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경기 김포지역 중학생들의 영양표시에 따른 이해도와 활용도 조사

        김선영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경기북부 김포지역 중학교 1,2,3학년 학생을 임의로 선정하여 717부의 설문지를 조사받아 식품의 영양표시에 따른 이해도와 활용도를 조사 분석하였다. 설문지 문항 중 일반사항에서 성별구분 및 비만도와 가정의 월 총수입과 부모님의 직업 등을 질문하였으나, 중학생들의 식품구매 실태와 식품표시, 영양표시의 이해와 활용 실태에 관하여 가장 직접적인 남학생과 여학생의 성별 구분과 비만도에 따른 조사를 PASS 1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조사 대상자들이 식품구매 시에 식품표시와 영양표시에 대한 인식과 이용실태에 대해 알아보고, 이들이 성장기의 중요한 시기에 있는 만큼 올바른 식품 구매 태도와 건전하고 건강한 식생활을 할 수 있도록 영양교육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김포지역의 중학교 학생들의 조사대상자의 성별 비율로는 남학생은 47.8%였고, 여학생은 52.2%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조사대상자들의 체질량 지수는 저 체중이 46.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정상이 41.0%, 과체중 이상이 12.4%로 순으로 나타났다. 중학생의 간식실태를 보면 간식을 사먹는 이유로는 남, 여학생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단순히 배가 고파서가 55.8%, 그냥 심심해서가 37.8%, 친구들과 어울리기 위해 간식을 사먹는다고 답한 학생이 2.0%의 순으로 나타났다. 간식 구입 시 선택 기준으로는 습관처럼 늘 고르는 제품을 그냥 고른다는 학생이 38.4%이고, 즉흥적으로가 27.9%, 친구들이 많이 먹는 제품 순으로 구입한다는 학생이 10.1%로 나타났다. 식품 구매 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요인으로 ‘맛’이 중요하다고 생각한 학생들은 75.4%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그 다음 요인으로는 영양가가 13.7%, 제품의 양을 본다고 답한 학생이 8.5%로 나타났다. 식품표시내용을 확인 하고 구매한다는 학생은 42.2%로 적게 나왔으며, 확인하지 않고 구매한다는 학생들이 57.8%로 더 높게 나타났다. 식품표시를 확인하지 않는 이유로는 식품을 구매할 때에 습관적으로 아무생각 없이 구매한다고 답한 것이 24.4%로 가장 많았고, 관심이 없어서라고 답한 학생이 19.4%, 표시가 너무 작거나 조잡해서라고 답한 학생이 17.7%, 그 다음으로 식품표시내용을 이해하기 어려워서라고 답한 학생이 16.2%로 나타났다. 식품표시를 확인하는 이유로는 유통기한을 확인하기 위해서가 54.7%, 가격이 얼마인지 알아보기 위해서가 13.1%, 어떤 영양소가 들어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가 7.3%이고, 어떤 식품첨가물이 들어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가 5.1%의 순서로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성별에 따라 식품표시를 확인하는 차이는 여학생이 56%, 남학생이 44% 나왔으며, 이 결과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식품표시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이 있다고 나타낸다. 영양성분표시에 대한 인지는 어느 정도 알고 있다고 대답한 학생이 가장 많았으며, 식품표시와 마찬가지로 영양성분표시를 확인 한다는 결과도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13.3% 더 많게 나타났다. 영양성분표시를 확인하지 않는 이유로는 영양표시에 관심이 없어서가 53.6%, 영양표시가 너무 작고 조잡해서와 영양표시를 이해하기 어려워서가 17.4% 로 두 번째로 같은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양성분표시를 확인하는 이유로는 어떤 영양소가 들어있는지 확인을 위해서가 54.9%로 가장 많이 나왔고, 식품 포장지에 새로운 것이 있어서가 13.9%, 체중관리를 위해서가 13.6%, 건강관리를 위해서가 12.5%, 타제품과 영양표시를 비교하기위해가 4.4%로 이와 같은 순서로 나타났다. 영양표시 정보가 식품선택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질문에서는 45.8%가 그저 그렇다는 응답이 많이 나타났다. 그러나 영양표시 정보가 필요한 지에 대한 질문에서는 대체적으로 ‘그저 그렇다’의 답이 34.1%, ‘필요한 편이다’라고 답한 응답자가30.9%로 많음을 나타냈다. 영양표시 정보를 얼마나 이해하고 있는지에 대한 이해도에서 전체적으로 칼로리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표시에 대한 교육이나 홍보의 필요성을 어느 정도 느끼는지에 대해서도 ‘그저 그렇다’라고 답한 학생이 44.3%, ‘필요한 편이다’라고 답한 응답자가 29.0%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적당히 필요하다고 느끼고는 있으나, 정작 제품의 식품표시, 영양성분표시 모두 이해도가 부족하며, 알고 있어도 식품의 선택에 있어 제대로 잘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중학생들이 식품을 구매하는 데 있어서 올바른 체계가 잡히고, 식생활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식품표시와 영양표시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홍보가 절실히 필요하다. 또한, 우리가 접하는 식품들에는 식품표시 및 영양표시가 의무화되어가고 있어서 표시가 된 제품들을 많이 접할 수 있지만, 어린 학생들이 접하는 학교 앞의 작은 가게에서는 제품에 식품표시 및 영양표시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는 것들도 많다. 그러므로 어떤 제품이던 식품 및 영양표시를 반드시 기재할 수 있는 정부차원에서의 정책적인 지원이 밑바탕 되어야겠다.

      • 소비자 식품안전인식이 언론보도에 대한 위험지각과 안전추구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선영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새로운 식품위험이 점점 늘어나고 있고 앞으로도 소비자에게 식품관련 안전문제는 더 주목받을 것으로 사료되어 언론보도를 통해 소비자가 위험하다고 지각하는 식품에 대한 안전추구행동을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달걀과 햄버거를 연구대상으로 연구하여 식재료로서의 달걀과 외식상품으로서의 햄버거를 비교함으로써 외식기업이 식품안전사건에 대해 대응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서 일반소비자 20대∼40대이상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고 회수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SPSS statistics 2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군집분석, 단순회귀분석, 대응 표본 t-검정, 독립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전체를 대상으로 변수들에 영향관계를 알아본 결과 첫째, 달걀과 햄버거 모두 언론보도 위험지각이 비구매성 안전민감행동의도에서 정(+)의 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구매성 안전불감행동의도에서는 부(-)의 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 식품에 따른 변수들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소비자는 달걀보다 햄버거에 대해 위험지각을 더 느끼고 비구매적이며 안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달걀에 대해서는 안전에 불감행동의도를 보이며 구매하는 성향으로 나타났다. 한편, 집단별 연구대상조사는 식품안전인식 집단구분을 통해 과묵집단과 민감집단으로 나눴고 과묵집단은 20대와 30대 연령층으로 미혼의 비중이 컸으며 민감집단은 30대와 40대이상 연령층으로 주부의 비중이 높았다. 이에 따라 첫째, 집단에 따른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달걀에 관한 언론보도 위험지각이 식품안전인식의 과묵집단과 민감집단 모두 비구매성 안전민감행동의도에 정(+)의 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구매성 안전불감행동의도에서는 부(-)의 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햄버거 언론보도 위험지각이 과묵집단과 민감집단 모두 비구매성 안전민감행동의도에 정(+)의 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구매성 안전불감행동의도에서는 과묵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민감집단은 부(-)의 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식품안전인식 집단에 따라 변수들의 차이비교를 검증한 결과 민감집단이 햄버거 언론보도 위험지각을 더 느끼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달걀과 햄버거 모두 민감집단이 비구매적이고 안전민감행동의도를 더 추구하는 것으로 보이며 과묵집단은 민감집단보다 햄버거에 대해 구매적이고 안전불감행동의도를 추구하였다. 본 연구 결과와 같이 소비자는 외식식품에 안전성을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외식기업은 일반 식재료보다 상품에 대한 식품안전사고를 주의 깊게 살펴 지속해서 구매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외식기업은 안전한 먹을거리를 제공함으로써 기업윤리를 실천하고 소비자에게 기업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기를 바란다. In this study, it is thought that new food safety risks are increasing and food safety issues are continuously being addressed to consumers. Therefore, it is investigate to change in consumer's behavior of food safety seeking on media reports. Especi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direction for foodservice companies to respond to food safety incidents by comparing eggs as food ingredients and hamburgers as food products by studying eggs and hamburgers. For the stud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for 20 to 40 or more consumers.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2.0 and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luster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paired t-test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oth the egg and hamburger on perceived risk to media reports had a positive effect in the non-purchasing safety sensitive behavior intention, and had negative effect in the purchasing safety insensitive behavior intention.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of variables according to the subject food, Consumers tend to feel more perceived risk to media reports of hamburgers than eggs and more the non-purchasing safety sensitive behavior intention of hamburgers than eggs. And eggs showed the purchasing safety insensitive behavior intention. On the other hand, the group according to food safety awareness was divided into two groups of the reticent group and the sensitive group. In the reticent group, the proportion of the unmarried people in the 20s and 30s was large, and the sensitive group was high the proportion of housewives in the 30s and 40s. So first, in the both reticent groups and sensitive groups divided according to food safety perception, egg on perceived risk to media reports had a positive effect in the non-purchasing safety sensitive behavior intention, and had negative effect in the purchasing safety insensitive behavior intention. And in the both reticent groups and sensitive groups divided according to food safety perception, hamburger on perceived risk to media reports had a positive effect in the non-purchasing safety sensitive behavior intention, but in purchasing safety insensitive behavior intention, only the sensitive group influenced negative relationships, while the reticent group did not. Second,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difference of variables according to food safety awareness group, The sensitive group could see that they felt more perceptions of the media reports about hamburgers and sensitive groups seem to be more likely to pursue the non-purchasing safety sensitive behavior intention of eggs and hamburgers. The reticent group pursued purchasing safety insensitive behavior intention toward burgers rather than the sensitive group.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Consumers are sensitive to the safety of eating out food, so foodservice companies should pay attention to food safety accidents of sales products rather than general food ingredients and encourage them to purchase continuously. In other words, it is hoped that food service companies will contribute to the practice of business ethics and enhance the credibility of the company to the consumers. Keywords : food safety perception, Perceived Risk to Media Reports, Safety Seeking Behaviors Intention

      • 금연패치와 흡연 충동 조절 효능감이 흡연 욕구에 미치는 영향

        김선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흡연 단서에의 심상적 노출 후 금연패치와 흡연 충동 조절 효능감이 흡연 충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데 있다. 49명의 참여자들은 금연패치 집단(n=16), 위약패치 집단(n=16), 통제집단(n=17)에 무선할당되어 4시간의 니코틴 흡수/결핍 기간을 거친 뒤 흡연 단서에 노출되고, 흡연 충동을 평정하였다. 흡연 충동 사전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어 사전 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공변량분석 결과, 처치 집단과 흡연 충동 조절 효능감 수준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였다. 금연패치 집단에서는 흡연 충동 조절 효능감 수준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흡연 충동 조절 효능감이 높은 위약패치 집단과 통제집단은 흡연 충동이 낮았고, 흡연 충동 조절 효능감이 낮은 위약패치 집단과 통제집단은 흡연 충동이 높게 발생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그리고 추후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transdermal nicotine patches and efficacy of control smoking urge on craving through imaginal exposure to smoking cues. 49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nicotine patch group(n=16), placebo group(n=16), and control group(n=17). After a 4-hr nicotine absorption/deprivation period, participants were exposed to smoking cues, then participants rated their smoking urg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s of pretrial-score, so ANCOVA(analysis of covariance) was conducted. Results indicated that a significant Group(nicotine, placebo, control) × Efficacy of Control smoking urge(high vs. low) interaction effect was observed for smoking urg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within both nicotine patch groups. However placebo patch and control group with high efficacy of control smoking urge were rated lower their smoking urge. In contrast, placebo patch and control group with low efficacy of control smoking urge were rated higher their smoking urge.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curr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 10학년 과학교과서의 과학사 도입 유형 분석 : ‘지구’ 단원을 중심으로

        김선영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단순 암기식, 주입식 교육을 탈피하고 과학적 소양 함양을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그 대안 중의 하나로 과학사 도입 수업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총 8종의 10학년 과학교과서 중 ‘지구’단원에서 나타나는 과학사를 형태, 내용, 목적을 기준으로 과학사 도입 유형을 분석하였다. 과학사 도입 유형은 형태, 내용, 목적을 큰 축으로 하고 있으며 형태는 다시 도입형, 전개형, 결론형, 첨가형으로 구분된다. 내용은 과학자형, 과학이론형, 과학의 역사적 배경형, 관측?발견된 사실형의 4가지 기준을, 도입 목적에서는 과학의 본성 학습형, 과학의 방법 학습형, 과학의 개념 학습형, 흥미 유발형, 참고자료 제시형의 5가지 기준을 두었다. 그 결과 과학사의 도입 형태의 경우 지질, 대기, 해양, 천문 각 분야별로 조금씩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전체적으로 첨가형이 가장 많은 비율로 나타났다. 내용면에서는 관측?발견형이, 목적면에서는 흥미유발형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지질, 대기, 해양, 천문으로 구분되는 지구과학은 분야별로 도입 비율이 다르게 나타났다. 천문 분야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지질 분야의 도입이 많이 나타났으며 대기, 해양 분야는 낮은 도입율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굳건한 오개념을 변화시키기 위해 과학사 도입은 매우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있음에도 본 연구 결과에서 오개념 전환을 위한 과학사 도입이 미미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7차 교육과정에서 지향하고 있는 S.T.S와 관련된 과학사 자료 도입도 매우 적음을 알 수 있다. 과학사 자료 개발이 양적인 수준 뿐만 아니라 질적인 수준까지도 고려하여 개발 되어 실제 학교 현장에서 다양하게 이용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A lot of people studying science are putting lots of efforts on cultivating scientific attainments and outgrowing the cramming and simple memoriter method of teaching, and technography is raising great interest as one of alternative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pattern of introduction of technography based on forms, contents, objectives which come out from the unit 'Earth' out of whole 8 kinds of textbooks on science for a tenth year student. The pattern of introduction of technography consists of forms, contents, and objectives in a big picture, and forms are divided again into formats of introduction, development, addition, separatively. Contents are classified based on 4 types of formats of scientists, theories on science,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science, observed?discovered truths. In addition, the objective on introduction is classified based on 5 types of formats - the learning of original nature of science, the learning of methods of science, the learning of concepts of science, inducting interest, the presentation of reference materials. As a consequence of those things, even though there are slight differences among geology, atmosphere, oceanography, astronomy in case of the format of introduction of technography, the additive format shows the highest ratio taken altogether. Earth science, which is divided into geology, atmosphere, oceanography, astronomy, shows a different ratio of introduction according to those parts. The astronomic part ranked the highest ratio of introduction, the geologic part took the second, oceanographic and atmospheric part took the lowest. This study shows that even if there are a few studies which indicate that the introduction of technography for changing firm, but false concepts is highly effective, few actually introduce technography for converting those false concepts into good ones. Plus, this study shows that there are few introduction of materials about technography that are related to S.T.S. - that the seventh curriculum in Korea is aiming at. Therefore, the science education in Korea should develop materials about technography considering not only its quantity, but also its quality, and make those materials available in actual classrooms.

      • 흡연 여성 직장인의 금연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선영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흡연 여성 직장인의 금연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목적 :이 연구는 흡연 여성 직장인의 금연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방법 : 전국의 20대에서 50대까지 총 239명의 담배를 피우는 여성 직장인을 온라인 패널 연구소를 통해 조사되었다. 데이터는 2018년 10월 30일부터 11월5일까지 수집되었으며, 이 데이터는 Windows 용 SPSS PC + 21.0 기술 통계, t 검정, 일원 분산 분석, 피어슨 상관 계수, 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결과 : 대상자의 특성이 금연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흡연 시작 연령 (β=0.18, p=.002) 과거 금연 시도 유무(β=0.19, p=.001)이었으며, 연구의 주요 요소로는 금연 태도(β=0.31, p<.001), 주관적 규범 (β=0.22, p<.001) 및 자기통제 (β =-0.17, p=.003)이었으며, 금연 자기효능감을 추가하였다. 금연 의도에 가장 많이 영향 준 요인은 금연 태도와 금연 시도경험 유무였다. 회귀 모델의 적합성을 분석한 결과 회귀모형은 유의하였으며(F=12.95, p<.001),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총 29.0%이었다. 결론 : 결과에 따라, 이 연구는 직장에서의 올바른 금연 의도를 촉진하고 직장인이 서로의 금연 문화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되리라 본다. 키워드 : 금연 의도, 태도, 주관적 규범, 자기통제, 금연 자기효능감 ABSTRACT Factors Affecting to the Intention to Quit Smoking among Female Smoking Workers Purpose: This research is a descriptive study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on cigarette smoking female workers’ non-smoking intention. Research Method: Total 239 cigarette-smoking female workers in their 20s to 50s nationwide were surveyed through an online panel research institute. The data was collected from Oct. 30th to Nov. 5th, 2018, and the SPSS PC+21.0 for Windows was utilized in analysing the data for the technical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factors influencing on subjects’ non-smoking intention were identified as the age starting to smoke cigarette (β=0.18, p=.002), the past non-smoking trial or not (β=0.19, p=.001), the non-smoking attitude (β=0.31, p<.001), the subjective norm (β=0.22, p<.001), and the self-control (β=-0.17, p=.003), and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on the non-smoking intention were found as the non-smoking attitude and the non-smoking trying experience or not. As the results analyzing the fit of regression model, it was found that the regression model was significant (F=12.95, p<.001), with a total explanatory power of 29.0%.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promoting the correct non-smoking intention in workplace and in forming the non-smoking culture for each other. Key Words: Smoking, Intention, Attitudes, Subjective Norm, Self efficacy, Self Control

      • 월경전불쾌기분장애의 유병률 및 관련인자

        김선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목 적 : 월경전불쾌기분장애(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이하 PMDD)는 사회 기능의 악화와 삶의 질 저하를 가져오지만, 아직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충분한 연구와 관심이 부족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여성에서 PMDD의 유병률을 조사하고, PMDD와 관련이 있는 제반 사회인구학적 및 임상적 특징을 평가하는데 있다. 방 법 :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중 가임기 여성 275명을 대상으로 1회의 기초 조사 실시 후 두월경주기에 걸쳐 중기난포기와 후기황체기에 각각 반복하여 4차례의 추적조사를 실시하였다. PMDD의 진단은 DSM-IV 진단기준에 근거하였다. 월경과 관련된 인자로는 초경나이, 월경주기, 주산력을 조사하였다. 사회인구학적 특징으로는 나이, 키, 몸무게, 결혼력, 음주정도, 생활사건, 사회지지체계를 조사하였다. 성격은 Big 5 Inventory를 통해 평가하였다. 임상적 특징으로는 우울 및 불안 증상 평가를 위해 Beck Depression Inventory,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Hospital Anxiety Depression Scale을 적용하였고, 장애는 World Health Organization Disability Assessment Scale- II, 삶의 질은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brief, 사회직업적응은 Social and Occupational Functioning Assessment Scale, 식이태도는 Eating Attitude Test-26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 과 : PMDD의 유병률은 12.6%로 조사되었다. PMDD는 증가된 음주정도, 신경증적 성격성향, 불안감 및 우울감 증가, 삶의 질 저하, 장애 증가, 그리고 이상 식이태도와 관련이 있었다. 이러한 연관성은 월경주기 전체에 걸쳐 나타났는데, 특히 후기황체기에 보다 현저하였다. 결 론 : 한국인 여성에서 PMDD의 유병률은 높은 편이었다. PMDD에 대한 적절한 개입을 통해, 여성의 삶의 질 향상, 장애 및 식이태도의 개선을 기대할 수 있겠다.

      • 여성노인의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선영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國文炒錄 여성노인의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사회복지학과 김선영 지 도 교 수 정무성 본 연구는 2007년 실시되었던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 실태조사를 활용하여 전국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여성노인의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빈도분석, T-test ,ANOVA ,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여성노인의 일자리 사업 참여 만족도와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한 결과 현재 참여자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일자리 참여로 인해 가족관계가 개선되고, 가계에 경제적으로 보탬이 되었으며, 자신의 건강이 호전되었다고 느낄수록, 일자리 참여에 대한 가족들의 반응이 긍정적인 응답자 군이 참여 만족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둘째,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라 여성노인 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참여만족도와의 유의미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삶의 질은 만족도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장직업종사기간이 길수록 만족도가 낮으며 기간이 짧을수록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최장종사산업의 종류와 최장종사직업종류, 최장종사고용형태는 참여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원봉사 의향에 있어서 보수가 없어도 자원봉사를 할 의향이 있다고 답한 응답군이 자원봉사는 보수의 유무와 관계없이 전혀 할 의향이 없다는 응답을 한 응답군보다 참여 만족도가 높았다. 셋째, 노인일자리 참여실태와 참여 만족도와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주당 근로 일 수가 많을수록 참여 만족도가 낮아지고 주당 참여 일수가 적을수록 참여만족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여성노인 일자리 사업 참여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참여 여성노인의 경제상태가 낮을수록, 삶의 질이 높다고 생각할수록 일자리 참여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자리사업에 참여하여 경제적으로 보탬이 된다고 생각할수록, 가족의 반응이 좋은 참여자일수록, 주당 근로일수가 적은 참여자일수록 일자리사업 참여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같은 연구결과로 여성노인의 노일자리사업 참여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여성노인이 노인일자리 참여를 통해 사회참여 및 보충적인 소득 보장받을 수 있도록 노인일자리 확대 및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노인일자리사업 수행기관에서는 노인일자리 사업창출과 함께 노인일자리 참여자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도 염두하여 노인일자리 사업수행에 노력을 기울여야하겠다. 셋째, 노후 소득보장의 사각지대에 머물고 있는 여성노인들에게 최저생계비 수준의 소득을 담보할 수 있는 일자리 제공 및 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노인일자리사업의 대홍보를 통한 사회인식 개선마련으로 좋은 이미지를 구축하여 일자리 참여자들이 사회 및 가족구성원의 지지를 받을 수 있는 사회분위기를 조성한다. 다섯째, 참여자의 욕구에 따라 일자리유형을 다양화하여 참여자의 활동 내용과 조건에 부합한 급여 및 보상체계가 마련될 수 있는 일자리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일자리 참여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ABSTRACT The study on Affecting participation satisfaction of elderly women of senior Public work program. Kim, Sun Young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Soongsil University This study is about impact on participation satisfaction of elderly women who take part in senior Public work program all over the country by utilizing the survey involved the elderly who took part in this project in 2007. The data analysis involves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generally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the result of analysis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of elderly women depends on subjective health status, which means that the better the health status is, the better the family relationship improves. It also contributes to household financial situation and helps participants to feel better about themselves. The better response they gain from family members, the more satisfied they feel about their work. Secondly, according to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the analysis of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ticipation satisfaction of elderly women indicates that the quality of life shows the static correlation of satisfaction. The longer one has been engaged in work, the less satisfied one has felt and vice versa. A type of industry, work and employment type which one has been engaged in does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ticipation satisfaction. Regarding voluntary work, a response group who is willing to participate regardless of payment shows higher level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than a group who is unwilling to do so. Thirdly the result of analysis of participating actual condition and satisfaction degree of elderly women, the longer one has been engaged in work in each week, the less satisfied, the less one has been engaged in work in each week, shows higher level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Finally as a result of conduc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find out the influence to effect on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omen's senior Public work program participation, as they think more that the lower the economic status and the higher the life quality, the satisfaction degree to participate elderly women's senior Public work program appeared to become higher, and as they think that participation of senior Public work program will be contributing financially and participants who have better response of family members and participants who have a small number of working days per week, the satisfaction degree of senior Public work program participation was estimated to be higher.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I suggest following recommendation about the influence to affect the satisfaction degree of elderly women's senior Public work program participation. Firstly, it is necessary to enlarge and support the elderly women's senior Public work program in order to guarantee the complimentary income security and social participation through business participation of elderly women who experience economic difficulties. Secondly, the women's senior Public work program performing organization should do every effort to carry out elderly women's senior Public work program by keeping in mind the program to enhance participant's quality of life as well as business creation of elderly women's senior Public work program. Thirdly, it is necessary to supply and assist senior Public work program in order to secure the lowest living level of support to elderly women who are staying in the blind spot of guaranteed income. Fourthly it is necessary to make social mood for the senior Public work program participants to receive the support of social and family members by building good image of improved social awareness through a lot of publicity of elderly women's senior Public work program. Fifthly,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satisfaction degree of senior Public work program participation by developing job program to meet the salary and compensation conditions for the correspondence of participant activities and terms through job type diversification depending on the needs of particip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