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용전공대학생의 자아개념이 창의력과 진로의식에 미치는 영향

        박미나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7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self-concept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art on their creativity and career awareness. There is a trend that the number of high schools and colleges that offer beauty art education is on the rise along with the quantitative growth of the beauty industry, but this industry is still confronted with manpower problem, and workers in the industry usually don't take their job seriously. Therefore it's meant in this study to discuss the importance of self-concept among beauty art majors and to boost their creative thinking and career awarenes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beauty art majors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North Jeolla Province.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impact of their self-concept on creativity and career awareness, the answer sheets from 506 respondents were analyzed by a SPSS 17.0 program. The response rate stood at 84.3 percent. A reliability analysis was made to check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variables, and a factor analysis was utilized to check their construct validit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were investigated by obtaining statistical data on percentage and making a frequency analysis. Besides, regression analysis and T-test were carried out to look for any possible gaps in the influence of the variables, and two-way ANOVA was employed to look for any possible gaps among the variable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differences in career awareness according to self-concept, the dimension of achievement self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career awareness(p<.001). That was negatively affected by career purposiveness that meant to make a career choice not by internal motivation but for employment or good prospects(ß=-.13, p<.01), and career barriers(ß=-.24, p<.001) exerted a negative influence on it as well. Second, whether the self-concept of the beauty art majors made any differences to their creativity was checked, and self-concept was found to exert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creativity (F=196.37, p<.001). Third, whether the creativity of the beauty art majors made any differences to their career awareness was investigated, and creativ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career awareness(F=47.43, p<.001). Fourth, as for the relationship of the interaction between self-concept and creativity to career awarenes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affected career barriers only in a significant manner(F=4.17, p<.05). The group that put higher value on achievement self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other that didn't in career awareness. The group that set higher value on their own imaginative thinking were relatively ahead of the other that didn't in career assurance(from a high of M=3.65 to a low of M=3.21) and career determination(from a high of M=3.53 to a low of 3.22). The group that prized their own divergent thinking better was relatively ahead of the other that didn't in career assurance(from a high of M=3.71 to a low of M=3.23) and career determination(from a high of M=3.67 to a low of 3.13). There were more career barriers(from a high of M=2.75 to a low of M=2.98) and stronger career purposiveness(from a high of M=2.61 to a low of M=2.84) in the latter than in the former. The group that had a higher opinion on their own social ego and imaginary thinking were relatively ahead of the other that didn't in career assurance(from a high of M=3.65 to a low of M=3.22) and career determination(from a high of M=3.54 to a low of M=3.22). Fifth, whether the interaction between self-concept and general characteristics made any differences to career awareness was analyzed, and gender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areer assurance(p<.05). Self-concept and academic year had an interaction effect on career barriers and career determination(p<.05), and self-concept and motivation of college choice had a significant interaction impact on career purposiveness(p<.01). In the group with better self-concept, the women (M=3.73) excelled the men in career assurance, but in the other group with worse self-concept, the men(M=3.48) outdid the women in that aspect. As for career barriers, the seniors(M=2.89) encountered more career barriers in the group with better self-concept, but in the other group with worse self-concept, the sophomores were confronted with more career barriers. Sixth, whether the interaction between creativity and general characteristics made any differences to career awareness was checked,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s just in career purposiveness (p<.05) according to gender. Concerning the impact of the interaction between creative thinking and each general characteristic on career awareness, the men(M=3.07) were ahead of the women in career purposiveness in the group with better creative thinking. In the other group with worse creative thinking, the women(M=2.80) were ahead of the men in that aspect. Seventh, in regard to the relationship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o self-concept, creativity and career awareness, whether the motivation of college choice made any differences to self-concept was analyzed,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s were found in achievement self according to that(F=4.08, p<.01). Specifically, the motivation of college choice was most related to their experiences at beauty art academies(M=3.77). As to differences in creativity by academic yea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s only in imagination according to that(F=3.02, p<.05). The seniors(M=3.59) were most imaginative, followed by the juniors(M=3.37), sophomores(M=3.35) and freshmen(M=3.26). Thus, the students whose academic year was higher were more imaginative. Whether their creativity varied with a post-college career plan was analyzed, and those who were going to keep studying their current major field of study at graduate school(M=3.57) were most imaginative. Those who were going to go to graduate school(M=4.02) were the best in terms of divergent thinking as well. Whether their creativity varied with the degree of difficulty of major was checked, and there was a difference only in imagination according to that(F=4.97, p<.01). Whether their academic year made any differences to career awareness was investigated,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s were found in career assurance according to that(F=2.61, p<.05). In particular, the seniors(M=3.66) excelled the others in that aspect, which showed that a higher academic year led to more career assurance. Whether the motivation of college choice made any differences to career awareness was analyzed, and career assurance was most bound up with their experiences at beauty art academies(M=3.57). Whether their career awareness differed with a post-college career plan was checked, and those who didn't ever think of it(M=3.17) faced the most career barriers(F=5.52, p<.001). The students who were going to keep studying their major field of study at graduate school(M=3.72) were the best in terms of career assurance, and those students(M=3.72) were the best in terms of career determination as well.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of the self-concept of beauty art majors to their creativity and career awareness, and self-concept was identified as one of the variables to affect creativity and career awareness in a significant manner. Creativity and career awareness were significantly linked to each other and varied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a positive view of beauty art and confidence were two primary variables to design one's future. Therefore beauty art majors should wake up to the importance of the right self-concept, and beauty art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to improve their creative thinking and career awareness. 본 연구는 미용을 전공하는 대학생의 자아개념 차이에 따라 창의력과 진로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미용분야의 양적인 팽창과 함께 미용관련 고등학교와 대학 및 대학교가 늘어가는 추세이지만 여전히 겪고 있는 인력난과 직업의식의 결여가 문제되고 있기에 미용전공대학생의 자아개념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하며 창의적 사고와 진로의식을 향상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미용전공 대학생의 자아개념이 창의력과 진로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경기도, 전라북도에 거주하는 미용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 506부, 84.3%를 SPSS 17.0의 프로그램으로 변수간의 내적 일관성을 조사하기 위한 신뢰성 분석을 하였으며 변수들의 구성개념 타당성을 위한 요인분석, 표본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백분율과 빈도분석 이용하였다. 또한 결과 분석을 위해서 변수들 간의 영향력 차이를 검증위한 회귀분석, T-test와 관련변수간의 차이검증을 위한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여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개념에 따른 진로의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취자아 차원은 유의한 정적(+)영향(p<.0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선택의 요인이 내적동기가 아닌 취업을 목적으로 하거나 경제적으로 전망이 높은 진로선택의 요인으로 보고 있는 문항으로 보고 있는 진로목적성(β=-.13, p<.01)과 진로장애(β=-.24, p<.001)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개념에 따른 창의력에 차이를 분석한 결과 미용전공 대학생들의 자아개념이 창의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F=196.37, p<.0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의력에 따른 진로의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대학생들의 창의력이 진로의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F=47.43 p<.0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개념과 창의력의 상호작용에 따른 진로의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진로장애 요인에서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F=4.17, p<.05). 또한 성취자아를 높게 지각한 집단의 경우, 진로의식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상상력 사고는 높게 지각하는 집단이 낮게 지각하는 집단보다 진로확신성(고:M=3.64, 저:M=3.21)과 진로결정성(고:M=3.53, 저:M=3.22)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확산적 사고를 높게 지각한 집단이 낮게 지각한 집단보다 진로확신성(고:M=3.71, 저:M=3.23)과 진로결정성(고:M=3.67, 저:M=3.13)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고, 낮게 지각한 집단이 높게 지각한 집단보다 진로장애(고:M=2.75, 저:M=2.98)와 진로목적성(고:M=2.61, 저:M=2.84)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 사회자아를 높게 지각하고 상상력 사고가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보다 진로확신성(고:M=3.65, 저:M=3.22)과 진로결정성(고:M=3.54, 저:M=3.22)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다섯째, 자아개념과 일반적 특성의 상호작용에 따라 진로의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이 진로확신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p<.05), 자아개념과 학년이 상호작용하여 진로장애와 진로결정성에 영향을 미쳤으며(p<.05), 자아개념과 대학선택 동기가 상호작용하여 진로목적성에 유의한 영향(p<.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개념이 높은 집단의 경우, 여자(M=3.73)가 진로확신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낮은 집단의 경우, 남자(M=3.48)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장애에 있어서 자아개념이 높은 집단의 경우, 4학년(M=2.89)이 진로장애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낮은 집단의 경우 2학년이 진로장애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창의력과 일반적 특성의 상호작용에 따른 진로의식의 차이에서는 성별이 진로목적성(p<.05)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적 사고가 세부적 일반적 특성과 상호작용하여 진로의식에 미친 효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높은 집단의 경우 남자가(M=3.07) 진로목적성이 더 높았으며, 낮은 집단의 경우 여자(M=2.80)가 진로목적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개념, 창의력, 진로의식의 차이에 대해서는 대학선택 동기에 따라 자아개념에 차이가 있는 가를 파악한 결과 성취 자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4.08 p<.01). 구체적으로 대학선택 동기는 미용학원에서의 미용경험(M=3.77)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 창의력에 차이가 있는 가를 파악한 결과 상상력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3.02, p<.05). 특히 4학년(M=3.59), 3학년(M=3.37), 2학년(M=3.35), 1학년(M=3.26)순으로 학년이 높을수록 상상력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졸업 후 진로에 따라 창의력에 차이가 있는 가를 파악한 결과 상상력에서는 학과 전공과 관련된 대학원 진학(M=3.57)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확산적 사고에서도 학과 전공과 관련된 대학원 진학(M=4.02)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 전공과목 난이도에 따라 창의력에 차이가 있는 가를 파악한 결과 상상력에서만 차이가 나타났다(F=4.97, P<.01). 학년에 따라 진로의식에 차이가 있는 있는가를 파악한 결과 진로확신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2.61, p<.05). 특히 4학년(M=3.66)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학년이 높을수록 진로에 관한 확신성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선택 동기에 따라 진로의식에 차이가 있는 있는가를 파악한 결과 진로 확신성은 미용학원에서의 미용경험(M=3.57)익 가장 높게 나타났다. 대학졸업 후 진로에 따라 진로의식에 차이가 있는 있는가를 파악한 결과 진로장애(F=5.52, p<.001)는 생각해 본 적이 없음(M=3.17)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진로 확신성은 학과 전공과 관련된 대학원 진학(M=3.72)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진로결정성은 학과 전공과 관련된 대학원 진학(M=3.86)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미용 전공 대학생의 자아개념에 따른 창의력과 진로의식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고 그 결과 자아개념에 따라 창의력과 진로의식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창의력과 진로의식 또한 서로 유의한 관계를 형성하며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도 변화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결과는 미용전공 대학생들에게 미용을 통해 자신의 미래를 설계하는데 있어 보다 미용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자신감이 무엇보다 중요한 변수 임을 밝혀냄으로써 미용전공 대학생들의 올바른 자아개념 형성의 중요성과 미용 교육의 방향이 보다 창의적 사고를 촉진 시키며 미용전공 대학생의 진로의식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가야 할 것이다.

      • 중국 여성들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피부관리행동 및 외모만족도에 대한 연구

        유배봉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skin care behavior and appearance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model was divided into four parts: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skin care behavior,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appearance satisfac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skin care behavior and appearance satisfaction,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In this study, 418 copies of the study were selected as the final data for women over 20 years of age in Shanghai, China,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variance analysis using SPSS 23.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lifestyle on skin care behavior were shown in conspicuous consumption type (β=.206, p<.01), epidemic pursuit type (β=.126, p<.05), and individual pursuit type (β=.137, p<.05) had a positive effect, and the economic pursuit type (β=-.254, p<.01) had a negative effect. Second, according to the lifestyle, the effect on appearance satisfaction was shown in conspicuous consumption type (β=.193, p<.01), epidemic pursuit type (β=.141, p<.05), and individual pursuit type (β=.137, p<.05) had a positive effect, and the economic pursuit type (β=-.136, p<.01) had a negative effect. Third, the effects of skin care behavior on appearance satisfaction were positively affected by both home care (β=.233, p<.01) and professional care (β=.341, p<.01) were all had a positive effects. Fourth, it can be said that it plays a role of mediating skin care behavior in relation to the effect of lifestyle on appearance satisfaction. Fifth, the effects on appearance satisfaction according to lifestyle and general characteristics was shown in marital status (β=-.115, p<.01) had a negative effect, and education (β=.219, p<.01), monthly income (β=.098, p<.05), and lifestyle (β=.307, p<.01)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Sixth, the effects on skin satisfaction according to skin care behavior and general characteristics was shown in age (β=-.162, p<.01) had negative effects, and education (β=.180, p<.01) and skin care behavior (β=.366, p<.01) had a positive effect. Seventh, age, marital status, educational background, and monthly income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festyle, by age 20-29 (4.02), unmarried (3.56), graduate school and graduation (3.53), and more than 15000 yuan (3.61) were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and monthly income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kin care behavior, by age 20-29 years (4.08), unmarried (3.69), graduate and graduate school (3.62), and more than 15000 yuan (3.79) were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Therefore, This study found that among the lifestyle factors conspicuous consumption type, fashion pursuit type and personal pursuit type on skin care behavior, appearance satisfaction and appearance satisfaction on skin care behavior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Lifestyle factors The economic pursuit type has a negative effect on skin care behavior and appearance satisfaction.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and monthly income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festyle, skin care behavior and appearance satisfaction.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The study was conducted by constructing a sample of women in some parts of China,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imited in generalizing or expand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In addition, using the questionnaire method the responsive stereotypes or subjective values ​​may distort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본 연구는 라이프스타일, 피부관리행동 그리고 외모만족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라이프스타일과 피부관리행동의 관계, 라이프스타일과 외모만족도의 관계, 피부관리행동과 외모만족도의 관계, 그리고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각 변수의 관계라는 네 부분으로 구분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으면, 중국 상하이 지역에 거주하는 20세 이상의 여성들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연구 자료를 적합하다고 판정된 418부를 최종자료로 채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회귀분석,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피부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면 과시소비형(β=.206, p<.01), 유행추구형(β=.126, p<.05), 개성추구형(β=.137, p<.05)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제추구형(β=-.254, p<.01)이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외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면 과시소비형(β=.193, p<.01), 유행추구형(β=.141, p<.05), 개성추구형(β=.137, p<.05)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제추구형(β=-.136, p<.01)이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피부관리행동에 따라 외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면 홈케어(β=.233, p<.01)와 전문케어(β=.341, p<.01)가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라이프스타일이 외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피부관리행동의 매개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다섯째, 라이프스타일과 일반적 특성에 따라 외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면 결혼여부(β=-.115, p<.01)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력(β=.219, p<.01), 월수입(β=.098, p<.05), 라이프스타일(β=.307, p<.01)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피부관리행동과 일반적 특성에 따라 외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면 연령(β=-.162, p<.01)이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력(β=.180, p<.01), 피부관리행동(β=.366, p<.01)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의 연령, 결혼여부, 학력, 월수입은 라이프스타일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29세별로(4.02), 미혼(3.56), 대학원 재학 및 졸업(3.53), 15000위안 이상(3.61)은 유의한 차이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의 연령, 결혼여부, 학력, 월수입은 피부관리행동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29세별로(4.08), 미혼(3.69), 대학원 재학 및 졸업(3.62), 15000위안 이상(3.79)은 유의한 차이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의 연령, 결혼여부, 학력, 월수입은 외모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29세별로(4.08), 미혼(3.91), 대학원 재학 및 졸업(3.85), 15000위안 이상(3.89), 10000∼15000위안(3.89)은 유의한 차이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라이프스타일 요인 중의 과시소비형, 유행추구형, 개성추구형은 피부관리행동과 외모만족도 및 피부관리행동은 외모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라이프스타일 요인 경제추구형은 피부관리행동과 외모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의 연령, 결혼여부, 학력, 월수입은 라이프스타일, 피부관리행동과 외모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갖고 있다. 중국 일부지역의 여성들을 대상으로 표본을 구성하여, 진행한 연구로 본 연구의 결과가 중국의 전체 여성에게 일반화 하거나 확대 해석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또한, 설문지 방식을 이용하여 응답자의 고정관념이나 주관적인 가치 등으로 인해 변수들 사이의 관계가 왜곡될 수도 있다.

      • 노인 수술환자의 통증, 죽음불안,사회적 지지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이현비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47

        목적 : 본 연구는 노인 수술환자의 통증, 죽음불안, 사회적 지지, 회복탄력성 정도를 확인하고,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와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 본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연구대상자는 65세 이상의 노인환자 151명이었다. 연구도구로 통증은 숫자통증척도(Numeric Rating Scale)를 사용하였고, 죽음불안은 Templer (1970)가 개발한 죽음불안척도(Death Anxiety Scale)를 고효진 등(2006)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사회적 지지는 Zimet et al. (1988)이 개발한 지각된 사회적 지지에 대한 다차원 척도(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를 신준섭과 이영분(1999)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회복탄력성은 Wagnild & Young (1993)이 개발한 Resilience Scale의 한국어판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성별은 여성 101명(66.9%), 연령대는 70대가 64명(42.4%)으로 가장 많았고 평균 연령은 73.36세(±6.56)이었다. 배우자가 있는 대상자가 113명(74.8%)이었고 학력은 중졸 이상이 84명(55.6%)이었다. 동거인이 있는 대상자가 99명(65.6%)이었고. 종교가 있는 대상자가 105명(69.5%)이었다. 대상자의 경제적 수준은 보통 이상이 132명(87.4%)이었고 사회활동은 보통 이상이 136명(90.1%)이었다. 대상자를 지지해 주는 사람은 자녀 및 기타가 84명(55.6%)이었고 한 달 이내 지인의 죽음을 경험한 사람은 34명(22.5%)이었다. 둘째, 대상자의 질병 및 수술관련 특성으로 진단명은 근골격계질환이 101명(66.9%)으로 가장 많았고, 전신마취를 받은 사람은 106명(70.2%)이었다. 진통제는 하루에 1회 이상 3회 미만으로 투약하는 경우가 75명(46.9%)이었고, 일 평균 진통제 투약 횟수는 2.15회(±1.17)이었다. 평균 상급종합병원 입원 횟수는 2회가 80명(53.0%)이었고 평균 2.10회(±0.68)로 나타났다. 수술경험 횟수는 2회가 66명(43.7%)으로 가장 많았고 평균 2.12회(±0.68)이었으며, 질병력이 있는 대상자가 119명(78.8%)이었다. 셋째, 통증은 10점 만점에 평균 5.09점(±2.12), 죽음불안은 평균평점 5점 만점에 3.10점(±0.70)이었고, 사회적 지지는 평균평점 5점 만점에 3.54점(±1.05), 회복탄력성은 평균평점 7점 만점에 4.46점(±1.35) 이었다. 넷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질병 및 수술관련 특성에 따른 통증은 성별(t=-2.45, p=.015), 배우자(t=-4.74, p<.001), 동거인(t=-5.26, p<.001), 종교(t=2.57, p=.011), 경제상태(t=5.85, p<.001), 지지자(t=2.73, p=.007), 한 달 이내 지인사망경험(t=-4.57, p<.001), 진단명(F=16.01, p<.001), 진통제 투약(F=18.66, p<.001), 질병력(t=-2.38, p=.019)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죽음불안은 성별(t=-2.02, p=.047), 연령(F=10.24, p<.001), 수술경험횟수(F=3.45, p=.036)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는 성별(t=3.42, p=.001), 연령(F=6.13, p=.003), 배우자 유무(t=10.74, p<.001), 학력(t=-6.86, p<.001), 동거인(t=10.20, p<.001), 경제상태(t=-2.88, p=.005), 사회활동(t=-4.69, p<.001), 지지자(t=-18.01, p<.001), 한 달 이내 지인사망경험(t=3.60, p<.001), 마취종류(t=-2.85, p=.005)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회복탄력성은 연령(F=9.09, p<.001), 학력(t=-4.45, p<.001), 동거인(t=2.32, p=.022), 경제상태(t=2.14, p=.034), 지지자(t=-3.96, p<.001), 한 달 이내 지인사망경험(t=-2.23, p=.027), 진단명(F=3.26, p=.034), 상급종합병원 입원횟수(F=3.99, p=.021), 질병력(t=2.594, p=.010)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대상자의 통증, 죽음불안, 사회적지지 및 회복탄력성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회복탄력성과 통증(r=-.24, p=.003)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복탄력성과 죽음불안(r=.26,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r=.40, p<.001)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모형 Ⅰ에서 일반적 특성을 검정한 결과 경제상태(β=-.38, p<.001), 한 달 이내 지인사망경험(β=-.24, p=.002)과 학력(β=.21, p=.014)이 유의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독립변수가 종속변수를 26.3% 설명하였다(Adjusted R2=.263). 2) 모형 Ⅱ에서 일반적 특성과 질병 및 수술관련 특성을 검정한 결과 경제상태(β=-.35, p<.001), 감각계 수술(β=-.26, p=.005), 학력(β=.25, p=.007), 질병력(β=-.25, p=.001), 한 달 이내 지인사망경험(β=-.22, p=.004)이 유의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독립변수가 종속변수를 34.5% 설명하였다(Adjusted R2=.345). 3) 모형 Ⅲ에서 일반적 특성과 질병 및 수술관련 특성, 통증, 죽음불안, 사회적 지지를 검정한 결과 죽음불안(β=.35, p<.001), 감각계 수술(β=-.28, p=.001), 경제상태(β=-.27, p=.003), 질병력(β=-.22, p=.003), 통증(β=-.21, p=.010), 상급종합병원 입원횟수(β=-.19, p=.018)가 유의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독립변수가 종속변수를 44.2% 설명하였다(Adjusted R2=.442). 결론 : 노인 수술환자는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으로 쇠약해져 있는 상태로 통증과 죽음불안을 동시에 경험하며 사회적 지지가 필요하다. 이러한 요인들은 상호 연관성을 가지며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친다.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경제상태, 진단명, 상급종합병원 입원횟수, 질병력, 통증, 죽음불안이었으며 죽음불안이 가장 주된 영향요인이었다. 따라서 노인 수술환자의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통증을 낮추고 죽음불안을 적정 수준으로 관리하는 데 초점을 맞춘 간호중재와 현실적인 지원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pain, death anxiety,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of elderly surgical patients and to identify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and to identify influencing factors on resilience. Methods : The study subjects include 151 elderly patients (≥65 years old) who were hospitalized in a tertiary general hospital located in J province and underwent an operation. A structure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data collection. As research tools, Numeric Rating Scale (NRS) was used for pain measurement and Death Anxiety Scale (DAS) developed by Templer (1970) which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Ko et al. (2006) for death anxiety.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developed by Zimet et al. (1988), which was translated by Lee and Shin (1999) was adopted for measurement of social support. Finally, the Korean version of Resilience Scale developed by Wagnild and Young (1993) was applied for resilience measurement. The data gathered were analyzed with SPSS 22.0 Program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 The study results were as described below. First, The study subjects were mostly female (101 patients; 66.9%) and they were mostly in their 70s (64 patients; 42.4%). Their average age was 73.36±6.56 years old. 113 patients had a spouse (74.8%) and when it comes to educational background, 84 patients went to middle school or received higher education (55.6%). 99 study subjects had cohabitant (65.6%). 105 study subjects had a religion (69.5%) and 132 patients responded that their economic level is ‘above moderate’ (87.4%) and 136 subjects responded that the degree of social activities that they engage in is ‘above average’ (90.1%). When asked who is supportive, 84 people replied that their spouse is supportive (55.6%), and 34 subjects had experienced friends’ deaths within a month (22.5%). Second, It was found that 101 patients were suffering from musculo-skeletal system disorders (66.9%) and 106 subjects were put under general anesthesia (70.2%). It was revealed that analgesics were taken 2.15±1.17 times a day and patients were hospitalized in the tertiary general hospital 2.10±0.68 times in average. 80 subjects(53.0%) underwent hospitalization at the tertiary general hospital twice, 66 subjects underwent surgeries twice (43.7%), which accounted for the largest number, and 119 subjects had medical history (78.8%). Third, the average score of pain was 5.09 points (±2.12); the average of death anxiety grade per item 3.10 (±0.70); the average of social support (±12.63), grade per item 3.54 (±1.05); and the average of resilience grade per item 4.46 (±1.35). Four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in according to the study subject’s gender (t=-2.45, p=.015), spouse (t=-4.74, p<.001), cohabitant(t=-5.26, p<.001), religion (t=2.57, p=.011), financial condition (t=5.85, p<.001), supporter(t=2.73, p=.007), latest experience of friends’ deaths (t=-4.57, p<.001), diagnosis (F=16.01, p<.001), analgesics (F=18.66, p<.001), medical history (t=-2.38, p=.019).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death anxiety according to the study subjects gender (t=-2.022, p=.047), age (F=10.24, p<.001) and the number of surgeries received (F=3.45, p=.036) ba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and disease-related matte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 according to the study subject’s gender (t=3.42, p=.001), age (F=6.13, p=.003), spouse (t=10.74, p<.001), educational background (t=-6.86, p<.001), cohabitant (t=10.20, p<.001), financial condition (t=-2.88, p=.005), social activities (t=-4.69, p<.001), supporter (t=-18.01, p<.001), latest experience of friends’ deaths (t=3.60, p<.001) and anesthesia type(t=-2.85, p=.00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ilience according to the study subject’s age (F=9.09, p<.001), educational background (t=-4.45, p<.001), cohibitant (t=2.32,, p=.022), financial condition (t=2.14, p=.034), supporter (t=-3.96, p<.001), latest experience of friends’ deaths (t=-2.23, p=.027), diagnosis (F=3.26, p=.034), the number of hospitalization at the tertiary general hospital (F=3.99, p=.021) and medical history (t=2.59, p=.010). Fifth, the correlations of subjects’ pain, death anxiety,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re was a statistically-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resilience and pain (r=-.24, p=.003). There was a statistically-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esilience and death anxiety (r=.26, p=.001),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r=.40, p<.001). Sixth, The following were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influence factor of resilience. 1) In model Ⅰ, financial status (β=.-.38, p<.001), latest experience of friends’ deaths (β=-.24, p=.002), education background (β=.21, p=.014) significantly affected resilience (Adjusted R2=.263). 2) In model Ⅱ, financial status (β=-.35, p<.001), sensory system operation (β=-.26, p=.005), medical history (β=-.25, p=.001), education background (β=.25, p=.007), latest experience of friends’ deaths (β=-.22, p=.004), significantly affected resilience (Adjusted R2=.345). 3) In model Ⅲ, death anxiety (β=.35, p<.001), sensory system operation (β=-.28, p=.001), financial status (β=-.27, p=.003), medical history (β=-.22, p=.003), pain (β=-.21, p=.010), the number of hospitalization at the tertiary general hospital (β=-.19, p=.018) significantly affected resilience. Among them, death anxiety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that affected resilience (Adjusted R2=.442). Conclusion : Elderly patients that underwent surgeries are likely to be physically, mentally and emotionally vulnerable. They will experience pain and death anxiety at the same time and need social support. These factors are correlated and may have an influence on resilience. Among the described factors, death anxiety, sensory system operation , financial status, medical history, pain, the number of hospitalization at the tertiary general hospital had a significant effects on resilience. Here, death anxiety is the factor that well explains resilience. Thus, it is necessary to perform nursing interventions focused on reducing pain and managing death anxiety to improve resilience of elderly surgical patients and to establish realistic support programs.

      • 프랜차이즈 미용 종사자의 이커머스 OTT 교육이 직무활용, 직무성과,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태진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과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의 보급은 사회에 많은 변화를 불러왔다. 시각 콘텐츠를 중점으로 하는 OTT 서비스의 등장으로 정보화 시대에 있어 다양하고 원하는 정보를 쉽고 빠르게 얻을 수 있게 되었으며 이에 미용 산업에서도 OTT 서비스를 이용한 교육 및 마케팅이 자연스럽게 활용되고 있다. 과거부터 이어져 오는 오프라인 방식의 교육과 더불어 언제든지 스스로 공부할 수 있는 온라인교육의 발전은 다양한 헤어트랜드 및 기술정보의 흐름을 빠르게 습득할 수 있는 필수 전략이 되고 있으며 개인의 실무능력을 빠르게 성장하기 위한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프랜차이즈 미용 종사자의 OTT 서비스교육이 직무활용과 직무성과,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조사 대상은 온라인플랫폼을 통해 OTT 서비스교육을 시청한 경험이 있고, 경기도와 충청도에 소재하고 있는 프랜차이즈 미용 종사자들에 한하여 10대~50대 남녀를 편의추출 하였으며, 설문지 606부(97.7%)를 IBM SPSS Statistics 26.0 통계프로그램과 AMOS 26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일반적 특성과 OTT 이용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AMOS를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OTT 교육특성, 직무활용, 직무성과, 교육만족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분산분석이 유의한 경우 사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분석으로는 Scheffe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정규성과 등분산성을 만족하지 않은 경우는 비모수 검정(Kruskal-Wallis의 H)을 실시하여 같이 제시하였다. OTT 교육특성, 직무활용, 직무성과, 교육만족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OTT 교육특성이 직무활용, 직무성과,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직무활용이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직무성과가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OTT 교육특성이 직무활용과 직무성과를 매개로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AMOS를 이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의 내적 신뢰도는 Cronbach's α를 산출하였으며 유의수준 α는 .05이하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OTT 교육특성의 직무활용, 직무성과와 교육만족도차이를 분석한 결과, 직무활용은 직책(F=12.490, p<.001), 학력(F=5.281, p<.001), 근무기간과(F=6.190, p<.001) 연령(F=3.133, p<.05) 순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직무성과는 직책(F=27.630, p<.001), 근무기간(F=21.288, p<.001), 연령(F=16.579, p<.001), 학력(F=7.105, p<.001) 순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교육만족도는 직책(F=14.841, p<.001), 근무기간(F=5.789, p<.001), 학력(F=4.413, p<.01), 연령(F=3.020, p<.05) 순으로 유의한 차이로 나타났음을 확인했다. 둘째, 프랜차이즈 미용종사자의 OTT교육특성이 직무활용, 직무성과, 교육만족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OTT 교육특성은 교육만족도(r=.83, p<.01), 직무활용도(r=.82, p<.01), 직무성과(r=.66, p<.01)와 가장 높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활용은 교육만족도(r=.80, p<.01)와 가장 높은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직무성과는 교육만족도(r=.76, p<.01)가 가장 높은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셋째, 프랜차이즈 미용 종사자의 OTT 교육특성이 직무활용, 직무성과,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직무활용에 OTT 교육특성은 정적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순위는 OTT 교육특성 하위변인 정보성(=.28)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편의성(=.26), 신뢰성(=.22), 유희성(=.18) 순으로 나타났다. 직무성과에 OTT 교육특성은 정적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순위는 OTT 교육특성 하위변인 편의성 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정보성, 신뢰성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만족에 OTT교육특성은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순위는 OTT 교육특성 하위변인 편의성(=.27)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신뢰성(=.26), 유희성(=.24), 정보성(=.17) 순으로 유의한 차이로 나타났음을 확인했다. 넷째, 프랜차이즈 미용 종사자의 직무성과가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직무성과를 독립변인, 교육만족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F=781.894, p<.001) 모형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수정된 결정계수(Adj)는 .57로 나타났다. 교육만족에 직무성과(B=.68, t=27.962, p<.001)는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만족에 직무성과 하위요인 직무할당(B=.23, t=4.720, p<.001), 업무수행(B=.45, t=9.134, p<.001)는 정적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향력을 살펴보면 업무수행(=.51), 직무할당(=.23) 으로 업무수행의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프랜차이즈 미용 종사자의 OTT 교육특성이 직무활용과 직무성과를 매개로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구조방정식 모형에 대한 절대적합지수의 경우 값(=189.538, df=38)의 p 값이 .000로 ‘모형은 자료를 완벽하게 설명한다’ 라는 영가설이 기각됨으로 연구모형의 적합도에 충족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절대적합지수 중 RMR .01, GFI .94로 기준치를 충족 하였으고, 증분적합지수의 경우 표준적합지수(NFI)가 .97로 기준치(≥0.9)를 충족하였으며, 비교준적합지수(IFI)는 .98으로 기준치(≥0.9)를 충족하였다. 또한 상대적합지수(CFI) 역시 .98로 기준치(≥0.9)를 충족함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성이 검증되었다. OTT 교육특성은 직무활용에 경로계수.91(p<.001)로 유의한 정적 영향하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활용은 직무성과에 경로계수 .49(p<.001)로 유의한 영향이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OTT 교육특성은 직무성과에 경로계수 .28(p<.01) 나타남에 유의한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성과는 교육만족에 경로계수.32(p<.001) 나타남에 유의한 정적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직무활용, 직무성과, 교육만족은 일반적 특성에 따른 OTT 교육특성에 차이가 나타났다. 프랜차이즈 종사자들의 연령, 학력, 근무기간, 직책에서 OTT 교육특성의 (정보성, 신뢰성, 유희성, 편의성)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OTT 교육특성은 직무활용, 직무성과, 교육만족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활용과 직무성과는 교육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OTT 교육특성은 직무활용과 직무성과를 매개로 교육만족에 직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미치고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OTT 서비스교육을 통해 미용 종사자들에게 알맞은 차별적인 시각적 전략과 최신트랜드 컨텐츠를 중점으로 하는 OTT 교육특성을 활용하여 미용종사자의 교육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품질향상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ttempted to The development of networking technology and the spread of smartphones and tablet PCs have brought about many changes in society. With the advent of OTT services that focus on visual content, various and desired information can be easily and quickly obtained in the information age, and education and marketing using OTT services are naturally being used in the beauty industry. Along with offline education that has been going on since the past, the development of online education that allows students to study on their own at any time is an essential strategy to quickly learn various hair trends and technical information flows. Therefore,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OTT service education for franchise beauty workers on job utilization, job performanc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For this study, men and women in their teens to 50s were conveniently extracted only from franchise beauty workers in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and 606 (97.7%) of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6.0 statistics program and AMOS 26.In addition,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OTT usage characteristic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 we conducte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AMO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find out if there was a difference in OTT education performance, job utilization, and job satisfaction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If the variance analysis is significant, a post-analysis was conducted, and a post-test of Scheffe was conducted in the post-analysis. If you are not satisfied with normality and equality, we conducted a nonparametric test (H of Kruskal-Wallis) and presented it together.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job utilization, job performanc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impact of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on job utilization, job performanc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We conducted a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the impact of job utilization on educational satisfaction.We conducted a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the impact of job performance on educational satisfac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on educational satisfaction through job utilization and job performance. First of all, the difference in job utilization, job performanc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of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utilization (F=12.490, p<.001), academic background (F=5.281, p<.001). Job performa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rder of responsibility (F=27.630, p<.001), working period (F=21.288, p<.001), age (F=16.579; p<.001), educational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in the order of responsibility (F=14.841, p<.001), and age (F=3.05, p<).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job utilization, job performanc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of franchise beauty workers,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be the highest static correlation with educational satisfaction (r=.83, p<.01), r=.82, p<.01). Job performance was found to have the highest static correlation with educational satisfaction (r=.76, p<.01). Third, the impact of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on job utilization, job performanc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of franchise beauty workers showed that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had a static impact on job utilization. OT education characteristics have a static impact on job performance, and the ranking that affects job performance has the highest convenience of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subvariables, followed by information and reliability.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had a static impact on education satisfaction, and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subvariable convenience (=.27) was the highest, followed by reliability (=.26), playability (=.24), and informationability (=.17) Fourth, the effect of job performance on educational satisfaction of franchise beauticians was analyzed an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job performance as independent variable and education satisfaction as dependent variable. (F=781.894, p<.001) model had a modified coefficient (Adj) of .57. Job performance (B=.68, t=27.962, p<.001) was found to have a static effe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Job performance sub-factor job assignment (B=.23, t=4.720, p<.001) and job performance (B=.45, t=9.134, p<.001) were found to have a static effect on education satisfaction. Looking at its influence, it showed a high impact on work performance (=.51) and job assignment (=.23).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of franchise beauty workers on educational satisfaction through job utilization and job performance, it is the p-value of the absolute fit index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s (=189.538, df=38).In 000, the English hypothesis that "the model explains the data perfectly" was rejected, which does not meet the suitability of the research model. However, RMR.01, GFI.94 of the absolute conformity index met the reference value, and in the case of incremental conformity index, the standard conformity index (NFI) met the reference value (±0.9) with .97, and the comparative quasi-conformity index (IFI) was .98. The relative fit index (CFI) is also .98, which meets the reference value (±0.9), and the conformity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has been verified. The characteristics of OTT education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job performance with a path coefficient of .28 (p<.01). Job performance is a route factor of .32 (p<) for educational satisfaction.001)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static effect. Taken together, the above results showed that job utilization, job performance, and education satisfaction differed in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information, reliability, playability, convenience) in the age, educational background, working period, and responsibilities of franchise workers.Job utilization and job performanc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In addition,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have a direct and indirect significant impa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through job utilization and job performa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beauty workers by utilizing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that focus on discriminatory visual strategies suitable for beauty workers and latest trend contents through OTT service education.

      • 섬유근통증후군 환자의 통증, 피로, 지각된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문애진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47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pain, fatigue, perceived stress, and quality of life to identify the correlations among them, and to identify their impact on quality of life. Methods : Data were collected from 126 outpatients diagnosed with fibromyalgia at W University Hospital in I City. The survey was carried out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is study used Visual Analogue Scale (VAS) to measure pain,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Fatigue (MAF) developed by Tack (1991) to measure fatigue, Perceived Stress Scale (PSS) developed by Cohen et al. (1983) to measure perceived stress, and Kim's (1994) 44 items adopted from Noh's (1988) 47 items to measure quality of life. Data were analyzed through PASW 18.0 for frequency, percentage, means,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as follows: the majority age group was 40-49 years (49, 38.9%) and the average age was 49.01 (±8.08) years, 60 (47.6%) graduated from high school, 78 (61.9%) had spouses, 108 (85.7%) had family and the average family size was 1.86 (±1.31) members, 117 (92.9%) had children and the average number of children was 1.87 (±0.88), 46 (36.5%) were Christians, 83 (65.9%) were housewives, and 60 (47.6%) earned less than 1 million won a month. In terms of disability, 28 (22.2%) had disabilities in daily life caused by the disease, 23 (18.3%) had disabilities in physical activity, 17 (13.5%) had pain, and 17 (13.5%) had disability in working. The most common period of sickness group was 5-10 years (45, 35.7%) and the average period was 95.33 months (±75.40). The most common period of treatment group was 1-5 years (96, 76.2%) and the average period was 35.93 months (±30.89). In terms of hours of sleep, 92 (73.0%) slept less than 6 hours, whereas 34 (27.0%) slept more than 6 hours, and the average was 274.29 minutes (±100.81). 2.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subject's pain, fatigue, and perceived stress, the average scores were 7.79 (±1.65), 39.81 (±8.53), 23.78 (±5.62), 122.77 (±14.80), respectively.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ducation (F=4.082, p=.008), occupation (F=4.584, p=.002), monthly income (F=4.337, p=.003), hours of sleep (t=2.704, p=.008) in pain and education (F=3.751, p=.013), marital status (t=-2.159, p=.033), occupation (F=3.423, p=.011), monthly income (F=2.531, p=.044), period of sickness (F=5.751, p=.004), and hours of sleep (t=4.231, p<.001) in fatigue, family status (t=-2.353, p=.020), monthly income (F=5.925, p<.001), period of sickness (F=3.272, p=.041), duration of treatment (F=7.029, p=.001), and hours of sleep (t=5.285, p<.001) in perceived stress, and marital status (t=5.009, p<.001 ), family status (t=4.003, p<.001), monthly income (F=10.741, p<.001), period of sickness (F=3.727, p=.027), and hours of sleep (t=-4.199, p<.001) in quality of life. 4.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correlations among subject's pain, fatigue, perceived stress, and quality of life,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ain and fatigue (r=.616, p<.001), pain and perceived stress (r=.430, p<.001), and fatigue and perceived stress (r=.494, p<.001), whereas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pain and quality of life (r=-.446, p<.001), fatigue and quality of life (r=-.544, p<.001), and perceived stress and quality of life (r=-.653, p<.001). 5. The following were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effect of pain, fatigue, perceived stres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n the quality of life. 1) In model Ⅰ, pain (ß=-.342, p<.001) and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ß=.274, p=.005) significantly affected quality of life (R²=.313). 2) In model Ⅱ, fatigue (ß=-.434, p<.001) and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ß=.305, p=.001) significantly affected the quality of life (R²=.373). 3) In model Ⅲ, perceived stress (ß=-.551, p<.001) and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ß=.209, p=.016) significantly affected the quality of life (R²=.466). 4) In model Ⅳ, pain (ß=-.079, p=.356) was not significant whereas fatigue (ß=-.215, p=.016), perceived stress (ß=-.436, p<.001), and number of family members (ß=.192, p=.022) affected the quality of life (R²=.507). Among them, perceived stress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that affected quality of life. Conclusion : This study found that patients with fibromyalgia had been experiencing moderate to severe pain, fatigue, and perceived stress. These symptoms that correlated with one another were important factors that reduced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m, perceived stress, fatigue, and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significantly affected the quality of life. Consequently, in order to promote quality of life, nursing interventions focusing on the management of stress and the development of family support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목적 : 본 연구는 섬유근통증후군 환자들의 통증, 피로, 지각된 스트레스, 삶의 질을 확인하고,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와 통증, 피로, 지각된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 본 연구 대상자는 I시에 위치한 W대학병원에서 류마티스 내과 전문의에 의해 섬유근통증후군 진단을 받은 여성 외래 환자 126명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로 통증은 시각상사 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를 사용하였고, 피로는 Tack(1991)이 개발한 다차원적인 피로척도(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Fatigue: MAF)를 이경숙과 이은옥(1998)이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지각된 스트레스는 Cohen 등(1983)이 개발한 전체 10개 문항으로 구성된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Perceived Stress Scale: PSS)를 사용하였다. 삶의 질 측정도구는 노유자(1988)가 개발한 47개 문항의 도구를 김종임(1994)이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44개 문항으로 수정한 삶의 질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18.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연령은 40-49세가 49명(38.9%)으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49.01세(±8.08)이었고, 학력은 고졸이 60명(47.6%)으로 가장 많았다. 배우자가 있는 경우 78명(61.9%), 가족이 있는 경우 108명(85.7%)으로 평균 가족수는 1.86명(±1.31)이며, 자녀가 있는 경우 117명(92.9%)으로 평균 자녀수는 1.87명(±0.88)이었다. 종교는 기독교가 46명(36.5%), 직업은 주부 83명(65.9%), 월수입은 100만원 미만이 60명(47.6%)으로 가장 많았다. 질병으로 인한 불편감으로 일상생활 장애가 28명(22.2%)으로 가장 많았고, 신체활동 장애 23명(18.3%), 통증 17명(13.5%), 직장생활 장애 17명(13.5%)순 이었다. 투병기간은 5-10년 미만이 45명(35.7%)으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투병기간은 95.33개월(±75.40)이었고, 치료기간은 1-5년 미만이 96명(76.2%)으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치료기간은 35.93개월(±30.89)이었다. 대상자의 수면시간은 6시간 미만이 92명(73.0%), 6시간 이상은 34명(27.0%)으로 평균 274.29분(±100.81)이었다. 둘째, 대상자의 통증은 평균 7.79점(±1.65), 피로는 평균 39.81점(±8.53), 지 각된 스트레스는 평균 23.78점(±5.62), 삶의 질은 평균 122.77점(±14.80)이었다. 셋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통증은 학력(F=4.082, p=.008), 직업(F=4.584, p=.002), 월수입(F=4.337, p=.003), 수면시간(t=2.704, p=.008)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피로는 학력(F=3.751, p=.013), 배우자 유무(t=-2.159, p=.033), 직업(F=3.423, p=.011), 월수입(F=2.531, p=.044), 투병기간(F=5.751, p=.004), 수면시간(t=4.231, p<.001)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지각된 스트레스는 가족 유무(t=-2.353, p=.020), 월수입(F=5.925, p<.001), 투병기간(F=3.272, p=.041), 치료기간(F=7.029, p=.001), 수면시간(t=5.285, p<.001)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삶의 질은 배우자 유무(t=5.009, p<.001), 가족 유무(t=4.003, p<.001), 월수입(F=10.741, p<.001), 투병기간(F=3.727, p=.027), 수면시간(t=-4.199, p<.001)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대상자의 통증, 피로, 지각된 스트레스, 삶의 질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통증과 피로(r=.616, p<.001), 통증과 지각된 스트레스(r=.430, p<.001)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증과 삶의 질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446, p<.001)가 있었다. 피로와 지각된 스트레스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494, p<.001)가 있었고, 삶의 질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544, p<.001)가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스트레스와 삶의 질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653,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통증, 피로, 지각된 스트레스, 일반적 특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모형 Ⅰ에서 통증과 일반적 특성을 검정한 결과 통증(ß=-.342, p<.001) 과 가족수(ß=.274, p=.005)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립변수가 종속변수를 31.3% 설명하였다(R²=.313). 2) 모형 Ⅱ에서 피로와 일반적 특성을 검정한 결과 피로(ß=-.434, p<.001) 와 가족수(ß=.305, p=.001)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립변수가 종속변수를 37.3% 설명하였다(R²=.373). 3) 모형 Ⅲ에서 지각된 스트레스와 일반적 특성을 검정한 결과 지각된 스 트레스(ß=-.551, p<.001)와 가족수(ß=.209, p=.016)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립변수가 종속변수를 46.6% 설명하였다(R²=.466). 4) 모형 Ⅳ에서 통증, 피로, 지각된 스트레스와 일반적 특성을 검정한 결과 통증(ß=-.079, p=.356)은 유의하지 않았으며, 피로(ß=-.215, p=.016), 지각된 스트레스(ß=-.436, p<.001), 가족수(ß=.192, p=.022)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가 종속변수를 50.7% 설명하였으며(R²=.507), 삶의 질을 가장 잘 설명해 주는 요인은 지각된 스트레스로 나타났다. 결론 : 섬유근통증후군 환자는 중등도 이상의 통증, 피로, 지각된 스트레스를 동시에 경험하고 있으며, 이러한 증상들은 상호 연관성을 가지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 중 지각된 스트레스, 피로, 가족수가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삶의 질을 가장 잘 설명해 주는 요인은 지각된 스트레스이었다. 따라서 섬유근통증후군 대상자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해서 스트레스 관리에 초점을 둔 간호중재와 가족지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 Bell's palsy 환자에 대한 양방 치료와 한방 침 치료 협진의 경제성 평가 연구

        이동효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Bell’s palsy환자를 대상으로 한 양방 협진 모델에서 침 치료(Acupuncture)와 양방의 일반 치료(Usual Care)의 병행에 대하여 사회적 관점의 경제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양방의 일반 치료와 한방 침 치료 및 일반 치료의 협진 치료를 비교 대안으로 선정하고, 결정 분석 모형을 이용하였다. 질환의 특성을 고려하여 총 2년 간의 비용-효과 분석을 시행하였다. 각 대안들의 효과는 PubMed,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논문 검색 database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을 실시하여 House-Brackmann 등급을 통한 객관적인 성과 변수 변화 및 건강 관련 삶의 질의 개선 정도를 추출하였다. 직접 비교 임상 시험의 부재로 인하여 비교 대안의 임상적 성과에 대한 간접 비교를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 일반 치료의 효과 추정치는 86.3%, 협진 치료의 효과 추정치는 92.8%로 나타났다. 발병 후 2년 동안 회복되지 않은 안면신경마비 환자의 2년간 QALY(Quality adjusted life year)는 1.572, 3개월 이내 회복된 정상인 환자의 2년간 QALY는 1.9633125로 추정되었다. 비용 추정은 현재 협진이 발생하고 있는 경기도 군포시 소재의 대학 부속 일 종합병원(329병상)과 일 한방병원(71병상)의 진료 기록 및 전문가 자문,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복지부, 통계청 자료 등을 근거로 하였으며, 각 대안들에 대한 비용 자료는 2011년 수가로 환산하여 계산하였다. 분석 기간(3개월) 동안 환자 1명당 총 비용은 일반 치료를 하는 경우 691,793원, 협진 치료를 하는 경우 947,113원으로 나타났다. Tree Age Pro 2009 version을 이용하여 비용-효과 분석을 실시한 결과, 일반 치료에 대한 협진 치료의 ICER(Incremental Cost Effectiveness Ratio) 값은 10,038,013원/QALY로 산출되었으며, 비용-효과 임계(Threshold)값 20,000,000원/QALY에 기준하여 침 치료 및 일반 치료의 협진은 양방 일반 치료보다 비용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Bell’s palsy에 대한 결정수형 모델을 완성하였으며, 한 양방 협진 모델에 대한 비용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성과 및 제한점은 향후 실시되는 연구들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Economic Evaluation, Cost Effectiveness Analysis, Bell’s Palsy, Acupuncture, Usual Care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st-effectiveness of acupuncture in addition to routine care in the treatment of Bell’s palsy. Methods: A decision-analytic model was developed to synthesis evidence on both costs and outcomes for patients with Bell’s palsy. The time frame for the model was 2 years. Model parameters were sourced from systematic review of both alternatives, simple bibliographic reviews of relevant articles published in English or Korea, and statistical analyses of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dat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data, etc. The analyses were based on the societal perspective. Results: The collaborative treatment resulted in better outcomes, but at a relatively high cost. The cost per QALY (Quality adjusted life year) gained was 10,038,013 KRW (Korean rate Won). The collaborative treatment would be more cost-effective than routine care at a threshold of 20,000,000 KRW per QALY. Conclusions: Further empirical studies are requir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uncertainties and improve the precision of the results. Keywords: Economic Evaluation, Cost Effectiveness Analysis, Bell’s Palsy, Acupuncture, Usual Care

      • 얼굴 유형에 따른 업스타일 이미지 형태적 특성 연구

        오형자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9647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termine the direction and degree of volume of parting suitable for image production close to a standard image by supplementing the shortcomings of face when doing an up-style by identifying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up-style image by face shape. This study classified face shape into five, and intended to analyze harmony and preference of up-style according to face shape, analyze images, and to identify difference in harmony, preference, image percep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ifference in image perception, and face shape close to standard shap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on 350 adults in North Jeolla Province from Apr 15 to May 5, 2020. Out of a total of 350 questionnaires, 331 questionnaires excluding 19 questionnaires that are deemed insufficient for analysi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6.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harmony of up-style by face shape, SR2 and OR2 suit standard and oblong face shape and CA1 and RA1 are the up-style that look the best on round and square face shape. It was identified that IL1 looks best on inverted triangle shape. Secondly, as a result of analyzing harmony of up-style by face shap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it was analyzed that the highest significance level was shown in the position part of every face shape, standard face shape and square face shape showed 99 % of a significant confidence level as SR2 F-value=6.607, p<.01 and RL1 F-value=8.700, p<.01 each, and round face shape and inverted triangle face shape showed 99 % of a significant confidence level as CL1 F-value=7.862, p<.001 and IL1 F-value=10.642, p<.001 each. Also, it was identified that oblong face shape shows 95 % of a significant confidence level of F-value=4.703, p<.05 in OL1. Thirdly, for image preference of form of volume by parting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reference of up-style type by face shape, SR2 was 4.17(±.96) in standard type, preference of round shape was CR13.92(±.91), oblong shape was RA1 3.82(±1.09), inverted triangle shape was IL1 3.75(±1.03), and preference of oblong shape was the highest of OR2 3.98(±.89). Fourth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preference of up-style by face shap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it was analyzed that the highest significance level was shown in the position part of every face shape, standard face shape showed 99% of a significant confidence level as F-value=7.182, p<.01 in SL1 and round face shape showed 99% of a significant confidence level as F-value=10.287, p<.001 in CL1. For square face shape, RA1 showed 99% of a significant confidence level of F-value=6.683, p<.01 and inverted triangle face shape showed 99% of a significant confidence level of F-value=9.748, p<.001 in IL1. Also, oblong face shape showed 95% of a significant confidence level of F-value=3.635, p<.05 in OL1. Fifthly, as a result of analyzing images of face shape according to up-style types, feminine image(4.08±.94) showed the highest result for SR2 in standard shape and feminine image(3.88±.91) was the highest for CR1 image in round shape. In square face shape, feminine image(3.91±.98) was the highest for RA1 and feminine image(3.81±.94) was the highest for IR2 image in inverted triangle shape. In oblong shape, feminine image(3.95±.92) showed the highest result for OR2 image. Sixth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 in image evaluation of up-style by face shap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 first choice of SC1 of standard type was graceful, the first choice of SL1 was sophisticated, the first choice of SR2 1 was feminine, and the first choice of SA1 was feminine, and most of them were found to be most significant in their position. In round shape, the first choice of CC1 was graceful, the first choice of CL1 was feminine, the first choice of CR1 was feminine, and the first choice of CA1 was elegance, and it has identifi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ition, highest level of education, and experience in hairdressing and beauty care. In oblong shape, the first choice of RC2 was elegance, the first choice of RL1 was feminine, the first choice of RR2 was feminine, and the first choice of RA1 was feminine, and it has identifi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ost positions. In inverted triangle shape, the first choice of IC2 was graceful, the first choice of IL1 was feminine, the first choice of IR2 was feminine, and the first choice of IA1 was feminine, and it has identified that general characteristics tha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ch parting direction are different. In oblong shape, the first choice of OC1 was graceful, the first choice of OR2 was feminine, the first choice of OL1 was feminine, and the first choice of OA1 was feminine, and most of them were found to be the most significant in their position. Seventhly, as a result of conducting an analysis on up-style shape close to the standard type, CR1 of 160 people(48.3%) was the highest for round shape, RA1 of 158 people(47.7%) was the highest for square shape, IR2 of 160 people(48.3%) was the highest for inverted triangle shape, and OR2 of 168 people(50.8%) was the highest for oblong shape. Eighth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a correlation between harmony and preference level of up-style by face shape, a correlation between harmony and preference level according to parting direction was the highest in every face shape. Ninthly, as a result of conducting an analysis on a correlation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up-style close to the standard shape by face shape,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nverted triangle shape and experience in hairdressing and beauty care and oblong shape has been identified to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xperience in hairdressing and beauty care as well. It was identified that inverted triangle shape and oblong shape have a correlation with experience in hairdressing and beauty care. Also, round shape and oblong shape did not show general characteristic showing significant correlation. Tenth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a correlation between harmony and preference level of up-style and face shape image by face shape, it was analyz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harmony and preference level according to each type of up-style in all face types. In standard shape, the most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of r=.695, p<.01 appeared in SC1 and has been identified to have the highest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natural image in harmony and preference level. CL1 was the highest in round shape of r=.772, p<.01, and it was identified that harmony has the highest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sophisticated image and preference level with female image. It was the highest in oblong shape of r=.780, p<.01, and it was identified that harmony and preference level have the highest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female image. Inverted triangular shape was the highest as r=.754, p<.01 in IC2, and it was identified that harmony and preference level have the highest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llectual image. Oblong shape was the highest as r=.712, p<.01 in OL1, and harmony had the highest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llectual image and preference level with sophisticated image. Therefore, this study produced results by identifying face shapes of wome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analyzing harmony, preference level, and differences in images of up-style.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each face shape could be a standard image and suggested that it can be used in actual industrial sites. Also,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in many fields required by various up-style designs by giving objectivity to image research through interaction of face shape and up-style and using morphological properties of up-style to hairdressers, and expects research on design to be developed further. 본 연구는 얼굴 유형에 따른 업스타일 이미지의 형태적 특성을 파악하여 업스타일을 할 경우 얼굴의 단점을 보완하여 표준형에 가까운 이미지 연출에 적합한 가르마의 방향성과 볼륨의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얼굴 유형은 다섯 가지로 나누었으며 얼굴 유형에 따른 업스타일형태의 어울림과 선호도, 이미지를 분석하고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어울림과 선호도, 이미지 지각의 차이와 표준형에 가까운 얼굴형을 밝히고자 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2020년 4월 15일부터 5월 5일까지 전북 지역의 성인 35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총 350부의 설문지 중 분석에 사용되기 불충분하다고 판단되는 19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331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6.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얼굴 유형별 업스타일 형태의 어울림을 분석한 결과, 표준형과 장방형 얼굴에서 각각 SR2, OR2가 어울리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둥근형과 사각형은 CA1, RA1이 가장 잘 어울리는 업스타일 형태로 나타났다. 역삼각형은 IL1가 가장 잘 어울리는 결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얼굴 유형별 업스타일 형태의 어울림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모든 얼굴형의 직책부분에서 가장 높은 유의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표준형 얼굴형에서는 SR2 F-value=6.607, p<.01, 사각형 RL1 F-value=8.700, p<.01로 신뢰수준 99%의 유의수준을 보였으며, 둥근형 CL1 F-value=7.862, p<.001, 역삼각형 IL1 F-value=10.642, p<.001로 신뢰수준 99.9%의 유의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방형 얼굴형에서도 OL1에서 F-value=4.703, p<.05로 신뢰수준 95%의 유의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얼굴 유형별 업스타일 형태의 선호도 분석 결과, 가르마별 볼륨의 형태의 이미지 선호도는 표준형에서 SR2가 4.17(±.96), 둥근형의 선호도 또한 CR13.92(±.91), 사각형의 선호도는 RA1 3.82(±1.09), 역삼각형의 선호도는 IL1 3.75(±1.03), 장방형의 선호도는 OR2 3.98(±.89)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얼굴 유형별 업스타일 형태의 선호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모든 얼굴형의 직책부분에서 가장 높은 유의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표준형 얼굴형에서는 SL1에서 F-value=7.182, p<.01로 신뢰수준 99%의 유의수준을 보였으며, 둥근형 얼굴형에서도 CL1에서 F-value=10.287, p<.001로 신뢰수준 99.9 %의 유의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각형 얼굴형에서는 RA1에서 F-value=6.683, p<.01로 신뢰수준 99%의 유의수준을 보였으며, 역삼각형 얼굴형에서는 IL1에서 F-value=9.748, p<.001로 신뢰수준 99.9 %의 유의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방형 얼굴형에서도 OL1에서 F-value=3.635, p<.05로 신뢰수준 95 %의 유의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업스타일 형태에 따른 얼굴형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표준형에서 SR2 이미지는 여성스런 이미지(4.08±.94)가 가장 결과를 나타났으며, 둥근형에서 CR1 이미지는 여성스런 이미지(3.88±.91)가 가장 높은 순으로 나타났다. 사각형에서는 RA1는 여성스런 이미지(3.91±.98)가 가장 높은 순으로 나타났으며, 역삼각형에서 IR2 이미지는 여성스런 이미지(3.81±.94)가 높은 순으로 나타났다. 장방형에서는 OR2 이미지는 여성스런 이미지(3.95±.92)가 가장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여섯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얼굴 유형별 업스타일 형태 이미지 평가 차이를 분석한 결과, 표준형의 SC1 1순위는 단아한으로 나타났으며 SL1 1순위는 세련된, SR2 1순위는 여성스런, SA1 1순위는 여성스런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 직책에서 가장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둥근형에서 CC1 1순위는 단아한, CL1 1순위는 여성스런, CR1 1순위는 여성스런, CA1 1순위는 우아한으로 나타났으며 직책 및 최종학력, 미용경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각형에서 RC2 1순위는 단아한, RL1 1순위는 여성스런, RR2 1순위는 여성스런, RA1 1순위는 여성스런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 직책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삼각형에서 IC2 1순위는 단아한, IL1 1순위는 여성스런, IR2 1순위는 여성스런, IA1 1순위는 여성스런으로 나타났으며 각각 가르마방향마다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일반적 특성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장방형에서 OC1 1순위는 단아한, OR2 1순위는 여성스런, OL1 1순위는 여성스런, OA1 1순위는 여성스런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 직책에서 가장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표준형에 가까운 업스타일 형태 분석을 실시한 결과, 둥근형은 CR1에서 160명(48.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사각형은 RA1 158명(47.7%), 역삼각형은 IR2 160명(48.3%), 장방형은 OR2 168명(50.8%)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여덟째, 얼굴 유형별 업스타일 형태의 어울림과 선호도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얼굴 유형에서 가르마방향에 따른 어울림과 선호도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일반적 특성과 얼굴 유형별 표준형에 가까운 업스타일 형태 연관을 분석한 결과, 역삼각형에서는 미용경력과 유의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방형에서도 미용경력과 유의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삼각형과 장방형은 미용경력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둥근형 및 사각형에서는 유의한 연관성을 보이는 일반적 특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째, 얼굴 유형별 업스타일 형태의 어울림, 선호도와 얼굴형 이미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얼굴 유형에서 각 업스타일 형태에 따른 어울림과 선호도에서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표준형에서는 SC1에서 r=.695, p<.01로 가장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울림 및 선호도에서 자연 이미지와 가장 높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둥근형에서는 CL1에서 r=.772, p<.01로 가장 높았으며, 어울림은 세련 이미지, 선호도는 여성 이미지와 가장 높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각형에서는 RL1에서 r=.780, p<.01로 가장 높았으며, 어울림 및 선호도에서 여성 이미지와 가장 높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삼각형에서는 IC2에서 r=.754, p<.01로 가장 높았으며, 어울림 및 선호도에서 지적 이미지와 가장 높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방형에서는 OL1에서 r=.712, p<.01로 가장 높았으며, 어울림은 지적 이미지, 선호도는 세련 이미지와 가장 높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통해 여성들의 얼굴형을 파악하여 업스타일 형태의 어울림, 선호도, 이미지의 차이점을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를 근거로 각 얼굴형이 표준형의 이미지화 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으며, 실제 산업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얼굴형과 업스타일의 상호작용에 의한 이미지 연구에 객관성을 부여하여 미용사들에게 업스타일 형태적 특성을 활용하여 다양한 업스타일 디자인에서 요구하는 많은 분야에서 활용이 되기를 바라며, 디자인 연구의 발전이 이루어지길 기대하는 바이다.

      • 치아 교정치료 경험 및 비경험 일반인과 치과의사의 미소 심미에 대한 인식 비교

        안성무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의 목적은 미소 심미에 대한 여러 집단의 인식을 비교함으로써 치아 교정치료가 심미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젊은 한국인 여성의 미소 사진을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의도적으로 변형시켰다. 변형 요소로는 상악 중절치 치은 변연의 높이, 상악 측절치 치관 폭경 및 길이, 전치부 교합평면 경사, 치열 정중선 편위가 포함되었으며, 각 요소들을 점진적으로 4단계에 걸쳐 변형시켰다. 이렇게 형성된 20개의 미소 사진을 임의의 순서로 배열하여, 교정치료 경험 및 비경험 일반인과 치과의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Visual analogue scale(VAS)을 통해 얻어진 점수를 바탕으로 각 군 간의 심미 인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3개 군에서 VAS score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5). 치과의사군은 모든 지표에서 일반인군에 비해 낮은 VAS score를 보였으며 심미 변화에 더 민감하였다. 상악 중절치 치은 변연 높이에서 일반인군은 1.5 mm, 치과의사군은 1.0 mm의 변화를 인지하였으며, 상악 측절치 치관 폭경 및 길이는 일반인군과 치과의사군 모두에서 3.0 mm의 변화를 인지하였다. 전치부 교합평면 경사에서 교정치료 비경험군은 3.0 mm, 치료 경험군은 2.0 mm, 그리고 치과의사군은 1.0 mm의 변화를 인지하였으며, 치열 정중선 편위는 교정치료 경험군과 치과의사군에서만 3.0 mm의 변화를 인지하였다. 교정치료 경험이 있는 일반인과 경험이 없는 일반인, 치과의사는 미소 심미에 대해 서로 다른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치아 교정치료 경험은 일반인의 심미 인식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experience of orthodontic treatment affect the individual’s perception of smile esthetics and to evaluate the differences between orthodontically treated or non-treated laypersons and dentists by using computerized image alterations. Materials and Methods : A photograph of a woman’s smile was digitally altered with a software-imaging program. The alterations involved gingival margin height, crown width and length, incisal plane canting, dental midline of the maxillary anterior teeth. Three groups of raters - orthodontically treated laypersons, non-treated laypersons, and dentists ? evaluated the original and altered images using a visual analogue scale. Results : The threshold of the laypersons for gingival margin height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was 1.5 mm; the threshold of the dentists, who was more perceptive, was 1.0 mm. In crown width and height of the maxillary lateral incisor, the threshold of all three groups was 3.0 mm. Canting of the incisal plane was perceived when the canting was 3.0 mm in non-treated laypersons, 2.0 mm in treated laypersons and 1.0 mm in dentists. Non-treated laypersons could not perceive dental midline shifts but treated laypersons and dentists perceived it when the shift was 3.0 mm. Conclusions : Laypersons with or without orthodontic treatment experience and dentist have different perceptions of smile esthetics. Orthodontically treated laypersons were more critical than non-treated laypersons about incisal plane canting and dental midline shifts. Based on this, it could be considered that orthodontic treatment experience improved esthetic perceptions in laypersons

      • 가바홍차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음료 개발에 관한 연구

        배경순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47

        GABA(γ-aminobutyric acid) is a functional substance that is effective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hronic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 GABA-black tea is a tea in which the GABA content is increased through the black tea processing process after anaerobic nitrogen treatment and aerobic treatment of raw tea leave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ain chemical components, bio-active substances, functionality and aroma component of general black tea and 2 types of GABA-black tea, and thus serve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tea beverages through sensory evaluation and consumer preference surveys conducted with regard to GABA-black tea extract. Based on the analysis, the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 of the two types of GABA black tea was 4348.30±349.41∼4555.63±138.41 mg/100 g, which was about two times higher than that of general black tea. As for the GABA content, GABA-black tea B had the highest at 403.77±10.63 mg/100g, followed by GABA-black tea A (259.03±16.26 mg/100g) and general black tea (105.07±11.54 mg/100g); compared to raw leaves, the content was increased by 64 times for GABA-Black Tea B, and by 41 times for GABA-Black Tea A. The theanine content was 734.28±101.36 mg/100g for general black tea and 1333.75±175.17∼1352.62±64.07 mg/100g for the two types of GABA black tea. The theanine content of GABAblack teas was 1.8 times higher than that of general black tea. All four types (TF, TF3-G, TF3'-G, TF3,3'-G) of theaflavin, which has excellent antioxidant activity, were detected in general black tea and the 2 types of GABA-black tea. General black tea and GABA-black tea B showed theaflavin content of 0.498% and 0.560%.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general black tea and GABA-black teas was found to be similar, and the total flavonoid content of GABA-black teas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at of general black tea. By measuring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OD-like activity with extracts of general black tea and GABA-black teas, high antioxidant effect was found in GABA-black teas. For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GABA-black teas showed 93.83% higher activity than acarbose, known as an α-Glucosidase inhibitor. For both ACE and AChE inhibitory activities, GABA-black teas also showed higher inhibitory activity than general black tea. In addition, large amounts of amino acids contained in GABA-black tea are known to affect the aroma, flavor and quality of GABA-black tea. Aroma compounds, which give out a fresh grassy aroma were found at the proportion of 12.41% in general black tea, while those giving off floral and fruity aroma were found at the high proportion of 26.67∼27.51% in GABA-black teas.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aroma component, which is helpful for mental and physical relaxation and treatment of insomnia, accounted for a high proportion of 7.30∼7.88% in GABA-black teas. According to a survey on preference for GABA-black teas, for the major group, those in their 40s∼50s showed a high preference for both GBT1 7.8±1.03, and GBT2 7.7±1.25, those in their 60s was found to be similar, those in their 20∼30s showed a high preference GBT1. For the normal group, the preference for GBT1 was 6.4±1.17 among those in their 20s∼30s, while the preference increased to 7.2±1.54 and 7.9±1.37 among those in their 40s∼50s and 60s, respectively. The preference for GBT2 was highest among those in their 20s∼30s, but a similar preference was shown for all age groups. It was confirmed that the 2 types of GABA-black tea, which were processed to increase the content of GABA, a functional substance contained in a small amount in raw leaves, have various bio-active compounds that can help prevent and treatment adult diseases and chronic diseases that modern people have concerns about. It was also revealed that consumers consider health functionalities an important factor in their beverage selection. As a results of this study, it is judged that functional tea drinks with high added value can be commercialized if consumers' awareness of and accessibility to GABA tea drinks are raised 가바는 고혈압 등 만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는 기능성 물질이다. 가바홍차는 차 생엽을 일정 시간 질소혐기, 호기처리를 한 후 홍차 제다공정을 통해 가바함량을 증대시킨 차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홍차와 가바홍차 2종의 주요 화학성분 분석, 생리활성, 기능성 조사 및 향기성분 분석, 가바홍차 추출물로 진행한 관능검사 및 소비자 선호도 조사를 통해 현대인들의 수요에 부응하는 기능성 차 음료 개발의 기초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가바홍차 2종의 총 유리아미노산은 4348.30±349.41∼4555.63±138.41 mg/100 g으로 일반홍차보다 약 2배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가바함량은 가바홍차 B 403.77±10.63 mg/100 g 〉 가바홍차 A 259.03±16.26 mg/100 g 〉일반홍차 105.07±11.54 mg/100 g 순으로 생엽 대비 가바홍차 B는 64배, 가바홍차 A은 41배 증가하였다. 테아닌 함량은 일반홍차 734.28±101.36 mg/100 g, 가바홍차 2종 1333.75±175.17∼1352.62±64.07 mg/100 g으로 가바홍차류의 테아닌은 일반홍차보다 1.8배 증가하였다. 항산화 활성이 뛰어난 테아플라빈은 일반홍차 및 가바홍차류에서 4종(TF, TF3-G, TF3'-G, TF3,3'-G)이 모두 검출되었으며 일반홍차 0.498%, 가바홍차 B는 0.560%를 나타내었다. 일반홍차 및 가바홍차의 총 폴리페놀은 비슷한 함량을 나타내었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가바홍차류가 일반홍차보다 높게 나타났다. 일반홍차 및 가바홍차 추출물로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 SOD 유사활성을 측정한 결과 가바홍차류에서 높은 항산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홍차 및 가바홍차의 α-Glucosidase 저해활성은 가바홍차류가 α-Glucosidase 억제제로 알려진 acarbose 대비 93.83%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ACE 저해활성 및 AChE 저해활성 또한 가바홍차류에서 일반홍차보다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가바홍차에 다량 함유된 아미노산은 가바홍차의 향과 맛,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풋풋한 풀 향을 나타내는 향기화합물은 일반홍차에서 12.41%, 꽃 향과 과일 향을 나타내는 향기화합물은 가바홍차류에서 26.67∼27.51%로 높은 비중을 나타내었고, 특히 가바홍차류에는 심신 안정과 불면증 치료에 도움을 주는 향기 성분이 7.30∼7.88%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가바홍차의 기호도 검사에 의하면 전문가 집단에서는 40∼50대에서 GBT1 7.8±1.03, GBT2 7.7±1.2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60대는 비슷한 기호도를 나타내었고 20∼30대에서는 GBT1의 기호도가 높았다. 비전문가 집단의 GBT1은 20∼30대에서 6.4±1.17, 40∼50대, 60대로 갈수록 7.2±1.54, 7.9±1.37로 높게 나타났다. GBT2의 조사에서는 20∼30대에서 제일 높았으나 전 연령대에서는 비슷한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차 생엽에 소량 함유되어있는 기능성 물질인 가바함량을 증대시켜 가공한 가바홍차는 현대인들이 관심을 가지는 성인병과 만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생리활성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소비자들은 음료를 선택함에 있어 건강기능성에 대한 고려가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가바홍차 음료가 건강에 좋다는 소비자의 인식 및 접근성을 높인다면 고부가가치를 지닌 기능성 차 음료로 상품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대학생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송인숙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47

        현대사회의 많은 사람들은 서로 다른 생활모습으로 다른 가치관과 다른 생각을 가지고 살아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생의 궁극적인 목표는 ‘행복’을 추구하는 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전라북도지역의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가족건강성과 행복감 및 일반배경변인에 따른 가족건강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설문 조사하였다. 연구대상 대학생의 가족건강성을 일반배경변인인 성별, 연령, 가족형태, 아버지의 직업, 어머니의 직업, 부모의 결혼상태, 주관적 경제수준, 아버지의 종교, 어머니의 종교, 본인의 종교에 따라 조사하였고, 가족건강성의 하위변인은 가족원존중, 유대의식, 감사ㆍ애정, 긍정적 의사소통, 가치관ㆍ목표공유, 역할충실, 문제해결능력, 경제적 안정, 사회와의 유대 영역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배경변인에 따른 가족건강성을 살펴보면,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가족건강성을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건강성의 하위변인 중에서는 가족원존중, 유대의식, 감사ㆍ애정, 가치관ㆍ목표공유, 역할충실, 문제해결능력, 경제적 안정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긍정적 의사소통과 사회와의 유대에서는 남학생이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배경변인에 따른 행복감을 살펴보면,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나 남학생이 가족건강성도 높았고 행복감도 더 높게 나타났다. 연령, 가족형태, 아버지의 직업, 어머니의 직업, 부모의 결혼상태에 따른 행복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가족건강성과 행복감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 가족건강성이 높을수록 행복감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가족건강성이 행복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족건강성이 행복감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변인임을 의미하였다. 특히 가족건강성의 하위변인 중 가치관ㆍ목표공유, 사회와의 유대가 높을수록 행복감도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조사대상자를 전라북도지역의 4년제 대학생으로 한정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객관화하여 해석하기는 어렵다. 둘째, 가족건강성은 다양한 변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개인의 인성특성을 포함한 사회 심리적 변인, 가족생활 변인 등 다양한 변인을 포함한 심층적 연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Although many people in modern society are living with different lifestyle, thinking different priorities, their ultimate goal of lifetime is to pursue ‘happiness’. Hence, this research surveyed the happiness caused by family strength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with demographical variable on university students of Jeollabuk-do. In this research, we surveyed university student's family strength with general background factors; sex, age, family type, parents' job, marriage state of parent, subjective economy level, religion of oneself or parents. and its sub-factors are as follows; family respect, solidarity, gratitude․affection, positive communication, view of value․object-sharing, role-devotion, problem solving ability, economic stability, social solidarity. The result summarized with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looking into family strength with general background showed that male students perceive family strength more positively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In sub-factors,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amily respect, solidarity, gratitude, affection, view of value, object-sharing, role-devotion, problem-solving ability, and economic stability, however male students perceive positively in communication and social solidarity. Second, Happiness caused by general background value shows that male students get both family strength and the happiness more than those of female students. The happiness caused by age, family type, parents' occupation, parents' marriage relationship didn't shows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Third, As correlation between family strength and happines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in all area, meaning high scores in family strength come with high scores in the happiness. These results show that family strength is the key factor, showing positive correlation with 'happiness' statistically. In addition, especially with the sub-factors of family strength, view of value, object-sharing, and social solidarity score high, the happiness scores higher. Thus,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 for follow-up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nce the survey was confined by university students in Jeollabuk-do region, it is hard to understand the research results objectively. Second, family strength can be influenced by various values, so that future research needs to carry out in-depth research including various values like psycho-social value with personal quality, family life value and so 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