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무용창작작품 「숨」연구 : 무트댄스(MUTDANCE)의 호흡법을 중심으로

        조혜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55

        본 논문은 무용창작작품 「숨」을 <무트댄스>의 호흡법 체험을 기반으로 연구한 것이다. <무트댄스>는 故김영희가 창단한 무용 단체 <김영희무트댄스>를 모태로 하는 무용 단체이다. 본 연구는 창작작품 「숨」에서 나타나는 무트댄스 호흡법을 연구하는 것으로 무트댄스 호흡법으로 무용수들의 신체에서 어떤 에너지가 만들어지고, 그 에너지가 춤을 추는 공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실기기반연구법을 통해 무용작품「숨」의 연습 및 공연의 전 과정에서의 체험을 연구하였다. 연구설계 → 무트댄스 호흡법 연구 → 작품구상 → 안무 및 연습 → 작품공연 → 작품분석의 절차로 진행하였다. 본 안무자가 설정한 작품의 주제인 무트댄스의 호흡법을 깊이 있게 연구하기 위하여 문헌연구를 통해 김영희의 예술사적 의미나 무트댄스의 특징, 무트댄스의 호흡법을 연구하였다. 문헌연구에서는 저서, 평론가들의 평을 살펴보고 인용한다. 이 연구를 통해 무트댄스 호흡법을 4가지로 요약할 수 있었다. 첫째, 신체의 최고와 최저를 사용하게 하는 호흡, 둘째, 하체안정을 위한 호흡, 셋째, 호흡을 응축하여 완급을 조절하는 호흡, 넷째, 호흡의 연장성이다. 즉 무트댄스 호흡법은 이러한 네 가지 특징이 통합되어서 드러나는 독특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호흡법들을 바탕으로 창작작품「숨」을 창작하여 체험한 결과, 이 호흡법들은 서로 상호 보완되어 동작을 안정감 있게 수행하도록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안정감을 넘어 파격을 드러내고 있으며, 이 파격성이 바로 창의성의 기반이 되어 내면의 에너지를 보다 파격적이고 창의적으로 표출할 수 있었다. 무트댄스 호흡법으로 무용수의 에너지가 무용수의 몸을 뛰어넘어 공간으로 확장되어 무용수들 간의 에너지 교류가 일어남을 체험하였다. 또한, 공연 공간에서도 이 호흡법으로 무용수들 간의 호흡 에너지가 상호작용하며 하나로 모이는 체험도 하였다. 이로써 출연무용수들은 무트댄스 호흡법으로 춤을 추는 순간 몸과 마음, 영혼이 그 공간에 집중하여 깊은 공감을 느낄 수 있다. 본 연구를 토대로 연구자 포함 무용수들이 앞으로 작품활동을 할 때 관객들에게 무트댄스 호흡법으로 내면의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안무가와 관객 간에 깊은 내적 교류가 이루어지게 하는데 작은 보탬이 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가 연구자를 포함한 참여 무용수들이 무트댄스 호흡법을 통해 한 단계 발전한 작품세계를 구축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This thesis presents with the study on the choreographed dance work ⌜SUM⌟, based on the experience of breathing method by <MUTDANCE>. <MUTDANCE> is a dance association which has its origin in <Kim Young-Hee MUTDANCE>, the dance association founded by Kim Young-Hee. This study studied the MUTDANCE breathing method that appears in the choreographed work ⌜SUM⌟. That is, it investigated what energy MUTDANCE breathing method creates within the dancers’ bodies, and how that energy influences the dancing space. This study studied the overall process of the dance work ⌜SUM⌟, from practice to performance, through practice based research. The procedure involved planning the study, followed by researching the MUTDANCE breathing method, designing the work, choreographing and practicing, performing the work, and finally analyzing it. In order to study MUTDANCE breathing method, which is the theme of the work selected by the choreographer, in depth, the significance of Kim Young-Hee in art history, the characteristics of MUTDANCE, and the breathing method by MUTDANCE were first researched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literature review involved examining and citing the comments of critics. Through this research, MUTDANCE breathing method could be summarized into four types: 1) the breathing that makes one use the lowest and highest points of the body, 2) the breathing for stabilizing the lower body, 3) the breathing that is condensed and has its speed controlled, and 4) the extensibility of breathing. That is to say, MUTDANCE breathing method is a unique one that exhibits these four characteristics combined. After choreographing ⌜SUM⌟ based on these breathing methods,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y are supplementary to each other, enabling the movements to be performed with stability. Nonetheless, what is exhibited is beyond stability but unconventionality, and with this unconventionality as the basis for creativity, the inner energy could be expressed in a more unconventional and creative way. The exchange of energy between the dancers was experienced, as by MUTDANCE breathing method, the energy of each went beyond one’s body and expanded to space. In addition, through this breathing method, the breathing energy between the dancers interacting and coming together as one was experienced at the performing space, too. Thus, while dancing with MUTDANCE breathing method, the dancers could concentrate their bodies, minds, and spirits and on that space, feeling deep empathy. This study seeks to be of help in providing a basis for the dancers, including the researcher, to effectively deliver the implicit message in their future works using MUTDANCE breathing method, such that the deep spiritual interaction occurs between the choreographers and the audience. In addit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aids the participating dancers, including the researcher, establish a more developed world of art through MUTDANCE breathing method.

      • 룻기를 중심으로 본 헤세드의 의미연구

        조혜림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나오미의 첫 번째 연설(1:8)에서 우리는 룻기의 중요한 신학적인 주제이며 여호와 하나님의 가장 중요한 속성인 ‘헤세드’를 만나게 된다. 그런데 우리가 중요한 신학적 주제라고 생각하는 ‘헤세드’는 공허하고 피폐해진 사사들이 치리하던 시대(1:1)를 겪고 있는 이스라엘과 남편과 두 아들을 잃은 채 쓰디 쓴 고통 가운데 있는 나오미(1:20-21)와 그런 그녀의 곁을 떠나지 않고 충성을 다하는 룻의 어려움들 속에 숨겨져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러한 상황 가운데 하나님이 이스라엘과 나오미와 룻의 삶에 개입하시는 방편이 바로 ‘헤세드’이다. 룻기는 남편이 죽은 뒤에도 시어머니를 따르는 룻의 충성, 이방 여인 룻에게 베푸는 보아스의 호의와 친절 그리고 그 배후에 언약의 백성들을 위해서 역사 하시는 하나님의 주권적인 섭리와 사랑의 이야기, 다시 말해서 ‘헤세드’가 넘쳐나는 책이다. 룻기 안에서 이 ‘헤세드’가 가지는 의미를 어떤 한 단어로 표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필자는 룻기 이야기를 이끌고 발전시켜 나가는 ‘헤세드’의 행적을 따라가 보려고 한다. 또한 텅 비었던 나오미의 삶이 어떻게 채워지고 혼란으로 뒤덮인 사사 시대에 피폐해진 이스라엘이 어떻게 회복하게 되는지 살펴봄으로서 룻기의 중심을 이루고 있는 ‘헤세드’의 의미를 정의 내릴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하나님의 언약 공동체로 서게 하는 중요한 삶의 원리로서의 헤세드의 의미와 공동체-룻과 보아스-로부터 흐르는 헤세드에 선재하는 하나님의 언약의 신실성을 풍부히 맛보게 될 것이다.

      • 한국과 인도의 문화적 관점에서 본 기부행동의 차이

        조혜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세계화가 되면서 다른 나라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문화와 종교를 이해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소비자행동을 파악하는 일은 아주 중요해졌다. 한국은 이미 세계 제7위의 경제성장국으로 발전해왔고, 기부문화도 조금씩 발전해오고 있다. 아직 미국과 같은 기부문화로 자리 잡기까지는 많은 시일이 걸리겠지만 회사의 이미지를 높이기 위해 기부를 이용해 오던 것과는 달리 개인기부도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특히 한국과 인도소비자의 기부행동을 서로 비교하고 분석하고자 하는데, 그 이유는 인도는 중국 다음으로 많은 인구를 가지고 있고 앞으로 선진국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큰 국가이면서, 한국과 2010년 CEPA협정을 맺은 동맹 국가이기 때문에, 이런 시점에서 한국과 인도를 서로 잘 이해할 수 있는 연구는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기부행동을 설명할 수 있는 집단주의, 개인주의, 이타주의, 카르마에 대한 믿음의 차이를 이용하여 한국인, 현지 인도인, 그리고 한국에 거주중인 인도인을 세 집단으로 나누어 그들이 가지고 있는 기부행동을 측정하고 기부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네 개 변인의 영향과 변인들 간의 상호작용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이처럼 앞으로 경제발전의 가능성이 큰 한국과 인도를 기부문화라는 소비자행동으로 비교했다는 것에 큰 의의를 둔다. 특히, 기존에는 한국과 인도를 비교한 연구가 없었고 소비자행동연구들이 대부분 서구에만 치우쳐 있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이런 기존 연구들의 한계를 극복하고 동양권인 한국과 인도의 특성을 경험적으로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나라마다 기부행동의 차이를 분석해 본 결과, 인도인이 본문에서 제시한 두 가지 상황인 커피구매에 대한 기부행동과 모자뜨기 참여 캠페인에 대한 기부행동에서 기부행동을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보였으며, 한국인, 그리고 한국에 거주중인 인도인 순으로 나타났다. 현재 인도에 살고 있는 현지인과 한국에 살고 있는 인도인의 기부행동에 차이가 나는 이유는 한국에 거주중인 인도인은 이미 한국문화에 많이 동화되었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기부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네 가지 변인들인 집단주의, 개인주의, 이타주의, 카르마에 대한 믿음의 차이가 각 집단별로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선, 한국인의 공익연계형 커피구매 기부형태에서는 이타주의와 카르마가 서로 상호작용하여, 이타주의가 높은 사람들이 기부를 더 많이 하며 이타주의가 높을수록 카르마에 대한 믿음에 따른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한국인의 참여형 모자뜨기 기부형태에서는 이타주의와 개인주의가 서로 상호작용하며, 이타주의가 높은 사람들이 기부를 더 많이 하고, 이타주의가 높을수록 개인주의에 따른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현지 인도인의 공익연계형 커피구매 기부형태에서는 이타주의와 집단주의가 서로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타주의가 높은 사람들이 기부르르 많이하고, 이타주의가 높을수록 집단주의의 따른 기부행동에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현지 인도인의 참여형 모자뜨기 기부형태에서도 이와 마찬가지를 보였다. 한국에 거주중인 인도인의 공익연계형 커피구매 기부형태에서는 이타주의와 카르마가 서로 상호작용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타주의가 높을수록 기부를 많이 하며 카르마에 대한 믿음에 따른 기부행동의 차이가 더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에 거주중인 인도인의 참여형 모자뜨기 기부형태에서는 이타주의와 집단주의가 서로 상호작용한다고 분석되었으며, 이타주의가 높을수록 기부를 많이 하며, 집단주의에 따른 기부행동의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과 인도의 기부행동의도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그 의도를 설명하는 변인의 영향이 어떻게 다른지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과 인도의 소비자행동을 비교한 연구가 매우 적은 상황에서 두 나라의 차이를 보이고 이런 차이가 왜 나타났는지 설명하고자 한 점에서 학문적 기여를 하며, 기부행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공통적으로 이타주의에 호소하는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고 나라에 따라 집단주의, 개인주의, 이타주의, 그리고 카르마에 대한 믿음을 소구하는 커뮤니케이션을 적절히 반영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는 실무적 시사점을 준다. With globalization under progress, it became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consumer behavior based on unique cultures and religions other countries have. The Republic of Korea has already developed into the seventh largest economy, and its culture of donation is gradually being developed. Even though it will take a long time for the culture of donation to get settled as the US, personal donation is gradually on the rise, different from making use of don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company image. This study, tries to compare and analyze donation behavior by Korean and Indian consumers, because India has the second largest population next to China, and it has a great potential to develop into an advanced country in the future, and is an ally that has concluded CEPA agreement in 2010 with Korea, so, a study through which Korea and India can understand each other well is desperately in need. This study has made use of difference in Collectivism, Individualism, Altruism and Belief in Karma that can explain culture of donation by consumers, dividing Koreans, Native Indians and Indians living in Korea into 3 groups, measuring donation behavior they have and found out interactions among the influences of four variables and those that can influence on donation behavior. This study is very significant in that it has compared Korea and India with great possibility of economic growth in the future as consumer behavior. Especially, there was no study having compared Korea and India in the past, and consumer behavior studies were inclined to the West, so this study aims at overcoming limits and comparing their characteristics which are oriental in the aspect of experi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s in donation behavior of each country: Indians donated most frequently through campaigns like buying a cup of coffee, and knitting a hat, the two situations they have suggested in the text appearing in the order of Koreans and Indians living in Korea. Donation behaviors by Native Indians and Indians living in Korea were different because those living in Korea are already assimilated to the Korean culture. Additionally, there are four variables that affect donation behavior, and we could find out that differences in Collectivism, Individualism, Altruism and Belief in Karma differed in each group. First of all, Koreans’donation behavior in buying a cup of coffee in situation 1, Altruism and Belief in Karma, interacted, and those with greater Altruism donated more, and we could acknowledge that when altruism was greater, differences in their Belief in Karma were much bigger. Koreans’ donation behavior in knitting a hat of situation 2, Altruism and Collectivism interacted, those with greater Altruism donated more, and when altruism was great, we could see that difference in Individualism was the greater. Donation behavior of native Indians in buying coffee of situation 1, Altruism and Collectivism interacted, and those with great Altruism donated more, and when Altruism was greater, we could acknowledge that the differences in donation behavior by Collectivism were greater. Donation behavior of native Indians in knitting a hat of situation 2, was the same as situation 1. For Indians living in Korea of the donation behavior when buying a cup of coffee in situation 1, Altruism and Belief in Karma interacted, and with greater altruism, donation grew, and differences in donation behavior by the Belief in Karma appeared more. For the Indians living in Korea, donation behavior in knitting a hat in situation 2, Altruism and Collectivism interacted, and when altruism was greater, they donated more, and differences in donation behavior by Collectivism was greater. This study verified if there are any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Indian consumers’intention of donating behavior and how different the influences of variables are that explain the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 in an academic manner in that it tried to show their difference and explain why these differences showed up under a situation in which there are few studies that have compared the consumer behavior of Korean and Indian consumers, and we think that communication is needed that appeals to Altruism in common to increase donation behavior, and it presents us with executive suggestions that show the necessity to properly reflect communication that appeals Collectivism, Individualism, Altruism and Belief in Karma according to each country.

      • 복합 문화예술 공간으로서 폐교의 활용방안 연구 : KT&G상상마당 논산 사례를 중심으로

        조혜림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In 1999, based on the legislation of the act called A Special Law for the Encouragement for the Use of Assets of Closed Schools and its enforcement ordinance, the momentum for a variety of uses of the assets of closed schools was initiated. It has been reinforced by the recent amendment that changed the suggested use of a closed school to a cultural space from the exclusive use as educational space. Many local and regional governments in Korea have developed various plans for "the creative use of closed schools" in their areas recognizing that it could be an efficient solution to the request of cultural enjoyment, social welfare and educational inspiration from their own residents. The redefinition of the closed schools as a cultural facility from the limited conception for the educational and social welfare and the revision on the authority entitled to manage the assets of a closed school enabled us to assess the potential of its redevelopmen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mense possibility for closed schools as a multi-cultural complex where there are various arts disciplines in one spot by looking into some cases that illustrate a distinctive space composition and programming strategies. My point is that the "mixed-use strategy" for the use of the closed schools deserves to be examined; the complex may include social, economic and leisure related contents as well as cultural activities, by which the space itself would become the core living space for its regional life. By containing a wide variety of programs such as cultural creation, exhibition, participation by the people, education, day-to-day living space, and local community center in one complex, a closed school will be redeveloped as a multi-cultural center. Such a center will provide the residents with the possibility to enjoy themselves in one complex without going somewhere outside the region meanwhile encouraging them to participate in many programs that the center offers. The comprehensive use of the space contributes to the quality life for the local residents. To illustrate, the major expectations for the center from visitors fall into the following three realms: cultural activities in the field of performance arts and visual arts; educational programs and an archive information system; offerings of space for meetings and film screenings. However, it is not enough to satisfy the constituents to take only the above mentioned cultural programs. What I point out is that the facilities and programs for leisure and entertainment should be included for the public. In this respect, I tried to find out more potential for the redevelopment of closed schools by doing some research on the case of KT&G Sangsangmadang, Nonsan. Sangsangmadang Nonsan used to be an elementary school called Hancheon elementary school, and it was established as "suburban cultural space" as part of the efforts for the creation of the social value and improvement of local infrastructure by the KT&G. By providing the community-oriented education and the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 Sangsangmadang Nonsan positions itself as an essential venue for the creative education while increasing more platforms for domestic artists. The ultimate goal of the complex, therefore, is a unique cultural complex where the people enjoy culture breathing in the nature. As a good example of a multi-cultural complex, KT&G Sangsangmadang Nonsan offers cultural space to the public, supports various cultural disciplines, which contributes to the enhancement of the positive corporate image with the regional cultural prosperity. In conclusion, a multi-cultural complex may broaden its perspective by taking the 'mixed-use' strategy as the cultural hub for a region; That is to say that by taking the strategy of containing various programs of exhibition, education, and leisure as well as performing arts, closed schools could be redeveloped as a cultural complex with a new concept and vision.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a multi-cultural complex established at the corporate level may prove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which contributes to th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s among the people and the relevant company. 1999년 제정된 ‘폐교재산 활용촉진을 위한 특별법’과 ‘폐교재산의 활용촉진을 위한 특별법 시행령’이 실시됨으로 폐교자산을 다양한 용도로 재활용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다. 또한 최근 개정된 법령을 보면, 본래 ’교육 공간‘으로 제한되어 있던 권장 활용 용도의 형태에 ’문화 공간‘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확대된 바 있다. 최근 들어 지방자치단체들은 문화공간으로서의 폐교 활용이 주민의 문화향유나 복지 및 교육적 측면에서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인식하고 이미 많은 폐교를 활용하기 위한 계획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으며, 기존의 ‘교육용 시설, 사회복지시설’의 용도에서 ‘문화시설’로 활용할 수 있도록 규정한 것과 ‘폐교재산을 시․도 교육감에 권한을 이양한다’ 등을 포함한 개정된 법령으로 폐교 활용에 대한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폐교가 가지는 특성을 고려하여 성공적인 지역문화공간으로 발전하기 위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복합 문화예술 공간이 단일화된 성격의 공간이 아닌 지역 내에서의 문화예술 공간인 동시에 사회, 경제, 여가 활동 공간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지역 내에서 중요한 생활 중심공간으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여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KT&G의 상상마당 논산의 폐교활용 사례는 사회적 책임의 일환으로 부족한 문화예술 공간운영과 문화예술프로그램을 통해 새로운 문화가치 창출, 기업의 긍정적 이미지를 확립할 수 있게 될 것이다. KT&G상상마당 논산 사례를 통해 복합 문화예술 공간은 새로운 문화예술이 창조되는 공간으로 공연 뿐 아니라 전시, 교육, 휴식 기능 등의 다양한 문화적 기능을 포괄하는 문화예술 공간으로서 소비자와 기업의 이익뿐만 아니라 지역의 문화발전과 문화예술분야의 발전을 위한 공간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폐교재산의 문화예술 공간 활용에 있어 단일문화 프로그램을 특성화 하여 지속성을 유지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복합문화공간으로서 창작․전시․체험․교육․생활문화 공간․지역 커뮤니티 센터의 역할 등 다양한 활동들을 한 곳의 장소에서 손쉽게 즐길 수 있고 참여할 수 있어 풍요로운 삶을 살아갈 수 있는 밑거름이 될 수 있는 새로운 면모를 갖춘 공간으로 자리 잡을 수 있기를 바란다. 하나의 문화공간이 건립되어 안정적 운영과 특색을 견지하기 위해서는, 운영기반조성에 보편적으로 2년 이상의 기간이 소요된다. 다만, 복합 문화예술 공간 사례로 KT&G상상마당 논산이 운영시스템의 안정과 지역민을 위한 공간을 넘어 도시와 지역의 연결, 도시민의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방법과 연구가 아직 미비하지만, 개관을 하고 4개월이 된 KT&G상상마당 논산으로 한정하여 연구한 것은 새로운 문화공간으로서 발전 가능성에 대한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목적과 방향은 폐교활용에 있어 문화공간에 대한 좀 더 다양한 연구가 지속되길 기대하며 문화예술의 대안적, 새로운 형식의 공간으로 발전가능성을 지속시키고자 함에 있다.

      • R. Schumann의 “Frauenliebe und Leben”의 연주해석을 위한 분석연구

        조혜림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독일 Lied 중에서 작곡가 로베르트 슈만(R. Schumann, 1810-1856)의 연가곡 중 “Frauenliebe und Leben”의 바람직한 연주를 위해 연구한 것이다. 1장 서론은 연구의 목적 및 의의와 연구의 방법 및 범위를 서술하였다. 2장 본론은 “Frauenliebe und Leben”의 바람직한 연주를 위한 연구를 위해 낭만주의 음악적 배경, 슈만 가곡의 특징 등을 고찰함으로써 음악사적으로 나타난 그의 공헌도와 음악적 경향 등을 살펴본 뒤 그것을 기본 바탕으로 하여 슈만의 “Frauenliebe und Leben”에 사용된 시의 내용을 번역하고 그러한 시의 내용을 좀 더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사용되었던 악상기호들과 화성변화 등을 살펴보며 시와 음악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3장 결론은 작품 분석의 결과를 요약하였고, 분석한 “Frauenliebe und Leben”에서 드러난 작곡가 슈만의 작곡 특징을 서술하였다. 슈만은 이 작품의 8곡에서 공통적으로 음악과 시의 완전한 조화를 이루어 내었고, 반주부에서도 성악과 piano의 훌륭한 이중주를 탄생시켰다. 반주는 단순히 성부를 받쳐주는 것에서 벗어나 성부의 감정을 대신 이야기 해주기도 하고, 전곡의 후주가 다음 곡의 전주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Frauenliebe und Leben”를 심도 깊게 표현하며 연주할 수 있기를 바라며, 이 작품의 음악적 깊이가 청중에게 친근하게 전달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appropriate and desirable way to perform “Frauenliebe und Leben” by R. Schumann among the artistic lyrics in Germany. In the first chapter, the purpose and the meaning of the study and the methods and range of the research are described as an introduction. In the second chapter, the main part of this study, for the sake of a desirable performance of “Frauenliebe und Leben”, it examines the contribution and musical tendency of Schumann’s music in the music history by looking at the musical background of romanticism and the characteristics of Schumann’s song. Then, on the basis of this examination, the poet that is used in “Frauenliebe und Leben” is translated; the signs and harmonic transformations that are used to express the meaning of the poet in a more effective way are describ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et and the music is investigated. In the third chapter, the conclusion was made by summarizing the result of analysis and by describing the composing characteristics of Schumann, which is shown in “Frauenliebe und Leben”. Schumann built the perfect harmony of music and poet throughout the eight songs of “Frauenliebe und Leben”, and also he created an excellent duet of vocal music and piano accompaniment. The piano accompaniment avoids to be a simple background for the vocal, but rather, it even expresses the emotion of the vocal and its role extends as the outro of the previous song plays the role of intro of the next song.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Frauenliebe und Leben” can be performed better and expressed in depth and that the depth of this piece of music can be transferred to the audience effectively.

      • 봉산탈춤에 나타난 공동체 의식에 관한 연구

        조혜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우리는 흔히 인간을 정치적 동물, 또는 사회적 존재라고 부른다. 이것은 인간의 본질 규명, 즉 인간다움 규명의 명제이다. 이것은 인류역사의 오랜 역사적 경험을 통하여 타당성과 보편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의 현대사회는 개인주의적 성격이 강한 사회가 됨으로써 극심한 위기에 처해있다. 우리나라는 빠른 산업화과정을 거쳐오면서 경제적으로나 양적으로는 발전하였지만 의식의 발전은 그에 미치지 못하여 많은 문제를 낳고 있다. 즉, 현대 문명이 가져온 눈부신 물질문명은 인간의 생활을 합리화(合理化)하였고 능률화(能率化) 하였다. 그러므로 인간은 물질의 협력에 눌려 공동체의식의 약화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봉산탈춤에 나타난 공동체의식을 연구함으로써 이기주의와 개인주의적 성향을 띤 현대사회가 강한 집단성을 통해 보다 돈독한 인정과 두터운 연대의식의 사회가 되는데 있어 봉산탈춤이 지니고 있는 공동체의식은 그 역할을 해낼 수 있다는 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탈춤은 민중 공동체의식의 소산으로써 놀이하는 자와 구경하는 자가 함께 놀이를 만들어가는 대동놀이이다. 그 중 대동놀이적 특성이 강하게 나타나는 봉산탈춤에 초점을 두어 공동체의식을 추출해 보기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문헌적 연구와 시청각 자료 연구를 기반으로 하였다. 봉산탈춤에 나타나는 공동체의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공동체의식의 개념에 대한 연구를 통해 개념 정립이 필요하고 그 다음 탈춤의 기원과 봉산탈춤의 유래, 사회적 배경들을 통하여 먼저 전체적인 공동체적 성격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봉산탈춤의 춤의 내용, 과장의 구성, 갈등의 구조와 내용에 대해 연구하고 이러한 내용과 형식을 바탕으로 봉산탈춤에 나타나는 내적 특성들과 기능들을 추출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 탈춤은 기층문화권의 한 표현 양식으로 전승되어 내려온 한국의 전통문화의 하나로써 세상의 못된 일, 그릇된 일들을 들추어내어 비판함으로써 이러한 탈을 들어내어 줄이고 없애는 민속춤으로써 인간사회의 허위나 위선 등을 풍자와 해학을 통해 비판하여 떨쳐버림으로써 공동체적 응집을 이루었다. 신명풀이 및 카타르시스, 놀이 및 축제의 여러 가지 내적특성들과 제의 및 생활의 기능과 갈등해소 및 치유의 기능들은 분리되어 나타나거나 정의 내려지는 것이 아니라 서로 영향을 주면서 결국에는 공동체의식이라는 하나의 대표적인 정서로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공동체의식은 개인들이 함께 모여있는 집단을 응집시켜 하나의 마음을 가지고 느끼고 생각하게 되는 대동놀이로 발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봉산탈춤의 내적특성과 기능들을 연구하는 것은 현대 문명과 과학기술의 발달로 ‘우리’라는 의식보다는 ‘나’라는 의식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는 사회에서 탈춤이 집단적인 응집을 통해 강한 연대의식을 느낄 수 있게 하는 중요한 매개체가 된다는 것을 규명하고 있다. Frequently, human beings are called political animals or social beings. Such a statement may well represent human essence, namely a thesis of defining the humanity. Its validity and universality has been proven through the long human history and experiences. However, today's modern society becomes strongly individualistic, posing an extremely serious crisis for mankind. Korea has grown economically and quantitatively through her rapid industrialization, but people's consciousness does not seem to catch up with the external growth, causing various problems. In other words, the splendid material civilization achieved in our modern society has served to make our life reasonable and efficient. However, our community spirit has been weakened by mammonism. Under such circumstances, this study was aimed at reviewing the community spirit shown in Bongsan Mask Dance and thereby, determine the roles of the community spirit as shown in the group dance in consolidating an amicable humanity and a close solidarity for our modern society dominated by egoism and individualism. Mask dance or talchum is a group-minded play, a product of our community spirit wherein players and audience make the play together. This study was focused on Bongsan Mask Dance which was characterized strongly by the group-minded play to review our community spirit. For this study, relevant literature and audio/video materials were reviewed extensively.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mmunity spirit shown in Bongsan Mask Dance, it was deemed necessary to establish relevant concepts first by examining the concepts of our community spirit and then, understand the community spirit at large by examining origins and social backgrounds of mask dances and Bongsan Mask Dance in particular. Then, contents, exaggerated expressions, conflict structure and contents of Bongsan Mask Dance were reviewed and thereupon, internal attributes and functions of the dance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Mask dances have been inherited as base people's modes of expressions. They were parts of our traditional culture, which revealed or 'unmasked' and criticized the wrong and bad things of the world to eradicate them. Namely, the folk dances aimed to criticize the falsifications or hypocrisies of our human society through parody and humor to consolidate the community. In mask dances, such various internal attributes as Shinmyoung resolution, catharsis and other play and festive ones, and such functions as ritual and living, and resolution and treatment of conflicts were not separate or defined differently from each other, but were affecting each other to express a model emotion or the community spirit. Such a community spirit served to condense the groups of individuals and thereby, develop the dance into the group-minded plays performed with the unity of minds, feeling and thoughts. This study analyzing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Bongsan Mask Dance may be significant in that in this society where the sense of 'me' than 'us' is stronger due to development of modern civilization and science and technology, mask dances may well be important media consolidating our sense of solidarity through a group-wise condensation.

      • 카발레프스키 피아노 소나타 제3번에 관한 이해 : 제 1 악장을 중심으로

        조혜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독창적인 작곡가였을 뿐 아니라 비평가이자 음악학자, 교육자였던 드미트리 카발레프스키(Dmitry Kabalevsky, 1904-1987)는 새로운 고전주의의 양식에 바탕을 두고 그 안에 자신만의 독특한 음악세계를 추구한 20세기 러시아를 대표하는 작곡가 중의 한 사람이다. 그는 평생을 러시아에서 살면서 정부 음악 정책에 순응하는 작품 활동을 하였고, 그 결과 그의 음악은 당시의 사회상을 반영하면서도 한편으로는 독창적이고 예술적인 특징을 보여준다. 이 논문은 카발레프스키의 피아노 소나타 3번(Piano Sonata No. 3, Op. 46)의 1악장에 대해 작품의 구조와 형식을 분석하고 이해하는데 주력하였다. 이 작품은 세 개의 악장으로 구성된 그의 대표적인 피아노 작품으로 카발레프스키의 특징들을 집약적으로 나타내었고, 그가 작곡한 피아노 소나타 곡으로는 마지막 작품으로 1946년에 작곡되었다. 멜로디가 쉽고 아름다워서 연주자나 청중이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곡으로 작품 자체가 짜임새 있고, 깔끔한 매력을 지녀 오늘날에도 널리 사랑받고 연주되는 작품이다. 피아노 소나타 3번의 세 개의 악장에서 특히 1악장은 카발레프스키의 음악적 특징을 잘 나타내주고 있는 악장이다. 1악장의 익살스런 Allegro con moto는 선명하고 선율적인 소나타-알레그로형식으로 제시부 - 발전부 - 재현부 - Coda의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F Major의 조성을 갖는다. 제시부에서의 가장 큰 특징으로 잦은 박자의 변화를 볼 수 있는데, 이는 명랑하면서도 긴장감을 유발하는 효과를 준다. 또한 F Major가 C Major로 전조되어 제시되며, 반음계적 진행을 강조한다. 발전부에서는 제시부의 제2주제와 종결주제를 자유롭게 변형하고 발전시키는데, 양손의 불협화음으로 인해 조성이 모호하다. 이는 20세기음악의 특징으로 새로운 색채감을 부여한다. 재현부는 제시부와 같은 F Major로 등장하지만 곧이어 단3도 위의 A♭Major로 진행되며, 불규칙한 악센트와 반음계진행으로 인해 격렬한 분위기를 연출하며 Coda에서 조용하게 사라지는 느낌으로 곡이 마무리된다. The socialist realism which occurred as Stalin's regime began after the Russian Bolshevik Revolution in 1917 imposed strict restriction on the artistic works of music composers. Due to this, many composers chose asylum to the West, where as the other composers left in their homeland diverted their direction into the work appropriate for socialist realism. Dmitry Kabalevsky(1904 - 1987)is a Russian representative composer and educator, pianist and music critic in 20C. He adjusted himself to the communist government system, and created music for the people. Piano Sonata No. 3, Op. 46, composed in 1946, was the last piano sonata that he composed. It is a piece with a beautiful melody that the pianist and audience can both easily feel sympathy. The form of the first movement is made up of the exposition, the development and the recapitulation, and in the coda appears in the end. The first subject and the second subject of the exposition are in F Major and C Major, which are in dominant relation. At the end of the first subject, an unusual development occurs - the melody does not return to the original key but modulates to another key. The nonharmonic chords are frequently accurate, and the tonality of the chords attached to the melody appears obscurely, which are the distinctive features. In the recapitulation, A♭Major is newly exposed, showing a different feature from the classical sonata, which uses the tonality of the first subject group of the exposition in the recapitulation. As opposed to the exposition where each section shows only one change, at the beginning of the development, both a change in tempo and change in melody occur synchronously. It is analogically inferred that the reason why the exposition and development is clearly by change in the tempo and melody in this manner is because it is the beginning of not a division of the attached section within the exposition but development, a large new section.

      •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에 따른 빗속의 사람 (PITR : Person-In-The-Rain)그림 검사 반응특성 연구

        조혜림 한양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수준이 빗속의 사람(PITR : Person-in-the-Rain) 그림 검사에서의 반응에 있어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4년제 종합대학교에 재학 및 휴학 중인 남, 여 대학생을 중심으로 360명에게 취업스트레스척도, PITR그림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 응답이 누락된 25부를 제외시키고 최종적으로 335명의 대상자만을 선정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 방어기제의 의한 공격적인 감정의 표현 연구

        조혜림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논문은 연구자 작품의 주제인 경험을 통한 공격적인 감정을 방어기제로서 표현하는 미적 특성에 대해 객관적으로 분석한다는 측면에서 작품론의 성격으로 분류된다. 연구자는 반인 반수인 ‘수인’의 캐릭터로 연구자가 갖고 있는 환상을 확대하여 과거의 폭력에 대한 트라우마 해소와 내재되어 있는 공격성을 조형적으로 대체한다. 연구자는 작품 속에서 에로스와 타나토스(Erōs/Thanatos) 에로스/타나토스 [Erōs/Thanatos]: 프로이트(Sigmund Freud)의 후기의 욕구 이원론, 즉 ‘삶의 욕구/죽음의 욕구’의 대립 개념에 부여된 별칭이다. 그는 1920년 『쾌감 원칙의 피안(彼岸)』에서 삶의 욕구와 죽음의 욕구를 대치시켰지만 그의 욕구론은 원래 이원론적이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가 중첩된 상징인 수인을 통해 드러내고 또 공격적인 감정을 꽃과 풀이라는 자연적인 요소를 통해서 통제하는 것으로 표현한다. 이러한 일련의 상징들은 연구자가 희구하는 현실과 환상의 이상 경계(理想境界) 설정이라 할 수 있다. 이 논의의 과정에서 연구자의 작품 형성의 이론적 맥락은 심리적 토대로서의 ‘방어기제’이다. ‘방어기제’는 현대 예술 이론에서 주목받는 주제이며 연구자에게 이러한 주제의식은 작품 형성의 토대이며 심리를 포함한 창작 의도와 관련이 있다. 특히 ‘방어기제에 의한 공격성 표현’에 있어 수인으로 구현되는 자화적(自化的) 표현 형식은 예술 내용과 창작 의도의 표상 방식으로써 창작 주체인 연구자의 내밀한 심리를 상징화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연구자가 작품 속에 이러한 문제 심리를 담기 위해 선택된 고양잇과 동물인 ‘수인’은 작품의 독창성을 나타내기 위한 대상이며, 그 선택은 유년시절 TV에서 보았던 야생동물의 삶이 소재가 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연구자는 트라우마와 공격적인 감정의 해소를 섹슈얼하고, 신격화된 여성상으로 표현한다. 이는 토템의 표현으로써 ‘토템’은 자연적인 요소들을 상징화하고 의미를 부여하여 동·식물의 능력을 심리적으로 소유하고자 하는 토테미즘과 연관성을 갖는다. 연구자가 구현하는 수인 또한 동물의 본능적인 판단과 공격적인 능력, 생존욕구가 절대적이면서 또 몽환적으로 표현된다. 이는 원시인류가 자연에 대한 동경을 소유욕을 통해 열등감을 해소하는 것과 비슷한 맥락이라 하겠다. 이 논문은 이상의 특징으로 정리하여 연구자의 작품을 분석하는 시도라 할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공격적 감정의 해소와 독립적인 가치를 형성하고, 인간이 갖고 있는 동물적인 본능에 내재되어 있는 선과 악의 개념을 ‘수인’을 통하여 확장하고자 한다. This thesis is classified as a work theory in the sense that it objectively analyze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expressing aggressive emotions through experience, the subject of the researcher's work, as a defense mechanism. The researcher expands the fantasy the researcher has with the character of the half-human, half-beast “beast,” and plastically replaces the trauma of past violence and inherent aggression. In his work, the researcher has identified Erōs/Thanatos, Erōs/Thanatos [Erōs/Thanatos]: a nickname given to Sigmund Freud's later dualism of needs, that is, the opposing concept of “the need for life/the need for death.” am. He replaced the desire for life with the desire for death in 『Escape from the Pleasure Principle』 in 1920, but his theory of needs was originally dualistic. [Naver Knowledge Encyclopedia] is revealed through the overlapping symbols of the sign, and aggressive emotions are expressed by controlling natural elements such as flowers and grass. This series of symbols can be said to be the setting of the ideal boundary between reality and fantasy that the researcher hopes for. Over the course of this discussion, the theoretical context of the researcher's work formation is a “defense mechanism” as a psychological foundation. “Defense mechanism” is a topic that is attracting attention in contemporary art theory, and for researchers, this theme is the basis for the formation of works and is related to creative intentions including psychology. In particular, in the “expression of aggression by defense mechanism,” the self-actualizing form of expression embodied in the hand is a process of symbolizing the inner psychology of the researcher, the creative subject, as a way of representing artistic content and creative intentions. The feline animal “Beastman,” chosen by the researcher to incorporate this problematic psychology into the work, is an object used to display the originality of the work, and the choice seems to be based on the lives of wild animals that one watched on TV as a child. In particular, the researcher expresses the resolution of trauma and aggressive emotions as a sexual, deified image of a woman. This is an expression of totem, and “totem” symbolizes natural elements and gives meaning to them, and has a connection with totemism, which seeks to possess the abilities of animals and plants psychologically. In addition, the animal's instinctive judgment, aggressive ability, and survival desire are expressed in an absolute and dreamlike way. This can be said to be similar to the desires of primitive humans to resolve their inferiority complex through their longing for nature and possessiveness. This thesis can be said to be an attempt to analyze the researcher's work by summarizing the above characteristics. Through this study, it is the intent to resolve aggressive emotions and form independent values, and to expand the concept of good and evil inherent in human animal instincts through “Beastm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