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혈액투석 환자의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 계획된 행위이론의 적용

        함수인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55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to understand the Factors affecting on the intention of COVID-19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 by applying the planned behavior theory to hemodialysis patient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209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receiving hemodialysis at five hemodialysis hospitals located in two cities in Gangwon-do,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28, 2021 to January 15, 2022. The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SPSS 22.0 Windows was used to conduct the data analysis by using real numbers and percentage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ANOVA, Scheffé-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attitude of the study participants averaged 6.26±1.02 out of 7; subjective norms averaged 5.41±1.28 out of 7;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veraged 5.57±1.34 out of 7; level of fulfillment of dietary restriction 4.18±0.57 out of 5; knowledge averaged 11.99±2.46 out of 15; self-efficacy averaged 5.15±2.08 out of 7; and COVID-19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averaged 5.96±1.42 out of 7. 2. The attitudes of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p=.042), occupational status(p=.045), and hemodialysis period(p=.001);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ducation(p<.001), family monthly income(p=.043), and religion(p=.001); level of fulfillment of dietary restric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onthly income in the home(p=.013); Knowledg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p<.001), education(p=.005), and monthly income at home(p=.031). 3. The intention of COVID-19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ttitude(r=.172, p=.013), subjective norms(r=.709, p<.001), perceived behavior control(r=.617, p<.001), level of fulfillment of dietary restriction(r=.224, p=.001), Knowledge(r=.301, p<.001), self-efficacy(r=.295, p<.001). 4.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factors affecting COVID-19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in patients with hemodi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COVID-19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in patients with hemodialysis in Model I were level of fulfillment of dietary restriction(β=.202, p=.002), knowledge(β=.286, p<.001), with the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of 13.1% (F=15.557, p<.001); those factors affecting COVID-19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in patients with hemodialysis in Model Ⅱ were subjective norms(β=.513, p<.001), perceived behavioral control(β=.269, p<.001), with the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of 54.2% (F=50.207, p<.001); those factors affecting COVID-19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in patients with hemodialysis in Model Ⅲ were subjective norms(β=.489, p<.001), perceived behavioral control(β=.264, p<.001), with the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of 54.8% (F=43.017, p<.001). This study has in an implication, in that it first identifies factors affecting COVID-19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in patients with hemodialysis by apply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which is known to have high explanatory power. By apply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it may anticipate factors affecting COVID-19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in patients with hemodialysis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by preventing and managing COVID-19 infection in hemodialysis patients in advance. Since this study was conducted on hemodialysis patients in some areas of Gangwon-do,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refore we expand the target cities and studies on factors affecting COVID-19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 are suggested with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본 연구는 혈액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계획된 행위이론을 적용하여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여 혈액투석 환자의 COVID-19 감염을 예방할 대처방안을 마련하여 효율적이고 안전한 환자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강원도 G시, S시에 소재한 혈액투석 병원 5곳에서 혈액투석을 받는 만성 신부전 환자 209명이며 2021년 12월 28일부터 2022년 1월 15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도구는 다음과 같다. Ajzen(1991)의 계획된 행위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의 하위요인인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는 이규은(2014)이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 접종 의도 영향요인을 연구한 도구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했다. 제한식이 이행 정도는 혈액투석 환자의 자가간호 수행 정도를 반영하는 생리적 지표로서 혈중 인(P) 농도, 포타슘(K) 농도, 투석 간 체중증가량(Choi & Choe, 2007; Kara et al., 2007; Kim et al., 2017; Min & Lee, 2006; Saran et al., 2003, Yeun, 2012)을 척도화 시켜서 문항을 만들었다. COVID-19에 대한 지식은 Taghrir et al.(2020)이 개발한 도구를 이수진 외(2021)가 한국어로 번역, 역 번역을 한 도구를 사용했다. 자기효능감은 Gerend & Shepherd(2012)가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 접종에 대해 조사하기 위해 개발한 자기효능감 도구를 강은희(2019)가 한국어로 번역, 역 번역을 한 도구를 사용했다.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는 이규은(2014)이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 접종 의도 영향요인을 연구한 도구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했다. 자료 분석은 Win SPSS 22.0을 사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와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및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혈액투석 환자의 연령 평균은 59.97±12.83세이었고, 123명(58.9%)이 남자였으며, 결혼 상태는 기혼은 128명(61.2%)으로 가장 많았다. 학력은 고졸이 74명(35.4%)으로 가장 많았고, 가정 내 월수입은 100만 원 이하가 78명(37.3%)으로 가장 많았다. 직업은 없는 사람이 144명(68.9%)이었으며, 종교는 종교가 없음이 107명(51.2%)으로 가장 많았다. 동거 형태는 가족과 사는 사람이 133명(63.6%)으로 가장 많았고, 혈액 투석 기간은 평균이 72.36±70.84개월이었고, 본인의 건강 상태가 보통이라고 응답한 사람이 110명(52.6%)으로 가장 많았다. 2. 본 연구대상자의 태도는 7점 만점에 평균 6.26±1.02점으로 중간보다 높은 정도였고, 주관적 규범은 7점 만점에 평균 5.41±1.28점으로 중간보다 높은 정도였다. 지각된 행위통제는 7점 만점에 평균 5.57±1.34점으로 중간보다 높은 정도였고, 제한식이 이행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4.18±0.57점으로 중간보다 높은 정도였다. 지식은 15점 만점에 평균 11.99±2.46점으로 중간보다 높은 정도였고, 자기효능감은 7점 만점에 평균 5.15±2.08점으로 중간보다 높은 정도였으며,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는 7점 만점에 평균 5.96±1.42점으로 중간보다 높은 정도이다. 3. 본 연구대상자의 태도는 성별(t=-2.05, p=.042), 직업 유, 무(t=-2.04, p=.045), 혈액투석기간(F=6.90,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지각된 행위통제는 학력(F=7.68, p<.001), 가정 내 월수입(F=3.19, p=.043), 종교(F=.6.18,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제한식이 이행 정도는 가정 내 월수입(F=4.47, p=.013)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지식은 연령(F=6.75, p<.001), 학력(F=3.79, p=.005), 가정 내 월수입(F=3.54, p=.03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는 태도(r=.172, p=.013), 주관적 규범(r=.709, p<.001), 지각된 행위통제(r=.617, p<.001), 제한식이 이행 정도(r=.224, p=.001), 지식(r=.301, p<.001), 자기효능감(r=.295,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5. 혈액투석 환자의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Model Ⅰ에서 혈액투석 환자의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제한식이 이행 정도, 지식을 변수로 넣은 결과, 제한식이 이행 정도(β=.202, p=.002), 지식(β=.286, p<.001)으로 나타났으며, 13.1%의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다(F=15.557, p<.001). Model Ⅱ에서 혈액투석 환자의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계획된 행위이론의 변수인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를 추가한 결과, 주관적 규범(β=.513, p<.001), 지각된 행위통제(β=.269, p<.001)로 나타났으며 54.2%의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다(F=50.207, p<.001). Model Ⅲ에서 혈액투석 환자의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자기효능감을 변수로 추가한 결과, 주관적 규범(β=.489, p<.001), 지각된 행위통제(β=.264, p<.001)로 나타났으며 54.8%의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다(F=43.017, p<.001). 본 연구는 행동을 예측하는데 설명력이 높은 계획된 행위이론을 적용하여 혈액투석 환자의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 영향요인을 처음으로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계획된 행위이론을 적용하여 혈액투석 환자의 COVID-19 감염예방 행위를 파악함으로써 혈액투석 환자의 COVID-19 감염을 미리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환자 안전관리 측면에 의미를 두었다. 본 연구 대상자는 강원도 G시, S시에서 혈액투석을 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대상 지역을 확대하여 반복 연구를 하고, 향후 복막투석을 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를 제언한다.

      • 학습자의 정서표현을 위한 문학 수업 질문 구성 방안

        함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23

        본 연구는 문학 감상에서 학습자의 내면에 형성되는 정서에 중점을 두고 정서표현을 위한 문학 수업 질문 구성 방안을 구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3, 4학년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정서표현 질문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정서표현을 위한 질문 구성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연구에 앞서 먼저, 교과서 부록 <실린 작품>을 기준으로 문학제재 활용 차시에 사용된 질문을 살펴보았다. 이 중 정서 요소(감상, 인상, 흥미, 공감, 감정)를 포함하고 있으면서 정서표현의 기능을 하는 모든 질문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선별한 3, 4학년 국어 교과서에 활용된 52개의 정서표현 질문을 몇 가지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정서표현 질문의 유형에 따라 감상적 질문, 평가적 질문, 해석적 질문 순으로 빈도가 크게 나타났다. 감상적 질문은 크게 생각과 느낌을 표현하는 질문, 정서표현의 방법을 다룬 질문으로 나눌 수 있었다. 평가적 질문은 초등학교 3, 4학년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등장인물의 말과 행동에 대해 평가하는 질문, 작품 속에서 일어난 일(사건)에 대해 평가하는 질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해석적 질문은 학습자의 경험으로 등장인물의 마음과 상황을 유추하도록 하는 질문이 대부분이었다. 둘째, 읽기 단계별 정서표현 질문의 빈도를 살펴본 결과 읽기 후(96.2%)가 대부분이었으며 읽기 전(3.8%), 읽기 중(0%)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읽기의 전 과정에서 교사의 질문을 통해 정서표현의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셋째,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정서표현 질문을 적용하여 수업 중 일어나는 반응을 관찰한 결과 무슨 뜻인지 모르는 데 느껴야 하는 경우, 느끼지 못했는데 표현해야 하는 경우, 어떻게 표현해야 하는지 몰라 당황스러운 경우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표현의 과정을 고려한 단계적인 질문 구성, 정서표현의 방법을 다루는 질문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이러한 교과서 질문 분석을 바탕으로 반응중심 교수·학습 이론에 근거하여 구안한 문학 교수·학습 절차는‘정서표현 준비하기, 정서 형성하기, 정서 표현하기, 정서 내면화하기’의 순이다. 먼저‘정서표현 준비하기’에서는 학습자가 문학작품을 읽기 전 기존 경험을 활성화하고 작품에 흥미를 느끼며 작품 내용을 파악하여 정서를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토대를 마련한다. 이 단계에서는 사실적 질문(글 속에서 답을 찾을 수 있는 질문)을 적용하였다. ‘정서 형성하기’에서는 준비단계에서 수행했던 작품 내용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작품 내용에 근거한 추론이 시작되며 해석적, 평가적 질문(읽고 생각하는 질문)을 적용하였다. ‘정서 표현하기’에서는 작품을 감상한 뒤 형성한 정서를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하고 공유한다. 여기에서는 감상적 질문(마음속에 답이 있는 질문)을 활용하였다. ‘정서 내면화하기’에서는 표현한 정서를 확장하고 관련 작품을 찾아 읽는 기회를 제공하여 일상 속에서 문학 감상을 생활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마지막으로, 구안한 정서표현을 위한 문학 수업 질문 구성 방안을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에 적용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은 정서표현 활동에 흥미를 느꼈고 문학작품에 대한 관심이 생겼으며 정서를 표현하고 공유하는 활동이 유의미하다고 응답하였다.본 연구는 문학교육에서 학습자가 형성하는 정서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정서표현을 중심으로 한 문학 수업 질문 구성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가 있다. 2015 개정 3, 4학년 국어 교과서의 정서표현 질문 양상 분석을 통해 정서표현을 위한 질문 구성의 방향성을 모색하였으며 이를 실제로 4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적용하여 그 반응을 살펴보았다. 기존의 교과서 중심 수업은 학습자가 자신의 정서를 표현하기 어렵고 언어기능 습득의 수단으로 문학제재가 활용된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본 연구는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을 교사의 질문에서 찾고자 하였으며 기존의 문학 수업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학교육의 본질을 찾기 위한 문학 반응 활성화와 관련된 연구는 현재까지 많은 연구에서 이루어졌다. 그러나 정서적 측면과 관련된 연구는 많지 않으며 있다고 하더라도 대부분 예체능 교육이나 유아교육에서 다루어졌다. 학습자는 문학 감상 후 내면에 형성된 반응을 표현함으로써 타인과 상호 공유, 소통할 수 있다. 정서표현은 표현된 반응이며 학습자는 정서표현을 통해 눈에 보이지 않는 정서를 직면하고 성찰할 수 있다. 또, 교사에게는 피드백의 기회를 제공하여 학습자의 문학 감상 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처럼 정서표현을 위한 문학 수업은 문학이 담고 있는 본질을 찾기 위한 과정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후속 연구로 문학 수업에서 정서표현의 의의 및 효과 검증이 이루어진다면 보다 유의미한 연구가 될 것이다. 이 연구가 문학교육의 본질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보고 문학 감상 후 학습자가 느끼는 정서에 중점을 둔 문학 수업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ise a plan for constructing a literature class question for expressing emotions, with an emphasis on emotions that are formed inside the learner in appreciation of literature. To this end, critically analyzed the emotional expression questions contained in the 2015 revised 3rd and 4th grade Korean textbooks to find the direction of question formation for emotional expression. Prior to the study, first, the questions used during the use of literary works were examined based on the textbook appendix <Literary works Included>. Among them, all questions that function as emotional expressions including emotional elements (appreciation, impression, interest, empathy, emotion) were analyzed. Based on this analysis, 52 emotional expression questions used in Korean textbooks of the 3rd and 4th grades were analyzed based on several criteria, and the following aspects were confirmed. First, according to the type of emotional expression questions, the frequency was high in the order of sentimental, evaluative, and interpretive questions. Sentimental questions were largely divided into questions expressing thoughts and feelings, and questions dealing with the way of emotional expressions. The evaluative question appeared as a question evaluating the words and behaviors of the characters in the consideration of the level of learners in the 3rd and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evaluating what happened in the work (event). Lastly, the interpretive question was mostly a question that inferred the character's mind and situation from the learner's experience.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requency of emotional expression questions at each reading stage, they were high in the order of after reading (96.2%), before reading (3.8%) and during reading (0%).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expressing emotions through teacher's questions in the whole process of reading.Third,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reactions occurring in class by applying emotional expression questions to 4th grade students, it was appeared they had to feel without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the text, had to express emotions without feeling the text, embarrassed that they didn’t know how to express their feelings.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a step-by-step question structure considering the process of expression and a question dealing with the method of emotional expression were needed. Based on this textbook question analysis, the literature teaching and learning procedure for expressing emotion based on the reaction-oriented teaching and learning theory is in order of 'preparing emotional expressions, forming emotions, expressing emotions, internalizing emotions'. First, in 'Preparing Emotional Expressions', learners revitalize their existing experiences before reading a literary work, create interest in the work, grasp the contents of the work, and prepare various foundations to form an emotion. At this stage, a realistic question (a question that can find the answer in the text) was applied. In 'Forming Emotions', reasoning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work begins based on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of the work performed in the preparatory stage. In 'Expressing Emotions', you can share and express your emotions in a variety of ways. Here, we used sentimental questions (questions with answers in the mind). 'Internalizing emotions' aims to make literature sentiment in everyday life by expanding the expressed emotions and providing opportunities to find and read related works.Lastly,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literary class question for expressing emotional sentiment was applied to the class for the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most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were interested in emotional expression activities, that they were interested in literary works, and that expressing and sharing emotions was significant.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suggested the importance of emotions formed by learners in literary education and suggested a method for constructing literary instruction questions centered on emotional express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emotional expression questions aspect of the 2015 revised 3rd and 4th grade Korean textbooks, we sought the direction of constructing the question for emotional expression and applied it to 4th grade learners to examine the response. In the existing textbook-centered class, learners have difficulty in expressing their emotions and there are limitations in that literary works are used as a means to acquire language skil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a way to supplement this in the teacher's question, and it has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at it suggested a new perspective on the existing literature class.Studies related to the activation of literary responses to find the essence of literary education have been conducted in many studies to date.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related to emotional aspects, and even if they are, they were mostly dealt with in physical education or early childhood education. Learners can share and communicate with others by expressing the emotions formed inside. Emotional expression is an expressed reaction, and learners can confront and reflect on invisible emotions through emotional expression. In addition, teachers can be provided with opportunities for feedback to help learners appreciate the literature. As such, the literature class for expressing emotions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 process for finding the essence of literature education.As a follow-up to this study, it would be a more meaningful study if the significance and effect of emotion expression were verified in the literature class. I hope this study will reconsider the essence of literary education once again, and it will be helpful for literary classes focusing on the emotions that learners feel after appreciating literature.

      • Microdomain orientation of PS-b-PMMA by controlled interfacial interactions

        함수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9 국내석사

        RANK : 1823

        In this study, we focused on suggesting the experimental surface conditions for neutrality using P(S-r-MMA) random copolymer to fabricate the perpendicular microdomain orientations to the substrate.The microdomain orientation in thin films of cylinder- and lamella-forming diblock copolymers, polystyrene-block-poly(methyl methacrylate) (PS-b-PMMA), was investigated as a function of the film thickness and the composition of random copolymers composed of styrene (S) and methyl methacrylate (MMA), denoted as P(S-r-MMA), that were anchored to the substrate.Using scanning force microscopy (SFM) and grazing incidence small-angle x-ray scattering (GISAXS), the dependence of the microdomain orientation on film thickness around lattice period (or d-spacing, L0), where the microdomain orientations normal to the film surface could be achieved, showed that the optimal condition for the balanced interfacial interactions (the so-called neutrality in random copolymer) was 0.64 of PS mole fraction (XPS) for the cylindrical microdomain having narrow compositional range of P(S-r-MMA) from 0.52 to 0.72 of XPS, whereas for the lamella microdomain it was observed at XPS = 0.55 ranging extensively from 0.48 to 0.78. 본 연구는 자기조립(self-assembly)의 특성을 가진 블록공중합체를 사용하여 templates및 scaffolds 등의 나노리소그래피(nanolithography) 응용에 필요한 표면에 수직으로 배향된 마이크로도메인(microdomain)을 형성하기 위하여 neutral / nonpreferential wetting을 통한 표면개질 방법을 사용하였다.이를 위해 박막(thin film)에서 실린더(cylinder)와 라멜라(lamellar) 마이크로도메인 구조를 갖는 PS-b-PMMA 블록공중합체를 사용하여 계면인력(interfacial interaction)을 조절하기 위해 PS-r-PMMA 랜덤공중합체의 조성에 따른 표면 성질을 알아보고, 블록공중합체의 두께를 조절하여 마이크로도메인의 수직 배향성을 확인하였다.먼저PS의 mole fraction을 0.34에서 0.85까지 조절하여 다양한 조성을 갖는 PS-r-PMMA neutral brush를 형성하고 이 위에 블록공중합체의 농도와 spin speed를 변화시켜 조절한 필름표면의 마이크로도메인의 배향성을 Scanning probe microscopy (주사탐침현미경)을 통해서 확인하고, 필름의 전체 두께영역에서 수직배향이 되었음을 Grazing Incidence Small-Angle X-ray Scattering (GISAXS)로 조사하였다.그 결과로 얻어진 필름의 두께에 따른 PS-b-PMMA 마이크로도메인의 수직배향성을 보면, 실린더의 경우에는 PS-r-PMMA 랜덤공중합체가 0.64의 PS mole fraction을 가질 때 가장 안정된 계면인력(balanced interfacial interaction)을 가진 최적의 neutral surface를 형성하고, 라멜라의 경우에는 0.55의 PS mole fraction을 가진다. 또한 PS-r-PMMA 랜덤공중합체의 조성에 따른 수직배향구간을 살펴보면 실린더의 수직배향성보다 라멜라의 수직배향성이 보다 넓은 영역에서 나타났다.따라서 이 연구는 PS-b-PMMA 블록공중합체를 사용하여 필름 두께 조절과 neutral surface을 이용한 표면개질 방법으로 마이크로도메인의 수직배향성을 구현하였기 때문에 앞으로 다양한 나노구조의 박막을 제조하기 위한 심플하고 유익한 가이드가 될 것이다.

      • 形態變形과 質感을 통한 器의 表現硏究 : 꺼먹이 技法을 中心으로

        함수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23

        조형예술에서의 ?형태?라는 것은 시각을 통해 경험하는 대상물의 본질적인 특성으로 다양한 요소들에 의해 복합적으로 구성된다. 즉, 형태는 우리가 일차적으로 인식하는 사물의 윤곽만이 아니라 각 부분의 구성요소와 재료, 색채, 질감 등 여러 가지 시각적 요소들 모두를 포함한다. 이렇게 일차적으로 인지되는 ?형태?는 예술 활동에서 활용을 통한 변형 과정을 통해 관람자에게 제2의 형태의 인식을 요구한다. 예술작품에 있어서 기존의 형태를 활용한 변형은 예술표현에 있어 하나의 중요한 표현법이며, 또한 대상을 의식적으로 변형함으로써 특수한 미적효과를 마련하는 수법으로 다양한 창의적 표현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본 연구는 기의 시대적 변천과 형태 변화를 중심으로 한 고찰을 바탕으로 하여 물레작업에 의해 성형되는 기의 변형을 의도적으로 주어 대칭형을 무너뜨림과 동시에 트임 기법을 활용해 흙의 질감을 과장되게 표현하고, 다시 절단을 통해 기(器)의 본래의 쓰임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작품을 만들어 물레성형의 대칭에서 오는 단조로움을 줄인다. 새로운 형태의 창작을 통한 발견의 의미로 외적 조형성을 강조하여, 꺼먹이 기법에 의해 나타나는 검은색의 무게감과 불의 흐름에 의해서 나타나는 시각적 즐거움의 도자를 추구하고자 한다. 제Ⅱ장에서는 기의 시대에 따른 형태변화와 현대도예에서 기(器)의 조형성을 파악하고, 그 필요성을 알리고자 현대도예에서의 기(器)의 개념과 다양한 표현들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더불어,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꺼먹이 소성의 개념과 기법을 조사하고 다양한 작품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해서 꺼먹이 소성방법이 흙에 불어넣어주는 생명력과 조형성에 대해서 이해하고, 본연구의 이해와 감상을 돕고자 하였다. 제 Ⅲ장에서는 작품의 제작 계획과 1차 물레성형 후 2차적인 변형 기법과 꺼먹이 소성 과정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Abstract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vessel through transformation and texture - Focused on the kkumugi technique- Ham, Su Ho (Supervisor Kwon, Young Shick) Dept. of Ceramic Arts Graduate School of Industry and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In the plastic arts, "form" is an intrinsic attribute of a given subject perceived by sight and it is composed of various elements. In other words, forms encompass not just the contour of things we perceive first but all components and visual elements of them such as materials, colors, and textures. As primarily-perceived forms are transformed through artistic activities, they require viewers to perceive them in another way ? the second forms. Transformation in ar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xpressions of art by making alterations to existing works and transformation can enable diverse creative expressions as special aesthetic effects are created through conscious variations of existing forms. In this regard, this study looked into how vessels have changed over time, especially their forms. Based on such observations, this study deliberately altered forms of ceramic vessels built on a potter?s wheel and used spreading technique at the same time to overexpress the textures of the clay, and then by cutting the clay off the wheel, it created a whole new vessel completely different from conventional vessels, which are symmetrically shaped on the wheel. By emphasizing the external plasticity through the creation of a new form, this study seeks pottery-making that is visually entertaining through the flow of fire and conveys a sense of gravity, as demonstrated in Kkumugi technique in which the black color of vessels gave a sense of gravity. Chapter 2 explored how vessel forms have changed over time and the plasticity of vessels in modern ceramic art. To showcase them, this chapter also analyzed the basic concept and diverse expressions of vessels in modern ceramic art. In addition, this chapter investigated the basic concept of Kkumugi firing and its techniques. This study also explored various ceramic artworks that were created through the same firing process and by so doing, it intended to promote better understanding of how Kkumugi firing process brings life to the clay and increases the plasticity of the clay. Chapter 3 described production plan of ceramic works, transformation techniques in which the clay is first shaped on the wheel before going through the second transformation, and lastly the whole process of Kkumugi firing.

      • 이차 유기 입자에서 나타나는 액체-액체 상 분리 현상에 관한 연구

        함수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23

        Recently, liquid-liquid phase separation (LLPS) of secondary organic aerosol (SOA) particles free of inorganic salts has been intensively studied because of their importance on cloud condensation nuclei properties. Herein, we investigated LLPS of SOA generated from different typ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LLPS of particles containing one organic specious and two organic specious. LLPS was observed in SOA particles produced from α-pinene ozonolysis, α-pinene ozonolysis with ammonia, limonene, β-caryophyllene at high relative humidity of ~95 %. However, LLPS was not observed in SOA particles produced from α-pinene photo-oxidation, α-pinene photo-oxidation with ammonia, isoprene, toluene, dodecane at relative humidity ranging from 0 to 100 %. In the case of α-pinene, more types of SOAs were investigated than limonene, dodecane, and toluene. Four different types of SOA were generated from α-pinene ozonolysis and α-pinene photo-oxidation in the absence of NH3 and in the presence of NH3. LLPS was observed in SOA particles produced from α-pinene ozonolysis at ~95.8 % RH and α-pinene ozonolysis with NH3 at ~ 95.4 % RH while LLPS was not observed in SOA particles produced from α-pinene photo-oxidation, α-pinene photo-oxidation with NH3, and dodecane photo-oxidation. In addition, LLPS was observed in 95.3 % RH of SOA produced from ozonolysis of limonene. In the case of particles containing one organic specious and two organic specious, LLPS was observed at more than ~ 90 % RH. With the dataset of average oxygen to carbon elemental ratio (O:C) of different types of SOA from this study and previous studies, LLPS occurred when the O:C ratio is less than ~ 0.44 and LLPS did not occur when the O:C ratio is greater than ~ 0.40. When LLPS was observed, the two liquid phases were present up to ~ 100 % RH. For particles containing one organic specious, LLPS occurred when the O:C ratio is less than 0.44. For particles containing two organic specious, LLPS occurred when the O:C ratio is less then 0.58. This result can help to predict more acurrate results of CCN properties of organic aerosol particles.

      • 프래그머티즘 미학에 근거한 커뮤니티 댄스의 예술교육적 의의

        함수 경성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1823

        John Dewey(1859-1952) stated that all life experiences can be artistic he perceived artistic activities as an important means for aesthetic experience. This study examined the art educational significance of community dance based on pragmatist aesthetics of John Dewey. The contents of this thesis include the following: first, the concept of pragmatism, the characters, essence and principles of pragmatist experiences, and pragmatist aesthetic experience; second, the relevance of the concept and value of community art and culture and arts education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community dance; third, the empirical practice of art as education with respect to community dance and the pragmatist aesthetic experience; fourth, a practical example of educational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community dance; and fifth, art educational significance of community dance based on pragmatist aesthetic experience. The conclusions drawn from research based on these subjects are as follows. First, a strong grasp of Dewey's theory of experience serves as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the pragmatist philosophy, and aesthetic experience solidifies the pragmatist aesthetic of Dewey’s theory of experience. The key point of Dewey’s theories of education, which had a profound effect on the 20th-century theory and practice of education by completing pragmatism, is the concept of “experience.” The key point of Dewey’s theories of education, which had a profound effect on the 20th-century theory and practice of education by completing pragmatism, is the concept of "experience." The essence of experience stated by Dewey includes both "trying" and "undergoing." This finding does not only refer to an experience of a simple activity but also to the process of changing and growing in connection with the subsequent experience by interacting with the environment. Moreover, Dewey’s pragmatist aesthetics are focused on what specific contributions of artistic knowledge and artworks to us in daily life of people. Hence, direct experience of art for "trying" must assure consecutive changes in daily life. Therefore, understanding Dewey’s theory of experience forms the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pragmatist aesthetics in which artistic experiences must lead to continuous growth. Second, community dance as a form of community art that is participated in as a direct experience and that may foster cultural democracy and bring about a variety of social utilities. Thus, community dance can be a form of community art to be provided as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ird, the key theories of pragmatism are embedded in all core aesthetic elements of community dance. Pragmatist experience emphasizes organic and specific direct experiences that break away from the ideological and abstract reasoning of philosophy. Moreover, it emphasizes on the verification of intellectual contents with generative thinking through direct experiences. Community dance is an activity of direct experience of a body. The practitioner and participants share common ideas within the community, and performs artistic works by interacting with one another. If activities through this realizing sense are consecutively maintained in daily life by expression of movements, community dance can be an art educational experience that includes the characteristics of pragmatist experiences in its essence. Therefore, community dance embodies all the key theories of pragmatist aesthetic experience that pursue interaction, continuity and change as art education by direct experience. Fourth, As researcher and practitioner at the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as well as various other institutions from 2005 to 2013, I implemented and participated in numerous art education programs. Through these experiences, I could examine how most participants developed along with their change in perception of art in the process of community dance practice. These programs, which allowed me to confirm the above results, proved that the aesthetic experience of consummatory experience is generated in life based on the exploration and thinking of the practitioner and participants regarding the expression of their movement. Once this actual value of community dance is acknowledged, obsessing about the formal classification of community dance in arguments of art or seeing community dance as a fixed object separated from life becomes inappropriate. Thus, community dance is considered an art involving active emotion. Fifth, in the same vein, community dance is considered to not only bring forth communication, life as art, an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healing; indeed, it also encourages the search of an educational experience of art as a practice of democracy. The body that is used as the means of expression in community dance exists in our daily life, and the existence of body can be used as a medium of artistic expressions according to individual interests or internal motivations. Thus, communication as a dance unit, which includes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manner through which participants express their perception rather than that of the community, evokes aesthetic interaction and grows as it establishes the identity of the community with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In this process, the encounter of educational philosophy and counseling in community dance would have the healing effect of education, if it leads to the formation of empathy that sustains the social bounds among people or between people and the community. Moreover, the interests and understanding of the community are shared through community dance, individual personalities are respected as free interactions, and expressions become democratic experiences. That is, social reform is gradually achieved in an individual's life by the practice of community dance. Considering the discussion above, if we emphasize on the fact that community dance must be understood as an art of life and on its mechanisms as a practice of art education, we may be able to determine the art educational significance of community dance based on pragmatism. This outcome will be accomplished with public participation in art, amid rapidly changing social phenomena and fluctuating financial conditions. Key words: Dewey, pragmatism, community art, community dance, aesthetic 교육학박사 학위논문 프래그머티즘 미학에 근거한 커뮤니티 댄스의 예술교육적 의의 함 수 경 경성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박 준 영 초록 존 듀이(John Dewey: 1859-1952)는 우리의 삶 속에서 일어나는 모든 경험이 예술적 경험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예술 활동을 미적 경험을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보았다. 본 연구는 듀이의 프래그머티즘 미학을 근거로 커뮤니티 댄스의 예술교육적 의의를 고찰한 것이다. 연구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내용은 첫째, 프래그머티즘의 개념 및 경험의 성격과 본질, 원리 그리고 미적 경험에 대한 고찰 둘째, 커뮤니티 댄스의 이해를 위한 커뮤니티 아트의 개념과 커뮤니티 아트로서의 커뮤니티 댄스 그리고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커뮤니티 댄스의 고찰 셋째, 커뮤니티 댄스와 프래그머티즘 미적 경험교육으로서의 경험적 예술실천 관련성 넷째, 커뮤니티 댄스 실천과정에서의 교육적 경험 실천사례 다섯째, 프래그머티즘 미적 경험에 근거한 커뮤니티 댄스의 예술교육적 의의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과 연구내용에서 고찰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듀이 경험론에 대한 고찰은 프래그머티즘 철학을 이해하는데 초석이 되었으며 나아가 듀이 경험론에 있어서 미적경험이 프래그머티즘 미학의 근본 토대가 됨을 알 수 있었다. 프래그머티즘을 완성하여 20세기 교육 이론과 실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듀이의 교육이론 핵심은 ’경험‘ 개념이다. 듀이 경험의 본질은 '시도하는 것'과 '겪어서 사고하는 것'이 모두 포함되어야 한다. 이는 단순한 활동의 경험이 아니라 환경과 상호작용하며 후속 경험과 연속되어 변화하고 성장하는 것이다. 듀이의 프래그머티즘 미학은 예술의 지식과 함께 예술작품이 일상생활에서 구체적으로 우리에게 기여할 수 있는 바가 무엇인지에 초점을 맞춘다. 이는 시도하는 것으로서의 직접적인 예술경험이 일상생활 속에서 연속적인 변화를 확보하는 것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듀이가 주장하는 경험의 이해는 미적경험이 지속적인 성장의 결과로 나타나야하는 프래그머티즘 미학을 이해하는데 초석이 된다. 둘째, 커뮤니티 아트로서의 커뮤니티 댄스는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커다란 공헌을 가져올 수 있는 하나의 무용 형태가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문화민주주의와 다양한 사회적 효용성을 가지고 올 수 있는 직접 경험하는 참여예술의 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커뮤니티 댄스는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커뮤니티 아트의 바람직한 형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커뮤니티 댄스에서 갖추고 있는 미학적 핵심 요소는 프래그머티즘 핵심적 이론에 모두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프래그머티즘 경험은 철학의 관념적이고 추상적인 논증에서 벗어나 유기적이고 구체적인 직접경험을 강조한다. 그리고 이는 직접 경험을 통한 생성적 사고로 지적 내용의 검증을 중시하는 것이다. 커뮤니티 댄스는 몸의 직접경험 활동이다. 그리고 실행자와 참여자는 공동체 내에 공동의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며 상호작용에 의하여 함께 예술작업을 진행한다. 이러한 생생한 경험을 통한 활동이 일상의 삶속에서도 움직임의 표현 방법에 의해 연속적으로 지속된다면 커뮤니티 댄스는 본질에 있어 프래그머티즘 경험의 성격을 포함하고 있는 예술교육적 경험이 된다. 넷째, 연구자는 실행자로 2005년부터 2013년까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및 다양한 기관에서 실시하는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거나 참가를 통해 커뮤니티 댄스 실천과정에서 대부분의 참가자가 예술에 대한 인식 변화와 함께 성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프로그램을 통해서 실행자와 참여자는 움직임 표현 방법의 탐구와 사고로 수렴적 완성(consummatory experience)의 미적인 경험이 삶 속에서 일어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커뮤니티 댄스의 실제적인 가치를 인정한다면 커뮤니티 댄스의 예술논쟁에서 형식적인 분류에 집착하는 것이나 커뮤니티 댄스를 삶과 분리된 고정된 대상으로 보는 것은 바람하지 않다고 생각된다. 이에 커뮤니티 댄스는 의미를 탐구하는 예술교육적 실천으로 능동적인 감동의 예술이 된다는 것을 확인했다. 다섯째, 이와 같이 볼 때 커뮤니티 댄스는 삶의 소통, 생활의 예술화 그리고 치유의 교육적 의의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커뮤니티 댄스를 통해서 민주주의 실천방식으로서의 예술교육적 경험을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커뮤니티 댄스의 표현 매개체로 쓰는 몸은 우리의 삶 속에서 존재하고, 몸의 존재는 개인 흥미나 내적 동기에 따라 예술의 표현 매개체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커뮤니티 댄스를 통한 자연스러운 소통의 신체경험은 교육적 소통을 위한 수단이 될 수 있다. 커뮤니티 댄스의 소통은 공동체가 실제로 보고 듣는 자체 보다는 참여자 자신이 감지한 것에 대해 어떻게 표현하는가의 의미와 가치를 포함한 무용단위 의사소통으로 미학적 상호작용을 일으킨다. 이러한 과정에서 커뮤니티 댄스에서의 만남이 인간과 인간 사이에 또는 인간과 공동체가 사회를 존속시켜 나가는 공감의 형성으로 나아간다면, 커뮤니티 댄스는 교육철학상담적 치유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커뮤니티 댄스에서 공동체가 가진 관심과 이해가 서로 공유되고 개인의 개성은 존중 받으며 자유로운 상호작용과 표현은 바로 민주주의 방식의 경험이 되는 것이다. 사회개혁이 커뮤니티 댄스의 실천에 의해 삶 속에서 점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은 논의로 비춰볼 때, 커뮤니티 댄스가 우리에게 삶의 예술로 이해되어야 하며 예술교육적 실천으로 어떤 의미로 작용되는가에 의미를 둔다면 프래그머티즘에 근거한 커뮤니티 댄스의 예술교육적 의의가 우리에게 전달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 듀이, 프래그머티즘, 커뮤니티 아트, 커뮤니티 댄스, 미학

      • 심청가 중 ‘심봉사 눈 뜨는 대목’ 비교 연구 : 박록주 · 한애순 · 정권진 창을 중심으로

        함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23

        In this paper, I compared the lyrics and musical features focusing on Korean Traditional Narrative song(Pansori) of Rok Joo, Park, Ye Soon, Han, Kwon Jin, Jung. Comparing lyrics focused on common lyrics. Musical featur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each melody and lyrics placement. The following is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arranged in order. First, when I reviewed the lyrics, the lyrics of Rok Joo, Park, Ye Soon, Han, Kwon Jin, Jung are 65% similar. However, Rok Joo, Park, Ye Soon, Han showed 95% similar lyrics, and the lyrics of the Kwon Jin, Jung described that all blind people who attended the blind feast open their eyes, it was became bright heaven and earth. He (Jajinmory 34 Jangdan) depicted independently, and described Scene that ‘Simbongsa’ open his eyes and rejoicing of the reunion with‘Empress Sim’ and humorous lyrics added to the theatrical elements, which had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Scene that ‘Simbongsa’s eyes open.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lody, Scene that ‘Simbongsa’s eyes open is all minor key. Rok Joo Park is based on d centered sound, Ye Soon, Han is based on e♭centered sound, and Kwon Jin, Jung is based on a centered sound but it goes down on semitone to a♭centered sound in scene that Simbongsa’s eyes open. For example, in part of ‘The blind man says’, Rok Joo, Park broad range to D~c’, in part of ‘Empress Sim heard that words’, Kwon Jin, Jung broad range to E ~ c’, and in part of Simbongsa’s eyes open, Ye Soon, Sim broad range from F ~ e'to ♭, it is shown wide range of frequencies. The melody of Rok Joo, Park’s performance was monotonous, and In the course of rising and descending phases, a horizontal progression was observed with a narrow view of sound width. The melody of Ye Soon, Han’s performance was that have lots of use grace note and bending sound, Curvilinear progression was prominent. The melod of Kwon Jin, Jung’s performance was monotonous, and used the dramatic feeling of the lyrics through wide vertical progression. Rok Joo, Park used grace note 14 times, and bending sound 28 times, Ye Soon, Hang used grace note 52 times and bending sound 75 times, and Kwon Jin, Jung used grace note 13 times and bending sound 24 times in their performance. As we can see from above, Ye Soon, Han's melody has largest number of using grace note and bending sound. Third, the following are the result of review lyrics placement. In Rok Joo, Park and Kwon Jun, Jung’s performance, they used rhythm of syllable various variation were made using mixed all 4types (Three times, Two times, Two-three times, Three-two times), and Rok Joo, Park used Three times technique to produce stable lyrics placement. Kwon Jun, Jung used Three times, Two times, Two-three times, Three-two times hemiola was used and a stable Three times was used at the same time, and also used Jajunmori-jangdan, mixed all types, he placed the lyrics freely regardless of Jangdan. Ye Soon, han, she used modified type from Three times and typical Three times 1 times in rhythm of syllable, Jungmori. In summary, the above results are similar to the lyrics of Rok Joo, Part, Ye Soon Han, and Kwon Jin, Jung in scene that ‘Simbongsa’s eyes open. However, Kwon Jin, Jung’s performance in part of ‘The blind man’s eyes are opened’, the lyrics of this section was described in more detailed and humorous way, showing the effect of the theater elements. In musically, Kwon Jin, Jung's performance which latest being accomplished has been revealed in affect by musical characteristics of Rok Joo, Park and Ae Soon, Han. This shows the timely and musically combined sound of the most active to be accomplished Kwon Jin, Jung's performance, It was proved once more through the Scene that "‘Simbongsa’s eyes open" of this paper. In this paper,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Scene that "‘Simbongsa’s eyes open" focused on Rok Joo, Park, Ae Soon, Hang, and Kwon Jin, Jung, it was able to understand the whole flow through their independent expression and common expressions that appeared in the lyrics, melody and lyrics placement. Through this paper, I hope that it will be helpful to understand Scene that ‘Simbongsa’s eyes open in Rok Joo, Park, Ye Soon, Han, and Kwon Jin, Jung’s performance. I hope that the succession of "Shimchungga" in the Pansori Five Story will be well accomplished. 본고에서는 심청가의 눈 대목인‘심봉사 눈 뜨는 대목’을 박록주, 한애순, 정권진의 창을 중심으로 사설과 음악적 특징을 비교하여 연구하였다. 사설 비교는 공통사설을 위주로 살펴보았다. 음악적 특징은 선율과 붙임새를 각각 비교 분석하였다. 다음은 연구 결과를 차례로 정리한 것이다. 첫째, 사설을 살펴본 결과 박록주, 한애순, 정권진의 사설은 65% 유사하다. 하지만,‘감은 눈을 번쩍 뜨고’는 박록주와 한애순은 95% 유사한 사설을 보였고, 정권진의 사설은 맹인잔치에 참석한 여러 맹인이 모두 눈을 떠서 광명천지가 되었음을 (자진모리 34장단) 독자적으로 묘사하고, 심 봉사도 눈을 떠서 심황후와 재회하여 기뻐하는 모습 (중모리 18장단)을 묘사하여, 해학적인 사설과 연극적인 요소가 가미되어‘심봉사 눈 뜨는 대목’을 더 극대화 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둘째, 선율을 살펴본 결과 ‘심봉사 눈 뜨는 대목’은 모두 계면조이다. 박록주가 d 본청이고, 한애순은 e♭본청이며, 정권진은 a 본청이나‘감은 눈을 번쩍 뜨고’에서는 a♭본청으로 반음 내려간다. 음역은 곡에 따라 서로 다른 음역대를 보인다.‘예 소맹이 아뢰리다’에서는 박록주가 D ~ c'로 넓었고, ‘심 황후 이 말 듣고’에서는 정권진이 E ~ c'로 넓었으며, ‘감은 눈을 번쩍 뜨고’는 한애순이F ~ e'♭까지로 넓은 음역대를 지녔다. 박록주의 선율은 단조로운 진행을 보이며, 상·하행 진행 시 음폭이 좁은 수평적인 진행이 주로 나타났다. 한애순의 선율은 한 장단 내에 시김새와 꺾는음의 활용이 많아 곡선적 진행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정권진의 선율은 단조로운 선율 진행과 음폭이 넓은 수직적 진행을 통하여 사설의 극적인 느낌을 살렸다. 시김새는 박록주가 총 14회의 꾸밈음과 28회의 꺾는 음을 사용하였고, 한애순이 총 52회의 꾸밈음과 75회의 꺾는 음을 사용하였으며,정권진이 총 13회의 꾸밈음과 24회의 꺾는 음을 사용하여, 한애순의 선율이 시김새를 가장 많이 사용함을 알 수 있다. 셋째, 붙임새를 살펴 본 결과 다음과 같다. 박록주와 정권진은 대마디 대장단인 3박형, 2박형, 2·3박형, 3·2박형의 모든 유형과 엇붙임을 사용하여 다양한 붙임새가 나타났으며, 박록주는 3박형을 주로 사용하여 안정적인 붙임새를 보였다. 정권진은 2·3박형과 3박형을 사용하여 2분박의 헤미올라와 안정적인 3분박을 동시에 사용하였고, 자진모리장단에서 엇붙임을 사용하여 장단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사설을 배치하였다. 한애순은 중모리에서 대마디 대장단 중 3박형이 총1회 나오고, 나머지는 3박형에서 변형된 형태의 붙임새를 사용하였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심봉사 눈 뜨는 대목’에서 박록주, 한애순, 정권진의 사설은 유사하다. 하지만, 정권진은‘만좌맹인 눈을 뜬다’로 시작하는 자진모리장단이 더 쓰이고, 이 부분의 사설을 더 자세하고 해학적으로 묘사하여 연극적 요소가 부각되는 효과를 보였다. 음악적으로는 가장 늦게 전승되어진 정권진 소리에 박록주와 한애순의 음악적 특징이 나타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현재 가장 활발히 전승되고 있는 정권진의 소리가 시기 적절하게 음악적으로 조합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본고의‘심봉사 눈 뜨는 대목’을 통해서 한번 더 증명하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심청가 중‘심봉사 눈 뜨는 대목’을 박록주, 한애순, 정권진 명창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여, 사설·선율·붙임새에 나타나는 독자적인 표현과 공통적인 표현을 통해 전체적인 흐름을 이해 할 수 있었다. 본고를 통해서 박록주·정권진·한애순의‘심 봉사 눈 뜨는 대목’이해에 도움이 되었으면 하고, 앞으로 판소리 5바탕 中 심청가의 계승발전이 잘 이루어지길 바란다.

      • 긴 사슬 지방산 생산을 위해 재조합된 E. coli 세포 내 친환경적 지질 추출에 관한 연구

        함수 가천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1823

        바이오 디젤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는 원료인 긴 사슬 지방산을 생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야생 균주에 비해 긴 사슬 지방산을 과량 생산하는 재조합 E. coli MG1655를 배양한 후, 세포 내 지질을 효과적으로 분리하기 위해서 세포 파쇄와 지방산 추출 등 공정에서 친환경적인 새로운 방법을 적용하였다. 고압 균질기를 이용하여 세포를 파쇄한 후 환경 친화적인 용매들을 이용하여 지질을 추출하였다. 세포 파쇄는 고압 균질기의 압력이 5,000 psi에서 효과적으로 이루어졌으며 2~3회 파쇄로 모두 90%이상의 파쇄율을 얻었다. 5,000 psi의 압력에서는 균이 나노 사이즈로 파쇄 되었기 때문에 10,000rpm으로 원심분리 하여 균을 효과적으로 회수 하였다. 또한 발효액에 응집제를 첨가하여 균의 회수율을 높였으며 지질 추출량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추출 용매 시스템의 경우 hexane/isopropyl alcohol과 ethyl acetate/ethanol 시스템이 상대적으로 지질 회수율이 높았으며, 상기 세포 파쇄 조건을 적용하여 초기 지질양의 약 60%를 추출하였다. 또한 추출된 지질은 C12, C14, C16과 C18과 같이 긴 사슬 지방산으로 구성되었음을 GC-MS 분석기기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