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학교급식 프로그램의 영양교육적 효과 - 급식교 및 비급식교 어린이의 식생활에서 본 -

        김상애(Sang-Ae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19 No.4

        학교급식이 식생활에 미치는 영양교육적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부산시 동래구의 중상소득층의 생활정도를 가진 급식교와 비급식교의 4, 5학년의 각 1학급어린이를 대상으로 두 집단간의 식물 및 영양소섭취량, 식물섭취패턴, 영양지식 정도를 비교분석한 결과와 급식교의 학교급식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br/> 식물섭취에서 급식교어린이는 비급식교어린이에 비하여 그 섭취량도 많았고, 질적으로 식품배합(사용식품수 : 급식교 20.6, 비급식교 11.7)과 식사균형도(급식교 75.5, 비급식교 63.3)도 우수하였다. 또 우유와 수산물의 섭취가 높았고, 전통식(밥식)이나 서구식(빵식)에서 영양적으로 균형된 바람직한 식물섭취패턴 (식물소비구조)을 나타내었다.<br/> 영양섭취에서는 가정식사 (아침, 저녁식사)에서 Ca, riboflavin, 동물성에너지를 제외한 영양소는 두 집단에서 비슷한 섭취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점심식사에서 급식교는 학교급식에 의하여 모든 영양소섭취량이 비급식교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RDA에 미달된 영양소는Ca, riboflavin이었고, 비급식교의 Ca섭취량은 급식교의 30%정도이었다. 영양소섭취배분비는 아침, 저녁식사에서 1일의 30~40%로 비급식교가 급식교보다 섭취배분비가 높아 가정식사에 중점을 두었고, 점심식사에서의 영양소섭취배분비는 급식교가 30~45%, 비급식교가 25~35%로, 급식교는 점심(학교급식) 에서 영양소섭취가 중정적으로 되고 있었다. 영양소섭취패턴에서 개인의 섭취차가 심한 영양소는 두 집단 모두 가정식사시의 동물성식품유래영양소, 비타민A, ascorbic acid였다. 급식교의 경우 아침식사의 섭취패턴은 고르지 않았고, 저녁식사는 아침보다 안정된 섭취패턴이었으며, 점심식사에서도 모든 영양소를 고르게 섭취하였다. 비급식교의 경우는 3끼식사에서 아침, 저녁식사는 같은 패턴의 섭취상태이었으나 아침식사가 더 고른 패턴이었고, 점심식사에서는 비타민류와 동물성식품유래영양소에서 개인차가 심한 섭취패턴이었으며, 그외 영양소는 3끼식사에서 같은 섭취패턴을 나타내었다.<br/> 영양지식정도는 급식교가 12.4, 비급식교가 10.0으로 두 집단 모두 이론적인 영양지식의 습득은 되었으나, 실제 식물섭취에 관한 영양지식정도는 낮게 나타났다. 학교급식에서의 배식량은 688.g이었고, 이 중 9.9%가 분량과 맛에 기인되어 잔식처리되었다. 급식교에서 실시한 학교급식의 식품구성을 보면 표준식품구성에 비하여 미달되었던 식품은 밥식에서 과일, 녹황색야채, 해조, 난, 유제품이었고, 빵식에서는 과일, 녹황색야채, 해조, 대두이었다. 한편 표준식품구성보다 그 구성에서 높게 나타난 식품은 빵식의 유지와 육류이었다. This paper proposes to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s of dietary life of some children with similar living standard. They were in the 4th and 5th grades of two elementary schools located at Tongrae-ku, Pusan City, and the survey period was from March to April in 1989. One part was 0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school lunch and the other part was ones in K elementary school without school lunch. This survey shows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of school lunch on the intake of food and nutrient, the pattern of food consumption and nutrient intake, and the knowledge level of nutrition and results in calling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school lunch and the necessity of its expanded practice and bringing up some problems to be solved in order to excute more improved program of school lunch. As the results of analysis, first, the school lunch group demonstrated desirable pattern of food consumption and nutrient intake school lunch aims at by the effect of nutritional education of the scheduled school lunch program, and turned out to be superior in food and nutrient intake, physical index and level of nutrient knowledge to the non school lunch group. Secondly, since both groups show the lack of calcium intak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eal plan to increase calcium source an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school lunch, it is desirable to plan a program considering proper amount of meal service by age and sex, selection of menu based on preference research, various cooking methods and food mixing fit for standard food constitution of school lunch.

      • SCOPUSKCI등재

        식이섭취의 진단 및 영양평가를 위한 전산시스템 : 제6차 한국인 영양권장량에 준함

        한지숙(Ji-Sook Ha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6 No.4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영양권장량 제6차 개정에 수록된 자료, 식이섭취 회상표, 식품의 섭취량 및 목측량, 일반 상황분석 자료들을 database로 사용하여 하루 동안 섭취한 식품 및 영양소 함량을 신속하게 분석하고, 신체에 대한 일반상황을 진단 및 평가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사용자는 개인자료입력 항목에 자신의 이름, 성별, 나이, 키, 체중 및 활동 정도를 입력하므로서 자신의 체중 범위, 표준 체중, 비만도, 기초 대사량, 체중과 활동 정도에 따른 열량 필요량, 1일 열량 필요량 및 이들의 섭취 열량과의 과부족을 비교 평가한 자료를 얻을 수 있으며, 만약 사용자가 비만이라면 체중을 감소하기 위한 1일 열량 필요량도 얻을 수 있다. 또한 음식입력 항목에 자신이 섭취한 식품들을 24시간 식이섭취 회상법에 의하여 입력하므로서 식사구성안의 식품군별로 섭취횟수가 분석된 후 한국인 영양권장량 6차 개정안에 설정된 표준 섭취횟수와 비교 평가되었다. 식사구성안의 식품군별 섭취량은 각각 열량 및 영양소별로 분석 평가되었고, 1일 영양소 섭취량을 권장량에 대하여 그래프로 나타내므로서 섭취된 영양소의 과부족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하였다. 식이 지방질은 그 구성지방산의 종류에 따라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기 때문에 지방질 섭취상태를 분석함으로서 자신의 콜레스테롤 및 구성지방산의 섭취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식사별 열량 및 영양소 섭취상태를 분석하여 각각의 영양소들이 어느 식사에서 섭취되는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하였으며, 식사별 열량영양소 섭취에 대한 구성비를 그래픽 분석하여 매 식사 때마다 섭취되는 열량영양소의 비율을 그림으로 쉽게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을 이용함으로서 개인과 집단의 식품 및 영양소 섭취상태에 대한 분석 평가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균형 잡힌 식단을 계획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oftware program to diagnose and assess status of dietary intake obtained using 24-hour dietary recall method. This program consist of four functions. The first function is assessing the general status of the body such as ideal body weight, obesity measure, activity expenditure energy and total energy requirement by the analysis of age, height, weight and the degree of activity. The second one is calculating the intake number of food classified by the food group and evaluating the status of food intake by comparing them with the number of standardized intake in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for Koreans, 6th revision. Third one is calculating energy and nutrient intakes contributed by the food group in dietary intake and evaluating the status of dietary intake by comparing the nutrient intake with the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 for Korean, especially calculating and evaluating the status of dietary fat intake. The fourth function is calculating and evaluating the status of nutrient intake and nutrients energy percent contributed by three regular meals and at least one in-between-meal snack. The results are displayed as tabular forms and graphical forms on the computer screen.

      • KCI등재

        한국인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식이섬유 섭취 상태

        이혜정(Hye-Jung Lee),김영아(Young-Ah Kim),이혜성(Hye-Sung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5 No.9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구축된 한국인의 상용 식품에 대한 식이섬유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2001년 국민건강ㆍ영양조사 보고서에 나타난 1인 1일 평균 식품 섭취 자료를 토대로 한국인의 연령별, 성별 평균 식이섬유 추정 섭취량을 산출하고 식이섬유의 주요 급원식품군 및 10대 단일 식품급원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연령별 식이섬유의 추정 섭취량 평균치는 1세에서 49세까지는 연령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였으나 50세 이후에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 섭취 기준 식이섬유의 추정 섭취량은 1세에서 64세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한국인의 영양섭취기준의 식이 섬유 충분섭취량(12 g/1,000 ㎉)의 충족률은 평균적으로 49세까지는 미달되었으며 50세 이후는 충족되었고 미달의 정도는 연령이 낮을수록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채소류, 곡류, 과실류는 우리나라 사람들에서 연령에 관계없이 식이섬유의 3대 주요 급원식품군이며 이 세 식품군으로부터 섬유 섭취량의 약 75%를 얻고 있었다. 한국인의 식이섬유 섭취에 기여하는 10대 주요 단일식품들의 식이섬유 총 섭취량에 대한 기여비율은 유아기와 노년기에 다른 연령대에 비해 가장 높게 나타나 이 시기의 식품 섭취의 다양성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쌀은 우리나라 유아들과 아동들의 제1의 섬유급원 식품이었고 배추김치와 쌀은 청소년기 이후 노년기까지 우리나라 사람들에서 변함없이 가장 중요한 섬유섭취의 급원임이 확인되었다. 연령대별로 식이섬유의 주요 급원식품의 종류와 순위가 차이를 보였으며 이것은 연령에 따라 식품 기호도가 상이함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남녀 성별 평균 식이섬유 추정 섭취량은 남성(22.26 g/day 혹은 10.12 g/ 1,000 ㎉)이 여성(19.63 g/day 혹은 11.07 g/1,000 ㎉)에 비해 절대 섭취량은 높았으나 에너지기준 섭취량은 낮았다. 남녀 모두 식이섬유 섭취에 기여하는 주요 식품군은 차이가 없었으며 식이섬유의 단일 급원식품은 남녀 모두 배추김치와 쌀이 1, 2위였으며 여성들은 남성에 비해 과실류 식품들이 섬유급원에서 더 높은 우선순위를 차지하여 남녀별 식품기호도의 차이를 반영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한국인의 식이섬유 섭취기준을 설정하는데 보다 현실적인 참고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고 본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estimated dietary fiber (DF) intakes per capita/day of Korean as of 2001 by age groups and sex, and to analyze the major food sources of DF using the data on per capita consumption of each food reported in the 2001 Reports of Korean National Nutrition Survey and the newly-established DF database. The mean daily intakes of DF of Korean increased with increasing age until 49 years and thereafter decreased with aging. The intakes of DF/1,000 kcal increased with increasing age until 64 years and thereafter decreased with aging. On the average, the Korean people under age of 49 did not meet adequate intake (AI) of DF (12 g/1,000 kcal) in Dietary Reference Intakes (DRI) for the Koreans. The male people less satisfied the AI than the female did. The major food groups contributed to DF intakes of Korean adults were high in the order of vegetables, cereals, fruits, seasonings, legumes and seaweeds. Regardless of age and sex, vegetables, cereals and fruits were three major sources of DF for Koreans who obtained approximately 75% of DF from those sources. It has been shown that rice was the first single food source of DF intake for the age groups less than 12 years, however Kimchi was the first major source for all the age groups over 12 years. The infant and elderly groups obtained more DF from 10 major single food sources than the other age groups did.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the present levels of DF intakes of Korean in all age groups except the elderly group are insufficient to meet the AI for DF. Therefore the beneficial effects of DF on health and the increased consumption of DF from the variety of food sources should be emphasized through the continuous nutrition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