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고등학교 축구팀 주장의 리더십 유형이 팀 분위기, 팀 응집력 및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원영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이 연구에서는 첫째, 중·고등학교 주장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다른 학교급, 선수경력, 포지션, 출전시간의 차이를 알아보고, 둘째, 중·고등학교 주장의 리더십 유형과 팀 분위기, 팀 응집력 및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2016년 서울, 경기권 중·고등학교 축구선수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무작위로 중학교와 고등학교 각5개소를 선정한 후 각 학교당 30명씩 할당표집한 후 응답의 일관성에 결여되는 15부를 제외한 285명을 최종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이를 토대로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t검증(t-test), 일원분산분석(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자료를 처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더십 유형은 학교급과 선수경력에 따라서 부분적 차이를 보였고, 팀 분위기는 학교급, 선수경력, 출전시간에 따라서 부분적 차이를 보였다. 팀 응집력은 학교급, 선수경력, 포지션에 따라 부분적 차이를 보였고, 인지된 경기력은 학교급, 출전시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리더십유형은 팀 분위기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변혁적리더십은 동료관계 특성에 영향을 미치고, 거래적리더십은 동료관계와 팀특성에, 슈퍼리더십은 동료관계 특성에, 또한 카리스마리더십은 역할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리더십유형은 팀 응집력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변혁적리더십은 사회응집력, 과제응집력, 동료애착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거래적리더십은 과제응집력에, 슈퍼리더십은 과제응집력과 동료애착에 영향을 미치며, 카리스마리더십은 팀 응집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리더십유형은 인지된 경기력의 하위요인인 승리의지와 기량발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다섯째, 팀 분위기는 인지된 경기력에 영향을 미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팀 분위기의 하위요인인 역할특성이 인지된 경기력의 하위요인인 승리의지와 기량발휘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팀 응집력은 인지된 경기력에 영향을 미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팀 응집력의 과제응집력은 승리의지와 기량발휘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팀 응집력의 하위요인인 동료애착은 기량발휘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중·고등학교 축구팀 주장 선발시에 어떠한 리더십유형이 팀 분위기와 팀 응집력에 영향을 주고 그 결과를 통해 주장 선발의 참고자료가 되고, 주장역할을 수행하는 선수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 지체장애인의 건강증진 시스템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 PRECEDE 사전진단 모형과 Matrix 요구도 분석의 적용

        원영인 단국대학교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1855

        이 연구는 지체장애인의 건강증진 시스템구축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지체장애인의 건강증진영향요인을 진단하고 건강증진 요구도를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단계의 단계적 연구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1단계 연구에서는 PRECEDE모형을 부분 적용하여 사회적, 역학적, 행동적, 생태학적 진단을 통해 지체장애인의 건강증진영향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2단계 연구에서는 지체장애인의 건강증진요구도를 장애 발생시기(발생 이전, 발생 직후, 발생 이후)와 생애주기별로 구분하여 건강증진 요구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1단계 연구를 위해 2019년 현재 등록된 지체장애인 중 장애인복지관에 다니는 장애인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5개 권역(서울, 경기, 충청, 전라, 경상)에서 체계적 유층집략표집법(systematic stratified cluster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각각의 표본을 추출하였다. 이와 같은 선정기준으로 지체장애인 총 625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이중 응답의 일관성이 결여되거나 무응답의 문항이 있는 20부를 제외하고 최종 605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응답이 완성된 자료를 회수하여 응답 내용이 부실하거나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자료는 분석 대상에서 제외시키고, 분석 가능한 자료만을 가지고 SPSS 22.0 프로그램과 AMO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1단계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전 조사대상자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사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는 탐색적 요인분석과 Cronbach’s α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독립 t-검증(independent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증으로 Scheffe를 사용하으며, 각 변인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정규성 검증과 확인적요인분석과 및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1단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체장애인의 개인배경 변인(성별, 연령, 소득수준)에 따른 건강증진 영향요인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삶의 질은 연령, 소득수준에 따라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건강상태는 연령, 소득수준에 따라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건강증진행위는 소득수준에 따라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성별, 소득수준에 따라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사회적지지는 소득수준에 따라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건강증진행동의도는 성별, 소득수준에 따라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지체장애인의 장애관련 변인(발생시기, 장애등급)에 따른 건강증진 영향요인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삶의 질은 발생시기, 장애등급에 따라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건강상태는 발생시기, 장애등급에 따라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건강증진행위는 발생시기에 따라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발생시기, 장애등급에 따라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사회적지지는 발생시기와 장애등급 모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건강증진행동의도는 장애등급에 따라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건강증진 영향요인의 경로모형분석 결과 건강증진행동의도와 건강증진 행위의 관계를 제외한 모든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2단계 연구를 위해 지체장애인을 모집단으로 선정하고 눈덩어리 추출법(snowball sampling)을 통해 총 1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표집하였다. 또한, 이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서 연구참여자의 명확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선정기준에 의거하여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첫째, 국내 장애인등급 시스템에 의하여 지체장애인 1~4등급에 해당하는 지체장애인 둘째, 의사소통이 가능한 복합장애가 없는 지체장애인 셋째, 이 연구에 진정성을 가지고 열성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자로 선정하였다. 2단계 연구에서는 지체장애인의 건강증진 요구도를 분석하기 위해 해던 매트릭스와 시간 중심 매트릭스 기법을 혼합 적용하여 지체장애인의 장애발생 시기에 따른 요구도와 생애주기별 건강증진 요구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초기 형태의 매트릭스 제작과 면담문항을 제작 하였고, 두 번째 단계에서는 자료수집 이후 초기 형태의 매트릭스의 틀에 맞춰 자료를 입력하였으며, 세 번째 단계에서는 입력된 자료를 통해 매트릭스를 수정하고 자료를 통합하였다. 네 번째 단계에서는 재분석 과정을 거쳐 최종 결론을 도출하였다. 2단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체장애인의 건강증진에 관한 요구도는 장애인시설 표기(24회), 장애등록지원(11회), 장애인시설 위치의 변화(10회), 복지관 협소화(10회), 재가 장애인지원(9회), 정보제공(9회) 순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 생애주기를 통틀어 당사자의 노력에 대해서는 발생 직후는 야외활동(14회), 현실인정(8회) 으로 나타났고, 발생 이후는 인식개선(12회), 도전성(9회)으로 나타났다. 주요기관에 대한 요구도는 발생 직후는 건강검진 지원(9회), 장애등록 지원(8회) 으로 나타났고, 발생이후는 생애주기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물리적 환경에 대한 요구도는 발생 직후는 장애인 시설표기(12회)로 나타났고, 발생이후는 장애인시설 표기(12회), 장애인시설 위치의 변화(7회) 순으로 나타났다. 관련정책에 관한 요구도는 발생 직후는 찾아오는 서비스(7회)로 나타났고, 발생이후는 생애주기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생애주기별에 따라 청년기는 정보제공(9회), 장애인 시설 표기(9회), 장애인 화장실 개선(8회), 장애등록 지원(6회), 중심기관 역할의 필요(5회) 순으로 나타났고, 중장년기는 장애인 시설 표기(9회), 장애인 시설 위치의 변화 (7회), 현실적인 정책개선(5회), 현실인정(5회), 지방지역 시설 개선 (5회) 순으로 나타났으며, 노년기는 복지관 협소화 (10회), 재가 장애인 지원(9회), 장애인 시설 표기(6회), 야외활동 (5회), 담당기관의 전문화(5회)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후속연구에서는 지체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한 건강증진 시스템 구축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면에서 그 의의가 있을 수 있으며, 이 연구를 통해 향후 지체장애인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애 영역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질 것을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health promotion system for the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y as well a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on for the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y, and to analyze their health promotion need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was divided into two stages. In the first stage, the PRECEDE model was applied to analyze the health promotion factors of the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y through a social, epidemiological, behavioral and ecological diagnosis. In the second stage of the study, the health promotion needs of the physically handicapped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eriod of their disability (before, immediately after and after) through classifying by life cycle. Systematic stratified cluster sampling in five areas (Seoul, Gyeonggi, Chungcheong, Jeolla, Gyeongsang) was used to select the population from among the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y registered as of 2019 attending the Elderly Welfare Center for the first stage study to extract each sample. A total of 625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ere selected as the study subjects, and in the end data of 605 persons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20 were excluded due to incomplete or inconsistent responses. The data that could be analyzed were verifi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and the AMOS 22.0 program. Before verifying the hypothesis 1, a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urvey tools were analyz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ronbach's α test. In order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is,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sed, Scheffe was used as a post-test, and normality was verifi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First, through verifying the difference in health promotion influencing factors according to personal background variables (gender, age, income level) of the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y, it was determined that there were partial effects on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age and income level. There also were partial effects on health status according to age and income level. Income level had partial effects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Gender and income level also had partial effects on physical self-efficacy. Income level showed partial effects on social support. As well, gender and income level showed partial effects on health promotion behavioral intention. Second, through verifying the difference in health promotion influencing factors according to disability-related variables (time of occurrence, disability grade),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partial effects on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time of occurrence and disability grade. In addition, there were partial effects on health status depending on the time of occurrence and the disability grade. Health promotion behavior showed partial effects related to the time of occurrence. Physical self-efficacy showed partial effects related to the time of occurrence and disability grade. For social support, the time of occurrence and the disability grade showed no effects. Meanwhile, health promotion behavioral intention was found to be partially affected by disability grade. Third, the path model analysis of the factors promoting health promotion found that all the pathways other tha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motion behavior intention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15 subjects with a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y as a population for the second stage study and snowball sampling. In addition, for the clarity of the study participants, subjects were selected based on the following selection criteria. First, the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y, who fall into grades 1 to 4 according to the disability grade system in Korea; second, the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y who do not have a complex disability that prevents them from communicating; third, those who can participate in this study with sincerity. In the second stage study, we used a mixture of matrix and time-based matrix techniques to analyze the health promotion needs of the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y, and the goal was to analyze the needs of the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y and their life cycle needs. In the first stage, the initial form of the matrix was produced and interview questions were created. In the second stage, the data was input in accordance with the initial form of the matrix after data collection. In the third stage, the input data were used to modify the matrix and integrate the data. In the fourth stage, the final conclusion was drawn through the reanalysis process. The results of the second stage are as follows. The needs identified for health promotion for the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y are as follows: marking of facilities for disabled persons (24 times), assistance in disability registration (11 times), changes in the location of facilities for disabled persons (10 times), narrowing of welfare centers (10 times), support for disabled persons at home (9 times) and information provision (9 times). Specifically, it is as follows. First, the efforts of the subjects throughout the life cycle immediately after their occurrence were found to be outdoor activities (14 times) and reality recognition (8 times), with awareness improvement (12 times) and conductivity (9 times) after the occurrence. The demands for major institutions were as follows: support for medical examinations (9 times) and support for disability registration (8 times) immediately after its occurrence, while the demands for the physical environment were marking of facilities for disabled persons (12 times) immediately after the occurrence of the disability, followed by the marking of facilities for disabled persons (12 times) and the change of location of disabled facilities (7 times). The demand for related policies appeared as a service (7 times) immediately after the occurrence,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life cycle after the occurrence. Second, according to the life cycle, among those in the youth period the demands included providing information (9 times), facilities for disabled persons (9 times), improvement of disabled toilets (8 times), support for disability registration (6 times), and the necessity of the role of the central institution (5 times); for those in middle age, they were: marking of facilities for disabled persons (9 times), changes in the location of facilities for the disabled persons (7 times), realistic policy improvement (5 times), reality recognition (5 times), and improvement of local facilities (5 times). In old age, they were the narrowing of the welfare center (10 times), support for the disabled persons at their homes (9 times), marking of facilities for disabled persons (6 times), outdoor activities (5 times), and specialization of the responsible institutions (5 times). This study can be meaningful in suggesting directions for subsequent studies, and can be used as data for building a health promotion system that takes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ysically disabled. It is hoped that such studies will consider not only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but also various other areas of disability.

      • 사용자 참여 디자인 의류플랫폼 및 제공자를 위한 입력시스템 개발

        원영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1839

        의류산업은 전통산업으로서 IT기술과 융합된 다양한 서비스 형태들을 선보이고있다. 또한 의류의 커스터마이징 서비스의 생산 방식으로 디지털 프린팅이 많이 활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 중 접근성이 좋은 온라인 의류 커스터마이징 서비스도 디지털 프린팅을 많이 활용하였는데 관련 안드로이드 App 서비스만 검색해 보아도 무수한 서비스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서비스들은 고객들이 직접 디자인에 참여하여 디자이너가 되는 경험을 서비스 모토로 삼고 마케팅을 진행한다. 의류 전공 지식이 없는 평범한 사람들이 패션 디자이너의 체험을 해보고 본인이 직접 디자인 한 옷을 직접 입을 수도 있다는 것은 기성 시장에 없었던 소비자들의 새로운 욕구를 충족시켜준다. 그러나 디지털 프린팅을 활용한 이러한 서비스 사례들은 거의 천편일률적으로 가장 무난하고 제작 난이도가 낮은 티셔츠만 다루고 있다. 이는 아마 해당 방안이 제공자들의 입장에서는 무난하고 스타트를 하기 좋은 아이템이라고 생각하고 있 기 때문이다. 그러나 패션 디자인 참여를 하는 일반인 사용자들에게는 티셔츠 서비스 만으로는 보다 창의적이고 다양한 디자인 창작활동이 이루어지기 힘들므로 한번 시도로 그칠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에 맞선 의류 산업과 서비스가 IT 기반의 커스텀 서비스에 도전한 사례들을 바탕으로 보다 활용적이고 효율적인 오픈 통합 플랫폼을 제시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주 내용은 곧 사용자 참여 디자인 의류 플랫폼 및 제공자를 위 한 입력 시스템에 대한 개발과 결과물에 대한 활용성과 효율성 비교 분석이다. 즉 사용자 참여 디자인 의류 플랫폼에서는 서비스 측면에서의 기획과 개발 (디자인 도구들 의 기능 포함)이 이루어진다. 입력 시스템 개발에서는 해당 플랫폼이 원활하게 돌아가기 위한 자동화 기능을 개발하는 것이다. 자동화 기능 개발에서 ‘컬러 패턴’의 개념이 나오게 되는데 이는 패턴위에 이미 디자인 된 상태의 무늬를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으로 출력한 뒤의 패턴을 ‘컬러 패턴’이라고 정의하였다. 플랫폼의 사용자 정의로는 의류 전공자들을 제공자들로; 디자인 참여자들을 일반인 사용자로 설정하였다. 개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들을 위한 서비스에서는 선택항목 구성, 시뮬레이션, 그리기 기능에 대한 개발을 진행했다. 제공자들을 위한 입력 시스템에서는정보입력, 디자인 영역 매칭 입력, 정렬 입력 등 세 단계로 설계하였다. 활용성과 효율성에 대한 비교분석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다. 활용성으로는 6개의 디지털 프린팅 커스터마이징 서비들에서 제공하는 그리기 화면 특징들을 분석하고개발된플랫폼에서 구현을 한 후, 기존 서비스들에서 표현한 특징들과 비교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로 서로 다른 플랫폼들의 그리기 화면 특징들을 잘 표현할 수 있었다. 즉 제공자가 보유한 생산 장비, 서비스 방향, 가치에 따라 혹은 사용자들한테 제공하고 싶은 자유도에 따라 자유로운 입력이 가능함으로 다양한 서비스의 표현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다양한 서비스의 표현이 가능함은 곧 해당 플랫폼의 활용범위가 넓어진 것으로, 활용성이 좋다고 볼 수 있다. <컬러패턴> 자동화 생성 부분에서는 기존에 디자이너의 수작업으로 디지털 프린팅 커스텀 축구복을 서비스 하고 있는 업체를 비교 대상으로 선정하여 비교 분석을진행하였다. 즉 선정된 업체의 축구복 출력물에 해당되는 패턴과 사용자들한테 제공되는 무늬 이미지들을 받아 개발된 플랫폼에 입력하여 플랫폼에서 축구복에 디자인 가능한 템플릿을 생성하였다. 다음 사용자 페이지에서 자유롭게 디자인을 진행한 주 문건에 대하여 제공자 페이지에서 <컬러패턴> 다운로드를 해보았다. 결과 디자이너의 수작업을 대체할만한 결과물을 얻었다. 이로써 효율적으로 디자이너들의 <컬러패턴> 커스텀 편집 과정을 대체할 수 있으므로 효율성이 좋다고 볼 수 있다. 플랫폼은 온라인 웹 서비스로 개발되었으며, j Query, Fabric.js, HTML5, CSS3, Laravel, Framwork, MySQL 등 언어와 도구들을 사용하여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플랫폼은 의류전공자 집단이나 개인은 별도의 관련된 App이나 Web 서비스에 대한 기술개발 비용이 필요 없이 온라인 환경에서 쉽게 템플릿을 생성하여 창의적인 활동 및 수익창출 연계가 가능하다. 해당 플랫폼을 이용하여 DIY 강의나 커스터마이징 판매, 이벤트, 등 다양한 패션 디자인 참여와 관련된 활동들을 진행할 수 있다. 유연한 입력 시스템의 오픈 환경은 더욱많은 의류 디자인 컨텐츠를 활성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디자인 자유도를 제공자의 뜻대로 제공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각 제공자들의 상황에 맞게 다양한 디자인 참여 형태의 서비스 등록이 가능하다. 또한 이런 오픈 입력 시스템으로 인하여 일반 사용자들도 보다 쉽고 창의적인 패 션 디자인 참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해당 플랫폼을 통하여 패션 디자인의 매력을 알게 될 것이다. 또한 함께 개발된 디자이너의 커스터마이징 편집 수작업이 대체 가능한 <컬러패턴> 자동화 생성은 추후 의류 커스터마이징 산업에서 다품종 소량생산 심지어 1인 1옷 대량생산 서비스까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2D 시뮬레이션 방식을 선택한 부분인데 이는 상상력을 자극할 수 있는 콘텐츠가 될 수도 있지만 결과물에 대한 예측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일부 소극적인 사용자들로 하여금 소비자로 전환되게 하지 못할 가능성도 발생시킨 다. 이에 대응하여 추후 3D 기술에 관한 보급화 및 고객들의 3D에 대한 사용경험 발생과 더불어 5G 시대의 빠른 속도가 받쳐주는 전제하에 3D로 다시 한 번 구현해 볼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 중국대학 한국어과 전공자의 한국 대학원 유학생활 적응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원영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39

        This study is the first qualitative study on students who majored in the Korean language at Chinese universities and went to Korean graduate schools for master programs after gradua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is study explores what they experience in Korea, what challenges they face, and how those challenges can be addressed, so as to find ways for improving their adaptation to their life in Korea. To that end, this study asks the following: What experiences and challenges do they face as Korean language majors from Chinese universities studying at Korean graduate schools? How do they cope with the challenges? What are their expectations about their graduate school life in Korea? To answer these questions, the researcher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1 students at 10 graduate schools in Seoul who majored in the Korean language in China and graduated from, or are currently studying at, Korean graduate schools as masters or master candidat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is study presents its findings in five categories: the differentiation of Korean language graduates at Chinese universities from ordinary international students; experiences of adapting to graduate school life in Korea; the methods for coping with the challenges arising from the adaptation; and the rewarding aspects of living in Korea as graduate student. As for the first category, Korean language graduates from Chinese universities have three differentiation from ordinary international students: they boast higher proficiency in the Korean language than other international students; they received formal Korean language training before coming to Korea; and they researched about life in Korea before coming to the country. Secondly, as Korean language graduates from Chinese universities, their motivations for studying at Korean graduate schools can be broken down into several categories: the goal of improving their Korean and achieving higher educational attainment; the revitalization of joint programs between Chinese and Korean universities; difficulties faced by university graduates in the Chinese job market; the language environment in Korea; and the interest in majoring in new areas. Thirdly, Korean language graduates from Chinese universities face various academic, socio-cultural, and personal/affective challenges in the course of adapting to their life at Korean graduate schools. Fourthly, Korean language graduates from Chinese universities cope with the challenges by seeking help from people around them, taking time to make up for their shortcomings, and accepting and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society. The interviewees als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mproving their language skills. Fifthly, the rewarding aspects of living in Korea reported by Korean language graduates from Chinese universities included the changes brought on by their life in Korea as graduate students, and the realization of the expectations they had for their life in Korea.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ursued deep understanding of the life of Korean language graduates from Chinese universities as graduate students in Korea, at least partially fill the gap in previous literature, and proposes advices to students majoring in the Korean language at Chinese universities. 본 연구는 중국대학 한국어과를 졸업한 후 한국 대학원에 진학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최초의 질적 연구로서 심층 면담을 통해 중국대학 한국어과를 졸업한 전공자로서 한국 대학원을 다니면서 어떤 경험이 있고 어떤 어려움을 겪을 것인지, 이 어려움을 어떻게 대처해 해결할 수 있는지를 탐색함으로써 한국 대학원 유학생활 적응 효과를 향상하게 시키려는 방법들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들을 제시하였다. 첫째, 중국대학 한국어과 전공자로서 한국에 와서 대학원 유학 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가, 그리고 어떠한 어려움은 겪는가? 둘째, 중국대학 한국어과 전공자로서 한국에 와서 대학원 유학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가? 셋째, 중국대학 한국어과 전공자로서 한국에 와서 대학원 유학생활을 통해 갖는 기대는 무엇인가? 이 연구 문제를 살펴보기 위하여 중국대학 한국어과를 졸업하고 한국으로 유학 온 대학원 석사 과정에 졸업하거나 재학하고 있는 서울시 소재 10개 대학의 대학원생 11명을 선정하여 연구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대학 한국어과 졸업생의 일반 유학생과의 차별성, 한국 대학원에 진학 동기, 한국 대학원 유학생활 적응 문제, 적응 경험에서 겪는 어려움 대처방식, 한국 대학원 유학생활의 보람이라는 총 5가지의 연구 결과가 나타났다. 첫째, 중국대학 한국어과 졸업생은 일반 유학생과의 차별성이 있는데 그 차별성이 다른 유학생에 비해 뛰어난 한국어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체계적인 한국어 교육을 받았고 한국에 오기 전에 이미 한국에 대한 대학원 수업에 대비해서 한국 문화를 사전 수강한 차별성이 나타났다. 둘째, 중국대학 한국어과 전공자로서 한국 대학원에 진학 동기는 크게 세 가지가 있는데 한국어 실력 및 학력 향상, 중한 대학 간의 연계 프로그램 활성화, 중국 내 대학졸업생 취업난 현황 및 한국에서의 언어 환경 그리고 새로운 전공 학습요구 증가함으로 한국 대학원에 진학 동기가 되었다. 셋째, 중국대학 한국어과 학생들이 한국 대학원에 겪는 유학생활의 적응 문제로 크게 학업적, 사회 문화적, 개인-정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눌 수 있었다. 넷째, 한국어과 전공자들은 한국 대학원에 유학생활은 적응하면서 여러 가지 적응 문제들을 겪지만 나름대로 대처방식으로는 주변 사람들의 도움을 받거나 시간을 들여 적극적으로 노력하여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고, 한국 사회의 특징들에 대해 받음과 이해하며 언어 향상에 대해 강조하고 있었다. 다섯째, 한국어과 전공자들이 가장 보람 있다고 느끼는 것은 크게 한국 대학원 유학생활을 통해서 나타난 변화와 유학생활을 통한 기대로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국대학 한국어과에 졸업한 후 한국 대학원에 진학한 전공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대학원 유학생활 경력에 대해 깊이 있게 이해함으로써 관련 분야의 연구결함을 다소나마 보완하고 중국대학에서 한국어를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조언을 제공할 수 있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미국의 양적완화 통화정책이 중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원영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39

        세계 금융위기 발생 후 경제를 회복시키기 위해 미 연준은 2008년 10월부터 제1차 양적완화 통화정책을 시행하였다. 그 후 제2차, 제3차, 제4차 양적완화 통화정책이 추가적으로 시행되었다. 미국의 양적완화 통화정책은 금리를 통한 정책이 아닌 통화량을 그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비전통적인 통화정책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미국의 금리 수준이 0- 0.25%로 유지되고 있는 상황에서 더 이상 금리 인하를 통한 통화정책을 시행할 여지가 없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양적완화 정책은 미국의 국가 대차대조표 총자산의 규모와 구조의 변동을 초래하였다. 미 연준의 양적 완화 통화정책 시행은 중국 경제도 큰 변화를 초래하였는데, 중국의 국내 총생산(GDP)이 증가하는 가운데 인플레이션도 크게 상승하였다. 또한 중국의 수출 규모가 감소하고 외환보유액이 크게 증가하는 데에도 영향을 미쳤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이 미국의 양적완화 통화정책 시행이 중국 경제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 기존의 문헌들을 중심으로 전반적으로 정리해 보고자 한다. 또한 최근 미국의 양적완화 정책 종료가 중국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6개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째, 서론으로서 본 논문의 연구 배경과 연구 목적을 설명한다. 다음으로 본 논문의 연구방법 및 논문의 구성을 소개한다. 둘째, 기존의 국내외 관련 문헌을 정리해 본다. 여기서는 국내외 주요 관련 연구결과들뿐만 아니라 관련 이론들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셋째, 미국의 양적완화 통화정책의 시행 배경과 주요 내용을 설명한다. 또한 이와 같은 양적완화 정책이 미국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간략히 정리해 보도록 한다. 넷째, 미국의 양적완화 통화정책이 중국 경제에 미친 영향에 대해 분석한다. 이를 보다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미국의 양적완화 정책은 미 달러 약세를 통해 중국의 대미 수출을 제한하고 대외 무역의 흑자 규모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기존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양적완화 통화정책은 미국의 투자 및 소비 촉진을 통해 중국으로의 수입을 촉진하는 동시에 미국 달러에 대한 위안화 절상으로 중국의 대미 수출을 어느 정도 억제한 것으로 확인된다. 또한 중국의 수출이 대부분 달러로 결제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달러화 약세는 중국의 다른 나라 수출에도 악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으로 미국의 양적완화 정책은 금융시장에서의 자본차익 공간 확대 등을 통해 핫머니 유입을 확대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기존 연구에 의하면 미국 양적완화 통화정책은 미국이 전 세계에 대량의 달러를 공급함으로써 중국 자본시장에도 대량의 “핫머니”가 유입되는 효과를 초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핫머니는 중국의 자본시장의 대외 자금 조달 여력을 증가시킨 것으로 보인다. 또한 중국의 화폐공급이 빠르게 증가함으로써 자산가격의 상승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국제 핫머니의 유입은 중국의 외환보유액 규모를 증가시키고 중국의 간접적인 통화팽창을 초래한 것으로 분석된다. 앞으로도 이에 따라 중국의 부동산시장, 주식시장 등으로 자금이 흘러가고 있어 자산 가격이 급등할 가능성이 있다. 미국 달러화에 대한 위안화 환율이 급등하면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지고 달러화 가치가 치솟을 것이라는 전망이 있으며 향후 핫머니가급속도로 빠져나갈 경우 부동산 및 주식 시장이 크게 요동치는 등 파장이 클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이 외에도 미국의 양적완화 정책은 상품 가격 상승을 초래하여 스태그플레이션의 압력을 증대시킬 우려도 있다. 중국은 세계적인 수입 대국이자 국제 원자재의 주요 구매자이기에 에너지, 원자재, 일부 농산물 등 수입의존도가 높다. 국제 원자재 가격이 크게 올라 대량의 상품 구매에 필요한 외화 자금 지원이 대폭 증가할 뿐만 아니라, 중국에도 인플레이션압력이 받은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향후 미국의 양적완화 정책의 조정 과정에서 중국의 외환보유액이 줄어들면서 장기 국채수익이 감소해 우려도 있다. 세계 최대의 외환 보유국인 중국은 미 연준이 양적완화 통화정책을 시행함으로써 중국 외환보유고가 큰 폭으로 축소될 위험이 있음을 우려하고 있다. 또한 장기적으로 달러화 가치가 하락하면서 중국이 보유한 미국의 장기 국채 수익이 크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섯째, 미국의 양적완화 통화정책이 종료된 후에 대한 중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양적완화 정책이 종료된 후에 달러화 가치는 다시 상승하고 있다. 위안화의 환율이 달러 가치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위안화 가치만이 크게 하락하는 것은 가능성이 크지 않다. 위안화로 평가한 실질 유효 환율이 상승하는 경우 중국의 수출은 어려운 상황에 처한다. 국제 상품 가격은 달러화 가치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달러화 가치의 상승으로 달러화로 평가된 상품의 가치가 하락할 경우 중국의 수입은 증가할 있다. 핫머니의 중국 유입 정도의 완화는 위안화 절상 위험을 개선시킬 수 있으나 미국 국제 이자율의 상승으로 위안화 절상이 초래될 수 있으며 이는 중국의 국내 유동성 압력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중국의 외환보유액 중에서 달러화가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감안할 때 미국의 양적완화 통화정책의 종료는 중국의 외환보유액에도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구체적으로 이는 달러화 가치, 미국의 주식시장, 부동산시장 등에 많은 영향을 줄 것이며 이에 따라 중국의 외화 자산 구매력과 투자 수익에도 영향을 줄 것이다. 또한 미국의 채권 수익률 상승을 통해 중국에 있는 장기 채권 자산 가격을 크게 하락시킬 것으로 보이며 이는 장기적으로 중국의 외환보유액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여섯째, 중국의 대응 전략을 설명한다. 미국의 양적완화 정책 이후 중국 정부는 자국 통화(위안화)의 국제화를 가속화하려 노력하고 있다. 또한 화폐량을 적절한 수준으로 조절하고 거시적 통제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국제적인 핫머니의 급격한 유출입을 통제하는 한편 거시 안정화 기능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외환보유액의 통화 구성을 다변화하고 국제적 정책 공조 체제를 확고히 하는 한편 국제 통화 체제에서의 발언권을 높일 필요가 있다. 주제어: 양적완화, 인플레이션, 통화정책, 자본시장, 핫머니, 화폐 공급, 외환보유액 In order to revive the economy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he U.S. Federal Reserve implemented the first quantitative easing monetary policy since October 2008.After that,the second, third and fourth quantitative easing monetary policies were implemented.The quantitative easing policy in the United States is more of a non-traditional monetary policy in that it targets money rather than interest rate policy, with interest rates maintained at 0-0.25 %.So there was no room for further monetary policy through interest rate cuts.This quantitative mitigation policy resulted in a change in the size and structure of the total assets of the U.S. balance sheet.The U.S. Federal Reserve's implementation of quantitative easing also resulted in a drastic change in the Chinese economy, while inflation also rose as China's GDP grew.It also affected China's declining export volume and a sharp decline in its foreign exchange reserves.In this paper, we are going to summarize the effects of the U.S. quantitative easing policy implementation on the Chinese economy based on existing literature.It will also reseach the impact of the end of U.S. quantitative easing on the Chinese economy. As China is a global import powerhouse and a major buyer of international raw materials,it is heavily dependent on imports, including energy, raw materials and some agricultural products. But, Since international commodity prices are closely related to dollar values, Chinese imports may increase if the value of goods valued at dollar decreases due to the rise of dollar value. The end of the U.S. quantitative easing policy is also expect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hina's foreign reserves, given that the dollar accounts for a large portion of China's foreign reserves.Specifically, this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ollar value, the U.S. stock market and the real estate market, which will also affect China's purchasing power and investment returns.In addition, rising U.S. bond yields are expected to significantly lower the price of long-term bond assets in China, which in the long run could contribute to China's decline in foreign reserves. So, Since the U.S. ' quantitative easing, the Chinese government has been trying to accelerate the globalization of its currency(yua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amount of shielding to an appropriate level and strengthen macro control.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rapid influx of international hot money while maintaining macro-security functions.Finally,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currency structure of foreign reserves and solidify the international policy coordination system while increasing the right to speak in the international monetary system. Key words: Quantitative Easing, Inflation Monetary Policy, Capital Market, Hot Money, Currency Supply, Foreign Reserves

      • 高麗時代 僧官制 硏究

        원영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1823

        The Buddhist Bureaus, such as the Imperial priest examination and the Buddhist Priest Office, were government authorities which were not found in India, the origin of the Buddhism. Those religious systems related to the government had appeared, as the religion had been transferred to East Asia. They existed not only in Goryeo but also in China and Japan as a distinctive mark of East Asian Buddhism. The Buddhist Bureau System in Silla period so far has been regarded that it was used to fit the religion into the national purpose. However, considering the Buddhism served the ruling class's ideological need for itself and was recognized as the national religion at that time, the system must have been built for the interests of both the religion and the government. Comparing to China, where the Priest Bureau System had been came out by the government's intervention after the Buddhist schools completely settled down by themselves, the system had almost simultaneously appeared with establishing the religion in Silla. The Buddhist Bureau became more systematic than Silla's or Chinese one when it came to Goryeo period. It was related to the Buddhism worship policy from the First King of Goryeo. He left Ten Commandments for Governing Ideology(訓要十條). Worshipping Buddhism as national religion was the fourth commandment. Regarding the Buddhism's development, many ceremonies and doctrinal schools division, it is obvious that Goryeo had deeply related to the religion from its start. The imperial priest examination had been held since GwangJong, the forth King of Goryeo. The priest order, which was decided by the examinations, provided a momentum for the birth of new schools from the existing academically oriented schools. In fact, before Goryeo dynasty, Buddhism was remained in academically oriented schools which were described by the term ‘gyo’, meaning 'learning' or ‘study’. The Bureau System imposed duties to the religion. On the other hand, the priest order gave it rights and authorities. Those systems helped the government and the religion to development together with strong partnership. In conclusion, the Imperial priest examination, which began to be held in the reign of KwangJong of Goryeo, formed a systematic foundation for the new meditation based schools with weakening of the doctrinal schools. Compared to the Gyo schools had been maintained mainly through personal connections, the new schools were developed based on institutional devices. The priest order established through the priest examination was a way of cultivating men of ability for both the Kingdom and the religion. The priests passed the examination had the government-given power like public officers. They also spoke out for the religion to the government. In the system, the government and the Buddhism cultivated and shared talented people together. It was possible because the system was built on the mutual agreement of the both parts. The Buddhist Government Office, which started from YangJie(兩家), later had divided into details. Since the middle of Goryeo Dynasty, the name of divided parts also had been changed. They can be classified into two groups : Seon schools and Gyo schools. It was possible to distinguish the office belonged to which school by its name. The Three Priest Positions(San Gang) originally had no relationship with the Buddhist Bureau System. But after the priest order was settled down, the priests from the order gradually took the Three Positions, too. Since the middle of Goryeo Dynasty, the boundary between priesthood and priest officer had become vague. All the temples not only in capital area but also in the provinces were controlled by the bureau. The Master Priest as the King’s Teacher and National Master Priest were also part of the Buddhist Priest Bureau, but had different character. Actually the office of bureau had powers and authorities to control the Buddhist organizations. On the contrary, the two Master positions were more like symbols of the national religion. Especially the National Master Priests mostly got the posthumous conferment honors, so that it seems the bureau had nothing to do with them. The Master Priest as the King's Teacher were selected from the bureau from time to time. But the position rarely had power on the politics and the Buddhist Bureau. It was more likely to be a honored position. Buddhism in Goryeo period was characterized by the begin and growth of new schools, ideological development and etc. Most of the traits were related to the Buddhist priest bureau system. It thus appears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study the system to understand Buddhism all through the Goryeo period. It also had affected to Joseon Dynasty period when Buddhism had been suppressed by the confucian ideological movement for almost 500 years. The institutional development of the priest examination, the priest order, Buddhist Government Office, and Buddhist bureau system shows that Buddhism made an impressive progress in religious and national way without being partial. Especially in Goryeo, the system affected on the foundation and development of the new school based on meditation. However, due to the lack of historical records, there are so many problems to do the research on the influence on Buddhism and the changes of the system. It is important for understanding Buddhist history of Korea and East Asia to keep on studying the Buddhist schools and government's policy toward Buddhism.

      •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커피전문점 선택행동에 관한 연구

        원영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23

        외식시장 안에서 커피전문점의 영역은 에스프레소 커피전문점뿐만 아니라 패스트푸드점, 베이커리, 아이스크림, 도넛 전문 매장 등으로 확대되어 감에 따라 경쟁이 치열해 지고 있다. 따라서 커피전문점을 이용하는 고객의 성향을 파악하여 타깃 층의 특성에 맞는 마케팅 전략을 마련하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분석을 통해 커피전문점을 이용하는 고객들을 동질적인 집단으로 묶어 각 집단마다 커피전문점을 선택 할 때 어느 요인을 중요시 하는지 파악하여 마케팅 전략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서울 강남지역과 강북지역에서 근무하는 직장인을 중심으로 하였고, 최근 1달 이내에 커피전문점 이용경험이 있는 사람으로 한정하였으며 총 406명의 응답을 연구 분석에 사용하였다. 응답자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과 커피전문점 이용행태를 제시하였고, 커피전문점 선택속성에 대한 중요도 분석과 가설 검증을 위해 커피전문점 선택속성과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문항을 요인분석 하였으며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은 유사성이 있는 동질적인 집단으로 묶기 위해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직장인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건강추구형(5항목), 유행추구형(5항목), 미각추구형(5항목), 편의추구형(3항목) 등 4개의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이는 군집분석을 통해 ‘적극적 식생활유형’, ‘미각·유행지향형’, ‘미각·편의지향형’, ‘식생활 고관심형’, ‘소극적 식생활유형’, ‘미각 무관심형’ 등 6개의 군집으로 확정되었다. 군집별로 추구하는 요인이 유의한 차이를 보여 각 군집마다 뚜렷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응답자 총 406명 중 248명(61%)의 직장인들이 ‘식생활 고관심형’, ‘적극적 식생활유형’, ‘미각·유행지향형’ 군집에 속하며 이 집단들은 식생활을 하는데 있어 건강, 미각, 유행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생활 라이프스타일과 커피전문점 선택속성 간의 차이검증 결과, ‘편리성’ 요인을 제외하고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생활 고관심형’, ‘적극적 식생활유형’, ‘미각·유행지향형’ 군집에서 ‘커피의 품질’을 비롯한 모든 선택속성 요인들의 평균값이 대부분 높게 나타나 이 군집에 속한 직장인들은 커피전문점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물리적 환경 등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이 군집에 속한 직장인들의 특성을 파악하여 마케팅 전략을 세우는 것이 그들을 고객으로 하는 매장에서 경쟁력을 가지게 되는 길일 것이다. In the eating out market, the number of Specialty Coffee Shops has increased dramatically, causing the competition to get tougher and tougher. In order to survive the competition, the coffee shops should know their customers' characteristics and put in place the suitable marketing strategy for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classify groups by cluster analysis for office workers' food-related lifestyles, and 2) to examine differences in pattern to Specialty Coffee Shops selection attributes for each cluster of food-related lifestyle. Data were collected from 406 office workers especially working in Gangnam and Gangbuk area of Seoul and those who have visited Specialty Coffee Shops more than once in the last one month.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analysis of variance(ANOVA) were applied to the data. The result of customer behavior of coffee shops shows that office workers order only coffee mainly in specialty coffee shops and their main purpose visiting the coffee shops is taking a break. The result of analysing important factors for choosing which coffee shop to visit shows that roominess of the shop, quality of coffee served, interior and atmosphere, indoor and restroom cleanliness, in the order named. These two results indicate that office workers visit coffee shops to relax in friendly atmosphere while drinking coffee. Food-related lifestyles were categorized into one of four factors : health-seeking type, taste-seeking type, convenience-seeking type, popularity-seeking type. Based on these four factors, the customers were grouped into six clusters : positive eating habits group, taste & popularity-seeking group, taste & convenience-seeking group, high interest of eating habits group, passive eating habits group, taste indifference group. Except taste indifference group, other groups show that the taste-seeking type had the highest mean value among the factors. The selection attributes of each cluste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erms of quality of coffee, menu, physical environment, customer benefits, brand value except convenience.

      • 고령화 사회에서 음악활동이 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연구

        원영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23

        이 연구의 목적은 고령화 사회에서 음악활동이 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우울과 삶의 질을 중심으로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노인복지관에서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총 20명의 70-80대 노인들로 이 중 음악수업을 받는 10명의 실험집단과 음악수업을 받지 않는 10명의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신체건강에 대한 설문조사와 우울과 삶의 질 척도검사를 실시하였고 실험집단 중 5명을 선별하여 직접 일대일 면담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우울 수치는 최대 15점에서 실험집단은 1.3점, 통제집단은 6.3점으로 통제집단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고(p=.004) 삶의 질 수치의 최대 60점에 실험집단은 평균 47.9점, 통제집단은 평균 38.8점으로 음악활동을 받은 실험집단이 삶의 질 수치가 높은 것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p=.001). 일대일 면담자들은 신체, 만족감, 사회성, 긍정적 정서 등의 변화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신체건강에 대한 설문조사에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고 전반적으로 높은 신체건강을 보여 신체건강의 차이로 인한 집단 간에 우울 및 삶의 차이는 배제되었다. 연구 결과, 음악활동이 노인들의 정신 건강을 향상시키는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주제어: 고령화, 정신건강, 노인, 음악활동,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musical activities on the mental health of senior individuals in an aging society centering around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wenty seniors, all seventy to eighty years of age.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 with ten people in the experiemental group to which musical education was given, and the other ten in the control group to which no musical education was given. Survey on physical health,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was conducted afterwards in addition to the one-on-one interview that was given to five individuals that were randomly selected from the experimental group.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survey, the contro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depression level at 6.3(p=.004) in comparison to the experimental group’s 1.3 out of 15 maximum points. Quality of life showed similar,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ith the experimental group scoring 47.9 points out of 60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s 38.8 points(p=.001). Moreover, individuals who received individual interview showed positive changes in their physical state, satisfaction, socialization, and optimistic mood. As the subjects of the study generally showed good physical health across both groups, in determining or affecting a group’s level of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difference in physical health was excluded. Therefore, evidence put forward by this study proves tha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usical activities and the mental health of senior citizens keywords: An ageing society, Mental health, senior citizens, Musical activities,

      • 파생금융상품에 대한 과세제도 연구

        원영 상지대학교 사회복지·정책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1823

        1970년대 이후 국제금융시장의 변화로 인하여 거래 규모가 확대되어온 파생금융상품시장은 1996년 주가선물시장 및 한국선물거래소의 개장으로 파생금융상품시장이 양적·질적으로 커다란 성장을 이루었다. 이러한 파생금융상품시장의 성장에 따라 기업회계기준에서는 1999년 파생상품에 대한 회계처리 기준이 제정되어 명확한 회계처리 지침이 되고 있다 그러나 거래목적과 거래형태 그리고 손익의 발생까지 기존의 금융상품과는 달리 새로운 성격을 가지고 있는 파생상품의 등장은 기존의 전통적인 조세체계 내에서 해결하기 어려운 많은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파생금융상품에 대한 과세제도는 체계를 갖추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열거주의에 의한 소득세제의 한계로 파생금융상품에서 발생하는 소득에 대한 규정이 미비 되어 과세 소득에서 제외되는 소득이 발생하게 되고 이자·배당소득에 대하여만 소득구분을 하도록 규정함으로써 종합과세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발행하며, 파생금융상품의 손익에 대하여 권리의무 확정주의에 따라 인식하므로 시장 참여자로 하여금 손익의 인식을 이연시키고 조세회피 할 유인을 제공하게 된다. 위험회피 목적과 순수매매목적에 대한 구분 없이 획일적으로 처리하므로 기업회계기준과의 괴리가 발생하며 경제적 실질을 반영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파생금융상품과 거래에서 발생하는 소득을 중 과세대상으로 하는 이자소득·배당소득 외에 유형별 포괄주의로 사업소득·양도소득으로 구분하여 과세소득에 포함시켜 종합과세 대상과 분리과세대상 및 분류과세 대상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고,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선물·옵션에 대하여는 시가기준을 선택하고 장외 거래되는 선도거래와 관련한 평가는 결제기준을 유지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순수매매목적과 위험회피 목적의 거래 손익에 대하여 성격에 따른 과세규정을 마련하여 기업회계기준을 수용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주식현물에 대하여 과세하도록 세법을 개정하여 파생금융상품거래로 인한 양도소득에 대하여도 과세하여야 조세의 형평성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derivatives market is expanding rapidly due to an internationalization. many countries have tried to contain this phenomenon by applying taxation to the market stops at the profit or loss on foreign exchange from product trading. there is no other regulation being applied at the moment Derivatives have become on essential means for companies and financial institutions to survive in the world economy with ever-increasing uncertainty. The trades of derivatives have increased dramatically over the past twenty years. But there are many tax issues related to these transactions that are difficult to address with traditional tax system as the derivative transaction has different generation method of generating profit and loss from the traditional transactions. In regard to the those problems described above, this article points out the problems of pending tax system connected with the derivatives and propose the reasonable tax system. The income which occurs from the derivatives will be classified Interest incomeㆍDividend incomeㆍ Business incomeㆍCapital gains and in order to correspond in the progressive tax rates, it will be classified the synthesis taxation object and the classification taxation object clearly, Current price standards should be selected about Futures and Options which is transacted from the KRX and the evaluation which relates with a Forwards should be adapted the evaluation method of settlement standards Also it will be prepared the taxation regulation in character about profit And loss which occurs from the derivatives It is required to be repaired the Tax law, in order to impose a tax in the capital gains which are occurred with the derivat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