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한·중 사군자 문화의 미적비교 연구

        JIANG YIYI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4 국내박사

        RANK : 250687

        본 논문은 주로 한·중 양국의 사군자(매·란·국·죽) 심미문화와 회화작품을 비교·분석하였다. 특히 사군자는 한·중 양국 문화예술사에서 높은 지위와 연구 기반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사군자의 심미문화 역사에서부터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에 4장(한국 특유의 매·란·국·죽에 해당하는 봄·여름·가을·겨울 순으로)에서는 한·중 양국의 매·란·국·죽 각각의 심미문화 발전 역사와 그 역대 회화 작품을 순서대로 정리하였다. 사군자 역시 동아시아 각국의 정신세계에 깊은 뿌리를 박고 있다. 동아시아 각국의 관점에 있어서 약간의 이견이 있더라도, 사군자에 대한 이해는 모두 일관되어 전해왔다. 즉, 매·란·국·죽은 예부터 문인들의 깊은 사랑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오늘날에도 동아시아 각 민족이 보편적으로 인정하는 문화의 상징이 된 것이다. 또한, 이는 바로 동아시아 각국의 수천 년 전통문화의 미적 의식과 정취를 드러내는 힘과 함축적이면서도 자강불식(自強不息)의 민족정신을 드러내는 것이다. 작금의 글로벌 문화시대는 세계 각국의 문화 교류와 홍보 활동이 점점 빈번해지고 있다. 이에 다양한 문화가 서로 마찰하고 충돌하며 사회 환경과 생산 및 생존 상태가 급변하면서 문화는 서로 영향을 미치고 융합하는 것이 대체적인 흐름이라고 할 수 있다. 사군자 문화도 서로 교류하면서 끊임없이 발전하고 갱신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사람들의 심미적 취향과 심미적 의식도 필연적으로 변화하게 될 것이다. 이는 자국의 전통문화에 새로운 활력을 더하고 자국의 문화발전과 지속을 촉진할 것이다. 한편, 이미 서양문화는 동아시아 각국의 각 분야에 침투하여 동양의 전통문화에 큰 충격을 주고 있다. 아울러 사람들은 전통예술정신과 문화적 함의에 대한 해석마저 잃어가고 있다. 그러나 이럴 때일수록 동아시아의 문화적 맥락이 비슷한 각국이 동아시아 문화공영권(文化共營權)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동양 문화권에 있는 한·중 양국은 동일한 문화적 저력을 가지고 있으며, 밀접한 지역적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문화권의 설립이 용이할 것이다. 이는 양국의 경제, 정치적 협력을 진행하는데 있어서도 더욱 조화로운 환경과 분위기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양국의 민간 문화교류와 이해를 촉진하고, 문화와 사상의 소통을 통해 가치지향의 수렴을 형성할 것이다. 양국의 이견과 마찰을 줄임으로써 양국 백성의 친선과 양국 경제문화의 발전을 이롭게 할 것이다. 이는 동양문화가 세계문화시대에서 서양문화에 동화되는 흐름을 막고, 동양문화를 보존하면서 자국만의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중 양국의 경제·정치적 교류는 물론 아시아·태평양 지역을 넘어 세계의 평화·안정·발전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사군자는 동양전통문화의 독특한 문화기호로서 동아시아인이 보편적으로 공감하는 도덕수양, 인격요구, 미적정취 등 일련의 정신적 요구를 담고 있다. 예의충효를 비롯한 군자의 도리뿐만 아니라 정직함과 강인함, 고아함 등 고상한 정조와 완벽한 인격에 대한 사회 각 계층의 폭넓은 공감대를 담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군자는 동아시아 각국을 소통하는 가교 역할을 하고, 공통의 군자문화를 담아 한·중 양국에 평화의 길을 열어줄 수 있다고 본다. 그리고 사군자가 나타내는 문화 메시지는 철학, 윤리, 예술 등 여러 방면에서 동양문명의 인문학적 성과를 반영하고 있다. 또한, 그 속에 담긴 전통문화 이념과 미적 사상은 동아시아인의 우수한 민족정신이며, 한중 양국의 동양문화 정체성과 민족자긍심을 높이고, 동양문화가 세계문화의 숲에 우뚝 설 수 있는 견고한 초석을 마련하였다. 本篇論文主要對比研究韓中兩國的四君子審美文化及其繪畫作品。鑒於其在兩國文化藝術史上的地位和研究基礎,本文從四君子的審美文化曆史入手。本文分四章(順序按照韓國特有的以梅蘭菊竹對應的春夏秋冬來排列)縱向梳理韓中兩國梅蘭竹菊各自的審美文化發展曆史及其曆代繪畫作品。 四君子可以說是深深地紮根在東亞各國人的精神世界裏,地位大約稱得上是核心象征物,不論東亞各國人在觀點上出現怎樣的分歧,但大家對這一核心象征的理解卻是一致的——花中“四君子”=梅蘭竹菊。可以說四君子不僅在過去受到了文人雅士的厚愛,今天依然是東亞各民族普遍認同的文化象征,構成了東方文化中不可或缺的印象,而這正是彰顯出東亞各國幾千年傳統文化的審美意念、情趣形態的張力和含蓄又自強不息的民族精神。 自從世界文化時代開始,世界各國的文化交流與傳播活動越來越頻繁,不同文化的互相摩擦碰撞,社會環境、生產及生存狀態激變,文化相互影響與融合是大勢所趨。四君子文化也在相互交流的過程中不斷地發展更新,人們的審美情趣與審美意識也必然會因此而產生變化,這會爲本國的傳統文化增添新的活力,促進本國文化發展和延續。 另一方面,西方強勢文化越來越多地滲透於東亞各國的經濟、政治和生活等領域,傳統東洋文化已然受到巨震,今人漸漸失去了對傳統藝術精神與文化內涵的解讀。這時東亞文化語境相似的各國建立東亞文化共榮圈就非常有必要了。同處於東方文化圈的韓中兩國有著相同的文化底蘊,對有著密切地緣關系的兩國來說建立東方文化圈會爲兩國進行經濟、政治合作提供更加和諧融洽的環境和氛圍,從而促進兩國人民之間的文化交流與理解,通過文化的交流、思想的溝通,形成價值取向的趨同,避免了兩國經濟、政治合作中的重重障礙,減少雙方的分歧和摩擦,從而利於兩國人民的友誼和兩國經濟文化的發展。這不僅可以使東方文化在世界文化時代抵禦被西方文化同化的洪流,保留東方文化的同時發展屬於本國的獨特文化;還可以作為韓中兩國在經濟、政治交流中的潤滑劑,也有利於亞太地區乃至世界的和平、穩定和發展。 四君子作爲東方傳統文化一種獨特的文化符號,承載了東亞人普遍認同的道德修養、人格要求、審美情趣等一系列精神需求。既包含知識階層倡導的禮義忠孝的君子之道,又有社會各階層對正直、堅韌、高雅等高尚情操與完美人格的廣泛共識,它是徘徊在整個東方人民心靈深處的、足以引起所有東亞人共鳴的圖騰。因此四君子能夠作爲溝通東亞各國的橋梁,承載著共同的君子文化,爲韓中兩國建立和平之路。而其所釋放出來的文化信息更是折射出東方文明在哲學、倫理、藝術等多方面的人文成果,其中包含的傳統文化理念和審美思想是東亞人民優秀的民族精神,提升韓中兩國的東方文化認同感和民族自豪感,爲東方文化立於世界文化之林打下堅固的基石。 This paper mainly compares and studies the aesthetic culture and painting works of the Four Gentlemen in South Korea and China. Given its position and research foundation in the cultural and artistic history of both countries, this article starts with the aesthetic cultural history of the Four Gentlemen. This article is divided into four chapters (arranged in order according to the unique Korean style of plum blossom, orchid, chrysanthemum, and bamboo corresponding to spring, summer, autumn, and winter) to vertically sort out the aesthetic and cultural development history of plum blossom, orchid, bamboo, and chrysanthemum in Korea and China, as well as their historical painting works. The Four Gentlemen can be said to be deeply rooted in the spiritual world of people in East Asia, and their status can be considered as the core symbol. Regardless of the differences in views among people in East Asia, everyone's understanding of this core symbol is consistent - the "Four Gentlemen" in the flower=plum, orchid, bamboo, and chrysanthemum. It can be said that the Four Gentlemen were not only favored by literati and scholars in the past, but they are still a cultural symbol widely recognized by various ethnic groups in East Asia today, forming an indispensable impression in Eastern culture. This precisely demonstrates the aesthetic ideas, emotional tension, and subtle yet self-improvement national spirit of thousands of years of traditional culture in East Asian countries. Since the beginning of the world cultural era, cultural exchange and dissemination activities among countries around the world have become increasingly frequent, with different cultures rubbing and colliding with each other. The social environment, production, and survival status have undergone drastic changes, and cultural mutual influence and integration are the trend. The culture of the Four Gentlemen is also constantly developing and updating in the process of mutual communication, and people's aesthetic taste and consciousness will inevitably change as a result. This will add new vitality to the traditional culture of our country, promote the development and continuation of our own culture. On the other hand, the dominant Western culture is increasingly permeating the economic, political, and life fields of East Asian countries, and traditional Eastern culture has been greatly shaken. Today, people have gradually lost their understanding of the spirit and cultural connotations of traditional art. It is necessary for countries with similar cultural contexts in East Asia to establish an East Asian cultural co prosperity circle. South Korea and China, both located in the Eastern cultural circle, share the same cultural heritage. For the two countries with close geopolitical relations, establishing the Eastern cultural circle will provide a more harmonious and harmonious environment and atmosphere for economic and political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reby promoting cultural exchange and understanding between the two peoples. Through cultural exchange and ideological communication, a convergence of values is formed, avoiding various obstacles in economic and political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Reducing differences and friction between the two sides is beneficial for the friendship between the two peoples and the development of their economies and cultures. This can not only help Eastern culture resist the assimilation of Western culture in the world cultural era, but also preserve Eastern culture while developing its own unique culture; It can also serve as a lubricant for economic and political exchange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and is conducive to peace, stability, and development in the Asia Pacific region and even the world. As a unique cultural symbol of Eastern traditional culture, the Four Gentlemen carry a series of spiritual needs widely recognized by East Asians, including moral cultivation, personality requirements, and aesthetic taste. It embodies the noble principles of propriety, righteousness, loyalty, and filial piety advocated by the intellectual class, as well as the broad consensus among various social classes on noble sentiments and perfect personalities such as integrity, resilience, and elegance. It is a totem that lingers deep in the hearts of the entire East Asian people and resonates with all East Asians. Therefore, the Four Gentlemen can serve as a bridge to communicate with East Asian countries, carrying a common culture of gentlemen and establishing a path of peace for South Korea and China. The cultural information it releases reflects the humanistic achievements of Eastern civilization in philosophy, ethics, art, and other aspects. The traditional cultural concepts and aesthetic ideas contained in it are the excellent national spirit of the East Asian people, enhancing the sense of Eastern cultural identity and national pride of South Korea and China, and laying a solid foundation for Eastern culture to stand among the world's cultures.

      • 중국 중경(重慶) 파남(巴南)지역의 예속(禮俗)음악문화에 대한 연구 : 접룡(接龍)취타악을 중심으로

        서곽릉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50671

        Ba’nan District of Chongqing, located in the southwest of China, is a major intermingling zone of multi-ethnic cultures in China. Owing to its unique geographical and humanistic conditions, Ba’nan has preserved many outstanding cultural traditions, among which ritual music is a prominent representative.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origins of the Ba’nan folk rites and customs as well as their relationship with music, defining "rites", "customs" and "ritual music" accordingly after an in-depth study of these basic concepts, and putting forward a series of fresh thinking and new perspectives such as "art music", "non-art music", "mainstream social music" and "non-mainstream social music". Adopting the methodology of ethnomusicology, it makes a classification and textual research on the ritual activities in Ba’nan area and the music attached to them. The author tries to compare Chinese ritual music with Korean counterparts in terms of cultural essence, arguing that both cultures are influenced by Confucianism, especially the concept of ancestor worship. However their ritual ceremonies are presented in different ways. In folk rituals, Chinese folk rituals and music are combined, music being an the indispensable part, while in Korea, music is not used much in ritual activities, and the Korean ritual and music is mainly used in large, public sacrificial ceremonies. Meanwhile, the dissertation also presents a systematic field survey and sociological statistics of Ba’nan folk theatrical troupes. In respect of its different field environments, the dissertation categorizes Ba’nan ritual music, which boasts diverse forms. The introduction of this dissertation outlines the rationale and significance of the chosen topic, and points out the scope of research and the originality of the dissertation writing. From the perspective of ethnomusicology, the author provides an in-depth analysis of the cultural phenomenon of wind and percussion music in Ba’nan area of Chongqing, China. In addition, as an overseas student in Korea, Korean music culture has had a profound impact on the author. From this perspective, as an "other" in the culture, there are often many cultural comparisons and reflections on the correlation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foreign culture" and the "mother culture". Among the rituals and customs of the East Asian countries, Chinese folk rituals and customs are relatively more prominent in folk nature. In the second chapter, the humanistic context and folk customs are the focus of this part. Before unfolding them in details, the author attempts to make a new logical division of the category of "Chinese music" by deeply interpreting the basic cultural concepts of "rite" and "custom" in Chinese culture tentatively. In the third chapter, the author adopts a musical anthropology approach to the object of field investigation -- theatrical troupe. In the field work, the author found that, within the Jielong theatrical troupes for wind and percussion music, there was a set of strict remuneration distribution system, which integrated multiple distribution mechanisms including the labor time, labor technology, means of production, organizational status. In the fourth chapter, the author puts forward the phenomenon of "field culture" in ritual music for the first time. According to the author, we have reason to believe tha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evelopment of folk music here, Ba’nan region enjoys a very flexible and relatively diversified cultural context, and plus, the activities of its theatrical troupes are directly influenced by such cultural factors. In the theory of field cultur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objective objects is of great importance. Thinking in terms of the field concept is actually thinking in respect of relations. In the few presently-existed theatrical troupes, field culture has independently developed the micro-cultural ecology. The fifth chapter focuses on the social function and disciplinary significance of Jielong ritual music in Ba’nan. Through further research on Ba’nan ritual music, the author reveals that ritual music in this area has enormous cultural anthropological value, which is mainly reflected in two aspects: maintaining its national identity and understanding its national identity. Chapter Six sorts out the present situation of Ba’nan ritual music and the difficulties faced with wind and percussion music in Jielong Town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then puts forward some pioneering suggestions. The author holds the belief that Chinese folk music would not have such a strong vitality and preservation, if there were no traditional Confucian concepts of respecting ancestors or no ideological capacity of Buddhism and Taoism, or these believers had not been preaching among the folks, or the peasants hadn’t got any strong desire to change their social status. 중경(重慶)시 파남(巴南)구는 중국 남서 지역에 위치하며 다민족문화의 주요 교합지대다. 파남의 독특한 지리와 인문적 조건 덕분에 지금까지 파남지역에 많은 훌륭한 전통문화를 유지하고 있으며, 예속(禮俗)음악은 바로 여러 전통문화 중에서 두드러지는 대표이다. 본 문은 파남 민간 여러 예속의 연원, 음악과 예속의 관계를 고증하였다. 그리고 ‘예’, ‘속’, ‘예속 음악’ 등의 기본 개념을 깊이 연구하여, 이에 상응하는 정의를 내리고, ‘예술 음악’, ‘비예술 음악’, ‘주류 사회음악’, ‘비주류 사회음악’ 등 일련의 새로운 사유와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였다. 민족음악학의 방법론을 응용하여 중경 파남의 예속 활동 및 이에 부수되는 음악에 대한 분류식 연구와 탐원식 고증을 하였다. 본 문은 중국 예속음악과 한국 예속음악을 문화적 본질에서 비교했는데, 두 나라의 문화는 유가 사상의 영향을 받아 숭조경종(崇祖敬宗)의 관념이 특히 깊으나, 예속 의식의 표현 방식은 각각 다르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중국의 민간 예속행사에서는 예와 악이 결합되어 음악이 필수적이지만, 한국의 민간 예속행사에서는 악을 많이 사용하지 않으며, 예악은 주로 대형·공중형 제전의식에 사용된다. 본 문에서는 파남 예속음악의 반사(班社)에 대한 체계적인 답사조사와 사회학적 통계를 살펴보기도 하였다. 파남 예속음악의 형식이 다양한데 본 문에서는 파남 예속음악의 장역(場域)별 환경에 따라 그 음악을 분류적으로 연구하였다. 본문의 서론 부분에서는 주제 선정의 근거와 가치를 폭넓게 서술하였고 논문의 연구 범위 및 논문의 독창성을 지적하였다. 중국 중경 파남 지역의 취타악 문화 현상을 민족음악학의 학문적 관점에서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또 한국 음악문화는 한국 유학생으로서의 필자에게도 큰 영향을 미쳤다. 이런 의미에서 문화 속의 ’타자‘로서 ‘이(异)문화’와 ‘모체문화’의 연관성과 이동(异同)표현에 대해 많은 문화적 비교와 사고가 종종 생긴다. 동아시아 여러 나라의 예속문화에서 중국 민간 예속은 상대적으로 그 민간성을 더욱 두드러지게 드러낸다. 제2장에서는 인문배경 및 향토민속을 중점적으로 다루었고 그것들을 깊이 있게 드러내기 전에 필자는 중화문화 중의 ‘예’와 ‘속’의 기본 문화개념에 대해 실험적으로 깊이 해독하였다. 또한 ‘중국음악’의 카테고리에 대해 완전히 새로운 논리적인 분류를 시도하였다. 제3장에서는 들판조사 대상인 반사에 대해 음악인류학적 방법으로 해독하였다. 필자가 들에서 일하는 과정에서 접룡취타악 반사 내부에 엄밀한 사례금 분배 제도가 있다는 것을 발견한다. 이러한 분배제도는 노동시간, 노동기술, 생산자료, 조직의 지위 등 여러 가지 분배 메커니즘에 따라 통합적으로 만들어졌다. 제4장에서 필자는 의식음악에 존재하는 ‘장역문화’ 현상을 처음으로 제시하였고 파남 지역의 예속음악의 발전상을 보면, 파남은 매우 유연하고 상대적으로 다원화된 문화 문맥을 가지고 있으며, 반사의 활동이 이러한 문화적 요인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다고 본다. 장역문화 이론에서 각종 객관적인 대상 간의 관계가 매우 중요시된다. 장역의 개념에 따라 생각하는 것은 실제로 관계의 관점에서 생각하는 것이다. 현재 남아 있는 몇 개의 예속반사에서 장소 문화는 각자 독립적으로 미시적인 문화 생태를 구축하였다. 제5장에서는 파남접룡예속음악의 사회적 기능과 학문적 의의를 중점적으로 탐구하였는데 파남예속음악에 대한 추가 연구를 통해 파남예속음악이 중대한 문화 인류학적 의의를 지닌다는 것을 밝혀냈는데 이러한 의미는 민족성의 유지와 민족성의 인식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나타난다. 제6장에서는 파남 예속음악의 현황과 무형문화유산인 접룡취타악이 안고 있는 어려움을 정리하고 획기적인 건의를 제기하였다. 전통적인 유가 학설에서의 숭조관념, 불도 정신의 사상용량, 민간에서의 신앙인의 전교(傳教), 자신의 사회적 지위를 바꾸기를 갈망하는 농민층의 강한 열망이 없었다면 중국의 민간 예속음악이 이렇게 생명력을 갖는 것이 불가능하고 보존될 수 없었을 것이라고 믿는다.

      • 영산재의 장엄 미학과 활용방안 연구

        진광희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50671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jestic aesthetics of the 'Yeongsanjae(靈山齋)' and the ‘BeophwaYukseo[法華六瑞, Six auspicious things]’ in the Lotus Sutra and also to try to look into how to apply its cultural contents plans. Today, Buddhist rituals in Northeast Asia are one of the common key words of Northeast Asian Buddhist culture. It is because the 'Yeongsanjae' combined Buddhism from India with Chinese culture to create a very unique religious culture called Buddhist rituals and it also influenced neighboring countries and it was spread widely. The 'Yeongsanjae,' the essence of Buddhist art, is one of the important Buddhist rituals symbolizing ‘Yeongsanhoisang(靈山會上, the Vulture Peak assembly)’ which means a re-enactment of the Buddha’s preaching of the Lotus Sutra on Grdhrakuta in India, in which offerings are made to the Buddha and Bodhisattvas in attendance. 'Yeongsanjae' is a ceremony that prays for the unity of the living and the deceased in the Dharma throughout the universes. The significance of the 'Yeongsanjae’ lies in raising utmost delight of the participants in the Buddha’s preaching space and also in helping the living and the dead lead to the world of truth through worshipping and admiring the Buddha: the world of emancipation from suffering. Actually, 'Yeongsanjae' was designated as UNESCO’s Cultural Heritage Intangible of Humanity in 2009. As a preserver and transmitter of the 'Yeongsanjae' (Rep. of Korea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50), Bongwonsa Temple's Yeongsanjae Preservation Association conducts regular performances for the world peace and national reunification. Above all, 'Yeongsanjae', which has universal cultural values, contains the essence of comprehensive Buddhist art. In other words, 'Yeongsanjae' is referred to as a comprehensive art because it contains various Buddhist majestic elements such as musical elements of Beomeum Beompae, dance elements of butterfly dance, beopgo dance, ostrich dance, and art elements of Gwaebul and Gamrotaeng, etc. In particular, Buddhist music, dances, paintings, and verses(gesong, gatha ) play an important role in performing 'Youngsanjae'. Their exquisite combination of performing elements and literary elements shows a greater sense of magnificent and splendid beauty. These series of majestic elements reenact the overwhelminhg moment of the Yeongsan preaching and praise the Buddha’s virtue. In addition, they are the core of the 'Youngsanjae' that enables the spiritual family and the participating public to listen to Buddha's preaching and to attain enlightenment. Especially, ‘Yeongsanjae’ which preserves Buddhist aesthetic as a cultural subject shows the height of majestic aesthetics through various ritual verses, sounds, and gestures that praise Buddha’s virtue and teachings. Also, there are many metaphors and symbols in the process of the ‘Youngsanjae.’ Ritual statements(verses), Beompae, dances that are accompanied by ritual procedures for the 'Youngsanjae' contains the admiration for the Buddha and the desire of communication with Him. This ritual structure brought about the development of Buddhist music like Beompae, Buudhist dances like butterfly dance, Beopgo dance, and Buddhist art like aesthetics of Bodhi-mandala majesty(道場莊嚴). In that, ‘Yeongsanjae’ effectively combines the religious rituals with the structure of rituals and attains the artistic functions in the ritual proceedings. ‘Yeongsanjae’ begins with a ritual reception for the Buddha and all the saints: First of all, Sakyamuni Buddha and all the saints were invited to the ritual space, and after worshiping, offering, and admiring all saints and the attendants are required to participate in the Yeongsan Hoisang(靈山會上). Through these series of procedures, the virtues created by the spirits of Yuju and Muju are reverted to the spirits of Yuju. Finally, the ritual concludes with a farewell ritual representing manners of the otherworldly realm of the Buddha, with singing, ceremonial adornment and various ritual dances such as the cymbal dance, drum dance and ceremonial robe dance. Above all, the basic structure of the process of 'Youngsanjae' is a symbolic expression of bodhi-mandala sanctuary while overlapping repetitions. The magnificent objects such as Gwaebul, banners(幡), flowers, Yeon(輦), etc. reenact the overwheleming-touch moment of the Yeongsan Hoisang, and then praise the virtues of the Buddha. Therefore they have a significant meaning in the process of the ritual performance because they promote communication and empathy between the spiritual and the participating public. In this vein, I emphasized that these elements are important methods which can sanctify ritual behaviors and majesticize the culture as well. Through repeated ceremonial activities such as cleanliness of Bodhi-mandala, repentance, praise for the Buddha, offerings, and worship etc., Yeongsanjae’s ritual space and time are beautifully decorated and far more sanctified. Moreover, monks and lay people together are immersed in such majestic sanctuary space and time to experience it and return to the Buddhist world. In order to preserve and spread ‘Yeongsanjae’ worldwide, I think that more in-depth research on the cultural value of ‘Youngsanjae’ will be urgently needed from various perspectives, especially based on its content application. The global 'Corona 19' crisis was caused by human greed, and the influenza epidemic has spread throughout the world. So the strategies for more efficient content-application of ‘Youngsanjae’ to solace people are required. Until now, books and papers from various perspectives on ‘Youngsanjae’ have been published mainly based on its procedures, composition, but in-depth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jestic aesthetics with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Youngsanjae’ and ‘BeophwaYukseo’(法華六瑞) is not much to be found. Therefore, I tried to examine ‘Youngsanjae’s acceptance of the elements of the ‘BeophwaYukseo’ in the Lotus Sutra, how they are reflected in the composition and ritual activities of ‘Yeongsanjae’ and I also attempted to look into what magnificent aesthetics they produce, and what message it sends us today. In addition, I tried to examine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ustainable cultural contents of ‘Youngsanjae’ as a cultural heritage of mankind. 본 논문의 목적은 ‘영산재’ 의식 절차에 내재된 장엄미학과 ‘법화육서’의 관계성 및 문화콘텐츠 활용방안을 살펴보는 데 있다. 오늘날 동북아시아 불교권의 불교의례는 동북아 불교문화의 공통 키워드 중의 하나라 할 수 있다. 그것은 인도에서 전래된 불교가 중국문화와 결합하여 불교의례라는 매우 독창적인 종교문화를 탄생시켰고, 또한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쳐 널리 확산되었기 때문이다. 불교예술의 꽃으로 불리는 ‘영산재’는 인도의 영취산에서 석가모니 부처님의 『법화경』 설법을 듣는 장면을 의미하는 영산회상(靈山會上)을 상징화한 의식이다. 이러한 의미를 지닌 ‘영산재’는 설법도량에 모인 일체 중생들로 하여금 환희심을 불러일으키고 법열(法悅)에 충만 된 분위기를 극적으로 재현한 것으로, 산 자와 망자가 다 함께 부처님의 설법을 듣고 진리를 깨달아 이고득락(離苦得樂)하여 정토에 이르게 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할 수 있다. ‘영산재’는 1973년 11월 '범패’라는 이름으로 대한민국 중요무형문화재 제50호로 지정되었다가 1987년 11월 대한민국 중요무형문화재 제50호 ‘영산재’로 단체지정 되었다. 그 후로 봉원사가 주축이 되어 운영하고 있는 ‘영산재보존회’에서 ‘영산재’의 원형보존에 노력을 기울여 온 결과, ‘영산재’는 2009년 9월 30일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 목록에 등재되었다. 무엇보다도 인류 보편적인 문화적 가치를 지닌 ‘영산재’는 종합적인 불교예술의 정수를 내포하고 있다. 다시 말해, ‘영산재’는 범음 범패의 음악적 요소, 바라춤. 나비춤. 법고춤, 타주춤 등 작법의 무용적인 요소, 불보살의 모습을 그린 괘불과 감로탱화 등 미술적인 요소, 그리고 불보살을 찬탄하는 의식문 등 다양한 불교적 장엄 요소를 내재하고 있어 종합예술로 지칭되고 있다. 특히 ‘영산재’ 설행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불교음악과 작법, 회화, 게송 등의 연희적인 요소와 문학적 요소의 절묘한 조화는 장엄하고 화려한 미의식을 한결 잘 보여준다. 이러한 일련의 장엄 요소는 영산설법의 감격을 재연하면서 불덕(佛德)을 찬탄하고, 또한 영가와 참여 대중으로 하여금 부처님 설법을 듣고 깨달음에 이르게 하는 재의(齋儀)의 핵심적 내용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불교적 미의식을 문화적 주체로 보존하고 있는 ‘영산재’는 불덕과 가르침을 찬탄하는 다양한 의식문과 소리, 그리고 몸짓의 표현으로 장엄 미학의 극치를 보여 주고 있다. 아울러 ‘영산재’의 재의절차에는 많은 비유와 상징성이 내포되어 있다. 가령, ‘영산재’ 의식절차에 수반되는 각 의식문[게송]과 범패, 작법무 등은 불덕 찬탄과 소통 기원의 의미를 담고 있다. 이러한 의례구조는 범패 등의 불교음악, 나비춤(作法舞), 법고춤(法鼓舞) 등의 불교무용, 그리고 도량장엄 등에 의한 불교미술의 발전을 가져왔다. 즉 ‘영산재’는 의례구조를 가지는 신앙의례이나 그 진행절차에 예능적 기능이 효과적으로 어우러져 의례문을 정연한 대본으로 한 가극의 형식을 지닌 예술적 요소의 장엄미를 지니게 되었다는 것이다. ‘영산재’의 절차는 우선 석가모니 부처님과 성중제위를 영산회상인 재도량(齋道場)으로 초청, 이운해 모시고, 이어 성중제위를 예배, 공양, 찬탄한 후 부처님께서 『법화경』을 설하는 영산회상에 참예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일련의 절차를 거치면서 조성된 공덕을 유주, 무주의 영가들에게 회향하여 천도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초청해 모신 성중제위를 봉송하고 소대(燒臺)함으로써 마치게 된다. 무엇보다도 ‘영산재’의 진행절차의 기본구조는 중첩적으로 반복을 하면서 도량의 성역화라는 상징적 표현을 하고 있다. 작법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의문(儀文)과 괘불, 번, 꽃, 연(輦) 등의 장엄물은 영산설법의 감격을 재연하면서 불덕을 찬탄하고, 영가와 참여 대중의 소통과 공감을 고취시키는 재의의 과정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것들은 의식행위를 신성시하고 도양을 장엄케 하는 의미를 지니고 있음을 연구자는 강조하였다. 그것은 도량청정과 참회, 찬탄 및 공양, 그리고 예불 등의 거듭되는 의례행위를 통하여 의식공간과 시간은 아름답게 꾸며져 한결 성역화 되고, 승속이 다함께 그러한 장엄한 성역공간과 시간에 몰입하여 그 세계를 체험하고 귀의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인류의 보편적이며 세계적인 문화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불교예술의 꽃인 ‘영산재’를 보존하고 세계적으로 널리 알리기 위해서는 ‘영산재’의 문화적 가치에 대하여 다양한 시각에서 조명과 연구가 절실히 요구된다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인간의 탐욕에서 빚어진 글로벌 ‘코로나 19’의 위기 상황과 이후의 시대[Post Corona19]에 있어 '영산재'의 효율적인 콘텐츠화의 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 '영산재'에 대한 다양한 시각에서의 저서와 논문이 주로 영산재의 절차와 구성, 작법을 중심으로 발표되었지만, ‘영산재’의 중요한 특성을 지닌 장엄 미학과 ‘법화육서(法華六瑞)’와의 관계성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는 그다지 찾아 볼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연구자는 ‘영산재’의 『법화경』의 ‘법화육서(法華六瑞)’ 장엄 요소 수용과 그것이 영산재 구성과 의례 행위에 어떻게 투영되어 장엄미학을 낳고 있으며 그것이 오늘날 우리에게 던져주는 메시지가 무엇이며, 또한 인류문화유산으로서의 ‘영산재’의 지속 가능한 문화콘텐츠의 개발과 활용 방안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 鋼琴藝術跨文化傳播的中國文化自覺研究

        심훤(谌萱)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50671

        중국 피아노 음악 문화는 피아노와 중국 문화를 연결시킨 산물이다. 중국 음악가들이 피아노라는 순수한 서양 예술 형식을 받아들인 후 중국 현지화의 리모델링을 거쳐 중국 문화의 함의를 살리고 중국 문화의 함의를 표현하는 새로운 장르의 음악으로 거듭난 것이다. 이는 중국 음악가들의 중국 문화 가치에 대한 판단과 선택이기도 하지만 중국 지식인들의 문화관념의 일종 실천의 산물이다.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 속에서의 중국 피아노 음악의 구현 방식은 중국 음악가의 문화적 자각, 문화적 선택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본 연구는 '문화'의 시각에 입하여 서양 피아노와 피아노 문화의 역사적 진과 다원적 발전을 총결하여 이를 기초로 중국에서 피아노 음악 문화의 싹트는 초기, 형성, 발전과 전승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그 민족문화 환경과의 내재적 관계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그는 민족 문화 환경과의 내적 관계를 설명하였다. 획득한 성적과 존재한 문제점, 실현 경로에 대해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분석하며 다중 문화의 어경에 음악의 언어 형식을 두어 해석하도록 한다. 최근 몇 년간의 학습, 정리, 연구에서필자는 대량의 문헌연구를 채택하였으며, 미학, 철학, 미디어학, 문화산업 등 학과의 지식을 결합하여 여러 분야를 아우르는 비교연구를 진행하였다. Ⅱ장에서는 문헌을 정리하여 서양 건반음악의 역사적 연혁, 유럽각국의 피아노 악파의 형성에 대한 연구를 기초로 하여 서양 피아노 음악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발전의 공통성을 분석하도록 한다. Ⅲ장에서는 서양 피아노 음악문화의 이론적 배경 하에 중국 피아노 작곡가와 그 작품 및 피아노 교육자 피아노 교육 등을 중심으로 중국에서 피아노음악이 탄생, 발전, 번영을 거치며 자신의 피아노문화를 형성하게 된 전반적인 상황과 피아노 음악이 중국에 전해진 이래 이론창출, 교육, 학술교류등에서 큰 성과를 거두고 있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또한 중국 피아노 음악 문화의 형태, 기본 특징, 발전 법칙 등에 대해 분석하였다. Ⅳ장에서는 중국 피아노 음악 작품과 중국 피아노 연주 스타일인 '천인합일', '조화' 등의 예술 특징을 중국의 유교 미학 사상에서 유래한 것을 밝혔다 중국의 피아노 음악이 세계 상호문화적 전파 문화의 자각을 자극하는 주요경로를 중으로 제시하고 분석하였다. 특히 상호문화적 전파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주체, 내용, 채널의 세 가지 측면을 중점적으로 연구 대상으로 한다. 중국 피아노 음악 탐구해 국제 경쟁력 강화하려는 문화적 자각이 중국 전통문화가 세계무대에 올라 중국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충분한 문화소양을 제공한다. 필자는 미학, 철학, 음악학, 음악교육학, 문화심리학의 관점에서 출발하여 중국 피아노 음악의 문화적 특징을 '중화', '음유' ,'신운' 등으로 요약하였다. 또한 다음과 같은 관점을 제시하고 논증하였다. 첫째는 중국 피아노 음악은 모방에서 시작한다는 것이다. 유럽 음악문화를 모방한 것은 20세기 초반 중국 피아노음악의 주요 문화취향이었다. 둘째는 중국 피아노 스타일과 유럽 피아노 음악의 이론과 기술을 결합한 '중화(中和)'의 법이고 20세기 초에 중국 피아노 음악 문화의 주류였다는 것을 밝혔다. 셋째는 중국 피아노 음악 발전을 보면 중국의 전통 문화사상이 중국피아니스트와 작곡가에 깊이 영향을 미쳐서 중국 피아노곡에서 시종일관중국 문화의 흔적을 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중국 피아노 음악가들 은 중국과 서양의 음악문화의 융합을 선택할 때 시종일관 중국 전통문화에 대한 높은 문화적 자각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중국 민족정신과 민족문화, 민족기운을 표현하고 있다. 넷째는 중국 피아노 음악 문화의 자각을 불러일으켜야 한다. 여기서 경로 선택이 매우 중요하며 전파주체, 전파된 내용, 전파 방식과 경로 등 세 가지 범위를 잘 나눠야 한다. 이로써 피아노 음악의 상호문화적 전파에 대한 문화적 자각을 형성할수 있게 한다. 중국 피아노 음악 창작의 문화적 버팀목과 문화가 그 자리에 있었음을 강조하고, 중국 피아노 음악과 중국 피아노 문화를 세계에 중국을 알리고 관심을 갖는 바탕이 되었으며 이를 통해 세계무대에서 중국의 영향력과 지속력을 제고한다. 中国钢琴音乐文化,是钢琴与中国文化链接后的产物,是中国音乐家在接受了钢琴这种纯正的西方艺术形式后,经过中国本土化的改造,进而成为具有中国文化内涵、表现中国文化意蕴的新音乐种类。它的生成,既是中国音乐家们对中国文化价值的判断与选择,也是中国知识分子文化观念的一种实践载体。中国钢琴音乐在不同文化背景下的呈现方式,与中国音乐家的文化自觉、文化选择有密切的关系。 中国钢琴音乐文化,是钢琴与中国文化链接后的产物,是中国音乐家在接受了钢琴这种纯正的西方艺术形式后,经过中国本土化的改造,进而成为具有中国文化内涵、表现中国文化意蕴的新音乐种类。它的生成,既是中国音乐家们对中国文化价值的判断与选择,也是中国知识分子文化观念的一种实践载体。中国钢琴音乐在不同文化背景下的呈现方式,与中国音乐家的文化自觉、文化选择有密切的关系。本文选择“ 文化”的视角, 在总结西方钢琴与钢琴文化的历史演进与多元发展的基础上,系统梳理了钢琴音乐文化在中国的萌芽、形成、发展与传承,解释了其与本民族文化环境之间的内在联系,客观地对取得的成绩和存在的问题、实现路径进行评价与分析,试图把音乐的语言形式放在多重文化的语境中阐 释。在这些年的学习、梳理、研究、总结中,笔者采用了大量的文献研究,结合美学、哲学、传播学、文化产业等学科的知识,进行跨学科比较研究,论文的第二章以梳理文献来研究西方键盘音乐的历史沿革、欧洲各国钢琴乐派的形成为研究基础,分析影响西方钢琴音乐发展的因素和发展共性;第三章在西方钢琴音乐文化的理论背景下,以中国钢琴作曲家与作品和钢琴教育家、钢琴教育等为主线,总结了钢琴在中国诞生、发展、繁荣,形成了自己钢琴文化的整个发展情况,以及钢琴音乐传入中国以来中国钢琴音乐在理论、创作、教育、学术交流等方面取得的巨大成就、并对中国钢琴音乐文化的形态、基本特征、发展规律等方面进行分析研究,在第四章中总结出了中国钢琴音乐作品与中国钢琴演奏风格“天人合一”、“和谐”等艺术特征来自中国的儒家美学思想,重点提出与分析了中国钢琴音乐在世界跨文化传播及激发文化自觉的主要路径方法,着重以影响跨文化传播进程的主体、内容和渠道三个方面为研究对象,以试图探索中国钢琴音乐增强国际竞争力的文化自我觉醒,为中国传统文化能够站上世界舞台、发出中国声音,提供足够的文化底蕴和底气。 笔者以美学、哲学、音乐学、音乐教育学、文化心理学的角度为切入点,将中国钢琴音乐的文化特征概括为“中和”“阴柔”“神韵”等,提出并论证了如下结论观点:一是中国钢琴音乐是从模仿起步,模仿传播欧洲音乐文化是20世纪刚开始时期中国钢琴音乐的主要文化取向;二是文章探索出来的中国钢琴风格和欧洲钢琴音乐理论和技巧相结合的“中和”之道,是20世纪初中国钢琴音乐文化的主流;三是从中国钢琴音乐发展的轨迹可以看出,中国的传统文化思想深深影响着中国钢琴家与作曲家,使得中国钢琴曲中始终都散发出中国文化的痕迹,中国民族民间歌、乐、舞曲素材的运用也是中国钢琴艺术的主要方向,中国钢琴音乐家在中西音乐文化融合选择时,始终清醒地保持着对中国传统文化的高度文化自觉,并通过这些钢琴作品来展现中国民族精神、民族文化和民族气韵。四是要激发中国钢琴音乐文化自觉,路径选择非常重要,并要理清传播主体、传播的内容、传播方式和途径三个维度,以唤起钢琴音乐跨文化传播中的文化自觉形成,强调中国钢琴音乐创作中的文化支撑与文化在场,让中国钢琴音乐和中国钢琴文化成为世界了解中国、关注中国的载体,并以此来提高中 国在世界舞台上的影响力和持久度。

      • 사회문화교육에서의 서예교육 교안연구

        박성옥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고에서는 우리의 정체성을 찾고 아울러 날로 심각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다양한 문화예술교육의 프로그램 개발의 일환으로 서예교육의 방안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는 민족문화에 긍정적 변화를 이끌어 내고, 문화적 공감대를 만들기 위한 보다 발전적인 대안의 하나이다. 아울러 날로 새로워지는 사회교육현장에서 서예교육의 교안(敎案)을 제시하여 중구난방(衆口難防)의 기존 교육방법에 대하여 체계화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에 사회문화예술교육의 16주 수업을 원칙으로 아래의 방법으로 서예교육과정 교안을 작성하였다. 첫째, 한문서예와 한글서예로 나눈다. 둘째, 한문서예는 전서, 예서, 해서, 행·초서로 분류한다. 셋째, 한글서예는 판본체와 궁체, 그리고 흘림체로 분류한다. 넷째, 전 과정은 이론과 실기로 분류하여 작성한다. 다섯째, 많은 도판과 슬라이드를 활용하여 이해도를 높인다. 문자의 응용과 붓의 운용에서 자아를 실현시키고, 인성을 함양하며 이를 바탕으로 창의성을 발현시키는 것이 서예교육이다. 그러므로 서예교육이 급변하는 우리사회에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일환으로 활성화되어야 하며 그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서예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교육의 목적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은 매우 시급한 과제이다. 이에 아래 두 방향으로 서예교육 교안을 작성하여 보았다. 첫째, 이야기 형식으로 쉽게 다가섬이다 둘째, 서예의 미감을 선질(線質)의 변화로 보았다 결론적으로 본고에서는 흥미를 이끌 수 있는 서예교육의 스토리텔링이 우리의 전통문화인 서예를 발전시킬 수 있는 대안임을 알았다. 이러한 체험을 활용한 서예문화예술교육은 다양한 서예형식에 대한 이해와 감상을 향상시키고, 또한 인지교육과 감성교육의 조화로운 발전을 통해서 전인교육을 지향하는 교육목표를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고식된 기능중심의 도제교육을 탈피하여 다양한 영역의 과정을 체험 소통함으로써 발전된 문화예술과 윤택한 삶을 영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nsider a teaching plan for calligraphy education as a part of program development of new type of various cultural art education in order to seek after our identity and solve serious social problems. It is an alternative developmental idea to lead affirmative change of national culture and evoke bond of sympathy. This study arranges systemization of existing disordered teaching methods by bringing up a teaching plan for calligraphy in the social education field renewing day by day. A teaching plan for calligraphy education curriculum in the sociocultural art education field on a basis of 16 weeks. First, education is divided into Chinese Characters Calligraphy and Hangeul Calligraphy. Second, Chinese Characters Calligraphy is classified into seal character, ornamental seal character, printed style of writing and running-hand· cursive style. Third, Hangeul Calligraphy is classified into wood block-printed style, court style and cursive character. Fourth, all the courses ar divided into theory and practice. Fifth, understanding level should be enhanced by utilizing plates and slides. Calligraphy education helps to realize self through application of characters and handling of writing brushes, cultivate human nature and reveal creativity. Therefore, calligraphy education should be revitalized as a part of sociocultural art education in our rapidly changing society and a plan should be sought for. Programs should be urgently developed in a range not departing from the essence of calligraphy in order to maximize the ends of education. Sop two plans for calligraphy education are drawn up as follows:. First, an easy approach method in a story type Second, treating sense of beauty of calligraphy in quality of stroke In conclusion, it has been revealed that interest-attracting storytelling of calligraphy education is an alternative plan to develop calligraphy as our traditional cuunderstanding appreciation of various calligraphy types thlture. Calligraphic cultural art education enhances rough utilization of experiences and achieves education goals for whole-person education through harmonious development of awareness education and emotional education. Developed cultural art and rich life can be secured by growing out of function-centered apprentice education and experiencing and communicating with various field courses.

      • 전통민화의 문화적 기능에 관한 연구 : 17·18세기 화조화를 중심으로

        권청자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50671

        This study aims to clarify how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folk paintings (Minhwa) in the Joseon Dynasty influenced the formation of our nation's culture, and how modern artists inherited folk paintings.to newly transform them into an art work. Based on the examination, this study is intende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Korean folk paintings of the 21st century. Minhwa is a painting of the people that embody the diverse emotions of commoners during the Joseon Dynasty such as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 as well as human life phases such as birth, aging, disease and death, in addition to hope, and faith. In sum, it is a style of painting that accurately expresses emotions, spirits and wits of our nation. Minhwa in our country has been maintaining its existence since ancient times, and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made a rapid growth due to the economic progress of the people and the rise of social status. Thus, a number of works still remain to date. However,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Minhwa underwent a noticeable decline due to the policy of eradication of national culture. As the spirit of restoring traditional culture was spreading throughout society during the course of the National Study (Gukhak) Movement or Gukhak Movement, which is a movement to recover our intrinsic national spirit occurred in the 1970s, the re-evaluation of Minhwa was made leading to its drastic rise in demand and supply. Minhwa can be considered an artistic folk painting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was particularly popular as a painting depicting commoners. In Ojuyeonmunjangjeonsango of Lee Gyugyeong, Minhwa was referred to as “Sokhwa,” which was used to decorate the home interior design of the common people with folding screens, scrolls, and wall hangings. Minhwa has a symbolic connotation of longing for good fortune, codes of conduct and fertility wished by the common people. To be specific, Minhwa is strongly based on strong wishes, and it carries an iconographic symbol system of a country. Therefore, the stories that appear in Minhwa are not only the old myths and tales of our nation, but also the hopes aspired by the inner psychology of the people. When it comes to the traditional Minhwa production method, its way of reproduction is being criticized. However, it has great advantages in that it is easy for the common people to apply it to daily life and anyone with a talent for art, and not necessarily an expert in art, can participate in Minhwa production only with a short period of training. Nevertheless, the recent tendency to reflect the new aesthetic needs and the emotion-oriented life of modern people through traditional Minhwa brings about the movement to transform it into a modern format by appropriating, reinterpreting, and recreat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folk painting. From the point of view of what Benjamin Franklin states, “Tradition has the right to live and move in the present in an incessant manner, and it has the power to save the wishes required to us,” the new hope toward Minhwa is assumed to be a due wish. This study explored the production method, formative, symbolic,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our traditional Minhwa and reviewed the achievement of artists who had influenced new artists by appropriating the traditional Minhwa works to recreate them as a new type of works during the process ranging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o the present.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inquired into the cultural functions of the paintings of flowers and birds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as well as the current status of collections and the cultural functions of the four representative museums out of 55 in our country that actively exhibit and promote Minhwa at home and abroad.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e that traditional Minhwa excels in the aesthetic awareness and aesthetic sense of our nation.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a large number of works that highlight the chromatic features while juxtaposing the contrast between intense primary colors and complementary colors based on the five cardinal colors on a single canvas. Regarding the materials used for Minhwa, it counted on the paint used for dancheong, the traditional multicolored paintwork on wooden buildings, and artificial stone powder paint and Chinese paint. It is presumed that the intense appearance created based on the 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materials will give a grea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modern Minhwa. Based on the tradition established by previous generations, it is judged that a variety of aesthetic senses and emotions perceived from traditional Minhwa must be developed into modern Minhwa that reflects even the national spirit imbued with it, rather than the mere transformation or appropriation of such elements in terms of appearance. As a policy of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that commenced from 1994 onward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began to officially teach Minhwa as a way of instructing old paintings of Korea. This contributed to popularization of Minhwa to some extent. During this period, re-evaluation of Minhwa was actively carried out, leading to a sudden increase of lovers of this genre. Novelty is based on tradition, but it also boldly creates something new by breaking the framework and restraints that are confined in tradition. Today’s modern transformation of Minhwa should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oday's era and formativeness from today's point of view, not from the Joseon Dynasty, the period when Minhwa was popular. The possibilities of Minhwa could be envisioned through the works of artists such as Park Saenggwang, Kim Kichang, Lee Jongsang, Hwang Changbae, Lee Waljong and Hong Inho, who appropriated Minhwa to transform it into a modern concept.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the projects in connection with Minhwa and active research related to the folk paintings conducted by Sosong Museum of Kyonggi University, Haengso Museum of Keimyung University, Joseon Minhwa Museum of Youngwol, and Mirine Icon Maoro Museum, which are organizations engaged in conservation of Minhwa will greatly contribute to developing Minhwa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조선시대(朝鮮時代) 전통민화(傳統民畫)의 성장과 발달이 우리 민족의 문화형성(文化形成)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와, 현대 화가(畫家)들이 민화를 어떻게 계승(繼承)하여 새롭게 작품화(作品化)하였는지를 밝히고 이를 통해 21세기 한국민화(韓國民畫)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민화는 조선 시대 일반 서민의 희로애락(喜怒哀樂), 생로병사(生老病死), 희망(希望), 신앙(信仰) 등을 조형화한 민중(民衆)의 그림으로 민족의 감성(感性)과 기지(氣志)가 잘 표현되어 있는 양식의 그림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민화는 고대로부터 명맥을 이어 오다가 조선 후기에 와서 민중의 경제적 성장과 신분의 상승으로 급속하게 성장 발전하였고, 수많은 그림이 지금까지 남아 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에는 민족 문화 말살 정책으로 민화는 크게 쇠퇴하였다. 1970년대에 일어난 민족성 회복 운동인 국학운동 과정에서 전통문화 회복 정신이 사회적으로 확산하면서 민화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져 급격히 수요와 공급이 확대되었다. 민화는 조선 시대의 민예(民藝)적인 그림이라 말할 수 있다. 조선 후기에 일반 민중의 그림으로 특히 유행하였는데 이규경의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에는 민화를 속화라고 하여 서민가정에 병풍, 족자, 벽걸이로 가정을 장식화(裝飾化)하였다. 민화는 서민들의 염원인 수복(壽福), 강령(降靈), 다산(多産) 등이 상징적으로 내포되어 있다. 그것은 구체적으로 염원(念願)에 대해 줄기를 가지고 있으며 이것은 나라의 도상학적(圖像學的), 기호체제(記號體制)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민화 속에 나타난 이야기는 우리 민족의 오랜 설화(說話)이고 민중의 내면에서 요구하는 희망(希望)이기도 하다. 전통적인 민화 제작방식은 재연하는 방법으로 인해 그 속성을 지적받고 있으나 서민들이 실생활에 이용하기가 쉽고, 미술전문가가 아니어도 미술에 소질이 있는 이는 단기간의 수련으로 민화제작에 참여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그러나 근래에 들어 전통민화를 통한 현대인들의 새로운 미적 욕망과 정서 생활을 반영하는 경향으로 민화의 조형적 특성을 차용, 재해석, 재창조로 현대적으로 변용을 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벤저민 프랭클린이 ‘전통은 현재 속에서 면면히 살아 움직여 나갈 권리(權利)가 있고, 우리에게 요청되는 소망을 구제할 힘이 있다.’라고 말한 관점에서 본다면 민화의 새로운 바램은 당연한 욕망이라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전통민화의 제작방식, 조형적, 상징적, 미학적 특성을 고찰하고 조선 후기에서부터 현대에 이르는 과정에서, 전통민화 그림을 차용하여 새로운 유형의 그림으로 재탄생 시켜 신진작가들에게 영향을 끼친 작가들의 업적을 고찰하였다. 한편으로는 17, 18세기의 화조화의 문화적 기능과 우리나라 55개 박물관 중 대표적인 4개 박물관을 찾아 소장 작품 현황과 민화를 국내외에 전시, 홍보하고 있는 문화적 기능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결과 전통민화는 우리 민족의 미의식(美意識)과 미적 감각(美的感覺)이 뛰어난 것으로 고증(考證)되었다. 특히 오방색(五方色)을 기초로 강렬한 원색과 보색대비를 하나의 화면에 병치하면서 색채의 특성이 돋보이는 그림들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사용된 재료를 살펴보면 단청(丹靑) 물감과 인공 석채, 당채 등을 사용하였는데 이러한 재료의 특성을 이용하여 나타난 강렬한 모습은 앞으로 현대 민화의 발전에 크게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이제 이전 세대들이 확립한 전통을 발판삼아 전통적 민속 회화인 민화의 다양한 미감과 정서를 단순히 외형적인 변용, 차용보다는 그 속에 담긴 민족의 정신성까지 그림에 반영되는 현대적 민화로 발전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문화관광부 정책으로 1994년부터 초, 중, 고 학교에서 우리나라 옛 그림 배우기 차원에서 민화를 정식으로 가르치기 시작한 것이 대중화에 일정 부분 영향을 미쳤으며 이 시기 민화의 재평가가 활발히 이루어져 애호가(愛好家)들이 급속히 증가하였다. 새로움은 전통을 바탕으로 하되 전통에 고정된 틀과 굴레를 벗어던지고 과감히 새로운 것을 만들어 가는 것이다. 민화도 마찬가지이다. 민화의 조형적 특성들을 차용은 하되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민화를 현대인의 감성에 맞게 재해석, 재창조하면서 새롭게 만들어 가는 것이 중요하다. 오늘날 민화에 대한 현대적 변용은 민화가 유행하던 조선 시대가 아니라 오늘의 시점에서 오늘의 시대 특성과 오늘의 조형성이 반영되어야 한다. 민화를 차용하여, 현대적인 의미로 되살린 박생광(朴生光), 김기창(金基昶), 황창배(黃昌培), 이종상(李鍾祥), 이왈종(李曰鍾), 홍인호(洪仁浩)의 그림을 통해 그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민화를 보존 발전시키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경기대학교 소성박물관. 계명대학교 행소박물관, 영월 조선민화박물관, 미리네 이콘마오로박물관 등의 민화를 통한 연계사업, 활발한 관련 연구는 앞으로 현대 민화발전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판단된다.

      • 불교문화를 활용한 콘텐츠 개발 방안 연구

        장윤선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50671

        일찍부터 종교는 인류문화의 원천이 되었다. 이는 현존하는 세계 문화유산 가운데 종교문화유산이 절대적 지위를 차지하고 있음에서도 증명된다. 또한 직접적으로 종교적 색채를 드러내지 않는 문화유산이나 문화재의 경우에도 종교적 세계관의 영향을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우리나라 문화산업은 문화콘텐츠가 처음 등장하기 시작한 2000년을 그 출발점으로 하여 매우 가파른 속도로 시장 점유율을 확장해 가고 있다. 우리나라 콘텐츠사업의 매출 규모는 2003년 442억 달러에서 2012년 879억 달러로 8년 사이에 2배 가까이 성장했으며 2017년에는 2016년 대비 5.9% 성장한 111조 4,00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국내 문화콘텐츠산업은 드라마, K-POP을 중심으로 한 생성기에서 영화, 게임, 캐릭터 등도 함께 성숙해 가는 성장기를 지나 한식, 관광, 전통문화 등에도 관심이 확대되는 다양화기로 접어들었다. 국내 문화콘텐츠산업 수출 규모는 2003년 6억 3,000만 달러에서 연평균 26.4%로 성장, 2012년 말에는 52억 1,000만 달러, 2017년에는 전년대비 8.5% 성장한 68억 5,000만 달러로 전망하고 있다 그럼에도 우리나라에서는 문화콘텐츠산업에서 종교전통과 종교문화의 원형이 차지하는 비중은 결코 높지 않은 실정이며, 종교문화 원형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한 것도 최근의 일이다. 그 이유는 종교문화 원형이 문화콘텐츠산업으로 발전하기에는 특정 종교에 대한 편향이라는 선입견이 강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작금의 현실에서는 문화의 연구와 더불어 종교문화 원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더구나 다문화·다종교의 시대에 종교 간의 교류를 통해 타 종교인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 문화콘텐츠 창작의 성공을 위해서 원천자료를 확보하려는 노력은 매우 바람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종교문화 원형의 연구 중에서도 특히 불교 문화원형에 대한 연구는 쉽게 발견할 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불교문화 중에서도 사찰음식, 불교음악, 템플스테이에 관해서 불교신자와 비 불교신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불교문화대중화를 비롯한 6개 세부지원 내용에 대한 불교인과 비불교인간의 인식의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서 T-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문자격증, 교육기관 육성, 홍보방안, 보조금지급, 정부개입 등에서 인식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불교문화 대중화 인식에서는 불교인과 비불교인 사이의 인식차이가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설문조사를 거쳐 그 결과에 따라 아래와 같이 불교문화콘텐츠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다. 첫째, 불교문화영향평가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불교문화 영향평가는 정책 및 사업에 대하여 시행 전 사전평가로 진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시행의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화적 가치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 요소를 최소화하는 한편 긍정적 영향이 증진될 수 있도록 개선하여 시행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콘텐츠 마케팅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승가대학의 기능을 확대하여 각 사찰에 맞게 다양한 문화프로그램을 추가하여 불교음악, 불교철학 등 다양한 학위가 가능하도록 승가대학의 기능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넷째, 콘텐츠전문가를 육성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불교문화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 필요하다. 모든 학문의 중심에는 DB의 구축이 필수적이다. It is undeniable that religion has been the spring of culture. Among World Heritage Site in existence, religious heritage holds a prominent position. We can easily find the influence of the religious world view even from cultural heritage or assets hiding religious colors. Since 2000, when cultural contents appeared for the first time, Korea’s cultural industry has been rapidly expanding its market share. Its sales have nearly doubled in 8 years from 44.2 billion dollar in 2003 to 87.9 in 2012 and are expected to reach 111.4 trillion won in 2017, which is 5.9% growth over 2016. Starting from the generating period oriented towards drama and K-POP, Korea’s cultural contents industry has past the growth period, showing maturity of movies, games, and characters, and entered diversifying period where the interest is magnified towards Korean food, tourism, and traditional culture. The export scale of the industry has annually grown 26.4% in average since 630 million dollar in 2003, reached 5.21 billion dollar at the end of 2012, and is expected to become 6.85 billion won in 2017, which is 8.5% growth over the previous year. Nevertheless, religious tradition and cultural archetypes are not of great importance in culture contents industry and it is only recently that some interest towards archetypes have been shown. And this seems to be due to the strong prejudice about bias towards certain religions, which interrupts the development of the archetypes into cultural contents industry. However, research on culture along with the archetypes have been briskly ongoing in these days. And it is highly desirable to understand other religions through mutual exchange and, by extension, strive to secure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for the success of cultural contents creation in multi-cultural, multi-religious era. But still, it is difficult to find research on cultural archetypes of Buddhism, in particular. Hence, this study conducted survey targeting believers and non-believers in Buddhism on temple cuisine, music, and temple stay of Buddhistic culture. After executing T-Test to analyze perceived gap between believers and non-believers on 6 kinds of specific support details including popularization of Buddhistic culture, we found difference in professional license, promotion of educational institutions, PR measure, subsidy, government intervention, and so on. However, we could not fin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in awareness of Buddhistic culture popularization between them. Thus, activation plans to vitalize Buddhistic cultural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introduction of Buddhistic culture impact assessment system is necessary. We should make it a rule to carry it out as preliminary evaluation before implementing policies or operations and guide the continuous improvement to minimize negative impact and enhance positive influence in cultural value during the process of enforcement. Secondly, we should effectively utilize contents marketing. Thirdly, we should expand the functions of monk college and add various cultural programs suitable for each temple to enable study for various degrees such as Buddhistic music and philosophy. Fourthly, we should foster monks that specialize in contents. Finally, the establishment of Buddhistic culture database is necessary as it is essential for all studies.

      • 네이몽구 동부 민악 합주 연구

        장박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50671

        Eastern Inner Mongolia folk music ensemble music culture has a long history, rich forms and content, and has a broad mass base.Known as the hometown of singing and dancing, it has long tunes. Holaibao, Uliger, narrative folk songs, court music, Morin Qin, Sihu, Khumai, bowstringchaoer, Lordenchaoer, Tumbuxiur, Hobbes and so on, each has its own characteristics, different forms of expression, rich and colorful melody. The diversity of music forms provides a strong premise for its vertical development. The development of multi-voice music gradually mature, has become the mainstream of contemporary Mongolian music creation.In this way, it is possible for the ancient grassland culture to go to the world, allowing more people to listen to and love the beautiful and moving sounds of nature. The progress of social civilization has built a good platform for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music culture, and the ensemble music of Mongolian folk music has entered a new stage, showing a vibrant scene. Inner Mongolia Mongolian folk music from the prairie nomadic life, which has its own unique cultural symbol, is one of the mongols to nature, life comprehension and interpretation, and in one thousand years the Mongolian folk music is in the form of oral heart by circulating in the prairie, and is still the continuation of the tradition, with many valuable cultural resources to stay on.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ment of Mongolian instrumental music and the development of Mongolian society. The mutual development is synchronous and complementary, which forms a close logic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development -- the development of songs and dances -- the development of instrumental music.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ocess of the generation and development of human Musical Instruments, percussion instruments, wind instruments, plucking instruments and bow-string instruments have emerged and developed in turn, presenting a common rule, with the Mongolians as no exception, but the evolution of Mongolian Musical Instruments has its own particularity. In terms of Musical Instruments, there are representative Musical Instruments in each historical period of the Mongolian nationality, which are deeply engraved with the brand of The Times and style characteristics. From the perspective of instrument combination form and performance style, the ensemble of folk music in eastern Inner Mongolia belongs to sizhu music. Traditional Mongolian instrumental music has a long history and unique style. From the perspective of performance form, the ensemble of folk music in eastern Inner Mongolia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ensemble and solo. On the level of folk custom, it is mostly presented in the form of ensemble of folk music. This characteristic shows that the expression way of music in rural society still serves the spiritual and cultural life of the people. The music life organized by the people spontaneously is indispensable in the people's life, and it is the appeal of collective wisdom. From the perspective of regional styles, the forms of Mongolian traditional folk music ensembles are diverse, with the "East Mongolian Ensemble" in Horqin region in the east of Inner Mongolia and the "Asier" in Xilingol region as the typical ones. The collective performance of the folk music ensemble is the primary basis for the continuous survival of the Mongolian music culture. In eastern Inner Mongolia folk music ensembles, most of them originate from folk songs, and folk artists modify and improve the melody and tone to form a distinctive local style ensemble art. The processing of folk artists contains the guidance of how to construct the musical thinking and cognition of these melodies and tones, and then reflects the unique thinking mode of traditional Mongolian music culture. This paper discusses the forms and repertoire of the ensemble of folk music in the east of Inner Mongolia from multiple perspectives and scopes, highlights the interpretation of the historical division of the traditional Mongolian instrumental music, the development of the ensemble, the performance and form of the ensemble of folk music in the east of Inner Mongolia, and puts forward some personal views and theoretical summaries on this basis. In eastern Inner Mongolia folk music ensemble as the research object, select the most representative form of local ensemble, xilingol "aspen" and khorchin "east Mongolian ensemble", through the field investigation on the current existed in the eastern Inner Mongolia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ensemble performing custom was investigated, and with example analysis of the collected instrumental music ensemble. At the same time, this paper explains the artistic value of the Mongolian traditional instrumental ensemble in the aspects of religion, folklore, belief, etc., especially elaborates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its creation. As a kind of cultural life props, Mongolian Musical Instruments in the east of Inner Mongolia reflect the spiritual needs and expression of Mongolian ethnic groups in the east of Inner Mongolia. Traditional instruments and musicians, traditional music and folk customs, bands and performances have internal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Chahar "Asier", as a relic of palace banquet music, has become the ensemble with the highest degree of instrumentalization in the traditional Mongolian instrumental music in eastern Inner Mongolia. Horqin "East Mongolian Ensemble" represents the change of an era, which collides with the musical culture of other nationalities in the social transformation, and establishes the instrumental music ensemble form suitable for the agricultural culture characteristics of Horqin in the east of Inner Mongolia through blending and variation. In terms of melody, most of the ensemble music comes from the adaptation of folk songs, so the melody has the characteristics of vocal music, and the performance of the instrument is in a secondary position. However, instrumental ensembles have a variety of melodic development techniques, such as developing melodies around the central tone, especially variations, which can be easily used in the improvisation of folk artists. In the ensemble of eastern Inner Mongolia folk music, Mongolian characteristic Musical Instruments such as Morin Qin, Huobisi, Yatoga, as well as decorative percussion instruments such as Yanganklebone and Jiegu are often added, which create unique acoustic characteristics and timber style. In order to highlight the melody of the folk song, the multi-part texture is mainly played in large chorus. However, this seemingly simple texture has a unique way in terms of the configuration of multi-part texture. Generations of people living in the grassland, breathing with the grass fragrance of the air, listening to the sounds of nature of the ancestors. Over the years, many scholars have adhered to the belief of traditional music and studied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from different perspectives. In the study of traditional Mongolian music in eastern Inner Mongolia, instrumental music is an important research content. The author's research and summary not only provide rich and varied research content and cultural connotation for the follow-up researchers. As a kind of music with a long history and cultural tradition, the Eastern Inner Mongolia Folk Music Ensemble is an important family member of the traditional music system of the Mongolian people in China, and also an important part of the traditional music system of China. Its unique charm has left a bright mark in the historical picture scroll and the touch on horseback is integrated in the ancient melody, which is the spiritual sustenance of the Mongolian people, but also an indispensable part of the intangible culture. 네이몽구 동부 민악합주 음악문화는 역사가 유구하고, 형식 내용이 풍부하며, 또한 광범한 대중적 기반을 가지고 있다. 장조(長調), 서사민가, 궁중음악, 마두금(馬頭琴), 사호(四胡), 등등 제각각 특색이 있고 표현양식이 다르며 선율도 풍부하다. 음악 형태의 다원화는 네이몽구 동부 민악합주 음악문화의 수식적인 발전을 위한 전제를 제공하며, 다성부 음악은 빠르게 발전돼 당대 몽골족 음악 창작의 주류로 자리 잡았다. 사회문명의 진보는 전통음악문화의 발전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고, 몽골족 민악합주 음악도 새로운 발전 단계로 접어들었다. 네이몽구 동부 몽골족 민간음악은 초원 유목생활에서 비롯되었으며, 자신만의 문화기호를 가지고 있어 네이몽구 사람들이 자연과 생명에 대해 인식하고 해석한 것이었다. 수 천 년 동안 몽골족 민간음악은 모두 구전의 방식을 통하여 초원에 전해져 왔으며, 오늘날까지도 그 전통을 이어가고 있어 많은 귀중한 문화유산을 남겨뒀다. 몽골족 기악음악의 발전은 네이몽구 사회의 발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즉,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가무와 가무의 장르, 기악 문화도 발전되었다. 인간의 악기가 생기고 발전하는 과정을 보면 타악기-취주악기-발현악기-궁현악기의 순서로 생겨나고 발전했다. 특히 몽골족 악기 발전은 몽골족 특색을 지니고 있었다. 악기의 발전 과정을 보면 몽골족은 역사적 시기마다 대표적인 악기가 있었다. 네이몽구 동부 민악합주는 악기의 조합 형태와 연주 스타일로 볼 때 사족악(絲竹樂) 민간 관악기와 현악기로 연주한 곡. 에 속한다. 몽골족 전통 기악은 역사가 유구하고 독특한 풍격을 갖추고 있다. 네이몽구 동부 민악합주는 독주와 합주 두 가지 현식으로 나눌 수 있다. 민속적인 측면에서는 민악합주 형식으로 많이 나타났다. 지역 특징으로 보면 네이몽구 전통 민악합주의 형식이 다양하고 네이몽구 동부 커얼친(科爾沁) 지역의 '동몽합주(東蒙合奏)'와 시린궈러(錫林郭勒)의 ‘아스르(阿斯爾)’ 합주가 가장 대표적이다. 민악합주가 단체적으로 연주하는 것은 몽골족 민악합주가 계속 전승되는 가장 중요한 기초이다. 네이몽구 동부 민악합주에서는 대부분 민요에서 유래했다. 네이몽구 민간 예술인들은 다시 개편함으로써 네이몽구 동부의 특색을 지닌 예술을 창조해냈다. 이는 또한 네이몽구 전통음악문화의 독특한 사고방식도 반영했다. 본 논문은 네이몽구 동부 민악합주의 형식, 곡목에 대해 다양한 시각으로 검토하였으며, 특히 몽골족 전통 기악의 발전사에 대해 시기별로 구분하고, 몽골족 기악합주의 발전 과정과 연주 형태 등에 대해서도 상세하게 연구하고 설명하였다. 그리고 본 논문은 네이몽구 동부 민악합주를 연구대상으로 심고, 시린궈러(錫林郭勒) ‘아스르(阿斯爾)’ 합주, '동몽합주(東蒙合奏)'와 같은 가장 대표적인 합주 형식을 취하여 심도 있게 연구하였다. 아울러 본 논문은 몽골족의 전통 기악 합주가 종교·민속·신앙 등에서의 예술적 가치에 대해 연구하고, 특히 창작에 있어서의 가치와 의미를 세밀하게 논술했다. 네이몽구 동부 몽골족 악기는 일종의 문화생활 도구로 몽골족 사람들의 정신세계를 잘 보여줬다. 전통악기와 악사, 전통악기와 민속, 악단과 공연 간의 교류가 밀접했다. 차하얼(察哈爾)의 ‘아스르(阿斯爾)’는 궁중연악의 유물로 네이몽구 동부 몽골족 전통 기악합주곡을 보여줬다. 그리고 커얼친(科爾沁)의 '동몽합주(東蒙合奏)'는 한 시대의 변천을 대표하며, 사회변천 과정에서 다른 민족의 음악문화와 만나고 융합함으로써 네이몽구 동부 커얼친(科爾沁) 농경문화의 특징을 지닌 기악 합주 형식에 적합하게 구성되었다. 네이몽구 동부 민악합주는 선율 측면에서 합주곡이 대부분 민요를 개작한 데서 유래했기 때문에 선율이 성악적인 특징을 지닌다. 그러나 기악합주의 선율 표현 기법은 다양하고, 중심음을 둘러싸 선율을 표현했다. 특히 변주 기법은 민간 연주가가 자유롭게 사용했다. 네이몽구 동부 민악합주에는 몽골족 대표적인 악기 마두금(馬頭琴), 화불사(火不思), 아탁갈(雅托噶), 그리고 장식적인 타악기인 양괴골(羊踝骨) 등을 넣어 독특한 음색을 만들어냈다. 네이몽구 동부 민악합주곡은 대부분 민요를 개작한 데서 유래했기 때문에 민요 선율을 살리기 위해 다성부 합주를 위주로 했다. 학자들이 음악 연구에 대해 전통을 지켜는 신념을 가지고 전통 기악에 대해 다양한 시각에서 연구해 왔다. 네이몽구 동부 몽골족 전통음악에 대한 연구에서 기악은 중요한 연구의 내용으로서 필자의 연구는 후속 연구자들을 위해 다양한 연구 내용과 문화적 함의를 제공하고, 심도 있게 연구해야 할 부분도 제시했다. 네이몽구 동부 민악합주는 유구한 역사문화 전통을 가진 악종으로 중국 몽골족 전통음악 체계에서 중요한 구성 요소이자 중국 전통악종 체계에서 중요한 구성 요소이며, 나아가 무형문화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구성 요소이기도 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