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재외한인문학에서 징용 기억의 재현과 확산 ― 일본과 인니 지역을 중심으로

        최종환 국제한인문학회 2022 국제한인문학연구 Vol.- No.34

        ‘인도네시아’(이하: 인니) 지역 한인 시에 담긴 징용의 기억을 비교 분석하는 일은 디아스포라 연구 분야에서도 가치가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기존 논의의 사각지대를 메움으로써 재외한인 문학의 폭을 확대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 일본지역에 국한돼 논의돼온 징용의 주제를 적도 지역으로까지 확장하는 새로운 시도를 진행한다. A·아스만이 '회상'과 관련하여 주장한 기억 활력론에 입각하여 이 사안을 새로이 읽는다. 연구의 과정에서 아래의 결론이 도출됐다. 첫째, 총련계 재일조선인과 인니 한인 시인은 자신이 발 디딘 상황 속에서선 세대의 징용을 회상하고 활성화하려 했다. 그러나 그 회상의 기반이 서로 달랐다. 회상 내용이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었다는 뜻이다. 총련계 재일조선인에게 기억의 가장 큰 동기는 복수였다. 반면 인니 한인에게는 애도나 추모가 더 먼저였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총련계 재일조선인은 기억의 참상을 자주 증언 형식으로 재현했다. 그러나 인니 한인은 신세 한탄이나 연민을 앞세웠다. 둘째, 두 주체에게 징용의 공간은 노예의 공간처럼 기억됐다. 그것은 총련계 재일조선인에게는 ‘갱도’, ‘다코베야’의 공간으로 인니 한인에게는 ‘무덤’ 등의 자리로 나타나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인니 한인의 시에는 조선인 군무원 이야기가 시작되는 부분에서 침묵이 감돌고 있다. 그것은 총련계 시와는 다른 내성적 목소리를 드러내는 순간이다. 이는 총련계 시에서도 다르지 않았다. 살이 찢기고 가정이 파괴되는 징용 사태에 대한 기억 속에서는, 공화국이나 수령에 대해 맹목적으로 추종돼 왔다고 알려진 그들의 문학적 관성은 때때로 유예되기도 했다. ‘일본-남양-인니’ 지역으로 건너간 징용자들의 기억을 읽어낸 이 문학적 고찰은 역사 사료만으로는 잡히지 않는 하나의 목소리를 감지시킬 수도 있다. 그 점에서, 이 연구는 징용 주제에 대한 문화기억학으로 외연 확장을 가능하게 한다.

      • KCI등재

        미주문학의 시의식 연구 ― 『버클리문학』을 중심으로

        권성훈 국제한인문학회 2021 국제한인문학연구 Vol.- No.30

        이민문학은 작가가 떠나온 모국과 현재 거주하는 타국의 경계에서 형성된 자 의식의 세계다. 이민문학은 이질적인 문화 속에 자국민이 겪었던 차별과 억압에 대한 고유한 정서적 정체성으로 파급된다. 이민문학을 주제로 한 본고는 미국 이주민과 재미 한인 세대를 아우르는 것으로 미주문학에 관한 탐구다. 텍스트로 서 2013년 창간한 종합문예지 『버클리문학』을 중심으로 디아스포라와 미주문 학의 발전과 양상을 살폈다. 『버클리문학』에 나타난 시의식은 미국에 거주하는 미주 한인 이민자들의 자아 정체성과 민족 고유성에 대한 시적 양상을 진단할 수 있었다. 2013년 창간된 『버클리문학』은 미국 캘리포니아 지역을 중심으로 한인들이 발행하는 비정기적 문예지로서 현재까지 다섯 권을 간행했다. 주로 현지 이민자 로 구성된 필진은 버클리문인협회 소속으로 1965년부터 동양인 이민법이 폐지 되면서 이주를 선택한 미주 한인 1세대로 파악된다. 거기에 이주민들의 시와 소 설 그리고 수필뿐만 아니라 국내 작가들의 작품들도 수록되어 있다. 언어적인 측 면에서 「버클리문학」은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영문이 아닌 한글 시편들이 대부분으로, 고유한 민족의식을 통해 민족공동체를 강화한다. 또한 『버클리문학』은 한인 디아스포라 속에서 재미 이민문학을 가능하게 한 한국 현대문학의 한 갈래로 자리 잡았다. 여기에 나타나는 시의식은 한인 디아 스포라의 유형별로 탐구할 수 있는데, 거기에 재미 한인들의 무의식에 다양하게 흡착되어 한민족 언어로 가공된다. 미주 한인들이 미국이라는 사회 공동체 속에 서 삶에 대한 정서가 시편에 수용되거나 반영되는데 자유시뿐만 아니라 민족 고유의 전통 문학인 현대시조가 활성화되면서 수록되기 시작했다. 이를 통해 민 족공동체로 결속을 다지면서 위로와 치유, 화합과 성장을 이루게 되는 동력이 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주민들의 이산과 분산 속에서 민족적 정서가 드러나는 작품을 연구 방법과 같이 탐구했다. 그것은 『버클리문학』 지에 두드러진 주제 의식으로 생태 의식, 정체 인식, 회귀본능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민자로서 파생되는 문제 의식으로 미국 사회에서의 공존의 방식, 주체의 분리, 망향의 향수로 논의했다. 이를테면 첫째 자연과 문명 간의 조화로움을 생태적으로 보여주며 생명의 연 속성을 드러낸다. 생명의 연속성은 모국과 타국 사이 생태적으로 공존적 상호관 계를 모색하게 한다. 둘째 타국의 삶 속에서도 모국의 향수에서 벗어날 수 없는 숙명적인 그림자로서 자아와 세계가 분리된 정체성의 고립을 보인다. 이것은 분 열된 자아와 분리된 세계를 인식하는 이상의 정체성을 반영하기 위한 시작법이 라는 사실이다. 셋째 망향의 그리움을 상기하는데 고향의 이미지와 함께 고향의 향수를 자극한다. 이는 특정 시공간과 상황으로부터 고향의 기억을 소환하며 이 민의 현실을 극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This article explores American literature by combining the generations of American settlers and Koreans in the United States. As a text, it was analyzed based on Berkeley Literature, a comprehensive literary magazine published in 2013.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iagnose the poetic aspects of the self-identity and ethnicity of American Korean immigrants residing in the United States through the Berkeley Literature to be examined. Immigrant literature stems from self-consciousness that is not attributed anywhere on the border between the country in which you are separated and the other country in which you currently reside. So much is the fact that immigrant literature is a “permanent Gentile,” who experiences discrimination and oppression, and is a cultural and emotional issue of identity and uniqueness. In Berkeley Literature, except for special cases, most poems are recorded in Korean instead of in English. This article examines the development and aspect of diaspora and American literature, and looks into the poetry consciousness of Korean people which was shown in Berkeley Literature in earnest. Launched in 2013, Berkeley Literature has published five volumes to date as a comprehensive literary magazine published by Koreans sown mainly in the California area of the United States. The writers, which are mainly composed of local immigrants, belong to the Berkeley Literary Association, and are identified as the first generation of American Koreans who have chosen to move since 1965 when the Asian Immigration Act was abolished. It contains not only the poems, novels and essays of immigrants, but also works by domestic writers. As a result, Berkeley Literature became a branch of modern Korean literature that enabled immigration literature in the United States in the Korean Diaspora. In the main text of this, I was able to see the poetry consciousness that appeared in Berkeley Literature by type of Korean diaspora.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it was absorbed in the poetry consciousness of Koreans in the United States, processed in the Korean language, and contained or reflected in the test pieces of American Korean poets. Through this, the fact that Korean literature has become a driving force to achieve comfort and healing, harmony and growth while solidifying a national community.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explore works that show ethnic emotions in separation and dispersion through the poems of immigrants as well as research methods. magazine the prominent subject consciousness in Berkeley Literature includes ecological consciousness, identity recognition, and regression instinct. Also, as for a problem consciousness that can be obtained as immigrants, it was discussed as a way of coexistence, separation of subjects, and nostalgia for a lost country in American society. For example, first, it shows the harmony between nature and civilization ecologically and shows the continuity of life. Here, the continuity of life seeks an ecologically coexisting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home country and another country. Second, it shows the isolation of the identity in which the ego and the world are separated as a fateful shadow that cannot escape from the nostalgia of the home country even in the life of other countries. This is the fact that it is a starting method to reflect the identity of the ideal of recognizing a divided self and a separated world. Third, it reminds longing for the nostalgia, which stimulates the nostalgia of hometown along with the image of hometown. It is also used in an attempt to overcome the reality of immigrants by summoning memories of hometown from a particular space-time and situation.

      • KCI등재

        AI 디지털 시대와 디아스포라 한글문학의 방향

        곽효환 국제한인문학회 2024 국제한인문학연구 Vol.- No.38

        세계화 시대를 맞이한 이후 가장 뚜렷한 문학 흐름이자 주목받는 경향 가운 데 하나는 디아스포라 문학이다. 이는 20세기적인 경계 해체, 사람과 노동과 자 본 등의 자유로운 이동, 통신과 인터넷의 고도화 등으로 요약되는 세계화된 지 구촌과 맞물려 있는 현상이기도 하다. 세계화의 영향은 디아스포라 문학 역시 특정 국가나 지역에 한정해서 나타나 는 것이 아닌 보편적이고 중요한 문학 흐름으로 자리 잡게 하고 있다. 이는 디 아스포라 한글/한인문학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난다. 20세기 디아스포라 문학에 서 민족정체성이 고정된 상수였다면, 오늘날 해외 한인문학에서는 문화적 차이 와 적응 과정에서 빚어지는 다양성과 새로운 정체성 등이 강화되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19세기 후반부터 러시아, 중국, 일본, 미주를 비롯한 세계 여러 곳 으로 디아스포라를 겪었으며 이를 다양한 내용과 형식의 문학작품으로 형상화 해 온 디아스포라 한글/한인문학이 가진 탈경계성, 다양한 문화적 정체성 그리 고 혼종성은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될 것으로 예상되며 나아가 이것이 한국문학 에도 새로운 에너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여기에 최근 거스를 수 없는 현실이 된 전 지구적인 디지털화와 인터넷을 중 심으로 한 통신망의 고도화 그리고 여기서 한 발짝 더 나아간 AI(인공지능)의 급속한 확산과 무한한 가능성에 대한 기대는 지식과 정보의 혼성과 동일화를 이루어 낼 것이라는 점에서 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 디지털혁명을 완성시킬 것 으로 보인다. 이는 문학 특히 디아스포라 문학에 커다란 변화와 발전 가능성을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디아스포라 한글/한인문학의 주요한 흐름과 특징을 정 리하고 디지털 시대의 디아스포라 한글/한인문학을 어떻게 준비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One of the most distinct literary trends since the dawn of the globalization era is diaspora literature. This is a phenomenon bound up with the globalized world, which is characterized as the dissolution of borders in the 20th century, the free movement of people, labor, and capital, and the sophistication of telecommunications and the Internet. The influence of globalization has established diaspora literature as a universal and important literary flow, no longer confined to specific countries or regions. This is similar in diaspora Hangeul (Korean alphabet) and Korean literature. While ethnic identity was a fixed constant in the 20th-century diaspora literature, today’s overseas Korean literature is reinforcing cultural differences and new identities in the process of adaptation. Since the late 19th century, diaspora has been experienced in Russia, China, Japan, the Americas, and many other places around the world, and the transboundary, diverse cultural identities, and hybridity of diaspora Hangeul/Korean literature, which has been embodied as various contents and forms of literature, are expected to mark a new era, and this can be a new energy for Korean literature. Additionally, the global digitization that has become an irresistible reality in recent years, the sophistication of communication networks centered on the Internet, and the rapid spread of artificial intelligence(AI) and the expectation of infinite possibilities are expected to complete the digital revolution across the economy, society, and culture in that it will succeed in blending and equat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This is likely to bring great changes and developmental possibilities to literature, especially diaspora literature. Therefore, this article summarizes the main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diaspora Hangeul/Korean literature and examines how diasporic Hangeul/Korean literature is being prepared for the digital age.

      • KCI등재
      • KCI등재

        인도네시아 지역 한글 시 연구

        최종환 국제한인문학회 2021 국제한인문학연구 Vol.- No.31

        연구의 목적은 이제까지 다뤄지지 않은 ‘인니 지역 한인들의 한글 시’를 읽음으로써 글로벌 한민족문학사의 외연을 확대하는 데 있다. 인도네시아 지역 한인들의 한글 시는 ‘적도’의 무구한 장소성을 수용하면서 생에 대한 성찰을 도 모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 연구는 이들의 문학이 망망하게 삶을 이어가는 도정에서 발견한 허무를 극복하려는 의지를 드러냈다는 점, 한민족의 비극적인 과거를 기억하거나 현지 삶에 적응하기 위한 열감 가득한 의지를 드러낸 부분 에 주목했다. 인도네시아 한인 문학은 정신사 면에서는 디아스포라 문학장을 넘어 한국 근현대문학의 정신과 닿고 있다. 한국문인협회 해외 지부에 소속돼 온 이들 문학은 디아스포라적 문학장을 한국현대문학 분야로까지도 연장시킨다. 때문에 이들의 한글문학은 미답 지역 연구 영역을 기다리고 있는 연구계에 ‘다 른’ 인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초국가적 이동성을 보여준 아시아 지역 한인 디아스포라들의 문학세계를 더 깊이 조망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the scope of the history of global Korean literature by reading ‘Poems in Hangeul of Koreans in Anni’, which have not been dealt with before. The Korean poetry of Koreans in Indonesia is noteworthy in that it promotes reflection on life while accommodating the pure ‘equator’ spatiality. This study took note of the fact that their literature revealed their will to overcome the emptiness found in their literature on the path of living in vain, remembering the tragic past of the Korean people and revealing the passionate will to adapt to the local life. In terms of spiritual history, Indonesian Korean literature goes beyond the diaspora literature and touches the spirit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literature. Furthermore, their literature, which have been affiliated with the overseas branches of the Korean Writers Association, extends the diaspora literature field to the field of Korean modern literature. Therefore, the Korean literature of Koreans in Indonesia can provide ‘different’ insights for the research community that is waiting for unexplored areas of research.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a more in-depth look at the literary world of Asian Korean diasporas, which have shown transnational mobilit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제임스 게일의『九雲夢』삽입 漢詩의 영역

        서강선 국제한인문학회 2022 국제한인문학연구 Vol.- No.33

        본 연구는 이산문학으로서 제임스 스카츠 게일(James Scarth Gale)의 The Cloud Dream of the Nine을 고찰하였다. The Cloud Dream of the Nine의 원작은 김만중의 한문소설인『구운몽』이다. 이 작품이 영어로 번역되면서 영미권에 정착하기 위해 탈원작이 되거나, 탈문화, 또는 정체성을 유지하거나 잃는 현상이 나타난다. 오늘날 디아스포라에서 재외한인의 내면세계의 갈등에서 볼 수 있는 현상의 편린을 고전문학의 작품이 번역되면서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외국인에 의해 외국어로 번역되는 한국문학 또한 이산문학의 범주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이 본 논문의 취지이다. 또한 이것은 단순한 번역학, 번역문학의 문제가 아니며 디아스포라와 이방문학으로 보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자의 주장은 최근 디아스포라의 확장하는 현상에도 불구하고, 개념의 한계가 있다는 것을 절감하였다. 제임스 게일은 『구운몽』에 삽입된 한시를 영역하면서 본래의 모습을 버리고 영시의 형태로 변형시켜 타지인에게 수용하게 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