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당대 장안 불교문화의 교섭과 전파 __장안 도시불교문화의 전파를 함께 논함

        빠이껀싱( 拜根兴) 동국대학교 불교사회문화연구원 2012 불교문화연구 Vol.12 No.1

        당조( 唐朝 )는 중국 봉건사회에 있어서 가장 번영된 시기였다. 그 수도 장안( 長安 )은 세계적인 국제도시로 이름을 떨치며, 가까운 주변국 에서부터 먼 이국의 사람들의 발걸음이 끊이질 않았다. 이것은 장안이 다양한 세계의 문화를 집산하면서 이의 융합을 통하여 새로운 문화의 잉태와 발전을 선도하며 세계문화의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였기 때문이다. 인도에서 발생하여 비단길을 거쳐 들어온 장안의 불교문화는 당조의 개방적 수용과 적극적인 지원아래 비약적 발전을 거듭하며 불교의 중국화라는 새로운 역정을 걸으면서 주변국과 지역에 거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 대하여는, 20여 년 전황신아( 黄新亚 )선생이 전문저서를 출간하였고 1) , 뒤를 이어 불교사 전문가인 왕아영( 王亚荣 ) 연구원이 새로운 책을 집필한 바가 있다. 2) 근년에는 서안문리학원( 西安文理学院 )이 장안문화연구의 중심이 되면서 장안의 도시불교문화연구의 모든 내용을 수집하고 분석하고 있다. 본고는 이전의 학자들의 이러한 연구기반 위에, 당의 수도인 장안이 7세 기에서 8세기에 이르기까지 세계의 중심도시로서 성가를 떨치며, 불교 종파, 불교이념, 불교문화의 교류 등의 방면에 있어서의 교섭과 발전상 황, 특징 및 불교중국화의 역정에 공헌한 과정을 논술하면서 현재 남아있는 사료( 史料 )를 통하여 장안의 도시불교문화가 동아시아 국가에 전파된 과정 및 그 영향에 대하여 검토 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佛敎學報(불교학보)를 통해 본 한국불교연구의 동향

        이기운(Ki Woon Lee),조기룡(Ki Ryong Cho),윤기엽(Ki Yeop Yoo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2 佛敎學報 Vol.0 No.63

        『불교학보』는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에서 발간하는 불교학 전문 학술지로서, 불교교학 불교사 불교문화 전반에 관한 논문을 게재하고 있다. 이 논문집은 1962년 창설된 불교문화연구소에서 이듬해 창간호를 시작으로 2012년 12월 현재 50년 동안 63집을 발간하고 있다. 불교계에 이렇다 할 학술논문집이 없었을 때, 불교계 최초로 창간되어 그동안 불교학자들의 학문적 업적을 발표하는 대변자로서 역할을 충실히 해왔으며, 한국 불교학의 흐름을 보여주고 새로운 학문적 방향을 제시하는 선구 논문집으로서 소임을 다해왔다. 이제 연구원 개원 50주년 63집을 발간하면서, 그동안의 연구성과를 회고하고 불교학보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새로운 50년 불교학보의 나아갈 길을 전망하고자 이 글은 기획되었다. 그동안 불교학보게재논문의 동향을 보면, 다음의 몇가지로 정리 할 수 있다. 첫째, 한국불교의 각성을 통하여 한국불교의 정체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이다. 게재 논문들은 한국불교의 각성을 통하여 교학사상과 불교사, 불교신앙과 문화에 있어서, 한국불교의 주체성을 밝히고자 노력하였다는 것이다. 둘째, 교학연구의 탈근대화를 이끌었다는 것이다. 동국대학교가 세워지면서 불교계에는 비로소 현대적 불교교육이 실시되어 불교학자들이 배출되었다. 이들을 중심으로 한 현대적 불교학의 성과들은 『불교학보』를 통하여 학계에 소개되면서 현대적 불교학으로서 학문경향이 학계에서 자리잡는데 선도적 역할을 하게 되었다. 셋째, 종파의 탐구와 禪學의 연구가 깊이 있게 이루어지면서 근본불교부터 대승불교에 이르는 교파의 교학사상을 바로 밝히려는 노력과 선학의 체계적 연구가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넷째, 고자료의 발굴을 통하여 한국 불교학 학문적 발전에 기여했다는 점이다. 다섯째, 전통적인 불교학 외에 현대과학과 의학 예술과 관련된 다양한 응용 불교학이 소개되었다. 다음은 앞으로 『불교학보』가 나아갈 길에 대해서는 한국불교학의 정체성을 바로 세우고 미래불교의 비젼을 다음 몇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는 1960년대 이후 2000년대에 이르는 동안 한국 불교학의 硏究推移를 통해서 한국 불교학의 정체성을 이어가고, 한국 불교학의 학문적 토대를 마련해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앞으로 전통 불교학을 기반으로 응용 불교학을 더욱 진흥시키는데 초석이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셋째는 불교학계의 권위지로서의 위상을 유지 발전시키고, 우수한 신진학자의 학문적 성과를 발표하는 등용문의 역할을 다해야 한다는 것이다. 끝으로 이와 같은 『불교학보』의 방향설정을 통하여, 우리논문집은 국내저명학술 지로서 만족하지 않고 불교학계의 국제저명학술지로 지향점을 두어 한국 불교학을 국제 불교학계에 널리 알리는 데에도 게을리 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The Bulgyohakbo(Journal for the Buddhist Studies; 佛敎學報) is a professional academic journal issued by the 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at Dongguk University, and it is publishing treatises in general on Buddhist doctrinal studies, the history of Buddhism, and Buddhist culture. Beginning with the first issue in 1963 after the foundation of the 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in 1962, it has published 63 treatise collections as of Dec. 2012 for 50 years. When there were no treatise collections to speak of, it started its publication for the first time in the Buddhist community. Since publishing its first issue, it has faithfully played a role of a spokesperson presenting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Buddhist scholars, and it has filled its role of a pioneering collection of treatises showing the flow of the Korean Buddhist Research and proposing new directions for the Buddhist research. While we publish the 63rd treatise collection in commemoration of 50th Anniversary of the institute, this writing was planned in order to look back on its academic achievements, ascertain its identity, and to put its course during its new 50 years into perspective. If we get a full review of the treatises which was published in the Bulgyohakbo, tha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reatises published in the magazine confirmed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m through disillusion toward Korean Buddhism. This means that they tried to clarify the independence of Korean Buddhism in respect of Buddhist philosophy, the history of Buddhism, Buddhist faith, and Buddhist culture through reopening their eyes to Korean Buddhism. Secondly, they led the modernization of Buddhist doctrinal studies. After Dongguk University was founded, modern Buddhist education was conducted in the Buddhist community, and Buddhist scholars began to be turned out. Their achievements in the field of modern Buddhist research were introduced to the academic world through the Bulgyohakbo, so that this magazine came to play a leading role in establishing an academic trend as modern Buddhist research in the academic circles. Thirdly, as research on Buddhist orders and Seon studies was done in depth, the efforts to correctly illuminate the doctrinal philosophies of all denominations from the fundamental Buddhism to Mahayana Buddhism were made, and a systematic research on Seon studies was done. Fourthly, the excavation of old materials contributed to the academic development of Korean Buddhist research. Fifthly, diverse applied Buddhist studies in relation to modern science, medicine, and art besides the traditional Buddhist research have been introduced. Next, regarding the course this Bulgyohakbo should take, as far as the task to set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t studies right and the vision of the future Buddhism First,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progress of Korean Buddhist research from 1960s to 2000s, it should keep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m, and it should prepare the academic foundation of Korean Buddhist studies. Secondly, it should become the cornerstone of the promotion of applied Buddhist research on the basis of the traditional Buddhist research. Thirdly, it should maintain and develop the status of an authoritative journal in the Buddhist academic circles, and it should fulfill the role of the gateway to the publication of the academic achievements by excellent rising scholars. Finally, through establishing these directions for the Bulgyohakbo, our collection of treatises should aspire toward a well-known international academic journal, never satisfied with the status of a famous Korean academic journal, so that it should show no neglect of promulgating Korean Buddhist studies to the international Buddhist community.

      • 불교문화콘텐츠의 개발과 활용방안

        최진구(Choi Jin goo) 동국대학교 불교사회문화연구원 2008 불교문화연구 Vol.9 No.1

        The culture in modern society has become the factor that changes human life and has ruled the world of human spirit. KUKBO 173 kinds of 307 ones and BOMUL 956 kinds of 1,469 ones, in total, 1,129 kinds of 1,776 national treasures, showing 63.6% of them, are related to Buddhism. Consequently,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Buddhist cultural contents are typical of Korea s cultural contents. It is a good thing recently, although it s late, that Buddhist experts and academics show interest in digitalization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To go forward with digitalization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it is necessary for believers in Buddhism to have interest in it and to draw support from Buddhist circles. Therefore it would be the best way that Buddhist TV takes the role. Buddhist cultural contents can be defined as Creatively produced cultural contents composed of Buddhist cultural heritage, Buddhist way of life, and social phenomena related to them, aiming value of Buddhism by Buddhology . Buddhist cultural contents are fully worthy of using. Buddhist cultural heritage should be popularized and industrialized by making it as digital contents, so people can contact it easily. Buddhism has been putting down roots as symbolic and universal value concept of our own. Buddhist film can be said that it began from such emotional categories. As the starting of Buddhist film was late, Buddhist cultural contents have not put down roots yet. The major problem of Buddhist film is not production but analysis, therefore, it is more important to analyze Buddhist film by Buddhist position than produce Buddhist films. Buddhist circles show interest recently in the industry of animation character. The character industry, regarded as a growth factor of future industry, attract attention of Buddhist circles as well as whole social fields. Hence experts, men of great originality and idea, should be bred up and should take roles for central growth factor leading Buddhist cultural contents. On the basis of this, I suggest that Buddhist TV should consider televise Buddhist films for the promotion of program rating and the diversification of program contents. Also it is necessary that the development of flash animation and character, the most easily approachable Buddhist cultural contents children and teenagers can. I suggest that Buddhist TV hold Buddhist Film Festival with the advantage of cable TV broadcaster. So far any religion-related film festival has not been held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If Buddhist TV hold Buddhist Film Festival through preliminary examination and preparation with the advantage of picture missionary media, it will get excellent results. Once Buddhist TV(BTN) hold Buddhist Film Festival successfully, it will grow Buddhist films as Buddhist cultural contents, and contribute to the strengthening of prestige as a Buddhist broadcaster as well as secure program contents. 현대사회에서의 문화는 인간의 생활을 변화시키는 요소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정신세계까지 지배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국가지정문화재 국보 총307종 가운데 173종, 보물1,469종 가운데 956종, 합계 1,776종 중 63.6%에 해당하는 1,129종이 불교와 관련된 문화재이다. 따라서 불교문화 콘텐츠가 한국의 대표 문화콘텐츠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최근 들어 불교학계와 뜻있는 전문가들이 중심이 되어 불교문화 콘텐츠의 디지털화에 관심을 보이고 있음은 늦었지만 다행스러운 일이다 디지털화 작업들이 차질 없이 진행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불교인들이 관심을 갖도록 하여 불교계의 지원을 유도하는 역할이 필요한데 이 역할을 불교TV가 맡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이다. 불교문화콘텐츠는‘불교철학의 입장에 서서 불교적 가치를 지향하며, 불교 문화유산·불교적 생활양식, 이와 관련된 사회적 제반 현상 등을 소재로 하여 창의적인 방법으로 제작된 문화 콘텐츠’라고 할 수 있다. 불교문화콘텐츠는 그 활용가치가 매우 높다. 따라서 전략적으로 디지털콘텐츠화하여 불교문화유산을 대중화하고 산업화하여 많은 사람들이 손쉽게 접촉할 수 있도록 하여야한다. 불교는 우리 민족의 상징적, 보편적 가치 개념으로 자리 잡고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불교영화 역시 그러한 정서적 범주에서 출발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교영화의 출발은 매우 늦었으며 아직까지 확실한 불교문화콘텐츠로 자리 잡지 못하고 있다. 앞으로 불교영화의 과제는 생산이 아니라 해석에 그 과제가 있으며 불교를 소재로 한 영화를 생산하는 것보다, 영화를 얼마나 불교적인 입장에서 해석해내는가가 관건이다. 불교계에서 최근 들어 많은 관심을 갖게 된 분야가 애니메이션 캐릭터 산업이다. 물론 불교계뿐만 아니라 미래산업의 신성장동력으로 평가 받고 있는 캐릭터 산업은 사회 모든 분야의 관심을 끌고 있다. 따라서 창의력과 아이디어가 넘치는 전문인력을 양성하여 불교문화콘텐츠를 주도하는 핵심 성장동력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불교TV에서도 시청률 제고와 프로그램 콘텐츠의 다양화를 위해 불교영화의 방영을 적극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불교문화콘텐츠인 플래시 애니메이션과 캐릭터를 개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케이블TV 방송사라는 장점을 살려‘불교영화제’개최도 고려해볼 만하다. 현재까지 국외는 물론 국내에서도 종교영화를 주제로 한 영화제는 개최된바가 없다. 따라서 철저한 사전 조사와 준비를 거쳐 불교TV가 영상 포교 매체의 장점을 활용하여‘불교영화제’를 개최한다면 상당한 성과를 기대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불교TV(BTN)가 불교영화제를 성공적으로 개최한다면 불교문화콘텐츠로서의 불교영화를 성장시켜 프로그램 콘텐츠 확보는 물론 종교방송사로서의 위상 강화에도 크게 기여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융복합 문화로서 재조대장경과 판각지 남해의 문화콘텐츠 개발

        고상현(Ko, Sang-Hyu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7 佛敎學報 Vol.0 No.81

        재조대장경의 조성과 관련하여 아직까지도 연구자들 사이에 논의가 진행 중이다. 그럼에도 남해에서 판각되었다는 사실에는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대장경은 문화적으로는 유형문화와 무형문화가 결합하고 있으며, 내용적으로는 의천의 『신편제종교장총록』, 송·거란·일본 등에서 한역대장경 장소 수집과 교감을 통한 완성도 높은 교정이 이루어졌다. 재조대장경은 당대 인쇄문화와 기술의 융합, 지역간의 연계, 국가와 민간, 출가와 재가 등 회통과 융복합 문화의 정점에 있었다. 13세기 동아시아 문화를 아우르는 글로컬라이제이션의 전범이었다. 또한 현대 일본의 『대정신수대장경』과 대만의 『불광대장경』 등의 저본으로 삼을 만큼 문화를 주도해 왔다. 21세기 문화로서 대장경은 문화재 가치의 보존과 활용을 통해 재탄생되어야 한다. 이런 측면에서는 본고에서는 대장경의 본래적 가치와 종합적 외현인 문화콘텐츠로서 불교문화테마파크와 대장경축전문화콘텐츠, 문화콘텐츠산업으로서 인쇄문화콘텐츠산업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불교테마파크로는 불교랜드, 불교문화 라키비움과 마음산업을 선도할 수행센터인 참선센터 등 건립을, 대장경축전문화콘텐츠로서는 격년으로 개최되는 대장경천년세계문화축전과 연계한 대규모의 축전과 소규모 지역공동체 축전을 제시하였다. 특히 창조적 파괴를 통한 활용인 인쇄문화콘텐츠산업으로는 4차 산업혁명에 중추적 역할을 담당할 인쇄전자산업(Printed Electronics Industry)의 도입과 활용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서부경남의 지역 클러스트 형성과 학교와의 연계, 대장경인쇄문화연구소(가) 설립 등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Jaejo-tripitaka, which was manufactured during the Goryeo Dynasty as a cultural asset of convergence. It also examines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 printing as it was pursued in Namhae, where the tripitaka was carved into woodblocks. The Jaejo-tripitaka was fine-tuned and became more sophisticated by collecting and collating research and commentaries from Uicheon’s Sinpyeon-jejong-gyojang-chongrok, as well as from Chinese tripitakas from Song, the Khitan, and Japan. Furthermore, the Jaejotripitaka showcased the culmination of intercommunication and culture of convergence, which was characterized by the integration of the printing culture and technology of the time, as well as interregional coordination, the link between the state and its peopl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ithful and secular. The Jaejo-tripitaka led cultural promotion not only as a classic of the globalizing East Asian culture of the 13th century, but also as an original script for modern Japan’s Daejeongshinsudaejanggyung and Taiwan’s Bulkwang-tripitaka. To lead the culture of the 21st century, tripitakas should be embraced in efforts to preserve and utilize cultural values and to promote disruptive creation. Buddhist Theme Parks and tripitaka cultural festivals could serve as places to commemorate and display the intrinsic values of the tripitaka. Furthermore, a new direction for the cultural content printing industry is offered to enable tripitakas to be used to facilitate disruptive creation. Specifically, a Buddhist Theme Park could take the form of a Buddhist Land, Buddhist Larchiveum, or Seon Meditation Center for the mind industry. As for cultural festivals, large-scale festivals linked to the biennial Millennial Anniversary of the Tripitaka Koreana, as well as small-sized community-level festivals, could be considered. Finally, for the cultural content printing industry, the electronic printing industry could be introduced and adopted as it will play a key role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is regard, the establishment of regional clusters in west Gyeongnam, cooperation with schools, and a tripitaka cultural research and printing institute (provisional) are proposed.

      • KCI등재

        7~10세기 실크로드 동단에 있어서 불교문화의 역류

        석길암(Gil Am Seok)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2 佛敎學報 Vol.0 No.63

        본 논문은 ‘중국불교’를 형성하고 전개시킨 수많은 ‘다른 많은 동력인들’ 중의 하나로서 ‘신라불교’ 나아가 ‘한국불교’의 문제를 다루었다. 달리 말한다면, 7~10세기 한국불교가 중국불교의 전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하는 문제를, 신라불교인들의 중국 내에서의 활동양상과 해동불교문헌의 중국으로의 역수출과 영향이라는 측면에서 검토한 것이다. 7세기를 지나면서 신라불교는 중국불교의 수용자라는 일방적인 입장을 탈피하였다. 여전히 다방면에 걸친 중국불교의 성과를 수용하는데 적극적이었지만, 역으로 신라불교의 성과 역시 중국불교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이들 문제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을 것 같다. 첫째, 7~10세기에 이르는 동안 실크로드 동단에 있어서 불교문화의 교류는 장안-경주를 축으로 하는 선에서 점차 중국 연해지방과 한국을 잇는 축선으로 변화해간다는 점이다. 이것은 唐의 쇠퇴로 인한 육상 실크로드의 약화와 더불어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오던 해상실크로드의 강화와 연관이 되어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7세기까지만 하더라도 불교중국의 성장에 대한 능동적 참여자의 위치가 강했던 해동불교가 후대로 내려갈수록 중국불교와 서로 상호보완의 관계를 형성해간다는 점이다. 이것은 문화의 교류에 있어서 일면 당연한 결과인 것으로도 이해된다. 셋째, 동일한 한문문화권이라는 측면에서 기인하는 문제인지는 모르겠지만, ‘불교중국’의 전개라는 측면에 있어서 해동 불교인들의 활동은 여타 다른 외국 불교보다 압도적으로 능동적인 참여자였으며, 그 결과 10세기를 전후하여 편찬된 중국 불교의 역사서에 신라 혹은 고려 출신 승려들의 전기가 본격적으로 입전되기 시작한다는 점은 새삼 지적되어야 할 것이다. 중국불교에 대한 해동불교(海東佛敎)의 영향력이 절정에 달하였던 것은 12세기 말의 의천(義天)이 교장(敎藏)을 간행하던 시기였지만, 이미 그 이전에도 해동불교는 중국불교의 피동적인 참여자가 아니라 능동적인 참여자였고, 불교문화에 있어서도 일반적인 수용이 아닌 상호영향관계가 성립되어 있었다. This dissertation covers the issue of ``Shilla Buddhism``, or ``Korean Buddhism`` as one of many other efficient causes that had formed and developed Chinese Buddhism. In other words, it studies about how Korean buddhism in 7th to 10th century had helped developing Chinese buddhism in the aspect of the activities of Shilla buddhists in China, and the reexport of Haedong(Korean) Buddhism literature and its influence to China. After the 7th century, Shilla Buddhism was no longer a mere recipient of Chinese Buddhism. They were still active about accepting multifaceted outcomes of Chinese Buddhism, but the outcomes of Shilla also started to have effect on Chinese Buddhism since that time. The results from reviewing this issue can be abstracted as follows. First, during the 7th to 10th century in the eastern end of silk road, the pivot of the exchange of buddhist culture was gradually moving from the line of Jangan and Gyeongju to the line of coastal region of China and Korea. This is considered to be the result of the decline of the Tang(唐) which led the overland silk road to undermine, and the reinforcement of the oversea silk road which was continuously expanding. Second is that Haedong buddhism which was an active participant in developing ‘Buddhism China(佛敎中國)’ until 7th century started build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 Chinese buddhism after. In the aspect of cultural exchange, this could be understood as a corollary result. Thirdly, this could be a result from the aspect that both were in the same chinese-letter cultural area, but considering the aspect of the development of ‘Buddhism China``, Haedong buddhist``s activities were overwhelmingly active unlike other foreign buddhism. For that reason Chinese buddhism history written before and after 10th century started to contain biographies of monks from Shilla or Goryeo. This is an important issue that should be pointed out. The influence of Haedong Buddhism on Chinese Buddhism reached its peak in late 12th century when Uicheon published collections of annotations of buddhist scriptures. However, Haedong Buddhism was already an active participant before then, and was in an reciprocal relation with China in buddhist culture.

      • KCI등재

        불교종립대학의 불교기반 인성교육 교과과정 개선방향

        조기룡(Cho, Ki-Ryong)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9 佛敎學報 Vol.0 No.88

        불교종립대학이란 불교이념에 입각한 교육을 실시하고자 불교종단이 출연(出捐)하여 설립한 대학을 의미한다. 본고는 불교종립대학의 불교기반 인성교육의 교과과정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동국대학교(조계종), 위덕대학교(진각종), 금강대학교(천태종), 그리고 원광대학교(원불교)의 현황을 조사하였는데, 사회 측면에서는 취업교육의 강화와 교양교육의 약화가, 학생 측면에서는 거부감과 무관심이, 그리고 교·강사 측면에서는 전임교원 교양교육 비율의 저조와 교양교육 강의의 개별성이 문제점으로 드러났다. 이들 문제점을 토대로, 본고는 불교종립대학의 불교기반 인성교육의 개선방향을 다음의 네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자유학문적 교양교육의 강화이다. 취업교육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오늘날 대학교육의 현실 속에서 본래 대학교육의 이념인 자유학문적 교양교육, 즉 진·선·미와 지·정·의를 갖출 수 있도록 전인교육(全人敎育)을 강화하자는 것이다. 둘째, 불교기반 인성교육의 대중화이다. 불교기반 인성교육 교과목의 수업들을 학생을 대상으로 한 일방적 불교의 포교가 아닌 그들이 가진 고민과 문제, 그리고 인생관을 교수와 논의하는 쌍방향적 토론식으로 개발하여 해당 교과목들에 대한 학생들의 종교적 거부감을 해소하자는 것이다. 셋째, 불교기반 인성교육의 표준화이다. 불교기반 인성교육 교과목들의 표준교재를 지정하여 그것을 기준으로 공통되게 교육과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넷째, 비교과 교육과정의 활성화이다. 인성교육은 교과과정만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불교의 교리와 사상과 문화를 기반으로 한 비교과 교육과정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자는 것이다. 본고는 그 구체적 방안으로 교수 ․ 학생 신행회, 템플스테이 체험, 명상 및 참선 프로그램 등을 프로그램으로 제시하고, 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하여 해당 프로그램을 이수한 학생들에게 마일리지 점수와 그에 따른 각종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식인 (가칭) 비교과 마일리지 제도를 제안하였다. The Buddhist Missionary University was founded with funding from the religious orders of Buddhism with the purpose of offering education based on Buddhist ideas. This study suggests directions for the improvement of Buddhism-based character education curricula at the Buddhist Missionary University. To this end, the author investigated current curricula at Dongguk University (Jogye Order), Uiduk University (Jin-gak Order), Geumgang University (Cheontae Order), and Wonkwang University (Won-Buddhism) and identified the following problems in the curricula: an excessive emphasis on job training and weakened general education with regard to social aspects ; repulsion and disinterest on the part of students; and a low proportion of full-time instructors with general education background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problem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four directions to improve Buddhism-based character education at the Buddhist Missionary University. The first task is to reinforce general educat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free learning. Given the current focus on job training, general education based on free learning, a core principle of university education, must be emphasized to enhance whole-person education so that students are equipped with truth, goodness, and beauty, as well as knowledge, justice, and righteousness. The second direction involves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m-based character education. Classes related to Buddhism-based character education should not be designed to propagate religious ideas but must instead be designed to encourage two-way discussions between students and instructors about issues students care most about, such as their lives and careers, without being religiously intimidating. The third task is to standardize Buddhism-based character education. Standard textbooks for Buddhism-based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designated for each subject so that education and evaluation are carried out in a uniform fashion. The fourth initiative should be to vitalize extracurricular activities. As the ability of regular curricula to fulfill the goals of character education is limited, extracurricular activities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Buddhist doctrines, ideas, and cultures. To this end, this study suggests the implementation of detailed programs such as a faith practice retreat for faculty members and students, as well as experiences such as temple stays, meditation, and mindfulness training. To encourage participation in these programs, this study proposes an “extracurricular mileage program” that incentivizes students to engage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rough “mileage points.”

      • KCI등재

        한국에 온 호승(胡僧)들

        김성순(Kim, Sung-Soo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8 佛敎學報 Vol.0 No.84

        본 논문은 한국불교사 내지 문화사에 나타난 자료들을 통시적으로 배열 ․ 분석하여 한국에 온 서역 내지 원나라 출신 승려인 호승에 대한 한국인들의 인식이 어떻게 변해왔으며, 그 배경은 무엇인지에 관해 고찰하였다. 본 논문에서의 호승 개념은 기본족으로 인도와 중앙아시아를 포괄하는 서역(西域)출신의 승려이며, 원의 라마승과 요동 출신 승려도 포함한다. 한국불교사에 나타난 호승은 불교를 전해 온 공식 사절, 문화전달자, 포교자, 원 제국의 협력자, 그리고 전란을 피해 온 이민자 등의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불교 초전 시기에 개인적으로 한국에 와서 포교행을 했던 호승의 경우에는 상당한 위험을 감수해야 했지만, 신라 하대에 이르면 한국불교의 일원으로 수용되는 모습도 나타난다. 또한 고려와 조선시대에는 중국의 침략과 간섭으로 인한 반원의식 내지 반호(反胡)의식이 호승에 대한 인식에 투영되기도 한다. 하지만 침략자로 인식되지 않는 호승들에 대해서는 한국불교의 일원으로서 수용했던 모습도 일부 나타난다. 또한 조선시대에는 유교 엘리트들이 불교 승려에 대해 갖고 있는 수행승에 대한 인식에 부합하는 경우에는 굳이 배격하지 않고 한국불교의 일원으로서 바라보는 모습들이 나타나기도 한다. 전체적으로 한국불교사 내지 문화사 안에서의 호승에 대한 인식을 보면 불교 미공인 시기에는 외래의 이방인으로 경계했지만, 공인 이후에는 문화전달자 내지 포교승으로 받아들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원 제국에 적극 협력했던 라마승들의 경우에는 침략자의 일원으로 인식되기도 했다. 하지만 조선시대에는 정부의 반불교 정책의 기조 위에서도 유교 엘리트들의 시각에 운수납자로 인식되는 호승에 대해서는 거부감 없이 수용하는 모습도 드러난다. 결국 호승은 한국사회에 위협적인 존재로 비춰지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한국인의 시각에서 수행승으로 인정되면 한국불교 안으로 수용이 허락되는 존재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figure of the “Barbarian monk” (hoseung 胡僧) appears to exist simultaneously inside and outside of Korean Buddhist history. The “Barbarian monks” who traveled to Korea embodied different social positions (and political powers) - some belonged to official diplomatic envoys that supplied Korean elites with rare Buddhist treasures while others (arrived empty-handed and) simply sought refuge from war and strife. The roles that “Barbarian monks” played in Korean history also varied considerably. Some foreign monks focused primarily on spreading Buddhism. Others acted more broadly as cultural transmitters and mediators while some primarily served the outside powers that occupied Korea. As would be expected, the reception of “Barbarian monks” in Korea often reflected larger geopolitical developments as well as domestic political concerns. Buddhist monks, who traveled to Korea independently to spread Buddhism early on, faced considerable danger. However, by the Later Silla period (780 C.E. - 935 C.E.), “Barbarian monks” were accepted as a part of the Buddhist community in Korea. At times, Sinocentric sympathies in Korea encouraged anti-barbarian attitudes. In particular, fears of invasion, foreign occupation, and increased exploitation spawned anti-Yuan sentiments during the Yuan intervention period. Nonetheless, “Barbarian monks” who focused on Buddhist spiritual cultivation practices during the Joseon Dynasty became part of the Korean Buddhist landscape. As long as “Barbarian monks” did not represent a threat to Korean society, they were, for the most part, allowed to participate in Korean Buddhist activities and affairs.

      • KCI등재

        동아시아 세계의 소통과 불교의 역할에 대한 모색

        석길암(Seok, Gil-Am)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5 佛敎學報 Vol.0 No.72

        이 논문은 동아시아라는 문화네트워크의 형성과 전개에 불교가 어떻게 기여하고, 또 동아시아 문화네트워크의 결속이 어떻게 불교를 통해서 더 강화되었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검토를 통해서 동아시아 세계의 소통에 있어서 불교는 어떠한 역할을 해왔고 또 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모색을 시도하였다. 동아시아 불교, 더 나아가 불교를 기반으로 하는 동아시아 문화네트워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측면에서 소통을 위한 사상적 기반을 제공한다고 생각된다. 첫째는 일체개성(一切皆成)의 인간관이다. 이것이 현실에서 어느 정도의 실현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지의 여부와 관계없이, 동아시아 불교는 공통적으로 그것을 이상적 실현태로서 추구한다. 둘째는 독단적 진리해석을 배제하는 것이다. 동아시아 불교 역시 연기적 사유체계라는 불교의 기본적 사유체계에 속한다는 것에 동의한다면, 이것은 당연한 논점이다. 셋째는 동일성과 차별성의 어느 것도 부정하지 않는 소통체계이다. 동아시아 불교사상이 추구하는 네트워킹은 동일한 것들 간의 소통만이 아니라 다른 것들 간의 소통 역시 포함한다는 점을 밝혔다. 이들 사상적 기반이 역사적 사례에서 항상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만은 아니지만, 성공적으로 작용된 한두 사례를 논문 안에서 언급하였다. 그리고 결론을 대신하여, 동아시아 세계 내의 소통과 융합에 대한 불교적 모색은 어떤 점에 기반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논자 나름의 추론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how Buddhism played a role in the formation, development, and strengthening of an East Asian cultural network. The paper also searches for the role that Buddhism has played, and will play, in communication in the East Asian world. East Asian Buddhism, or the East Asian cultural network based on Buddhism, provides three ideological bases for communication. These are as follows: (1) To believe that everyone can achieve what they want?regardless of the possibility of realization in the real world, East Asian Buddhism wholly emphasizes thinking as the ideal actuality; (2) To deny a dogmatic interpretation of the truth?this is natural as East Asian Buddhism belongs to the basic Buddhist thinking structure of the Dependent Arising. The last is the communication system that does not deny identity or distinctiveness. The East Asian Buddhist network does not encompasses communication only amongst those that are the same but also amongst those who are different. As these ideological bases did not always play ideal roles in history, some successful historical examples are mentioned in this paper. Lastly, I suggest a model of Buddhism that searches for communication and confluence amongst the East Asian world.

      • KCI등재

        불교 무형문화의 자산과 콘텐츠 가치에 대한 고찰

        구미래(Mee Rae Koo)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0 佛敎學報 Vol.0 No.55

        1천 600년이라는 역사에 비해 한국불교는 중생의 삶 속에서 전승된 문화에 대한 연구가 턱없이 부족하였다. 불교문화는 일찌감치 문화콘텐츠의 최우선 자산으로 등장했지만, 내면을 들여다보면 정작 이루어졌어야 할 기초 조사와 연구가 공백으로 남아있는 것이다. 따라서 민간과 교류하는 불교가 어떠한 양상으로 진행되었는지 이해할 수 있는 실증적 기반을 마련하고자, 무형으로 전승되어온 역동적 자산이자 생활불교의 핵심을 이루는 세 분야에 대해 기초조사연구의 필요성과 개괄적인 방법론을 시론의 형태로 제시하였다. 첫째, 寺下村의 조사연구를 통해 민간에 전승되어온 불교문화와 생활양상을 복원하는 문제이다. 사하촌은 불교문화의 전승현장이자 전승주체가 살고 있는 삶의 현장으로, 불교가 어떠한 양상으로 민속사회와 관련을 맺으며 지속되어왔는지를 밝혀 최근세 불교생활사의 공백을 메우는 조사연구는 시급한 과제이다. 이는 마을연구와 구술사연구를 접목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인간이 살아가면서 거치게 되는 주요한 마디마다 치르는 불교 一生儀禮를 복원하고, 현대에 맞게 재정립하는 문제이다. 최초로 공동체의 성원으로 태어나는 ``출생``, 어른행세와 대접을 받는 ``성인``으로의 진입, 일가를 이루는 ``혼인``, 태어난 干支의 해를 맞아 ``노인``으로 거듭나는 삶의 과정뿐만 아니라 이승에서 저승으로 진입하는 ``상례``, 조상으로 자리한 뒤 주기적으로 후손과 대면하는 ``제례``에 이르기까지 일생의례는 사회적 삶의 근간을 이루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인간의 일생에 따른 의례와 풍습은 가장 기본적인 삶의 양식으로, 이에 대한 불교적 해명 없이는 진정한 생활불교가 이루어지기 힘들 것이다. 셋째, 자연의 순환에 따라 한 해를 적절한 시기로 나누어 되풀이되는 불교 歲時風俗을 복원하고, 현대에 맞게 재정립하는 문제이다. 세시풍속은 인간의 자연적 삶의 근간을 이루는 행위로 민간의 歲時인 명절과 절기에 종합적인 문화현상으로 전승될 뿐만 아니라, 佛敎曆 또는 불교적 배경에 따라 정립된 각종 세시에 사찰과 가정에서 행하는 불교적 풍습이 전승되고 있다. 이처럼 자연의 순환에 순응하는 민간세시와 불교세시의 각종 풍속은 일생의례와 더불어 삶의 근간을 이루는 것으로 불교권의 체계적인 정립이 긴요한 분야라 할 수 있다. Despite its history of 1,500 years, Korean Buddhism unreasonably lacks studies on the culture passed down within the people`s lives. The Buddhist culture appeared as the top priority asset of cultural contents, but when looking into the inner side, basic research and studies that should have been done already remain as a blank. Therefore, in order to prepare a positive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how Buddhism progressed which exchanged with civilians, this study presents the necessity of basic research and studies as well as the general methodology by examining three areas that have been passed on as intangible assets and are the core of Buddhism in life. First is the issue of restoring the Buddhist culture and way of life that have been transmitted to the people through research and studies on the Saha village. Saha village is the transmission site of Buddhist culture and is the actual place where the subjects of transmission live. Doing research for filling in the blanks of recent Buddhist life-cycle by clarifying how Buddhism maintained a relationship with the folk society is an urgent matter. Combining and implementing village research with studies on oral history together would be appropriate. The second issue is to restore Buddhist life rituals that humans experience at each crucial moments as they live on, and to reestablish it modernly. Not only ``Birth`` as a person is born as a member of a community for the first time, entering the ``adult stage`` as the person acts and is treated as an adult, ``marriage`` as the person creates his or her own family, being reborn as an ``elderly person`` in the sexagenary cycle year of the person`s birthyear, but also ``death ritual`` which is the stage of entering the afterlife from the present world, ``ancestral ritual`` as the person settles as an ancestor and confronts regularly with his or her descendents are the life rituals that forms basis of social life. Rituals and customs throughout a person`s lifetime are the most fundamental way of life. Genuine Buddhism in life cannot be accomplished without the Buddhist explanation on this matter. The third issue is to restore the Buddhist seasonal customs that divides a year into proper time periods by the circulation of nature and repeating this over and over, and to reestablish this into a modernly way. Seasonal customs are acts that form the basis of the natural life of humans. They is passed down as a general cultural phenomenon on holidays and 24 divisions in the lunar calendar which are the seasonal custom of the people. Buddhist customs which have been established based on Buddhist calendar or Buddhist background are being transmitted at temples and homes on each seasonal custom. Folk seasonal customs and various customs of Buddhist that adapt to the circulation of nature form the basis of life along with life rituals. It is a critical area that requires a systematic establishment by Buddhism.

      • KCI등재

        불교축제의 현황과 발전 방안

        고상현(Ko, Sang-Hyu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5 佛敎學報 Vol.0 No.70

        각종 지역축제에서 불교적 축제들이 행해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교축제에 대한 연구는 연등회나 팔관회 등 특정한 분야에 국한되어 왔다. 본고에서는 불교의례와 문화행사중에서 축제로서의 의례와 문화행사에 주목하였다. 이들 불교축제를 유형과 내용에 따라 나누었다. 유형별로는 불교의례를 중심으로 한 불교의례축제(Buddhist Ritual Festivals)로, 불교문화를 활용한 축제를 불교문화축제(Buddhist Cultural Festivals)로 분류하였으며, 내용별로는 복합형과 테마형으로 분류하였다. 불교의례축제는 불교의례가 중심이 된 축제로, 팔관회, 우란분재, 수륙재, 개산대재, 영산재 및 괘불재, 생전예수재 등을 들 수 있다. 불교문화축제는 불교의례에서 파생되거나 불교적 모티브를 차용하여 축제적인 요소가 강화된 것이다. 복합형 축제는 연등회, 대장경천년세계문화축전 등이 있다. 테마형 축제는 주제에 따라 사찰음식축제, 음악회형 축제, 생태자연축제, 낙화놀이 축제, 동제형 축제 등으로 세분화하였다. 불교축제의 발전 방안으로서는 종단차원에서 불교축제현황 파악과 홍보, 축제전문연구자나 기획자의 양성을 들었다. 사찰 내적으로는 축제의 지속성을 위해 개산대재와 같이 정기적인 의례와 결합하는 방안, 일반인 참여 확대를 위해 내재적 제약요인을 줄이는 테마축제를 기획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교의례나 불교문화적 요소가 담긴 축제는 고유성과 정체성을 견지해야 한다. 또한 축제 프로그램의 스토리텔링화를 통한 체계적 구성, 스토리메이킹을 통한 새로운 축제 영역의 개발과 창조적인 연출이 필요하다. 외적으로는 지역은 물론 지역축제와의 연계성을 높여야 한다. Existing research on Buddhist Festivals has been limited to specific festivals such as the Yeondeunghoe or the Palgwanhoe. This article focuses on the rites and cultural events that are a feature of Buddhist festivals. In terms of classification, the festivals that mainly involve Buddhist rites are classified as Buddhist Ritual Festivals, and the festivals that are associated with Buddhist cultural events are classified as Buddhist Cultural Festivals. According to the content of festivals, they are classified as either complex or thematic in form. In addition, festivals can also be classified as either diachronic or synchronic festivals, but this article does not deal with that type of classification. Buddhist Ritual Festivals include Palgwanhoe, U’ranbunjae, Suryukjae, Gaesandaejae, Yeongsanjae, Goibuljae, and Saengjeonyesujae. Buddhist Cultural Festivals began as Buddhist rites but the festival elements have been strengthened. Examples of such complex-form festivals include the “Lotus Lantern Festival” and the “Millennial Anniversary of the Tripitaka Koreana.” In addition, when it comes to the thematic form, festivals are subdivided into temple food festivals, concert festivals, ecological festivals, fireworks festivals, and village ritual festivals. In order to improve Buddhist Festivals, this article suggests an investigation into the current status of Buddhist festivals at the level of religious organization,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Buddhist festival calendars, and the training of festival experts and planners. Within temples, festivals need to be combined with regular rites, such as the anniversaries of temple foundations, to ensure their continuity, and temples need to plan thematic festivals in which intrapersonal constraints are minimized to ensure the greater participation of ordinary people. However, uniqueness and identity are still important. This article also suggests the systematic composition of festival programs and the development of new types of festivals through the techniques of storytelling and story-making. Looking outward, connectivity with adjacent regions and other regional festivals should also be impro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