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박완서 장편소설의 서사전략 연구 = A study on narrative strategy in Park, Wan-seo's nove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0629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문초록 박완서 장편소설의 서사전략 연구 이 논문은 박완서 장편 소설에 구사된 서사전략을 분석하여, 작가가 자신의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독자에게 전달하는 방법은 무엇인지를 살피고...

      국문초록
      박완서 장편소설의 서사전략 연구
      이 논문은 박완서 장편 소설에 구사된 서사전략을 분석하여, 작가가 자신의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독자에게 전달하는 방법은 무엇인지를 살피고자 했다. 박완서 장편소설은 서사 배치 형식에 있어서 순차적 구성방식을 취한다. 시초로부터 출발하여 발생순서에 따라 사건을 배치하는 구성방식은 가장 일반적인 것으로서 다음에 일어날 일에 대한 호기심을 자아내 가독성을 높이게 된다. 또한 시간 순서에 따른 사건의 누적에 따른 구성방식은 박완서 장편소설에서 나타나는 여로 형 구조와 성장소설, 가족사 소설의 소설형식과도 결부되며 기억의 복원을 통한 자아의 서사와 탐색의 과정을 통한 문제의 발견 서사에도 유용한 이야기 구성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서사의 배치 형식에 있어서, 박완서 장편소설의 서두는 갈등상태에 놓인 인물의 제시로 시작되는 경우가 두드러진다. 대립되는 두 인물이나 내면과 외면의 불일치를 보여주는 인물, 균형이 깨진 상황에 직면한 인물이 등장한다. 인물의 갈등은 서사를 추동하는 원동력으로 작용하게 되며, 갈등의 성격은 소설 전체의 주제의식과 결부되어 인물이 문제를 발견하고 이를 해결해나가는 과정이 소설의 큰 줄기를 이루게 된다. 인물의 결핍이나 모순 양상에 초점을 두는 경우나 균형 파괴 상황에 대한 제시 역시 결핍을 메우거나 모순을 극복하거나 균형을 찾는 방향으로 서사가 진행되는 원동력이 된다.
      결말에서는 작가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집약되어 의미화의 전략이 두드러진다. 대화형식으로 인물의 입을 통해 주제를 들려주거나 글쓰기를 선택한 주인공에 의해 이 작품이 가진 의미를 하거나 요약하는 경우가 나타난다. 희생양 역할을 하는 인물의 죽음으로 마무리되는 경우, 연민과 두려움의 감정을 자아내 독자의 공감을 얻어내고, 감정적으로 고양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죽음은 삶의 의미를 되짚거나 화해의 국면을 마련하는 계기로 작용한다. 문제발견이 증시되는 작품의 경우에는 결말 부분에서 잠정적인 해결책이 제시된다. 서두와는 다른 상황에 놓이게 하거나 이상적인 장소의 선택, 주제를 나타내는 상징물의 변주를 통해 열린 결말의 방식을 취하기도 한다.
      박완서 장편 소설의 서사전략은 작품이 수록된 매체의 특징과 서사도식(formula)의 활용, 모티프의 반복이라는 측면에서도 나타난다. 박완서 장편소설은 신문이나 여성잡지, 문학잡지에 연재된 작품이 대다수인데, 게재된 매체의 특성은 작품의 구성에 일정 정도의 영향을 끼치게 마련이다. 신문이나 여성잡지에 연재되는 소설은 널리 읽히거나 특정한 독자에게 호소력을 갖기 위해 매체가 지닌 규약을 따르지만, 작가는 자신의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이러한 규약에 변형을 가한다. 신문연재소설의 하루분량의 제한된 지면은 박완서 소설이 삽화식 구성방식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끼치며, 대화의 잦은 삽입과 서술자의 개입은 구술적 특성을 발생시킨다. 신문에 연재된 소설의 경우, 당대 사회상을 소재로 삼아 현실비판적인 시각을 반영하는 측면을 보인다.
      여성잡지에 연재된 소설은 생활세계에 밀착하여, 표면화되지 않았던 여성들의 욕망과 속내를 드러내는 공론장을 마련했다는 의의를 가진다. 여성들이 관심을 가질 만한 결혼의 문제를 소재로 삼되, 『서 있는 여자』의 경우에서처럼 가정주부인 어머니와 직업을 가진 딸, 둘을 중심화자로 삼아 여성이 처한 현실을 폭넓게 조망한다.
      ‘연애서사’, ‘혼사담’, ‘추리서사’ 등의 다양한 서사적 공식(formula)의 활용은 독자의 흥미를 끌어내고 가독성을 높이되, 구조의 변형과 관습성의 전복 등을 통해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둔다. 연애서사에서는 지연을 통해 인물의 갈등을 형상화시키며, 선택 대상이 되는 상반되는 인물을 통해 인물의 지향점이 무엇인지를 밝힌다. 박완서 소설의 연애서사는 타인과의 만남을 통한 여성인물의 정체성 찾기 문제와 결부된다. 혼사담의 경우, 결혼을 통해 물신주의적 현실을 비판하며, 결혼에 개입하는 돈의 논리를 드러내, 사랑/돈의 단순한 이분법을 넘어서는 면모를 보인다. 추리서사는 은폐된 것을 폭로하는 과정을 담게 된다. 『욕망의 응달』은 저택에 사는 가족들의 돈과 욕망의 심층을 파고들기 위해, ‘추리소설’의 도식을 활용한다. 박완서 장편소설은 이러한 서사공식의 활용을 바탕으로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두고 의미와 메시지를 창출한다. 추리서사를 빌려왔으되, 범인 잡기보다는 이러한 사태를 발생시킨 과거사나 인물의 내면에 집중한다.
      박완서 장편소설에는 모티프나 에피소드를 재등장시켜 해석을 통해 변주시키는 특징이 나타난다.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전쟁체험의 트라우마는 오빠표상으로 집약되는데, 초기 소설에서 낭만적이고 이상적인 면모를 보이는 오빠표상은 점차 비판적으로 그려지게 되고, 이러한 오빠의 대척점에 놓인 올케의 비중이 점차 높아짐으로써 생존과 현실지향적인 지향점을 드러낸다. 모녀관계의 모티프도 반복하여 등장하는데, 전쟁체험과 결부된 어머니의 모습은 과거에의 속박을 상징하며 두 사람의 몸싸움은 과거에서 해방되고 싶은 화자의 내면을 드러내는 역할을 한다.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모녀관계는 대립에서 화해로 나아가는데, 딸의 결혼이나 망각에 대항하는 기억의 문제가 이러한 변모를 가능케 하는 요소로 등장한다.
      박완서 소설은 일상에 천착함으로써 공감을 형성하기 쉽고, 일상을 낯설게 보는 것으로 의미를 창출시킨다. 이는 중산계층의 위선적인 면모를 드러내는데 적합하며, 통상적인 단어의 재정의나 인물 이면(裏面)의 서술로서 나타난다. 인물의 이면(裏面)으로서의 내면을 들추어내는 서술방식은 내면을 통한 인물 형상화 외에, 세태 묘사나 인물의 외양을 묘사하는 데서도 드러난다. 이는 전후 사회의 위선적 삶의 방식과 내면화된 허위성을 폭로하는 자기 발견의 서사로서 자연스럽게 자기 발견이라는 주제의식을 형성하며 ‘드러내는 플롯’의 양상을 띠게 한다.
      개방적인 형태를 띠는 박완서 장편소설은 다양한 삽입텍스트를 활용하는 면모를 보인다. 이는 지혜의 전달방식인 이야기의 특성과 결부된다. 속담을 비롯한 기호적 약호의 삽입 등은 이야기에 흥미를 더하며 풍부한 의미를 발생시킨다.
      박완서 소설은 직접 제시에 해당하는 논평적 어조와 서술자의 개입을 통한 ‘말하기(telling)’의 활용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인물의 말이나 서술자의 목소리를 통해 사회비판의식과 인물의 부정적인 면모를 드러내 작가의 메시지를 집약적으로 나타낸다. 대화의 활용도 빈번한데, 인물들의 논쟁적인 대화는 각기 다른 가치관의 대립을 통한 주제의식의 표출에 기여한다. 작가는 인물의 입을 빌려 자신의 생각을 독자에게 직접 들려주고자 한다.
      기억을 중심으로 한 박완서 장편소설은 ‘일화기억(episodic memory)’의 엮음으로 구성되고, 일화들의 엮음이란 구성 방식은 삽화중심의 글쓰기와 연상을 통한 환유적 글쓰기 방식를 성립시키는 요건이 된다. 회상적 서술의 경우, 이미 종결된 사건에 대해 기술하기 때문에 서술자는 독자보다 정보량에 있어 우위를 점하게 되고, 과거의 에피소드들을 현재와의 연관시키며 의미를 부여하게 되는 특성을 보이게 된다. 체험화자의 경험내용은 서술화자에 의해 해석되어 의미를 부여받으며, 주제의식을 드러내는데 기여하게 되는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Ⅰ. 서 론 1
      • Ⅰ.1. 연구목적 1
      • Ⅰ.2. 연구사 검토 4
      • Ⅰ.3. 연구방법 12
      • 목 차
      • Ⅰ. 서 론 1
      • Ⅰ.1. 연구목적 1
      • Ⅰ.2. 연구사 검토 4
      • Ⅰ.3. 연구방법 12
      • Ⅱ. 박완서 소설의 서사전략 17
      • Ⅱ.1. 서사전략의 기본유형 17
      • Ⅱ.1.1. 계기적 플롯 17
      • Ⅱ.1.2. 서두의 전략 30
      • Ⅱ.1.3. 결말의 전략 56
      • Ⅱ.2. 서사전략의 변주 74
      • Ⅱ.2.1. 매체와의 연관성 74
      • Ⅱ.2.2. 서사도식의 활용 97
      • Ⅱ.2.3. 모티브의 반복과 변주 121
      • Ⅱ.3. 서사전략의 확대 135
      • Ⅱ.3.1. 일상의 발견과 재해석 135
      • Ⅱ.3.2. 개방형식과 삽입 텍스트 144
      • Ⅱ.3.3. 직접제시와 대화의 활용 151
      • Ⅱ.3.4. 기억과 회상적 서술 162
      • Ⅲ. 결 론 169
      • 참고문헌 173
      • Abstract 18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