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이득, 상대이득, 설득권리의 정도가 대인설득전략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

        김경은,강길호 한국소통학회 2014 한국소통학보 Vol.23 No.-

        본 연구의 목적은 강길호와 김경은(2012)이 제시한 9가지 한국인 즐겨 쓰는 대인설득 전 략을 바탕으로 대인설득 전략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변인의 영향을 밝히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설득자 자기에게 이득이 되는 정도(self-benefit), 설득 상대에게 이득이 되는 정 도(other-benefit), 설득 권리의 정도(right to persuade)라는 세 가지 상황적 변인을 설 정하고, 이 요인들이 대인설득 전략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험연구방법을 채택하였으며, 세 독립변인 모두 인위적으로 조작하였다. 자 기이득의 정도는 높은 자기이득, 낮은 자기이득의 두 유형으로, 상대이득의 정도도 높은 상대 이득, 낮은 상대이득의 두 유형으로, 설득권리 역시 설득권리가 높음, 설득권리가 낮음의 두 유형으로 조작하였다. 이러한 실험처치를 바탕으로 8가지 유형의 대인설득 시나리오를 만들 었다. 이들 중 두 유형의 시나리오를 피험자들에게 무작위로 보여준 후, 9가지 대인설득 전략 의 사용 가능성을 측정하였다. 자기이득, 상대이득, 설득권리의 정도에 따라 대인설득 전략의 선택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3개의 연구문제가 설정되었고, 독립변인들 간 상호작용효과도 부가적으로 검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자기이득의 정도, 상대이득의 정도, 설득권리 각각 대인설득 전략 선택에 유의미한 차이 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자기이득의 정도, 상대이득의 정도 / 자기이득의 정도, 설득권리의 정도 / 상대이득의 정도, 설득권리의 정도와 대인설득 전략의 선택 사이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결과에 대한 함의와 한계가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effect of the situational factors which influence the selection of compliance-gaining strategies. Kil-ho Kang & Kyoung-eun Kim(2012) found Korean’s nine compliance- gaining strategies. This research placed the purpose in finding out the effect of the situational factors which influence the selection of nine compliance-gaining strategies. Established factors are the degree of self-benefit, the degree of other-benefit, and the degree of having the right to persuad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experimental research method was used. In addition,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manipulated artificially. The situations were divided into eight by the level of self-benefit, other-benefit, and having the right to persuade. Respondents were asked how likely they would use each of the nine strategies in two situations randomly chosen out of eight different situations. This research sets 3 research questions on how self-benefit, other-benefit, and having the right to persuade can affect the selection of nine compliance-gaining strategies. To get an answer of the research questions, empirical data was collected. As a result of analyzing statistical data, it turned out that self-benefit, other-benefit, and having the right to persuade influence the selection of compliance-gaining strategies. In addition, the interaction effects for the selection of compliance- gaining strategies between self-benefit and other-benefit, between self-benefit and having the right to persuade, and between other- benefit and having the right to persuade were found. Finally, theoretical and academic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한성준의 춤과 서울 지역 춤의 전개 과정 연구 : 1900년대 초부터 1940년대 초까지+

        김경은 무용역사기록학회 2024 무용역사기록학 Vol.74 No.-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춤의 근본인 한성준의 업적과 주요한 발자취를 따라 그 시대 서울 지역의 춤의 전개 과정을 조명하는 것이다. 연구 기간은 한성준이 서울에서 안착한1908년부터 생을 마감하는 1941년으로 정하였고, 연구방법은 국악 및 무용사와 관련된 문헌과 신문자료의 내용을 중심으로 춤의 생산·유통, 그리고 전통 창작의 요소에 관해논의하였다. 연구대상은 전통춤을 바탕으로 하는 한성준 계열의 춤으로 한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생산 유통의 관점에서 극장 소속의 예술단체와 민간 예술단체를 중심으로 춤이 전개 되었다. 1902년 협률사를 포함한 서구식 극장에서 한성준의 춤과 그 계보를 잇는 서울춤은 극장 소속의 예술단체와 연구회의 특성을 지닌 여러 민간 예술단체 소속의 예인들에 의해 공연되면서 점차 상업화, 무대화, 연예화, 극화되었다. 둘째, 전통 창작의 관점에서 전승 연행되는 춤과 소멸 재현되는 춤으로 구분된다. 한성준이 무대화 재구성 창작한 약72개의 작품은 오늘날의 관점으로 보면 ‘한성준流 신전통’이다. 대부분의 작품들이 소멸되었지만, 최근 복원 재현을 위한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minate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dances in the area of Seoul based on achievements and significant contributions of Han Seong-jun, a master of Korean traditional dance. The study period spans from 1908, when Han Seong-jun settled in Seoul, to 1941, the year of his passing. Research methods involve literature related to Korean music and dance, as well as examining newspaper materials. The research focuses on Han Seong-jun’s dance lineage within traditional dance. The findings reveal that dance evolved through both theatrical and private arts organizations. In the early 1900s, Seoul-based dances, following Han Seong-jun’s legacy, were performed by artists associated with various private arts groups, gradually transitioning into commercialized, staged, and entertainment-oriented forms. From a traditional and creative perspective, dances are categorized into those transmitted and performed continuously and those that have disappeared and are now being revived. From today’s perspective, the approximately 72 works that Han Seong-jun staged, restructured, and created can be considered ‘Han Seong-jun style new tradition’. Most of the works have been destroyed, but there has been a movement to restore and reproduce them recently.

      • KCI등재

        일상기도로서의 주기도문 활용 : 다양한 형태의 공동체 시대를 생각하며

        김경은 한국실천신학회 2023 신학과 실천 Vol.- No.83

        현대사회의 특징인 개인주의는 공동체의 모습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지역을 기반 으로 공고하게 결속되었던 과거의 공동체와는 달리 느슨한 연결 형태의 공동체가 점 점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공동체들은 개인의 필요에 따라 모이는 일시적 공 동체가 많지만, 특이한 현상은 온라인에서 시작된 모임이 개인과 집단의 공감으로 오 프라인 모임으로 전환되는 사례들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오프라인 모임을 통해 공동 체 소속감을 더 느끼고 싶은 인간 본성의 표출로 이해될 수 있다. 팬데믹 시대에 대면 모임이 약화하였던 교회는 다시 모이기 위한 노력을 시작하였 지만, 팬데믹 이전 시대로의 완전한 회복에 대한 전망은 밝지 않다. 이런 상황 가운데 교회는 헌신된 구성원들 뿐 아니라 느슨하게 연결된 구성원들을 위해서도 신앙 성장 을 위한 영성훈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동이 활발하며 시공간의 제한이 많아서 오프라인 모임 참여가 쉽지 않은 구성원들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교회 공동체 영성 훈련의 하나로 일상에서 주기도문으로 기도하 기를 제안하였다. 초기교회에서 하루 세 차례 주기도문으로 기도했던 전통을, 일상 속 영성생활이 중요해진 오늘의 상황에 맞게, 새롭게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 것이다. 주기도문 기도를 통해 기독교 영성의 핵심을 이해하고 내면화할 수 있다고 보았 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기도의 관점으로 주기도문을 보는 교부들의 해석과 현대 저 술을 주요 자료로 하여 그 의미를 설명하고, 고립의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 그리스도 인들이 주기도문을 통해 소속감, 하나님 나라에 대한 감각, 용서하는 마음, 악과 죄에 대한 인식을 배우고 경험할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 Individualism, a characteristic of modern society, has altered the impression of the community. Unlike past communities that were firmly unified based on region, contemporary iterations are increasingly formed based on loose connections. Most of these communities are temporary, formed according to individual needs, but interestingly, communities begun online often manifest genuine connections further nourished offline. This phenomenon can be understood as an expression of human nature, the desire to feel a sense of belonging to one’s community. Despite weakened in-person efforts during the pandemic, the Church has initiated efforts to regather, although prospects for full recovery to pre-pandemic levels of engagement seem less than encouraging. In this situation, the Church must provide programs for spiritual growth not only for dedicated members but also for loosely connected members. Constant movement has rendered offline meetings difficult for some members of the Church. With such considerations in mind, this paper proposes the incorporation of regular prayer in daily life within the spiritual training of the Church community. Applying the tradition of regular prayer (three times a day during the period of the early Church) can aid in understanding and internalizing the core of Christian spirituality in the modern day where spiritual life in daily life has become important. This paper conveys the meaning of the Lord’s Prayer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Church Fathers, who saw the Lord's Prayer from the perspective of prayer and modern writing. Moreover, this paper suggests that modern Christians living in the era of isolation can learn and experience a sense of belonging, sense of the Kingdom of God, forgiveness, and awareness of evil and sin through the Lord's Prayer.

      • KCI등재

        진로의사결정 과정에서 조절초점-조절전략 일치 여부에 따른 정서 및 인지 반응의 차이

        김경은,김계현 한국상담학회 2019 상담학연구 Vol.20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 motivational system that regulates goal attainment behavior in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and the fitness of the strategy according to each motivational system to the value perception of career choice. For the purpose, face-to-face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a total of 138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Seoul area in grade 3-4. Two regulatory focus (promotion, prevention) x two strategies (eagerness, vigilance) experimental design was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case of the group with promotion focus activated, emotional and cognitive respons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agreement between the regulatory focus and the regulatory means. In emotional responses, fi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motional score immediately after the final career selection compared to non-fits with a significantly lower negative emotional score. In cognitive reactions, fits have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confidence in their career choices compared to non-fits. Second, in case of the prevention focus group, emotional and cognitive respons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agreement between the regulatory focus and the regulatory means. In emotional responses, fits had significantly lower positive emotional scores compared to non-fits, with significantly higher negative emotional scores. In cognitive reactions, fits had a significant amount of memory for job information compared to non-fits. The regulatory fit effect in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found in this study provides useful implications for career counseling interventions that facilitate psychological adjustment.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의사결정 과정에서 진로 목표 달성을 위해 행동을 조절하는 동기체계와 각 동기체계에 맞는 접근수단의 일치 여부가 진로 선택에 대한 정서 및 인지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의 S대학에 재학 중인 3~4학년 총 138명을 대상으로 면대면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은 2개의 조절초점(향상초점, 예방초점)과 2개의 조절전략(열망전략, 경계전략)의 2×2 집단 간 실험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향상초점이 활성화된 상태의 경우, 조절초점-조절전략 일치 여부에 따라 정서 및 인지 반응의 차이가 나타났다. 정서 반응은 조절초점-조절전략 일치(fit)가 상충(non-fit)에 비해 최종 진로 선택 직후의 긍정적 정서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고, 부정적 정서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다. 인지 반응은 일치가 상충에 비해 자신의 진로선택에 대한 확신도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예방초점이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조절초점-조절전략 일치 여부에 따라 정서 및 인지 반응의 차이가 나타났다. 정서 반응은 일치가 상충에 비해 긍정적 정서 점수가 유의미하게 낮았고, 부정적 정서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인지적 반응은 일치가 상충에 비해 직업정보에 대한 기억량이 유의미하게 많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만족스러운 진로의사결정을 위한 진로상담에 주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사회과 예비교사의 수업전문성 제고를 위한 수업비평

        김경은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1 교과교육학연구 Vol.15 No.3

        최근 교사의 수업전문성이 강조되면서 이를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는 주로 현장 교사를 대상으로 한 것으로 상대적으로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과 예비교사의 수업전문성 제고를 위한 방안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분석을 통해 사회과 교사의 수업전문성의 의미와 이를 위해 요청되는 핵심적인자질을 도출하고 이를 발현하기 위한 조건들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조건을 중심으로 수업전문성 제고 방안으로서의 수업비평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더불어 사회과 교사양성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한계를 보완한 수업비평의 과정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수업전문성 제고를 위한 핵심적 자질로 수업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수업 이해 능력과 반성적 사고가 도출되었고 이를 위한 조건들로는 실제 수업 상황의 제공, 수업에 대한 개방적 관점 허용, 능동성에 기반한 탐구의 장 제공, 탐구를 촉진하고 지속하기 위한 기제가 도출되었다. 수업비평은 수업전문성 제고를 위해 도출된 조건들을 상당부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수업에 대한 탐구를 촉진하고 지속시키는데 일정부분 한계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수업 예상하기’, ‘수업 대화하기’, ‘비평문 공유하기’의 활동을 포함한 수업비평 과정의 틀을 제안하였다. 더불어 사회과 교사양성과정에서의 수업비평 활용 사례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class critiques for enhancing the professionalism of social studies student teachers. To achieve this aim, the meaning of teaching professionalism is identified, as are the essential qualifications and conditions of this concept through literature reviews. Second,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class critiques as a recipe for teaching professionalism are discussed. Third, a frame for class critiques, which was modified for overcoming weaknesses, is sugges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essential qualifications for teaching professionalism are competence of instruction, interpretation, and reflective thinking. The conditions for these qualifications are authentic lesson situations, open instruction perspectives, active areas for inquiry, and devices for promoting critical inquiry. Class critiques seem to meet most of these requirements. They fall short, however, of maintaining inquiry of instruction. A modified class critique frame is therefore suggested. It covers steps such as presupposing, lesson discussion, and the sharing of review papers. These activities provide opportunities for the student to experience different perspectives and choices with respect to the lesson. In addition, a case for class critiques in social studies teacher education is presented.

      • 한국의 장관은 정치가인가 행정가인가: 장관 리더십에 대한 근거이론 적용

        김경은 한국정책학회 2014 한국정책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4 No.-

        정치적 피임명자이자 조직 관리자로서의 역할이 부여되는 장관직의 특수성을 기존의 리더십 이론으로 충분하게 설명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김영삼 정부에서 이명박 정부에 이르는 4개의 정부를 ``민주화 이후``라고 정의하고, 한국의 장관 리더십을 분석하였다. 정치사회환경과 시대적 요구가 정치적 임명의 조건이라는 점에서 장관 리더십은 정치와 행정의 속성을 반영한다. 이에 연구자는 민주화 이후 임명된 장관 중 외부에서 부임한 7명의 장관들(1명의 차관 포함)과 심층인터뷰 하였고, Strauss & Corbin의 근거이론을 적용하여 <장관 리더십> 패러다임 모형을 구축하였다. 분석 결과, 장관 리더십의 핵심범주는``변화를 불어넣음``으로, 장관은 정치가로서의 이상을 추구하되 행정가로서의 전략을 구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변화를 추구하는 대상에 따라 장관 리더십을 ``관계 지향적``, ``조직 지향적``, ``정책 지향적``, ``대외 지향적``리더십으로 유형화하였다. 본 연구는 장관직을 수행한 참여자들의 경험을 토대로 장관 리더십을 실증 분석함으로써 정치와 행정의 경계에 위치한 장관직의 고유성을 밀도 있게 분석하였다는 데 의의를 둔다.

      • 미디어 아트의 조형성에 대한 심리 효과 : 한국 영화의 3D Animation을 중심으로

        김경은,최법진 강원대학교 조형예술연구소 2006 조형예술논문집 Vol.7 No.-

        Due to art's secession from the genre and media's unification, even the mass media and technology have become an essential part of a work. The expressive field of art has become expanded more and more by the advent and development of computers, as a means of the media. In consequence of it, the expressive method of art, the formative field of art, and the factors of art have become more comprehensible and various. The expressive way of films using 3D animation which belongs to the computer art among the media arts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art, has been obtaining more immersion effect of the spectators on the films, using the special technique of the recent Computer Graphics. This paper indicates that the formative factor of media art has been emphasized more by using computer animation in Korean films, one of the computer arts in an art field of media art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art, by examining the formative principle and psychological aspect in the films, which are <Theomarok> and <Welcome to Dongmak-gol>. In addition, 3D animation can induce the psychological reaction easily since it helps the free space not restricted by the camera space to be applicable and cause one's interests and widen its expression by turning an visually impossible expression into a possibility.

      • 한국 전통문화의 보편성 탐구 - 심곡서원(深谷書院)의 전통 만들기에 대한 스토리텔링 분석

        김경은 한국행정학회 2017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7 No.동계

        전통은 현재를 과거와 엮는 끊임없는 해석에 의해 완전성이 확립되는 개념으로, 시간의 축적과 현재적 해석을 요한다. 한국의 서원(書院)은 제향(祭享)과 강학(講學)의 공간으로서 유교문화의 전형으로 인식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담고 있다는 생각에 기초해 서원의 의미와 가치에 주목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한국 전통문화의 보편성을 발견하고, 그 보편성이 어떠한 특질로 이루어지는지 분석하고자 현대적인 면모를 가장 가시적으로 드러내는 도시에 위치한 심곡서원(深谷書院)이 전통으로 착근되는 과정을 추적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은 사회적 맥락과 시대적 상황의 산물이며, 정치적 파란과 시대적 부침에 따른 역사적 단절 속에서 지금에 이르고 있다는 두 가지 착안점에 근거해 전통연구의 사례를 선정하였다. 또한 전통이란 과거로부터 이어지는 시간성(timeness) 그리고 현재적 의미라는 가치성(valueness)을 동시에 함축하며 지금 시점에서의 해석을 통해 그 실체를 주조할 수 있는 대상이라는 명제에 입각해 사례 분석을 실시하였다. 한편 전통이 현재의 해석에 의해 규정되는 것이라면 과거와 현재의 시점에서 전통을 속성을 병렬적으로 비교 분석하는 것만으로는 그 실체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고, 오히려 과거에서부터 현재로 이어지는 과정 속에서 전통의 요소를 포착해 내는 것이 중요하다.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은 과거에서 현재에 이르는 일련의 흐름 속에서 상실된 중간과정을 복원할 수 있는 분석방법으로서 전통의 실체를 규정하는 데 있어 새로운 시각과 아이디어를 제공해 준다. 이에 스토리텔링을 통해 심곡서원의 주향자(主享者)인 조선 중기 문신(文臣) 정암 조광조(靜庵 趙光祖))의 삶을 서원 공간과 연결하고, 서원과 관련된 사람들의 상호작용을 서사적으로 재구성한 <심곡서원 전통 만들기> 이야기를 구축해 심곡서원의 “무엇”이 전통으로서 “어떻게” 착근되는지를 제시하였다. <심곡서원 전통 만들기> 이야기 구조(분석틀)는 인물, 공간, 상징, 상호작용, 은유의 이야기 항목으로 구성되며, 여러 이야기 항목들이 연결되어 줄거리(plot)를 형성한다. 이야기 주인공인 인물은 주체적으로 자기 삶을 개척하거나 타자에 의해 정체성이 규정되는 가운데 상징화(symbolization)되고, 주인공을 정점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여러 참여자들 간의 상호작용(interaction)으로 은유적 공간(metaphoric space)이 창출된다. 한편 이야기 밖의 청자(audience)의 시각은 이야기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전통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보다 객관적으로 포착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분석 결과, <심곡서원 전통 만들기>는 ‘인물의 생애(조광조 연대기)’, ‘기념의 시대(서원 건립기)’, ‘전통의 시대(의미 창출기)’의 흐름을 통해 전개된다. 각 시기별 흐름에 따라 서원은 “모순의 공간”, “정치적 공간”, “협의(協議)의 공간”으로서 의미가 부여되고, 전통 만들기 주체는 인물, 당대 사람들, 국가·사회로 확장된다. 특히 ‘전통의 시대’에서는 서원이 국가에 의한 공식화 과정을 통해 권위를 획득하고 시민사회의 거버넌스에 의해 현재적 해석이 더해짐에 따라 전통으로서의 정당성을 확보하게 된다. 즉 이야기의 중심소재인 심곡서원은 도시라는 특유의 공간적 조건 그리고 민주화된 의사결정이 보편화된 시대적 조건 속에서 전통으로 뿌리내리는 것이다. 개별 서원마다 각기 다른 역사적 맥락하에서 고유의 스토리를 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원을 조선시대 유교문화를 포괄하는 전통의 집체(collection)로 다루기 때문에 서원 전통은 오히려 관념적이고 추상적인 개념으로 인식된 경향이 있다. 더군다나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다’라는 화두는 전통에 대한 실증적·경험적 검증보다는 수사적(rhetoric) 접근을 촉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원이 전통으로 착근되는 과정을 추적하는 단일사례 분석을 통해 지금의 서원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합의 과정 역시 전통의 일환으로 보아야 함을 제안하였고, 한국의 서원이 지니는 보편성은 서원의 건립 취지와 목적에 담긴 유교 정신의 내용 그 자체보다는 전통이 되어가는 과정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질이라고 봄이 타당하다는 결론으로 논의를 마무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