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양용칠 대한사고개발학회 2013 사고개발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nstructional conditions to effectively teach basic thinking skills to learners. The basic thinking skills to be reviewed in the study were observation, inference, analysis, comparison, and evaluation. The instructional conditions were explored according to the nature of what is to be learned, the learner,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the instructional development constraints by each thinking skill. This study has constraints which have not covered overall conditions of teaching and learning for most of basic thinking skills. However, it seems that the study can suggest ideas and directions for investigations of instructional conditions and strategies for further studies on developing learners' basic thinking skills. Based upon the study, instructional conditions for developmental thinking skills(concept formation, explanation, prediction, and hypothesis formation), and complex thinking strategies(problem solving, decision making,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e thinking) can be further explored. In addition, further research on instructional conditions explored in this study and on effects of their applications in the classroom can be conducted. 이 연구는 기초적 사고 기능을 효과적으로 가르칠 조건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기초적 사고 기능은 김영채(2013)가 분류한 관찰, 추론, 분석, 비교와 평가로 선정되었다. 이들을 개발하기 위한 수업 조건은 사고의 내용, 학습자, 학습환경, 그리고 수업활동 제한점의 특성을 중심으로 정리되었다. 이 연구는 지금까지 개발된 모든 사고 기능의 개발을 위한 수업 조건을 포괄하지 못하고, 더 많은 기초적 사고 기능을 다루지 못한 한계점을 갖고 있다. 그렇지만 이 논문은 사고력의 개발을 위해서 기초적 기능부터 바르게 사고하도록 가르칠 전략과 각 사고 기능의 습득에 필요한 수업 조건의 연구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발달적 사고 기능(개념, 설명, 예측과 가설), 그리고 복합적 사고 전략(문제해결, 의사결정, 비판적 및 창의적 사고)의 개발을 위한 수업 조건에 관한 연구가 계속 수행될 수 있다. 물론 여기서 제시한 기초적 사고 기능을 가르치기 위한 조건을 실제 수업에 적용해서 그것의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도 이뤄질 수 있다.
허소현,양용칠 대한사고개발학회 2017 사고개발 Vol.1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gram to teach techniques and strategies to self-regulate emotions when students experience negative emotion in learning situation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researchers first derived the components related to the academic emotion through the related literature review. Five components of academic emotion were derived: Next, we used ADDIE model to develop a program to teach learners' techniques and strategies to control their emotions in learning situations by utilizing these components. It was developed with the techniques and strategies for developing the ability to control academic emotions for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the five components of academic emotion regulation. This program consisted of 3 units and 8 chapters. The 8 chapters are 2 concepts of academic emotion and emotion regulation, five techniques and strategies for academic emotion regulation, and one application and practice. Each chapter consisted of attention, learning objectives, data presentation, practice and organization. The academic emotion regul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self-learning situation of learners. And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on integration the techniques and strategies of academic emotion with students' learning skills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이 학습 시에 경험하는 부정 정서를 스스로 조절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 학업정서의 조절에 필요한 구성요소가 문헌분석을 통해서 도출되었다. 도출된 구성요소는 인지전략과 행동전략으로 구분되는데, 전자에는 정서 인식과 수용, 능동적 사고와 긍정적 재평가, 후자에는 목표지향행동과 도움구하기로 모두 5개이다. 이들 구성요소를 활용해서 학습 시에 자신의 정서를 조절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ADDIE 수업설계모형에 따라 개발되었다. 분석단계에서는 중학생들의 학업정서실태를 조사하고, 지금까지 개발된 정서조절 및 학업기술 프로그램이 검토되었다. 또한 프로그램의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내용분석이 이루어졌다. 다음 설계단계에서는 평가도구와 교수전략이 개발되었고, 개발단계에서는 학업정서조절 체크리스트와 교재가 개발되었다. 이 프로그램의 내용은 학업정서와 학업정서조절의 이해, 학업정서조절을 위한 기법과 전략의 이해, 이들 기법과 조절의 적용 및 연습이다. 이들 내용은 주의집중, 학습목표, 자료제시, 연습과 정리의 단계에 따라 학습이 수행되도록 개발되었다. 마지막 실행 및 평가단계에서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형성평가와 수정이 이뤄졌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은 자율적 학습 프로그램이며, 정서조절기법과 학습기술을 통합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제언되었다.
양용칠,허소현 대한사고개발학회 2017 사고개발 Vol.13 No.4
학습자의 창의력은 구호나 논쟁만으로 결코 개발되지 않는다. 이제는 교육현장의 교수자가 창의력 개발을 위한 수업을 제대로 실천하도록 구체적으로 도와주어야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창의력 개발을 위해서 교수자가 실천하는 데요구되는 수업의 조건을 탐구하는 데 있다. 구체적 연구내용은 김영채(2007a)가 제시한 창의력 개발을 위한 수업의 세 가지 방안을 교실수업에서 실제로 이룰 수있는 조건의 규명이다. 첫째는 학습자의 창의적 태도 형성에 영향을 주기 위해서 교수자가 수업을 창의적으로 계획하고 실행할 조건을 제시하였다. 둘째는 학습자의 창의적 사고와 행위의 유발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교수자가 수업에서 사고 도구를 활용할 조건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셋째는 학습자의 창의적 아이디어와 행위를 수용하고 인정하는 분위기 형성을 위한 조건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조건들을 충족하면서 교수자가 학습자의 창의력 개발을 돕는 수업기술을 연마할 수 있는 연수프로그램의 개발 필요성과, 학습자의 창의력 개발을 위한 교수자의 수업 창의 력을 높일 수 있는 창의수업경진대회가 다양한 차원에서 수시로 개최되기를 제안 하였다. The development of learners' creativity is no more than any issues or slogans for an educational policy. It is an emerging task to be actually implemented in the classroom setting. It is also the right time for a creative idea of how to be implemented in instruction to be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d present instructional conditions to be implemented for developing learners' creativity. The specific research contents were the exploration of instructional conditions in the classroom setting to come true Kim Yung Che's three instructional strategies(2007a) for developing creativity. Instructional conditions for his first instructional strategy for developing creativity were for classroom teachers to design and implement creatively the instructional plan-itself in order to have an effect on learners' creative attitude formation. Instructional conditions for his second instructional strategy for developing creativity were to let classroom teachers use thinking instruments to help learners with improving their creative thinking and action. And instructional conditions for his third instructional strategy for developing creativity were to make classroom atmosphere for learners' creative thinking and action to be accepted and encouraged in the classroom every time. In-service programs for improving instructional techniques to easily employ those instructional conditions every period in the classroom should be developed, and then creative instruction-competitive exhibitions might be held for improving teachers' competency in a variety of level in the nation wide.
이지연,김영환 대한사고개발학회 2014 사고개발 Vol.1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search trends in thinking education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suggest future tasks with relation to thinking education. Towards this end, 147 research articles related to thinking education published in Korea from 1994 to 2013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research purpose, theme, research subject, curriculum subject, thinking category, and research methodolog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spect of research purpose, both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were increased and in particular, the majority of the studies among them were about the methodologies for thinking education. Second, in terms of research themes, the studies on verification of effectiveness and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ethodologies and teaching models ranked high among the articles. Third, the majority of research subjects were 4th to 6th graders. Fourth, the curriculum subjects applied frequently in studies on thinking education were science, mathematics, and social studies. Fifth, the active studies were implemented evenly in six thinking categories of this study, including creative, critical, logical, problem-solving and higher-order, content-specific, and other. Six, most of articles depended upon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nd literature reviews. In this study, we suggested future research tasks in terms of thinking education, such as expansion of theoretical discussion, development of evaluation methods, a balance betwee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ologies, and so forth. 본 연구의 목적은 1994년부터 2013년까지 한국연구재단(KCI) 등재 및 등재후보 학술지에 게재된 초등학생 대상의 사고력 교육 관련 연구 동향을 파악하여 향후 관련 연구를 위한 발전과제를 탐색하는 것이다. 분석 논문 선정 원칙에 따라 총 147편의 논문이 선정되었고, 이를 연구목적, 연구주제, 연구대상, 교과, 사고력 유형, 연구방법 등 여섯 개의 분석준거와 그에 따른 하위 준거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목적 측면에서 2002년 이후 이론적 및 실증적 연구가 증가추세였고, 특히 사고력 교육 방법론 적용 효과에 대한 연구가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둘째, 연구주제 측면은 교수방법 및 수업모형 개발과 효과검증이 우위를 차지하고 있었다. 셋째, 연구대상 분석결과, 4학년부터 6학년까지 상급학년 대상의 연구가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넷째, 사고력 교육 적용 교과에서는 과학, 수학 그리고 사회과에 대한 연구가 절반이상을 차지했다. 다섯째, 사고력 유형과 관련해서는 창의적 사고를 비롯한 여섯 개 분류 영역에서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였다. 여섯째, 연구방법으로는 양적연구와 문헌연구 중심의 편향된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이론적 연구 확대, 사고력 평가도구 개발, 연구대상 영역 확대, 사고력 적용 교과영역 다양화, 양적 및 질적연구의 균형 등 몇 가지 연구의 발전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의과대학에서의 교육풍토, 자기주도 학습, 그리고 창의적 사고에 대한 고찰 - 타 대학 유사전공 학생들과의 비교를 기반으로 -
천경희,박원균,박영순,강이철,이상숙 대한사고개발학회 2010 사고개발 Vol.6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resent states of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s and creative thinking abilities of students, and of educational climate in a medical school as the first step of a study for competency based educations in medical schools. We conducted a test for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s in 168 students of medical school and 4 focus-group-interviews about the climate for creative think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environment in 20 students of a medical school and an engineering school. We compared the results between the both schools. In the test composed of six sub-areas for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s carrying on 168 medical students, each score of ‘Creativity & Seek Originality' and 'Self-Reflection on Learning' was lower than that of other four sub-areas.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test carrying on the interviewed students in the both schools, the scores of four sub-areas including ‘Passion of Learning', 'Self-esteem about Learning and Tasks', 'Positive Self-expectation' and 'Autonomy' in the medical school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the engineering school.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reative Thinking’ between the both schools. In the focus group interviews for educational climat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s of students-professors, colleagues, and grades, and in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s between the both schools. As a result, it is required to concentrate concerns on the development of appropriate educational climate and self-directed learning of medical students for fostering competent medical doctor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의과대학 역량기반 교육에 관한 논의의 첫 단계로 1개 의과대학(A)과 1개 공과대학(B) 학생들과의 인터뷰와 조사를 통해 의과대학의 교육풍토와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태도, 그리고 창의적 사고에 대하여 알아본 것이다. 168명의 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주도 학습태도를 살펴본 결과, 6개의 하위 영역 중 ‘독창성과 새로움의 추구’ 요인과 ‘학습에 대한 자기성찰’요인의 점수가 타 요인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개 대학의 인터뷰 대상자들 간 비교 결과, 창의성에 있어서는 집단 간 차이가 없었으나 자기주도 학습태도에 있어서는 ‘학습에 대한 애정’, ‘학습 및 과제에 대한 효능감’, ‘자신에 대한 긍정적 기대’, ‘학습에 있어서의 자율성’의 4개 요인에서 A대학 학생들이 B대학 학생들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풍토에 대한 인터뷰에서는 교수, 선후배, 동료들 관의 관계, 학습과 관련된 측면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었으며, 미래의 역량 있는 의사 양성을 위해 의과대학에서 어떤 문화를 창출하고 공유하고 전수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요구된다.
학술지 『사고개발』의 연구동향 분석(2005~2013)
김영환,임유미,류춘근 대한사고개발학회 2014 사고개발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학술지 「사고개발」에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전반적인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그간의 연구 성과를 점검하고 앞으로의 발전과제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목적, 연구자 소속, 연구자 전공, 연구방법, 하위준거 등의 다섯 개의 분석 준거를 토대로 연도별, 등재후보지 운영시점별, 연구대상별로 구분하여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2005년 창간호부터 2013년까지 게재된 학술논문 총 126편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차적 사고와 문제해결 능력에 관한 연구, 창의력 관련 연구들은 꾸준히 이어져 오고 있으나 사고력 관련 연구는 상대적으로 저조하였다. 둘째, 연구자들의 전공과 소속이 고르게 분포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술지의 발전을 위해 보다 다양한 국내외 연구자들의 참여가 권고되었다. 셋째, 주로 기술통계에 의존하는 연구물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어서 향후 질적 연구 등 보다 다양한 연구방법을 적용한 연구의 확충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학술지 「사고개발」은 자체의 특성 강화를 통해 학문적 공헌이 크게 기대되는 학술지로서 2009년에 등재후보지로 선정되어 도약의 발판을 공고히 하였다. 이제는 그간의 성과를 바탕으로 학술지로서의 정체성과 연구의 독자성을 보다 강화하는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trends of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JCPS”) and to identify key areas of focus for future research. For the research, we grouped 126 articles, which had been published in JCPS from 2005 to 2013, based on their publication year and the status of JCPS at the time and research target. The criteria on which the articles were assessed were research objectives, major and institution of the authors, research methodology, and other sub-topics of research. The findings are as follows:First, research in the area of higher-order thinking, problem-solving, and creativity has been consistently active but research on thinking skills has been relatively lacking. Second, the distribution of researchers’ major and affiliated institution is not even. We believe participation from a more diverse group of local and foreign researchers is needed for an academic advancement of the journal. Third, most of the articles were based on descriptive statistics. We propose a wider variety of research method, such as qualitative research, is required. We expect significant academic contribution from JCPS going forward. In order for it to improve as an academic journal, it is imperative that more effort is made to strengthen the journal’s identity and forge its own unique characteristics.
사범대학생의 창의성에 대한 변화신념, 학습참여,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구조적 관계
소연희 대한사고개발학회 2016 사고개발 Vol.12 No.4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correlations among creative mindset, student engagement,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to investigate hypothetical models of creative mindset, student engagement,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to examine a mediation effect of student engagement. The participants were 335 undergraduates in the college of education. The levels of creative mindset, student engagement,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were measured. I analyzed the correlation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 of creative mindset, student engagement,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reative problem solving revealed a high correlation with growth in creative mindset and also it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behavioral student engagement. Second,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revealed a creative mindset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ed creative problem solving mediated by student engagement at the same time. Third, the mediate effect of student engagement between creative mindset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was significant(z=9.38, p<.01). These findings recommend one way to improve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growth in creative mindset, it is to encourage student engagement in college classes when designing creative learning environment for pre-service secondary school teachers. 이 연구의 목적은 사범대생들의 창의성에 대한 변화신념, 학습참여 및 창의적 문제해결력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범대생 335명을 대상으로 창의성에 대한 변화신념, 학습참여 및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첫째, 창의성에 대한 변화신념, 학습참여 및 창의적 문제해결력 간의 상호관련성을 살펴보았다. 둘째, 창의성에 대한 변화신념, 학습참여와 창의적 문제해결력으로 구성된 두 개의 가설모형들을 설정하였고 이에 대한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창의성에 대한 변화신념과 창의적 문제해결력 관계에서 학습참여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창의적 문제해결력은 창의성에 대한 성장신념과의 상관관계가 높았고, 학습참여 중 행동참여와의 상관관계도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구조모형분석결과, 창의성에 대한 변화신념은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학습참여를 매개로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모형의 적합도가 높았다. 셋째, 창의성에 대한 변화신념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관계에서 학습참여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Z=9.38, p<.01). 이와 같은 결과들은 예비중등교사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해서, 교수자는 창의성에 대한 성장신념을 학습자가 가질 수 있도록 촉진해야 하며,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창의적인 수업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는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대학생의 두뇌우성사고유형 및 다중지능유형과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김경미,윤수근,정해주,이경훈 대한사고개발학회 2011 사고개발 Vol.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ty the relationships among the brain dominance thinking types(A, B, C, D quadrant thinking type), multiple intelligences and academic achievement by the major of univer- sity students. The subjects were 383 undergraduate students from the Collage University in Busa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tests were conducted by using the Herrmann Brain Dominance Instrument and MIDAS for undergraduate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 first, the brain dominance thinking types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multiple intelligences. Therefore, the result of the brain dominance thinking types, as well as the multiple intelligences are possible to be used as psy- chological dynamic factors of University Students. Second, the brain dominance thinking types weren't correlated to the academic achievement. The objects of current study were only D Univer- sity freshmen, so this caused problem to represent whole University Students. Also, we set the level of school achievement as average grade of first semester in their first year without concerning the major nor department, so there was a limitation of disclosing the level of school achievement among the D University Students. Third, the multiple intelligences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academic achievement. The specialized groups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unspecialized group but the each specialized group wasn't correlated to it. Therefore, the close correlations between the brain dominance thinking types and the multiple intelligences have revealed and they imply they can predict the level of school achievement of University Students depends on the brain dominance thinking types of the multiple intelli- gences. Also, a study, concerning the limitation of the current study through the post study is required for effectiveness verification of improvement strategy of University Students' school achievement depend on the brain dominance thinking types and the multiple intelligences. 본 연구는 대학생 개인의 심리적 역동적 변인 중 두뇌우성 사고유형 및 다중지능유형과 학업성취도가 관계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 3년제 D대학교 1학년 대학생 383명으로 이들의 두뇌우성 사고유형 및 다중지능유형과 학업성취도를 측정하였다. 검사도구는 Herrmann의 두뇌우성 사고유형 검사(BDI)와 대학생 및 성인용 MI발달평가척도(MIDAS)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대학생의 두뇌우성 사고유형과 다중지능유형 간의 관계는 상관성이 있으므로, 두뇌우성 사고유형 및 다중지능유형의 측정결과는 대학생의 심리적 역동적 요인으로 활용 가능하다. 둘째, 대학생의 두뇌우성 사고유형과 학업성취도 간에는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본 연구의 연구대상을 2․3년제 D대학교 1학년 학생만으로 연구가 수행되어 전체 대학생으로 일반화하는데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학업성취도를 전공 및 학과 구분 없이 1학년 1학기 평균평점을 기준으로 삼았기 때문에 학업성취 수준을 완전히 밝히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셋째, 대학생의 다중지능유형과 학업성취도 간에는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다중지능유형 집단 간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미분화 집단과 각 다중지능유형으로 분화된 집단 간에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두뇌우성 사고유형과 다중지능유형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두뇌우성 사고유형 및 다중지능유형에 따른 대학생의 학업성취도를 예측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또한 연구의 한계점을 고려한 후속연구를 통해 두뇌우성 사고유형 및 다중지능유형에 따른 대학생의 학업성취도 향상 전략에 대한 효과검증이 요구된다.
하은옥,강문숙,이경철,김석우 대한사고개발학회 2013 사고개발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the level of reflective thought was changing through the process of the experience reflection, experience sharing, and discussion, and theoretical learning on the per- formance assessment, reconstruction of the experience of performance assessment for pre-service teachers who took the course of ‘educational assessment’.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are twenty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who took the course of ‘educational assessment’ both in the face to face and cyber classroom from March 7th to June 20th, 2012. The tools of research were the Step 6 of ‘frame of reflective thinking level’ that was used in the researches of Kwakdeokju(2007) and Joe Dezhou et al(2008) based on the frame of ‘4 step analysis’ of Hatton and Smith(1995).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most research participants have the higher level of the reflective thinking at the reconstruction level of per- formance evaluation experience than the reflection level of performance evaluation. This result reveals that the level of reflective thinking of pre-service teachers can be increased by the process of direct reflection of experience, experience sharing and discussion, theoretical knowledge acquisition, and the reconstruction of experience, etc.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평가를 수강했던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자신들이 경험했던 수행평가에 대한 경험회상, 경험공유와 토론, 수행평가에 대한 관련자료 학습, 수행평가 경험 재구성 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반성적 사고수준은 어떻게 변화 해 가는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교육평가 과목을 수강한 학부생과 대학원생 총 19명이며, 3월부터 6월까지 수업시간과 사이버 강의실의 토론방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는 Hatton & Smith(1995)의 4단계 분석 틀에 기초하고 곽덕주 외(2007)와 조덕주 외(2008) 등의 연구에서 사용한 반성적 사고수준 6단계 분석 틀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참여자들의 반성적 사고수준은 수행평가 경험회상 단계에서 보다 수행평가 경험 재구성단계에서 높은 수준의 반성적 사고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교사들의 경험공유, 토론, 학습, 경험의 재구성 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반성적 사고 수준이 향상될 수 있음을 시사 받을 수 있다.
예비유아교사의 두뇌우성 사고유형과 창의적 인성 간의 관계
김형재,김경미,가종순 대한사고개발학회 2010 사고개발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t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brain dominance thinking types(A, B, C, D quadrant thinking type) and creative persona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were 183 undergraduate students from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University or Collage University in Busa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tests were conducted by using the Herrmann Brain Dominance Instrument and WKOPAY(What of Person Are You?) for undergraduate students.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 first, the relationships between A quadrant thinking type and B quadrant thinking type, C quadrant thinking type and D quadrant thinking type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the left cerebral hemisphere and limbic hemisp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acceptance of authority, negatively correlated to the disciplined imagination and creative personality, and didn't correlated to the self-confidence and awareness of others. Also, the left limbic hemisphere were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to inquisitiveness. The right cerebral hemisphere and limbic hemisphere were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to the acceptance of authority,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disciplined imagination and creative personality, and didn't correlated to self-confidence, inquisitiveness and awareness of others. Third, the creative personality w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brain dominance thinking types. That is, the creative personality of right limbic hemispher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among brain dominance thinking types.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 the acceptance of authority, awareness of others, disciplined imagination and creative personality among elements of creative personality according to the brain dominance thinking types. Therefore, there was a close relation between the brain dominance thinking types and creative persona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본 연구는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중 유아교사의 창의성 인성에 관련된 요인으로 두뇌우성 사고유형을 적용함으로써 두뇌우성 사고유형과 창의적 인성간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예비유아교사인 유아교육과 3, 4학년 대학생 183명으로 이들에게 두뇌우성 사고유형 및 창의적 인성을 측정하였다. 검사도구는 Herrmann의 두뇌우성 검사(BDI)와 Torrance의 자기보고식 창의적 성격검사(WKOPAY)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4가지 두뇌 사고유형과 창의적 인성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두뇌우성 사고유형에 따른 창의적 인성의 차이를 밝히고자 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좌상뇌와 좌하변연계는 정적 상관을 보이고, 우상뇌와 우하변연계는 관련성이 높지만, 좌상뇌. 좌하변연계는 우상뇌, 좌하변연계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좌상뇌, 좌하변연계는 권위의 수용과 정적 상관인 반면, 적극적인 상상력 및 창의적 인성과 부적 상관을 보였고, 좌하변연계는 탐구심과도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우상뇌, 우하변연계는 권위의 수용과 부적 상관인 반면, 적극적인 상상력 및 창의적 인성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고, 자신감, 탐구심 및 타인에 대한 의식은 어떤 관계도 없었으며, 특히 자신감 및 타인에 대한 의식은 어떤 두뇌우성 사고유형과도 관계가 없었다. 셋째, 창의적 인성은 우하변연계가 가장 높고, 좌상뇌 지배형이 가장 낮았다. 또한 권위의 수용과 타인에 대한 의식은 좌상뇌가 가장 높고 우하변연계 지배형이 가장 낮았으며, 자신감과 탐구심은 집단별 차이가 없었고, 적극적인 상상력은 우하변연계가 가장 높고 좌상뇌가 가장 낮았다. 결론적으로 두뇌우성 사고유형은 창의적 인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두뇌우성 사고유형에 따라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을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