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앤 불린의 ‘광란의 노래’ 분석연구 : 도니제티의 오페라≪안나 볼레나≫와 라슨의 연가곡≪나를 심판 하소서, 선한 왕이시여≫를 중심으로 = An analytical study on the mad songs of Anne Boleyn : focused on G. Donizetti’s Opera Anna Bolena and L. Larsen’s Song cycle Try Me, Good K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030982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2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한양대학교 대학원 , 음악학과 , 2022. 2

      • 발행연도

        2022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 105 p. : 삽도, 악보 ; 26 cm.

      • 일반주기명

        권두 국문요지, 권말 Abstract 수록
        지도교수: 박정원
        참고문헌: p. 98-102

      • UCI식별코드

        I804:11062-200000591705

      • 소장기관
        •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6세기 튜더 왕조에 실존했던 여왕 ‘앤 불린’이 처형 직전에 겪었던 광란을 다룬 두 작품, 도니제티의 오페라≪안나 볼레나≫와 라슨의 연가곡≪나를 심판 하소서, 선한 왕이시...

      본 연구는 16세기 튜더 왕조에 실존했던 여왕 ‘앤 불린’이 처형 직전에 겪었던 광란을 다룬 두 작품, 도니제티의 오페라≪안나 볼레나≫와 라슨의 연가곡≪나를 심판 하소서, 선한 왕이시여≫ 중 제2곡 ‘앤 불린’을 분석한다.
      본문의 첫 번째 장에서는 앤 불린의 생애를 통해 그녀의 성격을 이해하고, 다양한 시대의 다양한 예술작품 속에서 재현되는 그녀의 이미지 변화를 살펴본다. 이를 바탕으로 그녀의 광기를 조명한 도니제티와 라슨의 작품의 배경을 이해한다. 본문의 두 번째 장에서는 도니제티의 오페라 중 2막 7장과 8장을 중심으로 안나의 광기가 벨칸토 스타일로 표현됨을 확인한다. 본문의 세 번째 장에서는 라슨의 연가곡 중 제2곡 ‘앤 불린’에 사용된 현대적 작곡기법의 특성을 살펴보고, 두 작품 모두에 적용된 인용기법의 의미를 탐구한다.
      이 연구는 19세기 이탈리아 벨칸토 오페라와 20세기 미국 연가곡 속에서 앤 불린이라는 동일 인물이 서로 다르게 묘사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두 작품의 시대와 지역, 장르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표현기법의 차이를 비교 분석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Donizetti’s opera Anna Bolena, and Anne Boleyn of Larson’s song cycle Try me, Good King, two works that deal with the frenzy of Queen Anne Boleyn in the Tudor dynasty in the 16th century just before her execution. In the first ...

      This study examines Donizetti’s opera Anna Bolena, and Anne Boleyn of Larson’s song cycle Try me, Good King, two works that deal with the frenzy of Queen Anne Boleyn in the Tudor dynasty in the 16th century just before her execution. In the first chapter, we understand Anne Boleyn's life that had no choice but to go crazy by looking at the changes in her image in music, painting, movies, dramas and novels through the times. The second and third chapter analyze how Anne Boleyn's mad songs are expressed differently in 19th-century opera and 20th-century modern songs.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differences among the times,
      regions, genres, and gender of the two works that illuminated the mental breakdown of a real person named Anne Boleyn. This analysis method allows for an understanding that expressing the same situation differently is due to the musical style of the times beyond just the differences in the perspective of the individual compos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Ⅱ. 앤 불린과 광란의 노래 5
      • 1. 앤 불린(Anne Boleyn, c. 1501–1536)의 삶과 죽음 5
      • 1) 성장기 5
      • 2) 여왕이 되기까지 6
      • Ⅰ. 서론 1
      • Ⅱ. 앤 불린과 광란의 노래 5
      • 1. 앤 불린(Anne Boleyn, c. 1501–1536)의 삶과 죽음 5
      • 1) 성장기 5
      • 2) 여왕이 되기까지 6
      • 3) 여왕즉위 후 출산까지 8
      • 4) 누명을 쓰고 처형되기까지 9
      • 2. 시대별 예술작품에 나타나는 앤 불린 이미지의 특징 12
      • 1) 르네상스 시대- 류트송과 회화 12
      • 2) 낭만 시대- 도니제티의 오페라와 동시대 작가들의 회화 15
      • 3) 현대- 라슨의 연가곡과 동시대 영화, 소설, 드라마 20
      • 3. 광란을 소재로 한 노래들 28
      • III. 도니제티의 오페라≪안나 볼레나≫(Anna Bolena, 1830) 중 안나의 아리아 ‘고향의 성으로 나를 데려다주오’(Al dolce guidami castel natio) 36
      • 1. 안나 볼레나와 주변 인물의 관계 36
      • 2. 2막 7장과 8장(scena ed aria finale) ‘광란의 장면’ 분석 39
      • 3. 안나의 운명을 암시하는 스메톤의 류트송 57
      • IV. 라슨의 연가곡≪나를 심판 하소서, 선한 왕이시여≫(Try Me, Good King: Last Words of the Wives of Henry Ⅷ, 2001) 중 제2곡 ‘앤 불린’(Anne Boleyn) 63
      • 1. 연가곡≪나를 심판 하소서, 선한 왕이시여≫의 구성 63
      • 2. 제2곡 ‘앤 불린’의 가사 분석 67
      • 3. 제2곡 ‘앤 불린’의 음악 분석 72
      • 4. 안나를 위로하는 다울랜드의 류트송 90
      • IV. 결론 93
      • 참고문헌 98
      • ABSTRACT 103
      • 감사의 글 105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박지향, "클래식 영국사", 파주: 김영사, 2012

      2 박종호, "불멸의 오페라 I", 서울: 시공사, 2010

      3 박종호, "불멸의 오페라 II", 서울: 시공사, 2009

      4 박종호, "불멸의 오페라 III", 서울: 시공사, 2015

      5 김미옥, 홍정수, 오희숙, "두길 서양음악사 I", 파주: 나남, 2010

      6 김미옥, 홍정수, 오희숙, "두길 서양음악사 II", 파주: 나남, 2010

      7 Fraser , Antonia, "The Wives of Henry VI I I ,", 1994

      8 정복주, 채은희, "성악예술-연주와 문헌", 서울: 예솔, 2009

      9 Frisch , Walter, "Music in the nineteenth century", 2013

      10 Crawford , Anne, "Letters of the Queens of England", 2002

      1 박지향, "클래식 영국사", 파주: 김영사, 2012

      2 박종호, "불멸의 오페라 I", 서울: 시공사, 2010

      3 박종호, "불멸의 오페라 II", 서울: 시공사, 2009

      4 박종호, "불멸의 오페라 III", 서울: 시공사, 2015

      5 김미옥, 홍정수, 오희숙, "두길 서양음악사 I", 파주: 나남, 2010

      6 김미옥, 홍정수, 오희숙, "두길 서양음악사 II", 파주: 나남, 2010

      7 Fraser , Antonia, "The Wives of Henry VI I I ,", 1994

      8 정복주, 채은희, "성악예술-연주와 문헌", 서울: 예솔, 2009

      9 Frisch , Walter, "Music in the nineteenth century", 2013

      10 Crawford , Anne, "Letters of the Queens of England", 2002

      11 손선희, "바로크시대의 음악수사이론", 낭만음악9 : 195-240, 1990

      12 Glahn , Denise, "Libby Larsen : Composing an Ameracan Life", 2017

      13 김현란, "튜더 시대 여성의 인문주의 교육.", 영국연구14 : 1-24, 2005

      14 Yoo , HwaJung, "Mad songs of Henry Purcell and Libby Larsen .", 2010

      15 변혜련, "몬테베르디의 격앙양식과 제3양식.", 음악이론연구 4. : 9-23, 1999

      16 김미애, "바로크 시대의 감정 이론에 관한 고찰", 이화 논집3 : 5-44, 1999

      17 Slayton, "Micheal K. Women of Influence in Comtemporary Music", 2010

      18 문경수, "음악사적 접근을 통한 영국가곡의 이해.", 음악과 민족14 : 242-266, 1997

      19 Joanna Denny, "Anne Boleyn : A New Life of England ’ s Tragic Queen", 2004

      20 Kramer , Lawrence, "`` Culture and musical hermeneutics : The Salome complex", 1990

      21 Pistone , Daniele, "Nineteenth-Century I talian Opera from Rossini to Puccini", 1995

      22 David , Metzer, "Quotation and cultural meaning in twentieth-century music", 2003

      23 강서희, "오페라 속 가사가 사라진 목소리의 의미와 역할.", 서양음악학 17.3 : 11-38, 2014

      24 Day , Angela, "A performer ’ s guide to Libby Larsen ’ s : Try me good king : Last words of wives of Henry VI I I", 2008

      25 강은구, "Libby Larsen의 연가곡 Try Me Good King: The Last Words of the Wives of King Henry VIII에 나타난 페미니즘적 요소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21

      26 고선미, "립비 라슨의 <기회를 주세요, 선한 왕이시여: 헨리 8세의 부인들의 임종의 말>의 피아노의 표현적 역할 고찰.", 음악교수법연구21 : 1-25, 2020

      27 정경영, "장르의 수사학, 양식의 수사학 : 몬테베르디의《탄크레디와 클로린다 의 싸움》(Combattimento di Tancredi et Clorinda, 1624)을 중심으 로.", 음악 논단 31. : 33-78,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