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혀 뒤당김 장치를 이용한 혀 기저부 당김 운동이 연하장애를 동반한 뇌졸중 환자의 인두 삼킴에 미치는 영향

        박소희 청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연하장애를 동반한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혀 기저부 뒤당김 운동을 12주간 시행 시 인두 삼킴과 관련된 삼킴 관련 구조물들의 움직임 변화와 흡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하장애를 동반한 만성 뇌졸중 환자 8명을 대상으로 실험군-대조군 매치설계로 실험군과 대조군의 성비, 진단명, 발병기간을 동일하게 선정하였다. 실험군은 전통적인 연하재활치료 20분, 혀 기저부 뒤당김 장치를 이용한 뒤당김 운동을 10분간 실시하였고 대조군은 전통적인 연하재활치료만 30분간 실시하였다. 중재는 두 군 모두 동일하게 1일 1회 30분, 주 5회, 12주간 실시하였다. 측정은 비디오투시연하검사 장비로 사전/사후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저장된 영상을 기반으로 영상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삼킴 관련 구조물들의 움직임 변화와 인두수축비율을 분석하였고 침습-흡인 척도를 이용하여 기도 흡인 정도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두 군 모두 중재 전보다 인두 삼킴과 관련된 구조물들의 움직임에 향상이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진 않았다. 그렇지만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목뿔뼈와 후두의 x, y축 이동거리, PCR, PAS 점수에서 다소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혀 기저부 뒤당김 장치를 이용한 혀 기저부 뒤당김 운동이 인두 삼킴과 관련된 구조물들의 움직임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치료 선택사항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movement of structures associated with the pharyngeal phase of swallowing in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who were prescribed a tongue pull-back(TPB) exercise. Further, the present study was directed towards comprehending the effects of TPB exercise on pulmonary aspiration in patients who had performed the exercise for 12 weeks. Eight chronic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were selected for a matched pair experiment, where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matched for age, diagnosis, and period of onset. The experimental group underwent 20 minutes of the traditional swallowing rehabilitation therapy and 10 minutes of TPB exercise.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group underwent 30 minutes of the traditional swallowing rehabilitation therapy alone. Both the groups received their respective interventions 30 minutes a day, five days a week for 12 weeks. Video 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was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respective interventions. The obtained images were analyzed to determine changes in the movement of structures associated with pharyngeal swallowing as well as the pharyngeal contraction ratio (PCR). Changes in the degree of airway aspiration were assessed using the penetration-aspiration scale (PAS). Both groups demonstrated improvement in pharyngeal swallowing in conjunction with enhanced movement of the structures associated with pharyngeal swallowing, after the intervention. However, the extent of improvemen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exhibited better results on several parameters such as the distance moved by the hyoid bone and larynx in the x-and y-axis, PCR, and PAS score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tongue base pull-back exercise using the tongue pull-back device could be an alternate treatment option, which might contribute to an improved movement of structures associated with pharyngeal swallowing.

      • 이름글자 활용 그래프 활동이 유아의 단어읽기, 음운인식,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소희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이름글자를 활용한 그래프 활동을 고안, 실시하여 유아의 단어읽기, 음운인식,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이름글자 활용 그래프 활동이 유아의 단어읽기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1. 이름글자 활용 그래프 활동이 유아의 무의미단어 읽기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2. 이름글자 활용 그래프 활동이 유아의 의미단어 읽기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3. 이름글자 활용 그래프 활동이 유아의 친구이름 조합 무의미단어 읽기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4. 이름글자 활용 그래프 활동이 유아의 친구이름 단어읽기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이름글자 활용 그래프 활동이 유아의 음운인식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1. 이름글자 활용 그래프 활동이 유아의 음절탈락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2. 이름글자 활용 그래프 활동이 유아의 음절변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 이름글자 활용 그래프 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1. 이름글자 활용 그래프 활동이 유아의 대수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2. 이름글자 활용 그래프 활동이 유아의 수와 연산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3. 이름글자 활용 그래프 활동이 유아의 측정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4. 이름글자 활용 그래프 활동이 유아의 기하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W어린이집과 J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3세 학급 유아 30명이다. 이 중 W어린이집 유아 15명을 실험집단, J어린이집의 유아 15명은 통제집단에 임의 배정하였다. 연구도구로는 김선옥(2005)의 단어읽기 검사도구, 고연경(2001)의 음운인식 검사도구, 황해익, 최혜진(2007)의 유아 그림 수학능력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 및 선행연구 고찰을 통한 검사자 훈련 및 예비검사, 예비연구, 교사교육, 사전검사, 실험처치 및 사후검사 순으로 진행되었다. 이름글자를 활용한 그래프 활동은 연구자가 시안을 작성한 후 유아교육 전공 교수 1인의 검토를 거쳐 고안 한 것이다. 본 활동은 1주를 기본단위로 자료조사 및 수집하기, 그래프 만들고 분석하기, 수학적 개념과 연계하기 3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이름글자를 활용한 그래프 활동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집된 자료를 SPS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문제별로 두 집단 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사 점수와 사후검사 점수 간의 증가분에 대해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름글자 활용 그래프 활동은 유아의 단어 읽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하위영역 중 친구 이름글자를 분절한 무의미 단어 읽기와 친구 이름글자를 조합한 의미단어 읽기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볼 수 있었다. 둘째, 이름글자 활용 그래프 활동은 유아의 음운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하위영역에서 음절 변별과 음절탈락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셋째, 이름글자 활용 그래프 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쳤으며 하위영역별 대수, 수와 연산, 기하, 측정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며 긍정적인 효과를 볼 수 있었다. n this study, a graph activity using name letters was devised and performed to study its effect on word reading, phonological awareness, and math ability of young children.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ccording to the research purpose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effect of graph activity using name letters on word reading of young children? 1-1. What is the effect of graph activity using name letters on non-word reading of young children? 1-2. What is the effect of graph activity using name letters on word reading of young children? 1-3. What is the effect of graph activity using name letters on non-word reading combined with name letters of friends of young children? 1-4. What is the effect of graph activity using name letters on words reading combined from name letters of friends of young children? 2. What is the effect of graph activity using name letters on phonological awareness of young children? 2-1. What is the effect of graph activity using name letters on syllable deletion of young children? 2-2. What is the effect of graph activity using name letters on syllable discrimination of young children? 3. What is the effect of graph activity using name letters on the math ability of young children? 3-1. What is the effect of graph activity using name letters on the algebra of young children? 3-2. What is the effect of graph activity using name letters on numbers and operations of young children? 3-3. What is the effect of graph activity using name letters on the measurement of young children? 3-4. What is the effect of graph activity using name letters on the geometry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30 3-year-old young children who are attending W nursery and J nursery located in Jeollabuk-do. Of these, 15 young children in the W nursery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15 young children in the J nursery to the control group. For research tools, the reading words test of Kim Sun-Ok (2005), a comprehensive test of phonological awareness of Ko Yun-Kyung (2001), and a pictorial math ability test for young children of Hwang Hae-Ik and Choi Hye-Jin (2007) were used.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experimenter training based on literature and previous research study, followed by a preliminary examination, preliminary study, teacher training, pre-examination, experimental treatment, and post-examination. Graph activity using name letters was devised from the draft of the researcher reviewed by a professor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activity is composed of 3 steps on a weekly basis: research and data collection, graph plotting and analysis, and connection to mathematical concepts. To study the effect of graph activity using name lett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by research questions, a t-test was conducted on the increase of the pre-examination and post-examination scores of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raph activity using name letters had a positive effect on word reading of young children, and among subcategories, there was a positive effect on non-word reading segmented from name letters of friends and word reading combined from name letters of friends. Second, Graph activity using name letters had a positive effect on phonological awareness of young children, and among subcategories, there was a positive effect on deletion and discrimination of syllabus. Third, Graph activity using name lett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math ability of young children, and among subcategories, there was a positive effect on algebra, numbers and operations, geometry, and measurement, whic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 임상간호사의 감성지능과 간호근무환경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소희 군산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is a descriptive one which is designed to improve the work performance of nurses and to provide basic data helpful for efficient personnel management by finding out the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nursing performance in clinical nurses and identifying the factors which affect on the nursing performance. Data collection of this research has been performed from September 29, 2016 to October 13, 2016 and the subjects are 231 nurses who are chosen by convenience sampling and are working in the 3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J province. Among these subjects, the questionnaires of 222 are used to analyze the final data.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ings: First, it is shown that in the ext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nursing performance, the averages of emotional intelligence,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nursing performance are 3.66, 2.69, 3.74 respectively. Second, the result from analyzing differences in levels of nursing performan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hows that there exist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in such factors as age(F=14.26, p<.001), religion(t=3.10, p=.002), subjective health condition(F=3.16, p=.003), working department(F=9.41, p<.001), total clinic work period(F=8.42, p<.001) and satisfaction of nursing work(F=29.65, p<.001). Third, it shows that there is a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in the nursing performa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r=.61, p<.001), nursing performance and nursing work environment(r=.44, p<.001)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r=.43, p<.001). Lastly, it is shown that emotional intelligence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nursing performance, which is followed by age(β=-.26), work department(β=.15), satisfaction(β=-.21) and nursing work environment(β=.16) and the power of explanation of these factors is 50.0%.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in emotional intelligence,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nursing performance and it is also identified that the high emotional intelligence in clinic nurses and the better nursing work environment are important factors in improving nursing performance.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nursing performance will be improved if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nurses is to be educated by developing emotional intelligence programs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is to be improved by providing the organization with more systematic and helpful supports.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감성지능, 간호근무환경 및 간호업무성과 간에 관계를 파악하고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간호사의 업무성과를 향상시키고 효율적인 인력관리에 도움이 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2016년 9월 29일부터 10월 13일까지였으며, 연구대상은 J도에 소재하고 있는 상급 종합병원 3곳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231명을 편의표집 하였고, 총 222명의 설문지를 최종 자료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성지능, 간호근무환경, 간호업무성과의 정도에서 감성지능은 평균 3.66점, 간호근무환경은 평균 2.69점, 간호업무성과는 평균 3.74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업무성과 정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F=14.26, p<.001), 종교(t=3.10, p=.002), 주관적 건강상태(F=3.16, p=.003), 근무부서(F=9.41, p<.001), 총 임상근무기간(F=8.42, p<.001), 간호직 만족도(F=29.65,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간호업무성과와 감성지능(r=.61, p<.001), 간호업무성과와 간호근무환경(r=.44, p<.001)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간호근무환경과 감성지능(r=.43, p<.001)도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간호업무성과에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는 요인은 감성지능(β=.41)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연령(β=-.26), 근무부서(β=.15), 간호직 만족도(β=-.21), 간호근무환경(β=.16)순으로 나타났으며, 간호업무성과에 대한 이들 변인의 설명력은 50.0%이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임상간호사의 감성지능, 간호근무환경, 간호업무성과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고, 임상간호사의 높은 감성지능과 간호근무환경의 개선은 간호업무성과의 향상에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감성지능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간호사들의 감성지능이 교육되고, 보다 체계적이며 실무에 도움이 되는 기관의 지원을 통한 간호근무환경의 개선이 이루어진다면 간호업무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간호사 근무환경 측정도구 개발

        박소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간호사 근무환경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Scale 간호학과 박 소 희 지도교수 강 지 연 간호사의 근무환경은 간호사의 이직과 환자의 안전 및 간호의 질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본 연구는 국내의 보건의료제도와 의료 환경 그리고 간호실정을 충분히 반영한 간호사 근무환경 측정도구를 개발함으로써 간호사들의 근무환경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한편 간호사들이 자신의 일과 직장에 만족하며 전문성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건강한 근무환경 조성에 기여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간호사 근무환경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도구개발을 위해 관련 문헌고찰과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심층 면담을 통해 개념적 기틀을 형성하고, 1차 예비도구로 59문항을 작성하였다.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대학병원 수간호사 3인, 주임간호사 1인, 경력 10년 이상의 간호사 3인, 간호학과 교수 1인, 총 8인으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을 선정하였고, 문항의 타당성 평가를 통해 최종 예비도구 41문항이 선정되었다. 자료 수집은 B광역시, K도, S광역시에 소재한 7개의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2011년 10월 11일부터 2011년 10월 23일 사이에 이뤄졌고, 수집된 350개 자료는 SPSS 19.0 version을 이용하여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문항분석으로 상관계수가 .30 이하인 1문항이 삭제되어 41문항에서 40문항으로 축소되었고, Varimax회전을 사용한 요인분석을 통하여 공통성이 .40, 요인 적재량이 .30이하인 10문항을 제거하여 총 40문항 중 30문항이 선정되었다. 선택된 30문항을 요인 분석한 결과 기관의 지원, 수간호사의 리더십, 실무체계, 동료와의 관계의 4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본 도구의 내적 일관성에 의한 신뢰도 계수는 Chronbach's alpha 값으로 .92으로 나타났으며, 각 요인별 신뢰도는 제 1요인 기관의 지원은 .86, 제 2요인 수간호사의 리더십은 .89, 제 3요인 실무체계는 .79, 제 4요인 동료와의 관계는 .78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볼 때 간호사 근무환경 측정도구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되었고, 본 도구를 이용하여 간호사 근무환경을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주요어 : 간호사, 근무환경, 도구개발

      • 국제 색인.초록 데이터베이스에 등재된 한국학술지의 계량학적 분석: 1990년-1997년

        박소희 숙명여자대학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evaluation of Korean journals is being carried out by the Korean Research Foundation to enhance Korean journals to the level competitive with international journals. One of the evaluation criteria is to check whether a journal is covered by internationally renowned abstracts or indexes, because they can be known and used by the researchers. The bibliometric analysis was conducted by searching 87 abstracts and indexes (A&I) databases provided by the DIALOG, the world's largest data bank. The study identified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journals covered by the databases. It also identified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bases covering Korean journ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248 Korean journals were identified, for which at least one paper published between 1990 and 1997 was retrievable from the DIALOG's A&I databases. These Korean journals were found in 52 databases. The total number of papers retrieved for the period from these 248 Korean journals papers is 106,914. The number of journals for which more than 100 papers were retrievable for the same period is only 129. This accounts for 10% of journals published in Korea. 2.Of the 248 Korean journals, 27 are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nd 221 are in Natural Sciences. More specifically, 75 journals are in the area of Agriculture, Fishery and Oceanography, 68 in Engineering, 43 in Natural Sciences, 35 in Medical Sciences. 23 journals are in Social Sciences, 3 in Arts and Sports, and finally 1 journal in Humanities. 3.Korean journals frequently covered by international A&I databases are the ones published in English. Especially 4 Korean journals, for which more than 3,000 papers are retrieved are all published in English. 4.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is covered by 10 DIALOG A&I databases, and thus is the Korean journal covered by the most number of databases. 5.AGRIS indexes 92 Korean journals, the most number of Korean journals among the DIALOG databases. CA SEARCH abstracted 25,355 Korean journal papers, and thus is the database which included the most number of Korean papers. The number of databases which coverd more than 10 Korean journals are 12, and these databases are all in Natural Sciences. 6.There are 35 databases, which did not cover any Korean journals. Most of these are Business or Finance information databases. Some databases cover specific or narrow subject areas, and some concentrate on informations produced in America or Europe only. 7.Of the 52 DIALOG A&I databases covering Korean journals, 4 are selective in journal coverage, and 48 are comprehensive. Publishing English-language Korean journals or Korean journals with English abstracts that are readable, is the best approach to enhance international availability of Korean journals. Therefore, the policy to internationalize Korean research journals should encourage the publication of Korean journals in English. 국내 학술연구를 증진시키고, 한국학술지를 국제적인 수준으로 육성하기 위해 학술지평가가 한국학술진흥재단에서 시도되고 있다. 그 학술지평가 방법중의 하나가 한국학술지가 국제 색인·초록 데이터베이스에 등재되어 학술지에 실린 논문들이 외국의 이용자들에게 알려질 수 있는가에 대한 평가로, 등재학술지는 전세계 이용자들에게 이용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그 학술지의 지명도도 높아질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세계최대의 데이터뱅크중 하나인 DIALOG 데이터베이스에 등재되는 한국학술지의 규모와 그 학술지들이 등재되는 데이터베이스들에 대해 계량학적 측정을 통하여 그 특성을 분석·규명하였다. DIALOG가 제공하는 500여종의 데이터베이스중 87종의 색인·초록 데이터베이스를 온라인 검색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90년에서 1997년 사이에 DIALOG 색인·초록 데이터베이스에 1편 이상의 논문이 수록된 한국학술지의 총수는 248종이며, 이들 248종 학술지를 등재하는 DIALOG 데이터베이스는 52종이다. DIALOG 색인·초록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된 248종의 한국학술지중 100편 이상의 논문이 수록된 학술지는 129종으로 국내학술지의 10% 정도이다. DIALOG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되는 1990년에서 1997년 사이에 출판된 한국학술지 논문의 총수는 106,914편이다. 둘째, DIALOG 색인·초록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되는 한국학술지중 농·수·해양학 (75종), 공학 (68종), 이학 (43종), 의약학 (35종) 등 221종의 학술지가 자연과학분야의 학술지이며, 사회과학 (23종), 예체능 (3종), 인문과학 (1종)순이다. 즉, 색인·초록되는 학술지의 대부분이 절대적으로 자연과학분야 학술지이다. 셋째, 국제적인 색인·초록 데이터베이스에 많이 등재되는 한국학술지들은 영문학술지이며, 특히 여러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되는 총 학술지 논문수가 3,000편 이상인 한국학술지는 모두 영문학술지이다. 넷째, 가장 많은 데이터베이스에 등재된 한국학술지는 10종의 데이터베이스에 등재된 의학분야의 학술지인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이다. 다섯째, 한국학술지가 가장 많이 수록된 데이터베이스는 92종의 학술지를 등재한 AGRIS이며, 한국학술지 논문이 가장 많이 수록된 데이터베이스는 25,535편을 수록한 CA SEARCH이다. 10종 이상의 한국학술지를 등재하는 DIALOG 데이터베이스는 12종이며 이들은 모두 자연과학영역의 데이터베이스이다. 여섯째, 한국학술지를 등재하지 않는 데이터베이스는 35종으로 인문과학영역이나 경제정보를 다루는 데이터베이스이거나 주제가 특별히 세분되는 데이터베이스, 미국과 유럽에서 생산되는 정보를 집중적으로 다루는 데이터베이스 등이다. 일곱째, 한국학술지가 등재되는 52종의 DIALOG 데이터베이스중 선택적 색인·초록 데이터베이스는 4종이고, 망라적 색인·초록 데이터베이스는 48종이다. 영문으로 학술지를 발행하는 것, 또는 읽을만한 영어초록을 제공하는 것이 한국학술지가 국제적으로 이용될 가능성을 높이는 가장 좋은 방법일 것이다. 국내에 아직 한국학술지를 국제학술지로 육성하기위한 발행지원 계획이 아직 확정되어 있지 않은데 영문학술지의 발행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 취업스트레스와 진로탐색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행연구

        박소희 가천대학교 특수치료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취업을 준비하는 대학생과의 협력적 실행연구를 통해 취업스트레스 및 진로탐색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실행과정을 살펴보고, 이러한 실행과정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참여자와 연구자를 어떻게 변화시켰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본 실행연구는 4년제 대학교를 다니는 3, 4학년 대학생 5명을 대상으로 2019년 03월 06일부터 2019년 05월 05일까지 진행하였으며, 연구자는 실행연구의 연구자이자 프로그램의 진행자로서 참여하였다. 연구의 실행과정은 1차, 2차, 3차 총 세 차례에 걸친 나선형 선형구조이며, 문제 파악 및 계획-실행 및 관찰- 반성적 평가 순으로 진행되었다. 자료수집은 참여관찰, 심층면담, 현장자료(미술작품), 저널(연구자의 저널, 보조 연구자의 저널) 등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모든 자료는 범주화하여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진로탐색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실행과정과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연구자와 참여자들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스트레스와 진로탐색 미술치료 프로그램 실행과정의 주제는 ‘실행연구를 위한 준비: 생생한 소리 듣기’, ‘1차 실행: 자기 탐색 및 이해하기’, ‘2차 실행: 취업 스트레스 마주하기’, ‘3차 실행: 진로의 장애물을 파악하고 해결해 가기’였다. ‘실행연구를 위한 준비’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전공에 대한 회의’, ‘진로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 ‘사회적 압박’ 등을 포함하는 ‘취업스트레스’를 생생하게 호소하며 ‘심리적 안정감’을 요구하였으며, 동시에 ‘나에 대한 이해’를 통한 ‘진로의 방향 탐색’을 요청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1차 실행에서 연구자는 ‘자기탐색 및 이해하기’를 주제로 하여 ‘미래의 나’, ‘현재의 나’, ‘과거의 나’를 탐색하고 이해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1차 실행의 성찰과정에서 제기된 ‘참여자 간의 유대감 형성의 한계’를 극복하고 조금 더 응집력 있는 집단이 되기 위하여 2차 실행과정에서는 서로 어울려서 참여하는 ‘협동과제’, ‘다양한 매체 사용’ 등이 기획되었으며, ‘취업스트레스 마주하기’를 주제화하여 ‘나의 장단점 파악하기’, ‘취업스트레스 파악하기’, ‘취업 스트레스 원인 탐색하기’ 등이 진행되었다. 2차 실행과정에서 참여자들은 공동화 작업을 통해 즐거움과 동질감을 어느 정도 획득하였으나 취업스트레스와 진로의 막연함에 대한 원인을 탐색하고 해소하고 싶어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3차 실행에서 연구자는 ‘진로탐색 장애물 파악하고 해결해 가기’를 주제화하여 ‘취업 장애물 탐색 및 해결’, ‘실패에 대한 두려움 탐색’, ‘긍정적인 마음 가지기 및 마무리’로 설정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3차 실행에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구체화하고 미술작업으로 내면의 깊은 통찰을 할 수 있도록 도왔다. 3차 실행과정에서 얻어진 구체적인 자료를 통해 참여자 개인의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진로탐색을 적극적으로 유도하였다. 3차 실행평가 결과 적극적으로 자신의 이야기를 나누고 타인의 이야기를 통해 자신을 새롭게 이해하거나 공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취업을 준비하는 대학생을 위한 취업스트레스와 진로탐색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행과정을 통해 참여자, 연구자 모두에게 의미 있는 변화가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협력적 실행연구 과정을 통해 자신들의 필요에 맞게 취업 스트레스 및 진로 문제를 탐색해 가면서 자신의 마음을 재탐색하고 현실을 재평가할 수 있었고 진정한 취업의 의미를 재정립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또한 연구자는 참여자들의 의견을 토대로 프로그램을 진행해 가면서 프로그램 내용, 집단 프로그램 진행자의 역할, 미술 매체의 역할, 집단 역동의 역할에 대해 새롭게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는 취업을 준비하는 대학생을 위한 취업스트레스와 진로탐색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실행과정을 통해 참여자들의 취업스트레스와 진로탐색을 적극적으로 탐색하려는 주도성을 향상시켰으며 연구가 끝난 이후에도 능동적으로 취업스트레스와 진로에 대해서 고민해보고 생각해 볼 수 있는 힘을 가질 수 있게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실행은 미술치료사들에게 참여자들과 연구자 간의 상호보완적인 프로그램 과정을 통해 연구자의 일방적인 태도를 배제하고 참여자에 맞게끔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실행의 과정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n the effect that the collaborative art therapy research brings toward the college student who are currently preparing for employment. Through this execution of the case study we are seeking on what types of changes that collaborative art therapy brought toward the participants respectively.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06, 2019 to May 05, 2019 to the 5th and 3th year of university students who is pursuing bachelor’s degree in University. In this case study researchers participated as a researcher and the facilitator of the program. The execution process of the research consists of three spiral linear structures (First Execution Plan - First Execution - First Execution Reflection - Second Execution Plan -, Second Execution - Second Execution Reflection - Third Execution Plan - Third Execution, Reflection on the third Execution Plan and overall execution).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the participant’s observation, in - depth interview, field data (art works), journals (journal of researcher, journal of auxiliary researcher). All data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by research probl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job stress and career search process of the art therapy program execution process are as follows: 'preparation for execution research: listening vividly', 'first run: self-search and understanding', 'second run: facing the work stress' Car running: to identify obstacles and solve the problem’ was the subject. During the participation of the 'preparation for action research' I asked for 'psychological stability' and appealed vividly to 'job stress' including 'vague anxiety about career', 'obstacles to employment' and 'social pressure'. While the study was running, I also asked for, 'understanding of me' Direction search’ from the participant. The first step to solve this problem, the researcher implemented a program to explore and understand the participant’s 'future me', 'present me', and 'past me' as the theme to 'self – discover and to understand' the participants.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 and to maximize the bond between the participants so that they could become more cohesive group. During the reflection process of the first execution, 'cooperation task' and 'use of various media', "Understanding Job Stress", "Finding My Pros and Cons", "Understanding Job Stress", and "Exploring the Cause of Job Stress" were used as part of the study. Participants in the second stage of the process had some degree of enjoyment and homogeneity through the cavitation work, but they wanted to search and solve the causes of the vagaries of job stress and career.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researchers were set to search and solve the obstacles of work, to search for fear of failure, and to have a positive mind. Lastly they were to finish with the theme of ' The program was executed. In the third run of the art therapy program. This helped to shape and deepen their insight from the inner workings of art. Through the detailed data obtained during the third round of the process, we managed the individual stress and actively guided with the search for the career. The results of the third-round evaluation showed the participants to actively share their stories and to understand or to empathize with others through their personal stories. Second, there was a meaningful change in the participants and the researchers during the process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able to have courage before facing their fears, and there was a change of perception that when they face their reality and fear, rather than compromise with reality. In addition, group art therapy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were not different from each other. Participants also had an undergo job stress due to their unfinished specifications. However, through this program, participants realized that the unresolved part of their work stress and career anxiety eventually became my own problem, and they changed from a passive attitude to an active attitude when it came to solving problems. On the other hand, in the process of program execution, the researchers recognized that the focus of job stress and career exploration stress came from 'acceptance' and 'practice' rather than the 'knowledge' due to 'lack of information. By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 and' elimination of obstacles'. In this way, job stress and career search for college students who are preparing for employment improved the initiative to actively explore job stress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of participants, and actively engaged in job stress and career I was able to have the power to think and think about it. Therefore, the implementation of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art therapists are able to see through the process of complementary program between the participants and the researchers, and the process of the practitioner can eliminate the unilateral attitude and give practical help to the participant It is meaningful.

      • FT-NMR의 High Resolution에 관한 연구

        박소희 朝鮮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FT-NMR Spectroscopy is the method of getting frequency data by FT of FID signal data obtained in the time domain through RF pulse scan into the spin system excited simultaneously. Normally, by measuring FID data points at NMR, the resolution ar decided by their FT. It's hard to distinguish those nuclei with close NMR at low external magnetic field on the whole. So we going to use simulation which is corresponding to a lot of the variable parameters. In this study, frequencies were provided to the four nuclei with high natural abundance and the high NMR frequency, and the intensities corresponding to the frequencies were applied. I verified that the unidentical intensity was provided and the signal has been amassed for two nuclei. Also I scrutinized that the nuclei of the analogous frequencies have constituted resolution of two peaks as shown in transform. Resolution with FT is determined by FID data points when the range of measurement in NMR is given and then I made a vigorous examination methods for high resolutions through simulation for two real nuclei of close. From this research, I consider that we can understand NMR and experimentally apply on the many ways.

      • 스포츠센터의 광고 메시지 유형과 시간적, 공간적 거리감이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해석수준이론을 중심으로

        박소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센터 광고 메시지 유형(상위수준 메시지/ 하위수준 메시지)과 시간적 거리감(먼 미래/가까운 미래), 공간적 거리감(먼 거리/가까운 거리)이 소비자의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대학교와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총 253부의 유효 표본으로 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4.0을 통해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다변량 분산분석, 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첫째, 스포츠센터 광고 메시지 유형이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시간적 거리감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센터의 광고 메시지 유형이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공간적 거리감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센터의 광고 메시지 유형이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시간적 거리감과 공간적 거리감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