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탄력성 집단의 선택-최적화-보상 전략 유형 탐색

        이지희,박성륜,이채연,이지혜,엄정호,이상민 한국교육방법학회 2011 교육방법연구 Vol.23 No.4

        This study searched for the goal-selection-action strategies which could differentiate the four groups that Masten identified; resilient, unchallenged-competent, maladaptive, and vulnerable group. 335 undergraduates were assigned to the four groups. Discriminant analysis was conducted to distinguish the goal-selection- action strategies of these group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First, resilient students use optimization and compensation as action strategies, and rarely use selection based on loss. In contrast, maladaptive and vulnerable students use opposite action strategies. They use selection based on loss as an action-selection strategy and rarely use optimization or compensation. In the case of unchallenged-competent students, compensation operates as a discriminant function negatively correlated with other factors. The study findings confirmed that the goal-selection-action strategies separate the resilient group from the unchallenged-competent group.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approached resilien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goal-selection-action strategy. 본 연구는 탄력성 집단과 역경부재-유능성 집단, 부적응 집단, 취약성 집단을 구별하는 선택-최적화-보상 전략이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서울 소재 대학생 335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경험 정도, 대학생활 적응도, 선택-최적화-보상 전략(SOC)을 조사하였다. 스트레스 수준과 대학생활 적응 수준에 따라 Masten의 탄력성 모델 4개 집단(탄력성, 역경부재-유능성, 부적응, 취약성)으로 연구대상을 분류하고, 이들 4개 집단의 선택-최적화-보상 전략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기술적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탄력성 집단과 다른 세 집단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첫째, 탄력성 집단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최적화와 보상을 행동전략으로 사용하고, 상실에 기반한 선택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적응 집단과 취약성 집단은 탄력성 집단이 가진 특징의 반대의 양상을 보였다. 상실에 기반한 선택을 전략으로 사용하고, 최적화와 보상 전략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셋째, 역경부재-유능성 집단은 보상이 다른 변인들과 부적으로 상관을 보이는 판별함수로, 목표를 달성할 수 없을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다른 자원을 찾는 행동전략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발달이론을 바탕으로 하는 선택-최적화-보상 전략의 관점에서 탄력성을 연구했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 특히, 탄력성 집단이 역경부재-유능성 집단과 구분되는 선택-최적화-보상 전략을 지적했다는데 중요한 의의를 두고 있다.

      • KCI등재

        Connor-Davidson 탄력성 척도의 구인타당도 검증

        이지희,박성륜,엄정호,이지혜,이채연,윤재호,이상민 한국상담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4 No.3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In particular, authors tested if the model of Masten and Reed(2002) assuming two core properties of resilience (i.e., stress and adaptation) was supported by this scale. Stress, college adaptation, and resilience were measured among 260 undergraduate students in Seoul. Results of MANOVA showed that adaptation exhibited a significant main effect on CD-RISC subscales except spirituality. The interaction effects of stress and adaptation on resilience subscales were significant except the spirituality.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CD-RISC is a valid scale to measure resilience, known as adaptation in stressful situations. Further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implications of the spirituality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보고식 탄력성 척도인 CD-RISC가 스트레스와 적응을 동시에 반영하는 Masten과 Reed(2002)의 탄력성 모델을 지지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CD-RISC의 구인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서울 소재의 대학교에 다니는 대학생 260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 탄력성을 측정하였다. 독립변수인 스트레스와 적응을 Masten과 Reed의 모델에 따라 각각 고집단과 저집단으로 구분하고, 스트레스와 적응이 종속변수인 CD-RISC 하위요인에서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다변량 분산분석(M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스트레스는 유의미한 주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적응은 영성을 제외한 다른 모든 CD-RISC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한 주효과가 나타났다. 스트레스와 적응 수준에 따른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한 결과, 영성을 제외한 다른 모든 CD-RISC의 하위 변인들에 대한 유의미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는데, 이는 CD-RISC가 스트레스 상황 하에서의 적응력이라는 탄력성 구인을 잘 반영하는 타당한 척도임을 의미한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CD-RISC의 타당도와 영성 하위 척도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였고, 상담 실제에 있어서의 시사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사이버상담의 효과성 검증 : 단회 채팅상담을 중심으로

        양미진,유준호,박성륜,유혜란,김경화 한국교육치료학회 2016 교육치료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사이버상담의 한 형태인 채팅상담의 효과 검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사이버상담과 대면상담 경험이 없는 청소년 40명을 선발하여 채팅상담을 단회로 실시하는 실험집단에 20명, 무처치 통제집단에 20명을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단회로 채팅상담을 실시하였고 채팅상담성과척도(Chat Counseling Outcome Scale)와 자아존중감척도(Self-Esteem Scale)를 두 집단에 사전-사후로 진행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부정적 정서 해소’, ‘문제관련 정보 획득’, ‘행동 변화 의지’ 변인은 채팅상담 처치를 받은 집단과 무처치 통제집단 간 유의미한 효과 차이가 나타났다. 두 번째로, 자신 및 타인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세 번째로, 자아존중감은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 과제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online chat counseling. We selected 40 adolescent clients with no experience of both cyber and face-to-face counseling. Subjec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nd then participated in a pre-test and post-test of questionnaires including Chat Counseling Outcome Scale and Self-Esteem Scale. ANCOVA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resolving negative emotions’, ‘acquiring problem-related information’, and ‘willingness to change behavior’ facto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Second,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self and other'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Third, the level of ‘self-esteem scal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cating the group difference.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 also discussed for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researches.

      • KCI등재

        상담자 진로 결정 동기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이정화,이상민,박성륜,이지희 한국상담학회 2011 상담학연구 Vol.12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counselor career decision motivation scales for current counselors and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at graduate school. The counselor career decision motivation scales are based on four factors. These factors are: positive effects on counseling, interest in counseling, counselor's social reputation, and job flexibility. These scales consist of 15 questions. The results of the overall inner consistency reliability coefficient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have proved the evidence of the scales' reliability and validity. Correlation among WPI(Work Preference Inventory), CDMSES(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and CBI(Counselor Burnout Inventory) has turned out additional evidence of the counselor career decision motivation scales' concurrent validity. Thus, the newly developed counselor career decision motivation scales are proved to be valid and reliable and they may help counselors and school teacher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career decision. Also, the scales would be used to be a tool of self-awareness and self-monitoring for a counselor herself or himself. 본 연구에서는 상담자와 상담자가 되기 위해 대학원 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예비 상담자의 상담 진로 결정 동기 척도를 개발하고, 이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상담의 긍정적 영향력, 상담에 대한 관심, 인정받는 진로, 융통성이 있는 직업이라는 4개의 요인으로 구성된 척도가 개발되었으며, 모두 15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적합치도와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는 상담자 진로결정 동기척도의 타당성을 지지하였다. 또한 기존의 작업선호도검사(WPI), 진로결정자기효능감척도(CDMSES), 상담자소진척도(CBI)를 통해 공인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기대했던 방향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상담자 진로결정 동기척도는 타당한 것으로 보이며, 추후 상담자로의 진로 결정 동기 양상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상담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하는데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상담전문가로서 성장하는 과정 중에서 자기-자각 및 자기-점검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채팅상담 중심의 사이버상담 모형 개발

        양미진,유준호,박성륜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6 청소년상담연구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yber counseling model and evaluate its effects and practical operations. To develop the Cyber Counseling Model, verbal response analysis of chatting counseling, Delphi research, in-depth studies of the individual and group interviews for patients, and focus group interview for cyber counselor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model, 10 counselors were selected and assigned for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in which they received pre-education respectively. They also estimated the self-efficacy of conducting cyber counseling to assess the practical operation. 60 adolescents who are from middle school were consisted of 3 groups; experimental group, comparison group, and control group, and the researchers conducted and measured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Dispositional Hope Scale, and Session Evaluation Questionnaire. As a result, recognized that experimental group’s negative sentiment was decreased and positive sentiment was increased comparing to comparison group and control group. Also, experimental group was highly evaluated for their “Depth” which is that the group considers values of the Counseling experience through the chat counseling comparing to the comparison group. And recognized that the counselors who are from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and who completed the pre-training of the Cyber Counseling Model had higher self-esteem than who did not complete the training. Significance and implication of this particular research was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 채팅상담 모형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선행 연구, 기존 채팅사례 반응분석, 학계 및 현장전문가 대상의 델파이 조사, 사이버 상담 이용자 대상의 심층 면접, 사이버상담 현장 실무자 대상 포커스그룹 인터뷰 등을 통하 여 사이버 채팅상담 모형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모형 검증을 위해 모형에 대한 사전 교육을 받은 상담자를 실험집단에, 일반적 상담교육을 받은 상담자를 비교집단에 할당하여 내담자와 채팅상담을 진행하도록 하였으며 교육 사전, 사후로 상담자 활동 자기효능감을 측 정하여 본 모형이 상담자에게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였다. 또한 중학생 60명을 실험집단과 비 교집단, 통제집단에 무선할당하고 채팅상담 사전, 사후로 내담자의 정서변화, 상담을 통한 희 망의 변화와 상담회기 평가를 통해 채팅상담 모형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 이 비교집단과 통제집단에 비해 채팅상담 이후 부정적인 정서는 감소하였으며 긍정적인 정서 는 상승하였고, 희망 역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채팅상담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비 교집단의 상담 회기에 대한 평가를 살펴보았을 때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상담 경험에 대 해 가치 있음을 나타내는 ‘깊이’에서 더 높게 평가되었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상담자들이 사이버상담 모형에 대한 교육 이수 여부에 따라 사이버상담 수행에 대해서 자기효능감을 살 펴보았을 때 채팅상담 모형에 대한 교육을 받은 상담자들이 상담 활동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더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효과적인 사이버 채팅상담모형을 제시할 수 있었으며 마 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사이버상담 성과에 대한 개념도 연구

        양미진,유혜란,서선아,박성륜,김경화,유준호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5 청소년상담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사이버상담을 경험한 내담자들이 사이버상담 성과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사이버상담의 성과를 유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개념도(concept mapping)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사이버상담을 경험한 내담자들이 사이버상담 성과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하고 개념화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우선 실제 내담자 6명과의 심층면접과 2011년도부터 2014년도까지 작성된 사이버상담 후기를 통해 얻어진 자료에서 내담자들이 인식한 사이버상담의 성과문장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추출된 성과문장을 내담자가 직접 유사성에 따라 분류하게 하고, 다차원 분석과 군집분석을 거쳐 최종적인 상과항목을 도출하였다. 사이버상담의 성과는 크게 ‘인지-정서’차원과 ‘관계-개인’차원으로 분류되었으며, 세부 5개의 군집은 ‘정서변화’, ‘사고변화’, ‘문제 해결’, ‘내적자원강화’, ‘자기이해를 통한 효능감향상’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점을 제시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outcome of cyber counseling by analyzing how clients, who experienced cyber counselling, perceive the outcome of the counselling. We looked at how the clients, who experienced cyber counselling, perceive and perceptualize the outcome of cyber counseling by using concept mapping analyzing method. firstly, we extracted outcome sentences of cyber counselling which clients perceived, from in-depth interviews of 6 actual clients and the reference obtained through reviews of cyber counselling by clients from year 2011 to 2014. Then we let the clients to classify the extracted outcome sentences according to similarities themselves and drew the final outcome clause through scaling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The outcome of cyber counseling classified into 'perception-emotion' dimension and 'relationship-individual' dimension, and in detail shown in 5 groups as 'emotion change' 'cogitation change' 'problem solving' 'inner resource reinforcement' and 'efficacy increase through self-understanding'. lastly we proposed the significance and Suggested points for further research on such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