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近代以來中國戱曲在韓國的演出及影響

        오수경 ( Oh Soo Kyung ),신재광 ( Shin Jaegwang ) 한국중국학회 2017 중국학보 Vol.81 No.-

        本文在20世紀以來將近一個多世紀西化爲大方向的韓國歷史中,從文化藝術,尤其戱曲藝術部分入手探討韓中戱曲藝術的接觸、影響和交融問題。在此分四個時期進行討論;第一,20世紀初淸人演出,第二,韓國戰爭時期中國志愿軍慰問團演出,第三,南北分斷后韓中建交以前在南韓的中國戱曲演出,第四,韓中建交以后至今的中國戱曲演出。在這四個時期有過較集中的接觸,一定産生有意義的交流。第一時期,對韓國傳統演唱藝術從板蘇利轉變到唱劇有所刺激。第二時期,中國著名演員組織慰問團訪問戰爭中的北韓進行演出,除了中國支援軍以外,北韓的老百姓也有机會接觸大藝術家,一定有所感受。第三時期,韓國正尋?民族文化認同的時期,中華民國國劇團來南韓進行友好演出,韓國觀衆有机會接觸到作爲“國劇”的京劇。第四時期,由中國大陸演出團來韓演出,劇種更豊富,還接觸的更深入。第三、四時期,韓國戱劇界才開始關注中國戱曲的美學和表演體系。 約一個多世紀,中國戱曲在韓國舞台上亮相,主要兩方面引起了韓國戱劇界的關心。一方面注意到中國戱劇劇目的豊富,一方面注意到中國戱曲的舞台美學。當然在韓國舞台上,沒有唱功武功的基礎,无法照樣演出中國戱曲,只能採用話劇方式演出中國劇目。以長期接觸爲基礎,2015年終于出現一台再創作中國古典戱劇的戱:≪趙氏孤兒―復仇的種子≫,得到空前的成功。雖不是戱曲或者唱劇,但是?好地繼承了元雜劇≪趙氏孤兒≫而更加深內涵的現代東方戱劇。從這一部戱卓越的成就,中國古典戱劇在韓國重新得到關注。 Korea and China has a long history of exchanging culture. From ancient times, There were intimate communications of music, dance and plays till now. But after the Chinese drama become mature, because the differences of language and music between two countries become too big to interchange and be enjoyed, so the real meaningful exchange of drama between two countries rebegan after 20<sup>th</sup> century. At the beginning of 20<sup>th</sup> century, the Pan-sori(Korean storytelling performance genre of monodrama) singers tried to create a new theatrical performing form from Pansori. But scholars only estimated the influence of Japanese modern theatre which learn much from western civiization and neglected the influences of Chinese drama. Because the singers;Kim Changhuan, Kang Yonghuan, Yi Dongbaik, often visit Chinese theatre and watch the Peiking opera: the three kingdoms which is also one of the five representative repertoires of PanSori. They must be deeply impressed by the way how the Chinese actors in roles perform and began performing in roles. During the Korean war, Chinese actors organized the performing troup to entertain the soldiers three times. At the third time, many famous actors such as Mei Lanfang, Zhou Xinfang came and they not only perform for Chinese soldiers but also for North Korean soldiers and peoples. It was a rare chance for North Korean to meet the great actors and to learn what the actor means in Chinese theatre. After the war, Korea and the Republic of China has good relationship and often exchange the cultural performances. Though R.O.C. had retreated to Taiwan, they tried to succeed the Chinese culture for their identity. They called Peiking Opera as “National Opera”. It became a good model for Korean to establish the Korean national culture. After Korea and P.R.C. established the relationship in 1992, we had chances to watch more diverse performances of Chinese Theatre including many kinds of local theatres. We got some knowledge of diverse culture of China and also got to know more about the aesthetics of Chinese theatre. After more than 20 years experience, in 2015 The National Theatre of Korea staged the Chinese classic The orphan of Zhao Family, and got a great success. It means we can interpret and perform Chinese classic very meaningfully and creatively on our stage not only for contemporary Korean audience but world audience including Chinese people.

      • KCI등재

        한인제재 소설에 나타난 한국인식 : 중화사상을 중심으로

        정영호,엄영욱 한국중국소설학회 2005 中國小說論叢 Vol.22 No.-

        本文將古代中國人對韓國的認識和近現代中國人的韓國觀, 與中華思想連繫起來進行了分析,幷以此爲依據, 考察了中國作家對韓國的認識. 在古代中國人的頭腦中, 韓國包含在天下的槪念之中; 到了中世, 由於宗藩關係, 韓國被看作是中國的附屬國; 而近代, 韓國有時被當作爲中華的一個支流, 有時被當作邊夷, 有時又被當作第三者意義上的弱小國中的一個民族. 近代中國作家對韓國和韓國人的認識正如韓中近代史上出現的殖民和民族, 近代和超近代同時存在一般, 互相뉴合, 複雜多樣. 1919年以後的現代文學作品主要描寫的是抗日運動, 朝鮮民衆的悲慘生活, 韓中兩國人民的友誼等, 因爲都是屬於被壓迫的民族, 自然産生同病相憐的感情, 所以作品中隱含著國際主義聯合的意向. 而當代文學, 49年以後出現了大量的韓國人和韓國題材的作品, 其韓國觀仍然擺脫不了認爲韓國是中國蕃屬或中華的一個支流的觀念. 這個時期形成的中國人的韓國觀一直持續到實行改革開放政策的1978年. 78年的改革開放政策成爲中國人重新認識韓國的契機. 但是, 中國的自尊心和中華思想隨著經濟的發展隨時都有膨脹的可能, 東北工程就是一個證據. ‘東北工程’, ‘愛國主義’, ‘中華主義’等等, 用語雖然各各不同, 但却存在著一定的指向, 隱含著中國通過加强精神武裝占居21世紀亞洲和世界盟主地位的覇權主義意識. 中國的愛國主義以傳統中華思想爲基柱, 可以說是一個現代版的新中華主義.

      • KCI등재

        중국 역사교과서로 본 현대한국

        이재령 한국중국학회 2011 중국학보 Vol.64 No.-

        改革開放以後, 通過敎學課本可以淸楚地看到中國對韓國的認識和與韓國的關系. 1978年以前, 在中國敎科書中有關韓國的內容僅限於和抗原援朝有關的內容. 改革開放以後, 中國的敎科書中才開始出現有關韓國經濟發展和國際合作關系, 政治民主化和南北關系的改善等方面的內容. 最總重要的是, 中國將韓國經濟高度發展的過程作爲中國的發展目標賦予其積極的意義. 盡管出版社不同, 但是在 [曆史], [中國曆史], [世界曆史], [世界近代史], [曆史與社會]等大多數敎科書中都不惜筆墨地對韓國的經濟發展進行了正面的評價, 其內容具有如下特點. 盡管是在社會主義體制下, 中國現在的曆史敎科書的內容在保持作爲長期曆史傳統的鑑戒主義和經世致用的精神的同時, 或以實用主義將其替代或將其與愛國主義融合. 此外, 爲了中國的成長與發展,在大部分內容中將韓國作爲發展目標的同時也將其作爲反面敎材使用. 具體內容, 第一, 改革開放以後,中國將包括韓國在內的亞種四小龍作爲本國發展的目標. 第二, 中國的傳統文化和知識遺産影響了亞洲的發展中國家, 使固有的中華意識得以體現。第三, 在中國體現自身國際地位的過程中, 韓國被描述成爲卽是其比較對象又是其競爭對手。此外, 對於韓國的描述過多著重於經濟生長方面, 忽視了政治和社會方面的變化。第四, 通過韓國的發展和挫折以及各種社會現象等對於將來有可能在中國發生的危機和混亂采取預防措施。中國敎科書中描述的此種內容和認識態度表象上表現爲對韓國的友好和積極的態度, 但不能忽視其最終目的在於給本國人民灌輸愛國主義和民族主義細想。中國改革開放以後, 關於現今韓國的內容的描述, 無論是表象上或是實質上, 與之前確實有了明顯的差別, 實用主義路線在敎材中明顯地體現。我們的工作在於正確地判斷나種才是其眞實的態度, 幷且采取適當的應對方法。21世紀, 對於以大國主義爲意向的中國全方位的(膨脹)擴張路線, 我們應該不斷地回顧我們的過去和現在爲了將來做准備。這就是由堅인的生命力和大度的包容, 自我變用(渗透)所産生的創造力。我們的任務不僅僅是在經濟發展方面成爲典型, 而是在經濟穩定發展的過程中, 對於政治民主化和人權, 自由, 福利, 和平, 環境保護等方面也要實現穩定的發展, 使韓國現代社會的繁榮昌盛和全方位均衡發展得以體現。

      • KCI등재

        중국어 단모음〔a〕,〔i〕,〔u〕에 대한 한국인과 중국인의 발음 대조 연구

        李美京 한국중국어문학회 2005 中國文學 Vol.43 No.-

        本論文的目的在于分析韓漢兩語的單元音[a], [i], [u], 用對比的方法給學習漢語的韓國人提供能够把握韓漢兩語[a], [i], [u]的特点的參考資料. 本論文要對比分析韓國人和中國人的[a], [i], [u]的异同, 查看其异同時 使用聲學語音學的方法, 以便仔細考察各元音的動程和實際舌位. 從語圖把握共振峰數据, 對比男女之間的异同和隨學習時間不同而所出現的异同. 根据分析結果, 學習漢語未滿1年的和學習漢語已有5年以上的韓國男人的[a], [u]的舌位不到位, 前者高于中國人, 后者比中國人往前走移. 總而言之, 韓國男人的開口度不大于中國人, 韓國男人[a], [i], [u]的發音不如韓國女人。 韓國女人的[a], [i], [u]不分學習時間的長短都比較好.

      • KCI등재

        “중화주의(中華主義)”, 한국(韓國)의 중국(中國) 상상(想像)

        유경철 한국중국어문학회 2005 中國文學 Vol.44 No.-

        在韓國,`中華主義`這個槪念是在描述或解釋中國的各種情況上最容易又最廣泛給使用而接受的。這時,`中華主義`露出韓國人心理上對中國的岐視和仇視,而且`中華主義`這個槪念的反復使用再産生對中國的韓國人的偏見和誤解,`中華主義`說法已經變成了在韓國的中國理解和硏究上的一種障碍。所以要突破,克服`中華主義`說法的努力不但在追求兩國互相理解和發展上, 而且在韓國人超越自國中心的狹隘觀念上再不能忽視的。 韓國的`中華主義`說法是?美國爲主的西方國家的`中國威脅論`一脈相通, 依?這種說法,中國在經濟上的快速發展和世界政治上的影響力擴大局面是讓他們國家提出這種說法的主要的原因。 `中華主義`和`中國威脅論`是從在全球化的國民國家體制上不可避免的各國之間的利益沖突和對峙局面上被造成的一種`中國想象`或者對中國的岐視。而且這種說法和各國內部的`愛國主義`結合起來更加强化其說服力。 在韓國,`中華主義`說法是好像從歷來中國侵略韓國的歷史記憶上制造出來的。看起來,韓國人按照這種歷史記憶 一直以爲中國是一個韓國的敵對國家,中國還保有侵略的因素。可是仔細觀看歷史上的經過,我們會發現把中國看成一個敵對國家歷史上沒有那?深遠的。古代韓國, 比如朝鮮, 總是要?中國維持友好關系, 當時人仇視的不是中國(漢族王朝),而是中國歷史上的異族國家。他們從華夷論的觀点上,自己要認同漢族國家和其文化,進而把其他異族看成野蠻人。`中華主義`這種想象從把異族的野蠻和侵略的形象轉成中國的代表表象才開始的,而且這種新的中國想象的出現是和韓國戰爭以后韓國的政治情況和國家意識形態上的定位有密切的關系。

      • KCI등재

        辛亥革命以來韓中關系史硏究與初中曆史敎育

        임상범 한국중국학회 2011 國際中國學硏究 Vol.14 No.-

        近來韓國明顯對國家的歷史敎育進行著反省, 幷有些人提出, 借助``東亞``這一假象槪念對於國家的歷史認識進行反省的同時, 從市民的觀點樹立新的歷史認識作爲代替方案。進一步, 站在韓國史的立場上利用東亞史補充一國史。其方法有比較史, 硏究區分時代的空間範圍, 分析文化交流的理由和或成。령一方面, 從1980年代後期開始, 韓國的中國史界提出新的中國史硏究方向, 卽比較史作爲建立``東亞的歷史像``的方法。後來中國近現代史學界進行了若幹個有關比較史的硏究。在這一情形下, 從2011年開始, 初中的韓國史與世界史合幷成爲一個歷史課本。從 2012年開始高中二、三年級將``東亞史``規定爲選授科目。這一科目的敎育目標爲``從過去開始相互間緊密交流……對於東亞共同歷史形成的整體性進行深層的理解幷尋求地區共同發展與和平``。但是在選擇敎材具體內容方面有了一些苦惱, 提出了有必要跨越國家與國家之間的界線擴大硏究, 變化硏究模式。幷且不要單純地比較史, 有必要對外交文化的收容、變化過程、社會化等進行敍述的同時, 通過타有必要促使國民國家之間進行視角相對化的交流史。或許人們對於交流史的歷史敍述可否代替傳統的民族史的광架會表示質疑, 不過地區和地區之間, 國家與國家之間, 文明與文明之間的交流史硏究才剛剛開始。那마東亞史硏究作爲比較史與交流史的重要課題所强調, 關系史在當今的學術界有何種意義? 到目前爲止除了一國史的硏究之外, 對於關系史的硏究站明顯多的趨勢。對於關系史的硏究進行再硏究, 以此爲基礎有必要議論以後즘樣進一步硏究關系史。不僅如此, 根據已有的有關關系史的硏究爲背景, 有必要考慮以後즘樣進行比較史和交流史。本文整理辛亥革命以後的韓中關系史, 幷硏究這一問題在韓國初中課本中즘樣出現的, 從而影響幷促進歷史敎育及中國近現代史的硏究。作者首先將韓國的中國近現代史辛亥革命以來韓中關系史硏究與初中曆史敎育 251 學界的硏究作爲硏究範圍。首先在第二章我們將根據在韓國進行的近現代韓中關系史硏究作爲學術背景, 提出作爲韓國人該즘樣完成硏究中國近現代史提出問題, 幷且硏究``東亞話語``對中國近現代史硏究有나些影響。第三章和第四章對近現代韓中關系硏究的所有成果及其硏究動向對關系史硏究帶來的影響進行考察。最後第五章, 考察卽將使用的 2012年初中敎材《歷史》(下)中的有關韓中關系史的內容, 爲了歷史敎育的發展, 韓國的中國近現代史硏究者們應該做些什마就這個問題進行討論。今後, 作者在硏究當中也將會反映這一問題。

      • KCI등재

        개혁개방 이후 한국을 바라보는 중국의 눈 읽기

        이종민 한국중국문화학회 2003 中國學論叢 Vol.15 No.-

        本論文以改革開放以后中國對韓國的理解方式爲論題. 中國對韓國的認識改革開放以后有深刻的變化. 改革開放以前, 在中國的眼里的韓國是以美國爲中心主義的資本主義體制下的邊緣國家或貧窮的敵對國家, 這都是受冷戰體制以及北韓的國際關系之影響. 但是改革開放以后, 這樣的觀點逐漸生産了變化, 這和中國對韓國經濟發展濃厚興趣有密切關系. 隨着冷戰體制的結束與再編入到資本主義世界主導制, 中國改變了對韓國的否定的觀點而重新理解韓國肯定的一面. 這在八十年代主要表現爲在經濟方面承認韓國的成就, 九十年代以后對韓國的關心擴展到政治, 社會, 曆史, 文化等諸領域, 在相互理解和文化交流之基礎上韓國關系得以重建. 特別是九七年以來,在中國的謂韓流現象的影響下, 對韓國的關心更廣範化. 可是韓中兩國的相互理解還存在着偏見和誤區.因此韓中雙方需要反省對對方的偏見和誤解, 而且在相互理解之基礎上再構公正的和連帶的韓中關系, 這就是我們時代必須解決的曆史使命.

      • KCI등재

        談現行汗字的規範化 ―關于汗字的“古異今混”部件

        장소격 한국중국학회 2013 國際中國學硏究 Vol.16 No.-

        현대 사회와 현ㄴ대 과학 기술 발전의 필요에 부응하기 위해 국제 표준화 기구는 세계 각 국의 주요 언어의 부호(간체자 번체자 포함) 및 부가 기호로 전 세계의 모든 언어를 하나의 코드로 만들었다. 중국 대륙과 대만, 일본과 한국 등의 국가 그리고 지역의 표준 한자를 한 국네데 모아 놓고, 추상자형이 서로 일치한 글자에 하나의 코드를 부여하여 <중 ·일·한통일한자코드표>(또는 CJK코드표라 한다.)를 편찬하였다. 각 국 혹은 지역의 자형 범위의 표준이 다르기 때문에 제공되는 문자 부호 자형은 완전히 같지 않다. 특히 중국 대륙과 대만 자형은 매우 뚜렷한 차이가 있고, 동일한 코드의 한국과 일본 문자 자형은 계통성과 법칙성이 결여되어있다. 본 논문은 중국 대륙과 대만 사이에 차이가 있는 자형을 표준으로 삼아 한자의 "고이금혼" 부분을 정리하였는데, 일본 ·한국의 동일한 코드 자형을 참고하여 자형의 변천 과정을 묘사하고 이러한 변천 과정의 원인을 분석하고 한자 발전 과정서 자형 변화의 가치와 제한을 평가하고 우세한 자형의 특징을 밝혀 현재의 한자자형의 표준화를 위해 참고하고자 한다. 중국 대륙과 대만 자형의 차이를 만든는 "고이금혼" 부분에는 月과 □, 舌과 □, □과 □, □과 □, 豊과 豊, 豊과 □, □과 日, □과 □, □과 □, □과 □(□), □과 靈, □과 □, □과林이 있다. 이러한 "고이금혼"부분에 대해서 중국 대륙은 전통 자형의 기초를 존중하는 의미에서 "문자"와 "뜻"이 서로 뒤섞이지 않고 오해를 불러일으키지 않는 전제아래 이러한 부분을 두 개를 하나로 합쳤다. 그리고 문자 부호 부수의 간명성과 체계성을 유지함으로써 단지"□"의 35개의 글자가 문자부호의 체계성을 파괴시켰을 뿐 일본 ·한국의 자형 그리고 중국 대륙의 자형은 대체적으로 비스하다. 그러나 소수를 제외하고 대만은 자형의 고의적인 분별작업을 진행하였는데 이러한 구분은 문자학의 글자 근원 연구에 큰 개우침과 의미가 있다. 그러나 정보화 시대의 분자로의 응용에는 실용적인 가치가 없고, 문자를 기억해야 될 부담만 늘었다. 爲了適應現代社會和現代科技發展的需要,國際標準化組織爲世界各種主要語文的字符(包括繁簡汗字)及附加符號,編訂了全球所有文種的統一編碼。將中國大陸和臺灣、日本及韓國等國家和地區的標準汗字放到一起,將抽象字形相同的字作爲一個字幷給予一個編碼,編制了《中日韓統一汗字字符集》(又稱爲“CJK字符集”)。由於各國或地區字形規範的標準不同,所提供的字符字形就不完全相同。尤其是中國大陸和臺灣字形呈現出鮮明的差異,同編碼的韓國和日本文字字形缺乏系統性、規律性。本文却以中國大陸和臺灣的差異字形爲標準梳理汗字的“古異今混”部件,參照日本韓國同編碼字形,描寫字形演變的軌迹,探究這種演變的成因,評價字形變化在汗字發展史中的價値和局限,指出具有優勢的字形特點,以期對當前的汗字字形標準化、規範化有所參考借鑒。造成中國大陸和臺灣字形差異的“古異今混”部件有:月與、與、與、□與、□與□、豊與豊、豊與豊、□與曰、□與□、□與□、亦與( )、괘與靈、與靈、臼與、與林。對這些“古異今混”的部件,中國大陸在尊重傳統字形的基礎上,在不引起字義混淆和誤解的前提下,將這些部件都合二爲一,以維護字符部件的簡明性和系統性,只有從“□”的字破壞了字符的系統性;日本韓國字形和中國大陸字形基本相同,但存在少數例外;臺灣都從字形上進行了刻意的區分,這樣的區分,對文字學的字源硏究具有啓發意義,但對資訊化時代的文字應用沒有實用價値,徒增記憶的負擔。

      • KCI등재

        初級漢語語音敎學硏究 ― 以音節爲中心

        신경선 한국중국언어학회 2016 중국언어연구 Vol.0 No.63

        본 논문은 한국인 중국어 학습자의 중국어 발음 학습 과정 중 흔히 발생하는 주요문제점에 대한 논의로써, 주로 초급 학습자의 중국어 음절 학습 시 발생하는 오류에 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 년 간 한국 대학생들의 중국어 입문 과정에 대한 고찰을 진행한 결과, 중국어 발음 중 [□]와 [□]로 발음되는 /i/모음을 포함한 음절, [□]로 발음되는 /a/모음, 혹은 /e/를 포함하고 있는 음절, ‘□’모음이지만 ‘u’로 표기되었을 때의 발음, 혹은 ‘-iu、-ui、-un’로 표기된 후의 발음, 개음 ‘u’, ‘□’와 자음‘r’로 구성된 무개음 음절의 발음, 한국어의 상용한자 중 중국어와는 동형이음자로 구성된 음절, 경성을 포함한 음절, 제3성으로 시작하는 2음절의 발음 문제 등이 가장 두드러진 현상으로 발견되었다. 이러한 문제들을 발생시키는 원인으로는 크게 한어병음 방안 표기법에 대한 이해 부족, 모국어인 한국어의 영향으로 야기된 오류와 연속적인 음절에서 발생하는 성조 변화 등이 주요한 것이었다. 교육현장에서 발견되는 문제점을 시작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기 까지 현재 중국어 발음 교육에 관한 논의의 대다수가 단순한 성모, 운모, 성조 차원의 것이었으며, 음절 차원의 논의는 현저히 부족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는 수 년 간의 자료 수집과 문제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인 학습자의 중국어 발음학습 상의 각 문제점에 대한 대응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려고 시도하였으며 이러한 시도가 향후 중국어 음절 발음 교육에 관한 새로운 관심과 논의를 일으키고 특히 한국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중국어 교재 편찬과 발음테스트 유형 연구에 과학적인 근거를 제시하기를 희망한다. 본 연구를 통한 발견 중 하나는 한국에서의 중국어 교육이 수 십년간 큰 성과를 거두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어 발음 교육에 대한 연구와 교재 편찬이 상대적으로 빈약한 상황이며 교육 현장에서 이론적으로 실무적으로 발음 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전문적인 교사 양성이 절실히 필요하다는 것이다. 현재의 조건 안에서 이상적인 발음 교육을 위해 한국인 교사와 원어민 교사가 협업으로 수업에 참여하는 방식도현재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한 방안 중 하나라고 제시할 수 있다.

      • KCI등재

        중국어 域外方言의 한국어에서의 활용 및 변화연구 : 韓國 初等學校 敎育用 漢字語의 動詞를 對象으로

        崔金丹 한국중국언어학회 2000 중국언어연구 Vol.11 No.-

        韓國和中國在地理位置上是不可分割的一部分, 在文化背景上又處於同一個漢字文化圈之內. 韓國從公元三世紀開始大量引進幷借用了中國的文字和詞彙. 因此, 作爲中國域外方言的韓國漢字語詞彙和中國語詞彙有着多關聯. 如兩國現用的多詞彙在外形上具有同類語素; 在內容上具有同樣或相似的含義; 在詞彙的用法上具有類似或不同之處. 本論文將中國域外方言-現用韓國小學敎育用詞彙中的 [名詞性詞根+動詞性詞尾(∼하다)] 型詞彙和現代中國詞彙進行了對比硏究. 根據所對比詞彙的外形, 含意, 詞性及用法進行了較細致的對比. 同形同素異義語. 本類型總69個詞彙, 占總對比硏究對象詞彙的百分之七點六三. 本類型在語素排列順序上對稱且相同; 在含意上具有較多的引伸義; 在詞性及用法上具有交叉或相反的特性. 本類型在對比硏究詞彙中所占比率居三, 且雙音節詞彙居多. 本論文總對比硏究語項共904項. 通過上述分類法, 總結出了以下兩點. 第一, 進行對比的韓中詞彙中, 占一半以上的詞彙, 在語素含意及詞性上相同或類似. 說明韓中兩國現用基本詞彙的用法上相同點居多, 這對於學習中文的韓籍學生構詞能力的提高上, 有較大幇助. 第二, 在對比硏究詞彙中有占總硏究詞彙百分之十一點五的104個詞彙, 具有較强的流動性. 這些詞彙所包含的意項較多, 詞性不穩定, 用法也隨之變化. 因此對於學習中文的韓籍學生來說是較難掌握的部分. 本論文只是對現用中國域外方言-韓國小學敎育用詞彙中的 [名詞性詞根+動詞性詞尾(∼하다)] 型詞彙和現代中國詞彙進行了對比硏究. 因數量過多, 沒能將全部韓國漢字詞和中國語的詞彙進行對比. 如有機會的話, 筆者將從整體的角度出發, 對此硏究進行更加廣範及深入的硏究.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