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대중문화예술산업 이해관계자의 계약요인 인식 비교 연구 : AHP 방법론을 기반으로
백보현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0 국내석사
대중문화예술산업은 한류를 탄생시킨 주역으로서 우리나라의 사회적, 경제적 발전에 큰 기여를 해왔다. 그 결과 국내 대중문화예술산업의 시장 규모는 5조 원을 돌파하였다(문화체육관광부, 2017). 그러나 화려한 외연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대중문화예술산업에는 어두운 면이 공존한다. 산업적 영향력이 있는 대중문화예술기획업자가 산업적 영향력이 약한 대중문화예술인을 상대로 불공정 계약 체결, 계약 불이행, 금지행위 알선 등 불법적 행위를 지속하여 불공정한 산업 구조가 형성된 것이다(윤애경, 2007; 이승희, 2009; 이우석, 2010; 이재목, 2011; 한국콘텐츠진흥원, 2016). 이에 국가 차원에서 대중문화예술산업 이해관계자가 동등한 입장에서 공정하게 계약을 체결하고, 성실한 태도로 계약을 이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하여 「대중문화예술산업발전법」이 시행되고 있으며, 공정거래위원회에서는 표준전속계약서를 공시하여 건강한 생태계가 형성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대중문화예술산업발전법」에 포함된 사항은 이해관계자가 계약을 체결하고 이행하는 과정에서 서로 명확히 합의하기 어려운 언어적 한계가 있으며, 표준전속계약서의 활용은 강제가 아닌 선택 사항이기 때문에 여전히 계약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대중문화예술산업 이해관계자의 합리적 관계 유지를 위해 계약요인에 대한 상호 간의 인식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효율적인 조직문화를 제시하는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중문화예술인과 대중문화예술기획업자 간 계약의 체결과 이행 과정에서 갈등이 발생하는 근본적인 지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심리적 계약이론(psychological contract)을 적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1]에서는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토대로 선행연구에서 도출한 일반 산업의 심리적 계약요인을 대중문화예술산업에 맞게 수정 및 추가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2개의 상위요인, 6개의 중위요인, 28개의 하위요인이 확정되었다. [연구 2]에서는 대중문화예술인 16명과 대중문화예술기획업자 15명에게 쌍대비교 설문을 실시하고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중문화예술기획업자의 상위범주는 거래적 계약과 관계적 계약이 비슷한 비율인 반면, 대중문화예술인의 경우 압도적으로 관계적 계약을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계약요인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과정에서 이해관계자 간에 인식 차이가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갖는다. 첫째, 본 연구는 학술적 연구가 부족했던 대중문화예술산업의 조직문화에 대한 기초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갖는다. 둘째, 본 연구는 심리적 계약의 구성요인을 도출하는 탐색적 연구를 실시하여 대중문화예술산업의 특성에 맞게 수정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가진다. 셋째, 대중문화예술인과 대중문화예술기획업자 간 계약요인의 인식 차이를 비교분석하고 이를 해석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가진다. 대중문화예술산업의 핵심 이해관계자는 대중문화예술인과 그들을 지원하는 대중문화예술기획업자이다. 이들 간에 공정한 거래 문화가 형성될 때 우리나라 대중문화예술산업이 더욱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 결과가 대중문화예술산업 이해관계자 간에 건강한 계약문화 조성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opular culture and arts industry is the driving force that gave birth to the Korean Wave, and has since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the social and economic growth in Korea. The size of the domestic popular culture and arts industry has exceeded 5 trillion won (4.2 billion US dollars)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2015). However, despite the brilliance of its apparent growth, the industry also has a dark side. Operators in the industry have continued unscrupulous activities against pop culture artists, thus creating an iniquitous structure. These include unfair contracts, non-fulfillment of contract terms, and involvement in shady practices (A.G. Yun, 2007; S.H. Lee, 2009; W.S. Lee, 2010; J.M. Lee, 2010;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2016). Accordingly, the Popular Culture and Art Industry Development Law has been implemented on the national level to ensure the fair signing and fulfillment of contracts based on good faith. The Fair Trade Commission is also making efforts to create a healthy ecosystem by publishing a standard exclusive contract form. However, contract issues continue to arise due to the linguistic limitations of provisions within the law, which make it difficult for parties to reach a clear agreement in the process of signing and executing contracts, and also because the use of the standard exclusive contract form is voluntary rather than compulsory. In order to help parties execute contract terms in a reasonable manner in the popular culture and arts industry, there is an urgent need for research that examines differences between contractual terms perceived by different parties, thus providing a healthier business culture. As such,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by scrutinizing the psychological contract factors to determine the fundamental areas where conflict occurs in the process of signing and executing contracts between popular culture artists and their agents. Using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Study 1] modified and added to the standard psychological contractual terms derived from previous studies to fit the popular culture and arts industry. As a result, two higher-level factors, six intermediate factors, and 28 subordinate factors were ultimately determined. [Study 2] conducted a pairwise comparison survey with 16 popular culture artists and 15 agents,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ir responses. The results confirmed that while transactional contracts and relational contracts among the agents had a similar proportion, the artists overwhelmingly considered relational contracts as more important. The present study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is study is meaningful academically as it conducted an exploratory study by deriving the factors comprising psychological contracts and modified them to f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r culture and arts industry. Second,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carried out a foundational research on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industry which had not been examined academically so far. Third, the study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erceptual differences in contractual factors between popular culture artists and their agents, and interpreted these differences. The core pillars of the popular culture and arts industry are the popular culture artists and the agents who support them. Korea’s popular culture and arts industry will be able to grow only when a fair transactional culture is established between these entities. Accordingly,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a healthy contractual culture between the stakeholders in the industry.
문화예술분야 사회적 기업 실태 및 발전방안 연구 : 한국공연예술분야 사회적 기업을 중심으로
이수민 단국대학교 대중문화예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본 연구는 문화예술인에 대한 고용불안정 해결과 경제적 지원을 위한 한 방안으로 사회적 기업을 제시하고 문화예술분야 사회적 기업의 실태분석 및 발전방안 고찰에 목적을 두고 외국의 성공사례와 국내의 성공사례를 통해 사회적 기업 발전 방안에 관하여 연구를 하였다.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법, 제도, 지원방안 및 발전방안과 사회적 기업을 전반적으로 분석한 선행연구는 있었으나 공연예술 분야만을 집중적으로 다룬 선행연구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 연구범위를 공연예술 분야로 한정하였다. 연구문제로 사회적 기업의 개념 및 일반현황을 살펴보고 국내 문화예술부문 사회적 기업의 현황 및 공연예술분야의 사회적 기업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외국의 공연예술분야 사회적 기업 사례와 국내의 공연예술분야 사회적 기업 사례를 분석하여 발전방안에 관해 논의하였다. 영국, 미국, 일본의 성공적인 공연예술분야 사회적 기업의 사례 통해 많은 시사점을 도출 할 수 있었다. 외국의 경우 국가마다 사회적 기업을 구체적으로 정의하는 것은 다르지만, 상업부분, 공공부문 등 넓은 사회경제적 활동에 통합되는 경향과 조직형태의 유연성과 다양성을 가지고 있다. 영국은 정책 관심사항에 따라 다양한 사회적 기업이 존재하고 있으며, 복지민영화 방식으로 정부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영리기업 활동을 통해 취약계층을 지원하고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법적, 제도적 지원이 체계적이고 포괄적이었다. 미국은 자율성 및 독립성과 사회적 기업가 정신을 강조하며 자원봉사자들의 역할이 크게 두드러졌다. 일본은 시민사회와 사회적 경제를 토대로 사회적 기업이 발달하였기 때문에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NPO, 시민, 민간기업 사이에 네트워크가 매우 긴밀하고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회적 기업과 관련된 직접적인 정책과정에 NPO들이 관여하고 있다. 국내의 문화예술분야 사회적 기업의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공연예술분야 사회적 기업은 인증시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수치화와 이를 위한 증빙의 어려움 등으로 인하여 다른 분야 사회적 기업과 비교하여 성장세가 약한 것으로 파악되었고 인증후에도 인력수급이나 재정악화로 인하여 인증반납이나 사회적 기업을 폐업하는 사례들도 생기는 등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 지속경영 어려움의 이유로는 정부보조금에 대한 지나친 의존, 사회적 기업 정책 초기부터 제기된 예술의 사회적 가치 실현 증빙의 어려움, 상품 및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장이 부족, 인증기관의 전문성 부족, 인증 후 관리·감독의 비체계성, 근무환경에 공연예술 특성 미반영 등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외국 공연예술분야 사회적 기업 성공사례와 한국의 공연예술분야 사회적 기업의 실태와 성공사례를 총체적으로 분석한 결과 발전방안을 3가지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연예술분야 사회적 기업 환경의 개선, 둘째 공연예술분야 사회적 기업 경영인들의 역량개발, 셋째 공연예술분야 사회적 기업 사회자원 및 네트워크 강화이다. 이를 통하여 정부주도의 직접지원에 안주할 것이 아니라 경제적·사회적으로 질적 성장을 이루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research suggests a social enterprise as one of the solutions for employment instability of artists and the economic supports for them, and studies the development plan for social enterprises in culture and art based on successful cases of foreign and domestic enterprises for analysis of their status and consideration of development plan for them. There are precedent researches generally analyzing law, system, support plan, development plan, and social enterprises; however, there is no precedent research focusing on performing arts. Thus, this research restricts its range to performing arts. It also examines the concept and present condition of social enterprises and understands the present condition of social enterprises in Korean culture and art and the status of social enterprises in performing arts for its subject. Finally, this research analyzes the cases of social enterprises in both foreign and domestic performing arts to discuss about the development plans. The successful cases of social enterprises in British, American, and Japanese performing arts lead various implications for this research. Each country has different definitions for the social enterprises; there are also similarities such as a tendency to integrate with greater social and economic activities including commercial sector and public sector, and flexibility and diversity in organization form. In Britain, there are not only various social enterprises due to the interest of policy but also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s such as minimization of governmental intervention by welfare privatization, and support and social welfare service for vulnerable social group by activities of commercial enterprises. In US, autonomy, independence, and spirit of social enterprise are emphasized, and the role of volunteers is remarkable. In Japan, the development of social enterprises based on the civil society and social economy brings intimate and organic network between government, local government, NPO, citizen, and private enterprise, therefore, NPOs are involved in the direct policy process relevant to social enterprises based on the network. The number of domestic social enterprises has been constantly increas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digitize and verify the realization of social values for certification of domestic social enterprises in performing arts, and it leads them to grow slower than the other social enterprises in different areas. Furthermore, they still suffer from the return of certification or closure by manpower supply and demand or financial problems even after certification. The reasons for difficulties in maintenance of business are heavy reliance on government subsidies, difficulties in verification of social value realization which has been discussed even since the police was announced, lack of market for products and service. shortage of professionalism in certificate authority, unsystematic administration and supervision after certification, and no application of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arts in working environment. Overall analysis on successful cases of foreign and domestic social enterprises in performing arts and status of domestic social enterprises in performing arts leads 3 development plans: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for social enterprises in performing arts, the competence improvement of managers of social enterprises in art, and the enhancement of social resource and network for social enterprises in performing arts. The enterprises will refuse to settle for the direct support of government and economically and socially the achieve qualitative development through those plans.
황혜영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2 국내석사
이 연구는 공연예술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문화 향유자(관객, 예술인)의 관점에서 그들의 권리와 의무를 알아보고, 더욱 적극적으로 문화에 다가서고, 참여하고, 관여하고자 변화하고 있는 향유자들의 문화향유권 확보를 위해 문화향유권, 국공립 문화예술단체란 무엇이고, 문화향유권과 문화예술단체와는 어떠한 관계가 있으며, 현재 문화예술단체의 현황과 문제점은 어떠한가를 우리나라 문화 관련 법률과 더불어 여러 형태의 문화예술단체들 중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 지원되는 국공립 문화예술 단체를 통하여 국내외 문화 향유의 실태와 외국의 사례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로서 문화향유자 중심의 공연예술 활성화를 위한 문화법의 재정비와 국공립문화예술단체의 역할에 대한 제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로서 문화향유권은 사회권으로서 법적 성격을 마땅히 법적으로나 제도적으로 보호 및 지원혜택을 받아야하며, 그로 인하여 그에 관한 법제를 정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문화법의 정립과 발전이 과제로서 놓이게 되었고, 문화예술법에 대한 연구와 관련법제에 대한 재정비가 절실히 필요하며, 이러한 것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국공립 문화예술 단체는 문화 향유자의 예술에 대한 접근성을 제고하고 일상생활 속에서 다양한 장르의 문화를 향유할 수 있도록 정책적 뒷받침을 전개해야 하고, 그들의 전문성과 정체성을 확고히 함으로써 문화향유자 중심의 작품을 제작할 수 있는 토양을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다. 문화향유권은 공연예술 관객들만의 소유는 아니다. 그러나 집은 없어도 자동차는 있어야 하고 밥은 못 먹어도 커피향을 음미하며 음악을 들어야 하고 주말이면 연극이나 영화를 보고 외식을 해야 하며, 유행에 따라야하고 비록 짝퉁일지라도 명품을 들고 다니고자 하는 현 문화 행태에서 들어 나는 문화 양상은 분명 무대인도 관객도 이젠 더 이상 줄이 그어지듯 나누어 질 수 없다는 것이다. 문화예술을 논하는 자리가 왠지 수준 높은 다른 차원의 이야기처럼 상실감 내지 문화열등감 혹은 반대로 몇 마디 말을 건네 놓고 문화적 우월감에 사로 잡혔었다면 이제 문화는 숨쉬는 공기처럼, 늘 마시는 물처럼 누구나 즐기고 나누고 참여하고 이야기할 수 있어야 한다. 문화 시대의 국민들에게 이제 문화는 가장 기본적인 사람의 권리인 행복 추구인 것이다. This study in order to enable the performing arts cultural enjoyment voters (audience, artists) in terms of their rights and obligations to find out, reaching out more aggressively in culture, participation, and to engage in change and enjoy the party voters to secure their cultural enjoyment. cultural enjoyment voters for voters, national and public enjoyment of culture, art and culture organizations what arts and cultural organizations of any relationship with, and what about the current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and with our cultural laws and the people of various forms of arts and cultural organizations operation of the tax supported cultural arts organizations through national and public enjoyment of domestic cultural realities and foreign case studie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performing arts as a cultural center, cultural enjoyment voters enable the reorganization of law and for the culture of national and public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Suggestions for a role was suggested. As a result, the enjoyment of culture as a social right to legal personality, legal and institutional ought to receive protection and support benefits, and thereby it is necessary to the maintenance on the legislation. In particular, cultural laws establishing and developing this project as a put, and cultural and artistic methods for research and the legislation to overhaul urgently needed, and these things in order to support national and public cultural arts organizations culture, enjoy the party of the art on the increase accessibility and everyday life so that you can enjoy a variety of genres and culture should be developed to support policy and firmly by their professionalism and identity-oriented work culture capable of producing cultural enjoyment voters soil will have to make. Own enjoyment of culture, the performing arts audience is not owned. But the house should be without a car and can not eat rice also sip coffee and listen to music and watch a movie theater and eating out on weekends and must conform to fashion and luxury goods, even though carrying a fake that you want to hear from current cultural behavior clear the stage for the cultural aspect, I have an audience anymore, India As can be underlined is that you can not be divided. Culture and Arts is located discussing why the story of another dimension, like high-level cultural inferiority complex, or against loss or handed over to say a few words captured by the cultural superiority japhyeoteotdamyeon culture now as the air they breathe, always drink like water and everyone involved enjoyed the story sharing should be able to do. Now, culture is culture of the times people first recognized the most basic human happiness will stand up.
문화예술소비가 전업주부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진영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우리나라도 이제 소비문화라는 용어가 전혀 낯설지 않게 될 만큼 우리 사회를 지배하고 있다. 현대 사회에서의 소비활동이란 자신을 타인과 분류하고 사회적 차이화를 이루는 과정 속에서 정체성을 표현하는 행위이다. 즉 내가 소비하는 것과 타인이 소비하는 것의 차이가 정체성을 나타내고 있다는 이야기가 되는 것이다. 정체성은 더 이상 개인의 내재적인 측면이 아니며 외적으로 표출되어 남들과 비교될 때 그 위치를 찾는다. 가사노동자이지만 노동의 가치와 대가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전업주부들의 정체성은 개인적으로도 사회적으로도 매우 낮게 평가되고 있다. 전업주부는 현대 사회에서 문화소외계층을 논할 때 새롭게 등장하고 있을 뿐 아니라 정체성 측면에서 특유의 혼란을 보이고 있는 집단이다. 특히 결혼한 지 10년 이상의 전업주부들은 모성 정체성과 개인적 정체성 사이에서 끊임없이 갈등하며 불안한 생애주기적 시기를 보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전업주부들의 심리적 불만족 양상에 주목하고, 문화예술소비를 통해 얻은 혜택들이 전업주부들의 자아정체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분석해보고자 한다. 문화예술을 소비한다는 것은 그 사람의 문화적, 지적 수준을 나타내주는 가치로 어떤 문화적 취향을 가지고 있는지에 따라 그 사람의 경제적, 문화적, 사회적 자본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의 범위는 생애주기 상 자아정체감에 혼란을 느끼는 시기인 결혼 10년 차 이상의 전업주부로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문화예술소비가 전업주부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의 연구를 통해 문화예술의 새로운 향유자로서의 전업주부의 가치를 제고하는 것에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아마추어 예술단체의 지원 활성화 방안 : 주5일 수업제 변화에 따른 지원을 중심으로
김선영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2 국내석사
최근 2012년 주5일 수업제를 전면 시행하게 되면서 자기 주도적 학습력․창의성을 중시하는 새로운 학력관의 대두로 다양한 체험활동을 제공할 필요성이 커지고, 건전한 여가문화 정립을 위한 주40시간 근무제 확대 시행으로 부모와 자녀가 함께 할 수 있는 주5일 수업제 시행에 대한 요구가 높아졌다. 주5일 근무제의 실시 확대와 소득의 향상 등에 따라 활용 가능한 여가시간이 많아지고, 주말을 이용한 청소년의 올바른 여가활동의 중요성이 커지고,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이 절실해 짐에 따라 여가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하는 것이 가정-학교-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따른 정형성 보단, 자발적인 선택에 의해서 시작되는 아마추어 예술단체의 활성화가 개개인의 삶에, 더 나아가 가정과 그 지역 사회에 풍요로운 문화적 향유를 차별 없이, 누구나 누릴 수 있는 사회가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아마추어 예술단체의 새로운 역할을 제시 한다. 일상 속 문화향유 기회 확대, 지역을 중심으로 한 시민참여 유도를 위한 각 지자체와 아마추어 예술단체의 연계 프로그램 운영, 아마추어 예술동아리 활성화와 문화 나눔 활동 사업을 통해 시민들의 생활 가까이에서 다양한 장르의 공연을 즐길 수 있도록 아마추어 예술단체에 대한 공연활동에 지원이 활발히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주 5일 수업제가 전면 시행됨에 따라 지역 공공기관과 아마추어 예술단체들이 서로 연계하여 청소년들이 토요일을 알차고 유익하게 보낼 수 있도록 문화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올바른 여가 문화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적극적인 지원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세계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시민 스스로의 자발적 예술 활동의 흐름을 맞춰 최근 전면적으로 실시된 주5일 수업제 변화에 따른 생활 속 문화예술 활동인 아마추어 예술단체의 지원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 하였다. 문화정책 지원이 특성화 되고, 각 지역 지자체의 공공지원이 아마추어 예술단체를 통해 활발히 이루어질 때, 국민의 문화 향유능력을 향상시키고 더불어 어릴 적부터 행해지는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문화체험 학습과, 문화향유는 개개인의 삶을 풍요롭게 하여 삶의 질 또한 향상시킬 것이다. Ⅶ장에서 논의한 방안들이 좀 더 구체화되어 아마추어 예술 활동에 있어서 문화저변의 확대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Recently from 2012, the 5-day school week system has been implemented nationwide, and a new view of education valu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reativity has appeared. Now there is more necessity to provide activities allowing learners to have various experiences, and with the extended implementation of the 40-hour work week system, there is also more demand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5-day school week system to establish sound leisure culture, too, which provides more time for both parents and children to enjoy together. Along with the extended implementation of the 5-day work week system and the increase of income, people come to have more free time to use, and now it is more important for teenagers to use their weekends with desirable leisure activities. And as the necessity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is getting greater, how to use free time is now regarded as a crucial factor at home-school-local community. Therefore, rather than typicality, it would be more desirable to activate amateur arts groups initiated by voluntary choices. In this way, we can make the society where not just individuals but families and local communities, too, can enjoy rich culture with no discrimination. This article suggests new roles to amateur arts groups. First, it is needed to increase the opportunities to enjoy culture in daily life and also operate the programs connecting each local autonomous entity and amateur arts groups in order to induce the participation of citizens centering around the region. Also, it is necessary to support amateur arts groups’ performing activities positively through the activation of amateur arts clubs and the culture share projects so that citizens can enjoy various genres of performances near at hand. Along with the general implementation of the 5-day school week system, it is needed to develop culture programs which teenagers can enjoy usefully and valuably on Saturdays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local public institutions and amateur arts groups and also provide systematic and positive support constantly so that they can conduct desirable leisure and culture activities. This study discussed the methods to activate support for amateur arts groups, the culture and arts activities in daily life, according to the recent general implementation of the 5-day school week system following the flow of global expansion of voluntary art activities conducted by citizens themselves. When support for culture policy is specialized and public support by each local autonomous entity is activated for amateur arts groups, people’s ability to enjoy culture will be enhanced, and also, the learning from cultural experience and cultural enjoyment through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ey get from childhood will richen each individual’s life and improve their life quality. By concretizing the methods discussed in Chapter Ⅶ further, the extension of cultural foundation will be able to be realized in amateur art activities.
복합 문화예술 공간으로서 폐교의 활용방안 연구 : KT&G상상마당 논산 사례를 중심으로
조혜림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2 국내석사
In 1999, based on the legislation of the act called A Special Law for the Encouragement for the Use of Assets of Closed Schools and its enforcement ordinance, the momentum for a variety of uses of the assets of closed schools was initiated. It has been reinforced by the recent amendment that changed the suggested use of a closed school to a cultural space from the exclusive use as educational space. Many local and regional governments in Korea have developed various plans for "the creative use of closed schools" in their areas recognizing that it could be an efficient solution to the request of cultural enjoyment, social welfare and educational inspiration from their own residents. The redefinition of the closed schools as a cultural facility from the limited conception for the educational and social welfare and the revision on the authority entitled to manage the assets of a closed school enabled us to assess the potential of its redevelopmen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mense possibility for closed schools as a multi-cultural complex where there are various arts disciplines in one spot by looking into some cases that illustrate a distinctive space composition and programming strategies. My point is that the "mixed-use strategy" for the use of the closed schools deserves to be examined; the complex may include social, economic and leisure related contents as well as cultural activities, by which the space itself would become the core living space for its regional life. By containing a wide variety of programs such as cultural creation, exhibition, participation by the people, education, day-to-day living space, and local community center in one complex, a closed school will be redeveloped as a multi-cultural center. Such a center will provide the residents with the possibility to enjoy themselves in one complex without going somewhere outside the region meanwhile encouraging them to participate in many programs that the center offers. The comprehensive use of the space contributes to the quality life for the local residents. To illustrate, the major expectations for the center from visitors fall into the following three realms: cultural activities in the field of performance arts and visual arts; educational programs and an archive information system; offerings of space for meetings and film screenings. However, it is not enough to satisfy the constituents to take only the above mentioned cultural programs. What I point out is that the facilities and programs for leisure and entertainment should be included for the public. In this respect, I tried to find out more potential for the redevelopment of closed schools by doing some research on the case of KT&G Sangsangmadang, Nonsan. Sangsangmadang Nonsan used to be an elementary school called Hancheon elementary school, and it was established as "suburban cultural space" as part of the efforts for the creation of the social value and improvement of local infrastructure by the KT&G. By providing the community-oriented education and the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 Sangsangmadang Nonsan positions itself as an essential venue for the creative education while increasing more platforms for domestic artists. The ultimate goal of the complex, therefore, is a unique cultural complex where the people enjoy culture breathing in the nature. As a good example of a multi-cultural complex, KT&G Sangsangmadang Nonsan offers cultural space to the public, supports various cultural disciplines, which contributes to the enhancement of the positive corporate image with the regional cultural prosperity. In conclusion, a multi-cultural complex may broaden its perspective by taking the 'mixed-use' strategy as the cultural hub for a region; That is to say that by taking the strategy of containing various programs of exhibition, education, and leisure as well as performing arts, closed schools could be redeveloped as a cultural complex with a new concept and vision.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a multi-cultural complex established at the corporate level may prove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which contributes to th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s among the people and the relevant company. 1999년 제정된 ‘폐교재산 활용촉진을 위한 특별법’과 ‘폐교재산의 활용촉진을 위한 특별법 시행령’이 실시됨으로 폐교자산을 다양한 용도로 재활용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다. 또한 최근 개정된 법령을 보면, 본래 ’교육 공간‘으로 제한되어 있던 권장 활용 용도의 형태에 ’문화 공간‘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확대된 바 있다. 최근 들어 지방자치단체들은 문화공간으로서의 폐교 활용이 주민의 문화향유나 복지 및 교육적 측면에서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인식하고 이미 많은 폐교를 활용하기 위한 계획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으며, 기존의 ‘교육용 시설, 사회복지시설’의 용도에서 ‘문화시설’로 활용할 수 있도록 규정한 것과 ‘폐교재산을 시․도 교육감에 권한을 이양한다’ 등을 포함한 개정된 법령으로 폐교 활용에 대한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폐교가 가지는 특성을 고려하여 성공적인 지역문화공간으로 발전하기 위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복합 문화예술 공간이 단일화된 성격의 공간이 아닌 지역 내에서의 문화예술 공간인 동시에 사회, 경제, 여가 활동 공간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지역 내에서 중요한 생활 중심공간으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여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KT&G의 상상마당 논산의 폐교활용 사례는 사회적 책임의 일환으로 부족한 문화예술 공간운영과 문화예술프로그램을 통해 새로운 문화가치 창출, 기업의 긍정적 이미지를 확립할 수 있게 될 것이다. KT&G상상마당 논산 사례를 통해 복합 문화예술 공간은 새로운 문화예술이 창조되는 공간으로 공연 뿐 아니라 전시, 교육, 휴식 기능 등의 다양한 문화적 기능을 포괄하는 문화예술 공간으로서 소비자와 기업의 이익뿐만 아니라 지역의 문화발전과 문화예술분야의 발전을 위한 공간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폐교재산의 문화예술 공간 활용에 있어 단일문화 프로그램을 특성화 하여 지속성을 유지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복합문화공간으로서 창작․전시․체험․교육․생활문화 공간․지역 커뮤니티 센터의 역할 등 다양한 활동들을 한 곳의 장소에서 손쉽게 즐길 수 있고 참여할 수 있어 풍요로운 삶을 살아갈 수 있는 밑거름이 될 수 있는 새로운 면모를 갖춘 공간으로 자리 잡을 수 있기를 바란다. 하나의 문화공간이 건립되어 안정적 운영과 특색을 견지하기 위해서는, 운영기반조성에 보편적으로 2년 이상의 기간이 소요된다. 다만, 복합 문화예술 공간 사례로 KT&G상상마당 논산이 운영시스템의 안정과 지역민을 위한 공간을 넘어 도시와 지역의 연결, 도시민의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방법과 연구가 아직 미비하지만, 개관을 하고 4개월이 된 KT&G상상마당 논산으로 한정하여 연구한 것은 새로운 문화공간으로서 발전 가능성에 대한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목적과 방향은 폐교활용에 있어 문화공간에 대한 좀 더 다양한 연구가 지속되길 기대하며 문화예술의 대안적, 새로운 형식의 공간으로 발전가능성을 지속시키고자 함에 있다.
언택트 문화 확산으로 인한 시각예술분야 온라인 향후 기반 변화와 모색방향
김영신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뉴미디어 매체의 등장에 따라 시각예술 분야는 온라인 기반으로 비대면 서비스를 점진적으로 확장 해왔다. 이로 인해 시각예술분야에서는 향유방식 및 유통을 온라인 기반으로 옮기며 변화에 대비하고 있었다. 하지만 올해 2020년 3월부터 코로나 19 바이러스에 의한 언택트 문화 확산으로 인해 비대면 서비스에 대한 필요성이 절대적으로 부각 되면서 예상보다 빠르고 급격하게 업계 전체의 변화를 겪었다. 본 연구는 언택트 문화 확산으로 인한 시각예술의 국내 온라인 기반 변화를 살펴보고 모색하고자 한다. ‘언택트’란 ‘접촉하다’라는 의미를 가진 ‘Contact’에 부정의 의미를 담은 접두사 ‘Un-‘을 합성한 ‘비대면’ ‘비접촉’ 의미를 지진 신조어로써 기존과 다르게 일상에서 대면으로 이뤄진 모든 현상이 비대면으로 전환되며 하나의 새로운 문화현상이 되었다. 이에 따른 사례 분석을 위해 시각예술 기관, 정책, 민간 사례로 나누어 온라인 기반 변화를 살펴 보았고 향후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한 활동제약으로 비대면 시각예술 분야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이 모색했다. 첫째, 새로운 시각예술 콘텐츠 개발에 대한 지원 및 시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공익 또는 홍보 목적 무료 콘텐츠가 주로 이루어져 있는 상황이라 사업체 및 민간 차원에서의 시각예술 콘텐츠 개발을 위한 지원이 있어야 한다. 두번째, 온라인 기초로 대중을 상대하는 유통기반 구축이 필요하다. 고가 미술품 거래 가능한 일부 영역 외로 유통기반이 미비한 상황이다. 비대면 향유방식의 또다른 형태로 좀 더 다양한 계층에서 시각예술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온라인 유통기반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온라인 창작 및 유통을 위한 신기술 교육, 신직업군 육성, 기술기반 창업 등의 정부 지원 강화가 필요하다. 시각예술 분야 종사자와 기업의 기술 역량 및 관련 경험이 부족하여 비대면 환경에 대응할 준비가 미흡한 상황이기에 민간 치원의 지원보다 정부의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상황이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비대면 시각예술 향유 기반이 온라인으로 확대되어 시각예술 분야 성장의 토양 마련이 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 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향후 활발한 후속 연구를 기대한다.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the emergence of new media afte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visual arts have gradually expanded non-face-to-face services based on online. Because of this, a field of visual arts prepared for the changes in appreciation methods and distribution to online platform. Under the circumstances, in 2020, the industry experienced a rapid change since the necessity of non-face-to-face services was required due to the wide spread of covid-19 in March, 2020.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changes in visual arts based on domestic online because of the expansion of untack culture. As "untact" is the new word which consists of un (a prefix meaning "negative") + "contact" and means non-contact, it has become one of new cultural phenomenons that all daily activities are changed from contact to non-contact. For analyzing a case study under the circumstances, the changes in an online platform were examined by dividing visual art organizations, policies, and private cases and this study attempted to seek the activation plan for a field of non-contact visual arts due to the restriction of activity caused by the covid19 situation. The results are shown below. First, supports and attempts to develop new visual arts contents should be conducted. Since free contents focusing on public interest or advertisement are dominated, supports to develop visual arts contents should be conducted in terms of companies and private interests.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distribution bases for the public based on online. Behind certain fields that can deal a high-priced piece of art, distribution bases are not sufficien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online distribution bases in order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visual arts in various classes as other types of non-contact appreciation methods. Third, government supports for new technology education, new occupations, startup companies, etc. are required in order to create online and distribution. As visual arts personnel and companies fail to prepare to meet non-contact environment due to the lack of the technological capacities and experiences, government supports is absolutely critical in comparison with private supports. Thus,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suggested the plans that make a contribution to the growth of a field of visual arts by expanding the fundament to appreciate non-contact visual arts on online and further studies are expected.
군 문화예술의 필요성과 그 활성화 방안 : 공연과 교육 중심으로
오희진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2 국내석사
현대 사회의 ‘소프트 파워’물결 속에서 이제 군 에서도 과거 강제력과 명령의 ‘하드파워’와는 대조되는 자발적 참여와 소통으로서의 ‘소프트 파워’ 에 대한 관심과 그 활성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군(육군) 에서의 ‘소프트 파워’로서의 문화예술의 필요성과 그 활용방안을 연구하였다. 군문화의 특성 및 문화예술이 군에서 필요한 이유를 시작으로 오히려 지금보다 활발했었던 과거의 군 문화예술 활동의 역사에 대해 알아보고 북한을 비롯한 미국군에서의 문화예술을 무형전투력의 중요한 요소로 활용하고 있는 사례를 파악하였다. 이어서 우리 군의 문화예술 실태분석을 통해, 문화예술 활성화를 위해 다각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네 가지 방안을 논하였다. 그 우선순위로 첫째, 문화예술을 단순한 오락거리 이상의 무형전투력 증강의 중요한 요소로서의 인식전환을 위해 사관학교 및 간부교육 기관에서의 ‘문화예술의 중요성’인식 교육과 둘째, ‘군 예술 조직의 개편’이다. 현재 군 장병이 가장 친숙하게 접할 수 있는 군악대가 장병 사기앙양을 위한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예술부대의 두 가지 모델을 제시하였다. 셋째, ‘병영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이다. 병영생활 속 문화예술 체험을 통하여 밝은 병영분위기 조성과 무형전투력증진을 위하여 반드시 일과 내 문화예술 교육을 교육훈련의 일환으로 반영해야한다. 전문 강사 획득 방법으로재능기부의 활성화 및 1년 단위 계약직으로 채용 후 다면평가를 실시하여 5년 이상 재계약으로 검증된 강사에 대해서는 경쟁을 통하여 ‘예술교육 군무원’으로 임용시켜 활용하는 것이다. 넷째, 군에서의 문화예술 활성화는 전역 후 문화예술향유 계층의 증가로 이어져 예술가들의 일자리 창출 등 예술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짐을 인식하여 ‘정부나 민간 예술단체의 군 장병 문화혜택’을 촉구하였다. 이상 본고에서는 군 문화예술의 필요성과 그 활성화 방안으로 위의 네 가지 방안을 논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은 각각의 예산 등 구체적인 방안들은 앞으로의 과제이다. 본 연구자는 육군 장교로서 대한민국 육군의 발전과 군 장병들의 밝은 병영문화 창출을 위하여 이 연구의 결과가 꼭 실현되기를 소망해본다. In the modern society within the stream of 'soft power,' it is necessary for the meticulously ordered military ('hard power') to revitalize and grow interest with the foremost society's 'soft power' through voluntarily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In the following researches, this tome demonstrate that the South Korean Military has formulated a program to practice cultural arts in necessary reach for 'soft power.' Surprisingly, the reason for the necessity of distinctive cultural arts for the military actually lies among the vigorous history of military cultural arts activities. Among foreign militaries, even the North Korean Military understands and emphasizes the necessity of cultural arts as a significant non-combative military ability. As following, through the current analysis of the South Korean Military practices of cultural arts concludes four diverse methods that must be exposed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cultural arts. Firstly, the essence and importance of cultural arts, not just a mere sidewalk entertainment, should be augmented and instructed in Military Academies and Military Cadet 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place recognition of cultural arts as a diversified non-combative military ability. Secondly, 'Cultural Arts Enhances Military Community.' Currently as the best example and followed by military men, the Military Band presents two influential models which addresses hearty 'war spirits' for the men in service. Thirdly, 'Promotion of Military Cultural Arts Education.' In order for military men to reside within military barracks with spiritual ambiance, cultural arts should be a vital part of non-combative military education and training. As all military education and training requires a drill instructor, there is a formulated procedure to select a public cultural arts instructor for military education and training. The formula simply requires a temporarily one year contract with the instructor. At the end of the contract, the instructor will be evaluated through a survey system and if he exceeds the requirements, then he will compete with other contenders for a lengthy five year contract. Fourthly, after military men completes and resigns from national military service, there would be an increase of interest in cultural arts within the social stratum. Also, the cultural arts industry would develop and allow more employment, which demonstrate how the education of cultural arts for military men reflect beneficially. In conclusion, this tome would thoroughly present the necessity of military cultural arts activity programs through the four given methods, which would respectively estimate a concrete thesis. As a researcher and a South Korean Military Commissioned Officer, I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ould be practiced for the advancement of the South Korean Military.
이경희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1 국내석사
본 연구는 창작스튜디오가 지역문화의 활성화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가에 대한 조사이다. 국내외 창작스튜디오 중에서 지역사회관련 프로그램이 비교적 다양하고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창작스튜디오를 선정하여 지역사회와 관련된 활동을 분석하여 보고 지역문화발전을 위해 창작스튜디오의 활용방안을 도출해내는데 목적을 두었다.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해 창작스튜디오라는 공간을 선정한 이유는 현재 우리나라의 창작스튜디오는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어서 새로운 문화공간을 신축하는데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지역주민의 문화 향유에 대한 욕구가 증대하였고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문화예술 관련 사업이 증가하면서 문화예술 관련 예산을 증액시키고 지역문화의 활성화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어 정책 방향과 주민의 요구가 자연스럽게 맞물려 있는 시점에서 지역문화시설로서 주목할 만한 공간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창작스튜디오의 형성과 발전은 정부의 예술문화정책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므로 정부의 예술정책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정책적 차원에서 창작스튜디오 지원방안도 함께 알아보았다. 창작스튜디오는 다양한 예술가들이 입주하여 창작활동을 하는 창작 공간이면서 작가와 예술관계자 간의 교류와 소통의 장, 국제교류의 장, 지역문화센터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창작스튜디오가 지역문화공간으로서 지역주민의 문화예술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과 각종 지역사회관련 활동을 통해서 지역문화를 활성화시키는데 그 의의를 둔다. 창작스튜디오의 지역사회관련 활동은 오픈스튜디오, 지역사회 연계프로그램, 지역 축제 참가활동, 지역주민 교육프로그램 등이 있다. 그동안의 창작스튜디오는 입주 작가들에게 창작공간을 제공한다는 초기의 설립목적에 충실하게 운영되었으나 최근에는 지역문화공간으로서의 역할이 중요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문화예술공간으로서 창작스튜디오의 역할에 주목하고 중앙 중심의 문화예술의 생산과 소비 시스템에서 벗어나 각 지역사회가 문화의 중심지로서 역할을 하는 대안 공간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 연구는 다양한 문헌 연구와 국내 창작스튜디오를 방문하고 면담하는 등 사례연구 방법이 함께 이루어졌다. 국내 창작스튜디오의 사례 연구는 비교적 모범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대표적인 창작스튜디오를 선별하여 이루어졌으며 국외의 경우는 P.S.1, 아트 오마이, 쌩카르티에, 아트뱅크1929 등을 조사하였다. 국내외 창작스튜디오의 사례들을 분석한 결과 창작스튜디오는 작가들에게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창작공간인 동시에 지역 주민의 문화예술교육기관으로서 지역문화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창작스튜디오를 통한 지역문화 활성화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이 모색되었다. 첫째, 문화정책적인 측면에서 창작스튜디오 활동을 지원하는 방안, 둘째, 다양한 지역사회관련 프로그램의 운영을 통한 활성화 방안, 마지막으로 국내외 문화교류활동을 통하여 지역문화를 발전시키는 방안이 모색되었다. 우리나라 창작스튜디오는 전국적으로 골고루 분포되어 있다. 각 창작스튜디오가 지역의 지리적․역사적․문화적 특성을 고려한 특성화된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여 지역문화예술발전의 거점으로서 지역 주민의 문화예술인식의 고양과 지역문화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