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민간—공공 부문의 아웃플레이스먼트 연구동향 비교

        이효섭(Lee Hyo Seop),조대연(Cho Dae-yeon),정홍인(Jeong Hong In) 한국성인교육학회 2018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민간과 공공부문의 아웃플레이스먼트 수행에 대한 체계적인 비교, 분석 연구를 통해 각 부문별 효율적이고도 맞춤화된 아웃플레이스먼트 수행 방향성을 탐색해 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민간부문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는 아웃플레이스먼트에 관한 논문과 공공부문 조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는 논문을 상호간 비교하는 내용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아웃플레이스먼트는 1997년 국내 도입이후 꾸준히 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2010년 이후로 본격 활성화되고 있다. 둘째, 아웃플레이스먼트의 학술논문 출처 및 학술지분야에서는 교육관련 분야가 가장 많았다. 셋째, 아웃플레이스먼트의 주요 개념에 있어 민간부문에서는 실행방식 측면의 개념들이 다수를 이루었고 공공부문에서는 실행목적 측면의 개념들이 다수 사용되었다. 넷째, 민간과 공공부문의 아웃플레이스먼트 주요 관점에 따른 목적은 퇴직자 관점을 중심으로 재취업의 목적이 가장 많았으며 민간부문에서는 특히 경제 및 재무의 목적이 그 다음으로 많았다. 다섯째, 아웃플레이스먼트의 수행 주체에 있어 민간과 공공부문 모두 조직자체&외부기관의 활용이 많았고, 민간부문에서는 외부전문기관을 활용하는 케이스도 적지 않았다. 여섯째, 그간 국내에서 진행된 아웃플레이스먼트의 문제점들에 있어서는 형식적이거나 차별화되지 않는 교육 프로그램을 가장 많이 언급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해결안으로 실질적인 취업과 연계된 교육방안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민간부문은 경제교육에 대한 필요를 가장 많이 언급하였으며 공공부문은 아웃플레이스먼트 교육 시행기간 연장에 대한 필요성을 다수 제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fficient and customized outplacement direction for each department through systematic comparison and analysis of outplacement performance of private and public sector. To do this, we conducted a content analysis comparing outplacement articles for private sector employees and for public sector employe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outplacement has been continuously studied since its introduction in Korea in 1997, and has been in full swing since 2010. Second, in the field of academic publications and academic journals of outplacement, education related fields were the most common. Third, in the main concept of outplacement, the concept of executive aspect has been widely used in the private sector, and the concept of executive object has been used in the public sector. Fourth, the purposes of outplacement of private and public sector were mainly the purpose of reemployment, especially retirees perspective, and the private sector was the next most important economic and financial purpose. Fifth, Principal agent of Execution in the private sector and the public sector used the organization itself and outside organizations, and the private sector used external experts. Sixth, the problems of outplacement in Korea have been mentioned most in perfunctory and equivalent education programs. And, a solution to this problem was proposed in relation to practical employment. In addition, the private sector has addressed the need for economic education the most, and the public sector has raised the need for extension of outplacement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중장년 사무직 근로자의 신체적・인지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과 성공적 노화 간의 구조적 관계

        정홍인(Jeong, Hong In) 한국노년학회 2018 한국노년학 Vol.38 No.1

        본 연구는 중장년에게 있어 성공적 노화의 예측요인으로 입증된 신체적․인지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과 성공적 노화 간의 구조적 관계를 통해 중장년에게 의미있는 성공적 노화의 선행요인을 규명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신체적․인지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의 대표변인으로 주관적 건강상태, 인지기능,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를 상정하였다. 연구대상은 대한민국 대표 기업공시채널 KINO(http://kind.krt.co.kr)에 등록된 유가증권, 코스닥, 코넥스 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 35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SPSS 23.0과 Amos 21.0, Mplus 6.12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성공적 노화 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모형의 적합도는 RMSEA=.059, TLI=.932, CFI=.944로 적합도 지수의 기준값을 모두 충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관적 건강상태와 사회적지지만이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수로 나타났으며 인지기능과 자아존중감은 성공적 노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 중 사회적 요인인 사회적 지지가 중장년의 성공적 노화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성공적 노화에 있어 기존 선행연구와 배치되는 결과이며 생애주기에 따라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다름을 시사한다. 즉, 중장년은 사회적 관계망 내에서 자신의 역할을 인식하며, 일을 통해 본인의 정체성과 의미를 확립하고 있음에 따라 사회적 지지가 성공적 노화를 촉진시키는데 있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무엇보다도 우리나라의 상황적 맥락이 반영된 중장년을 대상으로 성공적 노화의 모형을 탐색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between the successful agingrelated predictive factors and the successful aging in the middle aged office. The predictive factors of successful aging such as subjective health condition, cognitive functions,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were confirmed by the existing literature. The population of the study was the middle aged office employees, who are generally defined an age group from 40 to 60. The sample of this study was targeted to employees working at companies registered to securities, KSDAQ, and KONEX in Korea. SPSS WIN 23.0 and AMOS 21.0, and Mplus 6.12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below. First, the result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predictive factors of successful aging (subjective health condition, cognitive function,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and successful aging was appropriate as RMSEA=.059, TLI=.932, CFI=.944. Second, subjective health condition and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variables for successful aging but cognitive function and self-esteem were not significant. Third, social support, which is a social factor, was the most influential among other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 KCI등재

        주민평생학습활동가의 참여동기 탐색 : G 광역자치단체의 평생학습마을학교 운영위원을 중심으로

        은주희(Eun Ju Hui),정홍인(Jeong Hong In),이 성(Lee Su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16 평생교육학연구 Vol.2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G광역자치단체 내 평생학습마을에서 활동하고 있는 주민평생학습활동가의 참여동기가 무엇인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주민평생학습활동가는 자신이 거주하는 마을에서 평생교육사의 역할을 자발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지역공동체 내 평생학습문화를 확산하기 위하여 적극적이며 주도적인 활동을 펼치는 사람을 말한다. 이들의 참여동기를 탐색하기 위하여 현재 평생학습마을을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G광역자치단체 내 평생학습마을학교 위원들을 대상으로 개인별 심층인터뷰와 초점집단면접[FGI]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이들의 참여동기는 거주지역에 대한 문제인식, 마을리더의 필요성 인식, 마을이 가진 문제해결에 대한 의지표출, 주변의 기대와 요구충족이 참여동기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평생학습을 통한 주민들의 변화, 학습마을 공동체의식 강화, 마을의 가치를 통한 내적 동기 강화가 참여의 지속요인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평생학습마을을 하나의 조직으로 이해하고 주민평생학습활동가의 참여동기를 도출하였다는 점과 그것을 지방자치단체에서 어떻게 전략적으로 지원할 수 있을지 제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of citizen-lifelong learning-activists of lifelong learning communities in G-local government. Citizen-lifelong learning-activists are engaged in active and pioneering activities to promote the lifelong learning culture within the communities in which they live by choosing to perform the lifelong educator’s role. To investigate their participation motivation, focus group interviews and interviews with community members of lifelong learning community schools located in G-local government were conducted. As a result, the factors of their participation motivation include recognition of the local problem, awareness of the need for community leaders, and desire to meet the expectation of community and residents. In addition, the factors of their continuous motivation for activity include the improvement of community sentiment through lifelong learning, cohesion among c ommunity members, and strength of participation’s intrinsic motivation. The factor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were derived, and strategies for how local authorities can support citizen-lifelong learning-activists were proposed.

      • KCI등재

        평생교육사의 직무만족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지식공유의 매개효과

        이효섭(Lee, Hyo Seop),정홍인(Jeong, Hong-In)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0 Global Creative Leader Vol.10 No.2

        본 연구는 평생교육사의 혁신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선행요인으로 직무만족을 선정하고 직무만족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지식공유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직무만족, 혁신행동, 지식공유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변인 간의 모형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실제적 검증을 위하여 서울시 내 평생교육기관에 근무하는 평생교육사 20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SPSS(23.0)와 AMOS(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사가 자신의 직무에 만족할수록 혁신행동이 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생교육사의 직무만족과 혁신행동간 지식공유가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직무만족과 지식공유가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직무만족이 혁신행동으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구성원 간 지식공유가 이루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상기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job satisfaction as a prior factor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knowledge shar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innovation behavior in order to promote innovation behavior of lifelong educators. To this end, prior research related to job satisfaction, innovative behavior, and knowledge sharing was reviewed and a model was set up between the variables based on this research. For practical verification of this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on 209 lifelong educators working for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in Seoul,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23.0) and AMOS(18.0) program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more satisfied a lifelong educator is with his or her job, the more innovative action is expressed. Second, knowledge sharing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innovative behavior of lifelong educators was found to be partial.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job satisfaction and knowledge sharing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innovation behavior, and that knowledge sharing among members must be achieved above all in order for job satisfaction to lead to innovation behavior. Based on the above findings,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trends were presented.

      • KCI등재

        미래인재양성 방향모색을 위한 교육정책 연구

        김은비 ( Kim¸ Eun-bee ),정홍인 ( Jeong¸ Hong-in ),김대영 ( Kim¸ Dae-young ),변기용 ( Byun¸ Ki-young ),임철헌 ( Lim¸ Cheol-heon ),최지수 ( Choi¸ Ji-soo ),조대연 ( Cho¸ Dae-yeo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6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 혁명 시대를 주도할 미래 사회의 인재상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그 인재상을 토대로 하여 미래 사회를 대비할 수 있는 교육을 시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미래 인재에 대한 연구결과를 종합 정리하고, 4차산업혁명 시대 도래에 따른 미래사회 인재상(AI나 빅데이터 등과 관련된 과학적 지식과 창의력을 바탕으로 변화를 주도하면서, 예측 불가능한 상황에서 문제해결능력을 갖추고, 다른 인재와 함께 일할 수 있는 높은 사회적 능력을 보유한 존재)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미래 인재양성에 맞닿은 미래교육의 뱡향’을 수립하고자 교육 범주별로 세분화한 정책을 제시함으로써 미래 교육의 관점에서의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세부적으로는 발굴한 인재상을 바탕으로 한 교육주체, 교수학습, 학교체제 등 교육 범주별 정책에 따른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미래사회인재의 역량의 우선순위를 제시함으로써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한 역량개발 및 교육, 훈련에 필요한 기반을 마련하고 기초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ased on the big data analysis of seeking a solution to change the educational system for training future talented individuals, this study investigated what kind of talented people would be qualified for the one who lead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based on the type of qualified ones, it recognized the necessity of implementing the education preparing for the future society. Thus, this study comprehensively organized the study results regarding the future talented individuals, deduced the type of talents for the future society(who can lead changes based on scientific knowledge and creativity related to AI and big data, and possess problem-solving skills under unexpected circumstances and high social intelligence to cooperated with other talented ones), and on the basis of these, it discussed the direction of future education by suggesting the policy divided by educational category in order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future education meeting ’the training of future talented individuals’. In detail, it suggested the direction of future education according to the policies by educational category such as the subject of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and school system.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the basic data and lay the foundations for the development and education of competency and training in preparation for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y presenting the priorities of future social talents.

      • KCI등재

        리더의 코칭행동과 구성원의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이 정서적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이효섭(Lee Hyo Seop),정홍인(Jeong Hong 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9

        본 연구는 리더의 코칭행동과 조직구성원의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이 정서적 조직몰입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구성원의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 리더의 코칭행동, 정서적 조직몰입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변인 간의 모형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실제적 검증을 위하여 수도권 내 300인 이상 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266개의 데이터는 SPSS(23.0)와 AMOS(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더의 코칭행동이 높을수록 정서적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리더의 코칭행동이 구성원의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을 높여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성원의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이 정서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리더의 코칭행동과 정서적 조직몰입 간 구성원의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리더의 코칭행동과 구성원의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이 정서적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리더의 코칭행동이 정서적 조직몰입으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구성원의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이 발현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상기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ness for learning, managerial coaching behaviors and affective commitment. To do this, prior research related to self-directedness for learning, managerial coaching behaviors, and affective commitment was reviewed and a model was set up between the variables based on this research. we analyzed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of 266 employees who were working in Korean companies by SPSS 23.0 and Amos 18.0.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nagerial coaching behaviors and affective commitment is positively related. Second, there was also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anagerial coaching behaviors and self-directedness for learning. Third, the self-directedness for leanring has been shown to affective commitment Finally, the self-directedness for learning as a partial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rial coaching behaviors and affective commitment.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managerial coaching behaviors and self-directedness for learning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affective commitment, and that in order for the managerial coaching behaviors to lead to affective commitment, above all else, self-directedness for learning must be manifested. Based on the above findings,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trends were presented.

      • KCI등재

        일의 의미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우성미(Woo, Sung Mi),정홍인(Jeong, Hong In)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2021 사회융합연구 Vol.5 No.6

        본 연구는 국내에서 수행된 일의 의미 관련 변인 연구를 종합하여 각 변인과 일의 의미 간의 관계를파악하고, 변인 간의 효과크기를 구명하기 위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2021년 7월까지일의 의미를 주제로 발간된 국내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63편을 선정하였으며, 일의 의미와 관련된 변인을 개인요인 8개, 조직요인 12개로 구분하여 효과크기를 추출하였다. R프로그램 4.0.3의 메타분석 패키지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의 의미와 관련된 개인변인은 번영, 삶의 만족, 삶의 의미, 소명의식, 소명수행의식, 소진, 일과 삶의 균형, 자기효능감이었으며, 이 중에서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낸 변인은 소명 관련 변인(소명의식, 소명수행의식)이었으며, 다음으로 번영, 삶의의미와 삶의 만족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의 의미와 관련된 조직변인은 직무열의, 조직몰입, 잡크래프팅, 직무만족, 개인-직무적합성, 기업의 사회적 책임, 정서적 몰입, 혁신행동, 직무성과와 정적 관계가 있었고,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이직의도와 부적 관계가 있었다. 정적 관계에서는 직무열의의 효과크기가가장 컸고, 부적 관계에서는 직무스트레스의 효과크기가 가장 컸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연구의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ing of work and related variables through meta-analysis. For this reason, 63 papers published in Korea were selected. As for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meaning of work, 8 individual variables and 12 organizational variables were derived, and the effect sizes of the variables were analyzed. For analysis, the meta-analysis package of R program 4.0.3 was us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dividual variables related to the meaning of work were flourishing, life satisfaction, meaning of life, calling, living a calling, burnout, work-life balance, and self-efficacy. Among them, the variable with the largest effect size was the calling and the living a calling. Second, organizational variables related to the meaning of work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work engage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crafting, job satisfaction, individual-job suitability,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emotional commitment, innovation behavior, and job performance, and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job stress, job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In the positive relationship, job enthusiasm had the largest effect size, and in the negative relationship, job stress had the largest effect size.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prepare a way to increase the level of meaning of work at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through the above research results were presented.

      • KCI등재

        우리나라 고학력 청년 니트족의 유형화와 니트 탈출방안

        조대연(Dae Yeon Cho),김은비(Eun Bee Kim),김경근(Kyung Keun Kim),정홍인(Hong In Jeong)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8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3 No.2

        This study classified the youth NEET(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 with higher education according to their work experiences and attitudes of job searching and drew measures to revitalize their entry into the labor market. For this, the present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NEET were examined based on the analysis of research. Their work experiences, attitudes of job searching and measures to escape from the state of NEET through interview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ose who still remained as NEET had negative memories related to their work experiences. They were confused by excesssive amount of work and discordance between what they had learned at university and their duties at work, which led them to search for a new job. Meanwhile, success factors to escape from the state of NEETincluded continuing to work hard in their studies despite a lack of happiness with their major, take time for positive introspection based on work experience in a and to lower their expect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politic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본 연구에서는 고학력 청년 니트족을 대상으로 일 경험의 의미와 구직태도를 준거로 유형화하고 니트 탈출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토대로 우리사회 니트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한 후, 인터뷰를 통해 면접자들의 일 경험, 구직태도와 니트 탈출방안에 대하여 심층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현재 니트에 잔류한 사람 모두 과거 일자리 경험과 관련하여 부정적인 기억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과도한 업무량과 대학전공과 수행했던 업무의 불일치로 혼란을 겪고 있었으며, 그로 인하여 구직에 대한 태도 역시 소극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니트를 탈출하게 된 배경을 분석한 결과 이들은 본인의 전공을 최대한 살리고, 과거의 일 경험을 긍정적으로 성찰할 뿐만 아니라 눈높이를 하향화하여 취업에 성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