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열반의 바다에 들어가기: 람림첸모 에서 쫑카빠의 하샹 비판

        유지원 불교학연구회 2022 불교학연구 Vol.72 No.-

        This article analyzes Tsong kha pa’s criticism of a Chan master, called “the Chinese mkhan po Hwa shang” (rGya nag gi mkhan po Hwa shang, fl. second half of the 8th c.), which was described in the Lam Rim Chen Mo (hereafter LRChM) written at Rwa sgreng in 1402. Herein, I point out that the meaning of mu stegs pa in the LRChM is not merely ‘non-Buddhist adherents.’ Rather, it describes ‘a person who has no right view of selflessness.’ The word ‘someone’ in the third Bhāvanākrama by Kamalaśīla (ca. 740-795) corresponds to “Hwa shang, the one who erroneously conceptualizes” (phyin ci log tu rtog pa) in the LRChM. Drawing upon the LRChM’s presentation of the issue, this present study synthesizes Tsong kha pa’s three principal critiques of Hwa shang as mu stegs pa: his rejection of (1) virtuous conduct; (2) attention (yid la byed pa, manaskāra); and (3) the meditation of analytical investigation (so sor rtog pa, pratyavekṣaṇa). As a counterargument against Hwa shang and other figures who articulated opposing viewpoints, Tsong kha pa defines the concepts of emptiness, conceptuality, virtuous conduct, and discriminating insight (so sor rtog pa'i shes rab, pratisamkhyāprajñā) cited from (1) the early Yogācāra literature; (2) the Ratnagotravibhāga, the treatises on the Tathāgatagarbha theory; and (3) the Bhāvanākrama, the literature that presents the stages of meditation and various Mahāyāna sūtras. Therefore, this article contributes to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practice system of LRChM, which involves progressive training according to an individual’s abilitie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laims symbolized by “the tradition of Hwa shang” (hwa shang gi lugs) played an essential role as a tool to correct wrong views as a ‘platform for entering the ocean of nirvāṇa’ at that time. 티벳의 8세기 후반 쌈얘 논쟁(bSam yas rtsod pa) 이후 겔룩(dGe lugs)의 개조인 쫑카빠 롭상닥빠(Tsong kha pa Blo bzang grags pa, 1357-1419)는 1402년 라뎅(Rwa sgreng)에서 저술한 람림첸모 (Lam rim chen mo, 보리도차제광론 (菩提道次第廣論))에서 하샹(Hwa shang, 和尙 摩訶衍, 8세기 후반 활동)을 “phyin ci log tu rtog pa”(전도되게 분별하는 자)로서 지목하며 강력히 비판한다. 쫑카빠는 하샹을 비롯한 외도(mu stegs pa)의 견해에 대응해 공성, 분별, 지혜와 방편 개념을 십지경 (十地經, Daśabhūmikasūtra, Sa bcu pa'i mdo), 해심밀경 (解深密經, Saṃdhinirmocanasūtra, mDo sde dgongs 'grel), 보살지 (菩薩地, Bodhisattvabhūmi, Byang chub sems dpa'i sa)등 인도 유식학파의 초기 문헌과 수습차제 (修習次第, Bhāvanākrama, sGom pa'i rim pa)와 같은 수행 지침서, 보성론 (寶性論, Ratnagotravibhāga, dKon mchog gi rigs rnam par dbye ba)등 여래장 계열의 논서와 대승 경전의 핵심 관련 구절에 따라 정의한다. 이 논문은 하샹의 교설로 상징된 당시 외도의 주장을 분석해 람림첸모 의 근기에 따른 단계별 수습체계를 보다 면밀하게 이해하고, 하샹 전통으로 상징되는 주장이 잘못된 견해를 바로잡기 위한 도구로써 활용된다는 관점을 논증한다.

      • KCI등재

        Proteoform 분석을 위한 탑다운 단백체학 기술 개발 연구동향

        유지원,김민주,박해민 한국생물공학회 2023 KSBB Journal Vol.38 No.1

        Over the past decade, mass spectrometry-based bottom-up proteomics (BUP) has been widely used to identify and to quantify complete proteomes from a biological system such as a cell, tissue, or organism. However, due to the protein inference problem, BUP approaches have intrinsic limitations for identifying and characterizing intact proteins that underlie complex traits and molecular mechanisms in biology. In contrast to BUP, which measures peptides produced from proteins by proteolytic digestion, top-down proteomics (TDP) is a powerful technology that allows for measuring intact proteins without proteolysis, thus identifying and quantifying proteoforms which provide new insights into molecular mechanisms. A proteoform is a defined form of a protein product from a single gene, including combinatorial coding polymorphisms, alternative RNA splicing events, and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s (PTMs) on the same molecule. In this review, we outline some advances in separation, ionization, and fragmentation of intact proteins and data processing for TDP along with the growing power of proteoform- resolved measurements in clinical and translational research and biotechnology.

      • KCI등재

        학부생연구프로그램 참여가 융합역량, 전공만족도,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유지원 중소기업융합학회 2019 융합정보논문지 Vol.9 No.10

        본 연구는 국내 대학에서 수행된 학부생연구프로그램(Undergraduate Research Program)에 대한 효과를 살펴보 고자 수행되었다. 학부생연구프로그램은 과학 분야의 우수 인력 양성에 주로 활용되는 프로그램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부 생연구프로그램 참여가 융합역량, 전공만족도,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자료 수집은 학부생연구 프로그램을 시행하는 A대학 5개학과 재학생으로부터 이루어졌으며, 응답자 중 학부생연구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미참 여자는 117명, 참여한 학생은 101명이었다. 참여 유무 집단에 따른 분석 결과, 학부생연구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이 참여 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융합역량, 전공만족도, 학업성취도에 모두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학부생연구프로그램 에 참여한 경험이 학생의 융합적 태도와 기술을 훈련하는데 효과적이며, 학업성취와 전공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undergraduate research program(URP) among Korean students. URP is frequently implemented in STE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 majors, and this study tested whether the participation of URP was effective in convergence competency, major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101 participants and 117 non-participants of URP at an A university.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mean scores of convergence competency, major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the URP participating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non-participating group.

      • KCI등재

        禪宗 公案과 蘇軾의 불교적 깨달음

        유지원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7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2

        This study aimed to demonstrate the authenticity of the Zen stage and the enlightenment in the relationship with Chanzong Zen Buddhism of the Song Dynasty by exploring the Buddhist enlightenment regarding Dongpo Jushi (東坡居士) Su Shi (蘇軾) - the great writer in China. The Chinese Chanzong (禪宗) is based on Zen of India but it is the product of the Chinese culture. Zen Buddhism - the greatest characteristic of Chanzong of the Song Dynasty - achieved the heyday of Zen Buddhism owing to the ever-escalating authority of the function of the official documents at government offices. In addition, the atmosphere of learning and practicing the thinking method and the life of Chanzong through the social intercourse with Zennists escalated among the noblemen of the Song Dynasty. This phenomenon formed the Chinese Chanzong culture after spreading to all parts of the society. Su Shi (蘇軾) had frequent contacts with Zennists in the Buddhist environment in his lifetime and he was the most active figure among a number of noblemen grhapatis who had took part in the Chanzong activities of the Song Dynasty. When he was exiled to Huangzhou (黃州) due to the Wutai Crisis - a serious slip of the pen, he actively practiced the Zen meditation (參禪) of Chanzong at the Anguksa Temple (安國寺). As a result, while staying at the Dongnimsa Temple of Yeosan in the course of heading toward Xuzhou (徐州) after leaving the place of exile, he earned a huge enlightenment while studying Zen Buddhism after hearing “Even heartlessness preaches Buddhist teachings.” Su Shi wrote an enlightenment poem (悟道頌) and became the disciple of the Zen master Sangchong(常總禪師). Nevertheless, the enlightenment boundary by Su Shi and the enlightenment poem have constantly been the target of critique and played the roles of Zen conversations, Zen Buddhism, and the question of Buddhist meditation. This has brought about several thoughts from future Zen meditation trainees and was the guide which led to enlightenment and brought about suspicions by forming other questions of Zen Buddhism. 본 논문은 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서 동아시아 불교에 큰 영향을 준 중국의 대문호 東坡居士 蘇軾에 대한 ‘불교적 깨달음’을 탐색한 것이다. 즉 그의 禪 경지와 깨달음의 眞ㆍ僞 및 후대에 미친 영향 등을 禪宗 公案과의 관계에서 합당한 논증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최근까지 蘇軾 연구는 다방면에서 이루어져 왔고 禪詩 영역에서도 적지 않은 성과가 있었다. 그러나 그의 불교적 깨달음을 검증하는 연구 논문은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중국 禪宗은 사실 인도의 선에 뿌리를 두고 있지만 중국 전통문화와의 갈등과 융합을 통해서 새롭게 변형된 불교 종파의 하나로 중국문화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선종의 ‘깨달음’이 인간에게 주는 의미는 무엇인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인간은 누구나 굴곡진 인생역정에서 끊임없이 喜ㆍ怒ㆍ哀ㆍ樂의 부침을 경험한다. 목표했던 일이 뜻대로 되지 않거나 실패를 하게 되면 실망하고 좌절하고 삶의 끈을 놓고 싶을 때도 종종 있었을 것이다. 이때 인간은 깊은 고뇌 속에서 근본적인 해결 방법을 찾아 나섰다. 선종은 不立文字ㆍ敎外別傳ㆍ直指人心ㆍ見性成佛을 기치로 내걸고 인간의 근본 문제를 ‘마음’에서 찾았으며, 그 문제를 풀 수 있는 단 하나의 열쇠는 ‘깨달음’에 있다고 하였다. 禪問答 내용의 ‘公案’은 바로 깨달음의 관문 역할을 해주었다. 蘇軾은 일생동안 불교적 환경 속에서 선사들과 많은 접촉이 있었고 송대 선종 활동에 참여했던 수많은 사대부 居士 가운데 가장 활약이 컸던 인물이다. 그는 黃州 유배시절 선종의 參禪을 적극적으로 실천하였으며 이윽고 廬山의 東林寺 常總禪師를 만나 “無情도 설법을 한다”는 공안을 궁구하다가 크게 깨달음을 얻는다. 蘇軾의 깨달음 경계는 상총선사에게 지어올린 悟道頌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蘇軾의 깨달음 경계와 오도송은 지속적인 비평의 대상이자 선문답ㆍ공안ㆍ화두 역할에서 의혹을 품게 하는 표적이었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 깨달음은 어떻게 검증되는가? 이 문제의식은 蘇軾의 깨달음을 재해석하고 평가하는 데 중요한 관건이 되었다. 禪의 체험 깨달음 세계는 그 어떤 언어로도 완벽하게 표현해 낼 수 없다. 때문에 선종에서는 ‘공안’이라는 장치를 시설하고 그 시험을 통해서 상대의 깨달음 여부를 판가름 하였던 것이다. 선문답 이야기로 구성된 공안은 다시 화두를 만들어내고 이것을 연유하여 또 다른 선문답이 재탄생된다. 蘇軾의 불교적 깨달음 여부는 이러한 순환적 공안 기능에 입각하여 검증 가능할 수 있었다. 무정설법의 機緣으로 깨달음에 이른 蘇軾의 禪話는 후대 禪客들에게 새로운 반향을 불러 일으켰다. 그의 깨달음에 대한 갑론을박 논란은 ‘蘇軾의 무정설법 공안’으로 재편되어 인간의 대립 인식을 흩트리고 본 성품을 보게 하는 공안으로서 충분한 역할과 작용을 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학습공동체 활동에서 팀 성취목표지향성과 팀의 심리적 안전이 팀 창의성 및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유지원,이미나 대한사고개발학회 2018 사고개발 Vol.14 No.3

        협력을 통한 학습활동에서 창의성은 추구되어야 할 중요한 목표 중 하나이 다. 본 연구는 국내 대학에서 확산되고 있는 학습공동체 활동을 팀 창의성과 팀 효과성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론적 고찰을 통해 팀 학습과 정에서 팀 창의성과 팀 효과성에 중요한 선행요인으로 팀 성취목표지향성과 심리적 안전을 선정하고 이들 변인 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수도권 소재 A대 학에서 2016 2학기와 2017 1학기 학습공동체 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각 자 소속팀의 창의성, 효과성, 성취목표지향성 및 심리적 안전을 평정하게 하 였으며, 총 331명의 자료를 101개 팀 수준 자료로 변환하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팀 창의성에 대해서는 팀 숙달목표와 팀의 심리적 안 전이 유의한 선행요인으로 나타났다. 반면 팀 효과성에 대해서는 팀 숙달목 표, 팀 수행접근목표, 팀의 심리적 안전이 유의한 선행요인으로 나타나 팀 창 의성과 팀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 간에 차이를 보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대학의 학습공동체에서 팀 창의성 향상을 위해서 숙달목표와 심리적 안전의 중요성을 논의하였으며, 대학에서 학습공동체의 양적 확산보다 팀 창 의성 향상에 초점을 둔 질적 향상으로의 전환을 고려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 시하였다. Creativity is one of the goals to be pursued in collaborative learning. Learning communities have been implemented in many universities in Korea, an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outcomes of the learning community in terms of team creativity and team effectiveness. Questionnaires on creativity, effectiveness, goal orientation and psychological safety of their own team were administered to 331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of 101 teams at an university in fall semester of 2016 and spring semester of 2017.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eam goal orientation variables and team psychological safety to team creativity indicated team mastery goal and team psychological safety as the significant predictors. And the same regression to team effectiveness showed team mastery goal, team achievement approach goal, and team psychological safety as significant predictor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improving team creativity and team effectiveness of the learning community at colleges and universities were provided. In addit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university should consider the transition from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learning communities to the qualitative improvement by focusing on team creativity.

      • S-633 급성 무결석 담낭염으로 발현한 장티푸스 1예

        유지원,이상록 대한내과학회 2016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16 No.1

        서론: 장티푸스는 Samonella typhi 에 의한 고열과 설사, 복통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장티푸스의 합병증으로 간염, 담낭염, 장출혈, 장천공이 나타날 수 있으며 감소하는 추세이다. 그 중 급성 무결석 담낭염은 다제내성 살모넬라 균 감염에 의한 장티푸스에서 나타나는 드문 합병증이다. 금번에 라오스 여행후 고열, 우상복부 통증 등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급성 무결석 담낭염으로 발현한 장티푸스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한다. 증례: 55세 여자가 내원 3주전부터 시작된 수양성 설사와 내원 4일전부터 발생한 발열, 오한, 우상복부 통증, 오심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내원 4주전 1주일간 라오스 여행 다녀온 기왕력 있었고 내원 3주전부터 수양성 설사있어 인근 병원에서 급성장염 진단하 입원 치료받고 설사 호전되어 퇴원하였으나 다시 묽은 변 지속되었으며 내원 4일전부터 심와부 및 우상복부 통증있었고 인근 병원에서 위내시경 시행 후 위식도역류 진단받고 약물치료중에도 호전되지 않고 39도의 열있어 본원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과거력상 환자는 평소 지병 없었고 가족력상 특이소견 없었다. 여행력상 내원 4주전부터 1주간 라오스 지역을 방문하였다.입원 당시 환자는 급성 병색 보였고, 생체 징후는 혈압 109/54 mmHg, 맥박 115회/분, 호흡수 24회/분, 체온은 39.5도이었고, 신체검사에서 우상복부 압통 호소하였으며 간종대나 비장종대는 없었다. 말초혈액검사에서 혈색소 11.9 g/dL,백혈구 6570/mm3, 혈소판 395,000/μl이었으며, 생화학 검사에서 Albumin 3.1 mg/dL, AST 36IU/L, ALT 20IU/L, Total Bilirubin 0.6 mg/dL이었다. 면역혈청 검사에서 CRP는 114.5 mg/L(참고치<5.0)이었다.내원 당시 시행한 흉부 X-선 사진에서 특이소견없었고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담낭의 확장,담낭벽의 비후 및 조영증강을 보이는 급성 담낭염을 의심할 만한 소견을 보였다. 급성 담낭염으로 진단하여 본원 외과에서 복강경하 담낭절제술 시행하였으며 Piperacillin/Tazobactam 및 Metronidazole을 투여하였다. 수술 이후에도 매일 38도의 발열 증상 있어서 수술 1일 후 시행한 혈액배양검사에서 균 동정되지 않았으나 수술 후 3일째 및 7일째 시행한 혈액배양검사에서 Samonella typhi 가 동정되었고 항생제 감수성 검사에서 Fluoroquinolone 및 3세대 Cephalosporin에 감수성을 보였다. 수술 후 7일째 내과 전과 후 Ceftriaxone으로 변경하였다. 항생제 변경 후 4일째부터 열은 떨어졌으며 14일간 항생제 투여 유지하였다. 수술후 11일째 혈액배양 검사 및 항생제 중단 48시간 후 시행한 이틀간 연속 대변배양검사에서 Samonella typhi 동정되지 않았다. 퇴원 후 환자는 특별한 증상없이 잘 지내고 있다.

      • KCI등재

        Elastic net 벌점회귀모형을 활용한 대학생의 실무역량 예측 변수 분석: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유지원 한국교육방법학회 2022 교육방법연구 Vol.34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실무역량 예측에 관련성이 높은 변수를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실무역량 예측에는 경기도 소재 A대학에서 수집된 재학생 4,054명의 배경정보, 핵심역량 및 학습활동 참여, 대학만족도 자료를 활용하였고, 기계학습 기법 중 벌점회귀모형인 elastic net을 활용하였다. 실무역량을 반응변수로 설정하고, 165개의 변수를 설명변수로 투입하여 벌점회귀모형인 elastic net으로 분석한 결과, 최종적으로 실무역량 예측에 높은 관련성을 보인 53개의 변수가 선택되었다. 실무역량 예측에 선택된 개인적 배경요인은 학년과 계열 정보가 포함되었다. 핵심역량 관련 변수 중에서는 협력역량 관련 변수 5개, 의사소통역량 관련 변수 6개, 비전수립 및 자기관리역량 관련 변수 8개, 문제해결역량 관련 변수 4개, 정보문해역량 관련 변수 12개, 글로벌역량 관련 변수 3개 등 총 38개의 역량 변수가 실무역량 예측에 선택되었다. 학생들의 활동 경험 변수 중에서는 인턴십 및 현장실습, 취업·진로프로그램, 봉사활동, 동아리활동, 리더로 활동한 경험, 교수자와의 진로상담, 근로활동 시간, 자기계발 활동 시간, 그리고 대학생활만족도 관련 변수 3개가 실무역량 예측에 선택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실무역량 함양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