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 1 : 현대(現代) 한국불교(韓國佛敎)의 동향(動向)과 과제(課題)

        강동균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07 동아시아불교문화 Vol.1 No.-

        한국불교의 특징은 선종만이 진정한 불교라는 것이다. 이것은 현대 한국불교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반드시 전제해야 할 사항이다. 新羅末에 전래된 선종은 오교구산을 형성하여 고려시대의 선종의 융성에 기틀이 되었다. 고려 중기 무신정권 아래에서 이루어진 知訥의 定慧結社는 한국불교적인 특색을 갖춘 선종인 조계종으로 발전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일관된 배불숭유 정책으로 인해 이전에 존재하던 모든 종파가 조계종으로 통합되었다. 그 이후 한국불교는 실질적으로 曹溪宗 一色이라도 해도 과언이 아니다. 현재 조계종과 태고종 이외에도 40 여개의 불교종단이 있지만, 모두가 신흥종단이다. 그 신흥종단 가운데에서도 교세가 신장일로에 있는 천태종, 진각종은 교세가 인정되지만, 그 외의 종단은 매우 미미하다. 그 조계종이 시종일관 선종의 입장에서 깨달음의 불교만이 진정한 불교라고 주장하기 때문에 많은 불교인들은, <불교란 깨달음의 불교인거야>라고 단정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구원의 불교, 신앙의 불교는 색이 바랜 채로 변형되고 있다. 그리고 교학의 불교도 무시되었다. 그것은 조선왕조 500 년간의 긴 역사와 불교 지식인들의 외면이 낳은 기형적 단상이다. 그렇지만 한국불교의 변화는 1960년대 들어서서 서서히 일어난다. 대구와 부산에 거사림이라고 하는 신행단체가 매우 적극적으로 교학에 힘을 쓰기 시작하고, 이기영, 안계현, 김영태, 고익진 등이 동국대학교에서 매우 의욕적으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결국 그것이 많은 젊은 학자를 배출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불교계 대학은 동국대학교 외에는 전무하였다. 그러다가 불교를 표방하는 원불교에서 원광대학교, 진각종에서 위덕대학, 천태종에서 금강대학교을 설립하였다. 학회 활동도 활발해져 동국대학교 불교학회 이외에, 한국불교학회, 한국선학회, 한국정토학회, 인도철학회, 원효학회, 한국종교학회, 회당학회, 화엄학회, 한국원불교학회, 태고학회 등이 창립되었다. 불교계 연구단체로는 이기영 박사를 중심으로 한국불교연구원, 지관스님이 주관한 가산불교문화연구원, 동국대의 불교문화연구원, 보조사상연구원, 원효학연구원, 대각사상연구원, 의상만해사상연구원, 성철선사상연구원 등이 이어졌고, 고려대장경연구소, 불학연구소, 전자불전연구소, 팔리문헌연구소 등이 80년대, 90년대, 2000년대 초반까지 이어졌다. 70년대 이전의 불교학자들은 주로 한문 문헌에 의존하여 불교학에 접근했지만 70년대 이후 80년대 90년대로 이어진 연구활동은 젊은 불교학자들의 원전 이해의 단초에 불을 당겼다. 지금의 젊은 학자들은 구미나 일본에도 떨어지지 않을 만큼 산스크리트어, 티벳어, 팔리어에 대한 이해를 깊이 하고 있다. 불교잡지로는 불교사상,『불광』등 수준 높은 불교잡지가 있었지만 독자를 확보하지 못하고 폐간되고 말았다. 그런 가운데『불교평론』은 대단히 흥미로운 계간지이다. 불교와 서양철학의 비교, 미묘한 사회문제를 불교적으로 접근하는 등의 참신한 내용이 담긴 논문들을 발표하고 있으며, 우수한 해외 논문들의 번역, 소개 또한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라디오 방송인 불교방송은 1990년에 개국했고, 케이블 방송인 불교TV는 1995년에 개국했다. 포교활동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이러한 한국불교의 현황을 참고로 현대한국불교의 과제로는 (1) 불교계의 이미지 쇄신, (2) 사회적인 문제 참여방안 마련, (3) 학술연구의 기반 구축, (4) 새로운 미디어에 대한 적응, (5) 윤리적인 문제 탐구에 대한 방법론적 모색, (6) 문화적인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본다. 韓國佛敎の最大の特徵は 禪宗だけが 佛敎と言うところにある. これは現代韓國佛敎を理解するのにあたって必ず前提しなければならない事項である. 新羅末に傳來された 禪宗は 五敎九山を形成して高麗時代の禪宗の隆盛の基礎になった. 高麗中期武臣政權の下で成り立った 知訥の 定慧結社は韓國佛敎的な特色を取り剪えた禪宗である 曹부宗として發展した. 朝鮮時代には一貫された 排佛崇儒 政策によって以前に存在したすべての 宗派が 曹부宗に統合された. 禪敎兩宗を置いたとは言うものの, 實質的に敎宗は消えて禪宗だけが命脈を維持したまま近代を迎えた. 高宗の時に至って日本僧侶によって僧侶の 都城出入が許容されたが, 禪宗の基礎はそのまま維持された. 解放以後日本佛敎の殘在である僧侶の 帶妻肉食がイシュ□として著しく表面化した.それは結果的に比丘僧·帶妻僧の紛爭につながった. まだ紛爭が完全に終わったことではないが, 韓國の傳統寺刹の大部分を比丘側が占めるようになった. これにより帶妻側は新たに 太古宗を立てて今日に至る. 韓國佛敎は實質的に 曹부宗 一色であるといっても過言ではないのが現實である. 曹부宗と太古宗以外にも 40 余個の佛敎宗團があるが, 皆が 新興宗團である. その新興宗團の中でも敎勢が伸張一路にある天台宗を含めて眞覺宗, 一鵬禪敎宗, 元曉宗, 法華宗は敎勢が認められるが, その以外の宗團は非常に微微たるものである. 曹부宗以外の宗團は曹부宗で僧侶生活をした人や, 何かの影響を受けた人が起こしたもので, 結局韓國佛敎は曹부宗一色という結論が決して度が外れたものではないということである. その曹부宗が終始一貫禪宗の立場で悟りの佛敎だけが眞の佛敎であると主張するので多くの佛敎人たちは,「佛敎とは悟りの佛敎なのなのである」と斷定するようになったのである. いや, 佛敎だけではなく他の宗敎人たちも, 一般社會でも佛敎の認識が偏重されるしかないことが韓國佛敎の現實だ. ここで救援の佛敎, 信仰の佛敎は色があせたまま變形されている. そして敎學の佛敎は全く無視された. それは朝鮮王朝 500 年間の長い歷史と, 佛敎知識人たちの無關心が生んだ奇形的な斷相である. これに對する深い反省は搜してみることもできない. むしろそれが韓國佛敎の長所とまで思う傾向さえある. 韓國佛敎の變化は 1960年代入って徐徐に起きる. 多種多樣の在家の信行團體が非常に積極的に敎學に力をつくし始めた.佛敎系大學は東國大學校の外には全くなかった韓國で,他の一般大學で佛敎文學, 佛敎史, 佛敎美術などの側面で佛敎に近付く意慾的な成果たちが目立つようになった. そうするうちに佛敎を標榜する円佛敎で円光大學校が建てられたし, 眞覺宗で威德大學が建てられた. 天台宗でも金剛大學を創立してもう初の卒業生を輩出するようになった. 禪宗に對する硏究に集中された佛敎學界に華嚴, 天台, 淨土, 唯識などの硏究が相當な水準に至ったし, 佛敎學者外にも佛敎學に關心を持って近付く人□がたくさん生じ始めた. 學會活動も活發になった. 過去には東國大學校佛敎學會以外にはなかったが,韓國佛敎學會, 韓國禪學會, 韓國淨土學會, 印度哲學會, 元曉學會, 韓國宗敎學會, 華嚴學會, 韓國円佛敎學會, 太古學會, などが創立された. 佛敎系硏究團體も燎原の炎のように應がった. 韓國佛敎硏究院が 70年代に意慾的な活動をして多くの著作を發行して後學たちや硏究者たちや溥門外の人たちにまでも役立つことにつながった. 伽山佛敎文化硏究院, 東國大の佛敎文化硏究員, 普照思想硏究院, 元曉學硏究院, 大覺思想硏究院, 義湘卍海思想硏究院, 性徹禪思想硏究院などが あいつぎ, 高麗大藏經硏究所, 佛學硏究所, 電子佛典硏究所, パ□リ文獻硏究所などが 80年代, 90年代, 2000年代初半までつながった. このような硏究團體たちはすべて溥ら眞劍で深みのある硏鑽活動を行い,それが韓國佛敎を一新した. 70年代以前の佛敎學者たちは主に漢文文獻に依存して佛敎學に近付いたが 70年代以後 80年代 90年代につながった硏究活動は若い佛敎學者たちの原典理解のきっかけに火をつけることになった. 今の若い學者たちは歐米や日本にも優る位サンスクリット語, チベット語, パ□リ□語に對する理解を深くしている. それによって印度佛敎の硏究活動が非常に積極的になっている. 『俱舍論』をはじめて,『中論』,『唯識三十頌』などの難解な論疏に對する硏究活動につながったし, 大乘論典に對する大단な解釋もたくさん成し遂げられた. 佛敎雜誌は 60年代から何ヵ月も引き繼いだ例がほとんどなかった. それは今日にも同じことがいえる. 過去にも 『佛敎思想』とか 『佛光』など, 水準の高い佛敎雜誌があったが讀者も確保することができずに財政的な裏付もなく,廢刊されてしまった. そんな中 『佛敎評論』はすごくおもしろい季刊誌である. 西洋哲學と佛敎の接点, 例えば, ハイデッガ□, デリダなどの佛敎的解釋を試みるとか, 微妙な社會問題を佛敎的に近付くなどのフレッシュな內容が□められた論文たちを果敢に發表しているし, 優秀な海外論文の飜譯, 紹介も倦まず弛まず成し遂げている. ラジオ放送の佛敎放送は 1990年に開局したし, ケ□ブル放送の佛敎TVは 1995年に開局した. これは TVという媒體の力强い電波力や, ラジオ聽取者たちの底邊を勘案するならば 90年代韓國佛敎界の最大の成果の中の一つとすることもできるであろう. ラジオ放送の場合,釜山, 大邱, 光州など各地域の佛敎放送局が開局する成果を成した. 以上のような現狀をふまえて,(1) 佛敎界のイメ□ジ刷新,(2) 社會的な問題に對する積極的な參加,(3) 學術硏究の基盤構築,(4) 新しいメディアに對する適應,(5) 倫理的な問題探求に對する方法論的模索,(6) 文化的な活性化,などが.現代韓國佛敎の 課題になるであろう.

      • KCI등재

        한국불교의 포교 저변 확대를 위한 대중가요의 활용 - 계율적 관점에서 트로트를 중심으로 -

        한성열 ( Han Sung-yul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0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44

        본 연구는 불법 포교 저변 확대의 일환으로, 대중가요를 활용한 포교 가능성 여부를 검토하고자 작성되었다. 불교가 전래된 1600년 동안 한반도에서 불교문화라 함은 전통의 문화로 인식될 만큼 일반 대중의 삶에 깊숙이 연결되어 있었다. 이는 문화재청에 등록된 문화재 가운데 절반 이상이 불교 문화재인 것을 보아도 부정할 수 없는 현실이다. 하지만 작금의 불교는 대중이 공감하지 못하는 전통을 고수하며, 독자적 행보를 이어가니 이는 대중의 문화를 이루지 못하고 공감의 문화를 형성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그것은 21세기 불교 종교 인구 감소라는 수치와도 무관하지 않다. 이에 불교의 발전과 홍포를 위하여 좀 더 현실적이고 대중성 있는 포교방안을 제시하며, 접근성이 쉬운 대중가요, 그 가운데서도 2020년 문화 트랜드로 자리 잡은 트로트를 활용한 포교방안을 제시하는 바이다. 본고에서는 대중문화를 활용한 포교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역사적으로 문화를 창출하던 전래 초기의 사례와 가요를 통한 전파를 연구하였고, 대중가요를 활용한 포교가 교리에 위배성은 없는지 점검하기 위해 율장을 열람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트로트를 활용한 포교는 불교가 지니는 기존의 정적인 이미지를 희석하여 대중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었으며, 대승불교의 계율관에 입각하여 대중가요를 활용한 포교 방편이 문제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대중문화를 활용한 포교 전략은 일개 개인의 노력으로는 한계를 지니는바, 종단 차원의 적극적이고 전문적인 포교 방향성 제시라는 과제를 남기기도 했다. The study aimed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proselyting people by using popular songs as part of expanding the base of the propagation of Buddhism. During the 1,600-year period when Buddhism was introduced, Buddhist culture was deeply connected to the lives of the general public enough to be recognized as a traditional culture on the Korean Peninsula. This is an undeniable reality that more than 30% of the cultural properties registered with the Korea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re Buddhist cultural assets. However, as the current Buddhism continues its independent movement by adhering to the tradition that the public cannot relate to, it would not be able to achieve popular culture for the public, not to mention forming a culture of empathy. As a result, Buddhism has resulted in a declining figure in the religious population, overlapped with the troubling times in the 21st century. Therefore, for the development and the publicity of Buddhism, the study presents a more realistic and popular missionary plan using trot music which has become a cultural trend in 2020.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proselytism using popular culture, the study explored the early examples and their effectiveness of spreading through popular songs in the early stage of the propagation of Buddhism that created historic culture. The readings and analyses of Vinaya Pitaka were performed to find out whether the missionary use of popular songs is against the religious doctrines of Buddhism. In the conclusion of the study, the significance of the proselytizing method using trot music in which the current static images of Buddhism can be diluted to increase public accessibility was established. Likewise,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selytizing method using popular songs based on the precepts of Mahayana Buddhism is unproblematic. However, this type of missionary strategy employing popular culture has limitations it if is based on individual efforts, so it leaves the religious orders of Buddhism to present an active and professional missionary direction of proselytism.

      • KCI등재

        중국 전통신화에 대한 불교적 재해석의 역사 - 화상석의 불교문화적 변용과 발전을 중심으로 -

        한지연 ( Han Jee-yeo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6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8

        불교가 동아시아에 전파된 이후 정착의 과정에는 여러 측면에서 변용이 이루어졌다. 사상은 물론이거니와 문화적으로 중국 문화와의 접변을 통해 발전했기 때문에 인도불교와는 다른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이러한 대전제 속에서 불교가 중국에 전파될 무렵부터 이루어진 중국 전통문화의 발전과정과 불교와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특히 중국 고대 신앙의 형태가 이루어지는 데에는 원시로부터 형성된 신화의 중요성과 중국 상장문화의 발전단계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중국의 보편적인 신앙 형태가 나타나는 과정을 살펴보고 이 시기에 전파된 불교가 이들과 어떤 방식으로 융합되는지, 그 연관관계에 관해 알아보았다. 그 과정에서 인도불교 문화와는 차별화되는 양상들이 출현하게 되는 배경을 밝혔다. 석굴 내에서 `전(塼)`이 출현하게 된 배경에 중국 상장문화에 사용되었던 화상석과의 연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그 소재에 있어서도 중국 전통신화에 등장하는 요소들이 상당부분 융합되어 나타나고 있다. 때문에 문화 접변 과정에서 신화와의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있고, 이는 불교가 신앙으로 자리잡는 데에 중요한 매개체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융합을 통해 정착하였으나 점차 불교의 색채를 강하게 표현하는 방식으로 바뀌고 있어 본래의 모습을 드러내는 것이 융합의 목적이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동아시아에서 불교의 `융합`과 `변용`은 단지 그 형태나 내용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원래의 형태와 내용을 담고 이를 발현하기 위한 준비단계로 볼 수 있을 것이다. When Buddhism was spread toward East Asia, it had to change itself in many ways to settle down in new circumstances. Buddhism in China had been absorbed into the society with changing its ideas and culture bit by bit. The religion from India seems to have used Chinese traditional myths to settle down in a new circumstance of China. It had blended in with the mythological factors such as Xi Wang Mu, Fu Xi and Nu Wa. The zhuans which were the brick used in grave are found in the Magao caves in Dunhuang. They are not found in the caves built in other areas at the similar time. It is possible to assume that the religion had been affected by the traditional culture of Han Dynasty such as using pictorial stones in grave, when Buddhism arrived in Dunhuang. The Chinese traditional factors used to be assimilated had been also slowly changed into Buddhist new culture. The shapes and patterns of zhuan and variety of wall paintings show how Buddhism took place and flourished in China. The `blending` and `changing` of Buddhism in East Asia were preparation level to prosper in the future. When Buddhism was spread into East Asia, it had to put effort on assimilating naturally without any pressure on the indigenous belief and culture.

      • KCI등재

        『弘明集』의 「牟子理惑論」을 통해 본 도교 養生論 비판 연구

        김희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9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7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ocial meaning of Buddhist criticism of Taoism (Taoism) through the study of the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n the 「Mouzi Lihuolun(牟子理惑論)」, 『Hong-ming-ji(弘明集)』 Considering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cultural bargaining (interactions) in cultural exchanges, the process of Chinese acceptance of Chinese Buddhism and Chinese Buddhism in India strengthens the identity of Confucianism and Taoism in the Chinese society in a conscious way . And this is related to the strengthening of the cultural consciousness of experience of heterogeneous culture. In other words, strengthening the identity of the self culture is exclusively strengthening the identity of the self culture in that it is centered on the difference between other cultures and other self cultures. On the other hand, the experience of heterogeneous cultures themselves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flect and reflect on the opportunity of reflection on their culture (self). In this context, the criticism of Taoism's longevity and ritualism in the 「Mouzi Lihuolun(牟子理惑論)」, 『Hong-ming-ji(弘明集)』 represents the strengthening of Buddhism's exclusive self-identity to the doctrines. In other words, the process of securing the social status of Buddhism, which challenges the social status of Taoism, is to discuss the social superiority of the spiritual culture that Buddhism can replace Taoist consciousness culture. Therefore, the Buddhist criticism of Taoism (Taoism thought) Health Promotion in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ocial meaning of Taoism as an indigenous religion. At the same time, this is the process of reviewing whether the criticism of the doctrine made by Buddhism was properly made. 본 논문은 도교(도가사상)의 養生에 대한 불교의 비판이 가지는 사회적인 의미를 『弘明集』의 「牟子理惑論」에 나타나는 儒ㆍ佛ㆍ道 同異論을 통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화교류가 가지는 문화교섭(상호작용)의 사회적인 특징을 고려할 때 인도불교의 중국 전래 및 인도불교의 중국적 수용 과정은 중국사회 내에 토착종교의 의미를 가지는 유교와 도교의 정체성을 의식적인 형태로 강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이것은 이질적인 문화에 대한 경험이 가지는 자기(문화)의식의 강화와 연관된다. 즉 자기문화에 대한 정체성 강화는 타문화와 다른 자기 문화의 차이점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한다는 측면에서 자기문화의 정체성 강화는 배타성을 가진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이질적인 문화에 대한 경험성은 자기문화(자아)에 대한 반성의 기회를 스스로 부여하고, 성찰하는 계기를 마련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다면 『弘明集』의 「牟子理惑論」에서 나타나는 도교의 長生(神仙術)과 儀禮에 관한 비판은 도가사상에 대한 불교의 배타적 자기정체성 강화를 대변하는 내용에 해당한다. 다시 말해, 도교의 사회적 지위에 도전하는 불교의 사회적 지위 확보 과정은 도교의 의식문화를 대체할 수 있는 불교가 가지는 정신문화의 사회적 우위성을 논설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 규명하는 도교(도가사상) 養生에 대한 불교의 비판은 현실사회에 토착종교로 기능하는 도교의 사회적인 의미를 고찰하는 것이 된다. 동시에 이것은 불교에 의해 이루어진 도가사상에 대한 비판이 타당하게 이루어졌는가에 대한 검토 과정이 된다.

      • KCI등재

        동아시아의 근대불교와 불경(佛經)의 번역과 출판

        윤종갑 ( Yun Jong-gab ),박정심 ( Pak Jeong-sim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6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8

        본 연구는 동아시아의 근대화와 번역 및 출판의 관계를 한중일 불경 번역과 출판 사업을 중심으로 비교론적으로 고찰함으로써 문명과 제도의 변화와 개혁에 있어 번역과 출판의 관련성과 그 영향력의 중요성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동아시아의 근대화, 특히 불교와 서양사상[종교]의 만남과 충돌은 배격[비판]과 수용[융화], 계승과 단절, 연속과 불연속 등 사상적·문화적·종교적으로 많은 새로운 이념과 제도를 창출하였다. 따라서 동아시아의 근대, 특히 동아시아의 근대불교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근대적 불교 해석과 번역, 그리고 출판 사업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 까지도 미미하며, 특히 한·중·일 삼국의 근대 불교 경전의 번역과 출판 현황에 대한 비교론적인 연구는 거의 전무하다. 문명으로서의 근대가 아닌 인문으로서의 동아시아의 근대의 성격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누군가 반드시 수행하여야 할 중요한 연구과제인 것이다. 일본은 근대 이전에는 동아시아의 주변국에 지나지 않았지만, 근대화를 통한 서구사상의 세례 이후에 동아시아의 중심을 차지하게 된다. 과연 일본이 어떠한 근대화를 통해 동아시아의 중심을 차지하게 되었을까· 본 과제는 근대화를 통해 일본이 동아시아의 중심이 될 수 있었던 이유가 무엇이며, 왜 한국과 중국이 주변으로 내몰리게 되었는지에 대한 원인 가운데 하나로 동아시아의 근대불교화 과정 속에 나타난 불경(佛經) 번역과 출판 사업을 통하여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modernity of East-Asia and Translation-Publishing based on East-Asian and Translation-Publishing of Buddhist Sutra. So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of Translation-Publishing and the gravity of influence by comparative study. East-Asia`s modernization especially the meeting and crash Buddhism and West philosophy was create much new changes of ideological, cultural, and spiritual like harmony and criticism, succession and severanc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So to understand the modernity of East-Asia, especially Modern Buddhism of East-Asian we have to study translation-Publishing of East-Asia Buddhist Sutra But the study still insignificant. and there are any comparative research about the three country that Korea, Japan, and Chinese of modern Buddhism of East-Asian and Translation-Publishing of Buddhist Sutra. So this is important to find out not the modernity of civil but the modern East-Asia as humanities. Japan became a center of East-Asia since the Modern Ages. How could do it?

      • KCI등재

        <특집논문1> 화엄사상과 현대예술의 만남 : 『화엄경』을 통한 불교문화 콘텐츠 활용방안

        장재진 ( Jae Jin Jang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5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2

        불교가 여러 유형무형의 창작물들을 생산한다거나 근본적인 불교정신을 일반 대중들에게 잘 전달하고 있는지는 정보화 사회인 현대에 새로운 미디어 출현에 부합하여 사회 전체의 통괄과 제어의 기능을 잘 활용하는가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현재 불교문화는 연극·영화를 비롯해서 게임·만화·애니메이션·사진·만화콘텐츠 등의 이미지·영상·공연·오락·축제를 비롯한 여러 콘텐츠분야를 통한 산업화 시대의 전개에 부합되기를 요구받고 있다. 미디어의 발전은 구술과 문자를 통해 화자와 청자 혹은 작가나 독자와의 관계가 형성되었던 시대를 지나서 디지털시대의 전개를 향유한지 이미 오래된 일이다. 여기서 더 나아가 문화상품을 대중화하는데 선도적인 역할을 한 유비쿼터스라는 미디어의 역할을 넘어 사물인터넷(IoT : Internet of Things)시대의 도래와 전개를 예견하고 있다. 논자는 이러한 미디어의 변화에 부응하여 불교문화콘텐츠 중에서 특히 『화엄경』에 주목하고자 한다. 『화엄경』을 통해서 우리는 깨달음에 대한 광경, 정토에 대한 이야기, 학문적인 전통, 여러 가르침, 예술적 표현 등을 볼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불교의 근원적인 진리에서 불교문화 및 불교예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원형을 찾을 수가 있으며 이와 관련된 문화콘텐츠 활용방안을 모색해 볼 수 있다. ‘소리, 말, 몸짓’을 중심으로 『화엄경』의 법회장면에서 묘사되는 여러 장르를 응용 확장해서 스토리텔링 할 수 있다. 그리고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의 문화원형분류 기준에 따라서 화엄경 이야기의 소재를 이야기형, 디자인형, 정보자료형에 상응하는 콘텐츠 구축에 대해 모색할 수 있다. 또한 채트먼 서사구조를 중심으로 문화원형의 소재별 모티브를 대입하여 문화원형의 스토리텔링의 구조로 도출한 내용에 따라서 『화엄경』의 서사적 모티브, 도상적 모티브, 심상적 모티브, 사료적 모티브, 그리고 말하기의 발현에 따른 문화콘텐츠 장르를 중심으로 응용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다. 본고를 통해서 논자는 유비쿼트스나 IoT시대의 미디어에 부합하는 문화콘텐츠의 활용방안을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그리고 화엄의 중심사상을 전개함에 있어서 미적으로 표현한 우주의 질서에 담긴 연화장세계(蓮華藏世界)의 형상예술의 콘텐츠를 모색하고 이의 활용방안을 알아보고자 함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The questions as to Buddhism`s roles in production of tangible and intangible works of art or dissemination of the fundamental Buddhist spirit can be explored in line with the adaptation to the new media in the contemporary IT society and its efficiency in its functions of projection and control of the entire society. Currently, Buddhist culture is asked to correspond to the unfolding of the industrialization in the areas of drama, cinema, game, cartoon, animation, photography and other such contents as well as in various contents areas of image, video material, performance, amusement and festival. The media advance has long been enjoying the digital gifts beyond analogousness. Furthermore, the ubiquitous media role is advancing to the IoT era. The author focuses on 『the Avatamska Sutra』 as Buddhist culture contents in line with such media trends. 『The Avatamska Sutra』 enables us to explore the moments of realization, the Buddhist Elysium, academic tradition and artistic expressions. Based on this, various prototypes ranging from Buddhist culture to Buddhist art are found in the fundamental truth of Buddhism. Cultural contents may be explored in this context.

      • KCI등재

        특집 1 : 當代中國佛敎的現狀與使命

        위도유 ( Dao Ru Wei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07 동아시아불교문화 Vol.1 No.-

        上個世紀八十年代以來,中國佛敎在僧尼人數、組織規模和寺院經濟等方面快速發展。佛敎界的各類學術硏究機構持續增多。佛敎界學者出版的著作、論文集數量不斷增加,涉及的範圍也越來越廣泛。硏究成果涉及經典文獻、宗派曆史、義理哲學、文學藝術、法事儀軌等各個方面。現在除了中國佛敎協會下屬的中國佛學院之外,各地佛敎協會或大寺院創辦的佛學院大約有數十所,規模不等,爲佛敎界培養了一大批人才。中國佛敎協會號召全國佛敎界今後把工作重點轉移到發展佛敎敎育,提高四衆素質方面來。各地的寺院也要逐步加大對敎育的投入,致力於提高寺院的品位。近十幾年來,中國佛敎從事的社會慈善公益活動規模、範圍和影響都不斷擴大。中國佛敎界在保持和發展同韓國、日本、越南、蒙古、泰國、緬甸、尼泊爾等許多亞洲國家的傳統友好關系的同時,逐步建立和加强了與歐 洲、美洲、澳洲等幾十個國家和地區的佛敎組織和信衆的友好聯系。中國佛敎重視發揚愛國愛敎、關愛衆生的傳統,重視倫理道德、勸人向善的傳統,倡導慈善公益、扶危濟困的傳統,以及愛好和平、重視文化建設、注重國際友好交流等傳統,倂且在這些方面都做出了흔多工作。當代中國佛敎處在前所未有的良好社會環境中,充分發揮善世利人社會功能的領域更爲廣闊。通過弘揚淨化人心的敎義促進人與自我的和諧,通過運用佛敎倫理促進人與社會的和諧,通過致力於環境保護促進人與自然的和諧,都是佛敎在構建社會主義和諧社會中發揮獨特作用的方面。對內爲建設和諧社會服務,對外爲建設和諧世界做貢獻,是當代中國佛敎在新世紀不可替代的曆史使命,也是中國佛敎與時俱進,適應社會,實現自身健康發展的必由之路。 From 1980s, Chinese Buddhism has undergone rapid development in the numbers of monks and nuns, scale of organizations as well as temple economy. More and more academic institutes appear in the Buddhist field. Books and articles written and published by Buddhists increase with very large scopes. The research achievements concern with scriptures, history of Buddhist sects, Buddhist philosophy, literature, art and Buddhist ceremonies etc.. Apart from Chinese Buddhist College subordinated to Chinese Association of Buddhism, there exist several decades of Buddhist colleges with different scale in China. They foster a large number of Buddhist talents. Chinese Association of Buddhism advocates Chinese Buddhist field to develop the Buddhist education and promote the quality of believers. Temples in the whole country should also invest more capital in the Buddhist education and enhance the grade of temples. For more than ten years, the scale, scope and influence increasingly enlarge of benevolent activities that Chinese Buddhism participates. In maintaining and developing traditional friendly relationship with Asian countries such as South Korea, Japan, Vietnam, Mongolia, Thailand, Burma and Nepal, Chinese Buddhist circle gradually sets up and strengthens the friendly relationship with Buddhist organizations and believers in Europe, America and Oceania. Chinese Buddhism emphasizes, advocates excellent traditions and accordingly makes great efforts in these fields such as ardent love to motherland and Buddhism, care for Sattva, emphasis on ethics and morality, advocate for benevolence and public benefits, love for peace, emphasis on cultural construction as well as attention to international friendly exchanges. At present, Chinese Buddhism lies in an unprecedented good social environment. There is wider space for it to bring into play the social function of benefiting the world and people. Chinese Buddhism can play a particular role in constructing socialist harmonious society by expanding positive doctrines to purify the mind of oneself, by applying Buddhist ethics to promote the harmony between people and society, by putting effort into environment protection to promote the harmony between human being and nature. For Chinese Buddhism, to serve the construction of harmonious society domestically as well as contribute to the construction of a harmonious world internationally is an indispensably historical mission in the new century. Significantly, it is also the only way for Chinese Buddhism to keep pace with the time, adjust itself to the society and realize its healthy development.

      • KCI등재

        특집논문2 불교사상과 문화의 현대적 의미와 응용 : 한국불교의 대승보살도 실천을 위한 방안 고찰 -상구보리와 하화중생의 문제를 중심으로-

        손병욱 ( Byeong Ook So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4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19

        대승보살도에서 본다면 보살은 하화중생 없이는 상구보리의 성불에 이를 수 없다. 그런데 한국불교(조계종 중심의 한국 선불교)는 대승불교를 표방하면서도 하화중생은 뒷전으로 제쳐두고 오직 상구보리의 성불에만 정신을 쏟고 있는 듯하다. 그 결과 한국불교가 대중들과 유리되어산중불교, 수행불교의 한계를 못 벗어나고 있다. 그렇다면 한국불교의 주류인 출가승들이 보살도를 실천하자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한국불교 스님들의 당면과 제가 깨달음과 닦음의 문제가 아니라 보살도의 실천이라고 보았다. 그것은 곧 깨달음의 사회적인 확산, 효율적인 하화중생의 시행이 될 것이다. 보살승이 되자면 하화중생 이전에 선오후수에 의거한 깨달음[상구보리]이 필요한데, 여기에 들이는 시간은 수계이후 최대한 6년을 넘기지말아야 할 것이다. 그래야만 스님들이 석가모니의 제자자격을 유지할 수 있다. 이후 하화중생을 통하여 한국사회의 현안문제, 특히 고통을 야기하는 제반문제 해결에 한국불교가 의미 있는 기여를 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본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낡은 시스템을 과감히 버리고 새로운 시스템을 도입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에 보살도 실천을 위한 시스템의 대강을 구상하여 제시하였다. 앞으로 한국불교가 통일한국 시대를 맞이하게 되면 해야 할 일이 많을 것이다.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여기서 스님들은 삼국통일기(540~676) 신라의 원효와 최근세 인물인 백용성 스님의 행적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특히 이들의 하화중생의 정신을 철저하게 본받아서 그 정신으로 무장하고 그 정신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이야말로 한국불교가 지금의 침체기를 벗어나서 재도약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라고 보았다. At the point of the way of Mahayana bodhisattva, bodhisattva can``t become a buddha without saving all sentient beings. And yet korean Zen buddhism which belongs to Mahayana buddhism only seems to be concerned with the attaining spritual enlightment but is unconcerned with saving all sentient beings. As the result, korean Zen buddhism is separated with popular, can``t escape from the limits of Mt. buddhism and the buddhism for training. So then the monks who are belong to the main current of korean buddhism, what method do they have to practice the way of Mahayana bodhisattva? In this article, at the view point of these critical minds, the author thought that korean monks have the practicing problem of the way of Mahayana bodhisattva as an urgent question, not the problem about becoming a Buddha or trining method. If I explain it with another words, it will be the social spreading of spritual enlightment which is equal to practice of saving all sentient beings. The monk of bodhisattva needs qualifications for the attaining spritual enlightment before the saving all sentient beings. For this attaining spritual enlightment, he must finish his homework as the attaining spritual enlightment within 6 years. If he can do this homework, he can maintain Buddha``s discipleship. And then korean buddhism must offer an important service for solving painful problems of present korean society by saving all sentient beings. If we want to do these duties, we must introduce a new system, at the same time we must give up an old system. So I offered the system for practicing the way of Mahayana bodhisattva roughly. In the future, korean buddhism must do many affairs especially during the period of the unified korean ages. What kind of affairs must we do? How will we be able to solve many problems? Now and here, korean monks need to give attention to the behavior of ancient famious korean monk, WonHyo(元曉) and another famious korean monk of the modern period, BaekYongSung(白龍城). Especially, It is very important to practice their spirits of saving all sentient beings. I think that this effort is the only way to respring from the present state of stagnation in korean buddhism.

      • KCI등재

        특집 2 : 한일불교(韓日佛敎)와 생명윤리(生命倫理) -낙태(落胎)를 둘러싼 한일불교(韓日佛敎)의 생명문화(生命文化)와 그 기저(基底)-

        윤종갑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07 동아시아불교문화 Vol.1 No.-

        본 논문은 낙태에 관한 佛典의 기본적인 교리를 바탕으로 하여 오늘날 한일 두 나라의 불교계에서 새롭게 조명을 받고 있는 ``胎兒靈駕薦度齋``와 ``水子供養``을 중심으로 생명문화의 전통과 현황, 그리고 접근방법 등을 생명윤리의 관점에서 비교론적으로 살펴 본 것이다. 한국불교의 ``태아영가천도재``와 일본불교의 ``수자공양``은 낙태아에 대한 추모공양과 낙태한 신도의 죄업을 소멸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근래에 도입된 것이다. 그런데, 낙태(임신중절)된 태아(유산을 포함)만을 대상으로 하며, 낙태아(죽은 자)와 그 산모(산자)를 독립적 개체(이원적 존재)가 아닌 하나의 개체(일원적 존재)로서 파악한다는 점에서 생명윤리의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그러나 ``태아영가천도재``는 영가의 명복을 1차적인 목적을 두고 있는데 반해, ``수자공양``은 낙태를 행한 자의 죄의식의 소멸과 치유를 1차적인 목적으로 한다. 이처럼 한일불교는 전통적인 생명관과 문화적인 차이로 인하여 낙태아에 대한 생명윤리 의식 또한 그 실제 내용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곧 생명윤리는 각 나라의 역사적·사회적 관계 속에서 조망되어야 하며 이러한 토대 위에서 정립되어야 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本稿は落胎に關する佛典の基本的である敎理を土台にして今日の韓日兩國の佛敎界で新しく照明を受けている「胎兒靈駕薦度齋」と「水子供養」を中心に生命文化の傳統と現況, そして接近方法などを生命倫理の觀点で比較論的によく見たのだ. 韓國佛敎の「胎兒靈駕薦度齊」と日本佛敎の「水子供養」は落胎兒に對する追慕供養と落胎を行った信徒の罪業を消滅させるための目的に近來に導入したのだ.ところが, 落胎(姙娠中絶)になった胎兒(流産を含み)のみを對象にして, 落胎兒(死者)とその産母(生者)を獨立的な個體(二元的な存在)ではない一つの個體(一元的な存在)として把握するという点で生命倫理の新しい觀点を提示するのだ. しかし「胎兒靈駕薦度齊」は靈駕の冥福を1次的な目的を置いているのに比べて, 「水子供養」は墮胎を行った者の罪意識の消滅と治癒を1次的な目的にする. このように韓日佛敎は傳統的な生命觀と文化的な差によって落胎兒に對する生命倫理の意識もその實際內容においては差を見せている. これはすなわち生命倫理は各國の歷史的·社會的な關係の中で眺望にならなければならないしこのような土台の上で定立にならなければならないことを意味するのだ.

      • KCI등재

        <일반논문> : 중국불교의 호교론적 공자인용

        강경구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4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18

        중국에서 생산된 불교논서들에는 중국의 이질적 문화환경 속에서 공자를 빌려 중국토양에 적응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자주 발견된다. 불교 가 안착하고 난 뒤에도 대중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이러한 노력들이 계 속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공자의 가르침이 상식이었던 중국사회에 서 불교의 설법자들은 그 비유, 대비적 사유의 장점을 십분 발휘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입장에서 불교의 공자인용을 통한 호교론적 교 리전개의 내용과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우선 불교에는 공자가 부처 의 존재를 알고 있었고 그를 유일한 성인으로 인정하였다는 기록을 강 조하는 논리가 있었다. 중국에는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天毒으로 불렸 던 인도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었으므로 이러한 논리는 일정한 설득 력을 갖는다. 유학자였던 이상은이 역사적 선후관계에 기반하여 공자의 스승으로 노자를 세우고, 다시 노자의 스승으로 부처를 존중하는 師師 師의 입장을 피력한 것도 이러한 논리를 적극 수용한 결과였다. 다음으로 부처와 공자의 가르침이 서로 동일하다는 논리가 있다. 이 와 관련하여 표현은 다르지만 그 교리적 귀결처가 동일하다는 입장에서 공자의 언설을 불교적으로 재해석하는 작업이 널리 행해졌다. 이를 통해 유교가 아닌 것을 배척하는 경향을 논리적으로 차단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문화적 편견에 의한 불교의 왜곡해석에 대한 대응과 공존의 논리가 있다. 유교의 정통을 잇는 것으로 자부한 韓愈는 배불론의 선두 에 서 있는 유학자였다. 불교에서는 한유와 大顚 화상의 가상논전을 기 술한 .韓文公別傳.을 창작하여 .論佛骨表. 등에서 제시한 배불론을 조 목조목 반대한다. 특히 한유의 숭불요절론같은 주장은 논리적 허점이 뚜렷하여 효과적인 논쟁을 전개할 수 있었다. 한편 사회적 지배권을 장 악하고 있는 유학자들과 다원적 공존을 추구해야 한다는 주장은 보편적 설득력을 갖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中國的佛敎論著裏我們不難發現孔子引用, 其目的不外乎在異質文化環 境中要宣傳佛敎的眞實性. 佛敎被普遍接受以後, 此種努力仍然繼續展開發展. 在孔子的言論與思想占主導地位的中國社會裏, 佛敎人通過孔子的引用, 要獲得積極效果. 此文 章考察其護敎論的內容與特徵, 其內容可以簡略如下幾點. 一. 中國的一些書籍裏面說, 孔子說及過西方聖人, 而此聖人則是佛陀其 人. 其實對於天毒-卽印度, 古代中國人早已有比較具體的知識. 因此孔子 許佛陀爲聖人的主張, 具有一定的說服力. 因此儒者身分的李商隱, 考慮其 歷史的前後關系, 就尊佛陀爲師師師. 意思就是說吾儒者的本師是孔子, 孔 子的老師是老子, 老子學道爲佛陀, 因此佛陀是我的師師師. 二. 佛陀與孔子的施敎, 基本上具有相同性. 他們主張二聖人的施敎, 在 語言表現上會有不同之處, 但其終極內容默契相同. 而基於此觀點, 對於孔 子的言敎, 廣範進行佛敎式解釋工作. 三. 佛敎傳入中國以後, 儒者們進行或深或淺的批判佛敎, 而他們不可避 免對佛敎的誤解與文化偏見. 例如韓愈是身爲大儒兼文化權威, 積極批判佛 敎的問題. 佛敎界創作「韓文公別傳」來反駁其論點的矛盾. 令一方面, 佛 敎界人士主張多元性和平共處, 也發揮普遍說服力.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