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유아의 놀이유형과 발달관련 변인의 관계에 관한 메타분석
정선영,조한익 한국아동교육학회 2022 아동교육 Vol.31 No.4
The study is to synthesize the studi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lay types and development related variables through meta-analysis. Research papers were an unpublished thesis, dissertations, journals from 2011 to 2022, and 108 studies (33 unpublished master's theses, dissertations, and 75 journals). The overall effect size of positive play types and development-related variables was high with Z=.431. The moderate variables were developmental type, thesis type, publication year, age, gender, and measurement tools. In the result, the motivation domain showed a high effect size, and the effect size decreased in the order of sociality, language, emotion, and cognitive domain. The effect size of master's thesis and doctoral dissertations was more significant than that of journals. The effect size of mixed ages was more significant than in other ages. The effect size of harmful play types and development-related variables was small (Z=-.165). The motivation domain showed a high effect size negatively. The effect size decreased in the language's order, cognitive, sociality, and emotional domain. The effect size from 2011 to 2015 was more significant than from 2016 to 2019 and 2020 to 2022. In addition, the effect sizes of 4 and 5 years were negatively larger than those of other ages, and boys and girls were negatively higher than those of mixed genders.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examines the effect siz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ositive and harmful play types and developmental variables and how the effect size changes depending on the moderating variables. 본 연구는 유아의 놀이유형과 발달관련 변인의 관계가 어떠한가를 메타분석을 통해 체계적으로 정리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1년부터 2022년까지 국내의 학위, 학술논문들을 검토하여 학위논문 33편, 학술논문 75편 총 108편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유아의 놀이유형과 발달관련 변인의 관계에 관한 메타분석 결과 긍정적 놀이유형과 발달관련 변인의 전체효과크기는 Z=.431로 높게 나타났다. 조절변인인 발달유형, 논문형태, 발행연도, 연령, 성별, 측정도구에 따라서 긍정적 놀이유형과 발달관련 변인의 효과크기가 어떠한가를 살펴본 결과 동기 영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성 영역, 언어 영역, 정서 영역, 인지 영역의 순으로 효과크기가 낮아졌다. 학위논문의 효과크기가 학술논문의 효과크기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혼합연령의 효과크기가 다른 연령의 효과크기 보다 높게 나타났다. 부정적 놀이유형과 발달관련 변인의 전체효과크기는 Z=-.165로 낮게 나타났다. 동기 영역의 효과크기가 부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언어 영역, 인지 영역, 사회성 영역, 정서 영역 순으로 효과크기가 낮아졌다. 2011∼2015년까지의 효과크기가 2016∼2019년, 2020∼2022년까지의 효과크기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만 4세, 만 5세 연령의 효과크기가 다른 연령보다 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남아, 여아의 효과크기는 혼합대상보다 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의 긍정적, 부정적 놀이유형과 발달관련 변인의 관계에 관한 전체효과크기는 어떠한지, 조절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는 어떻게 달라지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청소년 학업중단 숙려상담 체크리스트의 타당성 검증: 학교상담사의 학업중단 숙려상담 경험과 초․중․고․교육청 등 소속 기관을 중심으로
정선영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19 Global Creative Leader Vol.9 No.2
본 연구는 학업중단 숙려상담 체크리스트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체크리스트는 정선영(2018)의 학업중단 숙려상담 모델의 6개 요소 17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체크리스트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우선 델파이 전문가 3인의 검토를 통해 세부 문항을 확정하고, 그리고 전국 학교 상담사 309명 대상 조사연구에서는 학업중단 숙려상담의 경험 유무와 소속 기관을 중심으로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변별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학업중단 숙려상담 체크리스트는 문제정의, 지지하기, 대안탐색, 목표세우기, 실행 및 평가 각각 하위 3문항씩, 연계 및 추수 하위 2문항으로 총 17문항으로 개발되었다. 둘째, 체크리스트에 대한 학교상담사의 설문에서는 적합성을 판별하는 기준치를 넘어 6요인 17문항이 잘 설명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도구의 신뢰도, 타당도가 확보되었다. 셋째, 학업중단 숙려상담 경험이 있는 경우 체크리스트가 유의한 차이로 더 타당하였다. 넷째, 고등학교에서 일반화의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정선영,김효미 한국교육공학회 2015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5 No.1
본 연구는 토론수업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토론수행 과정에서 필요한 토론수행능력을 측정하는 타당하고 신뢰로운 토론능력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토론능력 측정도구 개발을 위해서 기존의 선행연구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토론능력의 하위요인과 세부문항을 도출한 후 전문가 내용타당도와 두 차례의 예비검사를 거쳐 4요인 40문항을 예비로 확정하였다. 그 후 306명의 초중등 학습자를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비판적사고 능력 7문항, 커뮤니케이션능력 4문항, 논쟁적 유연성 3문항의 14문항을 최종문항으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토론교육 확산을 위해 토론수행 과정에서 필요한 수행기술을 객관적으로 타당화시킴으로써 토론교육 자체의 중요성이 현장에 실현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더불어 현재 한국의 교육현장에서 토론이 거의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과 우리나라에서 토론수업의 장애요인에 대한 연구(정선영, 배성아, 2013)결과에서 한국학생들은 자신의 토론능력으로 인한 토론수업의 장애를 높게 인식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교육현장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토론을 활성화 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의의가 있다. 요컨대, 현재 우리의 교육현장에서는 토론을 단순히 다른 학습내용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업방법 중 하나로 활용할 뿐이지 ``토론 그 자체로의 교육적 결과``에 대한 가치 인식이 부족함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토론이 토론 그 자체로의 교육목적이 아닌 수업활동의 일부로만 다루어지고 있는 것은 토론을 통해 어떠한 능력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지에 대한 기준이 없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토론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측정도구가 제대로 개발되지 않았기 때문에 성공적인 토론을 위해 어떠한 능력을 가르쳐야 할지에 대한 정보가 부 족함을 유추 할 수 있다. 따라서, 토론교육 방법을 연구하는 것만큼이나 중요한 것은 토론능력을 개발하는 일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인 토론능력 측정도구의 개발과 타당화 연구는 토론수업의 목표를 구체적으로 제시해 줄 것이며, 교사들이 학생들에게 어떠한 능력을 배양시켜야 하는가를 안내 해 줄 것이다. 또한 학생들에게는 어떠한 능력이 습득되어야 토론을 잘 할 수 있는지를 객관적으로 인식 할 수 있게 하는 자료가 될 것이다.
이스라엘의 하브루타식 온라인 토론활동이 대학생들의 토론능력 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정선영,최현정 한국교육공학회 2015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5 No.1
본 연구는 이스라엘의 하브루타식 온라인 토론활동을 적용하여 대학생의 토론능력과 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문제를 첫째, 온라인 토론활동이 대학생의 토론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온라인 토론활동이 대학생의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로 설정하였다. 연구 대상은 K 대학의 교직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대학생 3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토론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정선영(2014)이 개발한 통합적 토론수행기술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웹기반 학습동기를 측정하기 위해 Pintrich, Smith, Garcia와 Mckeachie(1993)의 학습동기 전략 질문지MSLQ)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토론은 이스라엘의 하브루타 방식의 토론방법을 활용하여 3단계 6가지 원리를 기초로 구성되었다. 1단계는 경청하기와 재확인하기, 2단계는 반문하기와 집중공략하기, 3단계는 지지하기와 도전하기이다(Kent, 2010). 1단계 경청하기 및 재확인하기는 메시지 내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질문, 상대방이 말한 내용을 명확하게 확인하는 질문 및 답변을 말한다. 2단계는 반문하기 및 집중공략하기로 상대방 주장에 반박할 수 있는 질문 및 답변을 말한다, 3단계 지지하기 및 도전하기는 지지할 수 있는 의견이나 상충하는 질문 및 답변으로 갈등상황에 대한 해결책에 대한 질문 및 답변의 형태로 이루어졌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토론활동은 온라인 가상대학을 활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실험집단은 이스라엘의 하브루타식 토론방법에 기초하여 일대일 온라인 토론활동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자유토론 방식으로 온라인 토론활동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하브루타식 온라인토론 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의 토론능력과 학습동기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는 온라인 토론활동의 활성화와 학습자 동기 유발을 위한 구체적인 토론전략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정선영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06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23 No.-
이 연구는 정신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정신장애인의 인권민감성을 알아봄으로써 정신보건영역 종사자들의 인권의식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서울, 경기지역 7개 정신의료기관 종사자 223명과 일반인 197명의 인권민감성을 비교, 조사하였다. 그 결과 종사자와 일반인집단 간의 인권민감성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평균값에서는 종사자의 경우 100점에 미치지 못하는 비교적 낮은 점수가 나타났다. 또한 종사자들의 근무지, 경력, 직군, 인권교육 유무별로 비교, 조사한 결과 수련의와 정신보건사회복지사가 가장 높은 인권민감성을 보였고, 대학병원정신과에 근무하는 사람들과 정신의료기관 경력이 많은 사람들의 인권민감성이 낮았다. 인권교육 경험의 경우에는 교육경험이 인권민감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신의료기관 종사자의 인권의식에 대한 매너리즘을 방지할 수 있는 정기적 인권교육 실시와 더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인권교육 과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중심단어:정신장애인 인권, 인권민감성, 인권옹호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ensitivity of professionals in the mental hospital with regards to human rights compared to people outside of the mental health field and to build the foundational information for promoting human rights of professionals in mental health field, In conducting this study, 7 mental hospital with a sample size of 223 mental hospital professionals, and 107 non-mental hospital professionals, having never contacted mental patients before are administered a closed questionnaire, Also these findings was compared with the result of professional’s occupational background, careers, and previous human rights training or no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①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between professionals and non-professionals in the mental hospital showed no meaningful difference. ② As for professionals’ human rights sensitivity by occupational background, doters who were training for a psychiatrist showed the highest and psychiatrical social workers showed next. ③ As for professionals’ human rights sensitivity by careers, workers who had worked less than 6 months showed the highest human rights sensitivity. ④ professionals who were educated about human rights not differed significantly from professionals who were not educated about human rights. Key words:the human rights for mental disorder, human rights, human rights sensitivity, mental patient
하절기 낙동강 창녕함안보 구간에서의 수질특성 및 영향인자의 상관관계 분석
정선영,김일규 대한상하수도학회 2017 상하수도학회지 Vol.31 No.1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Chl-a and water quality factors using characteristics of climate data, water quality factors, and various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s during the summer season in the Nakdong River during the 2-year peri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water quality management policy in the Changnyeong-Haman weir section. From the end of July to the middle of August when algae mainly occur, both the years 2015 and 2016 are in the temperature range of 25 ~ 30 °C, and the total precipitation of 2015 is less than that of 2016 in this perio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concentration of Chl-a, the average Chl-a concentration of 2015 was higher than that of 2016, which seems to be related to the total precipitation in the occurrence of algae.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correlation with PO4-P was significant at most points. As a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the first principal factor group classified PO4-P, NH3-N, TP, pH, flow rate, TN and this section seems to be influenced by phosphorus and nitrogen and flow rate.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
정선영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4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W시에 소재하는 K대학에 재학 중인 1학년 학생 490명중에서 지원을 받아 38명을 우선순위로 선정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2013. 10. 11부터 29까지 회당 3시간, 주 2회씩 6회기 과정을 실시하였다. 사전ㆍ사후에 정택희(1987)가 개발하고 김종명(1991)이 재개발한 자기효능감검사와 Navran(1967)이 개발하고, 최은연(2004)이 번안한 의사소통능력척도(Primary Communication Inventory; PCI)를 실시한 후 SAS 9.1.3 version program으로 검사결과를 분석하였다.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자기효능감의 하위영역인 '활동지속능력(p<.01)'과 ‘혐오경험극복능력(p<.01)’에 향상을 보였고 전체 자기효능감에 향상을 보였다(p<.01). 그리고 의사소통 능력에서는 의사소통 능력의 하위영역인 ‘언어적 의사소통(p<.01)’과 ‘비언어적 의사소통(p<.01)’ 모두에서 향상을 보였고 전체 의사소통능력에도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p<.01). 이러한 결과는 NLP를 이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e NLP group counseling program on communication and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8 volunteers out of 490 freshmen of K University in the W city. This program was carried out from October 11 to October 29, 2013 for twice a week(six times total), and it took about three hours each session. Before and after this program, the methods used to measure the effects of self-efficacy were developed by Jeong Tak Heui(1987) and redeveloped by Kim Joung Myoung(1991), communication inventory (Primary Communication Inventory: PCI) as developed by Navran(1967) and translated by Choi Eun Yun(2004). The test results were analyzed by SAS 9.1.3 version program. The results of the NLP group-counseling program i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sub-field of self-efficacy ‘activity sustainment ability(p<.01)', ‘abhorrence -overcoming ability(p<.01)’, total self-efficacy(p<.01). and sub-field of communication ability ‘verbal communication(p<.01)' and ‘non-verbal communication(p<.01)’, total communication(p<.01).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ay that the NLP group-counseling program improves university students’ self-efficacy and communication.
모성 이데올로기, 돌봄서비스 이용, 그리고 어머니의 행복감 - 영유아 어머니의 취업여부를 중심으로 -
정선영 한국가족학회 2019 가족과 문화 Vol.31 No.1
본 연구는 영유아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모성 이데올로기 수용 수준이 돌봄서비스의 선택 및 이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취업모와 비취업모 집단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모성 이데올로기 수용 수준이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라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아동패널」의 2, 3, 7차년도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성 이데올로기 수용 수준은 취업모에 비해 비취업모 집단에서 높았다. 둘째, 모성 이데올로기 수용 수준은 취업모가 돌봄서비스를 선택하는데 있어 영향력을 미치지 않았으나 비취업모의 돌봄서비스 선택에는 영향력을 미쳤다. 셋째, 모성 이데올로기 수용 수준은 취업모의 행복감을 설명하지 않았으나, 비취업모의 행복감과 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 방향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levels of personal acceptance of motherhood ideology on the use of child care depending on the employment status of mothers with toddlers. Additionally, it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ose levels on the happiness of mothers. For this, we used data from the 2nd, 3rd, and 7th waves of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s of personal acceptance of motherhood ideology were higher among non-employed mothers than employed ones. Second, while those levels did not influence the use of child care among employed mothers, they were related to the use of child care among non-employed mothers. Third, while those levels did not affect the levels of happiness of employed mothers, they were related to the levels of happiness of non-employed mothers. Based on these findings, it suggested th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예비중등교사의 메타인지와 사회적 문제해결기술의 관계연구
정선영(鄭善永),배성아(裵成娥)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아시아교육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예비교사가 인지하는 메타인지와 사회적 문제해결기술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서울시의 예비중등교사 114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검사도구로는 Schraw와 Dennison(1994)가 제작한 Meta-cognitive Skill 측정도구와 D"zurilla 와 Nezu(1990)가 제작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척도(SPSI: Social Problem-Solving Inventory) 중에서 본 연구과 직접 관련되는 문항만을 취하여 여려 차례 전문가의 검토를 거쳐 수정?보완된 것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메타인지가 높은 집단은 메타인지가 낮은 집단에 비해 사회적 문제해결기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메타인지의 하위요소 중에서 평가하기, 정보관리하기, 모니터링하기가 사회적 문제해결기술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중에서도 평가하기가 가장 유의한 핵심요소로 분석되었다. 또한, 메타인지의 하위요소가 사회적 문제해결기술의 하위요소인 문제규정, 대안산출, 의사결정, 해결실행을 예측하는 설명력을 알아본 결과, 사회적 문제해결기술의 하위요소 중 문제규정과 대안산출에서는 정보관리하기가 핵심요소로, 의사결정에서는 모니터링하기가 핵심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교사양성 교육과정에서 예비중등교사들이 다양한 문제해결과제를 통해 메타인지를 적용하는 능력을 키워나갈 수 있도록 하고, 문제해결 과정에서 스스로 정보를 관리하고, 모니터링하고, 평가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pre-service teacher"s meta-cognition and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A total of 114 student-teachers entering a university in Seoul were chosen to conduct a survey, The pre-service teachers" meta-cognition was measured by Meta-cognitive Awareness Inventory developed by Schraw and Dennison (1994) and their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were measured by Problem-Solving Inventory developed by D"zurilla and Nezu(1990) after several expert reviews and revisions to meet the needs of current study.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comparing to a low level of meta-cognition group, a high level of meta-cognition group showed higher level of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Some subordinate factors of meta-cognition(evaluating, information controlling, and monitoring) significantly predict one"s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and evaluating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In addi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subordinate factors of both meta-cognition and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information management and monitoring were the significant factor for problem identification, alternative generation, and decision making respectively.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considered that curriculum of pre-service teachers creates opportunities for pre-service teachers to develop meta-cognition through diverse problem-solving projects through which they could efficiently manage information, monitor and evaluate their performance by themsel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