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탄소나노튜브 부분 밀도 변화에 의한 CNTFET SRAM 성능 변화에 대한 연구

        조근호 한국전기전자학회 2022 전기전자학회논문지 Vol.26 No.1

        With high performance and wide application, a CNTFET has been attracting a lot of attention as a nextenerationsemiconductor, but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CNTFET has not been mature enough, which makescommercialization difficult. In order to overcome the imperfections of the CNTFET manufacturing process and toincrease the possibility of commercialization, this paper analyzes the CNTFET SRAM performance variationaccording to the CNTFET partial density change based on the recently reported CNTFET manufacturing process. Through HSPICE circuit simulation analysis using the existing 32nm CNTFET HSPICE library file, transistors whoseperformance variation is less sensitive to partial CNT density are selected among the six transistors constitutingthe SRAM cell and acceptable CNT density range is proposed. As the result of analysis, it is found that when theCNT density of the two transistors connected to the bit line in SRAM cell changed from 6/32nm to 8/32nm, thedeviation of SRAM performance is less than 9% and when the CNT density is less than 5/32nm, the SRAM delayis increased by more than 8 time 높은 성능과 폭넓은 활용성으로 CNTFET은 차세대 반도체로 많은 관심을 받아 왔으나 생산 공정이 아직 충분히 성숙되지 않아상용화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이러한 CNTFET 공정의 불완전성을 극복하고 상용화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최근 발표된 CNTFET 공정 내용을 참고하여 CNTFET 부분 밀도 변화에 따른 CNTFET SRAM 성능 변화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현존하는 32nm CNTFET HSPICE용 라이브로리 파일을 활용한 HSPICE 회로 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해 SRAM 셀을 구성하는 6개의 트랜지스터 중, CNT 밀도 변화에 대해 성능 변화가 덜 민감한 트랜지스터를 선택하고, 허용되는 CNT 밀도 범위를 제안하였다. 분석결과, SRAM 내 비트라인에 연결된 2개의 트랜지스터의 CNT 밀도가 6/32nm에서 8/32nm로 변경되더라도 SRAM 성능 편차는9% 이하인 것으로 나타나고 CNT 밀도가 5/32nm 미만인 경우 SRAM 지연이 약 8배 이상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3G/WLAN/휴대인터넷 연동상황을 고려한 사용자의 최적 무선접속서비스 선택방법에 대한 연구

        조근호,최진우,전성익,김영세,Cho Geun-Ho,Choe Jin-Woo,Jun Sung-Ik,Kim Young-Sae 한국통신학회 2006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1 No.5b

        무선통신기술의 발전과 무선데이터서비스에 대한 수요의 다변화로 인해, 가까운 미래에 3G/WLAN/휴대인터넷 등을 포괄하는 통합 무선접속 서비스체계가 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통합 무선접속서비스를 위한 통합망은 이종의 무선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간의 로밍협약을 통해 각자의 서비스 인프라를 결합하는 준연동(loose coupling) 방식으로 구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사용자는 자신이 접속하는 무선서비스의 종류와 사용자 인증 및 과금의 기반이 되는 로밍협약에 따라 다른 품질의 서비스를 다른 과금방식에 따라 제공받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의 위치에서 이용할 수 있는 무선접속이 둘 이상인 상황이 빈번히 발생할 수 있고, 사용자는 필요한 품질의 무선접속 서비스를 최저의 요금으로 이용하고자 노력하는 상황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상황에서 최저의 요금으로 원하는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무선접속을 선택하기 위한 기법을 단일접속만이 지원되는 단말기와 다중접속을 지원하는 단말기, 두 가지 다른 상황에 대해 제시한다. 사용자의 무선접속환경과 사업자간 로밍협약상황을 그래프 모델로 표현하고, 그래프 모델상의 체계적 검색 알고리듬을 통해 전송데이터의 양에 따라 최저의 과금을 산출하게 되는 인증경로의 집합을 도출함으로써 사용자가 어떠한 무선접속환경에 놓여 있더라도 신속히 최적의 무선접속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논문의 기본적인 접근방향이다. Due to advan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increasing demand for various types of wireless access, cellular, WLAN, and portable internet(such as WiBro and IEEE 802.16) systems are likely to be integrated into a unified wireless access system. This expectation premises the availability of multi-mode handsets and cooperative interworking of heterogenous wireless access networks allied by roaming contracts. Under such environments, a user may lie in the situation where more than one wireless accesses are available at his/her location, and he/she will want to choose the 'best' access among them. In this paper, we define the 'best' access(es) as the access(es) that charges minimum cost while fulfilling the required QoS of wireless access, and address the problem of choosing the optimal set of accesses theoretically by introducing a graph representation of service environment. Two optimal selection algorithms are proposed, which individually consider cases where single or multiple wireless access can be supported by multi-mode handsets.

      • KCI등재후보

        정신건강의학과 외래에서 알코올사용장애 환자 치료

        조근호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19 신경정신의학 Vol.58 No.3

        Alcohol use disorder is a kind of chronic illness that is difficult to treat. The disorder often recurs easily and patients visit the outpatient clinic while intoxicated. Therefore, is often too difficult to treat all people of concern, i.e., the caregiver, patient, and doctor, due to the frequent helpless and hopeless relapse. If the patient has severe withdrawal symptoms or poor physical condition, it is very difficult to maintain treatment at an outpatient clinic. On the other hand, many patients abstain or reduce drinking and go on to live a sober life by outpatient-based management. In addition, psychosocial treatment techniques and efficient medications are available at the level of a psychiatric outpatient clinic. Under the scope and limitations of outpatient-based approaches, patients with alcohol use disorder can develop a new life called ‘recovery’ with the help of psychiatrists, by the way of motivating changes, correcting cognitive errors, establishing effective coping skills, utilizing external resources actively, and facilitating healthy roles with their families.

      • 정신건강 현황 및 성과 관리 체계

        조근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보건복지포럼 Vol.282 No.-

        우리나라 국민의 정신건강을 위해 어떠한 치료와 재활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질환 예방을 위해 어떤 교육이나 사업이 어느 정도 수준으로 제공되고 있는지, 그리고 이를 위한 인적·물적 자원이나 예산은 충분 한지 등에 대해 명확한 수치로 파악하는 것은 국민의 정신건강을 증진하기 위한 정책을 수립하는 데 가장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된다. 또한 이 자료는 향후 정책을 수행한 결과로 어느 정도 성과가 도출되는지에 대한 기준점으로서도 의미가 있다. 이 글에서는 우리나라 정신건강증진사업의 기준점과 척도가 되는 정신건강 현황 조사의 지표와 중장기 정신건강 국가계획 수립에 바람직한 성과 관리 체계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 KCI등재

        알코올 의존과 니코틴 의존의 공동 이환

        조근호,김대진 대한정신약물학회 2008 대한정신약물학회지 Vol.19 No.2

        Alcohol and nicotine dependencies represent severe disorders on their own and an even worse condition when they coexist. One study found that almost 95% of alcoholics also smoked cigarettes and fulfilled the diagnostic criteria of nicotine dependence, but few therapeutic approaches exist for comorbid nicotine and alcohol dependencies because patients, caregivers, and even doctors seem to lack concern about nicotine dependence. Additionally, some clinicians believe that concomitant intervention regarding nicotine dependence might pose risks during the treatment of alcohol dependence by, for example, aggravating the symptoms of alcohol dependence or provoking relapse. However, the harmful effects of ethanol and nicotine are exacerbated when they are administered together. The prevalence and severity of some diseases, such as certain cancers, cardiovascular diseases, and diseases of the digestive tract, are increased when ethanol and nicotine are coadministered. Furthermore, recovering alcoholics often smoke more after abstaining from ethanol and experience a higher number of complications from smoking. In this review, we explore the health risks posed by alcohol and nicotine when administered concurrently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additional smoking cessation therapy not only on the quitting rate but also on the alteration of drinking behavior and relapse rate of alcohol dependence in comorbid patients. In conclusion, depending on the treatment stage, smoking cessation therapy should be provided for patients motivated to quit smoking, and clinical advice should be routinely provided for patients who are not motivated to quit smoking. 알코올 의존자에서 흡연 문제는 음주 문제 못지않게 중요한 치료의 대상이다. 니코틴이 알코올과 함께 흡수되면, 알코올 의존증과 니코틴 의존증이 더욱 심각해질 뿐 아니라, 알코올과 니코틴이 신체에 미치는 영향도 더욱 악화되기 때문이다. 치료자들 중에는 흡연하는 알코올 의존자에게서 금연을 유도하면 알코올 의존 문제가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기존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금연을 한다고 해서 알코올 의존 재발률이 상승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알코올과 니코틴은 뇌 내에서 유사한 부위에 작용하며, 서로 상반된 작용을 하면서도 또한 동일한 결과를 초래하므로 알코올 의존과 니코틴 의존에 동시 이환된 환자를 치료함에 있어서는 두 물질의 상호 작용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이다. 니코틴 의존이 동반된 알코올 의존자에게 금연을 위한 중재를 시행함에 있어 바람직한 중재의 시기에 대해서는 아직은 불분명한 부분이 있으며 보다 대규모의 체계화된 연구가 필요한 상태이지만, 환자의“변화 단계”에 따라 담배와 술을 동시에 끊게 할지, 시차를 두고 중재할 것인지 결정하는 것이 알코올 의존증을 재차 악화시키지 않으면서 니코틴 의존으로부터의 회복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Effect of Quick Dip in High Concentrations of Auxin on the Rooting of Ivory Halo Dogwood (Cornus alba ‘Bailhalo’) and Purple-leaf Sand Cherry (Prunus x cistena)

        조근호,소인섭,이치원,Dale E. Herman 한국화훼학회 2004 화훼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NAA와 IBA고농도용액의 순간침치처리가 dogwood (Cornus alba 'Bailhalo)와 cherry (Prunus x cistena)의 삽목발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NAA와 IBA는 95%의 에틸알콜에 용해되었으며 실험에 이용된 농도는 각각 250, 500, 1000, 3000, 6000, 그리고 9000 ppm이었다. 대조구로는 무처리구와 함께 rootone (NAA 0.8%분말)과 95% 에틸알콜이 시험되었다. 삽수들은 각 처리별로 1초간 침적처리후 바로 발근배지 (Oasis root block)에 꽃아졌고 모든 삽수들은 미스트실로 ?グ保낫?. NAA 250 ppm처리만이 dogwood와 cherry에서 각각 72.7%의 발근률을 보였을 뿐 다른 농도에서 대조구에 비해 발근을 촉진시키지 못했다. IBA처리구에서는 NAA처리구보다 매우 높은 발근률을 나타내었는데, 특히 500, 1000, 3000 ppm처리구에서는 90% 이상의 삽수들이 발근하였으며 삽수당 각각 15-17개의 부정근이 발생하였다. 거의 모든 삽수들의 뿌리들이 강건하게 발달됨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6000 ppm과 9000 ppm의 최고농도에서는 IBA 용액도 발근을 촉진하지는 못했다. 에틸알콜(95%)에 용해된 고농도의 IBA용액은 삽수의 발근촉진은 물론 각종 감영원으로부터 삽수를 보호하는 역할도 함께 하는 것으로 보여졌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NAA and IBA on root induction in ivory halo dogwood (Cornus alba Baihalo') and purple-leaf sand cherry (Prunus xcistena). The rooting hormones were solved in 95% ethyl alcohol in concentrations of 250, 500, 1000, 3000, 6000 or 9000 ppm. After dipping in the solutions for a second, the cuttings were inserted into rooting medium. Rootone (talc, 0.8% NAA) and alcohol treatment did not mak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s in percent rooting. When the dogwood and cherry cuttings were treated with NAA, the increasing concentration of NAA was not good for rooting. NAA solution treatment never enhanced percent rooting of dogwood except that of 250 ppm (72.7 % in dogwood and cherry) in this experiment. IBA solution treatment effectively increased the percent rooting and RRC of both species. Especially 90% of dogwood cuttings rooted with 15-17 roots per rooted cutting when applied to 500, 1000 or 3000 ppm IBA. Vigorous root growth was observed in the cuttings treated with IBA solution. The high concentrations (6000 and 9000 ppm) of IBA did not initiate rooting. The combination of NAA and IBA showed extremely negative effect on rooting.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