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Hospitality기업의 기관투자자와 외국인투자자는 효과적인 외부감시주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가?

        정유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47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institutional investors and foreign investors play an effective role as outside monitors for companies whose stocks are traded on the KOSDAQ and Korean Stock Market among the hospitality firms in the hospitality industry. The financial information used in the research was collected through each company’s annual report, financial report of DART system and corporate finance information data of Kis-Value and FnGuide from the first quarter of 2011 to the fourth quarter of 2017 for 7 years. According to the above method, a total of 532 enterprise-quarterly samples were selected from a total of 19 sample firms, and finally 363 samples were selected as valid samples by removing missing data and extreme values. To determine the effect of institutional investor and foreign investor in hospitality firms on their role as outside monitors, institutional investor's ownership and foreign investor's ownership was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firm value was selected as a dependent variable for confirming the effective role of outside monitors and Tobin's Q was used as surrogate variable of firm value. ROA, leverage, firm size, and quarter dummy were used as control variabl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o the effect of institutional investor's ownership and foreign ownership on firm value, It was repor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to firm value at institutional investor’s ownership at 5% level and foreign ownership at 1% level. Thus, this study confirmed that institutional investors and foreign investors had played a role as effective outside monitors contributing to firm value. In addition, institutional investor's ownership and foreign ownership of hospitality firm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value whereas square of institutional investor's ownership and foreign ownership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firm value. It means that up to a certain ownership, it played a role to increase the firm value, but it had a negative effect on firm value in a certain ownership or a range exceeding a certain ownership.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A further piecewise linear regression was used to determine which range of the ownership was the reflection point at which the effect on firm value change and verified that reflection point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flection point. As a result, institutional investor’s ownership and foreign ownership showed a nonlinear relationship (convex inverted U-shape) with firm value, and Tobin's Q average value tended to increase within a certain range. However, Tobin's Q average value tended to decrease from the exceeding certain ownership. In conclusion, institutional investor’s ownership and foreign ownership play a role as effective outside monitors for the hospitality industry and it has a positive function within a certain range but it can be judged that it loses its function if it exceeds a certain rang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hospitality firms in the hospitality industry played an effective role as outside monitors according to ownership structure. This study has an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was a preliminary study including an institutional investor in ownership structure and by adding the square of institutional investor’s ownership and foreign ownership, it proved the nonlinear relationship by finding "convex inverted U-shaped" between institutional investor’s ownership, foreign ownership and firm value. In addition, by detecting the reflection point through additional piecewis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firm value was decreased when the ownership was exceeded. This implies that appropriate level of institutional investor’s ownership and foreign ownership can contribute to firm value enhancement.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to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 that can be used as an important reference for investment decision for CEO and investors. 본 연구는 환대 산업의 Hospitality 기업 중 코스닥 시장 및 한국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어 주식이 거래되고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기관투자자와 외국인투자자가 외부감시주체로서의 효과적인 역할을 수행하는가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에 활용한 재무정보는 2011년 1분기부터 2017년 4분기까지 7년까지의 각 기업 별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의 사업보고서, 결산보고서 및 Kis-Value, FnGuide의 기업재무정보데이터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위의 방법에 따라 총 19개의 표본 기업의 기업별-분기별 표본 532개를 선정하였고 결측치와 극단치를 제거하여 최종적으로 363개를 유효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Hospitality 기업의 기관투자자와 외국인투자자가 외부감시주체로서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지에 대한 영향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기관투자자지분율과 외국인투자자지분율을 독립변수로 선정하였다. 외부감시주체로서의 효과적인 역할 수행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종속변수로 기업가치를 선정하였으며 기업가치의 대용변수로는 Tobin's Q 를 활용하였다. 통제변수로는 총자산이익율(ROA), 부채비율(Leverage), 기업규모(Size), 분기더미(Quarter Dummy)를 활용하였다. 기관투자자지분율과 외국인지분율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변수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특정 기관투자자지분율은 5% 수준에서, 외국인지분율은 1% 수준에서 모두 기업가치에 유의한 양(+)의 관계를 보고하여 기관투자자와 외국인투자자가 기업가치 제고 기여하는 효과적인 외부감시주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Hospitality 기업의 기관투자자지분율 및 외국인지분율이 가치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며 기관투자자지분율과 외국인지분율의 제곱항은 기업가치에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특정지분율까지는 기업가치를 제고하는 주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나 특정 지분율 또는 특정 지분율을 초과하는 구간에서는 기업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통하여 독립변수와 종속 변수 간의 비선형관계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가로 실시한 piecewise 선형회귀분석을 통하여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변화하는 변곡점(reflection point)이 어느 지분 율 구간인지와 그 변곡점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곡점인지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기관투자자지분율 및 외국인지분율이 기업가치와 비선형성 관계(볼록한 역 U자 형)를 보이며 일정 범위 내에서는 Tobin's Q 평균값이 증가하는 경향 보였으나 일정 지분율을 초과하는 구간에서부터는 Tobin's Q 평균값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기관투자자지분율과 외국인지분율은 Hospitality 기업 효과적인 외부감시주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요소로 작용하나 일정 범위 내에서는 순기능적 역할을 하고 있으나 일정 범위를 초과하면 그 기능을 상실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환대 산업의 Hospitality 기업을 대상으로 소유구조에 따른 외부감시주체로서 효과적인 역할을 수행하는지에 대한 연구로 소유구조에 기관투자자를 포함하여 실시한 효시적인 연구라는 점과 기관투자자지분율과 외국인지분율의 제곱항을 추가하여 기관투자자지분율 및 외국인지분율과 기업가치 간에 “볼록한 역 U자 형”이 존재함을 발견하여 비선형 관계를 증명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갖는다. 또한 추가적인 piecewise 선형회귀분석을 통하여 변곡점을 발견하여 일정 지분율 초과 시 기업가치는 하락한다는 것을 규명하여 기업가치 제고에 기여하는 적정 수준의 기관투자자지분율과 외국인지분율을 실증적으로 제시함으로서 기업의 경영자 및 투자자들의 투자의사결정에 중요한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전달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 감성적 체험 사이버 커뮤니티 환경구축을 위한 연계연구 : 전략적 체험 멀티미디어 컨텐츠 구성을 중심으로

        정유리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47

        연계 논문의 형식은 다양한 속성에 대한 해석을 객관화하고 좀 더 많은 연구와 논문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하나의 목표점을 향해 두 개의 다른 영역에서 진행해 나가는 방법을 취하는 것을 말한다. 이번 연계 논문은 두 개의 논제(자유와 영역)와 이들의 연계(NEXUS)로 이루어진 하나의 작품(OPUS)으로 구성된다. 객체의 의미가 부여된 ‘자유’와 장소성의 의미를 갖는 ‘영역’을 통해서 하나의 커다란 힘을 갖는 communication 이론을 구현하여, 새로운 시각과 의미체계를 갖는 온라인 가상공간인 [Meta world] 내의 [Entire_Ex. Society]를 디자인하는 것이 이번 논문의 목적이다. 일반적으로 커뮤니티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주체, 내용, 영역, 매체’라는 네 가지의 요소가 충족되어야 하는데 이를 연계의 두 가지 논제 요소(주체와 내용, 영역과 매체)로 설정하여 진행했으며. [Entire_Ex. Society]를 구축하기 위해서 ‘전략적 체험 멀티미디어 컨텐츠 구성(정유리)’과 ‘가상현실 웹 솔루션 시스템 구축(김수홍)’이라는 두가지의 구체적 논제로 각각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전략적 체험 멀티미디어 컨텐츠 구성을 중심으로’ 쓴 논문의 서술 방법 체계는 다음과 같다. 1 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 그리고 방법을 서술하였다. 2장에서는 연구를 위한 고찰단계로 미시적 차원의 라이프 스타일 [VALS]와 전략적 체험 영역인 [SEMs]가 갖는 상관성을 고찰한 후, 이에 대한 인식을 통하여 하나의 경험적인 컨텐츠 트렌드를 제시한다. 3장에서는 [VASA_STRAM]을 통해 구현된 ‘경험적 경계 모듈’인 [CONVENTION]을 이용하여 기존 가상공간의 구성과 특성을 분석한 후, 새롭게 제안된 컨텐츠 트렌드에 대한 당위성을 제시한다. 4장에서는 ‘COSEG(Component Segmentation) 분석’과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축 프로세스’를 통해 [Entire_Ex. Society]의 컨텐츠 영역인 지(知)·가(假)·감(感)·교 (交)의 컨텐츠 구성의 시놉시스를 제시한다. 5장에서는 경험적인 컨텐츠 방법론과 감성적 체험 웹 솔루션 시스템 구축 방법론을 통해 [Entire_Ex. Society]의 구체적인 가상공간을 구상하여 본다. 6장에서는 결론부분으로 앞에서 연구된 연구과정을 토대로 하여 온라인 가상공간에서의 감성적이고 효율적인 체험적 요소에 대한 발전 가능성을 제시하고 그 내용에 대한 문제점을 검토하여 본다. The Form of [NEXUS] is that two theses made by process of two different scope are going to one goal for objectifying explanation about various properties and verifying property of thesis. This [NEXUS] study is organized in two different subject(Free & Field) and one [OPUS] made by [NEXUS]. This thesis' purpose is that we embody one powerful communication theory through 'Free', the meaning of the object and 'Field', the meaning of place and design [Entire_Ex. Society] in on-line cyber space, [Meta World]. Generally for constructing cyber community, we must satisfy four strategic points, 'Subject, Contents, Area, Media'. So we set up two subject point(Subject-Contents, Area-Media) of [NEXUS], and progress our theses. For constructing [Entire_Ex. Society], we advance each thesis in two specific subject, 'Strategic Experiential Multimedia Contents(by Chung yu ree)' and 'Emotional Experiential web solution system(by Kim soo hong)' It is as follows the predicative way of 'The Specific Study on the Composition of the Strategic Experiential Multimedia Contents' In the chapter 1, this study shows purpose, range, process, method and background of study. In the chapter 2, this study describes the correlative study of micro life style [VALS] and strategic experiential modules [SEMs], and then suggests experiential contents trend. In the chapter 3, after analyzing composition and character of existing cyber space using experiential boundary modules [CONVENTION] materialized by [VABA_STRAM], this study suggests logicality about new conceptional contents trend. In the chapter 4, through 'COSEG analysis' and 'Brand Identity Construction Process' this work extract synopsis of contents structure about new contents area, 'Fact. Imagination. Emotion. Relationship' In the chapter 5, by means of 'experiential contents methodology' and 'Emotional Experiential web solution system construction methodology ', we design definite cyber space of [Entire_Ex. Society]. In the chapter 6, on the basis of the preceding part, this study try to propose developmental possibility about emotional efficient experiential factors in on-line cyber community and examine throughly the questions of the conclusion.

      • 학생부종합전형 정책에 대한 입학사정관의 순응·불응 행태 분석

        정유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what kind of compliance and non-compliance behaviors admission officers show on comprehensive evaluation system of high school records(CESSR) policy, and to analyze the contextual factors of such behaviors. An admission officer, who is the main enforcer of CESSR policy, operates a university admission screening program for student selection and a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project. In the course of policy enforcement, the compliance and non-compliance of the enforcer are important factors in determining the success and failure of the policy. Therefore, the more important the policy of enforcement site is, the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whether the enforcer complies with the policy or not and their behavior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policy enforcement process at the university site by analyzing the compliance and non-compliance behaviors of admission officers on CESSR policy and the situational context. This not only makes it possible to know how the policy is enforced by them, but it also makes it possible to understand the university site that operates the university admission system. In particula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ain enforcer as admission officers, the reality of CESSR policy can be reviewed, and th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the university admission system can be obtained.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kind of compliance behaviors did admission officers show in the course of enforcing CESSR policy, and what are the contextual factors that affected the behaviors? Second, what kind of non-compliance behaviors did they show in the process of enforcing CESSR policy, and what are the contextual factors that affected the behaviors? In order to analyze the compliance and non-compliance behaviors of admission officers, the background knowledge of the study was presented through theoretical discussion, and an analysis framework was established. First, ‘compliance’ was defined as the behavior of the admission officer is superficially consistent with the contents and guidelines of CESSR policy, and ‘non-compliance’ was done as that of the admission officer isn’t superficially consistent with the contents and guidelines of the policy. In addition, the types of compliance and non-compliance behaviors were classified into ‘intentional compliance’, ‘unintentional compliance’, ‘unintentional non-compliance’, and ‘intentional non-compliance’, using the theory of Sorg(1983), which combines external behaviors and internal intention. More detailed behavior patterns were embodied using the theories of previous studies. In order to solve the research questions, an analysis using qualitative data was conducted. This enables in-depth understanding and in-depth analysis of real phenomena. The main data sources of the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auxiliary data sources were done through literature research.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April to July 2020 with 11 admission officers selected through intentional sampling and theoretical sampl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procedure of Seidman(2006) based on the analysis framework established by the researcher. The main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dmission officers showed compliance behaviors of ‘acceptance’ and ‘revision attempts’ with the intention of complying with CESSR policy, while though they did not intend to comply with the policy, they showed ‘formal compliance’ and ‘paper compliance’. Specifically, when they intended to comply with the policy, they accepted the policy as it was, and in situations where it was difficult to follow the policy, they showed the behavior to comply with the policy with an ‘attempt to revise’ to the extent permit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r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In the intentional compliance behaviors like this, the coercion of policy, the influence of financial support projects, the bureaucratic structure of the university, and the hope of the policy worked as common factors. However, in the revision attempt behaviors, the lack of enforceable resources and the disadvantages that the university would face worked as the contextual factors that forced them to try to revise. Meanwhile, even though they did not intend to comply with the policy, they showed unintentional compliance behaviors to the policy. They showed ‘formal compliance’ in which the contents and results of their enforcement did not correspond to the actual policy goals and guidelines, and they formally enforced the policy, and ‘paper compliance’ in which they seemed to comply with the policy only on paper by inflating their performance. These behaviors were influenced by excessive work, lack of resources, and the negative perception of the need for policy. In addition, the coercion of a policy, the influence of financial support projects, essential result reporting, and formal monitoring also served as contextual factors. Second, though admission officers had no intention of not complying with CESSR policy, they showed some unintentional non-compliance behaviors, doing “adding” and “subtraction” to the policy. In addition, they showed non-compliance behaviors, such as ‘delay’, ‘discretionary change of policy’, and ‘attempts to cancel or change policy’ with the intention not to follow the policy. Specifically, they showed ‘adding’ behavior, that they didn’t comply with the policy by adding various procedures or materials while performing work, and ‘subtraction’ behavior, the unintentional behavior, that they didn’t comply with the policy by reducing procedures or contents. These behaviors were caused by the situation where there was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policy by admission officers and where they had to enforce the policy despite the lack of enforcement discretion and resources. In addition, there was also an intentional non-compliance behavior of admission officers, who intended to disobey the policy. That is, they showed the behaviors of ‘delay’, that they postpone the introduction or change of policy guidelines, ‘discretionary change of policy’, that they arbitrarily change the goals, contents and targets of policies to suit their own convenience, and ‘attempts to cancel or change policies’, that they try to change or eliminate the policy itself. The reasons they showed these behaviors were due to frequent changes in policy, negative perception of the need for policy, and a conservative and rigid organizational culture. In addition, excessive work, insufficient resources, lack of executive capacity and motivation, unclear policy guidelines, distrust of the policy itself, and relatively large discretion also acted as contextual factors. The discuss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The characteristics of ‘personal level’, ‘organizational structure level’, and ‘policy level’ affected the compliance and non-compliance behaviors of admission officers. These characteristics had different effects on admission officers’ compliance with or disobeying the policy. Specifically, the characteristics at the individual level included ‘work of admission officers’, ‘personal ability’, ‘identity recognition’, and ‘degree of discretion’. The characteristics at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level included ‘the bureaucratic structure of the university’ and ‘work environment’. The characteristics at the policy level included ‘the coercion of CESSR policy’, ‘the influence of the financial support project’, and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policy’. These characteristics each affected admission officers, acting as contextual contexts which made them show different compliance and non-compliance behaviors even under similar condit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bove, the suggestions of policy and for further researches are as follows. First, policy suggestions at admission officer level are as follows: 1) Measures to secure expertise should be discussed so that admission officers can properly enforce CESSR policy. 2) An environment must be created that can increase their motivation. 3)Concrete plans are needed to encourage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the policy. Next, policy suggestions at the institutional level are as follows: 1) Systematic studies and sufficient discussion are needed to secure the legitimacy of CESSR policy. 2)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evaluation method and qualitative evaluation of CESSR. 3) As each university has a different situational and structural context, understanding of it needs to be preceded, and policies are need to be promoted. 4) A bottom-up approach to university admission policy is necessary in order to spread CESSR policy and to lead to successful results. Seco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es are as follows: 1) Researches are needed for admission officers working at the universities in various regions. 2) Empirical studies are needed on the factors of compliance and non-compliance of admission officers. 3) Follow-up researches are needed to see how the compliance and non-compliance behaviors of admission officers have affected the actual policy performance. 이 연구는 학생부종합전형 정책에 대하여 입학사정관이 어떠한 순응 및 불응 행태를 보이는지 살펴보고, 이러한 행태의 맥락적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입학사정관은 학생부종합전형 정책의 주요 집행자로서 학생선발을 위한 대입전형과 정부의 재정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정책집행과정에서 집행자의 순응(compliance)과 불응(non-compliance)은 정책의 성공과 실패를 좌우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되므로, 집행현장이 중요한 정책일수록 집행자의 순응·불응 여부와 행태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생부종합전형 정책에 대한 입학사정관의 순응·불응 행태와 상황적 맥락을 분석함으로써 대학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정책집행과정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는 입학사정관에 의해 정책이 어떻게 집행되고 있는지 알 수 있게 해줄 뿐만 아니라 대입제도를 운영하는 대학 현장에 대한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특히, 입학사정관이라는 주요 집행자의 관점에서 학생부종합전형 정책의 실제를 조망할 수 있고, 대입제도 개선과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부종합전형 정책집행과정에서 입학사정관은 어떠한 순응행태를 보이며, 행태에 영향을 미친 맥락적 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학생부종합전형 정책집행과정에서 입학사정관은 어떠한 불응행태를 보이며, 행태에 영향을 미친 맥락적 요인은 무엇인가? 입학사정관의 순응·불응 행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이론적 논의를 통한 연구의 배경지식을 제시하고 분석틀을 수립하였다. 먼저, ‘순응’은 입학사정관의 행동이 학생부종합전형 정책의 내용, 지침과 표면적으로 일치하는 것으로, ‘불응’은 입학사정관의 행동이 정책의 내용, 지침과 표면적으로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순응·불응 행태 유형은 외현적 행동과 내부적 의사를 결합한 Sorg(1983)의 이론을 활용하여 ‘의도적 순응’, ‘비의도적 순응’, ‘비의도적 불응’, ‘의도적 불응’으로 구분하였으며, 보다 세부적인 행태 유형은 선행연구들의 이론을 활용하여 구체화하였다.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질적 자료를 활용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는 실제 현상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심층적인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연구의 주요 자료원은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보조적인 자료원은 문헌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심층면담은 의도적 표집 및 이론적 샘플링을 통해 선정한 11명의 입학사정관을 대상으로 2020년 4월부터 7월까지 이루어졌다. 수집한 자료는 연구자가 수립한 분석틀을 토대로 Seidman(2006)의 자료 분석 및 해석의 절차를 거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입학사정관은 학생부종합전형 정책에 따를 의도를 가지고 ‘수용’과 ‘수정시도’의 순응 행태를 보인 반면, 정책에 따를 의도는 없지만 순응하는 ‘형식적 순응’과 ‘서류상 순응’의 행태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입학사정관은 정책에 순응할 의도를 가지고 있을 때 정책을 그대로 받아들여 ‘수용’하고 있었으며, 정책을 따르기 어려운 상황에서는 교육부나 대교협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수정을 시도’하여 순응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와 같은 의도적 순응 행태에는 정책의 강제성, 재정지원사업의 영향력, 대학의 관료적 구조, 정책의 소망성이 공통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다만 수정시도 행태에는 집행가능한 자원 부족과 대학이 받게 될 불이익이 어쩔 수 없이 수정을 시도하게 된 맥락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한편, 정책에 순응할 의도를 가지고 있지 않음에도 정책에 순응하는 비의도적 순응행태도 나타났다. 입학사정관은 집행한 내용이나 결과가 실제 정책의 목표나 지침에 맞지 않고 형식적으로 집행하는 ‘형식적 순응’의 모습과, 실적을 부풀려 서류상에서 정책에 순응한 것으로 나타나는 ‘서류상 순응’의 모습을 보였다. 이와 같은 행태에는 과도한 업무, 자원 부족, 정책의 필요성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영향을 미쳤으며, 이와 함께 정책의 강제성, 재정지원사업의 영향력, 필수적인 결과보고와 형식적인 감시도 맥락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둘째, 입학사정관은 학생부종합전형 정책에 불응할 의도가 없지만 정책에 ‘더하기’와 ‘빼기’를 하면서 비의도적인 불응의 모습을 일부 나타냈고, 정책에 따르지 않으려는 의도를 가지고 ‘지연’, ‘정책 임의 변경’, ‘정책 취소·변경 시도’라는 불응 행태를 나타냈다. 구체적으로, 입학사정관은 정책에 불응할 의도가 없으나 업무를 수행하면서 각종 절차나 자료를 추가하여 정책에 불응하는 ‘더하기’와, 절차나 내용을 축소하여 불응하는 ‘빼기’ 의 비의도적 불응 행태를 나타냈다. 이러한 행태는 입학사정관이 정책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상황, 집행 재량과 자원이 부족함에도 정책을 집행해야 하는 상황이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입학사정관이 정책에 불응할 의도를 가지고 있는 의도적 불응 행태도 나타났다. 입학사정관은 정책지침을 새로 도입하거나 변경하는 것을 미루는 ‘지연’, 정책 목표, 내용, 대상을 자신의 편의에 맞춰 임의로 변경하는 ‘정책 임의 변경’, 정책 자체를 변경하거나 없애버리려는 ‘정책 취소·변경 시도’ 행태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행태를 보이는 이유에는 정책의 잦은 변화, 정책 필요성에 대한 부정적 인식, 보수적이고 경직된 조직문화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과도한 업무, 부족한 자원, 집행능력 및 의욕 부족, 명확하지 않은 정책지침, 정책 자체에 대한 불신, 상대적으로 많은 재량도 맥락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입학사정관의 순응·불응 행태에는 ‘개인적 차원’, ‘조직구조 차원’, ‘정책 차원’의 특성들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특성들은 입학사정관이 정책에 대하여 순응하거나 불응하는 데 각기 다른 영향을 미쳤다. 세부적으로 개인적 차원의 특성에는 ‘입학사정관의 업무’, ‘개인적 능력’, ‘정체성 인식’, ‘재량권 정도’가 포함되며, 조직구조 차원의 특성에는 ‘대학의 관료적 구조’와 ‘근무환경’이 포함되었다. 정책 차원의 특성에는 ‘학생부종합전형 정책의 강제성’, ‘재정지원사업의 영향력’, ‘정책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포함되었다. 이와 같은 특성들은 입학사정관에게 각각 영향을 미쳐 유사한 조건에서도 서로 다른 순응·불응 행태를 나타내게 하는 상황적 맥락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제언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먼저 입학사정관 차원의 정책적 제언이다. 1) 입학사정관이 학생부종합전형 정책을 제대로 집행할 수 있도록 전문성 확보 방안이 논의되어야 한다. 2) 입학사정관의 의욕을 높일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3) 정책에 대한 입학사정관의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할 구체적인 방안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제도적 차원의 정책적 제언이다. 1) 학생부종합전형 정책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체계적인 연구와 충분한 논의가 필요하다. 2) 학생부종합전형 평가 방법과 정성평가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3) 각 대학이 처한 상황적, 구조적 맥락이 다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고 정책이 추진될 필요가 있다. 4) 학생부종합전형 정책을 확산시키고 성공적인 성과를 이끌어내기 위해서 대입정책에 대한 상향식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1) 다양한 지역의 대학에 근무하는 입학사정관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 2) 입학사정관의 순응과 불응 요인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필요하다. 3) 입학사정관의 순응·불응 행태가 실제 정책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확인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다문화 가정과 아동 교육 : 필리핀 가정을 중심으로

        정유리 총신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자녀양육의 어려움을 알아 본 후, 실질적인 교회사역 방안을 제안하고자,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따라서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 유연성과 자아 존중감, 부모와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양육 행동에 따라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 유연성 과 학업 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따라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다문화 가정을 위해 필요한 구체적인 교회 사역은 무엇인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울 금천구에 위치한 신일교회 필리핀 다문화 네 가정의 어머니, 아동, 방과후 교사, 소그룹 지도자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심층면접을 위해 사전조사를 위한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면접녹음내용과 질문지를 본 논무의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사용한 연구도구로는 양육행동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Crase 와 그의 동료들(1978)이 개발한 아이와 부모양육행동 척도(IPBI: IOWA Behavoir Inventory: Mother Form)이며, 홍계옥(1994)이 번안, 번역, 수정하여 필리핀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측정할수 있도록 사용하였으며, 아동의 자아존중감 척도는 Rosenberg(1962)가 설계하고, 김충희(1995)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고, 스트레스 대처 행동 척도는 ‘한국청소년개발원’에서 개발한 척도, 부모와의 관계, 친구와의 관계에 대한 척도는 한국 청소년 개발원에서 개발한 한국 청소년 패널 조사(KYPS)Ⅲ(2005)에 수록된 척도를 사용한. 학교생활 적응 유연성 척도는 Hermandez 가 사용한 학교생활에 대한 흥미와 교사와의 관계, 교우관계, 학습활동, 규칙준수, 학교 행사 참여로 구성된 학교생활 적응 척도(조한익 외1990)를 박현선(1999)이 수정 보완하여 만든 질문지를 면접지로 사용하였다. 질문지에 사용된 도구들은 한경진(2011)의 논문에서 그 신뢰도를 검증한 것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일반사항과 자녀 양육의 어려움을 알아보기 위한 항목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면접녹음내용과, 수집된 자료, 기존 조사된 연구를 토대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와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따른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 유연성은 애정성과 반응성을 높이 가진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덜 거부 제재적일 수록 자녀의 학교 생활적응 유연성과 학업성취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애정성이 높은 자녀의 학교생활과 수업태도에 적극적인 태도를 취했지만, 애정성이 낮은 어머니의 경우 자녀의 학교생활과 수업태도에 소극적이며, 부모의 훈육에 대한 반항적인 태도로 인해 어머니는 양육에 대한 불안감과 능력에 대한 자신감이 낮았다. 또한 다문화 가정 어머니로서 한국어 능력에 따라 자녀와의 깊은 대화와 훈육에 대하여 어려움을 가졌고, 이로 인한 자녀와의 관계에 어려움을 가질 수 있다. 애정이 낮더라도, 반응성이 높은 어머니의 경우 자녀의 학업성취와 수업과제 수행평가는 높게 나타났으나,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대한 자녀의 인식은 부정적인 태도를 가졌다.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제한성을 가진 양육행동에 따라, 다소 엄격하게 아동의 생활에 관여는 것이 아동의 학습능력은 높았다. 제한성을 둔 행동은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외국인을 둔 엄마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경우 제한을 정해두고, 엄격한 지도할 때, 단체생활에 대한 기본적인 태도와 학업성취도가 높았으나, 외국인을 둔 엄마에 대해 부끄럽게 생각하고 부정적인 태도가 강할 때, 아동이 공격적 행동, 단체생활에서 참여하지 못하고 개인적인 활동, 불안감을 가졌다. 둘째, 다문화 가정 아동은 어머니가 온정적이고, 애정, 지지, 합리적 설명 등 긍정적인 행동임을 지각 할 때, 아동의 자아 존중감이 높았다. 반면 아동은 어머니가 아동에게 거부, 제재, 제한 등으로 양육한다고 지각 할 때는 자아 존중감이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가지고 본 연구를 요약하자면 필리핀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양육행동의 영향력이 아동의 학교생활과 사회 능력, 대인관계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아동의 자아 존중감의 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재확인 할 수 있었다. 타국인이 너희 땅에 거류하여 함께 있거든 너희는 그를 학대하지 말고 너희와 함께 있는 타국인을 너희 중에서 낳은 자 같이 여기며 자기 같이 사랑하라. (레위기 19:33-34) 자녀 양육의 어려움을 겪는 것은 한국인 부모나 외국인 부모나 마찬가지이다. 하지만, 낯선 한국 땅에 시집와 생활하는 다문화 가정 어머니는 문화적 충돌, 언어소통의 어려움, 경제적 어려움과 같은 복합적인 문제들을 가지고 있다. 한국으로 이주해 결혼해 살고 있는 이주자 여성들이, 한국 국적을 가지고 살아가는 자녀들을 사랑으로 양육하고, 지도하기 위해서 교회는 함께 합력하여 선을 이루며 도와가며, 서로 사랑하는 방법을 가르쳐, 다문화 가정이 육적으로도, 영적

      • 저가항공사와 대형항공사 간의 재무비율 및 부실예측 비교

        정유리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low cost carriers boom began in 1971 when Southwest Airlines roamed the skies of USA and those carriers has been increasing in number all over the world recently. In case of Korea, Hansung Airlines spurred the boom of low cost carriers in 2005 and there are 5 more low cost carriers in service now in 2009. Following the survey, low cost carriers in Korea have been gaining customer approval for the flight service and receiving wonderful reviews especially in terms of the load factor. However, some of low cost carriers in Korea, like Hansung Airlines and Yeongnam Air, went bankrupt unfortunately.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hasize that the management by the point of financial view is important to make a profit. More specifically, in this study, the financial view focus on comparison of financial analysis through financial ratios and prediction of corporate bankruptcy between the low cost carriers and the full service carriers in Korea. The financial ratios were sampled from Korean Air and Asiana Airlines as the major full service carriers and Hansung Airlines and Jeju Air as the low cost carrie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ull service carriers is better than the low cost carriers in the aspect of financial status. Especially notable is that the financial safety of low cost carriers is worsening. Moreover the result of the prediction of corporate bankruptcy by Z-score model which is developed for US firms shows all of the samples, Korean Air, Asiana Airlines, Hansung Airlines, Jeju Air, are likely to go bankrupt. Korean low cost carriers should make every effort to strengthen safety of financial status, manage efficient cost, and achieve economy of scale for their great success.

      • 미용성형 의료서비스품질이 지각된 가치와 태도 및 관광행동에 미치는 전이효과 연구 : 중국 미용성형 여성을 대상으로

        정유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61.5-billion-dollar global cosmetic industry has been led by the United States (19%) and Brazil (11%)(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 2019). Following the two leaders, China (10%) is emerging as a major power in cosmetic surgeries with 10.2 million people who experienced cosmetic surgeries, surpassing Brazil’s 9.6 million and chasing the United States’ 16.6 million(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 2019). Thus,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effect of cosmetic medical service quality on perceived values and whether these values have a consequential impact on attitude and tourism behavior, specifically in Chinese women who experienced cosmetic surgeries. This study applied the Trust Transfer Theory to investigate if the attitude toward cosmetic surgery has any effect on the attitude toward South Korea. In summ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ly revealed that empathy and tangibility, two critical factors of cosmetic medical service quality, positively influence emotional, functional, and social values. This study also found that reliability, responsiveness, and assurance have positive impacts on social, emotional, and functional values,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medical institutions’ facilities and medical professionals’ care and sympathy are the fundamental factors that induce values toward cosmetic surgeries in the study group. Secondly, the three perceived values had positive impacts on the attitude toward cosmetic surgeries, and the degree of influence was greatest to smallest in the order of emotional, functional, and social values. This finding suggested that the value generated emotionally in this study is a key factor in inducing a positive attitude toward South Korean cosmetic surgeries. Thirdly, the attitude toward South Korean cosmetic surgeries positively influenced the attitude toward South Korea. The finding suggest that reliability and image of South Korea generated from the positive attitude toward cosmetic surgeries should lead Chinese women to get to know South Korea and to have a positive image and attitude toward South Korea by trust transfer effect. Lastly, attitudes toward South Korea and its cosmetic surgeries positively influenced tourism behavior. This suggests that positive attitudes toward South Korean and its cosmetic surgeries are important factors that influence tourism behaviors. In conclusion, this study focused on cosmetic surgeries, among other medical services, to provide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an attitude toward cosmetic surgeries in transferring into the attitude toward a country by Trust Transfer Theory. Moreover, the study investigated the meaningful impact of an attitude toward cosmetic surgeries and consequent attitude toward a country on tourism behavior. Ultimate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in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ies that target Chinese females involved in cosmetic surgeries 전 세계 의료미용 산업의 규모는 615억 달러로 미국(19%)과 브라질(11%)에 이어 중국은 3위 시장(10%)을 차지하고 있다(한국무역협회, 2019). 그러나 중국의 성형·시술 경험자는 1,020만 명으로 브라질(960만 명)을 제치고, 미국(1,660만 명)과 함께 ‘2대 성형대국’으로 부상하고 있다(한국무역협회, 2019). 따라서 중국은 미용성형의 주요 시장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중국인 미용성형 여성들을 대상으로 의료서비스품질이 가치에 미치는 영향과 가치가 태도와 관광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신뢰전이 이론(Trust Transfer Theory)을 적용하여 미용성형에 대한 태도가 우리나라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해보면, 첫째, 미용성형 의료서비스품질 요인 중 공감성과 유형성은 3가지 가치(감정적, 기능적, 사회적 가치)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료서비스품질 중 신뢰성은 사회적 가치, 반응성은 감정적 가치, 확신성은 감정적 가치와 기능적 가치에 각각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의료기관의 시설, 의료진들의 배려와 공감은 미용성형에 대한 가치를 느끼게 하는 가장 핵심적인 요인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3가지 지각된 가치는 모두 미용성형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영향정도는 감정적 가치, 기능적 가치, 사회적 가치의 순이었다. 이는 감정적으로 느끼는 그들의 가치가 한국 미용성형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의미한다. 셋째, 한국의 미용성형에 대한 태도는 한국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의 미용성형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로 생긴 신뢰 및 이미지가 한국을 직접 경험하지 않아도 한국이라는 나라를 알게 되고, 전이 현상으로 인해 한국에 대한 국가 이미지나 태도가 긍정적으로 형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한국의 미용성형에 대한 태도와 한국에 대한 태도는 관광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 미용성형과 한국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는 관광행동의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제시해준다. 본 연구는 의료서비스 중 미용성형으로 세분화하고, 신뢰전이 이론을 적용하여 미용성형 태도가 국가 태도로 전이되는지를 규명하였다는 측면에서 학술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또한 미용성형에 대한 태도와 이로 인한 국가 태도가 관광행동에 영향을 주는지를 규명하였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중국 미용성형 여성들에 대한 마케팅전략을 수립하는데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 중환자실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조직몰입의 조절 및 매개효과

        정유리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 이직의도, 조직몰입의 정도를 파악하고, 간호근무환경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몰입의 조절 및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방법: 본 연구는 예측적 상관관계 연구로 연구 대상은 D광역시에 소재한 상급종합병원 한곳에서 근무하는 경력 6개월 이상의 중환자실 간호사 중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 간호사 13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22년 7월 14일부터 2022년 7월 28일까지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5.0 Program을 사용하여 백분율, 빈도, 평균,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사후검정,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Sobel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성별은 여자 120명(88.2%), 남자 16명(11.8%)이었다. 연령은 평균 29.09±6.25세로 20대가 90명(66.2%)으로 가장 많았으며, 종교는 무 107명(78.7%), 결혼 상태는 미혼 109명(80.2%), 최종학력은 학사 졸업이 87명(64.0%)으로 가장 많았다. 주관적인 건강상태는 보통이다가 72명(52.9%)으로 가장 많았으며, 직무형태는 3교대가 135명(99.3%)으로 대부분이었다. 총 임상 근무경력은 평균 72.68±79.29개월(약 6년 1개월), 현 부서 근무경력은 평균 38.25±38.81개월(약 3년 2개월)이었다.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132명(97.1%)으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월 급여는 200만원 이상-300만원 미만이 69명(50.7%)으로 가장 많았다. 1일 평균 근무시간은 평균 514.63±34.42분(약 8시간 30분), 1일 평균 시간 외 근무시간은 평균 27.17±28.86분(약 30분)이었으며, 이직 경험은 없다가 82명(60.3%), 담당하는 평균 환자의 수는 2명 이하가 74명(54.4%)으로 가장 많았다. 2. 간호근무환경은 4점 만점에 평균 2.52±0.45점, 조직몰입은 7점 만점에 평균 3.28±0.88점, 이직의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93±0.70점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이직의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이직의도와 제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에서 이직의도는 1일 평균 근무시간(r=.20, p=.020), 1일 평균 시간 외 근무시간(r=.21, p=.012)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간호근무환경(r=-.38, p<.001), 조직몰입(r=-.48, p<.001)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간호근무환경은 조직몰입(r=.57,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5. 조직몰입은 간호근무환경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β=-.17, p=.023)가 있었다. 6. 조직몰입은 간호근무환경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Z=–3.68, p<.001)가 있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중환자실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몰입의 조절 및 완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쉽게 변화하기 어려운 간호근무환경에서도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간호근무환경의 점진적 개선뿐 아니라, 조직몰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nursing working environment, turnover inten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es in the intensive care unit,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effect of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on turnover intention. Methods: This study was a predictive correlation study, and 139 nurses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agreed to participate among nurses in the intensive care unit with more than 6 months of experience working at one advanced general hospital located in D Metropolitan City.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conducted from July 14, 2022 to July 28, 2022. Analysis were conducted by SPSS WIN 25.0 progra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ercentage, frequency, mean,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os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n terms of gender, 120 nurses (88.2%) were females and 16 nurses (11.8%) were males. The average age was 29.09 ± 6.25 years old, 90 people (66.2%) were in their 20s. Non-religious was 107 people (78.7%). In terms of marital status, 109 people (80.2%) were unmarried. The 87 people (64.0%) of participants graduated from a bachelor's degree. The subjective health condition was normal with 72 people (52.9%), and the most common job type was shifts with 135 people (99.3%). The average total clinical work experience was 72.68±79.29 months (about 6 years and 1 month), and the average work experience in the current department was 38.25±38.81 months (about 3 years and 2 months). As for the position, general nurses were the most with 132 people (97.1%). The average monthly salary was more than 2 million won and less than 3 million won with 69 people (50.7%). The average working hours per day was 514.63±34.42 minutes (approximately 8 hours and 30 minutes), and the average daily overtime hours were 27.17±28.86 minutes (approximately 30 minutes), the average number of patients in charge was 2 patients or less with 74 people (54.4%). The 82 people (60.3%) of participants had no experience in changing jobs. 2. Participants’ nursing working environment was measured 4 points scale questionnaire. The average score of nursing working environment was 2.52±0.45. The average score for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3.28±0.88 out of a total of 7 points, the average score for turnover intention was 3.93±0.70 out of a total 5 points. 3.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4. In the correlation between intention to turnover and other variable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urnover and average working hours per day (r=.20, p=.020) and average overtime working hours per day (r=.21, p=.012).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nursing working environment (r=-.38, p<.001)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r=-.48, p<.001). In addition, the nursing working environ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r=.57, p<.001). 5.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a moderating effect (β=-.17, p=.023)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working environment and turnover intention. 6.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a completely mediating effect (Z=–3.68, p<.001)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rsing working environment and turnover intention. Conclus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oderating and completely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confirmed in the effect of the nursing working environment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the intensive care unit. Based on this, in order to reduce turnover intention even in a nursing working environment that is difficult to change easily,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ractical plan to impro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well as gradually improve the nursing working environment.

      • 도시관광의 협력적 거버넌스 연구 : 광주광역시 관광 마케팅 기관을 중심으로

        정유리 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교통·통신·여가문화 등의 발달로 도시를 방문하는 관광객들이 증가하면서 도시관광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도시간 경쟁이 심화되는 세계화 추세에서 지방의 중소도시들은 관광을 통한 도시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수립하고 개발하고 있으며 학계에서도 도시관광에 대한 많은 연구를 하고 있다. 또한 국내 외래관광객 천만 명 시대를 맞이하면서 광주에서는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개관과 함께 메가스포츠 이벤트 등의 대규모 국제행사 유치를 통해 광주를 찾는 관광객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본 연구의 궁극적 목적은 광주광역시를 관광지로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관광 이해관계 조직들의 역량을 하나로 모아 관광 마케팅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전제아래 도시관광 마케팅 기능과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관광 마케팅 조직들의 거버넌스 체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관광정책의 성격과 기능에 따라 추진 주체의 역할이 배분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도시관광의 협력적 거버넌스에 관한 문헌분석과 광주광역시의 관광 마케팅 업무를 추진하는 조직들의 추진 주체별 업무의 성격과 기능 등의 현황분석을 바탕으로 협력관계와 거버넌스 유형, 거버넌스의 형태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해당사자간 협력적 거버넌스를 구축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범위와 조사대상은 관광 마케팅 기관 중 공공업무의 비중이 큰 광주광역시청, 광주관광컨벤션뷰로, 김대중컨벤션센터, 광주문화재단, 광주관광협회였으며 조사 방법은 심층면접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 및 정리하면 첫째, 광주관광 마케팅 기관간의 네트워크는 독자적인 업무를 수행하며 필요한 경우에만 협력의 행동을 취하는 ‘느슨한 연계 네트워크’ 형태와, 시청의 업무를 중심으로 조직들이 집중되어 있는 ‘스타 네트워크 형태’ 였다. 둘째, 거버넌스의 특징으로는 공식적인 업무 협약을 맺었으나 이후 실무적 협력 단계에는 이루어지지 못한 초기의 거버넌스 단계였으며, 실적을 통한 업무 평가가 이루어지다 보니 기관들은 공동의 업무 개발 보다는 개별적 사업진행의 형태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상호간에는 중복되는 업무가 있었으며, 관광 정보 및 제작물 등이 개별적으로 제작 및 관리되고 있었다. 의사소통의 창구가 없어 상호간에 높은 신뢰관계를 형성하지 못한 상태로 명확한 역할분담을 하지 못하고 있었다. 셋째, 기관의 담당자들은 협력적 거버넌스를 위해서는 공통된 목표에 따라 역할 분담을 하고, 자율성과 책임감을 갖고 상호신뢰 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협력에서 발생하는 비용과 편익의 보상과 공평한 성과 분배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민관기관들과 협력 및 연계된 이상적인 광주형 네트워크 유형을 제시하였으며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도시관광 마케팅 기관들의 협력적 거버넌스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광주관광 마케팅을 위한 장기적 로드맵을 만들어야 하며, 기관들의 상시협력체계구축을 위한 체계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공동의 사업개발과 함께 효율적인 업무 분담을 하며, 조직들의 재정자립도를 높여 수평적 협력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네트워크 교육 등을 통해 조직간의 신뢰를 높이고, 조례 제정 등의 제도적 기반 구축을 통해 책무성과 거버넌스의 권한을 높일 필요가 있다. 도시관광은 상호호혜, 상호의존, 민주성, 개방성이라는 중요한 원칙을 실현시키면서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도록 여러 형태의 거버넌스가 필요하다. 효율적인 관광 마케팅을 위해서는 민관협력 네트워크, 민간 네트워크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로 구성된 거버넌스가 상호 유기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도시관광의 협력적 거버넌스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광주의 관광을 위한 효과적인 정책을 마련하고 마케팅을 추진하는데 있어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수학적 모델링을 활용한 수업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정유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effects that mathematical modeling has on learning in a first year middle school classroom, specifically in the area of utilizing linear equations. The study is based on a worksheet developed by the researcher and data from previous studies. The focuses of study are the following: 1)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an experimental group in which mathematical modeling is applied and a control group in which it is not? 2) Is there a significant effect in mathematics attitude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3) Analysis of the errors that students showed through mathematical modeling. Two classes from the same middle school in Daegu were chosen, one class was assigned as the experimental group, the other the control goup. Comparative analysis via t-test on scores from the same mid-term exam showed that the two classes were a homogeneous group.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experimental group based on worksheet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over the course of five trials while the control group took classes based on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For verification of effectiveness of the study, a test was given to both groups after each of the five trials. Additionally, the experimental group underwent a mathematics attitude test before and after each trial. SPSS12.0k was used in the analysis of result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after dividing the problems into three categories :(1)quantities and age (2)distance and time (3)solvent concentr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irst two categories,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hird. In this respect it may be stated that mathematical modeling has a positive effect given the fact that the majority of students find the third category more difficult than the first two. Note that the duration of research was four weeks long which has proven too short a time to prove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lso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hird category must not be overlooked and further extended research is necessary to show positive results in the first two categories. Second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ttitude towards mathematics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Six categories were tested and analyz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ategories of volition and value whil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ategories of confidence, flexibility, curiosity, and self-reflection. These results help us come to the conclusion that mathematical modeling may have a positive impact on students who are more or less uninterested in, and who may have a negative attitude towards mathematics. Thirdly, the errors that students committed were analyzed. Calculation errors were most abundant followed by errors in forming equations, setting variables, logical errors, and converting answers respectively. Students who showed errors in setting variables appeared to have a narrow range in selecting variables due to the notion that "variable=X". Extensive coaching in the prerequisite unit "symbols and equations" is thought to be needed in these students. Students who showed errors in logic either had a tendency to substitute variables with numbers based on guessing, or used mental calculation. Furthermore, in observing the students' work on the worksheets and the exams, students who drew up accurate models which contained all critical elements of the problem without error were able to proceed in solving the problem successfully. This is meaningful in the aspect that through this kind of process the student is given a basis for understanding the mathematical interpretation of the real world through mathematical modeling. In conclusion, not only has it been shown that mathematical modeling can be a promising method by which a student can learn how to solve problems in a more progressive and systematic manner, but also that it has a positive effect on a students' mathematical attitude. 이 연구는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수학적 모델링을 활용한 수업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일차방정식 활용 단원을 중심으로 연구자가 개발한 활동지와 여러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수학적 모델링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전통적인 수업을 한 비교집단 사이에 학업 성취도 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2) 수학적 모델링을 적용한 수업을 한 학생들이 수학적 태도에 있어서 유의미한 영향 을 미치는가? 3) 수학적 모델을 통해 학생들이 보인 오류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구시에 소재한 S중학교 1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1학급, 비교집단 1학급을 선정하였고, 실험 처지 전 두 집단의 1학기 중간고사 성적을 t-test를 실시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동질집단임이 확인되었다. 실험집단은 연구자가 개발한 활동지를 토대로 5차시에 걸쳐 진행하였고, 비교집단은 전통적 설명식 수업을 중심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매 차시마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학생들에게 동일한 형성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은 실험 전과 실험 후 수학적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의 실험 결과에 대한 데이터 분석은 성취도 검사 부분과 수학적 태도 검사 부분에 대해 SPSS12.0k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적 모델링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전통적인 수업을 한 비교집단 사이에 학업 성취도 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연구자가 전체 문항을 세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수량 및 나이 부분과 거리 및 시간 부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농도 부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학생들이 활용문제 중에서 수량 및 나이 부분과 거리 및 시간 부분보다 농도 부분을 더 어려워 한다는 것을 감안해 볼 때 미비하지만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실험 처지 가간이 4주간의 짧은 기간이었기 때문에 수학적 모델링을 적용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데 무리가 있었을 것이라 보인다. 하지만 농도부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되며 이 연구를 좀 더 긴 시간을 가지고 체계적인 연구와 분석을 통하여 진행한다면 수량 및 나이 부분과 거리 및 시간 부분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결과가 나올 것이라 판단된다. 둘째, 수학적 모델링을 적용한 수업을 한 학생들이 수학적 태도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것을 6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해본 결과 의지력과 가치영역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자신감, 융통성, 호기심, 반성의 4영역에서 실험 전과 실험 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수학교과에 자신감이 없고, 문제 해결 방법을 외워버리는 학생들에게 그리고 수학 교과에 흥미가 없고, 특히 수학의 실용성에 대하여 부정적인 태도를 가진 학생들에게 수학적 모델링 지도를 통하여, 실생활 문제를 직접 접하게 함으로써 학생들의 흥미와 자신감, 수학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할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학생들의 문제 해결 과정에서 보인 오류를 분석하였다. 여전히 계산오류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수학적 모델로 변환시키는 과정에서 식 세우기 오류, 미지수 설정의 오류, 논리적 과정의 오류, 실세계로 답을 변환시키지 못한 오류 순으로 나타났다.5가지의 오류 유형 중에서 미지수 설정단계에서 오류를 보인 학생들은 ‘미지수 = ’라고 생각하여 미지수 선택의 폭이 제한적임을 보여주는데, 선행학습인 ‘문자와 식’ 단원에서 좀 더 폭넓은 교사의 지도가 필요하다고 보인다. 그리고 논리적 과정의 오류를 보인 학생들은 암산하거나 예상되는 숫자를 대입하여 답을 유도하였다. 또한 활동지와 형성평가지에 나타난 학생들의 풀이과정 중 ‘그림’ 부분을 살펴보면 문제의 상황과 주어진 조건을 빠짐없이 그림으로 잘 나타낸 학생들은 뒤 이은 풀이 과정에서도 성공적으로 해결한 것을 볼 수 있었다. 단순한 그림이지만 이러한 과정을 통해 실세계상황을 수학적 모델로 해석하는 것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 큰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 종합적으로, 수학적 모델링을 적용한 수업이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활용 부분에서 좀 더 단계적이고 체계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는 교수방법임을 보여주었으며 수학에 대한 태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