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고등학교 가정교과서 식생활단원 내용분석

        강경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1 교과교육학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2009 개정 가정교과 교육과정을 반영하여 개발된 고등학교 가정교과서를 분석하고, 좋은 가정교과서 개발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집필된 6권의 10학년 가정교과서의 내용과 구성 체계를 비교·분석하였고, 2009 개정 교육과정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목표, 교수·학습 방법, 평가 등에 대해 비교·분석하였다. 개발된 고등학교 가정교과서의 단원 구성은 가정 영역이 비슷한 비율로 개발되어 있었고, 가정교과서의 총 페이지는 출판사별로 110페이지부터 122페이지까지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었다. ‘식생활 문화’ 단원은 출판사별로 교과서 B는 가장 적은 6페이지가 집필되었고, 교과서 F에서 가장 많은 12페이지가 집필된 것을 알 수 있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명시된 식생활단원의 학습목표는 ①우리나라와 세계 여러 나라의 가족·소비 생활과 식의주 생활의 특징과 변화 등 동향을 ②비교·체험함으로써 ③바람직한 가정생활 문 화를 창조한다.로 제시되어 있으며, 개발된 고등학교 가정교과서는 교육과정의 학습목표를 잘 반영하고 있었다. 교수·학습 방법은 ①체험활동, ②생활 속 자료, ③진로교육 등, ④용어 해설, ⑤다양한 활동, ⑥다양한 자료, ⑦사고능력향상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교과서는 교육과정에서 권장하고 있는 교수·학습 방법을 포함하고 있었으나, 포함하고 있는 내용에는 다양한 차이가 있었다. 개발된 가정교과서 식생활단원의 평가 내용은 출판사별로 다양한 평가 유형을 보이고 있었으며, 대단원에서 고등 지식을 묻는 문항이 많이 제시되고 있었다. 향후 좋은 가정교과서의 개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편찬상의 유의점 및 검정기준을 반영한 교과서가 집필되어야 한다. 둘째,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요소를 반영한 교과서 개발이 되어야 한다. 셋째, 교과서의 내용은 학습 내용의 전달이 용이하도록 체계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넷째, 충분한 사후 관리가 되어야 한다. 다섯째, 교육 수요자들의 입김이 담긴 교과서가 개발되어야 한다. 여섯째, 교육을 담당한 교사들의 끊임없는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This study analysed the Home Economics textbook that was developed for the newly revised 2009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attempted to find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a better Home Economics textbook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composition of the units of the Home Economics textbook as classified by the publishing company; and then compared and analyzed the goals,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evaluation, and mo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with the newly revised 2009 curriculum. The goals of the developed Home Economics textbook were examined to determine if the met the goals that were stated cleary in the newly revised 2009 curriculum. The content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the developed Home Economics textbook included the content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were recommended by the curriculum. The content of evaluation in the developed Home Economics textbook showed various evaluation types classified by the publishing company, and many questions that asked advanced knowledge were presented in the big unit. The plan for development of a good Home Economics textbook from now on is as follows. First, a good textbook should be reflect the cautions and criteria. Second, the contents that the curriculum pursues should be reflected. Third, the textbook should be organized systematically. Fourth, enough ex post facto management should be conducted. Fifth, a textbook that reflects the influence of education demanders should be developed. Sixth, continuous research by the teachers in charge of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 KCI등재

        초등교원 양성기관 과학교과 교육과정의 실태 및 초등 교사들의 인식연구

        김문희,조미영,김성원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1 교과교육학연구 Vol.15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cience curriculum of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and in-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science curriculum in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We first studied the current science curriculum of thirteen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Korea (i.e., 11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and the Department of Elementary Education in the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Ewha Women's University); 253 elementary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questioned regarding their experiences in the science curriculum of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and the usefulness of this experience in teaching. The results indicated that: (1) the average number of units of liberal arts related to science were 3.9 credits, and 3 out of 13 curricula offered this course as an elective course rather than a mandatory course; (2) the average number of units of science education majors were 4.9 credits. The major course included the theory of science education as well as content and experiment; and (3) many in-service elementary teachers had a negative perception of the science curriculum for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and recognized a need for improvement in the science curriculum of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This study suggests three directions for the science curriculum in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It should: (1) combine science content with experiment, (2) be in accord with the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and (3) provide opportunities for the designing of experiments represented in the elementary textbook. 본 연구는 초등 교사들의 과학교과 교수 어려움의 원인을 찾고자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초등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1개 교육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학과, 이화여자대학교 초등교육학과의 교육과정을 조사하였다. 또한 현직 초등교사 253명에게 대학 재학당시 과학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경험과 과학교과를 가르칠 때, 대학에서 다루었던 교육과정 프로그램 활용정도를 알아보았으며, 대학의 과학교과 교육과정 개선사항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과학교과와 관련된 교양과정은 평균 3.9학점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조사한 13개의 양성대학 중 3개의 대학은 과학관련 교양과목을 필수과목이 아닌 선택과목으로 운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전공과정은 평균 4.9학점의 시간으로 운영되고 있었으며, 이 과정 안에서 과학교과 4가지영역의 교과내용과 관련 실험, 교과교육에 관한 이론수업까지 많은 양의 수업이 이루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현직 초등 교사들의 양성기관 재학당시 과학교과 교육과정 인식조사에서는 대부분의 교사들이 교육과정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과학교과를 가르치는데 어려움이 있어 양성기관 교육과정 프로그램의 개선을 희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 교사 양성 기관의 과학과 교육과정의 질적인 변화를 촉구하는 동시에 이를 위해 다음의 세 가지 내용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첫째, 제한된 시간에 맞추어진 교과내용수업과 실험수업의 통합이 필요함과 둘째, 과학과 교육과정이 현재의 초등학교 교과와 부합되도록 구성되어야 하고 마지막으로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와 있는 다양한 실험의 설계를 교사가 구성 할 수 있도록 하는 수업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교과교육학의 학문 위상과 현 단계 도전 과업

        박인기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06 교과교육학연구 Vol.10 No.1

        이 글은 교과교육학이 하나의 '학문'으로서 온전한 위상을 확보하고, 지식 사회의 선도적 가치를 생산하는 학문 영역으로 명실상부하게 발전해 가려면 어떤 문제 의식과 도전 전망을 가져야 할 것인지를 교과교육학 분야 학문 공동체에 제기해 보기 위한 글이다. 현재의 교과교육학은 여러 가지 도전을 받고 있다. 1) 학문이라기보다는 기능과 처방의 수준에 머무는 것이라는 인식 2) 학문으로서의 이론 체계를 구비하지 못하고 있는 점 3) 연구방법론의 정합성에서 취약한 점 4) 연구 범주의 생산적 분화가 이루어지지 못한 첨, 5) 다른 학문 분야와의 상호작용이 약한 점 6) 학문으로서의 고유성과 수요 창출이 미약한 점 등이다. 교과교육학은 학문으로서의 본격적인 위상을 높이기 위해서, 자신을 상위 인지하고 독자적인 학문으로서의 자기 결정성을 구축하는 체제와 토양을 길러야 한다. 따라서 교육현상을 단순 추수하는 데 그치지 말고, 교과교육의 지형 자체를 스스로 결정하고, 교과교육학의 토대를 재설정함으로써, 현재의 교과교육학에 대한 인식론을 넘어서도록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학적 노력이 필요하다. 먼저 장기적인 관점에서 교과교육학의 이론 연구 분야가 정립되어야 한다. 이는 물론 새로운 연구 범주 확장과 기존 연구 범주를 재개념화 해 나감으로써 가능하다. 이 과정에서 교과교육학이 타 분야 학문과의 학제성을 넓히고 상호작용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이는 교과교육학의 고유성과 보편성이 상호 긴장력 있게 확충되는 방향의 노력을 요청할 것이다. 교과교육학은 교과의 실제적인 힘(원심력과 구성력)을 학문사회와 교육사회에서 동시에 길러야 한다. This paper aimed to propose a desirable status of subject matter education as science to the community of scholars studying subject matter education. And this paper aimed to became an issue and propose the perspective to establish the scientific perfectness of subject matter education at current stage. At present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as science is challenged in many-side as followings. 1) Lack of understanding : tendency to recognize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as skill of treatment not science 2) Defect of theoretical system as a science 3) Unreliability of methodology 4) Unspecialized categories of research 5) Insufficiency of interaction with other sciences 6) Be weak in originating new learning demands It is necessary to intensity the scientific identity, self-determination and self-conquest of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as science, to raise its academic status. In order to overcome the fixed idea about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a diverse of approaches oriented new understanding are needed as followings Theoretical study of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as an approved formal research area. And we should develop new domain of study and re-conceptualize existing domain of study in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as science. It is necessary to enlarge inter-disciplinary activity and enforce interaction with other science under the initiative of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as science. And in order to establish the academic status of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keep both universality and distinctiveness as a science of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In short it is important to build up the power of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through creating demand in both learning society and academic society.

      • KCI등재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4학년 사회 교과서의 문제점 탐색 : 현장 교사들의 의견을 중심으로

        이준혁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0 교과교육학연구 Vol.14 No.3

        This study examines the problems of the new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developed for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n the basis of primary school teachers' various opinions. First, the developmental direc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new textbooks were examined. Second, to collect teachers' critical opinions on these new textbooks now in use, 16 teachers in 4 elementary schools in Seoul were interviewed. Findings indicate the presence of the following problems in some parts of the new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ⅰ) the content was decoupled from the developmental directions outlined in the curriculum guidelines; ii) an inadequacy of activities and the content did not reflect the basic intent of the activities nor the curriculum objectives; ⅲ) a recurrence of similar activities focused on summing-up; ⅳ) a mismatch between the content and level of activities. In the future, these problems need to be revised to improve the new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교사가 교과서의 중요한 소비자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보다 질 좋은 교과서를 만들어 내기 위해서는 비록 한 개인이나 소수의 교사들이라 할지라도 이들이 제기하는 비판과 문제점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장 교사들이 제기하는 비판적 의견을 중심으로 2007년 개정교육과정에 발맞추어 새롭게 개발된 사회 교과서가 어떤 문제점을 지니고 있는지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교과서가 어떤 방향에서 개발되었고 그러한 개발 방향을 구현하기 위해 교과서가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교과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해하는데 중요한 출발점이 된다는 인식 하에, 새 사회 교과서의 개발 방향과 주요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이해의 토대 위에서 교사들이 제기하는 비판의 목소리을 중심으로 사회 교과서의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현장 교사들의 자유롭고 솔직한 의견을 듣기 위해서 새 사회 교과서를 현재 사용하고 있는 3·4학년 교사들을 면접하였다. 면접 대상인 교사들이 제시한 의견을 바탕으로 교과서의 내용을 검토해 보았을 때, 새 사회 교과서의 일부 제재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ⅰ) 개발 의도와 괴리된 제재의 구성; ⅱ) 활동의 기본 정신과 교육과정의 목표를 구현하지 못한 부적합한 내용 구성; ⅲ) 정리를 위한 동일 유형 활동의 반복적 제시; ⅳ) 내용과 활동 수준의 부적합성. 보다 질 좋은 교과서를 만들어 나가기 위해, 향후 교과서 수정 작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반영된 교과역량 특성 분석

        김미진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9 교과교육학연구 Vol.23 No.2

        In the revised 2015 curriculum, core competencies and subject competencies were introduced in future-oriented perspectives. The general competence is well developed only when subject competence is acquired and subject capacity can be realized through individual lesson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nglish competency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ion. For this purpose,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 was used to structurally analyze the text and understand semantic relations.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achievement standards in all school levels were heavily biased to the English communication competency. From thi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identified for additional revis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have well balanced reflection of subject competency on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Second, in order to systematically reflect subject competencies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it is necessary to departmentalize the subject competencies into subcategories and develop the functionality of the curriculum contents system. Third, subject competence development needs to be aligned with core competence as well as adhere to the expectations and specificity of the English department. By reinforcing the linkage between competency and achievement standards, it is expected that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required to raise subject competency will be implemented, and ultimately, the core competence expect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will also be achieved..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미래지향적 관점에서 핵심역량과 교과역량을 도입하였다. 교과역량은 핵심역량 도달의 전제이고, 학생들의 교과역량 함양은 개별 교과 수업을 통해서 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는 수업을 안내하는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교과역량이 반영되어 있어야 한다고 보고, 영어과 성취기준에 반영된 영어과 교과역량의 특성을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초·중·고 영어과 교육과정 문서의 성취기준을 분석의 대상으로, 교과역량을 분석의 틀로 설정하고 빈도와 중심성 값을 산출하였다. 연구의 결과, 영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은 빈도와 중심성 값에서 영어 의사소통 역량으로 크게 편중되어 있었으며,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영어과의 교과역량을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균형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과역량을 성취기준에 체계적으로 반영하기 위해서는 교과역량을 하위범주로 구체화하고, 각론 내용체계의 ‘기능’을 개발하는 연구가 요구된다. 셋째, 영어과의 정체성과 특수성을 드러내고 총론의 핵심역량과 연계되는 교과역량 개발이 필요하다. 교과역량을 기르는 교수·학습이 실현되고 궁극적으로 국가 교육과정에서 의도하는 핵심역량의 구현이 가능해지기 위해서는 성취기준 진술문에 대한 교과역량의 반영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서울시 초등학교 미술교육 현황

        최병상,강인욱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1999 교과교육학연구 Vol.3 No.1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미술 교육 활동은 교과활동과 특별활동이 있다. 초등학교에서 특별활동의 미술교육은 비교적 많은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아이들에게도 유익한 미술교육 활동임을 알 수 있었다. 공립과 사립 초등학교에서는 특별활동을 위한 외부 강사가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고 미술교과 수업을 담당하는 미술교사는 사립과 공립학교가 서로 다르다는 것이 밝혀졌다. 사립의 경우 미술교과 지도교사로서 전공자 교사가 거의 전교생을 대상으로 미술을 지도하고 있었으며 공립 초등학교에서는 교과 전담 교사가 있으나 교사수의 부족으로 인해서 일부 학년만을 지도하게 되는 불균형적면을 알 수 있었다. 초등학교에서는 원하는 미술교육의 지원은 미술 환경적인 면의 확충과 미술교육에 적합한 교사의 확보라는 점을 알게 되었다. 개인의 특기 적성을 살리고 사교육비의 절감을 가지고 오는 목적을 지닌 특기적성 미술교육 활동이 더욱 활성화되고 절적인 향상이 이루어진다면 사설 교육의 낭비도 줄일 뿐만 아니라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미술교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칠 수 있다는 판단을 할 수 있다. Is this treatise this writer aimed to identify status of utilization of fine arts education and various related conditions at primary schools, foundation of our basic educational system, furthermore intended to attract attention of people to the importance of autonomous and creative education of fine arts at schools in the modem society. 1) In the schools they have education of fine arts subject in regular curricula and for extracurricular activities. 2) On many occasions both for private schools and public ones fine arts teachers were invited from outside the schools. In case of private schools teachers who majored in fine arts taught students fine arts in regular school curriculum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in public schools teachers responsible for the subject taught the subject but due to lack of number of available teachers scope of their activities was found very limited. 3) In overall aspect primary schools located in Seoul area were found as relatively well equipped with fine arts rooms, fine arts data and materials and educational aid but in terms of level of utilization it was not so satisfactory. 4) For fine arts education at primary schools respondents said they desire more support for improving environment for fine arts education and securing more teachers proper for teaching fine arts at primary schools. To meet such request it is believed that perception on fine arts education should be enhanced more than anything else. For the students to receive high quality fine arts education in regular as well as extracurricular fine arts program at schools government support or fine arts education, improvement of administration of primary schools, enhancement of level of consciousness on fine arts education by society in general and parents of student are required and also there should be continuous effort for developing better educational materials for fine arts education.

      • KCI등재

        교원양성교육과정과 교원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에 나타난 중등수학교사에게 요구되는 지식 분석 : 교수를 위한 내용 지식을 중심으로

        김래영,김은현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7 교과교육학연구 Vol.21 No.5

        본 연구는 교원양성과정과 교원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이하 교원임용시험)에서 중등수학교사에게 어떤 교수를 위한 내용지식(content knowledge for teaching)을 요구하는지 탐색함으로써 향후 교원양성 및 선발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 21개 사범대학 수학교육과의 교육과정과 12개년 교원임용시험 문항을 분석한 결과, 사범대학 수학 교육과 교육과정에서 모두 교과교육학이 교과내용학에 비해 여전히 비중이 낮은 편으로 그 비율은 학교마다 다소 차이가 있지만 평균적으로 교과내용학이 교과교육학의 2.67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이수교과목이 10개 교과내용학과 1개 교과교육학 과목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과도 무관하지 않지만 대체로 교과교육학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매우 낮음을 알 수 있다. 또한 12개년 교원임용시험을 분석한 결과 시험체제 변화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전체적으로 교과내용지식의 비중이 교수학적 내용지식보다 현저히 높았으며 특정 지식 유형에 편중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중등 수학과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라 교원임용시험 문항에서 요구하는 지식 역시 단순한 기억과 이해보다는 적용, 분석, 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고차원적인 실천적 지식으로 변화하고 있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미래사회의 변화에 재빠르게 대응하고 적응할 수 있는 교사를 양성하고 선발할 수 있는 교사교육에의 시사점을 얻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content knowledge for teaching is expected for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in 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teacher employment tests. By using the framework developed by Ball, Thames, and Phelps (2008), we analyzed the required courses in 21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r secondary mathematics and test items in teacher employment tests between 2006 and 2017. As a result, we found that subject matter knowledge was more dominant tha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both 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teacher employment tests. Even for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represented in teacher employment tests, there were more items for knowledge of content and teaching than those for the other two different types of knowledge. We also noticed that the items required more higher-order thinking and practical knowledge. Along with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and teacher employment tests have shifted to respond to social changes and educational needs. This study gives meaningful implications for future teacher education and teacher recruitment.

      • KCI등재

        수학 교과 역량에 관한 초등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김상미,이소민,정해남,최인숙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3 교과교육학연구 Vol.27 No.1

        This study examine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of the mathematical competencie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108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nd among the respondents, 56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consent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nd their responses were used as analysis data. First, the study analyzed how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viewed the mathematical competencies. It utilized the six mathematical competencies and their sub-elements in the current curriculum as the analysis criteria to understand how they interpret mathematical competencies. Second, this study examined which competencies they considered were the most important ones among the mathematical competencies and why. Third, with an aim to explore their perception of the implementation of mathematical competencies, this study investigated which competencies they thought to have been regarded importantly and overlooked in the context of the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considered problem-solving competency and reasoning competency as the most important ones among the six competencies. Also, they recognized that problem-solving competency has been emphasized while attitude and practice competency have been overlooked. This study suggests that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hould be given opportunities to deepen their understanding of mathematical competencies and sub-elements and also implement and experience mathematical competencies. 이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이 수학 교과 역량을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조사 분석하여, 예비교사교육에서 교과 역량 함양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초등 예비교사 108명에게 온라인 설문 배부하였고, 그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하고 설문에 응답한 56명의응답을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첫째로, 초등 예비교사가 수학 교과 역량을 보는 관점을 분석하였다. 수학 교과 역량 각각에 대하여중점을 자유 서술하도록 하고, 수학 교과 역량의 하위요소를 분석 준거로 설정하였다. 둘째로, 초등 예비교사가 수학 교과 역량 중에서 어떤 역량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지와 그 이유를 분석하였다. 셋째로, 수학 교과 역량에 관한 실행을 보는 인식에 관한 것으로, 수학 교과 역량 중에서 어떤 역량을 어떤 이유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고 또는 간과되고 있다고 생각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첫째로, 수학 교과 역량을 인식하는 측면에서 문제해결 역량은 문제해결 단계를 중점으로 서술하고, 추론 역량은 문제해결과 관련한논리적 사고 과정 혹은 창의력으로 인식하였다. 창의·융합 역량은 독창성과 수학 외적 연결을 언급하였고 정교성과 수학 내적 연결은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의사소통 역량은 수학적 아이디어의 교류와 협업이라는 설명이 일관되게 나타났다. 정보처리 역량을 통계적 과정과 연결지어 언급하였고 공학적인 도구 및 교구 활용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로, 초등 예비교사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수학 교과 역량은 문제해결 역량이었고 수학 교과에 관한 신념과 관련되어 있었다. 셋째로, 수학 교과 역량의 실행을 보는 인식 분석결과로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역량은 문제해결 역량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가장 간과되어 온 역량으로 태도 및 실천 역량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초등 예비교사에게 각 수학 교과 역량 및 하위요소에 대한 이해를 심화할 수 있는 예비교사교육의 점검이필요하고, 수학 교과 역량을 실천해 볼 수 있는 기회와 경험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교육과정 핵심역량과 교과역량으로서의 지식정보처리 역량의 의미와 요소 분석

        김래영(Kim, Rae Young),김은현(Kim, Eun Hyun)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0 교과교육학연구 Vol.24 No.5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핵심역량 중 지식정보처리 역량이 교과역량에서는 어떻게 제시되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핵심역량과 교과역량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언어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 문서에서 중학교 13개 교과의 교과역량 의미와 내용 요소를 분석하였고 특히 수학 교과역량으로서의 정보처리 능력을 학교급(학년군)과 수학 내용 영역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과역량을 제시할 때 핵심역량과의 관계를 언급하지 않거나 선언적으로 제시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역량의 의미와 내용 요소를 분석한 결과 각 교과마다 지식정보처리 역량을 해석하는 범위가 매우 상이하였다. 수학 교과는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정보처리 능력의 비중이 낮아지고 특정 내용 영역과 정보처리 능력의 하위요소에 치우치는 경향을 보였다. 핵심역량인 지식정보처리 역량이 교과역량과 긴밀히 연결되기 위해서는 지식정보처리 역량의 핵심 아이디어에 대한 합의가 필요하며, 이를 기반으로 교과 특성에 맞는 교과 역량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학교급(학년군)에 맞는 역량과 역량의 발달 단계를 정교화함으로써 역량을 보다 효과적으로 함양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를 위한 기초 단계로서 지식정보처리 역량이 교육과정에서 좀 더 풍부한 의미를 가지고 해석될 수 있도록 재개념화하여 향후 교육과정 개발과 연구의 초석이 되고자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eaning and elements of knowledge-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one of the core competencies, in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o val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e competencies and curricular competencies. We analyzed the meaning and constructive elements of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represented in 13 subjects in middle school curriculum, especially for mathematics, by grade bands and contents,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curricular competencies are not closely related to core competencies in general. Curricular competencies varied across subjects in terms of constructive elements of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Within a subject, for instance, mathematics, we found that the higher grade level goes, the fewer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related elements are found in the curriculum. Also, most of them was ‘the use of manipulatives and technological tools’ which is one of four important constructive elements in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This implies that we need to reexamine the curriculum to have agreed definition of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and try to achieve scope, sequence, continuity, integration, articulation and balance in the curriculum so that we can help develop the core competencies through the curriculum.

      • KCI등재

        교과교육 분야 교원양성기관 평가의 실태와 과제

        이차영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4 교과교육학연구 Vol.18 No.4

        학교교육에서 교과는 핵심적 위치에 있으므로, 교사를 양성하는 기관에서 예비교사의 교과지도 능력을 제고하는 것은 그기관의 중요한 임무이다. 양성기관에 대한평가는 그임무의 수행 여부에 대한 확인으로서 중요한데, 이 연구의목적은 교과교육 분야에 대한 양성기관 평가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종단적으로 추적하는데 있다. 이제까지 이루어진 교과교육 분야의 평가에 대한 점검 결과 세 가지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첫째, 평가항목과 평가 기준이 매 주기별로 달라져 동일한 양성과정이 평가주기에 따라 어느정도 발전해왔는지를 확인할수없다. 둘째, 1, 2주기평가까지는동일 평가주기에 있어서도 양성기관에 따라 평가의 항목과 평가 기준이 달라져 양성기관별 교과교육 실태를 객관적으로 비교하기 어렵다. 셋째, 평가결과를 등급으로만 공개하고있어 양성기관들의 상대적 위치를 알려주는데에는 편리하나, 그절대적 수준을 알려주지 못해 결과 활용을 제한하고있다. 2015년도에 시작할 4주기 평가모형의 세부 내용이 현단계에서 아직확정된 상태가아니므로, 그 결정을 위한 추후 검토와 논의의 과정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는 개선책이 강구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 개선의방향으로 교과교육 분야 평가항목의 일관성 유지, 양성과정별 교과교육 실태의 비교 가능성유지, 평가결과 제시방식의 다변화(상대적등급및절대적수준)등을 제시한다. Subject education is critical in schooling. Therefore, it is a very important task for Teacher Training Institution(TTI) to enhance the subject teaching ability of expectancy teachers. This task can be checked through the evaluation of TTI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evaluation of TTIs. By monitoring the past 3 periods (1998-2014) of evaluation in Korea, this study reveals three pitfalls of the evaluation as follows: 1) The evaluation items and criteria have been changed during those periods, thus it is difficult to properly assess the extent of progress made by the TTIs. 2) For some periods, each evaluation differed in items and criteria applied, thus making an objective assessment is difficult. 3) The evaluation results have been made public only in the form of relative grades, thus it is difficult to discern the absolute level of each TTI in the sphere of subject education. When devising the new evaluation model for the 4th period (2015- ), it will be necessary to take three reformative directions as follows; consistency in evaluation, comparability among various types of TTIs, and diversification of the reporting methods of the evaluation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