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교 교양체육수업참여자의 사회적 지지가 스포츠 가치관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남궁윤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effect on the social support of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participants on the sports values and class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it compared the difference of social support, sports values and class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background of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participants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sports values and class satisfaction of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participants in order to give a positive effect on sports values and class satisfaction of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participants. For this research, total 350 students composed of 200 students of A University and 150 students of B University in D-city in May 2014 among the participants in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were selected. The contents of investigation are the sociodemographic background, the social support, the sports values and the class satisfaction. For the collected data, it used the statistical program of SPSS WIN-18.0. As for the analysis method, to find the difference of social support, sports values and class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background,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were performed. And to find the effect of the social support of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participants on the sports values and class satisfac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Lastly, to find the effect of the sports values of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participants on the class satisfac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lso perform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support, sports values and class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gender of participants. And in all factors of emotional support, physical support, evaluative support, sports values and class satisfaction which have the significant difference, the male group had the higher values than female group in average. Mean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formational support of social support. But generally speaking, the male group had the higher values in the informational support. And according to the grade of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participants, the emotional support of social support and the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factors of class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ports values. As a result, the higher the grade of the group was, the higher the average of values was. Second, the social support of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participants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ports values and class satisfaction. An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sports valu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also the effect of the social support of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participants on class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orts values and the class satisfaction of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participants, 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ll factors generall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haracteristic value. Through this research, it is found that the social support of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participants has a positive effect on sports values and class satisfaction. Thus, the various and systematic social supports of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participants are needed, and the positive change of students by the sports values and class satisfaction through the participation in the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is expected. For this purpose, the subsequent studies should be tried with the qualitative researches. 본 연구는 대학교 교양체육수업 참여자의 사회적지지가 스포츠가치관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에 따라 대학교 교양체육수업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배경에 따른 사회적지지와 스포츠가치관 그리고 수업만족도의 차이가 어떠한지 비교 분석하였으며, 대학교 교양체육수업 참여자의 사회적지지가 스포츠가치관과 수업만족도의 관계를 규명하여 대학교 교양체육수업 참여자의 스포츠가치관과 수업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조사 대상은 2014년 4월 D광역시에 소재된 A대학교 200명, B대학교 150명으로 대학교 교양체육수업을 참여하는 학생으로 표집된 250명이다. 조사 내용은 인구사회학적 배경, 사회적지지, 스포츠가치관, 수업만족도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인구사회학적 배경에 따른 사회적지지, 스포츠가치관, 그리고 수업만족도의 차이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ANOVA)을 실시 하였다. 또한 대학교 교양체육수업 참여자의 사회적지지가 스포츠가치관과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대학교 교양체육수업 참여자의 스포츠가치관이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한 후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대학교 교양체육수업참여자의 성별에 따라 인식하는 사회적 지지, 스포츠 가치관 그리고 수업만족도에 대체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는 정서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와 스포츠 가치관 및 수업만족도의 모든 요인에서 여학생보다 남학생의 집단이 평균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회적 지지의 정보적 지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대체적으로 정보적 지지에서도 남학생 집단의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교 교양체육수업참여자의 학년에 따라 인식하는 사회적 지지, 스포츠 가치관 그리고 수업만족도에서는 사회적 지지 중 정서적 지지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수업만족도에서의 심리적 요인과 교육적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스포츠 가치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대체적으로 학년이 높은 집단일수록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교 교양체육수업 참여자의 사회적 지지가 스포츠 가치관 및 수업만족도의 관계에서는 모두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지지가 스포츠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대학교 교양체육수업 참여자의 사회적 지지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역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대학교 교양체육수업 참여자의 스포츠 가치관이 수업만족도에 관계를 살펴 본 바, 모든 요인에 대체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품성적 가치에서는 유의한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위의 연구결과를 통해 대학교 교양체육수업참여자의 사회적지지가 스포츠가치관 및 수업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다양하고 체계적인 대학교 교양수업참여자의 사회적지지가 필요하며, 대학교 교양체육수업 참여로 인한 스포츠가치관 및 수업만족으로 학생들의 긍정적인 변화를 기대하며 이에 따른 질적 연구를 병행한 후속 연구가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 The acquisition of English articles by Korean EFL learners : The influence of specificity on article choice

        남궁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특정성(specificity)이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의 관사 습득에 끼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영어의 관사는 한정성(definiteness)에 의해 정관사 the와 부정관사 a로 나뉜다. 그러나 모국어에 관사가 없는 영어 학습자들은 특정성의 영향으로 정관사와 부정관사를 서로 대체하여 사용하는 오류를 범한다. 즉, 학습자들은 정관사 the를 [+특정적], 부정관사 a를 [-특정적] 특성과 연관시켜 관사 대체 오류를 범하는 경향이 있다. Ionin, Ko와 Wexler(2004)에 따르면, 제 2언어 학습자들은 보편문법(Universal Grammar)에 완전 접근(full access)을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의미적 매개변수인 관사 선택 매개 변수(Article Choice Parameter)의 한정성 설정(setting)과 특정성 설정에 모두 접근할 수 있다. Ionin, Ko와 Wexler(2004)는 이러한 학습자들의 관사 선택 경향을 변동 가설(Fluctuation Hypothesis)이라고 칭했다. 변동 가설이란 제 2언어 학습자들이 충분한 학습을 통해 영어의 한정성 설정을 확립하기 전까지 한정성과 특정성의 자질 사이에서 변동 현상을 보이는 것을 일컫는다. 본 연구는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강제 선택 과제를 실시하여 변동 가설을 검증하고자 한다. Ionin, Ko와 Wexler(2004)는 한국인과 러시아인 영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학습자들의 변동 현상을 입증하였다. 그러나 한국인 학습자들의 경우 대부분이 고급 수준의 학습자들로 이루어져 있어 영어 능숙도 간의 차이를 보기가 어려웠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보완하기 위해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을 영어 능숙도에 따라 세 집단으로 나누어 변동 가설을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영어 학습자들이 부정관사 a보다 정관사 the를 더 정확하게 사용한다는 기존 연구들(예: Robertson 2000; White 2003; Lardiere 2004, 2007; Zdorenko & Paradis 2008; García-Mayo 2009)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실험에 참여한 피험자들도 이와 같은 양상을 보이는지 살펴본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은 [+한정적, -특정적] 문맥에서 부정관사 a를 남용하고 [-한정적, +특정적] 문맥에서 정관사 the를 남용하며, 영어 능숙도가 높아질수록 두 문맥에서 보다 올바른 관사 선택을 한다. 둘째,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은 [-한정적] 문맥에서 부정관사 a를 사용하는 것보다 [+한정적] 문맥에서 정관사 the를 사용할 때 더 높은 정확성을 보인다. 그리고 영어 능숙도가 높을수록 이러한 관사 사용의 정확도가 향상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로 구성된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강제 선택 과제를 실시하였다. 학습자들은 영어 능숙도 시험 점수에 따라 상하급, 중상급, 중하급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실험에서 사용한 강제 선택 과제는 네 개의 유형([+한정적, +특정적], [+한정적, -특정적], [-한정적, +특정적], [-한정적, -특정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위와 같은 실험을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은 [+한정적, -특정적] 문맥에서 a를 남용하고 [-한정적, +특정적] 문맥에서 the를 남용하였다. 즉, 실험 집단의 피험자들은 주로 특정성으로 부정관사와 정관사를 구분하였다. 뿐만 아니라 [+한정적, -특정적] 문맥과 [-한정적, +특정적] 문맥에서 상하급 학습자 집단과 중하급 학습자 집단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영어 능숙도에 따른 특정성의 영향에 대한 차이가 분명하게 나타남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은 정관사 the보다 부정관사 a를 더 올바르게 사용하였다. 이는 기존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와 상반된다. 상하급 학습자 집단은 원어민 집단과 같이 부정관사와 정관사의 사용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던 반면, 중상과 중하급 학습자들은 정관사와 부정관사의 사용에 대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중하급 학습자 집단과 상하급 학습자 집단이 the와 a를 사용하는 데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은 영어 능숙도가 높아짐에 따라 학습자들이 정관사와 부정관사를 더 올바르게 사용함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는 제 2언어 관사 습득에서 변동 가설과 관사 선택 매개변수의 유효성을 입증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영어 능숙도에 따라 나타난 분명한 결과 차이는 학습자가 언어 입력(input)이 많아짐에 따라 매개 변수 내에서 올바른 설정을 할 수 있게 된다는 변동 가설의 입장을 지지한다. 또한 정관사 the보다 부정관사 a를 더 잘 사용한 결과는 학습자들이 주어진 문맥에서 비한정성보다 한정성을 판단하는 데 더 어려움이 있음을 나타낸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influence of specificity on Korean EFL learners’ acquisition of English articles. English articles are determined by definiteness in the context. However, learners make substitution errors between the and a due to the influence of specificity. This study tests the Fluctuation Hypothesis (FH; Ionin et al. 2004) by investigating Korean EFL learners’ article substitution errors in a written forced-choice elicitation task. According to Ionin et al. (2004), the Article Choice Parameter (ACP), a parameter that governs article choice, has both the definiteness setting and the specificity setting. Learners who lack articles in their native language are expected to fluctuate between the two settings because they have full access to Universal Grammar. While Ionin et al. (2004) discussed the empirical evidence of fluctuation by Korean learners of English, a clear developmental pattern among the Korean participants was not revealed because of the overwhelming number of advanced learners. By dividing the Korean EFL learners into three different proficiency levels, the present study analyzes the developmental patterns in order to convincingly show that sufficient input will lead them to establish an appropriate setting, as predicted by the FH. Moreover, this study examines the directionality effect of English articles, which is the tendency to use the more accurately than a, as reported in previous empirical studies (e.g. Robertson 2000; White 2003; Lardiere 2004, 2007; Zdorenko & Paradis 2008; García-Mayo 2009). The examination of the directionality of articles provides a perspective towards L2 article acquisition based on definiteness and indefiniteness. The research hypothese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Korean EFL learners overuse a in [+definite, -specific] contexts and overuse the in [-definite, +specific] contexts and learners are expected to be more accurate as proficiency level increases. Second, Korean EFL learners are more accurate in using the in definite contexts than using a in indefinite contexts and learners are expected to be more accurate as proficiency level increases. In order to test the aforementioned hypotheses,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Korean adult learners of English by conducting a forced-choice elicitation task. Learners were divided into three proficiency groups (lower-advanced, upper-intermediate, and lower-intermediate groups) based on their scores on a proficiency test. The test materials in the present study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i) [+definite, +specific], (ii) [+definite, -specific], (iii) [-definite, +specific], and (iv) [-definite, -specific].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Korean EFL learners overused a in the [+definite, -specific] types and overused the in the [-definite, +specific] types. Learners differentiated between specific and non-specific noun phrases for both definites and indefinites. Moreover, learners in the lower-advanced level of English used target articles with less influence of specificity in the [+definite, -specific] type and the [-definite, +specific] type than learners in the lower-intermediate level. Second, Korean EFL leaners were more accurate in using the indefinite article a than the definite article the. This was an opposite result to the directionality of articles reported in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proficiency level had influence on learners’ accurate use of both the in definite contexts and a in indefinite contexts. These results provide evidence for the validity of the FH and the ACP. The developmental patterns observed in this study further support the FH, showing that learners can set the appropriate setting (i.e. definiteness) with more input. Furthermore, results of more accurate a than the suggest that definiteness may be more difficult to determine than indefiniteness for learners.

      • 만화를 활용한 미용실 상담서비스 도구 개발

        남궁윤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Korean beauty service industry entered an era of fierce competition, price competition between companies was heated and awareness about customer income and beauty was changed so that customers could not only enjoy beauty technology but also improve their competitiveness and quality of beauty service. Therefore, to provide differentiated services, the study developed the 'Ballery Room Care Service Tool Using Cartoons' based on the consultation questions of the preceding materials used in beauty salons. In addition, the effectiveness of the tools developed through awareness surveys of beauty shop users' tools was verified. To verify the validity of measurement tools, we conducted a general analysis of factors, calculated a Cronbach's α coefficients, and cartooning characteristics of the beauty room counseling tool using comics, etc.A response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see if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artoon-based beauty salon counseling service tool reflected cartoon characteristics and could also perform its role as a communication tool. Consumers have recognized comics as the most intriguing tool, making it easier to access beauty care tools that use them. In addition, the analysis of differences in general beauty salaried tools and the awareness of beauty salaried tools using comics indicates image diagnosis accuracy, information serviceability, and satisfaction of beauty salaried rooms. In line with the growing service industry of Korea, the beauty parlor counseling service tool will play an important role as a marketing tool to attract customers and loyal customers by providing differentiated services in the beauty sector. Although this research has developed an integrated consultation process for all treatments, further research suggests that more positive and effective tool development will be possible if the treatments are developed subdivided into cut, color, scalp and pump. It is also believed that it will be more effective to popularize the next study to develop a counseling service tool using cartoons through an app development program. 우리나라의 미용서비스 산업은 치열한 경쟁의 시대로 진입하면서 업체들 간의 가격경쟁이 가열되고, 고객소득향상과 미용에 관한 의식이 변화됨에 발맞춰 미용기술력뿐만 아니라 고객중심의 미용서비스품질 향상을 통해 고객의 재방문의도와 만족도를 높여야 경쟁사회에서 살아남을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미용실에서 사용되는 선행 자료의 상담 문항들을 기초로 하여 ‘만화를 활용한 미용실 상담 서비스 도구’를 개발하였다. 또한 미용실 이용소비자의 도구에 대한 인식 조사를 통해 개발한 도구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측정도구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으며 만화에 대한 인식, 만화를 활용한 미용실 상담도구의 만화적인 특성, 만화를 활용한 미용실 상담도구의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의 역할, 일반 미용실 상담도구 인식, 만화를 활용한 미용실 상담도구 인식에 대해 알아보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정 방법으로는 Duncan test를 실시하였고 일반 미용실 상담도구 인식과 만화를 활용한 미용실 상담도구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만화를 활용한 미용실 상담 서비스 도구는 만화적인 특성을 잘 반영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의 역할도 잘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은 만화를 호기심을 자극하는 도구로 가장 많이 인식하여 만화를 활용한 미용실 상담도구에 대한 접근성을 용이하게 하였다. 또한 일반 미용실 상담도구와 만화를 활용한 미용실 상담도구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는 만화를 활용한 미용실 상담도구가 하위요인별 이미지진단정확성, 모발진단정확성, 정보제공성, 만족성에 대해 통계적으로 전부 일반 미용실 상담도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만화를 활용한 미용실 상담도구가 보다 효과적인 미용실 상담결과를 조성하고,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현재 점점 더 발전해 나가는 대한민국 서비스산업에 발맞춰 미용분야에서도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다양하고 높아진 고객의 요구에 부흥하여 고객만족과 충성고객을 유치하기 위한 마케팅 도구로 만화를 이용한 미용실 상담서비스 도구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모든 시술을 통합적으로 상담할 수 있는 내용을 개발하였지만 향후 연구에서는 시술 별로 커트, 컬러, 두피, 펌 등으로 세분화하여 개발한다면 보다 더 긍정적이고, 효과적인 도구 개발이 되리라 사료된다. 또한 실제로 앱 개발 프로그램을 통해 만화를 활용한 상담서비스 도구를 앱으로 개발하는 후속연구를 진행한다면 대중화시키기에 더 효과적일 것이라 사료된다.

      • 정신분열병 환자의 조직화 전략 장애가 시각기억 장애에 미치는 영향

        남궁윤 성신여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정신분열병 환자의 시각 기억 장애와 조직화 전략이 시각 기억 장애에 미치는 효과를 Rey-Osterrieth Complex Figure Test(RCFT)의 질적 분석을 사용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사회복귀 시설에 거주중인 정신분열병 환자 20명과 정상인 20명 이었다. 이들에게 Rey-Osterrieth Complex Figure Test(RCFT)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Boston Qualitative Scoring System(BQSS)을 이용하여 질적 분석하였다. BQSS는 RCFT 도형의 구성 요소를 형태(configural element), 군집(cluster)과 세부(detail)의 세 요소로 나누며, 이를 다시 존재(presence), 정확도(accuracy) 및 배치(placement)로 세분화하며, 여기에 분열(fragmentation)이 첨부된다. 따라서 BQSS 는 17개의 질적 점수를 제공하고, 이에 덧붙여서 17개 질적 점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6개의 요약 점수를 제공한다. 그 결과, 정신분열병 환자군이 정상 통제군에 비하여 모사 단계의fragmentation, 즉각적 회상의 configural presence, 지연 회상의 configural presence, cluster presence, cluster placement, detail placement, planning, neatness에서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보였으며, 이는 정신분열병 환자가 시각 기억의 장애를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6개의 요약 점수의 경우, 정신분열병 환자군이 정상통제군에 비하여 즉각적 회상 단계에서의 존재/정확도(immediate presence and accuracy), 즉각적 회상 단계의 파지 (immediate retention)와 조직화(organization)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다. 이 결과는 정신분열병 환자군에서 관찰되는 시각 기억의 장애가 정보의 파지보다는 부호화 단계에서의 장애, 즉 조직화 전략의 결함 때문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이에 덧붙여서 매개효과 분석 결과는 정신분열병 환자의 시각 기억 장애가 부호화 단계 동안 사용된 조직화 전략의 결함에 의해 일부 매개되었음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examined visual memory, and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strategy on the visual memory in schizophrenic patients using Rey-Osterrieth Complex Figure Test (RCFT). Twenty schizophrenic patients residing in the mental health care center and twenty normal contro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qualitative analysis of RCFT was performed by The Boston Qualitative Scoring System (BQSS). In BQSS, RCFT is divided into 3 elements, configural, cluster and detail, and these elements are further divided into presence, accuracy and placement. The fragmentation is also included in BQSS. Therefore BQSS provides 17 qualitative scores, and 6 summary scores, which are calculated by the combinations of 17 qualitative scor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chizophrenic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scores on fragmentation in the copy condition, configural presence in the immediate recall condition, and configural presence/ cluster presence/ cluster placement/ detail placement/ planning/ neatness in the delayed recall condi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chizophrenic patients have an impairment of visual memory. In terms of summary scores, schizophrenic patients showed significantly lower scores on immediate presence/ accuracy, immediate retention and organization compared to the normal controls. The results indicate that verbal memory impairment observed in schizophrenic patients seems to be related to the organizational deficit in the encoding stage rather than retention or retrieval of information. Furthermore,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verbal memory impairment in schizophrenic patients is partially mediated by the organizational deficit employed by these patients in the encoding stage.

      • 교육정책에 대한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의 정파간 의견 차이

        남궁윤 동국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thesis analyzes differences of factions, based on the "Korean Teachers & Education Worker's Union (KTU)", legalized in July, 1999 and 'Jeonkyohyup', illegalized group after foundation in 1985. Substantially, faction groups in a 'KTU' rolled as like the core motive after legalization, but a discussion about these factions have been restricted. Thus their assertion can be distorted and separated from their organization, because of their covertness and secrecy. For the mean time, factions have been excluded from the argument because they have been refered as a origin of the cause when the KTU has been in a hard times. And one of the potential reason is the feud among the factions-especially, between the winners and the losers after election. A chairperson and the manager of the branch office of the KTU is eleted. It is indispensible to fight among the factions during the election period because of the winning. It gives salience to the reverse function for the organization despite of the critical or proper function. Unlike the revers function, the factions in a KTU is taking a core role in the organization over the person networking or the factional group category. It is proven by the last chairperson election and the representative committee composition. And one of the most role of the factions is the policy proposal and the responsibility for KTU instead of the ordinary members. None the less, the seventh curriculum fighting which is the core business of the second executives, 'NEIS' fighting in the third executives and recently a teacher evaluation systems in the fourth executives' fighting were treated different handling by members of the diversed factions. Because factions' opinion are diversed, it caused a inner cabinet crisis. That makes keen friction among the factions. Becase of the friction, we are loudly attacked by the citizens' group in favor of our organization. It is responsible for the executives and the men of action who are involved in a certain factions.(Jeongjinsang, 2006) Therefore, the members who are in the factions and their ideologies will be beneficial for the organizational democracy and broadness of the choice of the ordinary KTU members. I have observed, surveyed, analyzed some faction groups that composed of the members in union through newspapers, their mooks, seminars, and representative committee records. Generally speaking, it is appeared that ideological concept among the faction groups pursuit their aspect as an agreement with their election policies and tactics. So to speak about these character, it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important standards in their own faction policies and tactics. Second, all the factions are agreed with negative attitude about the government policies in spite of their factional differences. Third, they commonly recognized some faults exist in the whole representative assembly meeting in spite of their factional different views. Fourth, even though they agree with the factional hegemony hold their system, they try to enforce their factions' roles in their system more and more. Recently, these competitions among factions are sensible or get much more deepening and most of the Union members are demanded responsibility to the faction groups to recover the system healthy. Because they think that factions only have attention to their interests than the union's. To revise agreement or to improve representation construction can enforce their system. The other side, there is another way that system plan to make a public opinion space to share their faction groups' opinions to revitalize for their system, And the KTU members can be participated in public space to share their idea actively. In conclusion, in order to put union members into the position of practical manager of the Union and activate the faction to embody union democracy, first of all, the Union should try to make education programs for its members and develope a new leadership for the communication among its members, especially active members and opinion groups' members should reflect and have a fellowship themselves for making their group activities healthy in itself. Next, Representative system should be reformed by an union agreement again.

      • 온라인 쇼핑공간에서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브랜드 신뢰 요인 : 제품 정보를 중심으로

        남궁윤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해 온라인 쇼핑몰은 급속도로 발전하였고 온라인 쇼핑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쇼핑을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오프라인 매장과는 다르게 온라인 쇼핑공간에서는 공급자가 제공하는 제품의 이미지, 문자 정보만을 보고 제품을 판단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런 특징 때문에 온라인 쇼핑몰에서 브랜드 신뢰도는 중요하게 여겨진다. 따라서 본 연구 논문의 목적은 온라인 몰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쇼핑공간에서 구매 의사 결정 과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는 제품 상세 정보 유형이 브랜드 신뢰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고, 온라인상에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만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문헌조사를 토대로 연구모형을 구축하고, 총 6개의 가설을 설정하여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연령대는 20대부터 40대까지, 남녀를 대상으로 총 199부의 유효한 표본을 얻었으며, SPSS 21.0 과 AMOS 21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먼저, 설문 응답자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고, 변수들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을 분석하기 위해 SPSS 21.0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 구성개념의 측정항목들의 개념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AMOS 21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측정모델의 적합도 측정을 통해 연구 모형의 적합도를 측정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경로분석을 통한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온라인 제품 상세정보 페이지에서 제품 소개 이미지를 나열하여 형성된 이미지의 크기 및 길이가 길수록 브랜드 신뢰도가 긍정적으로 형성되며, 소비자에게 제품의 전, 후, 측면 사진과 재질을 확인할 수 있는 확대이미지, 제품의 치수를 확인할 수 있는 이미지, 모델을 활용한 착용 이미지, 동영상을 활용한 제품 제시방법 또한 브랜드 신뢰도를 높인다. 온라인 제품 상세정보 페이지 내에 있는 문자정보 중 본질이 바뀌지 않는 단서 즉, 재질, 무게, 크기 정보와 비본질적 단서 즉, 제조사, 가격, 포장, 배송방법, 관리방법, 교환 및 반품 정보, 제조국, 제품 설명 역시 브랜드 신뢰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온라인 제품 상세정보 페이지에서 소비자가 보고자 하는 상품과 관련된 다른 상품의 이미지들은 브랜드 신뢰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 확인한 브랜드 신뢰도는 구매하고자 하는 의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advent of internet and smart phones developed online shopping mall rapidly. The advantage of online shopping is that anyone can enjoy their shopping anywhere, anytime. However, unlike offline store, customer should make a decision only by seeing products image and literature information which are provided from supplier. Because of these features, brand credibility is very important factor in online shopping mall. Thu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offering information when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y in online through analyzing product detail information which affects to the brand credibility and analyzing purchase intention which is affected by brand credibility. The results suggest that product overall information image size and length has impact on brand credibility. Also, product's entire side image, zoom image, size information image, model wearing image and video material have impact on brand credibility. The result also indicates that all literature information included fundamental and not fundamental clues have impact on brand credibility. On the contrary, related products images do not have critical impact on brand credibility. Additionally, in this paper the result shows that brand credibility have strong impact on purchase intention.

      • 『天倪錄』과 『東稗洛誦』의 비교 연구 : 초기 야담의 서사화 방식에 주목하여

        남궁윤 동국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sets 󰡔Cheonyerok(天倪錄)󰡕 and 󰡔Dongpaeraksong(東稗洛誦)󰡕 as early unofficial historic stories and reviews them with an emphasis on their narrative methods. 󰡔Cheonyerok󰡕 and 󰡔Dongpaeraksong󰡕 fall in the category of a collection that constitutes the root of unofficial historic stories. 󰡔Cheonyerok󰡕 in many ways preempted the typical features of the formation process of unofficial historic stories and became an undisputed key work in the discussion of unofficial historic stories. In the case of 󰡔Dongpaeraksong󰡕, which appeared soon after the emergence of 󰡔Cheonyerok󰡕 it takes a typical narration format in short stories in Chinese literature. To date, while individual studies of 󰡔Cheonyerok󰡕 and 󰡔Dongpaeraksong󰡕 have made some progress, they were discussed in separate directions. It is also true that such an approach has made it difficult to carry out studies on early unofficial historic stories. There is no doubt that 󰡔Cheonyerok󰡕 and 󰡔Dongpaeraksong󰡕 are critical collections in discussing early unofficial historic stories. Thus, I looked at both of them together in terms of narrative methods and investigated problemsby analyzing actual works. This allowed me to see that the study of narrative method of the two collections led the later unofficial historic stories. Furthermore it enabled me to find important clues for the narrative method of unofficial historic stories. Using this approach to the problem, I focused on the narrative method of the two collections of unofficial historic stories to recognize the formation of narration of 󰡔Cheonyerok󰡕 and 󰡔Dongpaeraksong󰡕 from two points: first, while they shared the same formative background, or oral narration, they had clear differences in the way to develop narration. And it elucidated the presence and characteristics of 󰡔Cheonyerok󰡕 and 󰡔Dongpaeraksong󰡕 ; second, the narrative method of 󰡔Cheonyerok󰡕 and 󰡔Dongpaeraksong󰡕 were closely related in the ways they are expressed in factual and fictional stories. Common subjects used in the two collections either proved the surreal elements of thestories or connected the reality and imaginary. In addition, figures in the two collections tended to take shape in a direction to promote surreal factors or strengthen reality. Thus, figures in 󰡔Cheonyerok󰡕 took the form of the former's narration method while figures in 󰡔Dongpaeraksong󰡕 were formed in the latter method. In other words, narrative tools extracted from 󰡔Cheonyerok󰡕 and 󰡔Dongpaeraksong󰡕 and the features of figures within the two delineated the narrative method of early unofficial historic stories The narrative method of early unofficial historic stories is universal and at the same time differentiated. In this contradiction, they served as a driving factor for unofficial historic stories in later periods. I did not draw a clear distinction in analyzing the two collections. Because I gathered that as there is no absolute standard and view to see unofficial historic story literature. Though it is not to say that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exact direction I originally pursued, I tried to materialize key discussions on narrative methods of early unofficial historic stories through this thesis. Thus, I expect that this study of early unofficial historic stories will contribute to suggesting a new research method of individual unofficial stories and to establishing a juncture between the early unofficial historic stories and later counterparts.

      • 『청구야담』의 轉載과정과 編制양상 연구

        남궁윤 동국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청구야담』의 작품 전체를 대상으로 전대 이야기와의 전재관계와 양상을 고찰하여, 작품집의 구축과정과 체제를 살폈다. 19세기 야담은 크게 19세기 초·중반의 야담과 후반의 야담으로 나뉜다. 전자는 전대 야담의 창작적 흐름을 이어 받았지만, 후자는 이미 저술된 이야기를 다시 모아 집대성한 경향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청구야담』의 찬술시기를 재검토하여 1830∼1834년으로 잠정하였다. 그런데 『청구야담』은 19세기 전반과 후반 사이에 자리하면서도, 이 시기 야담집과 다른 독자적 성격을 지닌다. 『청구야담』의 다음과 같은 성격이 이러한 사실을 증명한다. 첫째, 『청구야담』은 이미 저술된 전대 이야기를 모아 찬술한 야담집이다. 이것은 『청구야담』과 전대 13종의 야담집, 16종의 문집 및 잡록류, 그리고 구연 전통을 잇는 이야기와의 전승관계를 살핀 결과이다. 『청구야담』과 전승관계를 확인한 이야기는 총 191화 가량으로, 전대 야담집과 전승·전재관계가 있는 작품은 172화, 문집과 잡록류와 전승·전재관계가 있는 것이 29화 가량이다. 그리고 구연적 경향이 있는 민담류 유형과 당대 경험을 수록한 작품은 십 여편 이상인 것으로 파악하였다. 결과적으로 『청구야담』은 총 290화의 작품 중 2/3이상을 이미 있는 이야기를 전재한 것이라는 점에서 그 성격 또한 전대 이야기를 모은 찬집으로 일변된다. 한편, 『청구야담』의 찬자가 전대 이야기를 모으더라도, 시대별, 야담집별로 일정한 작품 유형과 패턴이 있다는 점도 논의를 통해 주지하였다. 둘째, 『청구야담』은 적층된 이야기를 전재의 방식으로 구축한 야담 총집이다. 『청구야담』의 작품은 오랜 시간 구전과 기록이 반복되다 서사물로 정착된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 또한 『청구야담』에 전재되기 이전의 문헌들에 이미 서사화된 형태로 존재했던 것이다. 이는 동일 화소의 이야기라고 해도 각 문헌에 정착되었을 때, 전체 작품집의 속성 안에서 혹은 개별 작품의 또 다른 형태로서 의미를 갖는다는 뜻이다. 이런 점에서 『청구야담』의 전재양상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청구야담』은 전대 이야기의 전재로 이루어진 작품이더라도, 전재된 면모와 양상이 작품마다 제각각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그 작품 선택의 경로와 전재양상에 따라 해당 작품은 전대 이야기와 변별되었다. 『청구야담』의 전재양상은 크게, 전대야담집 소재 작품의 전재, 복수의 문헌에 실린 작품의 전재, 구연되던 이야기의 전재로, 각각의 양상이 다른 형태와 특징을 지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그대로 수록하거나, 일부 변개를 가하거나, 오랜 구연과 기록의 반복적 과정을 거친 이야기를 수록하거나, 구연전승 되는 이야기를 수록하거나 하는 방식이었다. 셋째, 『청구야담』은 전재할 이야기를 서사성이 고양되는 방향으로 조직하고 배치하였다. 『청구야담』은 성격이 다른 문헌, 다른 시대, 다른 인물 이야기간의 조합이라도 개별작품을 일관성있게 다듬어 수용했다. 때문에 단일 작품집으로 통합적 체제를 유지할 수 있었다. 이는 전재와 구성에서의 일관성으로 이야기의 사실 증명을 중요하게 여기지 않았고, 흥미성이 담보된 이야기는 그대로 가져 왔으며, 서사의 초점이 불분명한 이야기는 추가, 탈락 등의 방식으로 전대 작품을 조직하고 배치하였기에 가능했다. 요컨대, 『청구야담』은 전대 작품을 전재하며 정연하게 편제한 야담의 통합적 결과물로 구축된 작품집이었다. 그런데 『청구야담』에는 이러한 전재와 편제방식이 적용되지 않는 이야기가 있다. 바로 효, 충, 열을 다룬 작품이다. 이를 주제로 한 『청구야담』의 작품은 상당히 긴 분량의 평을 전혀 탈락시키지 않고 그대로 전재한 경향이 있었다. 『청구야담』은 비록 서사성을 제고한 형식의 편제를 취했지만, 당대 이념의 중요한 국면을 담은 이야기는 그대로 수용하고자 했던 것이다. 이처럼 『청구야담』의 전재방식과 구성체제는 어떤 종류의 작품집을 가져오더라도 일관되게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청구야담』의 문학적 성취를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준거가 된다. 이상의 본 연구는 『청구야담』의 그간 연구적 평가를 재고하고, 전재된 작품의 내적 의미 부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줄 것으로 여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