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의 디지털 카메라 놀이에 대한 질적연구 : 유아 예술교육 도구로서의 디지털 카메라

        장유진 한국조형교육학회 2015 造形敎育 Vol.0 No.54

        이 연구는 두 명의 유아가 1년 4개월 동안 디지털 카메라를 가지고 놀이하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이를 통하여 유아가 디지털 카메라를 가지고 어떠한 놀이를 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디지털 카메라 놀이가 유아의 미디어 교육 및 예술교육에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는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익숙한 놀이를 하였고, 스스로 다양한 방법의 새로운 놀이를 발견하여 놀았다. 둘째, 디지털 카메라 놀이는 유아의 경험 구성과 재구성의 기회, 소통의 도구, 자유로운 예술 활동의 수단, 디지털기기 사용의 유능성 증진이라는 교육적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디지털 카메라는 유아의 예술교육에 있어 유용한 도구이다. 이 연구는 자연스럽고 일상적인 상황에서 능동적 창조자로써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는 유아의 모습을 드려냈다는 의의를 갖는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determine how children use digital cameras, and to discuss what significance their use of digital cameras has for media and art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is purposes, two children’s playing with digital cameras were observed for one year and four months. Observational records, photographs and videos produced by children, structured or unstructured interviews were analyzed and interpreted. Two children were given a digital camera to play with, and they found various playing with digital camera by themselves. They played with the digital camera by taking pictures, documenting themselves playing, and producing videos of what they had seen and experienced. Furthermore, these experiences were creative processes in their entirety, and were useful recording means instead of written words. The two children discovered new ways to use a digital camera such as recording and re-viewing television programs, editing photos arbitrarily, composing music, and making images using their imagination. Playing with digital cameras provides opportunities for the configuring and re-configuring of experiences, and children looked at and thought about themselves and their environment through their experiences playing with digital cameras. This activity was also a communication tool; in other words, it has symbolic meaning and potential as a language. In addition, playing with the digital camera was a free art activity; therefore, the children freely expressed their thoughts and feelings, freely played, freely imagined, and created using the digital camera. Playing with a digital camera has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at it promotes children’s competence and confidence in using digital equipment. A digital camera is a useful tool for children’s art education, and there is a need to provide children with more chances to use digital cameras as naturally as possible. This study may offer some insight into children’s use of digital cam

      • KCI등재

        부모 학력과 경제 수준이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사교육 시간과 학업 스트레스의 순차적 매개효과 검증

        장유진,이승연,송지훈,홍세희 한국청소년학회 2020 청소년학연구 Vol.27 No.12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parental educational attainment and economic level on adolescent’s subjective happiness with the serial multiple mediation effect of private education time and academic stress. Korean Child Well-being Index(KCWI) 2019 data provided by the Korea Bhang Jeong Hwan Foundation and Yonsei Institute for Social Development Research was used, analyzing 5094 students data. As a result, first, parental educational attainment and economic leve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dolescent’s subjective happiness through each private education time and academic stress. Second, the serial multiple mediation via private education time and academic stress was significa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educational attainment & economic level and adolescent’s subjective happiness. As parental educational attainment and economic level were higher, students participated more in private education, got stressed from academic pressure, and they felt less subjective happiness.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 family background, private education, academic stress, and subjective happiness of adolescents. 본 연구는 부모 학력과 경제 수준이 청소년의 사교육 참여시간과 학업 스트레스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직렬다중매개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한국방정환재단과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에서 제공하는 한국 어린이 행복지수 데이터(KWCI)의 2019년 중·고등학생 5,094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부모 학력과 경제 수준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사교육 시간과 학업 스트레스가 각각 유의하게 단순 매개하였다. 둘째, 부모 학력, 경제 수준과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에서 사교육 시간과 학업 스트레스의 유의한 순차적 매개효과도 확인하였다. 즉, 부모의 교육 수준과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자녀의 사교육 참여시간이 늘어나고 이는 학업 스트레스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행복감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부모 및 가정 특성, 사교육, 학업 스트레스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살펴본 것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청소년 개인상담에서 내담자의 강점과 자원의 활용에 대한 상담자의 인식과 경험

        장유진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3 No.1

        This study examined professional counselo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the use of adolescent clients’ strengths and assets in individual counseling. Twelve counselors, who hold an advanced-level certification in counseling and also had a minimum of five years of counseling experience with adolescents, were individually interviewed via telephone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Participants stated that prior counseling experience, indirect learning experience in supervision and reading, and consideration on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led to their reliance on strengths and assets in individual counseling. To identify the client’s strengths and assets, respondents typically utilized an initial interview and observation, a collaborative work with the client, or psychological tests. Also, the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used the identified strengths and assets in establishing counseling goals and strategies. Support for the client’s internal assets or attempt to change significant others’ views on the client was reported as another way of using the client’s strengths and assets, typically and variantly, respectively. Participants witnessed that strength-oriented counseling approaches benefitted both counseling processes and outcomes. In addition, a variety of themes regarding determinants on effectiveness of and barriers to the use of strengths and assets emerged from the data.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counselor education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개인상담에서 내담자의 강점과 자원의 활용에 대한 전문상담자의 인식과 경험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상담 관련 전문가 자격증을 소지하면서 최소 5년 이상의 청소년상담 경력이 있는 12명의 상담자들을 대상으로 전화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참여자들은 이전 상담경험, 수퍼비전이나 서적을 통한 간접적인 학습경험 및 청소년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믿음 때문에 개인상담에서 청소년 내담자의 강점과 자원의 활용을 중시하게 되었다고 진술하였다. 내담자의 강점과 자원을 파악하기 위해 초기 면담과 관찰에 의존한다는 응답이 거의 모든 참여자들에게서 나왔고, 내담자와의 협동 작업과 심리검사를 통해 정보를 수집한다는 응답도 전형적인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파악된 내담자의 강점과 자원을 상담목표와 전략에 활용한다는 진술이 지배적이었고, 내담자의 내적 자원을 지지하거나, 내담자에 대한 주변인의 관점을 변화시키는 데 활용하다는 응답도 전형적, 변동적 수준으로 각각 파악되었다. 참여자들은 강점과 자원을 활용함으로써 상담과정 및 성과 측면에서 다양한 이득을 얻을 수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효과성 결정 요인과 장애요인에 대해서도 다양한 주제들이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상담자 교육과 후속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어머니의 스마트기기 방임,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이 인지 및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능력을 매개로

        장유진 한국웰니스학회 2020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other’s overindulgence of smart devices and children’s immersion into smart devices to cognitive,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based on 'social interactionism,' To this, data of 246 4-year-old children were collected from their mothers and teacher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 group with lower level of communicative competence show both lower level of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than higher group.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development. Second, the mother's overindulgence of smart devices for children had an effect on the children's immersion into smart devices. Children’s immersion into smart device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mediated by the teacher reported communicative competence. This study suggests that children’s communicative competence may be a major variable that mediates the effect of immersion into smart devices on children’s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With this, these findings suggests the need for various programs to foster children’s communicative competence. 이 연구는 ‘사회적 상호작용주의’에 근거하여, 어머니의 스마트기기 사용방임과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이 의사소통을 매개로 유아의 인지·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만 4세 유아 246명의 어머니와 교사에게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가 평정한 의사소통이 낮은 집단은 높은 집단에 비해 인지발달과 언어발달이 모두 낮았다. 그러나 사회성 발달 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어머니의 스마트기기 방임은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한편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은 교사가 평정한 의사소통에 부적인 영향을 나타냈고, 의사소통을 매개로 유아의 인지·언어발달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부모의 미디어 중재 변수를 좀 더 세분화하고 정교하게 측정할 수 있는 척도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더불어 이 연구는 의사소통 능력이 스마트기기 몰입이 영유아의 인지·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주요 변수일 가능성을 제시하며, 유아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 KCI등재

        스토리구성을 적용한 수학 수업이 학업성취도 및 수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장유진,최재호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5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직육면체의 겉넓이와 부피’와 ‘원기둥의 겉넓이와 부피’ 단원을 중심으로 스토리텔링 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이를 수업에 적용하여 효과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6학년 1개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여 상호작용을 통하여 스토리텔링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으며, 동질집단인 비교집단을 선정하여 학업성취도 검사와 수학적 태도 검사지를 사용하여 두 집단에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수학적 태도의 구체적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수업 장면에서의 학생 발화 및 행동 관찰 분석, 학생의 학습장 및 학습지 기록 분석, 학생 면담을 통하여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태도 모두 실험집단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수준 5%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수학학습 활동에서도 적극적인 참여를 통하여 흥미와 자신감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스토리텔링 수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상호작용을 촉진할 수 있는 다양한 형식의 학습자료 개발 및 스토리텔링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겠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6th grade mathematics lessons applying story making have on the mathematics achievement and attitude toward mathematics. For this study, using two examination devices for measuring mathematical attitudes and mathematics learning achievement, a pre-test and post-test were conducted. In the pre-test, it was found that the two groups are identical groups. The post-test was used for verifying the research problems and the results of post-test were analyzed using t-tes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below. First, lessons applying story making influenced the mathematics achievement of children. This implies that lessons applying story making are more effective for improving a mathematics achievement than a genera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lso, when carrying out the t-test of pre-test and post-test results of learning achievement in experimental groups,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as well. It is therefore supposed that lessons applying story making have positive effect on the mathematics achievement of children. Second, lessons applying story making influenced the mathematical attitudes of children. This implies that the lessons are more effective for improving mathematical attitude than a genera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lso, when carrying out the t-test of pre-test and post-test results of mathematical attitudes in experimental groups,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as well. It is therefore supposed that lessons applying story making have positive effect on mathematical attitudes of children. From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mathematics lessons applying story making can be used to change the mathematics achievement and mathematical attitudes of students positively.

      • KCI등재

        만 5세의 가정 내 부정적 아동기 경험(ACE)이 초등학교 1학년, 4학년 아동의 학교적응과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장유진,홍예지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22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15 No.2

        이 연구는 만 5세에 겪는 가정 내 부정적 아동기 경험(ACE)이 초등학교 1학년과 4학년의 학교적응과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의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만 5세에 경험한 부정적 아동기 경험 중 어머니의 이혼경험, 아버지의 흡연 여부, 아버지의 우울은 초등 1학년 자녀의 학교적응, 학업능력과 자녀의 행동문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더불어 만 5세 당시 어머니의 과음 횟수와 어머니의 우울은 초등 1학년 자녀의 학교적응과 행동문제에 가장 강력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다. 둘째, 만 5세에 경험한 어머니의 이혼경험과 아버지의 흡연 여부는 4학년 자녀의 학교적응과 행복감, 학업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만 5세 당시 어머니의 과음 횟수와 아버지의 우울은 4학년 자녀의 학교적응과 학업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 어머니 양육의 중요성과 초등학교 고학년 자녀에게 미치는 아버지 우울의 종단적 영향을 밝혔다는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2015 실과 개정교육과정에 기반한 농업내용 분석과 지속가능한 농업교육에 대한 제언

        장유진,곽혜란 한국실과교육학회 2016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9 No.1

        This study has its purpose to deduct implication which should be considered for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education in sustainable growth education perspectiv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ifferences between 2015 elementary practical art education and previous educational course, and understanding advantages of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e, a sustainable agriculture meeting phases of the times. This study has mainly compared and analyzed aim of agriculture, content system, achievement standard, and academic factor of 2009 and 2015 curriculum. And based on that, compared with previous curriculum, this study has suggested the plan to practice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e as a sustainable agriculture in daily life by considering factors related to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e that focuses on sustainable agriculture and experiences of agriculture in daily life, and displaying contents about latest agriculture among agriculture related contents extended from 2015 practical art curriculum reform. With such conclusions, first, 2015 revised practical art educational curriculum has emphasized on teaching-learning method for each core competences. Second, it has suggested academic factors focused on core concept. Third, it has emphasized on content system by introducing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e through core concepts of creation and sustainability in accordance with national and social requests. Although there are only minor differences between academic factors of 2009 and 2015 educational curriculum, trial for extended application of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e, a sustainable agriculture focused on core concept of sustainability has practiced.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초등 실과교육과정과 이전 교육과정과의 달라진 점을 비교 분석하고 시대상에 맞는 지속가능한 차원의 농업의 강조점에 대하여 내용을 파악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성장교육의 관점에서 본 농업교육을 위해 고려해야 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09 및 2015 개정 교육과정 내 농업 생명과학 영역의 목표, 내용체계, 성취기준, 학습 요소를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이전 교육과정에 비하여 2015 실과 개정교육과정에서 확장된 농업 관련 내용 중에서 지속가능이라는 핵심개념을 둔 지속가능한 차원의 농업, 즉 친환경 미래 농업과 생활 속의 농업 체험에 관련된 내용 요소를 고찰하고 최신 농업 관련 내용을 담아 지속가능한 농업으로의 친환경 농업의 생활 속 실천 방안에 대하여 제시 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첫째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에서는 핵심역량별 교수학습방법을 더욱 강조하고 있으며 둘째,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학습 요소를 제시하고 셋째, 국가 사회적 요구에 따라 창조 및 지속가능이라는 핵심 개념을 통해 친환경 농업을 도입하여 내용체계를 강조하였다. 2009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농업영역에서 학습 요소는 크게 달라지지 않았으나 지속가능이라는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지속가능한 농업 즉, 친환경 농업으로의 확대 적용이 시도되었다고 볼 수 있었다.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개념은 현재 농업발전 속에서 도시농업(urban agriculture) 개념에서 적용되고 있다. 더불어 도시농업 및 이의 기반이 되는 친환경 미래 농업은 미래 사회의 지속가능성 및 지속가능한 발전이라는 개념의 농업으로 연결해 가야 하며 실과 내 농업교육에서는 단순한 기술교육만이 아닌 생활 속에서 지속가능한 다차원적 농업으로서 도시농업의 가치를 기반으로 한 농업을 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을 새로운 교과서에서 담아내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개념을 기반으로 구체적인 교과내용으로 로컬푸드, 친환경 농업인증, 푸드마일리지 등에 관한 현재의 도시농업에 기반한 참신하고 실천적인 내용을 담되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서 새롭게 강조되고 있는 ‘지속가능성’에 해당하는 정확한 개념을 농업적 측면에서 정리하여 다차원적인 농업의 가치와 실과 본연의 전인적 교육특성을 아우를 수 있는 교육내용의 전개가 향후 필요할 것으로 고려되었다.

      • KCI등재

        전통 유아교육과 관련된 국내 연구 동향 :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장유진,채진영,김헤라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2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n the trends in the domestic research regarding traditional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figure out aims for cultural globalization. Using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the keywords in 637 academic journals published from 2002 to 2021 were analyzed.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With the advent of a new millennium, research of traditionalearly childhood education has been increased since the 2000s, but has recently been on the decline. The most frequent appearing keywords were ‘traditional song’, ‘traditional fairy tale’, ‘traditional play’, ‘young children’ and ‘orally transmitted play’. In terms of the closeness centrality which shows how a certain keyword would closely relate to other keywords, ‘prenatal education’ was ranked the highest,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tradition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airy tale’ and ‘Korean classic music ability’ were ranked consequently. It meant that the role of prenatal education was considered very important. The CONCOR(CONvergence of iterated CORrealtion) results showed that four different groups were formed according to the connecting density: ‘Traditional Dependenace’, ’Sociality and Traditional Art’, ’Personality Education’, and ’Linguistic Development and Traditional Music’ and suggested that the more research regarding traditional manners were needed. This study implies that the researchers need to have more interested in traditional early childhood for young children to be more exposed to the traditional activities such as traditional body expression or traditional art activity. 본 연구는 전통 유아교육 연구의 변화를 파악하고 문화적 세계화의 시대에 우리가 지향해야 할 전통 유아교육의 방향을 가늠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언어 네트워크 분석의 방법으로 2002년부터 2021년까지 20년간의 학술지 정규논문 637편을 이용, 방대한 빅데이터 속에서 ‘전통유아교육’과 관련한 텍스트의 핵심 개념을 추출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새로운 밀레니엄의 등장과 함께 2000년대 이후 전통유아교육 관련 연구가 증가하다가, 최근에는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주제와 관련하여 각 개념이 출현하는 빈도를 확인한 결과, ‘전래동요’, ‘전래동화’, ‘전통놀이’, ‘유아’, ‘전래놀이’ 순으로 나타났다. 네트워크 안에서 특정 주제어가 다른 주제어들과 어느 정도 가까운지 그 정도를 나타내는 근접중심성 지수가 높은 주제어는 ‘태교’, ‘유아교육기관’, ‘유아전퉁문화교육’, ‘동화’, ‘국악능력’의 순이었다. 이는 전통 유아교육에서 태교의 역할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연결의 밀집 정도를 분석하여 연구 키워드의 군집 간 관계를 파악한 결과 ‘전통풍속’, ‘사회성 및 전통예술’, ‘인성교육’, ‘언어발달 및 국악’의 4가지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4가지 군집 중, 전통풍속 군집의 크기와 연결이 가장 빈약하여 해당 분야의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전통육아나 전통적 부모역할, 유아와 관련한 풍속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및 전통유아교육에 있어 전통신체표현 활동, 전통미술 활동 등이 보강될 필요성을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