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간가족(The Family of Man)’전의 이면

        김나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Family of Man, which was planned by Edward Steichen(1879-1973), the director of Department of Photography at the Museum of Modern Art(MoMA), in 1955. After a huge success at the museum, the photography exhibition went on a tour around 38 nations in the world under the sponsorship of the United States Information Agency(USIA) for seven years. There is no doubt that it's one of the monumental blockbuster exhibitions in the 20th century with the total visitors of nine million. Such a popular success and personality, however, rendered the exhibition familiar and not fully understood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to the temporary conditions of the exhibition, the fact that the exhibition didn’t deal with the complete works of consistent artists made it rather difficult for the conventional art critics to cover it. Consisting of 503 works by 273 photographers, the exhibition had a variety of status and origin of the photographers and photos, which didn't allow the critics to regard them as consistent ‘artistic works’ by an ‘artist.’ Thus this study tried to deal with the exhibition as a kind of text telling a story of America and arts in the 1950s covering the entire tour from 1955 to 1962 and assuming the curator Steichen as the text's author. Accordingly it reorganized an artistic exhibition that doesn’t exist any more in the context of the world history and artistic history of the times. The operation was intended not only to interpret the hidden sides of the exhibition, which treated the ‘history’ of mankind of the times as the ‘mythology’ that mankind was one family, but also to reveal that America’s modernist arts and modern museums that argued for only ‘arts’ with the exclusion of ‘politics’ were actually the products and devices of the mainstream ideology that they belonged to. Based on the previous discussions that took a critical approach to the exhibition in the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context, the study attempted to find the position and meanings of the exhibition in the history of American’s modernist arts. The impulses of antinomy inherent in modernist arts were detected in that MoMA applied the opposite positions of depoliticized aesthetics and propaganda to its ‘paintings’ and ‘photos’ respectively during the period of the exhibition. Thus the study considered the history of paintings and photos, which the conventional formalistic criticism tried to separate, as the relational terms tangled up with each other in the cultural policies during the Cold War period. For the discussion purposes, the background of planning the exhibition was reviewed. The United States gradually formed its national identity called Americanism as there came the Cold War period after the Second World War under the social situations in the 1950s. The background of the exhibition was also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arts history through the process of America’s modernist arts being institutionalized in MoMA and photography being integrated into arts there. It was under those contexts that The Family of Man held in MoMA was analyzed in details. The conviction in the objectivity of photographs that made the materials of the exhibition was established by the identity of photographers during the Golden Age of photojournalism after the war, the institutional device such as publications, and social discourse. The installations of the exhibition had popular features added to the abstract forms of Modernism. It’s also pointed out that the exhibition’s narrative based on the objectivity of photography and modernist aesthetics was nothing but the mythology of sentimental humanism that would erase the unique historical situations. In other words, the university of the worldwide ‘Family of Man’ that the exhibition tried to talk about was none other than the American vision for the ‘one world’ or Americanism in the end. That’s how the exhibition ended up with being used as a tool of cultural imperialism on a world tour sponsored by the USIA. Through the research process, the investigator tried to discuss The Family of Man as a case of Americanism’s propaganda. The trial derived from the expectation to open a place of criticism by juxtaposing the demographic potential inherent in photos, the medium of mechanical reproduction, and an exhibition at a public museum with the ideology of power that prevented the potential from being implemented. It’s also noted that The Family of Man employed the approach of mixture occupying the middle zone among the opposite terms comprised of antagonistic elements such as fine and propaganda art, high and low culture, and culture and exhibition value. The exhibition seems to take a unique position in the history of America’s modernist arts in that it put modernist arts to perversion and contamination crossing the boundaries of the dichotomous opposite terms of Modernism. Such an evaluation is not an attempt to include The Family of Man in the expanded examples of the success of America’s modernist arts. On the contrary, it’s a trial to shed light to the different sides of the history of America’s modernist arts by regarding the exhibition as a case where the purity of Modernism was contaminated and an example of the ‘culture value’ of a modern arts museum being damaged. 본 논문은 뉴욕 현대미술관(Museum of Modern Art)에서 1955년에 사진분과 디렉터인 에드워드 스타이켄(Edward Steichen, 1879-1973)에 의해 기획된 ‘인간가족(The Family of Man)’전에 대한 연구이다. 이 사진전은 현대미술관에서 대성공을 거둔 이후 7년간 미국 공보처(USIA)의 후원 아래 38개국에 해외 순회되며 총 900만 관람객을 동원한 20세기의 기념비적인 블록버스터 전시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대중적 성공과 대중적 성격은 오히려 이 전시를 친숙하면서도 불충분하게 이해하도록 하였다. 더욱이 전시라는 일시적 상황과, 일관된 작가에 의한 완결된 작품을 다루지 않은 전시의 특성은 기존 미술 비평에서 다루기에는 다소 껄끄러운 것이었다. 왜냐하면 전시는 273명의 사진가들에 의한 503점의 사진으로 이루어졌는데, 이 사진가와 사진이라는 것도 그 위상과 출처가 다양하여 ‘예술가’의 ‘예술 작품’으로 일괄하여 볼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는 연구대상을 1955년부터 1962년까지 순회되어 나간 전시의 행적 전체로, 전시의 저자를 큐레이터인 스타이켄으로 보고, 이 전시를 1950년대 미국과 미술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는 일종의 텍스트로 다루고자 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지금은 존재하지 않는 한 미술전시를 당시의 역사적 그리고 미술사적 맥락 속에서 재구성해본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당대 인류의 ‘역사’를 인류는 한 가족이라는 ‘신화’로 다룬 전시의 이면을 해독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정치’를 제거한 ‘예술’만을 주장한 미국 모더니즘 미술과 모던 미술관이 사실은 그것이 속한 주류 이데올로기의 산물이자 장치임을 드러내기 위함이다. 특히 본고는 이 전시를 정치, 사회, 경제적 문맥 속에서 비판적으로 바라본 이전의 논의들을 바탕으로 삼아, 전시가 미국 모더니즘 미술사 내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그 의미를 찾아보고자 했다. 이는 전시를 개최한 이 시기의 현대미술관이 탈정치화된 미학과 정치 선전이라는 상반된 입장을 ‘회화’와 ‘사진’에 각각 적용시켜 동시에 취한 데에서, 모더니즘 미술에 내재된 이율배반적 충동을 볼 수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형식주의 비평에서 분리시키려 했던 회화사와 사진사를 냉전기 문화 정책 안에서 서로 얽힌 하나의 관계항으로 보았다. 이와 같은 논의를 위해, 먼저 전시의 기획 배경을 살펴보았다. 1950년대 미국의 사회상황 속에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냉전기에 이른 미국이 아메리카니즘이라고 불릴만한 국가 정체성을 형성해갔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뉴욕 현대미술관 내에서 미국 모더니즘 미술의 제도화 과정과 사진이 이곳에 들어와 예술로 합법화된 과정을 통해 전시의 미술사적 배경을 구성했다. 이러한 맥락 속에서, 1955년에 현대미술관에서 열린 ‘인간가족’전을 구체적으로 분석했다. 전시의 재료인 사진의 객관성에 대한 신념은 전후 포토저널리즘의 황금기에 사진가의 정체성, 출판물과 같은 제도적 장치, 그리고 사회적 담론들을 통해 형성된 것이다. 한편 전시의 설치는 모더니즘의 추상 형식을 기반으로 하여 대중성을 가미한 것임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사진의 객관성과 모더니즘 미학에 기반을 두고 구축된 전시의 내러티브가 특수한 역사적 상황들을 지우는 감상적 휴머니즘의 신화에 다름 아니었음을 밝혔다. 요컨대 전시가 말하고자 한 전 세계적 ‘인간 가족’의 보편성이란 결국은 ‘하나의 세계’에 대한 미국적 비전, 즉 아메리카니즘에 다름 아니었던 것이다. 그리하여 이 전시가 미 공보처에 의해 해외로 순회되면서 문화제국주의의 도구로 귀결됨을 보게 된다. 이와 같은 연구 과정을 통해, 본 논문은 ‘인간가족’전을 아메리카니즘의 정치적 선전 사례로 논의하고자 했다. 이는 기계복제 매체인 사진과 공공 미술관 전시에 내재된 민주주의적 잠재력과 그 잠재력의 실현을 가로막는 권력의 이데올로기를 병치시킴으로써 비판적 장을 열길 기대한데서 비롯되었다. 또한 ‘인간가족’전이 순수미학/정치선전, 고급문화/대중문화, 제의가치/전시가치라는 서로 적대적인 요소들로 구성된 대립항들의 중간 지대를 점유하며 혼용의 방식을 사용했음에 주목했다. 이 전시는 모더니즘의 이분법적 대립항들의 경계를 넘나들면서 모더니즘 미술을 오용하면서도 오염시킨 점에서, 미국 모더니즘 미술사 내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이러한 평가는 ‘인간가족’전을 미국 모더니즘 미술의 성공의 확장된 예로서 포함시키려는 시도가 아니라, 역으로 모더니즘의 순수성이 오염된 사례이자 모던 미술관의 ‘제의 가치’가 훼손된 예로 봄으로써 미국 모더니즘 미술사의 또 다른 한 단면을 조망해보고자 한 것이다.

      • 대기업 소프트웨어 개발 연구원들의 명리학적 특성 연구

        김나정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누구나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직업으로 택한다면 일의 능률과 만족감이 높다는 관점에서 출발하였다. 우리가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한 직업이 적성과 잘 맞으면 전반적인 삶 자체가 풍요롭고 행복하다. 따라서 명리학 문헌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소프트웨어 개발 연구직 종사자들의 직업적성과 개인의 성향을 알아보고 명리학적으로 접근해보려 한다. 먼저 Ⅰ장 서론에서 선행연구를 살폈고, Ⅱ장에서 직업적성 관련 명리학적 이론배경을 검토했다. Ⅲ장에서 소프트웨어 개발 연구원들의 직업적성에 따른 업무수행능력과 성격, 흥미, 직업가치관, 업무활동 등을 정리하였다. Ⅳ장에서 30명의 소프트웨어 연구원들 개개인의 특성을 명리학적 특징들로 사례 분석하였다. Ⅴ장에서는 연구원들의 사례분석을 토대로 명리학적 특징을 정리하고 유사점과 공통되는 점을 찾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 개발 연구원으로 근무하는 사례자 30명의 사주팔자의 공통점을 찾아 명리학적 특성을 분류하고 정리하여 사례분석을 통해 연구해 보기로 했다. 명리학의 핵심을 담고 있는 원전을 통하여 음양오행론(陰陽五行論)의 일반적인 특징들과 선천직업적성의 상관성을 찾아 분류한다. 이는 음양오행(陰陽五行)이 명리학의 바탕에 있기 때문이다. 연구원들은 신체의 활동보다는 정신적으로 자신의 아이디어와 뜻하는 바를 표현하기 때문에 식신(食神)과 상관(傷官)이 발달하여 본인이 표현하고자 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으며, 여기에 재성(財星)이 결합되어 결과물을 만들어 내는 특징도 있었다. 명조에 재성(財星)이 없는 사례자도 있었으나, 그 경우에는 대운이 재성(財星)운으로 가는 사례자들이 많았다. 연구원들이 아이디어를 표현하고, 그 표출된 아이디어를 결과물로 나타내는 것은 식상(食傷)과 재성(財星)의 관계로 잘 이어진다. 물론 본 연구에서 100% 동일하게 결과가 나온 것은 아니며, 전혀 다른 결과를 가져온 사례들도 있다. 같은 일을 하는 연구원들이라고 해서 개개인이 똑같은 특징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지만 최소한의 공통분모를 찾아보려 한다. 현대사회에서는 직업의 종류가 다양하고 세분화 되면서 몇 년 전만 해도 존재하지 않던 반려동물 관리사, 유투버(You Tuber), 앱디자이너(App Designer), 웹툰 작가 등 다양한 직업이 등장한다. 이렇게 다양한 직업이 생겨도 누구나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자신의 적성과 맞아야 한다. 자기의 일이 천직이라고 생각하고 평생을 한 가지 일을 하는 사람도 있지만, 자주 직업을 바꾸는 사람들도 있다. 이런 것을 보면 직업과 사주(四柱)가 가지고 있는 개인의 명리학적 특성이 상관성을 갖고 있다고 생각한다. 명리학적 특성에 따른 직업 적성 중에서 명조에서 태과(太過)된 오행을 직업으로, 또는 십성(十星) 특성에 따른 직업적성, 격국(格局) 특성에 따른 직업적성 등 여러 가지 이론이나 기준들이 있다. 그러나 주관적인 관점으로 해석되는 부분이 상당 부분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이 같은 직종에 있는 연구직 종사자들 30명만을 분석하였기에 충분한 공통점을 연구하지 못한 점은 분명 한계가 있다. 앞으로 명리학적 특성에 따른 직업과 관련한 논문들이 지속적으로 연구되기를 바라며, 이는 명리학이 학문으로 발전하기 위하여 해결해 나아갈 부분이다. 명리학 고전 이론들의 논리성과 그 이론들에 관한 과학적인 분석을 체계화하는데 많은 연구와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하고, 다양한 분야와 상호 연구를 통한 명리학 저변 확대가 이루어지는 기반이 마련되어야 한다. 연구자 본인의 이해의 폭과 역량 부족으로 문헌자료와 사례분석 방법, 내용상 한계가 많음을 인정한다. 앞으로 발전된 연구들이 많이 나오길 바라며 각 분야별 전문직에 관한 명리학적 연구가 지속적으로 활성화 되어 명리학적 직업적성 이론들이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소용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idea that efficiency and satisfaction of ones’job are highly related to the ones’preference on the job itself. Generally, if a job suits one’s aptitude, it would lead the person to a better life. Therefore, the study tries to examine research workers' job aptitude and personality and approach them from the viewpoint of Myeongli Science based on literature on Myeongli Science and the precedent studies. First, Chapter I Introduction examined the precedent studies. Chapter II examined the background of the Myeongli Science theory related to job aptitude. Chapter III arranged software researchers' work performance according to job aptitude, personality, interest, occupational values, business activities, etc. Chapter IV contains a case study of 30 Software Engineers and their Myeongli Science characteristics. In Chapter V, based on the similarities and common features found on the study. In this paper, based on the common features of Saju(四柱) of the 30 persons who work as the software development researchers, we classified and arranged the Myeongli Science characteristics. And the Myeongli Science characteristics were studied by analyzing the cases. The study finds and classifies correlations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theory(陰陽五行論) and their inborn job aptitude through the original texts which are literature with the key points of Myeongli Science. It's because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陰陽五行) is the basis of Myeongli Science. This study shows that the researchers try to express their ideas and intention rather than their physical activities, siksin(食神) and sangkwan(傷官) were developed. In addition, there were the characteristics to create results as Jaeseong(財星) was combined. While there were persons without Jaeseong(財星) in Myeongjo(命造), but in this case, many persons' great destiny goes to Jaeseong(財星) destiny. The persons who express their ideas and show them as the results are well connect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iksang(食傷) and Jaeseong(財星). Of course, the study did not get the 100% identical results and there were the cases which drew the completely different results. Individuals do not show the same characteristics even though they are the researchers who do the same job, but the study tries to find minimum common denominators from them. As job types are various and subdivided in modern society, various jobs which did not exist several years ago including petsitters, You Toubers, app designers, webcomic artists, etc. have appeared. However, such variations do not guarantee the “job opportunities”, and a job must meet one’s aptitude. While some take their first job as a lifetime job, some change their jobs often. Considering such differences, this study focuses on the idea that one’s job may have a correlation with the Myeongli Scienc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s with Saju(四柱). In job aptitude according to Myeongli Science characteristics, there are several theories or standards including jobs of excessive(太過) five elements in Myeongjo(命造), job aptitude according to Sipseong(十星) characteristics, job aptitude according to Gyeokguk(格局), etc. However, the substantial parts are interpreted from the subjective point of view. The result lacks in terms of common features, since this study in solely based on the 30 engineers in a same field. So the researcher hopes that theses related to jobs according to Myeongli Science characteristics will continue to be studied. And this is the part which must be solved to develop Myeongli Science as learning. Many studies and great efforts are required to systemize logicality of classical theories of Myeongli Science and their scientific analyses. Hope this study leads to other collaborations on Myeongli Science. The researcher admits that the study has the limit in the bibliographic data, case analysis method, and contents because of lack of understanding and capability. Furthermore, we hope such Myeongli-based job aptitude researches are done on other areas, and be helpful on various job fields.

      • 앤 불린의 ‘광란의 노래’ 분석연구 : 도니제티의 오페라≪안나 볼레나≫와 라슨의 연가곡≪나를 심판 하소서, 선한 왕이시여≫를 중심으로

        김나정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16세기 튜더 왕조에 실존했던 여왕 ‘앤 불린’이 처형 직전에 겪었던 광란을 다룬 두 작품, 도니제티의 오페라≪안나 볼레나≫와 라슨의 연가곡≪나를 심판 하소서, 선한 왕이시여≫ 중 제2곡 ‘앤 불린’을 분석한다. 본문의 첫 번째 장에서는 앤 불린의 생애를 통해 그녀의 성격을 이해하고, 다양한 시대의 다양한 예술작품 속에서 재현되는 그녀의 이미지 변화를 살펴본다. 이를 바탕으로 그녀의 광기를 조명한 도니제티와 라슨의 작품의 배경을 이해한다. 본문의 두 번째 장에서는 도니제티의 오페라 중 2막 7장과 8장을 중심으로 안나의 광기가 벨칸토 스타일로 표현됨을 확인한다. 본문의 세 번째 장에서는 라슨의 연가곡 중 제2곡 ‘앤 불린’에 사용된 현대적 작곡기법의 특성을 살펴보고, 두 작품 모두에 적용된 인용기법의 의미를 탐구한다. 이 연구는 19세기 이탈리아 벨칸토 오페라와 20세기 미국 연가곡 속에서 앤 불린이라는 동일 인물이 서로 다르게 묘사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두 작품의 시대와 지역, 장르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표현기법의 차이를 비교 분석한다. This study examines Donizetti’s opera Anna Bolena, and Anne Boleyn of Larson’s song cycle Try me, Good King, two works that deal with the frenzy of Queen Anne Boleyn in the Tudor dynasty in the 16th century just before her execution. In the first chapter, we understand Anne Boleyn's life that had no choice but to go crazy by looking at the changes in her image in music, painting, movies, dramas and novels through the times. The second and third chapter analyze how Anne Boleyn's mad songs are expressed differently in 19th-century opera and 20th-century modern songs.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differences among the times, regions, genres, and gender of the two works that illuminated the mental breakdown of a real person named Anne Boleyn. This analysis method allows for an understanding that expressing the same situation differently is due to the musical style of the times beyond just the differences in the perspective of the individual composers.

      • 한국 관련 해외 수집 기록물의 이용자 서비스 개선방안 연구

        김나정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 관련 해외 수집 기록물의 이용자 서비스 개선방안 연구 근현대시기 굴곡진 역사적 흐름 속에서 우리나라의 기록물관리는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였으며, 따라서 이 시기 한국의 면면을 명징하게 재현해낼 수 있는 근거 및 증거로서의 기록물들이 다수 유실되었다. 이 같은 상황으로 인해 국내의 여러 기록물 수집기관들은 기록물의 부재로 인해 유실된 역사의 간극을 메우고자 특히 2000년대 이후 해외에 소재한 한국 관련 기록물들에 대한 수집활동을 활발히 이어오고 있다. 그런데 수집된 해외 기록물은 적극적인 수집활동에 비해 그 정리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가 충분히 효과적으로 이용자들에게 제공되고 있지 못한 측면이 있다. 이 같은 배경 아래, 본 연구는 한국 관련 해외 기록물의 활용 단계에서의 이용자 서비스 영역에 주목하였다. 특히, 기록정보서비스에 있어서 사실상 핵심 영역이라 할 수 있는 온라인 검색 및 열람서비스 영역에 있어 한계점을 살펴보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주요 기관별 해외 기록물 온라인 검색 및 열람서비스의 구체적인 사례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고안해내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먼저 2장에서는 한국 관련 해외 수집 기록물의 개념 및 정의를 살펴보았으며, 매뉴스크립트로서 해외 수집 기록물이 갖는 주요 특징과 이용자층 유추하여 서비스 제공 시 염두에 둘 점을 살펴보았다. 또한 국내 주요 국내 기관의 수집 및 서비스 현황을 살펴보았다. 이어 3장에서는 국내 주요 기관의 실제 온라인 검색 및 열람서비스 사례를 살펴보았다. 각 기관별로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하고 있는 해외 수집 기록물 검색 방식, 분류 및 기술 방식, 검색 시 제공하는 기술요소, 이용자의 검색을 돕기 위한 참고면담서비스, 온라인 열람서비스 등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3장에서 도출한 검색ㆍ열람 서비스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점들을 제언하였다. 우선, 검색 및 열람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 사전 준비 단계에서 개선해야 할 점을 살펴본 후, 실제 검색 및 열람 서비스 단계에서 개선해야 할 사항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관련 해외 수집 기록물의 구체적인 사례를 대표적 기관의 온라인 서비스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는 것에 의의를 둔다. 본 연구가 향후 유관 기관의 서비스 개선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 Study on Improving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of Overseas Korea-related Manuscripts In the bumpy course of the modern history, Korea's archival management was unstable and many records that vividly showed every aspect of Korea at that time were lost. In this regard, especially since after the 2000s, many archival agencies in this country have actively collected the Korea-related records located overseas to stop the historical gap left behind by the absence of such records. Unfortunately, despite their aggressive activities, the archival service, which is operated based on the organized management of the collected records, manuscripts, is not efficiently provided to the users who want to browse them.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takes note of the service for users who want to look at the overseas Korea-related manuscripts. In particular, the study identifies the limitations of the online search and browsing service which are the essential parts of the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and presents the improvement plans. To this end, the study examines specific cases of the online search and browsing service of the overseas manuscripts in Korea's major archival agencies and devises the improvement plans.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hapter Ⅱ examines the concept and definition of the Korea-related manuscripts collected overseas, identifies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them as the manuscripts, and by inferring about users, clarifies things to keep in mind when providing the service. It also looks at the current status of collection and service of Korea's major archival agencies. Chapter Ⅲ examines the actual cases of the online search and browsing service provided by Korea's major archival agencies. By referring to the web pages of the agencies, it looks at the methods of searching the manuscripts collected overseas, the methods of classification and description, description elements provided when searching, reference interview service to help users's search, and online browsing service Lastly, Chapter Ⅳ presented things to take into account to correct the problems of the search and browsing service drawn out in Chapter Ⅲ. It examines the things to be improved in the preparation for providing search and browsing service and then proposes the things to be improved at the phase of its actual provision.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that it analyzed the specific cases of the overseas Korea-related manuscripts focusing on the online services provided by Korea's major archival agencies and based on the results, proposed the improvement plan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related agencies to produce their service improvement plans.

      • 학교급식소 작업공정별 안전사고 실태 분석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김나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부산지역의 초‧중‧고등학교 급식소를 중심으로 작업공정별 안전사고 실태, 작업공정별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위험요인 및 개선사항을 파악하여 학교급식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개선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안전사고를 체계적으로 예방하기 위한 학교급식소 작업공정별 안전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영양(교)사 면담 및 영양(교)사·조리종사원 대상의 설문조사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산지역 초‧중‧고등학교 급식소의 최근 5년간 작업공정(6개 작업공정 및 23개 세부작업)별 안전사고 발생 현황을 분석한 결과, 안전사고 경험 있음이 75.6%, 없음이 24.4%로 나타났다. 직종별로 조리원(81.9%)이 영양(교)사(61.0%) 보다 많았고, 학교급별로는 중학교, 고등학교, 초등학교 순으로 많았다. 작업공정별 안전사고 발생횟수는 조리-튀김기, 배기설비 청소, 조리실 청소, 조리-부침기 순으로 많았다. 둘째, 작업공정별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위험요인 인식을 분석한 결과, 위험성 빈도 인식은 작업공정별로 조리-튀김기, 배기설비 청소, 조리-부침기, 야채절단기 순으로 높았다. 직종별로는 영양(교)사가 조리원에 비해 위험성 빈도 인식이 높았고, 학교급별로는 초등학교, 고등학교, 중학교 순으로 안전사고 경험과 반대의 순서로 나타났다. 셋째, 작업공정별 안전사고 발생 위험요인 분석 결과 근골격계질환 (12개 작업공정)이 가장 많이 나왔고 화상 및 화재(9개 작업공정), 바닥 미끄럼(6개 작업공정), 넘어짐(4개 작업공정)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급식소 안전성 확보를 위한 작업공정별 개선사항에서 주의집중(10개 작업공정)이 가장 많았고, 바닥재질 개선(5개 작업공정), 급식기구의 전기연료로 변경(4개 작업공정), 조리기구 교체(4개 작업공정)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급식소 바닥재질 개선을 위한 전문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많은 작업공정에서 바닥 미끄럼을 안전사고 발생의 주요인으로 꼽고 있음에도 현대화사업이 시작된 이후 15년이 경과된 현재까지 바닥재질의 변화가 거의 없는 실정이므로 바닥 미끄럼을 방지할 심도 있는 연구가 있어야 한다. 둘째, 학교급식소 급식시설·설비 및 조리기구가 전기연료로 점차 변경되어야 한다. 전기기구 및 설비 사용으로 조리장의 온도를 낮출 수 있고 가스에 의한 탄소 발생으로 인한 두통이 완화될 수 있어 안전사고 예방뿐 아니라 작업환경이 개선될 수 있다. 조리-회전식 국솥, 조리-튀김기, 조리-부침기 등 안전사고 발생 횟수가 많고 안전사고 빈(강)도 인식이 높은 작업공정부터 기존 가스식에서 전기식으로 조리기구를 변경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급식시설·설비 및 조리기구의 사용연한 기준을 보강해야 한다. 2∼3식 학교의 경우 급식시설·설비 및 조리기구 등의 사용횟수가 1식 급식학교에 비해 2∼3배가 되므로 2∼3식 학교의 급식시설· 설비 및 조리기구의 사용연한 기준을 그 만큼 단축해 주어야 2∼3식 학교 조리원들의 노후 급식시설 및 기구로 인한 업무 부담을 조금이라도 줄여줄 수 있다. 넷째, 위험구간 청소 용역 실시 및 애벌세척시스템 구축을 통한 청소업무 부담을 경감시켜 주어야 한다. 청소과정이 조리원들의 안전사고에 가장 취약한 작업과정임을 감안하여 용역 실시 및 자동화기기 사용 등으로 업무를 경감시켜 주어야 한다. 주제어 : 학교급식, 안전사고, 작업공정, 조리종사원, 영양(교)사, 급식시설 현대화사업, 작업환경 ※ 이 논문은 2019년 2월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석사(교육시설환경정책)학위 논문임.

      • 외상경험 개방에 대한 사회적 반응과 우울의 관계에서 외상 후 인지의 매개효과

        김나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외상경험 개방에 대한 사회적 반응 중 정서적지지 및 통제하기가 외상 후 우울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외상 이후에 자신과 세상에 대해 갖게 되는 부정적 신념 및 외상사건에 대한 자기비난을 하게 되는 외상 후 부정적 인지가 정서적지지 및 통제하기와 외상 후 우울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평생 외상사건을 1회 이상 경험한 적이 있는 만 19-29세의 성인 남녀 38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해 사용된 척도는 외상 체크리스트, 사회적 반응 척도(Social Reaction Questionnaire: K-SRQ), 외상 후 인지 척도(Posttraumatic Cognitions Inventory: PTCI), 우울 척도(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이다. 외상 후 인지 척도는 점수가 높을수록 부정적인 인지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기술통계와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주요 변인들에 대한 남녀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어 연구모형에 대해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적지지는 외상 후 인지 및 우울과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었고, 통제하기는 외상 후 인지 및 우울과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었다. 외상 후 인지와 우울 간에도 유의한 정적상관이 확인되었다. 통제하기는 정서적지지보다 우울과 더 강한 관련성을 보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긍정적 사회적 반응으로 인한 이득에 비하여 부정적 사회적 반응으로 인한 손실이 더 크다는 선행연구들과 일치했다. 둘째,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결과, 연구모형이 좋은 적합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적지지와 통제하기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 관계에서 외상 후 인지의 완전매개효과가 지지되었다. 즉 정서적지지 및 통제하기가 우울을 직접적으로 설명하지는 못하며, 오직 외상 후 인지를 통한 간접적인 경로를 통해서만 우울과 관련이 있다는 의미이다. 이는 외상경험 개방에 대한 사회적 반응이 인지적 재구성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이후의 심리적 적응과 관련을 가진다는 이론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셋째, 외상 후 인지와 우울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외상경험자 중 여성은 남성에 비해 자기와 세상에 대해 더욱 부정적인 신념을 가지고 있었고, 외상사건에 대한 자기비난이 더 높았으며, 더 우울했다. 외상경험을 개방한 이후 타인으로부터 받은 정서적지지 및 통제하기에는 유의한 성차가 발견되지 않았다. 넷째, 연구모형에 대하여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경로가 발견되었다. 정서적지지와 통제하기가 외상 후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정서적지지는 여성 집단에서 더 강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제하기에서는 성차가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외상 후 인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남성 집단에서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여성의 경우 정서적지지는 외상 후 부정적 인지를 완화하는 효과가 남성에 비해 크지만, 외상 후 인지가 우울을 설명하는 강도는 남성에 비해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외상경험 개방에 대한 사회적 반응이 외상 이후의 적응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외상경험에 대한 사회적 반응 중 정서적지지 및 통제하기가 외상 후 인지를 매개로 하여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모형이 확인되었다. 또한, 주요 변인들의 관련성 및 연구모형을 남성과 여성 집단으로 나누어 비교함으로써 성별에 따라 각 변인들 간에 존재하는 관계에 차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였다. 특히 여성이 남성에 비해 사회적 반응에 더 민감하게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추측에 대해 경험적인 확인을 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 among social reactions to trauma disclosures, posttraumatic cognitions, and depression. Based on previous studies, emotional support and taking control among seven factors of the social reactions were hypothesized to have relationship with depression, mediated by posttraumatic cognition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how gender affects the relationship.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with 385 young adults in Korea whose ages were between 19 and 29 who had experienced traumatic events more than once in a lifetime.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 composed of the Traumatic Event Checklist, the Korean version of the Social Reaction Questionnaire(K-SRQ), the Posttraumatic Cognitions Inventory(PTCI),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CES-D).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aking control, posttraumatic cognitions, and depression, but emotional support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ose variables. Second, the research model showed good fitness in the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both of emotional support and taking control affected depression. The full mediating effect of posttraumatic cognitions was supported. It means that emotional support and taking control explain the level of depression only through indirect path via posttraumatic cognitions. Third,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posttraumatic cognitions and depression. Women were more negative towards themselves and the world, more blaming themselves, and more depressed than men. However, there were no gender differences in emotional support and taking control. Fourth, the result of multigroup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Women’s posttraumatic cognitions were more affected by emotional support than men, and men’s depression was more affected by posttraumatic cognitions than women.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how the social reactions to trauma disclosures affect the psychological adjustment after experiencing traumatic events. Among the social reactions, emotional support and taking control especially had relation with depression fully mediated by posttraumatic cognitions. Furthermore, the study also examined the gender differences of the structural relation among major variables.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assumption about gender differences in sensitivity to the social reactions.

      • 박완서 장편소설의 서사전략 연구

        김나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박완서 장편소설의 서사전략 연구 이 논문은 박완서 장편 소설에 구사된 서사전략을 분석하여, 작가가 자신의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독자에게 전달하는 방법은 무엇인지를 살피고자 했다. 박완서 장편소설은 서사 배치 형식에 있어서 순차적 구성방식을 취한다. 시초로부터 출발하여 발생순서에 따라 사건을 배치하는 구성방식은 가장 일반적인 것으로서 다음에 일어날 일에 대한 호기심을 자아내 가독성을 높이게 된다. 또한 시간 순서에 따른 사건의 누적에 따른 구성방식은 박완서 장편소설에서 나타나는 여로 형 구조와 성장소설, 가족사 소설의 소설형식과도 결부되며 기억의 복원을 통한 자아의 서사와 탐색의 과정을 통한 문제의 발견 서사에도 유용한 이야기 구성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서사의 배치 형식에 있어서, 박완서 장편소설의 서두는 갈등상태에 놓인 인물의 제시로 시작되는 경우가 두드러진다. 대립되는 두 인물이나 내면과 외면의 불일치를 보여주는 인물, 균형이 깨진 상황에 직면한 인물이 등장한다. 인물의 갈등은 서사를 추동하는 원동력으로 작용하게 되며, 갈등의 성격은 소설 전체의 주제의식과 결부되어 인물이 문제를 발견하고 이를 해결해나가는 과정이 소설의 큰 줄기를 이루게 된다. 인물의 결핍이나 모순 양상에 초점을 두는 경우나 균형 파괴 상황에 대한 제시 역시 결핍을 메우거나 모순을 극복하거나 균형을 찾는 방향으로 서사가 진행되는 원동력이 된다. 결말에서는 작가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집약되어 의미화의 전략이 두드러진다. 대화형식으로 인물의 입을 통해 주제를 들려주거나 글쓰기를 선택한 주인공에 의해 이 작품이 가진 의미를 하거나 요약하는 경우가 나타난다. 희생양 역할을 하는 인물의 죽음으로 마무리되는 경우, 연민과 두려움의 감정을 자아내 독자의 공감을 얻어내고, 감정적으로 고양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죽음은 삶의 의미를 되짚거나 화해의 국면을 마련하는 계기로 작용한다. 문제발견이 증시되는 작품의 경우에는 결말 부분에서 잠정적인 해결책이 제시된다. 서두와는 다른 상황에 놓이게 하거나 이상적인 장소의 선택, 주제를 나타내는 상징물의 변주를 통해 열린 결말의 방식을 취하기도 한다. 박완서 장편 소설의 서사전략은 작품이 수록된 매체의 특징과 서사도식(formula)의 활용, 모티프의 반복이라는 측면에서도 나타난다. 박완서 장편소설은 신문이나 여성잡지, 문학잡지에 연재된 작품이 대다수인데, 게재된 매체의 특성은 작품의 구성에 일정 정도의 영향을 끼치게 마련이다. 신문이나 여성잡지에 연재되는 소설은 널리 읽히거나 특정한 독자에게 호소력을 갖기 위해 매체가 지닌 규약을 따르지만, 작가는 자신의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이러한 규약에 변형을 가한다. 신문연재소설의 하루분량의 제한된 지면은 박완서 소설이 삽화식 구성방식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끼치며, 대화의 잦은 삽입과 서술자의 개입은 구술적 특성을 발생시킨다. 신문에 연재된 소설의 경우, 당대 사회상을 소재로 삼아 현실비판적인 시각을 반영하는 측면을 보인다. 여성잡지에 연재된 소설은 생활세계에 밀착하여, 표면화되지 않았던 여성들의 욕망과 속내를 드러내는 공론장을 마련했다는 의의를 가진다. 여성들이 관심을 가질 만한 결혼의 문제를 소재로 삼되, 『서 있는 여자』의 경우에서처럼 가정주부인 어머니와 직업을 가진 딸, 둘을 중심화자로 삼아 여성이 처한 현실을 폭넓게 조망한다. ‘연애서사’, ‘혼사담’, ‘추리서사’ 등의 다양한 서사적 공식(formula)의 활용은 독자의 흥미를 끌어내고 가독성을 높이되, 구조의 변형과 관습성의 전복 등을 통해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둔다. 연애서사에서는 지연을 통해 인물의 갈등을 형상화시키며, 선택 대상이 되는 상반되는 인물을 통해 인물의 지향점이 무엇인지를 밝힌다. 박완서 소설의 연애서사는 타인과의 만남을 통한 여성인물의 정체성 찾기 문제와 결부된다. 혼사담의 경우, 결혼을 통해 물신주의적 현실을 비판하며, 결혼에 개입하는 돈의 논리를 드러내, 사랑/돈의 단순한 이분법을 넘어서는 면모를 보인다. 추리서사는 은폐된 것을 폭로하는 과정을 담게 된다. 『욕망의 응달』은 저택에 사는 가족들의 돈과 욕망의 심층을 파고들기 위해, ‘추리소설’의 도식을 활용한다. 박완서 장편소설은 이러한 서사공식의 활용을 바탕으로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두고 의미와 메시지를 창출한다. 추리서사를 빌려왔으되, 범인 잡기보다는 이러한 사태를 발생시킨 과거사나 인물의 내면에 집중한다. 박완서 장편소설에는 모티프나 에피소드를 재등장시켜 해석을 통해 변주시키는 특징이 나타난다.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전쟁체험의 트라우마는 오빠표상으로 집약되는데, 초기 소설에서 낭만적이고 이상적인 면모를 보이는 오빠표상은 점차 비판적으로 그려지게 되고, 이러한 오빠의 대척점에 놓인 올케의 비중이 점차 높아짐으로써 생존과 현실지향적인 지향점을 드러낸다. 모녀관계의 모티프도 반복하여 등장하는데, 전쟁체험과 결부된 어머니의 모습은 과거에의 속박을 상징하며 두 사람의 몸싸움은 과거에서 해방되고 싶은 화자의 내면을 드러내는 역할을 한다.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모녀관계는 대립에서 화해로 나아가는데, 딸의 결혼이나 망각에 대항하는 기억의 문제가 이러한 변모를 가능케 하는 요소로 등장한다. 박완서 소설은 일상에 천착함으로써 공감을 형성하기 쉽고, 일상을 낯설게 보는 것으로 의미를 창출시킨다. 이는 중산계층의 위선적인 면모를 드러내는데 적합하며, 통상적인 단어의 재정의나 인물 이면(裏面)의 서술로서 나타난다. 인물의 이면(裏面)으로서의 내면을 들추어내는 서술방식은 내면을 통한 인물 형상화 외에, 세태 묘사나 인물의 외양을 묘사하는 데서도 드러난다. 이는 전후 사회의 위선적 삶의 방식과 내면화된 허위성을 폭로하는 자기 발견의 서사로서 자연스럽게 자기 발견이라는 주제의식을 형성하며 ‘드러내는 플롯’의 양상을 띠게 한다. 개방적인 형태를 띠는 박완서 장편소설은 다양한 삽입텍스트를 활용하는 면모를 보인다. 이는 지혜의 전달방식인 이야기의 특성과 결부된다. 속담을 비롯한 기호적 약호의 삽입 등은 이야기에 흥미를 더하며 풍부한 의미를 발생시킨다. 박완서 소설은 직접 제시에 해당하는 논평적 어조와 서술자의 개입을 통한 ‘말하기(telling)’의 활용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인물의 말이나 서술자의 목소리를 통해 사회비판의식과 인물의 부정적인 면모를 드러내 작가의 메시지를 집약적으로 나타낸다. 대화의 활용도 빈번한데, 인물들의 논쟁적인 대화는 각기 다른 가치관의 대립을 통한 주제의식의 표출에 기여한다. 작가는 인물의 입을 빌려 자신의 생각을 독자에게 직접 들려주고자 한다. 기억을 중심으로 한 박완서 장편소설은 ‘일화기억(episodic memory)’의 엮음으로 구성되고, 일화들의 엮음이란 구성 방식은 삽화중심의 글쓰기와 연상을 통한 환유적 글쓰기 방식를 성립시키는 요건이 된다. 회상적 서술의 경우, 이미 종결된 사건에 대해 기술하기 때문에 서술자는 독자보다 정보량에 있어 우위를 점하게 되고, 과거의 에피소드들을 현재와의 연관시키며 의미를 부여하게 되는 특성을 보이게 된다. 체험화자의 경험내용은 서술화자에 의해 해석되어 의미를 부여받으며, 주제의식을 드러내는데 기여하게 되는 것이다.

      • 통신비밀의 보호와 제한에 대한 헌법적 고찰 : 감청을 중심으로

        김나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A Constitutional Study on the Protection and Restriction on Communication Secrets - Focused on the Wiretapping - While the nation has gone through a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ICT), information from many diverse fields is collecting, exchanging and affecting our daily lives much in various ways. Under these circumstances, a term which is called `Information-oriented society,' became general. Especially in these days, the popularization of telephone and Internet causes a communication environment upheaval, and electronic devices like smart-phone and mobile computing atmosphere lead its explosive changes once again.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ociety, the number of newly evolved crimes are increasing and its techniques tend to became more diverse. Furthermore, a terrorism and serious levels of organized crimes are proliferating as utilizing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se days. Each nation provides institutional strategies for crimes or terrorism prevention; as seeking some kinds of legal mechanism that protect associated problems like privacy or personal information damages. Consequently, there are some new methods for the criminal investigation to handle prompt changes of social phenomena or its crime trends and the power or authority of investigation agencies tend to become more strengthen. However, all the state institutions cannot infringe upon its substance and cannot exceed the limit of restriction in the fundamental rights which are guaranteed to be in the Constitution. For these reasons, there should be some kind of sufficient control systems to prevent investigation agencies by abusing or misusing the criminal investigation methods and to guarantee the people's fundamental human rights; moreover, those control systems should work practically and precisely. However, the underlay of maintenance law and a legislation system are not yet sufficient, active enough to improve. The wiretapping has been accepted by an inevitable method for criminal investigations or crime prevention when other methods are not qualified enough to use. Korea had conducted the extensive wiretapping for crime prevention or national security by intelligence agencies or investigation agencies without any clear legal basis or proper control systems.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is a law which created on a basis of unsavory experiences of our society happened in Analog Communication Era. The Act not only includes self-reflection on the illegal interception committed secretly but also considers practical demands for the necessity of wiretapping for the intelligence and criminal investigation for national interest. The wiretapping on the telecommunication has lawfully practiced following enactment of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1994. However, now the Act needs to have an overall reappraisal because it still has anachronistic contents. Due to the evolving of technologies and its crucial reality, ensuring the fundamental rights of the communications secrets getting harder and harder to protect as it is guaranteed in the Constitution. This harsh fact is the current address of Korea, as known as `Digital Powered Nation'. A series of events happened in last two years, revealed specific loopholes in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mainly in regard of the Internet wiretapping. For instance, it does not only search and confiscate e-mail storage in a hard disk but also monitoring the Internet line in real time which is a new technique, so-called `Deep Packet Inspection', emerged as a serious and contradictory problem of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was amended after all, then completed telecommunication followed the Criminal Procedure Act to find digital evidences. Moreover, the Criminal Procedure Act was also amended by including enhanced requirements of e-mail search and seizure. To sum up, all affairs and issues related to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targets and techniques of wiretapping are evolving from the traditional analogue methods to the digital environments. However, Korean legislation of law could not reflect this actuality to a real case. First, the existing of traditional wiretapping like an eavesdropping is reproducing its way; gradually tapping the Internet connection of a targeted line and the tele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s cooperation wholly conduct to inspect and collect all the information and recombine all the necessary information. Thus,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does not overcome an ess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analogue technology and the digital technology, which cannot be coped with the new digital technology environments. Secondly, under current control of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its dichotomous structure of wiretapping and confiscation does not mean very much in the digital communications' era. The criteria of analogue division has become meaningless in the digital communication environments because of its technical properties which makes no difference between the tapping and the confiscating. In addition, there a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data collected through wiretapping or search and confiscation under the non-volatile digital communication environments. In other words, there are no essential differences about corresponding a discriminatory control on the digital communications via wiretapping and search and confiscation. However, identical legislation were applied to completely different digital communication environments in the analogue communications' era and it can easily jeopardize the safety of the fundamental rights. Drastic changes in communication environments and emerging communication medium such as Social Network Service(SNS) and web and mobile messaging services are obviously showing the limit of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Therefore, the statutes should be urgently amended as a reflection of this convergence and integration era based on the digital technologies. This treatise is primarily composed social issues and its legal factors to overcome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s defects in analogue environmental limits and properly reflected newly developed features of digital technologies. Especially, the problems of environmental changes which are mainly formed with the Internet like digital communications are mainly discussed. This may propose the measures to improve and apply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constitutionally under the constant developing technology environ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