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인권민감성에 관한 연구

        정선영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06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23 No.-

        이 연구는 정신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정신장애인의 인권민감성을 알아봄으로써 정신보건영역 종사자들의 인권의식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서울, 경기지역 7개 정신의료기관 종사자 223명과 일반인 197명의 인권민감성을 비교, 조사하였다. 그 결과 종사자와 일반인집단 간의 인권민감성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평균값에서는 종사자의 경우 100점에 미치지 못하는 비교적 낮은 점수가 나타났다. 또한 종사자들의 근무지, 경력, 직군, 인권교육 유무별로 비교, 조사한 결과 수련의와 정신보건사회복지사가 가장 높은 인권민감성을 보였고, 대학병원정신과에 근무하는 사람들과 정신의료기관 경력이 많은 사람들의 인권민감성이 낮았다. 인권교육 경험의 경우에는 교육경험이 인권민감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신의료기관 종사자의 인권의식에 대한 매너리즘을 방지할 수 있는 정기적 인권교육 실시와 더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인권교육 과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중심단어:정신장애인 인권, 인권민감성, 인권옹호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ensitivity of professionals in the mental hospital with regards to human rights compared to people outside of the mental health field and to build the foundational information for promoting human rights of professionals in mental health field, In conducting this study, 7 mental hospital with a sample size of 223 mental hospital professionals, and 107 non-mental hospital professionals, having never contacted mental patients before are administered a closed questionnaire, Also these findings was compared with the result of professional’s occupational background, careers, and previous human rights training or no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①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between professionals and non-professionals in the mental hospital showed no meaningful difference. ② As for professionals’ human rights sensitivity by occupational background, doters who were training for a psychiatrist showed the highest and psychiatrical social workers showed next. ③ As for professionals’ human rights sensitivity by careers, workers who had worked less than 6 months showed the highest human rights sensitivity. ④ professionals who were educated about human rights not differed significantly from professionals who were not educated about human rights. Key words:the human rights for mental disorder, human rights, human rights sensitivity, mental patient

      • KCI등재

        유아의 놀이유형과 발달관련 변인의 관계에 관한 메타분석

        정선영,조한익 한국아동교육학회 2022 아동교육 Vol.31 No.4

        The study is to synthesize the studi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lay types and development related variables through meta-analysis. Research papers were an unpublished thesis, dissertations, journals from 2011 to 2022, and 108 studies (33 unpublished master's theses, dissertations, and 75 journals). The overall effect size of positive play types and development-related variables was high with Z=.431. The moderate variables were developmental type, thesis type, publication year, age, gender, and measurement tools. In the result, the motivation domain showed a high effect size, and the effect size decreased in the order of sociality, language, emotion, and cognitive domain. The effect size of master's thesis and doctoral dissertations was more significant than that of journals. The effect size of mixed ages was more significant than in other ages. The effect size of harmful play types and development-related variables was small (Z=-.165). The motivation domain showed a high effect size negatively. The effect size decreased in the language's order, cognitive, sociality, and emotional domain. The effect size from 2011 to 2015 was more significant than from 2016 to 2019 and 2020 to 2022. In addition, the effect sizes of 4 and 5 years were negatively larger than those of other ages, and boys and girls were negatively higher than those of mixed genders.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examines the effect siz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ositive and harmful play types and developmental variables and how the effect size changes depending on the moderating variables. 본 연구는 유아의 놀이유형과 발달관련 변인의 관계가 어떠한가를 메타분석을 통해 체계적으로 정리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1년부터 2022년까지 국내의 학위, 학술논문들을 검토하여 학위논문 33편, 학술논문 75편 총 108편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유아의 놀이유형과 발달관련 변인의 관계에 관한 메타분석 결과 긍정적 놀이유형과 발달관련 변인의 전체효과크기는 Z=.431로 높게 나타났다. 조절변인인 발달유형, 논문형태, 발행연도, 연령, 성별, 측정도구에 따라서 긍정적 놀이유형과 발달관련 변인의 효과크기가 어떠한가를 살펴본 결과 동기 영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성 영역, 언어 영역, 정서 영역, 인지 영역의 순으로 효과크기가 낮아졌다. 학위논문의 효과크기가 학술논문의 효과크기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혼합연령의 효과크기가 다른 연령의 효과크기 보다 높게 나타났다. 부정적 놀이유형과 발달관련 변인의 전체효과크기는 Z=-.165로 낮게 나타났다. 동기 영역의 효과크기가 부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언어 영역, 인지 영역, 사회성 영역, 정서 영역 순으로 효과크기가 낮아졌다. 2011∼2015년까지의 효과크기가 2016∼2019년, 2020∼2022년까지의 효과크기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만 4세, 만 5세 연령의 효과크기가 다른 연령보다 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남아, 여아의 효과크기는 혼합대상보다 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의 긍정적, 부정적 놀이유형과 발달관련 변인의 관계에 관한 전체효과크기는 어떠한지, 조절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는 어떻게 달라지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 이스라엘의 하브루타식 온라인 토론활동이 대학생들의 토론능력 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정선영,최현 한국교육공학회 2015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5 No.1

        본 연구는 이스라엘의 하브루타식 온라인 토론활동을 적용하여 대학생의 토론능력과 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문제를 첫째, 온라인 토론활동이 대학생의 토론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온라인 토론활동이 대학생의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로 설정하였다. 연구 대상은 K 대학의 교직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대학생 3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토론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정선영(2014)이 개발한 통합적 토론수행기술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웹기반 학습동기를 측정하기 위해 Pintrich, Smith, Garcia와 Mckeachie(1993)의 학습동기 전략 질문지MSLQ)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토론은 이스라엘의 하브루타 방식의 토론방법을 활용하여 3단계 6가지 원리를 기초로 구성되었다. 1단계는 경청하기와 재확인하기, 2단계는 반문하기와 집중공략하기, 3단계는 지지하기와 도전하기이다(Kent, 2010). 1단계 경청하기 및 재확인하기는 메시지 내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질문, 상대방이 말한 내용을 명확하게 확인하는 질문 및 답변을 말한다. 2단계는 반문하기 및 집중공략하기로 상대방 주장에 반박할 수 있는 질문 및 답변을 말한다, 3단계 지지하기 및 도전하기는 지지할 수 있는 의견이나 상충하는 질문 및 답변으로 갈등상황에 대한 해결책에 대한 질문 및 답변의 형태로 이루어졌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토론활동은 온라인 가상대학을 활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실험집단은 이스라엘의 하브루타식 토론방법에 기초하여 일대일 온라인 토론활동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자유토론 방식으로 온라인 토론활동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하브루타식 온라인토론 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의 토론능력과 학습동기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는 온라인 토론활동의 활성화와 학습자 동기 유발을 위한 구체적인 토론전략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청소년 학업중단 숙려상담 체크리스트의 타당성 검증: 학교상담사의 학업중단 숙려상담 경험과 초․중․고․교육청 등 소속 기관을 중심으로

        정선영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19 Global Creative Leader Vol.9 No.2

        본 연구는 학업중단 숙려상담 체크리스트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체크리스트는 정선영(2018)의 학업중단 숙려상담 모델의 6개 요소 17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체크리스트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우선 델파이 전문가 3인의 검토를 통해 세부 문항을 확정하고, 그리고 전국 학교 상담사 309명 대상 조사연구에서는 학업중단 숙려상담의 경험 유무와 소속 기관을 중심으로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변별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학업중단 숙려상담 체크리스트는 문제정의, 지지하기, 대안탐색, 목표세우기, 실행 및 평가 각각 하위 3문항씩, 연계 및 추수 하위 2문항으로 총 17문항으로 개발되었다. 둘째, 체크리스트에 대한 학교상담사의 설문에서는 적합성을 판별하는 기준치를 넘어 6요인 17문항이 잘 설명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도구의 신뢰도, 타당도가 확보되었다. 셋째, 학업중단 숙려상담 경험이 있는 경우 체크리스트가 유의한 차이로 더 타당하였다. 넷째, 고등학교에서 일반화의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reliability and feasibility of a checklist for cooling-off counseling for students considering school dropout. The checklist based on the study of Jung (2018) consists of 17 questions of six factors. In this study, the detailed questions were finalized through a review by three Delphi expert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is checklist, and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round to look into how different they are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school dropout counseling and their respective institutional types in a survey study of 309 school counselors nationwid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analysis of Delphi experts, the checklist for cooling-off counseling was developed into 17 questions with 6 factors such as problem identification, support exploration, alternatives search, target setting, execution & evaluation, and link & harvest. Second, the school counselor's questionnaire on the checklist confirmed that the 17 questions were well described verifying the reliability and feasibility of the tool. Third, the checklist was found to be more relevant by a significant margin when the experience of cooling-off counseling was compared. Fourth, the checklist were found to be more suitable for cooling-off counseling in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education bureaus than in elementary school, and were most likely to be generalized especially in high school.

      • 토론능력 측정도구 타당화 연구

        정선영,김효미 한국교육공학회 2015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5 No.1

        본 연구는 토론수업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토론수행 과정에서 필요한 토론수행능력을 측정하는 타당하고 신뢰로운 토론능력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토론능력 측정도구 개발을 위해서 기존의 선행연구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토론능력의 하위요인과 세부문항을 도출한 후 전문가 내용타당도와 두 차례의 예비검사를 거쳐 4요인 40문항을 예비로 확정하였다. 그 후 306명의 초중등 학습자를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비판적사고 능력 7문항, 커뮤니케이션능력 4문항, 논쟁적 유연성 3문항의 14문항을 최종문항으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토론교육 확산을 위해 토론수행 과정에서 필요한 수행기술을 객관적으로 타당화시킴으로써 토론교육 자체의 중요성이 현장에 실현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더불어 현재 한국의 교육현장에서 토론이 거의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과 우리나라에서 토론수업의 장애요인에 대한 연구(정선영, 배성아, 2013)결과에서 한국학생들은 자신의 토론능력으로 인한 토론수업의 장애를 높게 인식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교육현장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토론을 활성화 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의의가 있다. 요컨대, 현재 우리의 교육현장에서는 토론을 단순히 다른 학습내용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업방법 중 하나로 활용할 뿐이지 ``토론 그 자체로의 교육적 결과``에 대한 가치 인식이 부족함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토론이 토론 그 자체로의 교육목적이 아닌 수업활동의 일부로만 다루어지고 있는 것은 토론을 통해 어떠한 능력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지에 대한 기준이 없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토론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측정도구가 제대로 개발되지 않았기 때문에 성공적인 토론을 위해 어떠한 능력을 가르쳐야 할지에 대한 정보가 부 족함을 유추 할 수 있다. 따라서, 토론교육 방법을 연구하는 것만큼이나 중요한 것은 토론능력을 개발하는 일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인 토론능력 측정도구의 개발과 타당화 연구는 토론수업의 목표를 구체적으로 제시해 줄 것이며, 교사들이 학생들에게 어떠한 능력을 배양시켜야 하는가를 안내 해 줄 것이다. 또한 학생들에게는 어떠한 능력이 습득되어야 토론을 잘 할 수 있는지를 객관적으로 인식 할 수 있게 하는 자료가 될 것이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창의성 역량과 사회적 문제해결력을 중심으로

        정선영,김도현,김래영 한국교육방법학회 2019 교육방법연구 Vol.31 No.3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you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youth creativity and social problem solving skills were verified. The subjects were 442 students from 11 high schools nationwide, including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re were assigned either 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respectively. Ones who want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s were assigned to control group. The educational program consisted of 10 classes. Research tools consisted of creativity competency revised by Ahn(2017)'s research instrument measuring creativity, and social problem solving revised by D'Zurila and Nezu (1990)’s research instrument. Studies have shown that you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s significant effects on each sub-component of youths’ creativity and social problem solving skills. These finding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have proven that entrepreneurship education can have positive effects on creativity and social problem solving, which are important capabilities for future youth.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has broadened its understanding of you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suggesting the future courses of you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본 연구는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창의성 역량과 사회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을 비롯한 전국 11개의 고등학교 학생 442명이며, 각각 221명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배치되었다.교육 프로그램은 총 10차시로 구성되었다. 연구도구는 창의성 역량 측정을 위해 안태욱(2017)의 연구에서 사용된 협력적 의사소통, 창의적 문제해결력, 혁신적 업무행동능력으로 구성된창의성 역량 측정도구를 사회적 문제해결력 측정을 위해 D’Zurila와 Nezu(1990)가 제작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척도(Social Problem-Solving Inventory) 중 문제규정과 의사결정을 본 연구의 목적과 취지에 적합하게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창의성역량과 사회적 문제해결력 각각의 하위요소에 유의미한 효과 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소년에게 기업가정신 교육을 통해 미래 청소년에게 중요한 역량인 창의성과 사회적 문제해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검증했다는 점에서의의가 크다. 또한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향후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이 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델파이 기법을 이용한 영유아 돌봄・교육기관 감염병 대응 권고안의 타당성과 적용 가능성

        정선영,박진희,백선희,지성애,최성애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2 保健社會硏究 Vol.4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recommendations for response to infectious diseases in child care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this, we developed a delphi survey questionnaire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with 20 experts who had experience in responding to infectious disease, and reviewed the literature related to the response of infectious diseases in child care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wice for a total of 30 people, including 10 directors and 10 teachers in child care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10 infection control expert who had experience in responding to infectious diseases in hospitals. After delphi survey, interquartile range, mean value, standard deviation, median, and content validity ratio (CVR) were analyzed. As a result, we completed a total of 168 recommendations in three areas­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 principles; daily infection control; infection control during infectious disease outbreaksin order to better respond to infectious diseases in child care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본 연구에서는 국내 영유아 돌봄・교육기관의 감염병 대응을 위한 권고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영유아 돌봄・교육기관에서 감염병 대응업무를 경험한 전문가 20인이 참여한 포커스그룹인터뷰, 국내외 영유아 돌봄・교육기관의 감염병 대응과 관련된 문헌고찰을 통해 델파이 조사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델파이조사는 영유아 돌봄・교육 업무 중 감염병 대응 경험이 있는 원장 10인, 교사 10인, 감염관리전문간호사 및 감염내과 의사 10인으로 총 30인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델파이 조사 후 각 항목별로 사분위범위, 평균값, 표준편차, 중앙값, 내용타당도비율(Content Validity Ratio, CVR)를 분석하였다. 2회의 델파이 조사와 분석을 통해 영유아 돌봄・교육기관 감염병 대응을 위해 감염병 예방과 관리원칙, 평상시 감염관리, 감염병 유행 시 감염관리를 포함한 3개 영역, 총 168개 권고안을 완성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