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水環境における微量有害化學物質の運命に關する硏究

        조경진 廣島大學 1996 해외박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는, TCP(Tricresyl Phosphate)를 대상화학물질로 선정하고, 하천 중의 존재량조사를 행함과 함께, 하천에서의 경시적인 변동특성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또한, 화학물질의 운명평가에 중요인자인 저질에의 흡착특성 및 하천수와 저질에 있어서 미생물분해특성에 대하여 검토를 행하였다. 게다가, 하천중 TCP농도의 증가요인인 점원과 면원조사를 행하여 그 기원을 명확하게 함과 동시에, 기원으로부터 하천에의 유출프로세스에 유출경로에 대해서도 검토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TCP농도의 경시변화에 있이서 큰 차이는 없었지만, 가을부터 감소하기 시작 하여 여름에는 매우 낮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하천 중 TCP농도는 하천유량 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하천중에 유입되는 TCP의 대 부분은 비점원에서 유래된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 하천수와 저질에 있어서 분해속도정수는 온도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였다. 또, 분해속도정수는 p-TCP가 높고, o-TCP가 작았다. 하천저질에의 TCP이성체 의 흡착은 Freundlich흡착등온식에 적합하였다. 현탁물질중의 TCP농도는 하 천저질중의 약 1,000배에 달하였다. 이것은 현탁물질에의 TCP흡착에 있어서 는 유기탄소함유량이 크게 기여하였다. TCP의 기원은 특정오염원이지 않고 농업용 비닐필름, 염화비닐 파이프나 주유소측구(側構)와 같은 비점원이라고 추정되었다. 비닐하우스를 흘러내리는 우수 중 TCP농도는 우수중의 농도보다 약400-700배, 하천수에 비해서는 70-130배 높았다. 따라서, 농업용 비닐하우 스는 유력한 TCP발생원의 하나라는 것으로 시사되었다. 화학물질의 유출메카니즘에 관하여 본 연구에서 얻은 새로운 사실은 다음과 같다. TCP를 첨가한 제품이 야외에서 사용되어, 강우에 의해 제품에서 용출 하고, 그것이 SS와 함께 표면유출에 의해 하천에 유출한다. 즉, 농업용 비닐 필름의 절연체로서 TCP가 함유되어 있고, 하천유역에 있어서 TCP오염의 중 요한 오염원의 하나로서 사료된다. 이 필름중의 일부인 TCP가 우천시 강우와 함께 용출한다. 그것은 비닐하우스 하부의 토양으로 수송되어 진다. 그 일부 는 미생물분해와 함께 분해되면서 심층으로 침투하고, 대부분은 토양표층부에 흡착하였다. AlN is a tetrahedrally coordinated III-V semiconductor which crystalizes in a hexagonal wurtzite structure. It is characterized by a large band gap, large bulk modulus, and high thermal conductivity. These properties make this material an attractive candidate for opto-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Because of its high thermal conductivity it has also been used as a heat-sink substrate ,material for the electronic devic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electical properties the electronic band structure of AlN is calculated from the first-principles linear muffin-tin or-bital (LMTO) method. The structural and vibrational properties of AlN are also investigated by calculating the total energy as .a function of volume and atomic po-sitions. The results for the bulk modulus and the phonon frequency of the AI-TO mode agree well with experimental values.

      • 피아노산조 구성에 관한 연구 : 유병은과 김국진의 작품을 중심으로

        조경진 우석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 문 초 록 피아노산조 구성에 관한 연구 조경진 우석대학교 대학원 국악과 피아노전공 지도교수: 심인택 피아노산조는 서양악기로 작곡된 산조 중 가장 많이 작곡되고 연주하고 있으며, 이 중에서 공식적으로 발표한 작곡자는 유병은과 김국진이다. 본 고에서는 기존 산조의 구성요건을 바탕으로 하여, 유병은과 김국진이 작곡한 <피아노산조>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장단은 기존 산조의 장단 틀과 유사성을 보이지만 실제 연주에서는 기존 장단과 다르게 해석되어 연주하기도 한다. 조성은 기존 산조의 선법 외에 무조성과 복조성을 사용하고 있으며, 단락구분 또한 확실하게 나타나고 있지 않는다. 또한 표현방법에 있어서 기존 산조의 표현방법이 아닌 서양음악의 표현방법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유병은과 김국진의 <피아노산조>는 다양한 음악기법을 활용하여 작곡하였지만 기존 산조의 구성 요건을 갖추지 못하고 <산조>의 명칭을 사용하여 작곡하고 있다. 작곡자의 작품 제목은 작곡 목적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산조> 작곡을 목적으로 하였을 경우 산조의 음악적 형식과 구성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Abstract A study on the composition of Piano Sanjo kyoung jin, Cho Graduation School of Woosuk University Korean Classic Music Department Major : Piano Director Professor : in taek, Sim Piano Sanjo is composed and performed most among sanjo composed by western instruments. Among these, the composers who officially present it to the public are Kim Kuk-jin and Yoo Byung-Eun. This thesis is based on original factors of sanjo and compared and analyzed <Piano Sanjo> composed by Kim Kuk-jin and Yoo Byung-Eun Therefore, Its beat is similar to the beat of existing sanjo but it is sometimes performed differently in actual performance. It uses atonality and polytonality differently from the mode of existing sanjo and doesn't even show the sections of paragraph clearly. Also, the method of musical expression expresses western musical style rather than existing sanjo. Thus, Kim Kuk-Jin and Yoo Byung-Eun compose <Piano Sanjo> using various musical techniques and use the title of <sanjo> even though they are quite different from existing sanjo. The title of a composition is related to the purpose of its composition. Therefore, it must be fulfiled all musical forms and composition of sanjo if it is composed for the purpose of <sanjo.>

      • 장애인 인권관련 규범에 대한 헌법적 고찰

        조경진 경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Abstract) If anyone born to human rights and human rights issues that result in the grant of the human rights of all people in life are guaranteed in the Constitution which can not be an exception also persons with disabilities. If the human being as human rights that ought to belong, fundamental rights are rights that can be regarded as finally being recognized as a right provided for in the Constitution. Modern human rights were also referred to only freedom. Today, however, political rights, social rights, such as has been recognized in the form of a variety of human rights. This shows that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and the various regional human rights treaties extend the universality of human rights. Disability-related human rights at domestic and international with the expansion of human rights norms and regulations are provisions for ensuring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but it is practically difficult, discrimination against persons with disabilities is also a reality that exists. For those non-discrimination and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order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human rights norms, in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need to organically linked, and it is necessary to stipulate their own rules regarding the content of human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addition to the foundation for the full realization of social participation and equality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t is need to maintain human rights norm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be recognized as equal members of society. we also should take a human rights approach with disabilities through application to relevant international human rights norms in domestic legal of disability and the enactment and amendment of the Local Government Act. The fundamental rights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to be applied to anyone with disabilities, We shall en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rough the analysis of relevant norms of human rights norms.

      • SNS를 활용한 성찰활동에서 동료학습자의 피드백 제공이 학습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메타인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조경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oday's educational view of constructionism leads to stress the active participation of learner into teaching and learning course and Knowledge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others. Also, it leads to take attention to the educational activity which interacts with a peer learner - so called, 'Peer Learning'. This is the course to practice cooperation which is important over the life not only in organization but also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which makes available to share information and opinion between learners facilitates peer learning. There are a variety of the methods in peer learning. In particular, giving feedbacks about colleague learner's output with learner's participation grabs the attention, and lots of researches are working on this method. Even from Massive Open Online Course(MOOC) - hot educational trend recently, it gets positive response from students consider by exchanging interactional feedback. It is reported that a number of the advanced researches related to peer learner feedback activities have the positive effect on learning achievement of the cognitive and affective sides. From cognitive side, a learner can look back on his learning by evaluating peer learner's learning process and result and by getting his own personalized feedback from the peer learner rather a teacher, which virtually results in increased school achievement. From affective side, a learner can increase his ownership and confidence about learning by engaging in the feedback process actively. In contrast, some studies insist that feedbacks from peer learners are limited to affect students. They suggest on the evidence that a learner feels uncomfortable and does not trust the feedback from a peer learner which only corrects fragmentary, apparent errors. However, it comes from distrust which does not trust the peer learner's ability who gives feedback, not from the distrust about peer learner's feedback activity itself. Also, the existing studies of feedback tend to focus on the cognitive feedback, limits its learning context to English writing or science class and so on. Additionally, they do not take comprehensive achievement of affective, meta-cognitive and cognitive sides into consideration. Accordingly, this study tries to verify the effect of peer learner's feedback to academic self-efficacy from affective side, meta-cognition level from meta-cognitive side, and learning achievement from cognitive side on the basis of the self-reflection activity which can apply to various subjects. Based on the advanced research(Kim, 2011; Nelson & Schunn, 2009; Reiman, 1999) which suggests the contents of the feedback provided by a teacher and a peer learner, we try to provide both affective feedbacks which include emotion, sharing, praise, encouragement and cognitive feedback which include clarifying idea, facilitating study, suggesting issue, guiding direction and providing information. Also, by seeing the advanced research(Ferris & Hedgcock, 2009; Lee, 2013) suggesting the instruction of effective feedback we improve the learner's feedback skill with pre-training, construct the feedback activity group to give various feedbacks from various peer learners, and organize the feedback process by retaining tools and periods. Plus, we select learners who give helpful feedbacks to a peer learner and provide rewards. After all, we will research the role of peer learner's feedback which is considered important in teaching and learning course nowadays by figuring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which gives and takes feedback with a peer learner and the group which proceeds personal reflection activity. According to this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this study tries to figure out the following questions specifically : 1. About academic self-efficacy,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which gives and takes feedback with a peer learner and the group which proceeds personal reflection activity (in reflection activity using SNS)? 2. About meta-cognition ability,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which gives and takes feedback with a peer learner and the group which proceeds personal reflection activity (in reflection activity using SNS)? 3. About learning achievement,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which gives and takes feedback with a peer learner and the group which proceeds personal reflection activity (in reflection activity using SNS)? We performed the study with middle school students (located in Bucheon-si, Gyeonggi-do) in 3rd year - 31 students of an experimental group who gives and takes feedbacks with a peer learner after completing reflection journal, 31 students of a comparing group who only completes reflection journal. Both groups make sub-groups comprising of 4 to 5 people randomly, performing the four-week reflection and feedback activity from NAVER BAND. To verify the pre-homogene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ng group, we first obtained the mean value of academic self-efficacy, meta-cognition, learning achievement's pre-scores and performed t test of the independent sample. Based on the result of post-test, we performed MANCOVA(Multivariate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Analysis of Covariance) to verify the difference of learning achievement under control of pre-scores. You can see the result and preview point by the research problems below. First, after performing MANCOVA which considers pre-scores as Covariance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learning achievement level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giving and taking feedbacks with a peer learner and the comparing group proceeding only reflection activity, we found that only self-regulated efficacy, one of the sub-variants of academic self-efficacy - confidence, self-regulated efficacy, task difficulty, shows significance difference. By this, this study found out that subject in the experimental group experience using the self-regulated mechanism successfully by giving and taking feedbacks with a peer learner. In brief, we make a conclusion that the level of self-regulated efficacy by reviewing the contents of reflection of peer learners with comparing with subjects' reflection activity, elaborating the thought to provide creative questions and explanations, taking positive feedbacks from a number of the peers about reflection outcome which comes from self-regulated activity. Also, we conclude that experience of success and vicarious experience are not accumulated to increase the preference of task difficulty and confidence, and there's no significance difference in the preference of task difficulty and confidence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 of self-efficacy. Second, after performing MANCOVA which considers pre-scores as Covariance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meta-cognition level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giving and taking feedbacks with a peer learner and the comparing group proceeding only reflection activity, we found that all of the sub-variants of the regulation about the knowledge of cognition and the cognition show significance difference. By this, we can see that the meta-cognition level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was giving and taking feedbacks, is improved compared to the comparing group. First, on the perspective of feedback giver, the level of meta-cognition could be increased by review of reflection of a peer learner, challenge and adjustment of idea, comparing with his own reflection activity, development of significant and creative questions, and the elaboration proces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and explanation. Also, with the reflection and critical review about feedback from a peer learner, we make a conclusion that meta-cognition can be more improved by deeply understanding his own learning process and adjusting the goal and level of learning. Third, after performing ANCOVA which considers pre-scores as Covariance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learning achievemen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giving and taking feedbacks with a peer learner and the comparing group proceeding only reflection activity, we found that there is the significance difference. This is identical to the result of the advanced research that the activity giving and taking feedback with a peer learner has positive affect to learning achievement(Kim, 2001; Park, 2002; Parr & Townsend, 2002). From this study, we can findout that giving and taking feedbacks with a peer learner in reflection activity consequently affects learning achievement by improving learner's attitude and motivation while aiming to increase critical thinking and cognitive improvement. After all, we can see that peer learner's feedback in reflection activity can be beyond simple feedback activity but can play the role to improve self-learning as a new learning method. I want to suggest the limit of the research and the proposal for the future research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This study's subjects are middle school(located in Bucheon-si, Gyeonggi-do) students, letting them providing feedbacks 4 times for 4 weeks in the context of the reflection activity of history study. It needs to select subjects from a variety of the classes, expanded the study context to other studies, discussion and various evaluation contexts and perform the study about the effect of feedback by amount and level. Also, we limit subjects to perform reflection and feedback activity in NAVER BAND, one of the SNS. It needs to perform the research using the tool to maximize the peer learner's effect including face-to-face situation since the study result can be different by tool's features and subjects' ability to use tool. This study selected academic self-efficacy, meta-cognition, learning achievement as dependent variables to verify the outcome of delivering peer learner's feedback, which results that we need to study by selecting a variety of the variables to establish the effect of peer learner's feedback. Also, we suggest that the study to verify the difference the role in the feedback activity and achievement by learner's characteristic be performed. Most of the advanced researches studied and reported their outcomes on the perspective of a feedback giver. Still, we need to continue the researches like Kim, Min Jeong(2005) which explored the theological background and reported the result by sorting out feedback givers and takers. Also, I look forward to that a variety of the studies related to the peer learner feedback, like verifying the difference of learning achievement by learner's characteristic which can affect on the quality of feedback providing to a peer learner and the acceptance of feedback provided, will be done. 오늘날 구성주의 교육관의 영향으로 교수-학습 과정에의 능동적인 학습자 참여와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지식의 구성이 강조됨에 따라 동료학습자와 상호작용하는 교육적 활동을 의미하는 동료학습이 대두되고 있다. 학습자 간 활발한 정보 및 의견의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정보기술의 발달이 동료학습을 용이하게 만들고 있으며, 조직 생활은 물론 전반적인 사회생활에서 중요한 협업을 연습시키는 과정으로서 동료학습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동료학습의 여러 가지 방식 중에서도 동료학습자의 산출물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데 학습자를 참여시키는 방식이 주목을 받으며 관련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온라인 공개수업(MOOC)에서도 수강생 간에 평가를 수행하고 그 과정 및 결과와 관련하여 피드백을 교환하는 방식을 활용하여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이러한 동료학습자 피드백 활동과 관련하여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인지적, 정의적 측면의 학습 성과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 인지적 측면에서는 동료학습자의 학습 과정과 결과를 평가하면서 자신의 학습을 되돌아보고, 교사 대신 동료학습자로부터 자신의 눈높이에 맞는 피드백을 제공받음으로써 궁극적으로 학업성취가 향상한다. 정의적 측면에서는 피드백 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활동을 통해 학습에 대한 주인의식과 자신감이 증진될 수 있다. 이에 반해, 일부 연구들은 동료학습자가 제공하는 피드백의 효과에 한계가 있다고 주장한다. 동료학습자가 제공하는 단편적이고 표면적인 형태적 오류를 고쳐주는 피드백에 대해 불편한 감정을 갖고, 신뢰하지 못하는 경향을 근거로 내세운다. 하지만 이는 동료학습자 피드백 활동 자체에 대한 것이 아니라 피드백 제공 주체의 능력에 대한 불신으로부터 야기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기존 동료학습자 피드백의 효과와 관련한 연구들은 영어 글쓰기나 과학 수업에 학습 맥락이 한정되어 있고, 학습자가 제공하는 피드백의 내용이 정오를 확인하여 정답을 제시하거나 설명을 제공하는 인지적 피드백에 치중되어 있으며, 정의적, 초인지적, 인지적 측면의 성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는 경우가 거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여러 교과에 적용될 수 있는 SNS 상에서의 성찰활동 맥락에서 동료학습자의 피드백 제공이 정의적 측면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초인지적 측면의 메타인지 수준, 그리고 인지적 측면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교사 및 동료학습자가 제공하는 피드백의 내용을 제안하는 선행연구(김민정, 2011; Nelson & Schunn, 2009; Reiman, 1999)를 바탕으로 학습자로 하여금 정의적 피드백과 인지적 피드백을 골고루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더불어, 효과적인 피드백을 위한 지침을 제시한 선행연구(이지현, 2013; Ferris & Hedgcock, 2009)를 참고하여 사전 훈련을 통해 학습자의 피드백 기술을 향상시키고, 피드백 활동 모둠을 구성하여 그 안에서 여러 타인으로부터 골고루 피드백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며, 도구와 시기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피드백 과정을 구조화하였다. 또한, 동료학습자에게 도움이 되는 피드백을 제공한 학습자를 공동으로 선정하고 보상을 제공하며, 그 내용을 공유하도록 하였다. 결국, 본 연구에서는 동료학습자 간에 피드백을 주고받는 집단과 개인적 성찰활동을 진행하는 비교집단 간에 정의적, 초인지적, 인지적 측면의 학습 성과에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알아봄으로써, 최근 교수-학습에 있어서 중요하게 인식되는 동료학습자 피드백의 역할과 그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며, 나아가 성찰 및 피드백 활동을 지원 및 촉진하는 도구로써 SNS의 활용가능성에 대해서도 탐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배경과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SNS를 활용한 성찰활동에서 동료학습자와 피드백을 주고받은 집단과 개인적 성찰활동을 진행한 집단 간에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즉 과제난이도 선호, 자기조절효능감, 자신감 수준에 차이가 있는가? 2. SNS를 활용한 성찰활동에서 동료학습자와 피드백을 주고받은 집단과 개인적 성찰활동을 진행한 집단 간에 메타인지의 하위요인, 즉 인지에 대한 지식, 인지에 대한 조절 수준에 차이가 있는가? 3. SNS를 활용한 성찰활동에서 동료학습자와 피드백을 주고받은 집단과 개인적 성찰활동을 진행한 집단 간에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부천시에 소재한 중학교 3학년 학생 중 성찰일지를 작성한 후 동료학습자와 피드백을 주고받는 실험집단 31명, 성찰일지만 작성하는 비교집단 31명이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모두 임의로 4~5명의 모둠을 구성하였고, 네이버 밴드 상에서 4주 간 성찰 및 피드백 활동을 진행하도록 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 동질성 검증을 위하여 각 집단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메타인지, 학업성취도 사전점수의 평균값을 구한 후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사후검사 결과를 토대로 사전점수의 통제 하에 집단 간 학업적 자기효능감, 메타인지 수준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변량공분산분석(MANCOVA), 학업성취도 점수의 차이를 검증하기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른 연구 결과와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SNS를 활용한 성찰활동에서 동료학습자와 피드백을 주고받은 실험집단과 성찰활동만 진행한 비교집단 간에 학업적 자기효능감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다변량공분산분석(MANCOVA)을 실시한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세가지 하위변인인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 중 자기조절효능감 수준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실험집단에 속한 학습자들이 동료학습자와 피드백을 주고받으면서 성공적으로 자기조절 기제를 사용하는 경험을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동료학습자의 성찰 내용을 검토하면서 자신의 성찰활동과 비교하고, 유의미하고 창의적인 질문 및 설명을 제공하기 위해 사고를 정교화하며, 자기조절활동의 산출물인 성찰 결과에 대해 다수의 동료로부터 긍정적인 피드백을 제공받음으로써 자기조절효능감 수준이 더욱 향상될 수 있었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본 연구 결과는 성찰활동 맥락에서 동료학습자와 피드백을 주고받은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모든 하위변인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선행연구의 결과와는 차이를 보인다(박선영, 2012; 유병민, 전종철, 박혜진, 2013). 이는 과제난이도 선호 수준과 자신감을 높일 만큼의 성공 경험과 대리적 경험이 충분히 누적되지 못하고, 오랜 기간에 걸쳐 서서히 발달하는 자기효능감의 특성으로 인해 과제난이도 선호와 자신감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SNS를 활용한 성찰활동에서 동료학습자와 피드백을 주고받은 실험집단과 성찰활동만 진행한 비교집단 간에 메타인지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다변량공분산분석(MANCOVA)을 실시한 결과, 인지에 대한 지식과 인지에 대한 조절의 모든 하위변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성찰활동과 맥락은 다르지만 동료 피드백 활동이 메타인지 향상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을 검증한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유사하다(김민정, 2005; 송현미, 이길재, 2006; Bloom & Poole, 2004).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실험집단의 학습자들은 피드백을 주고받는 입장에서 비교집단에 비해 메타인지 수준이 더욱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우선, 피드백 제공 주체의 입장에서 동료학습자 성찰내용의 검토, 아이디어에의 도전 및 조율, 자신의 성찰활동과의 비교, 유의미하고 창의적인 질문의 개발, 그리고 유익한 정보와 설명을 제공하기 위한 사고의 정교화 과정을 통해 메타인지 수준이 높아질 수 있었다. 또한, 동료학습자로부터 제공받은 피드백에 대한 성찰과 비판적 검토를 통해 자신의 학습과정에 대해 의식적으로 깊이 이해하고, 학습목표와 수준을 조절함으로써 메타인지가 더욱 향상될 수 있었다고 판단된다. 셋째, SNS를 활용한 성찰활동에서 동료학습자와 피드백을 주고받은 실험집단과 성찰활동만 진행한 비교집단 간에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동료학습자와 피드백을 주고받는 활동이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 결과와 동일하다(김순옥, 2001; 박일용, 2002; Parr & Townsend, 2002). 본 연구에서는 성찰활동에서 동료학습자와 피드백을 주고받는 활동이 학습자의 학습태도와 동기수준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그 과정에서 비판적인 사고력과 인지적 성장을 도모하여 결과적으로 학업성취 향상에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결국 성찰활동에서 동료학습자 피드백은 단순한 피드백 활동을 넘어 스스로의 학습을 향상시키기 위한 하나의 새로운 학습 방식으로 역할 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본 연구는 경기도 부천 지역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역사 교과의 성찰활동 맥락에서 4주차에 걸쳐 동료학습자 간에 피드백을 주고받도록 하였는데, 성찰 및 피드백 내용이 일부 영역에 치우치고 학습자 간 편차가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사전훈련을 충분히 수행하고,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다양한 방식의 수업을 전개하여 학습 과정에 대한 성찰활동을 도와야 하며, 피드백 양식 구조화, 교사의 평가 및 피드백, 피드백을 반영한 성찰일지 수정과 같은 실험 처치의 보완이 필요하다. 다양한 계층의 대상자를 선정하고, 피드백의 양과 수준에 따른 효과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SNS 중 네이버 밴드 상에서 성찰 및 피드백 활동을 수행하도록 한정하였는데, 도구의 특성과 연구대상의 도구 사용 능력에 따라 실험 결과에 차이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동료학습자 피드백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는 도구를 활용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료학습자 피드백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학업적 자기효능감, 메타인지, 학업성취도를 종속변인으로 선정하였는데, 해당 변인 외에도 동료학습자 피드백의 효과를 규명할 수 있는 다양한 변인을 선정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피드백 활동에서의 역할과 학습자 특성에 따른 학습 성과의 차이를 검증하는 연구를 제안한다.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피드백을 제공하는 입장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시행하고 결과를 보고해 왔지만, 피드백을 제공하는 입장과 받는 입장으로 구분하여 이론적 배경을 탐색하고 결과를 보고한 김민정(2005)과 같은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동료학습자에게 제공하는 피드백의 질과 제공받은 피드백의 수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학습자 특성에 따라 학습 성과의 차이를 검증하는 등 동료학습자 피드백과 관련한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길 기대해 본다.

      • 고등학교 전쟁가사 교수·학습 방안 연구 : 박인로의「선상탄」을 중심으로

        조경진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사회의 청소년은 급속도로 변하는 정보화 시대를 살고 있다. 그래서 시대의 고민과 인간의 문제를 다룬 인문학이나 한국 문화의 전통과 당대의 사회상을 담고 있는 역사에 대한 관심이 과거에 비해 크지 않다. 따라서 국어교육적 측면에서 볼 때, 문학과 역사를 아울러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는 작품으로 청소년들의 문학에 대한 관심과 역사의식의 고취가 필요한 실정이라 판단된다. 이에 본 논문은 고전문학 가사장르의 전쟁가사갈래를 제재로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고등학교 전쟁가사 교수·학습의 목표와 내용을 새롭게 마련하고, 그 교육 방안을 제시하여 학습자들의 내면화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Ⅰ장에서는 가사문학과 전쟁가사가 지닌 의의와 가치를 밝히고, 지금까지 선행되어 온 가사문학 교육에 관한 연구와 노계의 전쟁가사에 관한 일반적 연구를 대별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노계 박인로의 전쟁가사를 제재로 교수·학습한 연구 방안은 거의 찾아볼 수가 없었다. 또 2015년부터 적용되는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전쟁가사가 언급되지 않은 현실을 반영하여 노계 박인로의「선상탄」을 연구대상으로 지정하고 교수·학습의 방향을 탐색하였다. Ⅱ장에서는 조선조 전쟁가사 작품의 통시적 흐름을 통하여 이 갈래의 특징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노계 박인로 전쟁가사의 작품 분석과 학습 교육 내용의 마련을 위하여 임진왜란기의 국내·외 정세와 박인로의 생애와 업적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고등학교 11종『문학』교과서의 가사유형 수록 실태와 작품을 조사하여 전쟁가사가 차지하는 비중을 점검하였다. 더불어 2011 개정『문학』의 목표와 내용 체계, 성취 기준을 기반으로 전쟁가사 학습 내용의 구성 요소를 마련하였다. Ⅳ장에서는 문학 일반 모형을 토대로 비상교육(한철우 외)의『문학』교과서를 채택하여 ‘한국 문학의 범위와 역사’의 대단원에「선상탄」을 소단원으로 적용한 고등학교 전쟁가사 교수·학습안을 제시하였다. 총 2차시의「선상탄」교수·학습안은 고어와 한자어가 많은 고전시가 작품임을 감안하여 현대어 풀이를 제공하고 텍스트의 내용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사진, 영상, 그림, 지도 등을 첨부하였다. 1차시는 텍스트 내용을 통해 학습자가 당대 작가의 정서와 상황을 파악할 수 있게 하였고, 2차시는 앞 차시의 내용을 바탕으로 학습자의 개별 학습과 친구들 간의 협동 학습을 고려한 수행 활동 시간으로 구상하여 배정하였다. 더불어 전쟁가사 단원의 교수·학습으로 학습자가 얻을 수 있는 효과와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방안으로 청소년들은 문학과 역사에 대한 의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과거의 일을 성찰하여 현재의 소중함과 미래의 교훈을 얻을 수 있다. Adolescents in modern society are living in a rapidly changing information age. They are not concerned about the humanities treating anguish of the age and issues regarding human beings, or the history containing the tradition of Korean culture and the contemporary social realities than in the past. From a Korean language educational aspect, therefore,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arouse adolescents' interest in literature as well as historical consciousness with works that they can understand and appreciate. For this reason, this study intended, with a material of war gasa (war lyric or verse) in the lyrics genre of classical literature, to prepare newly the goal and contents of teaching and learning of war gasa for high school based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al curriculum revised in 2011, and present its educational plan so as to help learners be internalized. Chapter Ⅰ revealed the significance and value implied in lyrics literature and war gasa, and separately examined the research on lyrics literature education that has been preceded so far, and the general research on war gasa of Nogye Park In-ro.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research plans for teaching and lessening using a material of war gasa of Nogye Park In-ro could not be found rarely. Futhermore, reflecting the reality that war gasa was not mentioned in Korean language curriculum revised in 2011 aiming at application from 2015, 「Seonsangtan」of Nogye Park In-ro was designated as a subject of the study to explore the dire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In Chapter Ⅱ, through surveying the diachronic flow of war gasa in the Joseon Dynasty, features of this branch were found. And, were looked at domestic and foreign political situation during Imjin wa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the life and achievements of Nogye Park In-ro in order to analyze his war gasa and to prepare the contents for education. In Chapter Ⅲ, were investigated the situation and types of lyrics contained in 11 kinds of『literature』textbooks for high school to check the importance of war gasa. In addition, the constituents of educational contents of war gasa were arranged based on the goal, contents system and achievement criteria of『literature』revised in 2011. In Chapter Ⅳ, a『literature』textbook of Bisang Education (Han Cheol-Woo et al.) was adopted based on a general literature model to suggest a teaching and learning plan of war gasa for high school which applied「Seonsangtan」as a small unit in the large unit 'scope and history of Korea Literature'. The teaching and learning plan of「Seonsangtan」with two programs in total, considering that this work is a classic lyric with a lot of archaic words and chinese characters, provides solutions to modern language, and includes photos, video, pictures, maps and others as attachments which can help learners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text. The 1st program was provided so that learners could understand the emotions and situations of the writer in his age through studying the contents of text, and the 2nd program,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previous program, was arranged under the concept to allow learners' individual learning as well as collaborative learning with friends, i.e,,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addition, the effect that learners can achieve from teaching and learning of war gasa was presented with its direction in future. In this way, adolescents will be able to cultivate consciousness of the literature and history as well as obtain the importance of present and lessons for future through considering the things of past.

      • 다문화가정 청소년을 위한 음악교육 프로그램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 Research analysis and future directions of music education programme for adolescent from multicultural family

        조경진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Korea is experiencing the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resulting from the rise of foreign immigrants. Due to such recent changes, it became the society’s interest and duty to find ways in which the multicultural families incorporate the diverse cultures and live happily and harmoniously in Korea.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will be part of our society’s future, so as a country, Korea must focus on the development and support of the children. The support of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must include not only material or economical support but also cultural and psychological. Especially during the period in which the children are in their adolescence, when they experience emotionally insecure state, the support which incorporates the needs of adolescents and those of distinct background will be necessary. These conditions in regard, the programs aimed at the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within the Chungcheong area were researched, and the necessity of music programs using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was established. As an educational device, music is a device in which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o are exposed to linguistic and psychological discomfort to enjoy without barriers. Music has the power to comfort the emotionally insecure state and allow the adolescents to have self-confidence, and through group ensemble such ass choir or musical ensemble, they have the chance to relate and communicate with fellow students naturally.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program will allow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countries to understand Korea in an easier and enjoyable way as well as allowing cultural diversity and allow comprehensive coexisting of different cultures. Currently, there are not many musical programs offered to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diversity is little. However, as a society, there has been the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cultural fine arts program for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rise in the interest of musical education programs is desirable. Thus,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and the contents of a program using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as a music education program for the adolescent of multicultural families will be important and a urgent task. In this thesis, the three necessary requirements in developing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e music education program are concluded through research on the music programs on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ithin the Chungcheon area.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trigger participation from not only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ut also Korean adolescents. The adolescents are influenced by the influences from peers on them. Thus through a program in which adolescents from both groups participate, the idea of “us” will form and allow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to adapt to the Korean society. Secondly, it is necessary to use devices such as traditional songs and folk songs which may help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to learn the Korean language and to understand the Korean culture. Multicultural adolescents are part of the future generation that will lead our society into the future. In order for them to feel comfortable and intimate with Korean society, it is necessary to use the traditional music which has the sense of Korea’s unique sentiments and stories. Lastly, it is necessary to allow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to feel confident and accomplished by allowing them experience. Thus, the development of program in which they learn and play traditional instruments is necessary. Through the experience in learning, observing and playing traditional instruments with Korean adolescents,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will be prepared to live in the Korean society healthily and harmoniously. 최근 우리나라로 유입되는 해외이주 외국인들의 수가 급증하면서 다문화가정 역시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다문화가정 구성원들이 우리나라에서 조화롭게 적응하고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사회적 과제로 떠올랐다.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이 어떤 모습으로 성장하게 될 것인가는 우리 사회의 미래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으므로, 국가적으로도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다문화가정 자녀에 대한 지원은 물질적, 경제적인 것뿐만 아니라 문화적, 심리적인 면까지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정서적으로 불안정하고 심리적 과도 상태에 놓인 청소년의 경우, 다문화가정이라는 특수성과 함께 청소년기의 발달 특성도 함께 고려한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이런 상황을 고려하여 다문화가정 청소년을 위한 프로그램의 현황과 내용을 충청 지역에 한정하여 고찰한 결과, 국악을 활용한 음악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교육적 도구로서 음악은 낯선 환경에서 언어적, 심리적으로 이질감을 느끼기 쉬운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편안하고 즐겁게 받아들일 수 있는 요소다. 또한 불안정한 심리 상태를 치유하고 자신감과 성취감을 느끼게 하며, 합주나 합창 등의 활동을 통하여 또래 집단과 자연스럽게 소통하고 교류할 수 있게 만들어 준다. 한국의 전통 음악을 활용한 국악 프로그램은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한국에 대하여 보다 쉽고 재미있게 이해하고, 문화적 다양성과 상대성에 대한 공감의 폭을 넓히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다문화가정 청소년을 위하여 제공되는 음악 프로그램의 수는 많지 않고, 다양성 측면에서도 매우 부족한 형편이다. 그러나 최근 다문화가정 자녀와 청소년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이 사회적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음악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것은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향후 다문화가정 청소년을 위한 음악교육 프로그램으로서 한국의 전통 음악을 활용한 프로그램과 컨텐츠 개발은 중요하고 시급한 과제가 될 것이다. 다문화가정 청소년을 위한 음악교육 프로그램의 내용과 방법을 고민할 때 반드시 고려하여야 할 요인으로서, 본고에서는 충청 지역 다문화가정 자녀 대상 음악 프로그램의 현황 파악 및 문제점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요소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다문화가정 청소년뿐만 아니라 또래 한국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청소년기는 또래집단이나 친구와의 상호 관계로부터 심리적인 영향을 많이 받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한국의 또래 친구들과 함께하는 활동을 통해 소통과 공감의 경험을 쌓음으로써 ‘우리’라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한국 사회에 적응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둘째, 전래동요나 민요 등, 한국어 습득이나 한국 문화 이해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소재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다문화가정 청소년은 한국 의 미래를 함께 만들어 나가야 할 우리 사회의 구성원들이다. 이들이 한국에 대한 이해와 친밀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국 고유의 정서와 이야기를 담은 국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셋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성취감과 자신감을 느낄 수 있도록 적극적인 체험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 국악기를 직접 배우고 연주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의 전통 악기를 한국 친구들과 함께 배우고 감상하며 체험하는 기회를 통하여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이 건강하고 조화롭게 한국 사회에서 살아가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 보호관찰 청소년을 위한 파괴성 활용 연극치료 연구

        조경진 용인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파괴성을 활용한 연극치료 프로그램으로 파괴적 충동을 수용하고 정서를 다루는 연극치료 작업 방식이 파괴적 성향 참여자의 감수성을 해결하고 긍정적 자기이해와 사회적응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에서 보호관찰을 받고 있는 (초범 3명, 재범 3명) 총 6명의 여자 청소년을 대상으로 2015년 10월 12일부터 2015년 11월 30일까지 매주 1회 2시간씩 총 10회기 동안 진행하였다. 파괴성을 활용한 연극치료 프로그램은 투사와 즉흥을 통해 우발적 범죄, 이욕으로 인한 범죄 등 표면적으로 드러난 감정과 행동 이면에 숨겨진 삶의 욕구를 드러내며, 극적 투사를 통해 자신의 범죄를 객관적인 입장으로 바라보도록 한다. 또한 극적 현실 속에서 자신의 고유한 힘을 발견하고 이를 일상현실로 연결하여 문제가 발생했을 시에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토대로 긍정적인 미래상을 구축한 공연 발표를 함으로써 상실된 자신감을 회복하여 정상적인 사회적응을 유도한다. 본 연구에서는 참여자의 작업 분석 및 역할, 감정, 욕구의 변화를 살피고 자아존중감 척도를 통해 전과 후를 비교하였다. 보호관찰 청소년은 안전한 극적 구조 안에서 자신의 문제 역할을 꺼내어 진솔하게 탐색했고, 부정적 자기 인식으로 인한 불안과 죄책감을 표출하며 갈등을 유발하는 문제 감정을 인식하기 시작했다. 또한 파괴적 충동과 경험을 재구성하는 것은 사고의 좌절을 견디는 능력과 연결되어, 불필요한 방어를 줄여 삶의 안정을 느끼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10회기 작업의 결과물로 보호관찰소와 기관, 가족과 친구를 초청해 보호관찰 내부에서 공연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변화가 있었다. 초범은 충동에 휘말리지 않고, 자신을 조절하고 통제하는 법을 익혀 주변의 편견에 도망치지 않고 살 수 있는 힘을 길렀다. 재범은 범죄를 반복하는 행동이 자기 보호 차원에서 나온 그릇된 생존 전략이었음을 알고 자기 비난의 감정을 충분히 검토할 수 있도록 하였다. 파괴성과 관련된 정서를 다루고 비극적 서사를 창조하는 것은 초기 환경의 실패에서 오는 좌절을 견디게 해주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로써 자신이 원하는 것을 제대로 표현하며 도움을 청할 수 있는 힘을 찾게 되었다. 자아존중감 척도 결과 전체 항목별 사전 사후 평균 점수는 자기비하 1점 상승, 타인과의 관계 5점 상승, 지도력 인기 8점 하락, 자기주장과 불안 동률로 나왔다. 파괴성을 활용한 연극치료 작업이 자기비하를 줄이고, 신뢰성을 회복하는데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참여자 개별 점수는 초범A 6점 상승, 초범B 2점 상승, 초범C 사전거부로 측정불가, 재범D 1점 하락, 재범E 9점 하락, 재범F 사전 사후 동률로 측정되었다. 이러한 차이는 초범의 경우 공연을 통해 성취감과 자신감 회복을, 재범은 자기인식의 결과가 반영된 것으로 사료된다. 프로그램 1단계 ‘즉흥과 투사를 통해 욕구 드러내기’는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감정과 행동 안에 숨겨진 자신의 본모습을 발견할 수 있도록 돕고, 2단계 ‘파괴적 정서와 놀기’는 우발적인 행동 이면에 숨겨진 나의 욕구를 인식하며, 3단계 ‘파괴성을 통한 자기이해와 인식의 통합의 공연’은 내 안의 파괴적 충동을 수용하고 그것을 긍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인식하고 삶을 새롭게 시작하는 통과의례가 되었다. 본 연구는 파괴성을 활용한 연극치료 과정이 보호관찰소 및 보호시설과의 연계를 통해 참여자와 소통을 이끌며 사회 재적응을 돕고 범죄소년의 정서 안정을 도모할 수 있는 교정 방안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e main methodology of this research is a drama therapy program using destructiveness for Adolescent under Probation, in which the program deals with a participant’s emotions and accepts destructive impulses. The research is designed to verify how this type of drama therapy affects a participant’s destructive behavior, focused on reduction in sensitiveness, positive self-understanding, and improvement of social adaptability. The participants were composed of 6 female juveniles (3 first offenders, 3 second offenders) who were placed under probation in Gyeonggi Province. Series of the therapy were conducted for 10 sessions every week from Oct.12 to Nov.30, 2015 and each session lasted for 2 hours. In this drama therapy program using destructiveness, projection and improvisation revealed the participant’s hidden urges that were placed behind their feelings and behaviors such as a crime of opportunity and a crime of greed. By using a projective technique in drama, the participants could face their crimes from objective standards. Also, the participants could find their own characteristics from dramatic reality and connect those characteristics to their daily lives to cope with their problems. Based on those findings, the participants performed as a positive future self-image in a play, so that they could restore their confidence and successfully integrate back into society. This research closely looked into the behavior analysis and the changes of the participant’s role, feelings, and urges. Also, this research adopted the scale of the participant’s self-esteem and compared it before and after the play. Juveniles on probation honestly examined their problematic roles under the safe dramatic plot. They also expressed anxiety and guilt which were derived from negative self-awareness and they started to recognize problematic emotions that cause conflicts. Additionally, reconstructing destructive impulses and experiences found to be linked with the ability to endure frustration, resulted in reducing unnecessary defenses and raising sense of stability to their lives. As a final work of the 10 session therapy, the participants invited the probation officers, their families, and friends to the probation office and performed in front of the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or the first offenders, they learned how to control themselves and resist impulses; so that they can live their lives without escaping from other’s stereotyped prejudices. For the second offenders, they recognized that their behaviors of repeating crimes were wrong survival strategies caused by self-protection, and they fully examined their emotions of self-criticism. Dealing with their emotions related to destructiveness and creating tragic plot became a significant factor to overcome frustration from the failure on the early stage of their circumstances. After all, they learned how to properly express what they want and how to ask for help. From the comparison on the scale of self-esteem, average scores of each item before and after play are listed; self-criticism increased by 1 point, relationship with others increased by 5 points, leadership popularity decreased by 8 points, and self-assertion and anxiety remained same. This research could lead to a conclusion that the drama therapy program using destructiveness is effective in preventing self-degradation and restoring reliability. Individual average scores are listed; 1st offender A 6 points up, 1st offender B 2 points up, 1st offender C refused to measure , 2nd offender D 1 point down ,2nd offender E 9 point down, and 2nd offender F remained same. This difference indicates that the first offender s achieved accomplishment and restored confidence from the play, while the second offenders reflected their self-awareness as a result. The first step of program, ‘revealing urges through projection and improvisation’, helps to examine one’s true image which is disguised by apparent emotions and behaviors. A participant could recognize one’s urge that is hidden behind the accidental behavior at the second step of program, ‘play with destructive emotion’. The third step of program, ‘Performance on self-understanding through destructiveness and integration of awareness,’ is a final stage which helps to accept destructive impulses inside one’s mind and to recognize that those impulses can be used positively. This research has a significant meaning that a drama therapy program using destructiveness can be utilized as a correlational method to help juvenile offenders to integrate back into society and to improve emotional stability by communicating with them in cooperation with probation offices and facilities.

      • 체험활동중심 장애이해교육 프로젝트 학습이 일반학생의 장애인식 및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조경진 창원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체험활동중심 장애이해교육을 적용한 프로젝트 학습이 일반학생의 장애인식 및 장애수용태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위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체험활동중심 장애이해교육 프로젝트 학습이 일반학생의 장애인식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체험활동중심 장애이해교육 프로젝트 학습이 일반학생의 장애수용태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 연구의 대상은 창원시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6학년 2개 학급의 52명으로 의도적 표집 방법으로 선정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여 6주에 걸쳐 실험연구 하였다. “함께하면 더 행복해요.”를 대주제로 주 2회 40분간, 총 12차시에 걸쳐 체험활동중심 장애이해교육 프로젝트 학습의 절차에 따라 교육과정을 재구성한 후, 관련 교과 시간을 활용하여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실험처치를 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재구성 하지 않은 일반적인 교육과정을 운영한 후, 그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험활동중심 장애이해교육 프로젝트 학습은 일반학생의 장애인식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체험활동중심 장애이해교육 프로젝트 학습은 일반학생의 장애수용태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장애수용태도의 하위 영역인 통합에 대한 태도, 장애학생의 능력에 대한 태도, 장애학생과의 행동의도, 그리고 학급동료로서의 인식에 대한 기대의 변화 모두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위와 같은 연구의 결과로 볼 때, 체험활동중심 장애이해교육 프로젝트 학습은 일반학생으로 하여금 장애에 대한 이해를 높여 장애학생과 긍정적인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하고, 통합교육의 장애물인 부정적 선입견과 편견을 없애 긍정적인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사회적 접촉 의지를 강화함으로써 활발한 상호작용을 통한 동등한 동료로서의 인식을 바탕으로 사회적 통합을 구현하는데 효과적인 중재전략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Degradation of zearalenone by the proteins from Bacillus subtilis GB

        조경진 忠南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전 세계적으로 곡류의 25%이상이 곰팡이 독소에 오염되어 있고 사료나 식품을 통해 가축과 사람에게 전이되어 심각한 경제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Zearalenone(ZEN)은 Fusarium 속 곰팡이가 생산하는 곰팡이 독소로서 그 독성보다는 성호르몬과 같은 작용에 의한 과호르몬증을 유발하며 특히, 임신돈의 경우 불임, 난소의 이상, 미숙아 생산, 유산 등을 일으킨다. 일반적인 곰팡이 독소 제거방법에는 물리적, 화학적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생물학적 방법에 의한 곰팡이 독소 제거를 위한 방법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물리적, 화학적 방법은 처리비용 및 처리 후 독성물질의 생성 등의 문제로 널리 이용되지 못하는 방법이다. 생물학적 방법은 화학적 방법과 달리 유해화합물을 생성하지 않으며, 물리적, 화학적 처리를 위한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ZEN 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였다. 생물학적 처리를 위해 ZEN 분해활성을 가진 B. subtilis GB 균주를 선발하였다. 선발 균주는 24시간 배양에서 ZEN을 95% 이상, 36시간 배양에서 99%이상의 분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곰팡이 독소가 오염된 곡물인 DDGS를 이용한 최적발효조건에서의 고체발효 테스트에서도 발효 36시간이상에서 95%의 분해활성을 나타내어 선발균주 B. subtilis GB에 의한 ZEN 분해활성을 확인하였다. 실제 분해활성을 나타내는 단백질을 선발하기 위해 io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였으며, zearalenone 분해활성의 확인을 통해 높은 분해활성을 가진60 kDa의 B. subtilis subsp. 유래의 hyphothetical protein을 최종 선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