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국연변지역 조선족과 한족 농촌주택의 현대적 변화에 관한 비교연구 : 중국사회정책변화에서 본 주택평면변화를 중심으로 = The Contrastive Study on Modern Changes of Rural Housings between Korean-Chinese People and Han Chinese in Yanbian Area of Chin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0071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농촌주택은 그 지방 고유의 자연적, 사회문화적 환경 등의 제반조건에 따라 농민들에 의해 축적된 생활의 지혜를 표현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중국의 연변지역에 거주하는 조선...

      농촌주택은 그 지방 고유의 자연적, 사회문화적 환경 등의 제반조건에 따라 농민들에 의해 축적된 생활의 지혜를 표현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중국의 연변지역에 거주하는 조선족주택 연구는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으나, 현재까지의 연구는 전통주택에 한정되고, 원형에서 공간의 성격을 파악하는 현상적인 연구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 이런 상황에서 연구 관점을 달리하여 연변지역의 조선족과 한족농촌주택이 중국사회정책의 변천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여 현재의 주거공간으로 이용되느냐를 비교분석하는 것은 주거문화의 변화성과 지속성을 이해하는 데에는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농촌주택의 흐름을 총체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중국의 사회정책을 주요 연구의 단면으로 설정하여 연변지역의 조선족과 한족의 이주정착기(1860-1940년대) 농촌주거 공간구성의 특징에서부터, 인민공사화 및 문화대혁명정책시기(1950-1970년대)를 비롯하여, 개혁개방 및 계획생육정책시기(1980-1990년대), 사회주의 신 농촌건설정책시기(2000년 이후)에 이르기까지 중국사회정책이 실시됨에 따라 기거양식이 변화되면서 주택의 공간구조에 미친 영향을 조사 분석해 보고자 하였으며,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주 정착기 조선족은 남녀노소에 따라 출입, 취침, 식사, 단란이 분리되어 이루어지는 반면, 한족은 집안의 위계에 따라 취침 공간이 분리 되며, 출입과 식사, 단란은 공동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농업을 바탕으로 한 조선족 주택은 몇 간의 살림방과 농업에 적합한 부속 공간들을 가지고 있으나, 한족은 광업노동 종사를 목표로 생존에 필요한 공간이외의 부속 공간이 없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인민공사화 및 문화대혁명정책의 영향으로 공동축사운영제도가 도입됨으로 인해 조선족주택내의 부속공간인 외양간이 소멸되고 그 자리에 창고를 설치하였다. 그리고 도시 외교의 일부 주택은 벽돌구조가 도입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농촌에 전기화된 정미소가 등장함으로 인해 주택내의 방앗간이 소멸되었다.
      인민공사화와 문화대혁명은 소수민족을 한족화(漢族化) 하려는 정책이었기 때문에 한족에게는 큰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이 당시의 한족주택은 기본적인 식(食)과 주(住)의 기능만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개혁개방 및 계획생육정책은 시장경제를 바탕으로 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개인의 능력에 따라 신축주택을 짓을 수 있었으며, 새로운 재료와 기술 도입으로 인해 벽돌구조 주택이 일반화 되면서 툇마루가 소멸되었다. 또한 마을단위의 공동축사운영제도가 소멸됨으로 인해 주택지 내에 독립적으로 외양간을 건축한다. 평면구조는 방과 방 사이가 개방적으로 변하고, 침대, 싱크대, 가스레인지 등의 입식가구의 도입으로 일부 주택 내에서는 좌식+입식이라는 혼합적 기거형태를 취하고 있었다. 조선족이 적고 한족이 많은 마을에서의 조선족 주택에서 부분온돌을 설치하는 주택이 출현하였고, 한족이 적고 조선족이 많은 마을에서의 한족 주택에서는 전면을 온돌로 설치한 주택이 출현하였다. 그리고 계획생육 정책으로 핵가족화가 진행되면서 조선족의 온돌방과 한족 내옥(內屋)의 칸수가 줄어든다.
      사회주의 신 농촌건설시기에는 정부에서 농촌주거환경개선정책으로 보조금을 주면서 주택의 구조와 지붕을 벽돌과 기와로 개량을 함으로 인해 초가집이 대량 소멸되었다. 또한 농촌주택에서는 화장실, 욕실, 싱크대와 같은 현대화 시설이 일반화 되면서 주택내의 기거양식은 좌식과 입식을 함께 쓰는 좌·입 혼합(坐立混合)형태로 변화한다. 그리고 핵가족화가 진행되고 남녀평등을 주장하면서, 방은 개방적인 통간형의 주택이 일반화 된다.
      한족의 주택에서는 내옥의 캉(부분온돌)을 넓게 꾸며 조선족 주택의 전면온돌방식을 따랐다. 이는 두 민족이 온돌방식의 변화와 상호 융합된 결과이다.
      연변조선족자치주 조선족과 한족의 시대별 중국정책변천에 따른 주택 변화를 정리해보면 주택평면은 다양하게 변화되어 왔다. 조선족은 중국 사회정책의 영향을 받으며 변화되어온 반면, 한족은 영향을 받지 않고 변화되었으며, 생존에서 생활의 단계를 거쳐 진화함과 동시에 생활방식의 필요에 따라 공간을 만들어 왔다.
      이상과 같은 변화과정 이후에도 연변지역 조선족과 한족의 농촌주택은 계속 변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그 변화의 방향은 앞으로 더 기다려 보아야 확인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가 보다 체계적이고 일반화된 결론으로 정립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농촌주거의 사례조사와 실내뿐만 아니라 실외의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2. 연구의 방법 및 논문의 구성 4
      • 2.1 연구 순서와 방법 4
      • 2.2 논문의 구성 6
      • Ⅰ. 서 론 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2. 연구의 방법 및 논문의 구성 4
      • 2.1 연구 순서와 방법 4
      • 2.2 논문의 구성 6
      • 3. 연구의 범위 및 대상 8
      • 4. 선행연구 및 용어정의 13
      • 4.1 선행연구 고찰 13
      • 4.2 용어 정의 23
      • Ⅱ. 조선족의 이주 및 중국사회정책의 변화 29
      • 1. 조선족의 이주 29
      • 1.1 청국말기(18세기~19세기초) 29
      • 1.2 중화민국 초기(1910~1930년) 31
      • 1.3 중화민국 말기(1931~1949년) 32
      • 1.4 개혁개방 이후(1979~) 34
      • 1.5 1949 – 2010년까지 연변 인구의 변화 35
      • 2. 중국사회정책의 변화 37
      • Ⅲ. 이주정착기의 농촌주택 39
      • 1. 조선족 39
      • 1.1 평면유형 39
      • 1.2 단위공간 43
      • 2. 한족 48
      • 2.1 평면유형 48
      • 2.2 단위공간 54
      • 3. 소결 58
      • Ⅳ. 인민공사화 및 문화대혁명정책 시기의 농촌주택 59
      • 1. 조선족 59
      • 1.1 평면유형 59
      • 1.2 단위공간 62
      • 2. 소결 65
      • Ⅴ. 개혁개방 및 계획생육정책 시기의 농촌주택 66
      • 1. 조선족 66
      • 1.1 평면유형 66
      • 1.2 단위공간 69
      • 2. 한족 73
      • 2.1 평면유형 73
      • 2.2 단위공간 76
      • 3. 소결 80
      • Ⅵ. 사회주의 신 농촌건설정책 시기의 농촌주택 81
      • 1. 조선족 81
      • 1.1 평면유형 81
      • 1.2 단위공간 84
      • 2. 한족 88
      • 2.1 평면유형 88
      • 2.2 단위공간 91
      • 3. 소결 95
      • Ⅶ. 결 론 96
      • 1. 기거양식의 변화 96
      • 1.1 출입 96
      • 1.2 취침 96
      • 1.3 식사 97
      • 1.4 취사 97
      • 1.5 단란 98
      • 2. 농촌주택 평면의 변화 100
      • 3. 중국 사회정책 변화에 따른 연변지역 농촌주택의 변화 102
      • 3.1 이주정착기 102
      • 3.2 인민공사 및 문화대혁명 102
      • 3.3 개혁개방 및 계획생육 103
      • 3.4 사회주의 신 농촌건설 103
      • 참고문헌 106
      • Abstract 114
      • 부록 118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이광규, "「재중한인」", 일조각, 1994

      2 김일진, "「옛집에 담긴 생각」", 한국건축역사학회, 건축역사연구, 1996

      3 박경휘, "「조선족 민족사 연구」", 료녕민족출판사, 료녕민속출판사, 1988

      4 한상복, "「중국 연변의 조선족」", 서울대학교출판부, 1993

      5 김영모, "「중국 조선족 사회연구」", 한국복지정책연구소 출판부, 한국복지 정책연구소출판부, 1992

      6 천수산, "「중국 조선족 풍속백년」", 료녕민족출판사, 2008

      7 남명렬, "「중국 연변 조선족과 한반도」", 연세대 석사학위논문, 1995

      8 심혜숙, "중국조선족 취락지명과 인구분포", 서울대학교 출판부, 연변대학출판사 서울대학교출 판부, 1994

      9 崔美蘭, "吉林省朝鲜族新农村建设问题研究", 中央民族大学석사학위논문, 2008

      10 王浩, "朝鲜族传统民居生态建筑经验研究", 哈尔滨工业大学석사학위논문, 2007

      1 이광규, "「재중한인」", 일조각, 1994

      2 김일진, "「옛집에 담긴 생각」", 한국건축역사학회, 건축역사연구, 1996

      3 박경휘, "「조선족 민족사 연구」", 료녕민족출판사, 료녕민속출판사, 1988

      4 한상복, "「중국 연변의 조선족」", 서울대학교출판부, 1993

      5 김영모, "「중국 조선족 사회연구」", 한국복지정책연구소 출판부, 한국복지 정책연구소출판부, 1992

      6 천수산, "「중국 조선족 풍속백년」", 료녕민족출판사, 2008

      7 남명렬, "「중국 연변 조선족과 한반도」", 연세대 석사학위논문, 1995

      8 심혜숙, "중국조선족 취락지명과 인구분포", 서울대학교 출판부, 연변대학출판사 서울대학교출 판부, 1994

      9 崔美蘭, "吉林省朝鲜族新农村建设问题研究", 中央民族大学석사학위논문, 2008

      10 王浩, "朝鲜族传统民居生态建筑经验研究", 哈尔滨工业大学석사학위논문, 2007

      11 조성일, "「조선민족의 다채로운 민속세계」", 북경민족출판사, 1986

      12 이명화, "「조선족생활양식의 지속과 변동」", 경일대/한국연구재단, 2007

      13 박경휘, "「중국조선족의 이식주 생활풍습」", 집문당, 1994

      14 杨丹, "东北朝鲜族民居可持续发展调查研究", 东北师范大学석사학위논문, 2009

      15 동정근, "「중국 조선족 주거문화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건설환경 시스템 연구소, 인하대학교 건설환경 시스템 연구소, 2001

      16 김봉렬, "「中國延邊地區朝鮮族의 마을과 주거」", 건축역사연구, 1994

      17 김준봉, "「中國延邊朝鮮族傳統民家의 形式的特性」", 대한건축학회, 2000

      18 고도임, "「중국 연변의 조선족 전통농간의 주생활」", 카톨릭대학교 출판부, 1999

      19 催明玉, "日伪在延边地区的“集团部落”建设及其影响", 延边大学석사학위논문, 2006

      20 국성하, "「중국 조선족의 한국문화적응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연세대 석사학위논문, 1996

      21 박은정, "中國延邊朝鮮族自治州傳統民家의 形式과 變化", 연세대 석사 학위논문, 1999

      22 조원석, 변경화, 허성걸, "「중국 조선족 거주환경 관련연구의 동향분석」", 한국농촌건축학회, 한국농촌건축학회, 2015

      23 구영민, "「중국 흑룡강성 해림시 흥성촌의 조선족 주거」", 대한건축학회, 2001

      24 강재식, "「中國東北地域朝鮮族의 民族意識에 關한 硏究」", 고황논문집, 1992

      25 김승제, "「中國朝鮮族河東鄕의 마을구성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건축학회, 2001

      26 금요찬, "「中國朝鮮族農村住居의 空間的特性에 관한 硏究」", 동양대학교 논문집, 2000

      27 김승제, "「中國朝鮮族龍興村의 마을구성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건축학회, 2002

      28 고도임, Kyung Nan Park ), Bok Cha Yoon, Hyung Seon Choi, Nam Hee Park, 박경난 ( Do Yim Koh, 윤복자, 최형선, 박남희, "「중국 연변 조선족 전통농가의 시설설비 실태조사」", 대한가정학회, 생활과학연구 논문집, 1998

      29 정영석, "「中國吉林省龍興村朝鮮族의 住居空間에 관한 硏究」", 조선대 석 사학위논문, 1996

      30 김혁, 김성우(Kim Sung-Woo), "「중국 연길시 아파트 평면의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 2009

      31 이상해, "「中國吉林省水田村의 朝鮮族住居와 漢族住居의 比較」", 한국문 화재보호재단, 2001

      32 임금화, "「두만강 북안 상류 조선족 농촌마을 공간구조의 변화」", 한국농촌건 축학회, 2006

      33 임금화, "「두만강 북안 하류 조선족 농촌마을 공간구조의 변화」", 한국농촌건 축학회, 2007

      34 김수인, 김종영, 김승제, "「중국 조선족의 지역분포 및 농촌마을 구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대한건 축학회, 1997

      35 강위원, "「조선족의 오늘 : 조선족 문화에 대한 영상인류학적 기록」", 신유, 도서출 판 신유, 2002

      36 임금화, "「豆滿江北岸朝鮮族農村마을 空間構造및 住居形態의 變遷」", 청 주대 박사학위논문, 2008

      37 林金花 , 崔孝昇, 張泰賢 , 金泰永 , 金晟中 , "「두만강 북안 도선ㆍ도섭장 마을의 분포현황에 대한 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 한국농 촌건축학회, 2006

      38 김종영, "「중국 료녕성 조선족 도시단독주택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 주거학회, 2000

      39 김종영, "「중국 연변조선족 집합주택의 화장실 평면구성에 관한 연구」", 산업 기술연구소논문보고집, 2010

      40 김준봉, "「中國東北地域韓人同胞(朝鮮族) 傳統民家平面의 分類와 特性」", 충북대 박사학위논문, 2000

      41 김종영, "「중국 연변 조선족 집합주택의 취사 및 식사공간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한 국주거학회, 2002

      42 백석종, 김준봉, "「중국 동북지역 조선족 전통민가의 평면유형분류와 분포 특성」", 대한건축학회, 대 한건축학회, 2001

      43 임문범, "「韓民族住居의 空間構造硏究: 中國朝鮮族農村住居를 中心으 로」", 조선대 석사학위논문, 1996

      44 강룡범, "「중국 료녕성 개현 진퉁향 박가구촌 조선족에 대한 역사적 고찰」", 한국학연구, 1991

      45 김수인, "「中國少數民族의 住居硏究: 東北3省朝鮮族農村住居를 中心으 로」", 조선대학교 환경공해연구소, 1999

      46 김통일, "「중국 조선족 도시집합주택의 공간구성에 관한 조사연구」", 계 명대 석사학위논문, 1997

      47 허성걸, "「중국연변지역 조선족 농촌주택의 시기별 변천에 대한 조사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 2015

      48 윤철준, "「煖房方式中心으로 본 中國朝鮮族集合住宅空間構成의 變遷硏 究」", 계명대 박사학위논문, 2003

      49 태영남, "「중국 연변조선족 공동주택의 시기별 계획특성 변화에 대한 연구」", 충남대 석사학위논문, 2008

      50 권태환, "「중국 조선족 대이동과 공동체의 변화: 현지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2002

      51 김지현, "「중국 흑룡강성 조선족 농촌주거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계명대 석사학위논문, 1996

      52 金正鏑, "东北地区传统民居与居住文化研究—以满族、朝鲜族、汉族民居为中 心", 中央民族大学박사학위논문, 2004

      53 이규성, "「中國延邊地區朝鮮族마을의 構成: 룡정시 지신향 장재촌을 대상 으로」", 건축역사연구, 1994

      54 이해연, "「이주문화의 정체성 발현에 관한 연구: 연변의 조선족 주거공간계획 안」",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 석사학위논문, 2010

      55 김장수, "「중국 연변 조선족 집합주택의 부엌공간의 변천에 관한 연 구」", 계명대 석사학위논문, 2000

      56 김성우, "「中國遼寧省滿洲族, 韓族, 朝鮮族民家사이의 상호영향관계에 관 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001

      57 김인학, "「延邊朝鮮族村落의 空間構造變化에 關한 硏究: 龍井市長財村을 中心으로」", 청주대 석사학위논문, 2003

      58 김준봉, 김준영, 백석종, 김현송, "「중국 조선족 농촌마을의 공간구성 및 세대별 배치유형에 관한 조사 연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대한건축학회, 2012

      59 김종영, "「中國延邊朝鮮族과 漢族의 集合住宅平面構成比較硏究: 延吉市 를 中心으로」", 한국주거학회, 2004

      60 신재억, "「中國延邊地區朝鮮族住居의 建築的特徵: 용정시 지신향 장재촌 사례를 통해」", 건축역사연구, 1994

      61 양승정, "「中國朝鮮族農村住居의 空間的特性에 관한 硏究: 吉林省龍興村 을 中心으로」", 한양대 석사학위논문, 1998

      62 김종영, "「중국 조선족 주거의 공간구성 형태와 그 지역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1996

      63 강영환, "「中國延邊地區朝鮮族의 住居空間및 生活方式: 용정시 지신향 장 재촌을 대상으로 」", 건축역사연구, 1994

      64 김수인, 전진숙(Jeon Jin-Sook), 김민석(Kim Min Seok), "중국 조선족의 주거에 관한 연구 - 동북3성 조선족 주거공간의 공간구성 분류형식에 대해서",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 2003

      65 강정호, "「中國吉林省少數民族의 주거공간 使用특성에 관한 硏究: 朝鮮族, 滿族, 蒙古族을 중심으로」",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2003

      66 김병철, "「中國延邊朝鮮族의 定着過程에 關한 硏究: 延邊朝鮮族의 自治州 和龍縣延安村을 中心으로」", 한국교원대 석사학위논문, 1997

      67 김혁, "중국 연길시 아파트 평면의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 1980년대부터 2008년까지 아파트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연세대 석사학위논문, 2009

      68 김광호, "「중국 조선족 고층아파트 단위평면 공간구성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중국 연길시를 중심으로」", 전북대 석사학위논문, 2006

      69 임금화, "「中國延吉市近郊農村마을의 空間構成과 住居形態에 대한 硏究: 河龍村小河龍마을을 中心으로」", 청주대 석사학위논문, 2004

      70 임금화, "「중국 연길시 근교 농촌주택의 변천에 관한 조사연구 : 하룡촌 소하 룡(所河龍)마을을 중심으로」", 한국농촌건축학회, 2005

      71 김일학, "「中國朝鮮族農村居住空間의 特性과 變遷에 關한 硏究: 東北3省 의 朝鮮族마을과 住居를 對象으로」", 한양대 석사학위논문, 2010

      72 동정근, "「중국 연길 조선족 아파트와 한국 중산층 아파트 평면 비교 -연길시 조선족 공동주거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2001

      73 김성우, "「중국 연변 조선족 전통마을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 연변 조선족 자치주 龍井市龍山村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2003

      74 김종영, "「중국 동북지방 조선족 도시집합주택의 평면구성형태와 그 변천과정 에 관한 연구 - 연길시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000

      75 김영준, "「中國延邊朝鮮族전통마을의 공간구성과 주택 평면형식에 관한 연 구 : 연변 조선족 자치주 龍井市龍山村을 중심으로」", 연세대 석사학위 논문, 2003

      76 최금화, "「朝鮮族과 漢族의 住居空間使用方式및 要求에 대한 比較硏究: 中 國吉林省延邊朝鮮族自治州延吉市集合住居를 中心으로」", 명지대 석 사학위논문, 2002

      77 김진우, "「中國朝鮮族都市生活의 變化過程을 通하여 본 住文化의 持續과 變 容에 關한 硏究: 中國東北地區韓族住居와의 比較를 通하여」", 한양대 석사학위논문, 1997

      78 김일학, "「조선족 농촌주거의 부엌공간의 형태와 취사 및 식사방법: 중국 동 북3성 각 지역의 조선족 농촌주거에 대한 조사연구를 중심으로」", 한국 주거학회, 2010

      79 박성규, "「中國遼寧省朝鮮族民家의 形式과 平面特性에 관한 硏究: 요녕성 과 요녕 길림성 접경지역 조선족 민가에 대한 조사결과를 중심으로」", 연세대 석사학위논문, 2001

      80 김일학, 박용환, "「조선족 농촌주거 공간구성형태의 지역적 특징에 관한 연구: 중국 동북 3성 각 지역의 조선족 농촌주거에 대한 조사연구를 중심으로」", 한국농촌계획학회, 한 국농촌계획학회,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