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평생교육으로서 한국노인교육의 발전방향 - 노인교육담론을 중심으로

        신미식(Shin Mee-Shik) 한국평생교육학회 2007 평생교육학연구 Vol.13 No.1

          이미 오래 전에 평생학습사회, 고령화사회로 접어든 한국은 그 어느 때보다 평생교육으로서 노인교육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의 노인교육은 복지위주의 노인교육, 인적자원개발 위주의 노인교육이 대부분으로, 노인을 배움의 주체, 삶의 주체, 즉 평생학습자로 키워내지 못하고 있다. 또한 평생교육의 이론적인 영역을 담당하는 학계 역시 평생교육의 중요한 영역으로서 노인교육, 평생교육의 중요한 대상으로 노인에 대한 인식이 아직 확산되어 있지 못하다. 본 연구자는 더 늦기 전에 평생교육과의 연결 선상에서 노인교육을 다루는 논의나 연구가 활발하게 제기되어야한다고 보고, 이런 시도의 일환으로 이 연구에서는 한국노인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앞으로 평생교육으로서 노인교육은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바람직한지 알아보려고 하였다. 특히 이를 위해 한국보다 노인교육에 대해 활발한 논의와 연구를 해온 나라들에서 발전된 노인교육담론을 살펴보고 그것으로부터 시사점을 얻으려고 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첫째, 평생교육으로서 노인교육의 의미를 살펴보고, 둘째, 지금까지 한국 노인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알아보고, 셋째, 다른 나라에서 전개된 노인교육의 담론을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이들 담론이 한국 노인교육에 주는 시사점과 그것을 토대로 한국 노인교육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탐색해보았다.   Korea already enters into the lifelong learning society and the aging society. Given that, elderly education should be regarded as an important form of lifelong education. But in reality, that does not happen yet. In the field, elderly education is not conducted in the context of lifelong education. Also, it does not contribute to educating the elderly as lifelong leaners. Most elderly education given in Korea at this moment is welfare 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oriented. Also, in the academics, not many studies are done to find out where elderly education should be positioned in the big picture of lifelong education, what should be done to make the elderly lifelong learners, and where it should go in the future.<BR>  The author thinks that more serious research should be done to answer the questions and this study is a just start for that. In this study, the author tries to examine the present forms of elderly education in Korea and to analyze its problems from a lifelong learning perspective. Further, the author looks into main discourses on elderly education, which have been developed in western countries. The reason for it is that since western countries have more experiences on elderly education practically and theoretically, they could provide Korean elderly education with some lessons. Lastly, the author attempts to figure out what lessons Korean elderly education learns from western experiences and in which direction Korean elderly education should go to position elderly education in the context of lifelong education and to make the elderly lifelong learners.

      • KCI등재

        학술지를 통해 본 한국 평생교육학의 연구동향

        곽삼근(Kwak Sam-geun),최윤정(Choi Yun-jeo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05 평생교육학연구 Vol.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평생교육학 연구의 역사와 연구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주요 내용은 첫째, 지난 50 년간 한국 평생교육학의 발전 과정을 연구물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둘째, 연구동향 파악을 위해 주요 학술지의 논문들을 분석하며, 셋째, 이를 바탕으로 한국 평생교육학 연구동향의 주요 특성들을 고찰하고 학문 발전을 위한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문헌조사와 연구물 분석방법을 사용하였으며, 한국 평생교육 분야의 대표적인 학술지 세 개에서 총 395 편의 논문을 선정 분석하였다. 연구영역을 총 10개 영역으로 유형화하였으며, 분석 결과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평생교육학 학문연구와 방법연구가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한국의 평생교육은 급속한 성장기에 있으며, 평생교육법의 출현으로 평생교육 활동의 공급과 수요는 그 어느 때보다 양적으로 급증하였다. 그러나 현장에 초점을 두도록 급속하게 교육실천의 요구가 팽창해왔는데 비하여 연구 활동은 충분하지 못하였다 는 평가가 본 연구에서도 입증되었다. 평생교육학 영역에서 많은 연구물이 쏟아져 나왔지만, 아직 평생교육학의 제반영역을 체계화하는 작업은 미진한 상태에서, 본 연구는 한국 평생교육학 연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그 특성을 제시하고 학문적 발전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f lifelong education by investigating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ifelong education studies and its future direction.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of the journals, we categorized the research papers into the ten research areas. From the three representative journals in lifelong education, 395 articl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From this analysis, we could find that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nd educational processes' was the most popular area, while 'lifelong education study and methodology' was the least concerned one. Based on the research trend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Korean lifelong education research could be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e academy of the Korean lifelong education is still practice-oriented. But recently, the quality of papers is making progress from a level. of general surveys on the realities to an indepth research study. Second, the research topics and problems of the papers have become more specific and various. Third, the concerns on 'learning' and 'learners' I have been rapidly increased since 2000. Fourth, even though it was not deeply examined in this study, it is apparent that the papers on research methodology were scarce in numbers. Fifth, academic journals are functioning as a place for debate and discourse. It provides learning opportunities for the scholars by sharing different perspectives on the same lifelong education phenomena Sixth, research papers on "lifelong education studies" are few in numbers compared to any other areas. We could conclude that while the lifelong education needs have been greatly expanded and more practical applications were demanded in Korean society, the academic supports to lead the practices were not sufficient. Therefore, further research efforts should be given to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studies."

      • 개정 평생교육법 시행과 장애인복지관의 평생교육 활성화 방안

        이상진(Lee Sang Jin)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2018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Vol.4 No.1

        이 연구는 장애인 평생교육을 통합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방안을 담은 「평생교육법」 개정안이 2017년 5월 30일 본격적으로 시행됨에 따라 개정 법률 및 시행령의 주요 내용과 장애인 평생교육기관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지역사회 장애인복지시설 가운데 가장 많은 참여가 이루어지고 있는 장애인복지관의 평생교육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2016년부터 공무원, 민간전문가, 당사자·부모, 학계전문가, 실무협의회가 중심이 되어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지원단을 출범하여 운영하고 있는 충청북도지역 장애인복지관의 평생교육 서비스 제공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장애인복지관 평생교육 운영 활성화 방안으로 장애인복지관 평생교육시설 설치 시 장애인복지관 인프라 활용, 평생교육사 자격제도 개선, 장애인 평생교육 전문가 양성, 발달장애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 개발 보급 및 평생교육 시설 설립 확충 등을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aimed to vitalize lifelong education operation of disabled welfare center that the mos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participate So this article tried to search present condition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review lifelong education act, that is, revised law and its implementing ordinances, is enforced on 30th, May, 2017. For this, this article analyzed lifelong education service providing current state of disabled welfare center in Chungcheongbuk-do Province which is operating after lifelong educational support un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constituted as involving official, private specialist, the parties to a disability, their parents, academic specialist and practical affairs, etc. Based on this, the article suggested infrastructure utilizing of disabled welfare center, improvement of lifelong education specialist qualification system, training of lifelong education specialist, program development and delivery based on characteristic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establishment and expansion of lifelong educational facilities

      •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기관 지정 기준 등에 대한 연구

        김주영(Kim Joo-young),정연수(Jeong Yeon-soo),권명숙(Kwon Myung-sook)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2019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26조에 따라 교육부장관의 업무로 규정되어 있는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기관 지정 기준과 절차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자료를 검토 분석하고,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수차례의 전문가 자문을 받았다. 그 결과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기관 지정 대상 평생교육기관의 범위와 요건을 제시하였다. 즉,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기관으로 지정되려면, 「평생교육법」 제2조 제2호의 평생교육기관이어야 하고,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과정 기준과 교육제공인력, 시설·설비를 갖추어야 한다.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기관은 교육과정 운영 유형에 따라 전문기관과 통합기관으로 구분하였다.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기관에서 제공하는 교육과정은 내용에 따라 기본교육과정과 각과교육과정으로 구분하였다. 평생교육제공인력으로는 기관운영자, 교육관리자, 교사, 교육보조인력을 두도록 하였다. 시설·설비는 전문기관과 통합기관으로 구분하여 기준을 정하되, 관리실과 보건위생시설은 기존시설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기관 지정 신청 및 교부 절차 등 지정 절차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criteria and procedures for designating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for people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whose duties are defined by the education minister pursuant to Article 26 of the Protection and Support of Right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ct. For this purpose, we reviewed the literature and analyzed data collected from the review. Also, we interviewed focus groups and consulted with experts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veral times. As a result, the scope and requirements of the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for thos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presented. In other words, in order to be designated as a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it must be a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under Article 2 of the Lifelong Education Act, must be equipped with the criteria for lifelong education curriculum for those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the staff for providing education, and facilities and equipment.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for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divided into specialized and integrated institutions according to the type of curriculum operation. The education curriculum provided by the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of the developmental disability were divided into basic courses and subject courses according to their contents. Those providing lifelong education were required to have institutional operators, education managers, teachers, and education assistance. The criteria were set for facilities and equipments divided into specialized and integrated institutions, while the management office and health and sanitation facilities could share existing facilities. In addition, the procedures for designation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for people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such as application and delivery procedures, are presented in this study.

      • KCI등재

        평생교육학의 선구자 코메니우스(Comenius)의 "Pampaedia"(범교육학)에 나타난 평생교육이해와 시사점

        최진경(Choi, Jin Kyou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10 평생교육학연구 Vol.16 No.1

        본 논문은 서양교육사에서 현대교육학의 아버지로 알려진 17세기 인물 요한 아모스 코메니우스(Johan Amos Comenius; 1592-1670)의 주요 교육저서 "Pampaedia"(범교육학)에 나타난 그의 평생교육 사상에 대한 연구이다. 코메니우스는 이 작품에서 모든 연령층을 위한 평생교육론을 제시하였다. 그는 이 세상을 하나의 학교로 보고, 인간의 전 생애를 배움의 기간으로 보았으며, 지혜로워지기 위해 인간은 평생 동안 배워야 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평생교육의 목표를 '신(神)형상'(Imago Dei)에로 인간성을 회복하는데 두었다. 이 목표에 따라 그는 효과적인 교육을 위해 인간의 전 생애를 연령별 특성에 근거하여 7단계로 나누어 교육 목표, 과제, 내용, 방법을 제시하였다. 특히 인간성 회복을 위해 그는 지성, 덕성, 신앙을 배움의 주요내용으로 규정하였는데, 지성은 사물세계와의 바른 관계를, 덕성은 사람들과의 바른 관계를, 신앙은 하나님과의 바른 관계를 형성하는데 필요하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평생교육의 학문적 초석을 놓은 코메니우스가 평생교육학의 선구자 됨을 그의 교육철학을 통해 밝히고 그의 교육철학을 통해 밝히고 그의 평생 교육론의 독특성을 살핀 뒤, 오늘날 평생교육학 연구방향에 주는 시사점을 논하고자 한다. Johann Amos Comenius(1592-1670), who is known as the father of modern pedagogy in Western educational history, already presented lifelong education for all ages in the 17th century in his principal educational work, ?Pampaedia?. Comenius regarded the world as a school, whole life of human as a learning-time and thought that human should learn during his whole lifelong in oder to be wise. His educational aim was to restore Imago Dei in human nature. Following this aim he presented the task, contents and methods of his education, and he divided the whole life of human into seven stages considering characteristic of each age for effective education. In order to restore human nature he set up ‘erudition-virtue-religion’ as the contents of learning. Erudition. Erudition is needed for the formation of the relationship with things, virtue for the formation of the relationship with people and religion for the formation of the relationship with God. In this paper ‘to develop abilities for restoration of relationship' is regarded as an important educational task which should be paid attention to in today's lifelong education and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Comenius' lifelong educational philosophy and reflect upon the direction of Korean lifelong education based on his lifelong educational philosophy.

      • KCI등재

        평생교육에서의 참여연구의 기원과 발전

        정지웅(Cheong, Ji Woo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평생교육학연구 Vol.18 No.4

        국제성인교육협회(ICA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Adult Education)가 전문학술지인 Convergence를 통해 1978년 공식적으로 정립, 선포한 사회과학연구방법으로서의 참여연구(participatory research)는, 1980년대에 접어들어 사회를 실제적으로 변화시키는 주요 실천 연구방법으로서 확산 보급되기 시작하였다. 이 논문은 이러한 참여연구의 기원과 연구방법 및 그 수행 과정이 지니는 특성과 평생교육적 의미들을 간략히 살펴보고 이러한 참여연구가 국내에 언제 어떻게 도입이 되고 또 실제로 적용이 되어 왔는지 그 사례 및 기록들을 연대별로 살펴보는 연혁적 서술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참여연구가 평생교육/사회교육의 중요한 방법으로 인정이 되고 있음에 초점을 맞추고, 1970년대 후반으로부터 2012년에 이르는 동안 아시아태평양지역 성인교육협회(ASPBAE: Asia/Pacific Bureau of Adult Education), 아시아 참여연구학회(PRIA: Society for Participatory Research in Asia), 한국사회교육협회(현재의 한국평생교육 총 연합회)와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그리고 각종 유엔관련기구 등이 벌여온 참여연구 관련 활동들을 망라 기술하였다. 특히 참여연구, 참여훈련(participatory training), 사회교육 방법으로서의 참여연구 등 참여연구 방법 및 기법을 주제로 한 국내외 연찬회나 학술포럼, 출판물과 정기간행물, 학위논문, 그리고 연구보고서 등을 연대별로 기술하였다. 2012년 한국평생교육학회가 ‘참여연구법의 평생교육적 의미와 난점’을 주제로 학술포럼을 개최한 것을 계기로 사회변화를 위한 실제적인 연구로서의 참여연구의 활성화에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하며 이 논문이 작성되었다. This paper is to describe the beginning of the participatory research(PR) which the ICAE (International Council for Adult Education) officially declared in 1978 as a new social science research methodology for social change, and how it transpired and developed in Asia and especially in South Korea with special emphasis on lifelong education.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PR first appeared in 1975 in the Convergence(ICAE quarterly) where Hall, ICAE Secretary-General, wrote on PR and Swantz reported a case study related his work in a Tanzanian village done with villagers. Through subsequent related research-methodological papers and case studies, the ICAE had presented the PR rationale. And after a meeting in 1977 with various UN organizations, development agencies and NGOs, the ICAE declared in 1978 the PR as a new global campaign for virtual social change. The PRIA(Participatory Research in Asia) was formed in 1978 quartered in New Delhi and appointed Dr. Tandon as Chairman. It organized a Regional Seminar on PR in 1979 in Thailand with assistance from the ASPBAE(Asia/Pacific Bureau of Adult Education). The Vice President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Adult Education(KAAE) who carried out one action research project called the Rural Development Laboratory(RDL) patterning after the Social Laboratory of the Philippines attended the Seminar. In early 1981 the KAAE(Korean Association of Adult Education, currently Korean Federation of Lifelong Education Associations) held a nationwide seminar on PR with financial assistance from the ASPBAE and introduced PR by way of presenting related case studies. Afterwards a series of events concerned with PR in Korea such as convening of the PRIA/KAAE Regional Workshop on Participatory Training in ICheon in 1986, KAAE National Convention on PR methodology as a means of adult/lifelong education in 1987, and publication of the book entitled PR and Related Case Studies in 1995 in which three new PR cases carried by two small farmer groups and many overseas cases translated by the graduated students who are all Korean PR members. Some of those cases were also reported in Korean journals and overseas academic meetings including Rural Sociological Society and journal Convergence. Two doctoral theses were written in 2006 based on consumer cooperative operation and on poor youngsters learning action in the disadvantaged area in Seoul, respectively. And it was only in 2012 that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Lifelong Education had a forum on PR to strengthen lifelong education for authentic social change. As the first participatory researcher in Korea, the author strongly felt that it is time to write about the Korean history of PR from the time it emerged in lifelong education up to now (2012), this paper tried to mention all the PR related events including workshops, meetings, conventions, case studies, books, research articles in Journals and doctoral dissertations, chronologically if possible. The rationale and ideological traits of PR and some essential steps of PR that the ICAE promotes are also presented and briefly discussed.

      • KCI등재

        1990년대 말 평생교육법 제정 과정 분석을 통한 평생교육 개념 혼란의 기원과 논리 검토

        오혁진(Oh, Hyuk Jin) 한국평생교육학회 2011 평생교육학연구 Vol.17 No.1

        1990년대 말 ‘사회교육법’의 폐지와 ‘평생교육법’의 제정은 우리나라 학계와 현장에서 ‘사회교육’용어가 쇠퇴하고 ‘평생교육’ 용어가 이를 대체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법 제정 당시 교육개혁위원회는 법 시안 작성차원에서 교육기본법과 같은 수준의 ‘평생학습법’을 제정하는 대신 교육기본법 하에 ‘사회교육법’을 ‘평생학습법’으로 확대 제정하는 방안을 채택하였고, 그 과정에서 법의 명칭과 내용 중에서 ‘사회교육’ 용어를 ‘평생교육’ 용어로 대체하였다. 그러나 다른 교육관계법과의 일관성을 추구하려는 정부 내 입장으로 인해 ‘평생학습법’의 명칭은 최종적으로 ‘평생교육법’으로 변경되었고 법의 영역과 위상도 위축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그 결과 ‘평생학습법’을 통해 모든 교육을 포괄하는 명분도, 구 사회교육 영역을 모두 아우르는 법을 제정하는 실리도 제대로 얻지 못한 채, 이름을 ‘평생교육법’으로 바꾸고 법의 내용에서 ‘사회교육’을 ‘평생교육’으로 바꿈으로써 개념상의 혼란을 일으키게 되었던 것이다. 이는 당시 ‘평생학습’을 향한 확장적 관점과 ‘사회교육’에 대한 배제적 관점이 잘못 적용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조치는 학계와 현장에서 정체성의 혼란이 일어나게 된 법적 배경이 된 것은 물론, 우리나라 ‘사회교육’의 오랜 역사적 전통과의 암묵적인 단절에 기여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정체성의 혼란을 바로 잡기 위해서는 ‘사회교육’ 용어를 되살려 학문적으로 ‘평생학습학’과 ‘사회교육학’을 별도로 정립하고, 법적으로 ‘평생학습법’과 ‘사회교육법’ 등을 별도로 제정하여 그 위상을 재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In the end of 1990s, the abrogation of Social(Adult) Education Act and the enactment of Lifelong Education Act became the important momentum of declining of the term 'social(adult) education' and prosperity of the term 'lifelong education'. This thesis attempts to verify the historical rightness of dominant position of the term 'lifelong education' through analysing the discussions about the name of newly revising law and its position in the system of educational laws. At that time, the Presidential Commission on Educational Reform choose a second best plan to expand and change the 'Social(Adult) Education Act' to 'Lifelong Learning Act' under the 'Framework Act on Education', and replace the term 'social(adult) education' with the term 'lifelong education'. But, because of government's will to maintain the consistency with other educational laws, the name of 'Lifelong Learning Act' was modified to 'Lifelong Education Act', and the area and status of the law was also reduced largely in the end. As a result, we could not get not only a justification to make a mother law which include all area of education in the name of 'Lifelong Learning Act', but also actual profit to expand the area of 'Social(Adult) Education Act' sufficiently. On the contrary, owing to replacing the term 'social(adult) education' with the term 'lifelong education', the conceptual confusion happened between the narrow sense and wide sense of lifelong education. It was a result of excessive applying of extensive perspective toward the term 'lifelong education' and exclusive perspective on the term 'social(adult) education'. That became the legal background of conceptual confusion in the area of lifelong education, and made tacit gap with the long tradition of 'social(adult) education'. To re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revive the term 'social(adult) education' first of all. And we must establish separately 'science of lifelong learning' and 'science of social(adult) education' academically, and also 'Lifelong Learning Act' and 'Social(Adult) Education Act' legally.

      • 평생교육 교수자의 성인 발달장애인 교수경험 의미탐색

        김정연(Jeong Youn Kim),이복희(Bok Hee Lee) 한국평생교육HRD학회 2022 평생교육 인적자원개발연구 Vol.1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 교수자의 성인 발달장애인 교수경험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탐색하여 평생교육 교수자의 교육적 의미를 논의하는 데 있다. 또한 장애인 평생교육이 꾸준히 확대되면서 평생교육 교수자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평생교육 교수자의 성인 발달장애인 교수경험 의미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성인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평생교육 교수자로서 강의를 시작하게 된 동기는 무엇인가? 둘째, 성인 발달장애인을 교육하는 평생교육 교수자의 가르침에 관한 현상 경험은 어떠한가? 셋째, 평생교육 교수자의 성인 발달장애인 교수경험을 통하여 어떤 변화가 있었는가? 위의 연구 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현상학적 연구 방법 중 Colaizzi 의 연구 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일반 강의 교수 경력 5 년 이상, 성인 발달장애인 강의 교수 경력 3년 이상으로, 교수 경력이 총 8 년 이상인 평생교육 교수자 5명을 선정하였다. 심충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분석하였고, 그 결과 선입견 깨기, 동화되며 소통하기, 지속적인 거듭남의 3개 주제군을 확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 도출된 내용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 발달장애인을 교육하는 평생교육 교수자들은 교수자로서의 꿈을 이루기 위해 본인 성장도 중요하지만, 학습자의 성장도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하며 노력하고 있었다. 둘째, 성인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교육하는 평생교육 교수자에게 열정은 지속적인 성장으로 이끄는 동력이며 학습자에게 전이될 때 학습 촉진에 긍정적 에너지로 작용하고 있었다. 셋째, 학습자 대상의 확장에서 참여자들이 과거의 전공이나 강의했던 내용이 현재의 강으|내용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애인 평생교육 교수자의 교수 경험이 평생교육 학습사회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평생교육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장애인 평생교육 교수자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의의가 있다. This phenomenological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teaching experiences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addition, as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fferently abled continues to expand, the demand for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is also increasing. Accordingly to achieve the goals of the study,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considered: first, what is the motivation for starting a lecture as a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cond, what is the phenomenon experience of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who educate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rd, what is the change through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experience of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order to identify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the researcher selected five research participants who had more than 8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 more than 5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 of general lecture, and 3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using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of Colaizzi. Th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ose in-depth interviewed narrations were coded and categorized in three: breaking prejudice, assimilating and communicating, and continuous rebirth. The results revealed as followings: first, the instructors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lifelong education thought that their growth as a instructor was important to achieve their dreams as much as the growth of learners'. Second, the instructors felt their passion was important element. This was the driving force of their continuous growth and a very positive energy to promote learning of adult student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contents of the participants' past majors or lectures were related to the current lecture contents in the expansion of the targeted learners. This would be interpreted that the teaching experience of the instructors with disabilities had a positive effect lifelong education and learning society in general, and contributed to achieve the purpose of lifelong education. The above results had the meaning of providing basic data on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for the differently abled.

      • KCI등재

        한국 평생교육학의 학문적 성과와 학교기반 교육학에 대한 문제제기(2000-2023)

        한숭희 한국평생교육학회 2023 평생교육학연구 Vol.29 No.4

        이 글은 한국교육학회 70주년을 계기로, 그 동안 평생교육학이 교육학 전체에 어떤 학문적이고 이론적 기여를 해왔는지를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평생교육학이 어떻게 학교교육학의 이론적 지형을 변형해왔으며, 그 외곽에 어떠한 새로운 교육체계와 이론적 지향점을 구축해왔는지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동 학회가 지난 20여 년 동안 발간해 온 <평생교육학연구>에 게재된 논문들의 내용을 재분류하고 그 흐름 속에서 기존 교육학과 대비되는 평생교육학의 이론적 기여도를 추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평생교육학 연구들은 끊임없이 학교교육 및 사회교육과 차별적인 자기 정체성을 개발해 왔지만, 초기 사회교육의 정신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교육의 개념, 대안적 가치, 학습이론, 활동 영역과 지향적 가치 등을 창출해 왔다. (2) 특히 평생학습에 관한 이론 연구는 학교학습과 대비하여 새로운 학습이론의 출발점이자 동시에 새로운 학습과학 영역의 창출이라는 성과를 도출했다. (3) 고등평생교육 영역과 성인교육 영역에 대한 지속적인 제도화 과정은 그 자체로 평생학습체제의 구축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에서 학교와 대학의 근대주의적 구조를 변형하고 대체할 수 있는 포스트 근대적 교육체계를 생산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4) 평생교육학은 교육학의 담론의 중심을 교육에서 학습으로 전환하면서 그 안에서 학교사회 대 학습사회라는 대치 구도를 형성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mark the 7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Society of Education and to reveal what kinds of academic and theoretical contribution that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has made to the overall educational sciences in general. In particular, what this study focuses on is exploring what the lifelong education theories have been constructed and how they gave impact on the dominant school-centered mainstream educational theories. Among many, this article investigates how lifelong education as theory has transformed the theoretical landscape of school-centered ontologies in pedagog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re-classified the contents of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which the Korean Society for Study in Lifelong Education has published over the past 20 years, and extracted the theoretical contrasts that lifelong education created in comparison with existing school-based educational theories from that flow.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pursue of the foundational concept of lifelong education, the researches of lifelong education have continuously created alternative educational concepts, values, and learning theories that gave impacts on transforming or replacing the theories and practices of Korea’s school education system. (2) In particular, researches and theories on lifelong learning resulted in the new starting point of alternative learning theories and, at the same time, the creation of a new field of learning sciences. (3) The continuous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in the areas of adult and higher lifelong education was a consequence of the efforts, and also it was an effective leverage of education system in post-schooling era that transforms and replaces the traditional structure of the schools and universities. (4) Lifelong education has shifted the focus of pedagogical discourse from education to learning, from which the dominant “schooled society” was gradually de-territorialized and re-territorialized towards “learning society”.

      • KCI등재후보

        제도주의 관점에서의 평생교육의 제도화 탐색

        정경순(Jung Kyung-Soon) 한국평생교육학회 2006 평생교육학연구 Vol.12 No.3

          이 연구는 제도주의 관점에서 평생교육의 세계적 제도화 현상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학적 제도주의 관점에서 평생교육 제도화의 개념을 확장한 후, 실체를 포착하기 힘든 평생교육의 제도화를 드러내기 위해 고등교육의 개방과 평생교육 담론 생성의 연계성을 고찰하였다. 또한 세계 188개 국가의 1948년부터 2005년까지의 횡단적?시계열적 자료를 활용한 국가 간 비교연구(crossnational analysis)를 통하여 개방형 고등교육체제의 제도화 추세와 UNESCO를 통한 교육담론의 확산 추세를 비교하였다.<BR>  연구 결과, 고등교육의 개방화와 평생교육 담론의 생성은 대학확장운동이라는 동일한 모태에서 출발하여, 20세기 중반부터 전자는 개방형 고등교육체제로, 후자는 보편적 교육담론으로 발전하여 개별국가의 조건과는 무관하게 범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양자의 연대별 확산추세는 유사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세계정치문화체제(world polity)에서 정당화된 교육 이데올로기, 특히 국제기구를 통한 평생교육 담론에 대한 개별국가의 제도적 응답이 개방형 고등 교육체제의 구축으로 드러난 것으로서, 이는 고등교육 단계까지 평등한 학습기회의 보장을 당연시하는 믿음이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과정을 통해 평생교육이 제도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global institutionalization of lifelong education by establishing the Open Higher Education System(OHES) from the Institutionalist perspective. For this, a comparative study was carried out analysing crossnational historical data of 188 countries from 1948 until 2005.<BR>  The result shows that OHES has expanded and institutionalized at a global level largely independent of counrtyspecific conditions and its institutionalizing trend by era after 1960"s is similar to that of education rationales, especially lifelong education discourse spreaded by UNESCO.<BR>  It suggests that OHES is the institutional product as a nation"s response to lifelong educational discourse and cultural ideologies legitimated in the world polity, and that lifelong education is institutionalized across the world by spreading of the belief to ensure the equal learning opportunity for everyone throughout his life, especially to the stage of higher education is takenforgranted human ri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