateur arts groups’ performing activities positively through the activation of amateur arts clubs and the culture share projects so that citizens can enjoy various genres of performances near at hand. Along with the general implementation of the 5-day school week system, it is needed to develop culture programs which teenagers can enjoy usefully and valuably on Saturdays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local public institutions and amateur arts groups and also provide systematic and positive support constantly so that they can conduct desirable leisure and culture activities. This study discussed the methods to activate support for amateur arts groups, the culture and arts activities in daily life, according to the recent general implementation of the 5-day school week system following the flow of global expansion of voluntary art activities conducted by citizens themselves. When support for culture policy is specialized and public support by each local autonomous entity is activated for amateur arts groups, people’s ability to enjoy culture will be enhanced, and also, the learning from cultural experience and cultural enjoyment through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ey get from childhood will richen each individual’s life and improve their life quality. By concretizing the methods discussed in Chapter Ⅶ further, the extension of cultural foundation will be able to be realized in amateur art activities.

      • 언택트 문화 확산으로 인한 시각예술분야 온라인 향후 기반 변화와 모색방향

        김영신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703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뉴미디어 매체의 등장에 따라 시각예술 분야는 온라인 기반으로 비대면 서비스를 점진적으로 확장 해왔다. 이로 인해 시각예술분야에서는 향유방식 및 유통을 온라인 기반으로 옮기며 변화에 대비하고 있었다. 하지만 올해 2020년 3월부터 코로나 19 바이러스에 의한 언택트 문화 확산으로 인해 비대면 서비스에 대한 필요성이 절대적으로 부각 되면서 예상보다 빠르고 급격하게 업계 전체의 변화를 겪었다. 본 연구는 언택트 문화 확산으로 인한 시각예술의 국내 온라인 기반 변화를 살펴보고 모색하고자 한다. ‘언택트’란 ‘접촉하다’라는 의미를 가진 ‘Contact’에 부정의 의미를 담은 접두사 ‘Un-‘을 합성한 ‘비대면’ ‘비접촉’ 의미를 지진 신조어로써 기존과 다르게 일상에서 대면으로 이뤄진 모든 현상이 비대면으로 전환되며 하나의 새로운 문화현상이 되었다. 이에 따른 사례 분석을 위해 시각예술 기관, 정책, 민간 사례로 나누어 온라인 기반 변화를 살펴 보았고 향후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한 활동제약으로 비대면 시각예술 분야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이 모색했다. 첫째, 새로운 시각예술 콘텐츠 개발에 대한 지원 및 시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공익 또는 홍보 목적 무료 콘텐츠가 주로 이루어져 있는 상황이라 사업체 및 민간 차원에서의 시각예술 콘텐츠 개발을 위한 지원이 있어야 한다. 두번째, 온라인 기초로 대중을 상대하는 유통기반 구축이 필요하다. 고가 미술품 거래 가능한 일부 영역 외로 유통기반이 미비한 상황이다. 비대면 향유방식의 또다른 형태로 좀 더 다양한 계층에서 시각예술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온라인 유통기반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온라인 창작 및 유통을 위한 신기술 교육, 신직업군 육성, 기술기반 창업 등의 정부 지원 강화가 필요하다. 시각예술 분야 종사자와 기업의 기술 역량 및 관련 경험이 부족하여 비대면 환경에 대응할 준비가 미흡한 상황이기에 민간 치원의 지원보다 정부의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상황이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비대면 시각예술 향유 기반이 온라인으로 확대되어 시각예술 분야 성장의 토양 마련이 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 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향후 활발한 후속 연구를 기대한다.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the emergence of new media afte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visual arts have gradually expanded non-face-to-face services based on online. Because of this, a field of visual arts prepared for the changes in appreciation methods and distribution to online platform. Under the circumstances, in 2020, the industry experienced a rapid change since the necessity of non-face-to-face services was required due to the wide spread of covid-19 in March, 2020.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changes in visual arts based on domestic online because of the expansion of untack culture. As "untact" is the new word which consists of un (a prefix meaning "negative") + "contact" and means non-contact, it has become one of new cultural phenomenons that all daily activities are changed from contact to non-contact. For analyzing a case study under the circumstances, the changes in an online platform were examined by dividing visual art organizations, policies, and private cases and this study attempted to seek the activation plan for a field of non-contact visual arts due to the restriction of activity caused by the covid19 situation. The results are shown below. First, supports and attempts to develop new visual arts contents should be conducted. Since free contents focusing on public interest or advertisement are dominated, supports to develop visual arts contents should be conducted in terms of companies and private interests.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distribution bases for the public based on online. Behind certain fields that can deal a high-priced piece of art, distribution bases are not sufficien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online distribution bases in order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visual arts in various classes as other types of non-contact appreciation methods. Third, government supports for new technology education, new occupations, startup companies, etc. are required in order to create online and distribution. As visual arts personnel and companies fail to prepare to meet non-contact environment due to the lack of the technological capacities and experiences, government supports is absolutely critical in comparison with private supports. Thus,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suggested the plans that make a contribution to the growth of a field of visual arts by expanding the fundament to appreciate non-contact visual arts on online and further studies are expected.

      • 국내·외 군악축제 사례분석을 통한‘군악’의 활성화 방안

        김호진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703

        This thesis studies about the definition and the history of military music. It also studies about past and current activities of Korean military bands, which helped activation and popularization of western music in Korea. Finally, it analyzes and compares various military music festivals around the world, in order to know about the artistic value of military music as a part of performance art, and to find the specific plans to develop the music. Military music has been developed together with human civilization. It can be seen in the old Egyptian paintings, supporting a military march with drums and trumpets. In Roman period, it grew big enough to be a basic form of medieval military music. In the medieval time, the numbers, kinds and qualities of musical instruments developed rapidly. This made the military music very popular in countries such as Germany, France. And It also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western music. After the proclamation about the creation of military band in Korea in 1900 December 19th, first military band, composed of wind and percussion instruments, was created by a German musician Eckert. They often performed in front of Korean people. And this was the first movement contributed to the popularization of western music in Korea. During the Korean war, the numbers of military band was increased. And professional musicians started to join and served for the bands. They encouraged the exhausted soldiers and helped the people to trust army through activities such as marching, ceremonial performance and consolatory concert. After the war their various activities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wind music in Korea. In the last half of 90's the instability of Economy in Korea led school wind orchestra bands to close. The numbers of professional wind music players declined which limited military bands to have high quality players. However, recently, the number of regional festival increased as a counterplan to revitalize the regional economy, which gave opportunities for military bands to perform in the festivals. And concert festivals based on military culture are held in Korea and around the world, making military music as a specific genre of performance art. "WonJu International Tattoo" as a part of Gangwon-Do(province)'s new millennium project, was born to memorize the Korean war. This event helped to advertise Korea to the world, expanded to an international tourism product, assisted regional economy development and continued the fame as the first military music festival in Korea. The city of Jinhae held the 45th "Military Music and the Honor Guards Festival" in 2007. The festival was made to represent and expand the biggest cherry blossoms festival in Korea named "Jinhae Naval Port Festival" internationally. It also helped to provide the visitors better things to enjoy, and to expand the wind music in Korea. By changing festival styles annually, the festival is improving constantly to an art and nature tourism festival. "Gyeryong Military Culture Festival" takes advantage of the only military city in Korea. Under the name of "620 activity," all the 3 military headquarters were transferred to this region from 1983. In September 2003, the city of Gyeryong was built and it became a center of national defence. This synthetic military culture based festival could born in the distinctive regional condition and cultural background, and contributed to advertise both the military and the region itself. As listed above, this thesis researched about the solutions to activate local military festival, and about the ways to develop the artistic value of military music as a part of performance arts, by comparing and analyzing both domestic festivals; "Wonju International Tattoo," "Jinhae Military Music and the Honour Guard festival," and "Gyeryong Military Culture festival," and foreign festivals such as; "Edinburgh Military Tattoo," "Virginia International Tattoo," and "Japan Self Guard Military Band Festival." 본 논문은 군악의 정의와 역사를 되짚어보고, 국내 서양음악의 활성화와 대중화에 기여한 대한민국 군악대의 변천 과정, 활동 내력 및 현재 활동 사항을 조사하였으며, 또한 국내․외 군악 축제를 비교․분석함으로써 공연예술의 한 분야로서 군악의 예술적 가치와 발전방안을 연구하였다. 군악은 인류의 문명(文明)과 더불어 발생하였다. 고대 이집트 벽화에서 나팔과 북이 군대 행진의 반주에 사용된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로마시대에는 그 규모가 확대되어 중세 군악의 바탕을 이루었으며, 중세에 이르러 악기가 발달하고 다양화․대량화됨에 따라 독일․프랑스 등지에서 군악이 성행하게 된다. 이는 서양음악의 발전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된다. 1900년 12월 19일 한국 군악대 설치에 관한 칙령 공포 이후, 독일의 음악가 엑케르트(Eckert)에 의해 관악과 타악으로 구성된 최초의 한국 군악대가 창설되었고, 이후 음악회 등의 활동을 통하여, 군악에 의해 서양음악 대중화의 전기(轉機)가 마련되었다. 6․25전쟁을 기점으로 군악대의 수가 증가하였으며, 전문 음악인들이 군악대에 복무하게 되었다. 이들은 전의 고취를 위한 의식행사, 위문 연주 등에 동원되었으며, 시가행진과 대적 심리전 활동을 통해 군의 위엄을 과시하고 대군 신뢰도를 증진하는 등 무형전력 극대화에 기여하였다. 전쟁 이후에도 군악대는 다양한 예술 활동을 통하여 대한민국 관악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1990년대 들어 관악활동의 침체와 경제의 불안정으로 인하여 초․중․고등학교의 관악부가 폐쇄되는 일이 많았고, 관악 전공자 역시 감소하여 군악대의 우수 자원 확보에 제한이 있었다. 또한 민간 예술단체의 공연 컨텐츠 개발, 마케팅 전략 개발 등의 기업 경영 전략이 접목되어 공연예술의 상품화가 시작되면서, 군악은 여타 음악 분야에 비해 발전이 더디게 되었다. 그리하여 군악은 공연예술의 한 분야라기보다는 행사 위주의 의식행사 부대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최근 지방자치단체 출범 이후 지역경제 활성화 대책으로 지역문화 행사가 증가하게 됨에 따라, 지역 축제 및 문화행사시 군악대가 활용되는 일이 늘고 있다. 그리고 군 문화를 공연 컨텐츠로 한 축제가 국내․외에서 개최되면서 군악이 공연예술의 한 장르로서도 부각되고 있다. <원주따뚜>는 2000년 강원도 뉴밀레니엄 사업의 일환으로, 6․25전쟁 기념 사업 및 행사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어 탄생하였다. 평화와 화합을 노래하는 세계적인 군악 축제의 하나로서 대한민국의 위상을 확립하였고, 국제적 관광 상품으로서 지역 경제 성장에 이바지하였으며, 현재까지도 국내 최초의 군악 축제로서의 명성을 잘 이어나가고 있다. <진해 군악․의장 페스티벌>은 2007년 45회 째를 맞이한 전국 최대의 벚꽃 축제인 진해 군항제에서도 대표적인 행사로서, 군항제를 국제적인 축제로 발전시키기 위한 전략 차원에서 개최되었다. 이는 진해 군항제를 찾는 많은 관광객들에게 볼거리를 제공함과 더불어, 관악의 저변 확대에도 이바지하고 있다. 해마다 축제 스타일에 변화를 주면서, 자연과 예술이 어우러진 관광 예술 축제로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계룡 군문화 축제>는 국내 유일의 군사 복합도시인 계룡시의 특징을 잘 활용한 군 문화축제이다. 1983년부터 우리나라 3군(軍) 본부를 충남 계룡 지역으로 이전하여 집중시키는 620사업이 시작되었고, 2003년 9월 군(軍) 연계 신생도시인 계룡시가 발족되어 국방 중추 기능을 담당하는 도시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지역적 특성과 문화적 여건을 활용하여, 종합적 군(軍) 문화 행사로서 군(軍) 및 지역 홍보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이처럼 지역경제와 군문화 활성화를 위해 국내에서 개최되고 있는 <원주따뚜>, <진해 군악․의장 페스티벌>, <계룡 군문화 축제>와 영국 <에딘버러 밀리터리 타투>, 미국 <버지니아 국제 타투>, 일본 <자위대 군악제>등 세계 유명 군악축제를 비교 분석하여 국내 군악 축제의 활성화 방안과 공연 컨텐츠로서 군악의 예술적 가치 향상에 대한 발전방안을 연구하였다.

      • 군 문화예술의 필요성과 그 활성화 방안 : 공연과 교육 중심으로

        오희진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703

        현대 사회의 ‘소프트 파워’물결 속에서 이제 군 에서도 과거 강제력과 명령의 ‘하드파워’와는 대조되는 자발적 참여와 소통으로서의 ‘소프트 파워’ 에 대한 관심과 그 활성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군(육군) 에서의 ‘소프트 파워’로서의 문화예술의 필요성과 그 활용방안을 연구하였다. 군문화의 특성 및 문화예술이 군에서 필요한 이유를 시작으로 오히려 지금보다 활발했었던 과거의 군 문화예술 활동의 역사에 대해 알아보고 북한을 비롯한 미국군에서의 문화예술을 무형전투력의 중요한 요소로 활용하고 있는 사례를 파악하였다. 이어서 우리 군의 문화예술 실태분석을 통해, 문화예술 활성화를 위해 다각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네 가지 방안을 논하였다. 그 우선순위로 첫째, 문화예술을 단순한 오락거리 이상의 무형전투력 증강의 중요한 요소로서의 인식전환을 위해 사관학교 및 간부교육 기관에서의 ‘문화예술의 중요성’인식 교육과 둘째, ‘군 예술 조직의 개편’이다. 현재 군 장병이 가장 친숙하게 접할 수 있는 군악대가 장병 사기앙양을 위한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예술부대의 두 가지 모델을 제시하였다. 셋째, ‘병영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이다. 병영생활 속 문화예술 체험을 통하여 밝은 병영분위기 조성과 무형전투력증진을 위하여 반드시 일과 내 문화예술 교육을 교육훈련의 일환으로 반영해야한다. 전문 강사 획득 방법으로재능기부의 활성화 및 1년 단위 계약직으로 채용 후 다면평가를 실시하여 5년 이상 재계약으로 검증된 강사에 대해서는 경쟁을 통하여 ‘예술교육 군무원’으로 임용시켜 활용하는 것이다. 넷째, 군에서의 문화예술 활성화는 전역 후 문화예술향유 계층의 증가로 이어져 예술가들의 일자리 창출 등 예술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짐을 인식하여 ‘정부나 민간 예술단체의 군 장병 문화혜택’을 촉구하였다. 이상 본고에서는 군 문화예술의 필요성과 그 활성화 방안으로 위의 네 가지 방안을 논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은 각각의 예산 등 구체적인 방안들은 앞으로의 과제이다. 본 연구자는 육군 장교로서 대한민국 육군의 발전과 군 장병들의 밝은 병영문화 창출을 위하여 이 연구의 결과가 꼭 실현되기를 소망해본다. In the modern society within the stream of 'soft power,' it is necessary for the meticulously ordered military ('hard power') to revitalize and grow interest with the foremost society's 'soft power' through voluntarily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In the following researches, this tome demonstrate that the South Korean Military has formulated a program to practice cultural arts in necessary reach for 'soft power.' Surprisingly, the reason for the necessity of distinctive cultural arts for the military actually lies among the vigorous history of military cultural arts activities. Among foreign militaries, even the North Korean Military understands and emphasizes the necessity of cultural arts as a significant non-combative military ability. As following, through the current analysis of the South Korean Military practices of cultural arts concludes four diverse methods that must be exposed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cultural arts. Firstly, the essence and importance of cultural arts, not just a mere sidewalk entertainment, should be augmented and instructed in Military Academies and Military Cadet 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place recognition of cultural arts as a diversified non-combative military ability. Secondly, 'Cultural Arts Enhances Military Community.' Currently as the best example and followed by military men, the Military Band presents two influential models which addresses hearty 'war spirits' for the men in service. Thirdly, 'Promotion of Military Cultural Arts Education.' In order for military men to reside within military barracks with spiritual ambiance, cultural arts should be a vital part of non-combative military education and training. As all military education and training requires a drill instructor, there is a formulated procedure to select a public cultural arts instructor for military education and training. The formula simply requires a temporarily one year contract with the instructor. At the end of the contract, the instructor will be evaluated through a survey system and if he exceeds the requirements, then he will compete with other contenders for a lengthy five year contract. Fourthly, after military men completes and resigns from national military service, there would be an increase of interest in cultural arts within the social stratum. Also, the cultural arts industry would develop and allow more employment, which demonstrate how the education of cultural arts for military men reflect beneficially. In conclusion, this tome would thoroughly present the necessity of military cultural arts activity programs through the four given methods, which would respectively estimate a concrete thesis. As a researcher and a South Korean Military Commissioned Officer, I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ould be practiced for the advancement of the South Korean Military.

      • 복합 문화예술 공간으로서 폐교의 활용방안 연구 : KT&G상상마당 논산 사례를 중심으로

        조혜림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703

        In 1999, based on the legislation of the act called A Special Law for the Encouragement for the Use of Assets of Closed Schools and its enforcement ordinance, the momentum for a variety of uses of the assets of closed schools was initiated. It has been reinforced by the recent amendment that changed the suggested use of a closed school to a cultural space from the exclusive use as educational space. Many local and regional governments in Korea have developed various plans for "the creative use of closed schools" in their areas recognizing that it could be an efficient solution to the request of cultural enjoyment, social welfare and educational inspiration from their own residents. The redefinition of the closed schools as a cultural facility from the limited conception for the educational and social welfare and the revision on the authority entitled to manage the assets of a closed school enabled us to assess the potential of its redevelopmen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mense possibility for closed schools as a multi-cultural complex where there are various arts disciplines in one spot by looking into some cases that illustrate a distinctive space composition and programming strategies. My point is that the "mixed-use strategy" for the use of the closed schools deserves to be examined; the complex may include social, economic and leisure related contents as well as cultural activities, by which the space itself would become the core living space for its regional life. By containing a wide variety of programs such as cultural creation, exhibition, participation by the people, education, day-to-day living space, and local community center in one complex, a closed school will be redeveloped as a multi-cultural center. Such a center will provide the residents with the possibility to enjoy themselves in one complex without going somewhere outside the region meanwhile encouraging them to participate in many programs that the center offers. The comprehensive use of the space contributes to the quality life for the local residents. To illustrate, the major expectations for the center from visitors fall into the following three realms: cultural activities in the field of performance arts and visual arts; educational programs and an archive information system; offerings of space for meetings and film screenings. However, it is not enough to satisfy the constituents to take only the above mentioned cultural programs. What I point out is that the facilities and programs for leisure and entertainment should be included for the public. In this respect, I tried to find out more potential for the redevelopment of closed schools by doing some research on the case of KT&G Sangsangmadang, Nonsan. Sangsangmadang Nonsan used to be an elementary school called Hancheon elementary school, and it was established as "suburban cultural space" as part of the efforts for the creation of the social value and improvement of local infrastructure by the KT&G. By providing the community-oriented education and the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 Sangsangmadang Nonsan positions itself as an essential venue for the creative education while increasing more platforms for domestic artists. The ultimate goal of the complex, therefore, is a unique cultural complex where the people enjoy culture breathing in the nature. As a good example of a multi-cultural complex, KT&G Sangsangmadang Nonsan offers cultural space to the public, supports various cultural disciplines, which contributes to the enhancement of the positive corporate image with the regional cultural prosperity. In conclusion, a multi-cultural complex may broaden its perspective by taking the 'mixed-use' strategy as the cultural hub for a region; That is to say that by taking the strategy of containing various programs of exhibition, education, and leisure as well as performing arts, closed schools could be redeveloped as a cultural complex with a new concept and vision.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a multi-cultural complex established at the corporate level may prove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which contributes to th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s among the people and the relevant company. 1999년 제정된 ‘폐교재산 활용촉진을 위한 특별법’과 ‘폐교재산의 활용촉진을 위한 특별법 시행령’이 실시됨으로 폐교자산을 다양한 용도로 재활용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다. 또한 최근 개정된 법령을 보면, 본래 ’교육 공간‘으로 제한되어 있던 권장 활용 용도의 형태에 ’문화 공간‘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확대된 바 있다. 최근 들어 지방자치단체들은 문화공간으로서의 폐교 활용이 주민의 문화향유나 복지 및 교육적 측면에서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인식하고 이미 많은 폐교를 활용하기 위한 계획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으며, 기존의 ‘교육용 시설, 사회복지시설’의 용도에서 ‘문화시설’로 활용할 수 있도록 규정한 것과 ‘폐교재산을 시․도 교육감에 권한을 이양한다’ 등을 포함한 개정된 법령으로 폐교 활용에 대한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폐교가 가지는 특성을 고려하여 성공적인 지역문화공간으로 발전하기 위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복합 문화예술 공간이 단일화된 성격의 공간이 아닌 지역 내에서의 문화예술 공간인 동시에 사회, 경제, 여가 활동 공간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지역 내에서 중요한 생활 중심공간으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여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KT&G의 상상마당 논산의 폐교활용 사례는 사회적 책임의 일환으로 부족한 문화예술 공간운영과 문화예술프로그램을 통해 새로운 문화가치 창출, 기업의 긍정적 이미지를 확립할 수 있게 될 것이다. KT&G상상마당 논산 사례를 통해 복합 문화예술 공간은 새로운 문화예술이 창조되는 공간으로 공연 뿐 아니라 전시, 교육, 휴식 기능 등의 다양한 문화적 기능을 포괄하는 문화예술 공간으로서 소비자와 기업의 이익뿐만 아니라 지역의 문화발전과 문화예술분야의 발전을 위한 공간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폐교재산의 문화예술 공간 활용에 있어 단일문화 프로그램을 특성화 하여 지속성을 유지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복합문화공간으로서 창작․전시․체험․교육․생활문화 공간․지역 커뮤니티 센터의 역할 등 다양한 활동들을 한 곳의 장소에서 손쉽게 즐길 수 있고 참여할 수 있어 풍요로운 삶을 살아갈 수 있는 밑거름이 될 수 있는 새로운 면모를 갖춘 공간으로 자리 잡을 수 있기를 바란다. 하나의 문화공간이 건립되어 안정적 운영과 특색을 견지하기 위해서는, 운영기반조성에 보편적으로 2년 이상의 기간이 소요된다. 다만, 복합 문화예술 공간 사례로 KT&G상상마당 논산이 운영시스템의 안정과 지역민을 위한 공간을 넘어 도시와 지역의 연결, 도시민의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방법과 연구가 아직 미비하지만, 개관을 하고 4개월이 된 KT&G상상마당 논산으로 한정하여 연구한 것은 새로운 문화공간으로서 발전 가능성에 대한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목적과 방향은 폐교활용에 있어 문화공간에 대한 좀 더 다양한 연구가 지속되길 기대하며 문화예술의 대안적, 새로운 형식의 공간으로 발전가능성을 지속시키고자 함에 있다.

      • 국공립 문화예술단체의 문화향유권 확대 방안 연구

        황혜영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703

        이 연구는 공연예술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문화 향유자(관객, 예술인)의 관점에서 그들의 권리와 의무를 알아보고, 더욱 적극적으로 문화에 다가서고, 참여하고, 관여하고자 변화하고 있는 향유자들의 문화향유권 확보를 위해 문화향유권, 국공립 문화예술단체란 무엇이고, 문화향유권과 문화예술단체와는 어떠한 관계가 있으며, 현재 문화예술단체의 현황과 문제점은 어떠한가를 우리나라 문화 관련 법률과 더불어 여러 형태의 문화예술단체들 중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 지원되는 국공립 문화예술 단체를 통하여 국내외 문화 향유의 실태와 외국의 사례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로서 문화향유자 중심의 공연예술 활성화를 위한 문화법의 재정비와 국공립문화예술단체의 역할에 대한 제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로서 문화향유권은 사회권으로서 법적 성격을 마땅히 법적으로나 제도적으로 보호 및 지원혜택을 받아야하며, 그로 인하여 그에 관한 법제를 정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문화법의 정립과 발전이 과제로서 놓이게 되었고, 문화예술법에 대한 연구와 관련법제에 대한 재정비가 절실히 필요하며, 이러한 것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국공립 문화예술 단체는 문화 향유자의 예술에 대한 접근성을 제고하고 일상생활 속에서 다양한 장르의 문화를 향유할 수 있도록 정책적 뒷받침을 전개해야 하고, 그들의 전문성과 정체성을 확고히 함으로써 문화향유자 중심의 작품을 제작할 수 있는 토양을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다. 문화향유권은 공연예술 관객들만의 소유는 아니다. 그러나 집은 없어도 자동차는 있어야 하고 밥은 못 먹어도 커피향을 음미하며 음악을 들어야 하고 주말이면 연극이나 영화를 보고 외식을 해야 하며, 유행에 따라야하고 비록 짝퉁일지라도 명품을 들고 다니고자 하는 현 문화 행태에서 들어 나는 문화 양상은 분명 무대인도 관객도 이젠 더 이상 줄이 그어지듯 나누어 질 수 없다는 것이다. 문화예술을 논하는 자리가 왠지 수준 높은 다른 차원의 이야기처럼 상실감 내지 문화열등감 혹은 반대로 몇 마디 말을 건네 놓고 문화적 우월감에 사로 잡혔었다면 이제 문화는 숨쉬는 공기처럼, 늘 마시는 물처럼 누구나 즐기고 나누고 참여하고 이야기할 수 있어야 한다. 문화 시대의 국민들에게 이제 문화는 가장 기본적인 사람의 권리인 행복 추구인 것이다. This study in order to enable the performing arts cultural enjoyment voters (audience, artists) in terms of their rights and obligations to find out, reaching out more aggressively in culture, participation, and to engage in change and enjoy the party voters to secure their cultural enjoyment. cultural enjoyment voters for voters, national and public enjoyment of culture, art and culture organizations what arts and cultural organizations of any relationship with, and what about the current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and with our cultural laws and the people of various forms of arts and cultural organizations operation of the tax supported cultural arts organizations through national and public enjoyment of domestic cultural realities and foreign case studie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performing arts as a cultural center, cultural enjoyment voters enable the reorganization of law and for the culture of national and public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Suggestions for a role was suggested. As a result, the enjoyment of culture as a social right to legal personality, legal and institutional ought to receive protection and support benefits, and thereby it is necessary to the maintenance on the legislation. In particular, cultural laws establishing and developing this project as a put, and cultural and artistic methods for research and the legislation to overhaul urgently needed, and these things in order to support national and public cultural arts organizations culture, enjoy the party of the art on the increase accessibility and everyday life so that you can enjoy a variety of genres and culture should be developed to support policy and firmly by their professionalism and identity-oriented work culture capable of producing cultural enjoyment voters soil will have to make. Own enjoyment of culture, the performing arts audience is not owned. But the house should be without a car and can not eat rice also sip coffee and listen to music and watch a movie theater and eating out on weekends and must conform to fashion and luxury goods, even though carrying a fake that you want to hear from current cultural behavior clear the stage for the cultural aspect, I have an audience anymore, India As can be underlined is that you can not be divided. Culture and Arts is located discussing why the story of another dimension, like high-level cultural inferiority complex, or against loss or handed over to say a few words captured by the cultural superiority japhyeoteotdamyeon culture now as the air they breathe, always drink like water and everyone involved enjoyed the story sharing should be able to do. Now, culture is culture of the times people first recognized the most basic human happiness will stand up.

      • 북한이탈 예술인의 남한사회 적응실태와 지원방안 연구

        조은혜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703

        분단이후 남북한은 각기 체제에 부응하는 문화체제를 유지 발전시켜 왔다. 남한은 자본주의 문화를, 북한은 주체형 사회주의 문화를 형성하여 왔다. 북한의 문화예술은 예술의 본질적 가치보다는 체제유지의 정치적 의의에 그 가치를 두었고, 북한의 예술인은 당의 선전선동의 앞잡이로서 최선두에서 활동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북한은 유능한 예술인을 키워내기 시작했고, 당의 신임을 얻은 예술인은 사회적․경제적으로 혜택을 받으며 살 수 있었다. 그러나 1990년 중후반 ‘고난의 행군’이 시작되면서 북한예술인들의 배급도 모두 끊기게 되었다. 배고픔과 체제에 대한 불신이 생기면서 그들 또한 탈북하여 남한으로 입국하였다. 북한이탈주민정착지원시설인 하나원은 탈북하여 들어온 이들에게 정착금지원, 체제적응교육, 심리안정프로그램, 취업진로 교육 등을 통해 남한사회에 정착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하지만 북한이탈주민의 재북시 직업을 고려하지 않고 일괄적 교육․지원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는 북한이탈 예술인이 비록 소수이기는 하나 특별히 구분하여 교육시킴으로써 남한에서 예술 활동을 하며 정착해 살아갈 수 있도록 장려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이들은 향후 남북한 문화통합의 가교 역할을 할 중요한 인적 자원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가 북한이탈 예술인을 지원해야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북한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예술 활동과 대중문화는 북한문화예술의 핵심부에 있던 이들을 통해 만들어지고 전달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남한사람들은 이들을 통해서 미리 북한문화예술을 접할 수 있다. 그리고 북한이탈 예술인이 남한사회에서 적응하는 과정을 통해 남북한 문화예술이 부딪쳤을 때 발생하는 문제점도 미리 찾아볼 수 있다. 하지만 북한이탈 예술인은 문화가 다른 남한사회에서 그들이 가지고 있는 예술적 재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일반 북한이탈주민들과 같이 예술과 전혀 관계없는 일에 종사하고 있다. 그리고 예술분야에 종사하더라도 그중 일부는 아르바이트를 겸하여 예술 활동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 예술인이 향후 남북한 문화예술통합에 중요한 인적자원임 고려하여, 이들이 가지고 있는 문화예술 재능을 살리기 위한 지원방안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북한에서 받은 왜곡된 교육과 사상을 재교육할 수 있는 교육적 지원, 둘째, 남북한 예술인들이 만남을 통해 서로의 문화를 알리고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남북한 예술인 협력 작업 지원, 셋째, 남북한 문화예술의 공통점을 찾아나가며 통일문화를 연구할 수 있는 연구개발 지원, 넷째, 정부․비정부기구․기업의 공조를 통한 재정지원 등을 제시한다. 따라서 정부는 북한이탈 예술인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남한사회에서 예술인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체계적인 정책을 제정함으로써 이들이 통일문화의 가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할 것이다. After the division of North and South Korea, each side has been developing the arts according to their system, South Korea for their Capitalistic culture and North Korea for their Juche Socialistic culture. The arts in North Korea focus more on political hegemony in order to justify their social system rather than the essential value of art itself. Therefore artists of North Korea have had to be the forerunners for advertising the political system as a voice of the Labor party. With this background, North Korea has nourished competent artists and these artists who attained trust from the party could comparatively live a well-off life both economically and socially. However when the “March of Suffering” begun after the middle of the 1990s, the distribution system was cut off, even for the middle class, and the artists group as well suffered from the ceased distribution. This in turn led some artists to escape North Korea and come to South Korea. “Hanawon”, which is the government aid center for North Korean refugees to live in South Korea, helps North Korean refugees with financial aid, social adjustment programs, mental stability counseling, as well as, job counseling in order for them to live well in South Korea. Yet these are still support systems which work en bloc without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former careers that the refugees used to have in North Korea. Therefore, the government needs to sectionalize the refugee artist group, even though they are a comparative minority among refugees, and give them a fitful education so that they would be able to use their artistic ability in South Korean society. In the end, these artists would be a valuable resource for the cultural unific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when unification happens in the future. In relation to that, the purpose of why the government should support this artistic group of North Korean refugees is clear; this group produced most of the public artistic activities and popular culture in the center of North Korean culture. Therefore, this specific group can give to South Korea, not only what North Korean culture looks like but also beforehand experiences of the possible conflicts that might arise when these two cultures embrace each other. Unfortunately, this valuable group mostly works in areas of South Korea where their artistic talents are not used instead just working in the same fields as other normal refugees. Even though some have managed to work in artistic areas, they still must take part time jobs in order to support themselves financially. Here are suggestions of how to support and preserve the artistic ability of North Korean artist refugees who will be a valuable human resource for cultural unific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First of all, educational support that can re-adjust any distorted education or ideology they received through the closed society of North Korea. Secondly, the support of co-operational works between the refugee group and South Korean artists in order for them to embrace each other’s culture and receive help from each other to foster understanding. Thirdly, supporting for studies of common characteristic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s well as developing cultures of when both countries united. Finally, suggesting financial aid created by cooperate working of both governmental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Government should solve actively problems of North Korean artist group as well s opening doors for them to live as artists in South Korea as well, so that they may be expected as bridge makers of two different cul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