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장애인 인권관련 규범에 대한 헌법적 고찰

        조경진 경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50655

        (Abstract) If anyone born to human rights and human rights issues that result in the grant of the human rights of all people in life are guaranteed in the Constitution which can not be an exception also persons with disabilities. If the human being as human rights that ought to belong, fundamental rights are rights that can be regarded as finally being recognized as a right provided for in the Constitution. Modern human rights were also referred to only freedom. Today, however, political rights, social rights, such as has been recognized in the form of a variety of human rights. This shows that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and the various regional human rights treaties extend the universality of human rights. Disability-related human rights at domestic and international with the expansion of human rights norms and regulations are provisions for ensuring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but it is practically difficult, discrimination against persons with disabilities is also a reality that exists. For those non-discrimination and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order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human rights norms, in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need to organically linked, and it is necessary to stipulate their own rules regarding the content of human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addition to the foundation for the full realization of social participation and equality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t is need to maintain human rights norm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be recognized as equal members of society. we also should take a human rights approach with disabilities through application to relevant international human rights norms in domestic legal of disability and the enactment and amendment of the Local Government Act. The fundamental rights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to be applied to anyone with disabilities, We shall en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rough the analysis of relevant norms of human rights norms.

      • 해상운송인의 책임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 중국법과 한국법을 중심으로

        Gao, Hui 경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50655

        세계경제가 나날이 발전함에 따라 국제무역은 개별 국가들의 경제 발전을 촉진하고, 국제관계를 조절하는 중요한 수단이 되어 왔다. 그리고 여전히 해상운송은 국제무역에 있어 중요한 운송 수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해상화물 운송업의 발전에 따라 새로운 형태의 이익단체가 등장하였는데, 이러한 이익단체의 출현은 해상운송의 발전을 촉진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운송과 관련한 책임과 의무가 더욱 상세하게 확정되면서, 운송인의 책임과 의무의 부담이 더욱 복잡해진 결과 문제점도 나타나고 있다. 운송인은 해상화물운송의 전 과정에서 유일하게 처음과 끝까지의 책임주체라는 점이다. 해상화물운송계약에서 개별 주체의 권리와 의무에 관한 법률 관계를 파악하려면, 먼저 운송인을 중심으로 고찰해야 할 필요성이 있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운송인에 대한 법적 연구가 절실하고 중요하다고 본다. 본 논문의 연구범위는 해상화물운송계약 과정에서 발생하는 운송인의 책임을 논하고, 이에 따른 운송인에 대한 책임부담의 원칙, 책임의 범위, 기간, 제한에 대하여 비교법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해상화물운송에 대한 국제 조약은 크게 4가지로 요약되는데, 헤이그 규칙, 헤이그 비스비 규칙, 함부르크 규칙, 그리고 로테르담 규칙이다. 이러한 규칙들은 연혁적으로는 시간의 순서대로 발생하였고, 각각의 이익 단체의 권리와 의무에 대한 태도도 “각유천추(各有千秋)”이기도 하며, 운송인의 엄격책임에 관한 태도도 상이하게 나타난다. 예를 들면, 책임원칙에 대하여 헤이그 규칙은 불완전과실책임원칙을 취하고 있는데, 함부르크 규칙은 완전과실책임원칙을 취하고 있으며, 헤이그 규칙에 비하여 현저하게 운송인의 책임을 확대시켰다. 그리고 로테르담 규칙은 헤이그 규칙과 함부르크 규칙을 결합한 혼합책임원칙을 취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단위손해배상제한에 관하여는 헤이그 규칙은 포장당 혹인 단위당 100파운드라고 규정하였고, 비스비 규칙은 배상한도액을 포장당 혹은 단위당10000 골드 프랑 혹은 중량의 킬로당30 골드 프랑이며, 양자 중에 더 높은 수액으로 계산한다고 규정한다. 함부르크 규칙은 배상한도액을 포장당 혹은 단위당 835SDR, 또한 킬로당 2.5SDR으로 제고하였고, 로테르담 규칙은 875SDR 혹은 3SDR로 규정한다. 요컨대, 시대적 상황과 경제 발전에 따라 단위손해배상한도액도 계속해서 증가되고 있다. 중국과 한국은 중요한 무역 동반이고 양국 간의 해상화물운송도 매우 많다. 양국은 무역을 통한 이익과 상호 교류를 위하여, 해상화물운송에 대해 입법적으로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중국은 해상화물운송을 조정하는 법률이 주로 해상법이고, 한국은 해상화물운송을 조정하는 법률이 상법의 제5편 해상에 편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제조약의 규정을 소개하며, 중국법과 상법에서 해상화물운송에 관한 운송인 규정을 분석하고, 차이점과 공통점을 분석하기로 한다. 결론에서는 양국의 현실과 향후 예상되는 쟁점에 관하여 합리적 견해를 제시하고, 해상화물운송 중 선화 양쪽의 이익을 조화롭게 배분하여 상거래를 촉진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논문의 목차는 7장으로 나뉘어 있다. 제1장은 서론이고, 논문을 쓰는 배경과 의의, 연구방법을 소개한다. 제2장은 해상운송인의 책임에 관하여 일반론적 연구를 검토한다. 해상운송인이 손해배상책임, 해상운송에 관련되는 4개 국제조약, 한국과 중국의 해상운송인에 대한 법률규정, 그리고 화주측에게 불이익변경 금지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제3장은 운송인의 책임 주체를 고찰한다. 먼저 해상운송계약 상 운송인과 관련되는 개념을 살펴보며, 운송인이라는 개념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분석하기로 한다. 세부 주제로는 국제조약, 영국과 미국법, 중국법, 한국법에서 해상운송인의 의의에 대해 구분하여 효과 및 문제점을 분석한다. 제4장은 해상운송인의 책임 원칙에 대해 분석한다. 해상운송인의 책임 원칙에 관하여는 일반적 학설을 소개하고, 책임의 기초와 귀책사유를 구분하여 검토한다. 그리고 엄격 책임제, 불완전 책임제, 완전책임제 또한 혼합책임제를 분석한다. 아울러 국제조약, 중국법, 한국법과 비교하면서 각각의 특징과 차이점을 찾아 그에 따른 효과를 비교법적 관점에서 논의한다. 제5장은 해상운송 중에서 특별한 운송인에 대한 책임제한제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책임기간, 면책사유, 단위책임제한, 그리고 책임의 소멸을 나누어 소개한다. 국제조약, 한국과 중국의 법률을 분별적으로 살펴보면서, 절차의 정합성과 거래에 관한 효율성에 관하여 견해를 밝히기로 한다. 제6장은 해상운송인의 책임에 관한 책임배제조항의 검토이다. 손해의 통지와 제소기간으로 분설하였다. 국제조약과 중국법과 한국법을 비교하여 검토하는 것이다. 제7장은 결론에 해당한다. 본론의 소결을 토대로 해상운송계약상 운송인의 책임제도를 개관하며, 중국과 한국의 양 제도를 비교하여 운송인의 책임에 대한 법률의 차이점과 문제를 해결하며, 한국과 중국의 제도에 관하여 입법적, 해석론적 견해를 제시하도록 한다。 The study of Comparative Law on the Liability of the Carrier in the Carriage of the Sea -Chinese Law and Korean Law- GAO HUI Department of Law Law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Jung Hyung Jin) (Abstract) With the development of world economy globalization, international trade has become an important means to promote economic development and adjust the international relations. At present, sea transport is still the main means of transport in international trade.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transport of goods, there has been a new form of interest groups, the emergence of the new groups of interests, not only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carriage of goods by sea, some degree of breakdown of the more responsibilities and obligations, but on the other hand, also make the goods by sea transport bear the responsibility and obligation to lose more complex, the problem will continue. The carrier is the only one in the contract of carriage of goods by sea. To sort out the rights and obligations of each subject in the international contract of carriage of goods by sea,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around the carrier. Therefore, the study of the carrier itself is particularly important. This paper studies the responsibility of the carrier of the international carriage of goods by sea, and analyzes and studies the principle of liability, the scope of liability, the period of liability, and the limitation of liability. At present, there are 4 international conventions regulating the international carriage of goods by sea, named Hague Rules, Hague Visby Rules, Hamburg Rules and Rotterdam Rules. These international conventions under the different background of the times, for various interest groups of the rights and obligations of the focus is different for the strict degree of liability of the carrier is different. For example, in the principle of liability, Hague Rules and Hague Visby Rules Using is "responsibility" principle, Hamburg Rules is "full responsibility" principle, and Hague Rules significantly larger compared to the liability of the carrier, and the Rotterdam Rules is combination of Hague Rules and Hamburg Rules "mixed the principle of the responsibility." The unit damage compensation restrictions, Hague Rules the compensation limit in, 100 pounds per package or unit, Wes than rules will compensate to increase the limit as per or per unit of 10000 francs, or damage the weight per kilogram 30 gold francs, with higher amount is calculated as the standard, the Hamburg Rules once again raise the per package or unit 835SDR or per kilogram 2.5SDR, with both a high calculation, the Rotterdam Rules is per package or unit 875SDR or per kilogram of 3SDR high amount for the calculation of the standard. In short, with the passage of time, the development of the economy, the unit damage compensation limit is also in constant improvement. As an important trade partner, China and South Korea, maritime transport of goods is very frequent between two countries. At the same time, both for contributing to the country's foreign trade development, concerning the international carriage of goods by sea, in the domestic legislation made their own efforts. China to adjust the carriage of goods by sea law mainly from maritime law, South Korea to change the carriage of goods by sea legal basic income in maritime law. This paper will refer to the provisions of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to analyze and compare the provisions of Chinese laws of the Republic of Korea on the carrier in the carriage of goods by sea, and find out the differences, and put forward reasonable suggestions according to both reality and envision the future situation. With more balance and protection of international marine cargo transportation ship and cargo interests. This paper is divided into 7 chapters. The first chapter is the introduction, which explains the background and significance, methods and scope of this paper. The second chapter is studying about carrier of the international carriage of goods by sea on the general sense. In the contract of carriage by sea of a party shipper centers around the analysis of the derivatives, and related concepts; and to describe the regulation of the carrier's liability in international maritime transportation conventions, China Maritime Law and commercial law in Korean maritime article; contract of carriage of goods by sea of prohibited is not conducive to the merchant side of the principle of change of her overall analysis. The third chapter studies the main responsibility of the carrier. The carrier in the carriage of goods by sea plays an important and indispensable role, from the port of loading accept goods, goods transportation management, the goods have been delivered at the port of discharge, each link can not be missing, the carrier is only the parties of the contract of carriage of goods by sea from beginning to end to fulfill. The research on the carrier's liability system involves almost all the legal system of the carriage of goods by sea, which is particularly important for the study of the main body of the carrier. Process of carriage of goods by sea is very complex, involving the interested many people, all the concepts are different, but the carrier to a party, such as the carrier, the actual carrier, the carrier's agent, servant, etc., in the Chinese legal system also admitted that the status of NVOCC. In the cargo loss, damage, delay time, if it is not possible to determine the real responsibility subject may produce the parties not qualified and losing the right to appeal the problem, it is impossible to damage compensation, this chapter will one by one to clarify. This chapter also uses the comparison method, respectively analyzes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the Chinese law, the South Korean law system respectively, the significance of the main body of responsibility for the carriage of goods at sea. According to English law and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problem of identification of carrier, combined with the Chinese maritime law and commercial law in Korean maritime article, try to find out about the identification of the carrier consensus and rules and difference, to provide theoretical guidance for the judicial practice in China. The fourth chapter studies the principle of liability of the carrier. The carrier's liability principle mainly has the strict responsibility system, the complete negligence responsibility system, the incomplete fault responsibility system, as well as the mixed system. This chapter makes a comparative study of the four basic principles, and analyzes the international conventions, the Chinese law, the Korean law system, analyzes their characteristics, and finds ou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is paper, the principle of responsibility is divided into two concepts: the principle of responsibility and the principle of responsibility. The fifth chapter studies the imitation of liability. Including the period of responsibility, the exemption of the subject, the unit compensation liability limit, the responsibility to eliminate and so on. In this chapter, we still use the method of comparison, each of which i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the law of South Korea and Chinese law, to find ou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combined with the actual situation in the country, and put forward suggestions. The sixth chapter is studying the exclusion of liability. The seventh chapter is conclusion. 海运承运人责任的比较法研究 -以中韩法为中心- 高慧 庆北大学校 法律专门大学院 法学科 国际往来法专业 (指导教授 鄭馨镇) 世界经济全球化的发展,国际贸易成为各国促进经济发展,调节国际关系的重要手段。目前,海上运输仍然是国际贸易的主要运输手段。随着国际货物运输的迅猛发展,出现了新形式的利益团体,这些新的利益团体的出现,既促进了国际海上货物运输的发展,一定程度上更加细分了责任与义务,但是另一方面也使整个海上货物运输的责任与义务的承担更加的错综复杂,问题不断 。承运人是整个海上货物运输合同中, 唯一的, 自始至终得责任主体。想要理清国际海上货物运输合同中各主体的权利义务关系,必须围绕承运人进行。所以对于承运人本身的研究显得尤为重要。本文研究海上货物运输中承运人的责任,对其责任原则,责任范围,责任期间,责任限制等进行分析与研究。 目前调整国际海上货物运输的国际公约主要有4个,即海牙规则,海牙维斯比规则,汉堡规则和鹿特丹规则。这些国际公约在不同的时代背景下产生,对于各个利益团体的权利与义务的侧重也是各有千秋对于承运人的责任的严格程度也是不同。例如,在责任原则上,海牙规则和海牙维斯比规则采用的是“不完全责任原则”, 汉堡规则采用的是“完全责任原则”,与海牙规则相比明显扩大了承运人的责任, 而鹿特丹规则采用的是海牙规则与汉堡规则相结合的“混合责任原则”。对于单位损害赔偿限制,海牙规则把赔偿限制在,每件或每单位100英镑,维斯比规则将赔偿限额提高为每件或每单位10000金法郎,或损害重量每公斤30金法郎,以二者较高金额为标准计算,汉堡规则再次提高为每件或每单位835SDR,或每公斤2.5SDR,以两者中较高额计算,鹿特丹规则则以每件或每单位875SDR,或者每公斤3SDR中的较高额为计算标准。总之,随着时间的推移,经济的发展,单位损害赔偿限额也在不断提高。 中国和韩国作为重要的贸易伙伴,之间的海上货物运输十分频繁,同时两国各自为促进本国的对外贸易发展,关于国际海上货物运输,在国内立法上作出了各自的努力。中国调整海上货物运输的法律主要来自海商法, 韩国调整海上货物运输的法律基本收入在商法海商篇中。本文将参照国际公约的规定,分析比较中国韩国法律关于海上货物运输中承运人的规定,找出不同点,并结合两国的现实和未来预想的状况提出合理的建议。以更加平衡和保护国际海上货物运输中船货双方的利益。 本文共分为7章。第一章为引言部分,说明了撰写本文的背景意义,方法和范围。 第二章是关于国际海上货物运输的承运人一般意义上的考察。围绕海上运输合同中的一方当事人承运人为中心,分析由其衍生,与之相关的概念;并且对于描述调节国际海上运输承运人责任的国际公约,中国海商法和韩国商法海商篇;海上运输合同制中,禁止不利于货方一侧的变更原则进行她总体性的分析。 第三章,承运人的责任主体。承运人在海上货物运输中担当重要的,不可缺少的角色,从装货港接受货物、运输管理货物、在卸货港交付货物,每个环节都不能缺少,承运人是自始至终履行整个海上运输合同的唯一的当事人。对于承运人责任制度的研究涉及到几乎海上货物运输的全部法律制度,对于承运人主体的研究显得尤为重要。海上货物运输过程错综复杂,所涉及的利害关系人众多,各国所采用的概念也有所不同,但就承运人一方而言,如承运人、实际承运人、承运人的代理人、受雇人等,中国法律体系中还承认了无船承运人的地位。在货物发生灭失、毁损、延迟时,如果不能确定真正的责任承担主体,则可能产生当事人不合格以及丧失诉权的问题,损害赔偿也就无从谈起,本章将逐一理清。本章同样采用比较的方法,分别分析国际公约,中国法,韩国法体系下各自关于海上货物运输的责任主体的意义。参照英国法和国际公约关于承运人识别问题的做法,结合中国海商法和韩国商法海商篇,尝试找出关于承运人识别的共识和规则和区别,为两国的司法实践提供理论指导。 第四章,承运人的责任原则。承运人的归责原则主要有严格责任制,完全过失责任制,不完全过失责任制,以及混合制。本章对这四个基本原则进行比较研究,并详细分析国际公约,中国法,韩国法的相关制度,分析各自的特点,找出异同。本文把责任原则分为责任基础和归责原则两个概念,而本章主要写的是归责原则。责任基础的范围更为广泛,除了归责原则之外,还包括免责事由、责任限制、船舶适航以及迟延交付等内容,将在下面的章节中详述。 第五章,责任限制。包括责任期间、免责事由、单位赔偿责任限制、责任消灭等。本章仍采用比较的方法,每一项制度都从国际公约的分析出发,分析韩国法与中国法,找出异同,与本国实际相结合,提出建议。 第六章,责任排除。分损害通知和除斥期间两节论述。比较国际条约、中国法和韩国法进行论述。 第七章,结论。经过上面一系列的分析,对于整个海上货物运输合同中承运人的责任制度有了一定程度上的了解,横向上也对于国际公约,中国法和韩国法进行了比较,找出两国的法律缺陷和不足,提出修改建议。对于鹿特丹规则的加入与否,中国和韩国学界一直都有着不同的意见,本文结合中国韩国的实际,以及两国之间的贸易交往,提出对鹿特丹规则的意见。中国关于无船承运人的规定,目前只停留在行政性规定的范畴,应把它列入海商法中,另外此规定也值得韩国的借鉴。反思中国海商法对于迟延交付相关规定的缺陷和不足,提出把迟延交付纳入到承运人责任制度的范畴的观点,有利于承运人责任制度的构建和完善。

      • 상속세 및 증여세법상 신탁과세제도 : 일본 제도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황헌순 경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50639

        わが国の信託法2条では、信託とは、一般に、信託を設定する者(委託者)と信託を引受ける者(受託者)との信任関係に基づき、委託者が受託者に特定の財産(営業や著作財産権の一部を含む)を移転し、担保権の設定あるいはその他の処分を行い、受託者が一定の者(受益者)のための利益または特定の目的のためにその財産の管理、処分、運用、開発、その他信託の目的の達成に必要な行為をする法律関係を言う、と定義されている。 わが国における信託法は、1961年12月30日法律第900号として制定及び施行されて以後、大きな改正は行われておらず、制定されてから50年が経った2011年に全面改正が行われた(2011年7月25日全面改正。2012年7月26日施行)。信託法が全面改正された理由は、「1961年以来、その内容の改正が一切なかった現行法に対し、変化した経済現実を反映し、信託制度をグローバル・スタンダードに符合するよう改善するために現行法の体系を全面的に修正することによって、信託の活性化のための法的基盤を作るため」であった。わが国における変化した経済現実等を考慮して信託法を改正したというのは、信託が、高齢化社会等において資産の管理及び承継の手段、家族の中で疾病あるいは障害がある場合に活用されることを図ったと言える。 このような社会状況は、わが国に限らない。日本においても、2006(平成18)年に信託法の全面改正が行われている。その改正の背景には、高齢化社会等において信託の活用に対する需要が増加したという点がある。両国においては、信託法の改正理由が類似しており、その結果、遺言代用信託や受益者連続信託のような新しい類型の信託が導入されている。 新しい類型の信託等の活用の結果、それらに関する課税問題を生ずる。日本の場合、2006(平成18)年信託法の全面改正以後、2007(平成19)年に信託に関連する税制も改正された。一方、わが国では、信託法の改正以後、信託税制に対する改正は部分的にのみ行われてきており、相続や贈与等に関連して補完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ころがある。 本稿は、信託法は改正されているが、それに対する税制はまだ不十分なところがあるという問題意識に基づき、「相続税及び贈与税法」に関連する信託課税についての問題点及び改善方案に言及することを目的とする。その方法として、わが国と法体系及び信託法の改正の経緯が類似しており、税制改正も早い時期に行われた日本の信託課税制度との比較法的検討を行う。すなわち、日本での相続税及び贈与税における信託課税制度を通じ、わが国の関連制度の問題点を明らかにし、そこからどのような示唆を得ることができるかを検討する。 本稿の構成としては、第2章では、信託に関する一般的な内容をみる。信託法上の信託の意義、信託の種類、機能をみる。そこからなぜ信託が今後財産の管理及び承継手段としてその活用が期待されるのか考える。 第3章では、信託課税制度に関連する税法の基本的内容についてみる。信託の設定により、委託者の財産であったものが信託財産になった結果、その法律上の所有権は受託者に移転する。しかし、そこから生ずる利益を実際に享受するのは受益者である。このような信託の法律関係の特徴によって、信託財産から発生する受益に対する納税義務者は、法律上所有権者である受託者であるのか(信託実体説)、それとも実質的に受益を享受することになる受益者であるのか(信託導管説)に関連する見解対立がある。のみならず、委託者が、租税負担を軽減するために信託を設定する場合もあり得るが、信託を活用することによって租税回避問題が生ずることもある。また、信託を設定することによって、委託者の財産であったのが、法律上受託者の財産になるため、当該財産に対しては、委託者の滞納による強制執行の対象にならないことを図り信託を設定することもある。このように、相続税及び贈与税だけでなく、税法の一般的な内容に関し信託課税問題がある部分をみる。 第4章では、相続税及び贈与税を中心として信託課税制度を考察する。まず、韓日における相続税及び贈与税に関する一般的内容を考察し、信託に関する課税対象、課税時期、二重課税の問題等について議論する。第5章では、第4章までに言及した点を踏まえ、相続税及び贈与税における信託課税に関連する各々の問題点に言及し、比較法的検討を通じた改善方案を示すことにする。 第一に、受益者の不存在、不特定の信託においては、単に委託者に課税するのではなく、実質課税を考慮し、委託者が信託財産に対して実質的支配権限を行使している場合に限り、委託者に課税すべきであろう。委託者が、信託財産に対して、何らの権限も行使していない場合等においては、日本のように受託者に課税する方法を考慮する必要があり、委託者の相続人に課税する方法は見直す必要がある。 第二に、信託と強制執行の問題においては、信託財産と受益権は、別途であるという認識に基づき、信託財産は、法律上受託者の財産であるから、委託者が滞納した場合であっても、それに対する強制執行はできないとしても、受益権に対しては強制執行することができるとすべきである。それに関して、委託者に対する強制執行については、目的信託が悪用されないよう制度を運用しなければならない。受託者に対する強制執行については、信託財産と受託者の固有財産との分別義務に対する範囲は、各々の財産に限らず、そこから発生する受益にも及ぶという点について、日本の課税実務と裁判例を参考にする。 第三に、相続税及び贈与税と信託課税の対象に関する点である。現行法では、受益者であったものが受益者の地位を失う場合、受益者ではなかった者が受益者になったりする等、受益者の変更に対していかに課税するかが明らかでない。それについては、新しく受益者になる場合、委託者からではなく、以前の受益者がいる場合には、その者からの贈与等により受益権を受けることを想定し課税関係を整理する必要があり、それに対する明文化された規定については、日本相続税法9条の2第2項等の条文を参考にする。 第四に、信託に関連する課税の対象及び範囲を設定するにあたり、現行法では、信託の存続期間の規定がないという問題点がある。信託の存続期間が規定されていない点により、信託利益に関する将来利益の計算が難しくなること、信託によっては、永久に課税されない財産を産み出すこともできることなどの問題がある。これらの問題点を考慮すると、たとえ信託一般についての存続期間を設けることができないとしても、受益者連続信託と強制執行を免れるため、委託者が受託者に財産を移転するというようなことを防止するための存続期間の規定が必要である。これらの点について、日本信託法の存続期間の規定を参考にする。 第五に、信託利益に対する贈与税の課税時期において、わが国は受益実現時課税方式を採用している。一方、日本は信託設定時課税方式を採用している。わが国では、納税者の納税資金調達の観点を重視し現行方式をとっており、日本では、信託契約が成立し効力が発生した時に、委託者から受益者に信託受益権の贈与があると考えるため、その時点で納税義務が発生する。わが国では、信託利益が確定できても、実際に受益を実現するまでに課税を繰り延べるという指摘がある。日本では、まだ何らの利益もないにもかかわらず、信託契約が締結されたということだけで、納税義務が発生することは問題であるという指摘がある。両国における議論を整理すると、信託受益を信託契約の段階で確定することができるならば信託設定時課税方式の導入を検討する必要があり、その時に信託受益を確定することができない場合には、現行方式を維持すべきであるということである。 第六に、信託利益の評価問題については、将来利益に対する課税であるという点で、期待余命等を考慮してその利益を現在価値に換算し計算しているが、根本的にこのような方法は、推計課税という点で限界がある。言い換えれば、将来に向けて受け取る信託利益を現在の時点で完璧に計算し課税することは到底できない。したがって、信託に関連する租税負担において大きな変動があった場合には、後発的更正請求のような制度を利用することができるように制度を改正すべきであろう。 第七に、信託に関連する二重課税の問題である。わが国では、贈与により信託受益権を受けた場合、それに対して贈与税を負担し、そこからまた賃料収入等の所得が発生した際に、再度所得税を賦課することは、「相続税及び贈与税法」において、贈与財産に対して所得税を賦課する場合には贈与税を課さない、という旨の条文に反するのではないかという議論がある。所得税が課される場合には贈与税を課さないという現行法における「所得税」は、贈与を受けた信託受益権から発生する賃料収入のような所得でなく、包括的所得概念による所得概念と解すべきであろう。というのも、所得税法において、贈与財産に対し所得税を賦課すると規定していない以上、それに対し所得税は課されないことになり。その結果、贈与税を賦課することに何らの問題はないと解するのが正しいと思われる。ただ、今後これに対する法解釈における紛争を防ぐためには、条文の改正も考える必要がある。 第八に、信託を利用した世代飛越移転に対する問題については、現行法では課税できないという問題点がある。したがって、信託を利用して世代飛越移転を行うことにより租税回避を図ることができるので、これに対する日本の規定を参考にして別途の立法が必要である。 以上検討した日本の制度は、主に日本相続税法9条の2以下の「信託に関する特例」に関する内容である。日本では、新しい信託を利用して起りうる租税回避問題等を念頭におき、これらの規定が設けられたと思われる。これは、日本での租税回避に対する対処方法が、個別的否認規定によるというのが、通説・判例であるという点と首尾一貫していると言える。 もっとも、わが国では、租税回避に対する一般的否認規定がある。信託によって発生する租税回避に対しても、今後これらの規定が多く適用されるであろう。しかし、一般的否認規定は、個別的否認規定に比べ明確性に劣るという本質的な限界がある。不明確性とは、納税者にとっては、自身の取引行為が課税対象になるか否かが明らかでないことである。わが国の立法者は、納税者が租税負担を考慮して信託を利用するあらゆるケースを事前に明文化して規定することは不可能であるから、一般的否認規定を設けている。しかし、信託によって課税問題が生じた際に、個別的規定がないから一般的否認規定を根拠として課税することは、納税者の予測可能性と法的安定性を害するおそれがあり、租税制度が信託制度の活性化を阻害する可能性もある。 本稿は、信託による租税回避に対する一般的否認規定の事例として参考にできるようなものを法体系が類似している日本の法制度から示唆を得ようとするものであり、これらの規定を明文化し、納税者に対して、信託の利用による課税についての予測可能性等を与えることができることを期待する。それによって、私的自治の原則に基づく信託制度の活性化と租税法律主義に反しない信託課税制度の確立を望む。

      • 소비자법 현대화를 위한 개선방안 : DCFR, EU입법안, 독일민법과 비교를 중심으로

        이재호 경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50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ality of the consumer law system in Korea, focusing on the right of withdrawal, and to find out how to develop our consumer law through EU regulations including German Consumer Law. In 2016, Right of withdrawal in “ACT ON THE CONSUMER PROTECTION IN ELECTRONIC COMMERCE” was partially revised. Prior to this Revision, there were no essential amendments about the right of withdrawal that would cause a change in content after the first enactment. On the other hand, during the past over 20 years, EU, including Germany, has made considerable progress in consumer law. German Civil Code established by a single system gives great implications for the consumer legal system in Korea. The biggest problem is that the provisions on right of withdrawal are difficult to be uniformly interpreted and applied because of specifying in individual laws. Regulations on the exercise of the right of withdrawal and the calculation of the period are regulated differently by the contract type in each law, but there seems to be no reason to be applied them differently. The obligation of the provider to provide information is generally considered to be an additional obligation of care in Korean law based on good faith principles. For this reason, if informations about contract-subject is not provided or provided incompletely, legal sanctions for provider are insufficient. The Consumer Rights Directive stipulates that if a provider does not provide the right information about the contract, the period for exercising the right of withdrawal will not be commenced. In this case, consumers are also not liable for compensation for the decline in value due to the use of goods. DCFR and the German Civil Code are equally applicable. And Legislation that relates essential information that a business operator has to offer to consumers to the exercise of right of withdrawal and the costs that consumers can afford can be a good example for our legislation. In fact, such legislation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principle of the EU consumer law. In terms of Providing information, it is also necessary to review introduction of the Model withdrawal form in consumer rights Directive or exercising of withdrawal rights on the Internet website. The period of exercise of the right of withdrawal in Korea is different according to individual laws. General provisions on the right of withdrawal are required, and provisions on the right of withdrawal that exist in different laws need to be unified. Our consumer law does not have general provisions on the legal effects after the exercise of the right of withdrawal. So scholars in Korea try to solve the problem by borrowing the doctrines discussed in Germany. But these efforts do not really help our consumer legisl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tection of consumers, it is necessary to prescribe general effects on the effect of the exercise of the right of withdrawal. Our Consumer Act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the shipping cost of goods and the return cost for the exercise of the right of withdrawal, and there is a only Regulation about the return cost. Also, according to each law, there is a regulation that can confuse the consumers about the charge of the return cost, so that if both laws are applied at the same time, it may confuse the decision of the burden of the cost of returning the goods. On the other hand, in DCFR, the shipping cost is borne by the consumer and the returning cost is paid by the carrier. The German Civil Code stipulates that consumers are responsible for the direct costs of returning goods and that for this burden, the provider must provide certain information in advance. In accordance with Article 357 (7) of the German Civil Code, the DCFR (II.-5: 105, Paragraphs 4 and 5) and Common European Sales Law, it is clear that all use or use of parts other than the purpose of testing or verification of the goods must be reimbursed to the service provider. In addition, he must inform that the consumer has a duty to return for such expenses. And in the case of digital contents, it seems appropriate to prescribe the exemption from the obligation to return the consumer's profits as in the 357th Article 9 of the German Civil Code. The legislative problems of the right of withdrawal and its improvement are not enough to solve the problems of current transaction reality. For this problems, the new legislative attempts of the EU should be studied. According a Directive Article 8 paragraphs 3, “any lack of conformity with the contract which becomes apparent within two years from the time indicated is presumed to have existed at the time indicated in paragraphs 1 and 2 unless this is incompatible with the nature of the goods or with the nature of the lack of conformity.” Directive on sale of consumer goods stipulated that the estimated period of occurrence of defects was six months, but German Civil Code stipulated that the period is two years. Within the online transaction guidelines and the Digital Content Supply Guidelines, legislation has also been enacted that applies the Liability for the Goods-Defects in civil law to online transactions and contracts for the supply of digital content. And also introduced compensation for damages (loss of consumer digital environment caused by defects). Liability for the Defects in Goods is partly applied to the sale of movable property in accordance with the Korea Civil Code, but such contents are not stipulated in the digital contents transaction. Compared with EU legislation, there is too little legislation for consumers protection. It should be the basis for the amendment and development of our consumer law, taking the EU regulations as an example. 2016년 우리의 전자상거래법에 규정된 철회권의 일부 내용에 개정이 이루어 졌다. 그 전에는 이법에 대하여 최초 제정 이후에 별다른 내용상의 변화를 가지는 개정은 없었다. 방문판매법과 할부거래법의 상황도 이와 비슷하다. 이에 비하여 독일에서의 소비자계약법은 민법의 편제 아래에 계약법(독일 민법 제2편 제3장 계약상의 채권관계 제1절 계약의 성립, 내용 및 종료 제2관 소비자 계약에서의 원칙과 특수한 소비자 계약형태; 제312조 이하)부분에서 하나의 계약군으로 편성되어, 2002년 채권법현대화법을 통하여 소비자계약에 관한 내용들이 민법으로 통일된 이후 어느 정도 체계적 통일이 되고 이론적으로 발전을 이룬 상황이다. 그와 관련하여 철회권도 2014년 개정으로 이전에 규정되어 있던 단순히 물건의 반환만으로 가능했던 철회권의 행사방법에 관한 규정(구 독일 민법 제356조)도 삭제를 하고, 철회권 행사 후의 효력에 대하여 독일민법 제346조 이하의 해제(Rücktritt)에 준용하였던 규정을 삭제하여 제355조 이하의 “소비자 계약에서의 철회권” 규정만으로 해결할 수 있는 내용적으로도 완전한 하나의 독립된 체계를 이루었다. 철회권 행사기간과 관련하여서도 일률적 기간으로 통일하고, 행사기간의 시점도 단순화하고 계약의 성립과정을 반영하여 소비자에게 철회권 행사에 있어 편의성을 도모하고자 노력하였다. 철회권 본질이나 소비자계약법 또는 소비자보호법의 존재 이유 또는 그 목적과 관련한 문제를 차지하고서라도, 단일한 체계에서 독립된 내용을 바탕으로 한 독일 소비자법의 장점은 우리나라 소비자법제에 있어서 큰 시사점을 준다는 것은 여러 논문들에서 기술되고 있다. 이러한 내용의 연장선에서 철회권 행사에 중요한 기준이 되는 행사기간과 그 기산문제의 확정을 위해 계약의 유형에 따라 각각에 법에 규정한 한국의 독립된 내용의 규율체계는 뚜렷한 이론적 바탕이 있어 보이지 않는다. 철회권 행사와 그 기간의 산정에 대한 규정의 내용들이 세 개의 계약 형태에 따라 각각 다른 형태로 쓰여져 있으나, 실질적으로 다르게 적용되어야 할 이유는 없어 보인다. 유럽 민사법의 통합의 하나의 입법적 도구로서 제안된 DCFR과 EU 위원회의 노력의 결과물을 바탕으로 현실적 입법의 결과물로 탄생한 독일 민법은 우리 민사법뿐만 아니라 현재의 소비자법에 시사하는 바는 결코 작지 않다. 그중 소비자법, 좀더 자세히 소비자계약법 분야를 한정해서 본다면 우리 소비자법에서 참고하여 입법에 반영할 수 있는 내용이 다수 존재한다. 이러한 내용을 정리하여 본다면 다음과 같다. 우리 소비자법의 적용 범위에 금전의 수수만을 지급하는 계약만이 아니라 소비자가 개인정보 등을 업로드하거나, 사업자가 해당정보 등을 수집하여 자신 또는 제3자의 영업적 목적으로 이용하는 경우까지도 포함하여야 한다. 이러한 내용은 독일 민법의 해석상 인정되고, 디지털콘텐츠공급지침안에서도 개인정보가 금전과 같이 취급하는 것을 받아들이는 상황에서, 우리 법제에서도 이러한 내용의 반영하여 개인정보제공을 급부로 하여 이용되는 계약에서 유상계약과 같이 적용될 수 있도록 계약의 포섭의 범위를 확대하어야 한다. 사업자가 계약 이전 또는 계약 이후에 제공하여야 할 정보제공의 범위를 우리 입법, 학설적 견해와 판례는 사업자 또는 판매자의 신의칙에 근거하는 부수적인 주의의무 내지는 독일의 이론에 바탕을 둔 책무에 가까운 성질은 가지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계약의 객체에 관한 정보제공이 불완전하게 제공되거나 제공되지 않는 경우 법률적인 제재수단이 미흡하다. 소비자가 사업자와 체결하는 계약에서는 현재 우리 소비자법의 규정에 따르면 행정청의 힘을 빌리지 않고 소비자가 즉각적이고 효율적인 구제를 받는 것은 불가능한 현실이다. 또한 이러한 구제를 위하여 소비자 측에 시간과 비용이 추가로 부과됨은 당연한 것이다. 이러한 현실에서 독일과 DCFR에서 규정하는 내용은 우리 입법에 반드시 반영되어야 할 사항이라 본다. 즉 사업자의 불충분 하거나 정보제공 의무를 불이행하는 경우 철회권 행사기간이 시작되지 않고, 올바른 정보가 제공될 때 까지 연기가 된다는 것(DCFR II.-5:103 제2항, 독일 민법 제356조 제3항)과 소비자의 사용으로 인한 물건의 가치 감소에 대한 책임이나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없다는 것(DCFR II.-5:105 제5항, 독일 민법 제357조 제7항과 제8항)에 주목하여야 한다. 또한 철회권의 행사에 따라 정상적인 사용범위를 넘는 부분(독일민법에서는 이에 대하여 “eine übermäßige Nutzung”이라 칭함)에 대한 물건의 가치 감소 부분에 대하여서도 철회권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은 경우에는 가치 감소(Wertverlust der Ware)의 손해배상을 청구하지 못한다.(독일 민법 제357조 제7항) 철회권 행사와 관련하여 사업자가 소비자에게 제공하여야 할 필수적인 정보를, 철회권의 행사조건, 방법 등등, 동 권리의 행사기간의 기산의 시점과 연결하는 것은 소비자계약 체계로 볼 때 계약적으로 사업자에 대한 제재 수단으로 적절하다고 할 것이다. 정보제공의 방식에 있어서도 독일과 유럽의 입법에서는 새로운 방식을 도입하고 있다. 즉, 인터넷상의 웹사이트를 통한 철회권 행사나(소비자권리지침 제11조 제3항과 독일 민법 시행법 제246조a §1 제2항) 표준철회양식(Muster-Widerrufsformular/소비자권리지침 부록 I (B), 공통매매법안 제안규정의 첨부1, 독일민법시행법 제246조a §1 제2항 첨부 2)의 도입이 그 예이다. 계약이 과정에서 소비자에게 정보가 제공되어 제공되는 물건이나 용역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할 수 있게 하는 것은 환영할 만한 조치이다. 하지만 이러한 정보도 필요한 정도로 적정하게 제공되어야 한다. 너무 많은 정보가 한꺼번에 제공되고, 계약 전와 계약 후에 제공이 된다면 소비자에게 부담이 될 수 밖에 없게 된다. 계약에 있어 사업자의 정보제공 의무 불이행의 경우 우리는 오직 행정벌이나 형벌로 처벌하는 제재수단 이외에는 별다른 제재수단이 없음은 이미 논의되었다. 우리나라 소비자법이 소비자 계약법의 형태로 특별법으로 개정이 되거나, 독일과 같은 민법전으로 통합된다면 이러한 철회권 행사와 관련하여 행정벌이나 형사 벌로 사업자를 규제하는 방법보다는 계약적 또는 사법적 수단으로 직접 소비자와 사업자 간에 적용될 수 있는 규정의 보완이 어떠한 형태로든 필요하다. 하지만 우리 사법의 통합(소비자법을 민법의 영역으로 포섭하는 것을 포함)하는 내용은 본 연구논문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아 제외하였다. 하지만 행정제재를 통한 사적(소비자)계약 관계를 통제, 규율하는 현재 소비자법에서, (사)법적 질서원리를 통하여 계약 당사자 간의 (계약) 내부적 문제를 통해 해결 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 가는 것이 우리나라 소비자법 체계가 취하여야 할 장기적인 과제라는 측면에서 볼 때 한국의 소비자 법전의 개정사항으로 적절한 내용이 될 수 있다. 철회권 행사기간에 대하여 우리는 기본적으로 7일(전자상거래법과 할부거래법)과 14일(방문판매법)이 적용되고, 특정한 경우에는 30일과 3개월(전자상거래법 제17조 제3항, 방문판매법 제8조 제3항)이라는 기간이 추가적으로 제시된다. 법률들에 따른 철회권 행사기간의 설정에 있어 특별한 이유가 존재하는 것 같지 않아 보인다. 거기다 철회권 행사기간이 법률에 따라 서로 다르게 규정된 시간이 길다는 이유로 동 기간 설정이 정당성을 얻을 수 없다는 것 또한 분명하다. 철회권이라는 권리의 일반적인 규정이 필요하고, 서로 다른 법률들에 산재하여 존재하는 철회권에 관한 규정들이 통일적으로 규정될 필요가 있고, DCFR과 독일의 규정에서도 통일적인 기간(14일)이 설정된 규정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우리 소비자법에서는 철회권 행사기간의 산정의 문제에서 적절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도 최고기간의 제한을 두어 사업자와 소비자 간의 이익을 조절할 필요성이 있다. 즉, 철회권과 관련된 정보제공이 미흡한 경우, 소비자에게 주어진 철회권은 기산되지 않음은 앞의 독일이나 DCFR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의 경우에는 방문판매업자나 통신판매업자의 채무불이행에 의한 철회권의 경우 3개월 또는 30일 간의 행사기간이 부여되었으나 이 기준이 적정한지 의문이다. 또한 정보제공 의무와 관련하여 추가적인 기간설정의 문제도 논의될 필요가 있다. 이는 철회권 행사기간의 기산점 설정과 관련된 문제가 된다. 즉 우리 소비자법에서는 사업자측의 규정에 합치하지 않는 정보제공에 있어서 당사자간에 즉시 적용가능한 계약적인 요소를 규정하는 내용이 없다. 반면에 독일과 DCFR은 올바른 정보가 제공될때 까지 철회권 행사 기간이 시작되지 않는다. 철회권의 행사 후의 법률적 효과에 대하여 우리 소비자법은 일반적인 규정을 두고 있지 아니하다. 그래서 우리나라는 민사법 학자들이 철회권의 효력에 관한 독일의 학설을 차용하여 철회권 행사 전 계약 체결 이후의 계약 효력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고 그에 의하여 철회권 행사에 따른 계약의 해소 효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은 우리 소비자법제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않는다. DCFR에서는 철회권 행사로 계약의 당사자의 권리의무는 소멸된다고 규정(II.-5:105 제1항)하고 있고, 독일도 관련 규정들의 해석상 당사자의 권리의무관계가 소멸되고 제공된 급부의 반환 관계로 변한다고 한다. 앞에서 본 것처럼 철회권은 법률에서 인정한 소비자의 특별한 권리이다. 이러한 철회권이 계약의 특성에 따른 요건이 다르게 설정되어 있다 하더라도, 소비자의 보호의 실효성을 높이고 그 효과에 대한 예견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철회권에 관한 일반적 효력을 명확히 규정하여야 한다. 철회권 행사에 관하여서는 사업자의 의무와 소비자의 의무로 살펴보았다. 사업자의 의무로는 일반적으로 소비자가 지급한 대금의 환불을 즉시적으로 하여야 한다. 소비자의 의무는 제공된 급부(재화 등)을 반환하고, 제공된 재화 등의 사용에 있어서 발생한 물건 가치의 감소 부분에 대하여 사업자에게 상환을 하여야 한다. 철회권을 행사한 후 그 반환의 기한을 우리나라의 입법자는 설정하지 않았다. 이 기간을 악용하여 급부를 이용 또는 사용하고 반환할 가능성은 적다고 할 지라도, 계약 당사자의 이익의 조정차원에서라도 적정한 기간이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우리 소비자법은 물건의 배송비용과 철회권 행사에 따른 반환비용을 구분하지 아니하고 있고, 반환비용에 대하여서만 규정을 두고 있다. DCFR에서는 철회권 행사 후 반환관계를 원상회복편의 규정을 적용하는데, 여기 규정들에 따르면 배송비용은 소비자가 반송비용은 사업자가 부담한다. 이에 독일 민법의 규정은 물건의 반송에 직접적인 비용을 소비자가 부담하고, 이러한 부담을 위하여 사업자가 사전에 일정한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고 규정한다.(독일 민법 제357조 제6항) 우리 법제에서는 반환비용에 있어서도 방문판매업자나 할부거래업자가 부담(방문판매법 제9조 제9항, 할부거래법 제10조 제10항) 하거나 철회권의 발생원인에 따라 소비자 또는 사업자가 부담하는 형태(전자상거래법 제18조 제9항, 제10항)로 각 법에 따라 일반적인 공통적인 요인을 찾을 수 없게 규정되어 있다. 이런 입법은 각 법률에 따라 반환비용의 청구에 관하여 소비자의 혼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두 가지 법률이 적용되는 경우의 거래에서 반환비용의 부담자 결정이 곤란해지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상거래를 통하여 재화를 구입하는 할부계약을 체결한 경우에는 철회권을 행사하여 물건을 반환할 때 그 비용이 부담자가 누구인지 분명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철회권 행사의 효과에 관한 일반규정의 도입이 필요하다. 또한 소비자가 제공된 급부의 사용이나 이용을 통한 이익의 반환의무에 있어서도 적절하지 못한 입법이 존재한다. 독일 민법 제357조 제7항, DCFR(II.-5:105 제4항, 제5항)과 공통매매법안에서는 물건의 시험이나 확인의 목적 이외의 부분에 있는 사용이나 이용은 모두 사업자에게 상환되어야 한다는 것을 분명히 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비용에 대하여 소비자가 반환의무가 있음을 사업자가 소비자에게 규정에 따라 제공하여야 한다는 것도 요구한다. 하지만 우리 소비자법은 이에 관하여 사용이나 이용으로 인한 소비자의 이익의 산정을 유체물을 기준으로 그 금액산정기준을 설정하는데 그치고 있고, 최근에 개정되어 추가된 디지털콘텐츠를 통한 이익이나 용역의 제공으로 인한 이익의 산정에 대하여는 적절한 기준이 설정되어있지 않은 문제점이 보인다. 또한 이러한 비용의 상환을 위하여 독일과 DCFR에서는 사업자의 정보제공 의무와 소비자의 동의를 요건으로 한다는 점은 우리 소비자법이 모델로 삼을 수 있는 내용이 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독일 민법 제357조 제9항의 내용처럼 디지털콘텐츠의 경우에는 소비자 이익의 반환의무를 면제규정을 적극적으로 규정하는 것이 타당할 수 있다. 앞에서 살펴본 우리 소비자법의 철회권에 관한 입법적 문제점과 그 개선사항으로는 현재의 거래현실의 문제를 해결하기는 부족해 보인다. 이러한 거래현실을 반영하기 위하여 유럽의 입법에서 규정하기 시작한 소비자계약에서의 담보책임에 관한 내용을 확인해 보아야 한다. 그 입법의 내용에 따르면 이미 제공된 제품의 하자가 물건의 인도 후 일정기간 이내에 분명해 지는 경우 물건을 인도(또는 제공시)부터 하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는 추정기간을 설정하고 있고, 제공자나 사업자는 하자가 계약 위반이 되지 않는다는 적극적인 반증을 제시하는 입증책임을 부담한다. 이러한 입증책임을 전환하는 내용은 소비재매매지침에서부터 도입되었고, 독일 민법은 제476조 입증책임의 전환에서 내용적으로 큰 변화 없이 그 내용을 받아들였다. 1999년 제안된 소비재매매 지침에서는 하자의 발생에 대한 추정기간을 6개월로 규정하였으나 독일민법에서는 그 기간을 2년으로 규정하였다. 또한 공통매매법안에서 그 내용이 받아들여지고, 그 대안으로 제안된 두 개의 지침안(온라인거래지침안(2년), 디지털콘텐츠공급지침안(기간제한 없음))에서도 내용이 그대로 계수되어 규정되고 있다. 물론 그 기간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으나 계속해서 하자 추정기간이 길어지고 있고, 그 뿐만 아니라 온라인거래지침안과 디지털콘텐츠공급지침안에서는 일반의 민사법에 적용되는 계약급부의 하자에 대한 (매도인의) 담보책임에 관한 법리를 온라인 물품거래와 디지털콘텐츠 제공에 대해서도 적용하는 입법을 두었다. 즉 추완이행, 대체물의 제공, 계약의 해제와 대금의 감액 등으로 우리 민사법에서 인정하는 담보책임의 내용과 거의 동일한 내용이 보장되고 있다. 또한 확대손해(하자로 인한 소비자의 디지털환경의 손해)에 대한 손해배상도 인정된다.(디지털콘텐츠공급지침안 제14조 제1항) 이러한 내용은 우리 민법에서도 매매의 일부분에만 적용되고 있지만, 디지털콘텐츠 거래에 있어서도 이러한 내용이 규정되어 있지는 않다. 2016년의 전자상거래법의 개정으로 디지털콘텐츠에 관한 철회권의 행사가능성이 규정되기는 하였으나, EU의 입법내용을 살펴 볼 때 우리 소비자법의 내용은 상당히 부족해 보인다. 우리나라가 전 세계적으로 IT강국으로 소프트웨어 분야 또는 전자기술 분야에서 세계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이와 관련된 법제는 한참 미흡한 것으로 보인다. 앞에서 살펴본 EU 내의 입법내용들은 EU의 특수한 지역적 상황에 따른 법률의 내용이 변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지금의 거래 현실은 발달된 물류 시스템을 통하여, 생산된 물건이 인터넷을 통하여 클릭 한번으로 전 세계적인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 실제 우리 사회에서도 “직구”를 통하여 미국뿐만 아니라 유럽의 많은 온라인사이트를 통한 해외거래가 빈번하게 이루진다. 이러한 거래 상황에서 우리의 소비자법은 EU의 입법과 비교해 볼 때 우리의 소비자를 보호할 수 있는 관련 법제는 너무나 미흡하다. 지금 이라도 이런 EU의 규정들을 모범으로 삼아 우리 소비자법에서도 적용하여 점진적인 개정과 발전의 토대로 삼아야 한다.

      • 임금의 개념과 제도상 문제점에 관한 연구 : 근로기준법과 최저임금법을 중심으로

        김상률 경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50639

        The issues involving the wages have always resulted in conflicts between the workers and employers since the workers want to be paid more while the employers want to pay less. For the worker, the wages is not only the essential means of living but also the basis for the self-realization through the social and cultural activities. The wage therefore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conditions of the employment, and the protection of the right with regard to the wage is the essence among Acts related to the labor. In Korea, Labor Standards Act provides the basic concept of wages in its Article 2 (1) - 5 for the protection of workers. The wages in the Article means wages, in its salaries, and any other money and valuable goods an employer pays to a worker for his/her work, regardless of how such payments are termed. Based on this definition, the wages are again divided into the average wages(Labor Standard Act §2 (1) - 6) and the ordinary wages(Enforcement Decree of the Labor Standard Act §6(1)). The average wages are the basis of computing the retirement pay or the allowance during business suspension which are usually connected to the livelihood, and the ordinary wages are that of calculating allowances for the advance notice of discharge or the extended working hours. One controversial issue is with regard to interpreting Article 2 (1) - 5 which provides wages as “any other money and valuable goods an employer pays to a worker for his/her work.” The ambiguity of the provision causes the conflict between workers and employers as well as inconsistencies of the court decisions and the administrative interpretations. Taken social and legal viewpoints, the court decisions, academic theories, and foreign legislations into consideration, the concept of wages or the duty to pay wages should be set up not based on the practical provision of the labor but based on the basic relationship between a worker and an employer including the practical labor provision. That is to say, the concept shall be extended because employers bind workers under their business, which means that the employers shall pay for the established relationship between two in addition to the hours for which employees work for them. Accordingly, the definition of the wages in §2(1) - 5 of Labor Standards Act shall be changed from “any other money and valuable goods an employer pays to a worker for his/her work” into “any other money and valuable goods an employer pays to a worker for their relationship.” This enlarged concept will include all money and valuable goods arising from the working relationship other than cost-compensatory pay and pays which cannot be wages in nature. In addition, the ordinary wages which have been provided in the Enforcement Decree shall be provided in the Act. The ordinary wages include the regular pays and irregular ones. However, it is necessary to be enacted in the Act for protecting workers if a payment is regular, uniform and fixed. The suggestion for the enactment in the Act is as follows; “(1) The ordinary wages means hourly wages, daily wages, weekly wages, monthly wages, yearly wages, or contract wages which are determined to be paid periodically or fixedly(including fixed conditional pays and periodic bonuses) to a worker for his/her prescribed work or whole work by a year, regardless of how such payments are termed. The preceding does not include money and valuables which shall not be wages in nature and fluctuant wages which are paid in proportion to a worker’s achievement. (2) The specific standard for the computation of the ordinary pursuant to paragraph (1) shall be prescribed by the Presidential Decree.” It is expected that the employers would bear high labor costs if the regular and fixed pays are included in the ordinary wages. In order to minimize this side-effect, the supplement policies such as not paying for weekly day-off, adjusting the extra charge, or encouraging annual paid vacation are need to set up. The best way to resolve the controversies involving the concept of wages and the revision with regard to the ordinary wages is the overall amendment of Labor Standards Act. It is however thought that the overall amendment is not easy to be accomplished soon because workers and employers’ interest is being opposed sharply. The introduction of the report obligation system of the labor contract and the payroll book is a good alternative for protecting the weak and the vulnerable, and preventing the conflict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until amendment of the Act. In conclusion, the re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the wages, the revise of the ordinary wages, and the introduction of supplement policies to deal with related issues will result in the fair and resonable wages for what workers do for the employers, leading the just society in accordance with the constitutional value we seek.

      • 개발손실에 관한 공법적 연구

        배명호 경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50639

        <Abstract> As seen in the recent conflicts between public and private interests over national development projects such as the construction of Miryang electricity transmission tower, it is hard to smoothly execute national projects without resolving conflicts between public and private interests. Thus, national competitiveness will be secured only when the conflicts between public and private interests are resolved and the society is consolidated by guaranteeing the property rights of the people. So institutional·juridical provisions and solutions for the conflict resolution are required. To this end, the loss that causes conflicts is conceptually defined as "Worsenment". As for the research background, the legislations and principles of the loss compensation has focused on expropriation compensations so far. Therefore, the infringement of the residents' property rights on the non-preference facilities that are not the objects of expropriation has not been recognized as the objects of expropriation compensation. Worsenment has occurred with respect to the execution of numerous public projects. It has never been observed under compensation legislations and principles that cover only compensation for direct infringement on the property right, and even there hasn't been any question posed. This stems from the dualistic perspective that project operators take on worsenment, seeing them as 'social constraints and not special sacrifice'. This study establishes the concept of worsenment, based theoretically on transition tendency of the Constitution's guarantee of the property rights and the object of compensation for loss. To seek a way to legislate the compensation for damage on worsenment, the public projects were categorized into electric source development(Type 1), construction of dams and national defense·military facilities(Type 2), and noise·waste treatment facilities(Type 3). The concepts of livelihood compensation and compensation for indirect loss were compared and differentiated. Also, the present legislations on worsenment were examined to find the legal basis. A possibility to solve the compensation for worsenment is examined by the principles of administrative compensation for loss or damages as well. This study proposes the need of regulating the discretion of planning for resolving public conflict from worsenment and introducing a compensation system of balance. The first principle is a democratization of the administrative process so that the landowners of the planned district and the third parties from outside the public project district can procedurally participate from the establishment step of the administrative plans. The next step was a research from two different perspectives, as to compensate for the worsenment to persons suffering from loss or damage. As the cause for loss is different from each type, the method of protecting rights must also be legislated differently. Thus, they should be solved through different methods, like the support system for neighboring areas, and compensation for damage·loss system, etc. Even if they were of the same type, there were problems of fairness of each legislation depending on whether the request for purchase system was legislated, and a compensation system of balance, along with the request for purchase system is especially suggested. From the perspective of comparative law, the U.S. regarded it as special sacrifice if it was regulatory takings and as social constraints if it was general police power, and introduced inverse condemnation similar to request for purchase system. it is examined that the implications of the expropriation infringement theory, an unpredictable and random infringement, to the compensation for damage from worsenment. Compared to the current expropriation compensation, worsenment is related to ① indirect loss, ② social restraint and not special sacrifice, ③ those not object to expropriation, ④ theory of legislation on compensation of loss for the third parties of administrative actions with the third party effect. It is proved that the legitimacy and practicality of preparing funding through studying the support system for neighboring areas and the exclusion of development gains and restitution of development gain. The followings are suggested and introduced; a revision of the current Land Compensation Act introducing the definitions of betterment and worsenment, the definition of non-preference facilities, the definition of landowners and the concerned who reside outside of the public project districts that have the status of the third parties, clarification·systemization of public projects, and instituting compensation system of balance. Introduction of regulation on conflict impact analysis·worsenment, the need for legislating "Military Noise Control Act"(tentative), and the need for revising related law on request for purchase system, etc. are also suggested. Along with this,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was sought for so as to substitute lawsuits. Through this study, the concept of worsenment was defined and it was compared with the concepts of livelihood compensation·compensation for indirect loss. The subject of compensation for worsenment is the third party that is outside the public project district unlike the case of expropriation compensation. From the very establishment of the administrative plans, procedural participation from the private sector proposed problems and suggested enhancement of the administrative process and the protection of property rights based on related legislation. It proposed a practical theory of legislation and the legitimacy of funding for legislations on worsenment. It is the institutional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that when public benefit is acknowledged through a comparison of public and private interests, the sufferer of loss shall receive the protection of property rights in line with the principles of justice·fairness and the nation or project operator shall ease of the burden to prepare funding for the revised legislation. <국문초록> 최근에 밀양송전탑 건설 등 국책사업으로 야기된 공·사익 갈등의 예에서 보듯이 국책사업의 원활한 시행은 공·사익간의 갈등을 해소하지 아니하고는 매우 어렵게 된다는 교훈을 주고 있다. 즉, 국민의 재산권보장을 통하여 공·사익간의 갈등을 해소하고 사회통합을 이루어만 국가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갈등해소를 위한 제도적·법리적 방안의 접근과 모색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갈등원인이 되는 손실을 개념적으로 지칭할 용어를 “개발손실”로 칭하였다. 연구배경은 지금까지 손실보상 법제나 손실보상 법리는 수용보상을 중심으로 구성되었었다. 따라서 수용목적물이 아닌 주민이 선호하지 않은 시설의 주변지역 주민의 재산권 침해에 대해서는 보상대상으로 인정하지 않았었다. 개발손실은 지금까지 수많은 공익사업의 시행과 관련하여 발생하였으나, ‘직접적 침해’에 대한 손실보상만을 논의 대상으로 한 손실보상 법제와 법리하에서는 주목을 받지 못하였음은 물론 문제제기도 제대로 되지 않았었다. 이는 현실적으로 개발손실에 대하여 ‘특별한 희생이 아닌 사회적 제약’의 문제로만 바라보는 이원적 시각에서 비롯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손실”의 개념을 정립하였으며, 헌법상 재산권보장과 손실보상대상의 변천경향을 이론적 배경으로 하였다. 개발손실침해에 대한 손해전보를 개선하여 법제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공익사업별로 즉, 전원(電源)개발사업(제1유형), 댐건설 사업과 국방·군사시설사업(제2유형), 소음·폐기물처리시설 등 환경침해시설 사업(제3유형)으로 세 가지로 유형화하였다. 생활보상이나 간접손실(사업손실)과의 개념을 비교하여 구별하였다. 이에 더하여 현행 개발손실에 관한 입법 현황을 검토하여 그 법적 근거를 찾는 노력을 하였다. 또, 개발손실에 대한 보상을 행정상 손실보상 및 손해배상의 법리로 해결 가능성 여부도 검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손실로 인한 공공갈등해소를 위해서 계획재량통제와 차액보상 도입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공공갈등해소 법리로, 첫 번째 사업예정구역 토지소유자와 공익사업지구 밖의 제3자 모두가 최상위 행정계획의 수립단계에서부터 참여하는 행정절차의 민주화이다. 다음 단계에서 개발손실침해를 당한 자에게 손해를 전보하는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여 연구하였다. 세 가지 유형에 따라 침해 원인이 다르므로 권리구제의 방법도 다르게 법제화해야 한다. 즉, 주변지역지원제도, 손해배상·손실보상제도 등에 의하는 다양한 방법으로 해결하여야 한다. 같은 유형임에도 매수청구제도의 법제화 유무에 따른 각 법률의 형평성이 문제되었고, 특히 매수보상제도 외에도 차액보상의 도입을 제시하였다. 비교법적 검토에서는 미국은 규제적 수용에 해당하면 특별한 희생, 일반적 규제권에 해당하면 사회적 제약으로 보며 매수청구제도와 같은 역수용소송을 소개하였다. 예견할 수 없는 우연한 침해인 수용적 침해이론이 개발손실침해 손해전보에 주는 시사점을 검토하였으며, 일본의 간접손실 법리를 참고하여 우리나라에서도 개발손실을 유형별로 법제화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검토하였다. 개발손실은 현행 수용보상과 비교해서 ① 간접적인 침해이고, ② 특별한 희생이 아닌 사회적 제약이며, ③ 수용목적물이 아니고, ④ 제3자효 행정행위에서의 제3자의 지위에 있는 손실보상 입법론에 관한 것이다. 주변지역지원제도와 개발이익배제 및 환수의 연구를 통하여 재원마련의 정당성과 현실성을 입증하였다. 현행 토지보상법 개정 제안으로 개발이익 및 개발손실 정의, 비선호시설 정의, 공익사업시행지구 밖의 제3자 지위의 토지소유자 및 관계인 정의 신설, 공익사업의 명료화·체계화, 정당보상 실현을 위한 개선, 차액보상 규정 신설 등을 제안하였고, 갈등영향분석·개발손실분석 규정 도입, (가칭)「군 소음법」의 제정 필요성, 매수청구제도 입법개선론 등 관련 법률의 개정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이에 더하여 소송 대체적 분쟁해결방안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특히 개발손실의 개념을 정의하였고, 생활보상·간접손실(사업손실)보상과 개념을 비교하여 구별을 하였다. 개발손실침해 보상의 상대방은 수용보상의 경우와는 달리 공익사업지구 밖의 지역 주민인 제3자의 지위에 있는 자가 중요한 피침해 이익의 당사자임을 주장하였다. 최상위 행정계획 초기단계부터 민간참여를 통한 행정절차와 침해 근거법률의 권리구제방법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개선점을 지적하였다. 개발손실에 대한 법제화를 위한 재원마련의 정당성과 현실성 있는 입법론을 제시하였다. 공·사익 비교형량을 통하여 공익성이 인정되는 비선호시설 공익사업의 시행으로 개발손실의 피침해자에게는 정의·공평의 원칙에 부합하는 권리구제를 실현해 주고, 국가 및 사업시행자에게는 개정 법률에 따른 재원마련의 부담을 덜어 줄 수 있다는 것이 본 연구를 통한 제도적 의의를 갖는 것이라 하겠다.

      • 자살의 법적 성질과 자살관여죄의 재조명

        김현조 경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50639

        最近わが社会では一般人はもちろん高位公職者と学界·財界人士などいわゆる社会指導層人士の自殺も頻繁に発生している。通信媒体の発逹で従来の局地的な問題で知られなかった自殺がリアルタイムと伝わることで自殺者の絶対的な数の変化がないことにも現状が誇張されていると思うこともできるが、それこそ'自殺の時代'と呼ばれるほどその数が急増してあるということを否定することは難しく見える。このような 自殺による経済的·社会的な損失は正確な分析を通じる統計の提示がないとしても自明の事実と言うことはできるでしょう。 自殺の国家的·社会的·個人的な問題点にもかかわらず、自殺を処罰しない現行法の 態度は適切なことか、自殺関与行為の処罰の類型と程度は合理的なのかに対してより根本的 観点で検討して見ることは 時代的な要請と言うことはできる。 このような背景でこの研究は果して自殺が自己決定権の行使を通じて人間としての尊厳性を守ることはできる行為なのか、それとも絶対的な生命を侵害する犯罪行為なのかを多様な歴史的·比較法的検討を通じて見回してみた。また、現行の刑法が規定してある自殺関連の犯罪の中、特に自殺関与行為に対して刑罰を賦課することが果して 正當なのかの問題を比較法的な検討はもちろん現代の視角でもう一度振り返ってみて、自殺教唆·幇助罪の関連解釈論を批判的に検討することで自殺をめぐる行為の中で処罰しなければならない行為と処罰してはいけない行為を区別するための立法論的な解決方案を摸索しようと思った。このような点らに対する筆者の考えを纏めると次のようだ。 自殺の可罰性と自殺関与罪の処罰根拠を論究するにおいてはその前提になる自殺の概念に関する最近の論議を綜合すれば、自殺は'自由意思を持った存在である人間が自由な意思決定を通じて自身の生命を断絶する行為'と定義できるでしょう。 まず、このような自殺に関与した行為に対すいくつかの国家の処罰規定を調査して見れば、大きく二つの類型で分けることができる。ドイツのように嘱託殺人だけを処罰する場合と韓国、オーストリア、スイス、日本などのように嘱託殺人だけでなく自殺教唆·幇助も処罰する場合がある。そして承諾殺人に対して特別な減軽規定を置いていないドイツの立法と違い、嘱託殺人だけでなく承諾殺人も殺人罪の減軽類型で一緒に規定していることが韓国と日本の立法形態だ。 次に比較·検討の価値があるいくつかの国家の自殺の処罰に関する観点の変更の過程と自殺関与罪に対する制定と改正の沿革を私的な側面で簡単に調べた。 キリスト教の伝統が強いイギリスでは伝統的に自殺を謀殺の一類型で見た。また、ローマ法の影響を受けた教会法では自殺者や自殺の未遂者に宗教的な制裁が加えられただけでなく、王室の財政確保という背後の目的のために自殺者の財産が沒収になったりした。しかし、18世紀の以後に啓蒙思想と功利主義の影響によって自殺者に対する差別的と埋葬の慣習と財産の沒収制度が 廃止になる、1961年に自殺法が制定になる、自殺及び自殺の未遂は犯罪の目録で除外になったが、自殺の関与行為は相変らず 犯罪として 処罰の 対象になっている。 ドイツの場合もイギリスと同じようにキリスト教の倫理観に基礎して自殺とここに関与した行為を違法したことで思って来たが、1794年のプロイセン一般ラント法(Allgemeines Landrecht für die preussischen Staaten)で最初で自殺を 処罰する 規定を廃止した。でも、自殺の関与行為、すなわち嘱託殺人と自殺幇助を処罰する規定は相変らず置いてあった。しかし、帝国の刑法典では共犯の従属性を重視した立場で正犯の行為である自殺が処罰されなければ自殺の共犯も可罰性がないと思ってその 処罰を断念し,嘱託殺人のみを処罰する規定を置いた。最近、自己決定権を尊重する立場が目立ちながら嘱託殺人の可罰性に対する論議もあったが嘱託殺人の違法性は相変わらず維持されている。 日本の場合には元々自殺を違法で見る倫理観が存在しなかったが、割腹という悪習の廃止·断絶のために旧刑法に初めて自殺関与罪と同意殺人罪が規定になった。その後、国家主義的な思想に基礎して生命は公共の法益なので自殺行為も違法という思想が次第に拡大されたが、第2次世界大戦の以後に民主主義が発展するによって個人の権利保障が徐々に認定され始めなって、生命に対する自己決定権を認めなければならないとか自殺だけでも一種の自己決定権の行事で見なければならないという主張が展開になった。 韓国の場合、近代の以前には自殺を処罰する規定は捜してみにくい,日帝強占期に朝鮮刑事令に根拠して日本の旧刑法がそのまま継勝される嘱託·承諾殺人罪と自殺教唆·幇助罪が規定された。現行刑法の制定の以後から現在まで法定刑の改正に関する論議がただ一度あっただけ、自殺の可罰性と自殺関与罪の処罰根拠などに対する詳細な論議は捜してみにくい。 総合しようとすると、18世紀の以後には自殺は処罰されなくなったし、現在には自殺行為をそのものを法的に制裁する国家は存在しない。自殺が法的に処罰されないと言って自殺の正當性あるいは権利性が認定になるとか可罰性がないという結論が直接的に繋がれることはできるのではない。したがって自殺の正當性などに関する関連な論議を法哲学的な観点、 憲法的な観点、 刑法的な観点を中心に検討した。 法哲学的な観点で見れば、結局自分の生命を尊重しながら自然的な終期に到逹するまで維持しなければならない道徳的な義務を生ずることを否定そういえば易しくない。しかし、道徳的な義務の違反をすぐ法規範の違反で見ることあるいは法規範の規律対象で見られないのだ。また、現実で発生する幾多の自殺の中で道徳的に間違ったと非難できない場合も少なくない。人間が人格を持つと言うことは自身の思考方式と 意志によって行動できるということを意味する、このような意味で人格体である人間は自身の生命も自身の意志によって処分できると言わなければならない場合があるというのを否定しにくい。 同じ脈絡で憲法の秩序で最高の価値である人間の尊厳性を保障するためには人格権と幸福追求権で派生になる自己決定権も保障しなければならない、このような自己決定権には生命に対する決定もその対象になると思うことが妥當だ。したがって死亡の時期と方法に関する決定権、すなわち尊厳するように死ぬ権利も當然に憲法上認定になることだ見られるでしょう。 刑法的な意味で自殺の不可罰性に対しては多様な見解が提示されるあるが、自殺行為を処罰できない最大の理由はすぐ自殺を処罰する刑法の規定がないというのだ。また、自殺行為は行為者が憲法上保障になる自己決定権に期して行った処分なので尊重しなければならない、このような自分の生命に対する処分行為は刑法だけでなくその他のいかなる法規範にも処罰する規定がないので、全体の法秩序にも違背になると思うことができない適法な行為だからだ。したがって自殺は刑法的に処罰する構成要件がない行為であるだけでなく全体の法秩序の観点にも適法な行為と言える。 もう分析したところのように自殺は法哲学的·憲法的な観点で正當性と権利性が認められる、刑法的には可罰性がない行為だ。しかし、現行の刑法にはこのような自殺行為に関与した者を処罰する規定を置いてある。自殺関与行為については'教唆'または'幇助'という表現を使うあるのに、これは共犯の立法形式を取ったことだと見ることができる。問題の出発点はすぐここにある。支配的な見解である共犯従属性説によれば、正犯(自殺者)の違法行為がないのにどういうふうに共犯(自殺関与行為者)が成り立つことはできるかという問題だ。このような矛盾を解決するために主張された多様な見解は批判的に検討した結果、自殺関与罪の処罰根拠は次のような理由で捜さなければならないように見える。 生命という法益は極めて一身専属的なものであるから、このような意味で生命は他人の手に任せることができない'移転 不可能'な法益と言うことはできる。このような前提で思ったら、自殺行為において法益の主体が自己の生命という法益を自己決定権に基礎して処分したら、その行為は適法な行為と言えるが、他人がそういう自己決定権に根拠した法益の処分行為に関与した場合にはその個人的法益の抛棄の效果が他人にまで影響を及ぼすことではない。 それならどうして自殺関与罪を他人の生命を侵害した殺人罪に比べて軽く処罰するかという問題になる。自殺関与者を含んだ第三者の立場で見たら、自殺者の生命という保護法益は完全なことだが、その法益の主体が自分の法益を諦めたことなので、殺人罪とは不法の程度が違うと思うことが妥當である。このような不法性の差異を注目·尊重し被告人の利益という観点で国家が定策決定を通じて殺人罪に比べて刑を軽く規定していると解釈できるだろう。 現行の刑法に規定された嘱託·承諾殺人罪及び自殺教唆·幇助罪は外国の立法と比べて、他人の生命侵害に関して広範囲な禁止規定を置いてあるのに、このような立法は我が民族が持つ絶対的である生命の尊重思想の表現で、生命絶対保護の原則に合致になる妥當な立法ということはできる。 しかし肉体的·精神的な苦しみを堪えることができなくて生の締め切りを要求する患者らの苦しい死を免じるようにしてくれと言う呼び掛けることをそっぽを向いてはいけないだろう。生命に対する積極的な自己決定の要請らを度外視することは、一定な価値と秩序を形成しなければならない法規範が自分の役割をつくすことができない むしろ混乱だけ加重させる結果をもたらすことはできる。 このような脈絡で私たちの刑法の関連規定も変化が必要すると判断される。自殺と係わった行為に対する現行の規定方式すなわち、嘱託·承諾殺人と自殺教唆·幇助で区別する方式が正當したことか、このような犯罪に対する法定刑が適正なことか、また自殺の教唆と幇助の法定刑を等しくすることが妥當なことかに対する批判的な検討する係わった規定を改正する必要があると考えられる。 自殺者が自殺を決心するようにするという点で承諾殺人と自殺教唆が共通点がある、もう自殺を決心した者の実行行為を助けるという点では嘱託殺人と自殺幇助の類似點がある。したがって承諾殺人と自殺教唆を同じ項に一緒に規定する嘱託殺人と自殺幇助を別個の項に規定する方式が既存の規定方式より意味があるように見える。また、他人の意思に反しない生命侵害である嘱託·承諾殺人と処罰されない自殺に関与した行為である自殺教唆·幇助は故意で生命を毀損した殺人罪よりその不法の量が少ないという点と、外国の立法例と比べても刑量がすぎるほど高いという点を考慮して、法定刑の上限を殺人罪より低い'5年以下の懲役'で低める、その下限を廃止することが 妥當だと考えられる。そして'罰金刑'を選択刑で受け入れる方法もまた他の代案で 提示することはできるでしょう。

      • 저작권·특허권의 보호대상과 권리행사에 관한 연구

        이정아 경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50639

        This thesis explores the history of copyright and patent law. Through this I tried to grasp the gist of current copyright and patent law system. The core principle of copyright and patent law applies to decide the scope of protection. The history of copyright and patent law is closely related to the scope of protection. First, I examine the historical materials to guide the path of the copyright and patent law. Then Idea/expression and creativity is the key aspects in the copyright and patent law system. Copyright law protects expression and patent law protects idea. Next, I research the current status of copyright and patent law protection and the legal theories that rightfully restrict the scope of copyright and patent law. Fair use doctrine that adopted in our copyright system with Korean American Free Trade Agreement can play much broader rule to restrict the oversized copyright owner. In patent law system the legal theory to restrict the patent owner’s right does not codified. With the result from the research from chapter 2 and 3, I applied those rules to the computer program. With the rapid technical development, our current copyright and patent law systems face new problems. The subject matters that never existed before throw difficult questions to our systems. In conclusion, more flexible approach is required to solve the problem that caused by the technical problems. The principles kept for many centuries were to promote the creative activity by rewarding the creator and balance between private right and public right. This thesis explores the history of copyright and patent law. Through this I tried to grasp the gist of current copyright and patent law system. The core principle of copyright and patent law applies to decide the scope of protection. The history of copyright and patent law is closely related to the scope of protection. First, I examine the historical materials to guide the path of the copyright and patent law. Then Idea/expression and creativity is the key aspects in the copyright and patent law system. Copyright law protects expression and patent law protects idea. Next, I research the current status of copyright and patent law protection and the legal theories that rightfully restrict the scope of copyright and patent law. Fair use doctrine that adopted in our copyright system with Korean American Free Trade Agreement can play much broader rule to restrict the oversized copyright owner. In patent law system the legal theory to restrict the patent owner’s right does not codified. With the result from the research from chapter 2 and 3, I applied those rules to the computer program. With the rapid technical development, our current copyright and patent law systems face new problems. The subject matters that never existed before throw difficult questions to our systems. In conclusion, more flexible approach is required to solve the problem that caused by the technical problems. The principles kept for many centuries were to promote the creative activity by rewarding the creator and balance between private right and public right.

      • 간접강제 적용 확대에 관한 연구

        이재민 경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50639

        If direct compulsion or alternative enforcement is impossible or ineffective, indirect compulsion can be selected as a compulsory enforcement method. However, for liabilities that direct compulsion is possible, compulsory enforcement through indirect compulsion has not been generally permitted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its enforcement is specifically feasible. The reason why such compulsory enforcement is performed is that direct compulsion is more effective than indirect compulsion and that it is also suitable for respecting personality of debtors. However, it was difficult to understand why inducing debtors to perform their duties through psychological pressure, rather than performing direct compulsion for debtors, is not appropriate in respecting the personality of the debtors, and it was also doubtful whether compulsory enforcement through indirect compulsion must be strictly prohibited if indirect compulsion is more effective than direct compulsion or alternative enforcement. In order to get answers to these questions, a theory known as supplementary nature of indirect compulsion was examined from a theoretical aspect and practical aspect. First of all, when examining the theory from the theoretical aspect, whether indirect compulsion is inappropriate in respecting personality of debtors was examined. However, the theory of supplementary nature of indirect compulsion claims that indirect compulsion is not suitable for respecting personality of debtors because it puts mental pressure on debtors to do what they do not want. Therefore, supplementary nature of indirect compulsion is to protect the will of debtors who do not want to perform. However, defaults are to follow tendency, not their own rules, so these cannot be considered to be autonomous. Therefore, it is improper for law to protect these. In addition, human beings should be regarded as a purpose rather than a means, so if human beings have made mistakes, it is necessary to bring them to account for their mistakes. In this respect, allowing debtors to pay off their debts through indirect compulsion may be considered more appropriate in respecting personality of debtors than realizing the contents of bonds by the nation. Therefore, it may be regarded that in theory, the theory of supplementary nature of indirect compulsion is not proper at all. Next, the theory of complementary nature of indirect compulsion was investigated from the practical aspect. For direct compulsion, even though debtors have not paid off their debts, the creditors must identify the debtor's property in order to realize their rights, take measures to prevent the debtor from concealing their property, understand and respond to a complicated enforcement procedure, which may be always a burden. Moreover, if the nation prohibits private enforcement and monopolizes the enforcement right, the nation should at least ensure that creditors do not have to go to that trouble, but what creditors who have not realized their rights should struggle to realize them more than debtors do, goes against the notion of justice and also goes against the ideal of compulsory enforcement that is to secure effectiveness of realizing rights of creditors. The investigated results of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 led to a conclusion that supplementary nature of indirect compulsion should be abolished. If it is so, whether this conclusion can be realized by interpretation of Civil Execution Act in Korea was first examined. However, since indirect compulsion prescribed in Article 261 of Civil Execution Act in Korea is under Chapter 3 compulsory enforcement of non-monetary bonds, the theory of supplementary nature of indirect compulsion can not be abolished by theory of interpretation so it should be solved by legislation. For abolition of supplementary nature of indirect compulsion and effective indirect compulsion, first of all, Chapter 1 General Provisions in Part 2 of Civil Execution Act should be considered, and Article 389 of Civil Code, which causes controversy in interpretation, should be deleted. Moreover, regulations that amount of indirect compulsory performance and damages are segregated from each other, and the amount of indirect compulsory performance will be vested in the government, should be stipulated. The followings are suggestions in performing indirect compulsion. The first one is to establish an institutional framework for protecting debtors and to have a post system such as provisional astreinte of France in order to adjust amount of indirect compulsory performance based on the attitude of the debtor so that the amount of indirect compulsory performance, which may be unfairly imposed, can be adjusted later and debtors are also encouraged to pay off their debts. The second one is to have regulations for jointly using enforcement methods as an institutional framework for protecting creditors. This allows creditors to use indirect compulsion method in combination with another compulsory enforcement method for realizing swift rights of creditors. Finally, this study discussed theory of legislation on limitations of indirect compulsion. There are following two major cases that indirect compulsion is not possible: 1) One case that only indirect compulsion is impossible, and 2) Another case that compulsory enforcement itself for the liabilities is impossible. One case that only indirect compulsion is impossible is when a debtor is a person with limited legal ability. If a debtor is a person with limited legal ability who does not understand indirect compulsion, indirect compulsion application must be rejected during a interrogation process. On the other hand, another case that compulsory enforcement itself is impossible, is when impossibility of performance is established and when a debtor is an object of, not a subject of personality. As for impossibility of performance, liabilities that debtors can not pay off their debts only with their will become an issue, and only if debtors have fulfilled their legal and factual efforts, impossibility of performance must be established. On the other hand, as for liabilities of creation(liabilities to create), common view is that compulsory enforcement for liabilities of creation is impossible, but it is not necessary to consider that liabilities of creation is different from other liabilities, and the claim that compulsion does not result in desired outcome has not been theoretically and substantively verified. Therefore, compulsory enforcement for it, is possible. 直接強制あるいは代替執行が不可能な場合や実効性がない場合に、間接強制という執行方法があるにもかかわらず、一般的に直接強制が可能な債務については、それが具体的に執行可能かどうかは関係なく、間接強制を通した強制執行は否定されていた。このように強制執行方法を運用している理由は、直接強制が間接強制よりも実効性のある執行方法であり、債務者の人格保護のために適合した執行方法ということである。しかし実力を通して債務者に直接的に強制することよりも、心理的にそれとなく圧迫を与えて、自分の義務を履行するようにすることが、なぜ債務者の人格保護に妥当しないか、そして直接強制や代替執行より間接強制が実効性がある場合に、間接強制を通した強制執行は厳しく否定されなければならないのかについて疑問を持った。 このような疑問に答えるために、間接強制の補充性論の理論的側面と実質的側面を考察した。まず、間接強制の補充性論の理論的側面から、間接強制が債務者の人格保護に妥当しないかについて検討した。どころが間接強制の補充性論は、間接強制が債務者に心理的圧迫をかけ、やりたくないことをさせるものなので、債務者の人格保護に妥当しないという。したがって、間接強制の補充性論は債務者の履行しない意思を保護するものである。しかし、自分の債務を履行しないのは自分が立てた準則に従わず、傾向性によるものなので、自律とは言えにくく、したがってこれを法律で保護することは妥当ではない。また、人間は手段ではなく、目的で存在しなければならないため、人間がもし間違いを起こしたら、その責任を問わなければならない。このような側面から見ると、直接強制を通して債務者が、履行せず、国家が代わりに移行することより、間接強制を通して債務者自ら直接履行するようにするのが、債務者の人格保護により妥当すると見ることができる。したがって理論的に間接強制の補充性論は全く妥当しないと見ることができる。 次に間接強制補充性論の実質的な部分を考察した。直接強制による場合、義務を履行しない人は債務者であるにもかかわらず、債務者が債務を履行していないのであれば、債権者が自分の権利を実現するために、債務者の財産は何があるのかを調べなければならないし、債務者が財産を隠さないように措置を取らなければならないし、複雑な執行の手続きを熟知して対応しなければならない負担が常にある。私的執行を禁止し、国家が執行権を独占すれば、債権者は自分の権利を履行できなかった場合、少なくとも国家は債権者に負担を与えないように努力しなければならないのにもかかわらず、権利を履行されなかった債権者がかえってその権利を確保するために債務者よりさらに努力しなければならないことは正義の観念にも反し、債権者の権利実現の実効性確保というは、強制執行の理想にも反する。 このような理論的側面と実質的側面を検討した結果、間接強制の補充性論は廃棄されなければならない結論に至る。それならこのような結論を、先に我が民事執行法解釈論で実現することができるかを考察した。が、現在の我が民事執行法上、間接強制を規定する民事執行法第261条の位置が、第3章 非金銭債権に基礎した強制執行の下位にあるため、解釈論としては間接強制の補充性論を廃棄することはできず、結局、立法的に解決しなければならない。 間接強制の補充性論を廃棄し、実効性のある間接強制になるためには、まず民事執行法の第2編、第1章の総則に移動する必要があり、解釈上、議論の余地を引き起こせる民法第389条を削除しなければならない。また間接強制金を損害賠償金と分離し、その強制金を国家に帰属させるという規定を明文化する必要がある。 次に間接強制の運用に関する提案である。第一に、債務者保護のための制度的装置を用意し、事後的にフランスの暫定的アストラントのような制度を置き、債務者の履行に対する態度によって、間接強制金を調整して、債務者履行を促すとともに不当に賦課される間接強制金を事後的に調整できるようにすることである。第二に、債権者保護のための制度的装置として、執行方法の併用についての規定をおくことである。債権者の立場から権利実現の迅速性のために、間接強制とともに、他の強制執行方法を併用して利用できるようにすることである。 最後に間接強制の限界に関する立法論である。間接強制が不可能な場合は大きく二つであり、それは間接強制のみ行うことができない場合と、強制執行そのものが不可能な債務である。間接強制のみ行えない場合は制限能力者の場合であるが、間接強制を理解できない制限能力者の場合には審問の過程で間接強制の申請を却下しなければならない。反対に、強制執行そのものが不可能な場合においては履行不能、債務者が人格の主体ではない対象となる場合がある。履行不能と関連して、債務者がその意思のみではきない債務が問題になるが、債務者が法的そして事実的努力をした場合のみ履行不能にならなければならない。一方、創造債務と関連しては、通説として創造債務は強制執行できない債務というが、創造債務を他の作爲債務と違うように見る必要はなく、強制しても願う結果が出てこないということは理論的ㆍ実質的検証を経ない主張なので、これは強制執行が可能である。

      • 외국인 이주자의 헌법적 보호 : 노동이주자와 혼인이주자를 중심으로

        박새미 경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50639

        Traditionally the phenomenon of migration has been described by a cost-benefit analysis of a sending country and the receiving country respectively. Because of migration, the sending country could lower its unemployment rate and at the same time migrant workers are able to send a remittance to their home country which increases national wealth. On the other hand, the receiving country also benefits by positive changes like solving a manpower shortage, changing age structure and population increase. However, if we approach the phenomenon of migration from only an economical perspective, it may neglect the human rights of migrants. Also, there will be a risk of a lack of respect for human rights in the process of migrants’ moving or settling. Due to this reason, the sending country may not guarantee or protect its citizens’ human rights and in the receiving country’s position it may lower migrants’ ability to contribute to the nation’s development; increasing social integration cost, et cetera. Eventually it may be an even more substantial reason that may increase social and economic cost. Furthermore, if the sending country and receiving country want total symbiosis from this migration phenomenon in the future, not only do these countries must consider the subtleties of the existing cost-benefit analysis due to the migrants’ remittance, reducing unemployment rate, creating cheap labor, population growth, et cetera; they should consider the social and economic values of migrants’ human rights, including migrants’ cultural values. The highest percentage of visas granted by categories given to foreigners coming to Korea are the ‘non-professional work(E-9) visa’, the ‘work and visit(H-2) visa’ and the ‘marriage migrant(F-6) visa’ which most of them fall under the category of “low-skilled migrant worker”. On this dissertation, I will mainly cover their constitutional issues and consideration of its improvement plans for what labor and marriage environments immigrant’s currently have. The fundamental cause of constitutional issues through current legislation that low-skilled migrant workers and marriage migrants have in common is that they ignore value of human beings and tends to only treats migrants as a means to fix all sorts of domestic problems like the population issues, economic issues, et cetera, which leads to a lack of respect for migrants’ fundamental human rights. Foreigners who wish to stay and work in Korea as low-skilled migrant workers are subject to Employment Permit System.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and Work Permit System are the most typical system that supply foreign workers. The Work Permit System authorizes every migrant to a right to stay and a right to work, whereas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authorizes the employer to have the right to hire foreign worker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low-skilled migrant workers have a very strong dependency on an employer. On this account, low-skilled migrant workers are easily at a risk of having their fundamental rights infringed upon such as the right to labor, the freedom of choosing an occupation, their right to family reunification, etc. Meanwhile, a fundamental problem of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is based in its short-term rotation. Throughout the globe, short-term rotation is going down the tubes. Migrants can never be an abstract form of pure manpower, and because they are human beings who desire the reunification with their family and a stable residency status, there needs to be a concrete recognition that short-term rotation doesn't function properly in todays reality, even though its intentions in the beginning were good. Germany adopted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based on short-term rotation until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In 2005, new legislation on migration revised and practically abrogated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Korea must learn from other countries’ success and failures on the migration system by studying the success and failure of the migrant community of Korea, improving legislation for the demand and supply of foreign workers and so on. Korea must take a proactive approach to prepare for the future. Germany has transitioned to a system that now allows already existing low-skilled migrant workers who meet certain requirements the rights to stay and establish family reunification and the influx of the professional foreign workers are completely supported and encouraged. Such a study on Germany’s case can be one of the models that help Korea to seek new solutions to help and propose new legislation for foreign workers in Korea and eradicate existing non-working current legislation. Furthermore, economic migrants, including low-skilled migrants, disguise themselves as asylum seekers with the purpose of gaining the right to stay and work. So, a clear distinction between economic migrants and asylum seekers is necessary and vital. Moreover, it appears that female foreign workers have been put in far worse working conditions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Once these issues are recognized, a plan for countermeasure research and improvement is necessary. A high percentage of female foreign workers work in small-scale business or home nursing which the concerning laws on labor like Act on The Employment, Etc. Of Foreign Workers, doesn't usually apply to them. For this reason, a study of understand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an accurate observation is required to move forward. Meanwhile, concerning migrants of marriage,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figure out the truth of the violation of human rights of those who are in the international marital process and a person with marital status in Korea who plans to stay in Korea to continue his or her marriage. Then, constitutional issues and improvement of the laws concerning marriage migrants should be examined. The majority of multicultural families are formed by migration of marriage, and various constitutional issues concerning immigrants by marriage eventually leads to issues for multicultural families as well. Such as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ct, Framework Act on Treatment of Foreigners Residing in the Republic of Korea, etc., laws concerning the support and integration of multicultural family has a few of the following problems. Firstly, the laws duplicate the subject of application. Secondly, if both parties of married couple are foreigners, even though their life is entirely based in Korea, they are completely disintermediated from all sorts of support and benefits. Thirdly, compared with general immigrants, supports and benefits are still heavily weighted in favor of any foreigner in Korea who has a marital relationship with a Korean national. Compared with other groups of immigrants, immigrants by marriage have long been viewed as having a relatively more stable qualification for residency status and this group is often treated as a subject of positive preferential treatment and support policies. Moreover, among immigrants by marriage, even though male immigrants by marriage are under the identical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as female immigrants by marriage, it is true that female immigrants by marriage happen to receive more pro-active interest and attention from our government’s policies. Nevertheless, immigrants by marriage increased rapidly by the 1990s, because it was a government policy to solve marital issue of older bachelors living in a rural areas. This means that perception of immigrants by marriage aren’t different from foreign workers. That is to say, current laws concerning immigrants, especially as for female immigrants by marriage, are mostly still in the stage of not considering immigrants as pure human beings, but as a means of solving domestic issues. In the process of commercialized marriage brokerage, apart from problems regarding foreign spouse’s human rights, a foreign spouse being invited to Korea by Korean nationals’ necessity and the current system which ensures foreign spouse’s residency in Korea is decided by Korean nationals are a result from seeing foreign spouses as an object of policies to promote international marriage, not as a subject of international marriage. These approaches first began as a way to solve marital issue of older bachelors living in a rural area by encouraging international marriage with neighboring Asian countries’ women. Which these countries often have less economic power than Korea. But the problem of factoring in the historical backgrounds of foreign women as a means of solving domestic issues possibly violates the terms of human rights. In other words, immigrants by marriage have always been evaluated by connections of marital relationship and nurturing relationships with Korean nationals. And in principle, if these connections fall apart, they become subjected to possibly being returned to their countries of origin. These points of views of only seeing human beings as without self-worth and value which all human beings hold and instead viewing them as the means to an end for a problem, creates an amalgamation of problems. The current policies violates human dignity by eventually invading the rights of residency status and the visitation right of immigrants by marriage. In our current legislative system, that residency status of foreign spouses depends too highly on a Korean national regardless of the fact that most immigrants by legitimate marriage tend to settle down in Korea permanently or at the very least a long period of time as the spouse of a Korean national. This system should and must be reconsidered. In addition, the guarantee of residency status of immigrants by marriage should be reinforced by expanding the requirements for simple naturalization in Nationality Act, etc. 전통적으로 이민현상은 송출국과 유입국 각각의 ‘비용-편익 분석(cost-benefit analyses)’에 의해 설명되어 왔다. 즉, 송출국은 이민을 통하여 자국의 실업률을 낮추는 한편 이민근로자들의 송금을 통해 국부를 늘리게 되고, 그 반면에 유입국은 노동력의 유입을 통해 인력난의 해소, 인구의 증가 및 연령구조의 긍정적인 변화 등 이익을 누리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경제적인 관점에서만 이민현상을 접근할 경우 이민자의 인권을 경시하게 되어 이민자의 이주과정이나 정착 과정에서 인권에 대한 존중이 결여될 위험이 있고, 이로 인해 송출국으로서는 자국민의 인권이 제대로 보장받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게 됨은 두말할 필요가 없으나, 유입국의 입장에서도 이민자가 유입국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을 저하시키고 사회통합의 비용을 증가시키는 등 결과적으로 유입국의 사회적·경제적 비용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원인이 된다. 결국, 송출국과 유입국이 이민현상으로 인한 발전이득을 온전히 누리기 위해서는 이민자에 의한 송금이나 실업률의 감소, 값싼 노동력의 창출이나 인구의 증가 등 기존의 ‘비용-편익 분석’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요소들뿐만 아니라, 이민자의 문화적 가치를 포함한 이민자 인권의 사회적·경제적 가치에 대하여도 반드시 논의해야만 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국내에 유입되는 외국인의 체류유형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체류유형인 단순외국인력에 해당하는 비전문취업(E-9)과 방문취업(H-2), 그리고 결혼이민(F-6) 등을 위주로 이들이 처한 노동환경 및 결혼이민환경이 지니고 있는 헌법적 문제점과 이에 대한 개선방안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단순외국인력과 결혼이민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행 법제의 근본적인 헌법적 문제점은, 이민자를 단순히 인구문제, 경제문제 등 각종 국내문제를 해결할 수단으로서만 인식하는 경향으로 인해 그들의 인격적 가치를 간과한 나머지 이민자의 기본적 인권에 대한 존중이 부족하다는 점에 있다. 먼저, 우리나라에서 체류하며 근로하고자 하는 단순외국인력은 고용허가제의 적용을 받는다. 고용허가제는 노동허가제와 함께 외국인력의 수급에 관한 대표적인 제도로서, 노동허가제가 이민자 개개인에게 체류 및 근로의 권리를 부여하는 것과는 달리, 고용허가제는 사업주에게 외국인력을 고용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 제도라고 할 수 있다. 고용허가제의 이와 같은 특성으로 인해, 그 적용을 받는 단순외국인력은 고용주에 대한 종속성이 매우 강하며, 이 때문에 단순외국인력은 근로의 권리, 직업의 자유, 가족결합권 등 기본권이 더욱 침해되기 쉬운 환경에 놓이게 된다. 한편, 현행 고용허가제에 있어 보다 근본적인 문제는 단기순환원칙을 그 기반으로 한다는 점에 있다. 단기순환원칙은 세계적으로는 실패한 제도인바, 이민자는 결코 추상적인 형태의 순수한 노동력일 수가 없고, 가족의 결합과 안정적인 체류를 의욕하는 인간이기 때문에, 외국인력을 순수 노동력으로만 전제하고 있는 단기순환원칙은 그 취지의 타당성에도 불구하고 실제 현실에서는 제대로 작동하기 힘들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20세기 중반 단기순환원칙을 바탕으로 한 고용허가제를 채택하였다가 2005년 신이민법을 통하여 동 원칙을 사실상 폐기하기에 이른 독일의 역사 등 우리보다 먼저 각종 이민법제의 성공과 실패를 경험한 타 국가의 사례를 통하여 우리나라의 이민사회의 성패를 미리 예측하고 외국인력 수급에 관한 법제를 개선하는 등 미래에 능동적으로 대비하여야 한다. 특히, 이미 유입된 단순외국인력의 체류 및 가족결합을 일정한 요건 하에 허용하는 한편 전문외국인력의 유입을 적극적으로 유도·장려하는 체제로 전환한 독일의 사례는 우리 외국인력 법제가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 데 하나의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덧붙여, 단순외국인력 등 경제적 이민자들이 국내 체류를 목적으로 난민을 가장하는 이른바 ‘취업형 난민’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그 대응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고, 나아가 외국인근로자 중에서도 특히 열악한 지위에 처하여 있는 여성 외국인근로자의 노동환경 등에 관한 문제를 인식하고 그 개선방안에 관하여도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특히, 여성 외국인근로자의 경우 근로관계법령의 적용이 제외되거나 통계적인 조사가 미치지 않는 소규모 영세 사업장, 가사간병근로 등의 업종에 종사하는 비율이 높기 때문에, 여성 외국인근로자에 대한 정확한 현황의 파악이 무엇보다도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결혼이민과 관련하여서는 국제결혼의 과정 및 그 이후의 국내 체류 과정에서 결혼이민자들이 겪고 있는 인권 침해 현실을 파악하고, 결혼이민관련 법령의 헌법적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하여 검토할 필요가 있다. 다문화가족의 대부분은 결혼이민을 통하여 형성되므로, 결혼이민자가 겪게 되는 각종 헌법적 문제는 결국 다문화가족의 문제로 이어진다. 다문화가족지원법, 재한외국인처우기본법 등 다문화가족에 대한 지원과 사회통합에 관한 관련 법제는 그 적용대상이 중복되는 문제, 부부 쌍방이 외국인인 다문화가족의 경우에는 국내에 생활의 기반을 가지고 있더라도 각종 지원과 혜택에서 완전히 배제되는 문제, 외국인근로자 등 일반적인 이민자와 비교하였을 때 우리 국민과 혼인한 외국인배우자에 대한 혜택과 지원으로 지나치게 치우쳐 있는 문제 등을 안고 있다. 결혼이민자 집단의 경우 다른 이민자 집단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안정적인 체류자격과 지위를 향유하는 등 보다 적극적으로 우대 및 지원 정책의 대상으로 인식되어 왔다. 더욱이 결혼이민자 중에서도 결혼이주여성은 국제결혼이라는 동일한 조건과 상황에도 불구하고 남성결혼이주자 집단에 비해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적 관심을 받아온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혼이민 역시 그 시작이 1990년대 농촌에서 급증하기 시작한 노총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추진된 것이다 보니 결혼이민자에 대한 인식도 외국인근로자에 대한 인식과 크게 다르지 않은바, 즉 현행 이민관련 법제에 있어서 결혼이민자, 특히 결혼이주여성을 하나의 인격이 아니라 국내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인식하는 단계에 머물러 있는 측면이 많다는 것이다. 상업화된 결혼중개 과정에서 외국인배우자가 겪게 되는 인권침해 문제는 차치하더라도, 내국인의 필요에 의해 외국인배우자가 국내로 초청되고, 내국인의 의사에 따라 외국인배우자의 국내체류 인정여부가 결정되는 현행의 제도는 외국인배우자를 국제결혼의 주체가 아닌 국제결혼장려정책의 객체로 바라보는 시각에 기인한다. 이러한 접근방식은 애초 우리나라의 국제결혼 붐이 시작된 배경, 즉 농촌 노총각 문제를 해결하고자 경제력이 낮은 주변 아시아국가 여성과의 혼인을 국가적으로 장려하면서 외국인여성을 국내문제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 바라보았던 역사적 배경에서 비롯된 것이나, 이는 인권의 관점에서 분명 문제의 소지가 있다. 즉, 이들을 항상 혼인관계, 양육관계 등 내국인과의 연결고리를 바탕으로 하여서만 평가하고, 내국인과의 연결고리가 소멸되면 원칙적으로 본국으로 돌아갈 대상으로 바라보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시각은 인간을 자기목적적으로 보지 않고 수단으로 대하는 것에 다름 아니고, 이는 결국 결혼이민자의 체류권, 자녀에 대한 면접교섭권 등을 침해하는 인간의 존엄에 반하는 정책 방향이라고 할 것이다. 위장결혼 등이 아니라 합법적으로 결혼이민을 한 이상 영구적이거나, 또는 적어도 매우 장기간 대한민국 국민의 배우자로서 대한민국에 정착할 생각으로 이민을 온 경우가 대부분일 것임에도, 외국인배우자의 체류자격을 지나치게 내국인배우자에게 의존하게 하는 현행 법제에 관하여 재고할 필요가 있다. 일정한 요건에 해당하는 외국인배우자에게 독자적인 체류권을 부여하고 있는 독일의 법제가 하나의 시사점이 될 수 있는바, 우리 국적법상 간이귀화 규정의 요건을 확대하는 등 결혼이민자의 체류권 보장을 강화해 나가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