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방제 드론의 선호도 분석 및 효과

        박진욱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47

        방제 드론의 선호도 분석 및 효과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박 진 욱 지도교수 강 신 수 본 연구는 농민들이 우리나라에서 많이 사용하는 방제 드론 CERES 10S, DJI MG1-S, 순돌이에 대해 선호도 조사를 한 후 다른 농민들이 방제 드론 구매할 때 하나의 대안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강원도 강릉시와 경기도 이천시에 소재하고 있는 농민을 대상 으로 정했고, 농민들이 제일 중요시 생각하는 경제성, 고객 관리, 제품 품질, 편리성에 대해 선호도를 조사하고자 한다.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방제 드론별 경제성, 고객 관리, 제품 품질, 편리성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유의미 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cheffe의 사후분석을 통해 방제 드 론별 차이를 알아본 결과 경제성, 고객관리, 제품품질, 편리성 모두에서 순 돌이와 다른 방제 드론에서 방제 드론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방제 드 론 선택 속성에 있어 순돌이가 다른 방제 드론보다 우수한 것으로 보이고 있다. 또한 응답자가 사용중인 3개의 방재 드론에 대해 지속적 사용의향에 있어 서 순돌이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타인 추천의향에 있어서 순돌이로 가장 높게 나타나 지속적 사용의향 및 타인 추천의향에서도 순돌이가 가장 높은 선택을 받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3종류의 방제 드론을 다 사용해본 농민들이 CERES 10S와 DJI MG1-S 방제 드론 보다는 순돌이 방제 드론을 전체적으 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죽음에 대한 인식 및 뇌사·장기기증·장기이식에 대한 지식

        정유리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생명의료윤리의식 교육 자료를 만드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지방의 3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3, 4학년 간호 대학생 26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5년 10월 1일부터 12월 17일까지였으며, 연구도구는 생명의료윤리의식을 파악하기 위해 이영숙(1990)이 고안한 윤리적 가치관 도구를 권선주(2003)가 수정·보완한 생명의료윤리의식 도구를, 죽음에 대한 인식은 이누미야 요시유키(2002)가 개발하고, 차영례(2006)가 수정·보완한 도구, 뇌사·장기기증·장기이식에 대한 지식 측정을 위해서는 Matten 등(1991)이 개발한 도구를 주애은(1995)이 한국인의 정서와 문화에 맞게 번역·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생명의료윤리의식의 평균평점은 총 4점 만점에 2.81±0.22점으로 나타났고, 신생아의 생명권이 3.23±0.47점으로 가장 높았고 뇌사가 2.24±0.44점으로 가장 낮았다. 2. 대상자의 죽음에 대한 인식의 평균평점은 총 5점 만점에 3.15±0.36점 으로 나타났고, 죽음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3.56±0.57점으로 가장 높았고 죽음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2.56±0.63점으로 가장 낮았다. 3. 대상자의 뇌사·장기기증·장기이식에 대한 지식 정도는 21점 만점에 12.12±3.02점으로 58%의 정답률을 보였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명의료윤리의식은 성별(t=-4.21, p<.001), 학년(t=-2.84, p=.005), 종교참여도(F=3.91, p=.022)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죽음에 대한 인식은 종교(t=-3.29, p<.001), 가족 중 사망자 유무(t=2.02, p=.044), 주관적 경제수준(F=4.05, p=.018), 장기이식 교육여부(t=2.80, p=.006), 인간생명공학 교육 여부(t=2.56, p=.01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뇌사·장기기증·장기이식에 대한 지식은 가족 중 사망자유무(t=2.07, p=.039), 앞으로 생명의료윤리에 대한 교육 시 참여의사 여부(F=4.49, p=.012)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대상자의 생명의료윤리의식은 죽음에 대한 인식과 유의하게 약한 순상관관 계(r=.220, p<.001)를 나타내었으며, 생명의료윤리의식과 뇌사·장기기증·장기이식에 대한 지식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r =.062, p=.316). 6. 대상자의 생명의료윤리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예측 변인은 성별 (β=.293, p<.001), 종교참여도(β=.230, p=.015), 죽음에 대한 인식(β=.195, p=.016)으로 나타났으며, 17.1%의 설명력을 지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간호교육과정에 생명의료윤리 및 윤리의식에 대한 내용이 강화될 필요가 있음이 제기되었다. 이는 간호 대학생들이 임상 현장에서 실습 시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죽음과 관련된 부분을 반영하여 교육할 필요가 있을 것이며, 학교에서도 생명의료윤리 교육 시 죽음에 대한 인식 부분을 강화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생명의료윤리의식에 영향을 주었던 성별, 학년, 종교참여도 등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생명의료윤리의식의 함양은 간호 대학생들이 임상에서 생명의료윤리의식의 혼돈을 겪지 않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며 간호사가 되었을 때에도 대상자와 의료인 사이에서 환자 옹호를 위한 의사결정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혈액투석 환자의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 계획된 행위이론의 적용

        함수인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to understand the Factors affecting on the intention of COVID-19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 by applying the planned behavior theory to hemodialysis patient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209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receiving hemodialysis at five hemodialysis hospitals located in two cities in Gangwon-do,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28, 2021 to January 15, 2022. The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SPSS 22.0 Windows was used to conduct the data analysis by using real numbers and percentage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ANOVA, Scheffé-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attitude of the study participants averaged 6.26±1.02 out of 7; subjective norms averaged 5.41±1.28 out of 7;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veraged 5.57±1.34 out of 7; level of fulfillment of dietary restriction 4.18±0.57 out of 5; knowledge averaged 11.99±2.46 out of 15; self-efficacy averaged 5.15±2.08 out of 7; and COVID-19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averaged 5.96±1.42 out of 7. 2. The attitudes of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p=.042), occupational status(p=.045), and hemodialysis period(p=.001);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ducation(p<.001), family monthly income(p=.043), and religion(p=.001); level of fulfillment of dietary restric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onthly income in the home(p=.013); Knowledg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p<.001), education(p=.005), and monthly income at home(p=.031). 3. The intention of COVID-19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ttitude(r=.172, p=.013), subjective norms(r=.709, p<.001), perceived behavior control(r=.617, p<.001), level of fulfillment of dietary restriction(r=.224, p=.001), Knowledge(r=.301, p<.001), self-efficacy(r=.295, p<.001). 4.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factors affecting COVID-19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in patients with hemodi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COVID-19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in patients with hemodialysis in Model I were level of fulfillment of dietary restriction(β=.202, p=.002), knowledge(β=.286, p<.001), with the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of 13.1% (F=15.557, p<.001); those factors affecting COVID-19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in patients with hemodialysis in Model Ⅱ were subjective norms(β=.513, p<.001), perceived behavioral control(β=.269, p<.001), with the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of 54.2% (F=50.207, p<.001); those factors affecting COVID-19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in patients with hemodialysis in Model Ⅲ were subjective norms(β=.489, p<.001), perceived behavioral control(β=.264, p<.001), with the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of 54.8% (F=43.017, p<.001). This study has in an implication, in that it first identifies factors affecting COVID-19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in patients with hemodialysis by apply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which is known to have high explanatory power. By apply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it may anticipate factors affecting COVID-19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in patients with hemodialysis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by preventing and managing COVID-19 infection in hemodialysis patients in advance. Since this study was conducted on hemodialysis patients in some areas of Gangwon-do,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refore we expand the target cities and studies on factors affecting COVID-19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 are suggested with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본 연구는 혈액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계획된 행위이론을 적용하여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여 혈액투석 환자의 COVID-19 감염을 예방할 대처방안을 마련하여 효율적이고 안전한 환자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강원도 G시, S시에 소재한 혈액투석 병원 5곳에서 혈액투석을 받는 만성 신부전 환자 209명이며 2021년 12월 28일부터 2022년 1월 15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도구는 다음과 같다. Ajzen(1991)의 계획된 행위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의 하위요인인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는 이규은(2014)이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 접종 의도 영향요인을 연구한 도구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했다. 제한식이 이행 정도는 혈액투석 환자의 자가간호 수행 정도를 반영하는 생리적 지표로서 혈중 인(P) 농도, 포타슘(K) 농도, 투석 간 체중증가량(Choi & Choe, 2007; Kara et al., 2007; Kim et al., 2017; Min & Lee, 2006; Saran et al., 2003, Yeun, 2012)을 척도화 시켜서 문항을 만들었다. COVID-19에 대한 지식은 Taghrir et al.(2020)이 개발한 도구를 이수진 외(2021)가 한국어로 번역, 역 번역을 한 도구를 사용했다. 자기효능감은 Gerend & Shepherd(2012)가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 접종에 대해 조사하기 위해 개발한 자기효능감 도구를 강은희(2019)가 한국어로 번역, 역 번역을 한 도구를 사용했다.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는 이규은(2014)이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 접종 의도 영향요인을 연구한 도구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했다. 자료 분석은 Win SPSS 22.0을 사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와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및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혈액투석 환자의 연령 평균은 59.97±12.83세이었고, 123명(58.9%)이 남자였으며, 결혼 상태는 기혼은 128명(61.2%)으로 가장 많았다. 학력은 고졸이 74명(35.4%)으로 가장 많았고, 가정 내 월수입은 100만 원 이하가 78명(37.3%)으로 가장 많았다. 직업은 없는 사람이 144명(68.9%)이었으며, 종교는 종교가 없음이 107명(51.2%)으로 가장 많았다. 동거 형태는 가족과 사는 사람이 133명(63.6%)으로 가장 많았고, 혈액 투석 기간은 평균이 72.36±70.84개월이었고, 본인의 건강 상태가 보통이라고 응답한 사람이 110명(52.6%)으로 가장 많았다. 2. 본 연구대상자의 태도는 7점 만점에 평균 6.26±1.02점으로 중간보다 높은 정도였고, 주관적 규범은 7점 만점에 평균 5.41±1.28점으로 중간보다 높은 정도였다. 지각된 행위통제는 7점 만점에 평균 5.57±1.34점으로 중간보다 높은 정도였고, 제한식이 이행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4.18±0.57점으로 중간보다 높은 정도였다. 지식은 15점 만점에 평균 11.99±2.46점으로 중간보다 높은 정도였고, 자기효능감은 7점 만점에 평균 5.15±2.08점으로 중간보다 높은 정도였으며,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는 7점 만점에 평균 5.96±1.42점으로 중간보다 높은 정도이다. 3. 본 연구대상자의 태도는 성별(t=-2.05, p=.042), 직업 유, 무(t=-2.04, p=.045), 혈액투석기간(F=6.90,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지각된 행위통제는 학력(F=7.68, p<.001), 가정 내 월수입(F=3.19, p=.043), 종교(F=.6.18,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제한식이 이행 정도는 가정 내 월수입(F=4.47, p=.013)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지식은 연령(F=6.75, p<.001), 학력(F=3.79, p=.005), 가정 내 월수입(F=3.54, p=.03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는 태도(r=.172, p=.013), 주관적 규범(r=.709, p<.001), 지각된 행위통제(r=.617, p<.001), 제한식이 이행 정도(r=.224, p=.001), 지식(r=.301, p<.001), 자기효능감(r=.295,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5. 혈액투석 환자의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Model Ⅰ에서 혈액투석 환자의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제한식이 이행 정도, 지식을 변수로 넣은 결과, 제한식이 이행 정도(β=.202, p=.002), 지식(β=.286, p<.001)으로 나타났으며, 13.1%의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다(F=15.557, p<.001). Model Ⅱ에서 혈액투석 환자의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계획된 행위이론의 변수인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를 추가한 결과, 주관적 규범(β=.513, p<.001), 지각된 행위통제(β=.269, p<.001)로 나타났으며 54.2%의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다(F=50.207, p<.001). Model Ⅲ에서 혈액투석 환자의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자기효능감을 변수로 추가한 결과, 주관적 규범(β=.489, p<.001), 지각된 행위통제(β=.264, p<.001)로 나타났으며 54.8%의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다(F=43.017, p<.001). 본 연구는 행동을 예측하는데 설명력이 높은 계획된 행위이론을 적용하여 혈액투석 환자의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 영향요인을 처음으로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계획된 행위이론을 적용하여 혈액투석 환자의 COVID-19 감염예방 행위를 파악함으로써 혈액투석 환자의 COVID-19 감염을 미리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환자 안전관리 측면에 의미를 두었다. 본 연구 대상자는 강원도 G시, S시에서 혈액투석을 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대상 지역을 확대하여 반복 연구를 하고, 향후 복막투석을 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를 제언한다.

      • 임상간호사의 창업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홍지언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창업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요인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간호사의 간호 창업 활성화를 위한 근거를 제시하고, 나아가 기업가적 행동을 촉진하며, 창업역량을 갖출 수 있는 창업 지원을 위한 간호 창업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는 강원도 G시 일 지역의 상급종합병원 1곳에서 근무하는 173명의 간호사로 2022년 5월 18일부터 6월 3일까지 자료 수집하였다. 연구 도구로 창업에 대한 태도는 종합적인 태도측정법을 사용한 김지혜(2018)의 태도 도구를 이용하였으며, 창업에 대한 주관적 규범은 Linan과 Chen (2009)의 창업 의도 도구를 수정 및 번안한 김지혜(2018)의 주관적 규범 도구를 사용하였다. 창업에 대한 지각된 행위통제와 창업 의도는 Linan과 Chen (2009)의 창업 의도 도구를 번안하여 사용한 김지혜(2018)의 지각된 행위통제 및 창업 의도 도구를 이용하였다. 기업가정신(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은 기홍석(2020)이 개발한 기업가정신 도구를 사용하였고, 창업자기효능감은 기홍석(2020)이 개발한 창업자기효능감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방법은 Win SPSS 25.0 Program을 사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ANOVA와 독립 t-test,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대상자의 창업 의도는 7점 만점에 2.88점이었고, 본 연구대상자의 창업 의도는 성별, 근무 형태, 창업 성공인 유무, 창업 저해요인, 이직 의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대상자의 창업 의도는 창업에 대한 태도, 창업에 대한 주관적 규범, 창업에 대한 지각된 행위통제, 기업가정신(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 및 창업자기효능감 간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대상자의 창업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 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창업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창업에 대한 태도, 진취성, 성별, 이직 의도로 나타났으며, 70.5%의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다.

      • 메타미디어시대 건강커뮤니케이션의 가치에 대한 연구

        강종구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메타미디어시대 앨런 케이(Alan Kay)와 아델 골드버그(Adele Goldberg)가 만든 메타미디어(metamedia)는 새로운 기술과 새로운 미디어의 개발에서 형태와 콘텐츠 사이의 새로운 관계를 의미한다. 이 석사논문은 이러한 메타미디어 시대에서 건강커뮤니케이션의 가치를 중점으로 논해보고자 한다. 건강커뮤니케이션의 가치에 대한 연령별 인식에 관한 비교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30대, 40~50대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그들의 다양한 건강커뮤니케이션의 가치들을 실증적으로 나타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Q방법론을 적용하여 Q설문지를 통해서 연령별 일반인들의 주관적 인식 논의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일반인들의 각 연령별 3가지 가치 유형으로 분류 하였다. 20~30대 일반인들은 총 3가지 유형으로 제 1유형 [건강 중심의 가치 유형(Health based value Type) (n=8)], 제 2유형[시공간 무제약의 가치 유형(Place, Time-independent value Type) (n=3)], 그리고 제 3유형[건강 정보의 가치 유형(Health Information value Type) (n=4)]으로 분류하였다. 40~50대 일반인들은 총 3가지 가치 유형으로 제 1유형 [건강 중심의 가치 유형(Health based value Type) (n=8)], 제 2유형[삶의 질 가치 유형(Quality of Life value Tape) (n=4)], 제 3유형[자연친화적 가치 유형(Eco-friendly type) (n=3)]으로 분류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20~30대, 40~50대 일반인들의 건강커뮤니케이션의 가치에 대한 유형적 특성과 일치점을 비교 논의함으로써, 추후 건강커뮤니케이션 개발 및 활용 시 일반인들의 건강커뮤니케이션의 가치의 유형을 고려할 수 있겠다.

      • 중년 성인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 계획된 행위이론을 기반으로

        박현정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국문초록 본 연구는 중년 성인을 대상으로 계획된 행위이론을 적용하여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여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을 높일 수 있도록 정책과 홍보를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전국의 40~64세 중년 성인 230명을 대상으로 2023년 6월 15일부터 2023년 6월 2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도구는 다음과 같다. Ajzen(1991)의 계획된 행위이론의 하위요인인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는 이규은(2014)이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 접종 의도 영향요인을 연구한 도구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했다. 웰다잉 인식은 정유진(2022)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Win SPSS 28.0을 사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와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및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년 성인의 연령 평균은 46.74±6.29세이었고, 130명(56.5%)이 여자였으며, 결혼 상태는 기혼 185명(80.4%)으로 가장 많았다. 종교는 없음이 121명(52.6%)으로 가장 많았고, 학력은 대졸 이상이 157명(68.3%)으로 가장 많았다. 직업은 있는 사람이 180명(78.3%)이었으며, 월 소득은 500만 원 이상이 88명(38.3%)으로 가장 많았다. 여가생활을 하는 사람이 170명(73.9%)이었으며, 본인이 건강하다고 응답한 사람이 138명(60.0%)으로 가장 많았다. 최근 3년 이내 주변인 사망을 경험한 사람이 133명(57.8%)으로 이었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해 알고 있다고 응답한 사람이 164명(71.3%)이었으며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건강한 상태일 때 작성하겠다고 응답한 사람이 78명(33.9%)이었다. 2. 중년 성인에 대한 웰다잉 인식은 총 5점 만점에 3.82점 이었고,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에 대한 태도는 7점 만점에 5.30점이었으며,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에 대한 주관적 규범은 7점 만점에 4.80점이었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에 대한 지각된 행위통제는 7점 만점에 5.25점이었고,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의도는 7점 만점에 5.18점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의도는 나이(F=3.45, p=.033), 학력(F=7.27, p<.001), 직업(t=-2.16, p=.032),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인지(t=-4.62, p=<.001),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시기(F=2.69, p=.047)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대상자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의도는 신체적 웰다잉 인식(r=.29, p=<.001), 심리적 웰다잉 인식(r=.34, p=<.001), 사회적 웰다잉 인식(r=.34, p=<.001), 영적 웰다잉 인식(r=.26, p=<.001), 독립적 웰다잉 인식(r=.32, p=<.001), 자율적 웰다잉 인식(r=.41, p=<.001),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에 대한 태도(r=.67, p=<.001),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에 대한 주관적 규범(r=.44, p=<.001),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에 대한 지각된 행위통제(r=.57, p=<.001)와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5. 중년 성인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작성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에 대한 태도(β=.43, p<.001),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에 대한 주관적 규범(β=.23, p<.001),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에 대한 지각된 행위통제(β=.16, p=.020), 적절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시기 중 건강한 상태일 때(β=.12, p=.021) 순으로 나타났으며 회귀식의 설명력은 52%였다. 본 연구는 계획된 행위이론을 적용하여 중년 성인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의 영향요인을 파악하는데 의의가 있다. 추후 다양한 연령대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를 파악함으로써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의 대상자가 40~65세를 대상으로 하여 연령별 인구 비율대로 조사하지 못하여 연구결과를 일반화 하는데 무리가 있었다. 추후 다양한 연령대를 대상으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를 제언한다.

      • 중국연변지역 조선족과 한족 농촌주택의 현대적 변화에 관한 비교연구 : 중국사회정책변화에서 본 주택평면변화를 중심으로

        허성걸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9631

        농촌주택은 그 지방 고유의 자연적, 사회문화적 환경 등의 제반조건에 따라 농민들에 의해 축적된 생활의 지혜를 표현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중국의 연변지역에 거주하는 조선족주택 연구는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으나, 현재까지의 연구는 전통주택에 한정되고, 원형에서 공간의 성격을 파악하는 현상적인 연구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 이런 상황에서 연구 관점을 달리하여 연변지역의 조선족과 한족농촌주택이 중국사회정책의 변천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여 현재의 주거공간으로 이용되느냐를 비교분석하는 것은 주거문화의 변화성과 지속성을 이해하는 데에는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농촌주택의 흐름을 총체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중국의 사회정책을 주요 연구의 단면으로 설정하여 연변지역의 조선족과 한족의 이주정착기(1860-1940년대) 농촌주거 공간구성의 특징에서부터, 인민공사화 및 문화대혁명정책시기(1950-1970년대)를 비롯하여, 개혁개방 및 계획생육정책시기(1980-1990년대), 사회주의 신 농촌건설정책시기(2000년 이후)에 이르기까지 중국사회정책이 실시됨에 따라 기거양식이 변화되면서 주택의 공간구조에 미친 영향을 조사 분석해 보고자 하였으며,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주 정착기 조선족은 남녀노소에 따라 출입, 취침, 식사, 단란이 분리되어 이루어지는 반면, 한족은 집안의 위계에 따라 취침 공간이 분리 되며, 출입과 식사, 단란은 공동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농업을 바탕으로 한 조선족 주택은 몇 간의 살림방과 농업에 적합한 부속 공간들을 가지고 있으나, 한족은 광업노동 종사를 목표로 생존에 필요한 공간이외의 부속 공간이 없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인민공사화 및 문화대혁명정책의 영향으로 공동축사운영제도가 도입됨으로 인해 조선족주택내의 부속공간인 외양간이 소멸되고 그 자리에 창고를 설치하였다. 그리고 도시 외교의 일부 주택은 벽돌구조가 도입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농촌에 전기화된 정미소가 등장함으로 인해 주택내의 방앗간이 소멸되었다. 인민공사화와 문화대혁명은 소수민족을 한족화(漢族化) 하려는 정책이었기 때문에 한족에게는 큰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이 당시의 한족주택은 기본적인 식(食)과 주(住)의 기능만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개혁개방 및 계획생육정책은 시장경제를 바탕으로 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개인의 능력에 따라 신축주택을 짓을 수 있었으며, 새로운 재료와 기술 도입으로 인해 벽돌구조 주택이 일반화 되면서 툇마루가 소멸되었다. 또한 마을단위의 공동축사운영제도가 소멸됨으로 인해 주택지 내에 독립적으로 외양간을 건축한다. 평면구조는 방과 방 사이가 개방적으로 변하고, 침대, 싱크대, 가스레인지 등의 입식가구의 도입으로 일부 주택 내에서는 좌식+입식이라는 혼합적 기거형태를 취하고 있었다. 조선족이 적고 한족이 많은 마을에서의 조선족 주택에서 부분온돌을 설치하는 주택이 출현하였고, 한족이 적고 조선족이 많은 마을에서의 한족 주택에서는 전면을 온돌로 설치한 주택이 출현하였다. 그리고 계획생육 정책으로 핵가족화가 진행되면서 조선족의 온돌방과 한족 내옥(內屋)의 칸수가 줄어든다. 사회주의 신 농촌건설시기에는 정부에서 농촌주거환경개선정책으로 보조금을 주면서 주택의 구조와 지붕을 벽돌과 기와로 개량을 함으로 인해 초가집이 대량 소멸되었다. 또한 농촌주택에서는 화장실, 욕실, 싱크대와 같은 현대화 시설이 일반화 되면서 주택내의 기거양식은 좌식과 입식을 함께 쓰는 좌·입 혼합(坐立混合)형태로 변화한다. 그리고 핵가족화가 진행되고 남녀평등을 주장하면서, 방은 개방적인 통간형의 주택이 일반화 된다. 한족의 주택에서는 내옥의 캉(부분온돌)을 넓게 꾸며 조선족 주택의 전면온돌방식을 따랐다. 이는 두 민족이 온돌방식의 변화와 상호 융합된 결과이다. 연변조선족자치주 조선족과 한족의 시대별 중국정책변천에 따른 주택 변화를 정리해보면 주택평면은 다양하게 변화되어 왔다. 조선족은 중국 사회정책의 영향을 받으며 변화되어온 반면, 한족은 영향을 받지 않고 변화되었으며, 생존에서 생활의 단계를 거쳐 진화함과 동시에 생활방식의 필요에 따라 공간을 만들어 왔다. 이상과 같은 변화과정 이후에도 연변지역 조선족과 한족의 농촌주택은 계속 변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그 변화의 방향은 앞으로 더 기다려 보아야 확인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가 보다 체계적이고 일반화된 결론으로 정립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농촌주거의 사례조사와 실내뿐만 아니라 실외의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일 종합병원 입원환자의 병원 서비스 만족도와 관련 특성에 관한 연구

        이근연 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31

        국민의 전반적인 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환자의 기대수준도 한층 더 높아짐에 따라 양적 충족보다는 질적인 측면으로 관심이 전환되었으며 모든 사람이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요구가 그 어느 때 보다도 높다고 할 수 있다. 병원서비스에 대한 환자의 만족도는 병원경영 관리상의 중요한 개념이며, 병원서비스의 질을 논의함에 있어서도 중요한 요소의 하 나가 된다. 본 연구는 입원환자가 느끼는 병원서비스 만족도와 관련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자료 수집은 강릉시 600병상 규모의 일 종합병원에 3일 이상 입원한 환자 350명을 대상으로 2004년 8월 2일부터 8월 31일까지 하였다. 연구도구로 병원서비스 만족도 도구는 한금옥(1995)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본 연구 목적에 맞게 42문항으로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 분석은 SPSS(1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한 전산통계처리로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병원서비스 관련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2) 연구대상자의 병원서비스 만족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3) 연구대상자의 병원서비스 만족도의 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4)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병원서비스 관련 특성에 따른 병원서비스 만족도는 t-test와 ANO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성별은 여자 106명(41.2%)보다 남자가 137명(53.3%)으로 많았고, 연령은 40∼59세가 98명(38.1%)으로 가장 많았다. 학력은 고졸 93명(36.2%), 대졸 54명(21.0%)으로 연구대상자의 학력이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2) 병원서비스 관련 특성으로 입원 후 치료경과에 대해 112명(43.5%)이 매우 만족하거나 만족해했으며, 221명(86.0%)이 본 병원을 재이용하겠다고 응답하였고, 병원선택으로는 최신의료장비와 시설 114명(44.4%), 해당과의 우수한 의료진 94명(36.6%), 좋은 치료결과 71명(27.6%)등을 들고 있었다. 3) 병원서비스 만족도의 정도는 최대 평점 5점에 대해 전체 평균평점 3.65±.49점으로 전반적인 병원서비스 만족도는 '만족스럽다'에 가까운 결과가 나타났으며, 병원서비스 만족도의 요인 중 간호서비스 요인이 평균평점 3.97±.55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검사 요인은 평균평점 3.83±.60점, 의사서비스 요인은 평균평점 3.81±.69점 순으로 나타났다.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병원서비스 만족도는 성별이 관리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t=3.77, p=.05)가 있었고, 종교는 종교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F=5.77, p=.05)가 있었다. 5) 병원서비스 관련 특성에 따른 병원서비스 만족도는 입원 후 치료경과(F=13.93, p=.00), 병원 재이용 유·무(t=10.70, p=.00), 병원 권유의사 유·무(t=21.86, p=.00)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병원 선택요인에 따른 병원서비스 만족도에서는 타 의료기관의 권유가 유의한 차이(t=4.32, p=.04)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병원서비스 만족도에는 간호서비스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병원서비스에 만족하면 병원을 재이용하고, 다른 사람에게 병원이용을 권유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병원서비스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병원의 경쟁력을 갖추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병원서비스의 만족도가 낮은 부분을 분석하여 입원환자들의 만족도를 높여야 하고, 특히 간호서비스가 병원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간호의 질을 높이는데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As the level of expectation of patients increases according to the improvement of standard of living, desire for quality of hospital service has been stronger than ever, changing from quantitative satisfaction into qualitative one. The level of patient's satisfaction with hospital service provided by a hospital is thought to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in discussion about the quality of hospital services and management. This study is to find service satisfaction and related characteristics by patients of general hospital. To collect data,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350 patients hospitalized for more than three days in general hospitals categorized into secondary medical institution with 600 beds located in Kangneung from 2nd through 31st, August, 2004. For the purpose of studying hospital service satisfaction, the questionnaire initially used by Han Kum Ok(1995) was modified and compiled into 42 items to be fit for this study. The data obtained from the research through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computerized SPSS(10.0) statistics program in the manner explained in the following. 1)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employed for analyzi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and hospital services provided by the hospitals. 2)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used to analyze the satisfaction with the medical services of the participants. 3) In order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with medical services of the participants, a factor analysis was used. 4) ANOVA and t-test was employed for analyzing satisfaction with medical servic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and medical service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1) In regard to sex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female patients, accounting for 106(41.2%), were more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of 137(53.3%), while the age of 40∼59 ranked top by 98(38.1%).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was high; high school graduates were 93(36.2%), and university graduates were 54(21.0%). 2) Concerning one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hospital service, physical condition after hospitalization, 112(43.5%) of the participants responded that it was highly satisfactory. Regarding the item asking whether they would visit the hospital again, 221(86.0%) of them gave a positive answer, while decisive factors to choose a hospital included high-tech medical equipments and facilities(114 patients, which was 44.4%), excellent medical staff(94 patients, which accounted for 36.696), and good prognosis(71 patients, which was 27.6%). 3) Regarding 5-scale medical services item, overall average was 3.65?49, which meant that satisfaction with hospital services in general showed 'moderately satisfied'. Among the factors of satisfaction with hospital services, service by nurses was in the highest at average 3.97±.55, followed by test factor at average 3.83±.60 and service by doctors at 3.81±.69. 4) In relation with satisfaction with hospital servic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ex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controlling factors(t=3077, p=.05), while religion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religion factors(t=5.77, p=.00). 5) In satisfaction with hospital services according to hospital services-related characteristics, physical condition after hospitaliza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all the factors(F=13.93, p=.00). Both willingness to recommend the hospital(t=21.86, p=.00) and possibility to visit the hospital again(t=10.70, p=.00)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all the factors. Regarding to satisfaction with hospital services according to decisive factors of hospital choice, recommendation by other medical institution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all the factors(t=4.32, p=.04).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satisfaction with hospital services depend heavily on nursing service. Also, if satisfied with hospital services, patients tend to visit again and recommend to other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raise the satisfaction level with hospital services by analyzing the areas with low service satisfac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hospital. In particular, priority should be placed on improvement of services by nurses, because services by nurses proved to much influence the satisfaction level with hospital services.

      • 피부미용실 고객이 지각한 서비스품질이 전환장벽 및 고객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김설아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31

        Skin beauty salons, an area of the beauty industry, need to establish marketing strategies that dominate competition amid the rapid growth of the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academic and practical standpoint to help this strategy. The skin beauty industry market requires various strategies to manage skin beauty salons due to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reckless start-ups, low-priced competition, expansion of self care products, and expansion of the online skin beauty market. This study attempted to propose implications for marketing strategies by investigating the structur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perceived by skin salon customers, conversion barriers, and customer loyalty. This study conducted empirical analysis using a survey method, and a preliminary survey process was preceded to prove the accuracy of the study. This survey was conducted by partially revising and supplementing the contents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survey respondents and the accuracy of the survey contents.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from June 1 to July 1, 2021, and main survey was conducted for five months from August 1 to December 31. In this survey, a total of 4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among them, 359 copie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excluding 41 unanswered, unfaithful questionnaires, and uncollected questionnaires. SPSSWIN 21.0 and AMOS 21.0 program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After conducting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ith the collected data, the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indirect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through the bootstrapping procedur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rvice quality of Hypothesis 1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nversion barrier. This was adopted Second, the service quality of Hypothesis 2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loyalty. It was rejected. Third, the conversion barrier of Hypothesis 3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loyalty. It was adopted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rough previous studies, the need to analyze the structural impact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and conversion barriers,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loyalty, and conversion barriers and customer loyalty was identified In particular, it was revealed that it is suitable for measuring and analyzing the impact on service quality factors in skin beauty salons. This fact suggests that the main variables and research model us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structure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conversion barriers, and customer loyalty of skin beauty salons in the future. Therefore, it is presented as a theoretical basis for the skin salon marketing strategy. Second, it was proved that the service quality of the skin salon can affect the customer's conversion barrier and has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loyalty. This study identified the need for a strategy to use service quality and conversion barriers to strengthen management 미용 산업의 한 분야인 피부미용실은 산업의 급성장으로 경쟁의 우위를 선점하는 마케팅 전략수립이 필요하다. 이러한 전략에 도움을 주고자 학술적이고 실무적인 관점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피부미용산업의 시장은 무분별한 창업, 저가 가격경쟁, 샐프 관리제품의 확대, 온라인 피부미용시장의 확대 등의 환경변화에 따라서 피부미용실을 경영하는데 다각적인 전략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본 연구로 피부미용실 고객이 지각한 서비스품질과 전환장벽, 고객충성도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규명하여 마케팅 전략의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방법으로 실증분석을 진행하였고, 연구의 정확성을 입증하기 위해 예비조사 과정을 선행하였다. 설문 응답자의 이해와 설문 내용의 정확도를 위해 내용을 일부 수정 보완하여 본 조사를 진행하였다. 2021년 6월 1일부터 7월 1일까지 예비조사를 하였고, 본 조사는 8월 1일부터 12월 31월까지 다섯 달 동안 실시하였다. 본 조사에서 총 4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고, 이 중 무응답, 불성실한 설문지, 회수가 안 된 설문지 41부를 제외하고 359부를 가지고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실증분석에는 SPSSWIN 21.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로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후에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으며, 부트스트랩핑 절차를 통하여 간접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 1의 서비스품질은 전환장벽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는 채택되었다. 둘째, 가설 2의 서비스품질은 고객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는 기각되었다. 셋째, 전환장벽은 고객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3은 채택되었다. 이러한 논의를 기초하여 본 연구의 의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를 통하여 서비스품질과 전환장벽, 서비스품질과 고객 충성도, 전환장벽과 고객 충성도 간의 구조적 영향 관계를 분석할 필요성을 규명하였다. 특히 피부미용실 요인들에 대한 영향을 측정하고 분석에 적합하다는 것을 밝혔다. 이러한 사실은 본 연구에 사용된 주요변수들과 연구모형이 앞으로 피부미용실의 서비스품질, 전환장벽, 고객충성도 간의 관련성을 구조화 하는데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피부미용실 마케팅 전략에 이론적 근거로 제시한다. 둘째, 피부미용실의 서비스품질이 고객의 전환장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고객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경영상의 안정과 경쟁력 강화에 서비스품질과 전환장벽을 이용하는 전략을 규명하였고, 피부미용실의 충성고객 확보에 본 연구가 유효한 마케팅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어 피부미용산업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사료 된다. 실무적 시사점을 살펴보면, 피부미용실 고객과의 공감과 신뢰를 높이기 위한 지속적 노력이 충족되어야 하며 직접 서비스하는 직원과 고객 간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유지하고 개선하는데 매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일반적인 피부미용실을 대상으로 연구범위를 한정하여 실증결과를 일반화하기는 한계가 있다. 이런 제한점을 극복하고 피부미용산업에 의미 있고 실무에 유효한 성과가 있는 후속 연구가 계속해서 진행되길 바란다.

      • 골감소증군과 정상군의 골다공증 지식, 골다공증 예방적 건강증진행위 및 골밀도

        김성혜 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31

        골다공증은 사람의 활동성을 제한하고 삶의 질을 떨어뜨리며 조기 사망에 이르게 하는 심각한 대사성 질병이며, 이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실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어 골다공증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골감소증군과 정상군의 골다공증 지식, 골다공증 예방적 건강증진 행위, 골밀도에 대해 연구함으로서 골다공증 예방 및 건강증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I시 일 지역주민 중 골밀도 측정행사를 통해 연구 참여에 동의한 145명 이었다. 자료 수집은 2013년 10월 7일부터 2013년 10월 11일까지였으며, 연구도구는 Waller 등(2002)이 개발한 골다공증 관련 지식측정도구를 선광순(2003)이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골다공증 예방적 건강증진행위는 윤은주(2001)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χ2-test, t-test,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골감소증 군은 전체 대상자 중 59.3%이었다. 골감소증군은 성별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χ2=6.72, p=.010) 2. 골다공증 관련 특성에서 골감소증군과 정상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던 것은 흡연이었고(χ2=5.18, p=.023), 골감소증군이 정상군에 비해 흡연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골다공증 지식에서 골감소증군은 평균 15.99±4.0점, 정상군은 평균 16.17±4.3점으로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 골다공증 예방적 건강증진 행위에서는 골감소증군이 평균 2.52±.33점이였고, 정상군은 평균 2.59±.42점이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위영역에서 기호식품이 골감소증군은 평균 3.00±.60점, 정상군은 평균 3.29±.47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3.26 , p=.002). 5. 골밀도 관련 영양소 섭취정도는 골감소증군과 정상군 모두 단백질, 인, 나트륨은 비교적 과다 섭취하는 경향을 보였고, 특히 나트륨은 충분섭취량의 약 3배 이상 과다 섭취하였으며 칼슘, 비타민C는 권장량에 비해 덜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골감소증군과 정상군의 차이는 없었다. 6. 로지스틱 분석 결과 일반적 특성에서 골감소증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30대)(OR=3.43,CI=1.08-10.94),직업(생산노무직)(OR=2.85, CI=1.08-7.85)이었고, 골다공증 지식 문항 중에서는 ‘흡연은 골밀도에 영향을 준다.’(OR=0.10, CI=0.02-0.66), '뼈는 20-30세 정도에 뼈가 가장 단단한 최대 골밀도에 도달한다.'(OR=0.52, CI=0.27-1.02), ‘여성 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은 뼈를 강화시키는 것을 방해한다.’(OR=0.19, CI=0.06-0.59)였고, 골다공증 예방적 건강증진행위 중에서는 ‘소다수를 자주 마신다.’(OR=0.40, CI=0.22-0.73), ‘술을 자주 마신다’(OR=0.46, CI=0.24-0.90), ‘흡연을 한다.’(OR=0.21, CI=0.06-0.75)이었다. 이상으로 볼 때, 골감소증군과 정상군에서 차이가 있었던 성별, 흡연, 기호식품과 골감소증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등을 고려하여 성인의 골다공증 지식을 향상시키고, 골다공증 예방적 건강증진 행위의 적극적 실천을 유도함으로써 골다공증 예방 및 건강증진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