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논에서 제초제 저항성잡초 발생 현황과 전망

        박태선(Tae Seon Park),이인용(In Yong Lee),성기영(Ki Yeong Seong ),조현숙(Hyeon Suk Cho),박홍규(Hong Kyu Park),고재권(Jae Kwon Ko),강위금(Ui Gum Kang) 韓國雜草學會 2011 Weed&Turfgrass Science Vol.31 No.2

        2010년까지 국내 논에서 설포닐우레아(sulfonylurea : SU)계 제초제들에 대한 저항성잡초로 확인된 잡초들 1998년도에 충남서산 간척지 논에서 물옥잠이 확인 이후 일년생 물달개비, 올챙이고랭이, 알방동사니 등 7초종, 다년생 올미, 새섬매자기 등 다년생 잡초 3초종이 발생하여 총 10초종이다. 그리고 2009년 ACCase 및 ALS 저해제들에 대한 저항성 피가 담수직파 논의 서·남부지역에서 처음 확인되었다. 초기에는 SU계 제초제들에 대한 저항성잡초들인 물달개비, 올챙이고랭이, 알방동사니 등은 하나의 논 필지에 하나의 초종들이 발생을 하였으나 최근에는 하나의 필지에 다수의 초종들이 동시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2008년도에 전국 861필지의 논에서 채취한 토양에서 발생하고 있는 물달개비 및 올챙이고랭이의 저항성 비율은 각각 42% 및 23%로 나타났다. 저항성잡초들의 생체중을 50% 억제한 농도(GR50)는 저항성 계통이 감수성 계통에 비해 수 십배에서 수 천배 높게 나타났다. ACCase 및 ALS 저해 제초제들인 cyhalofop-butyl, pyriminobac-methyl, penoxulam 저항성 강피에 대한 저항성 계통의 GR50은 감수성 계통에 비해 각각 14, 8, 11배나 높게 나타났다. 한국의 논에서 제초제 저항성의 다발생과 확산의 원인은 크게 잡초측면과 제초제 측면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잡초측면에서는 종자생산량과 발아율이 높은 잡초들 즉 물달개비, 올챙이고랭이 등이 저항성잡초로 변화한다. 그리고 제초제 측면은 저항성 잡초 유발의 원인인 선택성이 탁월하고 약효지속성이 매우 긴 SU계 제초제들의 광범위한 사용이다. SU계 제초제들의 생산 품목들과 처리 논 면적의 비율은 각각 69%와 96%이다. 그리고 2003년까지 처리면적으로 본 선호도 10위까지 제초제들은 대부분 SU계 제초제들이 혼합된 “일발처리제”들이다. 직파재배 논에서 ACCase 및 ALS들이 혼합된 제초제들의 연용은 제초제 저항성 피를 유발하였고, 이는 피에 효과적인 SU계 제초제들인 pyrazosulfuron-ethyl 및 imazosulfuron과 무관하지 않다. SU계 제초제들에 대한 물옥잠의 저항성 계통의 I50은 감수성 계통에 비해서 14배에서 76배 높았는데, 이는 제초제의 흡수 및 이행에 의한 차이보다는 ALS 유전자의 점 돌연변이(point mutation)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ALS 유전자 아미노산 197번째 proline이 serine로 변화되었기 때문이다. 제초제 저항성잡초 방제로 benzobicyclone, bromobutide 등은 광엽 및 방동사니과 잡초들을 동시에 방제가 가능하다. 그리고 ACCase 및 ALS 저항성 피의 방제는 mefenacet, fentrazamide, cafenstrole로 2엽기까지 방제가 가능하다. 그러나 앞으로 국내 논에서 제초제 저항성잡초 및 관리에 대해서는 많은 문제점들을 내포하고 있다. 첫째, 현재까지 제초제 저항성 유발 약제들인 ALS 및 ACCase 저해제들의 사용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제초제 저항성 잡초들은 계속 발생할 뿐만 아니라 더욱 빠른 속도로 확산할 것이다. 둘째, 미국, 유럽, 호주 등 선진국들과 같은 제초제 저항성잡초를 연구할 수 있는 전문 연구기관과 인력이 부족하다. Sulfonylurea (SU)-resistant weeds include seven annual weeds such as Monochoria vaginalis, Scirpus juncoides and Cyperus difformis, etc., and three perennial weeds of Scirpus planiculmis, Sagittaria pigmaea and Eleocharis acicularis as of 2010 since identification Monochoria korsakowii in the reclaimed rice field in 1998. The Echinochloa oryzoides resistant to acetyl CoA carboxylase (ACCase) and acetolactate synthase (ALS) inhibitors has been confirmed in wet-direct seeding rice field of the southern province, Korea in 2009. In the beginning of occurrence of SU-resistant weeds the M. vaginalis, S. juncoides and C. difformis were rapidly and individually spreaded in different fields, however, theses resistant weeds have been occurring simultaneously in the same filed as time goes by. The resistant biotype by weed species demonstrated about 10- to 1,000-fold resistance, base on GR50 (50% growth reduction) values of the SU herbicides tested. And the resistant biotype of E. oryzoides to cyhalofop-butyl, pyriminobac-methyl, and penoxsulam was about 14, 8, and 11 times more resistant than the susceptible biotype base on GR50 values. In history of paddy herbicides in Korea, the introduction of SU herbicides including besulfuron-metyl and pyrazosulfuron-ethyl that control many troublesome weeds at low use rates and provide excellent crop safety gave farmers and many workers for herbicide business refreshing jolt. The products and applied area of SU-included herbicides have been rapidly increased, and have accounted for about 69% and 96%, respectively, in Korea. The top ten herbicides by applied area were composed of all SU-included herbicides by 2003. The concentrated and successive treatment of ACCase and ALS inhibitors for control of barnyardgrass in direct-seeded rice led up to the resistance of E. oryzoides. Also, SU-herbicides like pyrazosulfuron-ethyl and imazosulfuron which are effective to barnyardgrass can be bound up with the resistance of E. oryzoides. The ALS activity isolated from the resistant biotype of M. korsakowii to SU-herbicides tested was less sensitive than that of susceptible biotype. The concentration of herbicide required for 50% inhibition of ALS activity (I50) of the SU-resistant M. korsakowii was 14- to 76-fold higher as compared to the susceptible biotype.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rates of [14C]bensulfuron uptake and translocation. ALS genes from M. vaginalis resistant and susceptible biotypes against SU-herbicides revealed a single amino acid substitution of proline (CCT), at 197th position based on the M. korsakowii ALS sequence numbering, to serin (TCT) in conserved domain A of the gene. Carfentrazone-ethyl and pyrazolate were used mainly to control SU-resistant M. vaginalis by 2006, the early period, in Korea. However, the alternative herbicides such as benzobicyclone, to be possible to control simultaneously the several resistant weeds, have been developing and using broadly because the several resistant weeds have been occurring simultaneously in the same filed. The top ten herbicides by applied area in Korea have been occupied by products of 3-way mixture type including herbicides with alternative mode of action for the herbicide resistant weeds. Mefenacet, fentrazamide and cafenstrole had excellent controlling effects on the ACCase and ALS inhibitors resistant when they were applied within 2 leaf stage.

      • KCI등재
      • KCI등재

        인간의 건강을 위해하는 한국의 알레르기 잡초

        김민주(Minju Kim),김소연(So Yeon Kim),장근정(Geun Jung Jang),이용호(Yong Ho Lee),홍선희(Sun Hee Hong),김성문(Songmun Kim) 한국잡초학회 2021 Weed & Turfgrass Science Vol.10 No.3

        전 세계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잡초의 꽃가루로 인해 알레르기 결막염, 비염, 천식, 아나필락시스 등 다양한 알레르기 관련 질환으로 고통받고 있으며, 한국 인구의 30% 이상이 꽃가루 알레르기를 앓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공중 보건에 대한 악영향에도 불구하고 알레르기 잡초와 한국 내에서의 분포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기에 저자들은 알레르기의 작용기전,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국내 잡초와 국내에서의 분포, 그리고 알레르기 유발 잡초가 주는 시사점을 소개한다. 잡초에 의해 발생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은 일반적으로 꽃가루로 인해 발병하며, 현재 미세먼지와 꽃가루 수가 증가함에 따라 실제로 알레르기성 비염의 진단율은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알레르기 잡초가 국민건강에 미치는 경제·사회적인 영향은 매우 크기에, 본 리뷰에서는 이와 같은 알레르기 질환을 유발하는 환삼덩굴속(Humulus), 소리쟁이속(Rumex), 명아주속(Chenopodium), 댑싸리속(Kochia), 갯능쟁이속(Atriplex), 비름속(Amaranhus) 질경이속(Plantago), 돼지풀속(Ambrosia), 도꼬마리속(Xanthium), 미역취속(Solidago), 개망초속(Erigenom), 쑥갓속(Chrysanthemun)에 속하는 식물들에 대해 다루었으며, 이들과 같은 알레르기 잡초는 향후 한국 잡초학회 회원들의 주요 연구 주제가 될 것이라 기대된다. Many people in the world are suffering from various allergy-related diseases, such as allergic conjunctivitis, rhinitis, asthma, and anaphylaxis, caused by the pollen grains of weeds. More than thirty percent of the population in Korea is reported to have been suffering from pollen allergies. Despite their adverse effects on public health, little is known about allergic weeds and their distribution in Korea. The authors introduce the mechanism of action of allergies, the domestic weeds that cause allergies and their distribution in Korea, and the implications of the allergy-causing weeds. Most of allergies are caused by the pollen from the flower of weeds, e.g., Humulus, Rumex, Chenopodium, Kochia, Atriplex, Amaranthus, Plantago, Ambrosia, Xanthium, Solidago, Erigenom, and Chrysanthemun plants, which are discussed in this review. Recently the increasing of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nd pollen became a great cause of an allergic disease, just like the diagnostic yield of allergic coryza. The effects of weeds on people"s health are expected to become an important research topic among members of the Korean society of weed science.

      • 기후변화에 따른 남해안 지역 동계잡초 발생 변화

        이도진(Do Jin Lee),장세지(Se Ji Jang),박현화(Hyun Hwa Park),김희권(Hee Kwon Kim),전병준(Byung Jun Chon),국용인(Yong In Kuk) 한국잡초학회 2021 한국잡초학회 별책(학술대회 초록집) Vol.41 No.1

        기후변화는 기후 의존도가 높은 농업에 전반적인 영향을 미쳐, 안정적 농업생산에 위기를 초래할 것으로 예상한다. 특히 기후변화로 인하여 새로운 병해충이나 잡초가 발생하고 있으며, 농작물 재배 환경의 변화로 수량 및 품질의 저하가 우려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후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논과 밭주변에서 발생하고 있는 동계잡초 발생을 조사하여 잡초종의 방제 전력을 수립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동계잡초 발생은 3월과 5월에 전남 5시군(여수, 고흥, 장흥, 해남, 진도), 경남 5시군(김해, 거제, 고성, 통영, 남해) 60지점(시군별 6지점: 논주변 3 , 밭주변 3)을 조사하였다. 조사항목은 조사지역 주소, 위도 및 경도(GPS), 대상 잡초의 발생여부, 빈도, 피도 및 주요 환경인자(지온, 수온) 등을 조사하였다. 1차 조사(3월)시 조사된 동계잡초종은 46종이며, 털빕새귀리 > 개불알풀 > 냉이 > 유럽점나도나풀 > 지칭개 > 뚝새풀 > 광대나물 > 황새냉이 > 갈퀴덩쿨 순으로 우점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남해안 지역내의 기온과 강우량은 동계잡초 우점순위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계잡초 2차 조사(5월)시 조사된 잡초는 38종이며, 우점순위는 털빕새귀리 > 새포아풀 > 왕고들빼기 > 방가지똥 > 서양민들레 > 갈퀴덩쿨 > 토끼풀 > 뽀리뱅이 > 들묵새 > 유럽점나도나풀 이었다. 1차 조사 때와 달리 왕고들빼기, 지칭개, 방가지똥 등 국화과 잡초가 우점순위에 올랐다. 따라서 이들 우점잡초에 대한 방제 방법을 개발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 KCI등재

        우리나라 농경지에 발생하는 잡초 현황

        이인용,오영주,박중수,홍선희,최준근,허수정,김은정,이채영,박기웅,조승현,권오도,임일빈,김상국,성덕경,정영재,김창석,이정란,서현아,장형목,김진원,Lee, In-Yong,Oh, Young-Ju,Park, Jung-Soo,Hong, Sun-Hee,Choi, Jun-Keun,Heo, Su-Jeoung,Kim, Eun Jeong,Lee, Chae-Young,Park 한국잡초학회 한국잔디학회 2017 Weed & Turfgrass Science Vol.6 No.2

        2013년부터 3년동안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과 도 농업기술원, 농과대학, 연구기관 등 11개 기관이 전국 규모로 논, 밭, 과원 그리고 목초지에 발생하는 잡초를 조사하였다. 우리나라 농경지에 발생하는 잡초는 81과 619종이다. 이들 잡초는 논에는 28과 90종, 밭에는 50과 375종, 과수원에는 63과 492종, 목초지에는 52과 275종이다. 이들 잡초를 과별로 분류하면, 국화과 96종(15.5%), 화본과 81종(13.1%), 마디풀과 39종(6.3%), 두과 34종(5.5%), 사초과 32종(5.2%), 십자화과 27종(4.3%), 꿀풀과 24종(3.9%), 장미과 21종(3.4%), 현삼과 19종(3.1%), 메꽃과 15종(2.4%)으로 상위 10과가 388종으로 전체의 62.7%를 점유하고 있다. 또 계절별에 구분하면, 동계잡초는 65과 477종, 하계잡초는 72과 526종이다. 주요 우점잡초는 바랭이, 쇠비름, 깨풀, 흰명아주, 돌피 순이었다. 생활형으로 구분하면, 다년생잡초가 308종으로 전체의 49.8%를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 일년생잡초가 209종(33.8%), 그리고 동계 일년생잡초가 102종(16.4%)이었다. 외래잡초는 28과 166종으로 흰명주, 망초, 개비름, 미국가막사리, 토끼풀 등이 우점하였다. 2000~2004년 농경지 잡초조사에서는 68과 433종으로 10여년만에 13과 186종이 증가하였다. 이는 잡초방제법 변화에 따른 제초제 저항성잡초 증가와 같은 발생잡초 변동과 조사방법 차이 등의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The nationwide weed survey was conducted in arable land, paddy field, upland, orchard and pasture, over whole country of Korea during 3 years from 2013 to 2015. Also, these survey were conducted in order to determine a change of weed community and to identify a major dominant weed species, and problem weeds. Weeds of arable land were composed of 619 species belonging to 81 families. Weeds occurred in paddy field were 90 species belonging to 28 families, upland weeds were 375 species of 50 families, orchard weeds were 492 species of 63 families and pasture weeds 275 species of 52 families. Among total 81 families, the Asteraceae (15.5%) was the biggest family, followed by Poaceae (13.1%), Fabaceae (5.5%), Cyperaceae (5.2%), Polygonaceae (6.3%), respectively. And these weed species were composed of annual weeds of 209 species (33.8%), winter annual of 102 species (16.4%) and perennial weeds of 308 species (49.8%). Exotic weeds naturalized in Korea were investigated as 166 species. Weed flora in Korean cultivation area have been increased as much as 13 families and 186 species for 10 years compared to 2000~2004 weed survey result of 68 families and 433 species. The increment could be resulted from the change of weed population such as increase of the herbicide-resistant and the difference of investigation method.

      • KCI등재

        우리나라 과수원에 발생하는 잡초 현황과 군락 변화

        이인용(In-Yong Lee),오영주(Young-Ju Oh),홍선희(Sun-Hee Hong),허수정(Su-Jeoung Heo),이채영(Chae-Young Lee),박기웅(Kee Woong Park),조승현(Seng-Hyun Cho),권오도(Oh-Do Kwon),임일빈(Il-Bin Im),김상국(Sang-Kuk Kim),성덕경(Deok-Gyeong Seong 한국잡초학회·한국잔디학회 2017 Weed & Turfgrass Science Vol.6 No.1

        사과, 배, 복숭아, 포도 등을 재배하는 과수원에 발생하는 잡초를 조사하여 과수원 문제잡초의 현황을 파악하고 잡초방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2015년에 전국을 11개 권역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과수원에 발생하는 잡초는 63과 492종으로 국화과 86종, 화본과 63종, 두과 29종, 사초과 23종, 마디풀과 22종 등의 순이었다. 이들 잡초를 생활형으로 구분하면, 일년생 159종, 동계 일년생 97종, 다년생 236종이었다. 과수원별 발생잡초를 보면, 사과밭에는 50과 306종, 배밭에는 50과 304종, 포도밭에는 50과 286종, 복숭아밭에는 48과 288종이 발생되었다. 우점잡초로는 바랭이, 쑥, 쇠별꽃, 닭의장풀, 깨풀 등이었다. 외래잡초는 127종으로 전체의 25.8%이었고, 토끼풀, 망초, 흰명아주, 서양민들레, 소리쟁이 순으로 발생이 많았다. 30년간의 잡초군락 변화를 보면, 1990년에는 바랭이, 여뀌, 쇠비름 등이 우점하였으나, 2003년에는 바랭이, 깨풀, 쑥 등으로 변하였다. 2015년에는 바랭이, 쑥, 쇠별꽃 등으로 크게 변하지는 않았다. This study was investigated in order to occurrence of weed flora in orchard (apple, grape, peach, pear etc.) fields and to the establishment of weed control basic data in these weeds. And this study was survey on 2015. As a result of the study on orchard weeds, there were total of 492 weeds including 63 families. Among all the weeds, 159 species were annual, 97 species were winter annual and 236 were perennial. Each fruit tree patterns of occurrence weeds, 306 species 50 families in apple orchard, 304 species 50 families in pear orchard, 286 species 50 families in grape orchard, and 288 species 48 families in peach orchard. Dominance was the highest with Digitaria ciliaris followed by Artemisia princeps, Stellaria aquatica, Commelina communis, Acalypha australis etc. in order. And exotics weeds occurred 127 species. Trifolium repens was the highest in importance analysis and the followings were in order of Conyza canadensis, Chenopodium album, Taraxacum offcinale, Rumex crispus etc. Changes in weed vegetation in orchard during 30 years, did not very many changed. In 1990, D. ciliaris, Persicaria hydropiper, Portulaca loeracea were dominant. In 2003, D. ciliaris was the most abundant species, followed by A. australis, A. princeps species. And in 2015, also D. ciliaris was the most dominant, followed by A. princeps, S. aquatica.

      • KCI등재

        콩과 피복작물 리빙멀치에 따른 옥수수 무경운 재배지의 잡초군락 변화

        최봉수(Bong Su Choi),김충국(Chung Guk Kim),성기영(Ki Yeong Seong),송득영(Duk Young Song),전원태(Weon Tai Jeon),조현숙(Hyun Suk Cho),정광호(Kwang He Jeong),강위금(Ui Gum Kang) 韓國雜草學會 2011 Weed&Turfgrass Science Vol.31 No.1

        이른 봄 녹비피복작물 생육에 따른 잡초의 발생은 헤어리베치구에서 크림손클로버구의 76%수준이었으며, 발생한 잡초총은 헤어리베치구에서 4종(냉이, 쇠별꽃, 점나도나물 및 꽃다지), 크림손클로버구에서 3종(냉이, 쇠별꽃 및 꽃다지)이었다. 두 피복작물 재배지에서 발생한 잡초 중 냉이는 다른 초종보다 현저히 많았고, 이에 따른 건물생산량도 가장 높았다. 크림손클로버구는 냉이 외에도 쇠별꽃의 개체수가 많았으며, 건물생산량도 쇠별꽃이 가장 높았다. 옥수수 생육중기의 경작지 발생 잡초는 관행구에서 9종으로 다양하였으며, 잡초의 개체수도 가장 많았다. 한편 헤어리베치구와 크림손클로버구의 발생 잡초는 각각 4종과 6종이었으며, 건물생산량은 각각 관행구의 18과 25% 수준으로 낮았다. 옥수수 수확 후 각 재배지 발생 잡초는 초종이 현저히 감소하여 바랭이를 비롯한 5종, 헤어리베치와 크림손클로버구에서 각각 5종과 4종이었다. 잡초의 건물율은 관행구에서 23.5%였으며, 헤어리베치와 크림손클로버는 각각 13.8과 14.7%로 관행구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한편 피복작물 재배구는 토양 피복에 의한 낮은 지온과 광차단 등으로 인하여 관행구에서 발생하지 않았던 쇠별꽃이 지속적으로 생육하였다. Cover crop can be used to suppress weeds by competition for light and nutrient.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legume cover crops on change of weed community in no-till corn cultivation. Two legume cover crops, hairy vetch and crimson clover were grown in the field, and succeeding corn was sown on 4 May, 2010. The distribution of weed was surveyed at 15 April, 1 June, and 20 August. At 15 April, the weed biomass in hairy vetch field was higher than in crimson clover field. The dominant weeds were Capsella bursa-pastoris L. and Stellaria aquatica L. in hairy vetch and crimson clover fields, respectively. At vegetative stage of corn, occurred weeds in hairy vetch and crimson clover fields were four and six species, respectively, while the weed was occurred with nine species in conventional. Also the dry weight of weed was decreased by 82 and 75% in hairy vetch and crimson clover fields compared to conventional. On the other hand, after harvest of corn, occurred weed in hairy vetch, crimson clover and conventional was five, four and five species, respectively. Dry weight percentage of occurred weed in conventional was 23.5%, and the value was higher than 13.8 and 14.7% in hairy vetch and crimson clover fields, respectively. Stellaria aquatica L. as winter annual weed only occurred in cover crop field during corn growing season. It is these possibilities that low soil temperature and light interception by soil cover of legume cover crop.

      • NIR스펙트럼을 이용한 외래잡초 유식물의 분류

        오영주(Oh, Y. J.),김인순(I. S. Kim),장민상(M. S. Jang),이용호(Y. H. Lee),홍선희(S. H. Hong),손수인(S. I. Sohn),김창석(C. S. Kim) 한국잡초학회 2021 한국잡초학회 별책(학술대회 초록집) Vol.41 No.1

        최근에 농경지와 주변부에 외래잡초의 유입이 확대되고 있고 이에 대한 관리의 비용도 증가되고 있다. 외래잡초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이 종들의 정확한 동정과 발생 지점, 면적, 동태를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VNIR 스펙트럼을 이용한 외래잡초의 판별 분석의 기술은 드론에 적용이 가능하고 드론을 적용하면 빠른 시간에 넓은 면적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 중에 하나이다. 이러한 기술 개발을 위해서는 다양한 상태의 종별 분광학적 정보 라이브러리의 구축이 필요한데, 이를 다양한 인공지능 기술과의 결합을 통하여 판별 정확도를 향상시킨다면 첨단 포장 관리에 용이할 것으로 생각된다. 외래잡초 종별 분광학정 지표 데이터 수집을 위해 Field spectroscopy : Fieldspec(ASC,lnc) VNIR(325~1075nm)를 활용해 유식물 단계의 외래잡초의 VNIR 스펙트럼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포트재배를 통해 도깨비가지, 둥근잎미국나팔꽃, 미국나팔꽃, 별나팔꽃, 애기나팔꽃, 나팔꽃, 양명아주, 흰명아주, 가는털비름, 털비름 10종의 스펙트럼 2.167개의 DB를 구축하였다. 전처리는 Savitzky-Golay, Normalization, SNV, Raw를 적용하였고 머신러닝 모델은 Support Vector Machine, Deep Learning, Fast Large Margin, Gradient Boosted Trees, Random Forest, Generalized Linear Model을 적용하였다. 머신러닝 분석 결과 외래잡초 10종을 가장 효과적으로 판별하는 방법은 전처리에 Savitzky-Golay 혹은 Raw 파일을 Support Vector Machine로 머신러닝 하였을 때 99%의 판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외의 전처리에서도 Support Vector Machine이 98%의 판별율을 나타내어 가장 판별율이 높은 머신러닝 기법으로 확인하였다. 좀더 추가적인 DB를 구축하여 가장 효과적인 판별기술을 개발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적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