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업 재구성을 통해 본 역사 교사 지식

        윤지양 ( Yun Ji-yang ) 역사교육학회 2017 역사교육논집 Vol.62 No.-

        While there may be differences in the extents, all history teachers reconstruct their classes. Especially,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7th Curriculum, the paradigm of education has been changed, and the autonomy of the educational entities has extended greatly in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For this, the trend is becoming stronger, where the teachers as not seen as the deliverer of knowledge but as the decision maker, modifier of knowledge, and active creator of contents. In history education, reconstruction of class has been an important matter. The variability of the knowledge on history itself, the potentiality, and the descriptive nature were pointed as the reasons why reconstruction of class is needed. It has also been emphasized as the process of discussing the history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making a better history class. Also, reconstruction is also needed to embrace various demands for changes in history education in the field. For this reason, the history teachers should use their expertise and skills to reconstruct the classes in order to serve the specific situations of their own. It has become a very import task for the teachers, how they should decide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e education, practice them, and evaluate them. If so, what is the decisive factor that affect the reconstruction of class? There would be beyond doubt that they are the teachers. The teachers, in the process of class reconstruction, use their best judgment, choices, and their knowledge on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in the class room. There, this complicated set of evaluations is affected by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teachers, and the key factor in this process is nothing other than the expert knowledge base of the teachers. That is, the key factor of the reconstruction classes is the `knowledge of the teacher.` Until now, there have been many attempts to analyze the knowledge of history teachers, and the cognitive basis of history teachers was presented in the theoretical aspect. Through studies on actual teaching cases, it was attempted to solidify the knowledge of history teachers, and it was attempted to explain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through this. Also, as a strategy to train future teachers, it was attempted to evaluate the knowledge of teachers, as well. The achievements from these studies are as follows; the knowledge of history teachers that could affect the reconstruction of the classes can be classified into four domains. First, in all studies, the knowledge on the contents of the history subject had the highest ratio. Second, knowledge on the pedagogy and teaching method for the history classes are necessary. Third, the reconstruction of class reflects the understanding of the teacher on the students, or the understanding on the classroom or the school situation. Lastly, in the case of history subject, the philosophical basis of the teacher is emphasized. Based on this, the cognitive background of a history teacher can be referred to as the `history teacher knowledge.` Based on the discussions above, in this study, the knowledge characteristics of three history teachers were analyzed through the actual cases of reconstruction of class. The three sample teachers had the opportunities to reconstruct the history classes through years of research group activities. Therefore, they provided good examples to understand the history teacher knowledge. By examining the process of reconstruction of the three different teachers for the same topic, it was possible to see the history teacher knowledge at work in the four aspects of history teacher knowledge, such as the history knowledge, history teaching method, understanding of the student, and history class orientation. The examination of the history teacher knowledge at work in making choices and judgements for the process of reconstruction the class would provide useful ideas to other history teachers in their reconstruction works. And, it would be helpful for enhancing the expertise and finding concrete evidences.

      • KCI등재

        역사 실질 지식 연구의 동향과 과제

        이소은 역사교육연구회 2022 역사교육 Vol.164 No.-

        This article reviewed various works on historical substantive knowledge. With a social realist perspective on knowledge and curriculum, a new interest in historical substantive knowledge was examined. This article also investigated how historical substantive knowledge was addressed when discussing history education in Korea. In addition, empirical studies on historical substantive knowledge were reviewed, and the role and value of the historical substantive knowledge in students’ historical understanding were explored. Although historical substantive knowledge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historical education, historical substantive knowledge has been regarded as an object to be memorized or as background information for performing general skills. However, a recent discussion on knowledge of historical substance has emphasized the need to view historical substantive knowledge as something derived from a rigorous historical investigation. Also, it is suggested that it is crucial to thoroughly examine students’ understanding of historical substantive knowledge. To do so, it is necessary to examine how historical substantive knowledge are interwoven with second-order concepts of history, and how this understanding appears as a ‘usable’ big picture for students. At the same time, it is suggested that further studies continued in the future. 본 글에서는 역사 실질 개념을 둘러싼 다양한 국내외 연구를 검토하였다. 2010년대 이후 역사 실질 개념이 역사교육계에서 새롭게 관심 받게 된 계기를 지식과 교육과정에 대한 사회적 실재주의 논의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국의 역사교육 논의에서 역사 실질 개념이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하였다. 이와 더불어 역사 실질 개념에 대한 여러 경험적 연구를 검토함으로써 역사 실질 개념이 학생들의 역사적 이해에서 수행하는 역할과 지니는 가치를 조명하였다. 역사 실질 개념은 역사교육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지만, 단순히 암기해야 하는 대상으로 여겨지거나, 일반적인 기능 수행을 위한 단순한 배경 정보로 간주되는 경향이 있었다. 그렇지만 역사 실질 개념에 대한 최근 논의는 역사 실질 개념을 단순히 정보 축적의 대상으로 보는 접근에서 벗어나, 역사의 학문적 특성에 대한 이해와 엄밀한 탐구 과정을 거쳐 도출된 것으로 바라보아야 할 것을 역설한다. 그리고 이 둘러싼 학생들의 이해를 체계적으로 검토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제시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특정 역사 실질 개념 및 지식을 얼마나 정확하고 많이 알고 있느냐에 초점을 맞추는 양적 측정 수준에서 머물러서는 안 될 것이다. 단순히 특정 역사 실질 개념에 대한 사전적 정의와 핵심적인 속성을 파악하지 확인하는 수준을 넘어, 이 개념이 구체적인 역사 2차 개념과 결합하여 나타나는 양상과 더불어 이 개념에 대한 이해가 과거에 대한 종합적이고 ‘활용 가능한’ 역사상을 구성하는 데 어떻게 기여하는지 살피고, 이러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축적해 나갈 수 있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분수 연산에 관한 예비교사의 교수 내용 지식 분석

        김경은,방정숙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09 敎員敎育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about fraction calculation.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in order to explore both prospective teachers' knowledge of students' understanding and their knowledge of instructional methods on the topic of fraction calculation. A survey was implemented to a total of 187 juniors in 3 universities. This paper illustrated prospective teachers' strengths and weaknesses with regard to their specific knowledge. As the result of analysis,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understood well about addition-subtraction error, error of reduction of fractions to a common denominator, and error of reduction of a fraction. However, they revealed poor understanding about transformation error, reciprocal error, and error of fraction - construction. The teachers also had weak knowledge of the learning sequences about multiplication and division of fraction. When asked how to explain fraction calculation to students, the teachers had a tendency to use the common algorithm of fraction calculation rather than conceptual illustration, in particular for the case that the multiplier or the divisor is fraction. The paper included implications for teacher preparation program with regard to students' various types of errors and their reasons, learning sequence about fraction calculation, and the meaning of fraction and understanding of algorithm. 최근 강조되고 있는 교사의 교수 내용 지식과 관련하여 분수의 특정 내용 지식에 관한 연구는 많지만 분수 연산과 관련하여 학생 이해 지식과 교수 방법 지식을 면밀하게 분석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분수의 사칙연산 전체를 대상으로 두 가지 지식을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교사들은 초등학생들의 덧셈-뺄셈 오류, 통분 오류, 약분 오류는 잘 이해하고 있었으나, 상대적으로 변환 오류, 역수 오류, 분수 구성의 오류에 대해서는 잘 이해하지 못하였다. 또한 분수의 곱셈과 나눗셈의 지도 계열에 대해서 매우 취약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고, 승수와 제수가 분수인 경우 개념적인 설명보다는 알고리즘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 역시 원리보다는 계산 방법만을 설명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런 측면에서 본 연구는 예비교사교육에서 학생들의 다양한 오류 유형과 원인 및 대처 방안, 분수 지도계열에 대한 논의, 연산의 의미와 알고리즘의 이해 등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등식 이해 및 해결 전략에 대한 교사의 지식 분석

        방정숙,이유진 한국수학교육학회 2022 수학교육 Vol.6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well teachers anticipate students to understand and solve equations.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of the equal sign was developed, and 20 fourth-grade classe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Teachers in each class were asked to predict various strategies on how their own students would respond to the questionnaire, and a total of 450 students from the 20 classes solved the questionnair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teachers could predict students’ computational strategies and relational strategies easily but did not fully understand that some students used both strategies or employed incorrect computational or relational strategies. The students tended to use relational strategies better than the teachers expected. They also employed operational strategies more often than the teachers expected. The teachers predicted that students’ strategies would be influenced by the types of the problems such as equation-structure items and equation-solving items, whereas the students were more influenced by the forms of equations in the problems. Based on these results, several implications for the knowledge to which teachers needed to attend were discussed so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uld enhance the relational understanding of the equal sign.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등식 이해 및 해결 전략에 대해서 교사가 얼마나 잘 예상하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등호 이해 검사지를개발하였고, 4학년 20개 학급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각 학급의 교사에게 담당 학생들이 검사지 문항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다양한 전략을예상하게 하고, 실제 학생 전략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사들은 전반적으로 학생들의 계산적 전략과 관계적 전략에 대해서는 비교적 쉽게예상할 수 있었던 반면, 학생들이 계산적 전략과 관계적 전략을 함께 사용하기도 한다는 점, 틀린 계산적 전략이나 틀린 관계적 전략을 사용하기도한다는 점 등에 대해서는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교사들이 예상한 것보다 학생들은 관계적 전략을 더 잘 사용할 수 있었고, 등식의 형태에 좀 더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학생들이 등호에 대한 관계적 이해를 진작할 수있도록 교사에게 필요한 지식에 대하여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민요 수업 PCK에 나타난 문제점과 대안

        김민하 한국민요학회 2020 한국민요학 Vol.60 No.-

        In this study, PCK for folk song class shall be discussed, and in turn, problems and alternatives shall be addressed after analyzing folk song class made by pre-service teach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teachers had a relatively high-level of awareness regarding the necessity and goal of folk song education, but they lacked confidence in teaching class and were faced with various difficulties in conducting classes. Second,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e goal of folk song education in relation to cultural education factors, but most of them focused on musical skills while teaching students. Third, there were problems, such as pre-service teachers’ lack of understanding regarding the requisite knowledge needed in this field, errors committed in content delivery, teachers’ failure to explain the concept to the students in their own words, and teachers’ inadequate explanation of Korean folk songs because of basing their explanations on criteria or standards suited to Western music. Fourth, pre-service teachers lacked the practical skills required in folk song classes to demonstrate songs by combining the jangdan and songs, and they seemed to lack confidence. Fifth, it was found that pre-service teachers suffered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students’ interest or levels because of their lack of awareness or understanding of folk songs. They also had difficulties adjusting levels to make classes more interesting due to lack of experience and lack of knowledge of traditional music and of what class should come before and after folk song class. Sixth, pre-service teachers showed a high level of recognition regarding methods to teach and learn folk songs and the efficiency of teaching materials, but their methodological knowledge about teaching methods and material utilization and knowledge regarding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strategy were poor. The following alternatives were drawn based on the above-mentioned problems.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and operate the curriculum for training teachers centering on PCK required for folk song classes.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programs for teaching practical skills combined with knowledge in teaching methods so that teachers can have the practical capacity needed for carrying out folk song class. Third, it is necessary to expand opportunities to conduct folk song classes through educational training to build the PCK required in folk song classes from the stage of pre-service teachers. Fourth, it is necessary to prepare programs and a foundation to directly and indirectly share the PCK of experienced teachers with expertise in folk song class. 본 연구는 민요 수업을 위한 내용교수지식(PCK)을 고찰하고, 이에 따라 예비교사들의 민요 수업에 나타난 PCK를 분석하여 문제점과 대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들은 민요교육의 필요성과 목표에 대해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었지만, 수업에 대한 자신감 결여, 수업 실행 상의 여러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예비교사들은 민요교육의 목표를 문화교육적 요소와 관련지어 인식하였으나, 대부분 음악적 기능에 치중된 수업을 실행하였다. 셋째, 예비교사들의 낮은 지식 이해도, 내용 전달의 오류, 교사의 언어로 변환하여 개념을 설명하지 못하는 양상, 서양음악의 인식 체계에 바탕을 둔 교사의 설명 등의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넷째, 민요 수업에 요구되는 실기 역량 측면에서 예비교사들은 장단과 노래를 결합하여 시범창 하는 것을 가장 어려워했으며, 다소 자신감이 결여된 모습을 보였다. 다섯째, 예비교사들은 자신의 민요에 대한 인식과 이해 수준에 기초하여 학생들의 흥미와 수준을 파악하거나, 국악 경험 부족 및 민요 학습의 선ㆍ후행성에 대한 지식의 미흡으로 흥미 있는 수업을 이끌어 가거나 민요 수업의 수준을 조절하는 데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예비교사들의 민요 교수ㆍ학습 방법 및 자료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 정도는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지만, 교수법과 자료 활용에 관한 방법적 지식,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 전략 지식은 미흡한 수준이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음의 몇 가지 대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교사 양성 교육과정을 통해 민요 수업에 요구되는 PCK를 습득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개선, 운영해 나가야 한다. 둘째, 민요 수업 실행에 요구되는 실기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교수 방법 지식과 결합된 실기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생 이해 지식 및 교수 방법 지식의 이해ㆍ적용을 위해 교육실습 등을 통한 민요 수업 실행 기회를 확장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넷째, 민요 수업 전문성을 가진 경력 교사의 PCK를 직ㆍ간접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학사 교육의 위치와 문학사 서술 방향

        노철 국제한인문학회 2013 국제한인문학연구 Vol.- No.12

        At present, the education of literary history for foreigners is viewed on the ground of language model, culture model, and personal growth model, which makes unclear understanding the aim of educating literary history. This happens when the general model of literary education is applied unrevised to the position of literary history. It is overlooked that literary history is a writing that presents literary works and literary phenomena through a system. Literary history is different from language model as a system of knowledge. Reading literary works has to do with the ability to communicate but not with the aim of selective reading of literary works. Selective reading of literary works can be called the essence of literary education as the model of personal growth. For for foreigners, though, reading literary works also has some value as culture model. On the other hand, literary history has the aim to let the readers appreciate the value of literary works not as something separate but in the stream of Korean literary culture. Considering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relation to the educational system, education of literary history is likely to be simple memorization of knowledge because of the learners’ insufficient reading of literary works. So literary history texts need be designed to check knowledge on literary history through literary works. Likewise, the amount of work need be appropria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study hours arranged in the educational system. For this, while we follow the existing chronological order, it is necessary to assign the amount of work that is sufficient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each period. Balance between classical and modern literature must be accounted for by checking the excess of the classical. Finally, considering the present situation where although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belongs to the study of language and literature, the focus of study is mainly on language education and scarcely on theories of literature, general theories of literature need be presented through reference. Such presentation of theories on literature can also be a way to provide for foreign students an access to Korean literature with a general viewpoint. 현재 외국인을 위한 문학사 교육은 언어모델, 문화모델, 개인의 성장 모델의 관점으로 접근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은 문학사 교육을 문학교육의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모델을 그대로 적용시킨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문학사는 문학 작품과 문학 현상을 하나의 체계로 구성한 글쓰기라는 것을 간과한 것이다. 문학사은 지식의 체계로서 외국인에게 한국어의 의사소통 능력을 교육하는 언어모델과는 거리가 있다. 문학교육에서 의사소통 능력인 언어모델과 관련을 갖는 것은 한국문학 작품 강독이다. 하지만 학습자의 자국어로 된 한국문학 작품 선독은 의사소통능력보다는 개인의 성장이 학습 목표에 가깝다. 다음으로 문학교육에서 문화모델은 당대 문화와 삶의 이해라는 점에서 그 가치가 적지 않다. 특히 외국인에게 한국문학 작품의 읽기는 작품에 담긴 한국문화의 이해라는 측면에서 가치가 크다. 문학사는 이러한 문화를 제공하지만 역사, 정치를 직접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문학 현상과 관련된 문학 문화라는 범위에서 제시한다. 문학사의 목표가 하나의 문학 작품을 한국 문학 문화의 흐름 속에서 이해하고 가치를 평가하는 안목을 갖게 하는데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현재 한국어문학과 학제에서 문학사 교육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안고 있다. 첫째, 학습자가 한국문학사를 암기적 지식으로 받아들이는 일이다. 한국문학 작품의 독서 경험이 부족한 학습자는 문학사를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학사는 문학 작품을 통해 문학사의 지식을 확인하는 과정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현 학제에서 문학사의 시수와 문학사 학습양의 어긋남이 크다. 문학사의 학습량을 감당하기에는 시수가 부족하다. 현 단계에서 시수를 늘이기가 쉽지 않은 만큼 시수를 고려해 학습량을 적절하게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한국문학사의 시기구분을 따르더라도 각 시기의 핵심적인 특성을 이해할 정도의 양만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며, 고전문학의 비중이 지나치게 늘어나는 것을 제어해 현대문학과 균형을 맞출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어문학과가 어문학 학제이지만 문학론의 학습이 거의 없고 언어교육에 초점이 맞추어진 현실을 고려해 보편적 문학이론을 이해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학이론을 통한 한국문학의 이해는 외국인 학습자가 보편적인 관점에서 한국문학을 접근하는 통로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

        글쓰기에서의 오류 개선 연구 -대학생 글쓰기에서의 자기중심성을 중심으로-

        정은아 ( Eun Ah Chung ) 우리어문학회 2016 우리어문연구 Vol.54 No.-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중심성적 글쓰기 오류를 개선하는 데 있다. 지금까지의 글쓰기 오류 분석 연구는 그 개선을 위해 대체로 문법교육 강화를 주장하여왔다. 그러나 대학생의 경우 다른 저학년 군에 비하여 문법 지식에 숙달된 그룹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대학생 글쓰기에서의 문법적 오류 원인이 표면적으로 해석되는 경우가 상당할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이에 본고는 글쓰기에서 나타나는 모든 문법적 오류가 전적으로 문법적 지식의 부재에 기인한다고 보기 어렵다는 점을 강조한다. 어떤 경우는 필자의 자기중심성이 문법적 오류를 포함한 다양한 글쓰기 오류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본고는, 본 연구가 사례로 분석하고 있는 대학생 뿐 아니라 그 이후 연령대인 성인에게서도 흔히 나타날 수 있는, 자기중심성적 미숙함을 글쓰기 오류 원인으로 살피고 그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자기중심성은 글쓰기에서의 상위인지를 방해한다. 따라서 학습자가 독자와 필자로서 상호적 깨달음을 얻을 수 있는 토론 및 피드백을 통해 어떤 과정에서 글쓰기 오류에 빠졌는지를 자각하는 것이 필요하며 그러한 과정 후에도 지속적인 개인적 수련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이에 본고는 대학생 글쓰기 개선에 있어서 동료와의 토론이나 강사의 피드백을 통해서 필자의 자기중심성을 인식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즉, 자기중심성에 대해 필자가 인지하고 주의하여 다시 고쳐 쓰기를 할수 있다면 문법적 지식 등의 새로운 교육 없이도 글쓰기 오류를 상당 부분 개선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동시에 그것을 통해 본고의 논의(설사 문법적 오류에 해당하는 것일지라도 그 원인이 ‘문법적 지식의 부재’가 아닌 ‘자기중심성적 미숙함’에 있을 수 있다는 점)가 입증된 것이라 하겠다. The aim of this study is at improvement of writing error through the revise to overcome egocentrism. Generally, a study on students´ writing error suggests grammar education for improvement of writing. But, university students are familiar with grammar. They are different with elementary students in beginning instruction. Error of grammar in writing may be an ostensible reason for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highlighted that all ‘grammar error in writing`` dose not come from ‘absence of knowledge of grammar’. Some causes of grammar error in writing is given by egocentrism of writer. Egocentrism hinder the meta-cognition about writing. The Writter occasionally cannot consider readers´background knowledge(or reader’s understanding). Therefore the revise method through feedback with readers and writers will have good effect on student``s writing improvement.

      • KCI등재

        수학학습 멘토링이 예비수학교사의 수학교수지식(MKT)에 미치는 영향

        이헌수,김솔,강성모 한국학교수학회 2021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24 No.4

        본 연구는 수학학습 멘토링 활동이 예비수학교사들의 수학교수지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M대학교 수학교육과 학생 6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예비수학교사들은 농촌지역 중학생과 주 2회 2시간씩 15주 동안 1:1로 수학학습 멘토링을 진행하였으며, 매주 학습사항 및 정서관찰을 기록한 멘토일지를 과제로 제출하였다. 예비수학교사들의 멘토일지, 성찰일지와 면담 내용을 바탕으로 수학학습 멘토링 활동이 예비수학교사들의 수학교수지식과 학생에 대한 이해 및 자아성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수학학습 멘토링은 예비수학교사들에게 이론적인 수학교육학의 내용을 학교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이론적인 지식을 실천적 지식으로 발현하게 하였다. 둘째, 수학학습 멘토링은 예비수학교사들에게 학생을 이해하는 방법과 이해하는 능력을 갖추는데 도움을 주었고, 학습자로서의 자신의 태도 및 자세에 대해 반성하게 하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셋째, 수학학습 멘토링은 예비수학교사들에게 수업에 대한 반성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교수 활동을 신장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넷째, 수학학습 멘토링은 예비수학교사들의 교직에 대한 신념과 교직관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mathematics learning mentoring activities on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MKT)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We choose six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in the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at M University. Th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conducted 1:1 mathematics learning mentoring for two hours at a times and twice a week for 15 weeks. Th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submitted the mentor log, which recorded weekly learning and emotional observations. We collected the mentor log and the reflection log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and the interviews with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we analyzed the effects of MKT, the understanding of students, and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introspection by mathematics learning mentoring. We obtained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mathematics learning mentoring provides an opportunity for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o apply the theory of mathematical education to schools. Thus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express theoretical knowledge as practical knowledge. Second, mathematics learning mentoring helps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have the ability to understand students and provide opportunities to reflect on their attitudes as learners. Third, mathematics learning mentoring helps advance teaching activities by providing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with opportunities to reflect on their teaching activities. Finally, mathematics learning mentoring has positively influenced the change i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beliefs and teaching intuition.

      • KCI등재

        중학교 경력 체육교사의 체육교구 개선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장유진,정주혁,윤현수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8 교과교육학연구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narrative study is to present the story of a veteran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 focusing on her experiences of improving and utilizing teaching materials. Specifically, it aims to describe which physical education teaching materials were improved by the veteran physical education teacher, and interpret the educational meanings of utilizing those improved materials. Based on decisive critical case sampling, which is one type of purposeful sampling, Kim; Hee-Mang, a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 with 18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was selected as the focal research participant.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documents and five interviews with Kim; Hee-Mang about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that she did for 1.5 years. The collected data was then analyzed by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textualization, formation of concept, formation of upper/sub category, and formation of themes. The story writing was done in a circular fashion, by conducting realistic and interpretive description along with analysis. The teacher, Kim; Hee- Mang talked about her experiences of improving physical education teaching materials as in the use of pedometers and, mirror sheets, introduction of foam balls, permission of rash guards, production of boxing mitts, and application of certificates. These stories revealed that the basis of such experiences are about realizing the student's mind and, changing life tools into educational tools. 이 내러티브 연구는 한 중학교 경력 체육교사가 체육교구를 개선하고 활용한 경험을 이야기하고 다시 이야기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경력 체육교사는 어떠한 체육교구들을 개선해 나갔는지 사실적으로 기술하고, 개선된 교구들을활용한 경험에는 어떠한 교육적 의미가 담겨 있는지 해석적으로 기술하였다. 유목적 표집법 중 결정적 사례 표집에 의해 18 년 경력의 중학교 체육교사인 김희망 교사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에 필요한 관련 자료는 김희망 교사가 약 1년 5 개월 동안 수행한 학교체육 활동에 관한 이야기를 5차례의 인터뷰와 문서자료를 통해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넓게 바라보기와 깊게 바라보기를 병행하면서 텍스트화, 개념 생성, 상위-하위범주 생성, 주제 생성의 과정을 거치면서 분석하였다. 분석과 함께 사실적 기술과 해석적 기술을 순환적으로 실시하면서 글쓰기를 진행하였다. 김희망 교사는 만보계 사용, 거울 시트지 활용, 폼볼 도입, 래시가드 허용, 복싱 미트 제작, 인증서 적용에 관한 체육교구 개선 경험을 이야기하였다. 이러한 체육교구 개선 경험의 기저에는 아이들의 마음 알아차리기, 생활도구를 교육도구로 바꾸기라는 교육적 의미가 담겨있는 것으로 다시 이야기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