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周易》的生命精神與生態價値觀 -“可持續發展(sustainable development)”的世界

        김연재 한국중국학회 2013 國際中國學硏究 Vol.16 No.-

        本文主要是從生態界的脈絡上조到《周易》世界觀中所蘊涵的生命共同體意識。《周易》中貫注的思路就是生命精神的本領和所在。所謂生命精神基于人對整個自然界的認識,是追求整個作爲生命共同體的世界村。타集中貫注一切生命自然進行持續的流行,卽一個所有生命體生成、運動和變化的過程。其總體的特征就是一個“可持續發展”的自然生態的模式,這構成整個卽發散又收斂的結構,表現爲一個以時空間爲本領的宇宙。生命精神作爲了解萬物的存在和價値的核心,是生命體意識的精髓。타是從天地的構架上發現的。天地作爲一切生命體的發源處,標志著生命體生成和變化的構圖,其構圖中有生命發揮的方式。可以說,《周易》的生態價値觀以宇宙的模式爲基層,以自然的現象爲實質,以乾坤的卦象爲標志。具體地說,生命精神,就宇宙模式來說,發揮爲時空間性的結構;就自然現象來說,呈現爲生態性的關系;就乾坤卦象來說,表現爲全一性的方式。而且,宇宙具有一種生命力,是由時間的流動性和空間的占有性而發揮的。從生命精神來看,萬物之間的對立、緊張、沖突都是達到更高層次和諧的“可持續性”的方式,可以說,這裏卽有生命的實在性,又有實在的生命性。《周易》的世界觀以自然生態界的循環過程爲內容,從中集中照明生命性的原理,本質上蘊涵著眞正的人間觀,卽作爲實在的人和作爲人的實在。這卽是“生命共同體的善”的所在,又是所謂“可持續發展(sustainable development)”的世界。《周易》的生命精神與生態價値觀 -“可持續發展(sustainable development)”的世界金演宰203生命精神,生命共同體的善,可持續發展,生態價値,天地,乾坤,時空間 的結構,變而通,通而變本文主要是從生態界的脈絡上조到《周易》世界觀中所蘊涵的生命共同體意識。《周易》中貫注的思路就是生命精神的本領和所在。所謂生命精神基于人對整個自然界的認識,是追求整個作爲生命共同體的世界村。타集中貫注一切生命自然進行持續的流行,卽一個所有生命體生成、運動和變化的過程。其總體的特征就是一個“可持續發展”的自然生態的模式,這構成整個卽發散又收斂的結構,表現爲一個以時空間爲本領的宇宙。生命精神作爲了解萬物的存在和價値的核心,是生命體意識的精髓。타是從天地的構架上發現的。天地作爲一切生命體的發源處,標志著生命體生成和變化的構圖,其構圖中有生命發揮的方式。可以說,《周易》的生態價値觀以宇宙的模式爲基層,以自然的現象爲實質,以乾坤的卦象爲標志。具體地說,生命精神,就宇宙模式來說,發揮爲時空間性的結構;就自然現象來說,呈現爲生態性的關系;就乾坤卦象來說,表現爲全一性的方式。而且,宇宙具有一種生命力,是由時間的流動性和空間的占有性而發揮的。從生命精神來看,萬物之間的對立、緊張、沖突都是達到更高層次和諧的“可持續性”的方式,可以說,這裏卽有生命的實在性,又有實在的生命性。《周易》的世界觀以自然生態界的循環過程爲內容,從中集中照明生命性的原理,本質上蘊涵著眞正的人間觀,卽作爲實在的人和作爲人的實在。這卽是“生命共同體的善”的所在,又是所謂“可持續發展(sustainable development)”的世界。

      • KCI등재

        類比的 思惟에서 본 龍의 문화적 原型과 그 정신적 기질 - 混種과 創新의 變奏에 착안하여

        김연재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6 민족문화논총 Vol.64 No.-

        The essay starts from a topic of how we can understand the cultural archetype of East-asian area and its spiritual ethos. To explicate the cultural archetype of East-asian area and its spiritual ethos is focused upon explaining the character and culture of dragon. It is closely associated with a kind of media philosophy concerning a variation of hybrid and creativity to be unified into a totality of culture. The object of issue is the icon-allegory of changes and its allegorical mechanism which is based upon physical forms of dragon and its categorization. Its vitality depends upon making an imagery of social notion and symbolizing a common recognition of culture according to the thinking way of icon-analogy, which has a historical process of being beyond a totem of primitive society. From the viewpoint of icon-allegory, the total culture of dragon has the way of representing or expressing the cultural archetype of East-asian area and its spiritual ethos through media of image. It plays a role as a container of East-asian world-view and its methodology of understanding. Consequent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inking way of icon-allegory, the essay is a trial to search for understanding a creativity of synthesis and a synthesis of creativity in the cultural archetype of dragon and its spiritual ethos. 본고에서는 중국의 문화 전체와 그 정신적 세계를 이해하는 일환으로서 龍의 문화적 원형과 그 정신적 기질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그 속에서 서로 다른 종류가 결합하여 새로운 모습으로 창조되는 일련의 통합적 방식, 즉 混種과 創新의 變奏가 어떻게 발휘되고 있는지를 주목할 것이다. 이는 용의 원형의 기원을 추적하여 그 사실적 관계를 확인할 뿐만 아니라 용의 具象性을 통해 抽象化되고 또한 용의 抽象性을 통해 具象化되는 일련의 순환적 과정의 과정에서 용의 문화를 올바로 이해하고 결국에 그 정신적 기질의 가치도 모색하는 것이다. 용의 원형과 그 문화의 생명력은 類比的 思惟를 기반으로 하여 사회적 관념을 형상화하고 문화의 공동체적 인식을 상징화한 것에 있다. 여기에서는 현실적인 세계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보편적인 원리를 담보하고, 더 나아가 복잡한 문화의 현상을 파악하는 과정에서 정당한 삶의 방식을 확보하려는 취지가 있다. 용의 문화는 시대의 흐름 속에서 혼종과 창신의 변주를 통해 끊임없이 승화되고 창조되고 갱신되고 재발견되는 共時性과 通時性의 일련의 과정의 결과인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용의 문화적 원형과 그 정신적 기질은 사회적 이념과 시대적 정신의 ‘창조적 종합’이자 ‘종합적 창조’라고 말할 수 있다.

      • KCI등재

        漢代 卦氣論의 易學的 성격과 그 세계관 ─ 科學的 信念의 본령을 중심으로 ─

        김연재 한국유교학회 2014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

        The essay is focused upon explicating a variation of science and belief implied in the doctrine of Guo-qi. It is expressed as scientification of belief and believation of science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ization of changeology. The appearance of Guo-qi doctrine is to reflect the consciousness of human society with the development of astronomical calendar. Guo-qi doctrine is to theorize the subdivisions of the seasons through the increasing and decreasing of yin and yang in Commentaries on the Book of Changes. It is the result of closely associating a historical view of human development with the art of number. It established a theoretical basis for the doctrine of Great Nature calamity according to a mutual response of the heavenly and the humane, and connected it with the government of virtuous ruler or the destiny of country. It is an issue of belief as the subjective ability of human beings. In the negative respect, human ability and a historical development result in a time of destiny, while, in the positive respect, they result in having an effort to ascertain human lives and its law of rational management. Thus, it is consequent that it has a necessary relationship of human belief and scientific thought, although it has a mystical aspect of superstition. 본고에서는『주역』의 현대화의 맥락에서 괘기론에 반영된 과학과 신념의 變奏, 즉 ‘과학의 신념화’와 ‘신념의 과학화’를 논하고자 한다. 괘기론은 한대의 상수역학의 특징 중의 하나로서, 陰陽消息說을 근거로 하여 천문과 지리의 법칙이나 원리를 해석한 것이다. 그것은 『역전』의 消息盈虛說로써 曆法의 節氣를 이론화한 것으로서, 陰陽消息의 방식, 天人感應의 원리, 四正卦, 12辟卦, 六日七分法 등으로 구성된다. 특히 주목할만한 점은 그것이 曆法의 발달과 함께 인간사회의 의식을 반영하고 數術의 문제를 사회발전의 歷史觀과 결합한 것이다. 즉 天人感應의 방식에 입각하여 자연의 재이설의 이론적 토대를 세우고 이를 군주의 통치나 국가의 운명과 같은 인간의 흥망성쇠와 연관시켰다. 이는 소극적인 측면에서는 인간의 능력이나 역사적 발전을 운명의 시간으로 돌려놓는 경향이 있는 반면에, 적극적인 측면에서는 인간의 실제적인 삶과 그 운영의 법칙을 확보하려는 시도인 것이다. 이 때문에 괘기론은 신비주의적인 미신의 측면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신념과 과학과의 필연적 연관성을 기본으로 한다.

      • KCI등재

        댄스 필름에서 안무 과정의 확장성 탐색 -국제 댄스 필름 페스티벌 관계자 인터뷰를 중심으로-

        김연재,최예진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21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7 No.2

        The exploration of new ways of art expression methods has been increasing due to the convergence of various genres and media. In this context, dance film also has grow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ly through the medium convergence of dance and film. This research explores the expanding possibilities in the field of dance film by interviewing judges from international dance film festival and dance film director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horeographic expansion in the field of dance film can happen through dance film creative process and composition of the location. First, the choreography should consider for the camera and dance film can expand the choreographic methods/expression through shooting and post-production. Second, dance film is emphasized on the expansion of space by selecting the contextual space which can visually show the message of the film. In addition, the dance film creates new images and meanings according to the camera’s perspective on the movement in the contextual location. Therefore, it is helpful to emphasis on the choreographer’s artistic intention and bring audience attention through the camera angl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discussing the expansion of the choreographic process by interviewing the judges and dance film director of the international dance film festival. Currently, there is a lack of an academic and educational system for the process of dance film. Dance is not irrelevant to the current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cademic systems and research related to dance film. It is meaningful to study the dance film production process and how to use dance film in the dance education as follow-up research. 현재 다양한 장르와 매체가 융합되면서 새로운 표현 방식들에 대한 탐구가 높아지는 현실에서 댄스필름은 양적, 질적으로 많은 성장을 이뤄왔다. 본 연구는 국제 댄스필름 페스티벌의 심사위원과 댄스필름 감독 인터뷰를 통해 기존 무대 공연을 위한 안무과정과는 다르게 댄스 필름에서의 안무 과정 확장성에 대해 탐색해보고자 한다. 연구 결과는 크게 두 가지로 나타났으며, 창작 과정에서의 확장과 장소 구성의 확장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첫째, 창작 과정에서의 확장은 카메라를 고려한 안무가 구성되어야 하며, 촬영과 후반 작업을 통해 안무 표현 방식을 확장 시킬 수 있다. 둘째, 장소 구성에서의 확장은 작품의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잘 담아낼 수 있는 맥락적인 장소 선택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또한 댄스 필름에서 장소는 움직임을 바라보는 카메라의 시각에 따라 새로운 이미지와 메시지를 만들어낸다. 그렇기에 카메라를 통해 안무가가 의도한 의미를 부각하고, 관객의 시선을 집중시키는 것에 유용하다. 본 연구는 국제 댄스 필름 페스티벌의 심사위원과 댄스 필름 감독들을 통해 안무 과정의 확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현재 댄스 필름의 과정에 대한 학문적, 교육적 체계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향후 댄스 필름에 대한 제작 과정에 대한 연구와 무용교육 현장에서의 활용 방안에 대한 후속 연구를 제안해 볼 수 있겠다.

      • KCI등재후보

        혈액에서 분리된 Extended-Spectrum Cephalosporin 내성 Enterobacter cloacae에서 Plasmid-Mediated Quinolone Resistance 유전자의 분포 및 Fluoroquinolone 감수성 양상

        김연재,서미란,지은,최은화,이환종,배현주 대한감염학회 2009 Infection and Chemotherapy Vol.41 No.5

        Background:Extended-spectrum cephalosporins (ESCs)-resistant Enterobacter cloacae is one of the pathogens of nosocomial infection the incidence of which is on the rise. Moreover, plasmid-mediated quinolone resistance genes (PMQR genes) that reduce quinolone sensitivity have been shown to be widely distributed among clinical isolates of Enterobacteriacea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serve the distribution of PMQR genes in clinical isolates of E. cloacae resistant to ESCs. Materials and Methods:Fourty-three ESCs-resistant E. cloacae strains from the blood collected during the span of 7 years, from 1994 to 2001,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SNUCH) were included in this study. Isoelectric focusing and enzyme specific PCR were performed to characterize β-lactamase. The presence of qnrA, qnrB, qnrC, qnrS, qepA, and aac(6’)-Ib-cr was determined by PCR, restriction enzyme analyses of PCR products, and DNA sequencing.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several quinolones was measured by agar dilution method. Results:The PMQR genes were detected in 9 (21%) of 43 ESCs-resistant E. cloacae isolates. Among them, five isolates were positive for qnrB2, and each two isolates harbored qnrB4 or qnrB5, respectively. qnrA, qnrC, qnrS or qepA was not identified. aac(6’)-Ib was detected in 27 isolates, but aac(6’)-Ib-cr was not found. Among the 9 qnrB-positive isolates, 5 produced SHV-12, 3 were derepressed mutants, and 1 produced pI 7.5 β-lactamase. MIC ranges and percent resistances of nalidixic acid, ofloxacin, levofloxacin, and moxifloxacin for the PMQR genes-positive isolates were higher than PMQR genes-negative isolates. Conclusions:In this study, ESCs-resistant E. cloacae showed a high prevalence of PMQR genes, and qnrB was the only PMQR gene identified. Background:Extended-spectrum cephalosporins (ESCs)-resistant Enterobacter cloacae is one of the pathogens of nosocomial infection the incidence of which is on the rise. Moreover, plasmid-mediated quinolone resistance genes (PMQR genes) that reduce quinolone sensitivity have been shown to be widely distributed among clinical isolates of Enterobacteriacea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serve the distribution of PMQR genes in clinical isolates of E. cloacae resistant to ESCs. Materials and Methods:Fourty-three ESCs-resistant E. cloacae strains from the blood collected during the span of 7 years, from 1994 to 2001,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SNUCH) were included in this study. Isoelectric focusing and enzyme specific PCR were performed to characterize β-lactamase. The presence of qnrA, qnrB, qnrC, qnrS, qepA, and aac(6’)-Ib-cr was determined by PCR, restriction enzyme analyses of PCR products, and DNA sequencing.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several quinolones was measured by agar dilution method. Results:The PMQR genes were detected in 9 (21%) of 43 ESCs-resistant E. cloacae isolates. Among them, five isolates were positive for qnrB2, and each two isolates harbored qnrB4 or qnrB5, respectively. qnrA, qnrC, qnrS or qepA was not identified. aac(6’)-Ib was detected in 27 isolates, but aac(6’)-Ib-cr was not found. Among the 9 qnrB-positive isolates, 5 produced SHV-12, 3 were derepressed mutants, and 1 produced pI 7.5 β-lactamase. MIC ranges and percent resistances of nalidixic acid, ofloxacin, levofloxacin, and moxifloxacin for the PMQR genes-positive isolates were higher than PMQR genes-negative isolates. Conclusions:In this study, ESCs-resistant E. cloacae showed a high prevalence of PMQR genes, and qnrB was the only PMQR gene identified.

      • KCI등재

        朝鮮御製本 『周易參同契』에 나타난 易學的 사유와 생명공동체의 세계- 身中之易의 경계에 착안하여

        김연재 한국공자학회 2018 공자학 Vol.35 No.-

        朝鮮御製本 주역참동계에 대한 학술적 본령과 의의를 모색하는 데에도 그 學統의 역사적 연원이나 학술적 내용을 들여다보아야 한다. 이는 주역참동계의 계보와 그 성격 등을 파악하고 그 속에 담긴 학술적 특징에 접근하여 학맥 혹은 학술의 위상을 파악해야 하는 것이다. 조선어제본 주역참동계의 편제는 위백양의 주역참동계의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주희의 周易參同契考異와 유염의 周易參同契發揮로 구성되어 있다. 그렇다면 주희와 유염의 해석 및 이들의 관계가 참동학의 역사에서 어떠한 성격과 위상을 지니는가 하는 문제를 찾아본다면 조선어제본의 의미나 의의도 밝힐 수 있다. 朝鮮御製本 주역참동계에 접근하는 문제는 參同學의 맥락에서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볼 수 있다. 첫째, 주희와 유염의 관계, 둘째, 유염의 참동학의 특징, 셋째, 한국역학에서 주역참동계의 위상이다. 이들 논점은 서로 구분되면서도 밀접하게 맞물려있다. 역학의 역사에서 송명시대의 역학만이 지닌 독특한 성격이 있다. 당시의 철학에서 두드러졌던 본체론의 형이상학 세계와 맞물리면서 상수학과 의리학 양쪽은 서로 보완적 관계 속에서 발전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지금까지 조선 최초의 『주역참동계』 주석서로 알려진 권극중의 『周易參同契註解』과의 연관성이나 차별성도 차후에 비교할 수 있는 계기도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The essay is focused upon a history of the learning of Cantong and its academic content in approaching to the character and significance of the binding of Korean manuscript of Zhouyicantongji. the binding of Korean manuscript of Zhouyicantongji is composed of the two books Zhouyicantongjikaoyi by Zhuxi and Zhouyicantongjifahui by Yuyan on the base of Zhouyicantongji by Yubaiyang. How to approach to the binding of Korean manuscript of Zhouyicantongji has triple unity of understand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earning of Cantong as follows: Firstly,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Zhouyicantongjikaoyi by Zhuxi and Zhouyicantongjifahui by Yuyan? Secondly, what is characteristics of Zhouyicantongjifahui by Yuyan? Thirdly, what is the status of Zhouyicantongji in the Changeology of Korea? These are distinctly divided and closely combined one another. The main stream can be approached in the context of the Song-ming Changeology which is characteristic of the reciprocal relationship of Xiangshu and Yili. it is based upon “changes in body” in a metaphysical world of Benti Theory. From the all-comprehensive viewpoint of Song-ming changeology, it is consequent that “changes in body” is a human being as reality and simultaneously a reality as a human being.

      • KCI등재후보

        儒?佛 문화논쟁에서 본 宗炳의 불교세계관 및 藝術觀(1)

        김연재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05 佛敎學報 Vol.0 No.46

        The essay is focused upon understanding Zong Bing’s Buddhist world-view the concepts of physical form and spirit and their relationship, which are constituted into a major category in the thought of art as well as in the history of Chinese thought, by dealing with the argument between the doctrine of the spirit-mortality and the doctrine of the spirit-immortality, both of which represent an idealogical controversy of Confucianism versus Buddhism in Wei Jin Nan Bei dynasties. Hui Yuan, who is the principal proponent of the doctrine of pirit-immortality and the teacher of Zong Bing, argued the relationships of spirit, emotion and external objects under the main premise that “spirit and physical form are unlike, but change together. The inside and the outside are different but harmonious.” This logic analyzed elaborately the human life and the world of the soul. On the foundation of this logical thinking-way, Zong Bing wrote 「Ming-fo-lun」. According to 「Ming-fo-lun」, because originally emotion is not in contact with external objects, spirit is equivalent to soul. But, in reality, emotion is in contact with external objects, so spirit is turned into the vulgar soul. Reversely, he develops his logic based on the premise that soul is originally spirit and man can reach jietuo through the purification of soul. Through his self-negation the function of emotion ceases, man reaches the state of transcendence (wuwei), his physical form or worldly life is meaningless, finally accomplishes the jietuo where soul is spirit in the sense of originality. This also establishes the logical base that spirit dwells in landscape, and man reaches the world of Dao through the spirit of landscape. 본 논문은 위진남북조시대에 유교와 불교 사이에 문화적 해석의 차이점에 따른 이념적 논쟁에서 등장한 주요한 범주인 形과 神의 개념 및 그 양자의 관계를 통해 宗炳의 불교세계관을 논하고자 한다. 종병은 하승천과의 儒·佛 문화권의 논쟁의 일환으로 쓴 「明佛論」에서 佛만이 神으로써 道를 본받는다고 하는, 神不滅論을 근간으로 하는 불교의 사유이론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그는 形과 神에 연결시켜 有와 無가 인연을 맺게 함으로써 形의 조야함과 神의 미묘함이 혼연일체가 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 놓고 있다. 여기에서 종병은 자연산수와 같은 만물 속에 神이 담겨져 있고 인간은 이 만물의 神을 통해 道의 경지에 이를 수 있다는 일종의 존재론적 근거를 세우고 있는 셈이다. 神은 자연만물 즉 形을 직접 낳는 것이 아니라 외형적 사물과 감응하여 形을 낳는 것이다. 形이 없어진다 해도 神은 새로운 形과 결합하여 소멸하지 않는다. 이것은 바로 혜원의 신불멸론 즉 形과 神은 각각 달라 안과 밖이라는 구별이 있지만 그 양자는 서로 함께 변화하여 혼연일체가 된다는 입장과 같다. 그러나 종병은 혜원과 달리 情과 形 사이에 識의 방식을 설정하고 이 방식을 통해 인간은 해탈을 할 수 있다는 역설한다.

      • KCI등재

        앙리 드 툴루즈 로트렉의 여인상에 나타난 보색심리의 치유적 의미

        김연재 한국미술치료학회 2014 美術治療硏究 Vol.21 No.5

        This study inquired into the therapeutic meanings of the complementary colors Henri deToulouse-Lautrec used to overcome his physical handicap and inner conflicts. In this study, 15 paintings of females by Toulouse-Lautrec which showed a strong contrast ofcomplementary colors indicating strong ambivalent feelings were chosen for the analysis. The rates ofcomplementary colors in the paintings were analyzed based on the main colors of the eight color cycleof the Ostwald color system, which made it possible to check the shades of the strong green colors used inhis paintings. The main complementary colors found in many of Toulouse-Lautrec's paintings included a contrastbetween white and black, between sea green and fulvous color, and between ultramarine and yellow. Thesecontrasts of complementary colors reflect his attempt to balance the ambivalent feelings. Toulouse-Loutrec projected his degenerative sentiments characteristic of an adult child into his paintings. The white color in the Ostwald color system, the main color axis started showing black shades at the lowerparts of the paintings, whereby the green and brown color appeared. This abrupt contrast of complementarycolors worked as a therapeutic catalyst that helped Toulouse-Lautrec to resolve his inner psychologicalconflicts. 본 연구의 목적은 앙리 드 툴루즈 로트렉(Henri de Touloue-Lautrec)이 신체적 열등감과 갈등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사용한 보색의 치료적 의미를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로트렉의 양가감정이 두드러지게 드러난보색대비가 강렬하게 표현된 여인상 15점이며, 자료분석은 로트렉 회화에 주로 사용된 짙은 녹색조의 색상을한 눈에 볼 수 있는 오스트발트의 표색계인 8색상환의 주요 색상을 중심으로 보색비율을 분석하였다. 로트렉의 작품전반에 나타난 보색은 주로 흰색과 검정의 대비와 청록(Sea green)과 황갈색이 주는 보색대비 및 파랑(Ulteramarin)과 황색(yellow)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보색이 주는 색채 심리적 의미는 양가감정을 조절하는 균형적인 의미로 볼 수 있다. 로트렉은 성인아이의 기질적 증후를 보여주는 퇴행적인 정서를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그러한 자신의 욕구를 그림 속 대상에 투사시킨 것이다. 특히 오스트발트 표색계의 흰색을 중심축으로 하여 하향방향으로 가면서 검정색을 지니고 있어 급격한 색의 대비를 이루면서 녹황 색조가 나타난 로트렉의 보색대비는 내면의 심리적인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치료적인 촉진제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