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이득, 상대이득, 설득권리의 정도가 대인설득전략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

        김경은,강길호 한국소통학회 2014 한국소통학보 Vol.23 No.-

        본 연구의 목적은 강길호와 김경은(2012)이 제시한 9가지 한국인 즐겨 쓰는 대인설득 전 략을 바탕으로 대인설득 전략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변인의 영향을 밝히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설득자 자기에게 이득이 되는 정도(self-benefit), 설득 상대에게 이득이 되는 정 도(other-benefit), 설득 권리의 정도(right to persuade)라는 세 가지 상황적 변인을 설 정하고, 이 요인들이 대인설득 전략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험연구방법을 채택하였으며, 세 독립변인 모두 인위적으로 조작하였다. 자 기이득의 정도는 높은 자기이득, 낮은 자기이득의 두 유형으로, 상대이득의 정도도 높은 상대 이득, 낮은 상대이득의 두 유형으로, 설득권리 역시 설득권리가 높음, 설득권리가 낮음의 두 유형으로 조작하였다. 이러한 실험처치를 바탕으로 8가지 유형의 대인설득 시나리오를 만들 었다. 이들 중 두 유형의 시나리오를 피험자들에게 무작위로 보여준 후, 9가지 대인설득 전략 의 사용 가능성을 측정하였다. 자기이득, 상대이득, 설득권리의 정도에 따라 대인설득 전략의 선택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3개의 연구문제가 설정되었고, 독립변인들 간 상호작용효과도 부가적으로 검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자기이득의 정도, 상대이득의 정도, 설득권리 각각 대인설득 전략 선택에 유의미한 차이 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자기이득의 정도, 상대이득의 정도 / 자기이득의 정도, 설득권리의 정도 / 상대이득의 정도, 설득권리의 정도와 대인설득 전략의 선택 사이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결과에 대한 함의와 한계가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effect of the situational factors which influence the selection of compliance-gaining strategies. Kil-ho Kang & Kyoung-eun Kim(2012) found Korean’s nine compliance- gaining strategies. This research placed the purpose in finding out the effect of the situational factors which influence the selection of nine compliance-gaining strategies. Established factors are the degree of self-benefit, the degree of other-benefit, and the degree of having the right to persuad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experimental research method was used. In addition,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manipulated artificially. The situations were divided into eight by the level of self-benefit, other-benefit, and having the right to persuade. Respondents were asked how likely they would use each of the nine strategies in two situations randomly chosen out of eight different situations. This research sets 3 research questions on how self-benefit, other-benefit, and having the right to persuade can affect the selection of nine compliance-gaining strategies. To get an answer of the research questions, empirical data was collected. As a result of analyzing statistical data, it turned out that self-benefit, other-benefit, and having the right to persuade influence the selection of compliance-gaining strategies. In addition, the interaction effects for the selection of compliance- gaining strategies between self-benefit and other-benefit, between self-benefit and having the right to persuade, and between other- benefit and having the right to persuade were found. Finally, theoretical and academic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 사진탐색을 활용한 상담이 취업준비생의 자아탄력성 및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김경은 명지대학교 아동가족심리치료센터 2016 아동가족치료연구 Vol.14 No.-

        본 연구의 목적은 사진탐색을 활용한 상담을 통해 취업준비생의 자아탄력성 및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취업스트레스를 겪고 있는 취업준비생 여성 1명으로 단일사례연구로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에게 매회 50분씩 8회기에 걸쳐 사진탐색을 통한 상담을 실시하였다. 사진탐색을 통한 상담의 전과 후를 비교하고자 자아탄력성 척도, 취업스트레스 척도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사전-사후 심층면접 내용 및 상담회기내용을 분석하였다. 사진탐색을 활용한 상담 종료 후 자아탄력성, 취업스트레스 인식의 변화가 나타났다.

      • KCI등재

        진로의사결정 과정에서 조절초점-조절전략 일치 여부에 따른 정서 및 인지 반응의 차이

        김경은,김계현 한국상담학회 2019 상담학연구 Vol.20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 motivational system that regulates goal attainment behavior in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and the fitness of the strategy according to each motivational system to the value perception of career choice. For the purpose, face-to-face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a total of 138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Seoul area in grade 3-4. Two regulatory focus (promotion, prevention) x two strategies (eagerness, vigilance) experimental design was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case of the group with promotion focus activated, emotional and cognitive respons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agreement between the regulatory focus and the regulatory means. In emotional responses, fi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motional score immediately after the final career selection compared to non-fits with a significantly lower negative emotional score. In cognitive reactions, fits have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confidence in their career choices compared to non-fits. Second, in case of the prevention focus group, emotional and cognitive respons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agreement between the regulatory focus and the regulatory means. In emotional responses, fits had significantly lower positive emotional scores compared to non-fits, with significantly higher negative emotional scores. In cognitive reactions, fits had a significant amount of memory for job information compared to non-fits. The regulatory fit effect in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found in this study provides useful implications for career counseling interventions that facilitate psychological adjustment.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의사결정 과정에서 진로 목표 달성을 위해 행동을 조절하는 동기체계와 각 동기체계에 맞는 접근수단의 일치 여부가 진로 선택에 대한 정서 및 인지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의 S대학에 재학 중인 3~4학년 총 138명을 대상으로 면대면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은 2개의 조절초점(향상초점, 예방초점)과 2개의 조절전략(열망전략, 경계전략)의 2×2 집단 간 실험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향상초점이 활성화된 상태의 경우, 조절초점-조절전략 일치 여부에 따라 정서 및 인지 반응의 차이가 나타났다. 정서 반응은 조절초점-조절전략 일치(fit)가 상충(non-fit)에 비해 최종 진로 선택 직후의 긍정적 정서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고, 부정적 정서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다. 인지 반응은 일치가 상충에 비해 자신의 진로선택에 대한 확신도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예방초점이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조절초점-조절전략 일치 여부에 따라 정서 및 인지 반응의 차이가 나타났다. 정서 반응은 일치가 상충에 비해 긍정적 정서 점수가 유의미하게 낮았고, 부정적 정서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인지적 반응은 일치가 상충에 비해 직업정보에 대한 기억량이 유의미하게 많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만족스러운 진로의사결정을 위한 진로상담에 주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홀로그램 실감 콘텐츠를 통한 미디어 아트 시각 표현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김경은 예술과미디어학회 2022 예술과 미디어 Vol.21 No.1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evolving the ecosystem of the digital industry more rapidly, and these industrial fluctuations continuously cause the expansion and change of various media to develop the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of human civilization. had an impact on These changes in media have been incorporated into the daily life of various human beings, and have grown into a new environment in the digital age as a universal dimension, and furthermore, it has become a turning point for digitalization in various media industries. Among them, media art has been directed toward a rich diversity of expression through various new-concept media and environments as well as the artistic expression style of traditional aesthetics according to the expansion and change of digital media technology. In addition, media art has been turned into a work of art based on convergence thinking with various fields such as art, philosophy, humanities, and engineering, and has been continuously developed into a new field of art. In addition, various research and development are being carried out through these immersive contents. Among them, this study intends to study the main application of the holographic display medium, study the expression of media art through such holograms, perform various work methods, and propose the possibility of expression through the work of this researcher. Through this, we aim to study the infinite expansion of media art, an art field, and the possibility of a new art field. 4차 산업 혁명 시대의 과학 기술의 발달은 실감 콘텐츠와 같은 첨단 기술의 영역을 확대 시켰으며, 이것은 미디어의 진화와 다양한 인간 삶의 일상에 편입되어, 범용적 차원으로써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환경으로 성장시키고, 나아가 다양한 미디어 산업 분야의 디지털화의 전환점이 되었다. 그 중 시각 예술 분야인 미디어 아트는 디지털 미디어 기술의 확장과 변화에 따라 전통 미학의 예술 표현 양식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신개념의 미디어와 환경을 통한 풍부한 표현의 다양성을 지향하게 되었다. 이러한 신개념의 디지털 미디어 중 최근 각광받고 있는 실감 콘텐츠를 주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감 콘텐츠를 통한 다양한 연구와 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그 중 본 연구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매체에 대한 중점적 활용안을 연구하고자 하며, 이러한 홀로그램을 통한 미디어 아트의 표현을 연구하고 다양한 작업 방식을 수행하여, 몰입감과 현실감 표현의 가능성과 시각 예술의 풍부한 이미지 표현을 본 연구자의 작품을 통해 제안하고자 한다. 이에, 4차산업 기술인 실감 콘텐츠와 시각 예술의 융합의 가능성을 살피고 이러한 기술적 요소를 예술의 재료로 활용하여, 시대적인 변화에 접목할 수 있는 시각 표현의 가능성을 작품으로 구현하여 연구하고자 하며, 시각 예술 분야인 미디어 아트의 무한한 확장과 새로운 예술 영역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를 지향하고자 한다.

      • KCI등재

        국내 창의적 교수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김경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udies on creative teaching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method and keyword network methods. Methods TThe final 77 papers among the papers searched as keywords for ‘creative teaching’ in Korean journals were targeted. For content analysis, the 77 papers were analyzed in terms of topics and research methods using an analysis frame. In addition, 216 keywords were derived for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and centrality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extom programs and UCINET. Results First, before 2008 the main topic of creative teaching was creative teaching methods. From 2009 to 2014, in addition to creative teaching methods, various concepts such as creative teaching behavior, creative teaching beliefs, and creative teaching environment began to emerge, and after 2015, research on creative teaching behavior increased, and new concepts such as creative teaching competency and creative teaching efficacy were introduced. Also, from 2009 to 2104, most studies on creative teaching were conducted at universities, but after 2015, studies on creative teaching at universities and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increased. Second, the main keywords of creative teaching research were ‘teaching method’, ‘creative problem solving’, ‘child creativity’, and ‘teacher creativity’. As a result of network analysis, ‘creative teaching behavior’, ‘creativity’, and ‘creative teaching method’ were dominant keywords in degree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and mediation centrality. Conclusions This study reviewed systematically research on creative teaching by period, and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related to creative teaching. Implications for the results and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목적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학술지 논문에 게재된 창의적 교수에 관한 연구들을 내용분석방법과 키워드 네트워크 방법을 통해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국내 학술지 논문에서 ‘창의적 교수’ 혹은 ‘창의성 교수’의 키워드로 검색된 논문 중 최종 77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내용분석을 위해 창의적 교수 관련 논문을 연구시기에 따라 분석틀을 이용하여 주제와 연구방법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위해 77편 논문에서 최종 216개의 키워드를 도출하였고, 텍스톰 프로그램과 UCINET을 이용하여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중심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2008년 이전에는 주로 창의적 교수법과 관련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2009년에서 2014년까지는 창의적 교수와 관련하여 창의적 교수법 이외에도 창의적 교수행동, 창의적 교수신념, 창의적 교수 환경 등 다양한 개념이 나타나기 시작했고, 2015년이후에는 창의적 교수행동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였고 이외에도 창의적 교수역량, 창의적 교수효능감과 같은 새로운 개념들이 도입되었다. 연구대상적 측면에서 2009년에서 2104년까지는 대학의 창의적 교수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나, 2015년 이후에는 대학 및 영유아기관의 창의적 교수에 관한 연구가 증가하였다. 둘째, 창의적 교수 연구의 주요 키워드는 ‘교수법’, ‘창의적문제해결’, ‘아동창의성’, ‘교사창의성’ 등으로 나타났다. 네트워크 분석결과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에서 ‘창의적교수행동’, ‘창의성’, ‘창의적교수법’이 주요한 키워드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창의적 교수에 대한 연구를 시기별, 주제별로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창의적 교수 관련 연구의 관계성을 파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토대로 추후연구에서 다루어야 할 부분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청소년이 지각하는 창의성 교육의 실태 및 창의성과 문제해결능력 간의 관계

        김경은,박연정 고려대학교 2006 虎院論集 Vol.1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 practice of creativity perceived by adolescen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are 330 secondary students, who have completed questionnaries of 'Education Practice of Creativity', 'How Much Am I Creative?' and 'Problem Solving Ability'. The results of this sutdy are as follows: (1) It is found that most adolescents recognized the need and importance of creativity-fostered education for over three years, they didn't understand what creativity is and how to develop creativity. Main obstacles of creativity-fostered education in school are lack of understanding creativity-fostered education, lack of teaching methods, teaching materials and teaching time. Antecedents for developing creativity-fostered education are building school climate for creativity-fostered education and selecting and applying various teaching contents. (2) Adolescents' satisfaction of creativity-fostered education has meaningful differences with gender. Adolescents' necessity, satisfaction, and importance of creativity-fostering education have meaningful differences with gender and grade. (3)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subscales of problems solving ability and the creativity perceived by adolescent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창의성교육 프로그램이 문제해결능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단기종단연구

        김경은 한국보육지원학회 2015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1 No.1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창의성교육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문제해결능력과 자기효능감증진에 단기종단적으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1차년도에는 예비유아교사를 위한창의성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실험집단 예비유아교사 50명과 통제집단 예비유아교사 51명을 대상으로 사전, 사후 문제해결능력과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였다. 2차년도에는 1차년도 연구에 참여했던 실험집단 예비유아교사 36명과 통제집단 예비유아교사 31명, 총 67명을 대상으로 문제해결능력과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평균, 표준편차, 이원변량반복측정분석을 적용하였다. 첫째,집단별 측정시기에 따라 예비유아교사의 문제해결능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별 측정시기에 따라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창의성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문제해결능력 및 자기효능감 증진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