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체장애인의 건강증진 시스템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 PRECEDE 사전진단 모형과 Matrix 요구도 분석의 적용

        원영인 단국대학교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50639

        이 연구는 지체장애인의 건강증진 시스템구축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지체장애인의 건강증진영향요인을 진단하고 건강증진 요구도를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단계의 단계적 연구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1단계 연구에서는 PRECEDE모형을 부분 적용하여 사회적, 역학적, 행동적, 생태학적 진단을 통해 지체장애인의 건강증진영향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2단계 연구에서는 지체장애인의 건강증진요구도를 장애 발생시기(발생 이전, 발생 직후, 발생 이후)와 생애주기별로 구분하여 건강증진 요구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1단계 연구를 위해 2019년 현재 등록된 지체장애인 중 장애인복지관에 다니는 장애인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5개 권역(서울, 경기, 충청, 전라, 경상)에서 체계적 유층집략표집법(systematic stratified cluster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각각의 표본을 추출하였다. 이와 같은 선정기준으로 지체장애인 총 625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이중 응답의 일관성이 결여되거나 무응답의 문항이 있는 20부를 제외하고 최종 605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응답이 완성된 자료를 회수하여 응답 내용이 부실하거나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자료는 분석 대상에서 제외시키고, 분석 가능한 자료만을 가지고 SPSS 22.0 프로그램과 AMO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1단계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전 조사대상자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사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는 탐색적 요인분석과 Cronbach’s α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독립 t-검증(independent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증으로 Scheffe를 사용하으며, 각 변인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정규성 검증과 확인적요인분석과 및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1단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체장애인의 개인배경 변인(성별, 연령, 소득수준)에 따른 건강증진 영향요인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삶의 질은 연령, 소득수준에 따라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건강상태는 연령, 소득수준에 따라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건강증진행위는 소득수준에 따라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성별, 소득수준에 따라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사회적지지는 소득수준에 따라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건강증진행동의도는 성별, 소득수준에 따라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지체장애인의 장애관련 변인(발생시기, 장애등급)에 따른 건강증진 영향요인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삶의 질은 발생시기, 장애등급에 따라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건강상태는 발생시기, 장애등급에 따라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건강증진행위는 발생시기에 따라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발생시기, 장애등급에 따라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사회적지지는 발생시기와 장애등급 모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건강증진행동의도는 장애등급에 따라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건강증진 영향요인의 경로모형분석 결과 건강증진행동의도와 건강증진 행위의 관계를 제외한 모든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2단계 연구를 위해 지체장애인을 모집단으로 선정하고 눈덩어리 추출법(snowball sampling)을 통해 총 1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표집하였다. 또한, 이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서 연구참여자의 명확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선정기준에 의거하여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첫째, 국내 장애인등급 시스템에 의하여 지체장애인 1~4등급에 해당하는 지체장애인 둘째, 의사소통이 가능한 복합장애가 없는 지체장애인 셋째, 이 연구에 진정성을 가지고 열성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자로 선정하였다. 2단계 연구에서는 지체장애인의 건강증진 요구도를 분석하기 위해 해던 매트릭스와 시간 중심 매트릭스 기법을 혼합 적용하여 지체장애인의 장애발생 시기에 따른 요구도와 생애주기별 건강증진 요구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초기 형태의 매트릭스 제작과 면담문항을 제작 하였고, 두 번째 단계에서는 자료수집 이후 초기 형태의 매트릭스의 틀에 맞춰 자료를 입력하였으며, 세 번째 단계에서는 입력된 자료를 통해 매트릭스를 수정하고 자료를 통합하였다. 네 번째 단계에서는 재분석 과정을 거쳐 최종 결론을 도출하였다. 2단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체장애인의 건강증진에 관한 요구도는 장애인시설 표기(24회), 장애등록지원(11회), 장애인시설 위치의 변화(10회), 복지관 협소화(10회), 재가 장애인지원(9회), 정보제공(9회) 순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 생애주기를 통틀어 당사자의 노력에 대해서는 발생 직후는 야외활동(14회), 현실인정(8회) 으로 나타났고, 발생 이후는 인식개선(12회), 도전성(9회)으로 나타났다. 주요기관에 대한 요구도는 발생 직후는 건강검진 지원(9회), 장애등록 지원(8회) 으로 나타났고, 발생이후는 생애주기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물리적 환경에 대한 요구도는 발생 직후는 장애인 시설표기(12회)로 나타났고, 발생이후는 장애인시설 표기(12회), 장애인시설 위치의 변화(7회) 순으로 나타났다. 관련정책에 관한 요구도는 발생 직후는 찾아오는 서비스(7회)로 나타났고, 발생이후는 생애주기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생애주기별에 따라 청년기는 정보제공(9회), 장애인 시설 표기(9회), 장애인 화장실 개선(8회), 장애등록 지원(6회), 중심기관 역할의 필요(5회) 순으로 나타났고, 중장년기는 장애인 시설 표기(9회), 장애인 시설 위치의 변화 (7회), 현실적인 정책개선(5회), 현실인정(5회), 지방지역 시설 개선 (5회) 순으로 나타났으며, 노년기는 복지관 협소화 (10회), 재가 장애인 지원(9회), 장애인 시설 표기(6회), 야외활동 (5회), 담당기관의 전문화(5회)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후속연구에서는 지체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한 건강증진 시스템 구축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면에서 그 의의가 있을 수 있으며, 이 연구를 통해 향후 지체장애인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애 영역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질 것을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health promotion system for the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y as well a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on for the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y, and to analyze their health promotion need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was divided into two stages. In the first stage, the PRECEDE model was applied to analyze the health promotion factors of the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y through a social, epidemiological, behavioral and ecological diagnosis. In the second stage of the study, the health promotion needs of the physically handicapped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eriod of their disability (before, immediately after and after) through classifying by life cycle. Systematic stratified cluster sampling in five areas (Seoul, Gyeonggi, Chungcheong, Jeolla, Gyeongsang) was used to select the population from among the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y registered as of 2019 attending the Elderly Welfare Center for the first stage study to extract each sample. A total of 625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ere selected as the study subjects, and in the end data of 605 persons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20 were excluded due to incomplete or inconsistent responses. The data that could be analyzed were verifi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and the AMOS 22.0 program. Before verifying the hypothesis 1, a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urvey tools were analyz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ronbach's α test. In order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is,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sed, Scheffe was used as a post-test, and normality was verifi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First, through verifying the difference in health promotion influencing factors according to personal background variables (gender, age, income level) of the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y, it was determined that there were partial effects on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age and income level. There also were partial effects on health status according to age and income level. Income level had partial effects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Gender and income level also had partial effects on physical self-efficacy. Income level showed partial effects on social support. As well, gender and income level showed partial effects on health promotion behavioral intention. Second, through verifying the difference in health promotion influencing factors according to disability-related variables (time of occurrence, disability grade),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partial effects on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time of occurrence and disability grade. In addition, there were partial effects on health status depending on the time of occurrence and the disability grade. Health promotion behavior showed partial effects related to the time of occurrence. Physical self-efficacy showed partial effects related to the time of occurrence and disability grade. For social support, the time of occurrence and the disability grade showed no effects. Meanwhile, health promotion behavioral intention was found to be partially affected by disability grade. Third, the path model analysis of the factors promoting health promotion found that all the pathways other tha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motion behavior intention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15 subjects with a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y as a population for the second stage study and snowball sampling. In addition, for the clarity of the study participants, subjects were selected based on the following selection criteria. First, the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y, who fall into grades 1 to 4 according to the disability grade system in Korea; second, the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y who do not have a complex disability that prevents them from communicating; third, those who can participate in this study with sincerity. In the second stage study, we used a mixture of matrix and time-based matrix techniques to analyze the health promotion needs of the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y, and the goal was to analyze the needs of the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y and their life cycle needs. In the first stage, the initial form of the matrix was produced and interview questions were created. In the second stage, the data was input in accordance with the initial form of the matrix after data collection. In the third stage, the input data were used to modify the matrix and integrate the data. In the fourth stage, the final conclusion was drawn through the reanalysis process. The results of the second stage are as follows. The needs identified for health promotion for the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y are as follows: marking of facilities for disabled persons (24 times), assistance in disability registration (11 times), changes in the location of facilities for disabled persons (10 times), narrowing of welfare centers (10 times), support for disabled persons at home (9 times) and information provision (9 times). Specifically, it is as follows. First, the efforts of the subjects throughout the life cycle immediately after their occurrence were found to be outdoor activities (14 times) and reality recognition (8 times), with awareness improvement (12 times) and conductivity (9 times) after the occurrence. The demands for major institutions were as follows: support for medical examinations (9 times) and support for disability registration (8 times) immediately after its occurrence, while the demands for the physical environment were marking of facilities for disabled persons (12 times) immediately after the occurrence of the disability, followed by the marking of facilities for disabled persons (12 times) and the change of location of disabled facilities (7 times). The demand for related policies appeared as a service (7 times) immediately after the occurrence,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life cycle after the occurrence. Second, according to the life cycle, among those in the youth period the demands included providing information (9 times), facilities for disabled persons (9 times), improvement of disabled toilets (8 times), support for disability registration (6 times), and the necessity of the role of the central institution (5 times); for those in middle age, they were: marking of facilities for disabled persons (9 times), changes in the location of facilities for the disabled persons (7 times), realistic policy improvement (5 times), reality recognition (5 times), and improvement of local facilities (5 times). In old age, they were the narrowing of the welfare center (10 times), support for the disabled persons at their homes (9 times), marking of facilities for disabled persons (6 times), outdoor activities (5 times), and specialization of the responsible institutions (5 times). This study can be meaningful in suggesting directions for subsequent studies, and can be used as data for building a health promotion system that takes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ysically disabled. It is hoped that such studies will consider not only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but also various other areas of dis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